KR20240016075A - 자세 측정을 기반으로 소리 및 진동을 통한 보행 자세 교정 도움 장치 - Google Patents

자세 측정을 기반으로 소리 및 진동을 통한 보행 자세 교정 도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075A
KR20240016075A KR1020220094133A KR20220094133A KR20240016075A KR 20240016075 A KR20240016075 A KR 20240016075A KR 1020220094133 A KR1020220094133 A KR 1020220094133A KR 20220094133 A KR20220094133 A KR 20220094133A KR 20240016075 A KR20240016075 A KR 20240016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user
unit
walking postur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석우
송예빈
김상훈
김은빈
이보배
류보은
Original Assignee
양석우
송예빈
김상훈
김은빈
이보배
류보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석우, 송예빈, 김상훈, 김은빈, 이보배, 류보은 filed Critical 양석우
Priority to KR1020220094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075A/ko
Publication of KR2024001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0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 측정을 기반으로 소리 및 진동을 통한 보행 자세 교정 도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도측정부에 의하여 발이 벌어지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보행 자세 불량 알림부에 의하여 각도측정부에서 측정된 각도가 허용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착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깔창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신발과 호환이 어렵고 걸음걸이의 교정이 필요할 시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돌아오는 피드백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깔창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신발과 호환이 어렵고 걸음걸이의 교정이 필요할 시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돌아오는 피드백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교정깔창에 있어서 발목에 장착하고 중앙 제어장치로써 충격 방지 및 보관할 수 있게 여러 장치를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목 굴곡에 맞게 형성한 본체, 발이 벌어지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자이로센서를 발등에 클립으로 부착하여 구성한 각도측정부, 방수 및 본체와 센서를 연결해 줄 수 있게 수축튜브로 구성한 연결부, 각도측정부에서 측정된 각도가 허용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착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비프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버저와 바이블레이터로 구성한 보행 자세 불량 알림부, 각도측정부에서 보낸 값으로 사용자에게 각도를 보여주고 걸음걸이 수, 잘못된 걸음걸이의 통계와 바른 걸음걸이의 성취도를 보여줄 수 있게 블루투스통신을 통한 어플로 구성한 데이터수신 및 통계부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도측정부에 의하여 발이 벌어지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보행 자세 불량 알림부에 의하여 각도측정부에서 측정된 각도가 허용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착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깔창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신발과 호환이 어렵고 걸음걸이의 교정이 필요할 시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돌아오는 피드백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깔창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신발과 호환이 어렵고 걸음걸이의 교정이 필요할 시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돌아오는 피드백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자세 측정을 기반으로 소리 및 진동을 통한 보행 자세 교정 도움 장치{Walking posture correction assistance with sound and vibration based on posture measurement}
본 발명은 자세 측정을 기반으로 소리 및 진동을 통한 보행 자세 교정 도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정깔창에 있어서,
발목에 장착하고 중앙 제어장치로써 충격 방지 및 보관할 수 있게 여러 장치를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목 굴곡에 맞게 형성한 본체, 발이 벌어지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자이로센서를 발등에 클립으로 부착하여 구성한 각도측정부, 방수 및 본체와 센서를 연결해 줄 수 있게 수축튜브로 구성한 연결부, 각도측정부에서 측정된 각도가 허용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착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비프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버저와 바이블레이터로 구성한 보행 자세 불량 알림부, 각도측정부에서 보낸 값으로 사용자에게 각도를 보여주고 걸음걸이 수, 잘못된 걸음걸이의 통계와 바른 걸음걸이의 성취도를 보여줄 수 있게 블루투스통신을 통한 어플로 구성한 데이터수신 및 통계부로 구성 하여서,
각도측정부에 의하여 발이 벌어지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보행 자세 불량 알림부에 의하여 각도측정부에서 측정된 각도가 허용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착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깔창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신발과 호환이 어렵고 걸음걸이의 교정이 필요할 시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돌아오는 피드백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정깔창은 팔자걸음의 교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행 시 발뒤꿈치의 하중을 발가락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신 발의 솔의 경사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팔자걸음의 교정이 가능한 신발의 솔을 제공하는 물건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교정깔창은 외피부재, 내피부재, 골격부재, 전달심부, 하판, 외판,상판,종방향자성체, 전자석체 , 축전지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교정깔창은 서 골격부재(300)는 뼈대 역할을 하며, 외 피부재(100)는 내피부재(200)를 감싸 아웃솔의 역활을 가능케 하고, 내피부재(200)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골격부재(300)와 외피부재(100)의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피부재(100), 내피부재 (200) 및 골격부재(300) 각각의 저면이 상호 대응되는 경사를 이루게 되어 신발의 착용 시 팔자걸음의 보행자가 발이 기울어지면 불편함을 느껴 보행자 스스로 자각하여 발이 바깥쪽으로 벌어지지 않고 안쪽으로 모이게 걸음 걸이를 걷도록 함으로써, 척추 교정 및 무릎 관절을 교정하여 일자걸음을 걷도록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교정깔창은 깔창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신발과 호환이 어렵고 걸음걸이의 교정이 필요할 시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돌아오는 피드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02015008688220150618 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교정깔창이 깔창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신발과 호환이 어렵고 걸음걸이의 교정이 필요할 시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돌아오는 피드백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발목에 장착하고 중앙 제어장치로써 충격 방지 및 보관할 수 있게 여러 장치를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목 굴곡에 맞게 형성한 본체, 발이 벌어지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자이로센서를 발등에 클립으로 부착하여 구성한 각도측정부, 방수 및 본체와 센서를 연결해 줄 수 있게 수축튜브로 구성한 연결부, 각도측정부에서 측정된 각도가 허용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착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비프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버저와 바이블레이터로 구성한 보행 자세 불량 알림부, 각도측정부에서 보낸 값으로 사용자에게 각도를 보여주고 걸음걸이 수, 잘못된 걸음걸이의 통계와 바른 걸음걸이의 성취도를 보여줄 수 있게 블루투스통신을 통한 어플로 구성한 데이터수신 및 통계부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목에 장착하고 중앙 제어장치로써 충격 방지 및 보관할 수 있게 여러 장치를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목 굴곡에 맞게 형성한 본체, 발이 벌어지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자이로센서를 발등에 클립으로 부착하여 구성한 각도측정부, 방수 및 본체와 센서를 연결해 줄 수 있게 수축튜브로 구성한 연결부, 각도측정부에서 측정된 각도가 허용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착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비프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버저와 바이블레이터로 구성한 보행 자세 불량 알림부, 각도측정부에서 보낸 값으로 사용자에게 각도를 보여주고 걸음걸이 수, 잘못된 걸음걸이의 통계와 바른 걸음걸이의 성취도를 보여줄 수 있게 블루투스통신을 통한 어플로 구성한 데이터수신 및 통계부로 구성 함으로써, 각도측정부에 의하여 발이 벌어지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보행 자세 불량 알림부에 의하여 각도측정부에서 측정된 각도가 허용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착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깔창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신발과 호환이 어렵고 걸음걸이의 교정이 필요할 시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돌아오는 피드백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본 발명의 개요도
도 2: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기능
즉, 본 발명은 발목에 장착하고 중앙 제어장치로써 충격 방지 및 보관할 수 있게 여러 장치를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목 굴곡에 맞게 형성한 (1)본체, 발이 벌어지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자이로센서를 발등에 클립으로 부착하여 구성한 (2)각도측정부, 방수 및 본체와 센서를 연결해 줄 수 있게 수축튜브로 구성한 (3)연결부, 각도측정부에서 측정된 각도가 허용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착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비프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버저와 바이블레이터로 구성한 (4)보행 자세 불량 알림부, 각도측정부에서 보낸 값으로 사용자에게 각도를 보여주고 걸음걸이 수, 잘못된 걸음걸이의 통계와 바른 걸음걸이의 성취도를 보여줄 수 있게 블루투스통신을 통한 어플로 구성한 (5)데이터수신 및 통계부로 구성 된 것이다.
여기서, (2)각도측정부는 발이 벌어지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자이로센서를 발등에 클립으로 부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4)보행 자세 불량 알림부는 각도측정부에서 측정된 각도가 허용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착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비프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버저와 바이블레이터로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정깔창에 있어서 발목에 장착하고 중앙 제어장치로써 충격 방지 및 보관할 수 있게 여러 장치를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목 굴곡에 맞게 형성한 (1)본체, 발이 벌어지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자이로센서를 발등에 클립으로 부착하여 구성한 (2)각도측정부, 방수 및 본체와 센서를 연결해 줄 수 있게 수축튜브로 구성한 (3)연결부, 각도측정부에서 측정된 각도가 허용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착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비프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버저와 바이블레이터로 구성한 (4)보행 자세 불량 알림부, 각도측정부에서 보낸 값으로 사용자에게 각도를 보여주고 걸음걸이 수, 잘못된 걸음걸이의 통계와 바른 걸음걸이의 성취도를 보여줄 수 있게 블루투스통신을 통한 어플로 구성한 (5)데이터수신 및 통계부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깔창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신발과 호환이 어렵고 걸음걸이의 교정이 필요할 시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돌아오는 피드백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자이로센서를 발등에 클립으로 부착하여 구성한 (2)각도측정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발이 벌어지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비프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버저와 바이블레이터로 구성한 (4)보행 자세 불량 알림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각도측정부에서 측정된 각도가 허용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착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1: 본체, 2: 각도측정부, 3: 연결부, 4: 보행 자세 불량 알림부, 5: 데이터수신 및 통계부

Claims (3)

  1. 교정깔창에 있어서,
    발목에 장착하고 중앙 제어장치로써 충격 방지 및 보관할 수 있게 여러 장치를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목 굴곡에 맞게 형성한 (1)본체, 발이 벌어지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자이로센서를 발등에 클립으로 부착하여 구성한 (2)각도측정부, 방수 및 본체와 센서를 연결해 줄 수 있게 수축튜브로 구성한 (3)연결부, 각도측정부에서 측정된 각도가 허용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착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비프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버저와 바이블레이터로 구성한 (4)보행 자세 불량 알림부, 각도측정부에서 보낸 값으로 사용자에게 각도를 보여주고 걸음걸이 수, 잘못된 걸음걸이의 통계와 바른 걸음걸이의 성취도를 보여줄 수 있게 블루투스통신을 통한 어플로 구성한 (5)데이터수신 및 통계부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측정을 기반으로 소리 및 진동을 통한 보행 자세 교정 도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2)각도측정부를 통하여 발이 벌어지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자이로센서를 발등에 클립으로 부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측정을 기반으로 소리 및 진동을 통한 보행 자세 교정 도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4)보행 자세 불량 알림부를 통하여 각도측정부에서 측정된 각도가 허용 설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착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 비프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버저와 바이블레이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측정을 기반으로 소리 및 진동을 통한 보행 자세 교정 도움 장치.
KR1020220094133A 2022-07-28 2022-07-28 자세 측정을 기반으로 소리 및 진동을 통한 보행 자세 교정 도움 장치 KR20240016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133A KR20240016075A (ko) 2022-07-28 2022-07-28 자세 측정을 기반으로 소리 및 진동을 통한 보행 자세 교정 도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133A KR20240016075A (ko) 2022-07-28 2022-07-28 자세 측정을 기반으로 소리 및 진동을 통한 보행 자세 교정 도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075A true KR20240016075A (ko) 2024-02-06

Family

ID=8985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133A KR20240016075A (ko) 2022-07-28 2022-07-28 자세 측정을 기반으로 소리 및 진동을 통한 보행 자세 교정 도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07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882A (ko) 2014-01-21 2015-07-29 김찬희 유아 및 아동 그립수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882A (ko) 2014-01-21 2015-07-29 김찬희 유아 및 아동 그립수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219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patients having conditions that affect walking
US20080167580A1 (en) Rehabilitation System
US1044103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hoe insole
KR101196835B1 (ko) 신발패드
JP6154436B2 (ja) ヒール及びパンプス用組立式インソール
EP1714624A1 (en) Foot orthosis
US10292452B2 (en) Rocker shoes, rocker shoe development kit and method
KR102309534B1 (ko) 족부 맞춤 3d 인솔 모델링 방법 및 서버
JP2020527368A (ja) 組み込まれた矯正用支持具を有するミッドソール
KR102226475B1 (ko) 체형별 신체 밸런스 조절용 패드 부착식 신발
KR20240016075A (ko) 자세 측정을 기반으로 소리 및 진동을 통한 보행 자세 교정 도움 장치
KR200438291Y1 (ko) 국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깔창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0633726B1 (ko) 기능성 신발깔창
US20040045194A1 (en) Shock absorption insole
JP2016140765A (ja) 足部平衡装置
JP3208825U (ja) 足底固定具
KR101096327B1 (ko) 거골하관절의 정량적 움직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KR200492086Y1 (ko) 신발용 무게추
KR101150053B1 (ko) 발바닥 고유감각수용체를 자극하는 신발
KR20230119617A (ko) 발 아치 지지를 위해 삼각 구조물을 탑재하여 균형적인 보행을 유도하는 신발의 구조
KR101578468B1 (ko) 압력 조절이 가능한 공기 블럭을 가지는 신발창 및 신발
WO2016013042A1 (ja) ヒール及びパンプス用組立式インソール
US20190082788A1 (en) Orthotic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20180040023A (ko) 신발 밑창
KR200392936Y1 (ko) 신발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