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967A -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967A
KR20240015967A KR1020220093910A KR20220093910A KR20240015967A KR 20240015967 A KR20240015967 A KR 20240015967A KR 1020220093910 A KR1020220093910 A KR 1020220093910A KR 20220093910 A KR20220093910 A KR 20220093910A KR 20240015967 A KR20240015967 A KR 20240015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rance
subscription service
user terminal
service providing
automatic comp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리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리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리본
Priority to KR1020220093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5967A/ko
Publication of KR20240015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상품에 가입하면서 자동보상에 대한 구독 서비스를 선택으로 가입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에서 보장하는 진단코드에 대응하는 의료비에 대한 보상을 받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에서 보장하는 진단코드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의 의료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수집부, 의료 데이터 내 사업자번호, 상호 및 지출금액을 추출하고 청구대행업무를 할당하는 할당부, 청구대행업무로 확보된 의료기록사본 내 진단코드를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진단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에서 보장하는 진단코드인 경우 사용자 단말로 의료비를 보상하는 자동보상부를 포함하는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PAYOUT CLAIM AGENT BASED SUBSCRIBE SERVICE FOR INSURANCE AUTO COMPENSATION}
본 발명은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험상품에 가입할 때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미청구 보험금에 대하여 자동으로 추출 및 환급을 해주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손의료보험은 공적 건강보험의 단점을 보완하여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켜 개인의 요구에 의해 임의로 가입하는 사적인 건강보험 제도이다. 실손의료보험은 보험금 지급사유가 소액으로 빈번히 발생함에도 보험가입자가 진료비를 의료기관에 지급한 후 청구서류를 작성하여 보험회사 등에 보험금을 청구하는 체계로 상환제 운영을 실시하고 있는데, 상환제 운영은 보험가입자의 권익보호가 어렵고, 보험회사와 의료기관 모두의 운영효율성의 저하를 초래하며, 환자는 번거로운 청구 절차에 따라 시간을 소비하고 있어 소액보험금의 청구를 포기하는 지경에 이른다. 또, 실손의료보험 청구용 진단서 등 제증명 서류를 종이문서로 발급하고 보험회사 등은 이를 다시 전산 입력하는 행정상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다.
이때, 실손의료보험에 대한 청구를 대행하는 서비스가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22-0036307호(2022년03월22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21-0107968호(2021년09월02일 공개)에는 의료기관 제증명서류 발급 또는 보험청구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과, 실손보험 청구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약국 내 구비된 키오스크와 연동시켜 약국에 입력된 정보를 수신한 후 실손보험을 청구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의료기관 제증명서류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여전히 대행업체에서 직원을 위임장과 함께 보내 의뢰인인 사용자의 제증명서류를 발급해와야 하며, 후자의 경우에는 약국에서 입력되는 처방전에는 진단코드 또는 질병코드가 입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험사에서 커버하는 질병코드로 처방을 받아왔는지의 여부를 다시 확인해야 하고, 그 금액이 얼마인지도 사용자로부터 다시 영수증을 받아 서류를 입력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 소액으로 자주 발생하는 실손보험청구의 특성상 모든 서류를 사용자가 일일이 챙겨 각 보험사에 청구를 하는 것도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쉬운 일이 아니다. 이에, 실손보험의 청구대행을 구독 서비스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청구대행을 의뢰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청구 및 환급받을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손보험의 청구대행을 구독 서비스로 제공하여 상용자가 일일이 청구대행을 의뢰하기 위해 신청, 위임 및 환급을 받는 절차를 제거하고, 계속적 계약에 기반하여 한 번의 위임장 발급으로 자동청구 및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실손보험상품 중 특약으로 자동보상 서비스를 포함시킴으로써 실손보험에 가입하는 사용자가 가입만 하면 자동으로 보상받는 생태계를 형성시키고, 실손보험업계의 고질적인 병폐인 복잡한 절차로 인한 보험료 청구 포기를 제로화함으로써 보험업계에도 새로운 마케팅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상품에 가입하면서 자동보상에 대한 구독 서비스를 선택으로 가입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에서 보장하는 진단코드에 대응하는 의료비에 대한 보상을 받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에서 보장하는 진단코드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의 의료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수집부, 의료 데이터 내 사업자번호, 상호 및 지출금액을 추출하고 청구대행업무를 할당하는 할당부, 청구대행업무로 확보된 의료기록사본 내 진단코드를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진단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에서 보장하는 진단코드인 경우 사용자 단말로 의료비를 보상하는 자동보상부를 포함하는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실손보험의 청구대행을 구독 서비스로 제공하여 상용자가 일일이 청구대행을 의뢰하기 위해 신청, 위임 및 환급을 받는 절차를 제거하고, 계속적 계약에 기반하여 한 번의 위임장 발급으로 자동청구 및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실손보험상품 중 특약으로 자동보상 서비스를 포함시킴으로써 실손보험에 가입하는 사용자가 가입만 하면 자동으로 보상받는 생태계를 형성시키고, 실손보험업계의 고질적인 병폐인 복잡한 절차로 인한 보험료 청구 포기를 제로화함으로써 보험업계에도 새로운 마케팅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보험상품을 선택하고 가입할 때, 특약 또는 선택으로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를 신청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간편인증으로 본인인증을 수행한 후,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미도시)에서 조회되는 의료 데이터 및 보험 데이터를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조회하도록 위임장을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미청구 보험금이 존재하는 경우,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진행상황을 알림 메시지로 받고, 보상이 나온 경우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보상알림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로부터 보험상품을 수신하고, 구독 서비스를 옵션 또는 특약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를 보험사 서버(500)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보험사 서버(500)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가입으로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가 신청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가입한 보험상품에서 보장하는 진단코드를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간편인증, 즉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위임장을 제공한 후, 사용자 단말(100)의 미청구 보험금이 조회되는 경우, 미청구 보험금이 발생한 진단코드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예측하고, 보험상품에서 커버하는 진단코드인 경우 청구대행을 직원 단말(400)로 할당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직원 단말(400)에서 업로드한 의료기록사본의 진단코드가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예측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검증하고, 의료기록사본의 진단코드가 보험상품에서 커버되는 진단코드인 경우 보험사 서버(500)로 보험금 청구를 진행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청구대행을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할당받고, 의료사본기록을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하는 직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수집부(320), 할당부(330), 추출부(340), 자동보상부(350), 미청구보험금조회부(360), 동의저장부(370), 기간설정부(380), 결제관리부(390), 코드예측부(391), 검증부(393), 마케팅부(395), 알람부(397) 및 의료기록보안부(39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로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는,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에서 보장하는 진단코드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상품에 가입하면서 자동보상에 대한 구독 서비스를 선택으로 가입할 수 있다.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는 보험상품의 특약으로 포함될 수도 있고, 보험상품과 별개로 구독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모든 보험상품에 대한 자동청구가 구독 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다.
수집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의 의료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의료 데이터는 후술할 의료기록사본과 다르다. 즉, 의료 데이터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조회되는 사업자번호, 상호 및 지출금액을 포함한 데이터이고, 의료기록사본은 진단코드(질병코드), 증상, 병명, 금액 등이 포함된 것인데, 의료 데이터 내에는 진단코드가 없다. 즉, 의료 데이터는 도 4q의 화면과 같이 사업자번호, 상호 및 지출금액만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의료 데이터는, 서울시 용산구 이촌동 신이비인후과(상호), 사업자번호(1234-XXXX)에서 5600(금액)원을 지불했다는 것만 포함되기 때문에, 이 의료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보험금 청구를 위해서 어떠한 진단코드가 나왔는지를 예측해야 한다.
즉, 신이비인후과와 지출금액만 보면, 사용자가 중이염에 걸려서 5600원을 지출했는지, 비염이 심해 알러지로 5600원을 지출했는지, 비염 두통이 심해 5600원을 지출했는지, 편도선이 부어 5600원을 지출했는지 국세청 홈택스 자료만 가지고는 전혀 알 수가 없는데, 본 발명은 의료기록사본(병의원에서 발급) 없이 의료 데이터(국세청 홈택스)만 가지고 보험상품이 커버하는 진료를 받았는지를 확인해야 하는 상황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정리하면, ① 의료 데이터만 가지고 진단코드를 예측해야 하고, ② 예측된 진단코드가 보험상품에서 커버하는 진단코드인지를 확인해야 하는데, 이 두 가지 조건이 모두 AND 조건으로 맞아떨어져야 의료기록사본을 수집할 직원을 해당 병원이나 의원으로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가 다녔던 병원이나 의원을 각 직원이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의료기록사본을 모두 떼야한다. 비용도 들지만 인력 및 시간의 낭비도 들게 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국세청 홈택스 기록, 즉 의료 데이터만 가지고 진단코드를 예측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시키고, 이를 고도화하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학습 데이터셋이 필요하고 학습에는 대규모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렇게 되면 점점 정확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후에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진단코드 예측력이 정확해져 미청구 보험금을 놓치는 일 없이, 또 직원의 청구대행, 즉 의료기록사본을 일일이 떼는 비용이나 시간의 낭비 없이, 미청구 보험금을 청구대행할 수 있게 된다.
할당부(330)는, 의료 데이터 내 사업자번호, 상호 및 지출금액을 추출하고 청구대행업무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청구대행업무는 상술한 2 가지 조건, 즉 ① 의료 데이터로 진단코드를 예측했고, ② 예측된 진단코드가 보험상품에서 커버하는 진단코드인지를 확인된 미청구 보험금 청구만을 청구대행업무로 지정하고 각 직원 단말(400)로 할당하게 된다. 직원은 상호, 사업자등록번호, 지출금액을 포함한 의료 데이터와 위임장을 가지고 각 병의원을 방문하게 되며, 방문 후 발급받은 제증명서류인 의료기록사본을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하게 된다.
추출부(340)는, 청구대행업무로 확보된 의료기록사본 내 진단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부(340)는 직원 단말(400)에서 의료기록사본을 업로드하는 경우, OCR을 이용하여 진단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자동보상부(350)는, 추출된 진단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에서 보장하는 진단코드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의료비를 보상할 수 있다.
미청구보험금조회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자동보상에 대한 구독 서비스를 가입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본인인증을 수행한 후 보험신용정보통합조회시스템(Insurance Contact Inquiry System)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보험 및 미청구 보험금을 조회할 수 있다. 국내에는 2020년부터 보험신용정보통합조회시스템(ICIS)을 도입하여, 피보험자가「개인신용정보법」및「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신용정보 조회를 동의하면 보험사에서 보험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험신용정보통합조회시스템(Insurance Contact Inquiry System, ICIS)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보험에 가입을 했는지, 미청구 보험금은 얼마나 어디에 있는지를 찾게 된다. 최근 ICIS를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보험사의 계약거절, 즉 보험인수거절이 늘어나고 있는데, 고지의무가 있는 기간 이외의 기간까지 인수팀에서 보게 되고 이로 인하여 보험인수를 거절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소비자의 불만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독 서비스에 필요한 부분만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동의를 받을 수 있도록 영지식 증명(Zero-Knowledge Proof)에 기반한 ZK-SNARK(Zero Knowledge Succinct Non-Interactive Argument of Knowledge)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영지식 증명은 상대방에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의 참, 거짓 여부를 제외한 어떠한 정보도 노출하지 않는 것을 뜻하며 Completeness, Soundness, Zero-Knowledge라는 세 가지 특성을 가진다. 첫째, Completeness는 검증자가 항상 Honestly-Generated Proof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을 뜻하고, 이는 증명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가 참이면, 검증자는 증명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가 참임을 확신할 수 있어야 함을 말한다. 둘째, Soundness는 증명자가 아닌 자는 검증자에게 자신이 증명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가지고 있음을 확신시키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뜻한다. 셋째, Zero-Knowledge는 Correct Proof가 어떠한 정보도 노출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ZK-SNARK>
일반적인 영지식 증명은 초기 설정 이후에도 계속 상호작용이 필요하지만 ZK-SNARK는 초기 설정 이후 상호작용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백 바이트의 Proof Length를 Milliseconds 안에 확인할 수 있는 등 기존의 영지식 증명을 발전시킨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ZK-SNARK 프로토콜 중 Proof가 단 3개의 Group Elements로 구성되어 있는 Groth16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Groth16은 ZK-SNARK 프로토콜로 증명과정과 검증과정으로 나뉜다. 증명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u라고 하면 증명과정에서는 증명자가 함수 f(u)의 연산과정을 분해하여 써킷으로 만든다. 이후 써킷을 구성하는 게이트와 선들을 다항식과 계수로 변환하는데 이러한 다항식과 계수들의 집합을 QAP(Quadratic Arithmetic Program)라고 한다.
검증과정에서는 증명자로부터 다항식과 계수들을 건네받은 검증자가 이를 적절히조합하여 써킷을 복원하며, 이 과정은 영지식 증명의 특성 중 Completeness를 만족한다. 또, Groth16 프로토콜은, 타원 곡선을 통해 증명자만이 알고 있는 정보를 암호화하는 ECC(EllipticCurve Cryptography, ECC)를 사용하여 영지식 증명의 특성 중 Soundness를 만족하고, 증명자만이 알고 있는 정보가 ECC에 의해 암호화된 상태에서도, 덧셈, 곱셈과 같은 연산을 가능하게 해주는 Bilinear Pairing을 이용하여 영지식 증명의 특성 중 Zero-Knowledge를 만족한다.
<ICIS 정보 관리>
블록체인과 ZK-SNARK를 이용하여 개개인의 보험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공공기관 서버는 보험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보험에 가입할 때 뿐만 아니라 보험금 지급심사 등 보험사가 보험정보를 요구하는 상황이 생길 때 피보험자가 직접준비할 필요가 없어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서비스에 관심이 생긴 사용자 A가 정부에 서비스 가입을 신청하면 정부가 사용자 A의 보험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Groth16과 같은 ZK-SNARK 프로토콜이 이용되기 때문에 블록체인에 접근하여 사용자 A의 보험정보를 얻으려는 개체는 사용자 A가 생명보험에 가입되어 있는지와 같은 단편적인 정보만 얻을 수 있다.
또, 보험정보가 블록체인에 저장되어 수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보험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강화된다. 사용자 A가 B 보험사의 생명보험에 가입하기 위해 보험 가입신청서를 제출하여 B 보험사가 사용자 A의 보험정보를 조회하면, B 보험사는 사용자 A가 생명보험에 가입되어 있는지에 대한 여부와 같은 단편적인 정보만 얻을 수 있어 사용자 A의 프라이버시 보호가 강화된다. B 보험사에서 이러한 단편적인정보로도 보험계약을 체결하기에 충분하다고 여기면 시나리오가 종료되고, 그렇지 않다면 공공기관 서버에 구체적인 보험정보를 요구하기 위해 사용자 A의 동의를 구한다. 사용자 A가 이에 동의하면 B 보험사는 정부로부터 구체적인 보험정보를 받아 보험계약에 이용하고 시나리오가 종료된다. 이에 따르면, 보험정보가 블록체인에 저장되어 수정이 불가능하여 보험정보에 대한 신뢰가 향상되고, 불필요한 정보를 보험사에 제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피보험자의 프라이버시 보호가 강화된다.
동의저장부(3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자동보상에 대한 구독 서비스를 요청받는 경우,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지출한 지출금액의 데이터 제공에 동의를 받을 수 있다.
기간설정부(380)는, 자동보상에 대한 구독 서비스를 제공할 때,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구독 서비스를 유지하는 조건으로 구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간은 2 년일 수 있다.
결제관리부(39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구독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정기결제 또는 일시납으로 결제받을 수 있다.
코드예측부(391)는, 의료 데이터 내 사업자번호, 상호 및 지출금액을 추출한 후, 기 구축된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질의로 입력하여 진단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검증부(393)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임장으로 확보된 의료기록사본으로 진단코드를 검증할 수 있다. 의료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질의로 입력하여 진단코드를 출력하는 상세한 내용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제10-2416618호(2022년07월05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선등록특허의 후속특허로 진단코드를 예측하여 자동청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주는 구독 서비스를 개시한다.
마케팅부(395)는,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로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에 대하여 구독 서비스를 특약 또는 선택으로 포함하도록 마케팅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보험상품이 MZ 세대를 타겟으로 하는 보험상품이라면 본 발명의 구독 서비스를 특약 또는 선택으로 포함하도록 마케팅 이벤트를 전달하여 본 발명의 플랫폼을 홍보할 수도 있다.
알람부(397)는, 사용자 단말(100)의 지출금액에 대한 보상이 진행되는 경우, 의료기록사본 발급, 보험청구서 작성, 보험청구서 접수 및 보상의 프로세스를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자신이 일일이 의료기록사본을 떼거나 제증명서류를 찾아다니면서 발급받지 않아도, 또 보험사에 문의하여 청구를 하지 않아도, 또 신경을 쓰고 있지 않아도 자동으로 환급된 상황만을 보고받을 수 있다.
의료기록보안부(399)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에서 예측한 진단코드가 보험상품에서 보장하는 진단코드인 경우, 청구대행업무를 적어도 하나의 권역별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로 할당하고,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로부터 의료기록사본의 수집 및 업로드를 받을 때,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을 가상머신(Virtual Machine)으로 만드는 가상화(Virtualization)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도커 컨테이너 기반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400)을 위한 GPU 가상화 시스템 및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오픈 소스 프로젝트인 도커를 이용할 수 있으며, GPU를 가상화하고, 도커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각 직원이 할당받은 청구대행업무에 따른 의료사본기록을 보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며, 스토리지를 이용하여 의료사본기록을 보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직원 단말(400)에서 쉽게 접근하고, 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도록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커>
도커(Docker)는 리눅스 기반의 Container Runtime 오픈소스로, 가상머신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면서, 훨씬 가벼운 형태로 배포가 가능하다. 가상머신은 호스트 운영체제가 설치되고, 그 위에 하이퍼바이저(VMWare, Hyper-V, Xen 등)가 설치된 후, 그 위에 가상머신이 만들어지게 된다. 그래서, 가상머신 위에는 다양한 종류의 OS(Linux, Window)를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ocker의 Container는 컨셉은 비슷하지만, 가상머신과 약간 다르다. 도커 컨테이너도 가상머신처럼 호스트 OS 위에 도커 엔진이 설치되고 그 위에 컨테이너가 올라가게 되는데 이때, 컨테이너는 리눅스 기반의 OS만 수행이 가능하다.
도커는 가상머신처럼 하드웨어를 가상화해주는 것이 아니라 Guest OS를 격리(Isolation)해준다. 컨테이너는 기본적으로 리눅스 OS만 지원하는데 컨테이너 자체에는 커널 등의 OS 이미지가 들어가 있지 않다. 리눅스 커널은 Host OS를 그대로 사용하며, Host OS와 컨테이너 OS의 다른 부분만 컨테이너 내에 같이 Packing이 되게 된다. 따라서, Host OS가 Ubuntu이고 컨테이너 OS가 CentOS라고 했을 때 컨테이너에는 CentOS의 이미지 전체가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Ubuntu 와 CentOS의 차이가 되는 부분만 들어가 있게 된다. 컨테이너 내에서 명령을 수행하게 되면 실제로는 Host OS에서 명령어가 수행되는 방식으로 컨테이너는 Host OS의 프로세스 공간을 공유하게 된다.
<GPU 가상화>
GPU 자원을 가상화하게 되면 필요한 만큼만 자원을 최적화하여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의 비효율적인 낭비 또는 부족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GPU 가상화는 제품 제조업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지원이 없어서 어려운 문제로 야기되고 있었다. 가상화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고 동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하드웨어 차원의 호환이 없다면 구현이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는 AI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GPU 제조업체들은 가상화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GPU 가상화 기술은 가상화를 어느 관점에서 구현하느냐에 따라 ① Direct Pass-Through, ② Para & Full Virtualization 그리고 ③ API 리모팅으로 구분되게 된다.
① Direct Pass-Through 방식은 가상머신이 하이퍼바이저 중재 없이 직접 GPU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NVIDIA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 하드웨어 단계에서 가상화를 진행한 NVIDIA GRID를 공개하였다. 하지만, 특정 하드웨어 제품군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가상머신이 하나의 GPU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② Para & Full Virtualization 방식은 하이퍼바이저를 통해 가상머신 별로 GPU 자원을 할당할 수 있지만, 하이퍼바이저 통신으로 인한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고, GPU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와 드라이버 레벨의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구현해야 한다. 하드웨어 드라이버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수정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③ API 리모팅은, GPU 벤더가 가상화를 지원하지 않을 때 가상화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Guest OS에 Host OS에서 쓰이는 GPU 라이브러리와 동일한 API를 가진 래퍼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래퍼 라이브러리는 GPU 응용프로그램이 GPU에 대한 연산 함수를 호출할 때, 그 호출이 직접 GPU 드라이버에 도달하기 전에 가로채게 되는데, 이렇게 가로채어진 호출은 공유 메모리를 통해서 같은 시스템 내의 Host OS로 전달되게 된다. Host OS로 전달된 호출은 원격으로 처리되므로 API 리모팅 이름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원격에서 GPU호출이 처리된 후 호출의 결괏값만 다시 래퍼 라이브러리로 전달되게 되게 된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가상화 환경에서 Guest OS의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데 있어 성능 저하를 유발시키게 된다. Guest OS의 응용프로그램은 하드웨어를 활용할 때, 반드시 Host OS를 거쳐서 접근 및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가상화가 없는 상태의 GPU를 활용하는 것에 비해 백엔드-프론트엔드(Backend-Frontend) 통신이 추가되게 되므로, 성능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API 리모팅 기법을 사용한 방식으로는 GViM, vCUDA, rCUDA, GVirtuS가 있다
<도커 컨테이너 기반 GPU 가상화>
다수의 직원이 각 사용자의 의료기록사본을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업로드할 때 사용해야 하는 서비스이므로 간단한 사용 방법을 통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커 컨테이너 기반 GPU 가상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서 웹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우선, 도커 컨테이너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이름, 포트 정보, 도커 이미지 정보, 데이터 마운트 경로 위치, 할당 요청할 GPU ID 리스트가 필요하다. 현재 포트가 할당되어 있는지, 도커 이미지가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다운로드 되어 있는지, GPU가 이미 할당되어 있는지 등을 파악한 후에 컨테이너를 생성해주고 컨테이너에 접속할 수 있는 패스워드를 반환값으로 리턴 해준다. 도커 컨테이너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서버 아이디, 컨테이너 아이디가 필요하다. 현재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고,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연결되어 있으면 컨테이너를 삭제 요청한다. 성공적으로 삭제가 완료되면 데이터베이스에 할당된 GPU를 할당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해준다.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자원이 낭비되지 않고 최적의 효율을 달성기 위해 서버의 활용률을 알아야 자원 배분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활용률은 이하 수학식 1을 통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CU는 CPU의 사용률을 나타내며, NC는 서버의 코어 개수를 나타낸다. GU는 GPU의 사용률을 나타내며, NG는 연결된 GPU의 개수를 나타낸다. UCU는 서버 코어의 개수가 반영된 최종 CPU 사용률을 나타내며, UGU는 GPU의 개수가 반영된 최종 GPU 사용률을 나타낸다. 여기서 i는 각 서버의 번호를 의미한다. 서버 코어의 개수와 GPU의 개수는 연결된 서버별로 CPU가 다를 수 있고, 연결된 GPU의 개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활용률에 반영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의료기록사본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진단코드 예측을 검증하는데 사용되게 되고, 인공지능 학습 특성상 CPU 사용보다는 GPU 사용을 더 많이 하므로 GPU 사용률에 0.7의 가중치를 두어서 자원 배분을 효율적으로 할 수도 있다. 최종 서버의 사용률은 이하 수학식 2를 통하여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ANC는 전체 서버 코어의 개수를 나타내고, ANG는 전체 서버의 GPU 개수를 나타낸다. SU는 서버의 사용률을 나타낸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로부터 보험상품에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를 특약으로 넣을 수 있도록 홍보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에서 이를 수락하는 경우 보험상품에 매핑되도록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를 저장한다. (b)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보험상품에 가입할 때 구독 서비스를 특약으로 넣은 경우,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과 보험상품 또 구독 서비스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c) 및 (d)와 같이 주기적으로 수집된 의료 데이터에 기하여 미청구 보험금을 조회하고, 의료 데이터에서 진단코드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예측한 후, 예측된 진단코드가 보험상품에서 커버해주는 진단코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된 경우 청구대행업무로 설정한 후 직원 단말(400)로 청구대행업무를 분배한다. 그 다음,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직원 단말(400)로부터 업로드된 의료기록사본을 수신하고, 의료기록사본 내 진단코드와 인공지능 알고리즘에서 예측한 진단코드를 비교하여 진단코드를 검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라이프캐치, 그린리본)은, 도 4a와 같이 비대면 및 가심비를 공략하는 MZ 세대를 공략하도록 비대면 보상 서비스를 자동으로 2 년간 구독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b와 같은 프로세스로 진행될 수 있고 도 4c와 같은 보험상품과 함께 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랫폼은 기 등록된 본 출원인의 선등록특허인 도 4d 내지 도 4p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기반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4d 내지 도 4p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더 발전된, 즉 간편청구를 일일이 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가 체크하지 않아도 구독 서비스로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자동으로 청구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안내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에서 보장하는 진단코드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한다(S5100).
그리고,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의료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하고(S5200), 의료 데이터 내 사업자번호, 상호 및 지출금액을 추출하고 청구대행업무를 할당한다(S5300).
또,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청구대행업무로 확보된 의료기록사본 내 진단코드를 추출하고(S5400), 추출된 진단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에서 보장하는 진단코드인 경우 사용자 단말로 의료비를 보상한다(S5500).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보험상품에 가입하면서 자동보상에 대한 구독 서비스를 선택으로 가입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에서 보장하는 진단코드에 대응하는 의료비에 대한 보상을 받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에서 보장하는 진단코드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의료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의료 데이터 내 사업자번호, 상호 및 지출금액을 추출하고 청구대행업무를 할당하는 할당부, 상기 청구대행업무로 확보된 의료기록사본 내 진단코드를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진단코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에서 보장하는 진단코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의료비를 보상하는 자동보상부를 포함하는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자동보상에 대한 구독 서비스를 가입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본인인증을 수행한 후 보험신용정보통합조회시스템(Insurance Contact Inquiry System)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보험 및 미청구 보험금을 조회하는 미청구보험금조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자동보상에 대한 구독 서비스를 요청받는 경우,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지출한 지출금액의 데이터 제공에 동의를 받는 동의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자동보상에 대한 구독 서비스를 제공할 때,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구독 서비스를 유지하는 조건으로 상기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간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구독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정기결제 또는 일시납으로 결제받는 결제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의료 데이터 내 사업자번호, 상호 및 지출금액을 추출한 후, 기 구축된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질의로 입력하여 진단코드를 출력하는 코드예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임장으로 확보된 의료기록사본으로 진단코드를 검증하는 검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보험사 서버로 적어도 하나의 보험상품에 대하여 상기 구독 서비스를 특약 또는 선택으로 포함하도록 마케팅 이벤트를 전송하는 마케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지출금액에 대한 보상이 진행되는 경우, 의료기록사본 발급, 보험청구서 작성, 보험청구서 접수 및 보상의 프로세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는 알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에서 예측한 진단코드가 상기 보험상품에서 보장하는 진단코드인 경우, 상기 청구대행업무를 적어도 하나의 권역별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로 할당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로부터 상기 의료기록사본의 수집 및 업로드를 받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원 단말을 가상머신(Virtual Machine)으로 만드는 가상화(Virtualization)를 진행하는 의료기록보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93910A 2022-07-28 2022-07-28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15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910A KR20240015967A (ko) 2022-07-28 2022-07-28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910A KR20240015967A (ko) 2022-07-28 2022-07-28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967A true KR20240015967A (ko) 2024-02-06

Family

ID=89858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910A KR20240015967A (ko) 2022-07-28 2022-07-28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59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49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curing sensitive data in public cloud using a serverless architecture
US20160360039A1 (en) Virtual assistant aided communication with 3rd party service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20120179746A1 (en) Supporting Compliance in a Cloud Environment
JP6209626B2 (ja) データスクレイピング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20221354A1 (en) Administering Medical Digital Images In A Distributed Medical Digital Image Computing Environment With Medical Image Caching
US10635488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ata scraping using script engine
US20210042294A1 (en) Blockchain-based cons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121877B2 (en) Secure transmission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via blockchain
US20200210615A1 (en) Policy based lifecycle mana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US20220261916A1 (en) Cloud-based system and method for claiming insurance for out-of-pocket medical expenses
EP3977284A1 (en) Interoperability test environment
Faruk et al. Security in electronic health records system: Blockchain-based framework to protect data integrity
US10055743B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customer care
EP35536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curing sensitive data in public cloud using a serverless architecture
KR20240015967A (ko) 보험금 청구대행 기반 자동보상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im et al. A cloud computing-based analysis system for the National R&D Information concerning with the data security
US11983683B2 (en) Processing personalized electronic healthcare payment transactions with a financing partner
Adham et al. Monitoring of policy implementation: convergent mobile and fixed technologies as emergent enablers
US20180107795A1 (en) Tracking and Controlling Inter-System Processing Events Using Event Tokens
CN115392718A (zh) 流程模型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Vanitha et al. E-Healthcare Billing and Recor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using Android with Cloud.
KR20240016640A (ko) 고지의무위반 및 역선택 적발을 위한 사후현장심사 필요여부 판단 보조 솔루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039792A (ko) 금융 서비스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230162823A1 (en) Retroactive coding for healthcare
US10298682B2 (en) Controlling device data collectors using omni-collection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