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590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590A
KR20240015590A KR1020230096717A KR20230096717A KR20240015590A KR 20240015590 A KR20240015590 A KR 20240015590A KR 1020230096717 A KR1020230096717 A KR 1020230096717A KR 20230096717 A KR20230096717 A KR 20230096717A KR 20240015590 A KR20240015590 A KR 20240015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pin
retainer
engaging por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6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구미 마츠모토
테츠로 아키구치
유키 츠츠이
세이지 시시쿠라
유스케 미토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240015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5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having different types of direct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Abstract

본 발명은 리테이너에 의한 콘택트 핀의 충분한 빠짐 방지와 콘택트 핀이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었는지 여부의 지표로서의 충분한 역할을 달성하고, 소형화에 적합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 커넥터는, 하우징(20)과, 리테이너(30)와, 콘택트 핀(40)을 구비한다. 콘택트 핀(40)은 접점부(41)를 갖는다. 접점부(41)는, 상대 콘택트가 삽입되는 개구(411)와, 상대 콘택트와 접하는 접점(412)을 갖고, 그 접점(412)을 둘러싸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30)는 하우징(20)에 삽입된 콘택트 핀(40)에 걸어 맞춰져서 콘택트 핀(40)을 빠짐 방지한다. 여기서, 콘택트 핀(40)은 리테이너(30)와 걸어 맞춰져서 빠짐 방지되는 계합부(415)를 접점부(41)의 삽입 방향의 도중 위치에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하우징에 삽입된 콘택트 핀을 탈착하는 리테이너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리테이너에 의해 콘택트 핀의 빠짐을 방지하는(拔止) 타입의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리테이너는 하우징의 콘택트 핀을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하우징에 삽입되어 콘택트 핀의 빠짐을 방지한다. 이 리테이너에는, 콘택트 핀의 빠짐 방지의 역할 외에, 하우징으로부터 일부가 튀어나온 것에 의해, 콘택트 핀이 하우징에 정위치까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의 지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콘택트 핀은, 상대 콘택트와 접하는 접점을 갖고 그 접점을 둘러싸도록 통형으로 형성된 접점부와, 와이어와 접속되는 와이어 접속부를 갖고, 종래는 접점부의 와이어 접속부측의 후단의 단차에 리테이너를 걸어 맞춤(係合, engage)으로써,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의 더욱 더 경향으로서, 이러한 타입의 커넥터에서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콘택트 핀 자체도 소형화할 필요가 있다. 콘택트 핀이 소형화되면, 상기의 단차로서 충분한 높이의 단차를 확보하지 못하고, 빠짐 방지로서의 충분한 기능을 발휘할만한 리테이너와의 걸어맞춤 면적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 이것은, 콘택트 핀이 하우징의 정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와, 콘택트 핀이 하우징에 정위치까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의, 리테이너의 높이 위치의 변화가 작고, 콘택트 핀이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었는지 여부의 지표로서의 역할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콘택트 핀의 삽입 방향 후방으로부터, 길게(細長) 후단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크게 절곡(折曲)된 부재를 삽입하고, 그 전단을 상기의 단차에 맞부딪히게(突當) 함으로써, 낮은 단차라도 콘택트 핀이 충분히 빠짐 방지되는 구조의 커넥터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1의 구조에서는, 빠짐 방지를 위한 큰 부재를 필요로 하고, 상기의 단차가 낮은 콘택트 핀을 채용하여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과는 모순될 우려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21-193657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리테이너에 의한 콘택트 핀의 충분한 빠짐 방지와 콘택트 핀이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었는지 여부의 지표로서의 충분한 역할을 달성하고, 또한, 소형화에 적합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커넥터는,
삽입 방향의 전단에 상대 콘택트가 삽입되는 개구를 가짐과 동시에, 내부에 상대 콘택트와 접하는 접점을 갖고, 상기 접점을 둘러싸도록 통형으로 형성되어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 접점부 및, 그 접점부보다 삽입 방향의 후방에 설치된 와이어와 접속되는 와이어 접속부를 갖는 콘택트 핀과,
콘택트 핀이 삽입되는 하우징과,
콘택트 핀의 삽입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우징에 삽입되고, 하우징에 삽입되어 있는 콘택트 핀을 빠짐 방지하는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콘택트 핀이 상기 접점부의 삽입 방향의 도중 위치에 리테이너와 걸어 맞춰져서 빠짐 방지되는 계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리테이너와 걸어 맞춰져서 빠짐 방지되는 계합부를, 접점부의 삽입 방향의 도중 위치에 구비하고 있다. 즉, 접점부 후단의 와이어 접속부와의 한정된 단차에 리테이너를 걸어 맞출 필요가 없다. 계합부를 접점부의 도중 위치에 구비함으로써, 소형의 가는 콘택트 핀이라도, 콘택트 핀의 충분한 빠짐 방지와 콘택트 핀이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었는지 여부의 지표로서의 충분한 역할을 리테이너에게 맡길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형화에 적합한 커넥터가 실현된다.
여기서, 상기 계합부는 상기 접점부의 통형의 내외로 개구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합부를 접점부의 통형의 내외로 개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콘택트 핀의 외형 치수를 증대시키지 않고, 계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점부가 대략 직사각형의 통형을 갖고, 상기 계합부가 대략 직사각형의 서로 접하는 2변이 걸쳐 통형의 내외로 개구한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접점부가 대략 직사각형의 통형을 갖고, 상기 계합부가 대략 직사각형의 3변에 걸쳐 통형의 내외로 개구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계합부를, 서로 접하는 2변 혹은 3변에 걸쳐서 통형의 내외로 개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통형의 내외로 개구한 1변만의 구멍(穴)을 계합부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콘택트 핀의 빠짐 방지의 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혹은, 상기 계합부가 접점부를 관통한 형상을 갖는 것도 바람직한 형상이다.
계합부를, 접점부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했을 경우, 서로 대면하는 2변이 콘택트 핀의 빠짐 방지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1변만의 구멍을 계합부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콘택트 핀의 빠짐 방지의 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리테이너에 의한 콘택트 핀의 충분한 빠짐 방지와 콘택트 핀이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었는지 여부의 지표로서의 충분한 역할을 달성하고, 또한, 소형화에 적합한 커넥터가 실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콘택트 핀의 상면도 (A), 평면도 (B), 저면도 (C), 좌측면도 (D), 및 우측면도 (E)이다.
도 3은 콘택트 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콘택트 핀이 하우징에 정규 깊이보다 앞의 도중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의 커넥터의 사시도 (A), 평면도 (B), 및 측면도 (C)이다.
도 5는 도 4와 동일한 상태에 있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콘택트 핀이 하우징에 정규 깊이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의 커넥터의 사시도 (A), 평면도 (B) 및 측면도 (C)이다.
도 7은 도 6과 동일한 상태에 있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채용되는 콘택트 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콘택트 핀의 계합부 부분의 단면도 (A) 및 그 계합부에 리테이너가 끼워 넣어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B)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사용되는 콘택트 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콘택트 핀의 계합부 부분의 단면도 (A) 및 그 계합부에 리테이너가 끼워 넣어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B)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채용되는 콘택트 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콘택트 핀의 계합부 부분의 단면도 (A) 및 그 계합부에 리테이너가 끼워 넣어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B)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채용되는 콘택트 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콘택트 핀의 계합부 부분의 단면도 (A) 및 그 계합부에 리테이너가 끼워 넣어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B)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의 (A)는 콘택트 핀이 하우징에 삽입되는 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의 (B)는 상대 커넥터(미도시)와 마주보는 감합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커넥터(10)는, 하우징(20)과, 리테이너(30)와, 콘택트 핀(4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20)에는, 콘택트 핀(40)이 삽입되는 가로 방향으로 개구된 삽입 홀(21)이 상하 2단에 다수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핀(40)은 이들 다수의 삽입 홀(21) 중 1개 1개에 화살표 X 방향으로 삽입되지만, 여기에서는, 콘택트 핀(40)은 상단 모서리의 1개의 삽입 홀(21)에 삽입되는 1개만 도시하고 있다.
콘택트 핀(40)의 하우징(20)에의 삽입 방향의 후부에는 와이어(50)가 접속되어 있다. 이 와이어(50)는 더 후방으로 연장되지만, 여기에서는, 콘택트 핀(40)에 접속된 전단의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 하우징(20)에는 슬릿 형상으로 상방으로 열린 삽입 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개구(22)에서는, 리테이너(30)가 화살표 Z로 도시한 방향으로 하우징(20)에 삽입된다. 리테이너(30)에는 콘택트 핀(40)이 관통하는 관통 홀(31)이 1 열만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홀(31)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콘택트 핀(40)의, 그 관통 홀(31)을 관통한 부분의 상하 치수보다 크고, 리테이너(30)는 콘택트 핀(40)이 관통 홀(3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리테이너(30)는 콘택트 핀(40)의 삽입보다 먼저, 하우징(20)에 리테이너(30)의 상면(32)이 하우징(20)의 상면(23)보다 돌출하는 반감합 위치까지 삽입된다. 그 후, 콘택트 핀(40)이 하우징(20)의 삽입 홀(21)에 삽입된다. 상하 2 단의 삽입 홀(21)에 삽입된 콘택트 핀(40) 중 상단의 삽입 홀(21)에 삽입된 콘택트 핀(40)은, 더 리테이너(30)의 관통 홀(31)을 관통한다. 하단의 삽입 홀(21)에 삽입된 콘택트 핀(40)은 리테이너(30)의 하방을 통과한다.
따라서, 모든 삽입 홀(21)에 콘택트 핀(40)이 삽입된 후, 리테이너(30)의 상면(32)이 하우징(20)의 상면(23)과 일면(面一)이 되는 완전 감합 위치까지 리테이너(30)가 눌려 내릴 수 있다. 이에 의해, 리테이너(30)가 상하 2단의 모든 콘택트 핀(40)에 걸어 맞춰지고, 콘택트 핀(40)이 빠짐 방지된다.
도 1의 (B)에는 하우징(20)에 형성된 감합 개구(25)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감합 개구(25)는, 도 1의 (A)에 도시한 삽입 홀(21)에 이어진다. 이 커넥터(10)가 상대 커넥터(미도시)와 조합되면, 상대 커넥터가 유지하고 있는 수형의 콘택트 핀이 감합 개구(25)로부터 삽입되어 하우징(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콘택트 핀(40)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도 2는, 콘택트 핀의 상면도 (A), 평면도 (B), 저면도 (C), 좌측면도 (D) 및 우측면도 (E)이다. 여기서, 도 2의 (D)-(E)는 도 2의 (A)-(C)와 비교하여 확대되어 있다.
도 3은 콘택트 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C)와 도 2의 (D)-(E)의 중간 치수로 확대되어 있다.
이 콘택트 핀(40)은 화살표 X로 도시한 삽입 방향의 전방에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점부(41)가 설치되고, 그 후방에 와이어 접속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접점부(41)는 상대 커넥터(미도시)에 구비되어 있는 상대 콘택트와의 접촉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이 접점부(41)는, 화살표 X로 도시한 삽입 방향의 전단에 수형의 상대 콘택트가 삽입되는 개구(411)를 가짐과 동시에, 내부에 상대 콘택트와 접하는 접점(412)을 갖는다. 그리고 접점부(41)는 접점(412)을 둘러싸도록 대략 직사각형의 통형으로 형성되어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또, 접점부(41)에는 랜스 돌당부(413)와 지그 돌당부(414)가 설치되어 있다.
랜스 돌당부(413)는, 이 콘택트 핀(40)이 하우징(20)에 삽입되었을 때에 하우징(20) 내에 형성되어 있는 랜스(24)(도 7 참조)의 선단을 맞부딪히게(突當) 하는 부분이며, 이 부딪힘에 의해, 콘택트 핀(40)이 빠짐 방지용으로서 가결합(假係止) 된다.
또, 지그 돌당부(414)는, 콘택트 핀(40)을 하우징(20)에 밀어 넣을 때 지그(미도시)를 맞부딪히게 하는 부분이다. 이 지그 돌당부(414)는 콘택트 핀(40)을 하우징(20)에 삽입할 때에 콘택트 핀(40)이 상하 반전된 방향으로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 접점부(41)에는 그 접점부(41)의 화살표 X로 도시한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중 위치에 계합부(4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합부(415)는, 도 2의 (B) 및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점부(41)의 대략 직사각형의 서로 접하는 2변에 걸쳐, 그 대략 직사각형의 통형의 내외로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20)에 대해서 리테이너(30)가 반감합 위치까지 삽입되고, 이 콘택트 핀(40)이 하우징(20)에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고, 더욱, 리테이너(30)가 완전 감합 위치까지 삽입되면, 계합부(415)에 리테이너(30)가 비집고 들어가고, 이로 인해, 콘택트 핀(40)이 하우징(20)으로부터 강고하게 빠짐 방지된다.
또, 와이어 접속부(42)는 심선 압착부(421)와 외피 압착부(422)를 갖는다. 이 와이어 접속부(42)에는 와이어(50)가 접속된다. 이 와이어(50)는 도전성의 심선(미도시)과, 그 심선을 덮는 절연성의 외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심선 압착부(421)에는 와이어(50)의 선단 부분의 외피가 박리되어 노출된 상태의 심선이 압착 접속된다. 또, 외피 압착부(422)에는 심선을 덮은 상태의 외피가 압착된다.
도 4는 콘택트 핀이 하우징에 정규 깊이보다 앞의 도중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의 커넥터의 사시도 (A), 평면도 (B), 및 측면도 (C)이다.
또, 도 5는 도 4와 동일한 상태에 있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는 도 4와 비교하여 확대되어 있다.
도 4, 도 5에 도시한 콘택트 핀(40)이 정규 깊이보다 앞의 도중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는 리테이너(30)가 콘택트 핀(40)의 계합부(415)에 들어가지 못하고, 리테이너(40)의 상면(32)이 하우징(20)의 상면(23)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이다. 이에 의해, 콘택트 핀(40)이 정규의 깊이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오인식을 피하기 위해서, 리테이너(30)의 하우징(20)으로부터의 돌출량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택트 핀(40)의 접점부(41)에 충분한 깊이의 계합부(41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테이너(30)의 반감합 위치와 완전 감합 위치 사이의 스트로크를 크게 취할 수 잇고, 이로 인해, 충분한 돌출량을 얻고 오인식을 피할 수 있다. 또, 반감합 위치에 있는지 또는 완전 감합 위치에 있는지를 더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리테이너(30)를 하우징(20)과는 다른, 눈에 띄는 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콘택트 핀이 하우징에 정규 깊이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의 커넥터의 사시도 (A), 평면도 (B) 및 측면도 (C)이다.
도 7은 도 6과 동일한 상태에 있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는 도 6과 비교하여 확대되어 있다.
콘택트 핀(40)이 정규의 깊이 위치까지 삽입되면, 콘택트 핀(40)의 계합부(415)가 리테이너(30)의 관통 홀(31)과 겹쳐져진다. 이 때문에, 반감합 위치에 있는 리테이너(30)를 완전 감합 위치까지 눌러 내릴 수 있다. 리테이너(30)를 완전 끼워맞춤 위치까지 눌러 내리면, 리테이너(30)의 관통 홀(31)의 상측의 벽부(33)가 콘택트 핀(40)의 계합부(415)에 끼워 넣어지고, 콘택트 핀(40)이 강고하게 빠짐 방지된다. 또, 완전 감합 위치까지 눌러 내림으로써, 리테이너(30)의 상면(31)이 하우징(20)의 상면(23)과 일면이 된 것을 확인함으로써, 콘택트 핀(40)이 정규의 깊이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는 것이 인식된다.
여기서, 하우징(20)의 삽입 홀(21)은 상하 2단으로 형성되는데 대해, 리테이너(30)의 관통 홀(31)은 상단의 삽입 홀(21)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에 대해 1단만 형성되어 있다. 하단의 삽입 홀(21)에 삽입된 콘택트 핀(40)의 계합부(415)에는, 완전 감합 위치까지 눌러 내린 리테이너(30)의 관통 홀(31)보다 하측의 벽부(34)가 끼워 넣어지고, 상단 의 삽입 홀(21)에 삽입된 콘택트 핀(40)과 마찬가지로, 강고하게 빠짐 방지된다.
이상으로 제1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설명을 종료하고, 이하, 제2 실시형태 이후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인 콘택트 핀과, 그 콘택트 핀과 리테이너의 맞물림 형태에 대해서만 도시 및 설명한다.
또, 이하의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상기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요소와 공통되는 요소에는, 형상의 차이에 관계없이, 제1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부호 및 명칭과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채용되는 콘택트 핀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8의 (A)와 도 8의 (B)는 콘택트 핀을 서로 다른 시점으로부터 바라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제2 실시형태의 콘택트 핀(40)은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형태의 콘택트 핀(40)과 비교하여 외피 압착부(422)의 형상 등, 몇 개의 점에서 다르지만, 계합부(415)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콘택트 핀(40)의 계합부(415)의 형상을 거의 답습하고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콘택트 핀의 계합부 부분의 단면도 (A)와, 그 계합부에 리테이너가 끼워 넣어진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 (B)이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 계합부(415)는 콘택트 핀(40)의 대략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접점부(41)의, 도 9의 (A)에 도시한 단면에서의 하측 변(416)과 좌측 변(417)의 2변에 걸쳐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30)는,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2변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계합부(415)에 끼워 넣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채용되는 콘택트 핀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0의 (A)와 도 10의 (B)는 콘택트 핀을 서로 다른 시점으로부터 바라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제3 실시형태의 콘택트 핀(40)은, 도 8에 도시한 제2 실시형태의 콘택트 핀(40)과 비교하여 계합부(415)의 형성 위치가 다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콘택트 핀의 계합부 부분의 단면도 (A)와, 그 계합부에 리테이너가 끼워 넣어진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 (B)이다.
이 제3 실시형태에서, 계합부(415)는 콘택트 핀(40)의 대략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접점부(41)의, 도 11의 (A)에 도시한 단면에서의 하측 변(416)과 우측 변(418)의 2변에 걸쳐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30)는, 도 11의(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2변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계합부(415)에 끼워 넣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채용되는 콘택트 핀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2의 (A)와 도 12의 (B)는 콘택트 핀을 서로 다른 시점으로부터 바라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제4 실시형태의 콘택트 핀(40)은, 도 8에 도시한 제2 실시형태 및 도 10에 도시한 제3 실시형태의 콘택트 핀(40)과 비교하여 계합부(415)의 형상이 다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콘택트 핀의 계합부 부분의 단면도 (A) 및 그 계합부에 리테이너가 끼워 넣어진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 (B)이다.
이 제4 실시형태에서, 계합부(415)는 콘택트 핀(40)의 대략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접점부(41)의, 도 12의 (A)에 도시한 단면의 좌측 변(417)과 하측 변(416)과 우측 변(418)의 3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30)는,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3변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계합부(415)에 끼워 넣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채용되는 콘택트 핀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4의 (A)와 도 14의 (B)는, 콘택트 핀을 서로 다른 시점으로부터 바라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제5 실시형태의 콘택트 핀(40)은 지금까지 도시한 각 실시형태의 콘택트 핀(40)과 비교하여 계합부(415)의 형상이 다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콘택트 핀의 계합부 부분의 단면도 (A)와, 계합부에 리테이너가 끼워 넣어진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 (B)이다.
이 제5 실시형태에서, 계합부(415)는 콘택트 핀(40)의 대략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접점부(41)의, 도 14의 (A)에 도시한 단면의 좌측 변(417)과 우측 변(418)의 2변을 관통하는 관통 홀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30)는,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관통 홀을 관통하도록 계합부(415)에 끼워 넣어진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의 계합부(415)는 콘택트 핀(40)의 접점부(41)의 화살표 X로 도시한 삽입 방향의 도중 위치에서 리테이너(30)가 접점부(41)의 내측까지 끼워 넣어지고 있다. 따라서, 리테이너(30)의 반감합 위치와 완전 감합 위치의 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있고, 리테이너(30)에 콘택트 핀(40)의 충분한 빠짐 방지와 콘택트 핀(40)이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었는지 여부의 지표로서의 충분한 역할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의 계합부(415)는, 복수의 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계합부(15)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접점부(41)의 한 변에만 형성된 구멍이며, 리테이너(30)가 그 한 변에만 접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보다 콘택트 핀(40)이 더욱 강고하게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하우징(20)에 콘택트 핀(40)이 상하 2 단으로 삽입되는 타입의 커넥터(10)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하우징에 삽입되는 콘택트 핀의 단수는 1 단이라도 좋고, 혹은, 3단 이상이라도 좋고, 본 발명은 다양한 타입의 커넥터에 적용될 수 있다.
또, 여기에서는, 와이어(50)를 압착 접속하는 타입의 콘택트(40)를 구비한 커넥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컨택트 핀에의 와이어의 접속 방법을 묻는 것이 아니고, 압접 접속을 채용해도 좋고, 혹은 땜납 접속을 채용해도 좋다.
10 커넥터
20 하우징
21 삽입 홀
22 삽입 개구
23 하우징의 상면
24 랜스
25 감합 개구
30 리테이너
31 관통 홀
32 리테이너의 상면
33 관통 홀의 상측의 벽부
34 관통 홀보다 하측의 벽부
40 콘택트 핀
41 접점부
411 개구
412 접점
413 랜스 돌당부(lance 突當部)
414 지그 돌당부
415 계합부
42 와이어 접속부
421 심선 압착부
422 외피 압착부
50 와이어

Claims (5)

  1. 삽입 방향의 전단에 상대 콘택트가 삽입되는 개구를 가짐과 동시에 내부에 상대 콘택트와 접하는 접점을 갖고 상기 접점을 둘러싸도록 통형으로 형성되어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 접점부, 및 상기 접점부보다 삽입 방향의 후방에 설치된 와이어와 접속되는 와이어 접속부를 갖는 콘택트 핀과,
    상기 콘택트 핀이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콘택트 핀의 삽입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콘택트 핀을 빠짐 방지하는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 핀이 상기 접점부의 삽입 방향의 도중 위치에 상기 리테이너와 걸어 맞춰져서 빠짐 방지되는 계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가 상기 접점부의 통형의 내외로 개구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가 대략 직사각형의 통형을 갖고, 상기 계합부가 상기 대략 직사각형의 서로 접하는 2변에 걸쳐 통형의 내외로 개구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가 대략 직사각형의 통형을 갖고, 상기 계합부가 상기 대략 직사각형의 3변에 걸쳐 통형의 내외로 개구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가 상기 접점부를 관통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230096717A 2022-07-27 2023-07-25 커넥터 KR202400155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19130 2022-07-27
JP2022119130A JP2024016865A (ja) 2022-07-27 2022-07-27 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590A true KR20240015590A (ko) 2024-02-05

Family

ID=8962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6717A KR20240015590A (ko) 2022-07-27 2023-07-25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39201A1 (ko)
JP (1) JP2024016865A (ko)
KR (1) KR20240015590A (ko)
CN (1) CN11747728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93657A (ja) 2020-06-08 2021-12-2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コネクタ組立体、及びリテー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93657A (ja) 2020-06-08 2021-12-2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コネクタ組立体、及びリテー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16865A (ja) 2024-02-08
US20240039201A1 (en) 2024-02-01
CN117477281A (zh)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6539B2 (en) Connector
EP2164137B1 (en) A joint connector, joint terminal, a wiring harness with a joint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it
EP1643599B1 (en) A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using such a terminal fitting
US782858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retainer pressing the wire connecting portion of a wire terminal
JP4440160B2 (ja) コネクタ
US20150079827A1 (en) Connector
US6244910B1 (en) Electrical box contact with stress limitation
EP1689034B1 (en) A terminal fitting,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of forming a terminal fitting
US7942708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EP1923962A1 (en) A connector and method of preassembling it
US6325680B1 (en) Femal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EP2346120A1 (en) Shield connec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6860760B2 (en) Connector
US9640922B2 (en) Connector
KR101221769B1 (ko) 단자 피팅 및 그 제조 방법
US6767259B2 (en) Terminal fitting with outwardly projecting engagement portion for engaging a resin lock and a method of forming the terminal fitting
CN103262352B (zh) 具有增强结构的连接器
US6796837B2 (en) Connector with lock piece that longitudinally deforms
EP2056408A2 (en) An electrical terminal fitting and forming method therefor
JP3717057B2 (ja) コネクタのサイドスペーサ構造
KR20240015590A (ko) 커넥터
EP186313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90296467A1 (en) Board connector
US20190267740A1 (en) Connector
US6669508B2 (en)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