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246A - The seawater evaporator for non-edible salt production and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he seawater evaporator for non-edible salt production and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246A
KR20240015246A KR1020220092852A KR20220092852A KR20240015246A KR 20240015246 A KR20240015246 A KR 20240015246A KR 1020220092852 A KR1020220092852 A KR 1020220092852A KR 20220092852 A KR20220092852 A KR 20220092852A KR 20240015246 A KR20240015246 A KR 20240015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salt
unit
producing
evap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8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2503B1 (en
Inventor
권현준
Original Assignee
당두 1호 농업회사법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당두 1호 농업회사법인 (주) filed Critical 당두 1호 농업회사법인 (주)
Priority to KR1020220092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503B1/en
Publication of KR20240015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2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503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011Heating features
    • B01D1/0029Use of radiation
    • B01D1/0035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30Accessories for evaporators ;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해수를 분사 또는 점적하는 해수방출부; 복수개의 타이어가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해수방출부로부터 분사 또는 점적된 해수가 지나가도록 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해수증발부; 상기 해수증발부를 바닥과 맞닿게 수용하고 상기 해수증발부를 통과한 해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로부터 해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해수방출부로 제공하는 해수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의 순환으로 해수가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을 제공한다.A seawater discharge unit that sprays or drips seawater; A seawater evaporation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ires stacked and evaporating moisture by passing seawater sprayed or dripped from the seawater discharge unit; a water storage tank that accommodates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in contact with the bottom and stores sea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And a seawater circulation unit that circulates seawater from the storage tank and provides it to the seawater discharge unit;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characterized in that seawater is concentrated by the circulation of the seawater, and a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to provide.

Description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The seawater evaporator for non-edible salt production and salt farm including the same}Seawater evaporator for non-edible salt production and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The seawater evaporator for non-edible salt production and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에 관한 것으로, 폐자재를 이용하여 비식용 소금을 생산함으로써 자원 재사용을 할 수 있으며, 소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non-edible salt and a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It can reuse resources by producing non-edible salt using waste materials, and produces non-edible salt that can improve salt productivity. It relates to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and a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국내의 일반적인 소금제조는 수평적인 넓은 염전에서 바닷물을 증발시켜 천연소금을 석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염전은 바닷물을 끌어들여 저장하고 바닷물 내의 불순물을 가라앉히는 저수지, 저수지보다 수면이 낮으며 1차적으로 바닷물을 증발시키는 제1 증발지, 제1 증발지로부터 일부 수분이 증발된 바닷물을 더 증발시키는 제2 증발지를 포함하는 단계별 증발지들과, 증발지를 거쳐 염도가 25% 이상인 바닷물을 더 증발시켜 소금 결정이 형성되는 결정지로 구성된다. General salt production in Korea is done by evaporating seawater in large horizontal salt fields to precipitate natural salt. A salt farm is a reservoir that draws in and stores seawater and settles impurities in the seawater. The water level is lower than the reservoir. A first evaporation pond primarily evaporates seawater, and a reservoir further evaporates seawater from which some of the moisture has evaporated from the first evaporation pond. 2 It consists of step-by-step evaporation ponds including an evaporation pond, and a crystallization pond where salt crystals are formed by further evaporating seawater with a salinity of 25% or more through the evaporation pond.

저수지, 복수개의 증발지, 결정지는 태양 빛에 의한 자연증발을 위해 수평적인 구조를 이루므로, 넓은 면적에 이르는 염전 작업 공간과 염전사업 종사자들의 고령화로 인해 천일염의 생산은 점차적으로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소금 생산이 중단된 염전은 태양광 발전산업 부지로 임대됨으로 인해 일 년에 수십만평 이상의 염전이 사라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Since the reservoir, multiple evaporation ponds, and crystallization ponds are horizontally structured for natural evaporation by sunlight, the production of sea salt is gradually decreasing due to the large area of salt farm work space and the aging of salt farm workers. . In addition, salt farms where salt production has ceased are being leased as sites for the solar power generation industry, so it can be seen that more than hundreds of thousands of pyeong of salt farms are disappearing every year.

소금의 생산은 국가기간산업에 해당하므로, 소금과 연관된 산업과 물품생산의 안정성을 위하여 소금의 생산은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국내의 비식용 소금 생산의 경우, 생산 단가가 해외에 비해 경쟁력이 낮은 편이므로, 단위면적 당 효과적인 비식용 소금 생산을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Since salt production is a national key industry, salt production must be maintained above a certain level for the stability of salt-related industries and product produc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domestic non-edible salt production, the production cost is less competitive than overseas, so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technology for effective non-edible salt production per unit area.

한국등록특허 제 10-1625950호(등록일: 2016. 05. 24)Korean Patent No. 10-1625950 (registration date: May 24, 2016)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47611호(공개일: 2021. 04. 3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47611 (Publication Date: 2021. 04. 30)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61203호(공개일: 2020. 06. 0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61203 (Publication date: 2020. 06. 0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폐자재를 이용하여 비식용 소금을 생산함으로써 자원 재사용을 할 수 있으며, 소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non-edible salt that can reuse resources and improve salt productivity by producing non-edible salt using waste materials, and a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There is a purpose to it.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and other purpose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수를 분사 또는 점적하는 해수방출부; 복수개의 타이어가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해수방출부로부터 분사 또는 점적된 해수가 지나가도록 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해수증발부; 상기 해수증발부를 바닥과 맞닿게 수용하고 상기 해수증발부를 통과한 해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로부터 해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해수방출부로 제공하는 해수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의 순환으로 해수가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water discharge unit that sprays or drips seawater; A seawater evaporation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ires stacked and evaporating moisture by passing seawater sprayed or dripped from the seawater discharge unit; a water storage tank that accommodates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in contact with the bottom and stores sea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And a seawater circulation unit that circulates sea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and provides it to the seawater discharge unit, wherein seawater is concentrated by the circulation of the seawater.

상기 해수증발부는, 상기 타이이어의 중심이 서로 교차되도록 적층되는 것일 수 있다.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may be stacked so that the centers of the tires intersect each other.

상기 해수증발부는, 상기 타이어가 피라미드형 또는 원뿔형으로 적층되는 것일 수 있다.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may be one in which the tires are stacked in a pyramid or cone shape.

상기 해수증발부는, 상기 타이이어의 적층 계면 사이에 다공성 직물을 포함하는 증발판이 개재되는 것일 수 있다.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may have an evaporation plate including a porous fabric interposed between the stacked interfaces of the tires.

상기 타이어는 폐타이어가 적층되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The tire may be used by stacking waste tires.

상기 해수 증발장치는, 상기 해수방출부, 해수증발부, 저수조 및 해수순환부를 수용하고 상부에 자연배기부재가 위치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seawater discharge portion, the seawater evaporation portion,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seawater circulation portion, and on which the natural exhaust member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상기 해수 증발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부에 강제급기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may be provided with forced air supply units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unit.

상기 하우징부는, 상부가 일부 개방되는 천장 개방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자연배기부재는, 상기 천장 개방영역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개방된 영역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천장 개방영역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housing portion has an open ceiling area with a partially open top, and the natural exhaust member includes an upper cover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open ceiling area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covers an upper side of the open area, and a portion of the open ceiling area. It may include an adjustment module that adjusts the degree of opening.

상기 조절모듈은 상기 천장 개방영역을 일부 차단하는 가림막과, 상기 가림막을 권취 또는 권출하여 상기 천장 개방영역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가림막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may include a screen that partially blocks the open ceiling area, and a screen drive roller that adjust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ceiling open area by winding or unwinding the screen.

상기 저수조는, 폐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바닥재를 구비하고, 상기 폐태양전지는 재사용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일 수 있다. The water storage tank may be provided with a bottom material containing waste solar cells, and the waste solar cells may be reused to produce electricity.

또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를 포함하는 염전을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alt farm including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상기 염전에 구비되는 결정지는, 상기 해수 증발장치로부터 목표 염도에 다다른 고염도의 해수가 수용되어 소금 결정화가 이루어지는 저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 영역은, 폐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바닥재를 구비하고, 폐태양전지는 재사용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일 수 있다.The crystallization pond provided in the salt farm includes a storage area in which high-salinity seawater reaching the target salinity is received from 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and salt crystallization occurs, and the storage area is provided with a bottom material containing a waste solar cell, , waste solar cells can be reused to produce electric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은 타이어를 이용한 해수증발부와 폐태양전지를 재사용한 바닥재를 구비하며, 폐자재를 이용하여 비식용 소금을 생산함으로써 자원 재사용을 할 수 있고, 비식용 소금 생산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are equipped with a seawater evaporation unit using a tire and flooring material using reused waste solar cells, and produce inedible salt using waste materials. By doing so, resources can be reused, the cost of non-edible salt production can be reduced,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의 해수증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의 해수증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의 저수조 단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of 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of 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cross section of a water storage tank of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lso, in the drawings, the length and thickness of layer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의 해수증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의 해수증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의 저수조 단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non-edible sa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ure 1, and Figure 3 is a non-edible salt pro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of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salt,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awater evaporation section of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water tank of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non-edible salt according to an exampl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10)는 해수를 분사 또는 점적하는 해수방출부(100); 복수개의 타이어가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해수방출부(100)로부터 분사 또는 점적된 해수가 지나가도록 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해수증발부(200); 상기 해수증발부(200)를 바닥과 맞닿게 수용하고 상기 해수증발부(200)를 통과한 해수(3)가 저장되는 저수조(300); 및 상기 저수조(300)로부터 해수(3)를 순환시키며 상기 해수방출부(100)로 제공하는 해수순환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3)의 순환으로 해수가 농축되는 것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10 for producing inedible sa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water discharge unit 100 for spraying or dripping seawater; A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tha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ires stacked and evaporates moisture by passing seawater sprayed or dropped from the seawater discharge unit 100; A water storage tank 300 that accommodates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in contact with the bottom and stores the seawater 3 passing through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And a seawater circulation unit 400 that circulates the seawater 3 from the water storage tank 300 and provides it to the seawater discharge unit 100. The seawater may be concentrated through the circulation of the seawater 3. .

상기 해수 증발장치(10)는 염전의 복수개의 증발지를 대신하여 설치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해수를 저수지에 저장하고, 제1 증발지에서 태양 빛과 바람으로 1차적으로 수분을 증발시킨 해수는 해수 증발 장치(10)의 저수조(300)로 공급될 수 있다. 나아가서, 저수지에 저장된 해수는 제1 증발지를 거치지 않고, 해수 증발 장치(10)의 저수조(300)로 제공될 수도 있다.It can be said that 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10 is installed in place of a plurality of evaporation ponds in a salt farm. That is, seawater is stored in a reservoir, and seawater whose moisture is primarily evaporated by sunlight and wind in the first evaporation pond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0 of 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10. Furthermore, the sea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may be provid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00 of 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1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rst evaporation reservoir.

해수 증발장치(10)는 결정지로 이동할 정도의 염도가 될 때까지 해수순환부(400)가 해수를 순환시키며 해수증발부(200)가 해수를 효율적으로 증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넓은 증발지가 필요한 종래의 염전보다 단위면적 당 고염도 해수 형성 효율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염전의 소금 생산 효율이 매우 높아질 수 있으므로 증발지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한 여유분의 증발지는 태양광 발전시설이나 다른 필요한 시설들을 마련할 수 있는 부지로 제공될 수 있다.In 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10, the seawater circulation unit 400 circulates the seawater until the salinity reaches a level sufficient to move to the crystallization pond, and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can efficiently evaporate the seawater.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fficiency of forming high-salinity seawater per unit area is high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salt farm that requires a plurality of large evaporation ponds. Accordingly, the salt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salt farm can be greatly increased, so the area of the evaporation pond can be reduced, and the resulting surplus evaporation pond can be provided as a site for installing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or other necessary facilities.

상세히 설명하면, 해수를 분사 또는 점적하는 해수방출부(100)는 해수증발부(2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예로써, 미스트 분사방식으로 해수를 분사하거나, 점적관수 방식으로 해수를 드롭핑(dropping)하며, 해수증발부(200)를 향하여 해수를 방출할 수 있다. 또한, 해수방출부(100)는 해수방출부(100)와 연결된 배관 사이의 내부에 필터를 개재하여 해수에 잔존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해수의 정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In detail, the seawater discharge unit 100 for spraying or dripping seawater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for example, spraying seawater by mist spraying or dropping seawater by drip irrigation ( dropping) and can release seawater toward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In addition, the seawater discharge unit 100 can help purify seawater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at may remain in seawater by interposing a filter inside the pipe connected to the seawater discharge unit 100.

해수증발부(200)는 복수개의 타이어가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해수방출부(100)로부터 분사 또는 점적된 해수가 지나가도록 하여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다. 즉, 검은색의 타이어는 외부의 가열장치가 필요 없이 태양광을 흡수하여 수분의 증발을 위한 복사열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is provid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tires, and can evaporate moisture by allowing seawater sprayed or dripped from the seawater discharge unit 100 to pass. In other words, black tires can absorb sunlight and provide radiant heat for evaporation of moisture without the need for an external heating device.

이러한 해수증발부(200)에 적층되는 타이어는 폐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폐자재를 이용하며 별다른 열원이나 구동원이 없어도 복사열을 제공하여 비식용 소금을 생산함으로써 자원 재사용에 도움을 주고, 비식용 소금 생산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ires stacked on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may be waste tires. Therefore, by using waste materials and producing non-edible salt by providing radiant heat without any special heat or driving source, it helps reuse resources, reduces the cost of non-edible salt production, and thereby improves productivity. there is.

상기 해수증발부(200)는,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타이이어의 중심이 서로 교차되도록 적층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해수증발부(200)는 사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의 타이어로 이루어진 제1 해수증발부재(210)와 1/2로 절단된 반원형의 폐타이어로 이루어진 제2 해수증발부재(220)의 적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타이이어의 중심이 서로 교차되도록 적층됨으로써, 해수증발부(200)를 지나가는 해수는 해수증발부(200), 즉 타이어들의 외부면과 접촉되는 면적(경로)이 증가되어 타이어의 복사열로 인한 수분의 증발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may be stacked so that the centers of the tires intersect each other, as shown in Figure 3 or Figure 4. In this case,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and the first seawater evaporation member 210 made of a circular tire and the second seawater evaporation member 210 made of a semicircular waste tire cut in half. It may be formed by stacking members 220. Therefore, by stacking the tires so that their centers intersect each other, the seawater passing through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increases the area (path) in contact with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tires, thereby increasing the area (path) in contact with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tires. Evaporation of moisture may become easier.

예로써, 상기 해수증발부(200)는, 하부로의 해수의 흐름이 용이하기 위해 상기 타이어가 피라미드형 또는 원뿔형으로 적층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해수증발부재(210)만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적층된 타이어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 타이어를 적층하여 해수증발부(200)를 형성하거나, 가장 큰 직경을 갖는 타이어를 최하부에 설치하고 상부로 올라갈수록 타이어의 직경 크기를 점점 작은 것으로 적층하여 안정감 있게 해수증발부(200)를 제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may be one in which the tires are stacked in a pyramid or cone shape to facilitate the flow of seawater to the lower part. In this case,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may be stacked with only the first seawater evaporation member 210. there is. Stacked tires are made by stacking tires with the same diameter to form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or by installing the tire with the largest diameter at the bottom and stacking tires with increasingly smaller diameters as they go up to the top to provide stability in seawater. The evaporation unit 200 can be manufactured.

적층된 타이어는 볼트/너트 또는 리벳과 같은 연결구(230)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켜 더욱 견고하게 적층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로써, 연결구(230)는 각 타이어가 맞닿는 영역에 통공되는 홀(240)을 설치하여 연결구(230)를 이용하여 타이어들을 체결함으로써 상하 또는 좌우에 인접하여 위치한 타이어를 결속시킬 수 있다.Stacked tire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connectors 230 such as bolts/nuts or rivets to maintain a more solid stacked form. For example, the connector 230 can connect tires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or on the left and right by installing a through hole 240 in the area where each tire comes into contact and fastening the tires using the connector 230.

나아가서, 상기 해수증발부(200)는, 도 2 또는 도 4와 같이 상기 타이이어의 적층 계면 사이마다 다공성 직물을 포함하는 증발판(230)이 개재되는 것일 수 있다. 예로써 상기 다공성을 가지는 직물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부직포일 수 있으며, 상기 증발판(230) 또한 태양열 흡수 및 수분의 증발이 용이하도록 어두운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타이어의 적층 계면 면적보다 더 넓은 것으로 계면을 덮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층계면 아래의 타이어 중간 정도를 덮을 수 있게 넓은 면적의 부직포를 계면에 개재시키도록 한다.Furthermore,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may have an evaporation plate 230 including a porous fabric interposed between the stacked interfaces of the tire as shown in Figure 2 or Figure 4. For example, the porous fabric may be a non-woven fabric with a certain thickness, and the evaporation plate 230 may also be formed in a dark color to facilitate solar absorption and moisture evaporation. The nonwoven fabric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laminated interface area of the tire and can cover the interface, and a large area of nonwoven fabric is interposed at the interface so as to cover the middle of the tire below the laminated interface.

상기 해수증발부(200)를 바닥과 맞닿게 수용하고 상기 해수증발부(200)를 통과한 해수가 저장되는 저수조(300)는 내부에 수용된 해수(3)의 염도를 측정하는 농도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염도가 미리 설정된 농도값에 도달할 때까지 해수 증발 장치(10) 내에서 해수는 순환은 계속되며, 해수 분사와 수분 증발이 반복될 수 있다.The water storage tank 300, which accommodates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in contact with the bottom and stores the sea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is further equipped with a concentration sensor that measures the salinity of the seawater 3 contained therein. It can be. Accordingly, seawater continues to circulate within 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10 until the salinity measured from the concentration sensor reaches a preset concentration value, and seawater injection and moisture evaporation may be repeated.

상기 저수조(300)는, 폐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바닥재를 구비하고, 상기 폐태양전지는 재사용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어두운 색상의 폐태양전지로 인해 태양광의 흡수로 해수의 증발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으며, 폐태양전지는 재사용되어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해수증발장치(10)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The water storage tank 300 may be provided with a bottom material containing waste solar cells, and the waste solar cells may be reused to produce electricity. In other words, the evaporation of seawater can be further promoted by the absorption of sunlight due to the dark-colored waste solar cells, and the waste solar cells can be reused to produce electricity, thereby providing the energy source necessary for 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10.

예로써, 상기 바닥재(310)는 염전바닥(1) 상에 설치되는 방수재(319)와, 상기 방수재(319) 상에 구비되는 부직포(317)와, 상기 부직포(317) 상에 소정이 간격으로 배열되는 지지 바(315)와, 상기 지지 바(315)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313)와, 상기 충진재(313)와 지지 바(315) 상에 위치하는 폐태양전지(311)를 포함할 수 있다. 폐태양전지(311)는 재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저수조 바닥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패널이 수평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폐태양전지(31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바(315)와 충진재(313)는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도록 하여 폐태양전지(311)가 들뜬 부분이 있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여, 이로 인해 저수조(300) 바닥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태양전지 패널 상부에 일정한 중량이 가해지더라도 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재의 예로써 상기 지지 바(315)는 목재 또는 각관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충진재(313)는 모래나 흙으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비될 수 있다. 해수(3)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염전바닥(1) 상에는 방수재(319)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 바(315)로 인한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재(319)와 지지 바(315) 사이, 방수재(319)와 충진재(313) 사이에는 부직포(317)가 개재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looring material 310 includes a waterproofing material 319 installed on the salt farm floor 1, a non-woven fabric 317 provided on the waterproofing material 319,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non-woven fabric 317. It may include an arranged support bar 315, a filler 313 filled between the support bars 315, and a waste solar cell 311 located on the filler 313 and the support bar 315. there is. The waste solar cell 311 can be reused, and may be comprised of a plurality of panels connected horizontally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In addition, the support bar 315 and the filler 313 for supporting the waste solar cell 311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to prevent the waste solar cell 311 from being lifted or tilted, which causes the water storage tank 300 ) Not only can it prevent sagging of the floor, but it can also minimize or prevent damage to the panel even if a certain amount of weight is applied to the top of the waste solar cell panel. As an example of such a flooring material, the support bar 315 may be made of wood or a square pipe, and the filler 313 may be made of sand, soil, or a mixture thereof. In order to prevent external outflow of seawater (3), a waterproofing material (319)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alt pond (1), and between the waterproofing material (319) and the support bar (315) to prevent tearing due to the support bar (315). , a non-woven fabric 317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waterproofing material 319 and the filling material 313.

상기 저수조로(300)부터 해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해수방출부(100)로 제공하는 해수순환부(400)는 상기 저수조(300)와 연결되는 제1 해수배관(410)과, 상기 해수방출부(100)와 연결되는 제2 해수배관(420)과, 상기 제1 해수배관(410)과 제2 해수배관(420) 사이에 연결되어 제1 해수배관(410)으로부터 제2 해수배관(420)으로 해수(3)를 제공하여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3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순환펌프(430)가 가동하여 제1 해수배관(410)을 통하여 저수조(300) 내부의 해수(3)를 제2 해수배관(420)으로 이동시키면, 제2 해수배관(420)은 해수방출부(100)로 해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해수방출부(100)는 제공된 해수(3)를 미스트 형태 또는 점적 형태로 하방 분사하고, 분사된 해수가 해수증발부(200)를 타고 저수조(300)로 흐르는 동안 해수 내의 수분은 증발됨으로써 염도가 증가될 수 있다. 해수증발부(200)를 통과하며 저수조(300)로 돌아온 해수는 다시 해수순환부(400)를 통하여 상기의 과정으로 반복 순환됨으로써 결정지로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염도를 가질 수 있다. The seawater circulation unit 400, which circulates seawater from the storage tank 300 and provides it to the seawater discharge unit 100, includes a first seawater pipe 410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300, and the seawater discharge unit ( 100) and a second seawater pipe 420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eawater pipe 410 and the second seawater pipe 420 from the first seawater pipe 410 to the second seawater pipe 420. It may include a circulation pump 430 that provides and circulates seawater 3. That is, when the circulation pump 430 operates to move the seawater 3 inside the storage tank 300 to the second seawater pipe 420 through the first seawater pipe 410, the second seawater pipe 420 is seawater. Seawater may be provided to the discharge unit 100. In addition, the seawater discharge unit 100 sprays the provided seawater 3 downward in the form of mist or droplets, and while the sprayed seawater flows through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to the storage tank 300, the moisture in the seawater is evaporated. Salinity may increase. The seawater that passes through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and returns to the storage tank 300 can have a predetermined salinity that can be moved to the crystallization site by being repeatedly circulated through the seawater circulation unit 400 through the above process.

상기 해수순환부(400)는, 상기 제2 해수배관(420)과 상기 순환펌프(430) 사이에 개재되는 순환필터(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필터(440)가 개재됨으로써, 오염물이 걸러져 정제된 해수가 제2 해수배관(420)을 통하여 해수방출부(10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로써, 제1 해수배관(410) 및 제2 해수배관(420)과 해수방출부(10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F)이 해수증발부(200)의 상부를 포함하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awater circulation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tion filter 440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seawater pipe 420 and the circulation pump 430. Therefore, by interposing the circulation filter 440, seawater purified by filtering out contaminants can be provided to the seawater discharge unit 100 through the second seawater pipe 420. As an example, a frame (F) to firmly support the first seawater pipe 410, the second seawater pipe 420, and the seawater discharge unit 100 is installed outside the upper part of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It can be.

상기 해수 증발장치(10)는, 상기 해수방출부(100), 해수증발부(200), 저수조(300) 및 해수순환부(400)를 수용하고 상부에 자연배기부재가 위치하는 하우징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부(500)는 해수 증발을 촉진하기 위한 온실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외부와 차단할 수 있는 하우징부(500)로 인해, 우천 시에 함수를 보관하는 별도의 해주가 불필요하므로, 염전 공간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10 includes a housing unit 500 that accommodates the seawater discharge unit 100,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the water storage tank 300, and the seawater circulation unit 400, and where the natural exhaust member is located at the top. ) may further include. The housing part 500 can serve as a greenhouse to promote evaporation of seawater, and because the housing part 500 can be blocked from the outside, a separate storage unit for storing water in rainy weather is unnecessary, so the salt farm space is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상기 하우징부(500)는, 상부가 일부 개방되는 천장 개방영역(540)을 구비하고, 상기 자연배기부재는, 상기 천장 개방영역(54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개방된 영역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커버(520)와, 상기 천장 개방영역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모듈(53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조절모듈(530)의 개방 정도에 따라 일조량 또는 자연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부커버(520)는 천장 개방영역(540)의 상측을 커버함으로써, 비가 오더라도 빗물이 저수조(3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해수(3)의 염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개방영역(540)과 상부커버(520) 사이에는 자연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portion 500 has an open ceiling area 540 whose upper part is partially open, and the natural exhaust member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open area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open area 54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may include an upper cover 520 and an adjustment module 530 that adjust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ceiling open area.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sunlight or natural exhaust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control module 530. The upper cover 520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ceiling open area 540, thereby preventing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water storage tank 300 even if it rains, thereby minimizing the effect on the salinity of the seawater 3. Additionally, a passage may be formed between the ceiling open area 540 and the upper cover 520 to allow natural exhaust.

예로써, 상기 조절모듈(530)은 상기 천장 개방영역(540)을 일부 차단하는 가림막(532)과, 상기 가림막(532)을 권취 또는 권출하여 상기 천장 개방영역(54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가림막 구동롤러(534)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530 includes a screen 532 that partially blocks the ceiling open area 540, and a screen 532 that adjust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ceiling open area 540 by winding or unwinding the screen 532. It may include a screen driving roller 534.

상기 해수 증발장치(10)는, 상기 하우징부(500)의 양측부에 강제급기부(600)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강제급기부(600)는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부(500) 내부로 제공하여 하우징부(500) 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해질 수 있으며, 해수의 수분 증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로써, 강제급기부(600)는 강제급기를 위한 급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10 may be provided with forced air supply units 600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unit 500. The forced air supply unit 600 provides external air into the housing unit 500 to facilitate air circulation inside the housing unit 500 and further improve the moisture evaporation efficiency of seawater. As an example, the forced air supply unit 600 may include an air supply fan for forced air supply.

나아가서, 상기 해수 증발장치(10)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여, 해수(3)의 염도 또는 하우징부(500) 내외부 온도 및 습도에 따라 해수순환부(400)에 구비된 순환펌프(430), 하우징부(500)의 조절모듈(530), 또는 강제급기부(6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10 is equipped with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operates a circulation pump ( 430), the control module 530 of the housing unit 500, or the operation of the forced air supply unit 600 can be controll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10)를 포함하는 염전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alt farm including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10 for producing inedible salt.

상기 염전에 구비되는 결정지는, 상기 해수 증발장치(10)로부터 목표 염도에 다다른 고염도의 해수가 수용되어 소금 결정화가 이루어지는 저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 영역은, 폐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바닥재(310)를 구비하고, 폐태양전지는 재사용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바닥재(310)는 상기 해수 증발장치(10)의 바닥재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어두운 색상의 폐태양전지로 인해 소금 결정화 시 태양광의 흡수 및 그로 인한 복사열을 고염도의 해수에 전달함으로써 소금 결정화가 더욱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태양전지는 소금의 결정화에 상관없이 전기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자원의 재사용과 에너지 생산에 대한 장점이 있다.The crystallization pond provided in the salt farm includes a storage area in which high-salinity seawater reaching the target salinity is received from 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10 and salt crystallization occurs, and the storage area is a bottom material containing a waste solar cell. (310), and waste solar cells may be reused to produce electricity. The flooring material 310 may b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10. In other words, the dark-colored waste solar cells have the effect of further promoting salt crystallization by absorbing sunlight during salt crystallization and transferring the resulting radiant heat to high-salt seawater. Additionally, waste solar cells can continuously produce electricity regardless of salt crystallization,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using resources and producing energ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10)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은 폐타이어를 포함하는 타이어로 이루어진 제1 해수증발부재(210)와 제2 해수증발부재(220)를 포함하는 해수증발부(200)와 폐태양전지를 이용한 저수조 바닥재(310)를 구비하며, 폐자재를 이용하여 비식용 소금을 생산함으로써 자원 재사용에 도움을 주며, 비식용 소금 생산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부(500), 자연배기부 및 강제급기부(600)로 인해 소금 결정화의 가속을 촉진할 수 있고, 온습도 및 바람, 계절에 상관없이 소금 생산이 가능함으로써 단위면적 당 소금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10 for producing inedible sa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include a first seawater evaporation member 210 and a second seawater evaporation member 220 made of tires including waste tires. It is equipped with a seawater evaporation unit (200) including a water storage tank bottom material (310) using waste solar cells, and helps reuse resources by producing non-edible salt using waste materials and reduces the cost of producing non-edible salt. This can be done, and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productivity. In addition, the housing unit 500, natural exhaust unit, and forced air supply unit 600 can promote acceleration of salt crystallization, and salt production is possible regardless of temperature, humidity, wind, and season, thereby increasing salt production per unit area. There is an advantage to being able to do i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 염전바닥
3; 해수
10; 해수 증발장치
100; 해수방출부
200; 해수증발부
210; 제1 해수증발부재
220; 제2 해수증발부재
230; 증발판
300; 저수조
310; 바닥재
311; 폐태양전지 패널
400; 해수순환부
410; 제1 해수배관
420; 제2 해수배관
430; 순환펌프
440; 순환필터
500; 하우징부
520; 상부커버
530; 조절부재
540; 천장 개방영역
600; 강제급기부
F; 프레임
One; salt pan bottom
3; sea water
10; Seawater evaporation device
100; Seawater discharge department
200; Seawater evaporation unit
210; 1st seawater evaporation member
220; Second seawater evaporation member
230; evaporation plate
300; water tank
310; flooring
311; Waste solar panel
400; Seawater Circulation Department
410; No. 1 seawater pipe
420; 2nd seawater pipe
430; circulation pump
440; circulation filter
500; Housing part
520; Top cover
530; control member
540; Ceiling open area
600; Forced donation
F; frame

Claims (12)

해수를 분사 또는 점적하는 해수방출부;
복수개의 타이어가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해수방출부로부터 분사 또는 점적된 해수가 지나가도록 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해수증발부;
상기 해수증발부를 바닥과 맞닿게 수용하고 상기 해수증발부를 통과한 해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로부터 해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해수방출부로 제공하는 해수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의 순환으로 해수가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A seawater discharge unit that sprays or drips seawater;
A seawater evaporation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ires stacked and evaporating moisture by allowing seawater sprayed or dripped from the seawater discharge unit to pass through;
a water storage tank that accommodates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in contact with the bottom and stores sea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and
It includes a seawater circulation unit that circulates sea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and provides it to the seawater discharge unit,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characterized in that seawater is concentrated by the circulation of the seaw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증발부는, 상기 타이어의 중심이 서로 교차되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is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s of the tires intersect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증발부는, 상기 타이어가 피라미드형 또는 원뿔형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is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wherein the tires are stacked in a pyramid shape or a con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증발부는, 상기 타이어의 적층 계면 사이에 다공성 직물을 포함하는 증발판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awater evaporation unit is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characterized in that an evaporation plate containing a porous fabric is interposed between the stacked interfaces of the t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폐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characterized in that the tire is a waste t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증발장치는, 상기 해수방출부, 해수증발부, 저수조 및 해수순환부를 수용하고 상부에 자연배기부재가 위치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is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ousing part that accommodates the seawater discharge part, the seawater evaporation part,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seawater circulation part, and the natural exhaust member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증발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부에 강제급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is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forced air supply units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부가 일부 개방되는 천장 개방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자연배기부재는, 상기 천장 개방영역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개방된 영역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천장 개방영역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housing portion has a ceiling open area where the upper part is partially open,
The natural exhaust member is non-edib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upper cover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open area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open area, and an adjustment module that adjust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ceiling open are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salt produ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모듈은 상기 천장 개방영역을 일부 차단하는 가림막과, 상기 가림막을 권취 또는 권출하여 상기 천장 개방영역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가림막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 screen that partially blocks the ceiling open area, and a screen drive roller that adjust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ceiling open area by winding or unwinding the screen. Seawater evaporation for producing inedible sal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폐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바닥재를 구비하고, 상기 폐태양전지는 재사용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ter storage tank is provided with a bottom material containing waste solar cells, and the waste solar cells are reused to produce electricity.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제1항의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를 포함하는 염전.
A salt farm including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the non-edible salt of paragraph 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염전에 구비되는 결정지는, 상기 해수 증발장치로부터 목표 염도에 다다른 고염도의 해수가 수용되어 소금 결정화가 이루어지는 저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 영역은, 폐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바닥재를 구비하고, 폐태양전지는 재사용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를 포함하는 염전.
According to clause 11,
The crystallization pond provided in the salt farm includes a storage area in which high-salinity seawater reaching the target salinity is received from the seawater evaporation device and salt crystallization occurs,
The storage area is provided with a bottom material containing waste solar cells, and the waste solar cells are reused to produce electricity. A salt farm including a seawater evaporation device for producing inedible salt.
KR1020220092852A 2022-07-27 2022-07-27 The seawater evaporator for non-edible salt production and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KR1026525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852A KR102652503B1 (en) 2022-07-27 2022-07-27 The seawater evaporator for non-edible salt production and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852A KR102652503B1 (en) 2022-07-27 2022-07-27 The seawater evaporator for non-edible salt production and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246A true KR20240015246A (en) 2024-02-05
KR102652503B1 KR102652503B1 (en) 2024-04-03

Family

ID=8990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852A KR102652503B1 (en) 2022-07-27 2022-07-27 The seawater evaporator for non-edible salt production and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503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456A (en) * 1999-05-24 1999-09-06 최원영 The water purification structure using waste tires and water purification method with that
KR20120001543U (en) * 2012-02-14 2012-03-06 권성웅 drawer structure salt water dry system
KR101625950B1 (en) 2011-12-06 2016-05-30 박용희 Seawater evaporation device and seawater evaporation method utilizing the same
KR20160107867A (en) * 2015-03-06 2016-09-19 윤현수 Apparatus for making salt from sea water
JP2018143960A (en) * 2017-03-06 2018-09-20 赤穂化成株式会社 Chimney type sea water concentrating device
KR20200061203A (en) 2018-11-23 2020-06-02 한국전력공사 Salt filed-underwater solar cell power generation system
KR20210047611A (en)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Photovoltaics system for saltern and cooling method for the system
KR102344981B1 (en) * 2021-03-05 2021-12-31 당두 1호 농업회사법인 (주) Seawater evapor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456A (en) * 1999-05-24 1999-09-06 최원영 The water purification structure using waste tires and water purification method with that
KR101625950B1 (en) 2011-12-06 2016-05-30 박용희 Seawater evaporation device and seawater evaporation method utilizing the same
KR20120001543U (en) * 2012-02-14 2012-03-06 권성웅 drawer structure salt water dry system
KR20160107867A (en) * 2015-03-06 2016-09-19 윤현수 Apparatus for making salt from sea water
JP2018143960A (en) * 2017-03-06 2018-09-20 赤穂化成株式会社 Chimney type sea water concentrating device
KR20200061203A (en) 2018-11-23 2020-06-02 한국전력공사 Salt filed-underwater solar cell power generation system
KR20210047611A (en)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Photovoltaics system for saltern and cooling method for the system
KR102344981B1 (en) * 2021-03-05 2021-12-31 당두 1호 농업회사법인 (주) Seawater evapor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503B1 (en) 202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6188B2 (en) Evaporation device
CA2779628C (en) Plant wall and modules for growing plants
US10517230B2 (en) Layered facade panel
KR102193142B1 (en) Green roof structure
WO2018119875A1 (en) Multifunctional greenhouse for ecological agriculture planting
US20070094927A1 (en) Rooftop vegetation pod
CA2529073A1 (en) Greening apparatus
CN1976578A (en) Structure for vegetated wall
WO2011005216A1 (en) A plant tray
KR102344981B1 (en) Seawater evaporation device
JP2007267732A (en) Rooftop greening system
KR102652503B1 (en) The seawater evaporator for non-edible salt production and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EP0026296A1 (en) Air-conditioned greenhouse
KR100965403B1 (en) Rooftop Greening System For Returning a Rain Water Using Super Absorbent Polymer
KR102428217B1 (en) Apparatus of seawater evaporation and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FR3078230A1 (en) DEVICE FOR MODULAR VEGETATION OF A BUILDING
DE102010001328B4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olar evaporation of salt solutions
KR101074909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un-dried Salt
JP2016059118A (en) Solar panel installation frame for agricultural land
JP2010265624A (en) Rainwater storage device
CN208128994U (en) A kind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ype agricultural planting greenhouse
JP2006101812A (en) Plant growth structure and vegetation system
KR102577292B1 (en) Seawater evaporator of structural improvement type
US20230189720A1 (en) Medium-flowable body and greening system with at least one such a medium-flowable body
JPS5924641B2 (en) liquid concent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