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831A - Unmanned feed supplying ship - Google Patents

Unmanned feed supplying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831A
KR20240014831A KR1020220092474A KR20220092474A KR20240014831A KR 20240014831 A KR20240014831 A KR 20240014831A KR 1020220092474 A KR1020220092474 A KR 1020220092474A KR 20220092474 A KR20220092474 A KR 20220092474A KR 20240014831 A KR20240014831 A KR 20240014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feed
feed supply
fish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4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진선
이미소
김은채
이우준
문태양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유)장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장성테크 filed Critical (유)장성테크
Priority to KR1020220092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831A/en
Publication of KR2024001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831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devices with throw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6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 B63B2035/008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remotely control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용 무인 사료공급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컨트롤장치의 조작에 의해 양식장을 주행하면서 사료를 흩뿌려 공급함으로써 사료공급의 편의성과 능률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선체의 주행시 버블을 생성하여 분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식장의 용존산소량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식장용 무인 사료공급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신호를 수신하는 통합컨트롤러(110)가 설치되고, 상기 통합컨트롤러(110)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수면을 주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선체(100); 상기 선체(100)의 상측에 설치되되 내부에 양식용 사료가 채워진 상태로 상기 선체(100)의 선수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배관(210)이 설치된 사료공급탱크(200); 상기 연장배관(210)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선체(100)의 선수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공급탱크(200)로부터 공급된 사료를 회전구동하는 스프레이임펠러(320)에 의해 양식장의 수면방향으로 흩뿌려 배출하는 사료분사부(300); 상기 선체(100)의 선미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100)의 후방으로 미세버블을 분출할 수 있도록 하는 버블분출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feed supply ship for fish farm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feed supply ship for fish farms, and more specifically, allows workers to distribute feed while driving around the fish farm by manipulating a control device,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feed supply as well as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feed supply. This relates to an unmanned feed supply vessel for fish farms that can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fish farm by generating bubbles and blowing them out while driv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ll 100 on which an integrated controller 110 for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is installed and which is configured to travel on the water surface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by the integrated controller 110; A feed supply tank (20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ull (100), filled with aquaculture feed, and equipped with an extension pipe (210)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hull (100); It is installed in the bow direction of the hull 100 in a state connected to the extension pipe 210 and sprays the feed supplied from the feed supply tank 200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surface of the fish farm by rotating the spray impeller 320. Feed injection unit 300 for discharg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ubble ejection device 500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rn of the hull 100 to eject fine bubbles to the rear of the hull 100.

Description

양식장용 무인 사료공급선{UNMANNED FEED SUPPLYING SHIP}Unmanned feed supply ship for fish farms {UNMANNED FEED SUPPLYING SHIP}

본 발명은 양식장용 무인 사료공급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컨트롤장치의 조작에 의해 양식장을 주행하면서 사료를 흩뿌려 공급함으로써 사료공급의 편의성과 능률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선체의 주행시 버블을 생성하여 분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식장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식장용 무인 사료공급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feed supply ship for fish farm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feed supply ship for fish farms, and more specifically, allows workers to distribute feed while driving around the fish farm by manipulating a control device,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feed supply as well as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feed supply. This relates to an unmanned feed supply ship for fish farms that can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a fish farm by generating bubbles and blowing them out while driving.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에 양식수조를 설치하여 각종 어류를 고밀도로 양식하는 육상의 양식장 시설 뿐만 아니라, 호수나 하천 또는 해상 등지의 수역(水域)에 일정 범위만큼 가두리그물을 발판구조물과 함께 계류식으로 설치하여 각종 어류를 고밀도로 양식하는 가두리 양식장 시설에서는 어류의 성장에 필요한 먹이, 즉 사료를 요구하는 시간대에 맞추어 주기적으로 공급시키는 것이 양식장의 관리 측면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In general, in addition to land-based aquaculture facilities that cultivate various types of fish at high density by installing aquaculture tanks inside buildings, cage fish are moored with scaffolding structures to a certain extent in water areas such as lakes, rivers, and the sea. In cage aquaculture facilities where various types of fish are cultivated at high density,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farm management is the periodic supply of food necessary for fish growth, that is, feed, according to the required time period.

기존에는 양식장 관리인이 현장으로 직접 투입되어 사료저장통에 저장된 사료를 바가지 등으로 퍼담아 사료를 흩뿌리는 방식의 수작업이 행하여졌으나, 이는 인력잔과 경제적 부담을 야기하게 되어 최근에는 자동화된 사료공급장치가 현장의 관리인을 대신하는 추세로 나아가고 있다. Previously, manual work was done in which the farm manager went directly to the site and scooped up the feed stored in the feed storage bin with a bucket, etc., and scattered the feed. However, this caused labor waste and economic burden, so recently automated feed supply devices have been used. There is a trend toward replacing field managers.

종래의 대표적인 사료공급장치는 사료저장호퍼의 하단 출구에 로터리밸브를 게이트(Gate) 수단으로 설치하여 사료의 배출 및 차단작업을 수행토록 한 상태에서, 가두리그물이나 양식수조로 사료를 이송하는 데에는 블로워(Blower: 송풍기)를 사용하는 송풍식 공급장치(선행기술문헌 참조)와, 사료저장통의 하단 출구에 스크류 컨베이어를 직접 연결시켜 사료의 투입과 이송을 겸하도록 한 스크류식 공급장치를 들 수 있다.A typical conventional feed supply device installs a rotary valve at the bottom outlet of the feed storage hopper as a gate to discharge and block the feed, and uses a blower to transfer the feed to the cage net or aquaculture tank. A blower-type supply device (refer to prior art literature) that uses a blower (blower) and a screw-type supply device that both inputs and transports feed by directly connecting a screw conveyor to the bottom outlet of the feed storage bin.

그러나, 종래의 사료공급장치는 가두리그물 또는 양식수조마다 통상 한대씩 비치하여 사용되었기 때문에, 대규모의 양식장에서는 사료공급장치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사료공급장치로 다수 개의 양식수조나 가두리그물에 대한 급이를 수행코자 할 경우에는, 비교적 좁은 공간이 되는 가두리그물용 발판구조물이나 양식장의 바닥면에 걸쳐 밸브기구가 포함된 다기관(多岐管: Manifold) 형태의 사료분배기구가 추가로 설비되어야 함으로서, 양식장의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료분배기구의 세팅 및 사료공급경로의 제어 역시 매우 난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conventional feed supply devices were usually used one at a time for each cage net or aquaculture tank, there was a problem of excessive costs due to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feed supply devices in large-scale fish farms, and it was difficult to prevent this. For this reason, when it is desired to feed multiple aquaculture tanks or cage water with a single feed supply device, a scaffolding structure for cage water in a relatively narrow space or a manifold containing a valve mechanism across the bottom of the farm is used. Because an additional feed distribution device in the form of a manifold (管: Manifold) had to be installed, not only was it difficult to efficiently utilize space in the fish farm, but there was also a problem in that setting up the feed distribution device and controlling the feed supply route were also very difficult.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11443호의 양식장의 사료 공급선용 사료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a feed supply device for a feed supply ship in a fish farm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11443.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컨트롤장치의 조작에 의해 양식장을 주행하면서 사료를 흩뿌려 공급함으로써 사료공급의 편의성과 능률성을 높이고, 선체의 주행시 버블을 생성하여 분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식장의 용존산소량 증가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양식장용 무인 사료공급선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situation,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feed supply by scattering feed while the operator drives the fish farm by operating the control device, and to prevent bubbles from forming when the hull is driven.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unmanned feed supply ship for fish farms that can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fish farm by generating and spewing ou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신호를 수신하는 통합컨트롤러(110)가 설치되고, 상기 통합컨트롤러(110)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수면을 주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선체(100); 상기 선체(100)의 상측에 설치되되 내부에 양식용 사료가 채워진 상태로 상기 선체(100)의 선수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배관(210)이 설치된 사료공급탱크(200); 상기 연장배관(210)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선체(100)의 선수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공급탱크(200)로부터 공급된 사료를 회전구동하는 스프레이임펠러(320)에 의해 양식장의 수면방향으로 흩뿌려 배출하는 사료분사부(300); 상기 선체(100)의 선미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100)의 후방으로 미세버블을 분출할 수 있도록 하는 버블분출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ull 100 in which an integrated controller 110 for receiving external signals is installed and driven on the water surface by signals received by the integrated controller 110; A feed supply tank (20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ull (100), filled with aquaculture feed, and equipped with an extension pipe (210)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hull (100); It is installed in the bow direction of the hull 100 in a state connected to the extension pipe 210 and sprays the feed supplied from the feed supply tank 200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surface of the fish farm by rotating the spray impeller 320. Feed injection unit 300 for discharg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ubble ejection device 500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rn of the hull 100 to eject fine bubbles to the rear of the hull 100.

또한, 상기 사료공급탱크(20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연장배관(210)의 내측으로 에어를 분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분출장치(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블분출장치(500)는 상기 선체(100)의 선미 하측에 형성된 장착홀(511)에 설치되는 수중펌프(510)와, 상기 수중펌프(510)에 연결된 상태로 미세버블을 후방으로 분출하는 분출노즐부(52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분출노즐부(52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선체(10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외기유입관(5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ir blowing device 400 that blows air into the inside of the extension pipe 210 while mounted on the feed supply tank 200, and the bubble blowing device 500 A submersible pump 510 installed in the mounting hole 511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rn of the hull 100, a jet nozzle unit 520 that ejects fine bubbles backward while connected to the submersible pump 510, and , One longitudinal side is connected to the blowing nozzle unit 520, and the other longitudinal side extends to the upper side of the hull 100, and includes an external air inlet pipe 550 that allows external air to flow in.

본 발명에 따르면 선체가 양식장을 주행하면서 사료를 흩뿌려 공급함에 따라 사료공급을 위한 작업편의성과 능률성이 향상되고, 선체의 주행시 버블의 생성으로 인해 양식장의 용존산소량 증가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hull travels through the fish farm and supplies feed by scattering it, work convenience and efficiency for feed supply are improved,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fish farm can be obtained due to the generation of bubbles when the hull ru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무인 사료공급선을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분사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공급탱크에 에어분출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분출장치가 선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unmanned feed supply ship for fish far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1;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cross-sectional state of the feed inj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air blowing device is mounted on the feed supply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bubble e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hul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무인 사료공급선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Hereinafter, the unmanned feed supply vessel for fish far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ior to thi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is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or manufacturer producing the product, and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tc.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do.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Additionally, as used herein, directional terms are used in reference to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figure(s). Since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the term directional is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is not limi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무인 사료공급선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분사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공급탱크에 에어분출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분출장치가 선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Figure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unmanned feed supply vessel for a fish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 of Figure 1, and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feed inj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blowing device is mounted on the feed supply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bble blow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hull.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무인 사료공급선은 외부신호를 수신하는 통합컨트롤러(110)가 설치된 선체(100)와, 상기 선체(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양식용 사료가 채워진 사료공급탱크(200)와, 상기 사료공급탱크(20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사료분사부(300) 및 상기 선체(100)의 선미 하측에 설치되는 버블분출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unmanned feed supply ship for fish far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ll 100 on which an integrated controller 110 that receives external signals is installed,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ull 100 to feed aquaculture. It includes a feed supply tank (200) filled with feed for use, a feed injection unit (300)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feed supply tank (200), and a bubble ejection device (500)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rn of the hull (100). It is composed by:

즉,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무인 사료공급선은 작업자가 컨트롤장치의 조작에 의해 양식장을 주행하면서 사료를 흩뿌려 공급함으로써 사료공급의 편의성과 능률성을 높이고, 상기 선체(100)의 주행시 버블을 생성하여 분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식장의 용존산소량 증가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unmanned feed supply ship for fish far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feed supply by scattering feed while the operator drives the fish farm by operating the control device, and generates bubbles when the hull 100 runs. By allowing it to erup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fish farm.

상기 선체(100)는 외부신호를 수신하는 통합컨트롤러(110)가 설치되고, 상기 통합컨트롤러(110)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수면을 주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선체(100)는 작업자가 소지한 컨트롤장치에서 송신된 신호에 의해 추진장치(120)가 구동하여 수면위를 주행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선박과 같이 유선형의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면서 수면에 안정적으로 부유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유체가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hull 100 is equipped with an integrated controller 110 that receives external signals, and is made to travel on the water surface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by the integrated controller 110. In other words, the hull 100 travels on the water surface by driving the propulsion device 120 by a signal transmitted from a control device carried by the operator. It is made to have a streamlined structure like a typical ship and is stable on the water surface. A floating body may be installed that allows it to float.

여기서, 상기 추진장치(120)는 상기 선체(100)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수중에 잠겨지는 프로펠러가 회전하면서 상기 선체(100)가 주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와 같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propulsion device 12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ull 100, and can be configured to cause the hull 100 to travel while the propeller, which is usually submerged in water, rotates,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described below. It may be configured as in the embodiment.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추진장치(120)는 상기 선체(100)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마운팅폴(1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로펠러(121)와, 상기 선체(100)의 주행방향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방향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ropulsion device 120 as an embodiment includes a propeller 121 rotatably installed on a mounting pole 122 installed upright on the hull 100,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hull 100.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rudders 123.

이때, 상기 다수개의 방향타(123)는 상하 프레임(124,125)에 길이방향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조인트연결바(126)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다수개의 방향타 중 어느 하나의 방향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모터구(127)에 의해 회전되어 선체의 주행방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rudders 1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joint connecting bar 126 with both longitudinal side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24 and 125,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udders can be rotated. It may be rotated by the rotation motor 127 to adjus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hull.

즉, 상기 프로펠러(121)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선체(100)가 주행하게 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선체(100)의 방향 전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회전모터구(127)를 구동시키게되면 상기 회전모터구(127)에 연결된 방향타가 회전되면서 다른 방향타 또한 상기 조인트연결바(126)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선체(100)에는 상기 프로펠러(121)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가드프레임(130)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That is, when the propeller 121 is driven, the hull 100 travels, and in such a state, when a change in direction of the hull 100 is necessary, when the rotation motor 127 is driven, the rotation motor As the rudder connected to the sphere 127 rotates, the other rudder also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by the joint connecting bar 126. Here, a guard frame 130 may be installed on the hull 100 to protect the propeller 121.

또한, 상기 사료공급탱크(200)는 상기 선체(100)의 상측에 설치되되 내부에 양식용 사료가 채워진 상태로 상기 선체(100)의 선수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배관(210)이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feed supply tank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ull 100 and is filled with aquaculture feed inside, and an extension pipe 210 extending in the bow direction of the hull 100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사료공급탱크(200)의 상측에는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커버(220)가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사료공급탱크(200)의 내측에 회전교반날개(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사료공급탱크(200)의 내측에 채워진 사료가 뭉치거나 탱크의 내측 한쪽에 편중되는 것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Here,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22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eed supply tank 200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and a rotating stirring wing (not shown) is installed inside the feed supply tank 200 as necessary. This will prevent the feed filled inside the feed supply tank 200 from clumping together or being concentrat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tank.

또한, 상기 사료공급탱크(200)는 이격지지부(211)에 의해 상기 선체(100)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장배관(210)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사료공급탱크(200)의 하측면 중앙부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후술되는 상기 사료분사부(3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feed supply tank 200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pper side of the hull 100 by means of a spaced support portion 211, and one side of the extension pipe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t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feed injection uni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feed supply tank 200.

이는, 상기 사료공급탱크(200)에 저장된 사료가 상기 연장배관(210)을 따라 상기 사료분사부(300)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This is to allow the feed stored in the feed supply tank 200 to naturally slide along the extension pipe 210 in the direction of the feed injection unit 300.

또한, 상기 사료분사부(300)는 상기 연장배관(210)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선체(100)의 선수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공급탱크(200)로부터 공급된 사료를 회전구동하는 스프레이임펠러(320)에 의해 양식장의 수면방향으로 흩뿌려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feed injection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bow direction of the hull 100 in a state connected to the extension pipe 210, and a spray impeller 320 rotates the feed supplied from the feed supply tank 200. )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by scattering it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surface of the fish farm.

이때, 일 실시예로서의 상기 사료분사부(300)는 상기 연장배관(210)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선체(100)의 전방으로 사료비산공(311)이 형성된 분사바디(310)와, 상기 분사바디(3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장배관(210)을 통해 상기 분사바디(310)의 내측으로 유입된 사료가 상기 사료비산공(311)을 통해 수면방향으로 비산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스프레이임펠러(320)와, 상기 분사바디(3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레이임펠러(320)를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모터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the feed injection unit 300 as an embodiment includes a injection body 310 in which a feed scattering hole 311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hull 100 with the extension pipe 210 connected, and the injection body 310 ) The spray impeller ( 320) and a drive motor 33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pray body 310 to rotate the spray impeller 320.

즉, 상기 구동모터구(3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스프레이임펠러(320)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상기 분사바디(310)의 내부로 사료가 공급되면 상기 사료비산공(311)을 통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feed is supplied into the spray body 310 while the spray impeller 320 is rotated by driving the drive motor 330, it is scatte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eed scattering hole 311. .

또한, 상기 사료공급탱크(200)에는 에어분출장치(4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에어분출장치(400)는 상기 사료공급탱크(20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연장배관(210)의 내측으로 에어를 분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분출장치(400)에는 상기 연장배관(210)을 연장되어 내부가 연통되는 가이드배관(410)이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dditionally, an air blowing device 400 may be installed in the feed supply tank 200, and the air blowing device 400 is mounted on the feed supply tank 200 and is located inside the extension pipe 210. This is to allow air to blow out. At this time, it would be preferable for the air blowing device 400 to have a guide pipe 410 that extends from the extension pipe 210 and communicate with the inside thereof inclined downward.

즉, 상기 에어분출장치(400)에서 분출되는 에어에 의해 상기 연장배관(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양식용 사료가 상기 사료분사부(300)로 용이하게 이동되어 상기 연장배관(210)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aquaculture feed located inside the extension pipe 210 is easily moved to the feed injection unit 300 by the air ejected from the air ejection device 400, thereby preventing clogging of the extension pipe 210. This phenomenon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에어분출장치(400)에서 상기 연장배관(210)으로 하향 경상지게 비스듬히 설치되는 상기 가이드배관(410)으로 인해 상기 에어분출장치(400)에서 에어분출시, 상기 사료공급탱크(200)의 내부 사료의 이동을 원활히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air is ejected from the air ejection device 400 due to the guide pipe 410 installed at an angle downward from the air ejection device 400 to the extension pipe 210, the feed supply tank 200 This allows smooth movement of internal feed.

한편, 상기 버블분출장치(500)는 상기 선체(100)의 선미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100)의 후방으로 미세버블을 분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양식장에 사료를 공급하는 작업의 수행시 양식장의 수중으로 미세버블을 함께 분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식장의 용존산소량의 증가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Meanwhile, the bubble ejection device 50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rn of the hull 100 to eject fine bubbles to the rear of the hull 100, which is used when performing the task of supplying feed to the fish farm. By allowing fine bubbles to be ejected into the water of the fish farm,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fish farm can be achieved.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버블분출장치(500)는 상기 선체(100)의 선미 하측에 형성된 장착홀(511)에 설치되는 수중펌프(510)와, 상기 수중펌프(510)에 연결된 상태로 미세버블을 선체의 후방으로 분출하는 분출노즐부(52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분출노즐부(52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선체(10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외기유입관(5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bubble ejection device 500 in one embodiment includes a submersible pump 510 installed in the mounting hole 511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rn of the hull 100, and a fine bubble while connected to the submersible pump 510. A jet nozzle unit 520 that sprays water to the rear of the hull, and one longitudinal side is connected to the jet nozzle unit 520, and the other longitudinal side extends to the upper side of the hull 100 so that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xternal air inflow pipe 550.

여기서, 상기 장착홀(511)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호소의 물이 상기 수중펌프(510)에 의해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Here, the mounting hole 511 is preferably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water in the appeal can be easily sucked in by the submersible pump 510.

또한, 상기 분출노즐부(520)는, 상기 수중펌프(510)에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되는 조인트관(530)과, 상기 조인트관(530)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상기 외기유입관(550)이 연결되는 외기흡입로(542)가 형성된 확관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jet nozzle unit 52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 joint pipe 530 on one longitudinal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ubmersible pump 510, and on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joint pipe 530, and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air inflow pip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xpanded pipe 540 in which an external air intake passage 542 to which 550 is connected is formed.

이때, 상기 조인트관(530)에 연결되는 상기 확관부(540)의 일측에는 상기 조인트관(530)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확관부(54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소경유동로(541)가 형성되고, 상기 소경유동로(541)의 끝단에는 내경이 점차 확대되는 확경유동로(543)가 연통되게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외기흡입로(542)는 상기 소경유동로(541)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At this time, on one side of the expanded pipe 540 connected to the joint pipe 530, there is a small diameter flow path 541 that allows water flowing into the joint pipe 530 to flow into the expanded pipe 540. ) is formed, and the end of the small diameter flow path 541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xpanded diameter flow path 543 whose inner diameter is gradually enlarged is formed in communication, and the outside air intake path 542 is the small diameter flow path It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541).

또한, 상기 외기유입관(55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외기흡입로(542)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선체(100)의 상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중펌프(510)의 구동시, 외기가 상기 외기흡입로(542)를 통해 상기 소경유동로(541)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기유입관(550)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outside air inflow pipe 550 has one longitudinal side connected to the outside air intake passage 542 and the other longitudinal side extends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hull 100 to operate the submersible pump 510. , It is formed so that outside air can flow into the small diameter flow path 541 through the outside air intake path 542. At this time,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outside air inflow pipe 550 to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또한, 상기 수중펌프(510)는 상기 선체(100)에 장착브라켓(512)을 매개로 장착되고, 상기 분출노즐부(520)은 상기 장착브라켓(512)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선체(200)에 설치되는 조인트이지브라켓(521)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중펌프(510)에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submersible pump 510 is mounted on the hull 100 via a mounting bracket 512, and the jet nozzle portion 520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mounting bracket 512 on the hull (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joint easy bracket 521 installed on 200 and connected to the submersible pump 510.

이때, 상기 조인트이지브라켓(521)은 상기 선체(10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522)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522)에 연결구(523)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분출노즐부(520)의 확관부(540)가 관통되는 중공형 거치구(5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the joint easy bracket 521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late 522 fixedly installed on the hull 100 and the mounting plate 522 through a connector 523 to form the jet nozzle portion 52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ollow holder 524 through which the expansion portion 540 pass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용 무인 사료공급선은 넓은 면적의 양식장을 작업자가 소지한 컨트롤장치의 조작에 의해 주행하면서 사료를 흩뿌려 공급함으로써 사료공급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선체의 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세버블을 통해 양식장의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unmanned feed supply ship for fish far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venience in feed supply work by dispersing and supplying feed while traveling through a large area of the fish farm by operating a control device possessed by the operator, as well as providing convenience in the feed supply operation.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fish farm can be increased through fine bubbles generated during the movement proces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later.

100: 선체 110: 통합컨트롤러
120: 추진장치 130: 가이드프레임
200: 사료공급탱크 210: 연장배관
220: 개폐커버 300: 사료분사부
310: 분사바디 320: 스프레이임펠러
330: 구동모터구 400: 에어분출장치
410: 가이드배관 500: 버블분출장치
510: 수중펌프 520: 분출노즐부
530: 조인트관 540: 확관부
550: 외기유입관
100: Hull 110: Integrated controller
120: Propulsion device 130: Guide frame
200: Feed supply tank 210: Extension piping
220: Opening/closing cover 300: Feed injection unit
310: Spray body 320: Spray impeller
330: Drive motor 400: Air ejection device
410: Guide piping 500: Bubble ejection device
510: Submersible pump 520: Jet nozzle unit
530: Joint pipe 540: Expansion part
550: External air inflow pipe

Claims (3)

외부신호를 수신하는 통합컨트롤러(110)가 설치되고, 상기 통합컨트롤러(110)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수면을 주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선체(100);
상기 선체(100)의 상측에 설치되되 내부에 양식용 사료가 채워진 상태로 상기 선체(100)의 선수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배관(210)이 설치된 사료공급탱크(200);
상기 연장배관(210)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선체(100)의 선수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공급탱크(200)로부터 공급된 사료를 회전구동하는 스프레이임펠러(320)에 의해 양식장의 수면방향으로 흩뿌려 배출하는 사료분사부(300);
상기 선체(100)의 선미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100)의 후방으로 미세버블을 분출할 수 있도록 하는 버블분출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무인 사료공급선.
A hull 100 on which an integrated controller 110 that receives external signals is installed and that travels on the water according to signals received by the integrated controller 110;
A feed supply tank (20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hull (100), filled with aquaculture feed, and equipped with an extension pipe (210) exten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hull (100);
It is installed in the bow direction of the hull 100 in a state connected to the extension pipe 210 and sprays the feed supplied from the feed supply tank 200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surface of the fish farm by rotating the spray impeller 320. Feed injection unit 300 for discharging;
An unmanned feed supply vessel for a fish far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ubble ejection device (500)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rn of the hull (100) to eject fine bubbles to the rear of the hull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탱크(20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연장배관(210)의 내측으로 에어를 분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분출장치(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무인 사료공급선.
According to paragraph 1,
An unmanned feed supply vessel for a fish far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air blowing device (400) that is mounted on the feed supply tank (200) and blows air into the inside of the extension pipe (2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분출장치(500)는, 상기 선체(100)의 선미 하측에 형성된 장착홀(511)에 설치되는 수중펌프(510)와, 상기 수중펌프(510)에 연결된 상태로 미세버블을 후방으로 분출하는 분출노즐부(52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분출노즐부(52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선체(10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외기유입관(5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무인 사료공급선.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ubble ejection device 500 is connected to a submersible pump 510 installed in the mounting hole 511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rn of the hull 100, and ejects fine bubbles backward while connected to the submersible pump 510. A blowing nozzle part 520, and an outside air inflow pipe 550 whose longitudinal side is connected to the blowing nozzle part 520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s to the upper side of the hull 100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 ) An unmanned feed supply ship for fish farm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KR1020220092474A 2022-07-26 2022-07-26 Unmanned feed supplying ship KR202400148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474A KR20240014831A (en) 2022-07-26 2022-07-26 Unmanned feed supplying s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474A KR20240014831A (en) 2022-07-26 2022-07-26 Unmanned feed supplying shi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831A true KR20240014831A (en) 2024-02-02

Family

ID=89900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474A KR20240014831A (en) 2022-07-26 2022-07-26 Unmanned feed supplying sh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83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6125A (en) Positive pressure super micro bubble generator
KR20180136678A (en) Integral feeding and agitation equipment
WO2018044163A1 (en) Air lubrication system with a wave deflector for a vessel
CN106458289A (en) Use of an air lubrication system for reducing marine growth on a vessel
WO2019144532A1 (en) Oxygen dissolving apparatus for ponds
KR20240014831A (en) Unmanned feed supplying ship
US20240100896A1 (en) Amphibious vehicle
US7651301B2 (en) Drilling head, method of soil improvement work and apparatus thereof
JP6192211B2 (en) Ship with a hollow hull
JP5211190B2 (en) Flocculant dissolver
EP3642421B1 (en) Trailing suction hopper dredger having a recycle system for effluent and method for suction dredging
JP6633312B2 (en) Fluid injection stirrer
JP2005155024A (en) Sediment discharge method and sediment discharge work ship
RU2007134886A (en) NEW PRINCIPLE OF WATER MOVEMENT AND ITS APPLICATION
JP3682384B2 (en) Chemical sprayer equipped with chemical stirring device
KR102451199B1 (en) Feed supplying ship by wireless remote controller
JP2001328584A (en) Frictional resistance-reduced ship
JP2000308897A (en) Water quality purifying device and water stream generation device
GB2304353A (en) Underwater excavation apparatus
JP2672271B2 (en) Automatic feeding method and automatic feeding device
JPH05276850A (en) Device for circulating and aerating pond water or the like
US2164651A (en) Miniature ship
NL2022280B1 (en) Trailing suction hopper dredger having a recycle system for effluent and method for suction dredging
CN1534123A (en) Constant water level storage device for spraying loom
US20220234687A1 (en) Air release unit with diverging side w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