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342A - Acupunctur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and us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cupunctur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and us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342A
KR20240014342A KR1020220091958A KR20220091958A KR20240014342A KR 20240014342 A KR20240014342 A KR 20240014342A KR 1020220091958 A KR1020220091958 A KR 1020220091958A KR 20220091958 A KR20220091958 A KR 20220091958A KR 20240014342 A KR20240014342 A KR 20240014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insertion depth
guide
fixing bloc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9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성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to KR1020220091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342A/en
Publication of KR20240014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342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3Need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 및 이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은, 몸체; 상기 몸체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상기 가이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늘 고정 블록; 상기 바늘 고정 블록에 결합되는 바늘; 상기 몸체와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바늘 고정 블록에 결합되는 이격 조절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격 조절체에 의해 시술 유형에 적합한 자입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침 및 이의 사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육안으로는 피시술자가 자신이 시술받는 침이 진짜침인지 거짓침인지 구별이 불가능하고, 시술자 역시도 어느 것이 진짜침인지 거짓침인지 확인이 어려워, 거짓침과 함께 사용되어 보다 완전한 이중맹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he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 guide coupled to the body so as to be movable within the body; a needle fixing block coupled to the guide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guide; a needle coupled to the needle fixing block; a spring coupled to the body and the guide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guide; and a spacing adjuster coupled to the needle fix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eedl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hat can maintain a constant insertion depth suitable for the type of treatment by means of a spacing adjuster, and also, the user can visually determine whether the needle being treated is a real needle or a false needle.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the needle is real or false, and it is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determine which needle is the real needle or the false needle, so it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false needle to ensure a more complete double-blind condition.

Description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 및 이의 사용 방법{ACUPUNCTUR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AND USING METHOD THEREOF}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and method of using it {ACUPUNCTUR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AND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 및 이의 사용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침이 자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어 정확하고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하며, 또한 침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거짓침과 함께 이중맹검 시험에 사용될 수 있는 침 및 이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edle capable of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he depth at which the needle is inserted can be adjusted, enabling accurate and stable procedures. Additionally, in order to objectively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needle, double-blind use with false needles is performed. It relates to needles that can be used in testing and methods of using them.

침 치료는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서 이천 년 이상 시행되어 오는 치료법으로서, 침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관심 및 사용이 늘어나면서 그 작용방식 및 기전을 과학적으로 해석하려는 시도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Acupuncture is a treatment that has been practiced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for over 2,000 years. As interest in and use of acupuncture's clinical effects increases, attempts to scientifically interpret its mode of action and mechanism are also gradually increasing.

따라서 침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 근거가 필요함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기초로 한 근거 중심의 침 치료 임상연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Therefore, the need for objective evidence on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is being emphasized, and accordingly, evidence-based clinical studies of acupuncture treatment based 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have begun to increase.

초기의 침 치료 임상연구에서는 대조군 설정 시 각 질환에 대한 기존의 치료나 무처치군을 사용하여 침 치료 군과 비교하였다. 그러나 침 치료 효과를 검증할 때 플라시보(placebo) 현상을 배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침이 대조군으로 사용되기 시작되었다.In early acupuncture clinical studies, when setting up a control group, existing treatment or no treatment groups for each disease were used and compared with the acupuncture treatment group. However, as arguments were raised that the placebo phenomenon should be excluded whe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treatment, various types of acupuncture began to be used as a control group.

그러나 기존의 침은 피시술자에 대하여 눈가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피시술자가 자신이 시술받는 침이 거짓침인지 진짜침인지 인식 가능한 경우가 많이 발생되어 제대로 된 무작위 대조군 실험이 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ith existing acupuncture treatments, the blinding of the treatment recipients is not properly implemented, so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treatment recipients are unable to recognize whether the needles they are receiving are fake or real needles, making it difficult to conduct a proper randomized control trial.

한편, 기존의 침은 피부에 자입되는 깊이가 시술자가 침에 가하는 압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시술마다 동일한 자입 깊이를 확보하기 어려워, 너무 깊이 자입되어 통증을 유발하거나 너무 얕게 자입되어 침이 피부에서 이탈하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depth at which existing needles are inserted into the skin may vary depending o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needle by the practitione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nsure the same insertion depth for each procedur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eedle is inserted too deeply, causing pain, or is inserted too shallow, causing the needle to separate from the skin.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10-1661748호(2016.09.26)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umber 10-1661748 (2016.09.2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침 및 이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needle that can adjust the insertion depth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육안으로는 피시술자가 자신이 시술받는 침이 진짜침인지 거짓침인지 구별이 불가능하고, 시술자 역시도 어느 것이 진짜침인지 거짓침인지 확인이 어려워, 보다 완전한 이중맹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침 및 이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impossible for the recipient to distinguish with the naked eye whether the needle being treated is a real needle or a false needle, and it is also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determine which needle is a real needle or a false needle, thereby ensuring a more complete double-blind state. It is intended to provide acupuncture needles and methods of using them.

또한, 본 발명은 일정한 자입 깊이를 확보하여, 시술 시 자입 통증을 경감시켜 침의 안정적 자극을 제공하고 피부에 자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침 및 이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needle and a method of using the needle that can secure a constant insertion depth, reduce insertion pain during the procedure, provide stable stimulation of the needle, and be stably maintained while inserted into the skin.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은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몸체;body;

상기 몸체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a guide coupled to the body so as to be movable within the body;

상기 가이드에 상기 가이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늘 고정 블록;a needle fixing block coupled to the guide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guide;

상기 바늘 고정 블록에 결합되는 바늘;a needle coupled to the needle fixing block;

상기 몸체와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a spring coupled to the body and the guide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guide; and

상기 바늘 고정 블록에 결합되는 이격 조절체.A spacing adjuster coupled to the needle fixing block.

몸체는 기둥과 바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체 형상이다. 몸체의 바닥부는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하는 부위이며, 바늘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이 부분에 가이드가 결합된다. The body is a hollow body shape including a pillar and a bottom. The bottom of th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and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needle passes. The upper part of the body is open, and the guide is coupled to this part.

몸체 내부 중앙에는 바닥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는 기둥과 동축으로 연장되며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바늘 고정 블록은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 내에서 상하 이동이 원활하도록 안내된다.A needle fixing block receiv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The needle fixing block receiving portion extends coaxially with the column, is hollow, and is open at the top. The needle fixing block is guided to move up and down smoothly within the needle fixing block receiving portion.

또한, 몸체의 바닥부에는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된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안정적인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an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outwar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d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Accordingly, stable attachment can be achieved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skin.

가이드는 시술자가 누르는 부위로서 바늘의 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중공 원통 형태로 구성된다. 가이드는 외벽과 가압부를 포함한다.The guide is the area that the operator presses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needle. The guide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with the upper part closed and the lower part open. The guide includes an outer wall and a pressing portion.

가이드의 외벽은 몸체에 끼워진다. 가압부는 시술 시 눌리는 상부이며, 그 내면에는 바늘 고정 블록이 결합되는 바늘 고정 블록 결합부가 형성된다. 다만, 바늘 고정 블록은 가이드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지 않아, 가이드가 이동할 때에도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The outer wall of the guide is fitted into the body. The pressing part is the upper part that is pressed during the procedure, and a needle fixing block coupling part to which the needle fixing block is coupled is formed on its inner surface. However, the needle fixing block is not fixedly coupled to the guide, so it can maintain a fixed position without moving even when the guide moves.

바늘은 일부는 바늘 고정 블록에 삽입되며 일부는 바늘 고정 블록 하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바늘 고정 블록은 바늘 고정 블록 몸체와 바늘 고정 블록 헤드를 포함하여 리벳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늘 고정 블록 몸체에는 바늘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바늘은, 가이드가 가압된 상태에서 몸체 바닥부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피시술자의 피부에 일정 깊이로 자입될 수 있을 만큼 바늘 고정 블록 몸체의 하부로부터 돌출된다.Some of the needles are inserted into the needle fixing block, and some of the needles protrude from the lower part of the needle fixing block. The needle fixing block is preferably made of a rivet shape including a needle fixing block body and a needle fixing block head, and the needle fixing block body is formed with a groove into which a needle can be inserted. The needle protrud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needle fixing block body enough to be inserted into the ski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at a certain depth through a through hole in the bottom of the body while the guide is pressed.

이격 조절체는 링 형상이며 바늘 고정 블록에 결합되는데, 고정적으로 접합될 수도 있고 단순히 끼워질 수도 있다. 바늘 고정 블록 및 그에 결합된 바늘은 하강 시, 이격 조절체가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의 상부에 접할 때 하강이 멈추게 된다. 이는 이격 조절체의 높이에 따라 바늘의 자입 깊이가 특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침에서는 원하는 높이의 이격 조절체를 바늘 고정 블록에 결합함으로써 바늘의 자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자입 깊이를 가지는 침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The spacing adjuster is ring-shaped and is coupled to the needle holding block, which may be fixedly bonded or simply threaded. When the needle fixing block and the needle coupled thereto are lowered, the descent is stopped when the spacing adjuster contacts the upper part of the needle fixing block receiving portion. This means that the insertion depth of the needle can be specified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spacing adjuster. Therefore, in the need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depth of the needle can be adjusted by coupling the spacing adjuster of the desired height to the needle fixing block,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needles with various insertion depths.

스프링은 몸체의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의 외주에 끼워진다. 스프링의 상단은 가이드의 가압부 내면에 접하여 유지되며, 하단은 몸체의 바닥부에 접하여 지지된다.The spring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needle fixing block receiving portion of the body. The upper end of the spring is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ure portion of the guide, and the lower e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body.

한편, 몸체의 바닥부에는 침이 피부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점착 시트가 결합될 수 있다. 점착 시트에는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어, 시술 시에는 이형지를 제거하고 피부에 접촉시킨다.Meanwhile, an adhesive sheet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ody to allow the needle to be stably attached to the skin. The adhesive sheet has a release paper attached, so during the procedure, the release paper is remov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kin.

또한, 몸체의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에는 탄성체가 삽입될 수 있다. 탄성체는 디스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에는 바늘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체는 가이드가 하강할 때 바늘의 급격한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Additionally, an elastic material may be inserted into the needle fixing block receiving portion of the body. The elastic body is preferably disk-shaped, and has a hole in the center through which a needle can pass. The elastic body makes it possible to control the rapid movement of the needle as the guide descends.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지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using a needle capable of controlling the insertion depth, which consists of the following steps.

시술자의 가압에 의해 가이드가 몸체 내에서 하강하는 단계;A step in which the guide is lowered within the body by pressure from the operator;

상기 가이드와 함께 바늘 고정 블록 및, 바늘 고정 블록에 결합된 이격 조절체와 바늘이 하강하여 피시술자의 피부에 자입되는 단계;lowering the needle fixing block with the guide, the spacing adjuster coupled to the needle fixing block, and inserting the needle into the skin of the recipient;

상기 바늘의 하강이 이격 조절체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자입이 멈추는 단계;stopping insertion by limit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needle by a spacing adjuster;

시술자의 가압 해지 시 스프링의 복원력에 따라 가이드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단계; 및Returning the guide to its original position according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when the operator releases pressure; and

상기 바늘이 피부에 자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의 사용 방법.A method of using a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comprising the step of maintaining the needle inserted into the skin.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시술자가 가이드의 가압부를 누르면 가이드가 하강하여, 바늘 고정 블록에 결합된 바늘의 하단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자입된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pressure portion of the guide, the guide is lowered, and the lower end of the needle coupled to the needle fixing block is inserted into the ski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가이드가 하강할 때, 함께 하강하는 바늘 고정 블록에 결합된 이격 조절체의 하부가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의 상부면에 닿게 되는 시점에서 하강이 저항을 받아 움직임이 멈춘다. 그 결과, 바늘이 피부에 자입되는 깊이가 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의 유형에 맞춰 다른 높이의 이격 조절체를 채용한 침을 선택하여 시술함으로써 원하는 자입 깊이를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guide descends, the lower part of the spacing adjuster coupled to the needle fixing block that descends together tou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needle fixing block receiving portion, and the movement is stopped due to resistance to the descent. As a result, the depth at which the needle is inserted into the skin can be specified. Therefore, the desired insertion depth can be realized by selecting a needle with a spacing adjuster of different height according to the type of treatment and performing the treatment.

이후, 바늘이 자입된 상태에서 시술자가 가이드를 누르고 있던 손을 떼어 가압을 해지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가이드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나 바늘 고정 블록, 이격 조절체 및 바늘은 가이드에 대해 독립되어 있으므로, 가이드와 함께 상승하지 않고, 바늘은 피부에 자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은 침의 내부에서 일어나며 외부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피시술자는 물론 시술자도 바늘이 실제 자입된 것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 없어, 이중맹검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다.Afterwards, when the operator releases the hand pressing the guide while the needle is inserted and releases the pressure, the guide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However, since the needle holding block, spacing adjuster, and needle are independent of the guide, they do not rise together with the guide, and the needle remains inserted into the skin. And this movement occurs inside the needle and cannot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Therefore, not only the recipient but also the operator cannot confirm whether the needle was actually inserted or not, so a double-blind test can be conducted.

본 발명에 따른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 및 이의 사용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using it have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이격 조절체에 의해 시술 유형에 적합한 자입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First, the insertion depth suitable for the type of treatment can be kept constant by the spacing adjuster.

또한, 일정한 자입 깊이를 확보하여, 시술 시 자입 통증을 경감시켜 침의 안정적 자극을 제공하고 피부에 자입된 상태에서 침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by ensuring a constant insertion depth, pain from insertion is reduced during the procedure, providing stable stimulation of the needle, and the needle can be stably maintained while inserted into the skin.

또한, 육안으로는 피시술자가 자신이 시술받는 침이 진짜침인지 거짓침인지 구별이 불가능하고, 시술자 역시도 어느 것이 진짜침인지 거짓침인지 확인이 어려워, 보다 완전한 이중맹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with the naked eye, it is impossible for the recipient to distinguish whether the needle being treated is a real needle or a false needle, and it is also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determine which needle is a real needle or a false needle, thus ensuring a more complete double-blind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에 사용되는 이격 조절체의 형상 및 결합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에서, 이격 조절체의 높이에 따라 자입 깊이가 다르게 조절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이 시술 전에 피시술자의 피부에 놓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이 가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이 완전히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이 가압 해지되어 가이드가 복귀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needle capable of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needle shown in Figure 1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and coupling method of the spacing adjuster used for a needle capable of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 and (b) are diagrams showing that, in a needle capable of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depth is adjus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spacing adjuster.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of Figure 1 is placed on the ski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before the procedure.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ss of pressurizing the needle capable of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of Figure 5.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of Figure 5 in a fully pressurized state.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of FIG. 5 is depressurized and the guide is returned.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needle capable of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flowchart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needle capable of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침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hape of a nee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needle shown in Figure 1.

도면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침(10)은 몸체(100), 가이드(200), 바늘(300), 바늘 고정 블록(310), 이격 조절체(350), 스프링(400), 점착 시트(500) 및 탄성체(600)를 포함한다.In the drawing, the needle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body 100, a guide 200, a needle 300, a needle fixing block 310, a spacing adjuster 350, a spring 400, and an adhesive sheet 500. ) and an elastic body 600.

몸체(100)는 기둥(105)과 바닥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체 형상이며 재질은 합성수지이다. 바닥부(110)는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하는 부위이며, 바늘(300)이 통과하는 관통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100) 내부에는 바닥부(110)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130)는 기둥(105)과 동축으로 연장되며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이에는 후술하는 바늘 고정 블록(310)이 삽입되어 하강된다.The body 100 has a hollow body shape including a pillar 105 and a bottom 110 and is made of synthetic resin. The bottom part 110 is a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and has a through hole 112 through which the needle 300 passes. A needle fixing block receiving portion 130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110 is formed inside the body 100. The needle fixing block receiving portion 130 extends coaxially with the pillar 105, is hollow, and has an open top. The needle fixing block 3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is and lowered.

몸체(10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서 이 부분에 가이드(200)가 결합된다. 가이드(200)의 결합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침이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몸체(100)의 기둥(105)은 하부로 가면서 외경이 약간 넓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기둥(105)의 내벽에는 가이드(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122)가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100)의 바닥부(110)에는 원주를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된 연장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114)는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안정적인 접촉이 가능하게 한다.The upper part of the body 100 is open, so the guide 200 is coupled to this part.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upling and movement of the guide 200 and to keep the needle stable without falling over, the pillar 105 of the body 10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that slightly widens toward the bottom. A locking portion 122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wall of the pillar 105 to prevent the guide 200 from being separated. Additionally, an extension portion 114 that protrudes outward along the circumference is formed at the bottom 110 of the body 100. The extension portion 114 increases the contact area with the skin to enable stable contact.

한편, 몸체(100)의 바닥부(110) 하면에는 점착시트(500)가 부착된다. 점착 시트(500)는 바늘(300)이 통과하는 부분이 뚫려 있는 디스크 형상이다. 점착시트(500)에는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다. 이형지에는 점착시트(500)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부(510)가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an adhesive sheet 50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110 of the body 100. The adhesive sheet 500 has a disk shape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needle 300 passes. Release paper is attached to the adhesive sheet 500. A handle portion 510 is formed on the release paper to facilitate separation from the adhesive sheet 500.

가이드(200)는 시술 시 시술자가 누르는 부위로서 바늘(300)의 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200)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원통 형태로 구성된다. 가이드(20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이다. 가이드(200)는 외벽(210) 및 가압부(220)를 포함한다. 가이드(200)는 몸체(100)에의 삽입 및 몸체(100) 내에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로 가면서 지름이 약간 넓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guide 200 is a part that the operator presses during the procedure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needle 300. The guide 20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upper part closed and the lower part open. The material of the guide 200 is not limited and is synthetic resin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200 includes an outer wall 210 and a pressing portion 220. The guide 20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lightly wider diameter toward the bottom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body 100 and movement within the body 100.

가이드(200)의 외벽(210)은 몸체(100)에 끼워지는 부분이며,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외벽(210)의 하단 바깥부에는 몸체(100) 기둥(105)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부(122)와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212)가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가이드(200)가 몸체(100)와 완전히 분리되어 버리는 현상이 방지된다.The outer wall 210 of the guide 200 is a part fitted into the body 100 and is made of elastic synthetic resin. At the lower outer portion of the outer wall 210, a protrusion 212 that can be coupled to the locking portion 122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pillar 105 of the body 100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This combination prevents the guide 200 from being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body 100.

가압부(220)는 시술자가 침을 누르기 위해 가압하는 부위이다. 가압부(220)의 내면에는 바늘 고정 블록(310)이 결합되는 바늘 고정 블록 결합부(230)가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바늘 고정 블록(310)은 가이드(200)의 바늘 고정 블록 결합부(23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단순히 넣어지는 형태로 되어서, 서로 분리될 수 있다.The pressing part 220 is a part that the operator applies pressure to press the need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220, a needle fixing block coupling portion 230 to which the needle fixing block 310 is couple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cave groove. However, the needle fixing block 310 is not fixedly coupled to the needle fixing block coupling portion 230 of the guide 200 but is simply inserted, so that they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러한 구성의 가이드(200)는 몸체(100) 내에 삽입되고, 몸체(100)에 대해 바늘 고정 블록(310) 및 바늘(300)과 함께 하강할 수 있다.The guide 200 of this configuration is inserted into the body 100 and can be lowered with respect to the body 100 together with the needle fixing block 310 and the needle 300.

바늘 고정 블록(310)은 바늘(3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늘 고정 블록(310)은 바늘 고정 블록 몸체(312)와, 바늘 고정 블록 몸체(312) 상부의 바늘 고정 블록 헤드(314)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외형이 리벳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늘 고정 블록(310)의 하부에는 바늘(300)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The needle fixing block 310 serves to support the needle 300. In this embodiment, the needle fixing block 310 consists of a needle fixing block body 312 and a needle fixing block head 314 on the upper part of the needle fixing block body 312, and has an overall appearance of a rivet shape. A hole into which the needle 30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needle fixing block 310.

바늘(300)은 금속,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된다. 바늘(300)에는 피부 자극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이 코팅되어 있다. 바늘(300)은 바늘 고정 블록 몸체(312)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바늘 고정 블록(310)과 일체로 되며, 그 상태에서 바늘 고정 블록(310)과 함께 가이드(200)에 삽입된다. 이때 바늘(300)은, 가이드(200)가 가압된 상태에서 바늘 고정 블록 몸체(312)의 하부로부터 바닥부(110)의 관통공(112)을 통과하여 피부에 자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The needle 300 is made of metal, preferably stainless steel. The needle 300 is coated with silicone to prevent skin irritation. The needle 300 is inser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needle fixing block body 312 and becomes integrated with the needle fixing block 310, and in that state is inserted into the guide 200 together with the needle fixing block 310. At this time, the needle 300 is formed to a length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kin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of the bottom 110 from the lower part of the needle fixing block body 312 while the guide 200 is pressed. .

이격 조절체(350)는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링 형상이며, 바늘 고정 블록(310)의 하부로부터 바늘 고정 블록 몸체(312)에 끼워진다. 도 2에서 이격 조절체(350)는 바늘 고정 블록 헤드(314)의 하부면에 고정적으로 접합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바늘 고정 블록 헤드(314)에 결합하기만 하면 되며 반드시 고정될 필요는 없다.The spacing adjuster 350 has a ring shape as shown in FIG. 3 and is fitted into the needle fixing block body 312 from the lower part of the needle fixing block 310. In FIG. 2, the spacing adjuster 350 is shown as fixedly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needle fixing block head 314, but it only needs to be coupled to the needle fixing block head 314 and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ixed.

이격 조절체(350)는 가이드(200)와 함께 바늘 고정 블록(310)이 하강할 때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130)의 상부에 접하여 바늘 고정 블록(310)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따라서, 바늘 고정 블록(310)에 결합된 바늘(300)은 이 시점까지만 하강하여 자입된다. 이는 바늘(300)의 자입 깊이가 특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원하는 높이의 이격 조절체(350)를 채용함으로써, 바늘(300)의 자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spacing adjuster 350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needle fixing block 310 by contacting the upper part of the needle fixing block receiving portion 130 when the needle fixing block 310 descends together with the guide 200. Accordingly, the needle 300 coupled to the needle fixing block 310 is lowered and inserted only up to this point. This means that the insertion depth of the needle 300 can be specifi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depth of the needle 300 can be adjusted by employing the spacing adjuster 350 of a desired height.

예를 들어, 도 4의 (a)와 같이 이격 조절체(350)를 높이가 2mm인 것을 채용할 경우 바늘(300)이 피부에 5mm가 자입되도록 침의 규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자입 깊이는 동일한 높이의 이격 조절체(350)를 사용하는 경우 매 시술 시마다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4의 (b)와 같이 이격 조절체(350)를 높이 4mm인 것으로 바꾸어 채용할 경우, 바늘(300)은 약 3mm로 깊이로 자입하게 되며 이 역시 시술 시마다 일정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using the spacing adjuster 350 with a height of 2 mm as shown in (a) of FIG. 4, the needle 300 can be sized so that it penetrates the skin 5 mm. In this case, the insertion depth can be maintained the same for each procedure when the spacing adjuster 350 of the same height is used.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pacing adjuster 350 is changed to a height of 4 mm as shown in (b) of FIG. 4, the needle 300 is inserted to a depth of about 3 mm, and this is also constant for each procedure.

스프링(40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이나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일 수 있다. 스프링(400)은 몸체(100)의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130)의 외주에 끼워진다. 스프링(400)의 상단은 가이드(200)의 가압부(220) 내면에 의해 지지되며, 하단은 몸체(100)의 바닥부(110)에 의해 지지된다.The material of the spring 400 is not limited and may be metal or elastic synthetic resin. The spring 400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needle fixing block receiving portion 130 of the body 100. The upper end of the spring 400 is suppor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220 of the guide 200, and the lower end is supported by the bottom 110 of the body 100.

이러한 구성에 따라 스프링(400)은 침(1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가이드(200)의 하강에 대해 적절한 저항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시술 후에는 가이드(200)의 원상복귀를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pring 400 is stably supported inside the needle 10 and provides appropriate resistance to the lowering of the guide 200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restoring force for returning the guide 200 to its original state after the procedure. .

한편, 몸체(100)의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130) 내 바닥부(110) 위에는 탄성체(600)가 장착된다. 탄성체(600)는 디스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에는 바늘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체(600)는 가이드(200)가 하강할 때 바늘(300)의 급격한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Meanwhile, an elastic body 600 is mounted on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needle fixing block receiving portion 130 of the body 100. The elastic body 600 is preferably disk-shaped, and has a hole formed in the center through which a needle can pass. The elastic body 600 enables control of rapid movement of the needle 300 when the guide 200 descends.

이하, 전술한 구성의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의 사용 방법을 도 10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a needle capable of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 chart of FIG. 10.

본 실시예의 침 사용 방법은 시술자의 가압에 의해 가이드가 몸체(100) 내에서 하강하는 단계(S100), 가이드에 결합된 바늘 고정 블록(310), 바늘 고정 블록(310)에 결합된 이격 조절체(350)와 함께 바늘(300)이 하강하여 피시술자의 피부에 자입되는 단계(S200), 바늘 고정 블록(310)의 하강이 이격 조절체(350)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바늘(300)의 자입이 멈추는 단계(S300), 시술자의 가압 해지에 의해 스프링(400)의 복원력에 따라 가이드(200)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단계(S400), 및 바늘 (300)이 피부에 자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500)로 구성된다.The needle use method of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lowering the guide within the body 100 by pressure from the operator (S100), a needle fixing block 310 coupled to the guide, and a spacing adjuster coupled to the needle fixing block 310. In the step (S200), the needle 300 is lowered together with 350 and inserted into the skin of the patient, and the insertion of the needle 300 is stopped by limiting the descent of the needle fixing block 310 by the spacing adjuster 350. Step (S300), returning the guide 200 to its original position according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400 when the operator releases pressure (S400), and maintaining the needle 300 inserted into the skin (S500) ) is composed of.

각 단계를 설명하면, 먼저 시술 예비 단계로서 점착시트(500)에 부착된 이형지를 손잡이부(510)로부터 제거하고 피시술자의 피부에 점착시트(500)를 부착하여 침(10)을 위치시킨다. 이어서 시술자가 가이드(200)의 가압부(220)를 누르면, 가이드(200)는 몸체(100) 내에서 스프링(400)을 압축하면서 하강한다(S100).To explain each step, first, as a preliminary step for the procedure, the release paper attached to the adhesive sheet 500 is removed from the handle portion 510, the adhesive sheet 500 is attached to the ski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and the needle 10 is placed. Next,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220 of the guide 200, the guide 200 descends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400 within the body 100 (S100).

이에 따라, 가이드(200)에 결합된 바늘 고정 블록(310), 이격 조절체(350) 및 바늘(300)도 하강하여 피시술자의 피부에 자입된다(S200).Accordingly, the needle fixing block 310, the spacing adjuster 350, and the needle 300 coupled to the guide 200 are also lowered and inserted into the skin of the person receiving the treatment (S200).

이어서, 하강하던 이격 조절체(350)의 하부가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130)의 상부면과 접하면 바늘 고정 블록(310) 및 바늘(300)의 추가적인 하강이 제한됨으로써 바늘(300)의 자입이 멈추게 된다(S300).Subsequently, when the lower part of the space adjuster 350, which was descending,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needle fixing block receiving portion 130, further descent of the needle fixing block 310 and the needle 300 is restricted, thereby causing the insertion of the needle 300. This stops (S300).

이후 시술자가 가이드(200)를 누르는 힘을 해지하면, 눌려 있던 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200)가 상승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S400). 가이드(200)는 돌출부(212)가 몸체(100)의 걸림부(122)에 걸림으로써 몸체(100)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Afterwards, when the operator releases the force pressing the guide 200, the guide 200 rises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pressed spring 400 (S400). The guide 200 does not separate from the body 100 because the protrusion 212 is caught by the catching portion 122 of the body 100.

이때, 바늘 고정 블록(310), 이격 조절체(350) 및 바늘(300)은 가이드(200)와는 독립되어 있고 또한 피부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바늘(300)은 가이드(200)와는 분리되면서 피부에는 자입된 상태를 유지한다(S500).At this time, since the needle fixing block 310, the spacer 350, and the needle 300 are independent of the guide 200 and are coupled to the skin, the needle 300 is separated from the guide 200 and adheres to the skin. It maintains the inserted state (S500).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 침(10)의 작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need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10)은 이형지가 제거된 점착시트(500)를 피시술자에 접촉시킴으로써 빗금으로 표시된 피시술자의 피부에 놓이게 된다.As shown in Figure 5, the needle 10 is placed on the skin of the patient, indicated by hatching, by contacting the patient with the adhesive sheet 500 from which the release paper has been removed.

이 상태에서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시술자의 가압에 의해 가이드(200)가 하강하면 바늘 고정 블록(310), 이격 조절체(350) 및 바늘(300)도 하강하며, 바늘(300)은 탄성체(600)와 몸체(100) 바닥부(110)를 통과하여 피시술자의 피부에 자입된다.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ure 6, when the guide 200 is lowered by the operator's pressure, the needle fixing block 310, the spacer 350, and the needle 300 are also lowered, and the needle 300 is an elastic body ( It passes through 600 and the bottom 110 of the body 100 and is inserted into the ski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그리고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이격 조절체(350)의 하부가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130)의 상부면에 접하는 시점에서 가이드(200)는 저항을 받게 되고 하강이 멈추며, 따라서 바늘(300)도 더 이상은 자입되지 않고, 이 상태의 자입 깊이를 유지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 7, at the point where the lower part of the spacing adjuster 3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needle fixing block receiving part 130, the guide 200 receives resistance and stops descending, and thus the needle 300 It is no longer inserted, and the insertion depth in this state is maintained.

이후 시술자가 가이드(200)의 하강 저항을 감지하고 가이드(200)에서 손을 떼어 가압력을 해지하면, 가이드(200)는 스프링(400)의 탄성에 의해 상승하여 도 8에 나타난 것과 같이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나, 바늘 고정 블록(310)은 가이드(200)와 일체로 결합된 것이 아니고 가압부(220) 내면의 바늘 고정 블록 결합부(230)에 단순히 넣어진 상태이므로, 가이드(200)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바늘(300)은 가이드(200)와는 이격되면서 분리되는 반면 피부에는 자입된 상태를 유지한다.Afterwards, when the operator detects the downward resistance of the guide 200 and releases the pressing force by releasing the hand from the guide 200, the guide 200 rises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400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8. do. However, the needle fixing block 310 is not integrally coupled with the guide 200, but is simply inserted into the needle fixing block coupling portion 23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220, so despite the rise of the guide 200 and do not move together. Accordingly, the needle 300 is separated from the guide 200 while remaining inserted into the skin.

한편, 이러한 과정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피시술자는 물론이고 시술자 역시도 본 발명의 거짓침이 진짜침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침(10)과 외형이 같으나 바늘(300)이 피부에 자입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가이드(200)와 일체로 복귀하는 형태의 거짓침이 함께 사용될 경우, 실제 어떤 침이 자입되고 어떤 침이 자입되지 않았는지 피시술자는 물론이고 시술자까지도 구별할 수 없어 완벽한 눈가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정확한 이중맹검 시험의 구현이 가능하다.Meanwhile, since this process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neither the recipient nor the operator can confirm whether the false nee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l needle. Therefore, if the needle 300 has the same appearance as the need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inserted into the skin, for example, if a false needle of a type that returns integrally with the guide 200 is used together, which needle will actually be inserted into the ski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rfect blinding effect as not only the recipient but also the operator cannot distinguish which needle was inserted or no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ccurate double-blind trials.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격 조절체(350)는 바늘 고정 블록(310)의 하부에서 끼워지는 것이 아니고 바늘 고정 블록(3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이격 조절체(350)는 내부가 비어 있는 링 형태가 아니라 디스크 형태여도 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spacing adjuster 350 may not be fitted at the bottom of the needle fixing block 310, but may be coupled to b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needle fixing block 310. In this case, the spacing adjuster 350 may have a disk shape rather than a ring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stated in the patent claims. .

10: 침 100: 몸체
105: 기둥 110: 바닥부
112: 관통공 114: 연장부
122: 걸림부 130: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
200: 가이드 210: 외벽
212: 돌출부 220: 가압부
230: 바늘 고정 블록 결합부 300: 바늘
310: 바늘 고정 블록 312: 바늘 고정 블록 몸체
314: 바늘 고정 블록 헤드 350: 이격 조절체
400: 스프링 500: 점착시트
510: 손잡이부 600: 탄성체
10: needle 100: body
105: pillar 110: bottom
112: Through hole 114: Extension part
122: Locking portion 130: Needle fixing block receiving portion
200: guide 210: outer wall
212: protrusion 220: pressing portion
230: Needle fixing block coupling part 300: Needle
310: Needle fixing block 312: Needle fixing block body
314: Needle fixing block head 350: Spacing adjuster
400: spring 500: adhesive sheet
510: handle part 600: elastic body

Claims (16)

몸체;
상기 몸체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상기 가이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늘 고정 블록;
상기 바늘 고정 블록에 결합되는 바늘;
상기 몸체와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바늘 고정 블록에 결합되는 이격 조절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
body;
a guide coupled to the body so as to be movable within the body;
a needle fixing block coupled to the guide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guide;
a needle coupled to the needle fixing block;
a spring coupled to the body and the guide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guide; and
A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comprising a spacing adjuster coupled to the needle fixing blo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기둥과 바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체 형상이며, 가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
In claim 1,
The body has a hollow shape including a pillar and a bottom, and the upper part is open so that the guide can be inserted. A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중공 원통 형태이며, 외벽 및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
In claim 1,
The guide is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a closed upper part and an open lower part, and includes an outer wall and a pressure part. A needle with an adjustable insertion depth.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기둥과 동축으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바늘 고정 블록이 수용될 수 있는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
In claim 2,
A needle with an adjustable insertion depth, further comprising a needle fixing block accommodating portion extending coaxially from the bottom of the body to the top and coaxial with the column, where the needle fixing block can be accommoda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격 조절체는 링 형상이며 상기 바늘 고정 블록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
In claim 1,
A needle capable of adjusting insertion depth, wherein the spacing adjuster has a ring shape and is coupled from a lower part of the needle fixing blo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바닥부로부터 원주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
In claim 1,
A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characterized in that an extension is formed that protrudes outwar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bod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늘 고정 블록이, 바늘 고정 블록 몸체 및 상기 바늘 고정 블록 몸체 상부의 바늘 고정 블록 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
In claim 3,
A needle with an adjustable insertion depth, characterized in that the needle fixing block consists of a needle fixing block body and a needle fixing block head on an upper part of the needle fixing block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격 조절체의 높이가 2mm이고 가압 시 바늘의 자입 깊이가 5mm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
In claim 1,
A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spacing adjuster is 2 mm and the insertion depth of the needle is maintained at 5 mm when pressuriz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격 조절체의 높이가 4mm이고 가압 시 바늘의 자입 깊이가 3mm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
In claim 1,
A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spacing adjuster is 4 mm and the insertion depth of the needle is maintained at 3 mm when pressuriz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바닥부에 점착 시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
In claim 1,
A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characterized in that an adhesive sheet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ody.
청구항 1에 따른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의 사용 방법으로서,
시술자의 가압에 의해 가이드가 몸체 내에서 하강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에 결합된 바늘이 가이드 및 바늘 고정 블록과 함께 하강하여 바늘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자입되는 단계;
상기 바늘의 하강이 이격 조절체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자입이 멈추는 단계;
시술자의 가압 해지 시 스프링의 복원력에 따라 가이드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단계; 및
상기 바늘이 피부에 자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의 사용 방법.
A method of using a needle capable of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 step where the guide is lowered within the body by pressure from the operator;
A step in which the needle coupled to the guide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guide and the needle fixing block so that the needle is inserted into the skin of the person receiving the treatment;
stopping insertion by limit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needle by a spacing adjuster;
Returning the guide to its original position according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when the operator releases pressure; and
A method of using a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comprising the step of maintaining the needle inserted into the ski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바늘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자입되는 단계에서,
이격 조절체 하부가 바늘 고정 블록 수용부의 상부와 접하여, 바늘 고정 블록 및 바늘의 하강이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의 사용 방법.
In claim 11,
In the step where the needle is inserted into the skin of the recipient,
A method of using a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art of the spacing adjuster contacts the upper part of the needle fixing block receiving part, thereby stopping the needle fixing block and the needle from descending.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단계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의 사용 방법.
In claim 11,
A method of using a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wherein the step of returning the guide to its original position is performed by the restoring force of a spring.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바늘이 피부에 자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가 바늘에 대해 독립적으로 상승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의 사용 방법.
In claim 13,
The step of maintaining the needle inserted into the skin,
A method of using a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rises independently of the needle.
청구항 11에 있어서,
이격 조절체의 높이가 2mm이고 가압 시 바늘의 자입 깊이가 5mm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의 사용 방법.
In claim 11,
A method of using a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spacing adjuster is 2 mm and the insertion depth of the needle is maintained at 5 mm when pressurized.
청구항 11에 있어서,
이격 조절체의 높이가 4mm이고 가압 시 바늘의 자입 깊이가 3mm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침의 사용 방법.
In claim 11,
A method of using a needl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spacing adjuster is 4mm and the insertion depth of the needle is maintained at 3mm when pressurized.
KR1020220091958A 2022-07-25 2022-07-25 Acupunctur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2400143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958A KR20240014342A (en) 2022-07-25 2022-07-25 Acupunctur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and u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958A KR20240014342A (en) 2022-07-25 2022-07-25 Acupunctur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and us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342A true KR20240014342A (en) 2024-02-01

Family

ID=8985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958A KR20240014342A (en) 2022-07-25 2022-07-25 Acupunctur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and us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34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748B1 (en) 2014-09-05 2016-09-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ham Acupuncture Need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748B1 (en) 2014-09-05 2016-09-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ham Acupuncture Nee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3543Y1 (en) Automatic Lancing Device
US94147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thdrawing body fluid
KR101031597B1 (en) Apparatus for pricking acuneedle for double blind test
KR101661398B1 (en) Acupuncture Needle and Acupuncture Needle Set Using The Same
KR102227179B1 (en) Golf tee
KR102159056B1 (en) Sham acupuncture and the using method thereof
KR20240014342A (en) Acupunctur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240014346A (en) Sham acupuncture with adjustable insertion depth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2625893B1 (en) Disposable sham acupuncture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2616014B1 (en) Disposable sham acupuncture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240014351A (en) Acupuncture providing stimulation and using method for the same
KR20240014353A (en) Sham acupuncture providing stimulation and using method for the same
KR102615934B1 (en) Sham acupuncture having laser treated area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2625892B1 (en) Acupuncture having laser treated area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240016503A (en) Acupuncture for double blind test and using method for the same
KR20240016505A (en) Sham acupuncture for double blind test and using method for the same
KR101721404B1 (en) Non-penetrating acupuncture with piston and cylinder
KR102591818B1 (en) Sham acupuncture with magnetic member and using method thereof
US6905417B1 (en) Automatic pool cue tip tapper
KR102502478B1 (en) Acupuncture set for double blind test
KR102458419B1 (en) Sham acupuncture with bond capsule and the using method thereof
KR102591816B1 (en) Acupuncture with magnetic member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2502483B1 (en) Sham acupuncture set for double blind test
KR20220145069A (en) Sham acupuncture with elastic member and the using method thereof
KR102253071B1 (en) Sham acupuncture with bond capsule and the using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