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58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583A
KR20240013583A KR1020220091324A KR20220091324A KR20240013583A KR 20240013583 A KR20240013583 A KR 20240013583A KR 1020220091324 A KR1020220091324 A KR 1020220091324A KR 20220091324 A KR20220091324 A KR 20220091324A KR 20240013583 A KR20240013583 A KR 20240013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cell
slice
ns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엽
아닐 아기왈
강현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1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3583A/ko
Priority to PCT/KR2023/010518 priority patent/WO2024019565A1/ko
Publication of KR20240013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슬라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셀 재선택을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RRC 연결이 설정된 기지국에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를 송신하고,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에 기초한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고,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슬라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방법 및 장치 {A METHOD AND APPARATUS FOR SLICE-BASED CELL RESELECTION USING A PAGING MESS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수신한 슬라이스 정보에 기초해 셀 재선택을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빠른 전송 속도와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3.5 기가헤르츠(3.5GHz) 등 6GHz 이하 주파수('Sub 6GHz') 대역은 물론 28GHz와 39GHz 등 밀리미터파(㎜Wave)로 불리는 초고주파 대역('Above 6GHz')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5G 통신 이후(Beyond 5G)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는 6G 이동통신 기술의 경우, 5G 이동통신 기술 대비 50배 빨라진 전송 속도와 10분의 1로 줄어든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예를 들어, 95GHz에서 3 테라헤르츠(3T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초기에는, 초광대역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고신뢰/초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기계식 통신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에 대한 서비스 지원과 성능 요구사항 만족을 목표로,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초고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뉴머롤로지 지원(복수 개의 서브캐리어 간격 운용 등)와 슬롯 포맷에 대한 동적 운영, 다중 빔 전송 및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초기 접속 기술, BWP(Band-Width Part)의 정의 및 운영,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와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한 폴라 코드(Polar Code)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 L2 선-처리(L2 pre-processing),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등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현재, 5G 이동통신 기술이 지원하고자 했던 서비스들을 고려하여 초기의 5G 이동통신 기술 개선(improvement) 및 성능 향상(enhancement)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으며, 차량이 전송하는 자신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판단을 돕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하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에서 각종 규제 상 요구사항들에 부합하는 시스템 동작을 목적으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단말 저전력 소모 기술(UE Power Saving), 지상 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단말-위성 직접 통신인 비 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 위치 측위(Positioning) 등의 기술에 대한 물리계층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뿐만 아니라, 타 산업과의 연계 및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지원을 위한 지능형 공장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 지원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Conditional Handover)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하는 이동성 향상 기술(Mobility Enhancement), 랜덤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는 2 단계 랜덤액세스(2-step RACH for NR) 등의 기술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쳐/프로토콜 분야의 표준화 역시 진행 중에 있으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기술의 접목을 위한 5G 베이스라인 아키텍쳐(예를 들어, Service based Architecture, Service based Interface),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등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쳐/서비스 분야의 표준화도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강화와 커넥티드 기기들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을 활용한 5G 성능 개선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 드론 통신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이러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6G 이동통신 기술의 테라헤르츠 대역에서의 커버리지 보장을 위한 신규 파형(Waveform),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기술 뿐만 아니라, 6G 이동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를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수신한 슬라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셀을 재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셀 재선택을 하는 방법은, RRC 연결이 설정된 기지국에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에 기초한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슬라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를 통해 슬라이스 그룹과 슬라이스 그룹 우선 순위를 설정받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f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slice-based cell reselection)을 지원하는 단말이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절차를 수행하는 도면이다.
도 1g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slice-based cell reselection)을 지원하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슬라이스 정보가 담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도면이다.
도 1h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slice-based cell reselection)을 지원하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슬라이스 정보가 담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도면이다.
도 1i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slice-based cell reselection)을 지원하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슬라이스 정보가 담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도면이다.
도 1j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slice-based cell reselection)을 지원하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슬라이스 정보가 담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도면이다.
도 1k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slice-based cell reselection)을 지원하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슬라이스 정보가 담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도면이다.
도 1l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m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a-05, 1a-10, 1a-15, 1a-20)과 MME (1a-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S-GW(1a-30, Serving-Gateway)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a-35)은 ENB(1a-05 ~ 1a-20) 및 S-GW(1a-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a에서 ENB(1a-05 ~ 1a-20)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될 수 있다. ENB는 UE(1a-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a-05 ~ 1a-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S-GW(1a-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a-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MME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1b-05, 1b-40), RLC (Radio Link Control 1b-10, 1b-35), MAC (Medium Access Control 1b-15, 1b-30)으로 이루어진다.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1b-05, 1b-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한다. PDCP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 ROHC에 한함 (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RLC AM을 위한 PDCP 재수립 절차에서의 상위 레어이 PDUs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DC에서의 스플릿 베어러 (RLC AM에 대해서만 지원): 송신을 위한 PDCP PDU 라우팅 및 수신을 위한 PDCU PDU 재정렬 (For split bearers in DC (only support for RLC AM): PDCP PDU routing for transmission and 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RLC AM을 위한 재수립 절차에서의 하위 레이어 SDUs의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DC에서의 스플릿 베어러들을 위한 PDCP SDUs 및 RLC AM을 위한 PDCP 데이터-회복 절차에서의 PDCP PDUs의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at handover and, for split bearers in DC, of PDCP PDUs at PDCP data-recovery procedure, for RLC AM)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업링크에서의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1b-10, 1b-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RLC(1b-10, 1b-35)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상위 레이어 PDUs의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오직 AM 데이터 전송을 위한) ARQ를 통한 에러 정정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only for AM data transfer))
- (오직 UM 및 AM 데이터 전송을 위한) RLC SDUs의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오직 AM 데이터 전송을 위한) RLC 데이터 PDUs의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only for AM data transfer))
- (오직 UM 및 AM 데이터 전송을 위한) RLC 데이터 PDUs의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오직 UM 및 AM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오직 AM 데이터 전송을 위한)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only for AM data transfer))
- (오직 UM 및 AM 데이터 전송을 위한)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MAC(1b-15, 1b-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MAC(1b-15, 1b-30)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논리 채널들과 송신 채널들 사이의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전송 채널 상의 물리 계층에 또는 물리 계층으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블록에서의하나 또는 서로 다른 논리 채널들에 속해 있는 MAC SDUs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belonging to one or different logical channels into/from transport blocks (TB) delivered to/from the physical layer on transport channel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를 통한 에러 정정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하나의 UE의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동적인 스케쥴링 수단을 통한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물리 계층(1b-20, 1b-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이하 NR 혹은 2g)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New Radio Node B, 이하 NR gNB 혹은 NR 기지국)(1c-10) 과 NR CN (1c-05, New Radio Core Network)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이하 NR UE 또는 단말)(1c-15)은 NR gNB(1c-10) 및 NR CN (1c-05)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c에서 NR gNB(1c-10)는 기존 LTE 시스템의 eNB (Evolved Node B)에 대응된다. NR gNB는 NR UE(1c-1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NR NB(1c-10)가 담당할 수 있다. 하나의 NR g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현재 LTE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NR CN (1c-05)은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R CN은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존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NR CN이 MME (1c-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MME는 기존 기지국인 eNB (1c-3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d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NR 기지국에서 각각 NR SDAP(1d-01, 1d-45), NR PDCP(1d-05, 1d-40), NR RLC(1d-10, 1d-35), NR MAC(1d-15, 1d-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NR SDAP(1d-01, 1d-4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기능(transfer of user plane data)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 사이의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a QoS flow and a DRB for both DL and UL)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 ID를 마킹하는 기능 (marking QoS flow ID in both DL and UL packets)
- 상향 링크 SDAP PDU들에 대해서 relective QoS flow를 데이터 베어러에 맵핑시키는 기능 (reflective QoS flow to DRB mapping for the UL SDAP PDUs).
SDAP 계층 장치에 대해 단말은 RRC 메시지로 각 PDCP 계층 장치 별로 혹은 베어러 별로 혹은 로지컬 채널 별로 SDAP 계층 장치의 헤더를 사용할 지 여부 혹은 SDAP 계층 장치의 기능을 사용할 지 여부를 설정 받을 수 있으며, SDAP 헤더가 설정된 경우, SDAP 헤더의 NAS QoS 반영 설정 1비트 지시자(NAS reflective QoS)와 AS QoS 반영 설정 1비트 지시자(AS reflective QoS)로 단말이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에 대한 맵핑 정보를 갱신 혹은 재설정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다. SDAP 헤더는 QoS를 나타내는 QoS flow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QoS 정보는 원할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우선 순위, 스케쥴링 정보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NR PDCP (1d-05, 1d-40)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상위 레이어 PDUs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상위 레이어 PDUs의 비순차적 전달 기능 (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수신을 위한 PDCP PDU 순서 재정렬 기능(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하위 레이어 SDUs의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 PDCP SDUs의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NR PDCP 장치의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은 하위 계층에서 수신한 PDCP PDU들을 PDCP SN(sequence number)을 기반으로 순서대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말하며, 재정렬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바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PDCP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RLC(1d-10, 1d-3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상위 레어이 PDUs의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상위 레이어 PDUs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상위 레이어 PDUs의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ARQ를 통한 에러 정정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 RLC SDUs의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 RLC 데이터 PDUs의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 RLC 데이터 PDUs의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을 RLC SN(sequence number) 혹은 PDCP SN(sequence number)를 기준으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SDU가 있을 경우, 유실된 RLC SDU 이전까지의 RLC SDU들만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타이머가 시작되기 전에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현재까지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R RLC 장치는 RLC PDU들을 수신하는 순서대로 (일련번호, Sequence number의 순서와 상관없이, 도착하는 순으로) 처리하여 순서와 상관없이(Out-of sequence delivery) PDCP 장치로 전달할 수도 있으며, segment 인 경우에는 버퍼에 저장되어 있거나 추후에 수신될 segment들을 수신하여 온전한 하나의 RLC PDU로 재구성한 후,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NR RLC 계층은 접합(Concatenation)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접합 기능은 NR MAC 계층에서 수행되거나 NR MAC 계층의 다중화(multiplexing) 기능으로 대체할 수 있다.
NR RLC 장치의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와 상관없이 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의 RLC SN 혹은 PDCP SN을 저장하고 순서를 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해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MAC(1d-15, 1d-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NR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NR MAC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논리 채널들과 송신 채널들 간의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MAC SDUs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를 통한 에러 정정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하나의 UE의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동적 스케쥴링 방법을 통한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NR PHY 계층(1d-20, 1d-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를 통해 슬라이스 그룹과 슬라이스 그룹 우선 순위를 설정받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슬라이스 그룹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슬라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스 그룹은 Network Slice AS Group (NSAG) 로 칭할 수 있다. NSAG (Network Slice AS Group)를 지원하는 단말은 AMF 를 통해 NAS 메시지로 NSAG 정보와 NSAG 별 우선 순위 값을 설정 받을 수 있다. NSAG 정보는 트래킹 영역 (Tracking area, 이하 TA) 별로 설정될 수 있다. NSAG 정보에는 각 NSAG 를 식별하기 위한 NSAG 식별자(NSAG-Id), 특정 슬라이스가 어떤 NSAG에 속하는 지에 대한 매핑 정보, NSAG 별 트래킹 영역 식별자 (Tracking Area Identity, 이하 TAI)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TA 별로 동일한 NSAG 식별자를 사용하지만 상이한 슬라이스(들)로 구성된 경우에 TAI 가 포함될 수 있다. 즉, 특정 NSAG에 TAI 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단말의 등록 영역 (Registration area, 이하 RA)에 속한 모든 TA에서 동일한 슬라이스(들)의 매핑이 적용됨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e를 참조하면, 단말(1e-01)은 RRC 유휴 모드(RRC_IDLE)에 있을 수 있다(1e-05).
1e-1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단말(1e-01)은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e-1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단말(1e-01)은 NR 기지국(1e-02)이 방송(broadcast)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1e-13)하여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과정을 통해 NR suitable cell에 캠프-온 할 수 있다.
RRC 유휴 모드 단말(1e-01)은 캠프-온 한 셀과 RRC 연결 설립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e-20 단계에서 단말(1e-01)은 NR 기지국(1e-02)에게 RRC 연결 설립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를 전송할 수 있다. 1e-25 단계에서, NR 기지국(1e-02)은 단말(1e-01)에게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e-01)은 RRC 연결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설정 정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로 천이(1e-26)할 수 있다.
1e-30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한 단말(1e-01)은 NR 기지국(1e-02)에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상위 계층 장치에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NSSAI (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를 제공한 경우, 단말(1e-01)은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 상위 계층 장치에서 제공한 값들인 s-NSSAI-List를 포함하여 NR 기지국(1e-02)에게 전송할 수 있다. S-NSSAI-List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NSSAI로 구성될 수 있고, 각 S-NSSAI는 SST (Slice/Service Type) 또는 SST와 SST-SD (Slice/Service Type and Slice Differentiator)로 구성될 수 있으며, ASN.1 구조는 하기와 같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1e-30 단계에서, 단말(1e-01)은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 NAS 메시지(DedicatedNAS-Message)를 포함하여 NR 기지국(1e-0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NAS 메시지는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NAS 메시지에는 NSAG (Network Slice AS Group)의 지원 여부가 포함될 수 있다.
1e-35 단계에서, NR 기지국(1e-02)은 AMF(1e-03)에게 registration request메시지를 포워딩할 수 있다.
1e-40 단계에서, NSSF (Network Slicing Selection Function)(1e-04)는 5G Core에서 지원가능한 network slice를 선택하여 AMF(1e-03)에게 전달할 수 있다.
1e-45 단계에서, AMF(1e-03)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N-SSAI 들에 대한 NSAG 정보(NSAG information)와 NSAG 별 우선 순위 정보(NSAG priority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하여 NR 기지국(1e-02)에게 전송할 수 있다. NSAG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슬라이스가 어떤 NSAG에 속하는 지에 대한 매핑 정보와 NSAG 별 식별자 (NSAG-Id)
* PLMN 별 최대 32 개의 NSAG 를 구성할 수 있으며, NSAG(s)는 PLMN 별 고유(unique)할 수 있다.
* TA 별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 트래킹 영역 식별자 (tracking area identity, 이하 TAI) 또는 TA
참고로, NSAG 정보와 NSAG 우선 순위 정보는 UE Configuration Command 메시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1e-45 단계에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는 단말(1e-01)이 요청한 NSSAI 중 지원 불가능한 (Target NSSAI)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NR 기지국(1e-02)에게 전송할 수 있다.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는 주파수/RAT 별 슬라이스 선택 우선순위 인덱스 값 (Index to RAT/Frequency Slice Selection Priority, 이하 RFSP index)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1e-50 단계에서 NR 기지국(1e-02)은 단말(1e-01)에게 DLInformationTransfer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DLInformatonTransfer 메시지에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f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slice-based cell reselection)을 지원하는 단말이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절차를 수행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단말은 Camped normally state (suitable cell에 camp on 해 있는 경우)에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즉, 단말은 NAS(Non-Access Stratum) 로부터 제공받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NSAG (Network Slice AS Group)와 각 NSAG 별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f를 참조하면, 단말(1f-01)은 NR 기지국(1f-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f-05). 참고로, 단말(1f-01)은 전술한 실시 예에 따라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를 통해 NAS 메시지로 NSAG 정보와 NSAG 별 우선 순위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1f-10 단계에서, 단말(1f-01)은 NR 기지국(1f-02)에게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에는 다음 지시자(sliceInfoforCellReselection)가 포함될 수 있다.
- UE가 RRC 유휴 모드(RRC_IDLE)와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을 수행하기 위해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Block, 이하 SIB)와 RRCRelease에 포함된 슬라이스 재선택 정보를 지원하는 지 나타내는 지시자(Indicator whether the UE supports slice reselection information in SIB and on RRCRelease for slice based cell reselection in RRC_IDLE and RRC_INACTIVE).
1f-15 단계에서, NR 기지국(1f-02)은 단말(1f-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는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EUTRA에 대한 주파수 우선 순위 리스트 (freqPriorityListEUTRA)
* FreqPriorityListEUTRA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FreqPriorityEUTRA 로 구성될 수 있으며, 최대 maxFreq (=8)의 FreqPriorityEUTRA 로 구성될 수 있는 리스트이다. 개별 FreqPriorityEUTRA는 캐리어 주파수 (carrier frequency)를 나타내는 기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 값 (ARFCN-ValueEUTRA),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 (CellReselectionPriority), 셀 재선택 보조 우선 순위 값(cellReselectionSubPriority)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은 0 에서 7 중 하나의 정수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셀 재선택 보조 우선 순위 값은 0.2, 0.4, 0.6, 0.6 중 하나의 소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특정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과 셀 재선택 보조 우선 순위 값이 동시에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두 값을 더하여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과 셀 재선택 보조 우선 순위 값 중 하나만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설정된 값으로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 NR에 대한 주파수 우선 순위 리스트 (freqPriorityListNR)
* FreqPriorityListNR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FreqPriorityNR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 능력에 따라) 최대 maxFreq (=8)의 FreqPriorityNR 로 구성될 수 있는 리스트이다. FreqPriorityNR은 캐리어 주파수 (carrier frequency)를 나타내는 기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 값 (ARFCN-ValueNR),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 (CellReselectionPriority), 셀 재선택 보조 우선 순위 값(cellReselectionSubPriority) 증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전술한 내용처럼 각 NR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리스트에 포함된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를 종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로 칭할 수 있다.
- t320 타이머 값
* 타이머 값은 5분, 10분, 20분, 30분, 60분, 120분, 180분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타이머 값은 예시 이외의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설정된 타이머 값으로 T320 타이머를 구동하고 RRC 연결 해제 메시지로 수신한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셀 재선택 평가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T320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멈추기 전까지 단말은 RRC 연결 해제 메시지로 수신한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셀 재선택 평가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타이머 값이 설정되지 않으면, 단말은 RRC 연결 해제 메시지로 수신한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를 지우기 전까지,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셀 재선택 평가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단말은 RRC 연결 해제 메시지로 수신한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셀 재선택 평가 절차를 수행할 때 시스템 정보에서 방송(broadcast)되는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 참고로, T320 타이머와 전술한 내용은 종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와 슬라이스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슬라이싱 전용 주파수 우선 순위 리스트 (freqPriorityListDedicatedSlicing)
* FreqPriorityListDedicatedSlicing 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FreqPriorityDedicatedSlicing 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 능력에 따라) 최대 maxFreq (=8)의 FreqPriorityDedicatedSlicing 로 구성될 수 있는 리스트이다. FreqPriorityDedicatedSlicing 은 캐리어 주파수 (carrier frequency)를 나타내는 기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 값 (ARFCN-ValueNR)과 슬라이스 전용 정보 리스트 (SliceInfoListDedicated)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SliceInfoListDedicated는 Network Slice AS Group (NSAG) 식별 정보 (NSAG-IdentityInfo), NSAG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 (nsag-CellReselectionPriority), NSAG 셀 재선택 보조 우선 순위 값(nsag-CellReselectionSubPriority)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NSAG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은 전술한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정수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NSAG 셀 재선택 보조 우선 순위 값은 전술한 셀 재선택 보조 우선 순위 값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소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NSAG-IdentityInfo는 NSAG 식별자 (NSAG-ID) 와 트레킹 영역 코드(trackingAreaCode)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각 FreqPriorityDedicatedSlicing에 포함된 NR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에 따라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리스트에 포함된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를 슬라이스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로 칭할 수 있다.
1f-15 단계에서, NR 기지국(1f-02)은 동일한 NR 주파수에 대해 종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와 슬라이스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를 동시에 포함시키지 않고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단말(1f-01)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1f-20 단계에서, RRCRelease 를 수신한 단말(1f-01)은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보 설정 정보(suspendConfig)가 포함된 RRCRelease 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RRC 유휴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1f-2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은 필수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필수 시스템 정보는 Master Information Block (MIB) 와 System Information Block 1 (SIB1)을 의미할 수 있다.
1f-3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은 셀 선택 절차를 수행하여 NR suitable cell에 캠프-온 할 수 있다. 단말이 camp on 한 셀을 serving cell이라고 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3GPP 표준 문서 "38.304: User Equipment (UE) procedures in Idle mode and RRC Inactive state"에 기반하여 하기 표 1 조건들을 충족하는 경우 suitable cell로 정의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3
참고로, 단말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면 셀 선택 기준(cell selection criteria)이 충족(fulfil)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4
여기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의 정의는 3GPP 표준 문서 "38.304: User Equipment (UE) procedures in Idle mode and RRC Inactive state"를 참고한다.
1f-3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1f-01)은 셀 재선택 평가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서빙 셀(1f-02)로부터 셀 재선택 정보가 담긴 시스템 정보(일 예로, SIB2, SIB3, SIB4, SIB5, SIB16)를 획득할 수 있다. SIB2에는 단말이 NR intra-frequency, NR inter-frequency, inter-RAT frequency 셀을 재선택하는데 공통으로 적용되는 정보/파라미터와 NR intra-frequency 주변 셀과 관련된 정보를 제외한 NR intra-frequency 셀 재선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SIB2 에는 서빙 NR 주파수 (현재 캠프-온 한 셀이 속해 있는 주파수)에 대한 하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란 cellReselectionPriority 와 cellReselectionSubPriority 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ellReselectionPriority는 정수 값 (일례로, 0부터 7 중 하나의 정수 값)을 포함하며, cellReselectionSubPriority는 소수 값(일례로, 0.2, 0.4, 0.6, 0.8 중 하나의 소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cellReselectionPriority 와 cellReselectionSubPriority이 모두 시그널링 될 경우, 단말은 두 값을 더하여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참고로, 큰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값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SIB2에서 방송(broadcaset)되는 셀 재선택 설정 정보는 하기 표 2와 같을 수 있다.
[표 2]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SIB3은 단말이 NR intra-frequency 셀을 재선택하기 위한 주변 셀 정보/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SIB3에는 NR intra-frequency 셀을 재선택하기 위한 NR intra-frequency 셀 리스트 (intraFreqNeighCellList) 또는 NR intra-frequency 셀 재선택이 허용되지 않는 셀 리스트(intraFreqBlackCellList)가 방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IB3에는 하기 표 3의 정보가 방송될 수 있다.
[표 3]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SIB4는 단말이 NR inter-frequency 셀을 재선택하기 위한 정보/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SIB4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NR inter-frequency를 방송할 수 있으며, 각 NR inter-frequency 별 하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각 NR inter-frequency 별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란 상술한 내용 (예를 들면, 각 NR inter-frequency에 매핑된 cellReselectionPriority and/or cellReselectionSubPriority)을 의미하지만, 각 inter-frequency 별 하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가 선택적(optional)으로 방송되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SIB4에는 하기 표 4의 정보가 방송(broadcast)될 수 있다.
[표 4]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SIB5는 단말이 inter-RAT frequency 셀을 재선택하기 위한 정보/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SIB5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EUTRA frequency를 방송할 수 있으며, 각 EUTRA frequency 별 하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각 EUTRA frequency 별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란 상술한 내용 (예를 들면, 각 EUTRA frequency에 매핑된 cellReselectionPriority and/or cellReselectionSubPriority)을 의미하지만, 각 EUTRA frequency 별 하나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가 선택적(optional)으로 방송되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SIB5에는 하기 표 5의 정보가 방송될 수 있다.
[표 5]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SIB16은 단말이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을 하기 위한 정보/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SIB16에는 SIB2와 SIB4에서 방송되는 NR frequency 들 중 단말이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NR frequency 들에 대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가 방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각 NR frequency 별 슬라이스 정보 리스트(SliceInfoList)가 방송될 수 있다. SliceInfoList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liceInfo 로 구성되며, 각 SliceInfo 에는 nsag-IdentityInfo, nsag-CellReselectionPriority, nsag-CellReselectionSubPriority, sliceCellList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IB16에는 하기 표 6의 정보가 방송될 수 있다.
[표 6]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본 개시에서는 SIB2, SIB4, SIB5에서 방송되는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를 종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로, SIB16에서 방송되는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를 슬라이스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로 칭할 수 있다.
1f-4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1f-01)은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을 위해 재선택 우선 순위를 도출할 수 있다.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cellReselectionPriorities 가 설정되면 전술한 내용처럼 이를 적용하여 재선택 우선 순위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시스템 정보에서 방송되는 재선택 우선 순위를 무시할 수 있다. 반면에, 전술한 내용처럼 RRC 연결 해제 메시지의 cellReselectionPriorities 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시스템 정보에서 방송되는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를 적용하여 재선택 우선 순위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하기 소정의 규칙에 따라 재선택 우선 순위를 도출할 수 있다.
- NAS 로부터 우선 시 된 NSAG 들 중 적어도 하나의 NSAG 를 지원하는 주파수들은 NAS 로부터 받은 NSAG(s) 를 모두 지원하지 않은 주파수보다 높은 재선택 우선 순위를 가진다 (Frequencies that support at least one prioritized NSAG received from NAS have higher re-selection priority than frequencies that support none of the NSAG(s) received from NAS).
- NAS 로부터 받은 NSAG 들 중 적어도 하나의 NSAG 를 지원하는 주파수들은 NAS 가 제공한 NSAG 우선 순위 값에 따라 우선 시 되며, 각 주파수 별 NSAG 우선 순위 값은, 해당 주파수에서 지원되는 (NAS 로부터 받은) NSAG 들 중 가장 높은 NSAG 우선 순위 값을 의미한다 (Frequencies that support at least one NSAG provided by NAS are prioritised in the order of the NAS-provided priority for the NSAG with highest priority supported on the frequency). 일 예로, 특정 주파수에서 NSAG 1 과 NSAG 2를 지원하지만 (NAS 가 제공한) NSAG 1 우선 순위 값이 3 이고, NSAG 2 우선 순위 값이 1 인 경우, 해당 주파수는 NSAG 1 우선 순위 값에 따라 우선 시 될 수 있다.
- 동일한 NSAG 우선 순위 값들을 지니는 가장 높게 우선 시 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NSAG를 지원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주파수들에 대해서는 nsag-CellReselectionPrioriry and/or nsag-CellReselectionSubPriority의 순서대로 우선 시 될 수 있다 (Among the frequencies (one or multiple) that support the highest prioritized NSAG(s) with the same NAS-provided priorities, the frequencies are prioritized in the order of their highest nsag-CellReselectionPriority given for these NSAG(s)). 일 예로, 주파수 1은 NSAG 1 (NSAG 1 우선 순위 값은 2)을 지원하고 주파수 2은 NSAG 2 (NSAG 2 우선 순위 값은 2)을 지원하고, 주파수 1에서 NSAG 1에 대한 nsag-CellReselectionPriority 가 3 으로 방송되고, 주파수 2에서 NSAG 2에 대한 nsag-CellReselectionPriority 가 2 로 방송되는 경우, 주파수 1이 주파수 2 보다 우선 시 될 수 있다.
- NAS 가 제공한 NSAG 를 지원하는 주파수들 중 해당 NSAG에 대해 nasg-CellReselectionPriority 가 지시된 주파수들은 nsag-CellReselectionPriority 가 지시되지 않은 주파수들 보다 높은 재선택 우선 순위를 가진다 (Frequencies that support a NSAG provided by NAS and that indicate nsag-CellReselectionPriority for the NSAG have higher re-selection priority than frequencies that support this prioritized NSAG without indicating nsag-CellReselectionPriority for the NSAG). 또는 NSA 가 제공한 NSAG 를 지원하는 주파수들 중 해당 NSAG 에 대해 0 보다 큰 값으로 nasg-CellReselctionPriority 및/또는 nsag-CellReselectionSubPriority 가 지시되는 주파수들은 nsag-CellReselectionPriority 와 nsage-CellReselectionSubPriority 가 지시되지 않은 주파수들 보다 높은 재선택 우선 순위를 가진다 (Freqeuncies that support a NSAG provided by NAS and that indicate nsag-CellReselectionPriority (greater than 0) and/or nsag-CellReselectionSubPriority (greater than 0) have higher re-selection priority than frequencies support this prioritized NSAG without indicating nsag-CellReselectionPriority and/or nsag-CellReselectionSubPriority for the NSAG).
- NAS 가 제공한 NSAG(s)를 모두 지원하지 않은 주파수들은 종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우선 시 될 수 있다 (Frequencies that support none of the NSAG(s) provided by NAS are prioritized in the order of their cellReselectionPriority and/or cellReselectionSubPriority).
참고로, 단말은 하기 조건이 충족하면 해당 주파수는 NASG에 매핑된 모든 슬라이스를 지원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UE considers an NR frequency to support all slices of an NSAG if).
- the corresponding nsag-ID is indicated for the NR frequency and valid for current TA.
1f-4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1f-01)은 셀 재선택을 위해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1f-40 단계에서 결정한 셀 재선택 우선 순위에 따라 다음의 측정 규칙(measurement rule)을 사용하여 주파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 단말은 하기 조건 1 을 만족하면, NR intra-frequency 측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일 예로, 하기 조건 1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 단말은 NR intra-frequency 측정을 수행한다.
* 조건 1: 서빙 셀의 수신 레벨(Srxlev)이 SIntraSearchP 임계값보다 크고 서빙 셀의 수신 품질(Squal)이 SIntraSearchQ 임계값보다 크다 (Serving cell fulfils Srxlev > SIntraSearchP and Squal > SIntraSearchQ).
- 현재 서빙 셀의 NR frequency 보다 재선택 우선순위가 높은 NR inter-frequency 또는 inter-RAT frequency에 대해 단말은 3GPP TS 38.133 규격에 따라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 현재 서빙 셀의 NR frequency 보다 재선택 우선 순위가 낮거나 같은 NR inter-frequency와 현재 서빙 셀의 NR frequency 보다 재선택 우선 순위가 낮은 inter-RAT frequency에 대해, 단말은 하기 조건 2를 만족하면, 측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일 예로, 하기 조건 2를 만족하지 않은 경우), 단말은 NR frequency 보다 재선택 우선 순위가 낮거나 같은 NR inter-frequency에 있는 셀들을 측정하고 또는 NR frequency 보다 재선택 우선 순위가 낮은 inter-RAT frequency에 있는 셀들을 측정한다.
* 조건 2: 서빙 셀의 수신 레벨(Srxlev)이 SnonIntraSearchP 임계값보다 크고 서빙 셀의 수신 품질(Squal)이 SnonIntraSearchQ 임계값보다 크다 (Serving cell fulfils Srxlev > SnonIntraSearchP and Squal > SnonIntraSearchQ).
참고로, 전술한 임계값들(SintraSearchP, SintraSearchQ, SnonIntraSearchP SnonintraSearchQ)은 1h-20 단계에서 획득한 시스템 정보에서 방송될 수 있다.
1f-50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1f-01)은 1f-45 단계에서 수행한 측정 값을 기반으로 셀 재선택 기준(cell reselection criteria)을 만족하는 셀을 재선택하고자 결정할 수 있다. 셀 재선택 기준은 셀 재선택 우선 순위에 따라 상이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셀 재선택 기준(Cell re-selection criteria)을 만족하는 여러 개의 셀이 다른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가지고 있을 경우 높은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가진 frequency/RAT 셀을 재선택하는 것이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 frequency/RAT 셀을 재선택하는 것보다 우선된다(Cell reselection to a higher priority RAT/frequency shall take precede over a lower priority RAT/frequency if multiple cells of different priorities fulfil the cell reselection criteria). 구체적으로, 현재 서빙 셀의 주파수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inter-frequency/inter-RAT 셀의 재선택 기준에 대한 단말의 동작은 아래와 같다.
- 제 1 동작:
* 만약 SIB2에 threshServingLowQ에 대한 임계값이 포함되어 방송되며 단말이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 한지 1초가 지난 경우, inter-frequency/inter-RAT 셀의 신호 품질(Squal)이 특정 시간 TreselectionRAT 동안 임계값 ThreshX,HighQ 보다 크면(Squal > ThreshX,HighQ during a time interval TreselectionRAT), 단말은 해당 inter-frequency/inter-RAT 셀로의 재선택을 수행한다.
- 제 2 동작:
* 단말은 제 1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제 2 동작을 수행한다.
* 단말이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 한지 1초가 지나고 inter-frequency/inter-RAT 셀의 수신 레벨(Srxlev)이 특정 시간 TreselectionRAT 동안 임계값 ThreshX,HighP 보다 크면(Srxlev > ThreshX, HighP during a time interval Treselection-RAT-), 단말은 해당 inter-frequency/inter-RAT 셀로의 재선택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은 inter-frequency 셀의 신호 품질(Squal), 수신 레벨(Srxlev), 임계값들(ThrehX, HighQ, ThreshX, HighP), TreselectionRAT 값들은 서빙 셀에서 방송되는 SIB4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동작 혹은 제 2 동작을 수행하며, inter-RAT 셀의 신호 품질(Squal), 수신 레벨(Srxlev), 임계값(ThreshX,HighQ, ThreshX, HighP), TreselectionRAT 값들은 서빙 셀에서 방송되는 SIB5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동작 혹은 제 2 동작을 수행한다. 일 예로, SIB4에는 Qqualmin 값 혹은 Qrxlevmin 값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inter-frequency 셀의 신호 품질(Squal) 혹은 수신 레벨(Srxlev)을 도출한다. 만약 높은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만족하는 NR 주파수에 있는 셀들이 복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하기 상술하는 현재 서빙 셀의 주파수와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 intra-frequency/inter-frequency 셀의 재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셀들에서 제일 rank가 높은 셀(highest ranked cell)로 재선택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서빙 셀의 주파수와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 intra-frequency/inter-frequency 셀의 재선택 기준에 대한 단말의 동작은 아래와 같다.
- 제 3 동작:
* intra-frequency/inter-frequency 셀의 신호 품질(Squal)과 수신 레벨(Srxlev)이 0 보다 큰 경우, 측정값(RSRP)을 기반으로 셀 별 Rank를 도출한다(The UE shall perform ranking of all cells that fulfils the cell selection criterion S). 서빙 셀과 주변 셀의 Rank는 아래의 수학식 2를 통해 각각 계산된다.
[수학식 2]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여기서 Qmeas,s는 서빙 셀의 RSRP 측정값, Qmeas,n는 주변 셀의 RSRP 측정값, Qhyst는 서빙 셀의 hysteresis 값, Qoffset은 서빙 셀과 주변 셀간의 오프셋이다. SIB2에 Qhyst 값이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값은 intra-frequency/inter-frequency 셀의 재선택에 대해 공통으로 사용된다. Intra-frequency 셀의 재선택의 경우, Qoffset은 셀 별로 시그날링 되며, 지시된 셀에 대해서만 적용되며, SIB3에 포함되어 있다. Inter-frequency 셀의 재선택의 경우, Qoffset은 셀 별로 시그날링 되며, 지시된 셀에 대해서만 적용되며, SIB4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의 수학식 2로부터 구해진 주변 셀의 Rank가 서빙 셀의 Rank보다 큰 경우(R-n > Rs)에 대해, 주변 셀 중 최적의 셀로 재선택 한다.
또한, 현재 서빙 셀의 주파수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inter-frequency/inter-RAT 셀의 재선택 기준에 대한 단말의 동작은 아래와 같다.
- 제 4 동작:
* 만약 SIB2에 threshServingLowQ에 대한 임계값이 포함되어 방송되며 단말이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 한지 1초가 지난 경우, 현재 서빙 셀의 신호 품질(Sqaul)이 임계값 ThreshServing, LowQ 보다 작고(Squal < ThreshServing, LowQ) inter-frequency/inter-RAT 셀의 신호 품질(Squal)이 특정 시간 TreselectionRAT 동안 임계값 ThreshX, LowQ- 보다 크면(Squal > ThreshX,LowQ during a time interval TreselectionRAT), 단말은 해당 inter-frequency/inter-RAT 셀로의 재선택을 수행한다.
- 제 5 동작:
* 단말은 제 4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제 5 동작을 수행한다.
* 단말이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 한지 1초가 지나고, 현재 서빙 셀의 수신 레벨(Srxlev)이 임계값 ThreshServing, LowP 보다 작고(Srxlev < ThreshServing, LowP) inter-frequency/inter-RAT 셀의 수신 레벨(Srxlev)이 특정 시간 TreselectionRAT 동안 임계값 ThreshX, LowQ- 보다 크면(Srxlev > ThreshX,LowP during a time interval TreselectionRAT), 단말은 해당 inter-frequency/inter-RAT 셀로의 재선택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의 inter-frequency 셀에 대한 제 4 동작 혹은 제 5 동작은 서빙 셀에서 방송되는 SIB2에 포함되어 있는 임계값들(ThreshServing, LowQ, ThreshServing, LowP)과 서빙 셀에서 방송되는 SIB4에 포함되어 있는 inter-frequency 셀의 신호 품질(Squal), 수신 레벨(Srxlev), 임계값들(ThrehX, LowQ, ThreshX, LowP), TreselectionRAT를 기반으로 수행하며, 단말의 inter-RAT 셀에 대한 제 4 동작 혹은 제 5 동작은 서빙 셀에서 방송되는 SIB2에 포함되어 있는 임계값들(ThreshServing, LowQ, ThreshServing, LowP)과 서빙 셀에서 방송되는 SIB5에 포함되어 있는 inter-RAT 셀의 신호 품질(Squal), 수신 레벨(Srxlev), 임계값들(ThreshX,LowQ, ThreshX, LowP), TreselectionRAT를 기반으로 수행한다. 일 예로, SIB4에는 Qqualmin 값 혹은 Qrxlevmin 값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inter-frequency 셀의 신호 품질(Squal) 혹은 수신 레벨(Srxlev)을 도출한다. 만약 높은 셀 재선택 우선 순위를 만족하는 NR 주파수에 있는 셀들이 복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하기 상술하는 현재 서빙 셀의 주파수와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 intra-frequency/inter-frequency 셀의 재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셀들에서 제일 rank가 높은 셀(highest ranked cell)로 재선택 할 수 있다. 물론 현재 서빙 셀의 주파수 보다 높은 우선 순위 또는 낮은 우선 순위를 지니는 주파수에서 전술한 조건이 충족하여 하나의 후보 셀이 도출되는 경우 단말은 가장 좋은 셀(best cell)로 재선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말 (For a UE performing slice-baesd cell reselection)은 1f-40 단계에 따라 도출한 NSAG 와 주파수에 대한 재선택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특정 주파수에서 1f-50 단계에서 상술한 셀 재선택 기준을 만족하는 best cell 또는 highest ranked cell이 해당 NSAG 를 지원하는지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하기 조건들을 충족하면 해당 주파수에 있는 셀이 NASG에 매핑된 모든 슬라이스를 지원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UE considers a cell on an NR frequency to support all slices of an NSAG if).
- the corresponding nsag-ID is indicated for the NR frequency and valid for current TA; and
- the cell is either listed in the sliceAllowedCellListNR (if provided in the used slice specific cell reselection information) or the cell is not listed in the sliceExcludedCellListNR (if provided in the used slice specific cell reselection information); or
- Neither sliceAllowedCellListNR nor sliceExcludedCellListNR is configured in the used slice specific cell reselection information
만약 best cell 또는 highest ranked cell 이 해당 NSAG 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if a best cell or highest ranked cell in a frequency fulfils the cell reselection criteria in 1f-50 for cell reselection based on re-selection priority for the frequency and NSAG derived according to 1f-40 but this cell does not support the NSAG as described above), 단말은 해당 cell (best or highest ranked cell)에서 지원하는 NSAG(s)을 고려하여 해당 주파수의 재선택 우선 순위가 아닌 해당 cell 이 운용되는 주파수에 대해 재선택 우선 순위를 1f-40 단계에 따라 재도출할 수 있다(the UE shall re-derive a re-selection priority for the frequency by considering the NSAG(s) supported by this cell (rather than those of the corresponding NR frequency) according to 1f-40). 재도출한 재선택 우선 순위는 최대 300 초까지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NAS 로부터 신규 NSAG 정보와 NSAG 별 우선 순위를 받기 전까지 사용될 수 있다 (This reselection priority is used for a maximum of 300 seconds, or until new information of NSAG(s) and their priorities are received from NAS). 단말은 새롭게 도출한 재선택 우선 순위들에 기반하여 상술한 셀 재선택 기준이 만족하는 지 보장할 수 있다(UE shall ensure the cell reselection criteria above are fulfilled based on newly derived priorities).
1f-5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단말(1f-01)은 후보 타겟 셀(candidate target cell)을 최종적으로 재선택하기 전에 후보 타겟 셀에서 방송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MIB 혹은 SIB1)를 수신하고, 수신한 시스템 정보에 기반하여 후보 타겟 셀의 수신 레벨(Srxlev)과 수신 품질(Squal)이 S-criterion (수학식 1) 이라고 칭해지는 셀설렉션 기준(Cell selection criterion)을 충족(Srxlev > 0 AND Squal > 0)하는 지 판단한다. 단말은 수학식 1이 충족하고 후보 타겟 셀이 suitable 하면, 후보 타겟 셀을 재선택할 수 있다.
도 1g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slice-based cell reselection)을 지원하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슬라이스 정보가 담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도면이다.
도 1g를 참조하면,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을 지원하는 단말(1g-01)은 NR 기지국 (1g-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g-05).
1g-10 단계에서, 단말(1g-01)은 NR 기지국(1g-02)에게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에는 다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 페이징 메시지에 단말에 대한 페이징 기록에 포함된 슬라이스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시자
1g-15 단계에서, 단말(1g-01)은 AMF(1g-03)에게 NA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NAS 메시지는 Registration request, Service request 등을 의미할 수 있다. NAS 메시지에는 다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 페이징 메시지에 단말에 대한 페이징 기록에 포함된 슬라이스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시자
1g-20 단계에서, NR 기지국(1g-02)은 단말(1g-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
1g-25 단계에서, 단말(1g-02)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로 천이할 수 있다. 1g-20 단계에서 수신한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유보 설정 정보(suspendConfig)가 포함될 경우,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RRC 유휴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1g-30 단계에서, 단말(1g-01)은 NR 기지국(1g-02)이 개시한 랜 페이징 메시지(RAN-initiated paging) 또는 AMF(1g-03)가 개시한 코어 네트워크 페이징 메시지(CN-initated paging)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이 RRC 비활성화 모드인 경우, RAN-initiated paging 또는 CN-intiated paging을 모니터링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이 RRC 유휴 모드인 경우, CN-initiated paging을 모니터링하여 수신할 수 있다. 참고로,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CN-initiated paging을 수신한 경우, RRC 유휴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 수신 시 단말은 어떤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할 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본 개시에서는 페이징 메시지에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슬라이스 정보가 페이징 기록 별로 포함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 방법 1: 기존에 정의된 pagingRecordList와 동일한 순서대로, 슬라이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새로운 pagingRecordList를 정의하여 paging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표 7의 밑줄 친 부분이 방법 1을 의미). 일례로, 기존에 정의된 pagingRecordList가 3개의 pagingRecord (예를 들어, PagingUE-Identity 1, PagingUE-Identity 2, PagingUE-Identity 3)로 구성되어 있다면, 이와 동일한 순서대로 각 pagingRecord에 슬라이스 정보(nsag-IdentityInfo)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슬라이스 정보는 nsag-IdentityInfo 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nsag-Id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1 비트 지시자로 구성 (일 예로, 현재 셀에서 Paging 메시지로 인한 슬라이스 서비스가 지원 가능한 지를 나타내는 여부)될 수도 있다. 또한 페이징 기록 별 슬라이스 정보는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셀에서 해당 슬라이스 정보가 지원이 되지 않을 경우에만 또는 지원이 되는 경우에만 포함이 될 수도 있으며, 이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방법 1의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기록에 슬라이스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면, 새로운 pagingRecordList를 항상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시켜야 한다.
[표 7]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 방법 2: 기존에 정의된 pagingRecordList와 별도의 신규 pagingRecordListforSlice를 정의하여 paging message를 구성할 수 있다. 신규 pagingRecordListforSlice 에는 슬라이스 정보가 포함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agingRecord로 구성될 수 있다 (표 8의 밑줄 친 부분이 방법 2를 의미). 즉,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pagingRecord는 기존에 정의된 pagingRecordList에 포함되고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pagingRecord는 신규 pagingRecordListforSlice에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슬라이스 정보는 nsag-IdentityInfo 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nsag-Id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1 비트 지시자로 구성 (일 예로, 현재 셀에서 Paging 메시지로 인한 슬라이스 서비스가 지원 가능한 지를 나타내는 여부)될 수도 있다. 또한 페이징 기록 별 슬라이스 정보는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셀에서 해당 슬라이스 정보가 지원이 되지 않을 경우에만 또는 지원이 되는 경우에만 포함이 될 수도 있으며, 이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방법 2의 장점은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기록 리스트와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페이징 기록 리스트를 별도로 운용함으로써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표 8]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 방법 3: 기존에 정의된 pagingRecordList와 별도의 신규 pagingRecordListforSlice를 정의하되 페이징 기록 별 단말 식별 인덱스를 도입하여 paging message를 구성할 수 있다. 신규 pagingRecordListforSlice 에는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agingRecord로 구성될 수 있다 (표 9의 밑줄 친 부분이 방법 3를 의미). 이 때, pagingRecord 별 단말을 나타내는 식별자(ue-IdentityIndex)는 종래 pagingRecordList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일례로, 기존에 정의된 pagingRecordList가 3개의 pagingRecord (예를 들어, PagingUE-Identity 1, PagingUE-Identity 2, PagingUE-Identity 3)로 구성되어 있다면, ue-IdentityIndex=3 은 PagingUE-Identity 3을 의미할 수 있다.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pagingRecord는 신규 pagingRecordListforSlice에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슬라이스 정보는 nsag-IdentityInfo 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nsag-Id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1 비트 지시자로 구성 (일 예로, 현재 셀에서 Paging 메시지로 인한 슬라이스 서비스가 지원 가능한 지를 나타내는 여부) 될 수도 있다. 또한 페이징 기록 별 슬라이스 정보는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셀에서 해당 슬라이스 정보가 지원이 되지 않을 경우에만 또는 지원이 되는 경우에만 포함이 될 수도 있으며, 이는 기지국의 운용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방법 3의 장점은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기록 리스트가 적을 경우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의 오버헤드가 감소하여 효율적으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표 9]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참고로,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 수신 시 슬라이스 정보를 상위 계층 장치(upper layers)로 전달(forward)할 수 있다.
도 1h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slice-based cell reselection)을 지원하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슬라이스 정보가 담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도면이다.
도 1h를 참조하면,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을 지원하는 단말(1h-01)은 NR 기지국 (1h-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h-05).
1h-10 단계에서, 단말(1h-01)은 NR 기지국(1h-02)에게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에는 다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 페이징 메시지에 단말에 대한 페이징 기록에 포함된 슬라이스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시자
1h-15 단계에서, 단말(1h-01)은 AMF(1h-03)에게 NA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NAS 메시지는 Registration request, Service request 등을 의미할 수 있다. NAS 메시지에는 다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 페이징 메시지에 단말에 대한 페이징 기록에 포함된 슬라이스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시자
1h-20 단계에서, NR 기지국(1h-02)은 단말(1h-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
1h-25 단계에서, 단말(1h-02)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로 천이할 수 있다. 1h-20 단계에서 수신한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유보 설정 정보(suspendConfig)가 포함될 경우,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RRC 유휴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1h-30 단계에서, 단말(1h-01)은 NR 기지국(1h-02)이 개시한 랜 페이징 메시지(RAN-initiated paging) 또는 AMF(1h-03)가 개시한 코어 네트워크 페이징 메시지(CN-initated paging)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이 RRC 비활성화 모드인 경우, RAN-initiated paging 또는 CN-intiated paging을 모니터링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이 RRC 유휴 모드인 경우, CN-initiated paging을 모니터링하여 수신할 수 있다. 참고로,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CN-initiated paging을 수신한 경우, RRC 유휴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 수신 시 단말은 어떤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할 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본 개시에서는 페이징 메시지에 슬라이스 정보 별 페이징 기록 리스트 별로 포함될 수 있는 것을 제안한다.
- 방법: 슬라이스 정보 별 페이징 기록 리스트 (pagingRecordListperSlice)를 정의하여 paging message를 구성할 수 있다. 즉, 특정 슬라이스에 매핑된 페이징 기록들을 하나의 리스트로 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슬라이스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페이징 기록을 paging message에 포함시킬 수 있다. 각 페이징 기록에는 ue-Identity, accessType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슬라이스 정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참고로,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 수신 시 슬라이스 정보를 상위 계층 장치(upper layers)로 전달(forward)할 수 있다.
도 1i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slice-based cell reselection)을 지원하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슬라이스 정보가 담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도면이다.
도 1i를 참조하면,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을 지원하는 단말(1i-01)은 NR 기지국 (1i-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i-05).
1i-10 단계에서, 단말(1i-01)은 NR 기지국(1i-02)에게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에는 다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 페이징 메시지에 단말에 대한 페이징 기록에 포함된 슬라이스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시자
1i-15 단계에서, 단말(1i-01)은 AMF(1i-03)에게 NA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NAS 메시지는 Registration request, Service request 등을 의미할 수 있다. NAS 메시지에는 다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 페이징 메시지에 단말에 대한 페이징 기록에 포함된 슬라이스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시자
1i-20 단계에서, NR 기지국(1i-02)은 단말(1i-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
1i-25 단계에서, 단말(1i-02)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로 천이할 수 있다. 1i-20 단계에서 수신한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유보 설정 정보(suspendConfig)가 포함될 경우,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RRC 유휴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1i-30 단계에서, 단말(1i-01)은 NR 기지국(1i-02)이 개시한 랜 페이징 메시지(RAN-initiated paging) 또는 AMF(1i-03)가 개시한 코어 네트워크 페이징 메시지(CN-initated paging)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페이징 메시지가 구성될 수 있다.
1i-35 단계에서, 단말을 지시한 페이징 기록의 슬라이스 정보가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1i-01)은 슬라이스 정보를 지원하는 주파수들을 가장 높은 재선택 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을 지시한 페이징 기록의 슬라이스 정보가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1i-01)은 슬라이스를 가장 높은 NSAG 우선 순위로 결정 (일례로, AMF가 설정한 NSAG 우선 순위랑 다르게 가장 높은 NSAG 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 예 (도 1e)에 따라 셀 재선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1i-30 단계는 단말(1i-01)이 현재 서빙 셀이 단말을 위해 지시한 페이징 기록에 슬라이스 정보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에만 수행되어 단말(1i-01)은 1i-35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1i-40 단계에서, 단말(1i-01)은 랜덤 엑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RRC 연결 설립 절차(RRC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RRC resume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1i-01)은 단말을 지시한 페이징 기록에 슬라이스 정보와 연관된 slice-specific RACH 설정을 이용하여 랜덤 엑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lice-specific RACH 설정은 시스템 정보에 기반한 것이다.
도 1j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slice-based cell reselection)을 지원하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슬라이스 정보가 담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도면이다.
도 1j를 참조하면,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을 지원하는 단말(1j-01)은 NR 기지국 (1j-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j-05).
1j-10 단계에서, 단말(1j-01)은 NR 기지국(1j-02)에게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에는 다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 페이징 메시지에 단말에 대한 페이징 기록에 포함된 슬라이스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시자
1j-15 단계에서, 단말(1j-01)은 AMF(1j-03)에게 NA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NAS 메시지는 Registration request, Service request 등을 의미할 수 있다. NAS 메시지에는 다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 페이징 메시지에 단말에 대한 페이징 기록에 포함된 슬라이스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시자
1j-20 단계에서, NR 기지국(1j-02)은 단말(1j-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는 신규 타이머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 수신 시 신규 타이머 값으로 신규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신규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에 지시된 슬라이스 정보를 지원하는 셀로 선택 또는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1j-25 단계에서, 단말(1j-02)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로 천이할 수 있다. 1j-20 단계에서 수신한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유보 설정 정보(suspendConfig)가 포함될 경우,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RRC 유휴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1j-27 단계에서, 단말(1j-01)은 NR 기지국(1j-02)이 방송하는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신규 타이머 값이 방송될 수 있다.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 수신 시 신규 타이머 값으로 신규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신규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에 지시된 슬라이스 정보를 지원하는 셀로 선택 또는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1j-30 단계에서, 단말(1j-01)은 NR 기지국(1j-02)이 개시한 랜 페이징 메시지(RAN-initiated paging) 또는 AMF(1j-03)가 개시한 코어 네트워크 페이징 메시지(CN-initated paging)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페이징 메시지가 구성될 수 있다.
1j-35 단계에서, 단말을 지시한 페이징 기록에 슬라이스 정보가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은 슬라이스 정보를 지원하는 주파수들을 가장 높은 재선택 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단말을 지시한 페이징 기록에 슬라이스 정보가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슬라이스를 가장 높은 NSAG 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 예 (도 1e)에 따라 셀 재선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1j-30 단계는 단말은 현재 서빙 셀이 단말을 위해 지시한 페이징 기록에 슬라이스 정보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에만 수행되어 단말은 1j-35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1j-35 단계는 단말이 현재 서빙 셀이 단말을 위해 지시한 페이징 기록에 슬라이스 정보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단말은 전술한 신규 타이머 값으로 신규 타이머를 구동하고 신규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만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셀 선택 또는 재선택 시 1j-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단말은 현재 셀 선택 또는 재선택 없이 현재 캠핑 셀에서도 1j-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신규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슬라이스 정보를 지원하는 셀로 선택 또는 재선택을 하지 못하는 경우, 현재 셀에서 1j-40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술한 신규 타이머 값은 pre-defined 되어 있을 수도 있다.
1j-40 단계에서, 단말은 랜덤 엑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RRC 연결 설립 절차(RRC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RRC resume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을 지시한 페이징 기록에 슬라이스 정보와 연관된 slice-specific RACH 설정을 이용하여 랜덤 엑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lice-specific RACH 설정은 시스템 정보에 기반한 것이다.
도 1k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slice-based cell reselection)을 지원하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슬라이스 정보가 담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도면이다.
도 1k를 참조하면,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을 지원하는 단말(1k-01)은 NR 기지국 (1k-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k-05).
1k-10 단계에서, 단말(1k-01)은 NR 기지국(1k-02)에게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에는 다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 페이징 메시지에 단말에 대한 페이징 기록에 포함된 슬라이스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시자
1k-15 단계에서, 단말(1k-01)은 AMF(1k-03)에게 NA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NAS 메시지는 Registration request, Service request 등을 의미할 수 있다. NAS 메시지에는 다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 페이징 메시지에 단말에 대한 페이징 기록에 포함된 슬라이스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시자
1k-20 단계에서, NR 기지국(1k-02)은 단말(1k-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에는 신규 타이머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신규 타이머 값으로 신규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신규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에 지시된 슬라이스 정보를 지원하는 셀을 선택할 수 있다.
1k-25 단계에서, 단말(1k-02)은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로 천이할 수 있다. 1k-20 단계에서 수신한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유보 설정 정보(suspendConfig)가 포함될 경우, 단말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RRC 유휴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1k-27 단계에서, 단말(1k-01)은 NR 기지국(1k-02)이 방송하는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신규 타이머 값이 방송될 수 있다.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 수신 시 신규 타이머 값으로 신규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신규 타이머가 구동되는 동안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에 지시된 슬라이스 정보를 지원하는 셀을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1k-30 단계에서, 단말(1k-01)은 NR 기지국(1k-02)이 개시한 랜 페이징 메시지(RAN-initiated paging) 또는 AMF(1k-03)가 개시한 코어 네트워크 페이징 메시지(CN-initated paging)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페이징 메시지가 구성될 수 있다.
1k-35 단계에서, 단말은 단말을 지시한 페이징 기록의 슬라이스 정보가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슬라이스 정보를 지원하는 셀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셀 선택 과정을 수행한다는 의미이다. 또는 1k-35 단계는 단말이 현재 서빙 셀이 단말을 위해 지시한 페이징 기록에 슬라이스 정보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단말은 전술한 신규 타이머 값으로 신규 타이머를 구동하고 신규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만 셀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선택 시 1k-4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신규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슬라이스 정보를 지원하는 셀로 선택을 하지 못하는 경우, 현재 셀에서 1k-40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참고로 신규 타이머 값은 pre-defined 되어 있을 수도 있다.
1k-40 단계에서, 단말은 랜덤 엑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RRC 연결 설립 절차(RRC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RRC resume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을 지시한 페이징 기록에 슬라이스 정보와 연관된 slice-specific RACH 설정을 이용하여 랜덤 엑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lice-specific RACH 설정은 시스템 정보에 기반한 것이다.
도 1l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 1l을 참고하면,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1l-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1l-20), 저장부(1l-30), 제어부(1l-40)를 포함할 수 있다.
RF처리부(1l-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RF처리부(1l-10)는 기저대역처리부(1l-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처리부(1l-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 1l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처리부(1l-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1l-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1l-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F 처리부는 MIMO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l-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l-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l-20)는 RF처리부(1l-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접속 기술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l-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l-20)은 RF처리부(1l-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l-20) 및 RF처리부(1l-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1l-20) 및 RF처리부(1l-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기저대역처리부(1l-20) 및 RF처리부(1l-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1l-20) 및 RF처리부(1l-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NRHz, NR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l-30)는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l-30)는 제어부(1l-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l-4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l-40)는 기저대역처리부(1l-20) 및 RF처리부(1l-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l-40)는 저장부(1l-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l-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l-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m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m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RF처리부(1m-10), 기저대역처리부(1m-20), 백홀통신부(1m-30), 저장부(1m-40), 제어부(1m-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처리부(1m-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RF처리부(1m-10)는 기저대역처리부(1m-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처리부(1m-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1m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제1접속 노드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처리부(1m-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1m-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1m-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RF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m-20)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m-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m-20)은 RF처리부(1m-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무선 접속 기술이 OFDM 방식을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m-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m-20)는 RF처리부(1m-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원된 신호들로부터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m-20) 및 RF처리부(1m-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1m-20) 및 RF처리부(1m-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백홀통신부(1m-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백홀통신부(1m-30)는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할 수 있다.
저장부(1m-40)는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m-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m-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m-40)는 제어부(1m-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1m-50)는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m-50)는 기저대역처리부(1m-20) 및 RF처리부(1m-10)을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1m-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m-50)는 저장부(1m-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저장부(1m-40)로부터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m-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셀 재선택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
    RRC 연결이 설정된 기지국에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에 기초한 셀 재선택 우선 순위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슬라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0091324A 2022-07-22 2022-07-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방법 및 장치 KR20240013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324A KR20240013583A (ko) 2022-07-22 2022-07-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방법 및 장치
PCT/KR2023/010518 WO2024019565A1 (ko) 2022-07-22 2023-07-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324A KR20240013583A (ko) 2022-07-22 2022-07-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583A true KR20240013583A (ko) 2024-01-30

Family

ID=8961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324A KR20240013583A (ko) 2022-07-22 2022-07-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3583A (ko)
WO (1) WO2024019565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3870A1 (en) * 2020-03-13 2021-09-16 Convida Wireless, Llc Ran slicing
KR20230048098A (ko) * 2020-08-05 2023-04-10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스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유휴/비활성 이동성
US20230292372A1 (en) * 2020-08-05 2023-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lice-based system access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5918152A (zh) * 2020-08-18 2023-04-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9565A1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3521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ephemeris-based cell reselection in satellite network
KR2021007329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을 재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102979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en-dc cell reselection indicator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6200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행 테스트 최소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12699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1358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이용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방법 및 장치
KR20200114971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차량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셀 재선택 우선순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4000696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정보를 기반으로 셀 재선택 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35154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이 원하는 슬라이스를 빠르게 제공 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400156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eriving cell reselection priority in slice-based cell reselection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40012126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셀 재선택 우선 순위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2303199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connection establishment failure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245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lice based cell reselection prioriti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2246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procedure
US202401712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racking area update in next-generation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58856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400490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mobile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5884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인 항공기의 접속을 억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70291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활성화 프로토콜 스택을 지원하는 단말이 rlf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4062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에너지 소모 감소를 위한 그룹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20240043433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MBS Broadcast 서비스에 대한 QoE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62754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조건부 PSCell 추가 및 변경을 위한 설정을 동시에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21691A (ko) 차세대 이동통신에서 조건부 핸드오버시 후보 PSCell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0789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차량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40028085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착신 기반 슬라이스 재선택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