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485A - Connector Capable of Easily Replacing O-Ring and O-ring Replacement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nnector Capable of Easily Replacing O-Ring and O-ring Replacement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485A
KR20240013485A KR1020220091070A KR20220091070A KR20240013485A KR 20240013485 A KR20240013485 A KR 20240013485A KR 1020220091070 A KR1020220091070 A KR 1020220091070A KR 20220091070 A KR20220091070 A KR 20220091070A KR 20240013485 A KR20240013485 A KR 20240013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ing
mount nut
nu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0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영식
Original Assignee
전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식 filed Critical 전영식
Priority to KR1020220091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3485A/en
Publication of KR20240013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485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는 대상 커넥터와 결합되면 대상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커넥터 본체의 외주면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현되고, 대상 커넥터와 체결되어 커넥터 본체를 대상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마운트 너트 및 커넥터 본체의 외주면에서 대상 커넥터와의 결합 부위에 배치되어 대상 커넥터와의 결합 부위를 통해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오링을 포함하되, 마운트 너트는 마운트 너트를 관통하여 커넥터 본체에 배치된 오링을 집어 마운트 너트의 외부로 끌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이 형성되어 커넥터나 케이블에 손상을 주지 않고 용이하게 오링을 제거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의 오링 교체 방법을 제공한다.The disclosed embodiment includes a connector body including at least one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target connector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when coupled to the target connector, and is implemented as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It includes a mount nut that is fastened to the target connector and couples the connector body to the target connector, and an O-ring that is disposed at the connection site with the target connecto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blocks moisture flowing in through the connection site with the target connector. , the mount nut is formed with at least one O-ring removal hole that penetrates the mount nut and allows the O-ring placed on the connector body to be picked up and pulled up to the outside of the mount nut, allowing the O-ring to be easily removed without damaging the connector or cable. Provides a connector and its O-ring replacement method.

Description

오링 교체가 용이한 커넥터 및 이의 오링 교체 방법{Connector Capable of Easily Replacing O-Ring and O-ring Replacement Method Thereof}Connector Capable of Easily Replacing O-Ring and O-ring Replacement Method Thereof}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커넥터 및 이의 오링 교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링 교체가 용이한 케이블 커넥터 및 이의 오링 교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embodiments relate to a connector and a method of replacing its O-ring, and to a cable connector in which O-ring can be easily replaced and a method of replacing its O-ring.

각종 전자 기기에서는 통신 및 기기 제어와 같은 여러 목적을 위해 다른 기기 또는 각종 센서들과 연결될 필요가 있으며, 많은 경우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연결되고 있다. 이에 케이블 대 케이블 또는 케이블 대 기기 사이의 상호 체결 구조로서 케이블 커넥터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Various electronic devices need to be connected to other devices or various sensors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ommunication and device control, and in many cases, they are connected using cables. Accordingly, cable connectors are mainly used as an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ables to cables or cables to devices.

케이블은 기본적으로 외피로 둘러싸인 형태로 제조되므로, 케이블 내부로 수분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 그러나 커넥터는 다른 커넥터와 연결되어야 하는 구조적 특성상 수밀 구조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실내에서 이용되는 케이블 커넥터의 경우, 수밀 구조에 대해 고려하지 않아도 무방하지만 야외에서 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의 경우, 수밀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잠수함이나 수중 드론 등과 같이 해저 또는 심해에서 사용되는 기기를 위한 케이블 커넥터의 경우에는 다양한 해양 환경과 높은 수압 등으로 인해 수밀 구조를 유지하기 더욱 어려워 케이블의 절연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이에 심해에서 사용되는 기기들의 커넥터는 일반적인 커넥터와는 달리 뛰어난 방수 성능이 요구되며 깊은 심해의 높은 압력에서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Since cables are basically manufactured in a form surrounded by a sheath, there is not a high possibility of moisture flowing into the cable. However, the connecto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watertight structure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nnector being connected to other connectors. In the case of cable connectors used indoors,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the watertight structure, but in the case of connectors that connect cables outdoors, maintaining the watertight structure is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able connectors for devices used under the sea or deep sea, such as submarines or underwater drones, it is more difficult to maintain a watertight structure due to various marine environments and high water pressure, which can lead to cable insulation problems. Accordingly, unlike general connectors, connectors for devices used in the deep sea require excellent waterproof performance and a structure that can operate normally even under high pressure in the deep sea.

그리고 현재 커넥터의 방수 기능은 주로 오링(O-ring)에 의존한다. 오링은 커넥터와 커넥터, 커넥터와 케이블의 결합 부위 등에 배치되어 커넥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나 해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오링은 커넥터의 결합 부위에 밀착되어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대부분 탄성 소재로 구현된다.And the waterproof function of current connectors mainly relies on O-rings. O-rings are placed between connectors, connectors, and the joint area between connectors and cables, and play the role of blocking water or seawater from entering the connector. O-rings are mostly made of elastic material to adhere closely to the connector's mating area and ensure watertightness.

탄성 소재로 구현된 오링은 커넥터와 커넥터의 결합 체결 시에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고, 커넥터와 커넥터 간의 체결 과정에서 인가되는 압력과 자체 탄성력에 의해 커넥터에 밀착됨으로써 수밀성을 보장한다. 다만 탄성 소재로 구현되는 오링은 커넥터가 체결 및 해제를 반복하지 않고 체결된 상태로 그대로 유지될 지라도, 장시간 외부 환경에 노출되면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오링의 부식은 오링이 커넥터의 결합 부위에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커넥터의 수밀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오링의 부식은 해저나 심해와 같은 극한 환경에서 더욱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수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오링이 수시로 교체될 수 있어야 한다.The O-ring made of elastic material is placed between the connectors when the connectors are joined together,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or by the pressure applied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connectors and its own elastic force, thereby ensuring watertightness. However, O-rings made of elastic materials have the problem that corrosion may occur when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for a long period of time, even if the connector remains fastened without repeated fastening and disengagement. Corrosion of the O-ring prevents the O-ring from adhering closely to the mating area of the connector, thereby reducing the water tightness of the connector. And corrosion of O-rings can occur more easily in extreme environments such as the seafloor or deep sea.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watertightness of the connector, the O-ring must be able to be replaced at any time.

그러나 기존의 커넥터에서는 단지 수밀성만을 주로 고려하여 설계되어, 커넥터 제조시에는 용이하게 장착이 가능하지만, 이후 교체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오링의 교체 편의성이 고려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오링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되어 시간적 비용적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오링만을 교체할 수가 없는 구조를 가져 케이블에 결합된 커넥터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특히 케이블의 외피 일부가 커넥터까지 감싸도록 케이블과 커넥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단순히 오링의 문제로 인해 커넥터와 케이블을 모두 교체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However, existing connectors are designed with only watertightness in mind, so although they can be easily installed when manufacturing the connect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m later. In other words, the convenience of O-ring replacement was not considered. As a result, when the O-ring needs to be replaced, very complicated and cumbersome work is required, resulting in a waste of time and money. In addition, because the O-ring alone could not be replaced, there were frequent cases where the entire connector attached to the cable had to be replaced. In particular, in cases where the cable and connector were integrated so that a portion of the outer shell of the cable even wrapped around the connector, the O-ring was simply replaced. In some cases, problems may require replacement of both connectors and cables.

한국 등록 특허 제10-1218745 호 (2012.12.28 등록)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218745 (registered on December 28, 2012)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오링의 교체가 용이한 커넥터 및 이의 오링 교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disclosed embodiments provide a connector in which the O-ring can be easily replaced and a method of replacing the O-ring.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커넥터나 케이블의 해체나 교환없이 오링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의 오링 교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disclosed embodiments aim to provide a connector and a method of replacing its O-ring that can easily replace only the O-ring without dismantling or replacing the connector or cable.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오링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오링 제거홀을 이용하여 체결 및 체결 해제가 용이한 커넥터 및 이의 오링 교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disclosed embodiments provide a connector that can be easily fastened and unfastened using an O-ring removal hole formed to easily remove the O-ring, and a method of replacing the O-ring.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대상 커넥터와 결합되면 상기 대상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주면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현되고, 상기 대상 커넥터와 체결되어 상기 커넥터 본체를 상기 대상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마운트 너트;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주면에서 상기 대상 커넥터와의 결합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 커넥터와의 결합 부위를 통해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오링을 포함하되, 상기 마운트 너트는 상기 마운트 너트를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 본체에 배치된 상기 오링을 집어 상기 마운트 너트의 외부로 끌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이 형성된다.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nnector body including at least one terminal that, when coupled to a target connector,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target connector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a mount nut implement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fastened to the target connector to couple the connector body to the target connector; And an O-ring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t a coupling portion with the target connector to block moisture flowing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target connector, wherein the mount nut penetrates the mount nut and connects the connector body. At least one O-ring removal hole is formed to allow the O-ring disposed in to be picked up and pulled up to the outside of the mount nut.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은 핀셋 또는 전용 공구가 관통되어 상기 커넥터 본체에 배치된 상기 오링을 상기 마운트 너트의 외부로 집어 올릴 수 있는 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at least one O-ring removal hole may have a hole size that allows tweezers or a dedicated tool to pass through and pick up the O-ring disposed on the connector body to the outside of the mount nut.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을 통해 상기 마운트 너트의 외부로 끌어 올려진 오링이 절단되어 제거되면, 상기 마운트 너트에 삽입된 상기 커넥터 본체에서 상기 대상 커넥터가 결합될 방향으로 새로운 오링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O-ring pulled up to the outside of the mount nut through the at least one O-ring removal hole is cut and removed, a new O-ring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body inserted into the mount nu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arget connector is to be coupled. and can be placed.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대상 커넥터와 결합되는 위치에 삽입된 상기 오링이 배치되는 위치를 지정하는 오링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or body may be formed with an O-ring coupling groove that specifies a position where the O-ring inserted into the position to be coupled with the target connector is disposed.

상기 마운트 너트는 상기 커넥터 본체가 삽입되는 원통형 본체; 상기 원통형 본체에 삽입된 상기 커넥터 본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원통형 본체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져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본체 이탈 방지턱; 및 상기 마운트 너트가 상기 대상 커넥터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상기 원통형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 nut includes a cylindrical body into which the connector body is inserted; a body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ward and have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cylindrical body to prevent the connector body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body from being separated; And it may include a coupling thread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so that the mount nut is screwed to the target connector.

상기 마운트 너트는 상기 대상 커넥터와의 체결 또는 체결 해제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 중 적어도 하나에 훅 스패너나 훅 렌치의 훅 또는 집게형 공구의 집게가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mount nut is fastened or unfastened to the target connector, a hook spanner, a hook of a hook wrench, or a pair of tongs of a tongs-type tool may be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ring removal hole.

상기 마운트 너트는 상기 원통형 본체에서 다수의 오링 제거홀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 nut may be formed by having a plurality of O-ring removal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ylindrical body.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오링 교체 방법은 커넥터 본체의 외주면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현된 마운트 너트에 의해 대상 커넥터와 결합된 커넥터를 상기 대상 커넥터에서 체결 해제하여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분리된 커넥터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주면의 상기 대상 커넥터와의 결합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 커넥터와의 결합 부위를 통해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오링을 상기 마운트 너트를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을 통해 상기 마운트 너트의 외부로 끌어 올려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오링이 제거된 커넥터에 새로운 오링을 삽입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replacing an O-ring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disengaging and separating a connector coupled to a target connector from the target connector by a mount nut implement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Removing at least one O-ring formed by penetrating the mount nut in the separated connector, which is disposed at a coupling portion with the target connecto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blocks moisture flowing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target connector. removing the mount nut by pulling it through the hole; and inserting and placing a new O-ring into the connector from which the O-ring was removed.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이의 오링 교체 방법은 커넥터와 커넥터를 체결하는 마운트 너트에서 오링이 배치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이 형성되어, 오링 제거홀을 통해 탄성이 있는 오링을 커넥터 외부로 당긴 후 절단하는 방식으로 오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커넥터나 케이블에 손상을 주지 않고 오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후 커넥터의 개방된 결합 방향에서 오링을 삽입 배치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오링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오링 제거홀이 다수개로 형성되어 훅 스패너나 훅 렌치의 훅 또는 집게형 공구의 집게가 삽입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커넥터를 체결 또는 체결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connector and its O-ring replac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t least one O-ring removal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O-ring is placed in the mount nut that fastens the connector, and the elastic O-ring is removed from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through the O-ring removal hole. The O-ring can be removed by pulling it and cutting it. Therefore, the O-ring can be removed without damaging the connector or cable, and the O-ring can then be inserted and placed in the open coupling direction of the connector, making it very convenient to replace the O-ring. In addition, a plurality of O-ring removal holes are formed so that the hook of a hook spanner or hook wrench or the tongs of a tongs-type tool can be inserted and fix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fasten or unfasten the connector.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3는 도 1의 커넥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에서 마운트 너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체결된 커넥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오링 교체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9의 오링을 교체 방법에 따라 오링을 교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shows an exploded view of the connector of Figure 1.
Figure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of Figure 1.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ount nut in the connector of Figure 1.
FIGS.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connector of FIG. 1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7 and 8 show cross-sectional views of a connector coupled with a receptacle connector.
Figure 9 shows a method of replacing the O-ring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s 10 to 13 are diagrams showing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O-ring according to the O-ring replacement method of Figure 9.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일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일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describing on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an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intended to describe only one embodiment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meanings.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one or more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existence or possibility of any other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or part or combination thereof.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unit", "module", and "block"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분해도를 나타내며, 도 3는 도 1의 커넥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에서 마운트 너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체결된 커넥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FIG.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shows an exploded view of the connector of FIG. 1, and FIG.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of FIG. 1.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ount nut in the connector of Figure 1.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nnector of FIG. 1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FIGS. 7 and 8 show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onnector connec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커넥터 본체(100), 너트 와셔(200), 마운트 너트(300) 및 오링(4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8, the connector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plug connector and may include a connector body 100, a nut washer 200, a mount nut 300, and an O-ring 400. .

커넥터 본체(100)는 커넥터(10)의 하우징으로서, 커넥터 본체(100)에는 케이블(600)의 다수의 전송 선로와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다수의 단자(5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구현되는 다수의 터미널(120)이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다수의 터미널(120)은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일부 터미널은 다른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nector body 100 is a housing of the connector 10, and the connector body 100 includes metal and metal to electrically connect a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s of the cable 600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52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A plurality of terminals 120 made of the same conductive material are inserted and placed inside.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may all be implemented with the same shape, but some terminals may be implemented with different shapes.

다수의 터미널(120)은 전체적으로 긴 막대 형태를 가지며 터미널의 양단은 다른 커넥터의 터미널 또는 케이블(600)의 전송 선로에 결합되어 신호의 커넥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다수의 터미널(120) 각각에서 일단은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다수의 단자(520) 중 하나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블(600)에 구비된 다수의 전송 선로 중 하나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단자(520)와 케이블의 전송 선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600)에서 전송되는 각종 전기 신호는 다수의 터미널(120)을 통해 리셉터클 커넥터(5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반대로 리셉터클 커넥터(500)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케이블(6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have an overall long bar shape, and both ends of the terminals can be coupled to the terminals of other connectors or the transmission line of the cable 600 to perform signal connection. For example,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52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s provided in the cable 600. By being combin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 terminal 52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and the transmission line of the cabl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refore, various electrica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able 600 can be transmit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through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and conversely,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can be transmitted to the cable 600. there is.

커넥터 본체(100)는 단일 하우징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110)와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으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인슐레이터(110)는 다수의 터미널(120)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수의 터미널(120)은 인슐레이터(1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110)는 절연 재질로 구현되며, 성형의 편의성을 위해 플라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요구되는 강도와 변형량 등을 고려하여 절연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nector body 10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housing, but as shown in FIGS. 2 and 3, it may be composed of an insulator 110 and a cable coupling housing 130. The insulator 11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from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ulator 110. The insulator 11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may be made of plastic for convenience of molding, but may also be made of various insulating materials in consideration of the required strength and amount of deformation.

그리고 다수의 터미널(120)은 리셉터클 커넥터(500)가 결합되는 일단 방향에서는 인슐레이터(1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반면, 케이블(600)이 결합되는 타단 방향에서는 인슐레이터(1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110)에는 삽입된 다수의 터미널(120)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단자(520)가 삽입되어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터미널(120)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관통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do not protrude out of the insulator 110 in one direction where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is coupled, while they protrude out of the insulator 110 in the other end direction where the cable 600 is coupled. can be placed. A plurality of terminals 120 inserted into the insulator 110 ar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terminal 52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is inserted to be easi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disposed insi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6 may be formed to guide the movement.

다수의 터미널(120)의 일단은 인슐레이터(110)에서 다수의 관통홀(116)의 내부에 위치하는 반면, 타단은 다수의 관통홀(116)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은, 다수의 터미널(120)의 타단에서는 케이블(600)의 전송 선로가 용이하게 고정 결합 체결되고, 일단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단자(520)가 용이하게 결합 및 결합 해제가 반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One end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is located insid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6 in the insulator 110, while the other end protrudes outside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6, which is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At the other end, the transmission line of the cable 600 can be easily fixedly coupled, and at one end, the terminal 52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can be easily coupled and disengaged repeatedly.

한편 인슐레이터(110)의 외주면 일부에는 하우징 결합 나사산(112)이 형성되어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하여 결합됨으로써, 인슐레이터(110)와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이 일체형의 커넥터 본체(100)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110)는 외주면에서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이 위치하는 방향 일부에 하우징 결합 나사산(112)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인슐레이터(110)와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은 나사산을 이용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결합되어도 무방하며, 이 경우, 하우징 결합 나사산(112)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110)는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500)와 결합 체결되면, 일부가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커넥터 체결부(5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Meanwhile, housing coupling threads 112 are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ulator 110 and are coupled using the screw thread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ble coupling housing 130, so that the insulator 110 and the cable coupling housing 130 are integrated into a connector. The main body 100 can be configured. The insulator 110 may have housing coupling threads 112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coupling housing 130 is located. However, the insulator 110 and the cable coupling housing 130 may be coupled in other ways without using screw threads, and in this case, the housing coupling screw threads 112 may not be formed. Additionally, when the connector 10 is coupl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a portion of the insulator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fastening portion 53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도 2에서는 각 구성을 용이하게 표시하기 위해 인슐레이터(110)가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에서 케이블(600) 방향이 결합되는 배치되어 있으나, 인슐레이터(1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에서 리셉터클 커넥터(500)가 결합되는 방향에 결합될 수 있다.In FIG. 2, in order to easily display each configuration, the insulator 110 is arrang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cable 600 is coupled in the cable coupling housing 130, but the insulator 110 is as shown in FIGS. 1 and 3. , may be coupl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is coupled in the cable coupling housing 130.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은 커넥터(10)의 각 구성이 결합되어 지지되고, 케이블(600)과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리셉터클 커넥터(500)가 결합되는 일단 방향에 인슐레이터(11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외부에는 너트 와셔(200), 마운트 너트(300) 및 오링(400)이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은 커넥터(10)의 내구성을 위하여 금속과 같은 높은 강도를 갖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인슐레이터(110)에 삽입 배치된 다수의 터미널(120)이 케이블(600)의 전송 선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형태로 원통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able coupling housing 130 is configured to couple and support each component of the connector 10 and maintain coupling with the cable 600, and has an insulator 110 in one end direction where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is coupled. may be coupled, and a nut washer 200, a mount nut 300, and an O-ring 400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The cable coupling housing 130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strength, such as metal, for durability of the connector 10,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120 inserted into the insulator 110 are used to transmit the cable 600. It can be implement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a line.

그리고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에서 케이블(600)이 결합되는 방향에는 외주면을 따라 링 구조로 돌출되는 몰딩링(1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케이블(600)의 외피 또는 커넥터 결합 몰딩(620)이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의 외주면 일부 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케이블(600)이 커넥터(10)에 결합되면, 결합된 케이블(60)이 커넥터(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결합 부위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경우에 따라서 몰딩링(134)은 별도로 링 구조물로 형성되어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에 결합되거나, 압축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molding ring 134 that protrudes in a ring structur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600 is coupled to the cable coupling housing 130. This means that the outer shell of the cable 600 or the connector coupling molding 620 surrounds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ble coupling housing 130. When the cable 60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10, the coupled cable 6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This is not only to prevent separation at (10), but also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through the binding site. In some cases, the molding ring 134 may be separately formed as a ring structure and coupled to the cable coupling housing 130,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pression ring.

한편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의 외주면에는 리셉터클 커넥터(500)가 결합되는 일단으로부터 케이블(60)이 결합되는 타단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오링 결합홈(131)과 너트 이탈 방지턱(132), 와셔 체결 나사산(133)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ble coupling housing 130, an O-ring coupling groove 131, a nut separation prevention bump 132, and a washer fastening thread are sequentially formed in the direction from one end to which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to which the cable 60 is coupled. 133) can be formed.

오링 결합홈(131)은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체결 부위를 따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400)이 수용될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홈으로 탄성체로 형성된 오링(400)은 복원력에 의해 오링 결합홈(131)에 밀착 고정된다.The O-ring coupling groove 131 is a groove formed to specify a location where the O-ring 400 will be accommodated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along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connector 1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The O-ring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400) is closely fixed to the O-ring coupling groove 131 by restoring force.

그리고 너트 이탈 방지턱(132)은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단턱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블 결합 방향에서 리셉터클 커넥터(500) 체결 방향으로 진행되는 마운트 너트(300)가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와셔 체결 나사산(133)은 너트 와셔(2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와셔 나사산(210)과 나사 결합됨으로써, 너트 와셔(200)가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의 외주면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And the nut separation prevention bump 132 is formed in the form of a protruding step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ble coupling housing 130, so that the mount nut 300, which progresses in the cable coupling direction toward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fastening direction, is attached to the cable coupling housing 130. ) so as not to deviate from it. The washer fastening thread 133 is screw-coupled with the washer thread 210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ut washer 200, so that the nut washer 200 is disposed at a designated posi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ble coupling housing 130.

마운트 너트(300)는 리셉터클 커넥터(500)와의 체결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커넥터 본체(100)의 외주면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mount nut 300 is provided for fastening to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100.

마운트 너트(300)는 원통형으로 구현되는 너트 본체(310)를 가지며, 너트 본체(310)는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에 직접으로 결합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도록 내경이 케이블 결합 하우징(1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너트 본체(310)에서 리셉터클 커넥터(500)가 체결되는 일단 방향 내주면에는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커넥터 체결부(530) 외주면에 형성된 너트 체결 나사산(531)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결합 나사산(312)이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 nut 300 has a nut body 310 implement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nut body 310 is not directly coupled to the cable coupling housing 130 but has an inner diameter that allows it to rotate and move independently. ) can be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ut body 310 in one direction where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is fastened, a receptacle coupling thread 312 corresponding to the nut fastening thread 53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fastening portion 53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is formed. It can be.

그리고 너트 본체(310)의 내경은 기본적으로 너트 이탈 방지턱(13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지만, 케이블(600) 방향의 일단 일부 영역에는 너트 이탈 방지턱(13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본체 이탈 방지턱(311)이 형성된다. 본체 이탈 방지턱(311)은 너트 이탈 방지턱(132)과 함께 너트 본체(310) 내부로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100)가 마운트 너트(300)를 완전히 관통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커넥터 본체(100)는 마운트 너트(300)에서 리셉터클 커넥터(500)가 체결되는 일단 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다.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nut body 310 basically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nut departure prevention ridge 132, but at one end in the direction of the cable 600, the main body has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nut departure prevention ridge 132. A bump 311 is formed. The body separation prevention bump 311, together with the nut separation prevention bump 132, serves to prevent the connector body 100 inserted into the nut body 310 from completely penetrating the mount nut 300 and from being separated. At this time, the connector body 100 may be inserte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is fastened to the mount nut 300.

또한 마운트 너트(30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출 돌기(313)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돌출 돌기(313)는 마운트 너트(300)를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커넥터 체결부(530)와 체결할 때, 미끄러지지 않고 용이하게 마운트 너트(300)를 회전시켜, 리셉터클 커넥터(500)와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313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unt nut 300.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313 easily rotate the mount nut 300 without slipping when fastening the mount nut 300 with the connector fastening portion 53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thereby allowing the mount nut 300 to be connec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It is formed so that it can be fastened.

너트 와셔(200)는 마운트 너트(300)가 커넥터 본체(100)에서 케이블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운트 너트(300)는 커넥터 본체(100)에 직접 결합 고정되지 않는다. 비록 본체 이탈 방지턱(311)과 너트 이탈 방지턱(132)에 의해 마운트 너트(300)는 커넥터 본체(100)에서 리셉터클 커넥터(500) 방향으로 이탈되지는 않으나, 반대로 케이블(600) 방향으로는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너트 와셔(200)는 마운트 너트(300)가 커넥터 본체(100)에서 케이블(60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너트 와셔(200)는 너트 이탈 방지턱(132)과 함께 마운트 너트(300)가 커넥터 본체(100)의 외부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nut washer 200 serves to prevent the mount nut 3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body 100 in the cabl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unt nut 300 is not directly coupled and fixed to the connector body 100. Although the mount nut 300 does not come off from the connector body 100 in the direc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due to the body separation prevention bump 311 and the nut separation prevention bump 132, on the contrary, it may come off in the direction of the cable 600. You can. Accordingly, the nut washer 200 serves to prevent the mount nut 300 from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cable 600 from the connector body 100. That is, the nut washer 200, together with the nut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32, serves to ensure that the mount nut 300 is placed at a designated location outside the connector body 100.

이와 더불어 너트 와셔(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600)의 커넥터 결합 몰딩(620)이 형성될 수 있는 영역을 제한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nut washer 200 may also serve to limit the area in which the connector coupling molding 620 of the cable 600 can be formed.

리셉터클 커넥터(500)는 플러그 커넥터(10)와 체결되는 커넥터이다.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원통형 본체에는 플러그 커넥터(10)와 마찬가지로 일단에는 플러그 커넥터(10)와 체결되는 커넥터 체결부(53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 결합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터미널(120)에 대응하는 다수의 단자(520)가 리셉터클 커넥터(500)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리셉터클 커넥터(500) 또한 다수의 단자(52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인슐레이터(미도시)가 본체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일 예로 리셉터클 커넥터(500)가 벽체에 고정되는 커넥터인 경우를 가정하여 본체에서 케이블 결합부(510)와 커넥터 체결부(530) 외부면으로는 벽체 고정부(540)가 더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생략될 수 있다.The receptacle connector 500 is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10. Like the plug connector 10, the cylindrical body of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is formed with a connector fastening portion 530 that is fastened to the plug connector 10 at one end, and a cable coupling portion 510 to which a cable is connected is formed at the other end. It can be. Additionally, a plurality of terminals 520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may be disposed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Although not shown, an insulator (not shown)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of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so that the plurality of terminals 5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ere, as an example, assuming that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is a connector fixed to a wall, a wall fixing portion 540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coupling portion 510 and the connector fastening portion 530 in the main body. This can be omitted.

리셉터클 커넥터(500)는 플러그 커넥터(10)와 체결되는 경우, 원통형 본체에서 커넥터 체결부(53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100)와 마운트 너트(300) 사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체결부(530)의 외주면에는 마운트 너트(300)에서 너트 본체(310) 내주면에 형성된 리셉터클 결합 나사산(312)에 대응하는 너트 체결 나사산(53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체결부(530)의 외주면에 너트 체결 나사산(531)이 형성됨으로써, 마운트 너트(300)가 커넥터 체결부(530)에 접촉하여 회전하면, 마운트 너트(300)는 리셉터클 커넥터(500) 방향으로 진행되고, 이때, 커넥터 본체(100)는 마운트 너트(300)의 본체 이탈 방지턱(311)은 커넥터 본체(100)의 너트 이탈 방지턱(132)에 의해 마운트 너트(300)와 함께 리셉터클 커넥터(500)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다수의 단자(520)가 인슐레이터(110)에서 다수의 관통홀(116) 내부로 삽입되어 다수의 터미널(120)과 접촉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500)와 플러그 커넥터(10)가 체결된다.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is fastened to the plug connector 10, the connector fastening portion 530 in the cylindrical body is between the connector body 100 and the mount nut 300, as shown in FIGS. 6 to 8. Can be inserted and placed. Additionally, a nut fastening thread 531 corresponding to the receptacle coupling thread 312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ut body 310 in the mount nut 300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fastening portion 530. A nut fastening thread 531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fastening part 530, so that when the mount nut 300 contacts the connector fastening part 530 and rotates, the mount nut 3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At this time, the connector body 100 is connec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together with the mount nut 300 by the nut separation prevention projection 132 of the connector body 100. proceed in the direction. As a result, the plurality of terminals 52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6 in the insulator 110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thereby forming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and the plug connector ( 10) is concluded.

상기한 플러그 커넥터(10)에서는 커넥터(10)의 마운트 너트(300)와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커넥터 체결부(530) 사이의 나사 결합 부위를 통해 커넥터 내부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 체결부(530)와 커넥터 본체(100) 사이에는 오링(400)이 배치되어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다만 오링(400)이 부식 등의 이유로 손상된 경우, 커넥터(10)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오링(400)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야만 한다.In the plug connector 10 described above, moisture may flow into the connector through a screw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mount nut 300 of the connector 10 and the connector fastening portion 53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However, an O-ring 400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or fastening portion 530 and the connector body 100 to block moisture from flowing inside. However, if the O-ring 400 is damaged due to corrosion or other reasons, it becomes impossible to block moisture flowing into the connector 10. Therefore, the O-ring 400 must be replaceable on a regular or irregular basis.

기존의 커넥터(10)의 경우, 손상된 오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커넥터 본체(100)와 마운트 너트(300) 사이의 틈새 공간을 이용하여 오링을 제거해야만 하였다. 그러나 커넥터 본체(100)와 마운트 너트(300) 사이의 틈새 공간은 커넥터 체결부(530)가 삽입되는 매우 좁은 틈새 공간으로 이 공간을 통해 오링(400)을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만일 커넥터 본체(100)에서 마운트 너트(3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면 오링(40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도 있으나, 마운트 너트(300)는 너트 이탈 방지턱(132)과 커넥터 결합 몰딩(62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너트 와셔(20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10)와 케이블(600)의 결합을 해제하지 않는다면, 마운트 너트(3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도 없다. 그러므로 오링(400)의 제거는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되었다.In the case of the existing connector 10, in order to remove the damaged O-ring, the O-ring had to be removed using the gap space between the connector body 100 and the mount nut 300. However, the gap between the connector body 100 and the mount nut 300 is a very narrow gap into which the connector fastening part 530 is inserted, and it is very difficult to remove the O-ring 400 through this space. If the position of the mount nut 300 can be moved from the connector body 100, the O-ring 400 can be easily removed, but the mount nut 300 has a nut separation prevention bump 132 and a connector coupling molding 620. The position is fixed by the nut washer 200 supported by. Therefore, unles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or 10 and the cable 600 is released, the position of the mount nut 300 cannot be moved. Therefore, removal of the O-ring 400 required very difficult and cumbersome work.

이에 본 실시예에서 마운트 너트(300)의 원통형 너트 본체(310)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오링 제거홀(320)이 더 형성된다. 오링 제거홀(320)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너트(300)의 너트 본체(310)에 형성되되, 커넥터 본체(100)의 오링 결합홈(131)이 형성된 위치에 형성된다. 오링 제거홀(320)이 커넥터 본체(100)에서 오링(400)이 결합되는 오링 결합홈(131)의 위치에 형성되므로,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500)와 체결되지 않은 상태라면, 오링(400)은 오링 제거홀(32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오링 제거홀(320)은 오링 결합홈(131)에 위치한 오링(400)을 잡아서 끌어 올릴수 있는 핀셋이나 기타 전용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에 오링 교체 시기가 되면, 사용자는 각종 공구를 이용하여 오링 제거홀(320)을 통해 오링(400)의 일부를 마운트 너트(300)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링(400)은 탄성체로 구현되므로, 마운트 너트(300) 외부로 용이하게 인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오링(400)이 마운트 너트(300) 외부로 돌출되면 돌출된 부위를 절단하여 잡아당김으로써 커넥터(10)에 결합된 오링(400)을 매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an O-ring removal hole 320 is further formed penetra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nut body 310 of the mount nut 300. As shown in FIGS. 3 and 7, the O-ring removal hole 320 is formed in the nut body 310 of the mount nut 300, and i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O-ring coupling groove 131 of the connector body 100 is formed. do. Since the O-ring removal hole 320 is formed in the connector body 100 at the position of the O-ring coupling groove 131 where the O-ring 400 is coupled, if the connector 10 is not fasten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the O-ring (4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ring removal hole (320). Here, the O-ring removal hole 320 is sized so that tweezers or other dedicated tools that can grab and pull up the O-ring 400 located in the O-ring coupling groove 131 can be inserted. Accordingly, when it is time to replace the O-ring, the user can protrude a portion of the O-ring 400 out of the mount nut 300 through the O-ring removal hole 320 using various tool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ring 400 is implemented as an elastic body, it can be easily stretched and protruded out of the mount nut 300. And when the O-ring 400 protrudes out of the mount nut 300, the O-ring 400 coupled to the connector 10 can be very easily removed by cutting and pulling the protruding portion.

그리고 오링 제거홀(320)은 마운트 너트(300)의 너트 본체(310)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4와 같이 다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너트 본체(310)에서 180도 간격으로 이격된 2개의 오링 제거홀(321, 322)이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체결 시에 훅 스패너(Hook Spanner)나 훅 렌치(Hook Wrench)의 훅(Hook) 또는 집게형 공구의 집게를 다수개의 오링 제거홀(321, 322)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 고정하고, 공구를 회전시킴으로써,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500)를 매우 강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매우 강하게 결합된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500)를 용이하게 체결 해제할 수도 있다. 이는 마운트 너트(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 돌기(313)에 의존하여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500)를 체결 또는 체결 해제하는 것보다, 마운트 너트(300)의 손상 없이 더욱 강하고 편리하고 체결 또는 체결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는 마운트 너트(300)에 180도 간격으로 이격된 2개의 오링 제거홀(321, 322)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오링 제거홀(320)은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only one O-ring removal hole 320 may be formed in the nut body 310 of the mount nut 300, but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s shown in FIG. 4. FIG. 4 shows a case in which two O-ring removal holes 321 and 322 are formed in the nut body 310 at 180-degree intervals. When connecting the connector 1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use the hook of a hook spanner or a hook wrench, or the tongs of a tongs-type tool in one of the plurality of O-ring removal holes 321 and 322. By inserting and fixing at least one and rotating the tool, the connector 10 can be very strongly coupl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and the very strongly coupled connector 10 can be easily disengaged from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It may be possible. This is stronger and more convenient without damaging the mount nut 300 than when the connector 10 fastens or disengages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by relying on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31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unt nut 300. and allow you to fasten or unfasten it. Here, it is shown that two O-ring removal holes 321 and 322 are formed in the mount nut 300 at an interval of 180 degrees, but the O-ring removal holes 320 may be formed in various numbers.

상기에서는 일 예로 오링(400)이 플러그 커넥터(10)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플러그 커넥터(10)의 마운트 너트(300)에 오링 제거홀(320)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리셉터클 커넥터(500)에 오링과 마운트 너트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500)에 구비된 마운트 너트에 오링 제거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오링 제거홀은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500)에 구분되지 않고, 단지 오링 주위를 감싸고 있어 오링을 제거하기 어렵게 하는 각종 외부 하우징 구성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는 오링이 포함된 다른 형태의 수 커넥터 또는 암커넥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as an example, an O-ring 400 is provided on the plug connector 10, and an O-ring removal hole 320 is formed in the mount nut 300 of the plug connector 10. However, in some cases, the receptacle The connector 500 may be provided with an O-ring and a mount nut. In this case, an O-ring removal hole may be formed in the mount nut provided on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That is, the O-ring removal ho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not divided into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but can be formed in various external housing configurations that simply surround the O-ring, making it difficult to remove the O-ring. Additionally, the connector 10 may be implemented as another type of male connector or female connector including an O-ring.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구성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component may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capabilitie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below, and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ther than those described below.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오링 교체 방법을 나타내고, 도 10 내지 도 13은 도 9의 오링을 교체 방법에 따라 오링을 교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9 shows a method of replacing the O-ring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s 10 to 13 are diagrams showing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O-ring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method of Figure 9.

여기서도 커넥터(10)가 플러그 커넥터인 것으로 가정하며 리셉터클 커넥터(500)와 체결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Here again, it is assumed that the connector 10 is a plug connector and is connec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오링 교체 방법은 우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마운트 너트(300)에 형성된 오링 제거홀(320)에 각종 공구의 일부를 삽입한다(71). 도 10에서는 일 예로 오링 제거홀(320)에 훅 스패너(800)의 훅(810)이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오링 제거홀(320)에는 훅 렌치의 훅이나 집게형 공구의 집게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집게형 공구를 이용하는 경우, 집게형 공구의 집게는 마운트 너트(300)에 형성된 다수의 오링 제거홀(321, 322) 중 둘 이상의 오링 제거홀에 삽입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9 to 13, the O-ring replac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rst uses some of various tools in the O-ring removal hole 320 formed in the mount nut 300 of the connector 10, as shown in FIG. 10. Insert (71). In Figure 10, as an example, the hook 810 of the hook spanner 800 is shown as being inserted into the O-ring removal hole 320. However, the hook of a hook wrench or the tongs of a tongs-type tool can be inserted into the O-ring removal hole 320. there is. And when using a tongs-type tool, the tongs of the tongs tongs may be inserted into two or more O-ring removal holes among the plurality of O-ring removal holes 321 and 322 formed in the mount nut 300.

훅 스패너(800)의 훅(810)이 오링 제거홀(320)에 삽입되면, 훅 스패너(800)를 회전시켜, 마운트 너트(300)를 회전시킴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500)에 체결된 커넥터(10)를 체결 해제하여 분리한다(72).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500)로부터 분리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 제거홀(320)을 통해 핀셋(900)이나 전용 공구를 삽입하여 오링(400)을 잡아당김으로써, 오링(400)이 마운트 너트(300) 외부로 인장되어 돌출되도록 한다(73). 오링(400)이 마운트 너트(300) 외부로 인장되면, 인장된 오링(400)을 절단하고, 절단된 오링(400)을 잡아당겨 커넥터(10)에서 제거한다(74). 기존 오링(400)이 제거되면, 도 12와 같이 새로운 오링(400)을 커넥터(10)에서 커넥터 본체(100)와 마운트 너트(300) 사이의 틈새 공간으로 삽입하여 밀어 넣어 결합시킨다(75). 오링(400)의 제어와 달리 삽입의 경우, 단순히 밀어 넣는 작업 만으로도 탄성이 있는 오링(400)이 오링 결합홈(131)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When the hook 810 of the hook spanner 800 is inserted into the O-ring removal hole 320, the hook spanner 800 is rotated and the mount nut 300 is rotated, thereby connecting the connector 10 to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 by unfastening and separating (72). When the connector 10 is separated from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as shown in FIG. 11, tweezers 900 or a dedicated tool are inserted through the O-ring removal hole 320 to pull the O-ring 400, thereby removing the O-ring. (400) is tensioned and protrudes out of the mount nut (300) (73). When the O-ring 400 is stretched out of the mount nut 300, the stretched O-ring 400 is cut, and the cut O-ring 400 is pulled and removed from the connector 10 (74). When the existing O-ring 400 is removed, the new O-ring 400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connector body 100 and the mount nut 300 in the connector 10 as shown in FIG. 12 and pushed to couple it (75). Unlike controlling the O-ring 400, in the case of insertion, the elastic O-ring 400 can be easily seated in the O-ring coupling groove 131 by simply pushing it.

새로운 오링(400)으로 교체되면, 도 13과 같이 커넥터(10)의 커넥터 본체(100)를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커넥터 체결부(530)에 삽입시키고, 마운트 너트(300)를 회전시켜,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500)를 체결한다.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체결 시에도 훅 스패너(800)나 훅 렌치의 훅(810)이나 집게형 공구의 집게를 오링 제거홀(320)에 삽입하고, 훅 스패너(800)를 회전시킴으로써,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500)가 매우 강하게 체결되도록 할 수 잇다.When replaced with a new O-ring 400, the connector body 100 of the connector 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fastening portion 53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and the mount nut 300 is rotated to secure the connector. Connect (1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When connecting the connector 1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insert the hook spanner 800, the hook 810 of a hook wrench, or the tongs of a tongs-type tool into the O-ring removal hole 320, and use the hook spanner 800. By rotating, the connector 1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500 can be fastened very strongly.

도 13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1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과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하다.In FIG. 13, each process is described as being sequentially executed, but this is on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the order shown in FIG. 13 and execute i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it can be applied through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y executing one or more processes in parallel or adding other processes.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claims.

10: 커넥터 100: 커넥터 본체
110: 인슐레이터 112: 하우징 결합 나사산
120: 터미널 130: 케이블 결합 하우징
131: 오링 결합홈 132: 너트 이탈 방지턱
133: 와셔 체결 나사산 134: 몰딩링
200: 너트 와셔 210: 와셔 나사산
300: 마운트 너트 310: 너트 본체
320, 321, 322: 오링 제거홀 400: 오링
500: 리셉터클 커넥터 510: 케이블 결합부
520: 단자 530: 커넥터 체결부
600: 케이블
10: Connector 100: Connector body
110: insulator 112: housing coupling thread
120: terminal 130: cable combination housing
131: O-ring coupling groove 132: Nut separation prevention bump
133: Washer fastening thread 134: Molding ring
200: nut washer 210: washer thread
300: Mount nut 310: Nut body
320, 321, 322: O-ring removal hole 400: O-ring
500: Receptacle connector 510: Cable joint
520: Terminal 530: Connector fastening part
600: cable

Claims (14)

대상 커넥터와 결합되면 상기 대상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주면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현되고, 상기 대상 커넥터와 체결되어 상기 커넥터 본체를 상기 대상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마운트 너트;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주면에서 상기 대상 커넥터와의 결합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 커넥터와의 결합 부위를 통해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오링을 포함하되,
상기 마운트 너트는
상기 마운트 너트를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 본체에 배치된 상기 오링을 집어 상기 마운트 너트의 외부로 끌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이 형성되는 커넥터.
A connector body including at least one terminal that, when coupled to a target connector,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target connector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a mount nut implement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fastened to the target connector to couple the connector body to the target connector; and
It includes an O-ring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t a coupling portion with the target connector to block moisture flowing in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target connector,
The mount nut is
A connector having at least one O-ring removal hole that penetrates the mount nut and allows the O-ring disposed on the connector body to be picked up and pulled up to the outside of the mount n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은
핀셋 또는 전용 공구가 관통되어 상기 커넥터 본체에 배치된 상기 오링을 상기 마운트 너트의 외부로 집어 올릴 수 있는 홀 크기를 갖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O-ring removal hole is
A connector having a hole size that allows tweezers or a dedicated tool to penetrate and lift the O-ring disposed on the connector body to the outside of the mount nu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을 통해 상기 마운트 너트의 외부로 끌어 올려진 오링이 절단되어 제거되면, 상기 마운트 너트에 삽입된 상기 커넥터 본체에서 상기 대상 커넥터가 결합될 방향으로 새로운 오링이 삽입되어 배치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or
When the O-ring pulled up to the outside of the mount nut through the at least one O-ring removal hole is cut and removed, a new O-ring is inserted and plac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arget connector will be coupled to the connector body inserted into the mount nut.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대상 커넥터와 결합되는 위치에 삽입된 상기 오링이 배치되는 위치를 지정하는 오링 결합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body is
A connector in which an O-ring coupling groove is formed that specifies a position where the O-ring inserted into the position to be coupled with the target connector is dis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너트는
상기 커넥터 본체가 삽입되는 원통형 본체;
상기 원통형 본체에 삽입된 상기 커넥터 본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원통형 본체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져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본체 이탈 방지턱; 및
상기 마운트 너트가 상기 대상 커넥터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상기 원통형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 나사산을 포함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unt nut is
a cylindrical body into which the connector body is inserted;
a body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ward and have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cylindrical body to prevent the connector body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body from being separated; and
A connector including a coupling thread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so that the mount nut is screwed with the target connec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너트는
상기 대상 커넥터와의 체결 또는 체결 해제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 중 적어도 하나에 훅 스패너나 훅 렌치의 훅 또는 집게형 공구의 집게가 삽입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unt nut is
A connector in which the hook of a hook spanner or hook wrench, or the tongs of a tongs-type tool are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ring removal hole when engaging or disengaging from the target connec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너트는
상기 원통형 본체에서 다수의 오링 제거홀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ount nut is
A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O-ring removal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ylindrical body.
커넥터 본체의 외주면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현된 마운트 너트에 의해 대상 커넥터와 결합된 커넥터를 상기 대상 커넥터에서 체결 해제하여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분리된 커넥터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주면의 상기 대상 커넥터와의 결합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대상 커넥터와의 결합 부위를 통해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오링을 상기 마운트 너트를 관통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을 통해 상기 마운트 너트의 외부로 끌어 올려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오링이 제거된 커넥터에 새로운 오링을 삽입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오링 교체 방법.
A step of disengaging and separating a connector coupled to a target connector from the target connector by a mount nut implement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Removing at least one O-ring formed by penetrating the mount nut in the separated connector, which is disposed at a coupling portion with the target connecto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and blocks moisture flowing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target connector. removing the mount nut by pulling it through the hole; and
A method of replacing an O-ring in a connector, comprising the step of inserting and placing a new O-ring in the connector from which the O-ring was remov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핀셋 또는 전용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을 통해 상기 커넥터 본체에 배치된 상기 오링을 잡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을 통해 잡힌 오링을 상기 마운트 너트의 외부로 끌어 올리는 커넥터의 오링 교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emoving step
Holding the O-ring disposed on the connector body through the at least one O-ring removal hole using tweezers or a dedicated tool,
A method of replacing an O-ring of a connector by pulling the O-ring caught through the at least one O-ring removal hole to the outside of the mount nu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을 통해 상기 마운트 너트의 외부로 끌어 올려진 오링을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오링의 일부를 잡아 상기 오링 제거홀을 통해 상기 커넥터에서 제거하는 커넥터의 오링 교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emoving step
Cutting the O-ring pulled up to the outside of the mount nut through the at least one O-ring removal hole,
A method of replacing an O-ring in a connector by holding a part of the cut O-ring and removing it from the connector through the O-ring removal ho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시키는 단계는
마운트 너트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 중 적어도 하나에 훅 스패너나 훅 렌치의 훅 또는 집게형 공구의 집게가 삽입되고,
상기 훅 또는 집게가 삽입된 훅 스패너, 훅 렌치 또는 집게형 공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운트 너트가 회전하여, 상기 대상 커넥터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된 상기 마운트 너트가 체결 해제되어 상기 커넥터가 분리되는 오링 교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parating step is
The hook of a hook spanner or hook wrench, or the tongs of a tongs-type tool are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ring removal hole formed in the mount nut,
An O-ring in which the mount nut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ook spanner, hook wrench, or tong-type tool into which the hook or tongs are inserted, thereby unfastening the mount nut screwed to the target connector and separating the connector. How to repla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을 삽입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마운트 너트에 삽입된 상기 커넥터 본체에서 상기 대상 커넥터가 결합될 방향으로 새로운 오링을 삽입하여 상기 커넥터 본체에 결합하는 오링 교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of inserting and placing the O-ring is
An O-ring replacement method in which a new O-ring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body inserted into the mount nu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arget connector is to be coupled and coupled to the connector bod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을 삽입 배치하는 단계는
삽입된 오링이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주면에서 상기 대상 커넥터와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된 오링 결합홈에 배치되는 오링 교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ep of inserting and placing the O-ring
An O-ring replacement method in which the inserted O-ring is disposed in an O-ring coupling groov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inserted O-ring is coupled to the target connecto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 교체 방법은
상기 대상 커넥터에 상기 커넥터 본체를 결합하고, 상기 마운트 너트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오링 제거홀 중 적어도 하나에 훅 스패너나 훅 렌치의 훅 또는 집게형 공구의 집게를 삽입하며, 훅 스패너나 훅 렌치 또는 집게형 공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운트 너트가 회전하여, 상기 커넥터가 상기 대상 커넥터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링 교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O-ring replacement method is
The connector body is coupled to the target connector, the hook of a hook spanner or hook wrench, or the tongs of a tongs-type tool are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ring removal hole formed in the mount nut, and the hook spanner, hook wrench, or tongs are inserted. The O-ring replacement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rotating the mount nu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ld tool, thereby fastening the connector to the target connector in a screw-coupled manner.
KR1020220091070A 2022-07-22 2022-07-22 Connector Capable of Easily Replacing O-Ring and O-ring Replacement Method Thereof KR2024001348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070A KR20240013485A (en) 2022-07-22 2022-07-22 Connector Capable of Easily Replacing O-Ring and O-ring Replacement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070A KR20240013485A (en) 2022-07-22 2022-07-22 Connector Capable of Easily Replacing O-Ring and O-ring Replacement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485A true KR20240013485A (en) 2024-01-30

Family

ID=89715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070A KR20240013485A (en) 2022-07-22 2022-07-22 Connector Capable of Easily Replacing O-Ring and O-ring Replacement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348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45B1 (en) 2011-10-31 2013-01-09 삼호전자 주식회사 Waterproof cable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45B1 (en) 2011-10-31 2013-01-09 삼호전자 주식회사 Waterproof cable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3858B2 (en) Screw down connector
US9437965B2 (en) Connector having coupling mechanism
KR20060047921A (en) Coaxial cable connector
US795512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one end threadably connected to a junction box and other en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mating electrical connector
US7878832B2 (en) Underwater connector with a deformable insertion member and a sealing member squeezed by a clamping member
US7503794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for solar panel
US9893507B2 (en) Ball grip compression fitting
WO2011160538A1 (en) Plug as well as socket of coaxial connector and coaxial connector
US20120032436A1 (en) Conduit Connector for Flexible Conduit and Enclosing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3711815A (en) Tight angle multi-contact electrical connector
EP3582338B1 (en) Coupling structure of cable connector
EP2452402B1 (en) High strength electrical connector
US3181105A (en) Cable connector
KR20090085652A (en) Miniature circular connector system
US7988488B2 (en) Barrel nut connector assembly
US9203180B2 (en) Connector having coupling mechanism
US9231345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EP2595248A1 (en) Waterproof connector
CN103843200B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240013485A (en) Connector Capable of Easily Replacing O-Ring and O-ring Replacement Method Thereof
GB2581958A (en) Two-part and terminal connectors with conductor management device for use in hazardous environments
JP2013235783A (en) Connector
KR101095471B1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US4447104A (en) Apparatus for attaching a multiconductor cable to a housing
KR200394079Y1 (en) Cable connec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