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799A - Pressurizing apparatus of all solid state secondary baterry with high temperature - Google Patents

Pressurizing apparatus of all solid state secondary baterry with high tempera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799A
KR20240012799A KR1020220090219A KR20220090219A KR20240012799A KR 20240012799 A KR20240012799 A KR 20240012799A KR 1020220090219 A KR1020220090219 A KR 1020220090219A KR 20220090219 A KR20220090219 A KR 20220090219A KR 20240012799 A KR20240012799 A KR 20240012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lower plate
solid
groov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2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태봉
이석우
송정호
한승아
김상래
한승규
Original Assignee
(주)하나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기술 filed Critical (주)하나기술
Priority to KR1020220090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799A/en
Publication of KR2024001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7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1)에 관한 것으로, 전고체용 이차전지(3)의 고체 전해질과 활물질 간 접촉계면 극대화 및 계면 저항 최소화를 위한 고온 가압 공정 시 상기 이차전지(3)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대한 등방압 가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차전지 가압장치(1)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ation device (1), wherein the secondary battery (3) is positioned during a high-temperature pressurization process to maximize the contact interface between the solid electrolyte and the active material of the all-solid secondary battery (3) and minimize the interface resistance. It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1) that enables isostatic pressurization of the internal space.

Description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PRESSURIZING APPARATUS OF ALL SOLID STATE SECONDARY BATERRY WITH HIGH TEMPERATURE}Secondary battery pressurization device for all solids {PRESSURIZING APPARATUS OF ALL SOLID STATE SECONDARY BATERRY WITH HIGH TEMPERATURE}

본 발명은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1)에 관한 것으로, 전고체용 이차전지(3)의 고체 전해질과 활물질 간 접촉계면 극대화 및 계면 저항 최소화를 위한 고온 가압 공정 시 상기 이차전지(3)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대한 등방압 가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차전지 가압장치(1)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ation device (1), wherein the secondary battery (3) is positioned during a high-temperature pressurization process to maximize the contact interface between the solid electrolyte and the active material of the all-solid secondary battery (3) and minimize the interface resistance. It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1) that enables isostatic pressurization of the internal space.

최근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배터리인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Recently, as the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energy storage batteries, robots, and satellites has begun in earnest, research on secondary batteries, which are high-performance batteries capable of repe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is being actively conducted. Currently commercialized secondary batteries include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ogen batteries, nickel zinc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mong thes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little memory effect compared to nickel-based secondary batteries, so they can be freely charged and discharged. It is receiving attention for its extremely low self-discharge rate and high energy density.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인 파우치를 구비한다.Thes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inly use lithium-based oxide and carbon material as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respective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each coated wit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e disposed with a separator in between, and a pouch, which is an exterior material that seals and stores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그 중에서도 전고체용 이차전지는 주요 소재가 모두 고체로 이루어지는 이차전지로, 고체 전해질을 사용함에 따라 화재 및 폭발 위험이 현저히 줄어들어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성능이 월등히 우수함에도 화재 및 폭발 위험으로 인하여 활용하지 못하였던 리튬 금속을 음극재로 사용 가능하여 에너지 밀도를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하여 현재 전고체용 이차전지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다.Among them,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ies are secondary batteries in which the main materials are all solid. By using a solid electrolyte, the risk of fire and explosion is significantly reduced, broadening the range of use, and although their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superior, they cannot be used due to the risk of fire and explosion. The previously used lithium metal can be used as an anode material, which can dramatically increase energy density. Due to these advantages, development of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ies is currently in active progress.

이러한 전고체용 이차전지에서의 고체 전해질은 이온이 고체 격자 사이에서 이동하므로 활물질과 전해질 간 접촉 계면을 극대화하면서도 계면 저항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고체 전해질층을 적층한 후 압력전달용 매질인 유체를 통하여 등방압 조건 하 고온 가압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 때, 이차전지에 대한 등방압 조건 하 가압함과 동시에 압력전달용 매질인 유체로부터의 보호를 위하여 기밀성을 확보하는 지그 등의 장치 구성을 필요로 한다.In these all-solid secondary batteries, the solid electrolyte must maximize the contact interface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electrolyte while minimizing the interfacial resistance because ions move between the solid lattice. For this purpose, after stacking the solid electrolyte layer, a high-temperature pressurization process must be performed under isostatic pressure conditions through a fluid, which is a pressure transfer medium. At this time, while pressurizing the secondary battery under isostatic pressure conditions, the fluid, which is a pressure transfer medium, must be performed. For protection from air,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devices such as jigs that ensure confidentiality.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신규의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구성을 제시하며,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configuration, and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069523호 '전고체 이차전지 및 전고체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Domestic Publication Patent No. 10-2015-0069523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It wa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전고체용 이차전지의 고체 전해질과 활물질 간 접촉계면 극대화 및 계면 저항 최소화를 위한 고온 가압 공정시 내부 공간에 해당 이차전지를 배치하여 기밀성을 유지한 채 등방압 가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ll-solid secondary battery that enables isostatic pressurization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by placing the secondary battery in the internal space during the high-temperature pressurizing process to maximize the contact interface between the solid electrolyte and the active material of the all-solid secondary battery and minimize the interface resistan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attery pressuriza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의 일 측에 누설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내부 공간에 대한 누설을 방지하도록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that prevents leakage into the internal space by forming a leakage prevention portion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또한, 본 발명은 하부 플레이트 또는 상부 플레이트의 일 측에 형성되어 몸체부 내부 공간을 진공 형성 또는 해제하는 진공 블럭을 구비함으로써, 고온 가압 공정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that prevents defects in the high-temperature pressurizing process in advance by providing a vacuum block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or upper plate to create or release a vacuum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There is a purpose to doing so.

또한, 본 발명은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각각에 제1 정렬부 및 제2 정렬부를 구비함으로써 상하부 플레이트의 결합 시 정 위치 정렬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that enables in-position alignment wh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joined by providing a first alignment portion and a second alignment portion on each of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또한, 본 발명은 불소 실리콘 재질의 가압면부를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내열성, 내유성 및 신율 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izing device for an all-solid secondary battery that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oil resistance, and elongation characteristics by forming a pressurizing surface made of fluorosilicone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가압면부에 각각 부착되는 컨택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고온 가압 공정시 해당 가압면부를 유체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that protects the pressurizing surface from fluid during a high-temperature pressurizing process by forming a contact prevention part attached to each of a pair of pressurizing surfaces.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urpo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하여 전고체용 이차전지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 상의 제1 가압면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 상의 제2 가압면부;를 포함하는 가압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plate; and an upper plate coupled to the lower plate to form an internal space in which an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is disposed; a body portion including a; and a first pressure surface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a second pressure surface portion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가압면부 및 제2 가압면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pressurizing chamber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fixing the first pressing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pressing surfac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additionally including govern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는 제1 누설방지홈부 및 제2 누설방지홈부에 삽입되어 내부 공간에 대한 누설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면 상에 형성되는 홈형의 제1 누설방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저면 상에 형성되는 홈형의 제2 누설방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eakage prevention part that is inserted into the first leakage prevention groove and the second leakage prevention groove to prevent leakage into the internal space. And, the lower plate includes a groove-shaped first leak-prevention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plate includes a groove-shaped second leak-prevention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제1 가압면부가,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제2 가압면부가 배치되도록 하는 가압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홈형의 구성인 제1 가압고정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 상에 형성되는 홈형의 구성인 제2 가압고정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respectively, and has a first pressing surface portion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The lower plate further includes a first pressure fixing groove formed in a groove shap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pressure fixing groov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and having a groove-shaped configu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에서의 상기 하부 플레이트 또는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 또는 상부 플레이트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진공 형성 또는 해제하는 진공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late or upper plate in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or upper plate to form a vacuum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ortion. Or a vacuum block for releas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에서의 상기 진공 블럭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유로형성부; 및 상기 유로형성부와 연통하여 내측에 진공수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연통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block in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w path form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communication groove that communicates with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and allows a vacuum means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에서의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홈형의 구성으로, 위치정렬수단 몸체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1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 상에 형성되는 홈형의 구성으로, 상기 위치정렬수단의 헤드부와 결합되는 커버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2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late in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oove-shaped configura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includes a device that allows insertion of the body portion of the positioning means. It includes: 1 alignment portion; wherein the upper plate has a groove-shaped configura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and a second alignment portion that allows insertion of a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position alignment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에서의 상기 제2 정렬부의 내주면은 상기 제1 정렬부의 내주면보다 큰 직경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in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arger diameter size tha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alignment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에서의 상기 한 쌍의 가압면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pressing surfaces in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silicon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에서의 상기 한 쌍의 가압면부는 불소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pressing surfaces in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fluorine silicon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에서의 상기 한 쌍의 가압면부는 두께가 1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pressing surface portions in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is 1T or les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에서의 상기 한 쌍의 가압면부는 두께가 0.5T 이상 그리고 1T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pressing surface portions in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is 0.5T or more and less than 1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는 상기 제1 가압면부의 저면과 상기 제2 가압면부의 상면 상의, 한 쌍의 컨택방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air of contact prevention part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ressure surface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essure surfac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에서의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고정부와 함께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결합 또는 해제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late in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and the upper plate includes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art together with the first fixing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fixing part that couples or releases the plate.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by virtu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전고체용 이차전지의 고체 전해질과 활물질 간 접촉계면 극대화 및 계면 저항 최소화를 위한 고온 가압 공정시 내부 공간에 해당 이차전지를 배치하여 기밀성을 유지한 채 등방압 가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isostatic pressure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by placing the secondary battery in the internal space during the high-temperature pressurization process to maximize the contact interface between the solid electrolyte and the active material of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and minimize the interface resistance. .

또한, 본 발명은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의 일 측에 누설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내부 공간에 대한 누설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leakage into the internal space by forming a leakage prevention portion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또한, 본 발명은 하부 플레이트 또는 상부 플레이트의 일 측에 형성되어 몸체부 내부 공간을 진공 형성 또는 해제하는 진공 블럭을 구비함으로써, 고온 가압 공정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efects in the high-temperature pressurizing process in advance by providing a vacuum block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or upper plate to create or release a vacuum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또한, 본 발명은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각각에 제1 정렬부 및 제2 정렬부를 구비함으로써 상하부 플레이트의 결합 시 정 위치 정렬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in-position alignment wh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combined by providing a first alignment portion and a second alignment portion on each of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또한, 본 발명은 불소 실리콘 재질의 가압면부를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내열성, 내유성 및 신율 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효과를 보인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oil resistance, and elongation characteristics by forming a pressure surface portion made of fluorine silicon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가압면부에 각각 부착되는 컨택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고온 가압 공정시 해당 가압면부를 유체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corresponding pressing surfaces from fluid during a high-temperature pressing process by forming a contact prevention part attached to each of the pair of pressure surfaces.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Meanwhile, it is to be added that even if the effects are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in,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and their potential effects expected from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i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진공 블럭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7은 진공 블럭이 미형성된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의 감압지 가압 결과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8은 도 1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도이고;
도 9는 실리콘 재질의 가압면부의 물성을 보여주는 표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면부의 경도에 따른 가압결과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면부의 두께에 따른 가압결과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izing device for an all-solid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4 is a top view of the lower plate according to Figure 1;
Figures 5(a) to 5(d) are reference diagrams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vacuum block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7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pressure-sensitive paper pressurization results of the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ation device in which the vacuum block is not formed;
Figure 8 is a bottom view of the top plate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9 is a table show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ssure surface made of silicon;
Figure 10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pressing according to the hardness of the pressing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pressing result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ressing surfac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기준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참고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but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atters stated in the claims. In additio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only as a reference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dditionally, when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means specifying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opera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이하에서는, 일 구성요소(또는 층)가 타 구성요소(또는 층)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일 구성요소가 타 구성요소 위에 직접적으로 배치되는 것일 수도, 또는 해당 구성요소들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층(들)이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 구성요소가 타 구성요소 상 또는 위에 직접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표현되는 경우, 해당 구성요소들 사이에 타 구성 요소(들)이 위치하지 않는다. 또한, 일 구성요소의 '상',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또는 '일 측', '측면'에 위치한다는 것은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다. Hereinafter, when one component (or layer) is described as being placed on another component (or layer), one component may be placed directly on the other component, or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between the components. It should be noted that component(s) or layer(s) may be located in between. Additionally, when one component is expressed as being placed directly on or above another component, the other component(s) are not located between the components. In addition, being located at the 'top', 'top', 'bottom', 'top', 'bottom' or 'one side' or 'side' of a component means a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이차전지'는 단위셀(Unit Cell) 또는 바이셀(Bi-Cell)로 이루어지는 전고체용 이차전지(3)로 이해한다.Hereinafter,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econdary battery' is understood as an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3) consisting of a unit cell or bi-cell.

또한, 상기 '가압장치(1)'는 전고체용 이차전지(3)를 패킹하여, 열매체유와 같은 압력전달용 매질인 유체를 이용한 WIP(Warm Isostatic Press) 등의 고온 가압 공정 시 상기 이차전지(3)를 유체 등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등방압 조건 하 가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해한다.In addition, the 'pressurizing device 1' packs the all-solid secondary battery 3, and presses the secondary battery ( 3) is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that protects from external factors such as fluid and at the same time enables pressurization under isostatic pressure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izing device for an all-solid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according to Figure 1.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1)에 관한 것으로, 전고체용 이차전지(3)의 고체 전해질과 활물질 간 접촉계면 극대화 및 계면 저항 최소화를 위한 고온 가압 공정 시 상기 이차전지(3)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대한 등방압 조건 하 가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차전지 가압장치(1)에 관한 것이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1), a high-temperature pressing process for maximizing the contact interface between the solid electrolyte and the active material of the all-solid secondary battery (3) and minimizing the interface resistance. It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1) that enables pressurization under isostatic pressure conditions for the internal space where the secondary battery (3) is located.

이를 위하여, 상기 가압장치(1)는 몸체부(10), 가압면부(30), 컨택방지부(50), 가압고정부(70) 및 누설방지부(9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essurizing device 1 may include a body portion 10, a pressurizing surface portion 30, a contact prevention portion 50, a pressurizing fixing portion 70, and a leakage prevention portion 90.

몸체부(10)는 가압장치(1)의 외면을 이루는 구성이다. 이러한 몸체부(10)는 예를 들어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알루미늄(Aluminium; Al)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몸체부(10)의 형상에는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 그 사각 테두리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몸체부(10; 110,130)에는 후술할 한 쌍의 가압면부(30; 310,330) 또는 컨택방지부(50; 510,530)의 적어도 일 측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0 forms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device 1. This body portion 10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luminum (Al), but there is no separate limitation thereon. Additionally, there is no limit to the shape of the body portion 10, but for example, it may have a rectangular border-shaped planar shape. Alternatively, 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10 (110, 130) to expose at least one side of a pair of pressure surface portions (30; 310, 330) or contact prevention portions (50; 510, 5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the outside.

이를 위하여, 몸체부(10)는 하부 플레이트(110)와 상부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body portion 10 may include a lower plate 110 and an upper plate 130.

도 4는 도 1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Figure 4 is a top view of the lower plate according to Figure 1;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하부 플레이트(110)는 상부 플레이트(130)와 결합하여, 그 사이에 전고체용 이차전지(3)가 배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하부 플레이트(110)는 상부 플레이트(130)와 물리적으로 독립된 구성일 수도 또는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110)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130)가 회전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S. 1 to 4 , the lower plate 110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130 so that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3 is disposed therebetween. The lower plate 110 may be physically independent from the upper plate 130, or one end may be hinged so that the upper plate 130 is rotationally coupled to the lower plate 110, but there are separate restrictions on this. That is not the case.

이를 위하여, 하부 플레이트(110)는 제1 누설방지홈부(111), 제1 가압고정홈부(113), 제1 고정부(115), 진공 블럭(117), 제1 정렬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lower plate 110 includes a first leakage prevention groove 111, a first pressure fixing groove 113, a first fixing part 115, a vacuum block 117, and a first alignment part 119. can do.

제1 누설방지홈부(111)는 하부 플레이트(110)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홈형의 구성으로, 후술할 누설방지부(90)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제1 누설방지홈부(111)는 하부 플레이트(110)의 일 측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홈형의 구성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범위가 특정 예시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 누설방지홈부(111)는 하부 플레이트(110)의 상면 상에서 링형의 평면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사각 테두리형의 평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leak-prevention groove portion 111 is a groove-shaped configura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into which the leak-prevention portion 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e first leak-prevention groove 111 may be a groove-shaped configuration that is formed in a stepped manner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110,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pecific examples. This first leak prevention groove 111 may be formed in a ring-shaped planar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rectangular border-shaped planar shape, but there is no separate limitation thereon.

제1 누설방지홈부(111) 상에는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누설방지부(90)가 삽입되어 이차전지(3)가 위치할 몸체부(10) 내부 공간에 대한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압 공정 수행 시, 열매체유 등 유체가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으로 침투하여 이차전지(3)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누설방지부(90)가 제1 누설방지홈부(111) 및 제2 누설방지홈부(131) 내에 끼워지도록 설명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누설방지홈부(111) 및 제2 누설방지홈부(131)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용어 '내부 공간'은 몸체부(10)와 가압면부(30)에 의하여, 이차전지(3)가 배치되는 밀폐된 공간으로 이해한다.It is preferable that a leakage prevention portion 90 having a complementary shape is inserted into the first leakage prevention groove 111 to prevent leakage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ortion 10 where the secondary battery 3 will be located. That is, when performing the pressuriz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fluid such as thermal oil from penetrating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ortion 10 and contacting the secondary battery 3. In addition, hereinafter, the leakage prevention part 90 will be described as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leakage prevention groove part 111 and the second leakage prevention groove part 131. However, in some cases, the first leakage prevention groove part 111 and the second leakage prevention groove part 13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leakage prevention groove part 111 and the second leakage prevention groove part 131.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possible to form only one of the prevention grooves 131. The term 'internal space' is understood as a closed space i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3 is disposed by the body portion 10 and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0.

제1 가압고정홈부(113)는 하부 플레이트(110)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홈형의 구성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110)의 상면 상에서 제1 누설방지홈부(111)보다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가압고정홈부(113)에는 가압면부(30)의 말단부가 가압고정부(7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고정부(70)에 의해 면가압됨으로써 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압고정홈부(113)는 그 저부가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되어 가압면부(30)의 말단부가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pressure fixing groove 113 is a groove-shaped structu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and is preferably formed inside the first leakage prevention groove 11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 In this first pressure fixing groove 113, the distal end of the pressure surface part 30 is disposed between the pressure fixing part 70 and can be fixed in place by pressing the surface by the pressure fixing part 70.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bottom of the first pressure fixing groove 113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flat so that the distal end of the pressure surface 30 can be easily seated.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제1 가압고정홈부(113)에는 제1 삽입공(11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공(113a)은 하측의 가압면부(310)의 관통공(310a) 및 제1 가압고정부(710)의 관통공과 매칭되어 결합수단의 삽입을 허용함으로써 제1 가압고정홈부(113) 내에서 상기 가압면부(31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용어 '결합수단'이라 함은, 핀 또는 볼트 구성 등 공지된 다양한 체결 또는 결합 구성 중 임의의 것일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예시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a first insertion hole 113a may be formed in the first pressure fixing groove 113. The first insertion hole (113a) is matched with the through hole (310a) of the lower pressure surface portion (310) and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pressure fixing portion (710) to allow insertion of the coupling means, thereby forming the first pressure fixing groove portion (113).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10 can be fixed within. The term 'coupling means' may be any of various known fastening or coupling configurations such as pins or bol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xamples.

도 1,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제1 고정부(115)는 하부 플레이트(110)와 상부 플레이트(130)가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Referring to FIGS. 1, 2, and 4, the first fixing part 115 is configured to couple or disengage the lower plate 110 and the upper plate 130.

제1 실시예로, 제1 고정부(115)는, 하부 플레이트(110)와 상부 플레이트(130)가 결합 위치에 놓일 때 서로 매칭되는 홈형의 수용홈(115a) 구성으로, 상부 플레이트(130) 제2 고정부(135)의 수용홈(135a)과 형성된 공간 내에 오토 클램프(Auto Clamp) 구성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양 플레이트(110,130) 간 결합 및 해제를 도모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fixing part 115 is configured with a groove-shaped receiving groove 115a that matches each other when the lower plate 110 and the upper plate 130 are placed in the coupling position, and the upper plate 130 By arranging an auto clamp configuration in the space formed with the receiving groove 135a of the second fixing part 135, coupling and disengagement between the two plates 110 and 130 can be achieved.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Figures 5(a) to 5(d) are reference diagrams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실시예로, 도 5(a)를 참고하면, 제1 고정부(215)는 하부 플레이트(210)의 일 측 상에 형성되는 오토 래치(Auto Latch) 구성으로, 제2 고정부(235)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하부 플레이트(210)와 상부 플레이트(13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제2 고정부(235)가 오토 래치 구성으로 형성되며 제1 고정부(215)에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referring to FIG. 5(a), the first fixing part 215 is an auto latch configura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21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35 ) can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to ensure that the lower plate 210 and the upper plate 130 are fixed. Alternatively, on the contrary, the second fixing part 235 may be formed in an auto-latch configuration and a fastening groov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rst fixing part 215 may be formed.

제3 실시예로, 도 5(b)를 참고하면, 제1 고정부(315)가 하부 플레이트(310)의 일 측 상에 형성되는 래치(Latch) 구성으로, 제2 고정부(335)에 형성되는 대응홈에 밀어 잠금될 수도 또는 반대로 제1 고정부(315)가 대응홈이, 제2 고정홈(335)에 래치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referring to FIG. 5(b), the first fixing part 315 has a latch configura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310 and is attached to the second fixing part 335. It may be locked by pushing into the corresponding groove formed, or conversely, the first fixing part 315 may be formed as a corresponding groove, and a latch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ixing groove 335.

제4 실시예로, 도 5(c)를 참고하면, 하부 플레이트(410)와 상부 플레이트(430)를 결합한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 크기의 홈형의 구성이 형성되어, 예를 들어 볼락핀(Ball Lock Pin) 등의 결합수단이 체결 또는 삽입될 수도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referring to FIG. 5(c), when the lower plate 410 and the upper plate 430 are combined, groove-shaped configurations of substantially the same diameter and size ar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e.g. For example, a coupling means such as a ball lock pin may be fastened or inserted.

제5 실시예로, 도 5(d)를 참고하면, 하부 플레이트(510)와 상부 플레이트(530)가 결합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홈부 및 돌출부가 형성되어 끼워 맞춤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fifth embodiment, referring to FIG. 5(d), when the lower plate 510 and the upper plate 530 are placed in the coupled position, grooves and protrusions ar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so that they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hrough fitting. It can also be combined.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 다양한 공지된 또는 공지될 구성들 중 임의의 것을 적용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가 특정 예시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pplying any of various known or to be known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pecific examples.

도 6은 도 1에 따른 진공 블럭에 대한 확대도이다.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vacuum block according to Figure 1;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고하면, 진공 블럭(117)은 하부 플레이트(110)의 일 측에 형성되어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을 진공 형성하거나 반대로 진공 해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진공 블럭(117)은 하부 플레이트(110)가 아닌 상부 플레이트(130)의 일 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S. 1 to 4 and 6 , the vacuum block 117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110 to create a vacuum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0 or, conversely, to release the vacuum. This vacuum block 117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130 rather than the lower plate 110, and there is no separate limitation thereon.

일반적으로, 전고체용 이차전지(3)에 대한 고온 가압 공정 진행 시, 몸체부(10)의 내부에 공기가 잔류한 상태에서 공정을 진행하면 결과물에 불량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즉, 잔류 공기에 의해 내부 이차전지(3)에 대한 등방압 조건을 만족할 수 없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1)는 진공 블럭(117)을 포함하며, 그 구조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Generally, when performing a high-temperature pressurization process for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3, if the process is performed with air remaining inside the body portion 10, defects are bound to occur in the resulting product. That is, the isostatic pressure condition for the internal secondary battery 3 cannot be satisfied due to residual air. To this end, the pressuriz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cuum block 117, and details of it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7은 진공 블럭이 미형성된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의 감압지 가압 결과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Figure 7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pressure-sensitive paper pressurization results of the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ation device in which the vacuum block is not formed.

진공 vacuum 블럭(117)의of block 117 구성 composition

도 7을 참고하면, 몸체부(10) 및 가압면부(30)가 전술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ure 7, the body portion 10 and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0 are formed to have the above-described shapes.

이후 몸체부(1) 내부 공간에는 감압지 3EA 및 그 상면 및 저면에 흑연 처리된 동박을 배치한 이후 물을 이용하여 상온 환경 하 2000bar 압력에서 1분 유지 조건의 가압 공정을 수행한다.Afterwards, 3 EA of pressure-sensitive paper and graphite-treated copper foil are plac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dy part (1), and then a pressurization process is performed using water at a pressure of 2000 bar in a room temperature environment for 1 minute.

이 때 실리콘 면압에 의한 이차전지(3)에 대한 가압은 확인 가능하나, 내부 공간에 공기 유입으로 기포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가압면부에 변형이 발생한다. 또한, 가압결과에 균일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1)는 진공 블럭(117)을 구비한다. At this time, the pressure on the secondary battery 3 due to the silicon surface pressure can be confirmed, but air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internal space due to the inflow of air, which causes deformation in the pressurized surface. Additio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uniformity in the pressurizing results is low.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problems, the pressuriz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acuum block 117.

도 6을 참고하면,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럭(117)는 유로형성부(1171) 및 연통홈(117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for this purpose, the vacuum block 11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low path forming portion 1171 and a communication groove 1173.

유로형성부(1171)는 이차전지(3)가 위치하는 몸체부(1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진공 형성 및/또는 진공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로 구성이다. 이러한 유로형성부(1171)는 일 측이 연통홈(1173)과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유로형성부(1171)는 별도의 연통홈(1173) 없이 하부 플레이트(110)의 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내부 공간의 공기가 몸체부(10)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범위가 특정 예시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1171 is a flow path configurat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10 where the secondary battery 3 is located and enables the formation and/or release of vacuum in the inner space. One side of this flow path forming portion 1171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groove 1173. Alternatively,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1171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without a separate communication groove 1173 so that the air in the internal space is discharged from the body portion 10, and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xamples.

연통홈(1173)은 유로형성부(1171)와 연통하여 내측에 진공수단(1175)이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일 예로, 연통홈(1173)은, 측방 연장되는 유로형성부(1171)의 저부와 연통하여 몸체부(10)의 저면으로 연장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통홈(1173) 내 진공수단(1175)는, 예를 들어 오토 커플러(Auto Coupler) 구성일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The communication groove 1173 communicates with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1171 and is configured to allow the vacuum means 1175 to be inserted inside. 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groove 1173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bottom of the laterally extending flow path forming portion 1171 and extends to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10. The vacuum means 1175 in the communication groove 1173 may, for example, be configured as an auto coupler, but there is no separate limitation thereon.

도 2를 참고하면, 제1 정렬부(119)는 하부 플레이트(110)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홈 구성으로, 위치정렬수단(A; A1,A2,A3)의 몸체부(A1) 삽입 또는 체결을 허용한다. 이러한 제1 정렬부(119)는 몸체부(A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큰 직경 크기로 형성되는 원통형 홈 구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정렬수단(A)에는, 몸체부(A1) 및 상기 몸체부(A1)와 제1 정렬부(119)보다 큰 직경 크기로 형성되는 헤드부(A2)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A2)의 외면 상에는 커버부(A3)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A3)의 저부에는 헤드부(A2)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A3)의 홈은 헤드부(A2)의 밀착 삽입을 허용하도록 상기 헤드부(A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몸체부(A1) 및 헤드부(A2)는 일 예로 스크류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커버부(A3)의 외주면은 제2 정렬부(137)의 내주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alignment portion 119 is a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and is used to insert or fasten the body portion A1 of the alignment means A; A1, A2, and A3. Allow. The first alignment portion 119 may have a cylindrical groove configuration with a diameter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at of the body portion A1,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osition alignment means (A), a body portion (A1) and a head portion (A2) formed with a larger diameter size than the body portion (A1) and the first alignment portion 119 are formed, and the head portion (A2) A cover portion (A3) may be inserted on the outer surface of . Accordingly, a groov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ver portion A3 to allow insertion of the head portion A2, and the groove of the cover portion A3 is formed to allow close insertion of the head portion A2. )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diameter size tha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For example, the body portion (A1) and the head portion (A2) may have a screw configuration. Additionall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3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137.

제1 정렬부(119) 및 후술할 제2 정렬부(137)를 통한 상하부 플레이트(110,130) 간 결합 정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정렬부(119) 내에 위치정렬수단(A)의 몸체부(A1)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헤드부(A2)와 결합된 커버부(A3)는, 상부 플레이트(130)의 저부에서 상방 함입되는 제2 정렬부(137) 내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하부 플레이트(110)에 대한 상부 플레이트(130)의 결합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In detail, the combined alignmen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110 and 130 through the first alignment unit 119 and the second alignment unit 13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body portion of the alignment means (A) within the first alignment unit 119 Make sure (A1) is inserted. And the cover part A3 combined with the head part A2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alignment part 137 that is recess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30. By this,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upper plate 130 with respect to the lower plate 110 can be aligned.

도 8은 도 1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Figure 8 is a bottom view of the top plate according to Figure 1;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부 플레이트(130)는 하부 플레이트(110)와 결합하여 이차전지(3)가 배치될 내부 공간에 대한 기밀성을 확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130)는, 하부 플레이트(11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사각 테두리형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상부 플레이트(130)는, 하부 플레이트(110)와 마찬가지로, 일 측에 개구가 형성되는 판형의 구성일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and 8 , the upper plate 130 is combined with the lower plate 110 to ensure airtightness of the internal space where the secondary battery 3 will be placed. Like the lower plate 110, the upper plate 130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flat shape with a square bord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upper plate 130, like the lower plate 110, may be of a plate-shaped configuration with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이를 위하여, 상부 플레이트(130)는 제2 누설방지홈부(131), 제2 가압고정홈부(133), 제2 고정부(135) 및 제2 정렬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30) 상에 진공 블럭(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고정부(135)는 전술한 제1 고정부(115)와 관련된 설명으로, 제2 정렬부(137)는 전술한 제1 정렬부(119)와 관련된 설명으로 갈음한다.To this end, the upper plate 130 may include a second leakage prevention groove 131, a second pressure fixing groove 133, a second fixing part 135, and a second alignment part 137. As described above, a vacuum block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upper plate 130. 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135 is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first fixing part 115 described above, and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alignment part 137 is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first aligning unit 119 described above.

제2 누설방지홈부(131)는 상부 플레이트(130)의 저면 상에 형성되는 홈형의 구성으로, 누설방지부(90)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또한, 제2 누설방지홈부(131)는 저면부(110)와 커버부(130)와 결합 위치에 놓일 때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누설방지홈부(131) 및 제1 누설방지홈부(111)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 내에 한 개의 누설방지부(90)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2 누설방지홈부(131)는 제1 누설방지홈부(111)와 상하 방향을 따라 엇갈리는 위치에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개별 누설방지부(90)의 삽입을 허용할 수도 있다.The second leak-prevention groove portion 131 is a groove-shaped configura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30, into which the leak-prevention portion 90 is inserted. Additionally, the second leakage prevention groove portion 13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portion 110 and the cover portion 130 when placed in a coupled position. Therefore, one leak-prevention portion 90 can be coupled within the space formed by the second leak-prevention groove portion 131 and the first leak-prevention groove portion 111. Alternatively, the second leak-prevention groove 131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ak-prevention groove 111 in a vertical direction to allow insertion of an individual leak-prevention groove 90.

제2 가압고정홈부(133)는 상부 플레이트(130)의 저면 상에 형성되는 홈형의 구성으로, 상기 제2 누설방지홈부(131)보다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압고정홈부(133)는, 제1 가압고정홈부(133)와 마찬가지로, 가압면부(30)의 말단부가 가압고정부(7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가압고정홈부(133)는 제1 가압고정홈부(113)와 상하 반전되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pressure fixing groove 133 has a groove-shaped configura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30, and is preferably formed inside the second leakage prevention groove 131. The second pressure fixing groove 133, like the first pressure fixing groove 133, can be arranged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pressure surface 30 and the pressure fixing part 70 to fix it in a fixed position. As an example, the second pressure fixing groove 133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pressure fixing groove 113,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2 가압고정홈부(133)에는 제2 삽입공(13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공(133a)은 상측의 가압면부(330)의 관통공(330a) 및 제2 가압고정부(730)의 관통공과 매칭되어 결합수단의 삽입을 허용함으로써 제2 가압고정홈부(133) 내에 상기 가압면부(33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second insertion hole 133a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ressure fixing groove 133. The second insertion hole (133a) is matched with the through hole (330a) of the upper pressure surface portion (330) and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pressure fixing portion (730) to allow insertion of the coupling means, thereby forming the second pressure fixing groove portion (133).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30 can be fixed within.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가압면부(30)는 고온 가압 공정 시 압력전달용 매질인 유체에 의해 가압되어 몸체부(10) 내부 공간의 전고체용 이차전지(3)를 가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가압면부(30; 310,330)는 하부 플레이트(110) 및 상부 플레이트(130)에 각각 고정되도록 한 쌍 형성되어 이차전지(3)의 상면 및 저면과 모두 컨택 및 가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가압면부(30; 제1 가압면부(310) 및 제2 가압면부(330))는 이차전지(3)와 상하 오버랩되는 측은 상기 이차전지(3)의 상면 및 저면을 등방압 조건을 만족하면서 가압하도록 그 대향면들이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되되, 각각의 말단부가 제1 가압고정홈부(113) 및 제2 가압고정홈부(133)에 삽입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pressurizing surface portion 30 is pressurized by fluid, which is a pressure transfer medium, during the high-temperature pressurizing process to pressurize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3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ortion 10.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these pressure surface portions 30 (310, 330) are fixed to the lower plate 110 and the upper plate 130, respectively, so as to be configured to contact and pressurize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ary battery 3. In addition, the pair of pressure surface portions 30 (the first pressure surface portion 310 and the second pressure surface portion 330) have an isostatic pressure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secondary battery 3 on the side that overlaps the secondary battery 3 and the top and bottom. The opposing surfaces are formed to be substantially flat to press while satisfying the conditions, and each end portion may be bent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pressure fixing groove 113 and the second pressure fixing groove 133.

즉, 제1 가압면부(310)와 제2 가압면부(330)의 말단부는 각각의 제1 가압고정홈부(113) 및 제2 가압고정홈부(133)의 안착면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별 가압면부(30; 310,330)는 하부 플레이트(110)와 제1 가압고정부(710) 사이에서,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130)와 제2 가압고정부(730)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pressure surface portion 310 and the second pressure surface portion 330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complementary shape to the seating surfaces of the first pressure fixing groove portion 113 and the second pressure fixing groove portion 133, respectively. It can be. The individual pressure surface portions 30 (310,330) may be fixed between the lower plate 110 and the first pressure fixing part 710, and between the upper plate 130 and the second pressure fixing part 730.

도 9는 실리콘 재질의 가압면부의 물성을 보여주는 표이다.Figure 9 is a table show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ssure surface made of silicone.

가압면부(30)의of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0) 재질 texture

일반적으로 전고체용 이차전지(3)에 대한 고온 가압 시, 바람직하게 약 100˚C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C 근방 그리고 7000 bar 압력 환경에서 공정이 진행된다. 또한, 가압 공정은 약 200˚C 환경에서 진행되므로, 물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열매체유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general, when high-temperature pressurization of the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3 is performed, the process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about 100˚C or higher, more preferably around 200˚C, and in a pressure environment of 7000 bar. Additionally, since the pressurization process is carried out in an environment of approximately 200˚C, it is preferable to use heat medium oil rather than water.

따라서, 가압면부(30)는 이차전지(3)에 대한 등방압 가압 환경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내열성 및 내유성을 만족하여야 한다. 등방압 가압 환경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신율 특성이 높은 소재의 사용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PTFE(Polytetrafuoroethylene), PEEK(Polyether ether ketone), PI(Polyimides) 등의 필름(Film) 소재는 내열성과 내유성에 높은 성능을 가지고 있으나 신율 특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본 공정에 부적합하다.Therefore,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0 must satisfy the isostatic pressure environment for the secondary battery 3 and at the same time satisfy heat resistance and oil resistance. In order to meet the isostatic pressurization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use materials with high elongation characteristics. In general, film materials such as PTFE (Polytetrafuoroethylene), PEEK (Polyether ether ketone), and PI (Polyimides) have high heat resistance and oil resistance, but their elongation characteristics are relatively low, making them unsuitable for this process.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면부(30)는 높은 신율 특성을 가지는 실리콘(Silicon)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도가 낮은 실리콘 소재의 가압면부(30)에서 더욱 높은 가압률을 가지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따라서, 가압면부(30)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되, 낮은 경도를 가지며, 더욱 높은 신율 특성을 가질수록 이차전지(3) 고온 가압 공정에 유리한 결과를 가져온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silicon material with high elongation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pressing surface portion 30 made of a silicon material with low hardness has a higher pressing rate, and details abou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0 is made of a silicon material, has low hardness, and has higher elongation characteristics, which produces more favorable results in the high-temperature pressing process of the secondary battery 3.

이를 위하여,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면부(30)는 내스팀 실리콘, 내열 실리콘, 불소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불소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좌측에서 우측 방향을 따라 내스팀 실리콘(KCC SILICONE; SH6070U), 내열 실리콘(KCC SILICONE; SH9161U), 불소 실리콘(KCC SILICONE; FQE205)의 물성을 나타낸 비교표이다. To this end, referring to FIG. 9,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steam-resistant silicon, heat-resistant silicon, or fluorine silicon, and among these, it is preferably made of fluorine silicon. Figure 9 is a comparison table show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steam-resistant silicone (KCC SILICONE; SH6070U), heat-resistant silicone (KCC SILICONE; SH9161U), and fluorine silicon (KCC SILICONE; FQE205) from left to right.

시험조건 150˚C 그리고 70시간의 IRM 903 오일(ASTM Oil TEST Reference Oil)에서, 체적변화율(Change of Volume), 경도변화량(Change of Hardness), 인장강도변화율(Change of Tensile strength) 및 신장변화율(Change of Elongation)을 참고하면, 불소 실리콘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내유성이 좋은 불소 실리콘 소재의 가압면부(30)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Under test conditions of 150˚C and 70 hours of IRM 903 oil (ASTM Oil TEST Reference Oil), Change of Volume, Change of Hardness, Change of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Change Rate ( Change of Elongation), you can see that fluorine silicon shows the best effect.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utilize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0 made of fluorosilicone material with good oil resistance.

또한, 한 쌍의 가압면부(30)의 이차전지(3) 접촉면 또는 가압면에는 상기 가압면부(30)의 실리콘 특유의 점착력을 보완하기 위한 실리콘제 슬립 코팅이나 이형 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ilicone slip coating or release film may be attached to the contact surface or pressure surface of the pair of pressure surface portions 30 of the secondary battery 3 to supplement the unique adhesive strength of silicone of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면부의 경도에 따른 가압결과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Figure 10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pressing results according to the hardness of the pressing surfac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압면부(30)의of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0) 경도 Hardness

도 10을 참고하면,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는 가압면부의 가압장치에서,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에 감압지 3EA와, 상기 감압지의 최상측 및 최하측에 흑연처리된 동박을 배치한다. 가압면부(30)를 구성하는 몰드용 실리콘은 경도 5(비교예1) 및 경도 20(비교예2) 두 종류로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10, in the pressurizing device of the pressurizing surfaces having different hardnesses, 3EA of pressure-sensitive paper is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10, and graphite-treated copper foil is placed on the uppermost and lowermost sides of the pressure-sensitive paper. The silicone for the mold constituting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0 is formed in two types: hardness 5 (Comparative Example 1) and hardness 20 (Comparative Example 2).

이후 물을 이용하여 상온 환경 하 2000bar 압력에서 1분 유지 조건의 가압 공정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면 비교예1에서 비교예2 대비 현저히 상승된 가압률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면부의 불소 실리콘 경도는 그 값이 낮을수록 가압 공정에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Afterwards, a pressurization process is performed using water at a pressure of 2000 bar in a room temperature environment for 1 minute. If you check the results, you can see that the pressurization rate in Comparative Example 1 i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2.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lower the fluorosilicone hardness of the pressing surface, the more advantageous it is for the pressing process.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면부의 두께에 따른 가압결과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Figure 11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pressing result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ressing surfac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압면부(30)의of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0) 두께 thickness

도 11을 참고하면, 불소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가압면부의 두께를 0.5T, 1T, 2T로 적용하여, 물을 이용하여 상온 환경 하 2000bar 압력에서 1분 유지 조건의 가압 공정을 수행한다. 이 때 몸체부(10) 및 가압면부(30)의 구성은 전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몸체부(10)의 내부 공간에는 감압지 5EA를 배치하였다. Referring to FIG. 11,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 surface made of fluorine silicon is applied at 0.5T, 1T, and 2T, and a pressure process is performed using water at a pressure of 2000 bar in a room temperature environment with a holding condition of 1 minute.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and 5EA of pressure-sensitive paper was plac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ortion 10.

가압 공정 결과, 0.5T의 가압면부(30)에서 현저히 상승된 가압 결과 및 가압 균일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T의 가압면부(30)와 2T의 가압면부(30)에서 가압 결과는 유사하되, 1T의 가압면부(30)에서 더욱 높은 가압 균일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pressing process, it can be seen that the pressing surface portion 30 of 0.5T has significantly increased pressing results and press uniformity. In addition, the pressing results are similar for the 1T pressing surface 30 and the 2T pressing surface 30, but it can be seen that the 1T pressing surface 30 has higher press uniformity.

이에 의하여, 가압면부(30)의 두께가 얇을수록 더욱 높은 가압 결과가 균일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면부(30)는 가압면부의 두께가 대략 1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5T 이상 그리고 1T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thinner the thickness of the pressing surface portion 30 is, the higher the uniformity of the pressing result is. Therefore,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1T or less, preferably 0.5T or more and less than 1T.

도 2를 참고하면, 컨택방지부(50)는 한 쌍의 가압면부(30)에 부착되어 상기 가압면부(30)를 보호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제1 컨택방지부(510)는 상 측의 제1 가압면부(310) 상면 상에, 제2 컨택방지부(530)는 하 측의 가압면부(330)의 저면 상에 부착되어, 열매체유로부터 가압면부(30)를 보호하는 구성이다. 즉, 몸체부(10)의 개구에 의하여 가압면부(310,330)의 외부에 노출되는 측 상에 컨택방지부(510,530)가 형성되어, 압력전달용 매질인 유체로부터 상기 가압면부(310,330)를 보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act prevention portion 50 is attached to a pair of pressure surface portions 30 and protects the pressure surface portions 30. For example, the first contact prevention part 510 is attach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essure surface part 310 on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contact prevention part 530 is attach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ressure surface part 330. , It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0 from heat medium oil. That is, contact prevention portions 510 and 530 are formed on the side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ressure surface portions 310 and 330 by the opening of the body portion 10 to protect the pressure surface portions 310 and 330 from fluid, which is a pressure transfer medium. You can.

이러한 컨택방지부(50)는 예를 들어 PEEK, PTFE, PI 등 수지계열 필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불소계열의 필름 소재, 또는 수지계열 및 불소계열 필름 소재의 복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contact prevention portion 50 may be made of a resin-based film material such as PEEK, PTFE, or PI. Alternatively, it may be made of a fluorine-based film material, or a composite layer of a resin-based and fluorine-based film material, but there is no limitation thereto.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가압고정부(70; 710,730)는 하부 플레이트(110) 및 상부 플레이트(130)의 일 측에 배치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제1 가압고정홈부(113) 및 제2 가압고정홈부(133) 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가압고정홈부(113) 및 제2 가압고정홈부(133)와 함께 한 쌍의 가압면부(30; 310,330)의 말단부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즉, 가압고정부(70)에 의하여 가압면부(30)가 정 위치에 고정되어, 몸체부(10) 내부 공간에서 이차전지(3)의 상면 및 저면을 가압 할 수 있다. 가압고정부(70)는 일 예로 사각테두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하부 플레이트(110) 측에 배치되는 구성을 제1 가압고정부(710), 상부 플레이트(130) 측에 배치되는 구성을 제2 가압고정부(730)로 지칭한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pressure fixing portions (70; 710,730)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110 and the upper plate 130, an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ressure fixing groove portion 113 and the first pressure fixing groove portion 113. It is disposed on two pressure fixing grooves 133 and fixes the distal ends of a pair of pressure surface parts 30 (310,330) together with the first pressure fixation groove 113 and the second pressure fixation groove 133. That is, the pressure surface portion 30 is fixed in place by the pressure fixing portion 70, so that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secondary battery 3 can be press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ortion 10. For example, the pressure fixing part 70 may be formed in a square border shap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t this time, the component disposed on the lower plate 110 side is referred to as the first pressure fixture 710, and the component disposed on the upper plate 130 side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pressure fixture 730.

누설방지부(90)는 제1 누설방지홈부(111) 및/또는 제2 누설방지홈부(131)에 삽입되어 가압장치(1) 내에서 이차전지(3)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에 대한 열매체유 등의 누설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누설방지부(90)는 제1 누설방지홈부(111) 및/또는 제2 누설방지홈부(131)의 홈형상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eakage prevention part 90 is inserted into the first leakage prevention groove 111 and/or the second leakage prevention groove 131 to apply heat medium oil to the internal space where the secondary battery 3 is placed within the pressurizing device 1. It is designed to prevent leakage. This leakage prevention portion 90 may be formed in a shape substantially complementary to the groove shape of the first leakage prevention groove portion 111 and/or the second leakage prevention groove portion 131.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고온 가압 공정은 바람직하게 약 100˚C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C 그리고 7000 bar 압력 환경에서 진행되므로, 상기 온도에서 내열성을 가지는 소재의 누설방지부(90)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누설방지부(90)는, 사용온도 35 ~ 330˚C의 초내열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high-temperature pressurization process is preferably carried out in an environment of about 100˚C or higher, more preferably about 200˚C and 7000 bar pressure, so the leakage prevention portion 90 is made of a material that has heat resistance at this temperature. It is desirable to use . As an example, the leakage prevention unit 90 may be made of super heat-resistant silicon with a use temperature of 35 to 330˚C,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the foregoing is intended to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 scope equivalent to the written disclosure, and/or within the scope of technology or knowledge in the ar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llustrate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bov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1 :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10 : 몸체부
110 : 하부 플레이트
111 : 제1 누설방지홈부 113 : 제1 가압고정홈부
113a : 제1 삽입공
115 : 제1 고정부 115 a: 수용홈
117 : 진공 블럭
1171 : 유로형성부 1173 : 연통홈
1175 : 진공수단
119 : 제1 정렬부
130 : 상부 플레이트
131 : 제2 누설방지홈부 133 : 제2 가압고정홈부
133a : 제2 삽입공
135 : 제2 고정부 135a : 수용홈
137 : 제2 정렬부
310 : 제1 가압면부 310a : 관통공
330 : 제2 가압면부 330a : 관통공
50 : 컨택방지부
510 : 제1 컨택방지부 530 : 제2 컨택방지부
70 : 가압고정부
710 : 제1 가압고정부 730 : 제2 가압고정부
90 : 누설방지부
3 : 전고체용 이차전지
A : 위치정렬수단 A1 : 몸체부
A2 : 헤드부 A3 : 커버부
1: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ation device
10: body part
110: lower plate
111: first leakage prevention groove 113: first pressure fixing groove
113a: first insertion hole
115: first fixing part 115 a: receiving groove
117: Vacuum block
1171: Flow path forming part 1173: Flue groove
1175: Vacuum means
119: first alignment unit
130: upper plate
131: Second leakage prevention groove 133: Second pressure fixing groove
133a: second insertion hole
135: second fixing part 135a: receiving groove
137: second alignment unit
310: first pressure surface portion 310a: through hole
330: second pressure surface portion 330a: through hole
50: Contact prevention unit
510: first contact prevention unit 530: second contact prevention unit
70: Pressure fixing unit
710: first pressure fixing part 730: second pressure fixing part
90: Leakage prevention unit
3: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A: Position alignment means A1: Body part
A2: Head part A3: Cover part

Claims (14)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하여 전고체용 이차전지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 상의 제1 가압면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 상의 제2 가압면부;를 포함하는 가압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lower plate; and an upper plate coupled to the lower plate to form an internal space in which an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is disposed; a body portion including a; and
a first pressure surface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a second pressure surface portion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가압면부 및 제2 가압면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press fixing part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fixing the first press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press surfac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제1 누설방지홈부 및 제2 누설방지홈부에 삽입되어 내부 공간에 대한 누설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면 상에 형성되는 홈형의 제1 누설방지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저면 상에 형성되는 홈형의 제2 누설방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leakage prevention part inserted into the first leakage prevention groove and the second leakage prevention groove to prevent leakage into the internal space;
The lower plate is
It includes a groove-shaped first leak-prevention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upper plate is
An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comprising a groove-shaped second leakage prevention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제1 가압면부가,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제2 가압면부가 배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가압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홈형의 구성인 제1 가압고정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 상에 형성되는 홈형의 구성인 제2 가압고정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 pair of pressure fixing parts disposed on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respectively, such that a first pressure surface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plate and a second pressure surface portion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Contains,
The lower plate is
It includes a first pressure fix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groove-shaped configuration,
The upper plate is
An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pressurizing fixing groove formed in a groove shap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 또는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 또는 상부 플레이트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진공 형성 또는 해제하는 진공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plate or upper plate is
A vacuum block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or the upper plate to form or release a vacuum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블럭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유로형성부; 및
상기 유로형성부와 연통하여 내측에 진공수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연통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vacuum block
a flow path form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ortion; and
An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comprising a communication groove that communicates with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and allows a vacuum means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홈형의 구성으로, 위치정렬수단 몸체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1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 상에 형성되는 홈형의 구성으로, 상기 위치정렬수단의 헤드부와 결합되는 커버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2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plate
It has a groove-shaped configura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includes a first alignment portion that allows insertion of the alignment means body portion,
The upper plate is
An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alignment portion having a groove-shaped configurat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and allowing insertion of a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position alignment mea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렬부의 내주면은
상기 제1 정렬부의 내주면보다 큰 직경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alignment portion is
An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alignment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면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ir of pressure surfaces
An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silicone materi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면부는
불소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air of pressure surfaces
An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characterized by being made of a fluorine silicon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면부는
두께가 1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ir of pressure surfaces
An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characterized by a thickness of 1T or les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면부는
두께가 각각 0.5T 이상 그리고 1T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air of pressure surfaces
An all-solid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is more than 0.5T and less than 1T,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면부의 저면과 상기 제2 가압면부의 상면 상의, 한 쌍의 컨택방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ir of contact prevention parts on the bottom of the first pressurizing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essurizing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고정부와 함께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결합 또는 해제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가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plate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The upper plate is
An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pressuriz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fixing part that couples or releases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gether with the first fixing part.
KR1020220090219A 2022-07-21 2022-07-21 Pressurizing apparatus of all solid state secondary baterry with high temperature KR202400127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219A KR20240012799A (en) 2022-07-21 2022-07-21 Pressurizing apparatus of all solid state secondary baterry with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219A KR20240012799A (en) 2022-07-21 2022-07-21 Pressurizing apparatus of all solid state secondary baterry with high tempera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799A true KR20240012799A (en) 2024-01-30

Family

ID=8971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219A KR20240012799A (en) 2022-07-21 2022-07-21 Pressurizing apparatus of all solid state secondary baterry with high tempera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79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523A (en) 2013-12-13 201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All Soli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all solid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523A (en) 2013-12-13 201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All Soli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all solid secondary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2231B2 (en) Sealing tool for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TWI603521B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EP333108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HUE034580T2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coiled core
US20130157099A1 (en) Propulsion battery with pre-manufactured structural heat exchanger
WO2019107560A1 (en) Partition member and battery pack
KR20150037049A (en) High Temperature Pressing Device for Battery Cell
JPWO2007043510A1 (en) Film exterior electrical device storage system
EP3373374A1 (en) Method for sealing pouch case of secondary battery
JP2022525445A (en) Single cell case with insulation layer
US20230335850A1 (en) Battery pack
KR20240012799A (en) Pressurizing apparatus of all solid state secondary baterry with high temperature
US10193196B1 (en) Internal battery cell cooling with heat pipe
CN108604662B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replenishing electrolyte of secondary battery
US20230023147A1 (en)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094009A1 (en) Battery or electrochemical cell fixture
KR20170082019A (en) Pouch cas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of
JPH08185875A (en) Sealing method for solid high molecular fuel cell
EP3264488A1 (en) Secondary battery sealing device
WO2020196806A1 (en) Partition member and battery assembly
JP7133129B2 (en) assembled battery
KR20220020151A (en) Sealing device for rechargeable battery
US202302235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surizing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at high temperature
JP2022500810A (en) Battery module
US202201233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ntegrated cell sepa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