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753A - Pad Container - Google Patents

Pad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753A
KR20240012753A KR1020220090113A KR20220090113A KR20240012753A KR 20240012753 A KR20240012753 A KR 20240012753A KR 1020220090113 A KR1020220090113 A KR 1020220090113A KR 20220090113 A KR20220090113 A KR 20220090113A KR 20240012753 A KR20240012753 A KR 20240012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container
main body
opening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1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은미
현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20090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753A/en
Publication of KR20240012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7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1Springs, elastic 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to locate the articles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7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 내에 저장된 패드를 외부로 인출하도록 마련되는 리드를 포함하는 패드 용기로서, 상기 리드는, 상기 패드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용기의 내벽을 따라 하강하는 본체; 상기 패드를 인출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개구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본체를 누르면 상기 패드를 상기 개구부 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d container, which includes a lid provided to extract a pad stored in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wherein the lid includes: a body that covers an upper part of the pad and descend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an open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extract the pad; and at least one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extending toward the opening, and pushing the pad up toward the opening when the main body is pressed.

Description

패드 용기{Pad Container}Pad Container

본 발명은 패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 내에 저장된 패드를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하도록 구성된 리드에서 리드의 본체를 누를 때 패드를 개구부 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용기 내의 패드를 낱개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드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d container, and provides an elastic member that pushes the pad up toward the opening when the main body of the lid is pressed in a lead configured to pull out the pad stored in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thereby allowing the pads in the container to be individually separated. It relates to a pad container that allows easy withdrawal.

일반적으로, 기초 앰플 패드는 엠보 패턴을 가진 패드를 원형 형태로 낱개 커팅되어 제조되고, 에센스 등의 내용물에 침적시켜 용기에 적층 구조로 저장된다.Generally, basic ampoule pads are manufactured by individually cutting pads with an embossed pattern into a circular shape, and are stored in a laminated structure in a container by immersing them in contents such as essence.

이러한 앰플 패드는, 물티슈와 같이 뽑아 쓰기 용이하도록 접혀 포개진 구조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1장씩 낱개로 적층 구조로 저장하기 때문에, 용기에 저장된 기초 앰플 패드를 집게로 1장씩 낱개로 들어올려 사용하고 있다.Since these ampoule pads are not stored in a folded and stacked structure for easy removal like wet tissues, but are stored individually in a stacked structure, basic ampoule pads stored in a container are used by lifting them one by one with tongs. .

이와 같이 젖은 상태의 앰플 패드를 집게로 들어올려 사용하기 때문에 1장씩 떼어내기가 어렵고, 에센스 등의 내용물이 용기 바닥 쪽으로 모이기 때문에 위쪽의 패드에는 에센스가 충분히 흡수되지 않고 아래쪽의 패드에는 에센스가 흥건하게 되어 사용시 균일한 앰플 패드를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this way, because the wet ampoule pad is lifted with tongs, it is difficult to remove each piece one by one, and since the contents such as essence collect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e essence is not fully absorbed into the upper pad and the lower pad is soaked with esse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use a uniform ampoule pa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에 적층된 구조로 저장된 패드를 접혀 포개진 구조로 저장된 물티슈처럼 뽑을 수 있도록 하여, 집게 등으로 패드를 낱개로 집지 않고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pads stored in a stacked structure in a container to be pulled out like wet tissues stored in a folded structure, so that the pads can be pulled out using tongs, etc. The goal is to provide a pad container that allows for easy withdrawal without having to pick them up individually.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드를 인출할 때 에센스 등의 내용물이 위쪽의 패드로 올라오게 하여 에센스가 충분히 흡수된 촉촉한 패드를 끝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d container that allows content such as essence to rise to the upper pad when the pad is pulled out, allowing a moist pad with sufficiently absorbed essence to be used to the en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패드 용기는, 용기 내에 저장된 패드를 외부로 인출하도록 마련되는 리드를 포함하는 패드 용기로서, 상기 리드는, 상기 패드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용기의 내벽을 따라 하강하는 본체; 상기 패드를 인출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개구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본체를 누르면 상기 패드를 상기 개구부 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 pad contain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d container including a lid provided to extract the pad stored in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wherein the lid covers the top of the pad and descend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 an open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extract the pad; and at least one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extending toward the opening, and pushing the pad up toward the opening when the main body is pressed.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리드의 전체 면적 대비 30% 내지 40%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pening may be formed with an area of 30% to 40% of the total area of the lead.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개구부 반대측의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곡선 형태로 하강 연장되는 곡선부; 및 상기 곡선부의 곡선 하한점으로부터 일정한 상승 각도로 상기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 curved portion connected to an edge of the main body opposite the opening and extending downwardly in a curved shape; And it may include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limit of the curve of the curved portion to the opening at a certain rising angle.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직선부의 상승 각도가 10도 내지 20도 범위이고, 상기 직선부의 끝단이 적어도 상기 개구부 상에 노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astic member may have a rising angle of the straight portion ranging from 10 degrees to 20 degrees, and at least an end of the straight portion may be exposed on the opening.

구체적으로, 상기 곡선부는, 상기 본체를 누를 때 휘어지면서 곡선 하한점에 접촉된 상기 패드 부분을 상기 개구부 쪽으로 밀고, 상기 직선부는, 상기 곡선부에 의해 밀리는 상기 패드를 상기 개구부로 유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urved portion may bend when the main body is pressed and push the portion of the pad in contact with the lower limit of the curve toward the opening, and the straight portion may guide the pad pushed by the curved portion toward the opening.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개구부 반대측의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2개가 마련되고, 상기 2개의 탄성부재는, 상기 개구부 반대측의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개구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근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wo elastic members are provided at a certain distance apart from the edge of the main bod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and the two elastic members are formed to gradually approach from the edge of the main bod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toward the opening. It can be.

구체적으로, 상기 리드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 연장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곡선부의 곡선 하한점을 넘어서지 않도록 하향 연장되고, 상기 본체의 하강 시, 상기 본체가 한쪽으로 과도하게 치우치지 않도록 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ead further includes a rib extending downward along an edg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rib extends downward so as not to exceed the lower limit of the curve of the curved portion, and when the main body is lowered, the main body moves to one side. You can keep it level by making sure it is not excessively biased.

구체적으로, 상기 리드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 연장되는 복수 개의 내벽지지구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내벽지지구조부는, 상기 용기의 내벽과 접촉되어 일정한 마찰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기울기로 상향 연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inner wall support structures extending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main body, and the plurality of inner wall support structures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to maintain a constant frictional force at the edge of the main body. It may extend upward and outward at a certain inclination.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내벽지지구조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패드를 외부로 인출할 때, 상기 용기의 내벽과 접촉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어 상기 리드가 상기 용기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inner wall support structures may help mainta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when the pad is pulled out through the opening to prevent the lea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구체적으로, 상기 리드는, 상기 개구부 반대측의 상기 본체 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벤트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벤트홀은, 상기 본체의 하강 시, 상기 용기 내의 공기 또는 내용물을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용기 내의 공기 또는 내용물이 상기 개구부만을 통해 배출될 때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본체가 수평 불균형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vent holes formed on the main bod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and the plurality of vent holes discharge air or contents in the container when the main body is lowe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in body from descending horizontally and unbalanced due to pressure generated when the air or contents in the container are discharged only through the opening.

구체적으로, 상기 패드를 상승시키는 상승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승부재는, 상기 패드를 안착시키며 상기 용기의 내벽을 따라 상승 가능한 상승판; 및 상기 용기의 바닥과 상기 상승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며, 상기 상승판을 밀어 올리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further includes a rising member that raises the pad, wherein the rising member includes: a rising plate that seats the pad and is capable of ris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and at least one elastic body provided betwee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the rising plate and pushing up the rising plate.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상승판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상승판과 일체형일 경우, 상기 상승판의 하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바닥까지 나선형으로 연장되도록 하나의 재료로 성형되고, 상기 상승판과 분리형일 경우, 상기 용기의 바닥과 상기 상승판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astic body is provided integrally with or separate from the rising plate, and when integrated with the rising plate, is formed of a single material to extend in a spiral shape from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ising plate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f it is a separate type from the rising plate, it may be a spring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the rising plat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장제품은, 상기에 기재된 패드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pad container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용기는, 용기 내에 저장된 패드를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하도록 구성된 리드에서 리드의 본체를 누를 때 패드를 개구부 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용기에 적층된 구조로 저장된 패드를 접혀 포개진 구조로 저장된 물티슈처럼 뽑을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집게 등과 병용 사용은 물론 별도의 집게 등이 없어도 손으로 쉽게 인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p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a laminated structure in the container by providing an elastic member that pushes the pad toward the opening when the main body of the lead is pressed in the lead configured to pull the pad stored in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By allowing the pad to be pulled out like wet tissues stored in a folded and stacked structure,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separate tongs, etc., and can be easily withdrawn by hand without separate tongs, etc.,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용기는, 용기에 저장된 패드를 사용함에 따라 소비자가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 리드가 하강하고, 리드의 본체를 눌러 패드를 인출할 때 탄성부재가 패드를 누르도록 구성함으로써, 에센스 등의 내용물이 위쪽의 패드로 올라오게 되어 에센스가 충분히 흡수된 촉촉한 패드를 끝까지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lid is lowered when the consumer presses it with a certain pressure as the pad stored in the container is used, and the elastic member presses the pad when the consumer presses the main body of the lid to withdraw the pad. The contents of the back rise to the upper pad, allowing the user to use a moist pad with sufficient essence absorption to the end,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용기는, 시간 경과에 따라 상부의 패드가 건조되는 것을 고려하여 제품 제조 시 불필요하게 많은 내용물을 담지할 필요가 없어 낭비요소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contain unnecessarily large contents when manufacturing the product, considering that the upper pad dries over time, thereby reducing was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드 용기는, 용기 내부 바닥에 패드를 상승시키는 상승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마지막 남는 1~2개의 패드까지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aising member to raise the pa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so that even the last 1 to 2 pads can be easily removed and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용기에서 보호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용기에서 리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용기에서 리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용기에서 리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용기에서 패드의 인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용기에서 리드가 하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상승부재가 구비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with the protective cover removed from the p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top view of a lead in a p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a lid in a p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lid in a p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withdrawing a pad from a p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a) and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lowering of a lead in a p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p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a rising member.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whe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용기에서 보호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용기에서 리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용기에서 리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용기에서 리드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용기에서 패드의 인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용기에서 리드가 하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protective cover removed, and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p view of the lead in the pad container according to,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lead in the p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lead in the p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withdrawing the pad from the p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7 (a) and (b) show the lead being lowered from the pa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it.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용기(1)는 엠보 패턴을 가진 원형 형태로 낱개 커팅된 패드(PD)를 에센스 등의 내용물에 침적시켜 용기(10)에 적층 구조로 저장하고, 저장된 패드(PD)를 리드(100)를 통해 1장씩 낱개로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패드 용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패드 용기(1) 및 패드(PD)가 원형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S. 1 to 7, the pad containe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has a laminated structure in the container 10 by immersing pads (PD) individually cut in a circular shape with an embossed pattern into contents such as essence. It may be a pad container that can be stored and used by withdrawing the stored pads PD to the outside one by one through the lid 100. Hereinafter, the pad container 1 and the pad PD will be described as having a circular shape, but of course, they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or square.

패드 용기(1)는, 에센스 등의 내용물에 침적된 패드(PD)를 적층 구조로 저장하는 용기(10)와, 용기(10) 내에 저장된 패드(PD)를 외부로 인출하도록 구성된 리드(100)와, 용기(10) 내에 저장된 패드(PD)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덮개(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d container 1 includes a container 10 that stores a pad (PD) immersed in contents such as essence in a layered structure, and a lead 100 configured to extract the pad (PD) stored in the container 10 to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protective cover 20 that protects the pad PD stored in the container 10 from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 용기(10) 및 보호덮개(20)는 에센스 등의 내용물에 침적된 패드(PD)를 저장하고, 저장된 패드(PD)를 보호하는 일반적인 용기 및 보호덮개일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리드(100)는 용기(10)의 내벽을 따라 하강하는 구조이므로, 용기(10)의 내벽은 수직벽이거나 사출성형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구배 구조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10 and the protective cover 20 may be general containers and protective covers that store the pad PD immersed in contents such as essence and protect the stored pad PD, so here they are described in detail. We will omit the explanation. However, since the lid 100 of this embodiment has a structure that descend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10,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10 may be a vertical wall or a gradient structure natu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리드(100)는 용기(10) 내에 저장된 패드(PD)를 외부로 인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체(110), 개구부(120), 탄성부재(130), 리브(140), 내벽지지구조부(150), 벤트홀(160), 푸쉬가이드(170)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드(100)는 단일 재질로 사출 제조 가능하다.The lid 100 may be configured to pull out the pad (PD) stored in the container 10 to the outside, and includes a main body 110, an opening 120, an elastic member 130, a rib 140, and an inner wall support structure ( 150), a vent hole 160, and a push guide 170. The lead 100 can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from a single material.

본체(110)는 패드(PD)의 상부를 덮으며 용기(10)의 내벽을 따라 하강할 수 있으며, 용기(10)의 내벽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0)의 내부 단면이 원형일 경우, 본체(110) 역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용기(10)가 사각 또는 원형이 아닐 경우에도 상기한 원리로 리드(100)가 설계될 수 있고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사각 용기의 경우, 4분면의 각이 위치하여 원형보다 더 효과적으로 수평 하강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covers the top of the pad PD and may descen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10, and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10. For example, when the inner cross-section of the container 10 is circular, the main body 110 may also be formed in a disk shape. Alternatively, even when the container 10 is not square or circular, the lid 100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nciple and can achieve the same effect. In the case of a square container, the angles of the four quadrants are located so that a horizontal lowering effect can be realized more effectively than a circular container.

개구부(120)는 용기(10)에 저장된 패드(PD)를 인출하도록 본체(11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The opening 12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extract the pad PD stored in the container 10.

개구부(120)는 리드(100)의 전체 면적 대비 30% 내지 40%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120 may be formed with an area of 30% to 40% of the total area of the lid 100.

탄성부재(130)는 본체(110)의 타측에 연결되어 개구부(120)를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본체(110)를 누르면 패드(PD)를 개구부(120) 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extend toward the opening 120, and at least one elastic member 130 may be formed to push the pad PD toward the opening 120 when the main body 110 is pressed. You can.

탄성부재(130)는 일측이 개구부(120) 반대측의 본체(110)의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이 개구부(120) 상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130 may be connected to an edge of the main body 1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120, and the other side may be formed to be exposed on the opening 120.

이러한 탄성부재(130)는 패드(PD)를 개구부(120) 쪽으로 용이하게 밀어 올릴 수 있도록, 곡선부(131)와 직선부(132)를 갖는 유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is elastic member 130 may be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with a curved portion 131 and a straight portion 132 so that the pad PD can be easily pushed up toward the opening 120.

곡선부(131)는 개구부(120) 반대측의 본체(110)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곡선 형태로 하강 연장될 수 있다.The curved portion 131 may be connected to an edge of the main body 1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120 and extend downward in a curved shape.

직선부(132)는 곡선부(131)의 곡선 하한점(133)으로부터 일정한 상승 각도(Q)로 개구부(120)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straight portion 132 may extend from the curved lower limit point 133 of the curved portion 131 to the opening 120 at a constant elevation angle Q.

직선부(132)는 상승 각도(Q)가 10도 내지 20도 범위일 수 있으며, 끝단이 적어도 개구부(120) 상에 노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The straight portion 132 may have a rising angle Q in the range of 10 to 20 degrees, and may extend so that at least an end is exposed on the opening 120 .

상기와 같이 곡선부(131), 직선부(132), 하한점(133)을 갖는 탄성부재(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부(131)가 본체(110)를 누를 때 휘어지면서 곡선 하한점(133)에 접촉된 패드(PD) 부분을 개구부(120) 쪽으로 밀게 되고, 직선부(132)가 곡선부(131)에 의해 밀리는 패드(PD)를 개구부(120)로 유도함에 의해 개구부(120)로 인출되도록 한다. 이때 개구부(120)로 인출되는 패드(PD) 부분은 위쪽 패드(PD)가 아래쪽 패드(PD)에 분리되면서 상승하게 된다.As shown above, the elastic member 130 having the curved portion 131, the straight portion 132, and the lower limit point 133, when the curved portion 131 presses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As it bends, the portion of the pad (PD) in contact with the curved lower limit point 133 is pushed toward the opening 120, and the straight portion 132 guides the pad (PD) pushed by the curved portion 131 toward the opening 120. It is drawn out to the opening 120 by . At this time, the portion of the pad PD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 120 rises as the upper pad PD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ad P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탄성부재(130)는 개구부(120) 반대측의 본체(110)의 가장자리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2개가 마련될 수 있다.Two elastic members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main body 1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120.

2개의 탄성부재(130)는 개구부(120) 반대측의 본체(110)의 가장자리로부터 개구부(120) 쪽으로 갈수록 점점 근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wo elastic members 130 may be formed to become increasingly closer from the edge of the main body 1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120 toward the opening 120 .

이와 같이 탄성부재(130)를 2개 마련함으로써, 본체(110)의 하강 시, 본체(11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By providing two elastic members 130 in this way, the main body 110 can be maintained horizontal when the main body 110 is lowered.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130)가 2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1개 또는 3개 등 그 개수에는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it is explained that two elastic members 130 are provided,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o one or three.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용기(10) 내에 저장된 패드(PD)를 개구부(120)를 통해 외부로 인출하도록 구성된 리드(100)에서 리드(100)의 본체(110)를 누를 때 패드(PD)를 개구부(120) 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하는 탄성부재(130)를 마련함으로써, 용기(10)에 적층된 구조로 저장된 패드(PD)를 접혀 포개진 구조로 저장된 물티슈처럼 뽑을 수 있도록 하여, 집게 등으로 패드(PD)를 낱개로 집지 않고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다.Through this, in this embodiment, when the main body 110 of the lead 100 is pressed in the lead 100 configured to extract the pad PD stored in the container 10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20, the pad PD By providing an elastic member 130 to push up toward the opening 120, the pad PD stored in a stacked structure in the container 10 can be pulled out like a wet tissue stored in a folded structure, using tongs or the like. You can easily withdraw the pads (PD) without having to pick them up individually.

또한, 본 실시예는, 용기(10)에 저장된 패드(PD)를 사용함에 따라 리드(100)가 하강하고, 리드(100)의 본체(110)를 눌러 패드(PD)를 인출할 때 탄성부재(130)가 패드(PD)를 누르도록 구성함으로써, 에센스 등의 내용물이 위쪽의 패드(PD)로 올라오게 되어 에센스가 충분히 흡수된 촉촉한 패드(PD)를 끝까지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lead 100 descends as the pad PD stored in the container 10 is used, and when the pad PD is pulled out by pressing the main body 110 of the lead 100, the elastic member By configuring (130) to press the pad (PD), contents such as essence rise to the upper pad (PD), so that the moist pad (PD) with the essence fully absorbed can be used to the end.

리브(140)는 본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ribs 140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along the edge of the main body 110.

리브(140)는, 탄성부재(130)가 하강하면서 곡선부(131)의 곡선 하한점(133)이 패드(PD)에 접촉되어 패드(PD)를 인출하도록 할 때, 탄성부재(13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곡선부(131)의 곡선 하한점(133)을 넘어서지 않는 범위에서 하향 연장될 수 있다.The rib 140 is in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130 when the elastic member 130 is lowered and the curved lower limit point 133 of the curved portion 131 contacts the pad PD to withdraw the pad PD. To avoid interference, the curved portion 131 may be extended downwar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exceed the curve lower limit point 133.

이러한 리브(140)는 본체(110)의 하강 시, 본체(110)가 한쪽으로 과도하게 치우치지 않도록 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These ribs 140 prevent the main body 110 from being excessively biased to one side and keep it horizontal when the main body 110 is lowered.

내벽지지구조부(150)는 본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 연장될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inner wall support structure 150 may extend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main body 110, and may be arranged radially in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내벽지지구조부(150)는 용기(10)의 내벽과 접촉되어 일정한 마찰력을 유지하도록 본체(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기울기로 상향 연장될 수 있다.The inner wall support structure 150 may extend upward at a certain inclination from the edge of the main body 110 outward to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10 and maintain a constant friction force.

이러한 내벽지지구조부(150)는, 개구부(120)를 통해 패드(PD)를 외부로 인출할 때, 용기(10)의 내벽과 접촉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어 리드(100)가 용기(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This inner wall support structure 150 helps mainta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10 when the pad PD is pulled out through the opening 120 so that the lead 100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10. Make sure it doesn't come off.

벤트홀(160)은 개구부(120) 반대측의 본체(110) 상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vent holes 160 may be formed on the main body 1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120.

벤트홀(160)은 본체(110)의 하강 시, 용기(10) 내의 공기 또는 내용물을 배출시킴에 따라 용기(10) 내의 공기 또는 내용물이 개구부(120) 만을 통해 배출될 때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본체(110)가 수평 불균형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the vent hole 160 discharges the air or contents within the container 10 when the main body 110 is lowered, the vent hole 160 is vented by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air or contents within the container 10 are discharged through only the opening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in body 110 from descending unevenly horizontally.

푸쉬가이드부(170)는 개구부(120) 반대측의 본체(11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120) 위치를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어디에나 위치 가능하다.The push guide portion 170 may be formed on the main body 1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120, and may be positioned anywher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position of the opening 120.

푸쉬가이드부(170)는 본체(110)의 하강 시, 본체(110)가 수평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130)에 대응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push guide unit 17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member 130 so that the main body 110 can be lowered horizontally when the main body 110 is lowered.

푸쉬가이드(170)는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오목한 부분에 내용물이 고이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내측에 상기한 벤트홀(1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벤트홀이 내부에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푸쉬가이드(170)에 마련되는 벤트홀은 글씨 투각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USH'라는 네임 각인을 통해 소비자 인식에 도움을 줄 수 있다,The push guide 170 may be provided in a concave sha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ceive it, and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contents accumulating in the concave part, a vent hole identical or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vent hole 160 is installed on the inside. Additional arrangements may be made. At this time, the vent hole provided in the push guide 170 can be formed through openwork, and for example, the name 'PUSH' can be engraved to help consumer recognition.

본 실시예에서는 푸쉬가이드(170)가 오목한 형태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embodiment, the push guide 170 is described as having a concave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패드 용기(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d container 1 configured as above may further include an elevation member 200, as shown in FIGS. 8 and 9.

상승부재(200)는 용기(10) 내부 바닥에 설치될 수 있으며, 마지막 남는 1~2개의 패드(PD)까지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패드(PD)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승부재(200)는 상승판(210)과 탄성체(220)로 구성될 수 있다.The raising member 200 can be installed on the inner floor of the container 10 and can raise the pads PD so that the last 1 to 2 pads PD can be easily withdrawn and used. The rising member 200 may be composed of a rising plate 210 and an elastic body 220.

상승판(210)은 패드(PD)를 안착시킬 수 있으며, 탄성체(220)의 탄성에 의해 용기(10)의 내벽을 따라 상승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rising plate 210 can seat the pad PD, and can be provided to rise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10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220.

탄성체(220)는 용기(10)의 바닥과 상승판(210)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승판(210)을 밀어 올려 상부의 패드(PD)가 탄성부재(13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elastic body 2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 and the rising plate 210, and the rising plate 210 may be pushed up so that the upper pad P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130. .

탄성체(220)는 상승판(210)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elastic body 22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riser plate 210 or in a separate form.

탄성체(220)는, 상승판(210)과 일체형일 경우, 하나의 재료로 성형될 수 있다. 이때, 탄성체(220)는 상승판(210)의 하면 일측으로부터 용기(10)의 바닥까지 나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When the elastic body 220 is integrated with the riser plate 210, it can be molded from one material. At this time, the elastic body 220 may extend spirally from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ising plate 210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

또한, 탄성체(220)는, 상승판(210)과 분리형일 경우, 용기(10)의 바닥과 상승판(210)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력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탄성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astic body 220 is a separate type from the rising plate 210, it may be a spring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 and the rising plate 210,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made of a material with elastic force. The structure may include an elastic structure.

상기한 탄성체(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elastic body 220 may be provided as at least one.

탄성체(220)는 1개 마련될 경우 상승판(210)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의 나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When one elastic body 220 is provided, it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with a size similar to that of the rising plate 210.

또한, 탄성체(220)는 2개 마련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탄성부재(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wo elastic bodies 220 are provided, they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wo elastic members 130, as shown in FIG. 9.

즉, 탄성부재(220)는 상승판(210)이 상승할 때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elastic member 220 may be installed to maintain horizontality when the rising plate 210 rise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ocusing 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embodiment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illustrated in the exampl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Accordingly, technical details related to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that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패드 용기 10: 용기
20: 보호덮개 100: 리드
110: 본체 120: 개구부
130: 탄성부재 131: 곡선부
132: 직선부 133: 하한점
140: 리브 150: 내벽지지구조부
160: 벤트홀 170: 푸쉬가이드부
200: 상승부재 210: 상승판
220: 탄성체 PD: 패드
1: Pad container 10: Container
20: protective cover 100: lead
110: main body 120: opening
130: elastic member 131: curved portion
132: Straight line 133: Lower limit point
140: Rib 150: Inner wall support structure
160: Vent hole 170: Push guide part
200: rising member 210: rising plate
220: Elastomer PD: Pad

Claims (13)

용기 내에 저장된 패드를 외부로 인출하도록 마련되는 리드를 포함하는 패드 용기로서,
상기 리드는,
상기 패드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용기의 내벽을 따라 하강하는 본체;
상기 패드를 인출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개구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본체를 누르면 상기 패드를 상기 개구부 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패드 용기.
A pad container including a lead provided to withdraw the pad stored in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The lead is,
a main body that covers the top of the pad and descend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an open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extract the pad; and
A pad container including at least one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extending toward the opening, and pushing the pad up toward the opening when pressing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리드의 전체 면적 대비 30% 내지 40%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패드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ening is:
A pad container formed with an area of 30% to 40% of the total area of the l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개구부 반대측의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곡선 형태로 하강 연장되는 곡선부; 및
상기 곡선부의 곡선 하한점으로부터 일정한 상승 각도로 상기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직선부를 포함하는, 패드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a curved portion connected to an edge of the main body opposite the opening and extending downwardly in a curved shape; and
A pad container including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limit of the curve of the curved portion to the opening at a constant upward ang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직선부의 상승 각도가 10도 내지 20도 범위이고,
상기 직선부의 끝단이 적어도 상기 개구부 상에 노출되는, 패드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The rising angle of the straight portion is in the range of 10 degrees to 20 degrees,
A pad container, wherein an end of the straight portion is exposed at least on the open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는,
상기 본체를 누를 때 휘어지면서 곡선 하한점에 접촉된 상기 패드 부분을 상기 개구부 쪽으로 밀고,
상기 직선부는,
상기 곡선부에 의해 밀리는 상기 패드를 상기 개구부로 유도하는, 패드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urved portion is:
When the main body is pressed, it bends and pushes the portion of the pad in contact with the lower limit of the curve toward the opening,
The straight part is,
A pad container that guides the pad pushed by the curved portion to the open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개구부 반대측의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2개가 마련되고,
상기 2개의 탄성부재는,
상기 개구부 반대측의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개구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패드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Two are provided at a certain distance apart from the edge of the main bod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The two elastic members are,
A pad container formed to gradually approach the opening from an edge of the main body opposite the open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 연장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곡선부의 곡선 하한점을 넘어서지 않도록 하향 연장되고,
상기 본체의 하강 시, 상기 본체가 한쪽으로 과도하게 치우치지 않도록 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패드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ead is:
Further comprising a rib extending downwardly along an edge of the body,
The ribs are,
The curved portion extends downward so as not to exceed the lower limit of the curve,
A pad container that maintains horizontality by preventing the main body from being excessively biased to one side when the main body is lowe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 연장되는 복수 개의 내벽지지구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내벽지지구조부는,
상기 용기의 내벽과 접촉되어 일정한 마찰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기울기로 상향 연장되는, 패드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ad i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inner wall support structures extending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main body,
The plurality of inner wall support structures,
A pad container extending upwardly at a certain inclination from the edge of the main body outward to maintain a constant frictional forc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내벽지지구조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패드를 외부로 인출할 때, 상기 용기의 내벽과 접촉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어 상기 리드가 상기 용기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패드 용기.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lurality of inner wall support structures,
A pad container that helps mainta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to prevent the lea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when the pad is pulled out through the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상기 개구부 반대측의 상기 본체 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벤트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벤트홀은,
상기 본체의 하강 시, 상기 용기 내의 공기 또는 내용물을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용기 내의 공기 또는 내용물이 상기 개구부만을 통해 배출될 때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본체가 수평 불균형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드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ad i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formed on the main body opposite the opening,
The plurality of vent holes are,
When the main body is lowered, the pad container prevents the main body from descending horizontally and unbalanced due to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air or contents in the container are discharged only through the opening as the air or contents in the container are discharge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를 상승시키는 상승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승부재는,
상기 패드를 안착시키며 상기 용기의 내벽을 따라 상승 가능한 상승판; 및
상기 용기의 바닥과 상기 상승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며, 상기 상승판을 밀어 올리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패드 용기.
According to paragraph 1,
Further comprising a raising member that raises the pad,
The rising member is,
a rising plate that seats the pad and can rise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and
A pad container, including at least one elastic body provided betwee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the rising plate and pushing up the rising pla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상승판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상승판과 일체형일 경우, 상기 상승판의 하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바닥까지 나선형으로 연장되도록 하나의 재료로 성형되고,
상기 상승판과 분리형일 경우, 상기 용기의 바닥과 상기 상승판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인, 패드 용기.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elastic body is:
It is provided integrally with or separate from the rising plate,
When integrated with the rising plate, it is formed from one material to extend spirally from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ising plate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 pad container, which, when separated from the rising plate, is a spring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the rising plate.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패드 용기; 및
상기 패드 용기에 수용되는 패드 및 내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The pad container of any one of claims 1 to 12; and
A cosmetic comprising a pad and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pad container.
KR1020220090113A 2022-07-21 2022-07-21 Pad Container KR202400127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113A KR20240012753A (en) 2022-07-21 2022-07-21 Pad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113A KR20240012753A (en) 2022-07-21 2022-07-21 Pad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753A true KR20240012753A (en) 2024-01-30

Family

ID=8971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113A KR20240012753A (en) 2022-07-21 2022-07-21 Pad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75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8344A (en) Egg cell construction
CN105979834B (en) Dispenser for interfolded napkins
USD913801S1 (en) Container
US6131732A (en) Foam drink tray with improved cup cavities
KR101425799B1 (en) Shock-relievable Bottom sturcture of the Airless type dispenser
RU2225156C1 (en) Paper napkin dispensing apparatus
US20150173544A1 (en) Coaster
KR102129223B1 (en) Disposable cup lid
KR20240012753A (en) Pad Container
KR102261456B1 (en) Paper cup collector
US7090092B1 (en) Clothes hamper
KR200459567Y1 (en) Tissue case Elastic base at Embedded
KR101687917B1 (en) Hol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wet tissue packaging pack
KR20110106614A (en) Cup dispenser
KR200474242Y1 (en) inner lid of airtight container
KR200474738Y1 (en) Storage container
KR102595428B1 (en) Tissue box
JP4899126B2 (en) Lid dispenser
CN217792382U (en) Soft protective sleeve of container
KR102052955B1 (en) Container
CN218142853U (en) Fresh-keeping box
CN219699770U (en) Paper extraction box and device for preventing paper from falling
KR102597715B1 (en) Garbage bin for ring-shaped roll bags
CN216316910U (en) Cup with cup body
JP3647521B2 (en) D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