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611A -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 장치들, 관련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및 데이터 구조 - Google Patents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 장치들, 관련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및 데이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611A
KR20240012611A KR1020247001785A KR20247001785A KR20240012611A KR 20240012611 A KR20240012611 A KR 20240012611A KR 1020247001785 A KR1020247001785 A KR 1020247001785A KR 20247001785 A KR20247001785 A KR 20247001785A KR 20240012611 A KR20240012611 A KR 20240012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signaling
protocol version
protocol
information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2697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부페
운희 황
미하엘 쇼프
Original Assignee
와이어리스 퓨처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1337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4001261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어리스 퓨처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와이어리스 퓨처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12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04W36/004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of quality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4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88Scheduling 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방법(및 관련된 제 1 장치);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상기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표시 및 제 2 프로토콜 버전에 기초하여, 전송될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정보 엘리먼트는 제 1 시그널링 방식 및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과 상이한 제 2 시그널링 방식의 사용을 표시함 ―, 및 상기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방법에서 상기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2 방법(및 관련된 제 2 장치); 및 상기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엘리먼트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에 따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3 방법(및 관련된 제 3 장치)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 장치들, 관련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및 데이터 구조{METHODS, APPARATUSES,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DATA STRUCTURE FOR DECIDING ON A SIGNALING SCHEME FOR HANDOVER}
본 발명의 예는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의 결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예는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 장치들, 관련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및 데이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는, 예를 들면, 제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의 인트라-롱텀 에볼루션(LTE) 및 인터-이벌브드 노드 B(eNB) 핸드오버에 적용할 수 있다.
LTE 릴리스(Release) 8(Rel-8)에서, 예를 들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예를 들면, 무선 자원 제어기(RRC) 연결 재구성(reconfiguration) 메시지)의 크기 또는 구성을 감소하기 위해, 3GPP는 소위 델타 시그널링을 사용하도록 결정했다. 이는 타겟 eNB가, 예를 들면, 핸드오버 명령에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비(UE)는 파라미터 또는 기능이 핸드오버 후에 계속될 것으로 가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재의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예를 들면, 소위 3G 시스템)에서, 예를 들면, 소위 인터-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핸드오버는 이런 종류의 방식을 사용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RNS) 재배치(예를 들면, 하드 핸드오버)를 수반하는 UE의 경우에, 타겟 RNC는 무선 액세스 베어러(RAB)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타겟 RNC가 핸드오버 후에 사용될 파라미터들을 명확히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노력한 접근법들이 있어 왔다.
예를 들면, 풀(full) 시그널링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3GPP에서, 타겟 eNB가 소위 델타 시그널링 또는 풀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어떻게 선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려들이 없다.
그러나, 델타 시그널링은 소스 eNB 및 타겟 eNB가 동일 RRC 프로토콜 릴리스를 사용하고 있거나, 타겟 eNB RRC 프로토콜 릴리스가 소스 eNB의 것보다 더 최신(newer)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타겟 eNB RRC 프로토콜 릴리스가 소스 eNB의 것보다 더 이전(earlier)의 것인 경우, 결코 타겟 eNB가 핸드오버 후에 더 이후(later)의 릴리스 기능을 계속할 수 없기 때문에 추가 규칙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더 최신의 릴리스에 정의된 모든 추가 기능 및 파라미터들이 릴리스될 수 있다.
상기의 것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 장치들, 관련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및 데이터 구조가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예들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가능하게 한다:
- 타겟 eNB가 델타 시그널링 또는 풀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선택하기 위한 로직을 명시함;
- 파라미터 변경이 상기 결정을 하는데 타겟 eNB를 도울 수 있게 함;
- 복잡한 네트워크를 회피하고, 따라서, 복잡한 동작 및 관리(O&M) 구성 노력을 회피함;
- 델타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경우 및 풀 구성 시그널링을 하는 경우에 처리하는 타겟 eNB에 대해 간단한 로직을 제공함.
본 발명의 예들은 첨부된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에 따른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에 따른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에 따른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예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서 하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본 설명을 위하여, 용어 "프로토콜 릴리스; 적어도 일-비트(one-bit);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 풀 시그널링; 및 델타 시그널링"은 각각 "프로토콜 버전; 정보 엘리먼트; 핸드오버를 명령하기 위해 UE로 전송될 메시지; 제 1 및 제 2 프로토콜들; 풀 구성(예를 들면, 파라미터들)의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을 사용하는 시그널링 방식; 및 축소된 구성의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을 사용하는 시그널링 방식"은 각각, 나중-명명된 용어들이 먼저-명명된 용어들에 부과된 특정 기술의 또는 구현 세부사항들에 제한하지 않음에 주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에 따른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을 도시한다. 엘리먼트들 사이의 시그널링은 수평 방향으로 도시될 수 있는 한편, 시그널링 사이의 시간 양상들은 시그널링 시퀀스의 수직 배열(arrangement)뿐만 아니라 시퀀스 숫자들에 반영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간 양상들은 단계 순서 요약에 도시된 방법 단계들 중 어느 하나로 반드시 제한하지 않음에 주의해야 한다. 이는 특히 기능적으로 서로 분리된 방법 단계들에 적용한다. 도 1 내에서, 설명의 편이를 위해, 주요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들 또는 부분들은 실선 기능 블록들 또는 화살표들 및/또는 보통 포트로 도시되는 한편, 선택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들 또는 부분들은 점선 기능 블록들 또는 화살표들 및/또는 이탤릭 폰트로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200)은 UE(201) 및 네트워크(20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네트워크(202)는 소스 eNB(2021) 및 타겟 eNB(202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용어들 " 타겟" 및 "소스"는, 예를 들면, eNB들(2021,2022) 사이의 핸드오버 관계와 관련된다.
처음에, 선택적인 준비 단계 S0에서, 예를 들면, UE(201) 및 소스 eNB(2021)는 측정 절차 및 핸드오버(HO) 실행을 위한 소스 eNB(2021)의 결정을 수행하는 단계(conducting)를 실행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1에서, 예를 들면, 소스 eNB(2021)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제 1 프로토콜 버전(예를 들면, 소스 eNB(2021)의 RRC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예를 들면, 열거된 정보 엘리먼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2-1에서, 예를 들면, 타겟 eNB(2022)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 S2-2에서, 예를 들면, 타겟 eNB(2022)는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수신된 표시(예를 들면, RRC 표시) 및 제 2 프로토콜 버전(예를 들면, 타겟 eNB(2022)의 RRC 프로토콜 버전)에 기초하여, 전송될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캡슐화될 수 있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 엘리먼트(예를 들면, 일-비트)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고, 정보 엘리먼트는 제 1 시그널링 방식(예를 들면, 델타 시그널링) 및 제 1 시그널링 방식과 상이한 제 2 시그널링 방식(예를 들면, 풀 시그널링)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한다.
그리고, 단계 S2-3에서, 예를 들면, 타겟 eNB(2022)는 제 1 및 제 2 시그널링(예를 들면, 델타 시그널링 또는 풀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음)를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1-2에서, 예를 들면, 소스 eNB(2021)는 단계 S1-1에서의 전송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제 1 시그널링 방식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포함함)를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은 제 1 프로토콜 버전 및 외부의 제 2 프로토콜 버전에 기초하여 결정되었다.
선택 단계 S1-3에서, 예를 들면, 소스 eNB(2021)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된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고,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그 다음, 단계 S1-4에서, 예를 들면, 소스 eNB(2021)는 상기 수신하는 단계 후에,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예를 들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예를 들면, UE(201))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S3-2에서, 예를 들면, UE(201)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3-2에서, 예를 들면, UE(201)는 정보 엘리먼트에 의해 표시는 제 1 또는 제 2 시그널링 방식에 따라 구성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타겟 eNB(2022)와 관련한 전개들(developments)에 관하여, 결정하는 단계는 핸드오버 준비 동안 실행될 수 있다. 게다가, 제 1 프로토콜 버전(예를 들면, 소스 eNB(2021)의 RRC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 컨테이너(container)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X2/S1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프로토콜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소스 eNB(2021) 및 타겟 eNB(2022) 모두와 관련한 전개들에 관하여, 제 1 시그널링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 사양(예를 들면, 핸드오버 준비 정보 메시지들)에 정의된 무선 자원 제어 컨테이너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런 경우, 정보 엘리먼트는 긍정(affirmative)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더하여, 제 1 프로토콜 버전(예를 들면, 소스 eNB(2021)의 RRC 프로토콜 버전)은 제 2 프로토콜 버전(예를 들면, 타겟 eNB(2022)의 RRC 프로토콜 버전) 보다 더 상위(higher)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2 시그널링 방식은 X2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사양(예를 들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또는 S1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사양(예를 들면, 핸드오버 요청된 메시지)에 정의된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런 경우, 정보 엘리먼트는 비-긍정(non-affirmative)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더하여, 제 1 프로토콜 버전은 제 2 프로토콜 버전과 동일하거나 더 하위(lower)일 수 있다. 그러나, 동일 정보는 시그널링 방식에도 불구하고 소스 eNB(2021)로부터 타겟 eNB(2022)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게다가, 프로토콜 버전은 프로토콜 릴리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엘리먼트는 적어도 일-비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이를 캡슐화할 수 있다. 더욱이, 제 1 프로토콜은 핸드오버 소스 엔티티의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한편,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는 열거된 정보 엘리먼트일 수 있다. 게다가, 제 2 프로토콜은 핸드오버 타겟 엔티티의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풀 구성 또는 델타 구성의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한편, 무선 자원 제어 컨테이너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 메시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에 따른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들(예를 들면, UE(201), 소스 eNB(2021) 및 타겟 eNB(2022))을 도시한다. 도 2 내에서, 설명의 편이를 위해, 주요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들 또는 부분들은 실선 기능 블록들 또는 화살표들 및/또는 보통 포트로 도시되는 한편, 선택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들 또는 부분들은 점선 기능 블록들 또는 화살표들 및/또는 이탤릭 폰트로 도시된다.
UE(201)는 CPU(또는 회로소자(circuitry))(2011), 메모리(2012), 선택 송신기(또는 송신하기 위한 수단)(2013), 수신기(또는 수신하기 위한 수단)(2014) 및 구성기(configurator)(또는 구성하기 위한 수단)(2015)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eNB(2021)는 CPU(또는 회로소자)(20211), 메모리(20212), 송신기(또는 송신하기 위한 수단)(20213), 수신기(또는 수신하기 위한 수단)(20214) 및 선택 추출기(extractor)(또는 추출하기 위한 수단)(20215)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eNB(2022)는 CPU(또는 회로소자)(20221), 메모리(20222), 송신기(또는 송신하기 위한 수단)(20223), 수신기(또는 수신하기 위한 수단)(20224) 및 결정기(decider)(또는 결정하기 위한 수단)(20225)를 포함할 수 있다.
CPU(2011, 20211 또는 20221)의 기능 블록들의 점선 확장들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기 위한 수단(2015), 추출하기 위한 수단(20215) 및 결정하기 위한 수단(20225)(및 UE(201)의 송신하기 위한 수단(2013) 및 수신하기 위한 수단(2014), 소스 eNB(2021)의 송신하기 위한 수단(20213) 및 수신하기 위한 수단(20214) 뿐만 아니라 타겟 eNB(2022)의 송신하기 위한 수단(20223) 및 수신하기 위한 수단(20224))은 UE(201) 및/또는 소스 및 타겟 eNB들(2021, 2022)의 CPU(2011, 20211 또는 20221) 상에 실행하는 기능들일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개별 기능 엔티티들 또는 수단들일 수 있다.
CPU들(20x1)(여기서, x = 1, 21 및/또는 22)은, 예를 들면, 메모리(20x2)에 상주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다양한 데이터 입력들을 처리하고, 메모리들(20x2), 송신하기 위한 수단들(202x3) 및 수신하기 위한 수단들(20x4)(뿐만 아니라 UE(201)의 구성하기 위한 수단(2015), 추출하기 위한 수단(20215) 및 타겟 eNB(2022)의 결정하기 위한 수단(20225)의 기능들)을 제어하도록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들(20x2)은, 예를 들면, CPU들(20x1) 상에서 실행할 때,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예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 수단들을, 예를 들면, 저장하도록 서빙할 수 있다(serve). 송신하기 우한 수단들(20x3) 및 수신하기 위한 수단들(20x4)은 대안적으로 각각의 통합 송수신기들로서 제공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송신기들/수신기들은 ⅰ) 예를 들면, 무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UE(201)와 소스 엔티티(2021) 사이)를 통하여 송수신하기 위한 물리적인 송신기들/수신기들로서, ⅱ) 예를 들면, PS(패킷 스위칭) 네트워크에서(예를 들면, 개별 네트워크 엔티티들로서 배치되는 경우, 소스 eNB(2021)와 타겟 eNB(2022) 사이) 데이터 패킷들을, 예를 들면, 송신/수신하기 위한 라우팅 엔티티로서, ⅲ) 소정의 메모리 영역(예를 들면, 통합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배치되는 경우, 소스 eNB(2021) 및 타겟 eNB(2022)의, 예를 들면, 공유/공통 CPU들 또는 메모리들의 경우)으로/으로부터 정보를 기록/판독하기 위한 기능들로서, 또는 ⅳ) ⅰ) 내지 ⅲ)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에 더 주의해야 한다.
게다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소스 eNB(2021)의 송신하기 위한 수단(20213)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제 1 프로토콜 버전(예를 들면, 소스 eNB(2021)의 RRC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예를 들면, 열거된 정보 엘리먼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그 다음, 예를 들면, 타겟 eNB(2022)의 수신하기 위한 수단(20224)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겟 eNB(2022)의 결정하기 위한 수단(20225)은 수신된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예를 들면, RRC 표시) 및 제 2 프로토콜 버전(예를 들면, 타겟 eNB(2022)의 RRC 프로토콜 버전)에 기초하여, 전송될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캡슐화될 수 있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 엘리먼트(예를 들면, 일-비트)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고, 정보 엘리먼트는 제 1 시그널링 방식(예를 들면, 델타 시그널링) 및 제 1 시그널링 방식과 상이한 제 2 시그널링 방식(예를 들면, 풀 시그널링)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타겟 eNB(2022)의 송신하기 위한 수단(20223)은 제 1 및 제 2 시그널링(예를 들면, 델타 시그널링 또는 풀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음)를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소스 eNB(2021)의 수신하기 위한 수단(20214)은 송신하기 위한 수단(20213)에 의해 실행되는 전송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제 1 시그널링 방식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포함함)를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은 제 1 프로토콜 버전 및 외부의 제 2 프로토콜 버전에 기초하여 결정되었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면, 소스 eNB(2021)의 추출하기 위한 수단(20215)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된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고,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그 다음, 선택적으로, 예를 들면, 소스 eNB(2021)의 송신하기 위한 수단(20213)은,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사용자 장비(예를 들면, UE(201))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예를 들면, UE(201)의 수신하기 위한 수단(2014)은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UE(201)의 구성하기 위한 수단(2015)은 정보 엘리먼트에 의해 표시되는 제 1 또는 제 2 시그널링 방식에 따라 구성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타겟 eNB(2022)와 관련하여 전개들에 관하여, 결정하기 위한 수단(20225)은 핸드오버 준비 동안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제 1 프로토콜 버전(예를 들면, 소스 eNB(2021)의 RRC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 컨테이너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X2/S1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프로토콜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소스 eNB(2021) 및 타겟 eNB(2022) 모두와 관련한 전개들에 관하여, 제 1 시그널링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 사양(예를 들면, 핸드오버 준비 정보 메시지들)에 정의된 무선 자원 제어 컨테이너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런 경우, 정보 엘리먼트는 긍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더하여, 제 1 프로토콜 버전(예를 들면, 소스 eNB(2021)의 RRC 프로토콜 버전)은 제 2 프로토콜 버전(예를 들면, 타겟 eNB(2022)의 RRC 프로토콜 버전) 보다 더 상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2 시그널링 방식은 X2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사양(예를 들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또는 S1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사양(예를 들면, 핸드오버 요청된 메시지)에 정의된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런 경우, 정보 엘리먼트는 비-긍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더하여, 제 1 프로토콜 버전은 제 2 프로토콜 버전과 동일하거나 더 하위일 수 있다. 그러나, 동일 정보는 시그널링 방식과 상관없이 소스 eNB(2021)로부터 타겟 eNB(2022)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게다가, 프로토콜 버전은 프로토콜 릴리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엘리먼트는 적어도 일-비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이를 캡슐화할 수 있다. 더욱이, 제 1 프로토콜은 핸드오버 소스 엔티티의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한편,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는 열거된 정보 엘리먼트일 수 있다. 게다가, 제 2 프로토콜은 핸드오버 타겟 엔티티의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풀 구성 또는 델타 구성의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한편, 무선 자원 제어 컨테이너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 메시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송신하기 위한 수단(20213, 20223), 수신하기 위한 수단(20214, 20224), 구성하기 위한 수단(2015), 추출하기 위한 수단(20215) 및 결정하기 위한 수단(20225) 뿐만 아니라 UE(201), 소스 eNB(2021) 및 타겟 eNB(2022) 또는 수행되는 각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은 칩셋, 모듈 또는 서브어셈블리로 구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예는, 또한, 본 발명의 상술한 예에 따른 소스 eNB(2021), 타겟 eNB(2022) 및, UE(201)를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에 따른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300)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조(300)는 제 1 시그널링 방식(예를 들면, 델타 시그널링 방식)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예를 들면, 풀 시그널링 방식)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301)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은 제 1 프로토콜 버전(예를 들면, 타겟 eNB(2022)으로의 핸드오버 준비 동안 시그널링된, 예를 들면, 소스 eNB(2021)의 RRC 프로토콜 버전) 및 외부 제 2 프로토콜 버전(예를 들면, 타겟 eNB(2022)가 지원하기 위해 구성되는 RRC 프로토콜 버전)에 기초하여 결정되었다.
게다가, 데이터 구조는 선택 헤더(302), 선택 페이로드부(303) 및 선택 트레일러(304)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조와 관련한 전개들에 관하여, 데이터 구조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제 1 시그널링 방식은 무선 자원 제어 사양(예를 들면, 핸드오버 준비 정보 메시지들)에 정의된 무선 자원 제어 컨테이너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런 경우, 정보 엘리먼트는 긍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더하여, 제 1 프로토콜 버전(예를 들면, 소스 eNB(2021)의 RRC 프로토콜 버전)은 제 2 프로토콜 버전(예를 들면, 타겟 eNB(2022)의 RRC 프로토콜 버전) 보다 더 상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2 시그널링 방식은 X2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사양(예를 들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또는 S1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사양(예를 들면, 핸드오버 요청된 메시지)에 정의된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런 경우, 정보 엘리먼트는 비-긍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더하여, 제 1 프로토콜 버전은 제 2 프로토콜 버전과 동일하거나 더 하위일 수 있다. 그러나, 동일 정보는 시그널링 방식과 상관없이 소스 eNB(2021)로부터 타겟 eNB(2022)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게다가, 프로토콜 버전은 프로토콜 릴리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엘리먼트는 적어도 일-비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이를 캡슐화할 수 있다. 더욱이, 제 1 프로토콜은 핸드오버 소스 엔티티의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한편,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는 열거된 정보 엘리먼트일 수 있다. 게다가, 제 2 프로토콜은 핸드오버 타겟 엔티티의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풀 구성 또는 델타 구성의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한편, 무선 자원 제어 컨테이너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 메시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단락에서 다음의 세부사항들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예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규 채널 품질 표시자(CQI) 리포팅 파라미터가 Rel-9에 정의되고, UE가 신규 Rel-9 소스 eNB에서 신규 CQI 리포팅 파라미터로 구성되는 경우, 이러한 신규 CQI 리포팅 파라미터는 Rel-8 eNB로의 핸드오버로 릴리스되어야 한다. 그러나, Rel-8 eNB은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이러한 기능을 릴리스하기 위한 어떤 수단도 가질 수 없거나, 그 기능을 사용하여 지속하는 UE와 적절하게 상호작용할 수 없다.
따라서, 소스 eNB 및 타겟 eNB가, 예를 들면, 상이한 프로토콜 버전들 또는 릴리스들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핸드오버(HO)에 어떻게 대처하는지에 관한 고려들은 이루어진다. 기본적으로, 발명의 예는 어떤 RRC(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 버전(릴리스)이 소스 eNB에 사용되는지를 표시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따라서, 신규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핸드오버 준비 정보 메시지에 부가될 수 있으며, 그것에 기초하여 타겟 eNB는 풀 또는 델타 시그널링 중 어느 것이 성공적인 HO 완료에 필요하고, 그것을 UE로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는 이러한 표시자가 UE(사용자 장비)에게 타겟 eNB가 델타 또는 풀 구성 방법을 사용하는지를 알릴 수 있음을 의미하고, 핸드오버 준비 동안 타겟 eNB가 어떤 방법이 사용되는지 또는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해 소스 eNB로부터 타겟 eNB로의 특정 RRC 릴리스 버전의 시그널링을 의미한다. 타겟 eNB RRC 프로토콜 버전이 소스 eNB가 사용중인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최신이면, 델타 시그널링이 지원될 수 있다.
풀 시그널링을 사용하기 위해, 예를 들면, Rel-8 또는 온워드(onward)의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로 표시하기 위한, 예를 들면, 일-비트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풀 시그널링 표시자"가 "예"로 설정된 경우, UE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가 델타 시그널링에 기초하지 않음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이러한 풀 시그널링은 소스 eNB의 RRC 프로토콜 릴리스가 타겟 eNB의 RRC 프로토콜 릴리스보다 상위인 경우에 요구될 수 있기 때문에, Rel-8 온워드에서 "풀 시그널링 표시자"를 갖는 것은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풀 시그널링 표시자"가 "예"로 설정되어야 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러한 정보 엘리먼트가, 예를 들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로 소스 eNB로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타겟 eNB는, 예를 들면, HO 준비 동안,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소스 eNB는 핸드오버 준비 동안 소스 eNB의 RRC 프로토콜의 릴리스를 타겟 eNB로 표시할 수 있음이 제안된다. 이는 RRC 컨테이너에 포함될 수 있고, X2 및/또는 S1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의 X2를 통해 및/또는 S1을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타겟 eNB가 소스 eNB가 사용중인 RRC 프로토콜의 릴리스를 알게 된 후, 그리고 상기 릴리스가 타겟 eNB가 사용중인 것보다 상위이거나, 타겟 eNB가 상기 릴리스를 알지 못하는 경우(예를 들면, 소스 eNB RRC 프로토콜 릴리스 표시자가 타겟 eNB가 지원중인 것보다 상위이기 때문임), 타겟 eNB는 풀 시그널링을 사용할 수 있다. 소스 eNB RRC 프로토콜 릴리스가 타겟 eNB RRC 프로토콜 릴리스보다 하위 또는 동일한 경우, 타겟 eNB는 소위 델타 시그널링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시그널링은, 예를 들면, RRC 컨테이너 또는 X1/S1 메시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시그널링 자체는 델타 또는 풀 시그널링에 관한 것이 아닐 수 있다. 소스 eNB는 RRC 컨테이너(예를 들면, 핸드오버 준비 정보 메시지) 또는 X1/S1 메시지(핸드오버 요청 메시지/핸드오버 요청된 메시지)를 통하여, 예를 들면, 그의 RRC 프로토콜 릴리스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점차로, RRC 컨테이너는 X1/S2 메시지에 캡슐화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드오버 명령은 RRC 메시지일 수 있고,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는 X2 메시지일 수 있다. 핸드오버 명령은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캡슐화될 수 있고,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UE가 처리할 수 있는 형식일 수 있기 때문에, 소스 eNB는 핸드오버 명령을 UE로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풀/델타 시그널링은 그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관한 것일 수 있는데, 이는 타겟 eNB에서 구성되고 소스 eNB를 통하여 UE로 전송된다. 따라서, 동일 메시지(즉,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서 일-비트 표시자는 UE가 파라미터들을 알맞게 구성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추가 예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위해, 다음에 주의해야 한다 :
- 회로소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하이브리드들로 지칭될 수 있음 :
(a) 순수한 하드웨어 회로(circuit) 구현들(예컨대, 순수하게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소자에서의 구현들), 및
(b) (ⅰ) 프로세스(들)의 조합, 또는
(ⅱ)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장치가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하게 하도록 함께 동작하는 프로세서(들)/소프트웨어(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를 포함함)의 부분들, 소프트웨어 및 메모리(또는 메모리들)
와 같은(적용할 수 있는), 회로들 및 소프트웨어(및/또는 펌웨어)의 조합들 : 및
(c)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작을 위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요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부분들과 같은 회로들;
- 프로세서는 CPU, 산술 및 로직 유닛(ALU),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등과 같은 임의의 처리 유닛일 수 있으며, 이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 듀얼 코어 프로세서 또는 다중-코어 프로세서일 수 있음;
- 프로그램은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물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프로세서(들), 메모리(또는 메모리들), 회로소자, 회로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및/또는 데이터 구조(들)에 의해 또는 그들 상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면, 컴파일/비-컴파일 프로그램(소스) 코드, 실행가능한 객체, (메타)파일 등일 수 있음;
- 액세스 기술은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네트워크(또는 기지국 각각)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기술일 수 있음.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블루투스, 적외선 등과 같은 임의의 현재 또는 미래 기술이 사용될 수 있음; 상기 기술들이 대부분 예를 들면, 상이한 무선 스펙트럼들에서의 무선 액세스 기술들일 지라도,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액세스 기술은 또한 와이어본드 기술들, 예를 들면, 케이블 네트워크들 또는 고정선과 같은 IP 기반 액세스 기술들을 의미할 수 있음.
- 네트워크는 스테이션 엔티티 또는 다른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에 연결할 수 있고 및/또는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 유닛 또는 수단일 수 있음; 이러한 서비스들은, 특히,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영상 통신, 데이터 다운로드 등을 포함함;
-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데이터가 그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로 전송되고, 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IP)에 기초하는 데이터 패킷 기반 전송 방식에 의존하는 이들 네트워크/사용자 장비 환경들에 적용할 수 있음.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다른 현재 또는 미래 IP 또는 이동 IP(MIP) 버전,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M)IPv4/6으로 유사한 원칙들을 따르는 프로토콜이 또한 적용가능함;
- 사용자 장비는 시스템 사용자가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들을 경험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 유닛 또는 수단들 일 수 있음;
- 소프트웨어 코드 부분들로 구현될 것 같고, 네트워크 엘리먼트 또는 단말(디바이스들, 장치들 및/또는 그의 모듈들의 예들로서, 또는 장치들, 회로소자들 및/또는 따라서 모듈들을 포함하는 엔티티들의 예들로서)에서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실행되는 방법 단계들은 소프트웨어 코드 독립적이고, 방법 단계들에 의해 정의된 기능이 유지되는 한, 임의의 공지된 또는 미래 개발될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명시될 수 있음;
- 일반적으로, 임의의 방법 단계는 구현되는 기능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고도 소프트웨어로서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기에 적합함;
- 상기 정의된 장치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모듈(들)/회로소자(들)에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것 같은 방법 단계들 및/또는 디바이스들, 유닛들 또는 수단들은 하드웨어 독립적이고, MOS(금속 산화물 반도체), CMOS(상보형 MOS), BiMOS(바이폴라 MOS), BiCMOS(바이폴라 CMOS), ECL(에미터 결합 로직), TTL(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 로직) 등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또는 미래 개발될 하드웨어 기술 또는 이들의 임의의 하이브리드들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ASIC(주문형 IC(집적 회로)) 컴포넌트들, FPGA(전계-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컴포넌트들, CPLD(복합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컴포넌트들 또는 DSP(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 게다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것 같은 임의의 방법 단계들 및/또는 디바이스들, 유닛들 또는 수단들은 대안적으로 예를 들면, 인증, 인가, 키잉(keying) 및/또는 트래픽 보호를 할 수 있는 임의의 보안 아키텍처에 기초할 수 있음;
- 디바이스들, 유닛들, 회로소자들 또는 수단들(예를 들면, 상기 정의된 장치들, 또는 그들 각각의 수단들 중 임의의 하나)은 개별 디바이스들, 유닛들 또는 수단들로서 구현될 수 있지만, 이는 디바이스, 유닛, 회로소자 또는 수단의 기능이 유지되는 한, 그들이 시스템 전체에 걸친 분산 방식으로 구현됨을 제외하지 않음;
- 장치는 반도체 칩, 칩셋, 이러한 칩 또는 칩셋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모듈, 또는 회로소자에 의해 표현될 수 있음; 그러나, 이는 장치, 모듈 또는 회로소자의 기능이, 하드웨어 구현되는 대신, 프로세스 상에서 실행/실행중이기 위한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 부분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가능성을 제외하지 않음;
-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기능적으로 서로 협력하든지 또는 기능적으로 서로 관계없든지 간에, 그러나 동일 디바이스 하우징에서 장치로서 또는 하나의 장치보다 많은 어셈블리로서 간주될 수 있음.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제 1 양상에서, 이러한 대상은, 예를 들면,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 및 제 2 프로토콜 버전에 기초하여, 전송될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정보 엘리먼트는 제 1 시그널링 방식 및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과 상이한 제 2 시그널링 방식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함 - ; 및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상기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양상에 따라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의 추가 개선들에 따르면,
-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핸드오버 준비 동안 실행된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제 2 양상에서, 이러한 대상은, 예를 들면,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제 1 시그널링 방식 및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과 상이한 제 2 시그널링 방식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은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 및 외부의 제 2 프로토콜 버전을 기초하여 결정되었음 ―.
상기 제 2 양상에 따라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의 추가 개선들에 따르면,
- 상기 방법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수신된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상기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양상들에 따라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의 추가 개선들에 따르면,
-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상기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 컨테이너(container)에 포함되고,
-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상기 표시는 X2/S1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프로토콜로 시그널링된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제 3 양상에서, 이러한 대상은, 예를 들면,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
제 1 시그널링 방식 및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과 상이한 제 2 시그널링 방식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은 외부의 제 1 프로토콜 버전 및 외부의 제 2 프로토콜 버전에 기초하여 결정되었음 ―; 및
상기 정보 엘리먼트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에 따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내지 제 3 양상들에 따라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의 추가 개선들에 따르면,
-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은 풀 구성의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을 이용하고;
- 상기 정보 엘리먼트는 긍정으로 설정되며;
-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은 상기 제 2 프로토콜 버전 보다 더 상위이고;
- 상기 제 2 시그널링 방식은 축소된 구성의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을 이용하며;
- 상기 정보 엘리먼트는 비-긍정으로 설정되고;
-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은 상기 제 2 프로토콜 버전과 동일하거나 더 하위이며;
- 상기 프로토콜 버전은 프로토콜 릴리스에 의해 구성되며;
- 상기 정보 엘리먼트는 적어도 일-비트에 의해 구성되고;
-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이를 캡슐화하고;
- 상기 제 1 프로토콜은 핸드오버 소스 엔티티의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되며;
-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상기 표시는 열거된 정보 엘리먼트이고;
- 상기 제 2 프로토콜은 핸드오버 타겟 엔티티의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되며;
- 풀 구성의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들에 의해 구성되고;
- 델타 구성의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들에 의해 구성되며;
-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컨테이너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 메시지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제 4 양상에서, 이러한 대상은, 예를 들면, 다음을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수신된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 및 제 2 프로토콜 버전에 기초하여, 전송될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정보 엘리먼트는 제 1 시그널링 방식 및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과 상이한 제 2 시그널링 방식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함 ―; 및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상기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4 양상에 따라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의 추가 개선들에 따르면,
- 상기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핸드오버 준비 동안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제 5 양상에서, 이러한 대상은, 예를 들면, 다음을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전송하기 위한 수단에 응답하여, 제 1 시그널링 방식 및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과 상이한 제 2 시그널링 방식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은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 및 외부의 제 2 프로토콜 버전을 기초하여 결정되었음-.
상기 제 5 양상에 따라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의 추가 개선들에 따르면,
- 상기 장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수신된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상기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 상기 장치는 상기 수신 후에,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4 및 제 5 양상들에 따라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의 추가 개선들에 따르면,
-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상기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 컨테이너에 포함되고;
-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상기 표시는 X2/S1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프로토콜로 시그널링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제 6 양상에서, 이러한 대상은, 예를 들면, 다음을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
제 1 시그널링 방식 및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과 상이한 제 2 시그널링 방식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은 외부의 제 1 프로토콜 버전 및 외부의 제 2 프로토콜 버전에 기초하여 결정되었음 ―; 및
상기 정보 엘리먼트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에 따라 구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4 내지 제 6 양상들에 따라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의 추가 개선들에 따르면,
-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은 풀 구성의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을 이용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정보 엘리먼트는 긍정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되며;
-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은 상기 제 2 프로토콜 버전 보다 더 상위이고;
- 상기 제 2 시그널링 방식은 축소된 구성의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며;
- 상기 정보 엘리먼트는 비-긍정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은 상기 제 2 프로토콜 버전과 동일하거나 더 하위이며;
- 상기 프로토콜 버전은 프로토콜 릴리스에 의해 구성되고;
- 상기 정보 엘리먼트는 적어도 일-비트에 의해 구성되며;
-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이를 캡슐화하고;
- 상기 제 1 프로토콜은 핸드오버 소스 엔티티의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되며;
-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상기 표시는 열거된 정보 엘리먼트이고;
- 상기 제 2 프로토콜은 핸드오버 타겟 엔티티의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되며;
- 풀 구성의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들에 의해 구성되고;
- 델타 구성의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들에 의해 구성되며;
-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컨테이너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 메시지에 의해 구성되며;
- 수신하기 위한 수단, 결정하기 위한 수단, 전송하기 위한 수단, 추출하기 위한 수단, 구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장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은 칩셋, 모듈 또는 서브어셈블리로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제 7 양상에서, 이러한 대상은, 예를 들면, 다음을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수신된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 및 제 2 프로토콜 버전에 기초하여, 전송될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기 ― 상기 정보 엘리먼트는 제 1 시그널링 방식 및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과 상이한 제 2 시그널링 방식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함 ―; 및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상기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상기 제 7 양상에 따라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의 추가 개선들에 따르면,
- 상기 결정기는 핸드오버 준비 동안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제 8 양상에서, 이러한 대상은, 예를 들면, 다음을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에 응답하여, 제 1 시그널링 방식 및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과 상이한 제 2 시그널링 방식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은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 및 외부의 제 2 프로토콜 버전을 기초하여 결정되었음 ―.
상기 제 8 양상에 따라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의 추가 개선들에 따르면,
- 상기 장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수신된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로부터 추출하도록 구성된 추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상기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 상기 장치는 상기 수신 후에,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7 및 제 8 양상들에 따라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의 추가 개선들에 따르면,
-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상기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 컨테이너에 포함되고;
-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상기 표시는 X2/S1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프로토콜로 시그널링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제 9 양상에서, 이러한 대상은, 예를 들면, 다음을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
제 1 시그널링 방식 및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과 상이한 제 2 시그널링 방식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은 외부의 제 1 프로토콜 버전 및 외부의 제 2 프로토콜 버전에 기초하여 결정되었음 ―; 및
상기 정보 엘리먼트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에 따라 구성하도록 구성된 구성기.
상기 제 7 내지 제 9 양상들에 따라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의 추가 개선들에 따르면,
-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은 풀 구성의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을 이용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정보 엘리먼트는 긍정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되며;
-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은 상기 제 2 프로토콜 버전 보다 더 상위이고;
- 상기 제 2 시그널링 방식은 축소된 구성의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며;
- 상기 정보 엘리먼트는 비-긍정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은 상기 제 2 프로토콜 버전과 동일하거나 더 하위이며;
- 상기 프로토콜 버전은 프로토콜 릴리스에 의해 구성되고;
- 상기 정보 엘리먼트는 적어도 일-비트에 의해 구성되며;
-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이를 캡슐화하고;
- 상기 제 1 프로토콜은 핸드오버 소스 엔티티의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되며;
-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상기 표시는 열거된 정보 엘리먼트이고;
- 상기 제 2 프로토콜은 핸드오버 타겟 엔티티의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되며;
- 풀 구성의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들에 의해 구성되고;
- 델타 구성의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들에 의해 구성되며;
-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컨테이너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 메시지에 의해 구성되며;
- 수신기, 결정기, 추출기, 구성기 및 상기 장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은 칩셋, 모듈 또는 서브어셈블리로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제 10 양상에서, 이러한 대상은, 예를 들면, 다음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
상기 제 4 또는 제 7 양상들에 따른 장치;
상기 제 5 또는 제 8 양상들에 따른 장치; 및
상기 제 6 또는 제 9 양상들에 따른 장치.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제 11 양상에서, 이러한 대상은, 예를 들면, 처리 수단 또는 모듈 상에서 실행하는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3 양상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코드 수단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제 12 양상에서, 이러한 대상은, 예를 들면, 처리 수단 또는 모듈 상에서 실행하는 경우,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코드 수단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달성된다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 및 제 2 프로토콜 버전에 기초하여, 전송될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정보 엘리먼트는 제 1 시그널링 방식 및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과 상이한 제 2 시그널링 방식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함 ―; 및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상기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제 13 양상에서, 이러한 대상은, 예를 들면, 처리 수단 또는 모듈 상에서 실행하는 경우,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코드 수단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달성된다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제 1 시그널링 방식 및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과 상이한 제 2 시그널링 방식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은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 및 외부의 제 2 프로토콜 버전을 기초하여 결정되었음 ―.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제 14 양상에서, 이러한 대상은, 예를 들면, 처리 수단 또는 모듈 상에서 실행하는 경우,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코드 수단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달성된다 :
제 1 시그널링 방식 및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과 상이한 제 2 시그널링 방식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은 외부의 제 1 프로토콜 버전 및 외부의 제 2 프로토콜 버전에 기초하여 결정되었음 ―; 및
상기 정보 엘리먼트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에 따라 구성하는 단계.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제 15 양상에서, 이러한 대상은, 예를 들면, 다음을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
제 1 시그널링 방식 및 상기 제 1 시그널링 방식과 상이한 제 2 시그널링 방식 중 하나의 사용을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정보 엘리먼트 ―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링 방식들 중 하나의 사용은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 및 외부의 제 2 프로토콜 버전을 기초로 결정되었음 ―.
상기 제 16 양상에 따라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의 추가 개선들에 따르면,
- 상기 프로토콜 버전은 프로토콜 릴리스에 의해 구성되고;
- 상기 정보 엘리먼트는 적어도 일-비트에 의해 구성되며;
- 상기 데이터 구조는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의해 구성되고;
-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이를 캡슐화하며;
- 상기 제 1 프로토콜은 핸드오버 소스 엔티티의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되고;
- 상기 제 1 프로토콜 버전의 상기 표시는 열거된 정보 엘리먼트이며;
- 상기 제 2 프로토콜은 핸드오버 타겟 엔티티의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구성되고;
- 풀 구성의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들에 의해 구성되며;
- 델타 구성의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들은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재구성 메시지들에 의해 구성되고;
-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컨테이너는 핸드오버 준비 정보 메시지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은 그의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

  1.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되는 디바이스 또는 방법.
KR1020247001785A 2009-12-15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 장치들, 관련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및 데이터 구조 KR102672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37920A KR102627466B1 (ko) 2009-12-15 2009-12-15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 장치들, 관련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및 데이터 구조
PCT/EP2009/067218 WO2011072726A1 (en) 2009-12-15 2009-12-15 Methods, apparatuses,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data structure for deciding on a signaling scheme for handov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920A Division KR102627466B1 (ko) 2009-12-15 2009-12-15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 장치들, 관련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및 데이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611A true KR20240012611A (ko) 2024-01-29
KR102672697B1 KR102672697B1 (ko) 2024-06-05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59725T2 (hu) 2022-12-28
KR101880281B1 (ko) 2018-07-20
EP3157288B1 (en) 2022-06-08
US9609554B2 (en) 2017-03-28
US11109282B2 (en) 2021-08-31
EP2941084A1 (en) 2015-11-04
CN102742349B (zh) 2015-06-10
HUE032228T2 (en) 2017-09-28
CN102742349A (zh) 2012-10-17
KR20190099352A (ko) 2019-08-26
KR20220151225A (ko) 2022-11-14
US9049623B2 (en) 2015-06-02
KR101947719B1 (ko) 2019-02-13
US9936424B2 (en) 2018-04-03
US9055489B2 (en) 2015-06-09
KR20190015639A (ko) 2019-02-13
EP2514261A1 (en) 2012-10-24
PL3157288T3 (pl) 2022-09-19
KR20160013258A (ko) 2016-02-03
KR102462471B1 (ko) 2022-11-01
KR102013891B1 (ko) 2019-08-23
KR101508986B1 (ko) 2015-04-08
ES2919878T3 (es) 2022-07-28
US11711730B2 (en) 2023-07-25
US20150304894A1 (en) 2015-10-22
KR102098204B1 (ko) 2020-04-07
KR102627466B1 (ko) 2024-01-18
EP2941084B2 (en) 2020-04-08
US20120287902A1 (en) 2012-11-15
KR102279694B1 (ko) 2021-07-20
US20170156085A1 (en) 2017-06-01
US20150156678A1 (en) 2015-06-04
KR20180083448A (ko) 2018-07-20
US20230362742A1 (en) 2023-11-09
KR20200042538A (ko) 2020-04-23
US20150124778A1 (en) 2015-05-07
KR101703310B1 (ko) 2017-02-06
US8665830B2 (en) 2014-03-04
PT3157288T (pt) 2022-06-28
EP4054240A1 (en) 2022-09-07
US10595235B2 (en) 2020-03-17
KR20120104321A (ko) 2012-09-20
KR20170077270A (ko) 2017-07-05
EP2941084B1 (en) 2017-02-01
JP2013514022A (ja) 2013-04-22
KR20210091837A (ko) 2021-07-22
KR20170015567A (ko) 2017-02-08
US20200221351A1 (en) 2020-07-09
KR101752370B1 (ko) 2017-06-29
KR20150020726A (ko) 2015-02-26
KR20160085923A (ko) 2016-07-18
KR101639748B1 (ko) 2016-07-15
JP5707573B2 (ja) 2015-04-30
US9072012B2 (en) 2015-06-30
KR101588180B1 (ko) 2016-01-28
KR101819667B1 (ko) 2018-01-17
US20210400542A1 (en) 2021-12-23
US20140161102A1 (en) 2014-06-12
US20180227808A1 (en) 2018-08-09
WO2011072726A1 (en) 2011-06-23
EP3157288A1 (en) 2017-04-19
KR20180008894A (ko) 2018-01-24
KR20150020727A (ko)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466B1 (ko)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 장치들, 관련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및 데이터 구조
KR102672697B1 (ko) 핸드오버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 장치들, 관련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및 데이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