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604A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신호 전송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신호 전송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12604A KR20240012604A KR1020240009366A KR20240009366A KR20240012604A KR 20240012604 A KR20240012604 A KR 20240012604A KR 1020240009366 A KR1020240009366 A KR 1020240009366A KR 20240009366 A KR20240009366 A KR 20240009366A KR 20240012604 A KR20240012604 A KR 202400126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tti
- base station
- signal
- uplink dat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8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title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08000037918 transfusion-transmitted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6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101000741965 Homo sapiens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Proteins 0.000 description 21
- 102100038659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760358 Enod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2135 Stomatitis necrotis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585 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3 phase shif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 신호 전송 타이밍을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 거리가 최대 100 km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단말 수신을 기준으로 정한 타이밍보다 약 0.67ms 정도 먼저 송신해야한다. 이는 기지국에서 여러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의 수신 타이밍을 맞추기 위함이며, 이를 timing advance라고 한다.
종래의 1ms를 전송시간구간으로 하는 LTE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grant)을 받고 약 4ms 이후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PUSCH 전송)을 한다. 또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PDSCH)를 수신하고 하향링크 데이터(PDSCH)에 대한 HARQ ACK 또는 NACK을 상향링크 제어신호(PUCCH 혹은 PUSCH)를 역시 약 4ms 이후에 전송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단말이 수신신호를 처리하고, 송신신호를 준비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프로세싱 시간은 약 3ms에서 timing advance만큼을 제외한 시간이 되며, 최대 timing advance를 고려하면 최소 약 2.33ms 정도일 수 있다.
이는 전송시간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길이가 짧아졌을 때 혹은 여러 개의 TTI 길이가 존재할 때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을 받고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하는 타이밍 및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ACK 또는 NACK을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전송하는 타이밍을 고정하는 방법은 비효율적이거나, TA 정도에 따라 단말 정해진 시간에 기지국으로의 전송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신호 전송 타이밍을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신호 전송 타이밍을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전송시간의 지연(delay)를 줄일 수 있거나 주파수-시간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LTE 또는 LTE-A 시스템의 하향링크 시간-주파수영역 전송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LTE 또는 LTE-A 시스템의 상향링크 시간-주파수영역 전송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LTE 또는 LTE-A 시스템에서 전달지연시간이 0일 때, 기지국 및 단말의 제1신호 및 제2신호 송수신 타이밍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 4는 LTE 또는 LTE-A 시스템에서 전달지연시간이 0보다 크고 timing advance를 적용하였을 때, 기지국 및 단말의 제1신호 및 제2신호 송수신 타이밍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 5는 LTE 또는 LTE-A 시스템에서 전달지연시간이 0보다 크고 timing advance를 적용하였을 때, 기지국 및 단말의 제1신호 및 제2신호 송수신 타이밍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말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말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단말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단말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LTE 또는 LTE-A 시스템의 상향링크 시간-주파수영역 전송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LTE 또는 LTE-A 시스템에서 전달지연시간이 0일 때, 기지국 및 단말의 제1신호 및 제2신호 송수신 타이밍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 4는 LTE 또는 LTE-A 시스템에서 전달지연시간이 0보다 크고 timing advance를 적용하였을 때, 기지국 및 단말의 제1신호 및 제2신호 송수신 타이밍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 5는 LTE 또는 LTE-A 시스템에서 전달지연시간이 0보다 크고 timing advance를 적용하였을 때, 기지국 및 단말의 제1신호 및 제2신호 송수신 타이밍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말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말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단말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단말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예를 들어, 3GPP의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혹은 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LTE-Advanced (LTE-A),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IEEE의 802.16e 등의 통신 표준과 같이 고속, 고품질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5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으로 5G 혹은 NR (new radio)의 통신표준이 만들어지고 있다.
상기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Downlink; DL)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상향링크(Uplink; UL)에서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향링크는 단말(UE(User Equipment) 혹은 MS(Mobile Station))이 기지국(eNode B, 혹은 base station(BS))으로 데이터 혹은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하고, 하향링크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혹은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한다. 상기와 같은 다중 접속 방식은, 통상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직교성 (Orthogonality)이 성립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를 구분한다.
LTE 시스템은 초기 전송에서 복호 실패가 발생된 경우, 물리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HARQ 방식이란 수신기가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화(디코딩)하지 못한 경우, 수신기가 송신기에게 디코딩 실패를 알리는 정보(NACK; Negative Acknowledgement)를 전송하여 송신기가 물리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게 한다. 수신기는 송신기가 재전송한 데이터를 이전에 디코딩 실패한 데이터와 결합하여 데이터 수신성능을 높이게 된다. 또한, 수신기가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한 경우 송신기에게 디코딩 성공을 알리는 정보(ACK; Acknowledgement)를 전송하여 송신기가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는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에서 상기 데이터 혹은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무선자원영역인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가로축은 시간영역을, 세로축은 주파수영역을 나타낸다. 시간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OFDM 심벌로서, Nsymb (102)개의 OFDM 심벌이 모여 하나의 슬롯(106)을 구성하고, 2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서브프레임(105)을 구성한다. 상기 슬롯의 길이는 0.5ms 이고,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0ms 이다. 그리고 라디오 프레임(114)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시간영역구간이다. 주파수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서브캐리어(subcarrier)로서,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 (Transmission bandwidth)의 대역폭은 총 NBW (104)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시간-주파수영역에서 자원의 기본 단위는 리소스 엘리먼트(112, Resource Element; RE)로서 OFDM 심벌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나타낼 수 있다. 리소스 블록(108, Resource Block; RB 혹은 Physical Resource Block; PRB)은 시간영역에서 Nsymb (102)개의 연속된 OFDM 심벌과 주파수 영역에서 NRB (110)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로 정의된다. 따라서, 하나의 RB(108)는 Nsymb x NRB 개의 RE(112)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최소 전송단위는 상기 RB 단위이다. LTE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Nsymb = 7, NRB=12 이고, NBW 및 NRB 는 시스템 전송 대역의 대역폭에 비례한다. 단말에게 스케쥴링되는 RB 개수에 비례하여 데이터 레이트가 증가하게된다. LTE 시스템은 6개의 전송 대역폭을 정의하여 운영한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를 주파수로 구분하여 운영하는 FDD 시스템의 경우,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과 상향링크 전송 대역폭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채널 대역폭은 시스템 전송 대역폭에 대응되는 RF 대역폭을 나타낸다. 표 1은 LTE 시스템에 정의된 시스템 전송 대역폭과 채널 대역폭 (Channel bandwidth)의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0MHz 채널 대역폭을 갖는 LTE 시스템은 전송 대역폭이 50개의 RB로 구성된다.
Channel bandwidth
BW Channel [MHz] |
1.4 | 3 | 5 | 10 | 15 | 20 |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NRB | 6 | 15 | 25 | 50 | 75 | 100 |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최초 N 개의 OFDM 심벌 이내에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N = {1, 2, 3} 이다. 따라서 현재 서브프레임에 전송해야 할 제어정보의 양에 따라 상기 N 값이 서브프레임마다 가변하게 된다. 상기 제어정보로는 제어정보가 OFDM 심벌 몇 개에 걸쳐 전송되는지를 나타내는 제어채널 전송구간 지시자, 하향링크 데이터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 HARQ ACK/NACK 신호 등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달된다. DCI 는 여러 가지 포맷을 정의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UL grant) 인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DL grant) 인지 여부, 제어정보의 크기가 작은 컴팩트 DCI 인지 여부, 다중안테나를 사용한 공간 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을 적용하는지 여부, 전력제어 용 DCI 인지 여부 등에 따라 정해진 DCI 포맷을 적용하여 운용한다. 예컨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정보(DL grant)인 DCI format 1 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제어정보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 자원 할당 유형 0/1 플래그(Resource allocation type 0/1 flag): 리소스 할당 방식이 유형 0 인지 유형 1 인지 통지한다. 유형 0 은 비트맵 방식을 적용하여 RBG (resource block group) 단위로 리소스를 할당한다. LTE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는 시간 및 주파수 영역 리소스로 표현되는 RB이고, RBG 는 복수개의 RB로 구성되어 유형 0 방식에서의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가 된다. 유형 1 은 RBG 내에서 특정 RB를 할당하도록 한다.
-
자원 블록 할당(Resource block assignment): 데이터 전송에 할당된 RB를 통지한다. 시스템 대역폭 및 리소스 할당 방식에 따라 표현하는 리소스가 결정된다.
-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 변조방식과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인 transport block 의 크기를 통지한다.
-
HARQ 프로세스 번호(HARQ process number): HARQ 의 프로세스 번호를 통지한다.
-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HARQ 초기전송인지 재전송인지를 통지한다.
-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 HARQ 의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 을 통지한다.
-
PUCCH를 위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TPC(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 for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상향링크 제어 채널인 PUCCH 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통지한다.
상기 DCI는 채널코딩 및 변조과정을 거쳐 하향링크 물리제어채널인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또는, 제어 정보, 이하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혹은 EPDCCH (Enhanced PDCCH)(또는, 향상된 제어 정보, 이하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를 통해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DCI는 각 단말에 대해 독립적으로 특정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또는, 단말 식별자)로 스크램블 되어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추가되고 채널코딩된 후, 각각 독립적인 PDCCH로 구성되어 전송된다. 시간영역에서 PDCCH는 상기 제어채널 전송구간 동안 매핑되어 전송된다. PDCCH 의 주파수영역 매핑 위치는 각 단말의 식별자(ID) 에 의해 결정되고,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에 퍼뜨려진다.
하향링크 데이터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용 물리채널인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를 통해 전송된다. PDSCH는 상기 제어채널 전송구간 이후부터 전송되는데, 주파수 영역에서의 구체적인 매핑 위치, 변조 방식 등의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PDCCH 를 통해 전송되는 DCI가 알려준다.
상기 DCI 를 구성하는 제어정보 중에서 5 비트로 구성되는 MCS 를 통해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PDSCH에 적용된 변조방식과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transport block size; TBS)를 통지한다. 상기 TBS 는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transport block, TB)에 오류정정을 위한 채널코딩이 적용되기 이전의 크기에 해당한다.
LTE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변조방식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으로서, 각각의 변조오더(Modulation order) (Qm) 는 2, 4, 6 에 해당한다. 즉, QPSK 변조의 경우 심벌 당 2 비트, 16QAM 변조의 경우 심볼 당 4 비트, 64QAM 변조의 경우 심벌 당 6 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LTE-A 시스템에서 상향링크에서 데이터 혹은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무선자원영역인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영역을, 세로축은 주파수영역을 나타낸다. 시간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SC-FDMA 심벌(202)로서, NsymbUL 개의 SC-FDMA 심벌이 모여 하나의 슬롯(206)을 구성한다. 그리고 2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서브프레임(205)을 구성한다. 주파수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서브캐리어로서,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transmission bandwidth; 204)은 총 NBW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NBW는 시스템 전송 대역에 비례하여 값을 갖는다.
시간-주파수영역에서 자원의 기본 단위는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 212)로서 SC-FDMA 심벌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정의할 수 있다. 리소스 블록 페어(208, Resource Block pair; RB pair)은 시간영역에서 Nsymb UL 개의 연속된 SC-FDMA 심벌과 주파수 영역에서 Nsc RB 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로 정의된다. 따라서, 하나의 RB는 Nsymb UL x Nsc RB 개의 RE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의 최소 전송단위는 RB 단위이다. PUCCH 의 경우 1 RB에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에 매핑되어 1 서브프레임 동안 전송된다.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용 물리채널인 PDSCH 혹은 반영구적 스케줄링 해제(semi-persistent scheduling release; SPS release)를 포함하는 PDCCH/EPDDCH에 대응하는 HARQ ACK/NACK이 전송되는 상향링크 물리채널인 PUCCH 혹은 PUSCH의 타이밍 관계가 정의되어 있다. 일례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로 동작하는 LTE 시스템에서는 n-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 PDSCH 혹은 SPS release를 포함하는 PDCCH/EPDCCH에 대응하는 HARQ ACK/NACK가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PUCCH 혹은 PUSCH로 전송된다.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HARQ는 데이터 재전송시점이 고정되지 않은 비동기(asynchronous) HARQ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기지국이 전송한 초기전송 데이터에 대해 단말로부터 HARQ NACK을 피드백 받은 경우, 기지국은 재전송 데이터의 전송시점을 스케줄링 동작에 의해 자유롭게 결정한다. 단말은 HARQ 동작을 위해 수신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결과, 오류로 판단된 데이터에 대해 버퍼링을 한 후, 다음 재전송 데이터와 컴바이닝을 수행한다.
단말은 서브프레임 n에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PDSCH를 수신하면, 서브프레임 n+k에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HARQ ACK 혹은 NACK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PUCCH 혹은 PUSCH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k는 LTE의 시스템의 FDD 또는 TDD(time division duplex)와 그 서브프레임 설정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어 있다. 일례로 FDD LTE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k가 4로 고정된다. 한편 TDD LTE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k가 서브프레임 설정과 서브프레임 번호에 따라 바뀔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HARQ 와 달리 상향링크 HARQ는 데이터 전송시점이 고정된 동기(synchronous) HARQ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용 물리채널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와 이에 선행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PDCCH, 그리고 상기 PUSCH에 대응되는 하향링크 HARQ ACK/NACK이 전송되는 물리채널인 PHICH(Physical Hybrid Indicator Channel)의 상/하향링크 타이밍 관계가 다음과 같은 규칙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 n에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PDCCH 혹은 하향링크 HARQ ACK/NACK이 전송되는 PHICH를 수신하면, 서브프레임 n+k에 상기 제어정보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PUSCH를 통해 전송한다. 이 때 상기 k는 LTE의 시스템의 FDD 또는 TDD(time division duplex)와 그 설정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어 있다. 일례로 FDD LTE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k가 4로 고정된다. 한편 TDD LTE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k가 서브프레임 설정과 서브프레임 번호에 따라 바뀔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서브프레임 i에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HARQ ACK/NACK을 운반하는 PHICH를 수신하면, 상기 PHICH는 서브프레임 i-k에 단말이 전송한 PUSCH에 대응된다. 이 때 상기 k는 LTE의 시스템의 FDD 또는 TDD와 그 설정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어 있다. 일례로 FDD LTE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k가 4로 고정된다. 한편 TDD LTE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k가 서브프레임 설정과 서브프레임 번호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도 3은 FDD LTE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을 받고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하거나 혹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HARQ ACK 또는 NACK을 전달할 때, 기지국 및 단말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서브프레임 n (301)에서 기지국이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 혹은 하향링크 제어신호와 데이터를 단말에게 송신하면, 단말은 서브프레임 n (303)에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 혹은 하향링크 제어신호와 데이터를 수신한다. 먼저 서브프레임 n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을 받았을 경우, 단말은 서브프레임 n+4(307)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한다. 만약 서브프레임 n에서 하향링크 제어신호와 데이터를 받았을 경우,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ACK 혹은 NACK을 서브프레임 n+4(307)에서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을 받고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하거나 혹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HARQ ACK 또는 NACK을 전달하기 위해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은 3개 서브프레임에 해당하는 3 ms가 된다(309).
한편 단말은 일반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단말에서 송신한 신호가 전달지연시간(propagation delay)만큼 이후에 기지국에 수신된다. 상기 전달지연시간은 단말로부터 기지국까지 전파가 전달되는 경로를 빛의 속도로 나눈 값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단말로부터 기지국까지의 거리를 빛의 속도로 나눈 값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일례로 기지국으로부터 1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단말의 경우, 단말에서 송신한 신호는 약 0.34 msec 이후에 기지국에 수신된다. 반대로 기지국에서 송신된 신호도 약 0.34 msec 이후에 단말에 수신된다. 상기와 같이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단말에서 송신한 신호가 기지국에 도착하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위치가 다른 곳에 존재하는 여러 개의 단말이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기지국에 도착하는 시간이 모두 다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여, 여러 단말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기지국에 동시에 도착하게 하려면, 단말별로 위치에 따라 송신하는 시간을 조금씩 다르게 하면 될 것이며, 이를 LTE 시스템에서는 timing advance라고 한다.
도 4는 FDD LTE 시스템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을 받고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하거나 혹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HARQ ACK 또는 NACK을 전달할 때,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거리에 따른 timing advance에 따른 타이밍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서브프레임 n (402)에서 기지국이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 혹은 하향링크 제어신호와 데이터를 단말에게 송신하면, 단말은 서브프레임 n (404)에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 혹은 하향링크 제어신호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때,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한 시간 보다 전달지연시간 TP(410)만큼 늦게 수신한다. 먼저 서브프레임 n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을 받았을 경우, 단말은 서브프레임 n+4(406)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한다. 만약 서브프레임 n에서 하향링크 제어신호와 데이터를 받았을 경우,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ACK 혹은 NACK을 서브프레임 n+4(406)에서 전송한다. 단말이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때에도, 어느 특정 시간에 기지국에 도착하도록 하기 위해, 단말이 수신한 신호 기준의 서브프레임 n+4보다 TA(412)만큼 앞당긴 타이밍(406)에 상향링크 데이터 혹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ACK/NACK을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을 받고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하거나 혹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HARQ ACK 또는 NACK을 전달하기 위해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은 3개 서브프레임에 해당하는 3 ms에서 TA를 제외한 시간이 된다(414). 상기 3 ms - TA는 TTI가 1 ms인 종래 LTE 시스템의 기준이며, TTI 길이가 짧아지고 전송 타이밍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3 ms - TA가 다른 값으로 바뀔 수 있다.
기지국은 해당 단말의 TA의 절대값을 계산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초기 접속하였을 때, random access 단계에서 제일 처음 단말에게 전달한 TA 값에, 그 이후 상위 시그널링으로 전달했던 TA 값의 변화량을 더해가면서 혹은 빼가면서 TA의 절대값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TA의 절대값이라함은 단말이 송신하는 n번째 TTI의 시작시간에서 단말이 수신한 n번째 TTI의 시작시간을 뺀 값이 될 수 있다.
한편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 성능의 중요한 기준 중에 하나는 패킷 데이터 지연시간(latency)이다. 이를 위해 LTE 시스템에서는 1ms의 전송시간구간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를 갖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LTE 시스템에서 1ms보다 짧은 전송시간구간을 갖는 단말(short-TTI UE)을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NR에서는 전송시간 구간이 1 ms보다 짧을 수 있다. Short-TTI 단말은 지연시간(latency)이 중요한 Voice over LTE (VoLTE) 서비스, 원격조종과 같은 서비스에 적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short-TTI 단말은 셀룰러 기반에서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한 사물인터넷 (IoT; Internet of Things)을 실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 기대된다.
도4에 도시된 단말이 송신신호를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인 3 ms - TA는 short-TTI 단말의 경우 혹은 TA의 절대값(511)이 큰 단말의 경우 도5와 같이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이 n번째 TTI(501, 503)에서 전송되고, 이에 해당하는 상향링크 데이터가 n+4번째 TTI(505,507)에서 전송될 경우에는 3 TTIs - TA(513)가 단말의 준비시간이 될 것이다. 만약 TTI 길이가 1 ms보다 짧고,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거리가 멀어 TA가 클 때에는, 단말의 준비시간인 3 TTIs - TA 값이 작거나 심지어는 음수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타이밍과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ACK/NACK 전송 타이밍을 적절하게 결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이고, 상향링크는(Uplink; UL)는 단말이 기국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LTE 혹은 LTE-A 시스템을 일례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A 이후에 개발되는 5세대 이동통신 기술(5G, new radio, NR)이 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자의 판단으로써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shortened-TTI 단말은 제1타입 단말이라 칭하고, normal-TTI 단말은 제2타입 단말이라 칭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타입 단말은 1ms 혹은 1ms보다 짧은 전송시간구간에 제어정보, 혹은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타입 단말은 1ms의 전송시간구간에 제어정보, 혹은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shortened-TTI 단말과 제1타입 단말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normal-TTI 단말과 제2타입 단말을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shortened-TTI, shorter-TTI, shortened TTI, shorter TTI, short TTI, sTTI는 같은 의미를 갖으며 혼용하여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normal-TTI, normal TTI, subframe TTI, legacy TTI는 같은 의미이며 혼용하여 사용된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shortened-TTI 전송은 제1 타입 전송이라 칭하고, normal-TTI 전송은 제2 타입 전송이라 칭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타입 전송은 1ms보다 짧은 구간에서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신호, 또는 제어 및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방식이며, 제2 타입 전송은 1ms 구간에서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신호, 또는 제어 및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방식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shortened-TTI 전송과 제1 타입 전송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normal-TTI 전송과 제2 타입 전송을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제1 타입 단말은 제1타입 전송과 제2타입 전송을 모두 지원할 수도 있으며, 혹은 제1타입 전송만 지원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타입 단말은 제2타입 전송을 지원하며, 제1타입 전송은 하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제1타입 단말용이라함은 제1타입 전송을 위한 것임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하향링크에서의 전송시간구간은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가 전송되는 단위를 의미하며, 혹은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LTE시스템 하향링크에서 전송시간구간은 1 ms의 시간 단위인 서브프레임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향링크에서의 전송시간구간이라함은 제어신호 혹은 데이터신호가 보내지는 단위를 의미하며, 혹은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기존 LTE시스템 상향링크에서의 전송시간구간은 하향링크와 동일한 1 ms의 시간 단위인 서브프레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shortened-TTI 모드는 단말 혹은 기지국이 shortened TTI 단위로 제어신호 혹은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이며, normal-TTI 모드는 단말 혹은 기지국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제어신호 혹은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shortened-TTI 데이터는 shortened TTI 단위로 송수신 되는 PDSCH 혹은 PUSCH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normal-TTI 데이터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송수신 되는 PDSCH 혹은 PUSCH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shortened-TTI용 제어신호는 shortened-TTI 모드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의미하며 sPDCCH라고 하기로 하며, normal-TTI용 제어신호는 normal-TTI 모드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의미한다. 일례로 normal-TTI용 제어신호는 기존 LTE 시스템에서의 PCFICH, PHICH, PDCCH, EPDCCH, PUCC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LTE 혹은 LTE-A 시스템에서의 물리채널 (physical channel)와 신호(signal)라는 용어를 데이터 혹은 제어신호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SCH는 normal-TTI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채널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PDSCH를 normal-TTI 데이터라 할 수 있으며, sPDSCH는 shortened-TTI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채널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sPDSCH를 shortened-TTI 데이터라 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에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서 전송되는 shortened-TTI 데이터를 sPDSCH와 sPUSCH라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shortened-TTI 단말과 기지국의 송수신 동작을 정의하고, 기존 단말과 shortened-TTI 단말을 동일 시스템 내에서 함께 운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노멀(normal)-TTI 단말은 제어정보와 데이터정보를 1ms 혹은 한 서브프레임 단위로 송수신 하는 단말을 가리킨다. 상기 노멀-TTI 단말을 위한 제어정보는 한 서브프레임에서 최대 3 OFDM 심볼에 매핑되는 PDCCH에 실려 전송되거나, 혹은 한 서브프레임 전체에서 특정 리소스 블록에 매핑되는 EPDCCH에 실려 송신된다. Shortened-TTI 단말은 노멀-TTI 단말과 같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송수신할 수도 있고, 서브프레임보다 작은 단위로 송수신할 수도 있는 단말을 가리킨다. 혹은 서브프레임보다 작은 단위의 송수신만 지원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 신호와 하향링크 데이터 신호를 제1신호라 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와, 하향링크 데이터 신호에 대한 HARQ ACK/NACK을 제2신호라 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신호 중에서, 단말로부터의 응답을 기대하는 신호이면 제1신호가 될 수 있으며, 제1신호에 해당하는 단말의 응답신호가 제2신호로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신호의 서비스 종류는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MTC), URLLC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 등의 카테코리에 속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1신호의 TTI길이는, 제1신호가 전송되는 시간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신호의 TTI길이는, 제2신호가 전송되는 시간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이라함은 단말이 제2신호를 언제 송신하고, 기지국이 제2신호를 언제 수신하는지에 대한 정보이며, 제2신호 송수신 타이밍이라 언급할 수 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서 기지국이 제1신호를 n번째 TTI에서 전송하였을 때 단말이 제2신호를 n+k번째 TTI에서 전송한다고 가정하면, 상기에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제2신호를 전송할 타이밍을 알려준다는 것은 k값을 알려주는 것과 같다. 혹은 기지국이 제1신호를 n번째 TTI에서 전송하였을 때 단말이 제2신호를 n+4+a번째 TTI에서 전송한다고 가정하면, 상기에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제2신호를 전송할 타이밍을 알려준다는 것은 오프셋 값 a를 알려주는 것과 같다. 상기 n+4+a 대신 n+3+a, n+5+a 등 다양한 방법으로 오프셋이 정의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n+4+a 값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법으로 오프셋 a 값이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기지국과 단말간 신호 송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지만, 이는 일부 변형을 통해 단말과 단말간 신호 송수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TDD 시스템이라는 언급이 없을 경우, 일반적으로 FDD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상위시그널링은 기지국에서 물리계층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로, 혹은 단말에서 물리계층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신호 전달 방법이며, RRC signaling 혹은 MAC control element라고 언급될 수도 있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는 TTI 길이에 따라 제2신호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6과 도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말이 n번째 TTI에서 제1신호를 수신 받는 경우, n+k번째 TTI에서 제2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705)한다. 단말은 상기 k를 제1신호의 TTI 길이에 따라 결정(703)한다. 기지국은 TTI 길이에 따라 상기 k값을 결정(604)하고, k에 맞추어 제2신호를 수신(606)한다. 일례로 제1신호의 TTI 길이가 서브프레임 혹은 1 ms일 경우, k는 4가 된다. 다른 일례로 제1신호의 TTI 길이가 슬롯 혹은 0.5 ms일 경우 k는 5가 되고, 제1신호의 TTI길이가 0.2ms일 경우 k는 6이 되며, 제1신호의 TTI 길이가 LTE OFDM 심볼 기준으로 2 OFDM 심볼일 경우 k는 7이 된다. 상기 제1신호의 TTI 길이에 따라 정해지는 k 값은 일례이며 다른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n+k번째 TTI에서 제2신호를 수신한다.
상기와 같이 제2신호 송수신 타이밍이 결정되는 대신, 일정 값을 기준으로 오프셋 값이 제1신호의 TTI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단말이 n번째 TTI에서 제1신호를 수신 받는 경우, n+4+a번째 TTI에서 제2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상기 a는 제1신호의 TTI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일례로 제1신호의 TTI 길이가 서브프레임 혹은 1 ms일 경우, a는 0이 된다. 다른 일례로 제1신호의 TTI 길이가 슬롯 혹은 0.5 ms일 경우 a는 1이 되고, 제1신호의 TTI길이가 0.2ms일 경우 a는 2이 되며, 제1신호의 TTI 길이가 LTE OFDM 심볼 기준으로 2 OFDM 심볼일 경우 a는 3이 된다. 상기 제1신호의 TTI 길이에 따라 정해지는 a 값은 일례이며 다른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k 혹은 오프셋 a값이 단말에게 전달되면 단말은 n+k번째 TTI 혹은 n+4+a번째 TTI에 제2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경우이다. 상기 방법에 변형을 하여 단말은 n+k번째 TTI 혹은 그 이후의 TTI 중에서 송신이 가능한 TTI에서 제 2신호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혹은 상기 방법에 변형을 하여 단말은 n+4+a번째 TTI 혹은 그 이후의 TTI 중에서 송신이 가능한 TTI에서 제 2신호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송신이 가능한 TTI라함은 단말이 상향링크용 TTI라고 판단한 경우일 수 있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는 기지국이 단말로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제2신호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8과 도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기지국은 해당 단말의 TA의 절대값을 계산(802)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초기 접속하였을 때, random access 단계에서 제일 처음 단말에게 전달한 TA 값에, 그 이후 상위 시그널링으로 전달했던 TA 값의 변화량을 더해가면서 혹은 빼가면서 TA의 절대값을 계산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할 제1신호의 TTI 길이와 해당 단말의 TA 절대값을 참고하여, 단말이 제2신호를 전송할 타이밍 k값 혹은 오프셋 값 a를 결정(802)하고, 상기 타이밍을 단말에게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804)한다. 이후 상기 타이밍에서 제2신호를 수신하고 디코딩을 수행한다(806). 상기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제1신호를 n번째 TTI에서 전송하였을 때 단말이 제2신호를 n+k번째 TTI에서 전송한다고 가정하면, 상기에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제2신호를 전송할 타이밍을 알려준다는 것은 k값을 알려주는 것과 같다. 혹은 기지국이 제1신호를 n번째 TTI에서 전송하였을 때 단말이 제2신호를 n+4+a번째 TTI에서 전송한다고 가정하면, 상기에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제2신호를 전송할 타이밍을 알려준다는 것은 오프셋 값 a를 알려주는 것과 같다. 상기 n+4+a 대신 n+3+a, n+5+a 등 다양한 방법으로 오프셋이 정의될 수 있다.
단말은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위한 상기 k 값 혹은 오프셋 값 a를 기지국으로부터 상위 시그널링으로 전달 받는다(901). 이후 상기 단말이 n번째 TTI에서 제1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해당하는 제2신호를 n+k번째 TTI 혹은 n+4+a번째 TTI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903).
상기 기지국이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위한 k 값 혹은 오프셋 값 a 값을 결정할 때, 단말이 기지국으로 알려주는 단말 capability를 참고하여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상위 시그널링으로 알려주는 k 혹은 오프셋 a는 값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의 값으로 이루어진 집합일 수 있다. 단말은 상위시그널링으로 전달된 k 혹은 오프셋 a의 집합 중에 하나의 값을 이용하여 제2신호 송신 타이밍 결정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집합에서 하나의 값을 선택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제1신호가 전달될 때 같이 송신되는 제어정보 DCI 의 특정 비트에 따라 선택하거나, 혹은 단말이 임의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지국이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결정할 때 TA 절대값을 참고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TA의 절대값을 고려하지 않고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는 기지국이 단말로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제2신호가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10과 도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기지국은 해당 단말의 TA의 절대값을 계산한다(1002). 기지국은 단말이 초기 접속하였을 때, random access 단계에서 제일 처음 단말에게 전달한 TA 값에, 그 이후 상위 시그널링으로 전달했던 TA 값의 변화량을 더해가면서 혹은 빼가면서 TA의 절대값을 계산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할 제1신호의 TTI 길이와 해당 단말의 TA 절대값을 참고하여, 단말이 제2신호를 전송할 타이밍을 결정(1002)하고, 상기 타이밍을 단말에게 제1신호를 송신할 때 전송한 DCI내의 특정 x 비트를 이용하여 전달한다(1004). 상기 비트수 x는 1, 2, 혹은 3 등으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정해진 제2신호 송신 타이밍에 제2신호를 수신하고 디코딩한다(1006).
단말은 하향링크 제어신호 디코딩(1101) 후에, 상기 DCI 내의 특정 x 비트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x 비트값으로부터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위한 상기 k 값 혹은 오프셋 값 a를 알아낸다(1103). 이후 상기 단말이 n번째 TTI에서 제1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해당하는 제2신호를 n+k번째 TTI 혹은 n+4+a번째 TTI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1105).
일례로 x가 2일때, 즉 DCI의 2비트가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위한 정보라고 할 때, 아래 표 2와 같이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위한 k 값을 알려줄 수 있을 것이다.
HARQ timing bits | k |
00 | 4 |
01 | 5 |
10 | 6 |
11 | 7 |
혹은 2신호 전송 타이밍을 위한 오프셋 값 a 값을 아래 표3과 같이 알려줄 수도 있을 것이다.
HARQ timing bits | a |
00 | -1 |
01 | 0 |
10 | 1 |
11 | 2 |
상기 기지국이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위한 k 값 혹은 오프셋 값 a 값을 결정할 때, 단말이 기지국으로 알려주는 단말 capability를 참고하여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기지국이 하향링크 제어신호의 DCI 내 특정 x 비트 값과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의 매핑 방법을 상위시그널링으로 단말에게 알려줄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기지국이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결정할 때 TA 절대값을 참고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TA의 절대값을 고려하지 않고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제4실시예>
제4실시예는 기지국과 단말이 TA의 절대값을 이용하여 제2신호가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12와 도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기지국은 해당 단말의 TA의 절대값을 계산한다(1202). 기지국은 단말이 초기 접속하였을 때, random access 단계에서 제일 처음 단말에게 전달한 TA 값에, 그 이후 상위 시그널링으로 전달했던 TA 값의 변화량을 더해가면서 혹은 빼가면서 TA의 절대값을 계산할 수 있다. 단말도 상기 기지국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TA의 절대값을 계산할 수 있다(1301). 혹은 단말은 송신하는 n번째 TTI의 시작시간에서 단말이 수신한 n번째 TTI의 시작시간을 뺀 값으로 TA의 절대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TA의 절대값을 NTA라고 언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기지국과 단말은 NTA를 알 수 있으며, 임의의 매핑을 이용하여 NTA를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핑 관계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단말은 NTA를 이용하여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알아낼 수 있으며(1204, 1303)), 상기 제2신호 전송 타이밍에 단말은 제2신호를 송신하며(1305),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제2신호를 수신 및 디코딩(1206) 할 수 있다. 일례로 TTI 길이가 0.5 ms일 때, 하기 표 4와 같은 방법으로 NTA와 제2신호 전송 타이밍 k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NTA | k |
NTA > 320 | 5 |
NTA ≤ 320 | 4 |
TTI길이에 따라서는 하기 표 5와 같이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TTI 길이 | NTA | k |
0.25 ms | NTA > 320 | 5 |
64 < NTA ≤ 320 | 4 | |
NTA ≤ 64 | 3 | |
0.2 ms | NTA > 320 | 7 |
64 < NTA ≤ 320 | 5 | |
NTA ≤ 64 | 4 | |
0.14 ms | NTA > 640 | 9 |
320 < NTA ≤ 640 | 6 | |
64 < NTA ≤ 320 | 5 | |
NTA ≤ 64 | 4 |
상기 표에서 부등호의 등호는 제외되거나 추가될 수 있으며, TTI 길이와 NTA에 따른 k 값의 매핑은 다양한 방법으로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알려주기 위한 k 값 대신 오프셋 a가 정해질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기준이 되는 NTA 대신 절대 시간 길이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NTA을 기준으로 하는 대신 정해진 시간 동안의 TA 값 변화량에 따라서 k 혹은 a 값이 변경되는 것도 본 발명의 변형으로 쉽게 정해질 수 있다.
<제5실시예>
제5 실시예는 기지국이 단말의 프로세싱 능력을 전달 받거나 혹은 UE capability를 확인하고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여 단말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14와 도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말은 초기 접속시에 TTI 길이에 따라 제1신호를 처리하여 제2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프로세싱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생성(1501)하고 기지국에게 전달(1503)한다. 혹은 상기 필요한 프로세싱 시간 정보는 UE capability의 한 종류로 기지국에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으로의 전달은 물리계층 신호 혹은 채널을 통하거나 상위시그널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상기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제2신호 전송 타이밍 정보를 수신하고(1505),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으로 제2신호 전송 타이밍에 맞추어 제2신호를 전송한다(1507). 상기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제2신호 전송 타이밍 정보를 전달 받는 단계(1505)는 생략되어질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달 받은 기지국의 UE capability 혹은 프로세싱 시간에 대한 정보를 받고(1402) 해당 단말에게 적절한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결정한다(1404). 이후 기지국은 상기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으로 단말에게 제2신호 전송 타이밍 정보를 전달하고(1406),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으로 제2신호 전송 타이밍에 맞추어 제2신호를 수신한다(1408). 상기 기지국이 단말에게 제2신호 전송 타이밍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1406)는 생략되어질 수 있다.
<제6실시예>
제6실시예는 제1신호가 속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이 결정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16과 도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기지국은 제1신호의 서비스 종류가 고속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eMBB용 서비스인지, 저속도이지만 저비용으로 오래 지속할 수 있는 mMTC용 서비스인지, 혹은 짧은 시간에 높은 신뢰도로 전송해야하는 URLLC용 서비스인지를 확인하고(1602), 상기 서비스 종류에 따라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은 서비스에 따라 다르게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1604). 이후 기지국은 상기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으로 단말에게 제2신호 전송 타이밍 정보를 전달하고(1606),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으로 제2신호 전송 타이밍에 맞추어 제2신호를 수신 및 디코딩한다(1608). 상기 기지국이 단말에게 제2신호 전송 타이밍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1606)는 생략되어질 수 있다.
단말은 제1신호의 서비스 종류가 고속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eMBB용 서비스인지, 저속도이지만 저비용으로 오래 지속할 수 있는 mMTC용 서비스인지, 혹은 짧은 시간에 높은 신뢰도로 전송해야하는 URLLC용 서비스인지를 확인한다(1701). 상기 서비스 종류에 따라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1703). 혹은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으로 제2신호 전송 타이밍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1705). 이후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으로 제2신호 전송 타이밍에 맞추어 제2신호를 송신한다(1707).
<제7실시예>
제7실시예는 제1타입 단말이 특정 타이밍에 normal-TTI용 제2신호와 short-TTI용 제2신호를 동시에 송신해야할 경우 전송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타입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normal-TTI용 제2신호와 short-TTI용 제2신호를 동시에 송신해야하도록하는 제1신호 혹은 제1신호들을 수신하였을 때, 상기 제1타입 단말이 normal-TTI용 제2신호와 short-TTI용 제2신호 중에서 어느 것을 송신할지 결정하여 둘 중 하나만 송신하도록 한다. 상기 결정하는 방법은 가장 최근에 받은 제1신호에 해당하는 제2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normal-TTI용 제2신호와 short-TTI용 제2신호를 동시에 송신해야하도록 제1신호들을 수신하였을 때, short-TTI용 제1신호에 해당하는 제2신호만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normal-TTI용 제2신호와 short-TTI용 제2신호를 동시에 송신해야하도록 제1신호 혹은 제1신호들을 수신하였을 때, short-TTI용 제2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제1타입 단말이 normal-TTI용 제2신호와 short-TTI용 제2신호를 동시에 송신해야하도록하는 제1신호 혹은 제1신호들을 수신하였을 때, 상기 제1타입 단말은 short-TTI용 제2신호만 송신한다고 기대될 수 있다.
기지국이 제1타입 단말에게 normal-TTI용 제2신호와 short-TTI용 제2신호를 동시에 송신해야하도록하는 제1신호 혹은 제1신호들을 송신하였을 때, 기지국이 normal-TTI용 제2신호와 short-TTI용 제2신호 중에서 어느 것을 수신할지 결정하여 둘 중 하나만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결정하는 방법은 가장 최근에 상기 단말에게 전송한 제1신호에 해당하는 제2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 받는 것으로 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normal-TTI용 제2신호와 short-TTI용 제2신호를 동시에 송신해야하도록 제1신호들을 기지국이 단말에게 송신하였을 때, short-TTI용 제1신호에 해당하는 제2신호만 기지국이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normal-TTI용 제2신호와 short-TTI용 제2신호를 동시에 송신해야하도록 제1신호 혹은 제1신호들을 단말에게 송신하였을 때, short-TTI용 제2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과 기지국의 송신부, 수신부, 처리부가 각각 도 18과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실시예부터 제6실시예까지 제2신호의 송수신 타이밍을 결정하고 이에 따르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의 송수신 방법이 나타나 있으며, 이를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의 수신부, 처리부, 송신부가 각각 실시 예에 따라 동작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도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1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은 단말기 수신부(1800), 단말기 송신부(1804), 단말기 처리부(1802)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수신부(1800)와 단말이 송신부(1804)를 통칭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송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 처리부(1802)로 출력하고, 단말기 처리부(180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 처리부(1802)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수신부(1800)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제2신호 전송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단말 처리부(1802)는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해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단말 송신부(1804)에서 상기 타이밍에서 제2신호를 송신한다.
도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1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은 기지국 수신부(1901), 기지국 송신부(1905), 기지국 처리부(190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수신부(1901)와 기지국 송신부(1905)를 통칭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송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 처리부(1903)로 출력하고, 단말기 처리부(190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처리부(1903)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처리부(1903)는 제2신호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고, 단말에게 전달할 상기 제2신호 전송 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 송신부(1905)에서 상기 타이밍 정보를 단말에게 전달하고, 기지국 수신부(1901)는 상기 타이밍에서 제2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지국 처리부(1903)는 상기 제2신호 송신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DCI는 상기 제2신호 전송 타이밍 정보임을 지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 1와 실시예 2, 그리고 실시예5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기지국과 단말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FDD LTE 시스템을 기준으로 제시되었지만, TDD LTE 시스템, 5G 혹은 NR 시스템 등 다른 시스템에도 상기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 기술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 신호와 하향링크 데이터 신호를 제1신호라 칭하였고,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와, 하향링크 데이터 신호에 대한 HARQ ACK/NACK을 제2신호라 칭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제1신호 및 제2신호의 종류는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제1신호 및 제2신호에도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이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수신하는 단계로, 상기 DCI는 특정 수의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수의 비트는 특정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의 수에 관련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을 상기 DCI가 수신되는 제1 TTI로부터 상기 특정 TTI의 수에 해당하는 개수의 TTI 후인 제2 TTI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전송 타이밍을 기반으로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RC (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RRC 메시지는 상기 DCI의 수신과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사이의 TTI의 수에 해당하는 값들의 집합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TTI 의 수는 상기 집합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의 비트의 값에 해당하는 TTI의 수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은 TTI의 길이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DCI를 처리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싱 시간에 관련된 능력 정보 (capability information) 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전송하는 단계로, 상기 DCI는 특정 수의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수의 비트는 특정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의 수에 관련되고;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수신 타이밍은 상기 DCI가 전송되는 제1 TTI로부터 상기 특정 TTI의 수에 해당하는 개수의 TTI 후인 제2 TTI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RRC (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RRC 메시지는 상기 DCI의 전송과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수신 사이의 TTI의 수에 해당하는 값들의 집합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TTI 의 수는 상기 집합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의 비트의 값에 해당하는 TTI의 수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은 TTI의 길이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DCI를 처리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싱 시간에 관련된 능력 정보 (capability information) 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수신하고, 상기 DCI는 특정 수의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수의 비트는 특정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의 수에 관련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을 상기 DCI가 수신되는 제1 TTI로부터 상기 특정 TTI의 수에 해당하는 개수의 TTI 후인 제2 TTI로 결정하고,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전송 타이밍을 기반으로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으로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RC (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더 설정하고,
상기 RRC 메시지는 상기 DCI의 수신과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사이의 TTI의 수에 해당하는 값들의 집합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TTI 의 수는 상기 집합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의 비트의 값에 해당하는 TTI의 수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은 TTI의 길이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DCI를 처리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싱 시간에 관련된 능력 정보 (capability information) 를 전송하도록 더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단말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전송하고, 상기 DCI는 특정 수의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수의 비트는 특정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의 수에 관련되고,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으로 수신하도록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수신 타이밍은 상기 DCI가 전송되는 제1 TTI로부터 상기 특정 TTI의 수에 해당하는 개수의 TTI 후인 제2 TTI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 RRC (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더 설정하고,
상기 RRC 메시지는 상기 DCI의 전송과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수신 사이의 TTI의 수에 해당하는 값들의 집합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TTI 의 수는 상기 집합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의 비트의 값에 해당하는 TTI의 수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타이밍은 TTI의 길이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DCI를 처리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싱 시간에 관련된 능력 정보 (capability information) 를 수신하도록 더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09366A KR20240012604A (ko) | 2016-05-13 | 2024-01-22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신호 전송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8890A KR102629352B1 (ko) | 2016-05-13 | 2016-05-13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신호 전송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장치 |
KR1020240009366A KR20240012604A (ko) | 2016-05-13 | 2024-01-22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신호 전송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8890A Division KR102629352B1 (ko) | 2016-05-13 | 2016-05-13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신호 전송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2604A true KR20240012604A (ko) | 2024-01-29 |
Family
ID=602672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8890A KR102629352B1 (ko) | 2016-05-13 | 2016-05-13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신호 전송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장치 |
KR1020240009366A KR20240012604A (ko) | 2016-05-13 | 2024-01-22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신호 전송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8890A KR102629352B1 (ko) | 2016-05-13 | 2016-05-13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신호 전송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4) | US10735171B2 (ko) |
EP (3) | EP3910869A1 (ko) |
KR (2) | KR102629352B1 (ko) |
CN (3) | CN113541868B (ko) |
WO (1) | WO201719605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17940A (ko) | 2016-08-11 | 2018-02-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감소를 위한 전송 방법 및 장치 |
JPWO2019064445A1 (ja) * | 2017-09-28 | 2020-04-23 | 富士通株式会社 | 基地局装置、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送信タイミング設定方法 |
US10855403B2 (en) | 2018-02-13 | 2020-12-01 | Mediatek Singapore Pte.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uplink overhead in mobile communications |
TWI715044B (zh) * | 2018-05-22 | 2021-01-01 | 新加坡商 聯發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 移動通信中對於不同服務類型報告混合自動重複請求-確認資訊的方法和裝置 |
US11445538B2 (en) * | 2019-01-24 | 2022-09-13 | Mediatek Inc. | Channel access procedure for UL transmission |
JP2022047551A (ja) | 2019-01-24 | 2022-03-25 |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 無線通信装置および方法 |
KR20200095879A (ko) * | 2019-02-01 | 2020-08-1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통신 시스템에서 그랜트 프리 방식에 기초한 상향링크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KR102595154B1 (ko) * | 2019-02-11 | 2023-10-2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KR20200099058A (ko) * | 2019-02-13 | 2020-08-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KR20210020740A (ko) * | 2019-08-16 | 2021-02-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네트워크 협력통신을 위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3682A (ko) | 2006-07-03 | 2008-01-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재전송 타이밍을 조정해서패킷을 신속하게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US20100074246A1 (en) | 2007-03-23 | 2010-03-25 | Ntt Docomo, Inc. | Transmission restarting method, mobile station and radio base station |
US8341481B2 (en) * | 2009-02-19 | 2012-12-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US8848643B2 (en) * | 2010-01-08 | 2014-09-30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multi-carriers |
DK2966797T3 (en) | 2011-03-15 | 2018-08-13 | Ericsson Telefon Ab L M | Method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the timing of feedback information |
JP5895008B2 (ja) | 2011-03-18 | 2016-03-30 |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情報の伝送方法及び装置 |
WO2012148222A2 (en) | 2011-04-27 | 2012-11-01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WO2012169744A2 (ko) | 2011-06-08 | 2012-12-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US9178680B2 (en) * | 2012-03-23 | 2015-11-03 | Alcatel Lucent | Control signaling for downlink coordinated multipoint wireless communication |
EP3664353B1 (en) * | 2013-02-06 | 2022-05-04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receiving signal and apparatus for same |
US20140286255A1 (en) | 2013-03-25 | 2014-09-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CN104104486A (zh) | 2013-04-12 | 2014-10-15 |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一种支持多子帧调度上行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
CN104823487A (zh) | 2013-09-26 | 2015-08-05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上行信息发送方法及装置、接收方法及装置、通信系统 |
ES2711211T3 (es) * | 2013-09-27 | 2019-04-30 | Huawei Tech Co Ltd | Realimentación HARQ mediante agregación de portadoras |
KR20150134908A (ko) | 2014-05-23 | 2015-1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저비용(low-cost)단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WO2016040290A1 (en) * | 2014-09-08 | 2016-03-17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with different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durations |
US20160094315A1 (en) * | 2014-09-29 | 2016-03-31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channel and signal |
CN106301670A (zh) * | 2015-05-15 | 2017-01-04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上行控制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 |
EP3334122B1 (en) * | 2015-08-21 | 2020-10-28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
CN106571895B (zh) * | 2015-10-13 | 2020-11-20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混合自动重传请求的定时方法及装置 |
CN107231218B (zh) * | 2016-03-25 | 2021-07-30 |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ack/nack反馈方法及相关设备 |
JP2019125816A (ja) | 2016-05-12 | 2019-07-25 | シャープ株式会社 | 端末装置および方法 |
-
2016
- 2016-05-13 KR KR1020160058890A patent/KR10262935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5-10 EP EP21183189.6A patent/EP3910869A1/en active Pending
- 2017-05-10 WO PCT/KR2017/004797 patent/WO201719605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5-10 EP EP17796359.2A patent/EP3444989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7-05-10 EP EP21183179.7A patent/EP3910868A1/en active Pending
- 2017-05-10 CN CN202110748094.0A patent/CN113541868B/zh active Active
- 2017-05-10 CN CN202110748458.5A patent/CN113541869B/zh active Active
- 2017-05-10 CN CN201780029664.2A patent/CN109196809B/zh active Active
- 2017-05-10 US US16/301,246 patent/US10735171B2/en active Active
-
2020
- 2020-07-14 US US16/928,539 patent/US11323229B2/en active Active
- 2020-10-13 US US17/069,377 patent/US11456838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09-26 US US17/952,906 patent/US12088531B2/en active Active
-
2024
- 2024-01-22 KR KR1020240009366A patent/KR2024001260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910869A1 (en) | 2021-11-17 |
KR20170128723A (ko) | 2017-11-23 |
WO2017196059A1 (ko) | 2017-11-16 |
EP3444989A1 (en) | 2019-02-20 |
CN113541868B (zh) | 2024-06-14 |
US20210028911A1 (en) | 2021-01-28 |
US20230080507A1 (en) | 2023-03-16 |
CN113541869B (zh) | 2024-03-19 |
CN113541868A (zh) | 2021-10-22 |
US11323229B2 (en) | 2022-05-03 |
CN113541869A (zh) | 2021-10-22 |
US11456838B2 (en) | 2022-09-27 |
US20190296878A1 (en) | 2019-09-26 |
US20200344029A1 (en) | 2020-10-29 |
EP3910868A1 (en) | 2021-11-17 |
CN109196809A (zh) | 2019-01-11 |
US10735171B2 (en) | 2020-08-04 |
EP3444989A4 (en) | 2019-04-03 |
US12088531B2 (en) | 2024-09-10 |
CN109196809B (zh) | 2022-03-29 |
KR102629352B1 (ko) | 2024-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66201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및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KR102278389B1 (ko)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감소된 전송시간구간을 이용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EP2947806B1 (en) | Data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of low-cost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102629352B1 (ko)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신호 전송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장치 | |
KR102262300B1 (ko)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협대역을 이용한 신호 전송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US20220376839A1 (en)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 |
KR20240049531A (ko)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
KR20180007584A (ko)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서비스간 공존 방법 및 장치 | |
KR102638922B1 (ko)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타이밍 전송 기술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KR102408035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전송시간구간 운용 방법 및 장치 | |
KR20190129491A (ko)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KR20180049748A (ko)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 | |
CN110999160B (zh) | 无线通信系统中发送或接收上行链路控制信道的方法和设备 | |
CN112970316A (zh) | 用于确定无线通信系统中用于双连接的上行链路信道的传输资源的方法和装置 | |
KR20180108363A (ko)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 |
US1139934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by terminal for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EP3975627A1 (en) |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 |
EP357469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153373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and data signals based on a short TTI in a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 |
KR102536536B1 (ko)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짧은 전송 시간 구간을 이용한 제어 및 데이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KR20180017940A (ko)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감소를 위한 전송 방법 및 장치 | |
KR20190078087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처리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