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415A -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415A
KR20240012415A KR1020237041621A KR20237041621A KR20240012415A KR 20240012415 A KR20240012415 A KR 20240012415A KR 1020237041621 A KR1020237041621 A KR 1020237041621A KR 20237041621 A KR20237041621 A KR 20237041621A KR 20240012415 A KR20240012415 A KR 20240012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article
generating
base portion
delive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1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폴 라이트
토마스 다니엘 브롬보슈즈크즈
프랭크 그레이든 암스워시
션 패트릭 다울링
데이비드 클레멘스
루드밀라 웨스트
루크 워렌
로스 캐봇
안톤 코러스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12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4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덮개 부분(706), 베이스 부분(708) 및 고정 기구(710)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702)가 개시되며, 고정 기구(71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위치에 유지하도록 덮개 부분(706)을 베이스 부분(708)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다. 덮개 부분(706) 및 베이스 부분(708)은 덮개 부분(706)과 베이스 부분(708) 사이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본 발명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및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가렛(cigarette)들, 시가(cigar)들 등과 같은 흡연 물품(smoking article)들은 사용 동안에 담배를 태워서 담배 연기를 생성한다. 연소 없이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제품들을 생성함으로써, 이러한 물품들에 대한 대안들을 제공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그러한 제품들의 예들에는 재료를 태우지 않고 가열함으로써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소위 "비연소식 가열(heat not burn)" 제품들, 또는 담배 가열 디바이스들(tobacco heating devices) 또는 제품들이 있다. 이 재료는, 예를 들어 니코틴(nicotine)을 보유할 수 있거나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담배 또는 다른 비담배 제품들일 수 있다.
전술된 디바이스들 또는 제품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이 알려져 있다. 공통 시스템들은 적합한 매체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가열기들을 사용하며, 그 다음, 그 에어로졸은 사용자에 의해 흡입된다. 종종, 사용되는 매체는 흡입을 위한 상이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해 교체되거나 변경되어야 한다. 적합한 매체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가열기들로서 유도 가열 시스템들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유도 가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자기장 생성 디바이스, 및 적합한 매질을 가열하기 위해 다양한 자기장을 통한 침투에 의해 가열 가능한 서셉터 또는 가열 재료로 구성된다.
종래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들은 막대 형상 소모품이 삽입되는 원통형 가열 챔버를 포함한다.
그러나, 원통형 이외의 형상을 가지는 소모품, 이를테면 평탄한 기판을 포함하는 소모품이 사용되는 차세대 디바이스들이 고려된다. 평탄한 기판은 알루미늄 기판과 같은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침투에 의해 가열될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한 고려되는 배열체들에서는, 서셉터가 사용 시에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덮개 부분; 베이스 부분; 및 고정 기구를 포함하며, 고정 기구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며; 덮개 부분 및 베이스 부분은 사용 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덮개 부분과 베이스 부분 사이에서 제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정 기구를 갖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 고정기구는 예컨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일부를 형성하는 서셉터의 바람직하지 않은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덮개 부분과 베이스 부분 사이에서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덮개 부분 및 베이스 부분을 맞물림하도록 배열된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포함하며, 고정 기구는,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향하거나 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며; 베이스 부분 및/또는 가열 부분은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사용시에,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들이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 중 하나의 가열 요소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복수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들이 가열 요소에 근접하게 이동되도록 가열 요소에 대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그리고 고정 기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이외의 방향으로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가열 요소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평면형 표면(planar surface)을 규정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고정 기구는 평면형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시에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의 평면형 표면에 평행하게 제위치에 유지하도록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은 실질적으로 평면형 가열 요소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은, 덮개 부분이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될 때, 에어로졸 챔버(aerosol chamber)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벽들을 포함하며, 사용 시에,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벽들을 통해 압력을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균일하게 인가하며, 그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 사이의 분리가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걸쳐 유지된다.
선택적으로, 사용 시에,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은 다음을 통해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압력을 균일하게 인가할 수 있다: (i) 하나 이상의 벽들의 원주부(circumference) 또는 둘레부(perimeter); 및/또는 (ii) 에어로졸 챔버의 내부측을 향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벽들의 복수의 반경 방향 스트럿들.
선택적으로, 사용시에, 하나 이상의 벽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또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매립되거나 부분적으로 절단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벽들은 하나 이상의 부분적으로 변형가능한 구역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i) 하나 이상의 벽들의 원주부 또는 둘레부는 하나 이상의 부분적으로 변형가능한 구역들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ii) 하나 이상의 벽들의 복수의 반경방향 스트럿들은 하나 이상의 부분적으로 변형가능한 구역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은, 하나 이상의 필라(pillar)들을 포함하며, 사용 시에,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필라들을 통해 압력을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균일하게 인가하며, 그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 사이의 분리가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걸쳐 유지된다.
선택적으로, 사용 시에, 하나 이상의 필라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또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매립되거나 부분적으로 절단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필라들은 하나 이상의 부분적으로 변형가능한 구역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사용 시에,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은, 하나 이상의 벽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필라들을 통해 압력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제1 구역에 균일하게 적용하고 그리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제2 구역 상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고정 기구는, 사용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 또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로부터 10 μm 미만의 거리에서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고정 기구는 힌지(hinge)를 포함하며, 덮개 부분은 클램쉘(clamshell) 배열체를 형성하기 위해 힌지를 통해 베이스 부분에 연결되며, 디바이스는 힌지가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고정 기구는 힌지가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위치에 유지하도록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고정 기구는, 덮개 부분이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에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클램핑 기구(clamping mechanism)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고정 기구는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들은 덮개 부분 및 베이스 부분 중 하나에 하나 이상의 자석들을 포함하고, 덮개 부분 및 베이스 부분 중 다른 하나에는 자기 재료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들은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에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자기 스트럿(magnetic strut)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고정 기구는, 덮개 부분과 베이스 부분 중 다른 하나에 있는 상호 수용 요소와 스냅핏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덮개 부분과 베이스 부분 중 하나에 스냅핏 요소를 포함하는 스냅핏 기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고정 기구는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걸쇠(clasp)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고정 기구는,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파지 요소들을 각각 파지하도록 구성된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파지 요소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고정 기구는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캠 잠금부(cam lock)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캠 잠금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위치에 유지하도록 롤 다운하도록 구성된 중심에서 벗어난 캠(off-centre cam)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은 에어로졸 형성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플레넘(plenum)을 포함하고, 중심에서 벗어난 캠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시에 플레넘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플레넘 상에 힘을 부가하도록 롤 다운하게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기 위해 디바이스로부터 외측방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미끄럼가능한 플랫폼(slidable platform)을 더 포함하며; 미끄럼가능한 플랫폼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디바이스 내로 삽입하기 위해 디바이스 내로 후퇴하도록 구성되며; 미끄럼가능한 플랫폼은, 미끄럼가능한 플랫폼이 디바이스 내로 후퇴함에 따라 중심에서 벗어나는 캠이 롤 다운되게 구성되도록 중심에서 벗어나는 캠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미끄럼가능한 플랫폼은 힌지가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미끄럼가능한 플랫폼은 힌지가 개방 포지션으로부터 폐쇄 포지션으로 취해질 때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내로 후퇴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덮개 부분은 일체형 마우스피스(integral mouthpiece)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곡선형 표면(curvilinear surface)을 규정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포함하고, 고정 기구는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의 곡선형 표면을 향하거나 곡선형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의 곡선형 표면에 근접하게 유지하도록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고정 기구는, 사용 시에,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의 곡선형 표면에 실질적으로 순응하는 표면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의 곡선형 표면에 근접하게 유지하기 위해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시키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회로부(control circuity)를 더 포함하고, 제어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들로부터 소정량의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의 개개의 가열 요소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은, 사용 시에 고정 기구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하나 이상의 서셉터 요소들을 가열하기 위해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도 코일(induction coil)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도 가열 요소들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및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덮개 부분과 베이스 부분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위치에 유지하도록 고정 기구로,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제,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복수의 가열 요소들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1b는 단일 가열 요소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하향식 도면이고, 도 2b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종방향 (길이) 축을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2c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폭 축을 따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a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가열 요소들의 하향식 단면도이다.
도 4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터치 감지 패널의 하향식 도면이다.
도 5는 에어로졸 제공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 단면도의 예이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복수의 유도 코일들을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복수의 부분들 및 대응하는 서셉터 부분들을 포함한다.
도 6a는 도 5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하향식 도면이고, 도 6b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종방향 (길이) 축을 따른 종단면도이며, 도 6c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폭 축을 따른 측면도이다.
도 7a는 덮개 부분 및 베이스 부분을 갖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며, 덮개 부분은 밀폐되어 있으며, 도 7b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가열 요소에 대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덮개 부분은 개방되어 있다.
도 8a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가열 요소에 대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덮개 부분은 개방되어 있으며, 원형 평면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내로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8b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가열 요소에 대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덮개 부분은 개방되어 있고, 원형 평면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베이스 부분 상에 위치되며,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베이스 부분을 도시한다.
도 9a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덮개 부분을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베이스 부분에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자기 스트러트(magnetic strut)를 포함하는 고정 기구를 갖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도 9b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덮개 부분을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베이스 부분에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자기 스트러트를 포함하는 고정 기구를 갖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0a는 베이스 부분과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덮개 부분을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미끄럼가능한 걸쇠(slidable clasp)를 포함하는 고정 기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10b는 미끄럼가능한 걸쇠가 제거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도 10c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개방 포지션으로 도시하고 있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이 본원에서 논의/설명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일부 양태들 및 특징들은 통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들은 간결함을 위해 상세하게 논의/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여기에서 논의된 장치 및 방법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이 이러한 양태들 및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임의의 종래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의 에어로졸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또는 그의 구성요소)의 구성성분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연소시키거나(combusted) 태우지(burned) 않는 시스템이다. 더욱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바와 같이, 용어들 "증기" 및 "에어로졸", 그리고 "증발하다", "휘발시키다" 및 "에어로졸화하다"와 같은 관련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베이핑 디바이스(vaping device) 또는 전자 니코틴 전달 시스템(END)으로도 알려져 있는 전자 시가렛일 수 있지만,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 니코틴이 존재하는 것은 필수 조건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하기 설명 전체에 걸쳐서, "e-시가렛" 또는 "전자 시가렛"이라는 용어가 때때로 사용되지만, 이 용어는 에어로졸 (증기) 제공 시스템과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 ― 이 중 하나 또는 복수가 가열될 수 있음 ― 의 조합을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 각각은 예를 들어 고체, 액체 또는 겔 형태일 수 있고, 니코틴을 보유하거나 또는 보유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액체 또는 겔 에어로졸 생성 재료 및 고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한다. 고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담배 또는 비-담배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및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물품(때때로 소모품(consumable)으로 지칭됨)을 포함 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자체적으로 포함하는 물품들이 자체적으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소모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거나 구성하는 물품이며, 그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 동안 소모되도록 의도된다. 소모품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이를 테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저장 영역,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구성요소, 에어로졸 생성 영역, 하우징, 래퍼, 마우스피스, 필터 및/또는 에어로졸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소모품은 또한, 열을 방출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사용 시에 에어로졸을 생성하게 하는 가열기(heater)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기(aerosol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기는 예를 들어 가연성 재료, 전기 전도에 의해 가열 가능한 재료, 또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은,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종종, 재사용가능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및 교체가능한 물품 둘 다를 포함하는 모듈식 조립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전력 소스(power source) 및 제어기(또는 제어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소스는, 예를 들어, 배터리 또는 재충전식 배터리와 같은 전기 전력 소스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또한,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에어로졸 생성기)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되게 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는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물질들을 방출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재료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가열기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는 가열 없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진동, 기계적, 가압 또는 정전기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열을 가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에너자이징되거나, 조사되거나 또는 가열될 때,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는 재료이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활성 물질 및/또는 향미제들을 보유할 수 있거나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고체, 액체 또는 반-고체(이를테면, 겔)의 형태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기재를 형성하기 위해 캐리어 지지체(또는 캐리어 구성요소) 상에 또는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캐리어 지지체는, 예를 들어, 종이, 카드, 판지(paperboard), 마분지(cardboard), 재생 에어로졸화가능 재료(reconstituted aerosolisable material), 플라스틱 재료, 세라믹 재료, 복합 재료, 유리,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 또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마우스피스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과 연통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영역은 저장소일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개략적인 표현을 통한 단면도이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2개의 주요 구성요소들, 즉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는 외부 하우징(21), 전력 소스(22), 제어 회로부(23), 복수의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들(24), 리셉터클 또는 에어로졸 형성 챔버(25), 마우스피스 단부(26), 공기 입구(27), 공기 출구(28), 터치 감지 패널(29), 흡입 센서(30) 및 사용 종료 표시기(31)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21)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21)은 전력 소스(22), 제어 회로부(23),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들(24), 리셉터클(25) 및 흡입 센서(30)가 외부 하우징(21) 내에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외부 하우징(21)은 또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공기 입구(27) 및 공기 출구(28)를 정의한다. 터치 감지 패널(29) 및 사용 종료 표시기는 외부 하우징(21)의 외부에 위치된다.
외부 하우징(21)은 마우스피스 단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21) 및 마우스피스 단부(26)는 단일 구성요소로서 형성된다(즉, 마우스피스 단부(26)는 외부 하우징(21)의 일부를 형성한다). 마우스피스 단부(26)는, 공기 출구(28)를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21)의 구역으로서 정의되며, 그리고 사용자가 마우스피스 단부(26) 둘레에 자신의 입술을 편안하게 대어 입술이 공기 출구(28)와 맞물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도 1a에서, 외부 하우징(21)의 두께는 공기 출구(28) 쪽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사용자의 입술에 의해 더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의 비교적 더 얇은 부분을 제공한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 마우스피스 단부(26)는, 외부 하우징(21)과 분리되어 있지만 외부 하우징(21)에 커플링될 수 있는 제거가능한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세척 및/또는 다른 마우스피스 단부(26)로의 교체를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전력 소스(22)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에 동작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전력 소스(22)는 임의의 적절한 전력 소스, 이를테면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소스(22)는 재충전식 배터리, 이를테면 리튬 이온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소스(22)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의 일체형 부품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제거가능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전력 소스(22)는 연관된 연결 포트, 이를테면 USB 포트(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또는 적절한 무선 수신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한 외부 전원(이를테면, 주전원)에 대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의 연결을 통해 재충전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23)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의 특정 동작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적절하게 구성 또는 프로그래밍된다. 제어 회로부(23)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동작의 상이한 양태들과 연관된 다양한 서브-유닛들/회로부 요소들을 논리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23)는 전력 소스(22)의 재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논리적 서브-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어 회로부(23)는 예컨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로부터의 또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로의 데이터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신을 위한 논리적 서브-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회로부(23)의 주요 기능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에어로졸화를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 회로부(23)의 기능성이, 예를 들어, 원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가능 컴퓨터(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부/칩(들)/칩셋(들)을 사용하여 다양한 여러 방식들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제어 회로부(23)는, 전원(23)에 연결되고 전력 소스(22)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전원을 분배하거나 또는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명된 구현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을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리셉터클(25)을 더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캐리어 컴포넌트(42) 및 에어로졸 생성 재료(44)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도 2a 내지 도 2c에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2a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하향식 도면이고, 도 2b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종방향 (길이) 축을 따른 종단면도이며, 도 2c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폭 축을 따른 측면도이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본 구현에서 카드로 형성된 캐리어 구성요소(42)를 포함한다. 캐리어 구성요소(42)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대부분을 형성하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44)가 증착될 베이스(base)로서의 역할을 한다.
캐리어 구성요소(42)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I), 폭(w) 및 두께(tc)를 갖는 넓은 입방형(cuboidal) 형상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캐리어 구성요소(42)의 길이는 30 내지 80 mm일 수 있으며, 폭은 7 내지 25 mm일 수 있고, 두께는 0.2 내지 1 mm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것은 캐리어 구성요소(42)의 예시적인 치수들이며, 다른 구현들에서는 캐리어 구성요소(42)가 적절한 경우에 상이한 치수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캐리어 구성요소(42)는 사용자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돕기 위해 캐리어 구성요소(42)의 길이 및/또는 폭 방향들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캐리어 구성요소(42)의 표면 상에 배치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복수의 개별 부분들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44a 내지 44f로 라벨링되고 2×3 어레이로 배치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6개의 개별 부분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는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수의 개별 부분들이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부분들이 상이한 어레이(예컨대, 1 x 6 어레이)로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도시된 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44)는 구성요소 캐리어(42)의 단일 표면 상의 개별적인 별개의 위치들에 배치된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개별 부분들은 원형 풋프린트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개별 부분들은 적절한 경우 임의의 다른 풋프린트, 이를테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개별 부분들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d) 및 두께(ta)를 갖는다. 두께(ta)는 임의의 적절한 값을 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두께(ta)는 50 ㎛ 내지 1.5 mm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두께(ta)는 약 50 ㎛ 내지 약 200 ㎛, 또는 약 50 ㎛ 내지 약 100 ㎛, 또는 약 60 μm 내지 약 90 ㎛, 적절하게는 약 77 ㎛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두께(ta)는 200 ㎛ 초과, 예를 들어 약 50 ㎛ 내지 약 400 ㎛이거나 약 1 mm이거나 약 1.5 mm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개별 부분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개별 부분들의 각각은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에너자이징(예컨대, 가열)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부분들은 20 mg 이하의 질량을 가질 수 있어서, 주어진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24)에 의해 임의의 시간에 에어로졸화될 재료의 양은 비교적 적다. 예를 들어, 부분 당 질량은 20 mg 이하일 수 있거나, 10 mg 이하일 수 있거나 또는 5 mg 이하일 수 있다. 물론,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총 질량은 20 mg을 초과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모두 동일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적어도 2개의 부분들은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 형성된다.
리셉터클(25)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을 제거가능하게 수용하기에 적합한 크기이다. 도 1a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고정 기구에 의해 서로 맞물림되도록 구성된 덮개 부분과 베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 및 베이스 부분들에 대한 다양한 구성들이 고려되는데,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는, 사용자가 리셉터클(25)에 대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을 삽입 및/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리셉터클(25)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외부 하우징(21)의 제거가능한 부분 또는 힌지형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21)의 제거가능한 부분 또는 힌지형 도어는 또한, 폐쇄될 때, 리셉터클(25) 내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을 보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이 고갈되었거나 또는 사용자가 단순히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4)으로 전환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로부터 제거되고 교체용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이 그 위치에서 리셉터클(25)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는 리셉터클(25)과 연통하는 영구적인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영구적인 개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이 리셉터클(25)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들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의 리셉터클(25) 내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을 보유하기 위한 보유 기구(retaining mechanism)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보유 기구는 사용 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고정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부분 및 베이스 부분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을 덮개 부분과 베이스 부분 사이에서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는 다수의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들(24)을 포함한다. 설명된 구현에서,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들(24)은 가열 요소들(24),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항성 가열 요소들(24)이다. 저항성 가열 요소들(24)은 전류를 수신하고 전기 에너지를 열로 변환한다. 저항성 가열 요소들(24)은, 전류를 수신할 때 열을 생성하는 임의의 적절한 저항성 가열 재료, 이를테면 니크롬(Ni20Cr80)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가열 요소들(24)은, 저항성 트랙들이 배치된 전기 절연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가열 요소들(24)의 배열체를 더 상세하게 도시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의 하향식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3에서, 가열 요소들(24)은 가열 요소(24)의 표면이 리셉터클(25)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포지셔닝된다. 즉, 가열 요소들(24)의 외부 표면은 리셉터클(25)의 내부 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셉터클(25)의 내부 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가열 요소(24)의 외부 표면은, 전류가 가열 요소(24)를 통과할 때 가열되는(즉, 그의 온도가 증가하는) 가열 요소(24)의 표면이다.
가열 요소들(24)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이 리셉터클(25)에 수용될 때, 각각의 가열 요소(24)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대응하는 개별 부분과 정렬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본 예에서, 6개의 가열 요소들(24)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6개의 개별 부분들의 2×3 어레이의 배열체에 대체로 대응하는 2×3 어레이로 배열된다. 그러나,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들(24)의 수는 상이한 구현들에서 상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8개, 10개, 12개, 14개 등의 가열 요소들(24)이 존재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가열 요소들(24)의 수는 6개 이상이나, 20개 이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열 요소들(24)은 도 3에서 24a 내지 24f로 라벨링되며, 각각의 가열 요소(24)가 참조 번호들 22/44 다음에 대응하는 문자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대응하는 부분과 정렬되도록 배열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가열 요소들(24) 각각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대응하는 부분을 가열하도록 개별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가열 요소들(24)이 리셉터클(25)의 내부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현들에서는 가열 요소들(24)이 리셉터클(25) 내로 돌출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가열 요소(24)에 의해 생성된 열이 캐리어 구성요소(42)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44)로 전도되도록, 리셉터클(25)에 존재할 때 가열 요소들(24)의 표면과 접촉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열 전달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리셉터클(25)은, 캐리어 구성요소(42)를 가열기 요소들(24) 상에 누르도록 캐리어 구성요소(42)의 표면에 힘을 인가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에어로졸 생성 재료(44)로의 전도를 통한 열 전달의 효율이 증가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의 덮개 부분은 고정 기구를 통해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은 캐리어 구성요소(42)를 가열기 요소들(42) 위로 가압하도록 캐리어 구성요소(42)의 표면에 힘을 인가하는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덮개 부분, 베이스 부분 및 대응하는 고정 기구의 다양한 구성들은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가열기 요소들(24)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을 향하는/에어로졸 생성 물품(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44)를 포함하지 않는 캐리어 구성요소(42)의 표면 내로 눌려질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이 가열기 요소들(24)에 대해 지정된 또는 요망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고정 기구는, 지정된 방향 또는 원하는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함으로써 그렇게 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이 가열 요소(24)에 대해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실시예에서(도 1b와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예컨대 에어로졸 생성 물품(4) 상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새로운 구역을 가열기 요소들(24)에 제공하기 위해, 고정 기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이외의 방향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이 가열기 요소들(24)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더 구체적으로 제어 회로부(23))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가열 요소들(24)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대체적으로, 제어 회로부(23)는, 가열 요소들(24)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대응하는 부분들을 후속적으로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에서 흡입할 때(즉, 마우스피스 단부(26)에서 흡입할 때), 공기는 공기 입구(27)를 통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 내로, 리셉터클(25)(여기서, 공기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44)를 가열함으로써 생성된 에어로졸과 혼합됨) 내로 그리고 그런 다음, 공기 출구(28)를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흡인된다. 즉, 에어로졸은 마우스피스 단부(26) 및 공기 출구(28)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도 1a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는, 터치 감지 패널(29) 및 흡입 센서(30)를 포함한다. 총괄적으로, 터치 감지 패널(29) 및 흡입 센서(30)는, 에어로졸의 생성을 야기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기구들로서의 역할을 하며, 따라서 더 광범위하게 사용자 입력 기구들로 지칭될 수 있다. 수신된 사용자 입력은 에어로졸을 생성하려는 사용자의 요망을 표시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터치 감지 패널(29)은 정전식 터치 센서(capacitive touch sensor)일 수 있고,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의 사용자가 터치 감지 패널(29) 상에 자신의 손가락 또는 다른 적절한 전도성 물체(예를 들어, 스타일러스)를 놓는 것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설명된 구현에서, 터치 감지 패널(29)은 에어로졸 생성을 시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구역을 포함한다. 제어 회로부(23)는, 터치 감지 패널(29)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그리고 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터치 감지 패널(29)의 구역을 누르고 있는지(즉, 활성화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23)는, 제어 회로부(23)가 이러한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전력 소스(22)로부터 가열 요소들(24) 중 하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력은 터치가 검출된 순간으로부터 미리결정된 시간 기간(예를 들어, 3초)동안 또는 터치가 검출된 시간 길이에 대한 응답으로 공급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터치 감지 패널(29)은 사용자 작동가능 버튼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흡입 센서(30)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에서 흡입함으로써 야기되는 압력의 강하 또는 공기의 유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 또는 마이크로폰 등일 수 있다. 흡입 센서(30)는 공기 유동 경로와 유체 연통하도록(즉, 입구(27)와 출구(28) 사이의 공기 유동 경로와 유체 연통하도록) 위치된다.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 회로부(23)는, 흡입 센서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그리고 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흡입하고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23)는, 제어 회로부(23)가 이러한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전력 소스(22)로부터 가열 요소들(24) 중 하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력은 흡입이 검출된 순간으로부터 미리결정된 시간 기간(예를 들어, 3초)동안 또는 흡입이 검출된 시간 길이에 대한 응답으로 공급될 수 있다.
설명된 예에서, 터치 감지 패널(29) 및 흡입 센서(30) 둘 모두는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의 생성을 시작하려는 사용자의 요망을 검출한다. 제어 회로부(23)는, 터치 감지 패널(29) 및 흡입 센서(30) 둘 모두로부터의 시그널링이 검출될 때만 가열 요소(24)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가열 요소들(24)의 의도치않은 활성화가 사용자 입력 기구들 중 하나의 기구를 우발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터치 감지 패널(29) 및 흡입 센서(30) 중 하나만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동작의 이러한 양태들(즉, 퍼프 검출 및 터치 검출)은, 구축된 기법들에 따라 (예를 들어, 종래의 흡입 센서 및 흡입 센서 신호 프로세싱 기법들을 사용하여 그리고 종래의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 신호 프로세싱 기법들을 사용하여)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터치 감지 패널(29) 및 흡입 센서(3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로부터의 시그널링을 검출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회로부(23)는 개별 가열 요소들(24) 각각에 전력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회로부(23)는, 터치 감지 패널(29) 및 흡입 센서(3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로부터 수신된 시그널링의 일련의 검출들에 대한 응답으로, 개별 가열 요소들(23) 각각에 전력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23)는 시그널링이 처음 검출될 때(예컨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가 처음으로 스위치 온(ON)될 때로부터) 복수의 가열 요소들(24) 중 제1 가열 요소(24)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그널링이 중단된 경우 또는 시그널링으로부터의 미리결정된 시간이 경과된 것이 검출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회로부(23)는 제1 가열 요소(24)가 활성화되었음을 (그리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대응하는 개별 부분이 가열되었음을) 등록한다. 제어 회로부(23)는, 터치 감지 패널(29) 및 흡입 센서(3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로부터 후속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2 가열 요소(24)가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결정한다. 이에 따라, 터치 감지 패널(29) 및 흡입 센서(30)로부터의 시그널링이 제어 회로부(23)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제어 회로부(23)는 제2 가열 요소(24)를 활성화시킨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나머지 가열 요소(24)에 대해 반복되어, 모든 가열 요소들(24)이 순차적으로 활성화된다.
효과적으로, 이러한 동작은, 각각의 흡입에 대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개별 부분들 중 상이한 부분이 가열되고 이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됨을 의미한다. 즉,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단일 개별 부분이 사용자 흡입마다 가열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개별 또는 신선한 부분을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의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과 정렬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동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의 일부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 내에 에어로졸 생성 매체(44)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을 갖는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와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조합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형성한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에어로졸 생성 매체를 포함하는 제1 표면(112)을 갖는다. 설명된 구현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매체가 배치되는 제1 표면을 갖는 캐리어 층(111)(때로는 본원에서 캐리어 또는 기재 지지 층으로 지칭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캐리어 층(111)의 표면과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조합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제1 표면(112)을 형성한다. 설명된 구현에서, 에어로졸 생성 매체는 매체의 복수의 도즈(dose)들(44)로서 배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제1 표면(112) 반대 측 상에 제2 표면(116)을 갖는다. 제1 표면(112) 및 제2 표면(116)은 매끄럽거나 거칠 수 있다. 제2 표면(116)은 캐리어 층(1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제2 표면(116)에 대면하도록 배열된 가열 요소(24)를 위한 에너지 소스를 갖는다. 가열 요소(24)를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 소스는, 에어로졸 생성 매체(44)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전력 소스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매체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의 요소이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예에서, 가열 요소(24)를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 소스는, 에어로졸 생성 매체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열의 형태의) 에너지를 에어로졸 생성 매체에 공급하는 가열기, 예컨대 저항성 가열기이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 그리고 특히 에어로졸 생성 매체의 부분들(44)(또는 일부 경우에는 도즈들)을 이동시키도록 배열된 이동 기구(130)를 갖는다. 에어로졸 생성 매체의 부분들(44)은,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생성 매체의 부분들이 이 경우에 개별적으로 가열 요소(24)에 제공되도록, 가열 요소(2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이동 가능하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는, 에어로졸 생성 매체의 적어도 하나의 도즈(44)가 제2 표면(116)에 대해 각도(θ)로 축(A)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배열된다. 제어 회로부(23)는, 개별 부분(44)을 가열 요소(24)와 정렬시키도록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이 회전하도록, 가열 요소(24) 및 이동 기구(130) 둘 모두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구현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실질적으로 평탄하다. 이러한 구현에서 물품(4)의 캐리어 층(111)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종이 또는 카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b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다수(예컨대, 5 회)의 에어로졸 생성 매체의 도즈들(또는 부분들)(44)을 갖는다. 다른 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에어로졸 생성 매체의 도즈들(44)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discrete) 도즈들로 배열된 에어로졸 생성 매체의 도즈들(44)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도즈들(44)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는 디스크의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들에서, 도즈들(44)은 환형, 링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의 형태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축(A)을 중심으로 제1 표면(112)에서 도즈들(44)의 회전 대칭 분포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갖지 않을 수 있다. 도즈들(44)의 대칭적인 분포는, 원하는 경우, 축(A)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가열 요소(24)로부터 등가의 가열 프로파일을 수용하도록 (회전 대칭 분포 내의) 등가적으로 위치결정된 도즈들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예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캐리어 층(111) 상에 배치된 에어로졸 생성 매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에어로졸 생성 매체로 독점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일부 구현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전체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복수의 재료들로부터의 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열 전도성 재료, 유도성 재료, 투과성 재료 또는 불투과성 재료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재의 캐리어 층(111)은, 가변 자기장에 의해 가열되도록 배열된 금속성 요소일 수 있거나, 또는 금속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구현들에서, 가열 요소(24)를 위한 에너지 소스는, 에너자이징될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금속성 요소 내에서 가열을 야기하는 유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정도는, 금속성 요소와 유도 코일 사이의 거리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배열체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복수의 도즈들을 가열 요소(24)로 인덱싱(또는 이동)시킴으로써 동작한다. 도 1b의 이러한 배열체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으로의 이동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 기구(130)의 복잡성이 약간 증가할 수 있지만, 에어로졸 생성 매체의 복수의 부분들을 가열하는 데 단지 하나의 가열 요소(24)만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이점들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b의 배열체에서의 단일 가열 요소(24)는 복수의 제어 기구들을 요구하는 복수의 가열기들보다는 단지 하나의 제어 기구(이를테면, 제어 회로부(23)만을 요구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체는 가열 요소(24)의 동작 및 제어와 관련하여 비용 및 제어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의 형상은 (다른 2 개보다 하나의 치수가 더 긴) 시가렛 형상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형상들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는 다른 것보다 2 개의 치수가 더 긴 형상,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등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형상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4), 가열 요소(24)를 위한 에너지 소스, 및 이동 기구(130)를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 1a의 복수의 가열 요소들(24) 대신에 도 1b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단일 가열 요소(24) 및 이동 메커니즘(130) 외에, 도 1b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도 1a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른 특징 중 하나 이상, 예컨대 이를테면 흡입 센서(30)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도 1a로 되돌아가면, 다른 구현들에서, 제어 회로부(23)는, 터치 감지 패널(29) 및 흡입 센서(3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로부터의 후속 시그널링에 대한 응답으로 제2 가열 요소(24)가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결정하기 전에 제1 가열 요소(24)를 복수 회(예를 들어 2회)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가열 요소들(24) 각각을 한번 활성시키고 그리고 모든 가열 요소들(24)이 일단 한번 활성화되었을 때, 후속 시그널링의 검출은 가열 요소들로 하여금 다시 한번 순차적으로 활성화되게 한다.
이러한 순차적 활성화들은 "순차적 활성화 모드"라고 불릴 수 있으며, 이는 주로 흡입마다 일관된 에어로졸(이는, 예를 들어, 생성된 총 에어로졸 또는 전달된 총 구성성분의 관점에서 측정될 수 있음)을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드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각각의 부분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때, 즉, 부분들(44a 내지 44f)이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때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일부 다른 구현들에서, 터치 감지 패널(29) 및 흡입 센서(30)로부터 시그널링을 검출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회로부(23)는 가열 요소들(24) 중 하나 이상에 동시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23)는 흡입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2개 이상의 부분이 가열될 수 있도록 가열 요소들(24) 중 하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구현들에서, 제어 회로부(23)는, 미리결정된 구성에 대한 응답으로, 가열 요소들(24) 중 선택된 가열 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리결정된 구성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결정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 패널(29)은, 터치 감지 패널(29) 및 흡입 센서(30)로부터의 시그널링이 제어 회로부(23)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의해 수신될 때 가열 요소들(24) 중 어느 것을 활성화시킬지를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사용자는 또한,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가열 요소(24)에 공급될 각각의 가열 요소(24)에 대한 전력 레벨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구현들에 따른 터치 감지 패널(29)의 하향식 도면이다. 도 4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외부 하우징(21) 및 터치 감지 패널(29)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터치 감지 패널(29)은, 6개의 가열 요소들(24)의 각각에 대응하는 6개의 구역들(29a 내지 29f), 및 사용자가 흡입을 시작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또는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구역에 대응하는 구역(29g)을 포함한다. 6개의 구역들(29a 내지 29f) 각각은 6개의 대응하는 가열 요소들(24) 각각으로의 전력 전달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수 있는 터치 감지 구역에 대응한다. 설명된 구현에서, 각각의 가열 요소(24)는 다수의 상태들, 예를 들어, 가열 요소(24)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오프 상태, 제1 레벨의 전력이 가열 요소(24)에 공급되는 저전력 상태, 및 제2 레벨의 전력이 가열 요소(24)에 공급되는 고전력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레벨의 전력은 제1 레벨의 전력보다 크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 가열 요소들(24)이 더 적은 또는 더 많은 상태들을 이용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가열 요소(24)는, 가열 요소(24)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오프 상태 및 가열 요소(24)에 전력이 공급되는 온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전에 터치 감지 패널(29)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어떤 가열 요소들(24)(그리고 후속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어떤 부분들)이 가열되어야 하는지(그리고 선택적으로, 이들이 어느 정도까지 가열되어야 하는지)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이한 상태들을 순환(예컨대, 오프, 저전력, 고전력, 오프 등)시키기 위해 구역들(29a 내지 29f)을 반복적으로 탭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상이한 상태들을 순환하기 위해 구역(29a 내지 29f)을 길게 누를 수 있으며, 여기서 누름의 지속기간은 상태를 결정한다.
터치 감지 패널(29)에는 가열 요소(24)가 현재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개개의 구역들(29a 내지 29f)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표시기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 패널은 하나 이상의 LED들 또는 유사한 조명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LED들의 세기는 가열 요소(24)의 현재 상태를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유색(coloured) LED 또는 유사한 조명 요소가 제공될 수 있고, 색상은 현재 상태를 표시한다. 대안적으로, 터치 감지 패널(29)은 가열 요소(24)의 현재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들어, 투명 터치 감지 패널(29) 아래에 놓일 수 있거나 또는 터치 감지 패널(29)의 구역들(29a 내지 29f)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열 요소들(24)에 대한 구성을 설정한 경우, 터치 감지 패널(29)(특히, 터치 감지 패널(29)의 구역(29g)) 및 흡입 센서(30)로부터의 시그널링을 검출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회로부(23)는, 미리설정된 구성에 따라, 선택된 가열 요소(24)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동시적 가열 요소(24) 활성화들은 "동시적 활성화 모드"로 불릴 수 있으며, 이는 주로, 사용자가 세션별(session-by-session) 또는 심지어 퍼프별(puff-by-puff) 기반으로 자신의 경험에 맞춤화하도록 허용할 의도로, 주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품(4)으로부터 맞춤형(customisable) 에어로졸을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드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부분들이 서로 상이할 때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분들(44a 및 44b)은 하나의 재료로 형성되고, 부분들(44c 및 44d)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는 식이다.
이에 따라, 이 동작 모드에 대해, 사용자는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에어로졸화할 부분들을 선택할 수 있고 따라서 제공될 에어로졸의 조합들을 선택할 수 있다.
동시적 및 순차적 활성화 모드들 둘 다에서, 제어 회로부(23)는, 예를 들어, 가열 요소들(24) 각각이 미리결정된 횟수만큼 순차적으로 활성화되었을 때 또는 주어진 가열 요소(24)가 미리결정된 횟수만큼 그리고/또는 주어진 누적 활성화 시간 동안 그리고/또는 주어진 누적 활성화 전력으로 활성화되었을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사용 종료를 나타내는 경고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a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는 사용 종료 표시기(31)를 포함하며, 사용 종료 표시기(31)는 본 구현에서 LED이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 사용 종료 표시기(31)는 경보 신호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임의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종료 표시기(31)는 광학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광학 요소(optical element), 청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소리 발생기(sound generator), 및/또는 촉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진동기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표시기(31)는 (예컨대, 터치 감지 패널이 디스플레이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에) 터치 감지 패널에 의해 결합되거나 이와 달리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는, 경고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의 후속 활성화를 방지할 수 있다. 경고 신호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고, 제어 회로부(23)는, 사용자가 버튼(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수동 수단을 통해 경고 신호를 스위치 오프하고 그리고/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을 교체하는 경우, 재설정된다.
더 구체적으로, 순차적 활성화 모드가 이용되는 구현들에서, 제어 회로부(23)는 터치 감지 패널(29) 및 흡입 센서(3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로부터의 시그널링이 사용 기간 동안 수신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단 카운트가 미리결정된 수에 도달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은 그 자신의 수명의 종료에 도달한 것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6개의 개별 부분들을 포함하는 물품(4)에 대해, 미리결정된 수는, 해당하는 바로 그 구현에 의존하여, 6개, 12개, 18개 등일 수 있다.
동시적 활성화 모드가 이용되는 구현들에서, 제어 회로부(23)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개별 부분들 중 하나 또는 그 각각이 가열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23)는, 니코틴 보유 부분이 가열된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고, 그리고 횟수가 미리결정된 수에 도달한 경우,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수명의 종료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 회로부(23)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각각의 개별 부분이 가열되었을 때, 그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각각의 개별 부분에 대해 별개로 카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부분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미리결정된 수로 귀착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부분들 각각에 대한 카운트들 중 임의의 하나가 미리결정된 수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 회로부(23)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수명의 종료를 결정한다.
구현들 중 어떤 구현이든지, 제어 회로부(23)는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일부가 가열된 시간의 길이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일부가 가열된 온도를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개별 활성화들을 카운트하기보다는, 제어 회로부(23)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부분들 각각에 의해 경험되는 가열 조건들을 표시하는 누적 파라미터를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누적 시간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재료가 사용되는 온도는 누적 시간에 추가되는 시간의 길이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200 ℃에서 3초 동안 가열된 부분은 누적 시간에 3초를 기여할 수 있는 반면에, 250 ℃에서 3초 동안 가열된 부분은 누적 시간에 4.5초를 기여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수명의 종료를 결정하기 위한 앞에서의 기법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수명의 종료를 결정하기 위한 방식들의 포괄적인 리스트로서 이해되지 않아야 하며, 실제로,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에 따라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구현에서,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들(24)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에어로졸화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복수의 (개별) 부분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1)은 더 많은 양의 재료를 가열하도록 설계된 다른 시스템들에 비해 장점들을 제공한다. 특히, 주어지는 흡입에 대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선택된 부분(또는 부분들)만이 에어로졸화되어, 전체적으로 더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이 유도된다.
가열 시스템들에서, 몇몇 파라미터들은 퍼프당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시스템의 전반적인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두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44)가 동작 온도에 얼마나 빨리 도달하는지(그리고 후속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는, 몇몇 이유들로 인해 중요할 수 있지만, 가열 요소가 재료의 더 두꺼운 부분을 가열하는 것과 비교하여 오랫동안 활성화될 필요가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소스(22)로부터의 에너지의 보다 효율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가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총 질량은, 생성되고 후속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에어로졸의 총량에 영향을 미친다. 추가로, 에어로졸 생성 재료(44)가 가열되는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44)가 동작 온도에 얼마나 빨리 도달하는지 및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양 둘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5는 다른 배열체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200)의 개략적 표현을 통한 단면도이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200)은 도 1a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들과 대체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참조 번호들은 200만큼 증가되었다. 효율을 위해, 유사한 참조 번호들을 갖는 구성요소들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도 1a 및 도 1b 그리고 도 2a 내지 도 2c에서의 자신들의 대응물들과 대체로 동일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2)는 외부 하우징(221), 전력 소스(222), 제어 회로부(223), 유도 작업 코일들, 이를테면 유도 코일들(224a), 리셉터클 또는 에어로졸 형성 챔버(225), 마우스피스 단부(226), 공기 입구(227), 공기 출구(228), 터치 감지 패널(229), 흡입 센서(230), 및 사용 종료 표시기(231)를 포함한다. 유도 가열 요소들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 편평한 나선형 코일 ― 나선형 코일은 원형 또는 난형 나선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나선형, 사다리꼴 나선형, 또는 삼각형 나선형을 포함함 ―; (ii) 다층 유도 배열체 ― 코일의 후속 완전 또는 부분 권선(turn)들이 인접한 층들 상에 제공되고, 선택적으로 제1 층이 제2 층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3 층이 제2 층으로부터 제1 층에 있거나 제1 층에 가까운 반대 방향으로 제2 층으로부터 이격되며, 그에 따라 다층 유도 배열체가 엇갈린 구조(staggered structure)를 형성함 ―; 또는 (iii) 선택적으로 변화하는 나선형 피치를 갖는 정나선 또는 원뿔형 형상 인덕터 코일과 같은 3차원 인덕터 코일.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2)는 도 1a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덮개 부분, 베이스 부분 및 고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04)은, 도 6a 내지 도 6c에 더 상세히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캐리어 구성요소(242), 에어로졸 생성 재료(244), 및 서셉터 요소들(244b)을 포함한다. 도 6a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4)의 하향식 도면을 도시하고, 도 6b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4)의 종방향 (길이) 축을 따른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6c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4)의 폭 축을 따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c는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재료(244)를 가열하기 위해 유도(induction)를 사용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200)을 표현한다.
설명된 구현에서, 에어로졸 생성 컴포넌트(224)는 2개의 부분들 즉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2)에 위치된 유도 작업 코일들(224a)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204)에 위치된 서셉터들(224b)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224)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4)과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2) 사이에 분배되어 있는 요소들을 포함한다.
유도 가열은, 서셉터로 지칭되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물체가, 변화하는 자기장으로 물체를 침투시킴으로써 가열되는 프로세스이다. 이 프로세스는 패러데이의 유도 법칙(Faraday's law of induction) 및 옴의 법칙(Ohm's law)에 의해 설명된다. 유도 가열기는 전자석 및 전자석을 통해 교류와 같은 변화하는 전류를 통과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에 의해 발생된 결과적인 변화하는 자기장이 물체를 침투하도록 전자석 및 가열되는 물체가 상대적으로 적절하게 위치결정될 때, 물체 내부측에 하나 이상의 와전류들이 생성된다. 물체는 전류들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와전류들이 물체에 생성될 때, 물체의 전기 저항에 대한 이들의 흐름은 물체로 하여금 가열되게 한다. 이 프로세스는 줄(Joule), 옴(ohmic) 또는 저항 가열로 불린다.
서셉터(susceptor)는 교류 자기장과 같은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침투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가열 재료이다. 서셉터는 전기 전도성 재료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그 침투는 가열 재료의 유도 가열을 유발한다. 가열 재료는 자성 재료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한 그의 침투가 가열 재료의 자기 이력 가열을 유발한다. 서셉터는 전기 전도성 및 자성 둘 모두를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서셉터는 가열 기구들 둘 모두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는, 본원에서 자기장 생성기로 지칭된다.
자기 이력 가열은, 자기 재료로 제조된 물체에 변화하는 자기장을 침투시킴으로써 그 물체가 가열되는 프로세스이다. 자기 재료는, 많은 원자-규모의 자석(atomic-scale magnet)들 또는 자기 쌍극자(magnetic dipole)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자기장이 이러한 재료를 침투할 때, 자기 쌍극자들은 자기장과 정렬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자석에 의해 생성되는 바와 같은 교번(alternating) 자기장과 같은 변화하는 자기장이 자기 재료를 침투할 때, 자기 쌍극자들의 배향은 인가되는 변화하는 자기장에 따라 변한다. 이러한 자기 쌍극자 재배향(reorientation)은 자기 재료에서의 발열을 야기한다.
물체가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그리고 자기성 둘 모두를 가질 때,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해 물체를 침투시키는 것은, 물체에서의 주울(Joule) 가열 및 자기 이력 가열 둘 모두를 야기시킬 수 있다. 더욱이, 자기 재료의 사용은 자기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이는 주울 가열을 가중시킬 수 있다.
설명된 구현에서, 서셉터들(224b)은 알루미늄 호일로 형성되지만, 다른 구현들에서는 다른 금속성 및/또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도 6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 구성요소(242)는 캐리어 구성요소(242)의 표면 상에 배치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244)의 개별 부분들과 크기 및 위치가 대응하는 다수의 서셉터들(224b)을 포함한다. 즉, 서셉터들(224b)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244)의 개별 부분들과 유사한 폭 및 길이를 갖는다.
서셉터들(224b)은 캐리어 구성요소(242)에 내장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 서셉터들(224b)은 캐리어 구성요소(242)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구현(도시되지 않음)에서, 서셉터는 캐리어 구성요소(242)를 실질적으로 커버하는 층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2)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복수의 유도 코일들(224a)을 포함한다. 유도 코일들(224a)은, 리셉터클(225)에 인접하게 도시되며, 그리고 주어진 코일이 권취되는 회전 축이 리셉터클(225) 내로 연장되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204)의 캐리어 구성요소(242)의 평면에 대체로 직교하도록 배열된 일반적으로 평탄한 코일들이다. 도 5에는 정확한 권선들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임의의 적절한 유도 코일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제어 회로부(223)는 유도 코일들(224a) 중 하나 이상의 유도 코일에 전달되는 교류를 생성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한다. 교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교류 자기장을 생성하며, 이는 결국 대응하는 서셉터(들)(224b)가 가열되게 한다. 이에 따라, 서셉터(들)(224b)에 의해 생성된 열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244)의 부분들에 전달된다.
도 1a 및 도 1b 그리고 도 2a 내지 도 2c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부(223)는, 터치 감지 패널(229) 및/또는 흡입 센서(230)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유도 코일들(224a)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부(23)에 의해 어떤 가열 요소들(24)이 가열되는지를 선택하기 위한 기법들 중 임의의 기법은, 사용자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제어 회로부(223)가 터치 감지 패널(229) 및/또는 흡입 센서(230)로부터 시그널링을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어떤 유도 코일들(224a)이 에너자이징되는지(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244)의 어떤 부분들이 후속적으로 가열되는지)를 선택하는 것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유도 코일들(224a) 및 서셉터들(224b)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4)과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2) 사이에 분배되는 유도 가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앞서 설명되었지만, 유도 코일들(224a) 및 서셉터들(224b)이 오로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2) 내에 위치되는 유도 가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을 참조하면, 서셉터들(224b)은, 유도 코일들(224a) 위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서셉터들(224b)이 캐리어 구성요소(242)의 하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는,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된 기법들이 적용될 수 있는, 사용자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2)에서 유도 가열이 사용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구현을 설명한다.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들(24)(예컨대, 가열기 요소들)의 어레이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개별 부분들을 에너자이징하기 위해 제공되는 시스템이 앞서 설명되었지만, 다른 구현들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24)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생성 물품(4)의 캐리어 구성요소(42) 상에 제공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개별 부분들보다 더 적은 수의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들(24)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개별 부분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에너자이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4) 및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들(24)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이동가능한 가열 요소(24)는, 가열 요소(24)가 리셉터클(25)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리셉터클(25)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가능한 가열 요소(24)는, 가열 요소(24)가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개별 부분들 중 개개의 개별 부분들과 정렬될 수 있도록 (예컨대, 캐리어 구성요소(42)의 폭 및 길이 방향들로) 병진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계속해서 제공하면서 요구되는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들(42)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개별적인 공간적으로 별도의 부분들이 캐리어 구성요소(42) 상에 증착되는 구현들이 앞서 설명되었지만, 다른 구현들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개별적인 공간적으로 별도의 부분들에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연속 시트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현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시트의 특정 구역들은 전술한 것과 대체로 동일한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선택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부분들이 공간적으로 별도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44)의 부분들을 가열하는 것 (또는 그렇지 않으면 에어로졸화하는 것)을 설명했다. 특히, 구역(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일부에 대응함)은 가열 요소(24)(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온도가 증가하도록 설계된 가열 요소(24)의 표면)의 치수들에 기반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연속 시트 상에 규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시트 상으로 돌출될 때 가열 요소(24)의 대응하는 영역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구역 또는 부분을 규정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각각의 구역 또는 부분은 20 mg 이하의 질량을 가질 수 있지만, 전체 연속 시트는 20 mg 초과의 질량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 202)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 202)상에 장착된 터치 감지 패널(29, 229)을 사용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동작될 수 있는 구현들이 앞서 설명되었지만, 이 대신,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 202)는 원격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23, 223)에는, 제어 회로부(23, 223)가 스마트폰과 같은 원격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대응하는 통신 회로부(예컨대, 블루투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감지 패널(29, 229)은 사실상 스마트폰 상에서 실행되는 앱(APP)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후, 스마트폰은 사용자 입력들 또는 구성들을 제어 회로부(23, 223)에 송신할 수 있고, 제어 회로부(23, 223)는 수신된 입력들 또는 구성들에 기반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44, 244)를 에너자이징(예컨대,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되는(이 생성된 에어로졸은 이후, 사용자에 의해 흡입됨) 구현들이 앞서 설명되었지만, 일부 구현들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사용자에 의해 흡입되기 전에 에어로졸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수정하기 위해 에어로졸 수정 구성요소를 통과하거나 그를 지나갈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2, 202)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44, 244)의 하류의 공기유동 경로에 삽입되는 통기성 삽입물(air permeable insert)(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삽입물은 출구(28, 228)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삽입물은, 에어로졸이 사용자의 입에 들어가기 전에 삽입물을 통과함에 따라, 에어로졸의 향미, 온도, 입자 크기, 니코틴 농도 등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물은 담배 또는 처리된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하이브리드 시스템들로 지칭될 수 있다. 삽입물은 전술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에어로졸 수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일부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동작 온도에서 가열 요소들(24)이 그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일부에 열을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앞서 설명되었지만, 일부 구현들에서는, 가열 요소들(24)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부분들을 예열 온도(동작 온도보다 낮음)로 예열하도록 배열된다. 예열 온도에서는, 부분이 예열 온도로 가열될 때 에어로졸이 소량으로 생성되거나 또는 전혀 생성되지 않는다. 특히, 일부 구현들에서, 제어 회로부는 제1 미리결정된 기간이 , 시작하기 전에(즉, 에어로졸을 흡입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전력/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온도를 예열 온도로부터 동작 온도까지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더 적은 양의 에너지가 요구되고, 따라서 시스템의 응답성은 증가하지만 총 에너지 소비가 증가된다. 이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비교적 더 두꺼운 부분들, 예컨대 동작 온도에 도달하기 위해 비교적 더 많은 양의 에너지가 공급되는 것을 요구하는 400 ㎛ 초과의 두께를 갖는 부분들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현들에서, (예컨대, 전력 소스(22로부터의) 에너지 소비는 비교적 더 높을 수 있다.
가열 요소들(24) 각각이 동일한 가열 프로파일을 개개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24)에 제공할 수 있지만, 가열 요소들(24) 중 하나 이상이 그 대신에 상이한 가열 프로파일을 각각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24)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28)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 에어로졸 생성 구역들(24)은, 마우스피스(28)에 더 근접하게 위치된 에어로졸 생성 구역(24)보다 더 많은 양의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가열될 수 있으며, 이는 증가된 이동 거리를 따라, 응축으로 인한 에어로졸의 추가의 손실을 상쇄할 수 있어,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구역들(24)로부터 에어로졸의 보다 일관된 전달을 제공한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2, 202)가 사용 종료 표시기(31, 231)를 포함하는 구현들이 앞서 설명되었지만, 사용 종료 표시기(31, 231)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 202)로부터 멀리 떨어진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 202)의 제어 회로부(23, 223)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와 같은 원격 디바이스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 202) 간의 데이터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4, 204)이 그의 사용 종료에 도달했다고 제어 회로부(23, 223)가 결정하는 경우, 제어 회로부(23, 223)는 원격 디바이스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원격 디바이스는 (예컨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경고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경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다른 원격 디바이스들 및 다른 기구들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부분들이 캐리어 구성요소(42, 242) 상에 제공될 때, 일부 구현들에서, 그 부분들은 캐리어 구성요소(42, 242)의 평면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비교적 더 얇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약화된 구역(weakened region)들, 예를 들어 관통 홀들 또는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가장 뜨거운 부분이 캐리어 구성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영역인 경우일 수 있다(즉, 열이 캐리어 구성요소(42, 242)와 접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표면에 주로 인가되는 시나리오들일 수 있음). 이에 따라, 관통 홀들은, 캐리어 구성요소(42, 242)와 에어로졸 생성 재료(44, 244) 사이에 에어로졸의 잠재적인 축적을 야기하기 보다는, 생성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2, 202)를 통해 빠져 나가서 환경/공기 유동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채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에어로졸의 이러한 축적은 시스템의 가열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일부 구현들에서, 에어로졸의 이러한 축적은 캐리어 컴포넌트(42, 242)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리프팅을 야기하여 에어로졸 생성 재료(44, 244)로의 열 전달 효율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44, 244) 각각의 부분에는 적절하게 하나 이상의 약화된 구역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4, 204)은 식별자, 이를테면 판독가능 바코드 또는 RFID 태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 202)는 대응하는 판독기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4, 204)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 202)의 리셉터클(25, 225)에 삽입될 때,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 202)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 204) 상의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23, 223)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 204)의 존재를 인식하거나 (따라서, 가열을 허용하고 그리고/또는 수명 종료 표시기를 재설정하거나) 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4,204)에 대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부분들의 유형 및/또는 위치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어 회로부(23, 223)가 어떤 부분들을 에어로졸화할지 그리고/또는 그 부분들이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온도 및/또는 가열 지속기간의 조절을 통해 에어로졸화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4, 204)을 인식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에 따라, 발명자들은 일부 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4, 204)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부분들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들을 갖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들(2, 202)이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들 각각의 가열 조건들이 대체로 동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도 퍼프당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에어로졸의 양 또는 품질에 불일치가 발생할 것임을 밝혀냈다.
예를 들어, 논의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4)은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하는 기재(예를 들어, 종이, 카드, 포일)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기재의 제1 측면 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의 기재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위한 캐리어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재는, 가변 자기장에 의해 가열되도록 배열된 금속성 요소일 수 있거나, 또는 금속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구현들에서,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 소스는, 에너자이징될 때, 기재 또는 물품(4, 204)의 금속성 요소 내에서 가열을 야기하는 유도 코일(이를테면, 유도 코일들(224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정도는, 금속성 요소와 유도 코일 사이의 거리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코일들(224a)과 에어로졸 생성 물품(204) 사이에 표시된 z 방향으로의 분리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204)의 범위를 가로지르는 z 방향으로의 이러한 분리의 변동은 각각의 유도 코일(224a)과 에어로졸 생성 물품(204)의 대응하는 서셉터(224b) 사이의 유도 커플링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변동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들에 걸친 가열 조건들이 대체로 동일할 것으로 예상되더라도, 퍼프 당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에어로졸의 양 또는 품질의 불일치들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론에 의해 얽매이고 싶지 않고, 금속 요소가 금속 포일로 형성되는 것과 같이 기계적으로 유연한 실시예들에서, 금속 포일은 변화하는 자기장의 결과로 발생하는 힘으로 인해 아래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론에 얽매이고 싶지 않고, 금속 포일은 펄스형 전자기장의 영향 하에서 위아래로 이동할 것으로 간주된다.
더욱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기재에 적층되거나 달리 부착된 금속성 포일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 시에, 포일의 유도 온도들은 금속 포일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2)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하게 되도록 접착제 또는 적층체를 용융시키기에 충분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전에 언급된 내용들은 유도 가열기들 이외에도 또는 유도 가열기들을 대신하여, 저항성 가열기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2)는 사용 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204)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무선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유도 코일들(224a)(또는 저항성 가열기들)과 에어로졸 생성 물품(204) 사이의 표시된 z 방향으로의 분리에 변동이 존재하는 경우, 무선 온도 측정은 부정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양호한 무선 온도 감지를 가능하게 하도록 유도 코일들(224a)(또는 저항성 가열기들)과 에어로졸 생성 물품(204) 사이에 균일한 분리를 유지해야 한다.
도 7a 및 도 7b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700)의 부분들의 다양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700)은 2 개의 주요 구성요소들, 즉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702)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을 포함한다(도 8a 및 도 8b 참조).
이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702)는 덮개 부분(706) 및 베이스 부분(708)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702)는 또한 고정 기구(710)를 포함한다. 고정 기구(710)는 덮개 부분(706)을 베이스 부분(708)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다. 일단 맞물림되면, 덮개 부분(706)과 베이스 부분(708)은 사용 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음)을 그들 사이의 제위치에 유지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고정 기구(71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의 기재에 대한 금속 포일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기재에 접합된 금속 포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을 사용 시에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덮개 부분(706)을 베이스 부분(708)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 시에,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702)가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을 가열하도록 구성될 때, 고정 기구(710)는 금속 호일이 기판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를테면 기판에서 호일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을 그 사이의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덮개 부분(706)을 베이스 부분(708)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또한 기재 또는 지지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의 다른 부분에 대한 금속성 포일과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의 하나의 부분의 움직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702)는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예를 들어,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열 요소(732))을 포함한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732)는 베이스 부분(708) 내에 제공되거나 그의 일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부가하여,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이 덮개 부분(706)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 부분(706) 및 베이스 부분(708)은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732)을 향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맞물림되며, 예를 들어, 도 8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702)의 가열 요소(732)를 z 방향(사용 시)을 따라 또는 가열 요소를 향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맞물림된다. 도 8a 내지 도 8c에는 하나의 가열기(732)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2 개 또는 3 개의 가열기들과 같은 하나 초과의 가열기(732)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732)은, 사용 시에 고정 기구(710)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의 하나 이상의 서셉터 요소들(이를테면, 금속 포일)을 가열하기 위해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도 코일들(induction coils)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도 가열 요소들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부가하여,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732)은 저항성 가열 요소들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732)은,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표면을 규정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사용 시에, 고정 기구(710)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을 평면형 표면에 대해 평행한 포지션에 유지하도록 덮개 부분(706)을 베이스 부분(708)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z 방향을 따르는 것과 같이 평면형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732)은 평탄한 나선형 유도 코일과 같은 실질적으로 평면형 가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732)은 비-평면형일 수 있지만, 원뿔형 유도 코일과 같은 평면형 표면을 규정하며, 여기서 원뿔형 코일의 베이스는 평면형 표면을 규정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900)의 부분들의 다양한 사시도들을 도시하고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900)은 도 7a 및 도 7b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c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들과 대체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참조 번호들은, 참조 번호 902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902)를 나타내도록 '7' 대신에 '9'로 시작한다. 효율을 위해, 유사한 참조 번호들을 갖는 구성요소들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도 7a 및 도 7b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c에서의 자신들의 대응물들과 대체로 동일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7a 및 도 7b, 도 8a 내지 도 8c 그리고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702, 902)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을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 디바이스(736, 936)를 포함한다(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음). 회전 디바이스(736, 936)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의 하나 이상의 신선한 에어로졸 생성 구역들이 가열 요소(732)에 근접하게 이동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을 가열 요소(732)에 대해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회전 디바이스(736, 936)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고정 기구(710)는 이를테면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은 z 방향으로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이외의 방향으로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이 가열 요소(732)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은 하나 이상의 트랙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덮개 부분(706) 및/또는 베이스 부분(708)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이외의 방향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트랙들을 따라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트랙들은 어떠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도 포함하지 않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의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트랙들은 금속성 포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의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7a 및 도 7b 그리고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덮개 부분(706)은 플레넘(plenum)(712) 및 마우스피스(mouthpiece)(71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넘(712)은 마우스피스(7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마우스피스(714) 및 플레넘(712)은 덮개 부분(706)과 일체형일 수 있다. 일체형 마우스피스(714) 및 덮개 부분(706)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 상에 균등한 압축을 보장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즉, 마우스피스(714)와 덮개 부분(706)이 단일의 일체형 피스인 경우, 이들 사이의 연결로부터 발생하는 부가의 기계적 유격(play) 또는 편차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덮개 부분(706)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 상에 가해지는 힘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의 상부 덮개-대면 표면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덮개 부분(706)은 덮개 인서트(lid insert)(716)(도 8b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덮개 인서트는 하나 이상의 고정 수단 이를테면 핀(pin)들에 의해 플레넘(712) 및/또는 마우스피스(714)를 덮개 부분(706)의 외부 하우징에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c를 다시 참조하면, 고정 기구(710)는, 덮개 부분(706)이 클램쉘(clamshell) 배열체를 형성하도록 힌지(734)를 통해 베이스 부분(708)에 연결되도록 힌지(7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702)는, 예컨대 도 8a에서 도 8b로 이동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734)가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기구(710)는, 힌지(734)가 예컨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포지션에 있을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사용 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을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베이스 부분(708)과 덮개 부분(706)을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c를 여전히 참조하면, 고정 기구(710)는 덮개 부분(706)을 베이스 부분(708)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분(708)은 덮개 부분(706)의 대응하는 자기 수용 구역(722)에 자기식으로 끌리도록 구성된 자석(72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덮개 부분(706)은 하나 이상의 자석들(720)을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 부분은 대응하는 자기 수용 구역들(722)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단일의 고정 기구(710)만이 도 7a 및 도 7b에서 도시되지만, 2 개 이상의 그러한 고정 기구들은 덮개 부분(706)을 베이스 부분(708)에 동위원소로(isotopically) 또는 고르게(evenly) 고정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자석들(720)은 네오디움 철 붕소(NdFeB), 사마륨 코발트(SmCo), 알니코(alnico), 및 세라믹 또는 페라이트 자석들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자기 수용 구역들(722)은 임시 자석들, 예를 들어, 철, 철 합금, 니켈, 니켈 합금, 코발트, 코발트 합금, 가돌리늄, 가돌리늄 합금, 디스프로시움 및 디스프로시움 합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덮개 부분(706) 및 베이스 부분(708) 중 하나는 전자기(electromagneti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전자석은 덮개 부분(706) 및 베이스 부분(708) 중 다른 하나에 있는 하나 이상의 자석들(720) 또는 자기 수용 구역들(722)을 끌어당기기 위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덮개 부분(706) 및 베이스 부분(708) 둘 모두는 전자석들의 구동시에 서로 상호 끌어당기도록(mutually attract) 전자석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의 제어 회로부(23)와 같은 제어 회로부는 전자석들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자기 수용 구역들(722)은 하나 이상의 자석들(720) 중 개개의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자기 수용 구역들(722)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자석들(720) 중 개개의 하나와 맞물릴 수 있도록 덮개 부분(706)의 베이스-대면 벽과 동일한 평면 상에 있거나 평탄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자석들(720) 중 개개의 자석은 베이스 부분(708)의 덮개-대면 벽과 동일한 평면 상에 있거나 평탄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자석들(720) 및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자기 수용 구역들(722) 모두는 동일한 평면 상에 있거나 평탄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702)는 또한, 덮개 부분이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에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클램핑 기구(clamping mechanism)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추가의 또는 대안적인 고정 기구(910)를 갖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902)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900)이 도시된다. 고정 기구(910)는, 도 9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 부분(906)을 베이스 부분(908)에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자기 스트럿(magnetic strut)(9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b는 상향으로 부착되지 않고 팽창된 고정 기구(910)를 갖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900)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분은 덮개 부분(906)을 베이스 부분(908)에 클램핑하기 위해 자기 스트럿(924)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다수의 자석들(926) 또는 하나 이상의 자기 구역들(9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00)의 부분들의 다양한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00)은 도 7a 및 도 7b, 도 8a 내지 도 8c, 그리고 도 9a 및 도 9b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들과 대체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참조 부호들은, 참조 부호 1002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002)를 나타내도록 '7' 또는 ‘9' 대신에 '10'로 시작한다. 효율을 위해, 유사한 참조 번호들을 갖는 구성요소들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도 7a 및 도 7b, 도 8a 내지 도 8c 그리고 도 9a 및 도 9b에서의 자신들의 대응물들과 대체로 동일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서, 상기에 개시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들(2, 202, 702, 902, 1002)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스냅-끼워맞춤(snap-fit) 기구를 포함하는 고정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스냅-끼워맞춤 기구는, 덮개 부분(706, 906, 1006)과 베이스 부분(708, 908, 1008) 중 하나에 있는 상호 수용 요소(reciprocal receiving element)와 스냅-끼워맞춤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덮개 부분(706, 906, 1006)과 베이스 부분(708, 908, 1008) 중 다른 하나에 있는 스냅-끼워맞춤 요소(snap-fit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들(2, 202, 702, 902, 1002)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고정 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 기구는 덮개 부분(706, 906, 1006)을 베이스 부분(708, 908, 1008)과 맞물림하도록 덮개 부분(706, 906, 1006) 및/또는 베이스 부분(708, 908, 1008)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파지 요소(gripping element)들을 각각 파지하도록 구성된 덮개 부분(706, 906, 1006) 및/또는 베이스 부분(708, 908, 1008)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파지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부분(706)은, 베이스 부분(708)에 제공된 립(lip)(730) 형태의 하나 이상의 제2 파지 요소들을 파지하도록 구성된 돌출부(728)의 형태의 하나 이상의 제1 파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파지 요소들(728, 730)은 개개의 파지 요소들 사이의 고정된 파지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사용시에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702)로부터 누출되거나 이와 달리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일(seal)을 제공하는 특정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 202, 702, 902, 1002)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걸쇠(clasp)들을 포함하는 고정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기구(1010)는 덮개 부분(1006)을 베이스 부분(1008)과 맞물림하도록 덮개 부분(1006)을 베이스 부분(1008)에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미끄럼가능한 걸쇠(1032)와 같은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고정 기구(1010)는 회전가능한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은 덮개 부분이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될 때, 에어로졸 챔버 또는 에어로졸 형성 챔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 위에 하나 이상의 벽들을 통해 압력을 균일하게 인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 사이의 분리가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걸쳐 유지된다. 즉,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z 거리(예를 들어, 유도 코일들과 같은 가열 요소들과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금속 포일 사이의 거리)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영역에 걸쳐 일정하도록, 가열될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영역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에어로졸이 형성되는 챔버를 형성하는 벽들이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균일하게 단속되도록(clamp down on)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 시에,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은 다음을 통해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압력을 균일하게 인가할 수 있다: (i) 하나 이상의 벽들의 원주부(circumference) 또는 둘레부(perimeter); 및/또는 (ii) 에어로졸 챔버의 내부측을 향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벽들의 복수의 반경 방향 스트럿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부분(706)은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728)의 형태의 하나 이상의 벽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728)의 원위 단부(distal end)는, 사용 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704)에 압력을 균일하게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702)는 에어로졸 형성 챔버의 내부측을 향해 연장되는 반경 방향 스트럿들(73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반경 방향 스트럿들(738)은 선형(linear)일 수 있다. 그러나,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반경방향 스트럿들(738)은 곡선형(curvilinear)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벽들은 사용 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 또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매립되거나 부분적으로 절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벽들은, 하나 이상의 부분적으로 변형 가능한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분 변형 가능한 구역들은 에어로졸 형성 챔버를 에어로졸 생성 물품 주위에 밀봉하도록 상호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부분 변형 가능한 구역들은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과 에어로졸 생성 물품 사이의 분리가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걸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벽들의 원주부 또는 둘레부는 하나 이상의 부분적으로 변형가능한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벽들의 복수의 반경방향 스트럿들은 하나 이상의 부분적으로 변형가능한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은 하나 이상의 필라(pillar)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은 사용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 위에 하나 이상의 필라들을 통해 압력을 균일하게 인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 사이의 분리가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걸쳐 유지된다. 즉, 하나 이상의 필라들은 손가락 모양(finger-like)일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자리에 유지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필라들은 하나 이상의 변형 가능한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 즉, 하나 이상의 변형 가능한 필라들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필라들은 손가락 모양일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자리에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내로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용이한 삽입을 허용할 수 있는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가열기에 매우 근접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내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삽입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할 수 있는데, 이는 하나 이상의 필라들 또는 "핑거들"이 물품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변형될 수 있지만, 물품이 삽입된 후에, 하나 이상의 필라들이 소모품을 미리 결정된 포지션으로 푸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 이상의 필라들 또는 "핑거들"은 소모품에 일정한 압력을 유지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일정한 z-거리 분리를 유지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필라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또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매립되거나 부분적으로 절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은 사용 시에, 하나 이상의 벽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필라들을 통해 압력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제1 구역에 균일하게 적용하고 그리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제2 구역 상에는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역은 서셉터(이를테면, 금속 포일)를 포함할 수 있지만,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실질적으로 없는 반면, 제2 구역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뿐만 아니라 서셉터(예컨대, 금속 포일)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고정 기구는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캠 잠금부(cam lock)를 포함할 수 있다. 캠 잠금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사용 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위치에 유지하도록 롤 다운하도록 구성된 중심에서 벗어난 캠(off-centre cam)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은 에어로졸 형성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플레넘(plenum)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심에서 벗어난 캠은 사용 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플레넘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플레넘 상에 힘을 부가하도록 롤 다운하게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기 위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외측방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미끄럼가능한 플랫폼(slidable platfor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가능한 플랫폼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내로 삽입하기 위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내로 후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미끄럼가능한 플랫폼은, 미끄럼가능한 플랫폼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내로 후퇴함에 따라 롤 다운하도록, 중심에서 벗어난 캠이 구성되도록 중심에서 벗어난 캠에 연결된다. 미끄럼가능한 플랫폼은 힌지가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미끄럼가능한 플랫폼은 힌지가 개방 포지션으로부터 폐쇄 포지션으로 취해질 때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내로 후퇴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은 곡선형 표면을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은, 평탄한 나선형 코일에 의해 규정된 표면이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에 순응하도록 원통부를 중심으로 롤링된 평탄한 나선형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기구는, 사용 시에,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의 곡선형 표면을 향하거나 이 곡선형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의 곡선형 표면에 근접하게 유지하도록 베이스 부분과 덮개 부분을 맞물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기구는, 사용 시에,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의 곡선형 표면에 실질적으로 순응하는 표면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의 곡선형 표면에 근접하게 유지하기 위해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품과 가열기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것은 보다 양호한 가열 효율을 보장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 또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사용 시에,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로부터 10 ㎛ 미만의 거리에서 제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부 측면들에서 일부의 특정 예시적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들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동일한 원리들이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즉,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기능의 다양한 양태들이 본원에 설명된 예들의 기본 원리들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특정 방식이다.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당해 기술을 진전시키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로서 보여준다. 본 개시내용의 이점들 및 특징들은 단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이고, 여기에만 국한되고 그리고/또는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장점들 및 특징들은 청구된 발명(들)을 이해하고 교시하는 것을 돕기 위해 단지 제시된다. 본 개시의 장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태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에 대한 제한들로서, 또는 청구범위의 균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서 고려되지 않아야 하고, 청구범위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고, 변형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개시된 요소들, 구성요소들, 특징들, 부분들, 단계들, 수단들 등,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과 다른 것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적절하게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들을 필수적 요소로 하여 구성(consist essentially of)될 수 있고, 따라서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은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들 이외의 다른 조합들로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현재 청구되지 않지만 추후에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36)

  1.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로서,
    덮개 부분;
    베이스 부분; 및
    고정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기구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덮개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덮개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분은, 사용 시에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상기 덮개 부분과 상기 베이스 부분 사이에서 제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향하거나 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덮개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부분 및/또는 상기 가열 부분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사용시에,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들이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 중 하나의 가열 요소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복수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들이 상기 가열 요소에 근접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가열 요소에 대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전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고정 기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이외의 방향으로의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상기 가열 요소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형 표면(planar surface)을 규정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기구는 평면형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시에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의 평면형 표면에 평행하게 제위치에 유지하도록 상기 덮개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5. 제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은 실질적으로 평면형 가열 요소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6. 제2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분 및/또는 상기 베이스 부분은, 상기 덮개 부분이 상기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될 때, 에어로졸 챔버(aerosol chamber)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벽들을 포함하며, 사용 시에, 상기 덮개 부분 및/또는 상기 베이스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벽들을 통해 압력을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균일하게 인가하며, 그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 사이의 분리가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걸쳐 유지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사용 시에, 상기 덮개 부분 및/또는 상기 베이스 부분은, (i) 하나 이상의 벽들의 원주부(circumference) 또는 둘레부(perimeter); 및/또는 (ii) 에어로졸 챔버의 내부측을 향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벽들의 복수의 반경 방향 스트럿들을 통해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압력을 균일하게 인가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사용 시에, 상기 하나 이상의 벽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또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매립되거나 부분적으로 절단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9. 제6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벽들은 하나 이상의 부분적으로 변형 가능한 구역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i) 상기 하나 이상의 벽들의 원주부 또는 둘레부는 하나 이상의 부분적으로 변형가능한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ii) 상기 하나 이상의 벽들의 복수의 반경방향 스트럿들은 하나 이상의 부분적으로 변형가능한 구역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1. 제2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분 및/또는 상기 베이스 부분은, 하나 이상의 필라(pillar)들을 포함하며, 사용 시에, 상기 덮개 부분 및/또는 상기 베이스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필라들을 통해 압력을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균일하게 인가하며, 그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 사이의 분리가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걸쳐 유지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사용 시에, 상기 하나 이상의 필라들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또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매립되거나 부분적으로 절단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3. 제11 항 또는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라들은 하나 이상의 부분적으로 변형 가능한 구역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4. 제6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 시에, 상기 덮개 부분 및/또는 상기 베이스 부분은, 하나 이상의 벽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필라들을 통해 압력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제1 구역에 균일하게 적용하고 그리고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제2 구역 상에는 적용하지 않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5. 제2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사용 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 또는 실질적으로 평면형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로부터 10 μm 미만의 거리에서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덮개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6.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힌지(hinge)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 부분은 클램쉘(clamshell) 배열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힌지를 통해 상기 베이스 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상기 힌지가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힌지가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위치에 유지하도록 상기 덮개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7. 제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덮개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상기 덮개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에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클램핑 기구(clamping mechanism)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8. 제1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덮개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들은 상기 덮개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분 중 하나에 하나 이상의 자석들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분 중 다른 하나에는 자성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20. 제18 항 또는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들은 상기 덮개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에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자기 스트럿(magnetic strut)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21. 제1 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덮개 부분과 상기 베이스 부분 중 다른 하나에 있는 상호 수용 요소와 스냅핏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상기 덮개 부분과 상기 베이스 부분 중 하나에 스냅핏 요소를 포함하는 스냅핏 기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22. 제1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덮개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걸쇠(clasp)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23. 제1 항 내지 제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덮개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상기 덮개 부분 및/또는 상기 베이스 부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파지 요소들을 각각 파지하도록 구성된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파지 요소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24. 제1 항 내지 제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덮개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캠 잠금부(cam lock)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잠금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사용 시에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위치에 유지하도록 롤 다운(roll down)하도록 구성된 중심에서 벗어난 캠(off-centre cam)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26. 제25 항에 있어서,
    덮개 부분 및/또는 베이스 부분은 에어로졸 형성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플레넘(plenum)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에서 벗어난 캠은 사용 시에,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플레넘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플레넘 상에 힘을 부가하도록 롤 다운하게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27. 제25 항 또는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외측방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미끄럼가능한 플랫폼(slidable platform)을 더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가능한 플랫폼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상기 디바이스 내로 삽입하기 위해 상기 디바이스 내로 후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미끄럼가능한 플랫폼은, 상기 미끄럼가능한 플랫폼이 상기 디바이스 내로 후퇴함에 따라 중심에서 벗어나는 캠이 롤 다운되게 구성되도록 중심에서 벗어나는 캠에 연결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가능한 플랫폼은 상기 힌지가 상기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끄럼가능한 플랫폼은 상기 힌지가 개방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폐쇄 포지션으로 취해질 때 상기 디바이스 내로 후퇴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29. 제1 항 내지 제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분은 일체형 마우스피스(integral mouthpiece)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30. 제1 항 내지 제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곡선형 표면(curvilinear surface)을 규정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기구는 사용 시에,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의 곡선형 표면을 향하거나 상기 곡선형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의 곡선형 표면에 근접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덮개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사용 시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의 곡선형 표면에 실질적으로 순응하는 표면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의 곡선형 표면에 근접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덮개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시키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32. 제2 항 내지 제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회로부(control circuity)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들로부터 소정량의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들 각각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의 개개의 가열 요소에 대응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33. 제2 항 내지 제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은, 사용 시에 상기 고정 기구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하나 이상의 서셉터 요소들을 가열하기 위해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도 코일(induction coil)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유도 가열 요소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34. 제1 항 내지 제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기재에 대한 금속 포일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기재에 접합된 금속 포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사용 시에 제위치에 유지하도록 상기 덮개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35.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서,
    제1 항 내지 제3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및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36.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으로서,
    제1 항 내지 제3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덮개 부분과 베이스 부분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고정 기구로, 덮개 부분을 베이스 부분과 맞물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
KR1020237041621A 2021-06-11 2022-06-07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KR202400124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02444P 2021-06-11 2021-06-11
US63/202,444 2021-06-11
US202163263448P 2021-11-02 2021-11-02
US63/263,448 2021-11-02
PCT/EP2022/065379 WO2022258604A1 (en) 2021-06-11 2022-06-07 Aerosol provis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415A true KR20240012415A (ko) 2024-01-29

Family

ID=8211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621A KR20240012415A (ko) 2021-06-11 2022-06-07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51366A1 (ko)
KR (1) KR20240012415A (ko)
BR (1) BR112023025357A2 (ko)
WO (1) WO20222586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202609D0 (en) * 2022-02-25 2022-04-13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2175A1 (en) * 2004-11-18 2006-05-18 Nelson Stephen G Inhaler
CN207754558U (zh) * 2017-12-27 2018-08-24 深圳市新宜康电子技术有限公司 薄片式电磁感应加热不燃烧装置
EP3697233A1 (en) * 2018-12-31 2020-08-26 Ysq International Pte. Ltd. Unit, device, and method for heating a unit
GB201917454D0 (en) * 2019-11-29 2020-01-15 Nicoventures Trading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8604A1 (en) 2022-12-15
BR112023025357A2 (pt) 2024-02-20
EP4351366A1 (en) 202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5278A1 (en)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US11896055B2 (en)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KR20230125344A (ko) 다수의 서셉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JP2020525000A (ja) 効率的な電力制御を有する誘導加熱システム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および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KR20240012415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JP2021524254A (ja) エアロゾル生成デバイス
KR20240009426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JP2024521857A (ja) 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
CN117460431A (zh) 气溶胶供应装置
KR20240009427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KR20240009428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KR20240009429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JP2024510123A (ja) エアロゾル供給システム
RU280617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оставки аэрозоля, содержащее атомайзер с беспроводным нагревом,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WO2023161433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WO2023161442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WO2023161432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comprising a magnetic flux concentrator
WO2023161447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