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232A - 기능성 코 마스크 및 그 세트 - Google Patents

기능성 코 마스크 및 그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232A
KR20240012232A KR1020220089946A KR20220089946A KR20240012232A KR 20240012232 A KR20240012232 A KR 20240012232A KR 1020220089946 A KR1020220089946 A KR 1020220089946A KR 20220089946 A KR20220089946 A KR 20220089946A KR 20240012232 A KR20240012232 A KR 20240012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lacement time
filter
mask
functional
fil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송희
Original Assignee
공송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송희 filed Critical 공송희
Priority to KR1020220089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232A/ko
Publication of KR2024001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8Devices for indicating filter sat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0Healthcare; Welfa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eth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기능성 코 마스크 및 그 세트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코 마스크는 기능성 코 마스크는 콧속에 삽입해서 코를 통해 인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공기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식 필터 바디; 및 상기 착탈식 필터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 하우징의 교체시기를 감지하는 교체시기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코 마스크 및 그 세트{Functional nose mask and set therefor}
본 발명은, 기능성 코 마스크 및 그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필터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감지해서 통지함으로써 불용 필터를 그대로 착용하는 폐단을 없앨 수 있는, 기능성 코 마스크 및 그 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화의 급속한 진행에 의하여 공기 중에 많은 미세먼지 등이 존재한다.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아서 공기 중에 머물러 있다 호흡기를 거쳐 폐 등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신체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중국으로부터 유입되는 중금속을 다량으로 함유한 황사에 의한 피해는 실외활동에 제약이 있을 정도로 매우 심각하여 새로운 사회적, 경제적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지하철의 경우 공기 중 철분의 함량이 매우 높아 이용 승객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이러한 대기 환경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통상 마스크는 입과 코를 포함한 안면부를 가리게 되므로 휴대와 착용이 불편하다는 점에서 코 마스크가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러 형태의 코 마스크가 제안되거나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는데, 현존하는 코 마스크는 필터에 이물이 쌓여 제기능을 담당하지 못할 경우에 이를 알려주기 위한 기능이 없어서 불용 필터를 그대로 착용하고 다닐 수도 있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코 마스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2385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9036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8-014621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9-0132284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감지해서 통지함으로써 불용 필터를 그대로 착용하는 폐단을 없앨 수 있는, 기능성 코 마스크 및 그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콧속에 삽입해서 코를 통해 인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공기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식 필터 바디; 및 상기 착탈식 필터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 하우징의 교체시기를 감지하는 교체시기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코 마스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착탈식 필터 바디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 하우징의 교체시기를 외부로 알리는 교체시기 알림부; 상기 교체시기 감지부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교체시기 알림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착탈식 필터 바디에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교체시기 감지부, 상기 교체시기 알림부 및 상기 컨트롤러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체시기 감지부는 혼탁 여부를 감지하는 탁도 센서, 바람의 압력을 감지하는 풍압 센서, 바람의 속도를 감지하는 유속 센서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교체시기 알림부는 진동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교체식 배터리이며, 상기 착탈식 필터 바디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교체를 위한 캡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공기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식 필터 바디와, 상기 착탈식 필터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 하우징의 교체시기를 감지하는 교체시기 감지부와, 상기 착탈식 필터 바디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 하우징의 교체시기를 외부로 알리는 교체시기 알림부와, 상기 교체시기 감지부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교체시기 알림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착탈식 필터 바디에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교체시기 감지부, 상기 교체시기 알림부 및 상기 컨트롤러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되 콧속에 삽입해서 코를 통해 인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복수 개의 기능성 코 마스크; 상기 기능성 코 마스크가 삽입 배치되는 복수 개의 삽입 배치구를 구비하는 마스크 보관대; 및 상기 마스크 보관대가 출입하게 마련되는 마스크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코 마스크 세트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감지해서 통지함으로써 불용 필터를 그대로 착용하는 폐단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코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캡을 개방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기능성 코 마스크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기능성 코 마스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코 마스크 세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코 마스크 세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동작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적용되는 기능성 코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코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코 마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캡을 개방한 도면, 도 4는 도 1의 기능성 코 마스크에 대한 제어블록도, 도 5는 도 1의 기능성 코 마스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코 마스크(100)는 필터, 즉 필터 하우징(110)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감지해서 통지함으로써 불용 필터를 그대로 착용하는 폐단을 없앨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코 마스크(100)는 도 5처럼 콧속에 삽입해서 코를 통해 인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필터 하우징(110)과 착탈식 필터 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10)은 공기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다. 다시 말해, 통상적으로 필터(filler)라 불리는 부재가 필터 하우징(110)이다. 이러한 필터 하우징(110)은 헤파 필터 등 교체가 가능한 것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필터 하우징(110) 내에는 착탈식 필터 바디(1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한편, 착탈식 필터 바디(120)는 필터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착탈식 필터 바디(120)에는 교체시기 감지부(130), 교체시기 알림부(140), 전원 공급부(150) 및 컨트롤러(180)가 마련된다.
교체시기 감지부(130)는 착탈식 필터 바디(120)의 일측에 마련되며, 필터 하우징(110)의 교체시기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교체시기 감지부(130)는 혼탁 여부를 감지하는 탁도 센서, 바람의 압력을 감지하는 풍압 센서, 바람의 속도를 감지하는 유속 센서 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일 수 있다.
교체시기 알림부(140)는 착탈식 필터 바디(120)의 타측에 마련되며, 필터 하우징(110)의 교체시기를 외부로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교체시기 알림부(140)는 진동 모듈일 수 있는데, 콧속에 들어간 상태에서 진동이 형성되면, 교체시기가 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50)는 착탈식 필터 바디(120)에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며, 교체시기 감지부(130), 교체시기 알림부(140) 및 컨트롤러(180)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부(150)는 교체식 배터리로 적용되는데, 배터리의 교체 또는 설치를 위해 착탈식 필터 바디(120)에 캡(121)이 마련된다. 이에, 도 3처럼 캡(121)을 분리한 후, 배터리를 교체 또는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180)는 교체시기 감지부(130)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교체시기 알림부(140)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한다. 즉 이물로 인해 필터 하우징(110)이 과도하게 혼탁하거나 필터 하우징(110) 쪽으로 향하는 바람의 압력이나 유속이 기준치보다 낮다고 교체시기 감지부(130)가 감지하면, 이러한 감지값을 토대로 컨트롤러(180)가 교체시기 알림부(140)의 동작을 온(on)시킨다. 따라서, 교체시기 알림부(140)로 적용될 수 있는 진동 모듈이 진동함으로써 교체시기를 즉시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터 하우징(110)을 교체해서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교체시기 감지부(130)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교체시기 알림부(140)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교체시기 감지부(130)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교체시기 알림부(140)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즉 필터 하우징(110)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감지해서 통지함으로써 불용 필터를 그대로 착용하는 폐단을 없앨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코 마스크 세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코 마스크 세트(270)는 마스크 보관대(272)와 마스크 케이싱(271)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보관대(272)는 기능성 코 마스크(100)가 삽입 배치되는 복수 개의 삽입 배치구(273)를 구비하는 일종의 서랍이다. 도면에는 4개의 삽입 배치구(273)가 마련되지만, 이의 개수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기능성 코 마스크(100)는 제1 실시예에서 소개한 것과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마스크 케이싱(271)은 마스크 보관대(272)가 출입하게 마련되는 케이싱으로서, 마스크 보관대(272) 내의 기능성 코 마스크(100)를 보호한다.
기능성 코 마스크(100)를 주머니에 보관하는 것보다 마스크 보관대(272)에 보관하는 것이 위생상 좋으며, 특히 콧구멍이 2개라는 점에서 복수 개의 기능성 코 마스크(100)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코 마스크 세트(270)의 적용에 큰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필터, 즉 필터 하우징(110, 도 2 참조)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감지해서 통지함으로써 불용 필터를 그대로 착용하는 폐단을 없앨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코 마스크 세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동작도, 도 10은 도 8에 적용되는 기능성 코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코 마스크 세트(370)는 기능성 코 마스크(300)가 수납되는 마스크 보관대(372)와, 마스크 보관대(372)가 출입하는 마스크 케이싱(371)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보관대(372)에는 충전슬롯(374)이 형성된다. 충전슬롯(374)을 통해 마스크 보관대(372)의 내부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할 수 있다. 마스크 보관대(372)의 삽입 배치구(373)의 바닥에는 제1 충전단자(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기능성 코 마스크(300)는 필터 하우징(310)과 착탈식 필터 바디(3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착탈식 필터 바디(320)에 제2 충전단자(323)가 마련된다. 따라서, 기능성 코 마스크(300)를 마스크 보관대(372)의 삽입 배치구(373)에 삽입 배치하면, 삽입 배치구(373)의 제1 충전단자(미도시)와 기능성 코 마스크(300)의 제2 충전단자(323)가 접하면서 기능성 코 마스크(300)가 충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필터, 즉 필터 하우징(110, 도 2 참조)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감지해서 통지함으로써 불용 필터를 그대로 착용하는 폐단을 없앨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코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코 마스크(400)의 외벽에는 복수 개의 엠보형 돌기부(411)가 형성된다. 엠보형 돌기부(411)는 기능성 코 마스크(400)를 콧속에 넣었을 때, 쉽게 빠지지 않게끔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필터, 즉 필터 하우징(410)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감지해서 통지함으로써 불용 필터를 그대로 착용하는 폐단을 없앨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코 마스크 110 : 필터 하우징
120 : 착탈식 필터 바디 121 : 캡
130 : 교체시기 감지부 140 : 교체시기 알림부
150 : 전원 공급부 180 : 컨트롤러

Claims (5)

  1. 콧속에 삽입해서 코를 통해 인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공기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식 필터 바디; 및
    상기 착탈식 필터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 하우징의 교체시기를 감지하는 교체시기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필터 바디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 하우징의 교체시기를 외부로 알리는 교체시기 알림부;
    상기 교체시기 감지부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교체시기 알림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착탈식 필터 바디에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교체시기 감지부, 상기 교체시기 알림부 및 상기 컨트롤러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코 마스크.
  3. 제2에 있어서,
    상기 교체시기 감지부는 혼탁 여부를 감지하는 탁도 센서, 바람의 압력을 감지하는 풍압 센서, 바람의 속도를 감지하는 유속 센서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교체시기 알림부는 진동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코 마스크.
  4. 제2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교체식 배터리이며,
    상기 착탈식 필터 바디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교체를 위한 캡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코 마스크.
  5. 공기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식 필터 바디와, 상기 착탈식 필터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 하우징의 교체시기를 감지하는 교체시기 감지부와, 상기 착탈식 필터 바디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 하우징의 교체시기를 외부로 알리는 교체시기 알림부와, 상기 교체시기 감지부의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교체시기 알림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착탈식 필터 바디에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교체시기 감지부, 상기 교체시기 알림부 및 상기 컨트롤러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되 콧속에 삽입해서 코를 통해 인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복수 개의 기능성 코 마스크;
    상기 기능성 코 마스크가 삽입 배치되는 복수 개의 삽입 배치구를 구비하는 마스크 보관대; 및
    상기 마스크 보관대가 출입하게 마련되는 마스크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코 마스크 세트.
KR1020220089946A 2022-07-20 2022-07-20 기능성 코 마스크 및 그 세트 KR20240012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946A KR20240012232A (ko) 2022-07-20 2022-07-20 기능성 코 마스크 및 그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946A KR20240012232A (ko) 2022-07-20 2022-07-20 기능성 코 마스크 및 그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232A true KR20240012232A (ko) 2024-01-29

Family

ID=89717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946A KR20240012232A (ko) 2022-07-20 2022-07-20 기능성 코 마스크 및 그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23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856A (ko) 2006-09-12 2008-03-17 세메스 주식회사 웨이퍼 처리 장치
KR20090090361A (ko) 2005-02-03 2009-08-25 노키아 코포레이션 수신기 버퍼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버퍼 파라미터의 시그널링
KR20190132284A (ko) 2018-05-17 2019-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송 설정 지시자 결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361A (ko) 2005-02-03 2009-08-25 노키아 코포레이션 수신기 버퍼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버퍼 파라미터의 시그널링
KR20080023856A (ko) 2006-09-12 2008-03-17 세메스 주식회사 웨이퍼 처리 장치
KR20190132284A (ko) 2018-05-17 2019-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송 설정 지시자 결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464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ir filtration monitoring
CN103764231B (zh) 操作闭路呼吸设备的方法
KR20200021877A (ko) 공기 분사형 스마트 마스크
JP2009536087A (ja) 二酸化炭素センサを備える空気浄化装置
ATE363862T1 (de) Tragbarer detektor zur messung von personenbewegungen
AU2013380409B2 (en) Portable air purifier
KR20240012232A (ko) 기능성 코 마스크 및 그 세트
KR20190121019A (ko) 휴대용 송기 마스크
US20100245097A1 (en) Gas supply apparatus
KR101624697B1 (ko) 인공지능형 공기차압장치를 이용한 바이오 클린룸의 세균오염방지 시스템
JP2008194092A (ja) 呼吸連動型ブロワーマスクシステム
CN106693126A (zh) 输氧控制系统、装置及设备
CN108634954A (zh) 一种家用简易呼吸暂停监测装置
CN205547453U (zh) 流感预警口罩
CN211426504U (zh) 一种便携式正压式空气呼吸器检测仪
KR102304479B1 (ko)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마스크
CN204790985U (zh) 一种计算机故障报警装置
EP3856359B1 (en) A pollution mask and control method
CN214071874U (zh) 一种可重复使用的口罩
CN220438092U (zh) 口罩颗粒物过滤检测仪器
CN219895711U (zh) 一种睡眠呼吸监测仪
CN107589649A (zh) 一种显影剂容纳装置后处理系统及回收残留碳粉的方法
KR20240051389A (ko) 풍량을 제어하는 마스크 및 그 제어 방법
CN108096934A (zh) 一种惯性力除尘器
CN216725572U (zh) 一种用于防护鼻塞的滤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