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969A - Door locking device and microwave oven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oor locking device and microwave oven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969A
KR20240011969A KR1020220089293A KR20220089293A KR20240011969A KR 20240011969 A KR20240011969 A KR 20240011969A KR 1020220089293 A KR1020220089293 A KR 1020220089293A KR 20220089293 A KR20220089293 A KR 20220089293A KR 20240011969 A KR20240011969 A KR 20240011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xternal force
pin
lev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Priority to KR1020220089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969A/en
Publication of KR20240011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969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7Door interlock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nd related circ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3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hoo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는, 도어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외부에서 가해지는 제1 외력에 의해 일방향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일방향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핀;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기도록 외부에서 가해지는 제2 외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버에 대해 상대 이동되어,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일방향 이동이 가능한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locking device that selectively restricts the opening of a door, comprising: a lever provided to move in one direction by a first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o open the door; and a pin that selectively restricts one-directional movement of the lever. It includes a cam rotatable by a second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o open the door, and the pin is moved relative to the lever by rotation of the cam, so that the pin moves in one direction of the lever in the locked state. It can be converted to an unlocked state that allows movement.

Description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DOOR LOCKING DEVICE AND MICROWAVE OVEN INCLUDING THE SAME}DOOR LOCKING DEVICE AND MICROWAVE OVE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ing device and a microwave oven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조리기구 등의 가전제품에 적용되는 도어는, 도어를 잡아당기거나 개폐 버튼를 누르는 동작 등 한번의 동작(one action)에 의해 개방된다.In general, doors applied to home appliances such as cookware are opened by one action, such as pulling the door or pressing an open/close button.

이러한 종래의 도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번의 동작에 의해 쉽게 개방되는 바, 실수로 개폐 버튼이 눌리는 등의 예기치 않은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어린이를 포함한 안전사고에 취약한 안전약자에 의해서도 쉽게 개방되어, 안전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 doors are easily opened with a single operation, but unexpected opening may occur, such as when the open/close button is accidentally pressed. In addition, it can be easily opened by vulnerable people, including children, and cause safety accidents.

특히, 전자레인지 및 오븐과 같이 가열원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조리기구의 경우, 작동 도중 의도치 않게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내부의 열로 인해 사용자가 화장을 입는 안전사고를 입을 수 있다. 나아가, 화재 발생의 위험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oking appliances that heat food using a heating source, such as microwave ovens and ovens, if the door is unintentionally opened during operation, the user may suffer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internal heat of putting on makeup. Furthermore, there is a risk of fire.

또한, 마이크로파(mirowave)를 이용하는 전자레인지는 구동 중, 조리실 내부에 강한 초고주파가 발생되는데, 작동 도중 도어가 임의로 개방되는 경우, 초고주파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 microwave oven that uses microwaves generates strong ultra-high frequencies inside the cooking chamber while operating. However, if the door is opened arbitrarily during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ltra-high frequencies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또한, 작동 도중 뿐만 아니라, 작동이 종료된 직후에 조리물의 온도가 매우 뜨거운 상태에서 아이들이 도어를 개방하고 조리물에 접촉하게 되는 경우에도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not only during operation, but also immediately after operation ends when children open the door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food while the temperature of the food is very hot.

한국등록특허 제10-0850018호(2008.07.28 등록)Korean Patent No. 10-0850018 (registered on July 28, 200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도치 않은 도어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oor locking device that can prevent unintentional opening of the door and a microwave oven including the same.

또한, 안전약자에 의해서 도어가 개방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door locking device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door being opened by a person with a safety weakness, and a microwave ove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는 도어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외부에서 가해지는 제1 외력에 의해 일방향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일방향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핀;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기도록 외부에서 가해지는 제2 외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버에 대해 상대 이동되어,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일방향 이동이 가능한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locking device for selectively restricting the opening of a door, comprising: a lever provided to move in one direction by a first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o open the door; and a pin that selectively restricts one-directional movement of the lever. It includes a cam rotatable by a second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o open the door, and the pin is moved relative to the lever by rotation of the cam, so that the pin moves in one direction of the lever in the locked state. It can be converted to an unlocked state that allows movement.

또한, 상기 핀은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핀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해제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변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in can move in a straight line in one direction, and can be converted from one of the locked state and the unlocked state to the other by moving the pin in a straight line.

또한, 상기 캠의 회전 운동이 상기 핀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cam can be converted to linear motion of the pin.

또한, 상기 제2 외력이 가해질 수 있고,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잠금 해제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캠은 상기 잠금 해제 버튼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2 외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xternal force can be applied and further includes a lock release button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rotate the cam, and the cam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ck release button so that it can be rotated by receiving the second external force. there is.

또한, 상기 잠금 해제 버튼은 상기 제2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잠금 해제 버튼의 직선 운동이 상기 캠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nlock button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linearly in one direction by the second external force, and the linear movement of the unlock button can be converted into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cam.

또한, 상기 캠은,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잠금 해제 버튼과 연결되는 노브; 및 상기 회전부의 타측에 제공되어 상기 핀과 연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 includes a rotating part that rotates around a second rotating axis; a knob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unlock button; And it may include a head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pin.

또한, 상기 노브와 상기 잠금 해제 버튼은 상대회전 가능하게 상호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knob and the unlock button may be interconnected to enable relative rotation.

또한, 상기 헤드부와 상기 핀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상호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ead portion and the pin may be interconnected to enable relative rota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microwave oven including a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a cooking chamber; and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at selectively restricts the opening of the door.

또한, 상기 조리실을 제공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상기 제2 외력이 가해지도록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main body that provides the cooking compartment, and a portion of the door lock devic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는 의도치 않은 도어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icrowave oven including the same can prevent unintentional opening of the door.

또한, 도어가 안전약자에 의해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opened by someone with a safety weakness.

또한, 의도치 않은 도어의 개방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Additionally, safety accidents caused by unintentional opening of the door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 잠금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 모듈을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 모듈의 일부를 또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를 포함한 전자레인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자레인지 내부에 도어 잠금 장치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locking device of Figure 1;
FIG.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ing module of the door locking device of FIG. 1 from another side.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locking module of the door locking device of FIG. 1 from another side.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locking device of Figure 1.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unlocked state of the door lock device of FIG. 1.
Figure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icrowave oven including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lock device is disposed inside the microwave oven of FIG. 7.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측 방향은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측 방향은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이와 같은 상하 방향은 도면상 z축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측 방향과 하측 방향은 구성요소들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The upward direc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S. 1 and 2, and the downward direction refers to the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S. 1 and 2. Additionally, this vertical direction may be the direction in which the z-axis extends in the drawing. These upper and lower directions may be described as one side or the other of the components.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면 방향은 도 5 및 도 6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을 의미하고, 후면 방향은 도 5 및 도 6을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이와 같은 전후 방향은 도면상 x축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면 방향과 후면 방향은 구성요소들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front direc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left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S. 5 and 6, and the rear direction refers to th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S. 5 and 6. Additionally, this front-back direction may be the direction in which the x-axis extends in the drawing. These front and back directions may be described as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components.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좌측 방향은 도 5 및 도 6을 기준으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우측 방향은 도 5 및 도 6을 기준으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이와 같은 좌우 방향은 도면상 y축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은 구성요소들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eft direc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S. 5 and 6, and the right direction refers to the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S. 5 and 6. Additionally, this left and right direction may be the direction in which the y-axis extends in the drawing. Thes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described as one side or the other of the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 잠금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 모듈을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 모듈의 일부를 또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locking device of Figure 1, and Figure 3 is a locking module of the door locking device of Figure 1 from another side. It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locking module of the door lock device of FIG. 1 from another side, and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locking state of the door lock device of FIG. 1. It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unlocked state of the door lock device of FIG. 1.

본 빌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1)는 푸쉬형 도어에 적용되어, 도어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도어 잠금 장치(1)는 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가 해제된 잠금 해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푸쉬형 도어란 별도의 개폐 버튼이 가압됨으로써 개방될 수 있는 도어를 의미한다. 도어 잠금 장치(1)는 푸쉬형 도어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도어의 개폐 버튼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The door lock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ush-type door and can be understood as a device that selectively restricts the opening of the door. The door locking device 1 may have a locked state that restricts the opening of the door and an unlocked state in which the locked state is released. Here, a push-type door refers to a door that can be opened by pressing a separate open/close button. The door lock device 1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n/close button of the door to selectively control the opening of the push-type door.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잠금 장치(1)가 가전제품, 특히 전자레인지에 결합되어, 전자레인지의 도어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인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어 잠금 장치(1)는 전자레인지 이외의 가전제품에 적용될 수도 있고, 가전제품 이외의 제품에 구비되는 도어에 적용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door lock device 1 is coupled to a home appliance, particularly a microwave oven, and is a device that selectively controls the opening of the door of the microwave ove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door lock device 1 may be applied to home appliances other than microwave ovens, and may be applied to doors provided in products other than home appliances.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어 잠금 장치(1)는 제1 외력에 의해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일방향 이동 가능한 레버(10)와, 상기 레버(10)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잠금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모듈(100)은, 상기 레버(10)의 일방향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잠금 상태와, 상기 레버(10)의 일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잠금 해제 상태를 가질 수 있다.1 to 6, the door lock device 1 includes a lever 10 that can be moved in one direction to open the door by a first external force, and a locking module that can limit the one-way movement of the lever 10. It may include (100). The locking module 100 may have a locked state that disables one-way movement of the lever 10 and an unlocked state that allows one-way movement of the lever 10.

잠금 모듈(100)은, 배치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20)과, 레버(10)에 대한 상대 위치가 가변되어 잠금 모듈(100)을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시키는 핀(40)과, 잠금 모듈(100)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2 외력이 가해질 수 있는 잠금 해제 버튼(50)과, 잠금 해제 버튼(50)과 핀(40)을 연결하고 잠금 해제 버튼(50)에 가해지는 제2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레버(10)에 대한 핀(40)의 상대 위치를 변경시키는 캠(30)과, 제2 외력에 의해 위치가 변경된 잠금 해제 버튼(5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module 100 includes a housing 20 that provides an arrangement space, a pin 40 whose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ever 10 is variable and changes the locking module 100 from a locked state to an unlocked state, A locking button 50 on which a second external force can be applied to change the state of the locking module 100, a locking button 50 and a pin 40 are connected, and a force applied to the unlocking button 50 is connected. 2 A cam 30 that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to chang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pin 40 with respect to the lever 10, and an elastic member ( 60) may be included.

레버(10)는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제1 외력에 의해 일부가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10)는 제1 회전축(X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별도의 개폐 버튼에 후면 방향으로 가해지는 제1 외력을 전달 받아 제1 회전축(X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축(X1)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lever 10 may be partially moved in one direction by a first external force to open the door. Specifically, the lever 10 is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X1), and can be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X1) by receiving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rear direction to a separate open/close button. You can. At this time, the first rotation axis (X1) may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레버(10)는, 레버(10)를 개폐 버튼의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돌기(11)와, 제1 회전축(X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암(13)과, 회전암(13)의 타측에 제공되어 회전암(13)이 회전됨에 따라 도어의 후크를 가압하여 도어를 개방 가능하게 하는 가압부(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ver 10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11 that fixes the lever 10 to one side of the open/close button, a rotary arm 13 that rotates around the first rotation axis (X1), and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arm 13. It may include a pressing portion 15 that is provided to press the hook of the door as the rotary arm 13 rotates to enable the door to be opened.

고정돌기(11)는 도어의 개폐 버튼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암(13)이 회전될 수 있는 제1 회전축(X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11)는 회전암(13)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별도의 홈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개폐 버튼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11 can b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oor open/close button to form a first rotation axis (X1) around which the rotary arm 13 can be rotated. At this time, the fixing protrusion 11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rotary arm 13 and is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a separate groove,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n/close button.

회전암(13)은 제1 회전축(X1)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나, 핀(40)의 배치 상태에 따라, 제1 회전축(X1)에 대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The rotary arm 13 may be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X1, but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pin 40, rotation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가압부(15)는 회전암(13)의 타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레버(10)의 회전에 의해 후크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15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arm 13 and can pressurize the hook by rotating the lever 10. This allows the door to be opened.

하우징(20)은 캠(30), 핀(40) 및 잠금 해제 버튼(50)이 배치되는 배치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레버(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캠(30)은 하우징(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핀(40)은 그 일부가 하우징(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잠금 상태에서 핀(40)의 일부는 하우징(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레버(1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잠금 해제 버튼(5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일부가 하우징(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The housing 20 forms an arrangement space where the cam 30, the pin 40, and the lock release button 50 are disposed, and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lever 10. The cam 3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20, and a portion of the pin 4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20. In the locked state, a portion of the pin 4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0 and may be placed in a position to selectively limit the rotation of the lever 10. Additionally, a portion of the unlock button 50 may protrude outside the housing 20 so that i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이때, 하우징(20)은 상호 결합되는 제1 바디(20a)와 제2 바디(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0a)는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바디(20b)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20a)와 제2 바디(20b)는 바디 결합부(27)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바디(20a)와 제2 바디(20b)가 결합되어 배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0)이 제1 바디(20a)와 제2 바디(20b)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하우징(20)은 일체형의 하나의 바디로 제공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housing 20 may include a first body 20a and a second body 20b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body 20a may be plac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body 20b may be placed on the lower side. The first body 20a and the second body 20b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body coupling portion 27, and the first body 20a and the second body 20b may be combined to form an arrangement space. there is.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20 is shown as an example consisting of a first body 20a and a second body 20b,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housing 20 may be provided as an integrated body.

하우징(20)은 개폐 버튼의 타측에 고정되기 위한 하우징 결합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 결합부(25)는 하우징(2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개폐 버튼의 타측에 하우징(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The housing 20 may be provided with a housing coupling portion 25 to be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open/close button.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25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0 and can couple the housing 20 to the other side of the open/close button for opening the door. At this time, separate coupling members such as bolts and nuts may be used.

한편, 하우징(20)은 후술할 잠금 해제 버튼(5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부(23)는 하우징(2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잠금 해제 버튼(50)의 샤프트(53)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부(23)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서 샤프트(53)가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부(23)는 일측에 탄성부재(60)가 안착될 수 있는 걸림턱(231)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housing 2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23 that can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lock release button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guide portion 23 may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and provide a path along which the shaft 53 of the lock release button 50 moves. The shaft 53 can move linearly in one direction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guide portion 23. The guide unit 23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231 on one side on which the elastic member 60 can be seated.

한편, 핀(40)은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제1 외력에 의해 레버(10)가 회전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1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제1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핀(40)은 레버(10)에 대해 상대 이동되어 레버(10)에 대한 상대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레버(1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잠금 상태에서, 핀(40)은 레버(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핀(40)은 캠(30)을 통해 잠금 해제 버튼(50)에 가해지는 제2 외력을 전달받아 일시적으로 레버(1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 잠금 장치(1)가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제2 외력이 유지되는 경우 잠금 해제 상태가 지속될 수 있으며, 가해졌던 제2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잠금 해제 상태가 잠금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Meanwhile, the pin 40 can selectively limit the rotation of the lever 10 by a first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o open the door. Specifically, the lever 10 may be rotated by a first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pin 40 may be moved relative to the lever 10 to change its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ever 10, thereby changing the lever ( 10) The rotation can be selectively restricted. In the locked state, the pin 40 may be placed in a position to limit rotation of the lever 10. Additionally, the pin 40 may be temporarily moved to a position that allows rotation of the lever 10 by receiving a second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lock release button 50 through the cam 30. Thereby, the door lock device 1 can be converted to the unlocked state. At this time, if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maintained, the unlocked state may continue, and if the applied second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unlocked state may be converted to a locked state.

구체적으로, 핀(40)은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이러한 핀(40)의 일방향 이동에 의해 잠금 모듈(100)은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변환될 수 있다. 핀(40)의 일방향 이동은 잠금 해제 버튼(50)에 가해지는 제2 외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핀(40)은 캠(30)을 통해 잠금 해제 버튼(50)과 연결됨으로써, 잠금 해제 버튼(50)에 가해지는 제2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핀(40)이 이동되는 일방향은 좌우 방향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pin 40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linearly in one direction, and by moving the pin 40 in one direction, the locking module 100 can be converted from one of the locked state and the unlocked state to the other. One-way movement of the pin 40 may be achieved by a second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lock release button 50. At this time, the pin 40 is connected to the unlock button 50 through the cam 30 and can be moved linearly in one direction by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unlock button 50. At this time, one direction in which the pin 40 moves may be left or right.

핀(40)은 제2 외력에 의해 제2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방향으로 제2 외력이 가해지면, 핀(40)은 레버(10)로부터 멀어지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될 수 있고, 가해졌던 제2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핀(40)은 레버(10)와 가까워지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The pin 40 may be moved by the second external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Specifically, when a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left direction, the pin 40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away from the lever 10 and can be convert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and when the applied second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pin 40 may be moved in the left direction closer to the lever 10 and converted from the unlocked state to the locked state.

잠금 해제 버튼(50)은 핀(40)을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2 외력이 가해지는 구성이다. 잠금 해제 버튼(50)은 하우징(20)의 일측에 제공되어, 어느 일부는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하우징(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unlock button 50 is configured to apply a second external force to change the pin 40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The lock release button 5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20, so that some parts may be placed inside the housing 20 and other parts may be placed outside the housing 20.

잠금 해제 버튼(50)은, 제2 외력이 가해질 수 있는 버튼부(51)와, 버튼부(51)의 일측에 제공되어 버튼부(51)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53)와, 버튼부(51)의 타측에 제공되어 캠(30)과 연결되는 노브 고정부(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unlock button 50 includes a button portion 51 to which a second external force can be applied, a shaft 5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utton portion 51 and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51, and a button It may include a knob fixing part 55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rt 51 and connected to the cam 30.

버튼부(51)는 하우징(20)의 홀(미도시)에 결합되어 좌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제2 외력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외력에 의해 잠금 해제 버튼(50)은 좌측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버튼부(51)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53)는 가이드부(23)를 따라 좌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가이드부(23)의 걸림턱(231)과 버튼부(51)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60)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51)로부터 연장되는 노브 고정부(55)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캠(30)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잠금 해제 버튼(50)의 직선 운동이 캠(3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The button portion 51 may be coupled to a hole (not shown) of the housing 20 and pressed by a second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left direction. Due to this second external force, the unlock button 50 may be moved linearly to the lef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is time, the shaft 53 extending from the button portion 51 can be moved in the left direction along the guide portion 23 and is disposed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231 of the guide portion 23 and the button portion 51. The elastic member 6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Additionally, the knob fixing part 55 extending from the button part 51 can be moved in the left direction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rotate the cam 30. Accordingly, the linear movement of the lock release button 50 can be converted into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cam 30.

캠(30)은 노브 고정부(55)를 통해 잠금 해제 버튼(50)과 연결되어 잠금 해제 버튼(50)에 가해지는 제2 외력을 전달받아 제2 회전축(X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cam 30 is connected to the lock release button 50 through the knob fixing part 55 and can rotate around the second rotation axis (X2) by receiving a second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lock release button 50. .

캠(30)은 잠금 해제 버튼(50)과 핀(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잠금 해제 버튼(50)의 캠(30)의 일측에 배치되고, 핀(40)은 캠(3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캠(30)은 잠금 해제 버튼(50)과 핀(40) 사이에 배치되어, 잠금 해제 버튼(50)의 직선 운동을 캠(3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고, 다시 캠(30)의 회전 운동을 핀(4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캠(30)의 회전에 의해, 캠(30)은 일방향의 제2 외력을 제2 외력과는 다른 타방향의 힘으로 변환하여 핀(4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캠(30)은 좌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제2 외력을 잠금 해제 버튼(50)으로부터 전달받아, 회전을 통해 이를 제2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우측 방향의 힘으로 변환하여 핀(40)에게 전달함으로써, 핀(40)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cam 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nlock button 50 and the pin 40, and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m 30 of the unlock button 50, and the pin 40 is disposed between the cam 30 and the unlock button 50. It can be placed on the other side of . The cam 30 is disposed between the unlock button 50 and the pin 40 to convert the linear motion of the unlock button 50 into a rotary motion of the cam 30, which in turn converts the linear motion of the unlock button 50 into a rotary motion of the cam 30. can be converted into a linear motion of the pin 40. By rotating the cam 30, the cam 30 can convert the second external force in one direction into a force in another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econd external force and transmit it to the pin 40. That is, the cam 30 receives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ock release button 50, converts it through rotation into a force in the right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pins ( By transmitting it to 40), the pin 40 can be moved to the right.

구체적으로, 캠(30)은, 제2 회전축(X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부(31)와, 회전부(31)의 일측에 제공되어 잠금 해제 버튼(50)과 연결되는 노브(33)와, 회전부(31)의 타측에 제공되어 핀(40)과 연결되는 헤드부(35)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am 30 includes a rotating part 31 rotatable about a second rotating axis X2, a knob 3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part 31 and connected to the unlock button 50, It may include a head portion 35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ortion 31 and connected to the pin 40.

회전부(31)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제2 회전축(X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노브(33)는 회전부(31)의 일측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되고, 헤드부(35)는 회전부(31)의 타측 외주연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브(33)와 헤드부(35)는 제2 회전축(X2)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위칭에 배치될 수 있다.The rotating part 31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and may be rotated about the second rotation axis (X2). At this time, the knob 33 may exten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one side of the rotating part 31, and the head part 35 may exten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art 31. Specifically, the knob 33 and the head portion 35 may be disposed in opposite positions around the second rotation axis X2.

회전부(31)의 일측에 제공되는 노브(33)는 잠금 해제 버튼(50)의 노브 고정부(5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노브(33)와 노브 고정부(55)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캠(30)은 노브(33) 및 노브 고정부(55)를 통해 잠금 해제 버튼(50)에 가해지는 제2 외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노브(33)는 이러한 제2 외력에 의해 잠금 해제 버튼(50)으로부터 캠(30)이 회전되는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잠금 해제 버튼(50)의 직선 운동이 캠(3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The knob 3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unit 31 may be coupled to the knob fixing part 55 of the lock release button 50. At this time, the knob 33 and the knob fixing part 55 may be coupled to enable relative rotation. The cam 30 can receive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unlock button 50 through the knob 33 and the knob fixing part 55. The knob 33 may receive rotational force that causes the cam 30 to rotate from the lock release button 50 by this second external force. There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lock release button 50 can be converted in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am 30.

회전부(31)의 타측에 제공되는 헤드부(35)는 핀(40)의 돌출부(45)에 결합될 수 있고, 회전부(31)가 회전됨에 따라 핀(40)의 일방향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헤드부(35)와 돌출부(45)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31)의 회전에 의해 핀(40)의 직선 이동될 수 있고, 캠(30)의 회전 운동이 핀(4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The head portion 35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ortion 31 may be coupled to the protruding portion 45 of the pin 40, and allows the pin 40 to move in a straight line in one direction as the rotating portion 31 rotates. . At this time, the head portion 35 and the protrusion 45 may be coupled to enable relative rotation. The pin 40 may be moved linearly by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31,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am 30 may be converted into a linear movement of the pin 40.

예를 들어, 잠금 해제 버튼(50)에 좌측 방향의 제2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노브(33)는 제2 외력을 전달받아 좌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좌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노브(33)와 연결된 회전부(31)가 제2 회전축(X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31)는 도 5 및 도 6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31)가 회전되면, 회전부(31)의 타측에 제공되는 헤드부(35)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핀(4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핀(40)의 이동에 의해 도어 잠금 장치(1)는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second external force in the left direction is applied to the unlock button 50, the knob 33 may be pressed in the left direction by receiving the second external force and moved in the left direction. As a result, the rotating part 31 connected to the knob 33 can be rotated around the second rotating axis X2. At this time, the rotating part 31 may be rotated counterclockwise based on FIGS. 5 and 6 . Additionally, when the rotary part 31 is rotated, the head part 35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part 31 is moved to the right to move the pin 40. By moving the pin 40, the door lock device 1 can be convert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핀(40)은, 레버(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부재(41)와, 제한부재(41)의 일측에 제공되어 캠(30)과 연결되는 연결부(43)와, 연결부(43)의 일측에 제공되어 캠(30)의 헤드부(35)에 결합되는 돌출부(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n 40 includes a limiting member 41 that limits the rotation of the lever 10, a connecting portion 4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miting member 41 and connected to the cam 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43. It may include a protrusion 45 provided on one side and coupled to the head portion 35 of the cam 30.

제한부재(41)는 원형 단면의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우징(20)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통해 그 일부가 하우징(20)의 내부 및 외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한부재(41)가 관통되는 하우징(20)의 홀이 제2 바디(20b)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limiting member 41 may have a pillar shape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portion of it may be moved from one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ing 20 to the other through a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housing 20. In this embodiment, the hole of the housing 20 through which the limiting member 41 passes is shown as being formed in the second body 20b,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제한부재(4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연장되느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다.Specifically, the limiting member 41 can be arranged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can move linearly in the extending direction.

연결부(43)는 제한부재(41)로부터 캠(3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43)는 제한부재(41)보다 큰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43)가 사각 단면을 가지는 것을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onnection portion 43 may extend from the limiting member 4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 30 is disposed.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43 may have a larger cross section than the limiting member 41. In this embodiment, it is shown as an example that the connection portion 43 has a square cross-section,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돌출부(45)는 연결부(43)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로서 제공될 수 있고, 캠(30)의 헤드부(35)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45)와 헤드부(35)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protrusion 45 may be provided as a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43 and may be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35 of the cam 30. At this time, the protrusion 45 and the head portion 35 may be connected to enable relative rota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외력에 의해 회전부(31)가 회전되는 경우, 헤드부(35)는 제2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핀(40)에 힘을 가하여, 핀(40)을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캠(30)의 회전 운동이 핀(4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tating part 31 is rotated by the second external force, the head part 35 applies force to the pin 4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can be moved in a straight line. There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am 30 can be converted in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pin 40.

탄성부재(60)는 제2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된 잠금 해제 버튼(5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샤프트(53)의 외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60)는 버튼부(51)의 내측면과 가이드부(23)의 걸림턱(2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60 is a component for restoring the unlock button 50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being pressed and moved by a second external force, and may be dispos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aft 53.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51 and the locking protrusion 231 of the guide portion 23, and may be elastically deformed by a second external force.

구체적으로, 제2 외력이 가해져 잠금 해제 버튼(50)이 좌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경우, 버튼부(51)와 걸림턱(23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탄성부재(60)가 압축될 수 있다. 잠금 해제 버튼(50)에 제2 외력이 가해져 탄성부재(60)가 압축된 상태가 잠금 해제 상태일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he lock release button 50 moves straight to the left, the gap between the button portion 51 and the locking step 231 may be narrowed, thereby reducing the elastic member 60. can be compressed. A state in which a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unlock button 50 and the elastic member 60 is compressed may be in an unlocked state.

한편, 잠금 해제 버튼(50)에 가해졌던 제2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부재(60)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 해제 버튼(50)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제2 외력이 해제되어 탄성부재(60)가 복원된 상태가 잠금 상태일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unlock button 50 is released, the unlock button 50 is moved to the right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0 and returns to the position before the second external force was applied. You ca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released and the elastic member 60 is restored may be in a locked state.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60)에 의해 잠금 해제 버튼(50)이 원위치로 복원됨으로써, 잠금 모듈(100)이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해제 버튼(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잠금 모듈(100)이 잠금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외력이 유지되어야만 잠금 해제 상태가 지속될 수 있다. 즉,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잠금 해제 버튼(50)에 가해지는 제2 외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도어 개폐 버튼에 제1 외력을 가해야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unlock button 5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member 60, so that the lock module 100 can be converted from the unlocked state to the locked state. Accordingly,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unlock button 50, the lock module 100 may be maintained in a locked state. Additionally, the unlocked state can be continued only if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maintained. That is, in order to open the door, a first external force must be applied to the door open/close button while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unlock button 50 is maintained.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door lock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도어 잠금 장치(1)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을 경우, 도어 잠금 장치(1)는 잠금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잠금 상태에서, 핀(40)의 제한부재(41)는 레버(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First,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oor locking device 1, the door locking device 1 may be in a locked state. In this locked state, the limiting member 41 of the pin 40 may be placed in a position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ever 10.

닫혀있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제2 외력과 제1 외력이 순차적으로 가해질 수 있다.In order to open a closed door, the second external force and the first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sequentially.

우선, 사용자는 도어 잠금 장치(1)를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해, 잠금 해제 버튼(50)에 제2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잠금 해제 버튼(50)은 제2 외력이 가해지는 좌측 방향 즉, 하우징(20)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20)의 걸림턱(231)과 잠금 해제 버튼(50)의 버튼부(51)의 간격이 좁혀지므로, 걸림턱(231)과 버튼부(51)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60)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해제 버튼(50)의 직선 이동에 의해 잠금 해제 버튼(50)이 캠(30)의 노브(33)를 가압하여 캠(3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š, 잠금 해제 버튼(50)의 노브 고정부(55)와 캠(30)의 노브(33)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캠(30)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잠금 해제 버튼(50)의 직선 운동이 캠(3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First, the user may apply a second external force to the unlock button 50 to change the door lock device 1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The lock release button 50 may be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left direction, that i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20, where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At this time, since the gap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231 of the housing 20 and the button portion 51 of the lock release button 50 is narrowed, the elastic member 60 disposed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231 and the button portion 51 )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moving the lock release button 50 in a straight line, the lock release button 50 can press the knob 33 of the cam 30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cam 30. In this case, the knob fixing part 55 of the lock release button 50 and the knob 33 of the cam 30 are connected to enable relative rotation, so that the cam 30 can be rotated. Accordingly, the linear motion of the lock release button 50 can be converted into a rotational motion of the cam 30.

이때, 캠(30)은 잠금 해제 버튼(50)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될 수 있다. 캠(30)은 제2 회전축(X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및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캠(30)은 도 5 및 도 6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31)의 일측에 제공되는 노브(33)는 제2 외력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회전부(31)를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부(31)의 타측에 제공되는 헤드부(35)는 회전부(31)의 회전에 의해 핀(40)을 제2 외력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m 30 may be rotated by being pressed by the lock release button 50. The cam 30 may rotate about the second rotation axis X2 in either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or a clockwis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cam 30 may rotate counterclockwise based on FIGS. 5 and 6 . Specifically, the knob 3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part 31 can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xternal force to rotate the rotating part 31, and the head part 35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art 31 is By rotating the rotating part 31, the pin 40 can be pres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xternal force.

핀(40)의 연결부(43)와 캠(30)의 헤드부(35)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핀(40)은 제2 외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즉, 좌측 방향의 제2 외력에 의해 핀(40)이 우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캠(30)의 회전 운동이 핀(4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Since the connection portion 43 of the pin 40 and the head portion 35 of the cam 30 are connected to enable relative rotation, the pin 40 can be moved linearl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external force. That is, the pin 40 can be moved linearly in the right direction by the second external force in the left direction. Accordingl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am 30 can be converted in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pin 40.

제2 외력에 의한 핀(40)의 직선 운동에 의해 핀(40)이 하우징(20)의 내측을 향해 이동됨으로써, 제한부재(41)는 레버(10)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잠금 장치(1)는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As the pin 40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20 due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pin 40 by the second external force, the limiting member 41 may be placed in a position that does not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lever 10. You can. Accordingly, the door lock device 1 can be converted to the unlocked state.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잠금 해제 버튼(50)에 제2 외력을 가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In order to maintain the unlocked state, the user may maintain the state of applying a second external force to the unlocked button 50.

이러한 제2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레버(10)에 제1 외력을 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별도의 개폐 버튼에 제1 외력을 가할 수 있고, 레버(10)는 이러한 제1 외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개폐 버튼이 생략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레버(10)에 제1 외력을 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 state where this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user can apply the first external force to the lever 10. More specifically, the user can apply a first external force to a separate open/close button, and the lever 10 can receive this first external force.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f the open/close button is omitted, the user may directly apply the first external force to the lever 10.

잠금 해제 상태에서 레버(10)는 제1 회전축(X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바, 레버(10)는 제1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In the unlocked state, the lever 10 can rotate around the first rotation axis X1, and the lever 10 can be rotated by a first external force to open the door.

도어가 개방되고 다시 폐쇄된 후, 사용자는 잠금 해제 버튼(50)에 가해진 외력을 해제하여 도어 잠금 장치(1)를 잠금 해제 상태로부터 잠금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60)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 해제 버튼(50)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캠(30)은 제2 회전축(X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및 시계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캠(30)은 도 5 및 도 6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 해제 버튼(5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노브(33)는 제2 외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회전부(31)를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부(31)의 타측에 제공되는 헤드부(35)는 회전부(31)의 회전에 의해 핀(40)을 제2 외력의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After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gain, the user can releas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unlock button 50 to convert the door lock device 1 from the unlocked state to the locked state. Specifically, the lock release button 50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0, and thereby the cam 30 may be rotated in one of the counterclockwise and clockwise directions around the second rotation axis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cam 30 may rotate clockwise with respect to FIGS. 5 and 6 . Specifically, as the lock release button 5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knob 33 is pres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external force to rotate the rotary part 31, and the head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ry part 31 (35) can pressurize the pin 40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xternal force by rotating the rotating part 31.

이에 의해, 핀(40)이 제2 외력의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어, 제한부재(41)가 레버(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잠금 장치(1)는 잠금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pin 40 can be moved linearly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xternal force, and the limiting member 41 can be placed at a position that limits the rotation of the lever 10. Accordingly, the door lock device 1 can be converted to a locked state.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1)는 두가지 외력에 의해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바, 도어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2차적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 door lock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open the door by two external forces, prevents the door from being opened unintentionally, and prevents secondary damage that may occur thereby.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1)를 포함한 전자레인지(700)에 대해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microwave oven 700 including a door lock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를 포함한 전자레인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전자레인지 내부에 도어 잠금 장치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icrowave oven including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lock device is disposed inside the microwave oven of FIG. 7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자레인지(700)는 본체(710)와 도어(720)와 컨트롤 패널(730)과 도어(720)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 버튼(735) 및 도어(720)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도어 잠금 장치(1)를 포함할 수 있다.7 and 8, the microwave oven 700 includes a main body 710, a door 720, a control panel 730, an open/close button 735 for opening the door 720, and a door 720. It may include a door locking device (1) that selectively restricts opening.

본체(71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본체(710)의 내부에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711)과 도어 잠금 장치(1)가 배치되는 부품실(713)이 구비될 수 있다. 부품실(713)에는 도어 잠금 장치(1)뿐만 아니라, 조리실(711)로 마이크로파를 가하기 위한 마그네트론 등을 포함한 전장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body 710 forms an internal space, and may be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711 in which food is cooked and a parts room 713 in which the door lock device 1 is disposed. In the parts room 713, not only the door lock device 1 but also an electrical unit (not shown) including a magnetron for applying microwaves to the cooking room 711 may be disposed.

본체(710)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 상자의 형태를 가지며, 개방된 전면의 일측은 도어(7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고, 개방된 전면의 타측은 컨트롤 패널(73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The main body 710 has the shape of a square box with an open front, one side of the open front can be selectively shielded by the door 720, and the other side of the open front can be closed by the control panel 730. You can.

도어(720)는 본체(710)의 전면 일측에 제공되어, 본체(710)에 구비되는 조리실(711)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720)는 본체(710)의 전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조리실(711)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밀폐시킬수 있다. 이때, 도어(720)는 컨트롤 패널(730)에 제공되는 개폐 버튼(735)의 작동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 버튼(735)에 가해지는 제1 외력에 의해 개폐 버튼(735)이 도어 잠금 장치(1)의 레버(10)를 가압하여 회전시킬으로서, 도어(720)가 개방될 수 있다.The door 720 is provided on on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710 to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711 provided in the main body 710. The door 720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710, and can rotate to expose or seal the cooking chamber 711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door 720 can be opened by operating the open/close button 735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730. Specifically, the open/close button 735 presses and rotates the lever 10 of the door lock device 1 by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n/close button 735, so that the door 720 can be opened.

컨트롤 패널(730)은 본체(710)의 전면 타측에 제공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제공되며, 전자레인지(700)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고, 전자레인지(700)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730 is provided on the oth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710 to be operated by the user, receives signals for operating the microwave oven 700, and provides information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microwave oven 700. can be output.

구체적으로, 컨트롤 패널(730)은, 조리실(711) 내부에서의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731)와, 조리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733)와, 도어(720)의 개방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개폐 버튼(735)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panel 730 includes an input unit 731 that receives a signal for cooking food inside the cooking chamber 711, an output unit 733 that outputs information about cooking, and a door 720. It may include an open/close button 735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to open.

입력부(731)는 사용자가 전자레인지(700)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키, 다이얼 노브 및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731)를 통해 조리물의 종류, 작동 시간, 출력 강도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731)는 전자레인지(7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연동될 수 있고, 제어부는 입력부(731)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전자레인지(7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input unit 731 may include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 dial knob, and a touch pad for the user to input signals for operating the microwave oven 700. The user can input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food, operating time, output intensity, etc. through the input unit 731. This input unit 731 may be linked with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icrowave oven 700,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icrowave oven 700 according to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unit 731.

출력부(733)는 조리실(711) 내부에서의 조리물의 조리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정보를 표시 출력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와 정보를 소리로 출력 가능한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733 is capable of outputt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cooking of food inside the cooking chamber 711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a speaker capable of outputting information as sound.

구체적으로, 출력부(733)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조리물의 종류, 조리물의 조리 상태, 남은 작동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는 조리의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 등의 정보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utput unit 733 may display and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food, the cooking state of the food, the remaining operating time, etc. through the display unit. Additionally, the speaker can output information such as the start and end time of cooking as sound.

개폐 버튼(735)은 도어(720)를 개방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일방향으로 가압되어 일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개폐 버튼(735)의 일방향 이동에 의해 개폐 버튼(735)은 도어 잠금 장치(1)의 레버(10)를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방향이란 후면 방향일 수 있다.The open/close button 735 is a component tha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to open the door 720, and can be pressed in one direction and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one direction. At this time, the open/close button 735 can press the lever 10 of the door lock device 1 by moving the open/close button 735 in one direction. Here, one direction may be the rear direction.

다만, 이러한 도어(720)의 개방은 잠금 해제 버튼(50)에 제2 외력이 가해진 잠금 해제 상태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잠금 상태에서는 개폐 버튼(735)에 제1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레버(10)의 회전이 불가능한 바 도어(720)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잠금 해제 버튼(50)을 누른 상태에서 개폐 버튼(735)을 누름으로써, 도어(720)를 개방시킬 수 있다.However, opening of the door 720 can only be done in an unlocked state in which a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unlock button 50, and in the locked state, even if a first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pen/close button 735, the lever 10 The bar door 720, which cannot be rotated, is not opened. Accordingly, the user can open the door 720 by pressing the open/close button 735 while pressing the unlock button 50.

한편, 도어 잠금 장치(1)는 본체(710)에 마련되는 부품실(713)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10)는 고정돌기(11)에 의해 부품실(713)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20)은 하우징 결합부(25)에 의해 부품실(713)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레버(10)가 개폐 버튼(735)에 가해지는 외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레버(10)는 개폐 버튼(735)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door locking device 1 may be placed in the parts room 713 provided in the main body 710. The lever 1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parts room 713 by the fixing protrusion 11, and the housing 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parts room 713 by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25. It can be. At this time, the lever 10 may be placed adjacent to the open/close button 735 so that the lever 10 can receiv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n/close button 735 .

구체적으로, 도어 잠금 장치(1)는 잠금 해제 버튼(50)이 본체(7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잠금 해제 버튼(50)에 제2 외력이 가해지면 캠(30)의 회전에 의해 핀(40)이 직선 이동되어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제2 외력이 유지되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 사용자는 개폐 버튼(735)에 제1 외력을 가하여 도어(720)를 개방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door lock device 1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 where the unlock button 5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710 and can be operated by the user. When a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unlock button 50 by the user, the pin 40 moves in a straight line due to the rotation of the cam 30, thereby converting the locked state into the unlocked state. In the unlocked state in which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maintained, the user can open the door 720 by applying the first external force to the open/close button 73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1)를 포함한 전자레인지(700)는, 도어 잠금 장치(1)에 의해 도어(720)의 개방이 선택적으로 제한되는 바, 의도치 않게 도어(72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microwave oven 700 including the door lock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of the door 720 is selectively restricted by the door lock device 1, and the door 720 is unintentionally opened. ) can be prevented from opening.

또한, 잠금 해제 버튼(50)을 누른 상태에서 개폐 버튼(735)을 눌러 도어(720)를 개방 가능하게 하는 바, 어린이 등의 안전약자에 의해 도어(720)가 개방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oor 720 can be opened by pressing the open/close button 735 while pressing the unlock button 50,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door 720 being opened by children or other vulnerable persons. There is an advantage to being able to do this.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door lock device and the microwave oven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as specific embodiments,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limited to the widest scope following the basic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combine and substitute the disclosed embodiments to implement embodiments not specified, but this also does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or modify the embodiments disclosed based o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t is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도어 잠금 장치
10 : 레버
20 : 하우징
30 : 캠
40 : 핀
50 : 잠금 해제 버튼
60 : 탄성부재
700 : 전자레인지
710 : 본체
720 : 도어
730 : 컨트롤 패널
1: Door lock
10: lever
20: housing
30: Cam
40: pin
50: unlock button
60: elastic member
700: Microwave
710: main body
720: door
730: Control panel

Claims (8)

도어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외부에서 가해지는 제1 외력에 의해 일방향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일방향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 상태 및 상기 레버의 일방향 이동이 가능한 잠금 해제 상태를 갖는 잠금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모듈은,
상기 레버의 일방향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핀;
상기 잠금 모듈이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되도록 제2 외력이 가해질 수 있는 잠금 해제 버튼; 및
상기 잠금 해제 버튼에 가해지는 상기 제2 외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버에 대해 상대 이동되어, 상기 잠금 모듈이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되는
도어 잠금 장치.
In the door locking device that selectively restricts the opening of the door,
a lever provided to move in one direction by a first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o open the door; and
A locking module having a locked state in which one-way movement of the lever is not possible and an unlocked state that allows one-way movement of the lever,
The locking module is,
a pin that selectively limits one-directional movement of the lever;
an unlock button on which a second external force can be applied to convert the lock module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and
and a cam rotatable by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unlock button,
The pin is moved relative to the lever by rotation of the cam, such that the lock module is convert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Door loc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된 잠금 모듈이 잠금 모듈로 변환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외력이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잠금 해제 상태가 지속되고,
상기 제2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잠금 모듈은 상기 잠금 해제 상태에서 상기 잠금 상태로 변환되는
도어 잠금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locking module convert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by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converted into a locking module,
If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maintained, the unlocked state continues,
When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lock module is converted from the unlocked state to the locked state.
Door loc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핀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잠금 모듈이 상기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해제 상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변환되되,
상기 캠의 회전 운동이 상기 핀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는
도어 잠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in can move straight in one direction,
The locking module is converted from one of the locked state and the unlocked state to the other by linear movement of the pin,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cam is converted into linear motion of the pin.
Door loc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제2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어 잠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in is moved by the second external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Door loc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버튼은 상기 제2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잠금 해제 버튼의 직선 운동이 상기 캠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는
도어 잠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unlock button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linearly in one direction by the second external force,
The linear motion of the unlock button is converted into a rotary motion of the cam.
Door loc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잠금 해제 버튼과 연결되는 노브; 및
상기 회전부의 타측에 제공되어 상기 핀과 연결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m is,
a rotating part rotating around a second rotating axis;
a knob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unlock button; and
A head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pin.
Door lock.
조리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 버튼; 및
상기 도어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버튼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제공되고,
상기 잠금 해제 버튼은 상기 본체의 측면에 제공되는
전자레인지.
a main body forming a galley;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galley;
An open/close button for opening the door; and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at selectively restricts the opening of the door,
The open/close button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The unlock button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Microwav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버튼에 상기 제2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개폐 버튼에 상기 제1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전자레인지.

According to clause 7,
The door is opened by applying the first external force to the open/close button while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unlock button.
Microwave.

KR1020220089293A 2022-07-20 2022-07-20 Door locking device and microwave oven including the same KR202400119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293A KR20240011969A (en) 2022-07-20 2022-07-20 Door locking device and microwave oven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293A KR20240011969A (en) 2022-07-20 2022-07-20 Door locking device and microwave oven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969A true KR20240011969A (en) 2024-01-29

Family

ID=8971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293A KR20240011969A (en) 2022-07-20 2022-07-20 Door locking device and microwave oven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96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018B1 (en) 2002-03-18 2008-08-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Door opening device for microwave ov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018B1 (en) 2002-03-18 2008-08-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Door opening device for microwave ov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0288B1 (en) Cooking apparatus
US6333495B1 (en) Safety device for a microwave oven
US10829953B2 (en) Damped closure assembly for a microwave oven
KR20240011969A (en) Door locking device and microwave oven including the same
KR102159312B1 (en) Handle assembly for Door lock
KR20230146200A (en) Door locking device and microwave oven including the same
US6852961B2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switch attachment mechansm capable of covering at least one switch from outside
KR100285840B1 (en) Microwave Door Locking Device
US20230337338A1 (en) Microwave oven child resistant door
JP2015213692A (en) Heating apparatus
CN216921727U (en) Locking assembly and cooking utensil
CN116378513A (en) Cooking apparatus
CN217233135U (en) Control box subassembly and cooking utensil
CN216628274U (en) Microwave oven
JP4518550B2 (en) Switch guard
KR100531372B1 (en) Latch & latchboard in microwave
CN220417399U (en) Cooking equipment
CN220984381U (en) Novel safety button mechanism and cooking appliance that opens door
KR20230139272A (en) Cooking appliance
KR100277983B1 (en) Microwave Oven Door Key Switch Mechanism
KR20230105247A (en) Cooking appliance
KR200162052Y1 (en) Apparatus for locking the door of a microwave oven
KR200172929Y1 (en) Apparatus for opening/shutting door for home appliances
KR200479526Y1 (en) Door Lock Apparatus
KR20230139745A (en) Cook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