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915A - 두피관리기 - Google Patents

두피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915A
KR20240011915A KR1020220088881A KR20220088881A KR20240011915A KR 20240011915 A KR20240011915 A KR 20240011915A KR 1020220088881 A KR1020220088881 A KR 1020220088881A KR 20220088881 A KR20220088881 A KR 20220088881A KR 20240011915 A KR20240011915 A KR 20240011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p
stimulation current
bas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이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근 filed Critical 이성근
Priority to KR102022008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915A/ko
Publication of KR20240011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moting growth of cells, e.g. bone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61N5/0617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ell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피관리기본체(100)와 두피관리기헤드(200)로 구성된 두피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제1인쇄회로기판(220)를 사이에 두고 빗살대(231b,232b)를 갖춘 제1·2전극체(231,232)가 샌드위치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쉬우면서도 구조도 단순해 제작이 용이한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두피관리기{Scalp care device}
본 발명은 두피를 전기적으로 자극해 노폐물 배출, 모낭 내 피지 및 각질제거, 모근 강화, 두피로의 영양분 흡수 촉진 등의 두피케어 및 모발을 쉽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두피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두피는 머리 부위를 덮고 있는 피부로, 남성 호르몬의 활성화, 피지 과다 생성, 과산화지질생성, 난포의 혈액순환 감퇴 및 스트레스 등으로 손상이 쉽게 일어난다.
이러한 두피손상은 일반적으로 탈모증, 모발 손실, 가는 모발, 비듬 및 두피 가려움 등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두피손상의 다양한 원인이 밝혀짐에 따라서 각 원인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도 달라지고, 이에 부합하는 치료법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두피 마사지를 통하여 두피 건강을 개선하고 치료하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일 예로, 피부에 갈바닉 전기 자극을 발생시켜, 피부의 혈액 촉진과 모공 확장을 통해 노폐물의 분리를 촉진함과 동시에 피부에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는 각종 화장수(액상 또는 점액질)의 피부 흡수 효과를 증대시켜 피부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갈바닉 마사지기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갈바닉 관리의 효과로서는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피부 조직을 따뜻하게 하며, 이완과 진정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음극 이온에서는 알칼리 반응이 생성되고, 양극 이온에서는 산성반응이 생성되어 혈액순환과 림프 순환 촉진 및 세포의 신진대사를 향상시킴은 물론 세포 재생능력을 향상시켜 피부 조직에 영양공급과 산소공급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노폐물이 신속히 제거되고, 감각 신경 종말을 자극하여 신경전달력을 촉진시키게 된다.
상기 갈바닉 관리의 효과를 이용한 갈바닉 마사지기에 사용되는 화장수로는 액상의 피부보습제와, 크림 형태의 각종 기능성 화장품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사용자들은 자신의 체질과 두피 상태에 따라 적절한 제품을 선택하여 두피(또는 피부)를 관리하고 있다.
상기 갈바닉을 이용한 두피 치료기(마사지기)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5481호가 있으며, 여기에는 갈바닉과 광(光) 치료를 통해 두피질환을 개선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두피 치료기는 그 구성이 상당히 복잡하고, 특히 두피(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제1인쇄회로기판 간에 도선연결작업을 각각 개별적으로 진행해야 했기 때문에 구성 간에 조립이 상당히 번거롭고 어려운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5481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081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단순해 제작이 용이하고, 별도의 전기적인 도선연결작업이 불요해 조립이 매우 쉬운 두피관리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를 갖춘 본체케이스와,
본체케이스에 설치되어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유닛과,
본체케이스에 내설되어 두피자극전류를 생성하는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와,
본체케이스에 내설되어 입력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두피관리기본체;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제1살대인출부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제1커버와,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와 제1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로부터 두피자극전류를 공급받으며, 외주면을 따라 절개부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1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살대인출부 및 절개부와 상호 연통되는 살대결합부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베이스와, 살대결합부 사이에 배치되며 베이스로부터 제1커버를 향해 연장되어 제1살대인출부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빗살대로 구성되어 두피를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제1전극체,
제1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제1커버를 향해 연장되어 외면이 살대결합부와 서로 접촉되지 않게 절개부 및 살대결합부를 관통해 제1살대인출부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빗살대로 구성되어 두피를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제2전극체로 이루어진 제1두피자극전류 출력유닛으로 구성된 두피관리기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케이스에 내설되어 두피자극전류를 생성하는 제2두피자극전류발진자가 보강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제2두피자극전류발진자에서 생성한 두피자극전류가 제1인쇄회로기판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2두피자극전류발진자를 동작제어하며;
상기 제1커버에는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복수의 제2살대인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제1커버를 향해 연장되어 외면이 제1전극체와 접촉되지 않게 제1전극체를 관통해 제2살대인출부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빗살대로 구성되어 두피를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제3전극체와,
상기 제3전극체의 베이스와 상호 대향되게 이격배치되며, 제1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제1커버를 향해 연장되어 외면이 제1전극체와 접촉되지 않게 제1전극체를 관통해 제2살대인출부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빗살대로 구성되어 두피를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제4전극체로 이루어진 제2두피자극전류 출력유닛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케이스에 내설되어 LED전원을 생성하는 LED발진자가 보강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LED발진자에서 생성한 LED전원이 제1인쇄회로기판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LED발진자를 동작제어하며;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빛을 제1커버를 향해 조사하는 LED가 보강 구비되며;
상기 제3·4전극체의 베이스에는 LED로부터 조사된 빛이 통과될 수 있게 조사홀이 마련되며;
상기 제2살대인출부가 마련된 부분은 조사홀을 통과한 제1LED출력유닛의 빛이 투과될 수 있게 투명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동작제어되어 외부로 음향 및 시각적으로 알림하는 표시유닛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제1·2메인전극체가 샌드위치형태로 상호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쉽고, 상호 결합시 제1인쇄회로기판이 제1·2메인전극체 사이에 맞대어져 절연 및 전류공급도 함께 담당하기 때문에 제1인쇄회로기판과 제1·2메인전극체 간에 별도의 전기적인 도선연결작업이 불요하다는 점에서 제작이 쉽고 구조적으로도 매우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피관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피관리기의 요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피관리기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B - 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피관리기에서 각 구성 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피관리기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피관리기의 요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피관리기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B - B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피관리기에서 각 구성 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두피관리기는 두피관리기본체(100)와 두피관리기헤드(200)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제1인쇄회로기판(220)를 사이에 두고 빗살대(231b,232b)를 갖춘 제1·2전극체(231,232)가 샌드위치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쉬우면서도 구조도 단순해 제작이 용이한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상기 두피관리기본체(100)는 본체케이스(110)와 입력유닛(120),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130) 및 제어부(140)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케이스(110)에 설치되는 두피관리기헤드(200)를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10)는 손잡이(111)와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112)로 구성되며, 절연재질로 제작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T자 형상으로 제작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입력유닛(120)은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손잡이(111)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입력유닛(120)은 전원을 ON/OFF 제어하기 위한 버튼(또는 스위치), 사용자가 설정된 모드(제1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 제2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 제1LED출력유닛)를 취사선택(하나 이상 동작)할 수 있는 버튼, 전기자극의 강도(강약)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이다.
상기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130:레귤레이터/Regulator)는 본체케이스(110)에 내설되어 두피자극전류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본체케이스(110)에 내설되어 입력유닛(120)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130)를 동작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본체케이스(110)의 손잡이(111)에 설치된 입력유닛(120)을 조작하게 되면, 제어부(140)는 입력유닛(120)으로부터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13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130)는 제어부(140)에 의해 동작되어 두피관리기헤드(200)를 구성하는 제1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30)으로 생성한 두피자극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충전식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되고, 충전식 배터리(미도시)의 충전 및 외부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을 받을 수 있게 어댑터와 연결되는 연결용 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케이스(110)의 손잡이(111)에는 현재 작동상태를 유관(램프의 색상변화) 및 음향(스피커)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유닛(170)이 설치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램프의 색상 변화를 통해 현재 전기자극의 강약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음향을 통해 사용시작과 종료, 배터리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경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두피관리기본체(100)의 내부에는 현재 동작상태가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112)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램프가 마련되며, 램프의 점등 상태를 사용자가 보고 현재동작하고 있는지, 아닌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두피관리기헤드(200)는 제1커버(210)와 제1인쇄회로기판(220) 및 제1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3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두피관리기본체(100)의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112)에 설치되며 두피관리기본체(1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두피를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커버(210)는 두피관리기본체(100)의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112)에 체결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머리카락을 빗는 과정에 관통되게 끼워진 제1·2전극체(231,232)의 빗살대(231b,232b)가 서로 접촉되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커버(210)는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112)가 원형을 이루고 있어 이에 상응하게 원형의 절연재질로 제작되며,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112)의 형상에 따라 제1커버(210)의 형상 역시 그에 상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210)에는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112)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제1살대인출부(211:구멍)가 일체로 형성되며, 제1살대인출부(211)는 제1커버(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제1살대인출부(211)는 관통되게 끼워지는 제1·2전극체(231,232)의 빗살대(231b,232b)가 서로 접촉되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20)은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112)와 제1커버(210) 사이에 배치되어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130)로부터 인가받은 전류를 접점 연결된 제1·2전극체(231,232)로 각각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전극체(231)에 (+)극[또는 (-)극]을, 제2전극체(232)에 (-)극[또는 (+)극]을 공급하여 별도의 접지(예:어스패치, 어스봉 등)가 필요 없도록 함으로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주었다.
또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외주면에는 일정깊이로 오목하게 함몰된 절개부(221)가 마련되며, 절개부(221)는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221)는 관통되게 끼워지는 제2전극체(232)의 빗살대(232b)가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제1·2전극체(231,232)를 두피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1인쇄회로기판(220)을 통해 전류를 제1·2전극체(231,232)에 공급해주게 되면, 제1·2전극체(231,232)에 흐르는 1 마이크로암페어(1μA)의 미세전류가 피부조직의 손상 없이 두피를 전기적으로 자극해 줌에 따라 세포의 채널을 통해 세포막을 열게 하고, 이온을 이동시켜 ATP와 단백질 생성을 증가시켜 세포의 재생과 치유를 촉진하며, 세균에 대한 살균효과와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내에 쌓여 있는 노폐물과 독소를 배출해 두피조직의 모발생성 및 모발의 퇴화를 방지하고, 탈모의 원인이 되는 두피조직의 손상회복에 직접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상기 제1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30)은 제1전극체(231)와 제2전극체(23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인쇄회로기판(220)을 사이에 두고 제1·2전극체(231,232)가 샌드위치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어 두피를 전기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전극체(231)는 베이스(231a)와 빗살대(231b)를 일체화시킨 도전성 재질의 부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일면(전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두피에 접촉되어 제2전극체(232)와 함께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231a)는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일면(전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베이스(231a)에는 제1살대인출부(211) 및 절개부(221)와 상호 연통되는 살대결합부(231a-1:구멍)가 일체로 형성되며, 살대결합부(231a-1)는 베이스(231a)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살대결합부(231a-1)의 구멍크기는 제2전극체(232)의 빗살대(232b)에 단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제작하여 살대결합부(231a-1)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제2전극체(232)의 빗살대(232b)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빗살대(231b)는 베이스(231a)로부터 제1커버(210)를 향해 연장되고, 살대결합부(231a-1) 사이에 배치되며, 베이스(231a)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이렇게 연장된 상기 빗살대(231b)는 제1살대인출부(211)에 삽탈가능하게 관통되게 끼워진다.
상기 제2전극체(232)는 베이스(232a)와 빗살대(232b)를 일체화시킨 도전성 재질의 부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타면(후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두피에 접촉되어 제1전극체(231)와 함께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232a)는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타면(후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빗살대(232b)는 베이스(232a)로부터 제1커버(210)를 향해 연장되고, 베이스(231a)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이렇게 연장된 상기 빗살대(232b)는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절개부(221)와 제1전극체(231)를 경유해 제1살대인출부(211)에 삽탈가능하게 관통되게 끼워진다.
일 예로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일면(전면)에 제1전극체(231)를 맞대어 준 상태에서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타면(후면)으로 제2전극체(232)를 맞대어주게 되면, 제2전극체(232)가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타면(후면)에 맞대어지는 과정에 제2전극체(232)의 빗살대(232b)는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절개부(221) 및 제1전극체(231)의 살대결합부(231a-1)에 관통되게 끼워지면서 일체형 구조를 이루게 되며, 이렇게 일체형 구조로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 볼트를 매개로 제1커버(21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20)을 사이에 두고 제1·2전극체(231,232)가 샌드위치형태로 상호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쉽고, 상호 결합시 제1인쇄회로기판(220)이 제1·2전극체(231,232) 사이에 맞대어져 절연 및 전류공급도 함께 담당하기 때문에 제1인쇄회로기판(220)과 제1·2전극체(231,232) 간에 별도의 전기적인 도선연결작업이 불요하다는 점에서 제작이 쉽고 구조적으로도 매우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두피관리기본체(100)에는 제2두피자극전류발진자(150)가 설치되고, 두피관리기헤드(200)에는 제2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5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50)은 제1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30)과 함께 두피를 보다 집중관리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먼저, 상기 제2두피자극전류발진자(150:레귤레이터/Regulator)는 본체케이스(110)에 내설되어 두피자극전류를 생성한다.
상기 제2두피자극전류발진자(150)는 입력유닛(120)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4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생성한 두피자극전류를 제1인쇄회로기판(220)으로 공급하게 된다.
다음 상기 제2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50)를 구성하는 제3·4전극체(251,252)의 빗살대(251b,252b)가 삽탈가능하게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제1커버(210)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제2살대인출부(241)가 일체로 형성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살대인출부(241)를 제1커버(2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버(240)에 형성해 주었다.
상기 제1커버(210)와 제2커버(240)의 결합을 위해 제1커버(210)의 중앙에는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112)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제2커버결합부(212:구멍)가 일체로 형성되며, 제2커버결합부(212)는 방사상으로 배열된 제1살대인출부(211)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제2커버(240)는 제1커버(210)를 향해 돌출된 후크(242)를 매개로 제2커버결합부(212)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제1커버(2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필요에 따라 후크(242) 없이 제1커버(210)의 제2커버결합부(212)에 삽입되어 억지 끼움, 열융착, 본딩 등을 매개로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커버(240)에는 제1커버(210)의 제2커버결합부(212)와 상호 연통되는 복수의 제2살대인출부(241)가 일체로 형성되며, 제2살대인출부(241)는 관통되게 끼워지는 제3·4전극체(251,252)의 빗살대(251b,252b)가 서로 접촉되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 상기 제2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50)은 제3전극체(251)와 제4전극체(252)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일면에 상호 대향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갈바닉 작용을 통해 두피를 케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전극체(251)는 베이스(251a)와 복수의 빗살대(251b)를 일체화시킨 도전성 재질의 부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일면(전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4전극체(252)와 함께 두피에 접촉되어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251a)는 호 형상의 플레이트로,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일면(전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2전극체(231,232)의 빗살대(231b,232b)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빗살대(251b)는 베이스(251a)로부터 제2커버(240)를 향해 연장되어 외면이 제1전극체(231)와 접촉되지 않게 제1전극체(231)를 관통해 제2살대인출부(241)에 삽탈가능하게 관통되게 끼워진다.
상기 제4전극체(252)는 베이스(252a)와 빗살대(252b)를 일체화시킨 도전성 재질의 부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일면(전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전극체(251)와 함께 두피에 접촉되어 전기적인 자극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252a)는 호 형상의 플레이트로, 제3전극체(251)의 베이스(251a)와 상호 대향되게 이격배치되고,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일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2전극체(231,232)의 빗살대(231b,232b)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빗살대(252b)는 베이스(252a)로부터 제2커버(240)를 향해 연장되어 외면이 제1전극체(231)와 접촉되지 않게 제1전극체(231)를 관통해 제2살대인출부(241)에 삽탈가능하게 관통되게 끼워진다.
상기 제3·4전극체(251,252)는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일면(전면)에 상호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고, 각각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일면(전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4전극체(251,252)는 제1인쇄회로기판(220)과 나사볼트를 매개로 상호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20)은 인가받은 전류를 접점 연결된 제3·4전극체(251,252)로 각각 공급하게 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3전극체(251)에 (+)극[또는 (-)극]을, 제4전극체(252)에 (-)극[또는 (+)극]을 공급하여 별도의 접지(예:어스패치, 어스봉 등)가 필요 없도록 함으로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주었다.
특히, 상기 제3·4전극체(251,252)는 제1인쇄회로기판(220)으로부터 각각 전류를 공급받아 같은 극끼리 밀어내는 성질이 있는 매우 약한 전류를 발생시켜 두피를 케어하는‘갈바닉 작용’을 담당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제3·4전극체(251,252)는 양이온 및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양이온은 사용자의 두피를 자극하여 노폐물을 배출하고, 음이온은 사용자의 두피를 자극하여 두피에 도포한 영양성분의 흡수를 촉진하는데 도움을 준다.
일 예로, 상기 제3·4전극체(251,252)를 두피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1인쇄회로기판(220)을 통해 전류(예:RF(Radio Frequency)-고주파 / EP(Electroproation)-이온도입 등이 적용되며 그 밖에도 공지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를 제3·4전극체(251,252)에 공급해주게 되면, 제3·4전극체(251,252)에 흐르는 갈바닉 전류가 피부조직의 손상 없이 두피를 좀 더 집중적으로 전기자극해 줌에 따라 노폐물 배출, 모낭 내 피지 및 각질제거, 모근 강화, 두피로의 영양분 흡수 촉진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두피관리기본체(100)에는 LED발진자(160)가 설치되고, 두피관리기헤드(200)에는 광 치료용으로 이용되는 제1LED출력유닛(2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LED출력유닛(260)은 소독작용, 살균작용, 여드름 예방, 모낭충, 미세세균 억제, 탈모 등에 도움을 주는 430nm ∼ 470nm의 청색(Blue) 파장을 갖는 엘이디(LED:Light Emitting Diode)이다.
상기 LED발진자(160)는 본체케이스(110)에 내설되어 LED전원을 생성한다.
상기 LED발진자(160)는 입력유닛(120)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4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생성한 LED전원을 제1인쇄회로기판(220)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1LED출력유닛(260)는 제1인쇄회로기판(220)과 제3·4전극체(251,252)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1인쇄회로기판(220)을 매개로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제2커버(240)를 향해 조사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LED출력유닛(260)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제2커버(240)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3·4전극체(251,252)의 베이스(251a,252a)에는 다수의 조사홀(251a-1,252a-1)이 구비되며, 조사된 빛은 조사홀(251a-1,252a-1)을 관통해 제2커버(240)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1LED출력유닛(260)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투과되어 두피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제2커버(240)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며, 특히 제2커버(240)의 일면(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를 향하는 쪽)에는 표면을 요철(도 5 참조) 처리하여 조사된 빛이 난반사를 일으키면서 투과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LED출력유닛(260)으로 청색(Blue) 파장을 갖는 엘이디(LED)를 적용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08104호나 제10-188548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적색(Red), 황색(Yellow) 및 그린(Green) 파장을 갖는 엘이디(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은 색상을 갖는 엘이디(LED) 광원의 효과는 이미 해당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 예로, 두피관리기본체(100)의 손잡이(111)를 파지한 상태에서 입력유닛(120)의 전원스위치를 동작(OFF → ON) 시켜주면, 어댑터(미도시)를 통한 외부로부터의 전원 또는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미도시)의 전원이 제어부(140),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130), 제2두피자극전류발진자(150) 및 LED발진자(160)로 각각 인가되고,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30), 제2두피자극전류발진자(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50), LED발진자(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LED출력유닛(260)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 조건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입력유닛(120)의 모드선택버튼을 눌러 제1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30), 제2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50), 제1LED출력유닛(26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작될 수 있게 선택하고, 입력유닛(120)의 강도(강약)버튼을 눌러 전기자극의 강약을 선택한다.
이와 같은 선택에 의해 제어부(140)는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130), 제2두피자극전류발진자(150), LED발진자(160)를 각각 동작제어하게 되며,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130), 제2두피자극전류발진자(150), LED발진자(160)는 각각 제1인쇄회로기판(220)으로 전류와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20)은 전달받은 전류와 전원을 제1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30), 제2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50), 제1LED출력유닛(260)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 다음 제1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30)을 구성하는 제1·2전극체(231,232)의 빗살대(231b,232b)와, 제2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50)을 구성하는 제3·4전극체(251,252)의 빗살대(251b,252b)를 두피에 접촉시켜 준다.
상기 제1·2전극체(231,232)는 제1인쇄회로기판(220)을 통해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130)로부터의 미세전류(1μA:마이크로암페어)를 공급받게 되는데, 제1·2전극체(231,232)에 흐르는 미세전류는 피부조직의 손상 없이 두피를 전기적으로 자극해 줌에 따라 세포의 채널을 통해 세포막을 열게 하고, 이온을 이동시켜 ATP와 단백질 생성을 증가시켜 세포의 재생과 치유를 촉진하며, 세균에 대한 살균효과와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세전류는 체내에 쌓여 있는 노폐물과 독소를 배출해 두피조직의 모발생성 및 모발의 퇴화를 방지하고, 탈모의 원인이 되는 두피조직의 손상회복에 직접적인 효과를 줄수 있다.
상기 제3·4전극체(251,252)는 제1인쇄회로기판(220)을 통해 제2두피자극전류발진자(150)로부터의 (+)극과 (-)극 전류를 교차로 공급받아 같은 극끼리 밀어내는 성질이 있는 약한 전류를 발생시켜 두피를 케어하는‘갈바닉 작용’을 담당하게 된다.
즉, 상기 제3·4전극체(251,252)으로부터 양(+)이온과 음(-)이온을 교차로 배출됨에 따라, 양이온은 두피에 도포된 알칼리성 스켈링제를 두피 속으로 침투시켜 노폐물의 스켈링, 모낭 내의 피지 및 각질을 제거하게 되고, 음이온은 사용자의 두피를 자극하여 두피에 도포한 영양성분의 흡수 촉진과 순환기능에 도움을 줌에 따라 탈모의 원인인 두피질환, 호르몬의 영향, 지성두피의 과도한 피지분비, 모근 강화 등을 억제 및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LED출력유닛(260)은 제1인쇄회로기판(220)을 통해 LED발진자(160)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어 빛을 제2커버(240)를 향해 조사하게 되고, 이렇게 조사된 빛은 제2커버(240)를 투과하여 제3·4전극체(251,252)에 인접된 두피에 집중적으로 조사됨에 따라 소독작용, 살균작용, 여드름 예방, 모낭충, 미세세균 억제, 탈모 등에 도움을 준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머릿결을 따라 이동하면서 두피를 관리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입력유닛(120)의 전원스위치를 동작(OFF → ON) 시켜줄 경우, 제1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30), 제2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250), 제1LED출력유닛(260) 중 어느 하나가 자동동작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입력유닛(120)으로서 별도의 동작스위치를 구성하여 전원스위치를 동작(OFF → ON) 시켜주더라도 동작스위치를 누르기 전까지는 자동으로 동작하지 않게 제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두피관리기본체 110: 본체케이스 111: 손잡이
112: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 120: 입력유닛
130: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 140: 제어부
150: 제2두피자극전류발진자 160: LED발진자 170: 표시유닛
200: 두피관리기헤드 210: 제1커버 211: 제1살대인출부
212: 제2커버결합부 220: 제1인쇄회로기판 221: 절개부
230: 제1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 231: 제1전극체
231a: 베이스 231a-1: 살대결합부 231b: 빗살대
232: 제2전극체 232a: 베이스 232b: 빗살대
240: 제2커버 241: 제2살대인출부 242: 후크
250: 제2두피자극전류출력유닛 251: 제3전극체
251a: 베이스 251a-1: 조사홀 251b: 빗살대
252: 제4전극체 252a: 베이스 252a-1: 조사홀
252b: 빗살대 260: 제1LED출력유닛

Claims (4)

  1.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112)를 갖춘 본체케이스(110)와,
    본체케이스(110)에 설치되어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유닛(120)과,
    본체케이스(110)에 내설되어 두피자극전류를 생성하는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130)와,
    본체케이스(110)에 내설되어 입력유닛(120)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13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140)로 구성된 두피관리기본체(100);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1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112)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제1살대인출부(211)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제1커버(210)와,
    두피관리기헤드 설치부(112)와 제1커버(210) 사이에 배치되어 제1두피자극전류발진자(130)로부터 두피자극전류를 공급받으며, 외주면을 따라 절개부(221)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제1인쇄회로기판(220)과,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일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살대인출부(211) 및 절개부(221)와 상호 연통되는 살대결합부(231a-1)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베이스(231a)와, 살대결합부(231a-1) 사이에 배치되며 베이스(231a)로부터 제1커버(210)를 향해 연장되어 제1살대인출부(211)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빗살대(231b)로 구성되어 두피를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제1전극체(231),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타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232a)와, 베이스(232a)로부터 제1커버(210)를 향해 연장되어 외면이 살대결합부(231a-1)와 서로 접촉되지 않게 절개부(221) 및 살대결합부(231a-1)를 관통해 제1살대인출부(211)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빗살대(232b)로 구성되어 두피를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제2전극체(232)로 이루어진 제1두피자극전류 출력유닛(230)으로 구성된 두피관리기 헤드(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110)에 내설되어 두피자극전류를 생성하는 제2두피자극전류발진자(150)가 보강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40)는 입력유닛(120)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제2두피자극전류발진자(150)에서 생성한 두피자극전류가 제1인쇄회로기판(22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2두피자극전류발진자(150)를 동작제어하며;
    상기 제1커버(210)에는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복수의 제2살대인출부(241)가 마련되며;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일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251a)와, 베이스(251a)로부터 제1커버(210)를 향해 연장되어 외면이 제1전극체(231)와 접촉되지 않게 제1전극체(231)를 관통해 제2살대인출부(241)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빗살대(251b)로 구성되어 두피를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제3전극체(251)와,
    상기 제3전극체(251)의 베이스(251a)와 상호 대향되게 이격배치되며,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일면에 맞대어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252a)와, 베이스(252a)로부터 제1커버(210)를 향해 연장되어 외면이 제1전극체(231)와 접촉되지 않게 제1전극체(231)를 관통해 제2살대인출부(241)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빗살대(252b)로 구성되어 두피를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제4전극체(252)로 이루어진 제2두피자극전류 출력유닛(250)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관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110)에 내설되어 LED전원을 생성하는 LED발진자(160)가 보강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40)는 입력유닛(120)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LED발진자(160)에서 생성한 LED전원이 제1인쇄회로기판(22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LED발진자(160)를 동작제어하며;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일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빛을 제1커버(210)를 향해 조사하는 제1LED출력유닛(260)가 보강 구비되며;
    상기 제3·4전극체(251,252)의 베이스(251a,252a)에는 제1LED출력유닛(260)로부터 조사된 빛이 통과될 수 있게 조사홀(251a-1,252a-1)이 마련되며;
    상기 제2살대인출부(241)가 마련된 부분은 조사홀(251a-1,252a-1)을 통과한 제1LED출력유닛(260)의 빛이 투과될 수 있게 투명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관리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110)에 설치되며, 제어부(140)에 동작제어되어 외부로 음향 및 시각적으로 알림하는 표시유닛(170)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관리기.
KR1020220088881A 2022-07-19 2022-07-19 두피관리기 KR20240011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881A KR20240011915A (ko) 2022-07-19 2022-07-19 두피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881A KR20240011915A (ko) 2022-07-19 2022-07-19 두피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915A true KR20240011915A (ko) 2024-01-29

Family

ID=8971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881A KR20240011915A (ko) 2022-07-19 2022-07-19 두피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91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481B1 (ko) 2017-07-17 2018-08-03 (주)진코스텍 복합기능을 가진 두피 치료기
KR102308104B1 (ko) 2020-01-13 2021-10-05 박달원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피부 및 두피 미용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481B1 (ko) 2017-07-17 2018-08-03 (주)진코스텍 복합기능을 가진 두피 치료기
KR102308104B1 (ko) 2020-01-13 2021-10-05 박달원 갈바닉 전류를 이용한 피부 및 두피 미용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13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imulating hair growth
KR200396456Y1 (ko) 안면 피부 리쥬브네이트.
JP6630429B2 (ja) 皮膚美容機器
JP2010535595A (ja) 多重モジュール皮膚または身体治療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法
KR101225135B1 (ko) 충전식 색광 치료용 패치
KR20130126342A (ko) 탈모관리기
KR101004373B1 (ko) 레이저 조사부가 장착된 전기자극 경혈치료기
KR20110002210A (ko) 기능성 침체
KR20100088240A (ko) 휴대용 피부 치료장치
KR20140039459A (ko) 이온도입 기능을 갖는 네뷸라이저
KR200276414Y1 (ko) 피부리프팅 마사지용 마스크
KR102186870B1 (ko) 올인원 미세전류 피부 미용기기
KR20240011915A (ko) 두피관리기
KR100614799B1 (ko) 휴대용 피부 미용기
WO2007119946A1 (en) Laser. kidney stone. magnetic force. gold needle. cupping glass. creation. curer.
KR100889464B1 (ko) 피부 혈액순환 활성기
KR102460637B1 (ko) 용도별 핸드피스를 구비한 맞춤형 피부관리장치
KR20170136325A (ko) 엘이디 광원 조사기가 내장된 초음파 이온 발모 촉진기
KR200388549Y1 (ko) 레이저를 이용한 발모촉진용 빗
KR20240011916A (ko) 두피관리기
KR20240011438A (ko) 두피관리기
KR20070017737A (ko) 의료용 광원 조사장치
KR20210133860A (ko) 의료용 레이저를 사용한 탈모 방지용 헬맷
KR20040047548A (ko) 고주파 마사지기
KR20200048734A (ko) 피부 미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용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