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464A - Apparatus for vehicle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vehicl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464A
KR20240011464A KR1020220088932A KR20220088932A KR20240011464A KR 20240011464 A KR20240011464 A KR 20240011464A KR 1020220088932 A KR1020220088932 A KR 1020220088932A KR 20220088932 A KR20220088932 A KR 20220088932A KR 20240011464 A KR20240011464 A KR 20240011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ystem
regulator
clause
mcu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9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응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8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464A/en
Publication of KR2024001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464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 장치는, 레귤레이터와 연결된 저항; 및 상기 저항과 연결된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system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resistor connected to a regulator; And it may include a capacitor connected to the resistor.

Description

차량 시스템 장치{APPARATUS FOR VEHICLE SYSTEM}Vehicle system device {APPARATUS FOR VEHICLE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 시스템 장치,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B+ 연결 제어기 슬립(Sleep) 암전류 및 웨이크-업(Wake-up) 최적화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ystem device and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and specifically to a B+ connected controller sleep dark current and wake-up optimization control circuit.

차량 시스템은 운전자에 대하여 다양한 차량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발전해 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소비되는 에너지가 증가하고 있다.Vehicle systems are evolving to provide various vehicle services to drivers, and the energy consumed for this is increasing.

이에 따라, 차량 시스템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Accordingly, research on methods to appropriately control vehicle systems is continuously being conducted.

하지만, 여러 가지 변화된 서비스에 맞지 않는 적절하지 않은 부품으로 인한 문제가 많은 실정이다.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caused by inappropriate parts that do not fit various changed services.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 장치는, 레귤레이터와 연결된 저항; 및 상기 저항과 연결된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system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resistor connected to a regulator; And it may include a capacitor connected to the resistor.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시스템 장치는, 상기 저항과 연결된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system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iode connected to the resistor.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시스템 장치는, 상기 저항과 연결된 펑션 신호 회로(Function Signal Circu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system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signal circuit connected to the resistor.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시스템 장치는, B+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system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regulator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 power sourc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시스템 장치는, 상기 레귤레이터와 연결된 MCU(Micro Controller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system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connected to the regulator.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MCU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regul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supply power to the MCU.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MCU는,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을 기초로 동작할 수 있다.The MC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operate based on the output of the regulator.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시스템 장치는, 상기 MCU와 연결된 파워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system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witch connected to the MCU.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시스템 장치는, 상기 파워 스위치와 연결된 파워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system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ircuit connected to the power switch.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펑션 신호 회로는, 차량에 대한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function signal circu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receive at least one signal among signals for a vehicle.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는, 레귤레이터와 연결된 저항을 구비하는 저항부; 및 상기 저항부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된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커패시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resistor unit including a resistor connected to a regulator; and a capacitor unit including a capacitor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istor unit.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는, 상기 저항부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된 다이오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for the vehicl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iode portion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istor portion.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는, 상기 저항부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된 펑션 신호 회로(Function Signal Circu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for the vehicl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signal circuit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istor unit.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는, B+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for the vehicl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regulator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 power sourc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는, 상기 레귤레이터와 연결된 MCU(Micro Controller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for the vehicl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Micro Controller Unit (MCU) connected to the regulator.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MCU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regul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supply power to the MCU.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MCU는,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을 기초로 동작할 수 있다.The MCU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operate based on the output of the regulator.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는, 상기 MCU와 연결된 파워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for the vehicl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witch connected to the MCU.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는, 상기 파워 스위치와 연결된 파워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for the vehicl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ircuit connected to the power switch.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펑션 신호 회로는, 차량에 대한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function signal circu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receive at least one signal among signals for a vehicle.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 장치에 대한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 장치 및 차량 시스템 장치에 대한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syste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signals for a vehicle system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system device and signals for the vehicle system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ay be optionally us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used by combining and replac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the meaning of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by considering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may also include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B and C”, it is combined with A, B, and C. It can contain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ssenc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lso is connected to that component. It can also include cases where other components ar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m.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above” or “below” each component, “above” or “below” refers not only to cases wher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to one This also includes cases where another component described above is formed or plac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top (above) or bottom (bottom)”, it can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system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 장치는, 저항(R) 및 커패시터(C)를 구비하는 RC 평활 회로(101)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시스템 장치는, 레귤레이터와 연결된 저항(R), 저항과 연결된 커패시터(C)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ehicle system device may include an RC smoothing circuit 101 including a resistor (R) and a capacitor (C). The vehicle system device may include a resistor (R) connected to a regulator and a capacitor (C) connected to the resistor.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 장치는, 저항과 연결된 펑션 신호 회로(Function Signal Circuit)(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ehicle system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signal circuit 102 connected to a resistor.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 장치는, B+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레귤레이터(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ehicle system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gulator 103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 power source.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 장치는, 레귤레이터(103)와 연결된 MCU(Micro Controller Unit)(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ehicle system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icro controller unit (MCU) 104 connected to the regulator 103.

일실시예에 따르면, 레귤레이터(103)는, MCU(10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gulator 103 may supply power to the MCU 104.

일실시예에 따르면, MCU(104)는, 레귤레이터(103)의 출력을 기초로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CU 104 may operate based on the output of the regulator 103.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 장치는, MCU(104)와 연결된 파워 스위치(Power Switch)(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시스템 장치는, 파워 스위치(106)와 연결된 리버스 프로텍션부(Reverse Protection)(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ehicle system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witch 106 connected to the MCU 104. The vehicle system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verse protection unit (Reverse Protection) 107 connected to the power switch 106.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 장치는, 파워 스위치(106)와 연결된 파워 회로(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CU(104)는 파워 회로(105)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ehicle system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ircuit 105 connected to the power switch 106. The MCU 104 can control the power circuit 105.

일실시예에 따르면, 펑션 신호 회로(102)는, 차량에 대한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에 대한 신호들은 제1 신호 내지 제5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 대한 신호들(제1 신호 내지 제5 신호)은 LB(Low-Beam) 신호, HB(High-Beam) 신호, DRL(Day Time Running Light) 신호, PSTN(Position Lamp) 신호, Turn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펑션 신호 회로(102)는, OR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unction signal circuit 102 may receive at least one signal among signals for the vehicle. Signals for the vehicle may include first to fifth signals. Signals for vehicles (first to fifth signals) include LB (Low-Beam) signal, HB (High-Beam) signal, DRL (Day Time Running Light) signal, PSTN (Position Lamp) signal, Turn signal, etc. may include. The function signal circuit 102 may include an OR gate.

레귤레이터(103)는 펑션 신호 회로(102)를 통과하거나 펑션 신호 회로(102)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초로 인에이블(Enable) 상태가 될 수 있다. 펑션 신호 회로(102)에 대한 통과한 신호/출력된 신호는 저항(R)을 통과하여 레귤레이터(103)로 전달될 수 있다.The regulator 103 may be in an enabled state based on a signal that passes through the function signal circuit 102 or is output from the function signal circuit 102. The signal/output signal for the function signal circuit 102 may pass through the resistor (R) and be transmitted to the regulator 103.

레귤레이터(103)는 B+ 전원과 같은 전원을 받으면서 상시 켜진 상태(ON)가 될 수 있다.The regulator 103 may be always turned on (ON) while receiving power equal to the B+ power.

MCU(104)는 레귤레이터(103)를 통해 5V와 같은 전원을 받을 수 있고, 평션 신호 회로(Function Signal Circuit)(102) 및 RC 평활 회로(101), 레귤레이터(103) 등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기초로(수신하여) 슬립(Sleep), 웨이크-업(Wake-up)을 판단할 수 있다.The MCU (104) can receive power such as 5V through the regulator (103), and receives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function signal circuit (102), the RC smoothing circuit (101), and the regulator (103). Based on (reception), sleep and wake-up can be determined.

평션 신호 회로(102)를 통해 출력 신호와 같은 신호가 들어오지 않으면 MCU(104)는 슬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If a signal such as an output signal is not received through the function signal circuit 102, the MCU 104 may be switched to a sleep mode.

제1 내지 제5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평션 신호 회로(102)가 수신하고, 평션 신호 회로(102)를 통해 DC 신호와 같은 출력 신호가 들어오면 MCU(104)는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When the function signal circuit 102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ifth signals, and an output signal such as a DC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function signal circuit 102, the MCU 104 switches to wake-up mode. It can be.

차량 시스템 장치는 차량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회로, 전기 회로, 통신 회로, 메모리, 반도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vehicle system device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vehicle system, and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a portion of an electronic circuit, an electric circuit, a communication circuit, a memory, and a semiconductor.

차량 시스템 장치는 기존 하드웨어 방식에서 점등 딜레이 회로가 가진 문제점(첫번째 턴 온(turn on)시 점등 불량 등)을 개선하는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vehicle system device can provide a circuit that improves the problems (lighting defects at the first turn on, etc.) of the lighting delay circuit in the existing hardware method.

차량 시스템 장치는 최적화 컨셉(소자 추가를 최소화)으로 원가 및 턴(Turn) (신호) 점등 성능을 만족/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Vehicle system devic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atisfy/improve cost and turn (signal) lighting performance with an optimization concept (minimizing element addition).

차량 시스템 장치는, B+적용 차종 증가에 따라 요구되는 암전류 성능 및 턴(Turn) (신호) 기능에 대하여 만족 가능한 최적의 솔루션을 확보/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량 시스템 장치는, 차종 다양화에 따른 공용화 설계 컨셉 적용으로 구현/검증 시간 및 문제점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기타 기능(LB, HB, DRL, PSTN)도 동일한 동작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The vehicle system device has the effect of securing/providing a satisfactory optimal solution for the dark current performance and turn (signal) function required as the number of B+ applied vehicle types increases. Vehicle system devices can minimize implementation/verification time and problem occurrence by applying a common design concept accord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vehicle types, and other functions (LB, HB, DRL, PSTN) can also provide the same improvement in operation.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 장치에 대한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s for a vehicle system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의 (a)를 참조하면, 차량 시스템 장치는, 즉시 점등 방식으로 하드웨어(HW) 제어를 이용할 수 있으며, 턴 온(Turn on)시마다 MCU 초기화 시간 발생으로 점등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아래 A구간 반복). 차량 시스템 장치는, 저항(R) 및 커패시터(C)를 구비하는 RC 평활 회로(101)에 대하여 시정수를 t(타우) = RC 와 같은 식을 이용하여 계산/설정할 수 있다(R은 저항값 C는 커패시터 값일 수 있다.). 시정수는 즉시일 경우 3ms 이내일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2, the vehicle system device can use hardware (HW) control in an immediate lighting method, and a lighting delay may occur due to the MCU initialization time every time it is turned on (see A below). section repeat). The vehicle system device may calculate/set the time constant for the RC smoothing circuit 101 including a resistor (R) and a capacitor (C) using an equation such as t (tau) = RC (R is the resistance value) C may be the capacitor value). The time constant can be within 3ms if it is instantaneous.

도 2의 (b)를 참조하면, 차량 시스템 장치는, 점등 딜레이(Delay)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턴 온(Turn on) 동작 개선을 위해 시정수를 350ms 이상으로 구현시 초기 점등 동작에서 불량이 발생(A구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2, the vehicle system device can use a lighting delay method, and when implementing a time constant of 350 ms or more to improve turn on operation, defects occur in the initial lighting operation. It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Section A).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 장치 및 차량 시스템 장치에 대한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system device and signals for the vehicle system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3의 (a)를 참조하면, 차량 시스템 장치는, RC 평활 회로(301)를 포함할 수 있다. RC 평활 회로(301)는, 레귤레이터와 연결된 저항(R), 저항과 연결된 커패시터(C), 저항과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3, the vehicle system device may include an RC smoothing circuit 301. The RC smoothing circuit 301 may include a resistor (R) connected to the regulator, a capacitor (C) connected to the resistor, and a diode connected to the resistor.

차량 시스템 장치는, 펑션 신호 회로(302), 레귤레이터(303), MCU(304), 파워 회로(305), 파워 스위치(306), 리버스 프로텍션부(3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system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signal circuit 302, a regulator 303, an MCU 304, a power circuit 305, a power switch 306, and a reverse protection unit 307.

도 3의 (b)를 참조하면, 차량 시스템 장치는, 개선된 점등 딜레이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다이오드(Diode) 추가를 통해서 초기 턴 온(Turn on) 및 연속된 턴 온(Turn on)시 정상 동작을 구현/동작할 수 있다(B, D구간).Referring to (b) of FIG. 3, the vehicle system device can use an improved lighting delay method, and by adding a diode, normal turn on and continuous turn on can be achieved. The operation can be implemented/operated (Section B, D).

차량 시스템 장치는, RC 평활 회로(301)에 대한 시정수를 t(타우)=RC 식을 이용하여 계산/설정할 수 있다. 시정수는 점등 딜레이를 위해 350ms 이상일 수 있으며, 다이오드 추가로 충전시 패스(path)는 다이오드에서 커패시터(C)로 즉시 충전될 수 있으며, 방전 시정수는 RC일 수 있다.The vehicle system device may calculate/set the time constant for the RC smoothing circuit 301 using the equation t(tau)=RC. The time constant can be more than 350ms for lighting delay, and when charging by adding a diode, the path can be immediately charged from the diode to the capacitor (C), and the discharge time constant can be RC.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는, 레귤레이터와 연결된 저항을 구비하는 저항부(401), 저항부(401)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된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커패시터부(402), 저항부(401)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된 다이오드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부(403)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includes a resistor unit 401 having a resistor connected to a regulator, a capacitor unit 402 having a capacitor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istor unit 401, and a resistor unit ( It may include a diode portion 403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401). The diode unit 403 may include a diode.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는 상술된 차량 시스템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vehicle system devices described above.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는, 저항부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된 펑션 신호 회로(Function Signal Circu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signal circuit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istor unit.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는, B+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for the vehicl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regulator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 power source.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는, 레귤레이터와 연결된 MCU(Micro Controller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connected to a regulator.

일실시예에 따르면, 레귤레이터는, MCU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gulator may supply power to the MCU.

일실시예에 따르면, MCU는, 레귤레이터의 출력을 기초로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CU may operate based on the output of the regulator.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는, MCU와 연결된 파워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for the vehicl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witch connected to the MCU.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는, 파워 스위치와 연결된 파워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ircuit connected to a power switch.

일실시예에 따르면, 펑션 신호 회로는, 차량에 대한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unction signal circuit may receive at least one signal among signals for the vehicle.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refers to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or ASIC, and the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 par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implemented to regenerate one or more CPUs within the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Claims (20)

레귤레이터와 연결된 저항; 및
상기 저항과 연결된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장치.
Resistor connected to the regulator; and
A capacitor connected to the resistor
A vehicle system device includ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과 연결된 다이오드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diode connected to the resistor
A vehicle system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과 연결된 펑션 신호 회로(Function Signal Circuit)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Function signal circuit connected to the resistor
A vehicle system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B+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레귤레이터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Regulator powered from B+ supply
A vehicle system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와 연결된 MCU(Micro Controller Unit)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MCU (Micro Controller Unit) connected to the regulator
A vehicle system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MCU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 시스템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regulator is,
A vehicle system device that supplies power to the MCU.
제5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을 기초로 동작하는 차량 시스템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MCU is,
A vehicle system device that operates based on the output of the regula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MCU와 연결된 파워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Power switch connected to the MCU
A vehicle system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위치와 연결된 파워 회로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Power circuit connected to the power switch
A vehicle system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펑션 신호 회로는,
차량에 대한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시스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unction signal circuit is,
A vehicle system device that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signals for the vehicle.
레귤레이터와 연결된 저항을 구비하는 저항부; 및
상기 저항부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된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커패시터부
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
A resistance unit including a resistor connected to the regulator; and
A capacitor unit including a capacitor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istor unit.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includ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된 다이오드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A diode portion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istor portion.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된 펑션 신호 회로(Function Signal Circuit)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Function signal circuit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resistor unit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11항에 있어서,
B+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레귤레이터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Regulator powered from B+ supply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와 연결된 MCU(Micro Controller Unit)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4,
MCU (Micro Controller Unit) connected to the regulator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MCU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5,
The regulator is,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that supplies power to the MCU.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을 기초로 동작하는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5,
The MCU is,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that operates based on the output of the regulato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MCU와 연결된 파워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5,
Power switch connected to the MCU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위치와 연결된 파워 회로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8,
Power circuit connected to the power switch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펑션 신호 회로는,
차량에 대한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The function signal circuit is,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system that receives at least one signal among signals for the vehicle.
KR1020220088932A 2022-07-19 2022-07-19 Apparatus for vehicle system KR202400114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932A KR20240011464A (en) 2022-07-19 2022-07-19 Apparatus for vehicl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932A KR20240011464A (en) 2022-07-19 2022-07-19 Apparatus for vehicl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464A true KR20240011464A (en) 2024-01-26

Family

ID=8971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932A KR20240011464A (en) 2022-07-19 2022-07-19 Apparatus for vehicl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146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1007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and user apparatus
US6509767B2 (en) Wake-up circuit
JP2004134147A (en) Lighting circuit
US11524623B2 (en) Input lighting signal optimization device and method
US10654428B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20190306938A1 (en) Configurable Switch Array
US20190260224A1 (en) Power supply and power supplying method with power backup and power sharing
US9544958B2 (en) LED driver circuit
US20100115321A1 (en) Disk Array Control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200285259A1 (en) Voltage regulator circuit and corresponding method
EP1987990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a vehicle with a device for controlling supply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KR20240011464A (en) Apparatus for vehicle system
US6476518B1 (en) Low power consumption type automobile-mounted controller
JP6638068B2 (en) System power supply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protec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N101009793A (en) Power supply unit for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uner
JP2000139023A (en) Onboard power supply
US9071079B2 (en) Power supply system with multiple power sources in parallel
JPH10244887A (en) Circuit device
KR20240003893A (en) Apparatus for vehicle system
US10790007B1 (en)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assiting read operation
JPS609285B2 (en) Power supply stop delay circuit for microcomputer
US20190319538A1 (en) Power Supply System
US20190245358A1 (en) Battery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US20100295835A1 (en) Voltage Boost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261434B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electric control system of automob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