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997A -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997A
KR20240010997A KR1020220088457A KR20220088457A KR20240010997A KR 20240010997 A KR20240010997 A KR 20240010997A KR 1020220088457 A KR1020220088457 A KR 1020220088457A KR 20220088457 A KR20220088457 A KR 20220088457A KR 20240010997 A KR20240010997 A KR 20240010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module
heat source
heat
power supply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재
김봉서
민복기
손지희
장정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8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997A/ko
Publication of KR2024001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9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모듈의 양단 온도차를 통해 전기를 생성하여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구성하며, 열전모듈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 상기 몸체를 구성하며, 상기 제1수용부 일면에 구비되되 제1열원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열전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열전모듈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외부로 제공하는 공급부; 및 상기 제1수용부 타면에 구비되어, 지중에 매설됨으로써 지열을 상기 열전모듈로 전달하는 매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열전모듈은 일면이 제2수용부와 접하여 제1열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타면은 상기 제1열원과 온도 차이가 나는 제2열원 또는 지중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열원과 제2열원의 온도차를 통해 전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는 열전모듈 일측 및 타측에 열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가 각각 마련됨으로써, 전자기기에 전기 공급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소지한 핫팩, 발열체 등의 소지품 및 주변의 흙, 물 등을 열원으로 활용하여 온도차를 발생시켜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portable power supply using thermoelectric module}
본 발명은 열전모듈의 양단 온도차를 통해 전기를 생성하여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혹한기 산악 지역에서 훈련, 등반, 야외 취침들을 하여야 하는 사람들의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전원 관리 및 교체에 어려움을 갖고 있다.
전자기기 충전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원동기 또는 발전기를 구동하고 이를 통해 생산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충전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원동기 및 발전기가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서는 사용의 제약이 따를뿐만 아니라 대형 전자기기가 아닌 소형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장치가 더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용 열발전 충전기(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열발전부의 일측을 가스버너의 불꽃과 직접 접촉시켜 열전모듈의 양단 온도차를 극대화시킨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외부온도 또는 강풍에 의해 화력이 약해지거나 불꽃이 불안정하여 열발전부와 불꽃의 접촉이 용이하지 않고, 텐트(Tent) 또는 쉘터(Shelter) 내에서 상기 가스버너를 사용할 경우에는 화재의 위험성이 있다.
KR 10-2017715 B1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공급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휴대가 용이한 열원들 간의 온도차를 통해 전기를 생성하여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가 용이한 열원과 지열의 온도차를 통해 전기를 생성하여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는 복수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구성하며, 열전모듈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 상기 몸체를 구성하며, 상기 제1수용부 일면에 구비되되 제1열원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열전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열전모듈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외부로 제공하는 공급부; 및 상기 제1수용부 타면에 구비되어, 지중에 매설됨으로써 지열을 상기 열전모듈로 전달하는 매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열전모듈은 일면이 제2수용부와 접하여 제1열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타면은 상기 제1열원과 온도 차이가 나는 제2열원 또는 지중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열원과 제2열원의 온도차를 통해 전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는 복수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구성하며, 열전모듈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 상기 몸체를 구성하며, 제1수용부 일면에 구비되되 제1열원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 상기 몸체를 구성하며, 제1수용부 타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열원과 온도 차이가 있는 제2열원이 수용되는 제3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열전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열전모듈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외부로 제공하는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전모듈은 일면이 제1수용부와 접하여 제1열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타면이 제2수용부와 접하여 제2열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열원과 제2열원의 온도차를 통해 전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수용부의 서로 접하는 면은 열전도도가 높은 소재로 된 열전달면으로 형성되고, 서로 접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단열소재로 된 단열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1수용부에는 복수의 열전모듈이 수용되되 상기 열전모듈들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열원과 제2열원의 온도는 적어도 30℃이상 차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는 열전모듈 일측 및 타측에 열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가 각각 마련됨으로써, 전자기기에 전기 공급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소지한 핫팩, 발열체 등의 소지품 및 주변의 흙, 물 등을 열원으로 활용하여 온도차를 발생시켜 전기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지중에 매설 가능한 매설부를 통해 전원공급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열을 열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에서의 열전모듈 양단 온도차가 30℃일 때의 전류-전압 출력특성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설부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에 따른 매설부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정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인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이하,‘전원공급장치’라고 함.)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다. 또한,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측에 “구비”,“연결”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상면에 직접적으로 구비 또는 연결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구비”,“연결”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복수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몸체(1), 상기 몸체를 구성하며 열전모듈(110)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100), 상기 몸체를 구성하며 상기 제1수용부(100) 일면에 구비되되 제1열원(210)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200) 및 상기 제1수용부(100)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열전모듈(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열전모듈(110)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외부로 제공하는 공급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열전모듈(110)의 일면이 제2수용부(200)와 접하여 제1열원(21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열전모듈(110)의 타면이 상기 제1열원(210)과 온도 차이가 나는 제2열원(31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열원(210)과 제2열원(310)의 온도차를 통해 전기를 생성하여 전자기기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이를 살펴보면, 상기 제2수용부(200)의 일면에는 제1열원(210)이 유입되도록 소정 크기의 개구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면의 개폐를 위한 개폐부재(220)가 마련됨으로써 전기 생성 중에 제1열원(210)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모듈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이를 살펴보면, 상기 열전모듈(110)은 제1열원(210)이 위치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1세라믹기판과 상기 제1세라믹기판과 대향하여 제2열원(310)이 위치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2세라믹기판과 제1 및 제2세라믹기판 사이에 구비되어 온도차를 감지하고 상기 온도차를 통해 기전력을 생성하는 열전 반도체로 구성되는 열전소자(111)와, 상기 기전력을 직류전원으로 출력하기 위한 PCB 기판(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전 반도체는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로 구분되며, 복수개가 교호되도록 배치되어 전극에 의해 상기 PCB 기판(112)과 연결된다.
상기 열전소자(111)는 복수개로 구성되되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전소자(111)는 적어도 10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열원(210,310)의 온도 차이는 적어도 30℃이상 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세라믹기판로 전달되는 온도 차이가 적어도 30℃ 이상 되도록 한다.
상기 공급부(400)는 상기 PCB 기판(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과, 상기 열전모듈(110)의 전기생성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부재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수용부(100)의 일측면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전원케이블은 상기 개구면을 관통하여 PCB 기판(112)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케이블이 관통된 개구면은 씰링(sealing)되어 외부 오염물질이 상기 제1수용부(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알림부재는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상태를 제공한다. 상기 제1상태는 전원공급 준비가 완료된 상태로서, 초록색의 빛을 발광한다. 상기 제2상태는 제1 및 제2열원 간 온도차가 낮아 전기생성이 어려운 상태로서, 노란색의 빛을 발광한다. 상기 제3상태는 상기 열전모듈의 이상으로 인해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로서, 빨간색의 빛을 발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급부(400)는 상기 전원케이블이 수용되는 소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알림부재는 상기 공간 외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공간 외측에는 전자기기 및 전원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에서의 열전모듈 양단 온도차가 30℃일 때의 전류-전압 출력특성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된다.
이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세라믹기판에 가해지는 온도차가 30℃일 때 열전소자(111) 1개에서 얻을 수 있는 전압과 전류 범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열원(210,310)의 온도차가 적어도 30℃ 이상이고, 상기 열전소자(111)가 적어도 10개 이상일 때 5V 전압을 얻을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열전모듈(110)의 일측은 제1수용부(100) 일면에 결합된 상기 제2수용부(200)의 제1열원(110)을 통해 열을 전달받고, 열전모듈(110)의 타측은 제1수용부(100) 타면에 위치되는 지표면을 통해 지열을 전달받는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설부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공급장치에는 상기 제1수용부(100)의 일면에 결합되되 상기 제2수용부(200)와 대향되게 마련되는 매설부(5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매설부(500)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소재로 구성되되 제1수용부 일면의 전체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설부(500)는 제1수용부(100)의 일측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부(510)와, 상기 각도조절부(510) 각각에 구비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한 쌍의 브릿지(520)와, 상기 각도조절부(510)와 브릿지(520) 간 결합을 위한 스프링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도조절부(510)에는 상기 스프링바가 관통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520)에는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프링바가 안착되는 안착홀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바에는 압축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후 브릿지(520) 결합 시 압축되었다가 인장되면서 상기 안착홀에 안착된다.
즉, 상기 브릿지(520)가 회전되어 지중에 매설되며, 지열이 상기 브릿지(520) 및 각도조절부(510)를 통해 열전모듈(110)로 전달된다. 더불어, 상기 제1수용부(100)의 일면이 지표면과 접촉됨으로써, 지열이 상기 일면을 통해 열전모듈(11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브릿지(520)의 모서리는 모깎기되어 회전 시 제1수용부(100)의 일면과 간섭되지 않는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에 따른 매설부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매설부(500)는 열전도판(530)과 열전도핀(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전도판(530)은 제1수용부(100) 일면에 결합되되 상기 일면의 전체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열전도판(530)의 일측에는 복수의 열전도핀(540)이 소정 배열로 마련되어, 상기 열전도핀(540)이 지중에 매설됨으로써 지열이 상기 열전모듈(110)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지표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1수용부(100)의 일면을 통해서도 지열을 전달받는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정면 단면도가 도시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에는 상기 몸체(1)를 구성하며 제1수용부(100) 일면에 결합되되, 상기 제2열원(310)이 수용되는 제3수용부(300)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제2수용부(200)는 제1수용부(100)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3수용부(300)는 제2수용부(200)와 대향되는 위치인 제1수용부(100)의 타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3수용부(300)에는 상기 개폐부재(220)와 동일한 개폐부재(3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수용부(100,200,300)이 서로 접하는 면은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그라파이트(graphite), 풀러렌(fullerene) 또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열전도도가 높은 소재로 된 열전도면(230,330)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서로 접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단열소재로 된 단열면(240,340)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부로의 열 방출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수용부(100,200)의 모든 면은 방수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에는 상기 제1 및 제2열원(210,3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열전도면(230,330)에 고정시키기 위한 벨크로(velcro)로 구성된 고정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고정부는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는 후크면과 타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되 몸체(1)에 부착되는 루프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후크면의 길이는 몸체(1) 외측면을 둘러쌀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는 상기 후크면이 몸체(1) 외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루프면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및 제3수용부(200,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1수용부(100)와 밀착시킨다. 이로 인해, 제2 및 제3수용부(200,300)에 각각 수용된 제1 및 제2열원(210,310)이 상기 열전도면(230,330)에 밀착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에는 상기 제2 및 제3수용부(200,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1수용부(100)와 밀착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결합부는 제2 및 제3수용부(200,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1수용부(100)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제1수용부(100)로부터 탈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부는 수버클 및 암버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버클에는 직선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안내로드와, 상기 안내로드 기준 양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되 상기 안내로드와 같은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탄성로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로드 외측에는 상기 암버클과의 결합을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암버클에는 상기 안내로드 및 탄성로드가 삽입되도록 일면이 개방된 챔버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에는 상기 돌출부가 걸림 결합되도록 양측면에 소정 크기로 개구된 걸림면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로드와 탄성로드가 상기 챔버 내로 삽입되되, 상기 탄성로드의 돌출부가 걸림면에 도달하면 탄성로드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돌출부가 걸림면에 걸림 결합된다.
상기 암버클 또는 수버클이 제1수용부(100) 외측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제2 및 제3수용부(200,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수용부(100)의 외측면에 구비된 암버클 또는 수버클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부는 지퍼(zipper)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지퍼레일과 상기 지퍼레일 간 결합을 위한 지퍼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퍼레일은 제1수용부(100) 외측 모서리와, 제2 및 제3수용부(200,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 모서리에 형성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된다. 이를 살펴보면, 상기 제3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에는 상기 각도조절부(510) 및 브릿지(520)로 구성된 상기 매설부(5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매설부(500)는 제1수용부(100) 일측면에 구비되되, 제3수용부(300)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전모듈(110)의 일측이 제3수용부(300)에 수용된 제2열원(31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되, 매설부(500)를 통해 열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제3수용부(300)를 제1수용부(100)로부터 탈거한 후, 브릿지(520)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지중에 매설함으로써 지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몸체
100 : 제1수용부 200 : 제2수용부
300 : 제3수용부
110 : 열전모듈
111 : 열전소자 112 : PCB 기판
210 : 제1열원 310 : 제2열원
220,320 : 개폐부재 230,330 : 열전도면
240,340 : 단열면
400 : 공급부
500 : 매설부
510 : 각도조절부 520 : 브릿지
530 : 열전도판 540 : 열전도핀

Claims (6)

  1. 복수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구성하며, 열전모듈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
    상기 몸체를 구성하며, 상기 제1수용부 일면에 구비되되 제1열원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열전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열전모듈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외부로 제공하는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모듈은 일면이 제2수용부와 접하여 제1열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타면은 상기 제1열원과 온도 차이가 나는 제2열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열원과 제2열원의 온도차를 통해 전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 타면에 구비되어, 지중에 매설됨으로써 지열을 상기 열전모듈로 전달하는 매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3. 복수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구성하며, 열전모듈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
    상기 몸체를 구성하며, 제1수용부 일면에 구비되되 제1열원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
    상기 몸체를 구성하며, 제1수용부 타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열원과 온도 차이가 있는 제2열원이 수용되는 제3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열전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열전모듈에서 생성되는 전기를 외부로 제공하는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모듈은 일면이 제2수용부와 접하여 제1열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타면이 제3수용부와 접하여 제2열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열원과 제2열원의 온도차를 통해 전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용부의 서로 접하는 면은 열전도도가 높은 소재로 된 열전달면으로 형성되고, 서로 접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단열소재로 된 단열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에는 복수의 열전모듈이 수용되되, 상기 열전모듈들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원과 제2열원의 온도는 적어도 30℃이상 차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KR1020220088457A 2022-07-18 2022-07-18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KR20240010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457A KR20240010997A (ko) 2022-07-18 2022-07-18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457A KR20240010997A (ko) 2022-07-18 2022-07-18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997A true KR20240010997A (ko) 2024-01-25

Family

ID=8972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457A KR20240010997A (ko) 2022-07-18 2022-07-18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09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715B1 (ko) 2017-12-14 2019-09-03 전상락 휴대용 열발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715B1 (ko) 2017-12-14 2019-09-03 전상락 휴대용 열발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94192A1 (en) Thermal electric generator
JPWO2005117141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KR20110073166A (ko) 플렉서블 열전소자, 이를 포함하는 무선 센서 노드 및 그 제조 방법
EP0908960B1 (en) Electronic equipment power charging system
KR20240010997A (ko) 열전모듈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US201000379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ing Solar Energy
JP4175839B2 (ja) 流路管用熱電変換モジュール
KR102081621B1 (ko) 방열성능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장치용 접속반
KR20150130695A (ko) 배터리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배터리 조립체 및 배터리 조립체를 수용하는 배터리 모듈
KR101904361B1 (ko) 태양광 발전장치용 접속반 냉각장치
WO2022107958A1 (ko) 고효율 열전발전모듈
US7932459B2 (en) Thermal energy transfer circuit system
JP514420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KR101588572B1 (ko) 공냉식 냉각 기반의 밀폐형 배터리팩
ES2921483B2 (es) Módulo termoeléctrico para el aprovechamiento del calor residual y sistema de monitorización de procesos industriales
JPH04139773A (ja) 熱電変換装置
KR101755855B1 (ko) 열전발전시스템
JP2609869B2 (ja) 熱電発電装置
JP200718925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JP2015119065A (ja) 複層熱電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燃焼機器
KR100712960B1 (ko) 발전기능을 가진 히터
WO2023156689A1 (es) Módulo termoeléctrico para el aprovechamiento del calor residual
WO2021167204A1 (ko) 열전소자들을 일체화한 열전발전장치
BR102022017858A2 (pt) Célula solar fototermoelétrica, com sistema de geração de energia e controle de potência elétrica obtida
JP404675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