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987A - 차량 제어기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기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987A
KR20240010987A KR1020220088441A KR20220088441A KR20240010987A KR 20240010987 A KR20240010987 A KR 20240010987A KR 1020220088441 A KR1020220088441 A KR 1020220088441A KR 20220088441 A KR20220088441 A KR 20220088441A KR 20240010987 A KR20240010987 A KR 20240010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c
controller
network
network managemen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주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8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987A/ko
Priority to US18/100,930 priority patent/US20240022473A1/en
Publication of KR20240010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9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3Assignment of logical groups to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2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updates or upgrades of network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9Details regarding the setting of the power status of a node according to activity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1Packet processing; Packet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8Restricting access to network management systems or functions, e.g. using authorisation function to access network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차량 제어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제어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송수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에 PNC(Partial Network Cluster) 가입을 요청하는 네트워크 관리(Network Managemen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를 제외한 타 제어기들에 상기 PNC 가입을 배제하는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에 PNC 가입 해지를 요청하는 네트워크 관리 메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PNC 가입을 요청하는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 및 상기 PNC가입 해지를 요청하는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의 식별자(ID) 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어기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TRANSCEIVER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CONTROLLERS}
본 발명은 차량 제어기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기들의 부분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송수신 방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술의 발달로 차량에는 오디오 장치와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통합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된 멀티미디어 장치가 기본적으로 탑재되고, 이외에 메모리 시트, 룸 미러 위치, 사이드 미러 위치 등을 자동 조절하는 바디 제어 모듈(BCM)과, 조향 및 현가 장치(Suspension), 제동 장치의 제어에 관련된 샤시 제어 유닛과, 각각 변속기 및 엔진을 제어하는 파워트레인 제어유닛(TCU, EMS 등) 및 엔진 제어 유닛 등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차량용 부품들이 탑재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운전자 없이 여러 가지 센서로 실외 환경 변화를 극복하고 장애물을 피하면서 원하는 목적지까지 스스로 경로를 파악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자율주행 차량까지 상용화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차량에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차량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또한 양적, 질적으로 모두 발전하여 더욱 더 복잡해지고 있다.
따라서 차량 업체는 판매된 차량의 라이프사이클 동안 제어 장치들에 적용된 소프트웨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변화되는 전자통신환경과 기술발전에 맞게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오류사항을 개선하는 등의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들 중 일부 제어기들만을 업데이트하거나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부분 네트워크(PN, Partial Network)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PN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통신제어유닛(CCU, Communication Control Unit)와 특정 제어기들을 1:1로 고정적으로 매칭하여 특정 제어기들을 선택적으로 웨이크업(wake-up)하는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제어기들에 대한 사전 설정(configuration)이 필요하고, 양산된 차종에서 특정 유즈 케이스(use-case)가 발견될 시, 차량을 리콜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해당 방식은 고정된 데이터 크기로 네트워크 구성을 식별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예를 들어 4바이트의 PNI(Partial Network Information)를 적용할 경우 32개의 유즈 케이스에만 대응이 가능하여, 다양한 조합의 유즈 케이스에는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에서는 제어기들의 부분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조합의 유즈 케이스에 대처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6990호, 2022년 02월 25일 등록(명칭: OTA를 이용한 차량용 소프트웨어 관리 시스템)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50620호, 2022년 04월 25일 공개(명칭: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PN(Patrial Network) 스펙을 변경하지 않고 다양한 유즈 케이스(use-case)에 대처할 수 있는 부분 네트워크 동적 설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네트워크에서 수행되는 송수신 방법은, 제1 제어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기에 특정 PNC(Partial Network Cluster) 가입을 요청하는 제1 네트워크 관리(Network Managemen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기 각각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PNC에 대한 동작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기에 의하여 특정 PNC의 식별자가 설정된 제2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를 상기 차량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기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슬립 조건과 무관하게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송수신 방법은, 제1 제어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기 각각에 상기 특정 PNC의 해지를 요청하는 제3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및 제3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기 각각에 대한 네트워크 관리 식별자(NM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0'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내지 제3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Control Bit Vector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Control Bit Vector 필드는 PNC 가입 요청에 대한 지시자 및 PNC 가입 해지 요청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내지 제3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PNI(Partial Network Information)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PNI 필드는 상기 제2 제어기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기에 특정 PNC(Partial Network Cluster) 가입을 요청하는 제1 네트워크 관리(Network Management) 메시지를 전송하고, 특정 PNC의 식별자가 설정된 제2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를 차량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제1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슬립 조건과 무관하게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기 각각에 상기 특정 PNC의 해지를 요청하는 제3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및 제3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기 각각에 대한 네트워크 관리 식별자(NM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0'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내지 제3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Control Bit Vector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Control Bit Vector 필드는 PNC 가입 요청에 대한 지시자 및 PNC 가입 해지 요청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내지 제3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PNI(Partial Network Information)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PNI 필드는 상기 제2 제어기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해, PN(Patial Network) 스펙을 변경하지 않고 다양한 PN 유즈 케이스(use-case)들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향후 발굴될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PN 유즈 케이스들에 대하여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N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제어유닛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제어유닛 및 제어기들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제어유닛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제어유닛 및 제어기들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N(Partial Network)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분 네트워크(PN, Partial Network) 제어 시스템은 PN 제어기(100)와 통신제어유닛(150; CCU, Communication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부분 네트워크는 모든 ECU들을 웨이크업(wake-up) 하는 대신, CAN 메시지를 수신한 ECU 클러스터들만 웨이크업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분 네트워크 클러스터(PNC, Partial Network Cluster)는 차량의 특정 기능 또는 동작에 매핑된다. 예를 들어, PNC는 일부 제어기들의 OTA 업데이트에 매핑될 수 있다.
PN 제어기(100)는 통신제어유닛(150)에서 복수의 제어기들을 묶음으로 동시에 업데이트 하거나 제어하여야 할 경우 이러한 제어기들을 하나의 묶음으로 관리할 수 있는 부분 네트워크 클러스터(PNC, Partial Network Cluster) 구성에 관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제어유닛(150)에 전송한다. 이 때, 상기 PNC 구성에 관한 정보는 PN 등록 프로토콜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PN 제어기(100)는 PN 관리부(110) 및 CAN(Controller Area Network) 트랜시버(Transceiver) 설정부(130)를 포함한다.
PN 관리부(110)는 복수의 제어기들을 하나의 묶음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PN(Partial Network) 생성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제어유닛(150)에 전송하거나, 통신제어유닛(150)으로부터 PN 생성 정보를 수신한다.
CAN 트랜시버 설정부(130)는 부분 네트워크 클러스터 내의 제어기들의 CAN 통신을 설정한다.
통신제어유닛(150)은 부분 네트워크 생성 또는 해지에 관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다른 제어기들에 전송하거나, PN 제어기(100)로부터 부분 네트워크(PN, Partial Network) 생성 또는 해지에 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다른 제어기들에 전송한다.
통신제어유닛(150)은 PN 등록 서버(160)를 포함하고, 상기 PN 등록 서버(160)는 통신부(161), PN 관리부(163), PN 등록 풀(165)을 포함한다.
PN 등록 서버(160)는 복수의 제어기들의 PN 가입을 관리한다.
통신부(161)는 PN 제어기(100) 및 다른 제어기들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통신부(161)는 제어기들에 네트워크 관리(NM, Network Management)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제어기들로부터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61)는 PN 제어기(100)로부터 생성된 PN(Partial Network)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PN 관리부(163)는 복수의 제어기들을 묶음으로 관리할 수 있는 PN을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NM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어기들에 전송한다.
PN 등록 풀(165)은 복수의 제어기들을 묶음으로 관리하는 PN을 저장한다.
한편, 통신제어유닛(150)은 OTA(Over the Air) 업데이트 시, 제어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관리(Network Management)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통신제어유닛(150)은 복수의 제어기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NM(Network Message)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제어를 위한 각각의 제어기를 지시하는 수단으로 4바이트의 PNI(Partial Network Information) 필드를 사용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PNI 필드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비트 (bit) 7 비트 (bit) 6 비트 (bit) 5 비트 (bit) 4 비트 (bit) 3 비트 (bit) 2 비트 (bit) 1 비트 (bit) 0


PNI
PNC_8
(CCU, MDPS)
PNC_7
(CCU, ESC)
PNC_6
(CCU, ACU)
PNC_5
(CCU, TCU)
PNC_4
(CCU, EMS)
PNC_3
(CCU, VCU)
PNC_2
(OTA 협조제어 ECU)
PNC_1
(All ECUs)
PNC_16
(CCU, ADAS_VP)
PNC_15
(CCU, e-LSD)
PNC_14
(CCU, AWD)
PNC_13
(CCU, RGW, MDPS2)
PNC_12
(CCU, BMS)
PNC_11
(CCU, RWS)
PNC_10
(CCU, SBW)
PNC_9
(CCU, ECS, AirSUS)
PNC_24(ccNC, ccIC, CLU) PNC_23
(CCU, FR_CMR)
PNC_22
(CCU, RCU)
PNC_21
(CCU, BLTN_CAM)
PNC_20
(CCU, ccIC)
PNC_19
(CCU, HDM)
PNC_18
(CCU, ADAS_PRK2
/ADAS_PRK)
PNC_17
(CCU, ADASDRV2
/ADAS_DRV)
PNC_32(CCU) PNC_31
(CCU)
PNC_30
(CCU)
PNC_29
(CCU)
PNC_28
(CCU)
PNC_27
(ICC, ETCS)
PNC_26
(AMP, VESS, ADP)
PNC_25
(MKBD, RRC, CCP)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종래의 PNI 필드에서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기를 지시하기 위하여 고정적(static) 방식의 논리적인(logical) 부분 클러스터(partial cluster)를 묶어서 사용하며, 통신제어유닛(150)과 제어기가 1:1로 매칭되어 클러스터링된다.
하지만, OTA 업데이트를 지원해야 하는 물리적인 제어기의 개수가 점차 늘어나는 상황에서 상기와 같은 PNI 메시지를 이용하여 CCU와 특정 제어기를 1:1로 고정적(static)으로 매칭하는 방식으로는 전 제어기의 OTA 업데이트를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통신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기 위한 복수의 제어기들을 보다 능동적으로(dynamically) 지시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한편, 통신제어유닛(150)으로부터 제어기들에 전송되는 NM 메시지는 아래 표 2와 같은 필드들을 포함한다.
바이트 필드
Byte 0 Source Node Identifier
Byte 1 Control Bit Vector
Byte 2 Network Request Reason
Byte 3 NM State
Byte 4 PNI
한편, 상기 NM 메시지 내의 Control Bit Vector 필드는 아래 표 3의 비트들로 구성되어 있다.
Bit 0 Bit 1 Bit 2 Bit 3 Bit 4 Bit 5 Bit 6 Bit 7
CBV Reserved PN info bit Reserved Active Wakeup Bit NM Coordinator Sleep Ready bit NM Coordinator ID Repeat Message Request
이 때, 통신제어유닛(150)은 제어기들에 부분 네트워크 클러스터(PNC, Patrial Network Cluster) 가입 또는 해지를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표 3의 Control Bit Vector 필드를 아래 표 4와 같이 변형하여 전송할 수 있다.
Bit 0 Bit 1 Bit 2 Bit 3 Bit 4 Bit 5 Bit 6 Bit 7
CBV PNC 해지 요청 PN info bit PNC 가입 요청 Active Wakeup Bit NM Coordinator Sleep Ready bit NM Coordinator ID Repeat Message Request
표 4를 참조하면, 상기 CBV(Control Bit Vector) 필드의 1번째 비트는 PNC 해지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PNC 해지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1번째 비트)는 PNC 해지를 요청하는 경우 '1'의 값으로 설정되고, PNC 해지를 요청하지 않는 경우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BV 필드의 3번째 비트는 PNC 가입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PNC 가입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3번째 비트)는 PNC 가입을 요청하는 경우 '1'의 값으로 설정되고, PNC 가입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PNC 가입 요청에 대한 사유 및 PNC 해지 요청에 대한 사유를 지시하도록 변형할 수 있다.
한편, 표 1의 PNI 필드는 필드를 구성하는 데이터 비트(bit)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형하여 상기 비트들이 PNC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NC_1 내지 PNC_4는 아래와 같은 정보들을 지시하도록 PNI 필드를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1) PNC_1: OTA(Over the Air) 업데이트
2) PNC_2: IGN(Ignition) OFF 후 동작
3) PNC_3: 주차 중 동작
4) PNC_4: CCS(Combined Charging System) 서비스 요청 시 동작
예를 들어, PNC_1 = '1' 로 설정되고, 나머지 데이터 비트들(PNC_2, …, PNC_32)은 '0'으로 설정된 PNI 필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PNC에 가입 요청된 제어기들에 대하여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한, PNC_2 = '1' 로 설정되고, 나머지 데이트 비트들(PNC_1, PNC_3, …, PNC_32)은 '0'으로 설정된 PNI 필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PNC에 가입 요청된 제어기들에 대하여 IGN OFF 후에도 아이들(idle) 모드 또는 슬립(sleep) 모드로 진입하지 않고 동작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변형된 네트워크 관리(Network Management) 메시지를 활용하여 제어기들과 OTA 업데이트를 위한 메시지 또는 제어 메시지들을 송수신하는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OTA 업데이트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network Management) 메시지 전송
통신제어유닛(CCU)은 일부 제어기들에 대하여 OTA(Over the Air)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통신제어유닛(CCU)은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제어기들로만 PNC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제어유닛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제어유닛(CCU)은 OTA(Over the Air)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들에 PNC(Partial Network Cluster) 가입을 요청하는 제1 네트워크 관리(NM, Network Management) 메시지를 전송한다(S210).
이 때, 상기 PNC 가입을 요청하는 NM 메시지는 표 2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는 표 4의 비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 내에 포함된 PNC 해지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1번째 비트)는 '0'의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PNC 가입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3번째 비트)는 PNC 가입을 요청하는 경우 '1'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NM 메시지 내의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PNC 가입을 요청할 대상 제어기의 네트워크 관리(NM) 식별자(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상기 PNC 가입 요청 NM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어기에 대한 NM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동시에 하나의 제어기에 대한 식별자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제어유닛은 한 번에 하나의 제어기를 위한 NM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어기들에 PNC 가입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 내의 제어기의 NM ID를 재구성하여 NM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제어유닛은 n 개의 제어기에 대하여 PNC 를 구성하여 OTA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경우, n 개의 제어기에 대하여 서로 다른 NM 메시지를 구성하여 PNC 가입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n 번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M 메시지 내의 PNI 필드를 구성하는 각 비트들은 OTA(Over the Air) (또는 OTA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비트는 '1'의 값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비트들은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CCU로부터 NM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어기(300)는 PN 관리부(310) 및 CAN 트랜시버 설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PN 관리부(310)는 CCU로부터 수신한 NM 메시지에 포함된 PNC의 동작을 확인하여, 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N 관리부(310)는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CAN 트랜시버 설정부(330)는 상기 제어기(300)의 CAN 통신을 위한 송수신을 설정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통신제어유닛은 OTA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의 웨이크업(wake-up)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2 NM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전송한다(S230).
이 때, 상기 제2 NM 메시지는 통신제어유닛이 속한 차량 네트워크 내의 불특정 다수의 제어기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NM 메시지는 표 2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NM 메시지의 CBV 필드는 표 4의 비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 내에 포함된 PNC 해지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1번째 비트) 및 PNC 가입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3번째 비트)는 모두 경우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NM 메시지 내의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NM 메시지 내의 PNI 필드를 구성하는 각 비트들은 OTA(Over the Air) (또는 OTA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비트는 '1'의 값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비트들은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통신제어유닛은 제1 NM 메시지를 전송할 때에는 수신하는 제어기에 따라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 내에 서로 다른 NM ID를 구성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한 번에 하나의 제어기를 위한 NM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하였지만, 제2 NM 메시지에 대해서는 동일한 NM 메시지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제어유닛(CCU)은 OTA(Over the Air)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들에 PNC(Partial Network Cluster) 가입 해지를 요청하는 제3 네트워크 관리(NM, Network Management) 메시지를 전송한다(S250).
이 때, 상기 PNC 가입 해지를 요청하는 NM 메시지는 표 2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는 표 4의 비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 내에 포함된 PNC 해지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1번째 비트)는 '1'의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PNC 가입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3번째 비트)는 PNC 가입을 요청하는 경우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NM 메시지 내의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PNC 가입 해지를 요청할 대상 제어기의 네트워크 관리(NM) 식별자(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상기 PNC 가입 해지 요청 NM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어기에 대한 NM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통신제어유닛(CCU)은 단계 S210와 마찬가지로, 한 번에 하나의 제어기에 대하여 PNC 가입 해지 요청 NM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M 메시지 내의 PNI 필드를 구성하는 각 비트들은 OTA(Over the Air) (또는 OTA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비트는 '1'의 값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비트들은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210 내지 S250에서 통신제어유닛은 제어기들에 NM 메시지를 전송한 후 제어기들로부터 상기 NM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통신제어유닛(CCU)은 제어기들에 NM 메시지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하여 동일한 메시지를 반복하여 여러 번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제어유닛은 각 단계에서 각각의 제어기들에 동일한 메시지를 3번씩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제어유닛 및 제어기들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통신제어유닛(CCU, 410), 제1 제어기(430), 제2 제어기(450), 나머지 제어기들(4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제어기(430, 450)는 OTA(Over the Air)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들이고, 나머지 제어기들(470)은 OTA 업데이트가 필요하지 않은 나머지 제어기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기는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이고, 제2 제어기는 SBW(Steer by Wire)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제어유닛(CCU, 410)은 제1 제어기(430)에 제1 제어기(430)의 PNC 가입을 요청하는 네트워크 관리(NM) 메시지를 전송하고(S405), 제2 제어기(450)에 제2 제어기(450)의 PNC 가입을 요청하는 네트워크 관리(NM) 메시지를 전송한다(S420).
단계 S405 및 S420에서, 상기 PNC 가입을 요청하는 NM 메시지는 표 2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는 표 4의 비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 내에 포함된 PNC 해지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1번째 비트)는 '0'의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PNC 가입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3번째 비트)는 PNC 가입을 요청하는 경우 '1'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NM 메시지 내의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PNC 가입을 요청할 대상 제어기의 네트워크 관리(NM) 식별자(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S405에서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상기 제1 제어기에 대한 NM ID를 포함하고, 단계 S420에서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상기 제2 제어기에 대한 NM 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M 메시지 내의 PNI 필드를 구성하는 각 비트들은 OTA(Over the Air) (또는 OTA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비트는 '1'의 값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비트들은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405에서 통신제어유닛(410)으로부터 PNC 가입을 요청하는 NM 메시지를 수신한 제1 및 제2 제어기(430, 450)는 각각 상기 PNC의 설정 동작을 수행한다(410, 420).
또한, 통신제어유닛(CCU, 410)은 PNC 가입된 제어기들의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NM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전송한다(S430).
이 때, 상기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NM 메시지는 통신제어유닛이 속한 차량 네트워크 내의 불특정 다수의 제어기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NM 메시지는 표 2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NM 메시지의 CBV 필드는 표 4의 비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 내에 포함된 PNC 해지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1번째 비트) 및 PNC 가입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3번째 비트)는 모두 경우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NM 메시지 내의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NM 메시지 내의 PNI 필드를 구성하는 각 비트들은 OTA(Over the Air) (또는 OTA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비트는 '1'의 값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비트들은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이 IGN(Ignition) ON 모드로부터 IGN OFF 모드에 진입하면, 네트워크 내에서 제1 및 제2 제어기(430, 450)를 제외한 나머지 제어기들( 470)은 슬립(sleep) 모드에 진입한다(S430). 반면에, 제1 및 제2 제어기(430, 450)는 차량이 IGN OFF 모드에 진입하더라도 웨이크업(wake-up)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1 제어기(430)는 단계 S410의 PNC 설정 동작에 따라 OTA 업데이트를 수행하고(S435), 제2 제어기(450)는 단계 S420의 PNC 설정 동작에 따라 OTA 업데이트를 수행한다(S440).
이 때,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430, 450)는 PNC 설정 동작에 의해서 차량이 IGN ON 모드에 있는지 또는 IGN OFF 모드로 진입했는지와 무관하게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OTA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제어유닛(410)은 제1 제어기(430)에 제1 제어기(430)의 PNC 가입 해지를 요청하는 네트워크 관리(NM) 메시지를 전송하고(S445), 제2 제어기(450)에 제2 제어기(450)의 PNC 가입 해지를 요청하는 네트워크 관리(NM) 메시지를 전송한다(S450).
단계 S470 및 S480에서, 상기 PNC 가입 해지를 요청하는 NM 메시지는 표 2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는 표 4의 비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 내에 포함된 PNC 해지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1번째 비트)는 '1'의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PNC 가입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3번째 비트)는 PNC 가입을 요청하는 경우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NM 메시지 내의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PNC 가입 해지를 요청할 대상 제어기의 네트워크 관리(NM) 식별자(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S470에서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상기 제1 제어기에 대한 NM ID를 포함하고, 단계 S480에서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상기 제2 제어기에 대한 NM 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M 메시지 내의 PNI 필드를 구성하는 각 비트들은 OTA(Over the Air) (또는 OTA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비트는 '1'의 값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비트들은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410 내지 S480에서 통신제어유닛(CCU, 410)은 제어기들(430, 450, 470)에 NM 메시지를 전송한 후 제어기들(430, 450, 470)로부터 상기 NM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통신제어유닛(CCU)은 제어기들(430, 450, 470)에 NM 메시지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하여 동일한 메시지를 반복하여 여러 번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제어유닛은 각 단계에서 각각의 제어기들에 동일한 메시지를 3번씩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 2) 차량의 시동 오프(OFF) 후 일부 공조 제어기들만을 동작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관리(network Management) 메시지 전송
한편, 부분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일부 제어기들은 다른 제어기에 PNC 가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공조 제어기는 차량의 시동 오프(OFF) 후에도 동작하는 것에 관하여 정의된 PNC에 가입되어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PNC 가입 요청을 다른 공조 제어기에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어기들은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제어유닛(CCU)이 메시지 전송 제어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 수신 제어기로 메시지를 단순 전달하는 라우터(router)로써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PNC 가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기를 제1 제어기, 상기 PNC 가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어기를 제2 제어기로 정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제어유닛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제어유닛(CCU)은 제1 제어기로부터 PNC(Partial Network Cluster) 가입을 요청하는 제1 네트워크 관리(NM, Network Management) 메시지를 수신하고(S510), 상기 수신한 NM 메시지를 제2 제어기에 전송한다(S520).
이 때, 상기 제1 제어기와 제2 제어기는 서로 다른 채널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기는 복수의 제어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PNC 가입을 요청하는 NM 메시지는 표 2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는 표 4의 비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 내에 포함된 PNC 해지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1번째 비트)는 '0'의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PNC 가입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3번째 비트)는 PNC 가입을 요청하는 경우 '1'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NM 메시지 내의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PNC 가입을 요청할 대상 제어기의 네트워크 관리(NM) 식별자(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제2 제어기에 대한 NM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동시에 하나의 제어기에 대한 식별자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M 메시지 내의 PNI 필드를 구성하는 각 비트들은 각 비트들은 IG OFF 상태에서의 동작을 지시하는 비트는 '1'의 값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비트들은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통신제어유닛(CCU)은 제1 제어기로부터 PNC에 가입된 제어기들의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2 NM 메시지를 수신하고(S530), 상기 수신한 제2 NM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전송한다(S540).
이 때, 상기 제2 NM 메시지는 표 2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NM 메시지의 CBV 필드는 표 4의 비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 내에 포함된 PNC 해지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1번째 비트) 및 PNC 가입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3번째 비트)는 모두 경우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NM 메시지 내의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NM 메시지 내의 PNI 필드를 구성하는 각 비트들은 IG OFF 상태에서의 동작을 지시하는 비트는 '1'의 값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비트들은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통신제어유닛(CCU)은 제1 제어기로부터 PNC 가입 해지를 요청하는 제3 NM 메시지를 수신하고(S550), 상기 수신한 제3 NM 메시지를 제2 제어기에 전송한다(S560).
이 때, 상기 PNC 가입 해지를 요청하는 NM 메시지는 표 2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는 표 4의 비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 내에 포함된 PNC 해지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1번째 비트)는 '1'의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PNC 가입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3번째 비트)는 PNC 가입을 요청하는 경우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NM 메시지 내의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PNC 가입 해지를 요청할 대상 제어기의 네트워크 관리(NM) 식별자(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제2 제어기에 대한 NM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M 메시지 내의 PNI 필드를 구성하는 각 비트들은 IG OFF 상태에서의 동작을 지시하는 비트는 '1'의 값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비트들은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510 내지 S560에서 제1 제어기 및 통신제어유닛은 NM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NM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제어기 및 통신제어유닛(CCU)은 NM 메시지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하여 동일한 메시지를 반복하여 여러 번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기 및 통신제어유닛은 각 단계에서 통신제어유닛 또는 제2 제어기에 동일한 메시지를 3번씩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제어유닛 및 제어기들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제어유닛(CCU, 610)은 제1 제어기(630)로부터 PNC(Partial Network Cluster) 가입을 요청하는 제1 네트워크 관리(NM, Network Management) 메시지를 수신하고(S610), 상기 수신한 NM 메시지를 제2 제어기(650)에 전송한다(S620).
이 때, 상기 제1 NM 메시지는 표 2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는 표 4의 비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 내에 포함된 PNC 해지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1번째 비트)는 '0'의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PNC 가입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3번째 비트)는 PNC 가입을 요청하는 경우 '1'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NM 메시지 내의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PNC 가입을 요청할 대상 제어기의 네트워크 관리(NM) 식별자(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제2 제어기에 대한 NM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동시에 하나의 제어기에 대한 식별자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NM 메시지 내의 PNI 필드를 구성하는 각 비트들은 각 비트들은 IG OFF 상태에서의 동작을 지시하는 비트는 '1'의 값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비트들은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제어기(650)는 PNC 설정 동작을 수행한다(S630).
즉, 제2 제어기(650)는 IGN OFF 후 공조 동작을 위한 내부 설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통신제어유닛(CCU, 610)은 제1 제어기(630)로부터 PNC 가입된 제어기들의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2 NM 메시지를 수신하고(S640), 상기 수신한 제2 NM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전송한다(S650).
이 때, 상기 제2 NM 메시지는 통신제어유닛이 속한 차량 네트워크 내의 불특정 다수의 제어기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제어기(630)는 상기 제2 NM 메시지를 통신제어유닛을 거치지 않고 상기 제1 유닛이 속한 차량 네트워크 내의 불특정 다수의 제어기에 브로드캐스팅하는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NM 메시지는 표 2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NM 메시지의 CBV 필드는 표 4의 비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 내에 포함된 PNC 해지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1번째 비트) 및 PNC 가입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3번째 비트)는 모두 경우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NM 메시지 내의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NM 메시지 내의 PNI 필드를 구성하는 각 비트들은 IG OFF 상태에서의 동작을 지시하는 비트는 '1'의 값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비트들은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이 IGN ON 모드에서 IGN OFF 모드로 진입하면, 제1 제어기(630) 및 제1 제어기로부터 제1 NM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나머지 제어기들(670)은 슬립(sleep) 모드에 진입한다(S660).
또한, 통신제어유닛(CCU)은 제1 제어기로부터 제2 제어기의 PNC 가입 해지를 요청하는 제3 NM 메시지를 수신하고(S670), 상기 수신한 제3 NM 메시지를 제2 제어기에 전송한다(S680).
이 때, 상기 제3 NM 메시지는 표 2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는 표 4의 비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CBV 필드 내에 포함된 PNC 해지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1번째 비트)는 '1'의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PNC 가입 요청 여부에 대한 정보(3번째 비트)는 PNC 가입을 요청하는 경우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NM 메시지 내의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PNC 가입 해지를 요청할 대상 제어기의 네트워크 관리(NM) 식별자(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제2 제어기에 대한 NM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M 메시지 내의 PNI 필드를 구성하는 각 비트들은 IG OFF 상태에서의 동작을 지시하는 비트는 '1'의 값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비트들은 '0'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610 내지 S680에서 제1 제어기(630) 및 통신제어유닛(610)은 NM 메시지들을 전송한 후 상기 NM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제어기(630) 및 통신제어유닛(610)은 NM 메시지들을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하여 동일한 메시지를 반복하여 여러 번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기 및 통신제어유닛은 각 단계에서 통신제어유닛 또는 제2 제어기에 동일한 메시지를 3번씩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제어기(630)는 제1 내지 제3 NM 메시지들을 통신제어유닛을 통해서 다른 제어기들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제1 제어기(630)는 동일한 채널 내에 존재하는 제어기들에는 통신제어유닛을 거치지 않고 직접 NM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시스템의 PN(Patial Network) 스펙을 변경하지 않고 다양한 PN 유즈 케이스(use-case)들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향후 발굴될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PN 유즈 케이스들에 대하여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Claims (12)

  1. 차량 네트워크에서 수행되는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제1 제어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기에 특정 PNC(Partial Network Cluster) 가입을 요청하는 제1 네트워크 관리(Network Managemen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기 각각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PNC에 대한 동작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기에 의하여 특정 PNC의 식별자가 설정된 제2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를 상기 차량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기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슬립 조건과 무관하게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방법은,
    제1 제어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기 각각에 상기 특정 PNC의 해지를 요청하는 제3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기 각각에 대한 네트워크 관리 식별자(NM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0'의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Control Bit Vector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Control Bit Vector 필드는 PNC 가입 요청에 대한 지시자 및 PNC 가입 해지 요청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PNI(Partial Network Information)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PNI 필드는 상기 제2 제어기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기에 특정 PNC(Partial Network Cluster) 가입을 요청하는 제1 네트워크 관리(Network Management) 메시지를 전송하고, 특정 PNC의 식별자가 설정된 제2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를 차량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제1 제어기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슬립 조건과 무관하게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제어기
    를 포함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기 각각에 상기 특정 PNC의 해지를 요청하는 제3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기 각각에 대한 네트워크 관리 식별자(NM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Network Request Reason 필드는 '0'의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Control Bit Vector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Control Bit Vector 필드는 PNC 가입 요청에 대한 지시자 및 PNC 가입 해지 요청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네트워크 관리 메시지는 PNI(Partial Network Information) 필드를 포함하되, 상기 PNI 필드는 상기 제2 제어기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220088441A 2022-07-18 2022-07-18 차량 제어기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109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441A KR20240010987A (ko) 2022-07-18 2022-07-18 차량 제어기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US18/100,930 US20240022473A1 (en) 2022-07-18 2023-01-24 Transceiving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controll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441A KR20240010987A (ko) 2022-07-18 2022-07-18 차량 제어기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987A true KR20240010987A (ko) 2024-01-25

Family

ID=8950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441A KR20240010987A (ko) 2022-07-18 2022-07-18 차량 제어기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022473A1 (ko)
KR (1) KR2024001098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990B1 (ko) 1995-07-03 2000-01-15 니시히라 순지 액정 디스플레이용 박막의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
KR20220050620A (ko) 2020-10-16 2022-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990B1 (ko) 1995-07-03 2000-01-15 니시히라 순지 액정 디스플레이용 박막의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
KR20220050620A (ko) 2020-10-16 2022-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22473A1 (en)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84711A1 (en) Power and Data Center (PDC) for Automotive Applications
CN110311992B (zh) 汽车以太网的统一诊断服务的功能寻址方法
US10710522B2 (en) Diagnostic methods and apparatuses in vehicle network
US20190173951A1 (en) Vehicle communication using publish-subscribe messaging protocol
US20120320927A1 (en) Gateway apparatus
US10992599B2 (en) Communication method of ethernet network for vehicle
WO2020135277A1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设备
WO2016188219A1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KR20170040326A (ko) 버스 시스템의 가입자국용 통신 제어 장치, 프로그래밍 툴, 그리고 상이한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는 가입자국들을 포함하는 버스 시스템에서 가입자국들의 프로그래밍 방법
CN111147338B (zh) 一种车载有线网络到无线网络的接口设计方法
KR20240010987A (ko) 차량 제어기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US20210176092A1 (en) Vehicles with disparate communication architectures and multiple gateway modules for selective communication therebetween
CN104821888B (zh) 用于运行尤其是机动车的通信网络的方法和装置
US20100138472A1 (en) I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WO2014012164A1 (en) Intra-train network management system
KR20200042811A (ko)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03109512B (zh) 用于为至少一个设备提供通信的方法
CN103716235A (zh) 基于adbp通信的航电数据转发系统及方法
US10912019B2 (en) Distributed wireless intercom audio routing over ethernet with synchronization and roaming
JP2020178349A (ja) Oamを使用したイーサネットリンクパートナのgpioの制御
WO2021243664A1 (zh) 一种无线通信方法及相关设备
US11457364B2 (en) Wireless channel PIN key revocation and renewal
WO20241033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n id distribution
CN220673943U (zh) 车联网系统及基于车载v2v模块的局域网信息交互装置
WO2022230684A1 (ja) 管理装置、中継装置、管理方法および管理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