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322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322A
KR20240010322A KR1020220087743A KR20220087743A KR20240010322A KR 20240010322 A KR20240010322 A KR 20240010322A KR 1020220087743 A KR1020220087743 A KR 1020220087743A KR 20220087743 A KR20220087743 A KR 20220087743A KR 20240010322 A KR20240010322 A KR 20240010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nter beam
venting
battery pack
cross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이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8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322A/ko
Publication of KR20240010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9Fluids undergoing a liquid-gas phase change or transition, e.g. evaporation or 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01M50/358External gas exhaust passages located on the battery cover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예에서, 배터리 팩은 센터 빔과, 상기 센터 빔에 교차하는 크로스 빔으로 구획되는 복수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팩 케이스 및 상기 팩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각각 수용되고, 상면에 벤팅장치가 구비된 복수의 배터리 셀이 일렬로 정렬된 복수의 배터리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 빔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유로를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중공유로에는 액체가 함침된 흡수재가 수납된 흡열 파우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팩 케이스의 크로스 빔 내부에 흡열 파우치를 구비함으로써 배터리 셀의 냉각기능을 강화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일차전지와는 달리 재충전이 가능하고, 또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으로 인해 근래에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하고, 또한 환경보호의 시대적 요구에 맞춰 부각되는 전기 차량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으로 인해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는 더욱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차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코인형 전지,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및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이차전지에서 전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전극 조립체는 전극 및 분리막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이다.
이차전지는 장기간 동안 연속적인 사용이 요구되므로, 충방전 과정 중에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차전지의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는 온도 상승이 전류의 증가를 야기하고, 전류의 증가가 또다시 온도 상승의 원인이 되는 정귀환의 연쇄반응이 일어나, 결국 열 폭주(Thermal Runaway)의 파국상태에 이르게 된다.
또한, 이차전지가 모듈이나 팩의 형태로서 집단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이차전지에 발생한 열 폭주에 의해 주변의 다른 이차전지가 연속적으로 과열되는 열 전파(Thermal Propagation)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나아가 과열된 이차전지에서 방출되는 가연성 가스와 가열전극 등의 점화원으로 인해 화재 발생의 위험이 높으므로, 이러한 발화 위험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21-0122511호 (2021.10.12 공개)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서 발생한 열 폭주에 의한 열 전파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열 파우치에서 배출되는 증기를 배터리 셀의 냉각에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동시에 벤팅 홀로 정확히 유도할 수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에 또 하나의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예에서, 센터 빔과, 상기 센터 빔에 교차하는 크로스 빔으로 구획되는 복수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팩 케이스; 및 상기 팩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각각 수용되고, 상면에 벤팅장치가 구비된 복수의 배터리 셀이 일렬로 정렬된 복수의 배터리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 빔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유로를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중공유로에는 액체가 함침된 흡수재가 수납된 흡열 파우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 빔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스 빔의 중공유로는 상기 센터 빔의 중공유로와 연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크로스 빔 내부의 중공유로는 보강 리브로 분할된 복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리브로 분할된 복수의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간은 흡열 파우치 수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열 파우치 수납부는, 상기 배터리 블록에 접촉하는 상기 크로스 빔의 양 측벽 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빔의 중공유로는 격자형 보강 리브로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상기 센터 빔은 상기 배터리 블록의 전면에 접촉하고, 상기 크로스 빔은 상기 배터리 블록의 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배터리 블록의 측면에 접촉한 상기 크로스 빔 내부의 흡열 파우치는 배터리 셀의 열을 흡수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셀의 열을 흡수한 상기 흡열 파우치는 그 내부의 액체가 기화하여 증기압이 상승하면 파단되어 증기를 배출하고, 상기 흡열 파우치에서 분출된 증기는 상기 크로스 빔의 중공유로 및 센터 빔의 중공유로를 흐르면서 상기 배터리 블록을 냉각한다.
그리고, 상기 센터 빔의 높이는 상기 크로스 빔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센터 빔의 상방에는 중공형의 벤팅 튜브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블록의 상면에 일렬로 정렬된 복수의 벤팅장치를 밀폐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센터 빔을 향하는 방향으로 출구가 형성된 벤팅 덕트를 더 포함하는 가운데, 상기 벤팅 튜브는 상기 벤팅 덕트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벤팅 덕트의 출구는 상기 벤팅 튜브에 연통한다.
그리고, 상기 센터 빔의 중공유로의 출구 및 상기 벤팅 튜브의 출구는 상기 팩 케이스의 벤팅 홀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터 빔의 중공유로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는, 상기 벤팅 튜브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가스 또는 입자를 냉각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벤팅 홀의 출구에는 상기 센터 빔에서 배출되는 증기와 상기 벤팅 튜브에서 배출되는 가스 또는 입자 사이의 혼합을 강화하는 매쉬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배터리 블록의 전면과 후면에는 엔드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된 브래킷이 상기 센터 빔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빔과 상기 벤팅 튜브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배선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벤팅 튜브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상부에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배터리 블록에 접촉한 크로스 빔 내부의 흡열 파우치가 배터리 셀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하는 작용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어느 배터리 셀에 열 폭주가 발생하여 주변으로 확산하는 열 전파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셀의 열을 흡수한 흡열 파우치 내부의 액체가 기화하여 배출된 증기 역시 크로스 빔과 센터 빔의 중공유로를 흐르면서 배터리 블록을 지속적으로 냉각하므로, 장시간 동안 배터리 셀과 블록의 냉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센터 빔의 중공유로의 출구와 벤팅 튜브의 출구가 벤팅 홀에 함께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센터 빔의 중공유로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가 벤팅 튜브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가스 및/또는 입자를 냉각하게 되고, 증기에 의해 가스와 입자의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외부 발화의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팩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배터리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크로스 빔의 내부에 흡열 파우치가 수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크로스 빔과 연통하는 센터 빔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크로스 빔과 센터 빔의 각 중공유로가 연통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센터 빔의 상방에 벤팅 튜브가 나란히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벤팅 튜브와 벤팅 덕트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팩 케이스의 벤팅 홀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배터리 블록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배터리 블록의 엔드 플레이트가 벤팅 튜브를 지지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기재된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있다고 기재된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예에서, 팩 케이스와 복수의 배터리 블록을 포함한다. 팩 케이스는 센터 빔과, 상기 센터 빔에 교차하는 크로스 빔으로 구획되는 복수의 수납공간을 구비한다. 그리고 팩 케이스의 개개의 수납공간에 수용되는 복수의 배터리 블록은 상면에 벤팅장치가 구비된 복수의 배터리 셀이 일렬로 정렬되어 하나의 블록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 빔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유로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중공유로 안에는 액체가 함침된 흡수재가 수납된 흡열 파우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배터리 블록에 접촉한 크로스 빔 내부의 흡열 파우치가 배터리 셀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하는 작용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어느 배터리 셀에 열 폭주가 발생하여 주변으로 확산하는 열 전파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셀의 열을 흡수한 흡열 파우치 내부의 액체가 기화하여 배출된 증기 역시 크로스 빔의 중공유로를 흐르면서 배터리 블록을 지속적으로 냉각하므로, 장시간 동안 배터리 셀과 블록의 냉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대적인 위치를 지정하는 전후나 상하좌우의 방향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삼는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팩 케이스(100)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배터리 블록(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팩(10)은 팩 케이스(100)와 복수의 배터리 블록(200)을 포함한다. 도 2에는 팩 케이스(100)가 도시되어 있는데, 팩 케이스(100)는 센터 빔(110)과, 센터 빔(110)에 교차하는 크로스 빔(120)으로 구획되는 복수의 수납공간(102)을 구비한다. 도시된 팩 케이스(10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크로스 빔(120)과, 크로스 빔(120)을 가로지르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센터 빔(110)에 의해 총 4개의 수납공간(10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팩 케이스(100)의 내부는 팩 케이스(100)의 상면을 덮는 팩 커버(150)에 의해 밀봉된다.
여기서, 도시된 팩 케이스(100)는 하나의 예로서, 크로스 빔(120)과 센터 빔(110)의 개수를 늘려 4개를 초과하는 더 많은 개수의 수납공간(102)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크로스 빔(120)의 중앙은 센터 빔(110)에 의해 좌우로 분할되어 있는데, 크로스 빔(120)과 센터 빔(110)은 상호 결합하여 격자구조를 이룸으로써 팩 케이스(100)의 강성을 강화하게 된다.
팩 케이스(100)에 4개로 마련된 개개의 수납공간(102)에는 도 3의 배터리 블록(200)이 하나씩 수용되고, 각 배터리 블록(200)에는 10개의 배터리 셀(210)이 하나로 모여있다. 따라서, 예시된 배터리 팩(10)은 총 40개의 배터리 셀(210)이 모여 하나의 팩을 구성하고 있다.
모든 배터리 블록(200)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도 3을 참조하면, 각 배터리 셀(210)은 전지 케이스의 상면에 벤팅장치(212)가 구비되어 있으며, 복수의 배터리 셀(210)이 일렬로 정렬되고 하나로 묶여 블록을 이룬다.
배터리 블록(200)은, 일렬로 정렬된 배터리 셀(210)의 양 측면에 결합하는 한 쌍의 사이드 케이스(220)와, 전면에 결합하는 프론트 케이스(230), 그리고 후면에 결합하는 리어 케이스(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배터리 블록(200)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250)가 프론트 케이스(230)와 리어 케이스(240) 위에 배치되고, 한 쌍의 사이드 고정 플레이트(260)가 사이드 케이스(220)를 덮으면서 그 양단이 엔드 플레이트(250)에 고정된다. 여기서, 엔드 플레이트(250)는 무게는 줄이면서 강성을 늘리기 위해 리브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블록(200)은 상면에 일렬로 정렬된 복수의 벤팅장치(212)를 밀폐하도록 결합하는 벤팅 덕트(300)를 포함하고 있다. 벤팅 덕트(300)는, 과열된 배터리 셀(210)의 내부 압력에 의해 파열된 벤팅장치(212)를 통해 분출되는 가스 및/또는 입자가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고 정해진 방향으로만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블록(200)은 벤팅 덕트(300)의 출구(310)가 센터 빔(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여 팩 케이스(100)의 수납공간(102) 안에 안착된다. 여기서, 배터리 블록(200)에 있어서 벤팅 덕트(300)의 출구(310)가 배치되는 면을 전면으로 정의한다면, 배터리 블록(200)은 그 전면이 센터 빔(110)을 향하도록 팩 케이스(100) 내에 배치되는 것이다.
크로스 빔(120)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유로(122)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으며, 크로스 빔(120)의 중공유로(122)에는 액체가 함침된 흡수재, 바람직하게는 고흡수성 매트릭스(410)가 수납된 흡열 파우치(400)가 수납되어 있다. 도 4는 크로스 빔(120)의 내부에 흡열 파우치(400)가 수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크로스 빔(120) 내부의 중공유로(122)는 보강 리브(124)로 분할된 복수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강 리브(124)에 의해 중공형태인 크로스 빔(120)의 강성이 강화된다. 여기서, 보강 리브(124)로 분할된 크로스 빔(120) 내부의 복수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간은 흡열 파우치(400) 수납부(126)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보강 리브(124)에 의해 분할된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간이 흡열 파우치(400)의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크로스 빔(120) 내부의 흡열 파우치(400) 수납부(126)는, 배터리 블록(200)에 접촉하는 크로스 빔(120)의 양 측벽 쪽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크로스 빔(120)과 연통하는 센터 빔(11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크로스 빔(120)과 센터 빔(110)의 각 중공유로(122, 112)가 연통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센터 빔(110) 또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유로(112)를 구비하고 있으며, 크로스 빔(120)의 중공유로(122)의 출구(128)는 센터 빔(110)과의 교차지점에 마련된 센터 빔(110)의 입구(118)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크로스 빔(120)의 중공유로(122)와 센터 빔(110)의 중공유로(112)이 연통한다. 중공 형태의 센터 빔(110) 역시 격자형 보강 리브(116)에 의해 중공유로(112)가 분할될 수 있으며, 격자형 보강 리브(116)에 의해 센터 빔(110)의 강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 팩(10)은, 팩 케이스(100)의 구조적 강성을 위해 구비되는 크로스 빔(120)과 센터 빔(110) 내부에 서로 연통하는 중공유로(122, 112)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크로스 빔(120) 내부에는 액체가 함침된 고흡수성 매트릭스(410)가 수납된 흡열 파우치(40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팩 케이스(100)의 수납공간(102)을 형성하는 센터 빔(110)은 배터리 블록(200)의 전면에 접촉하고, 크로스 빔(120)은 배터리 블록(200)의 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크로스 빔(120) 내부의 흡열 파우치(400)는 배터리 블록(200)의 측면을 통해 배터리 셀(210)의 열을 흡수하게 되고, 흡열 파우치(400)가 배터리 셀(210)을 냉각함으로써 배터리 팩(10) 내의 어느 배터리 셀(210)에 열 폭주가 발생하더라도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지연 및 억제할 수 있다.
흡열 파우치(400)는 유연한 라미네이트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액체가 함침된 흡수재가 밀봉 수납된다. 흡열 파우치(400)에 수납된 흡수재에 다량으로 함침되어 있는 액체는 배터리 셀(2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다가 그 온도가 비등점을 초과하면 기화된다. 액체에서 기체로의 상변화에 따른 부피 증가로 인해, 흡수재를 밀봉하는 흡열 파우치(400)에는 내압이 작용하게 된다. 액체의 기화에 의한 내압 증가가 한계에 이르게 되면 흡열 파우치(400)는 파단되어 증기를 분출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 흡수재는 고흡수성 매트릭스(410), 예를 들어 고흡수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 SAP) 또는 고흡수성 섬유(Super Absorbent Fiber, SAF)를 포함하는 흡수재일 수 있다. 고흡수성 매트릭스(410)는 다공질 또는 섬유질로 모세관 현상을 발현함으로써 다량의 액체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며, 고흡수성 섬유는 고흡수성 수지를 가공하여 부직포와 같은 섬유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흡수성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고흡수성 섬유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체, 특히 물에 대한 흡수 능력이 뛰어난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흡수성 수지의 예로서,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염, 폴리아크릴산염 그래프트 중합체, 전분, 가교된 카르복시메틸화 셀룰로오스, 아크릴산 공중합체, 가수분해된 전분-아크릴니트릴 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산 그래프트 공중합체, 비누화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가수분해된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이소부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술폰산, 폴리비닐포스폰산, 폴리비닐인산, 폴리비닐황산, 술폰화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아민, 폴리디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알릴아민, 폴리알릴구아니딘, 폴리디메틸디알릴암모늄 히드록시드, 4차화 폴리스티렌 유도체, 구아니딘-변성 폴리스티렌, 4차화 폴리(메타)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구아니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교화된 폴리아크릴산 염, 가교화된 폴리아크릴산 및 가교화된 아크릴산 중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고흡수성 수지로 사용되는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단량체와 말레산, 이타콘산, 아크릴아미드,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2-(메타)아크릴로일에탄술폰산,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술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흡수성 수지는 물에 대한 흡수량이 10 g/g 내지 500 g/g, 바람직하게는 50 g/g 내지 200 g/g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고흡수성 수지 1 g당 물 10 g 내지 500 g, 바람직하게는 50 g 내지 200 g을 흡수할 수 있다. 고흡수성 수지의 물에 대한 흡수량이 많을수록 냉각 효과의 지속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500 g/g을 초과하면 고흡수성 수지의 유동성이 증가하여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효과적인 냉각을 발휘할 수 없고, 10 g/g 미만이면 냉각 효과의 지속 시간이 너무 짧아 비효율적일 수 있다.
그리고, 흡수재에 함침된 액체는 물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은 쉽게 구할 수 있는 액체 중에서 비열과 잠열이 가장 큰 물질에 해당한다. 따라서, 흡수재에 수용된 물은 기화되기 전부터 시작하여 기체로 상변화하는 과정 중에 흡수하는 열량이 많기 때문에 크로스 빔(120) 내부에 수납되는 흡열 파우치(400)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흡수재에 함침된 물에는 소화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첨가제가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에 혼합된 첨가제는 물의 표면장력을 낮추는 물질이거나, 또는 소화약제일 수 있다. 물의 표면장력을 낮추는 물질로는 습윤제나 계면활성제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물의 표면장력이 낮아지면 물의 침투효과가 상승함으로써 가열전극이나 발화입자 등의 점화원에 대한 소화효과가 강화된다.
소화약제는 그 자체가 소화기능을 발휘하는 약제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현재 상용화된 각종 분말 소화약재나 액체 소화액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명 F-500 EA(제조사 HAZARD CONTROL TECHNOLOGIES, INC.)의 소화약제가 물에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셀(210)의 열을 흡수한 흡열 파우치(400)는 그 내부의 액체가 기화하여 증기압이 상승하면 파단되어 증기를 배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 크로스 빔(120)의 중공유로(122)와 센터 빔(110)의 중공유로(112)는 서로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흡열 파우치(400)에서 분출된 증기는 크로스 빔(120)의 중공유로(122) 및 센터 빔(110)의 중공유로(112)를 흐르면서 배터리 블록(200)의 전후좌우 면을 지속적으로 냉각하므로, 장시간 동안 배터리 셀(210)과 블록의 냉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살펴보면, 센터 빔(110)의 높이는 크로스 빔(120)의 높이보다 낮게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센터 빔(110) 상방의 여유공간에는 중공형의 벤팅 튜브(500)가 센터 빔(110)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센터 빔(110)의 상방에 벤팅 튜브(500)가 나란히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벤팅 튜브(500)는, 배터리 블록(200)을 구성하는 복수 배터리 셀(210)의 상면에 구비된 벤팅장치(212)를 밀폐하는 벤팅 덕트(300)와 연통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도 8은 벤팅 튜브(500)와 벤팅 덕트(300)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벤팅 튜브(500)는 벤팅 덕트(300)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배터리 블록(200)의 전면에 위치한 벤팅 덕트(300)의 출구(310)는 벤팅 튜브(500)에 마련된 입구(510)에 연결된다.
벤팅 덕트(300)는 과열된 배터리 셀(210)의 내부 압력에 의해 파열된 벤팅장치(212)를 통해 분출되는 가스 및/또는 입자가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고 정해진 방향으로만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 이렇게 유도된 가스와 입자의 유동은 벤팅 튜브(500)를 통해 배터리 팩(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배터리 팩(10)에서, 크로스 빔(120) 내부의 흡열 파우치(400)에서 배출되는 증기는 센터 빔(110) 내부로 흐르고, 과열된 배터리 셀(210)에서 분출하는 가스와 입자의 유동은 벤팅 튜브(500)를 흐르도록 함으로써, 양자의 유동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는 흡열 파우치(400)에서 배출되는 증기가 패터리 팩 내부에서 고온의 가스와 입자와 혼합되면 배터리 셀(210)의 냉각에 불리한 점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배터리 팩(10)을 벗어난 외부 영역에서는 흡열 파우치(400)의 증기가 고온 가스와 입자와 혼합되어 외부 화재의 원인이 되는 가스와 입자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터 빔(110)의 중공유로(112)의 출구(114)와 벤팅 튜브(500)의 출구(520)는 팩 케이스(100)의 벤팅 홀(130)에 함께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센터 빔(110)의 중공유로(112)의 출구(114)와 벤팅 튜브(500)의 출구(520)가 벤팅 홀(130)에 함께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센터 빔(110)의 중공유로(112)의 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는 벤팅 튜브(500)의 출구(520)에서 배출되는 가스 및/또는 입자를 냉각하게 되고, 증기에 의해 가스와 입자의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외부 발화의 위험이 현저히 낮아진다.
또한, 벤팅 홀(130)에는 매쉬 커버(132)가 구비될 수 있다. 매쉬 커버(132)는 벤팅 홀(130)의 단일 출구를 격자 배열의 작은 출구들로 분할함으로써 센터 빔(110)에서 배출되는 증기와 벤팅 튜브(500)에서 배출되는 가스 및/또는 입자 사이의 혼합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증기와 고온 가스/입자의 혼합이 촉진됨으로써 충분한 냉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냉각 효과가 상승하는만큼 외부 발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를 보면, 벤팅 홀(130)은 어떤 공간을 거친 후 외부로 배출되는 실시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공간은 일종의 서비스 공간(140)으로서, 배터리 팩(10)의 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될 수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증기와 고온 가스/입자의 혼합을 위한 버퍼 공간으로 활용되거나, 또는 전기배선을 위한 접속 터미널을 설치하는공간 등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서비스 공간(140)의 구성은 하나의 실시가능한 형태일 뿐이며, 벤팅 홀(130)이 팩 케이스(100) 외부에 직접 노출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배터리 팩(10)에 대한 제2 실시형태는 배터리 블록(200)과 벤팅 튜브(500)의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터 빔(110)의 높이는 크로스 빔(120)의 높이보다 낮게 설계되어 있고, 센터 빔(110) 상방의 여유공간에 중공형의 벤팅 튜브(500)가 센터 빔(110)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는, 센터 빔(110)과 벤팅 튜브(500) 사이를 이격시키고, 이격된 공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며, 또한 센터 빔(110)에 이격된 벤팅 튜브(50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블록(200)의 전면은 센터 빔(110)과 벤팅 튜브(500)를 향하고 있으며, 배터리 블록(200)의 전면에는 강성 보강을 위한 엔드 플레이트(250)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는, 엔드 플레이트(250)를 이용하여 배터리 블록(200)을 고정 내지 지지하는 한편, 센터 빔(110)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벤팅 튜브(500)를 지지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도 10은 배터리 블록(200)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배터리 블록(200)의 전면과 후면에 구비된 엔드 플레이트(250)에는 브래킷(25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252)의 상하 위치는, 브래킷(252)의 저면은 센터 빔(110)의 상면에 대응하고, 브래킷(252)의 상면은 벤팅 튜브(500)에 대해 떨어져 있다.
도 11은 배터리 블록(200)의 엔드 플레이트(250)가 벤팅 튜브(500)를 지지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센터 빔(110)은 팩 케이스(10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팩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 블록(200)의 엔드 플레이트(250)에 돌출 형성된 브래킷(252)이 센터 빔(110)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배터리 블록(2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252)과 센터 빔(110) 사이를 체결함으로써 배터리 블록(20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센터 빔(110)에 이격되어 떠 있는 벤팅 튜브(500)는 양단이 팩 케이스(100)에 접합되고, 벤팅 덕트(300)와 측면 일부분이 연결된 구조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하중에 약한 구조라 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엔드 플레이트(250)의 상부에 벤팅 튜브(500)의 측면이 접촉 지지됨으로써 벤팅 튜브(500)의 하중 지지구조를 보완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벤팅 튜브(500)의 측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인 단면 형태는 "T"자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벤팅 튜브(500)의 측면 단차는 엔드 플레이트(250)의 상부에 접촉하게 되고, 이를 통해 벤팅 튜브(500)의 지지구조가 개선된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에서, 센터 빔(110)과 벤팅 튜브(5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배선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배터리 블록(200)의 전면은 센터 빔(110)을 향하고 있으며, 배터리 블록(200)의 전면에는 엔드 플레이트(25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엔드 플레이트(250)에는 복수 개 배터리 셀(2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버스바 어셈블리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이런 점에서 센터 빔(110)과 벤팅 튜브(500) 사이의 공간은 배선공간으로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할 수 있다. 다만, 센터 빔(110)과 벤팅 튜브(5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배선공간으로 이용하는 것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이외의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 도면과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또는 실시예 등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배터리 팩 100: 팩 케이스
102: 수납공간 110: 센터 빔
112: 센터 빔의 중공유로 114: 센터 빔의 중공유로 출구
116: 격자형 보강 리브 120: 크로스 빔
122: 크로스 빔의 중공유로 124: 보강 리브
126: 흡열 파우치 수납부 130: 벤팅 홀
132: 매쉬 커버 140: 서비스 공간
150: 팩 커버 200: 배터리 블록
210: 배터리 셀 212: 벤팅장치
220: 사이드 케이스 230: 프론트 케이스
240: 리어 케이스 250: 엔드 플레이트
252: 브래킷 260: 사이드 고정 플레이트
300: 벤팅 덕트 310: 벤팅 덕트 출구
400: 흡열 파우치 410: 고흡수성 매트릭스
500: 벤팅 튜브 510: 벤팅 튜브 입구
520: 벤팅 튜브 출구

Claims (15)

  1. 센터 빔과, 상기 센터 빔에 교차하는 크로스 빔으로 구획되는 복수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팩 케이스; 및
    상기 팩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각각 수용되고, 상면에 벤팅장치가 구비된 복수의 배터리 셀이 일렬로 정렬된 복수의 배터리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 빔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유로를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중공유로에는 액체가 함침된 흡수재가 수납된 흡열 파우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빔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스 빔의 중공유로는 상기 센터 빔의 중공유로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빔 내부의 중공유로는 보강 리브로 분할된 복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리브로 분할된 복수의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간은 흡열 파우치 수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 파우치 수납부는,
    상기 배터리 블록에 접촉하는 상기 크로스 빔의 양 측벽 쪽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빔의 중공유로는 격자형 보강 리브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빔은 상기 배터리 블록의 전면에 접촉하고,
    상기 크로스 빔은 상기 배터리 블록의 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배터리 블록의 측면에 접촉한 상기 크로스 빔 내부의 흡열 파우치는 배터리 셀의 열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열을 흡수한 상기 흡열 파우치는 그 내부의 액체가 기화하여 증기압이 상승하면 파단되어 증기를 배출하고,
    상기 흡열 파우치에서 분출된 증기는 상기 크로스 빔의 중공유로 및 센터 빔의 중공유로를 흐르면서 상기 배터리 블록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빔의 높이는 상기 크로스 빔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센터 빔의 상방에는 중공형의 벤팅 튜브가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블록의 상면에 일렬로 정렬된 복수의 벤팅장치를 밀폐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센터 빔을 향하는 방향으로 출구가 형성된 벤팅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벤팅 튜브는 상기 벤팅 덕트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벤팅 덕트의 출구는 상기 벤팅 튜브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빔의 중공유로의 출구 및 상기 벤팅 튜브의 출구는 상기 팩 케이스의 벤팅 홀에 함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빔의 중공유로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는, 상기 벤팅 튜브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가스 또는 입자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벤팅 홀의 출구에는 상기 센터 빔에서 배출되는 증기와 상기 벤팅 튜브에서 배출되는 가스 또는 입자 사이의 혼합을 강화하는 매쉬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블록의 전면과 후면에는 엔드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된 브래킷이 상기 센터 빔에 대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빔과 상기 벤팅 튜브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배선공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벤팅 튜브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상부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220087743A 2022-07-15 2022-07-15 배터리 팩 KR20240010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743A KR20240010322A (ko) 2022-07-15 2022-07-15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743A KR20240010322A (ko) 2022-07-15 2022-07-15 배터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322A true KR20240010322A (ko) 2024-01-23

Family

ID=8971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743A KR20240010322A (ko) 2022-07-15 2022-07-15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032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511A (ko) 2020-04-01 2021-10-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511A (ko) 2020-04-01 2021-10-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032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rmal runaway propagation prevention
KR20240010322A (ko) 배터리 팩
KR20240010866A (ko) 배터리 팩
KR20240084197A (ko) 커버 일체형 벤팅덕트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230148731A (ko) 배터리 팩
KR20240084191A (ko) 열분산 패시브 냉각구조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240084194A (ko) 냉간운전 성능이 향상된 배터리 블록
EP4329048A1 (en) Prismatic secondary battery
EP4318739A1 (en) Battery pack
KR20240013490A (ko)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블록
KR20230171557A (ko) 이차전지용 흡열 파우치 어셈블리
KR20230162850A (ko) 각형 이차전지
CN117296188A (zh) 电池组
EP3989332A1 (en)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capable of rapid cooling, and ess comprising same
KR102648847B1 (ko) 신속한 냉각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ess
EP4322288A1 (en) Prismatic secondary battery with heat absorber embedded therein
KR20230153919A (ko) 흡열체를 내장하는 각형 이차전지
JP2024521647A (ja) バッテリーパック
WO2024122954A1 (ko) 커버 일체형 벤팅덕트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230154343A (ko) 냉각성능이 강화된 배터리 팩
KR20230165448A (ko)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CN117378082A (zh) 内嵌有吸热器的棱柱形二次电池
WO2024122953A1 (ko) 열분산 패시브 냉각구조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CN114175362B (zh) 具有能够快速冷却的结构的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能量存储系统
EP4027434A1 (en)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enabling rapid deployment of sprinkler, and ess includ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