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739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739A
KR20240009739A KR1020220087017A KR20220087017A KR20240009739A KR 20240009739 A KR20240009739 A KR 20240009739A KR 1020220087017 A KR1020220087017 A KR 1020220087017A KR 20220087017 A KR20220087017 A KR 20220087017A KR 20240009739 A KR20240009739 A KR 20240009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sposed
air purifier
hol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영
김보현
윤주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7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739A/ko
Priority to CN202310847339.4A priority patent/CN117404801A/zh
Priority to US18/221,540 priority patent/US20240019166A1/en
Priority to EP23185186.6A priority patent/EP4306863A1/en
Publication of KR2024000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01D46/004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containing fixed gas displacement element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는, 둘레면에 인렛이 형성되고, 상기 인렛의 상측으로 아웃렛이 형성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렛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아웃렛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렛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로어커버와, 상기 로어커버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는 탑커버와, 상기 로어커버와 상기 탑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커버를 구비하는 어퍼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탑커버에는, 상기 돌출커버가 배치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돌출커버의 둘레에서 하측으로 패인 그루브가 형성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의 상측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유동을 형성하고, 유동하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일정공간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청정도를 높이는 장치이다.
공기청정기는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필터가 배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실내공간의 청정도를 빠르게 높이도록, 상측으로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토출되는 필터링된 공기를 사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으로 토출구를 형성하는 경우, 상측에 별도의 풍향조절을 위한 팬을 배치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원거리로 보낼 수 있다.
공개특허 KR 10-2021-0137720호는, 상승유로를 형성하는 공기청정기의 상측에 풍향을 변경시키는 팬이 배치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의 경우, 상측으로 개방되는 토출구의 상측으로 풍향을 변경하는 장치가 배치되어, 상측의 공간을 활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필터링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빠르고 넓게 제공함과 동시에 공기청정기의 상측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기청정기의 상측공간을 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공기청정기능을 수행하는 제1바디와, 제1바디 상측에 테이블 기능을 수행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구조에서, 제2바디의 상측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이 제2바디의 내부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제2바디에 포함되는 로어커버, 어퍼커버, 및 탑커버의 구조에서, 탑커버의 상측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이 로어커버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로어커버의 상측을 커버하는 어퍼커버에서 상측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을 최대한으로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어퍼커버와 탑커버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로어커버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로어커버의 전장품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제2바디의 상측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이 제1바디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둘레면에 인렛이 형성되고, 상기 인렛의 상측으로 아웃렛이 형성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렛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아웃렛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렛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로어커버와, 상기 로어커버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는 탑커버와, 상기 로어커버와 상기 탑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커버를 구비하는 어퍼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탑커버에는, 상기 돌출커버가 배치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돌출커버의 둘레에서 하측으로 패인 그루브가 형성되어, 탑커버와 어퍼커버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는, 상기 플레이트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의 돌출커버의 둘레에서 하측으로 패인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홈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이 그루브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에는, 복수의 그루브 각각에 연결되고, 하측으로 패인 연결그루브가 형성되어, 어퍼커버에서 이물질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연결그루브가 형성하는 홈의 단면적은 상기 복수의 그루브 각각이 형성하는 홈의 단면적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그루브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패인 홈의 깊이는, 상기 복수의 그루브 각각이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패인 홈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그루브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그루브는, 상기 복수의 그루브 내측에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돌출커버에 형성되는 그루브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 또는 상기 어퍼커버에는, 상기 탑커버를 상기 어퍼커버에 밀착시키는 복수의 자력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홀은 상기 복수의 자력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탑커버와 어퍼커버를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자력부재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자력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1자력부재와 다른 반경의 동심원상에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자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그루브는 상기 제1자력부재와 상기 제2자력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는, 상기 어퍼커버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퍼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외둘레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벽을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벽은, 상기 로어커버의 둘레면의 외측에 배치되어, 탑커버의 외둘레로 흘러내리는 이물질이 로어커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로어커버는, 내부에 전장품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보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어커버는, 상단부에서 외주벽을 형성하는 에지리브와, 상부면에서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고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격벽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벽은, 상기 에지리브의 외둘레에 배치되어, 어퍼커버에서 로어커버로 이동한 이물질이 로어커버의 최외곽 부분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격벽리브는, 상기 에지리브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격벽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커버의 외주단은, 상기 에지리브와 상기 제1격벽리브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의 상부면이 형성하는 면적은 상기 아웃렛이 형성하는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바디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이물질일 제1바디의 아웃렛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둘레면에 인렛이 형성되고, 상기 인렛의 상측으로 아웃렛이 형성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렛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아웃렛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렛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로어커버와, 상기 로어커버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에 홀이 형성되는 탑커버와, 상기 탑커버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게 배치되는 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커버는, 상기 홀에 배치되는 어퍼홀커버와, 상기 탑커버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어퍼홀커버의 외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측으로 패인 그루부를 형성하는 로어홀커버를 포함하여, 홀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홀커버의 그루브 공간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홀커버는, 상기 로어홀커버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탑커버에 장착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상기 로어커버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돌출커버를 상기 탑커버에 형성된 상기 홈에 밀착시키는 자력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탑커버의 하부면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둘레면에 인렛이 형성되고, 상기 인렛의 상측으로 아웃렛이 형성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렛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아웃렛의 상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전장품이 배치되도록 보올형상을 가지는 로어커버와, 상기 로어커버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커버는, 상기 아웃렛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가이드벽과, 상기 가이드벽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에지리브와, 상기 가이브벽의 상부면에서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고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격벽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격벽리브는, 상기 에지리브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격벽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커버의 외주단은, 상기 에지리브와 상기 제1격벽리브 사이에 배치되어, 어퍼커버의 외둘레에서 하측으로 유동하는 이물질이 로어커버 내측의 외주단에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로어커버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는 탑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탑커버의 외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벽은, 상기 로어커버의 둘레면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 또는 상기 어퍼커버에는 상기 탑커버를 상기 어퍼커버에 밀착시키는 복수의 자력부재가 배치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필터링된 공기를 상측으로 토출하는 공기청정기의 상측으로 제2바디를 두어, 아웃렛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가이드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빠르게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바디에는, 아웃렛이 형성되는 내측으로 제2바디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공기청정기의 상측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제1바디의 상측으로 공기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테이블 기능을 수행하는 제2바디를 두어, 상측공간을 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2바디는, 로어커버의 상측으로 어퍼커버와 탑커버의 2개의 구성이 상측을 커버하여, 로어커버 내측에 배치되는 전장품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테이블 상측에 거치되는 물건에 의해 낙하되는 유체 등의 이물질이 탑커버와 어퍼커버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더라도, 어퍼커버에 형성되는 그루브에 의해 일시적 저장이 가능하다. 이는 로어커버의 내측으로 유체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로어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전장품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탑커버와 어퍼커버는 자력부재에 의해 밀착되는 구조로, 탑커버에서 흘러내린 이물질이 어퍼커버와 탑커버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어퍼커버에는 돌출커버의 외둘레에 형성되는 그루부 이외에 더 큰 홈을 형성하는 연결그루브를 포함하여, 탑커버의 상측에서 낙하되는 이물질 등을 최대한으로 수용할 수 있다.
다섯째, 로어커버는 복수의 격벽리브를 포함하여, 내부를 구획하여, 어퍼커버는 로어커버의 격벽리브의 외측까지 연장되는 구조를 가져, 어퍼커버로 유입된 이물질이 로어커버 내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로어커버 내측에 배치되는 전장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제2바디의 상단부의 면적이 제1바디의 아웃렛이 형성하는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상측에 배치된 물건에 의해 낙하되는 이물질이 제1바디의 내측공간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X-X’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Y-Y’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어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어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후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후크가이더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저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후크버튼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어퍼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전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탑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19는 도 6의 제2바디에서, 결합부의 배치가 변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일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다른 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2바디에 포함되는 홀커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제1홀커버, (b)는 제2홀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26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7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제2바디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8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가 장착되는 공기청정기의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가 장착되는 공기청정기의 도면이다.
도 30은 제1실시예에 공기청정기에 제1실시예 따른 베이스지지대가 추가된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31는 도 30의 측면도이다.
도 32은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지지대가 추가된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가지는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는, 둘레면으로 인렛(116a)을 형성하고 상부면으로 아웃렛(174a)을 형성하는 제1바디(100)와, 제1바디(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아웃렛(174a)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제2바디(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는, 제1바디(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지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11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에는, 공기청정기의 전복을 방지하도록, 제1바디(100)의 하부에 하중을 증가시키는 하중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 하중부(112)는 복수개의 판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베이스(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기청정기의 전자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로어하우징(114)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하우징(114)은, 베이스(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로어하우징(114)과 베이스(110)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 등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로어하우징(114)의 상부면에는 필터장착판(118)가 배치된다. 필터장착판(118)은 로어하우징(114)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필터장착판(118)은 로어하우징(114)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필터장착판(118)과, 로어하우징(114) 사이에는 필터장착판(118)의 배치를 유지시키는 탄성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장착판(118)의 상측에 필터(미도시)가 배치되지 않을 때, 필터장착판(118)은 탄성부재에 의해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필터장착판(118)은 상측에 필터가 배치될 때, 하측으로 이동한다. 필터장착판(118)은 상하방향으로 배치가 변경됨에 따라 필터의 장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인렛(116a)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인렛그릴(116)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렛(116a)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필터장착판(118) 또는 로어하우징(114)의 상측으로 이격배치되고, 오리피스(126)를 형성하는 이너흡입패널(124)과, 로어하우징(114)과 이너흡입패널(124) 사이를 연결하는 서포터(120)를 포함한다.
서포터(120)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포터(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필터가 출입될 수 있다.
이너흡입패널(124)은 필터장착판(118) 또는 로어하우징(114)의 상측으로 이격배치되어, 사이에 필터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너흡입패널(124)과 로어하우징(114) 사이에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는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둘레면을 관통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필터는 이너흡입패널(124)과 로어하우징(114) 사이로 배치된다.
필터가 이너흡입패널(124)과 로어하우징(114) 사이로 배치될 때, 필터장착판(118)을 하측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필터가 이너흡입패널(124)과 로어하우징(114) 사이로 배치될 때, 탄성부재에 의해 필터장착판(118)의 필터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필터의 배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너흡입패널(124)의 중앙부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팬(130)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오리피스(126)가 형성된다. 오리피스(126)은 필터를 관통하여 유동하는 공기를 팬(13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오리피스(126)에는, 넷스틸(128)이 배치될 수 있다. 넷스틸(128)은, 사용자의 신체가 팬(130)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의 외둘레에는 인렛그릴(116)이 배치된다. 인렛그릴(116)에는 복수의 인렛(116a)이 형성될 수 있다. 인렛그릴(116)은, 필터의 외둘레와, 로어하우징(114)의 외둘레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렛그릴(116)은, 이하에서 설명할 팬하우징(140)의 외둘레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렛그릴(116)에 형성되는 인렛(116a)은 필터가 배치되는 영역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제1바디(10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팬(130)과, 팬(13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144)를 포함한다.
제1바디(100)는, 필터의 상측에서 팬(13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팬하우징(140)을 포함한다.
제1바디(100)에는, 이너흡입패널(124)의 상측에 배치되고, 오리피스(126)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측으로 유동시키는 팬(130)과, 팬하우징(140)의 상측에 배치되고, 팬(130)을 작동시키는 팬모터(144)가 배치된다.
팬(130)은, 하측방향으로 팬흡입구(130a)를 형성하고, 반경방향 외측과 상측을 향하도록 개구된 팬토출구(130b)를 형성하는 사류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팬(130)은, 팬모터(144)와 연결되는 허브(132), 허브(132)와 이격배치되고 팬흡입구(130a)를 형성하는 쉬라우드(136), 허브(132)와 쉬라우드(136)를 연결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34)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132)와 쉬라우드(136) 사이로 팬토출구(130b)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134)는 팬토출구(130b)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시킬 수 있다.
팬하우징(140)은, 이너흡입패널(124)의 상측으로 배치된다. 팬하우징(140)은, 팬(13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팬하우징(140)은, 팬(130)의 상측으로 팬모터(144)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팬하우징(140)은, 팬(13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팬하우징(140)은 상하로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팬하우징(140)의 중앙부에는 팬모터(144)가 배치되는 모터커버(141)가 배치될 수 있다. 모터커버(141)는 팬모터(144)가 배치되도록 하측으로 패인 보올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팬하우징(140)은, 팬(130)이 배치되는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고, 팬(13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의 회전성분을 저감시키는 가이드베인(142)을 포함한다. 가이드베인(142)은, 팬하우징(140)의 내주면과 모터커버(141)의 외주면을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베인(142)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바디(100)는, 팬하우징(140)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토출가이더(150)를 포함한다. 토출가이더(150)는, 팬하우징(140)의 상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환형의 유로(140a)를 형성한다.
토출가이더(15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측으로 연장되는 아우터가이더(152)와, 아우터가이더(152)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측으로 연장되는 이너가이더(154)를 포함한다.
아우터가이더(152)와 이너가이더(154)의 사이 공간에는, 환형의 상승유로(150a)가 형성된다. 아우터가이더(152)는 팬하우징(140)의 외둘레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너가이더(154)는 모터커버(14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너가이더(154)의 상부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바디(200)의 삽입기둥(212)이 삽입되는 결합커버(156)가 배치된다. 결합커버(156)는 삽입기둥(212)이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패인 공간을 형성한다. 결합커버(156)의 하부면에는, 삽입기둥(212)의 대응단자(214a, 214b)가 겹합되는 연결단자(158a, 158b)가 배치된다.
연결단자(158a, 158b)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와,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단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1연결단자(158a)와, 신호를 전달하는 제2연결단자(158b)를 포함한다.
제1바디(100)는, 토출가이더(150)의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아웃렛(174a)을 형성하는 어퍼하우징(160)을 포함한다.
어퍼하우징(160)은, 토출가이더(150)의 둘레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퍼하우징(160)은, 인렛그릴(116)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어퍼하우징(160)은, 인렛그릴(116)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아우터커버(162)와, 아우터커버(162)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배치되고 결합커버(156)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이너커버(164)와, 이너커버(164)와 아우터커버(16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아웃렛그릴(174)를 포함한다.
아우터커버(162)는 토출가이더(150)의 둘레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아우터커버(162)는 인렛그릴(116)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너커버(164)는, 삽입기둥(212)이 결합커버(156)로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너커버(164)는 결합커버(156)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너커버(164)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져, 내부에 삽입기둥(21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너커버(164)의 내둘레면에는, 결합커버(156)와 결합되는 체결리브(166a, 166b)가 배치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너커버(164)의 내둘레면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체결리브(166a, 166b)가 배치된다. 2개의 체결리브(166a, 166b)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 배치되고,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너커버(164)의 내둘레면에는, 제2바디(200)에 배치되는 후크(270)가 삽입되는 체결홀(172a, 172b)이 형성된다. 체결홀(172a, 172b)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체결홀(172a, 172b) 각각은, 2개의 체결리브(166a, 166b) 각각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커버(164)의 내둘레면에는, 후크(270)를 체결홀(172a, 172b)로 안내하는 어퍼홈(170a, 170b)이 형성된다. 어퍼홈(170a, 170b)은, 체결홀(172a, 172b)의 상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172a, 172b)은 이너커버(164)의 상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너커버(164)의 내둘레면에는, 제2바디(200)의 장착이 동일한 위치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2개의 가이드리브(168a, 168b)가 배치된다. 2개의 가이드리브(168a, 168b) 각각은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가이드리브(168a, 168b)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웃렛그릴(174)은, 이너커버(164)의 상단에서 아우터커버(162)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너커버(164)의 상단은, 아우터커버(162)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하우징(160)은 이너커버(164)의 상단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아웃렛그릴(17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아웃렛그릴(174) 각각은 내측단에서의 경사각이 외측단에서의 경사각과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아웃렛그릴(174)의 내측단은, 아웃렛그릴(174)이 이너커버(164)와 접하는 부분일 수 있다. 아웃렛그릴(174)의 외측단은, 아웃렛그릴(174)이 아우터커버(162)와 접하는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경사각은, 지면에 평행한 선 또는 면과, 아웃렛그릴(174)이 형성하는 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사이각을 의미할 수 있다. 아웃렛그릴(174)은 팬(130)에 의해 발생하는 토출공기의 회전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제1바디(100)에는, 환형으로 형성된 아웃렛(174a)의 내측에서 하측으로 패인 결합홈(160a)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60a)은 어퍼하우징(160)에 형성되는 이너커버(164)의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60a)은, 토출가이더(150)의 이너가이더(154)의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60a)은, 결합커버(156)에 배치되는 연결단자(158a, 158b)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홈(160a)은 이하에서 설명할 제2바디(200)의 삽입기둥(212)이 삽입되는 영역으로 토출가이더(150)와 어퍼하우징(160)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홈(160a)에는, 이너커버(164)의 내측면에서 형성되는 구조와, 이너가이더(154)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구조와, 결합커버(156)에 형성되는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바디(200)를 설명한다.
제2바디(200)의 하부면은, 아웃렛(174a)을 통해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2바디(200)의 상부면은, 적어도 일부가 평탄면을 가져,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다. 제2바디(200)의 상부면이 형성하는 면적은 아웃렛(174a)이 형성하는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제1바디(100)에 형성되는 아웃렛(174a)은 제2바디(200)의 상부면에 의해 가려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바디(200)의 상부면에서 흘려질 수 있는 액체나 물건이 아웃렛(174a)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바디(200)는, 제1바디(100)의 아웃렛(174a)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보내는 로어커버(210)와, 로어커버(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커버(300)와, 어퍼커버(300)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커버(340)를 포함한다.
제2바디(200)는, 제2바디(200)를 제1바디(100)의 상측에 고정시키는 결합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50)는, 제2바디(200)의 삽입기둥(212)이 제1바디(100)의 결합홈(160a)에 배치될 때, 제2바디(200)의 배치를 고정하도록 삽입기둥(212)의 둘레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바디(200)의 상부면은, 내마모성 PC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바디(200)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물건의 타격에도 마모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200)의 상부면은, 내열성 PC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200)의 상부면에 뜨거운 온도의 물건이 놓아지더라도, 형태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로어커버(210)는, 제1바디(100)의 일측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제1바디(100)의 아웃렛(174a)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퍼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로어커버(210)는 내부에 전장품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보올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장품이란 전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충전부(380), 제1램프(362), 및 제2램프(372)를 의미할 수 있다.
로어커버(210)는, 제1바디(100)의 결합커버(156)에 삽입되는 삽입기둥(212)과, 제1바디(100)의 아웃렛그릴(174)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가이드벽(230)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기둥(212)은, 결합커버(156)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둘레벽(216)과, 둘레벽(216)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하부벽(214)을 포함한다.
하부벽(214)에는, 결합커버(156)의 연결단자(158a, 158b)에 대응하는 대응단자(214a, 214b)가 배치된다. 대응단자(214a, 214b)는 연결단자(158a, 158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와, 신호를 전달받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대응단자(214a, 214b) 각각은 2개의 연결단자(158a, 158b) 각각에 연결된다. 2개의 대응단자는, 제1연결단자(158a)에 연결되는 제1대응단자(214a)와, 제2연결단자(158b)에 연결되는 제2대응단자(214b)를 포함한다. 제1연결단자(158a)는 제1대응단자(214a)와 연결되고, 제2연결단자(158b)는 제2대응단자(214b)와 연결된다.
제2바디(200)가 제1바디(100)에 장착되면, 대응단자(214a, 214b)가 연결단자(158a, 158b)에 연결된다.
둘레벽(216)에는, 제2바디(200)가 제1바디(100)에 장착될 때, 체결리브(166a, 166b)가 삽입되는 체결리브홈(218a, 218b)이 형성된다. 둘레벽(216)에는 2개의 체결리브홈(218a, 218b)이 형성된다. 2개의 체결리브홈(218a, 218b)은 둘레벽(216)에서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둘레벽(216)에는, 제2바디(200)가 제1바디(100)에 장착될 때, 가이드리브(168a, 168b)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20a, 220b)이 형성된다. 둘레벽(216)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2개의 가이드홈(220a, 220b)이 형성된다. 2개의 가이드홈(220a, 220b) 각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2개의 가이드리브(168a, 168b)에 대응되는 크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2개의 가이드리브(168a, 168b) 각각은, 대응되는 2개의 가이드홈(220a, 220b) 각각에 삽입되므로, 제2바디(200)가 제1바디(100)의 상측에서 결합되는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단자(158a)와 제2연결단자(158b) 각각은 서로 대응되는 제1대응단자(214a)와 제2대응단자(214b) 각각에 연결된다.
둘레벽(216)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결합부(250)의 후크(270)가 관통하는 후크홀(222)이 형성된다. 후크홀(222)은, 체결리브홈(218a, 218b) 각각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기둥(212)의 상단부에는 어퍼하우징(160)의 이너커버(164) 상단부가 삽입되는 에지홈(224)이 형성될 수 있다. 에지홈(224)은, 삽입기둥(212)의 상단부에서 가이드벽(230)이 배치되는 상측방향으로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벽(230)은, 아웃렛(174a)의 상측에 배치되고, 아웃렛(174a)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벽(230)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벽(230)은 하단부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경사각이란, 지면과 나란한 면과, 가이드벽(230)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각을 의미할 수 있다.
가이드벽(230)의 하단부는, 이너커버(164)의 상단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가이드벽(230)의 상단부는, 아우터커버(162)가 형성하는 둘레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벽(230)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결합부(250)의 후크버튼(290)이 배치되는 후크버튼홀(232)이 형성된다. 가이드벽(230)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광원가이드(364)의 일부가 노출되는 라이팅홀(234)이 형성된다. 라이팅홀(234)은,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라이팅홀(234)은, 광원가이드(364)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리브(235)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될 수 있다.
가이드벽(230)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버튼(374)이 배치되는 메인버튼홀(236)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버튼홀(236)은 배치되는 버튼(374)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버튼홀(236)은 배치되는 버튼(374)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커버(210)는, 가이드벽(23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커버(210)는, 가이드벽(230)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에지리브(23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에지리브(238)는, 탑커버(340)의 테두리벽(348) 내측에 배치된다. 에지리브(238)는 어퍼커버(300)의 플레이트에지(304)의 외둘레에 배치된다.
로어커버(210)는,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로어커버(210)의 상측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리브(240, 242)을 포함한다. 복수의 격벽리브(240, 242)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동심원 구조일 수 있다. 복수의 격벽리브(240, 424)는,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복수의 격벽리브(240, 424)는, 에지리브(238)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격벽리브(242a)를 포함한다.
복수의 격벽리브(240, 424)는, 가이드벽(230)의 상측면 하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방사형리브(240)와, 가이드벽(230)의 상측면에서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고,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원주형리브(242)를 포함한다. 복수의 원주형리브(242)는 동일한 중심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원주형리브(242)는 에지리브(238)와 동일한 동심원의 중심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원주형리브(242)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고, 가이드벽(23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로어커버(210)의 상측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어퍼커버(300)로부터 물이 유입되더라도, 로어커버(210)의 내측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원주형리브(242)는, 에지리브(238)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원주형리브(24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원주형리브(242a)는 에지리브(238)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250)는, 제2바디(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제2바디(200)를 제1바디(100)에 결합시키거나 결합해제시킬 수 있다.
결합부(250)는, 로어커버(210)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후크(252)와, 후크(252)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후크버튼(270)을 포함한다.
결합부(250)는, 로어커버(210) 내측에 배치되고, 후크(25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후크가이더(280)와, 후크가이더(280)와 후크(252)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96)를 포함한다.
후크(252)는, 후크버튼(270)과 접촉하고, 후크버튼(270)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제1무빙바디(254)와, 제1무빙바디(254)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무빙바디(262)와, 제2무빙바디(262)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삽입기둥(21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삽입돌기(266)를 포함한다.
제1무빙바디(254)는, 후크버튼(270)과 접촉하여, 이동하는 후크(252)의 상부벽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무빙바디(254)는, 후크가이더(270)가 형성하는 공간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과 내측으로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반경방향 외측과 내측은, 로어커버(210)를 상측에서 바라볼 때, 형성되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무빙바디(254)는, 후크버튼(270)과 접촉하여, 로어커버(210)의 내측에서 반경방향의 외측과 내측을 직선이동할 수 있다. 제1무빙바디(254)는, 후크버튼(270)과 접촉하는 버튼접촉부(258)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접촉부(258)는 후크버튼(270)의 상하방향 이동시, 반경방향 내측과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무빙바디(254)는, 제1무빙바디(254)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크가이더(280)의 이너돌기(288) 상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돌기(256)를 포함한다.
제1무빙바디(254)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이하에서 설명할 후크가이더(280)의 이동가이드홈(290)에 배치되어, 제1무빙바디(254)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어퍼돌기(260)를 포함한다.
후크버튼(270)의 하부면은, 가이드벽(230)에 연속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가이드벽(230)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후크버튼(270)은, 로어커버(210)의 후크버튼홀(232)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프레스플레이트(272)와, 프레스플레이트(272)의 상측에 배치되고, 버튼접촉부(258)와 접촉하는 후크접촉부(274)를 포함한다. 후크접촉부(274)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버튼접촉부(258)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후크가이더(280)는, 로어커버(210)의 내측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후크가이더(280)는, 후크(252)의 반경방향 내측과 외측으로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후크가이더(280)는, 후크(25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벽(282)과, 상부벽(282)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단부벽(2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벽(282)에는, 단부벽(29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284)가 배치된다. 고정돌기(284)는, 상부벽(282)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통해, 후크가이더(280)의 배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부벽(282)에는 고정돌기(284)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후크가이더(280)를 로어커버(210)에 체결시키는 체결돌기(286)가 배치된다.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체결돌기(286)가 로어커버(2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부벽(282)에는, 후크(252)의 어퍼돌기(260)가 배치되고, 후크(252)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이동가이드홈(290)이 형성된다.
상부벽(282)의 하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후크(252)의 상측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이너돌기(288)가 배치된다. 이너돌기(288)는, 상부벽(282)의 하부면에서 후크(252)의 이동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단부벽(292)은, 상부벽(282)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단부벽(292)과 후크(252) 사이에는, 후크(252)의 배치를 유지시키는 탄성부재(296)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무빙바디(262)에는, 탄성부재(296)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1탄성부재고정부(264)가 배치된다. 단부벽(292)에는, 탄성부재(296)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제2탄성부재고정부(294)가 배치된다.
도 6과 같이, 후크버튼(270)으로 사용자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탄성부재가 후크(252)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어낸다. 후크버튼(270)으로 사용자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후크버튼(270)이 로어커버(210)의 후크버튼홀(232)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9와 같이, 후크버튼(270)으로 사용자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후크(252)의 삽입돌기(266)가 로어커버(210)의 후크홀(222)을 관통하여 삽입기둥(212)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로어커버(210)의 상측에는, 복수의 제1램프(362)와, 복수의 제1램프(362)를 작동시키는 제1보드(360)와, 제1램프(362)에서 조사되는 빛을 로어커버(210)의 하측으로 전달하는 광원가이드(364)가 배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보드(360)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보드(36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제1램프(362)가 배치된다. 복수의 제1램프(362)는, 제1보드(360)의 하부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광원가이드(364)는, 일단부가 복수의 제1램프(362)의 하측에 배치된다. 광원가이드(364)의 타단부는, 로어커버(210)의 가이드벽(230)에 형성되는 라이팅홀(234)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커버(210)의 상측에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제2램프(372)와, 복수의 제2램프(372)를 작동시키는 제2보드(370)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2램프(372)는, 점등위치나 개수를 바탕으로 공기청정기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보드(370)는,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2램프(372)는, 제2보드(370)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램프(372)는 제2보드(370)의 상부면에서 원심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보드(370)의 하측에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이나 전원을 조절하는 버튼(374)이 배치될 수 있다. 버튼(374)는 로어커버(210)의 메인버튼홀(236)에 배치도리 수 있다. 버튼(374)은 복수의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374)에 포함되는 복수의 버튼부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버튼(374)에 포함되는 복수의 버튼부는 로어커버(210)를 기준으로 돌출되는 방향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커버(210)의 상측에는, 충전부(380)가 배치될 수 있다. 충전부(380)는, 어퍼커버(300) 또는 탑커버(34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전자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충전부(380)는,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으로 어퍼커버(300) 또는 탑커버(34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충전부(380)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자기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패드(384), 충전패드(38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3보드(382)와, 충전패드(384)와 제3보드(382)의 배치를 고정하는 이너플레이트(386)을 포함한다.
이너플레이트(386)는 광원가이드(36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플레이트(386)는 광원가이드(364) 또는 로어커버(210)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플레이트(386)에는, 제3보드가 고정되게 배치되는 보드고정부(390)와, 충전패드(384)가 고정되게 배치되는 패드고정부(392)가 배치될 수 있다. 패드고정부(392)는, 충전패드(384)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어퍼커버(300)는, 로어커버(2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퍼커버(300)는, 로어커버(2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전장품을 커버할 수 있다.
어퍼커버(300)는, 대략 원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퍼커버(300)는, 로어커버(210)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퍼커버(300)는, 플레이트(302)와 플레이트(30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커버(306, 308)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커버(300)는, 플레이트(302)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커버(306, 308)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커버(300)는, 원판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302)와, 플레이트(302)의 외둘레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플레이트에지(304)와, 플레이트(30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배치되고 충전부(380)의 충전패드(384) 상측을 커버하는 제1돌출커버(306)와, 플레이트(302)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제2램프(372)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2돌출커버(308)를 포함한다. 플레이트(302)에는, 돌출커버(306, 308)의 둘레에서 하측으로 패인 그루브(322, 324)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302)는 대략 원판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302)는, 로어커버(210)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302)의 직경은, 로어커버(210)의 상단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플레이트에지(304)는, 플레이트(302)의 외둘레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302)의 직경은, 제1원주형리브(242a)가 형성하는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플레이트(302)를 통해 하측으로 유동하는 유체는 제1원주형리브(242a)의 외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플레이트(302)에는, 제2돌출커버(308)의 외둘레에서 하측으로 패인 제1그루브(322)와, 제1돌출커버(306)의 외둘레에서 하측으로 패인 제2그루브(324)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302)에는, 제2돌출커버(308)와 제1돌출커버(306) 사이에 배치되고, 하측으로 패인 연결그루브(326)가 형성된다. 플레이트(302)에는, 복수의 그루브(322, 324) 각각에 연결되고 하측으로 패인 연결그루브(326)가 형성된다. 연결그루브(326)는 복수의 그루브(322, 324) 내측에서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1그루브(322)와 제2그루브(324) 각각은 연결그루브(326)와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그루브(322)와 제2그루브(324) 각각이 하측으로 패인 깊이(322h, 324h)는, 연결그루브(326)가 하측으로 패인 깊이(326h)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그루브(322)와 제2그루브(324) 각각의 폭(322w, 324w)은, 연결그루브(326)의 폭(326w)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6를 참조하면, 제1그루브(322)가 제1돌출커버(306)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길이 또는 제2그루브(324)가 제2돌출커버(308)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길이 각각은, 연결그루브(326)가 제1그루브(322)와 제2그루브(324) 사이에서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302)는, 연결그루브(326)에서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302a)와, 연결그루브(326)에서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302b)를 포함한다.
제1돌출커버(306)와 제2돌출커버(308)는 플레이트(30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커버(306)와 제2돌출커버(308) 각각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탑커버(340)의 제1홀(344)과 제2홀(346)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커버(306)의 상부면은, 제2돌출커버(308)의 상부면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돌출커버(306)의 상부면은, 제2돌출커버(308)의 상부면과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탑커버(340)는 어퍼커버(30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탑커버(340)는 어퍼커버(3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탑커버(340)의 직경은, 로어커버(210)의 상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탑커버(340)의 외둘레벽은 로어커버(210)의 상단부를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탑커버(340)에서 외측으로 유동하는 유체가 로어커버(21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탑커버(340)는 내마모성 PC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탑커버(340)는 내열성 PC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탑커버(340)에는, 어퍼커버(300)의 돌출커버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탑커버(340)에는 복수의 홀(344, 346)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홀(344, 346) 각각은 복수의 돌출커버(306, 308)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탑커버(340)는, 커버플레이트(342)와, 커버플레이트(342)의 외둘레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벽(348)을 포함한다.
커버플레이트(342)는 상부면이 평탄하게 형성된다. 커버플레이트(342)의 상부면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탑커버(340)의 상측으로 물건으로 올려 놓을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342)에는, 어퍼커버(300)의 제1돌출커버(306)가 배치되는 제1홀(344)과 제2돌출커버(308)가 배치되는 제2홀(346)이 형성된다. 제1홀(344)은 제1돌출커버(306)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홀(346)은 제2돌출커버(308)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홀(344)과 제2홀(346)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홀(344)과 제2홀(346)은 탑커버(340)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대응부재(352a)가 배치되는 원주상에 배치된다. 제1홀(344)과 제2홀(346)은 어퍼커버(300)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자력부재(328a)가 배치되는 원주상에 배치될 수 있다. 탑커버(340)가 어퍼커버(300)의 상측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제1홀(344)과 제2홀(346)은 복수의 자력부재(328a, 328b) 사이에 배치된다.
제1돌출커버(306)는 제1홀(344)에 삽입되고 제2돌출커버(308)는 제2홀(346)에 삽입되어, 탑커버(340)는, 어퍼커버(300)의 상측에서 동일한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탑커버(340)가 어퍼커버(300)의 상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돌출커버(306)의 상부면은, 탑커버(340)의 커버플레이트(342)와 함께 연속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탑커버(340)가 어퍼커버(300)의 상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돌출커버(308)의 상부면은, 탑커버(340)의 커버플레이트(342)와 함께 연속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탑커버(340)가 어퍼커버(300)의 상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돌출커버(306)의 상부면과 제2돌출커버(308)의 상부면은, 탑커버(340)와 함께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탑커버(340)가 어퍼커버(300)의 상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플레이트(342), 제1돌출커버(306), 및 제2돌출커버(308)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탑커버(340)가 어퍼커버(300)의 상측에 장착된 상태란, 탑커버(340)의 제1홀(344)과 제2홀(346) 각각에 제1돌출커버(306)와 제2돌출커버(308) 각각이 삽입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탑커버(340)가 어퍼커버(300)의 상측에 장착된 상태란, 이하에서 설명할 탑커버(340)의 대응부재(352a, 352b)가 어퍼커버(300)의 자력부재(328a, 328b)에 반응하는 상태일 수 있다. 탑커버(340)가 어퍼커버(300)의 상측에 장착된 상태란, 자력부재(328a, 328b)와 대응부재(352a, 352b)에 의해 탑커버(340)가 어퍼커버(300)에 밀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탑커버(340)에는, 탑커버(340)의 형태를 유지하는 복수의 리브(35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350)는, 탑커버(340)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350)는, 탑커버(3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리브(350)는, 탑커버(3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350)는 복수의 대응부재(352a, 352b) 사이로 배치된다.
탑커버(340) 또는 어퍼커버(300) 중 하나에는 복수의 자력부재가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복수의 자력부재에 대응하는 복수의 자력대응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8를 참조하면, 탑커버(340)에는 복수의 대응부재(352a, 352b)가 배치된다. 복수의 대응부재(352a, 352b)는, 탑커버(34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대응부재(352a)와 제1대응부재(352a)보다 탑커버(34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2대응부재(352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대응부재(352a) 각각은 서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복수의 제2대응부재(352b) 각각은 서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16를 참조하면, 어퍼커버(300)에는, 제1대응부재(352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자력부재(328a)와 제2대응부재(352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자력부재(328b)를 포함한다.
어퍼커버(300)에는, 복수의 자력부재(328a, 328b)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복수의 자력부재(328a, 328b)는 어퍼커버(300)의 하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어퍼커버(300)에는, 복수의 자력부재(328a, 328b)를 고정하기 위한 자력부재후크(329)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자력부재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자력부재(328a)와, 복수의 제1자력부재(328a)와 다른 반경의 동심원상에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자력부재(328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자력부재(328a)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간격(328al) 또는 복수의 제2자력부재(328b)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간격(328bl)은, 복수의 제1자력부재(328a)가 형성하는 동심원의 반경과 복수의 제2자력부재(328b)가 형성하는 동심원의 반경차이(L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2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0를 참조하면, 제2바디(200)는, 로어커버(210), 어퍼커버(300), 및 탑커버(340)를 포함한다.
다만, 형태적인 측면에서, 도 21을 참조하면, 제2바디(200)는 상측에서 볼 때, 타원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2바디(200)는, 충전부(380)와 제2램프(372)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반경이 길게 형성되는 타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충전부(380)와 제2램프(372)가 배치되는 제1방향(d1+/d1-)으로 반경이 최대로 형성되고, 제1방향(d1+/d1-)에 수직한 제2방향(d2+/d2-)으로 반경이 최소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커버(300)는, 로어커버(210)의 상측을 커버하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퍼커버(300)는, 플레이트(미도시)와,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커버(306, 308)를 포함한다.
탑커버(340)는 어퍼커버(300)의 상측에 배치되고,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로어커버(210)는, 아웃렛(174a)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벽(230)과 가이드벽(230)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1바디(100)의 결합홈(160a)에 삽입되는 삽입기둥(21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기둥(212)은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삽입기둥(212)의 둘레면에 후크(252) 가 돌출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기둥(212)의 하부벽(214)에는, 제1바디(100)에 배치되는 연결단자(158a, 158b, 도 4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대응단자(214a, 214b)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벽(230)의 구조와 관계없이, 제2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200)도 제1바디(100)의 결합홈(160a, 도 4참조)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2와 도 23을 참조하면, 제2방향(d2+/d2-)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벽(230)보다 제1방향(d1+/d1-)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벽(230)이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5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200)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200)의 구조에서, 어퍼커버(300)가 제외되고, 홀커버(390a, 390b)를 포함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200)의 구조는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2바디(200)는 로어커버(210), 결합부(250), 제2램프(372), 충전부(380), 탑커버(340)를 포함한다.
또한, 제2바디(200)는, 로어커버(210) 또는 탑커버(340)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탑커버(340)에 형성되는 홀(344, 346)에 장착되는 홀커버(390a, 390b)를 포함한다.
탑커버(340)에는 제1홀(344)과 제2홀(346)이 형성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홀커버(390a, 390b)는 제1홀(344)에 배치되는 제1홀커버(390a)와 제2홀(346)에 배치되는 제2홀커버(390b)를 포함한다. 제1홀커버(390a)는, 로어커버(210)에 배치되는 충전부(38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제2홀커버(390b)는, 로어커버(210)에 배치되는 제2램프(372)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제1홀커버(390a)와 제2홀커버(390b) 각각은 제1홀(344)과 제2홀(346)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홀커버(390a)와 제2홀커버(390b) 각각은, 제1홀(344)과 제2홀(346) 각각에 배치되는 어퍼홀커버(392)와, 탑커버(340)의 하측에 배치되는 로어홀커버(394)와, 로어홀커버(394)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플레이트(39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5를 참조하여, 제1홀커버(390a)와 제2홀커버(390b)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1홀커버(390a)와 제2홀커버(390b) 각각은, 제1홀(344)에 배치되는 어퍼홀커버(392)와, 어퍼홀커버(392)의 외둘레에 배치되고, 하측으로 패인 그루브를 형성하는 로어홀커버(394)와, 로어홀커버(394)의 외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플레이트(396)를 포함한다.
어퍼홀커버(392)는, 상측이 폐쇄된 납작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퍼홀커버(392)는, 어퍼플레이트(392a)와 어퍼플레이트(392a)의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는 어퍼둘레벽(392b)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홀커버(392)의 상부면은 탑커버(340)가 형성하는 상부면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로어홀커버(394)는 어퍼홀커버(392)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로어홀커버(394)는, 어퍼둘레벽(392b)의 하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로어홀커버(394)는, 어퍼홀커버(392)의 외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고리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로어홀커버(394)는, 하측으로 패인 그루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탑커버(340)의 상측에서 쏟아진 물 등이 제1홀(344)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더라도, 로어커버(210)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396)는, 로어홀커버(394)의 외둘레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396)는, 로어커버(210) 또는 탑커버(340)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396)는, 로어커버(210)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자력부재(328)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탑커버(340)에는, 자력부재(328)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대응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탑커버(340)가 로어커버(210)의 상측에 배치될 때, 탑커버(340)가 로어커버(210) 또는 홀커버(390a, 390b)에 밀착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제4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200)를 설명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200)의 구조에서, 탑커버(340)가 로어커버(210)의 일측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바디(200)에서, 탑커버(340) 또는 어퍼커버(300)에 배치되는 자력부재와 대응부재의 구성이 삭제되고, 탑커버(340)가 로어커버(210)에 별도의 체결구조를 통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2바디(200)는 로어커버(210), 어퍼커버(300), 및 탑커버(340)를 포함한다. 제2바디(200)의 다른 구성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탑커버(340)에는, 로어커버(210)에 고정되는 탑커버돌기(348a)가 배치될 수 있다. 탑커버돌기(348a)는 탑커버(340)의 테두리벽(348)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탑커버(340)의 원판형의 커버플레이트(342)와, 커버플레이트(342)의 외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벽(348)을 포함하고, 테두리벽(348)의 하단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탑커버돌기(348a)가 배치될 수 있다. 탑커버돌기(348a)는, 테두리벽(348)의 전체면에서 형성되거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로어커버(210)에는, 탑커버돌기(348a)가 삽입되는 리브홈(238a)이 형성된다.
로어커버(210)는, 아웃렛(174a)의 상측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벽(230)과, 가이드벽(230)의 외주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에지리브(238)를 포함하고, 에지리브(238)의 하단부에는 리브홈(238a)이 형성된다.
리브홈(238a)은, 가이드벽(23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가이드벽(230)의 외주단은, 에지리브(238)의 하단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웃렛(174a)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가이드벽(230)의 내주단으로부터 외주단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탑커버(340)가 로어커버(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탑커버(340)의 테두리벽(348)의 하단부는 가이드벽(230)의 상부면에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29는 제1바디(100)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는 또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2바디(200)를 개시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2바디(200)는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경우에도, 제2바디(200)는, 삽입기둥(212)의 구조를 포함하고, 삽입기둥(212)의 상측으로 디스플레이(400a)가 배치될 수 있다.
삽입기둥(212)의 경우, 제1바디(100)의 결합홈(160a)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삽입기둥(212)은, 제1바디(100)의 결합홈(160a)에 장착될 때, 결합홈(160a)에 배치되는 연결단자(158a, 158b)에 대응단자(214a, 214b)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2바디(200)는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바디(200)는 하부에 제1바디(100)에 장착되는 삽입기둥(212)의 구조를 가지고, 삽입기둥(212)의 상측으로 조명등(400b)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0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공기청정기의 전복을 방지하는 베이스지지대(102)를 설명한다.
제1바디(100)는, 제1바디(100)의 일측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공기청정기를 지면에 지지하는 베이스지지대(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1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지지대(102)는, 상하로 개방되고 상단부가 잘린 원뿔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지지대(10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확장되는 구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1를 참조하면, 베이스지지대(102)는, 인렛그릴(116)의 하측에 배치된다. 베이스지지대(102)는 베이스(110)의 외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지지대(102)는 베이스(110)의 상측으로 장착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베이스지지대(102)의 상단부(102a)의 직경은, 인렛그릴(116)의 하단부(116a)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지지대(102)의 상단이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지지대(102)의 하단부(102b)는, 지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지지대(102)의 상단부(102a)의 직경은, 어퍼하우징(160)의 하단부(160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바디(200)와, 인렛그릴(116)이 분리된 상태에서, 베이스지지대(102)를 베이스(110)의 상측으로 끼울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지지대(102)는, 베이스(110)에 별도로 장착되는 바형태의 구조물 일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지지대(102)는 베이스(1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110)에는, 베이스지지대(102)가 장착되는 지지대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베이스(110)에는, 베이스지지대(102)의 일단부가 장착되는 지지대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베이스지지대(102)는, 지지대홈(111)에 삽입되는 삽입부(104)와, 삽입부(104)의 상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06)를 포함한다.
삽입부(104)의 하단에는, 베이스지지대(102)의 배치를 지지대홈(111)에 고정시키는 걸림턱(104a)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04a)은 삽입부(104)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장부(106)는, 삽입부(104)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장부(106)는 삽입부(104)로부터 멀어질수록 하측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106)의 외측단은 지면에 접촉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4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와 제2바디의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제1바디(100)는, 상부면에 환형의 아웃렛(174a)을 형성하고, 환형의 아웃렛(174a) 내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기둥(161)을 포함한다.
제2바디(200)는, 상부면이 평탄한 면을 가진다. 제2바디(200)의 하부면은 아웃렛(174a)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바디(200)는 환형의 아웃렛(174a)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벽(230)을 포함한다. 가이드벽(230)은 아웃렛(174a)의 내주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2바디(200)의 하부면에는, 가이드벽(230)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1바디(100)의 돌출기둥(161)이 삽입되는 결합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13)은 상측으로 패인홈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홈(213)은 제1바디(100)의 돌출기둥(161)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바디(200)에는, 제1바디(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바디(200)의 배치를 고정시키는 결합부(250)가 배치된다. 결합부(250)는, 제2바디(200)가 제1바디(100)의 상측에 장착될 때, 제2바디(200)의 배치를 고정시킨다.
결합부(250)는, 돌출기둥(161)이 결합홈(213)에 삽입될 때, 제2바디(200)의 배치를 고정시키는 후크(252)를 포함한다. 돌출기둥(161)에는, 후크(252)가 삽입되는 홀(161a)이 형성된다.
후크(252)는, 돌출기둥(161)이 결합홈(213)에 삽입될 때, 돌출기둥(161)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바디(200)의 배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후크(252)는, 돌출기둥(161)이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합부(250)는, 후크(252)와 경사면으로 접촉하는 구조를 가지고, 후크(252)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후크버튼(270)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버튼(270)은, 일면이 가이드벽(230)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250)는, 후크(252)에 외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 후크(252)의 배치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29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9)

  1. 둘레면에 인렛이 형성되고, 상기 인렛의 상측으로 아웃렛이 형성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렛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아웃렛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렛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로어커버와,
    상기 로어커버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는 탑커버와,
    상기 로어커버와 상기 탑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커버를 구비하는 어퍼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탑커버에는, 상기 돌출커버가 배치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돌출커버의 둘레에서 하측으로 패인 그루브가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커버는, 상기 플레이트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의 돌출커버의 둘레에서 하측으로 패인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복수의 그루브 각각에 연결되고, 하측으로 패인 연결그루브가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그루브가 형성하는 홈의 단면적은 상기 복수의 그루브 각각이 형성하는 홈의 단면적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그루브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패인 홈의 깊이는, 상기 복수의 그루브 각각이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패인 홈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루브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그루브는, 상기 복수의 그루브 내측에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 또는 상기 어퍼커버에는, 상기 탑커버를 상기 어퍼커버에 밀착시키는 복수의 자력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홀은 상기 복수의 자력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재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자력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1자력부재와 다른 반경의 동심원상에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자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그루브는 상기 제1자력부재와 상기 제2자력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는, 상기 어퍼커버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퍼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외둘레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벽을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벽은, 상기 로어커버의 둘레면의 외측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커버는, 내부에 전장품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보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어커버는, 상단부에서 외주벽을 형성하는 에지리브와, 상부면에서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고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격벽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벽은, 상기 에지리브의 외둘레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벽리브는, 상기 에지리브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격벽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커버의 외주단은, 상기 에지리브와 상기 제1격벽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의 상부면이 형성하는 면적은 상기 아웃렛이 형성하는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13. 둘레면에 인렛이 형성되고, 상기 인렛의 상측으로 아웃렛이 형성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렛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아웃렛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렛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로어커버와,
    상기 로어커버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측에 홀이 형성되는 탑커버와,
    상기 탑커버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게 배치되는 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홀커버는,
    상기 홀에 배치되는 어퍼홀커버와, 상기 탑커버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어퍼홀커버의 외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측으로 패인 그루부를 형성하는 로어홀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홀커버는, 상기 로어홀커버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탑커버에 장착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상기 로어커버에 고정되게 배치되고, 상기 돌출커버를 상기 탑커버에 형성된 상기 홈에 밀착시키는 자력부재가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탑커버의 하부면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17. 둘레면에 인렛이 형성되고, 상기 인렛의 상측으로 아웃렛이 형성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렛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아웃렛의 상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전장품이 배치되도록 보올형상을 가지는 로어커버와,
    상기 로어커버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커버는,
    상기 아웃렛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가이드벽과,
    상기 가이드벽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에지리브와,
    상기 가이브벽의 상부면에서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고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격벽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격벽리브는, 상기 에지리브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격벽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커버의 외주단은, 상기 에지리브와 상기 제1격벽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커버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는 탑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탑커버의 외주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벽은, 상기 로어커버의 둘레면의 외측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 또는 상기 어퍼커버에는 상기 탑커버를 상기 어퍼커버에 밀착시키는 복수의 자력부재가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KR1020220087017A 2022-07-14 2022-07-14 공기청정기 KR20240009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017A KR20240009739A (ko) 2022-07-14 2022-07-14 공기청정기
CN202310847339.4A CN117404801A (zh) 2022-07-14 2023-07-11 空气净化器
US18/221,540 US20240019166A1 (en) 2022-07-14 2023-07-13 Air cleaner
EP23185186.6A EP4306863A1 (en) 2022-07-14 2023-07-13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017A KR20240009739A (ko) 2022-07-14 2022-07-14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739A true KR20240009739A (ko) 2024-01-23

Family

ID=8728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017A KR20240009739A (ko) 2022-07-14 2022-07-14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19166A1 (ko)
EP (1) EP4306863A1 (ko)
KR (1) KR20240009739A (ko)
CN (1) CN117404801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9213B (zh) * 2014-03-28 2017-09-29 Lg电子株式会社 空气净化器
WO2017074128A1 (ko) * 2015-10-30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131734A (ko) * 2016-05-19 2017-11-30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EP3257566B1 (en) * 2016-06-15 2020-11-18 LG Electronics Inc. -1- Air cleaner
KR102358334B1 (ko) 2020-05-11 202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467323B1 (ko) * 2020-08-07 2022-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6863A1 (en) 2024-01-17
CN117404801A (zh) 2024-01-16
US20240019166A1 (en)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09739A (ko) 공기청정기
CN113915760B (zh) 空气净化器
KR20240009738A (ko) 공기청정기
KR20240009736A (ko) 공기청정기
KR20240009737A (ko) 공기청정기
CN114061005B (zh) 空气净化器
KR20240048743A (ko) 공기청정기
CN114061004B (zh) 空气净化器
CN111108814B (zh) 加热烹调器
US20240017199A1 (en) Air cleaner
KR102459987B1 (ko) 공기청정기
KR20170116294A (ko) 스팀캡
KR20240009740A (ko) 공기청정기
KR20240053784A (ko) 공기청정기
JP3208481B2 (ja) ガスコンロ用マット
KR102533664B1 (ko) 공기청정기 서큘레이터
US20240017201A1 (en) Air cleaner
US20240019142A1 (en) Air cleaner
CN117404746A (zh) 空气净化器
KR20240011212A (ko) 공기청정기
US20050052846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heat dissipation device incorporated therein
KR20240050582A (ko) 공기청정기
KR20220084950A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CN115727376A (zh) 油烟捕集装置、抽油烟机以及空气清洁装置
CN115867754A (zh) 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