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707A - 쓰레기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707A
KR20240009707A KR1020220086971A KR20220086971A KR20240009707A KR 20240009707 A KR20240009707 A KR 20240009707A KR 1020220086971 A KR1020220086971 A KR 1020220086971A KR 20220086971 A KR20220086971 A KR 20220086971A KR 20240009707 A KR20240009707 A KR 20240009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ounting space
cover part
collection device
up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윤정
Original Assignee
백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윤정 filed Critical 백윤정
Priority to KR1020220086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707A/ko
Publication of KR20240009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8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adapted to discharge d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07Lids or covers with filling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4Ash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장착공간과, 장착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부에 수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거부와, 장착공간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덮개부와, 장착공간의 하면에 결합되어 덮개부를 상부로 탄성 지지하고, 덮개부의 승강에 의해 상하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 지지부 및, 덮개부의 승강 동작과 연동되고, 덮개부가 하강 후 상승 복귀시 덮개부를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에 걸림 위치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쓰레기 수거장치{waste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쓰레기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주변의 미관을 크게 해치지 않고, 사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누름 동작을 통해 개폐가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쓰레기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흡연은 담배꽁초 무단투기로 인한 환경오염은 물론 개인 및 주변사람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최근 들어 건물을 포함한 야외에서도 금연지역을 점차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일부의 흡연가가 담배를 피운 후 담배꽁초를 지정된 휴지통이나 재떨이에 버리지 않고 도로나 길가의 곳곳에 무단으로 투기하는 사례가 빈번하므로 도심의 미관을 해치게 될 뿐 아니라 담배꽁초 수거를 위해 많은 처리 인력이 투입되는 실정이고, 담배꽁초의 크기가 작아 제대로 폐기/분리되지 않으므로 담배 필터의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해 환경(해양 등)이 오염될 염려가 있었다.
최근에는 흡연 후 버려지는 담배꽁초를 수거하기 위한 담배꽁초 수거함이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담배꽁초 수거함은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담배꽁초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입구측에 형성되어 담배를 비벼 끌 수 있도록 망 구조의 패널 등으로 구성되며, 본체의 일부분을 개방시켜 내부에 수거된 담배꽁초를 처리한 후 재결합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담배꽁초 수거함은 담배꽁초로부터 발생되는 냄새나 연기가 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주변을 통행하는 보행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았고, 담배꽁초의 불씨가 완전 연소되지 않아 화재 발생의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담배꽁초 수거함은 지상에 큰 부피로 노출되어 주변의 미관을 해치는 형태를 가지므로 설치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담배꽁초를 입구를 통해 투입시키는 과정에서 인체와 유해 물질이 접촉되거나 주변으로 잔해가 낙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위생적이지 않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7349호(2018년 08월 3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담배꽁초 수거함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주변의 미관을 크게 해치지 않고, 사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누름 동작을 통해 개폐가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쓰레기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는 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장착공간과,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부에 수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거부와, 상기 장착공간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덮개부와, 상기 장착공간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를 상부로 탄성 지지하고, 상기 덮개부의 승강에 의해 상하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 지지부 및, 상기 덮개부의 승강 동작과 연동되고, 상기 덮개부가 하강 후 상승 복귀시 상기 덮개부를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에 걸림 위치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폐쇄위치에 걸림 위치시 상기 장착공간을 폐쇄시키고, 개방위치에 걸림 위치시 상기 장착공간의 가장자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거부의 외측면과 상기 장착공간으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덮개부에 결합되고, 내부의 상부 설치공간이 하부로 개방되며, 하단을 따라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승강빔과, 하단이 상기 장착공간의 하면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이 상기 삽입홈을 통해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의 하부 설치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고정빔 및, 상기 하부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승강빔의 하단을 상부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공간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원주를 이루는 내측면을 따라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홈 및, 상기 고정빔의 하단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홈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외측면을 따라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상부 설치공간에 결합되는 승강패널과, 상기 승강패널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연결되어 순환 경로를 형성하는 안내홈 및, 하단의 회전축이 상기 하부 설치공간의 하면에 형성된 수평회전중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으로부터 상기 회전축과 동일 축 선상으로 절곡된 연결축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작동링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축은 상기 개방위치에 걸림 위치된 상기 덮개부가 하강 후 상승 복귀시 상기 안내홈의 상부구간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고, 상기 폐쇄위치에 걸림 위치된 상기 덮개부가 하강 후 상승 복귀시 상기 안내홈의 하부구간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홈은 상기 개방위치에 걸림 위치된 상기 덮개부가 하강 후 상승 복귀시 상기 연결축이 우측으로 상향 이동 후 좌측로 하향 이동되어 걸림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구간의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 걸림부와, 상기 폐쇄위치에 걸림 위치된 상기 덮개부가 하강 후 상승 복귀시 상기 연결축이 상기 상부 걸림부의 좌측으로 상향 이동 후 좌측으로 하향 이동되어 걸림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구간의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부 걸림부 및, 상기 상부구간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폐쇄위치에 걸림 위치된 상기 덮개부가 하강시 상기 상부 걸림부에 걸림 위치된 상기 연결빔을 좌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중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주변의 미관을 크게 해치지 않고,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누름 동작을 통해 개폐가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덮개부를 폐쇄시 수용공간의 입구가 커버되므로, 담배 꽁초 등과 같을 발화성 물질로 인한 화재 발생 및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수용공간에 수거된 쓰레기의 악취 등이 다량의 유출되지 않으므로 주변 통행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덮개부를 개폐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인체와 덮개부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부의 상면에 다양한 정보(그림, 광고 문구 등)를 표시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손잡이홀을 파지한 상태로 수거부를 분리 세척하거나 쓰레기를 처리 후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재 장착이 가능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덮개부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수거부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덮개부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덮개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덮개부가 하강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덮개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덮개부가 폐쇄위치로 상승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덮개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덮개부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덮개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덮개부가 개방위치로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에 하부 배출구와 연장부 및 상부 배출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연장부가 경사지게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에 조명부와 제어부를 작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덮개부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수거부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덮개부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덮개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덮개부가 하강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덮개부를 폐쇄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덮개부가 폐쇄위치로 상승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덮개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덮개부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덮개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덮개부가 개방위치로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에 하부 배출구와 연장부 및 상부 배출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연장부가 경사지게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에 조명부와 제어부를 작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는 장착공간(10)과, 수거부(100)와, 덮개부(200)와, 탄성 지지부(300) 및, 위치 조절부(400)를 포함한다.
장착공간(10)은 수거부(100)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으로, 수거부(100)를 삽입된 상태로 설치하기 위해 지면(10)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장착공간(10)은 수거부(1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수거부(100)는 담배 꽁초 등의 쓰레기(1)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장착공간(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쓰레기(1)가 수용되도록 상부에 일정 넓이의 수용공간(110)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수거부(100)를 장착공간(10)으로부터 분리시켜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쓰레기(1)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수거부(100)는 측면이 원주를 이루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일정 강도를 갖는 금속,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거부(100)의 외측면과 장착공간(20)으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홀(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될 덮개부(200)를 수거부(100)의 상부로 분리시키는 경우, 수거부(100)가 장착공간(10)의 상부로 노출되므로, 관리자는 수용공간(110)의 내부를 통해 손잡이홀(120)을 파지한 상태로 수거부(100)를 장착공간(20)의 상부로 분리시키거나, 쓰레기(1) 처리가 완료된 수거부(100)를 장착공간(20)에 삽입시킬 수 있다. 즉 손잡이홀(120)을 파지한 상태로 수거부(100)를 분리시키거나 장착시킬 수 있고, 수거부(100)를 분리시킨 상태로 세척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덮개부(200)는 승강 동작에 의해 수거부(100)의 수용공간(110)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후술될 탄성 지지부(300)에 의해 장착공간(20)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하부의 폐쇄위치와, 장착공간(20)의 상부로 이격 위치되는 개방위치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폐쇄위치로 하강시 장착공간(2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는 넓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200)는 가장자리가 원주를 이루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장착공간(20)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덮개부(200)의 상면에는 그림, 광고 문구 등의 정보가 표시(인쇄, 부착, 음각, 양각 등)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부(200)는 폐쇄위치로 하강시 수용공간(110)이 폐쇄되도록 수거부(100)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200)가 폐쇄위치로 하강 위치되는 경우 덮개부(200)가 장착공간(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덮개부(200)가 폐쇄위치로 하강 위치되는 경우 덮개부(200)가 장착공간(20)의 상부에 돌출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고, 덮개부(200)의 하면이 지면(10)과 동일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덮개부(200)가 지면(10)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반면, 덮개부(200)가 개방위치로 상승 위치되는 경우 덮개부(200)가 장착공간(20)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고, 장착공간(20)의 가장자리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덮개부(200)의 하면과 지면(10)의 사이에 투입 간격이 형성되므로, 투입 간격을 통해 장착공간(20)으로 쓰레기(1)를 밀어 넣을 수 있고, 장착공간(20)으로 투입된 쓰레기(1)는 자주에 의해 수거부(100)의 수용공간(110)으로 낙하된다.
즉, 덮개부(200)가 장착공간(20)의 상부를 커버하므로 쓰레기(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주변 미관을 해치지 않고, 덮개부(200) 폐쇄시 지상으로 악취 등이 다량으로 유출되지 않아 주변 통행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중을 이용해 덮개부를 개폐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지면(10)과 장착공간(20)의 사이에는 덮개부(200)가 일정 길이로 승강될 수 있도록 간격부(G)가 일정 두께로 형성될 수 있는데, 간격부(G)는 수거부(100)의 상단과 지면(10)의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덮개부(200)는 간격부(G) 내에서 승강될 수 있다. 여기서 간격부(G)는 장착공간(20)의 가장자리보다 더 큰 직경으로 연장되어 장착공간(2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단턱을 형성할 수 있고, 단턱의 상부에 덮개부(200)의 가장자리가 승강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미도시 하였으나, 수거부(100)의 상단이 장착공간(20)의 상부로 더 길게 돌출되어 후술될 간격부(G)에 위치될 수 있고, 손잡이홀(120)이 간격부(G)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관리자는 덮개부(200)를 수거부(100)로부터 분리시킨 후 간격부(G)에 위치된 손잡이홀(120)을 손으로 파지할 수 있고, 수거부(100)의 외측 또는 수용공간(110)의 내측을 통해 손잡이홀(120)을 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300)는 덮개부(200)를 승강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 지지부(300)의 하단이 장착공간(300)의 하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상단이 덮개부(200)의 하면을 상부로 탄성 지지할 수 있으며, 덮개부(200)의 승강에 의해 상하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탄성 지지부(300)는 도 5 내지 9에서처럼 상단이 덮개부(200)에 결합되고, 내부의 상부 설치공간(311)이 하부로 개방되며, 하단을 따라 삽입홈(312)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승강빔(310)과, 하단이 장착공간(20)의 하면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단이 삽입홈(312)을 통해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의 하부 설치공간(321)이 상부로 개방되는 고정빔(320) 및, 하부 설치공간(321)에 배치되고, 상단이 승강빔(310)의 하단을 상부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빔(310)은 상단이 덮개부(200)의 하면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승강빔(310)의 내부에 형성된 상부 설치공간(311)이 하부로 수직하게 개방될 수 있으며, 승강빔(310)은 측면이 원주를 이루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승강빔(310)은 금속,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빔(320)은 하단이 하면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단이 삽입홈(312)을 통해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고정빔(320)의 내부에 형성된 하부 설치공간(321)이 상부로 수직하게 개방되어 상부 설치공간(311)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공간(110)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원주를 이루는 내측면을 따라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홈(111) 및, 고정빔(320)의 하단으로 돌출되고, 체결홈(111)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외측면을 따라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돌기(3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빔(320)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하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323) 및, 삽입홈(312)의 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어 가이드홈(323)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돌기(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323)은 고정빔(32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고, 가이드돌기(313)는 가이드홈(323)과 대응되도록 승강빔(31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승강빔(310)의 가이드돌기(313)가 고정빔(320)의 가이드홈(32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안내되므로, 승강빔(310)과 덮개부(200)가 수평하게 회전되지 않고 흔들림 없이 승강될 수 있고, 관리자가 개방위치로 상승된 덮개부(200)를 파지한 후 결합 해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고정빔(320)의 하단이 하부 설치공간(321)의 하면으로부터 분리되므로 덮개부(200)와 탄성 지지부(300)를 수거부(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된 고정빔(320)의 하단을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부 설치공간(321)의 하면에 결합시킬 수 있어 덮개부(200)의 결합 및 분리가 편리하며, 덮개부(200)를 결합 해지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승강빔(310)과 고정빔(320)이 서로 이탈되지 않는다.
탄성부재(330)는 승강빔(310)의 하단을 상부로 탄성 지지하여 덮개부(200)를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 탄상부재(330)은 하단이 하부 설치공간(321)의 하면에 안착되고, 상단이 승강빔(310)의 상단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위치 조절부(400)는 덮개부(200)를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에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위치 조절부(400)는 덮개부(200)의 승강 동작과 연동되고, 덮개부(200)가 하강 후 상승 복귀시 덮개부(200)를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에 걸림 위치시킨다.
여기서, 위치 조절부(400)는 도 5 내지 9에서처럼 상부 설치공간(311)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승강패널(410)과, 승강패널(410)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연결되어 순환 경로를 형성하는 안내홈(420) 및, 하단의 회전축(431)이 하부 설치공간(321)의 하면에 형성된 수평회전중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으로부터 회전축(431)과 동일 축 선상으로 절곡된 연결축(432)이 안내홈(4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작동링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링크(430)는 탄성부재(330)의 내부에서 상하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하부 설치공간(321)의 하면에는 작동링크(430)의 하단에 형성된 회전축(431)을 수평하게 축 결합시키기 위한 힌지부(340)가 구비될 수 있고, 힌지부(340)는 탄성부재(3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부(340)에는 회전축(431)이 수평하게 걸림 위치될 수 있도록 축 홀이 수평하게 관통될 수 있다.
작동링크(430)의 연결축(432)은 개방위치에 걸림 위치된 덮개부(200)가 하강 후 상승 복귀되는 경우 안내홈(425)의 우측구간을 통해 상부로 이동된 후 안내홈(420)의 상부구간에 안착된 상태로 걸림 위치될 수 있고, 연결축(432)이 안내홈(420)의 상부구간에 걸림 위치되는 경우 덮개부(200)가 장착공간(20)을 차단하는 폐쇄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덮개부(200)는 장착공간(20)의 상부를 폐쇄시킨다.
반면, 작동링크(430)의 연결축(432)은 폐쇄위치에 걸림 위치된 덮개부(200)가 하강 후 상승 복귀되는 경우 안내홈(420)의 좌측구간을 통해 하부로 이동된 후 안내홈(420)의 하부구간에 안착된 상태로 걸림 위치될 수 있고, 연결축(432)이 안내홈(420)의 하부구간에 걸림 위치되는 경우 덮개부(200)가 지면(10)과 이격되는 개방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덮개부(200)는 장착공간(20)의 상부를 개방시킨다.
안내홈(420)은 작동링크(430)의 연결축(432)을 덮개부(200)의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에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안내홈(420)은 도 6과 7에서처럼 개방위치에 걸림 위치된 덮개부(200)가 하강 후 상승 복귀되는 경우 연결축(432)이 우측으로 상향 이동 후 좌측로 하향 이동되어 걸림 위치되도록 상부구간의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 걸림부(421)와, 도 8과 9에서처럼 폐쇄위치에 걸림 위치된 덮개부(200)가 하강 후 상승 복귀되는 경우 연결축(432)이 상부 걸림부(421)의 좌측으로 상향 이동 후 좌측으로 하향 이동되어 걸림 위치되도록 하부구간의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부 걸림부(422) 및, 상부구간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고, 폐쇄위치에 걸림 위치된 덮개부(200)가 하강하는 경우 상부 걸림부(421)에 걸림 위치된 연결빔(432)을 좌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돌출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홈(420)의 좌측구간과 우측구간은 상부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좌측구간과 우측구간의 사이에 상부 걸림부(421)가 위치될 수 있으며, 좌측구간과 우측구간의 마주하는 폭방향은 상부 걸림부(421)와 하부 걸림부(422) 방향으로 오목한 곡선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좌측구간과 우측구간은 상부로 갈수록 마주하는 폭방향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좌측구간과 우측구간의 상단으로부터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안내홈(420)의 상부구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구간의 하단에 상부 걸림부(421)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걸림부(421)는 덮개부(200)가 폐쇄위치에 위치시 연결축(432)이 안착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는 부분으로, 하부로 갈수록 좌우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개방위치에 걸림 위치된 덮개부(200)가 하강 후 상승 복귀되는 경우 안내홈(420)의 우측구간으로 상향 이동된 연결축(432)은 방향이 전환되면서 좌측으로 하향 이동되어 상부 걸림부(421)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걸림 위치될 수 있다.
하부 걸림부(422)는 덮개부(200)가 개방위치에 위치시 연결축(432)이 안착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는 부분으로, 폐쇄위치에 걸림 위치된 덮개부(200)가 하강 후 상승 복귀되는 경우 안내홈(420)의 좌측구간으로 하향 이동된 연결축(432)이 안착된 상태로 걸림 위치될 수 있다.
돌출부(423)는 폐쇄위치에 걸림 위치된 덮개부(200)가 하강하는 경우 상부 걸림부(421)에 안착된 연결축(432)을 좌측구간으로 상향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돌출부(423)의 중심은 상부 걸림부(421)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으로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고, 돌출부(423)의 양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는 도 10에서처럼 수용공간(110)의 하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관통되는 다수의 하부 배출구(130)와, 수거부(100)의 가장자리측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140) 및, 연장부(140)에 수직하게 관통되는 다수의 상부 배출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배출구(130)는 덮개부(200)의 가장자리를 통해 수용공간(110)으로 유입되는 유체(빗물 등, W)을 수거부(100)의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빗물 등을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어 수용공간(110)에 수거된 쓰레기(1)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도시 하였으나, 하부 배출구(130)와 상부 배출구(150) 중 하나 이상에는 다수의 홀이 상하로 관통된 메쉬망 등이 결합될 수도 있다.
연장부(140)는 수거부(100)의 가장자리에 상부 배출구(150)를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간격부(G)에 위치될 수 있고, 연장부(140)의 하단이 간격부(G)의 단턱에 수평하게 안착될 수 있으며, 연장부(140)는 도 11에서처럼 수용공간(1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덮개부(200)의 가장자리를 통해 간격부(G)로 낙하된 쓰레기(1)가 중력에 의해 연장부(140)의 상면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이동되므로 쓰레기(1)를 수용공간(110)으로 용이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상부 배출구(150)는 덮개부(200)의 가장자리를 통해 간격부(G)로 낙하하는 유체(빗물 등, W)를 연장부(140)의 하부로 배출시킨다. 즉 간격부(G)로 낙하하는 유체(W)가 수용공간(11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빗물 등을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고, 빗물 등을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어 수용공간(110)에 수거된 쓰레기(1)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는 도 12에서처럼 덮개부(200)의 상면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점등시 외부로 광을 확산시키는 조명부(500) 및, 외부의 전원 공급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조명부(500)의 동작을 제어(ON/OFF)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500)는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덮개부(200)의 상면에는 조명부(500)를 결합시키기 위한 설치홈(21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홈(210)은 덮개부(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조명부(500)가 점등시 덮개부(200)의 설치 위치가 표시되므로, 야간 등과 같이 시야 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덮개부의 설치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덮개부(200)의 위치가 표시되므로 통행자가 덮개부(200)의 가장자리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지중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주변의 미관을 크게 해치지 않고,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누름 동작을 통해 개폐가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덮개부(200)를 폐쇄시 수용공간(110)의 입구가 커버되므로, 담배 꽁초 등과 같을 발화성 물질로 인한 화재 발생 및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수용공간(110)에 수거된 쓰레기의 악취 등이 다량의 유출되지 않으므로 주변 통행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덮개부(200)를 개폐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인체와 덮개부(200)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므로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부(200)의 상면에 다양한 정보(그림, 광고 문구 등)를 표시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손잡이홀(120)을 파지한 상태로 수거부(100)를 분리 세척하거나 쓰레기를 처리 후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재 장착이 가능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쓰레기 10: 지면
20: 장착공간 30: 전원 공급부
100: 수거부 110: 수용공간
111: 체결홈 120: 손잡이홀
130: 하부 배출구 140: 연장부
150: 상부 배출구 200: 덮개부
210: 설치홈 300: 탄성 지지부
310: 승강빔 311: 상부 설치공간
312: 삽입홈 313: 가이드돌기
320: 고정빔 321: 하부 설치공간
322: 체결돌기 323: 가이드홈
330: 탄성부재 340: 힌지부
400: 위치 조절부 410: 승강패널
420: 안내홈 421: 상부 걸림부
422: 하부 걸림부 423: 돌출부
423a: 경사면 430: 작동링크
431: 회전축 432: 연결축
500: 조명부 600: 제어부
G: 간격부 W: 유체

Claims (6)

  1. 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장착공간;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부에 수용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거부;
    상기 장착공간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덮개부;
    상기 장착공간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를 상부로 탄성 지지하고, 상기 덮개부의 승강에 의해 상하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 지지부; 및
    상기 덮개부의 승강 동작과 연동되고, 상기 덮개부가 하강 후 상승 복귀시 상기 덮개부를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에 걸림 위치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폐쇄위치에 걸림 위치시 상기 장착공간을 폐쇄시키고, 개방위치에 걸림 위치시 상기 장착공간의 가장자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의 외측면과 상기 장착공간으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덮개부에 결합되고, 내부의 상부 설치공간이 하부로 개방되며, 하단을 따라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승강빔과,
    하단이 상기 장착공간의 하면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이 상기 삽입홈을 통해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의 하부 설치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고정빔 및,
    상기 하부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승강빔의 하단을 상부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원주를 이루는 내측면을 따라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홈 및,
    상기 고정빔의 하단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홈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외측면을 따라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상부 설치공간에 결합되는 승강패널과,
    상기 승강패널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연결되어 순환 경로를 형성하는 안내홈 및,
    하단의 회전축이 상기 하부 설치공간의 하면에 형성된 수평회전중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으로부터 상기 회전축과 동일 축 선상으로 절곡된 연결축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작동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축은,
    상기 개방위치에 걸림 위치된 상기 덮개부가 하강 후 상승 복귀시 상기 안내홈의 상부구간에 걸림 위치되고, 상기 폐쇄위치에 걸림 위치된 상기 덮개부가 하강 후 상승 복귀시 상기 안내홈의 하부구간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상기 개방위치에 걸림 위치된 상기 덮개부가 하강 후 상승 복귀시 상기 연결축이 우측으로 상향 이동 후 좌측로 하향 이동되어 걸림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구간의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 걸림부와,
    상기 폐쇄위치에 걸림 위치된 상기 덮개부가 하강 후 상승 복귀시 상기 연결축이 상기 상부 걸림부의 좌측으로 상향 이동 후 좌측으로 하향 이동되어 걸림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구간의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부 걸림부 및,
    상기 상부구간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폐쇄위치에 걸림 위치된 상기 덮개부가 하강시 상기 상부 걸림부에 걸림 위치된 상기 연결빔을 좌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KR1020220086971A 2022-07-14 2022-07-14 쓰레기 수거장치 KR20240009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971A KR20240009707A (ko) 2022-07-14 2022-07-14 쓰레기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971A KR20240009707A (ko) 2022-07-14 2022-07-14 쓰레기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707A true KR20240009707A (ko) 2024-01-23

Family

ID=8971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971A KR20240009707A (ko) 2022-07-14 2022-07-14 쓰레기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7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3750B2 (en) Collection device for smoking debris
US2802434A (en) Garbage and trash disposer unit
KR20240009707A (ko) 쓰레기 수거장치
EP1919307B1 (en) Ashtray, smoking room provided with an ashtray
KR101226106B1 (ko) 친환경 쓰레기통
US6626322B1 (en) Receptacle for spent smoking materials
KR102451723B1 (ko) 담배꽁초 처리장치
CN110712880A (zh) 一种城市生活垃圾分类回收装置
KR200449161Y1 (ko) 쓰레기통 겸용 인쇄물 배포대
KR100805617B1 (ko) 옥외 설치용 자동 소화 재떨이
US7231924B2 (en) Deodorizer for cigarette butt collection containers
KR102070542B1 (ko) 수막 분수 재떨이
US6612457B1 (en) Refuse container
KR200487349Y1 (ko) 담배꽁초 수거함
KR102657314B1 (ko) 바닥 설치형 담배꽁초 수거장치
US2637490A (en) Cigarette chute
KR200187708Y1 (ko) 폐식용유 수거함
US11236905B1 (en) Trash burning receptacle
US20050241655A1 (en) Trash container for disposal of cigarette waste
KR200243810Y1 (ko) 공중 쓰레기통
KR100840354B1 (ko) 스탠드형 재떨이
KR200497766Y1 (ko) 청소가 용이한 위생 재떨이
KR20240000056U (ko) 벽걸이형 담배꽁초 수거함
KR200259069Y1 (ko)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
KR200237195Y1 (ko) 재떨이가 부설된 쓰레기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