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609A - 가전 기기, 가전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 기기, 가전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609A
KR20240009609A KR1020220086685A KR20220086685A KR20240009609A KR 20240009609 A KR20240009609 A KR 20240009609A KR 1020220086685 A KR1020220086685 A KR 1020220086685A KR 20220086685 A KR20220086685 A KR 20220086685A KR 20240009609 A KR20240009609 A KR 20240009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motor
notification information
driving speed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원
강정훈
이록행
홍승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6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609A/ko
Priority to PCT/KR2023/008614 priority patent/WO2024014733A1/ko
Priority to US18/453,699 priority patent/US20240019829A1/en
Publication of KR20240009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1Avoiding conflicts related to the use of hom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1/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P1/00 - H02P5/00, H02P7/00 or H02P21/00 - H02P2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가전 기기, 가전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가전 기기는 입력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모터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소음 제어 모드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전 기기와 연동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 전화 및 수신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며,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면 알림 정보를 무시하고 모터의 구동 속도를 유지한다.

Description

가전 기기, 가전 시스템 및 제어 방법{HOME APPLIANCE, HOME APPLINAC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가전 기기, 가전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 장치와 연동된 상태에서 운전 모드를 제어하는 가전 기기, 가전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최근 다양한 가전 기기는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가전 기기는 단말 장치와 연결되고, 사용자는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를 제어하고 가전 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저소음 가전 기기가 상용화되었다. 그러나, 일부 가전 기기는 주변의 알림음을 인식하기 어려울 정도의 큰 소음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청소기를 사용할 때 단말 장치의 수신 알림음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 장치의 수신 알림음을 인식하였다고 하더라도 상대방과 통화를 하기 위해서 청소기의 동작을 중지시켜야 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가 알림 동작을 수행할 때, 가전 기기는 단말 장치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단말 장치가 알림 동작을 수행할 때 소음을 줄이기 위해 자동으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가전 기기, 가전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는 가전 기기는 입력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소음 제어 모드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가전 기기와 연동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 전화 및 수신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알림 정보를 무시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유지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소음 제어 모드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가전 기기와 연동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 전화 및 수신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알림 정보를 무시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유지하는 모터 속도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시스템은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와 연동되는 가전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 전화 및 수신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알림 정보를 상기 가전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가전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소음 제어 모드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알림 정보를 무시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유지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사용자로부터 소음 제어 모드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가전 기기와 연동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 전화 및 수신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알림 정보를 무시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유지하는 모터 속도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구동 제어를 통한 소음 감소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 제어 모드가 활성화 상태의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의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 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서 각 단계의 순서는 선행 단계가 논리적 및 시간적으로 반드시 후행 단계에 앞서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각 단계의 순서는 비제한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위와 같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후행 단계로 설명된 과정이 선행단계로 설명된 과정보다 앞서서 수행되더라도 개시의 본질에는 영향이 없으며 권리범위 역시 단계의 순서에 관계없이 정의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라고 기재한 것은 A와 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리키는 것뿐만 아니라 A와 B 모두를 포함하는 것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이라는 용어는 포함하는 것으로 나열된 요소 이외에 추가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도 포괄하는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의 설명에 필요한 필수적인 구성요소만을 설명하며, 본 개시의 본질과 관계가 없는 구성요소는 언급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언급되는 구성요소만을 포함하는 배타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른 구성요소도 포함할 수 있는 비배타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 밖에도,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한편, 각 실시 예는 독립적으로 구현되거나 동작될 수도 있지만, 각 실시 예는 조합되어 구현되거나 동작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전 시스템은 가전 기기(100) 및 단말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는 키친 후드, 청소기, 믹서, 환풍기, 온풍기,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식기 세척기, 에어 드레서, TV, 드라이어, 선풍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와 단말 장치(200)는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와 단말 장치(200)는 동일한 집 안에 위치하고,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200)를 다른 장소에 두고 가전 기기(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가전 기기(100)의 소음 제어 모드를 활성화 모드 또는 비활성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가 외부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 장치(200)는 알림 동작을 수행하면서 동시에(또는, 순차적으로) 가전 기기(100)로 수신된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였다는 단순한 정보를 가전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고, 알림 정보의 종류, 상대방 정보, 알림 정보의 내용 등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알림 정보를 가전 기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정보의 종류는 전화 착신, 문자 메시지 수신, SNS 또는 채팅 앱 등의 메시지 수신, 이메일 등의 데이터 수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는 소음 제어 모드가 활성화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단말 장치(200)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면,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가전 기기(100)의 동작 중 큰 소음은 대부분 모터의 구동에 의한 소음일 수 있다. 따라서, 가전 기기(100)는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키면, 가전 기기(100)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가전 기기(100)는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가전 기기(100)는 모터의 구동 속도를 기 설정된 최소 속도까지 감소시키거나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또한, 가전 기기(1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구체적인 알림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는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 기기(100)는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킨 이후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모터의 구동 속도를 최초 속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조건은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 알림 정보의 출력 완료, 단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의 작업 종료에 관한 정보의 수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단말 장치(200)가 상대방 A로부터 “지금 뭐하고 있어?”라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 장치(200)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와 관련된 정보를 가전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의 소음 제어 모드가 활성화 상태이면, 가전 기기(100)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가전 기기(100)는 “A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였습니다.” 또는 “A로부터 지금 뭐하고 있어? 라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였습니다.”라는 알림 정보를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 기기(100)는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모터의 구동 속도를 원래 속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가전 기기(100)는 알림 정보의 출력이 완료되면 모터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가전 기기(100)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모터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만일, 가전 기기(100)에서 설정된 시간이 1분이라면, 가전 기기(100)는 1분 후 모터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에서 설정된 시간의 기산점은 최초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키기 시작한 시점 또는 알림 정보의 출력 완료 시점일 수 있다. 즉, 설정된 시간이 1분이고 기산점이 최초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키기 시작한 시점이라면, 가전 기기(100)는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킨 시점부터 1분 후 모터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설정된 시간의 기산점이 알림 정보의 출력 완료 시점이라면, 가전 기기(100)는 알림 정보의 출력을 완료하고 1분 후 모터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가전 기기(1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와 관련된 작업 종료 정보를 수신하면, 모터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장치(200)로 알림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인지하면, 사용자는 단말 장치(200)를 통해 알림 정보의 확인, 상대방과 통화, 메시지 회신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단말 장치(200)에서 수신된 알림 정보와 관련된 앱 또는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알림 정보의 확인하거나 관련 작업을 종료하면 앱을 종료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단말 장치(200)의 화면을 오프시키거나 단말 장치(200)의 상태를 대기 모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앱 종료, 화면 오프, 대기 모드 상태 전환 등과 관련된 정보를 가전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앱 종료, 화면 오프, 대기 모드 상태 전환 등과 관련된 정보는 작업 종료 정보일 수 있다. 가전 기기(1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작업 종료 정보를 수신하면, 모터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가전 기기(100)는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모드로 설정되면, 단말 장치(200)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200)가 스팸 문자 등과 같이 불필요한 알림 정보를 가전 기기(100)로 전송하더라도 사용자는 방해받지 않고 가전 기기(100)를 이용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모드로 설정된 경우라도 가전 기기(100)는 예외적으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200)에서 예외적인 알림 정보(예, 선순위 알림 정보, 중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터에서 특정 상대방 또는 특정 그룹이 사용자에 의해 예외적인 알림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안전 문자, 긴급 전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연락처 정보 등이 예외적인 알림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가전 기기(100)의 소음 제어 모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만일, 단말 장치(200)가 일반적인 알림 정보를 수신하면, 가전 기기(100)로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없이 가전 기기(100)로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는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 상태이고 수신된 알림 정보에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가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수신된 알림 정보를 무시하고 모터의 구동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만일, 단말 장치(200)가 설정된 예외에 해당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면, 가전 기기(100)로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를 포함시켜 가전 기기(100)로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는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라도 수신된 알림 정보에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단말 장치(200)에서 설정한 특정 상대방이나 특정 그룹 등으로부터 수신한 알림 정보, 안전 문자, 긴급 전화 등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가전 기기(100)는 청소기일 수 있고,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방 안에 위치한 탁자 위에 두고, 청소기를 이용하여 거실 청소를 할 수 있다. 청소기는 모터를 이용하여 공기 및 먼지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청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청소기는 공기 및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빠른 속도로 모터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상당한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이 전화 또는 문자를 수신하면, 사용자는 청소기의 소음 때문에 전화 또는 문자의 수신을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청소기는 소음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청소기는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소음 제어 모드의 활성화/비활성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청소기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될 수 있다. 청소기가 사용자로부터 소음 제어 모드의 활성화 명령을 입력받으면, 청소기는 소음 제어 모드를 활성화(턴-온)시키고, 소음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청소기와 연동된 스마트폰은 전화 또는 문자 등을 수신하면, 청소기로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정보는 알림이 수신되었다는 간단한 정보일 수 있고, 알림 정보의 종류, 상대방 정보, 알림 정보의 내용 등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알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스마트폰은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청소기로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청소기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만일, 청소기의 소음 제어 모드가 활성화 상태이면, 청소기는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청소기는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청소기의 모터 구동 속도가 감소하여 소음이 줄어들거나 청소기로부터 출력되는 알림 정보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화 또는 문자 등이 수신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는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킨 이후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모터의 구동 속도를 최초 속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조건은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 알림 정보의 출력 완료, 스마트폰으로부터 알림 정보의 작업 종료에 관한 정보의 수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청소기는 소음 제어 모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수신되는 문자 또는 전화 등은 필요한 정보일 수 있으나 스팸, 광고 등의 불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청소 작업에 집중하기 위해 문자 또는 전화 등을 받고 싶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청소기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음 제어 모드를 비활성화시키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청소기는 입력된 소음 제어 모드의 비활성화 명령에 기초하여 소음 제어 모드를 비활성화(턴-오프)시킬 수 있다.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되면, 청소기는 연동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를 무시하고 모터의 구동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일부 중요한 정보에 대한 알림을 수신하고 싶을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 예외적인 알림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특정 상대방의 정보 또는 특정 그룹을 예외적인 알림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친구 A와 같은 특정 상대방 또는 가족 그룹과 같은 특정 그룹을 예외적인 알림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폰은 안전 문자, 긴급 전화 등을 예외적인 알림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은 예외 정보에 대응되는 친구 A나 가족 그룹에 포함된 아들로부터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폰은 안전 문자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예외 정보에 대응되는 친구 A나 아들의 전화 또는 안전 문자를 수신하면, 예외 정보에 대응하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알림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와 함께 수신된 알림 정보를 청소기로 전송할 수 있다. 청소기는 알림 정보와 함께 인디케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청소기는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이더라도 스마트폰으로부터 인디케이터를 수신하면, 소음을 줄이기 위해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청소기의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더라도 예외 정보(중요 정보)로 설정된 친구 A나 아들의 전화 또는 안전 문자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가전 시스템을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가전 기기(100) 및 단말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전 기기(100)는 입력 인터페이스(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모터(130),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소음 제어 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110)는 키보드, 버튼, 키 패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10)는 입력 장치, 입력부, 입력 모듈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Wi-Fi,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및 LTE(Long Term Evoloution)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정보는 전화 착신, 문자 메시지 수신, SNS 또는 채팅 앱 등의 메시지 수신, 이메일 등의 데이터 수신 등을 알리는 정보일 수 있다. 상술한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통신 장치, 통신부, 통신 모듈, 송수신부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모터(130)는 가전 기기(100)의 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가 키친 후드이면, 모터(130)는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 연기 등을 흡입하도록 흡입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는, 가전 기기(100)가 청소기이면, 모터(130)는 먼지, 이물질 등을 흡입하도록 흡입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는, 가전 기기(100)가 믹서이면, 모터(130)는 음식 재료를 갈도록 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가전 기기(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로부터 소음 제어 모드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도록 입력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하고, 단말 장치(200)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하며, 구동부를 구동시키도록 모터(1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 가전 기기(100)의 소음 제어 모드가 활성화 상태이면, 모터(130)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소음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시간에 따라 모터(130)의 구동 속도를 점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소음의 크기를 선형적 또는 로그 스케일로 감소시키기 위해 모터(130)의 구동 속도를 점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선형적 또는 로그 스케일의 시간 간격으로 모터(130)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가전 기기(100)의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면, 특정 조건에서 모터(130)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알림 정보에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알림 정보에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더라도 모터(130)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단말 장치(200)에서 설정한 특정 상대방이나 특정 그룹 등으로부터 수신한 알림 정보, 안전 문자, 긴급 전화 등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전 기기(100)는 입력 인터페이스(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모터(130), 프로세서(140), 카메라(150), 마이크(160), 스피커(170), 디스플레이(180), 메모리(185), 센서(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및 모터(13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카메라(150)는 가전 기기(100)의 주변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150)는 사용자의 표정, 동작, 사용자의 시선 등을 촬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촬영된 사용자의 표정, 동작, 사용자의 시선 등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 또는 리딩/뷰잉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제어 명령 또는 인식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50)는 CCD 센서, CMO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50)는 RGB 카메라, 뎁스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마이크(16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입력된 음성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인식하고, 인식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70)는 사운드 신호 처리가 수행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피커(17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70)는 사용자의 입력 명령, 가전 기기(100)의 상태 관련 정보 또는 동작 관련 정보 등을 음성이나 알림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정보를 시각적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가전 기기(10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술한 스피커(170) 및 디스플레이(180)는 출력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즉, 가전 기기(10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를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85)는 가전 기기(100)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알고리즘 등을 저장하고, 가전 기기(100)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85)에 저장된 알고리즘은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의해 프로세서(140)에 로딩되어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85)는 롬, 램, HDD, SSD, 메모리 카드 등의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190)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또는 주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90)는 이미지 센서, 트래킹 센서, 각도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방향 센서, 모션 인식 센서, 근접 센서, 전압계, 전류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조도 센서, 열 감지 센서, 터치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는 상술한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일부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가전 기기(100)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는 입력 인터페이스(210), 통신 인터페이스(220), 출력 인터페이스(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예외적인 알림 대상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전화번호 데이터에 저장된 특정 상대방 또는 특정 그룹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또는,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연락처 정보, 안전 문자, 긴급 전화 등을 예외적인 알림 대상으로 선택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는 예외적인 알림 대상으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에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를 포함시켜 가전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한 가전 기기(100)는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일 때도 소음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키보드, 버튼, 키 패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10)는 입력 장치, 입력부, 입력 모듈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Wi-Fi,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및 LTE(Long Term Evoloution)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서버, 클라우드, 상대방의 단말 장치, 가전 기기(1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서버, 클라우드, 상대방의 단말 장치 등으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정보는 전화 착신, 문자 메시지 수신, SNS 또는 채팅 앱 등의 메시지 수신, 이메일 등의 데이터 수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가 외부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면,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수신된 알림 정보를 가전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통신 인터페이스(220)는 통신 장치, 통신부, 통신 모듈, 송수신부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30)는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230)가 스피커로 구현된 경우, 출력 인터페이스(230)는 사운드 신호 처리가 수행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30)가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경우, 출력 인터페이스(230)는 시각적 방식으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단말 장치(20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단말 장치(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예외적인 알림 대상의 선택 명령을 입력받도록 입력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하고, 외부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하며, 정보를 출력하도록 출력 인터페이스(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단말 장치(200)는 카메라, 마이크, 메모리, 센서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의 메모리는 상대방의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예외적인 알림 대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지금까지 가전 기기(100) 및 단말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가전 기기(100)가 모터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a 및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구동 제어를 통한 소음 감소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소음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가 구동될 때 a5 dB의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가전 기기(100)는 0에서 t5 시간까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켜 가전 기기(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0 dB로 감소시킬 수 있다. 가전 기기(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0 dB로 감소시킨다는 것은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가전 기기(100)는 0에서 t4 시간까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켜 가전 기기(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a1 dB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는 모터의 구동 속도에 대응되는 소음의 크기에 관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0)는 저장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소음의 크기가 일정한 크기로 감소되도록 대응되는 모터의 구동 속도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가전 기기(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100 dB라면, 가전 기기(100)는 최초 소음 제어를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2초 후 80 dB, 4초 후 60 dB, 6초 후 40 dB, 8초 후 20 dB, 10초 후 0 dB로 소음이 감소되도록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로그 스케일의 시간 간격으로 모터의 구동 속도를 줄여 소음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0)가 구동될 때 a6 dB의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가전 기기(100)는 0에서 t6 시간까지 로그 스케일의 시간 간격으로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켜 가전 기기(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0 dB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가전 기기(100)는 0에서 t5 시간까지 로그 스케일의 시간 간격으로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켜 가전 기기(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a1 dB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가전 기기(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96 dB라면, 가전 기기(100)는 최초 소음 제어를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4.8초 후 48 dB, 7.2초 후 24 dB, 8.4초 후 12 dB, 9초 후 6 dB, 9.3초 후 3 dB, 9.45초 후 0 dB로 소음이 감소되도록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가전 기기(100)는 소음이 로그 스케일의 크기로 감소되도록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모터의 구동을 감속 제어할 수 있고, 소음이 일정한 크기로 감소되도록 로그 스케일의 시간 간격으로 모터의 구동을 감속 제어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가전 기기(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가전 기기(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전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소음 제어 모드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610). 그리고, 가전 기기는 연동된 단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20). 예를 들어, 알림 정보는 전화 착신, 문자 메시지 수신, SNS 또는 채팅 앱 등의 메시지 수신, 이메일 등의 데이터 수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설정된 소음 제어 모드에 기초하여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S630). 소음 제어 모드가 활성화 상태이면, 가전 기기는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는 소음을 점진적으로 줄이기 위해 시간에 따라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가전 기기는 소음의 크기를 로그 스케일로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점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는, 가전 기기는 선형적 또는 로그 스케일의 시간 간격으로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모터의 구동 속도에 대응되는 소음의 크기에 관한 테이블을 저장하고, 저장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속 제어할 수 있다.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면, 가전 기기는 알림 정보를 무시하고 모터의 구동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가 단말 장치로 수신하는 알림 정보에는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단말 장치에서 설정한 특정 상대방이나 특정 그룹 등으로부터 수신한 알림 정보, 안전 문자, 긴급 전화 등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가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면, 가전 기기는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더라도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가전 기기는 수신된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는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인 방식으로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킨 이후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모터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조건은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 알림 정보의 출력 완료, 수신된 알림 정보와 관련된 작업 종료 정보의 수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 제어 모드가 활성화 상태의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전 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소음 제어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710). 단말 장치(2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720).
단말 장치(200)는 수신된 알림 정보를 가전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730). 단말 장치(200)는 수신된 알림 정보를 가전 기기(100)로 전송하는 동작과 별도로 스스로 알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단말 장치(200)가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하면, 단말 장치(200)는 가전 기기로 수신 전화에 대한 알림 정보를 가전 기기(100)로 전송하고 수신 전화에 대한 알림벨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S740). 예를 들어, 가전 기기는 일정한 시간 간격 또는 로그 스케일의 시간 간격으로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가전 기기는 기 설정된 크기의 소음이 발생하도록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기 설정된 크기는 일정한 크기 또는 로그 스케일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모터의 구동 속도와 발생 소음의 관계 테이블을 저장하고, 저장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전 기기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750). 예를 들어, 알림 정보는 알림 정보의 종류, 상대방 정보, 알림 정보의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알림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미지, 텍스트로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가전 기기는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킨 이후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모터의 구동 속도를 최초 구동 속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조건은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 알림 정보의 출력 완료, 수신된 알림 정보와 관련된 작업 종료 정보의 수신 등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의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전 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소음 제어 모드를 비활성화시키는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810). 단말 장치(2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고(S820), 수신된 알림 정보를 가전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830).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말 장치(200)에서 예외적인 알림 정보(예, 선순위 알림 정보, 중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외적인 알림 정보는 단말 장치(200)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터에서 특정 상대방 또는 특정 그룹, 안전 문자, 긴급 전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예외적인 알림 정보에 포함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를 포함시켜 가전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수신된 알림 정보에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40). 가전 기기는 알림 정보에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가 포함되지 않으면, 알림 정보를 무시하고 모터의 구동을 유지할 수 있다(S850). 가전 기기는 알림 정보에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가 포함되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모터의 구동을 감속 제어할 수 있다(S860).
가전 기기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870). 가전 기기가 알림 정보를 출력한 이후 과정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S/W 프로그램 자체 또는 S/W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가전 기기 200: 단말 장치
110, 210: 입력 인터페이스 120, 220: 통신 인터페이스
130: 모터 140, 240: 프로세서
230: 출력 인터페이스

Claims (20)

  1. 가전 기기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소음 제어 모드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가전 기기와 연동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 전화 및 수신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알림 정보를 무시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유지하는, 가전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알림 정보가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면, 상기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더라도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가전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는,
    상기 단말 장치에서 예외 정보로 설정된 상대방의 정보에 대응하는 상대방 또는 예외 정보로 설정된 그룹에 포함된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알림을 나타내는, 가전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킨 이후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가전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 상기 알림 정보의 출력 완료 및 상기 수신된 알림 정보와 관련된 작업 종료 정보의 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음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시간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점진적으로 제어하는, 가전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음의 크기를 로그 스케일로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점진적으로 제어하는, 가전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선형적 또는 로그 스케일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가전 기기.
  9. 제2항에 있어서,
    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알림 정보가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면, 상기 수신된 알림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가전 기기.
  10.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소음 제어 모드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가전 기기와 연동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 전화 및 수신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알림 정보를 무시하고 모터의 구동 속도를 유지하는 모터 속도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속도 제어 단계는,
    상기 알림 정보가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면, 상기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더라도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는,
    상기 단말 장치에서 예외 정보로 설정된 상대방의 정보에 대응하는 상대방 또는 예외 정보로 설정된 그룹에 포함된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알림을 나타내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킨 이후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 상기 알림 정보의 출력 완료 및 상기 수신된 알림 정보와 관련된 작업 종료 정보의 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속도 제어 단계는,
    상기 소음을 점진적으로 줄이기 위해 시간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속도 제어 단계는,
    상기 소음의 크기를 로그 스케일로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점진적으로 제어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속도 제어 단계는,
    선형적 또는 로그 스케일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19.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와 연동되는 가전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 전화 및 수신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알림 정보를 상기 가전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가전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소음 제어 모드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알림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알림 정보를 무시하고 모터의 구동 속도를 유지하는, 가전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대방의 정보 및 상기 상대방의 정보를 포함하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상기 상대방의 정보 및 상기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예외 정보로 설정하며, 상기 예외 정보에 대응하는 상대방으로부터 알림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알림에 관한 알림 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를 포함시켜 상기 가전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알림 정보가 기 설정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면, 상기 소음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더라도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가전 시스템.
KR1020220086685A 2022-07-14 2022-07-14 가전 기기, 가전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40009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685A KR20240009609A (ko) 2022-07-14 2022-07-14 가전 기기, 가전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CT/KR2023/008614 WO2024014733A1 (ko) 2022-07-14 2023-06-21 가전 기기, 가전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18/453,699 US20240019829A1 (en) 2022-07-14 2023-08-22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685A KR20240009609A (ko) 2022-07-14 2022-07-14 가전 기기, 가전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609A true KR20240009609A (ko) 2024-01-23

Family

ID=8953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685A KR20240009609A (ko) 2022-07-14 2022-07-14 가전 기기, 가전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9609A (ko)
WO (1) WO20240147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934B1 (ko) * 2005-10-31 2007-05-31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청력 보호를 위한 오디오 재생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재생장치
KR101439149B1 (ko) * 2013-02-27 2014-09-12 주식회사 뉴티씨 (Newtc) 외부 전자 기기 제어 장치
KR101859994B1 (ko) * 2014-03-04 2018-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기간 무설정 연동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산형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2054993B1 (ko) * 2016-10-25 2019-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951328B1 (ko) * 2017-03-30 2019-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홈 어플라이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4733A1 (ko)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440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notifications and textual data associated with applications
US10705487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mode switching
JP6618489B2 (ja) 位置ベースのオーディオ・メッセージング
US10506073B1 (en) Determination of presence data by devices
US20200099960A1 (en) Video Stream Based Live Stream Interaction Method And Corresponding Device
US9477217B2 (en) Using visual cues to improve appliance audio recognition
US97545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control user interface with discreet operating mode
EP3581854A1 (e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command thereof
BR102016004328A2 (pt) método e aparelho para interface de usuário de controle de voz com modo de operação discreto
EP3407177A1 (en) Method for capturing fingerprint and associated products
USRE49497E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synchronizing notifications across multiple devices
US10623351B2 (en) Mess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5094501B (zh) 一种移动终端中消息的显示方法、装置和系统
EP3249857A1 (en) Chat history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20190050195A1 (en) Output provision based on gaze detection
US10718398B2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n action
US20160365021A1 (en) Mobile device with low-emission mode
KR20240009609A (ko) 가전 기기, 가전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07622234B (zh) 一种显示萌脸礼物的方法和装置
US112323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US20240019829A1 (en)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50432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media data on a terminal
TW201740244A (zh) 可自動休眠的電子裝置及其休眠方法
US20150241958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810599A (zh) 一种利用ai动作识别对指定区域对焦的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