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235A -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235A
KR20240009235A KR1020220086456A KR20220086456A KR20240009235A KR 20240009235 A KR20240009235 A KR 20240009235A KR 1020220086456 A KR1020220086456 A KR 1020220086456A KR 20220086456 A KR20220086456 A KR 20220086456A KR 20240009235 A KR20240009235 A KR 20240009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ule
holder
electric vehicle
electric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재연
Original Assignee
모트렉스이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트렉스이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트렉스이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235A/en
Publication of KR20240009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235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거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거치 공간 상에 제1 터미널 모듈을 포함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 공간에 거치되며 상기 제1 터미널 모듈에 전기적 결합되는 제2터미널 모듈을 포함하고 충전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전기차에 충전을 위한 전기를 제공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1 터미널 모듈 및 상기 제2 터미널모듈 간의 콘센트 플러그 결합방식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mprising: a stand forming a holding space therein and including a first terminal module on the holding space; and a main body that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and includes a second terminal modul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module and provides electricity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connected through a charging cable,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charging unit inclu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erminal module and the second terminal module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n outlet plug coupling method.

Description

전기차 충전기{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Electric vehicle charger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기 설치를 간소화하여 설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ectric vehicle charger with a new structure that simplifies charger installation and reduces installation time and cost.

전기차 충전기는 급속 충전기와 완속 충전기로 분류된다. 급속 충전기는 충전기에서 배터리로 직접 직류(DC) 전력을 공급해 충전하는 방식이다. 완속 충전기는 충전기가 교류(AC) 전력을 공급하고 전기차의 OBC(On Board Charger)가 이 전력을 직류로 변환해 배터리에 충전하는 방식으로, 보통 7㎾급 성능이며 규격은 AC 단상 5핀을 사용한다.Electric vehicle chargers are classified into fast chargers and slow chargers. A fast charger is a method of charging by supplying direct current (DC) power directly from the charger to the battery. A slow charger is a method in which the charger supplies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and the electric vehicle's OBC (On Board Charger) converts this power to direct current and charges the battery. It usually has a performance of 7kW and uses AC single-phase 5-pin. do.

또한, 전기차 충전기는 실내 또는 야외의 지정된 장소에 전기차의 충전을 위하여 입식형, 천정형, 거치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다. 입식형과 천정형은 주로 야외에 많이 설치되고 있는 반면, 거치형은 주로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건물 내에 설치되는 거치형의 경우, 건물 내부의 벽면에 다양한 고정 구조로 설치되고 있다.In addition, electric vehicle chargers are made in various forms such as standing type, ceiling type, and stationary type to charge electric vehicles in designated places indoors or outdoors. Standing and ceiling types are mainly installed outdoors, while stationary types are mainly installed inside buildings. In the case of stationary types installed inside buildings, they are installed in various fixed structures on the walls inside the building.

최근 전기차 홈 충전기로 가정에 완속 충전기의 설치가 늘고 있다. 충전기를 설치하려면 한전에 전기사용 신청을 하여 승인 후 충전기를 설치할 수 있다. 즉, 기존 가정집의 전기 용량의 부하로 인한 화재 위험 및 누진세 등으로 안전점검 후 한전에서 집까지 전기차용 계량기 및 누전차단기 등을 설치하는 전기공사를 해야 하고, 이후 전기설비업자를 통해 충전기를 설치해야 한다. 이때, 충전기의 설치 시간에 따라 설치비와 출장비가 선정된다.Recently, the installation of slow chargers at home has been increasing as a home charger for electric vehicles. To install a charger, you can apply for electricity use at KEPCO and install the charger after approval. In other words, due to the risk of fire due to the load on the existing home's electrical capacity and progressive taxe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electrical work to install electric vehicle meters and circuit breakers from KEPCO to the house after a safety inspection, and then install a charger through an electric installation company. do. 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fee and travel fe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time of the charger.

기존의 전기차 충전기 설치 방식은 건물 내에 설치되는 거치형의 경우, 건물 내부의 벽면에 다양한 고정 구조로 설치되고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을 벽에 타공 및 시공한 후 브라켓에 충전기 본체를 고정 체결한다.The existing electric vehicle charger installation method is a stationary type installed inside a building, and is installed in various fixed structures on the walls inside the building. For example, after drilling and installing the bracket into the wall, the charger body is fixed to the bracket.

그런데, 기존의 전기차 충전기는 충전기 본체 커버를 열어 배선을 직접 연결해야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작업성이 떨어지고 설치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충전기 고장시 복잡한 전기적 배선으로 일반인의 점검이 어렵고 전문 전기설비업자에 의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e existing electric vehicle charger has a structure that requires opening the charger main cover and directly connecting the wiring,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lower workability and longer installation time. In addition, when the charger breaks down, i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inspect due to complicated electrical wiring, and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ly on a professional electrical installation contractor.

따라서, 충전기 설치를 간소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충전기 설치 방식이 요구되었다.Therefore, a new structure of charger installation method was required to simplify charger installation, improve workability and reduce installation time.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61640호 (2018. 06. 0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61640 (2018. 06. 08)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충전기 설치를 간소화하여 설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er with a new structure that can reduce installation time and cost by simplifying charger install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거치대의 내부에 전선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터미널(terminal) 블록을 모듈화하여 단상 또는 3상의 외부 상용 전원에 따라 터미널 블록을 교체 조립할 수 있는 범용의 전기차 충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general-purpose electric vehicle charger that can be replaced and assembled according to a single-phase or three-phase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by modularizing a terminal block including wire connection terminals inside the hol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거치대에 양방향으로 외부 전선이 인입될 수 있는 전기 인입구를 마련하여 설치 공간에 따른 설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er that can secure installation freedom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by providing an electric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wires can be introduced in both directions to the holder.

실시예들 중에서, 전기차 충전기는 내부에 거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거치 공간 상에 제1 터미널 모듈을 포함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 공간에 거치되며 상기 제1 터미널 모듈에 전기적 결합되는 제2터미널 모듈을 포함하고 충전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전기차에 충전을 위한 전기를 제공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1 터미널 모듈 및 상기 제2 터미널모듈 간의 콘센트 플러그 결합방식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mong embodiments, an electric vehicle charger includes: a stand forming a holding space therein and including a first terminal module on the holding space; and a main body that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and includes a second terminal modul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module and provides electricity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connected through a charging cable,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charging unit inclu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erminal module and the second terminal module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n outlet plug coupling method.

상기 제1 터미널 모듈은 외부 전원에 따라 단상 3핀(L, N, PE) 또는 3상 5핀(L1, L2, L3, N, PE)의 전선 연결 단자 및 상기 제2 터미널 모듈의 플러그핀이 삽입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모듈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거치대의 내부에 교체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terminal module has a single-phase 3-pin (L, N, PE) or three-phase 5-pin (L1, L2, L3, N, PE) wire connection terminal and a plug pin of the second terminal module depending on the external power source. It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to be inserted, is manufactured in a module form, and is replaceably assembled inside the holder.

상기 거치대는 양측으로 각각 전기 인입구가 마련되고 일측의 상기 전기 인입구를 통해 외부 전선을 상기 전선 연결 단자에 연결 접속하여 전기 인입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der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inlet on both sides, and an external electric wir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 connection terminal through the electric inlet on one side to determine the electric inlet direction.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제1 터미널 모듈 및 상기 전기 인입구 사이에 전선 고정구가 마련되고 상기 전기 인입구를 관통하여 인입되는 상기 외부 전선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der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lectric wire fixtur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module and the electric inlet and fixes the external electric wire introduced through the electric inlet.

상기 제2 터미널 모듈은 외부 전원에 따라 단상 3핀(L, N, PE) 또는 3상 5핀(L1, L2, L3, N, PE)의 플러그핀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핀의 일측이 PCB 상에 실장되고 타측이 상기 제1 터미널 모듈에 접속되고, 모듈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의 PCB 상에 교체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terminal module includes single-phase 3-pin (L, N, PE) or 3-phase 5-pin (L1, L2, L3, N, PE) plug pins depending on the external power supply, and one side of the plug pin is on the PCB. It is mounted on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module, and is manufactured in a module form and replaceably assembled on the PCB of the main body.

실시예들 중에서, 전기차 충전기는 상기 거치대의 내측에 후크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 고정후크가 마련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상태에서 상기 후크부재 및 상기 고정후크가 서로 맞물려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ok member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holder and a fixing hook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so that the hook member and the fixing hook are engaged and fastened with each other when the main body is placed on the holder. .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는 충전기 설치를 간소화하여 설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installation time and cost by simplifying charger install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는 거치대의 내부에 전선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터미널 블록을 모듈화하여 단상 또는 3상의 외부 상용 전원에 따라 터미널 블록을 교체 조립함으로써 단상 또는 3상 AC 110V/220V 전원에 대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dularizes terminal blocks including wire connection terminals inside the holder, and replaces and assembles terminal blocks according to single-phase or three-phase external commercial power to provide single-phase or three-phase AC 110V/220V power. Can be used universal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는 거치대에 양방향으로 외부 전선이 인입될 수 있는 전기 인입구를 마련하여 설치 공간에 따른 설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inlet in the holder through which external electric wires can be introduced in both directions, thereby ensuring freedom of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제1 터미널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는 전원 PCB에 실장된 제2 터미널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의 거치대와 본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의 거치대와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를 나타내는 실물 사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nd in Figure 1.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terminal module in FIG.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body in Figure 1.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terminal module mounted on the power PCB in FIG. 4.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and main body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and main body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ure 8 is a physical photograph showing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text. In other word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s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Meanwhil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neighboring"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implemen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them. It is intended to specify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For each step, identification codes (e.g., a, b, c,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s do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specified, events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opposit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있는 제1 터미널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있는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있는 전원 PCB에 실장된 제2 터미널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er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the first terminal module in FIG. 2, and FIG. 4 is a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body in FIG. 1,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terminal module mounted on the power PCB in FIG. 4.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기(100)는 크게 거치대(110)와 본체(13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5,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argely composed of a holder 110 and a main body 130.

거치대(110)는 충전기(100)의 설치 장소 내 벽이나 지주 등에 장착되며 충전기 본체(130)를 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치대(110)는 브라켓이나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설치면에 고정되게 장착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거치대(110)는 사각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older 110 is mounted on a wall or support pole withi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charger 100 and can hold the charger main body 130. In one embodiment, the holder 110 can be fixedly moun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using fixing means such as brackets or bolts. Here, the holder 110 may have a square bar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urface.

거치대(110)는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본체(130)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 공간(S)을 형성하며 거치 공간(S) 상에 거치된 본체(130)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제1 터미널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10)는 양측으로 각각 관통공 형태의 전기 인입구(230) 및 전선 고정구(250)가 마련되고 다른 양측으로 각각 본체(130)가 걸림 장착되도록 후크부재(270)가 마련될 수 있다. 거치대(110)는 양측에 마련되는 전기 인입구(230) 중 일측의 전기 인입구를 통해 외부 전선(150)이 인입되고 제1 터미널 모듈(21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거치대(110)의 내부로 인입된 외부 전선(150)은 전선 고정구(250)에 의해 고정되고 제1 터미널 모듈(210)에 안정적으로 결선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전선(150)은 배전반(미도시)과 차량용 충전기(100)의 거치대(110) 사이에 연결되어 외부 상용 전원을 거치대(110)에 거치된 본체(130) 측에 공급할 수 있다.The holder 110 is open on one side and forms a holder space (S) in which the main body 130 can be mounted, and is a first terminal module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main body 130 mounted on the holder space (S). It may include (210). In addition, the holder 110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inlet 230 and a wire fixture 250 in the form of through holes on both sides, and a hook member 270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main body 130 can be hooked and mounted. . The holder 110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module 210 through which an external wire 150 is introduced through one of the electric inlets 230 provided on both sides. At this time, the external wire 150 introduced into the holder 110 is fixed by the wire fixture 250 and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module 210. Here, the external wire 150 is connected between the distribution board (not shown) and the holder 110 of the vehicle charger 100 to supply external commercial power to the main body 130 mounted on the holder 110.

제1 터미널 모듈(21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전선(150)이 연결되는 전선 연결 단자(310) 및 거치대(110)에 거치된 본체(130) 측과 전기적 결합되는 접속 단자(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선 연결 단자(310) 및 접속 단자(330) 사이는 연결 도체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에서, 제1 터미널 모듈(210)은 단상 또는 3상 외부 전원에 따라 3핀(L, N, PE) 또는 5핀(L1, L2, L3, N, PE)으로 단자들이 구성될 수 있다. 제1 터미널 모듈(210)은 모듈 형태로 제작되어 거치대(110)의 내부에 교체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이에 외부 전원에 따라 해당 핀수의 단자로 구성된 모듈로 교체 조립이 용이할 수 있고, 외부 전선(150)의 전원선들에 대해 배선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terminal module 210 has a wire connection terminal 310 to which the external wire 150 is connected and a connection terminal 330 that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130 mounted on the holder 110. ) may include, and the wire connection terminal 31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30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conductor. Here, the first terminal module 210 may be configured with terminals of 3 pins (L, N, PE) or 5 pins (L1, L2, L3, N, PE) depending on the single-phase or 3-phase external power source. The first terminal module 210 is manufactured in a module form and can be replaceably assembled inside the holder 110. Therefore, it can be easily replaced and assembled with a module composed of terminals with the corresponding number of pins depending on the external power source. Wiring work on the power lines of the electric wire 150 may be easy.

본체(130)는 거치대(110)의 거치 공간(S)에 거치되며 거치대(110)의 제1 터미널 모듈(210)에 전기적 결합되는 제2 터미널 모듈(410)을 포함하고 충전 케이블(170)을 통해 연결되는 전기차에 충전을 위한 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터미널 모듈(410)은 제1 터미널 모듈(210)의 접속단자(330)에 접속되는 플러그핀을 포함하며, 제1 터미널 모듈(210)과 마찬가지로 단상 또는 3상의 외부 전원에 따라 3핀(L, N, PE) 또는 5핀(L1, L2, L3, N, PE)으로 플러그핀이 구성될 수 있다. 제2 터미널 모듈(410)은 플러그핀의 일측이 전원 PCB(430) 상에 실장되고 타측이 제1 터미널 모듈(210)의 접속단자(330)에 접속된다. 여기에서, 제2 터미널 모듈(410)은 모듈 형태로 제작되어 본체(130)의 내부에 교체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체(130)는 제2 터미널 모듈(410)이 거치대(110)의 제1 터미널 모듈(210)에 분리 가능하게 상호 전기적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터미널 모듈(210)은 접속 단자(330)가 콘센트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제2 터미널 모듈(410)은 플러그 형태로 구현되어 콘센트 플러그 결합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30 is mounted in the holding space S of the holder 110 and includes a second terminal module 410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module 210 of the holder 110 and a charging cable 170. It can provide electricity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connected through the system. The second terminal module 410 includes a plug pi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330 of the first terminal module 210, and, like the first terminal module 210, has 3 pins (3 pins depending on the single-phase or three-phase external power source). The plug pin can be configured as 5 pins (L, N, PE) or 5 pins (L1, L2, L3, N, PE). One side of the plug pin of the second terminal module 410 is mounted on the power PCB 43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330 of the first terminal module 210. Here, the second terminal module 410 is manufactured in a module form and can be replaceably assembled inside the main body 130. In the main body 130, the second terminal module 410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module 210 of the holder 110 in a separable manner. That is, the connection terminal 330 of the first terminal module 21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outlet, and the second terminal module 41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lug and b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an outlet plug coupling method.

또한, 본체(130)의 내부에는 일정길이로 돌출 연장된 고정후크(450)가 형성되어 거치대(110)에 형성되는 후크부재(270)와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본체(130)는 거치대(110)와의 전기적 결합을 통해 외부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차 충전 케이블(170)로 공급하여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ixing hook 450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30 and protrudes and extends to a certain length, and can be engaged and coupled with the hook member 270 formed on the holder 110. The main body 130 can charge the electric vehicle by receiving external commercial power through electrical coupling with the holder 110 and supplying it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17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의 거치대와 본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의 거치대와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and the main body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and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and the main body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100)는 거치대(110)의 내부에 거치 공간(S)이 형성되어 본체(130)가 거치대(110)에 거치될 수 있다. 거치대(110)는 양측으로 각각 전기 인입구(230)가 형성되고 양방향 중 설치 편의에 따라 일방향을 선택하여 전기인입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양방향 전기 인입구(230) 중 선택된 일방향에 있는 전기 인입구로 배전반(미도시)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150)을 관통시켜 거치대(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1 터미널 모듈(210)에 결선할 수 있다. 본체(130)는 거치대(110)의 제1 터미널 모듈(210)에 대응되게 제2 터미널 모듈(410)이 마련되고, 이때 제2 터미널 모듈(410)의 플러그핀이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제1 터미널 모듈(210)의 접속단자(330)에 삽입되는 형태로 핀접속될 수 있다. 본체(130)는 거치대(110)의 후크부재(270)에 대응되게 고정후크(450)가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거치대(110)에 거치될 때 후크부재(270)에 걸림 체결될 수 있다. 본체(130)는 일측에 충전케이블(170)이 연결될 수 있다. 거치대(110)와 본체(130)는 도 7과 같이 결합될 수 있고 또한 도 6과 같이 분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unting space S formed inside the holder 110 so that the main body 130 can be mounted on the holder 110. The holder 110 has electrical inlets 230 on both sides, and electrical inlet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by selecting one direction among the two directions according to installation convenience. The electric wire 150 drawn from the distribution board (not shown) can be passed through the electric inlet in one direction selected among the two-way electric inlets 230 and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module 210 provided inside the holder 110. . The main body 130 is provided with a second terminal module 410 to correspond to the first terminal module 210 of the holder 110, and at this time, the plug pin of the second terminal module 41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1 It can be pin-connec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terminal 330 of the terminal module 210. The main body 130 has a fixing hook 450 protruding outward corresponding to the hook member 270 of the holder 110, so that the main body 130 can be fastened to the hook member 270 when mounted on the holder 110. The main body 130 may be connected to a charging cable 170 on one side. The holder 110 and the main body 130 can be combined as shown in FIG. 7 or separated as shown in FIG. 6.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를 나타내는 실물 사진이다.Figure 8 is a physical photograph showing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기(800)는 거치대(810) 및 본체(830)로 구성된다. 거치대(810) 및 본체(83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소재가 특정되지는 않는다. 거치대(810)는 내부에 본체(830)가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대(810)는 본체(830)의 거치 공간 상에 제1 터미널 모듈(811)이 나사 조립되고, 제1 터미널 모듈(811)의 양측으로 전선 고정구(813)가 조립된다. 거치대(810)는 전선 고정구(813)가 조립되는 양쪽 측면에 전기 인입구(815)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8,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800 consists of a holder 810 and a main body 830. The holder 810 and the main body 830 may be injection molded from a plastic material, but the material is not specified. The holder 810 may be in the form of a box with a space inside where the main body 830 can be mounted. In the holder 810, a first terminal module 811 is screw-assembled on the mounting space of the main body 830, and wire fixtures 813 are assemb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terminal module 811. The holder 810 has electrical inlets 815 formed on both sides where the wire fixture 813 is assembled.

제1 터미널 모듈(811)은 전선 연결 단자(811a) 및 접속 단자(811b)를 포함하고 모듈 형태로 제작된다. 전선 연결 단자(811a)는 적어도 하나의 L(부하선), N(중성선), PE(접지) 단자를 포함하여 전기 인입구(815)를 통해 인입된 외부 전선과 결선될 수 있다. 전선 연결 단자(811a)의 단자 개수는 단상 또는 3상의 외부 상용 전원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선 연결 단자(811a)는 외부 전원이 단상인 경우로 3개의 단자로 구성된다. 접속 단자(811b)는 본체(830)의 제2 터미널 모듈(831)의 플러그핀과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선 연결 단자(811b)의 결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를 본체(8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터미널 모듈(811,831)은 모듈 형태로 제작되어 각 국가별 상용 전원의 규격에 맞는 단자수를 구비한 모듈로 간편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module 811 includes a wire connection terminal 811a and a connection terminal 811b and is manufactured in a module form. The wire connection terminal 811a includes at least one L (load wire), N (neutral), and PE (ground) terminal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wire introduced through the electric inlet 815. The number of terminals of the wire connection terminal 811a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ingle-phase or three-phase external commercial power supply. Here, the wire connection terminal 811a consists of three terminals when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single-phase. The connection terminal 811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pin of the second terminal module 831 of the main body 830, so that electricity supplied through the wiring of the wire connection terminal 811b can be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830. .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modules 811 and 831 are manufactured in a module form and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placed as modules with the number of terminals that meet the standards of commercial power for each country.

전기 인입구(815)는 거치대(810)의 양측으로 각각 마련되어 양방향 중 편의에 따라 일방향을 선택하여 전기인입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양방향 전기 인입구(815) 중 선택된 일방향에 있는 전기 인입구로 배전반(미도시)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을 관통시켜 제1 터미널 모듈(811)의 전선 연결 단자(811a)에 결선할 수 있다.Electrical inlets 815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tand 810, so that electrical inlet work can be performed by selecting one direction out of the two directions according to convenience. The electric wire drawn from the distribution board (not shown) can be passed through the electric inlet in one direction selected among the two-way electric inlets 815 and connected to the wire connection terminal 811a of the first terminal module 811.

또한, 본체(830)의 내부에는 일정길이로 돌출 연장된 고정후크(833)가 형성되어 거치대(810)에 형성되는 후크부재(817)와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본체(830)는 거치대(810)와의 전기적 결합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차 충전케이블로 공급하여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hook 833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830 and protrudes and extends to a certain length, and can be engaged and coupled with the hook member 817 formed on the holder 810. The main body 830 can charge the electric vehicle by receiving external power through electrical coupling with the holder 810 and supplying it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ure 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100)는 벽면에 부착된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차 충전기(100)는 벽면에 브래킷을 부착한 상태에서 거치대(910)를 관통하는 복수의 고정 나사들에 의해 브래킷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나사는 각각 브래킷에 형성된 나사 수용 돌기를 통해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기차 충전기(100)는 벽면에 거치대(910)를 관통하는 복수의 고정 나사들에 의해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기차 충전기(100)는 벽면에 고정하는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벽면에 형성된 매립 박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fixed by a bracket attached to the wall or directly mounted. In one embodiment,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00 may be fixed to the bracket by a plurality of fixing screws penetrating the holder 910 while the bracket is attached to the wall. At this time, the fixing screws may be screwed together through screw receiving protrusions formed on each bracket. In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00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wall by a plurality of fixing screws penetrating the holder 910. Here,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00 is installed as an example of being fixed to a wall,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also be installed in a form accommodated inside a buried box formed on the wall.

벽면에 거치대(910)를 고정한 후 본체(930)를 거치대(910)에 거치한 상태에서 거치대(910)의 내부 제1 터미널 모듈 및 본체(930)의 PCB 상에 실장된 제2 터미널 모듈 간의 콘센트 플러그 방식의 전기적 결합을 수행한다. 이때, 본체(930)와 거치대(910) 간에는 본체(93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후크와 거치대(910)에 형성된 후크부재 간의 맞물림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After fixing the stand 910 to the wall, the main body 930 is mounted on the stand 910, and the outlet between the first terminal module inside the stand 910 and the second terminal module mounted on the PCB of the main body 930 Performs plug-type electrical connection. At this time, the main body 930 and the holder 910 may be coupled through engagement between at least one fixing hook formed on the main body 930 and a hook member formed on the holder 910.

본체(930)는 거치대(910)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사용 전원에 따라 단상 3핀 또는 3상 5핀 형태로 터미널 모듈을 교체할 수 있다.The main body 930 is detachable from the holder 910, and the terminal module can be replaced in the form of a single-phase 3-pin or three-phase 5-pin type depending on the power used.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는 본체와 거치대 간의 콘센트 방식의 전기적 결합을 통해 설치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거치대의 내부 터미널을 단상 3핀 또는 3상 5핀으로 모듈화하여 사용 전원에 따라 터미널 모듈을 간단하게 교체 조립하여 상용전원이 각기 다른 국각들에 대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거치대에 양방향 전기 인입이 가능하여 공간적 제약에 따른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installation through outlet-type electrical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holder, and the internal terminal of the holder is modularized into single-phase 3-pin or 3-phase 5-pin, so that the terminal module can be easily installed depending on the power used. It can be assembled interchangeably and used universally for cabinets with different commercial power sources, and two-way electricity can be supplied to the stand, providing ease of installation in accordance with space constraint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 전기차 충전기
110: 거치대 130: 본체
150: 외부 전선 170: 충전 케이블
210: 제1 터미널 모듈 230: 전기 인입구
250: 전선 고정구 270: 후크부재
310: 전선 연결 단자 330: 접속 단자
410: 제2 터미널 모듈 430: PCB
450: 고정 후크
S: 거치 공간
100: Electric vehicle charger
110: Holder 130: Main body
150: external wire 170: charging cable
210: first terminal module 230: electrical inlet
250: wire fixture 270: hook member
310: wire connection terminal 330: connection terminal
410: second terminal module 430: PCB
450: Fixed hook
S: Holding space

Claims (6)

내부에 거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거치 공간 상에 제1 터미널 모듈을 포함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 공간에 거치되며 상기 제1 터미널 모듈에 전기적 결합되는 제2터미널 모듈을 포함하고 충전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전기차에 충전을 위한 전기를 제공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1 터미널 모듈 및 상기 제2 터미널모듈 간의 콘센트 플러그 결합방식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A stand forming a holding space therein and including a first terminal module on the holding space; and
It includes a main body that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and includes a second terminal modul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module and provides electricity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connected through a charging cable,
An electric vehicle charger, wherein the holder and the charging unit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n outlet plug coupling method between the first terminal module and the second terminal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널 모듈은
외부 전원에 따라 단상 3핀(L, N, PE) 또는 3상 5핀(L1, L2, L3, N, PE)의 전선 연결 단자 및 상기 제2 터미널 모듈의 플러그핀이 삽입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모듈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거치대의 내부에 교체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terminal module
Depending on the external power source, it includes a single-phase 3-pin (L, N, PE) or three-phase 5-pin (L1, L2, L3, N, PE) wire connection terminal and a connection terminal into which the plug pin of the second terminal module is inserted.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in a module form and replaceably assembled inside the hold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양측으로 각각 전기 인입구가 마련되고 일측의 상기 전기 인입구를 통해 외부 전선을 상기 전선 연결 단자에 연결 접속하여 전기 인입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older is
An electric vehicle charger, wherein an electric inlet is provided on both sides and an external wire is connected to the wire connection terminal through the electric inlet on one side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electric inl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제1 터미널 모듈 및 상기 전기 인입구 사이에 전선 고정구가 마련되고 상기 전기 인입구를 관통하여 인입되는 상기 외부 전선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older is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an electric wire fixtur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module and the electric inlet and fixes the external electric wire introduced through the electric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미널 모듈은
외부 전원에 따라 단상 3핀(L, N, PE) 또는 3상 5핀(L1, L2, L3, N, PE)의 플러그핀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핀의 일측이 PCB 상에 실장되고 타측이 상기 제1 터미널 모듈에 접속되고, 모듈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의 PCB 상에 교체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terminal module
Depending on the external power source, it includes single-phase 3-pin (L, N, PE) or 3-phase 5-pin (L1, L2, L3, N, PE) plug pins, and one side of the plug pin is mounted on the PCB and the other side is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nnected to a first terminal module, manufactured in a module form, and replaceably assembled on the PCB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내측에 후크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에 고정후크가 마련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상태에서 상기 후크부재 및 상기 고정후크가 서로 맞물려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a hook member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holder and a fixing hook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so that the hook member and the fixing hook are engaged and fastened with each other when the main body is placed on the holder.
KR1020220086456A 2022-07-13 2022-07-13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KR202400092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456A KR20240009235A (en) 2022-07-13 2022-07-13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456A KR20240009235A (en) 2022-07-13 2022-07-13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235A true KR20240009235A (en) 2024-01-22

Family

ID=8971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456A KR20240009235A (en) 2022-07-13 2022-07-13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23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640A (en) 2016-11-30 2018-06-08 (주)클린일렉스 Consent typed EV charg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640A (en) 2016-11-30 2018-06-08 (주)클린일렉스 Consent typed EV charg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7592B1 (en) Voltage terminal connector assembly
US20100003848A1 (en) Supply side backfeed meter socket adapter
EP2842795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ith reconfigurable electrical installation options and methods
US9735527B2 (en) Meter socket adaptor
US6443783B1 (en)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CN105071335B (en) Rapid plugging/pulling cable branching box
EP1340986A2 (en) Electricity meter housing
US9214832B2 (en) Parallel electric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meter socket and load center combination
CN103151754B (en) A kind of low-voltage cable junction box line connected mode and device
US20110316341A1 (en) System, socket and plug apparatus for DC power distribution and usage
US7626283B1 (en) Alternative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y and method of its use
JP7012279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US8212406B2 (en) System, socket and plug apparatus for DC power distribution and usage
CN103151741B (en) A kind of low-voltage cable junction box line bus-bar system and mounting means thereof
KR20240009235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EP3214748B1 (en) Combined inverter
US7227282B1 (en) Alternative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y
KR20070120338A (en) A structure of concent
JP2012235595A (en) Wiring system and building
CN202307725U (en) Novel breaker and breaker assembly thereof
KR20140030670A (en) Solar cell panel with the integrated inverter
US20110249420A1 (en) Window mounted electrical outlet system
US11070040B1 (en) Quick connect electrical junction box
AU2014101063B4 (en) Power charger
KR20030025781A (en) Connection tool of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