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221A -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 Google Patents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221A
KR20240009221A KR1020220086416A KR20220086416A KR20240009221A KR 20240009221 A KR20240009221 A KR 20240009221A KR 1020220086416 A KR1020220086416 A KR 1020220086416A KR 20220086416 A KR20220086416 A KR 20220086416A KR 20240009221 A KR20240009221 A KR 20240009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tering unit
metering
water usa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595B1 (ko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주) 지오그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오그리드 filed Critical (주) 지오그리드
Priority to KR102022008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595B1/ko
Publication of KR20240009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221A/ko
Priority to KR1020240017488A priority patent/KR20240019210A/ko
Priority to KR1020240017485A priority patent/KR20240019207A/ko
Priority to KR1020240017487A priority patent/KR20240019209A/ko
Priority to KR1020240017486A priority patent/KR20240019208A/ko
Priority to KR1020240017489A priority patent/KR20240019211A/ko
Priority to KR1020240017490A priority patent/KR20240020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합 유지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집합 유지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은, 다수의 세대에 제공되는 수도 사용량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수도 사용량 정보를 획득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갖는 결합 모듈; 및 상기 통신부에서 전송된 상기 수도 사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세대에 제공되는 수도 사용량을 검침하는 검침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다수의 세대 중 제1 세대의 제1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제1 계량 유닛; 상기 제1 계량 유닛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다수의 세대 중 제2 세대의 제2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상기 제1 계량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2 계량 유닛; 및 상기 제2 계량 유닛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다수의 세대 중 제3 세대의 제3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상기 제2 계량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계량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3 계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계량 유닛은, 상기 제1 수도 사용량 정보, 상기 제2 수도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제3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상기 결합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Remote meter reading system for aggregative maintenance}
본 발명은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세대에 제공되는 수도 사용량을 원격으로 검침하고, 각 계량 유닛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전력 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 효율을 향상시킨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실시간으로 전기, 가스, 수도 등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원격 검침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인 원격검침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계량기에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수kbps(kilo bit per second)에서 수십kbps 정도의 저속 인터페이스에서 동시에 여러 대의 계량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실시간 원격검침을 지원한다.
이러한 수도 계량기에서 적산된 수도 사용량을 검침하는 방법은 검침원의 방문 검침을 통해 수도 계량기의 적산 값을 읽고 이를 PDA에 입력 후, 검침원이 PDA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검침원의 방문 검침 방식은 검침원의 인건비 증가, 검침 누락, 오기, 오측, 계량기 조작 등의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어서 최근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탑재하여 원격에서 자동으로 수도 사용량을 검침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인 추세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08540호(2021.10.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해 원격으로 검침할 수 있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각 계량 유닛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전력과 데이터 송수신 효율을 향상시킨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은, 다수의 세대에 제공되는 수도 사용량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수도 사용량 정보를 획득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갖는 결합 모듈; 및 상기 통신부에서 전송된 상기 수도 사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세대에 제공되는 수도 사용량을 검침하는 검침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다수의 세대 중 제1 세대의 제1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제1 계량 유닛; 상기 제1 계량 유닛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다수의 세대 중 제2 세대의 제2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상기 제1 계량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2 계량 유닛; 및 상기 제2 계량 유닛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다수의 세대 중 제3 세대의 제3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상기 제2 계량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계량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3 계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계량 유닛은, 상기 제1 수도 사용량 정보, 상기 제2 수도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제3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상기 결합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해 수도 사용량을 원격으로 검침할 수 있다. 또한, 각 계량 유닛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전력과 데이터 송수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계량 유닛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격 검침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정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제1 계량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계량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계량 유닛에 제1 연결 케이블부가 설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7의 제1 연결 케이블부가 제1 계량 유닛을 가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 및 이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격 검침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정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제1 계량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10)(이하, 원격 검침 시스템이라 지칭한다.)은 다수의 세대에 수도를 공급하는 수도 사용량을 측정 및 검침할 수 있다. 원격 검침 시스템(10)은 측정부(100), 결합 모듈(200), 검침 서버부(300), 및 외부 단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검침 시스템(10)은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00)는 다세의 세대에 제공되는 수도 사용량, 수질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부(100)는 다수의 세대에 제공되는 수도 사용량, 수질 등에 관한 수도 사용량 정보, 수질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측정부(100)는 복수의 계량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계량 유닛들은 다수의 세대로 수도를 공급하는 수도 배관들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계량 유닛들 각각은 지하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측정부(100)는 제1 내지 제5 계량 유닛들(110, 120, 130, 140, 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결합 모듈(200)은 측정부(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결합 모듈(200)은 측정부(100)에서 측정한 정보를 측정부(1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결합 모듈(200)은 측정부(100)에서 측정한 수도 사용량 정보, 수질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결합 모듈(200)은 획득한 수도 사용량 정보, 수질 정보 등을 통신부(250)로 전송할 수 있다. 결합 모듈(200)은 측정부(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210) 및 수도 사용량 정보, 수질 정보 등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결합 모듈(200)과 측정부(10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는 측정부(100)에 포함된 복수의 계량 유닛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는 복수의 연결 케이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연결부는 제1 내지 제5 연결 케이블부(510, 520, 530, 540, 5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케이블부 각각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케이블, 전력을 배전하는 전력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결합 모듈(200)에서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세대에 제공되는 수도 사용량, 수질 등을 검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검침 서버부(300)는 통신부(250)에서 전송된 수도 사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세대에 제공되는 수도 사용량을 원격으로 검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침 서버부(300)는 용이하게 수도 사용량을 검침하여 다수의 세대에 부과할 수도료를 산출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통신부(250)에서 전송된 수질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세대에 제공되는 수질을 원격으로 검침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수질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치 값 정보를 비교하여 수질 정보에 포함된 성분의 기준치가 기준치 값 정보를 초과하는 경우, 수질 이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계량 유닛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수도 사용량 정보를 미수신한 경우, 고장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생성된 수질 이상 신호, 고장 발생 신호 등을 외부 단말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외부 단말부(400)는 검침 서버부(300)로부터 수질 이상 신호, 고장 발생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 단말부(400)는 수신된 수질 이상 신호, 고장 발생 신호 등에 포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이하게 고장 발생한 계량 유닛, 수질 이상이 발생한 수도 배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외부 단말부(4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캠코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DTV(Digital Television),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단말부(400)는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측정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계량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계량 유닛들 각각은 다수의 세대에 공급되는 수도배관 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계량 유닛들 각각은 센서부와 배터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각 세대에 공급되는 수도량, 수질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센서부는 수질 센서, 유량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는 수도 사용량 정보, 수질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수질 정보에는 수도수의 전기 전도도(electric conductivity), 염분, 수온, TDS(Total Dissolved Solids, 활동성을 가진 충전된 이온의 총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는 외부에서 공급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계량 유닛들 각각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복수의 계량 유닛들 각각은 지하에 일 열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열로 배열된 복수의 계량 유닛들 각각은 연결부를 통해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계량 유닛들 각각은 상시 전원으로 작동되는 전자식 수도 계량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계량 유닛(110)은 다수의 세대 중 제1 세대에 공급되는 수도 사용량을 측정하여 제1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계량 유닛(110)은 제1 센서부(113)와 제1 배터리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13)는 제1 세대에 공급되는 수도 사용량, 수질 등을 측정하여 제1 수도 사용량 정보, 제1 수질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센서부(113)는 제1 세대로 제공되는 수도수 수질을 측정하여 제1 수질 정보를 제1 수질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계량 유닛(110)은 생성된 제1 수도 사용량 정보, 제1 수질 정보 등을 제1 연결 케이블부(510)를 통해 결합 모듈(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연결 케이블부(510)는 제1 데이터 케이블(511)과 제1 전력 케이블(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케이블(511)은 제1 계량 유닛(110)에서 생성된 제1 수도 사용량 정보, 제1 수질 정보 등을 결합 모듈(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계량 유닛(110)은 제2 계량 유닛(120)으로부터 제2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2 내지 제5 수질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1 계량 유닛(110)은 제1 데이터 케이블(511)을 통해 제1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1 내지 제5 수질 정보 등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결합 모듈(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력 케이블(513)은 결합 모듈(200)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제1 계량 유닛(110)으로 배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배전은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계량 유닛(110)은 제1 전력 케이블(513)을 통해 전원부(2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전력 케이블(513)을 통해 전원부(210)에서 공급된 전력은 제1 배터리부(115)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계량 유닛(110)은 상시에는 제1 전력 케이블(513)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고, 제1 전력 케이블(513)을 통한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 제1 배터리부(115) 내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제2 계량 유닛(120)은 다수의 세대 중 제2 세대에 공급되는 수도 사용량을 측정하여 제2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계량 유닛(120)은 제2 센서부(123)와 제2 배터리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23)는 제2 세대에 공급되는 수도 사용량, 수질 등을 측정하여 제2 수도 사용량 정보, 제2 수질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센서부(123)는 제2 세대로 제공되는 수도수 수질을 측정하여 제2 수질 정보를 제2 수질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계량 유닛(120)은 제3 계량 유닛(130)으로부터 제3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3 내지 제5 수질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계량 유닛(120)은 제2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2 내지 제5 수질 정보 등을 제2 연결 케이블부(520)를 통해 제1 계량 유닛(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연결 케이블부(520)는 제2 데이터 케이블(521)과 제2 전력 케이블(5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케이블(521)은 제2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2 내지 제5 수질 정보 등을 제2 계량 유닛(120)에서 제1 계량 유닛(11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전력 케이블(523)은 전원부(210)로부터 제1 계량 유닛(110)으로 공급된 전력을 제2 계량 유닛(120)으로 배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계량 유닛(120)은 제2 전력 케이블(523)을 통해 제1 계량 유닛(1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2 전력 케이블(523)을 통해 제1 계량 유닛(110)에서 공급된 전력은 제2 배터리부(125)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계량 유닛(120)은 상시에는 제2 전력 케이블(523)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고, 제2 전력 케이블(523)을 통한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 제2 배터리부(125) 내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제3 계량 유닛(130)은 다수의 세대 중 제3 세대에 공급되는 수도 사용량을 측정하여 제3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계량 유닛(130)은 제3 센서부(133)와 제3 배터리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센서부(133)는 제3 세대에 공급되는 수도 사용량, 수질 등을 측정하여 제3 수도 사용량 정보, 제3 수질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센서부(133)는 제3 세대로 제공되는 수도수 수질을 측정하여 제3 수질 정보를 제3 수질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계량 유닛(130)은 제4 계량 유닛(140)으로부터 제4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4 내지 제5 수질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계량 유닛(130)은 제3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3 내지 제5 수질 정보 등을 제3 연결 케이블부(530)를 통해 제2 계량 유닛(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연결 케이블부(530)는 제3 데이터 케이블(531)과 제3 전력 케이블(5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데이터 케이블(531)은 제3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3 내지 제5 수질 정보 등을 제3 계량 유닛(130)에서 제2 계량 유닛(12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계량 유닛(130)은 제2 계량 유닛(120)을 통해 제3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3 내지 제5 수질 정보 등을 제1 개량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전력 케이블(533)은 제2 계량 유닛(120)으로 공급된 전력을 제3 계량 유닛(130)으로 배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계량 유닛(130)은 제3 전력 케이블(533)을 통해 제2 계량 유닛(12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3 전력 케이블(533)을 통해 제2 계량 유닛(120)에서 공급된 전력은 제3 배터리부(135)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계량 유닛(130)은 상시에는 제3 전력 케이블(533)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고, 제3 전력 케이블(533)을 통한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 제3 배터리부(135) 내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제4 계량 유닛(140)은 다수의 세대 중 제4 세대에 공급되는 수도 사용량을 측정하여 제4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4 계량 유닛(140)은 제4 센서부(143)와 제4 배터리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센서부(143)는 제4 세대에 공급되는 수도 사용량, 수질 등을 측정하여 제4 수도 사용량 정보, 제4 수질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4 센서부(143)는 제4 세대로 제공되는 수도수 수질을 측정하여 제4 수질 정보를 제4 수질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계량 유닛(140)은 제5 계량 유닛(150)으로부터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5 수질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계량 유닛(140)은 제4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4 내지 제5 수질 정보 등을 제4 연결 케이블부(540)를 통해 제3 계량 유닛(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4 계량 유닛(140)은 제2 및 제3 계량 유닛(130)들을 통해 제4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4 내지 제5 수질 정보 등을 제1 계량 유닛(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4 연결 케이블부(540)는 제4 데이터 케이블(541)과 제4 전력 케이블(5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데이터 케이블(541)은 제4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4 내지 제5 수질 정보 등을 제4 계량 유닛(140)에서 제3 계량 유닛(13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4 전력 케이블(543)은 제3 계량 유닛(130)으로 공급된 전력을 제4 계량 유닛(140)으로 배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4 계량 유닛(140)은 제4 전력 케이블(543)을 통해 제3 계량 유닛(13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4 전력 케이블(543)을 통해 제3 계량 유닛(130)에서 공급된 전력은 제4 배터리부(145)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계량 유닛(140)은 상시에는 제4 전력 케이블(543)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고, 제4 전력 케이블(543)을 통한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 제4 배터리부(145) 내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제5 계량 유닛(150)은 다수의 세대 중 제5 세대에 공급되는 수도 사용량을 측정하여 제5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5 계량 유닛(150)은 제5 센서부(153)와 제5 배터리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센서부(153)는 제5 세대에 공급되는 수도 사용량, 수질 등을 측정하여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5 수질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5 센서부(153)는 제5 세대로 제공되는 수도수 수질을 측정하여 제5 수질 정보를 제5 수질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연결 케이블부(550)는 제5 데이터 케이블(551)과 제5 전력 케이블(5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데이터 케이블(551)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5 수질 정보 등을 제5 계량 유닛(150)에서 제4 계량 유닛(14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계량 유닛(150)은 제2 내지 제4 계량 유닛(120, 130, 140)을 통해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5 수질 정보 등을 제1 개량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5 전력 케이블(553)은 제4 계량 유닛(140)으로 공급된 전력을 제5 계량 유닛(150)으로 배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5 계량 유닛(150)은 제5 전력 케이블(553)을 통해 제4 계량 유닛(14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5 전력 케이블(553)을 통해 제4 계량 유닛(140)에서 공급된 전력은 제5 배터리부(155)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계량 유닛(150)은 상시에는 제5 전력 케이블(553)을 통해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고, 제5 전력 케이블(553)을 통한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 제5 배터리부(155) 내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처럼, 제5 계량 유닛(150)은 전원부(210)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제1 내지 제4 계량 유닛(110, 120, 130, 140)을 순차적으로 거쳐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5 계량 유닛(150)에서 생성된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5 수질 정보 등은 제4 계량 유닛(140), 제3 계량 유닛(130), 제2 계량 유닛(120), 및 제1 계량 유닛(110)을 순차적으로 거쳐 결합 모듈(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제 제4 계량 유닛(140)은 중계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결합 모듈(200)은 제1 계량 유닛(110)을 통해 제1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1 내지 제5 수질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결합 모듈(200)은 제1 계량 유닛(110)에서 수신된 정보들을 통신부(250)를 통해 검침 서버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부(250)는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 이더넷,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와이파이(Wifi) 등을 이용하여, 검침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결합 모듈(200)로부터 다수의 세대에 제공된 수도 사용량 정보, 수질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수도 사용량 정보에는 제1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질 정보에는 제1 내지 제5 수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계량 유닛(11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1 계량 유닛(110)은 제1 내지 제5 수질 정보, 제1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등을 결합 모듈(200)로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침 서버부(300)는 제1 내지 제5 수질 정보, 제1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등을 결합 모듈(200)로부터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침 서버부(300)는 결합 모듈(200)로부터 제1 수도 사용량 정보 및/또는 제1 수질 정보를 미수신한 경우, 제1 계량 유닛(110)의 제1 고장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고장 발생 신호에는 제1 계량 유닛(110)의 고장 발생 내용, 제2 내지 제5 계량 유닛들(120, 130, 140, 150)의 점검 필요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가 제1 수도 사용량 정보를 미수신한 경우에는 제1 유량 센서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가 제1 수질 정보를 미수신한 경우에는 제1 수질 센서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생성된 제1 고장 발생 신호를 외부 단말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단말부(400)는 제1 고장 발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1 고장 발생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이미지, 음성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계량 유닛(12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2 계량 유닛(120)은 제2 내지 제5 수질 정보, 제2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등을 제1 계량 유닛(110)으로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침 서버부(300)는 제2 내지 제5 수질 정보, 제2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등을 결합 모듈(200)로부터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침 서버부(300)는 결합 모듈(200)로부터 제2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를 미수신한 경우, 제2 계량 유닛(120)의 제2 고장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생성된 제2 고장 발생 신호를 외부 단말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고장 발생 신호에는 제2 계량 유닛(120)의 고장 발생 내용, 제3 내지 제5 계량 유닛(130, 140, 150)의 점검 필요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계량 유닛(13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3 계량 유닛(130)은 제3 내지 제5 수질 정보, 제3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등을 제2 계량 유닛(120)으로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침 서버부(300)는 제3 내지 제5 수질 정보, 제3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등을 결합 모듈(200)로부터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침 서버부(300)는 결합 모듈(200)로부터 제3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를 미수신한 경우, 제3 계량 유닛(130)의 제3 고장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생성된 제3 고장 발생 신호를 외부 단말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고장 발생 신호에는 제3 계량 유닛(130)의 고장 발생 내용, 제4 내지 제5 계량 유닛(140, 150)의 점검 필요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계량 유닛(14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4 계량 유닛(140)은 제4 내지 제5 수질 정보, 제4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등을 제3 계량 유닛(130)으로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침 서버부(300)는 제4 내지 제5 수질 정보, 제4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등을 결합 모듈(200)로부터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침 서버부(300)는 결합 모듈(200)로부터 제4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를 미수신한 경우, 제4 계량 유닛(140)의 제4 고장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생성된 제4 고장 발생 신호를 외부 단말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4 고장 발생 신호에는 제4 계량 유닛(140)의 고장 발생 내용, 제5 계량 유닛(150)의 점검 필요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계량 유닛(15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5 계량 유닛(150)은 제5 수질 정보,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등을 제4 계량 유닛(140)으로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침 서버부(300)는 제5 수질 정보,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등을 결합 모듈(200)로부터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침 서버부(300)는 결합 모듈(200)로부터 제5 수도 사용량 정보를 미수신한 경우, 제5 계량 유닛(150)의 제5 고장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생성된 제5 고장 발생 신호를 외부 단말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결합 모듈(200)로부터 획득한 수도 사용량 정보와 기 저장된 기존 수도 사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세대가 사용한 수도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산출된 수도 사용량을 이용하여 수도료를 산출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산출된 수도 사용량과 수도료를 외부 단말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침 서버부(300)는 결합 모듈(200)로부터 획득한 제1 수도 사용량 정보와 기 저장된 기존 제1 수도 사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세대가 사용한 수도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산출된 수도 사용량을 이용하여 수도료를 산출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산출된 수도 사용량과 수도료를 제1 세대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외부 단말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제1 계량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복수의 계량 유닛들 각각에 대한 설명을 제1 계량 유닛(11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2 내지 제5 계량 유닛들(120, 130, 140, 150)은 제1 계량 유닛(11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계량 유닛(110)은 제1 몸체부(111), 제1 센서부(113), 제1 배터리부(115), 및 제1 표시부(1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11)는 제1 계량 유닛(11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11)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11)는 내부에 수도수가 유동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1 몸체부(111)는 다수의 세대로 수도수를 공급하는 공급 관(T)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부(113)는 몸체부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부(113)는 공급 관(T) 내에서 유동하는 수도수의 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13)는 공급 관(T) 내에 유동하는 수도수의 수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센서부(113)는 제1 수도 사용량 정보, 제1 수질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계량 유닛(110)은 제1 연결 케이블부(510)와 제2 연결 케이블부(5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계량 유닛(110)은 제2 계량 유닛(120)으로부터 제2 내지 제5 수질 정보, 제2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배터리부(115)는 몸체부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배터리부(1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부(210)에서 공급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111)는 제1 몸체부(11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표시부(1111)는 제1 수도 사용량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계량 유닛(110)의 제1 표시부(1111)를 통해 제1 세대에 제공된 수도 사용량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계량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계량 유닛에 제1 연결 케이블부(510)가 설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7의 제1 연결 케이블부가 제1 계량 유닛을 가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11)은 측정부(100), 결합 모듈(200), 연결부(미부호), 검침 서버부(300), 및 외부 단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00)는 제1 내지 제5 계량 유닛들(110, 120, 130, 140, 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계량 유닛들(110, 120, 130, 140, 150) 각각은 몸체부, 센서부, 배터리부 및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연결부는 제1 내지 제5 연결 케이블부(510, 520, 530, 540, 55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제1 내지 제3 바이 패스 케이블부(561, 562, 5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이 패스 케이블부(561)는 제1 계량 유닛(110)과 제3 계량 유닛(13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바이 패스 케이블부(561)는 데이터 케이블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계량 유닛(130)은 제2 계량 유닛(120)이 고장 나더라도 제3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3 내지 제5 수질 정보 등이 제2 계량 유닛(120)을 통하지 않고, 제1 계량 유닛(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바이 패스 케이블부(562)는 제1 계량 유닛(110)과 제4 계량 유닛(14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바이 패스 케이블부(562)는 데이터 케이블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계량 유닛(140)은 제3 계량 유닛(130)에 고장 나더라도 제4 내지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4 내지 제5 수질 정보 등이 제2 내지 제3 계량 유닛(130)들을 통하지 않고, 제1 계량 유닛(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바이 패스 케이블부(563)는 제1 계량 유닛(110)과 제5 계량 유닛(15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3 바이 패스 케이블부(563)는 데이터 케이블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계량 유닛(150)은 제4 계량 유닛(140)이 고장 나더라도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제5 수질 정보 등이 제2 내지 제4 계량 유닛(120, 130, 140)들을 통하지 않고, 제1 계량 유닛(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결합 모듈(200)로부터 제1 수도 사용량 정보 및/또는 제1 수질 정보를 미수신한 경우, 제1 계량 유닛(110)의 제1 고장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결합 모듈(200)로부터 제2 수도 사용량 정보 및/또는 제2 수질 정보만를 미수신한 경우, 제2 계량 유닛(120)의 제2-1 고장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1 고장 발생 신호에는 제2 계량 유닛(120)의 고장 발생 내용만을 포함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결합 모듈(200)로부터 제3 수도 사용량 정보 및/또는 제3 수질 정보만를 미수신한 경우, 제3 계량 유닛(130)의 제3-1 고장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3-1 고장 발생 신호에는 제3 계량 유닛(130)의 고장 발생 내용만을 포함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결합 모듈(200)로부터 제4 수도 사용량 정보 및/또는 제4 수질 정보만를 미수신한 경우, 제4 계량 유닛(140)의 제4-1 고장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4-1 고장 발생 신호에는 제4 계량 유닛(140)의 고장 발생 내용만을 포함할 수 있다.
검침 서버부(300)는 결합 모듈(200)로부터 제5 수도 사용량 정보 및/또는 제5 수질 정보만를 미수신한 경우, 제5 계량 유닛(150)의 제5-1 고장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5-1 고장 발생 신호에는 제5 계량 유닛(150)의 고장 발생 내용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케이블부(510)는 제1 계량 유닛(110)의 몸체부를 감쌀 수 있다. 제2 연결 케이블부(520)는 제2 계량 유닛(120)의 몸체부를 감쌀 수 있다. 제3 연결 케이블부(530)는 제3 계량 유닛(130)의 몸체부를 감쌀 수 있다. 제4 연결 케이블부(540)는 제4 계량 유닛(140)의 몸체부를 감쌀 수 있다. 제5 연결 케이블부(550)는 제5 계량 유닛(150)의 몸체부를 감쌀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연결 케이블부(510, 520, 530, 540, 550)는 데이터 케이블, 전력 케이블, 피복부 및 가열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연결 케이블부(510, 520, 530, 540, 550) 각각의 구성과 구조는 동일하므로, 제1 연결 케이블부(51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연결 케이블부(510)는 제1 피복부(517), 제1 데이터 케이블(511), 제1 전력 케이블(513), 및 제1 가열 전선(5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복부(517)는 제1 데이터 케이블(511)과, 제1 전력 케이블(513)을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피복부(517)는 제1 데이터 케이블(511)과 제1 전력 케이블(513)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피복부(517)는 열에 의해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피복부(517)는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데이터 케이블(511)과 제1 전력 케이블(513)은 제1 피복부(517)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가열 전선(515)은 제1 계량 유닛(110)의 제1 배터리부(115)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열 전선(515)은 제1 배터리부(11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열 전선(515)은 제1 계량 유닛(110)의 몸체부에 가열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계량 유닛들(110, 120, 130, 140, 150) 각각은 몸체부, 센서부, 배터리부 및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계량 유닛들(110, 120, 130, 140, 150) 각각의 구성과 구조는 동일하므로, 제1 계량 유닛(11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계량 유닛(110)은 제1 몸체부(111), 제1 센서부(113), 제1 배터리부(115) 및 제1 표시부(1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11)는 그의 외측면에 제1 연결 케이블부(510)가 삽입되는 제1 케이블 홈(1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블 홈(1115)의 폭은 제1 연결 케이블부(5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 케이블부(510)의 일부만이 제1 케이블 홈(1115)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케이블 홈(1115)은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11)는 제1 케이블 홈(1115)의 바닥면에 제1 압력 센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케이블부(510)가 제1 케이블 홈(1115)에 삽입되어 제1 압력 센서(112)와 접촉할 경우, 제1 연결 케이블부(510)는 제1 압력 센서(112)를 가압할 수 있다. 제1 연결 케이블부(510)가 제1 압력 센서(112)를 가압할 때, 제1 배터리부(115)는 제1 가열 전선(515)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압력 센서(112)는 제1 배터리부(115)가 제1 가열 전선(515)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계량 유닛(120)의 제2 몸체부는 그의 둘레면에 제2 연결 케이블부(520)가 삽입되며 제2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 케이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계량 유닛(130)의 제3 몸체부는 그의 둘레면에 제3 연결 케이블부(530)가 삽입되며 제3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3 케이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계량 유닛(140)의 제4 몸체부는 그의 둘레면에 제4 연결 케이블부(540)가 삽입되며 제4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제4 케이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계량 유닛(150)의 제5 몸체부는 그의 둘레면에 제5 연결 케이블부(550)가 삽입되는 제5 케이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연결 케이블부(510)가 제1 케이블 홈(1115)에 삽입되는 과정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5 연결 케이블부(510, 520, 530, 540, 550)가 제1 내지 제5 케이블 홈들에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연결 케이블부(510)의 폭은 제1 케이블 홈(1115)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 케이블부(510)의 일부만 제1 케이블 홈(1115)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연결 케이블부(510)의 일부만이 제1 케이블 홈(1115)에 삽입될 경우, 제1 연결 케이블부(510)는 제1 압력 센서(112)를 가압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겨울철에는 제1 몸체부(111)의 온도는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피복부(517)의 온도도 하강할 수 있다. 제1 피복부(517)의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제1 피복부(517)는 수축할 수 있다.
제1 피복부(517)가 수축함에 따라, 제1 피복부(517)의 폭은 제1 케이블 홈(1115)의 폭보다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 케이블부(510)가 제1 케이블 홈(1115) 내로 더 삽입되어 제1 압력 센서(112)를 가압할 수 있다. 제1 연결 케이블부(510)가 제1 압력 센서(112)를 가압함으로써, 제1 배터리부(115)는 제1 가열 전선(515)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몸체부(111)의 둘레를 감싸고 있는 제1 가열 전선(515)이 가열되어, 제1 몸체부(111)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11)의 온도가 제1 가열 전선(515)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겨울철에 제1 계량 유닛(110)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11: 원격 검침 시스템 100: 측정부
110: 제1 계량 유닛 120: 제2 계량 유닛
130: 제3 계량 유닛 140: 제4 계량 유닛
150: 제5 계량 유닛 200: 결합 모듈
210: 전원부 250: 통신부
300: 검침 서버부 400: 외부 단말부
510: 제1 연결 케이블부 520: 제2 연결 케이블부
530: 제3 연결 케이블부 540: 제4 연결 케이블부
550: 제5 연결 케이블부

Claims (8)

  1. 다수의 세대에 제공되는 수도 사용량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수도 사용량 정보를 획득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갖는 결합 모듈; 및
    상기 통신부에서 전송된 상기 수도 사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세대에 제공되는 수도 사용량을 검침하는 검침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다수의 세대 중 제1 세대의 제1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는 제1 계량 유닛;
    상기 제1 계량 유닛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다수의 세대 중 제2 세대의 제2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상기 제1 계량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2 계량 유닛; 및
    상기 제2 계량 유닛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다수의 세대 중 제3 세대의 제3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상기 제2 계량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계량 유닛으로 전송하는 제3 계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계량 유닛은, 상기 제1 수도 사용량 정보, 상기 제2 수도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제3 수도 사용량 정보를 상기 결합 모듈로 전송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량 유닛은,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된 전력을 저장하는 제1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계량 유닛은, 상기 제1 계량 유닛에서 공급된 전력을 저장하는 제2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계량 유닛은, 상기 제2 계량 유닛에서 공급된 전력을 저장하는 제3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량 유닛은, 상기 제1 세대로 제공되는 수도수 수질을 측정하여 제1 수질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수질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계량 유닛은, 상기 제2 세대로 제공되는 수도수 수질을 측정하여 제2 수질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수질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계량 유닛은, 상기 제3 세대로 제공되는 수도수 수질을 측정하여 제3 수질 정보를 생성하는 제3 수질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계량 유닛은, 상기 제2 수질 정보를 상기 제1 계량 유닛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3 계량 유닛은, 상기 제2 계량 유닛을 통해 상기 제3 수질 정보를 상기 제1 계량 유닛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1 계량 유닛은, 상기 제1 수질 정보, 상기 제2 수질 정보, 및 상기 제3 수질 정보를 상기 결합 모듈로 전송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모듈과 상기 제1 계량 유닛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전력을 배전하는 제1 연결 케이블부;
    상기 제1 계량 유닛과 상기 제2 계량 유닛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전력을 배전하는 제2 연결 케이블부;
    상기 제2 계량 유닛과 상기 제3 계량 유닛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전력을 배전하는 제3 연결 케이블부; 및
    상기 제1 계량 유닛과 상기 제3 계량 유닛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바이 패스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 서버부는,
    상기 결합 모듈로부터 상기 제1 수도 사용량 정보를 미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1 계량 유닛의 고장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 단말부로 전송하고,
    상기 결합 모듈로부터 상기 제2 수도 사용량 정보를 미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2 계량 유닛의 고장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단말부로 전송하며,
    상기 결합 모듈로부터 상기 제3 수도 사용량 정보를 미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3 계량 유닛의 고장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단말부로 전송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계량 유닛들 각각은,
    상기 다수의 세대로 수도수를 공급하는 공급 관 상에 설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 관 내에서 유동하는 수도수의 수량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케이블부는 상기 제1 계량 유닛의 상기 몸체부를 감싸고,
    상기 제2 연결 케이블부는 상기 제2 계량 유닛의 상기 몸체부를 감싸며,
    상기 제3 연결 케이블부는 상기 제3 계량 유닛의 상기 몸체부를 감싸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량 유닛의 상기 몸체부는 그의 둘레면에 상기 제1 연결 케이블부가 삽입되는 제1 케이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계량 유닛의 상기 몸체부는 그의 둘레면에 상기 제2 연결 케이블부가 삽입되는 제2 케이블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계량 유닛의 상기 몸체부는 그의 둘레면에 상기 제3 연결 케이블부가 삽입되는 제3 케이블 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케이블 홈들 각각은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검침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20086416A 2022-07-13 2022-07-13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635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416A KR102635595B1 (ko) 2022-07-13 2022-07-13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8A KR20240019210A (ko) 2022-07-13 2024-02-05 수도수의 수량을 측정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5A KR20240019207A (ko) 2022-07-13 2024-02-05 복수의 계량 유닛 및 복수의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7A KR20240019209A (ko) 2022-07-13 2024-02-05 연결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6A KR20240019208A (ko) 2022-07-13 2024-02-05 수질 정보를 이용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9A KR20240019211A (ko) 2022-07-13 2024-02-05 집합적 유지보수를 위한 계량 유닛 내 나선형 케이블 홈을 갖춘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90A KR20240020731A (ko) 2022-07-13 2024-02-05 검침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416A KR102635595B1 (ko) 2022-07-13 2022-07-13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7487A Division KR20240019209A (ko) 2022-07-13 2024-02-05 연결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90A Division KR20240020731A (ko) 2022-07-13 2024-02-05 검침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5A Division KR20240019207A (ko) 2022-07-13 2024-02-05 복수의 계량 유닛 및 복수의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8A Division KR20240019210A (ko) 2022-07-13 2024-02-05 수도수의 수량을 측정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9A Division KR20240019211A (ko) 2022-07-13 2024-02-05 집합적 유지보수를 위한 계량 유닛 내 나선형 케이블 홈을 갖춘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6A Division KR20240019208A (ko) 2022-07-13 2024-02-05 수질 정보를 이용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221A true KR20240009221A (ko) 2024-01-22
KR102635595B1 KR102635595B1 (ko) 2024-02-08

Family

ID=89716433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416A KR102635595B1 (ko) 2022-07-13 2022-07-13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90A KR20240020731A (ko) 2022-07-13 2024-02-05 검침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7A KR20240019209A (ko) 2022-07-13 2024-02-05 연결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9A KR20240019211A (ko) 2022-07-13 2024-02-05 집합적 유지보수를 위한 계량 유닛 내 나선형 케이블 홈을 갖춘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5A KR20240019207A (ko) 2022-07-13 2024-02-05 복수의 계량 유닛 및 복수의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8A KR20240019210A (ko) 2022-07-13 2024-02-05 수도수의 수량을 측정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6A KR20240019208A (ko) 2022-07-13 2024-02-05 수질 정보를 이용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7490A KR20240020731A (ko) 2022-07-13 2024-02-05 검침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7A KR20240019209A (ko) 2022-07-13 2024-02-05 연결 케이블부를 포함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9A KR20240019211A (ko) 2022-07-13 2024-02-05 집합적 유지보수를 위한 계량 유닛 내 나선형 케이블 홈을 갖춘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5A KR20240019207A (ko) 2022-07-13 2024-02-05 복수의 계량 유닛 및 복수의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8A KR20240019210A (ko) 2022-07-13 2024-02-05 수도수의 수량을 측정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240017486A KR20240019208A (ko) 2022-07-13 2024-02-05 수질 정보를 이용하는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6355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749A (ko) * 2008-04-10 2009-10-14 (주)위지트 원격 검침 시스템
KR20120136248A (ko) * 2011-06-08 2012-12-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검침 시스템
KR20140091331A (ko) * 2013-01-11 2014-07-21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자동 검침 및 관리 시스템
KR101592895B1 (ko) * 2015-09-25 2016-02-18 주식회사 유비콤 원격검침 시스템 장치
KR102308540B1 (ko) 2021-02-24 2021-10-06 (주)엔티모아 수도 원격 자동 검침 시스템
KR20220022573A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아이디스 PoE 확장 기능을 가지는 PoE 슬레이브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749A (ko) * 2008-04-10 2009-10-14 (주)위지트 원격 검침 시스템
KR20120136248A (ko) * 2011-06-08 2012-12-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검침 시스템
KR20140091331A (ko) * 2013-01-11 2014-07-21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자동 검침 및 관리 시스템
KR101592895B1 (ko) * 2015-09-25 2016-02-18 주식회사 유비콤 원격검침 시스템 장치
KR20220022573A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아이디스 PoE 확장 기능을 가지는 PoE 슬레이브 장치
KR102308540B1 (ko) 2021-02-24 2021-10-06 (주)엔티모아 수도 원격 자동 검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208A (ko) 2024-02-14
KR20240019209A (ko) 2024-02-14
KR20240019210A (ko) 2024-02-14
KR102635595B1 (ko) 2024-02-08
KR20240019211A (ko) 2024-02-14
KR20240019207A (ko) 2024-02-14
KR20240020731A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0716B2 (en) Power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20130335062A1 (en) Pow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1192334B (zh) 接口适配器
US9575101B2 (en) Power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CN104850207B (zh) 功率适配器、电子装置和电子系统
CN101563586A (zh) 具有温度补偿的漩涡流量计
US8965717B2 (en) Carbon emission tracker and tracking system
US201303350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nderground Power Lines
US20060103548A1 (en) Current sensing bar
CA2912412C (en) Pow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070174219A1 (en) Renewable energy usage fee
CA2883655A1 (en) Fault tolerant power system architecture for fluid flow measurement systems
US8786451B2 (en) Leak detection system having power and communication lines
KR102043093B1 (ko) 난방 공급관과 환수관의 유량측정을 통한 열량측정 시스템
US201202767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power adapter
KR102635595B1 (ko) 집합적 유지 관리를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KR101167585B1 (ko)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31332A1 (en) Sensor device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CN110120688A (zh) 电子装置
CN102840932B (zh) 一种无源热量计量装置及利用其工作的热量计量系统
KR20150068159A (ko) 이중화 통신구조를 갖는 원격 검침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187192A1 (en) Tap, meter and transformation device for power distribution from hfc plant
CA2908307C (en) Power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CN203502126U (zh) 一种无线温度传感器
KR20110026208A (ko) 연산 기능을 통합한 통합원격검침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