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159A -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159A
KR20240009159A KR1020220086305A KR20220086305A KR20240009159A KR 20240009159 A KR20240009159 A KR 20240009159A KR 1020220086305 A KR1020220086305 A KR 1020220086305A KR 20220086305 A KR20220086305 A KR 20220086305A KR 20240009159 A KR20240009159 A KR 20240009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translucent
micro
sized pores
translucent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현진
이우진
안승환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86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159A/ko
Publication of KR20240009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15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 B03C3/64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synthetic resi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는 광투과도가 높아 투명성을 가지면서 먼지를 여과할 수 있으며, 이러한 투과성은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입모양을 보일 수 있게 하여, 언어 발달, 언어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Transparent or translucent mask with micro-sized pores}
본 발명은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되되,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포함하고 정전 특성을 가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 황사, 미세먼지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오염물질이 호흡기를 통해 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바이러스 등과 같은 병원균이 인체의 호흡기 내로 흡입되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한다.
이러한 마스크로는 직물이나 부직포 재질의 마스크 본체와 필터를 결합한 이중구조로 구성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직물이나 부직포 재질로 제작된 마스크는 착용자의 얼굴 또는 입을 가리게 됨에 따라 착용자의 표정 및 입모양 등을 알아볼 수 없어 청각장애인 또는 언어장애인과 같이 입모양으로 상대방의 언어를 파악하는 사람들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대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관상의 이유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으려고 하는 사람들에 의해 바이러스 전파 등의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 제안된 투명마스크 기술은 투명한 본체에 공기정화필터 모듈을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식을 제안하여 마스크의 기능을 부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체는 투명한 본체에 공기투과도의 기능이 전혀 없기 때문에 공기정화필터 모듈을 별도로 장착하는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공기정화필터 모듈이 결합된 투명마스크는 공기정화필터 사양에 따라 필터의 사양이 결정되지만, 투명한 본체의 공기투과성이 없기 때문에 마스크 전체의 공기투과도와 차압에는 한계를 가지게 된다. 더불어 공기정화필터 모듈이 보이는 미관상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마스크를 착용하더라도 상대방의 얼굴 또는 입을 관찰할 수 있을뿐 아니라 착용하더라도 외관상 혐오감을 주지 않는 마스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22-0014257 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되되,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포함하고 정전 특성을 가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및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는,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되되,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포함하며 착용시 착용자의 코와 입 부분을 가리게 구비된 본체부;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귀에 고정되는 착용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정전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은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cylic,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TG(Amorphous Copolyester), PC(Polycarbonate), PVC(Polyvinyl Chloride), COC(Cyclic Olefin Copolymers), Ionomer Resin,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SMMA(Styrene Methyl Methacrylate), SAN(Styrene Acrylonitrile Resin), PS(Polystyrene), MABS(Transparent ABS), 실리콘 고무,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로겔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의 직경은 1㎛ 내지 900㎛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정전 필터에 포함된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의 개수는 단위면적당 1개/mm2 내지 100,000개/mm2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정전 특성은 코로나 방전, 플라즈마 방전 또는 이종 고분자 필름의 전기음성도 차이에 의한 정전기 생성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또는 십자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의 광 투과도는 550nm 기준 1% 내지 99%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은,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을 관통하도록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에 정전 특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은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cylic,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TG(Amorphous Copolyester), PC(Polycarbonate), PVC(Polyvinyl Chloride), COC(Cyclic Olefin Copolymers), Ionomer Resin,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SMMA(Styrene Methyl Methacrylate), SAN(Styrene Acrylonitrile Resin), PS(Polystyrene), MABS(Transparent ABS), 실리콘 고무,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로겔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은 단일층으로 사용하거나 두 겹 또는 세 겹을 겹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은 단일층 또는 이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의 직경은 1㎛ 내지 90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의 개수는 단위면적당 1개/mm2 내지 100,000개/mm2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마이크로 퍼포레이션 공정을 수행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을 관통하는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정전 특성을 부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전 특성은 코로나 방전, 플라즈마 방전 또는 이종 고분자 필름의 전기음성도 차이에 의한 정전기 생성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코로나 방전하는 단계에서, 상기 코로나 방전은 0.2kV 내지 50kV 전압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및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의 본체부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는 광투과도가 높아 투명성을 가지면서 먼지를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투과성은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입모양을 보일 수 있게 하여, 언어 발달, 언어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마스크가 가지는 미관상 한계(일부 얼굴 가림)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투명 고분자 필름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포함하는 본체부는 공기투과도를 가져 차압이 높지 않은 장점이 있어, 투명한 마스크 사용에 적합하다.
또한,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투명한 PP(폴리프로필렌) 이나 PE(폴리에틸렌) 등의 기재를 이용하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시장진입이 유리하며 경제성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의 단면(a) 과 표면(b)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4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정전 필터의 표면 이미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정전 필터의 표면 이미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8은 섬유상 정전 필터(비교예),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정전 필터(실시예2), 투명 마이크로 기공 필터(실시예1)의 집진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9는 섬유상 정전 필터(비교예),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정전 필터(실시예2), 투명 마이크로 기공 필터(실시예1)의 공기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0은 섬유상 정전 필터(비교예),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정전 필터(실시예2), 투명 마이크로 기공 필터(실시예1)의 광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1은 섬유상 정전 필터(비교예),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정전 필터(실시예4), 투명 마이크로 기공 필터(실시예3)의 집진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2는 섬유상 정전 필터(비교예),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정전 필터(실시예4), 투명 마이크로 기공 필터(실시예3)의 공기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3은 섬유상 정전 필터(비교예1),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정전 필터(실시예4), 투명 마이크로 기공 필터(실시예3)의 광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4는 기존의 섬유상 정전필터 및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정전 필터(실시예4)의 실제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반투명”은 속까지 비치어 보이는 정도(程度)가 흐릿한 것을 의미하며 광투과도 값이 550nm 기준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는,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되되,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포함하며 착용시 착용자의 코와 입 부분을 가리게 구비된 본체부;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귀에 고정되는 착용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는 정전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의 단면(a) 과 표면(b)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는 기존의 상용 마스크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는 본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의 본체부(100)는 표면을 관통하는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10)을 포함하여 공기투과성이 있다.
이때,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은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cylic,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TG(Amorphous Copolyester), PC(Polycarbonate), PVC(Polyvinyl Chloride), COC(Cyclic Olefin Copolymers), Ionomer Resin,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SMMA(Styrene Methyl Methacrylate), SAN(Styrene Acrylonitrile Resin), PS(Polystyrene), MABS(Transparent ABS), 실리콘 고무,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로겔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cylic,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TG(Amorphous Copolyester), PC(Polycarbonate), PVC(Polyvinyl Chloride), COC(Cyclic Olefin Copolymers), Ionomer Resin,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SMMA(Styrene Methyl Methacrylate), SAN(Styrene Acrylonitrile Resin), PS(Polystyrene), MABS(Transparent ABS), 실리콘 고무,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로겔은 투명한 물질이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이 형성 가능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으며, 상기 광 투과도는 73% 내지 89%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광투과도가 우수한 본체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함으로써 마스크를 착용하더라도 착용자의 얼굴 또는 입을 볼 수 있음에 따라 상대방의 표정 및 입모양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대화를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10)의 직경은 1㎛ 내지 900㎛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10)의 직경이 1㎛ 이하인 경우 유량이 감소하여 공기투과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900㎛ 이상인 경우 기공의 크기가 너무 커서 공기 중 이물질의 제거가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 정전 필터에 포함된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10)의 개수는 단위면적(mm2)당 1 개 내지 100,000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 정전 필터에 포함된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10)의 개수가 기공 직경 200㎛기준 단위면적당 1개/mm2 이하이면, 공기투과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투명 정전 필터에 포함된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의 개수가 단위면적당 100,000개/mm2 이상이면, 입자상 먼지를 여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도2(a)의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100)의 단면을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10)이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2(a)의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100)의 표면을 참조하면, 일정한 간격으로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10)이 형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이 아닌 경우도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10)은 투명 정전 필터 전 면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10)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모양의 기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모양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10)을 가지는 것 만으로도 기계적인 여과가 가능하여 마스크의 기능을 할 수 있으나, 정전 특성을 부여하는 경우 여과 성능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전 특성은 코로나 방전에 의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코로나 방전은 기체 중에서 두 전극간의 전압을 상승시켜 가면 어느 값에서 불꽃 방전이 발생하는데, 전극간의 전계가 평등하지 않으면 불꽃 방전 이전에 전극 표면상의 전계가 큰 부분에 발광 현상이 나타나고, 1~100㎂ 정도의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코로나 방전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는 정전기적인 특성이 부여될 수 있는데, 상기 코로나 방전을 하기 위한 인가 전압은 0.2kV 내지 50kV 전압 (전력 0.4 내지100kW)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로나 방전 시 인가 전압은 저전압 및 고전압 모두에서 미세입자에 대한 정전 특성이 부여될 수 있으므로, 상기 코로나 방전 인가 전압은 요구된 집진 효율에 따라 제어가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채부(100)는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의 두께가 10㎛ 내지 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은 한겹 내지 세겹으로 겹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을 한겹 내지 두겹 이나 세겹으로 겹쳐서 사용하는 경우 입자상 먼지에 대한 여과 특성이 향상되어 미세먼지를 높은 효율로 여과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을 은 단일층 또는 겹쳐서 사용하는 경우 이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 고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용 고리부(200)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착용 고리부(200)는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의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비되고, 가볍고 튼튼하며 유연하고 탄성이 높은 물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귀에 걸린 후 탄성에 의해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거나,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를 사용자의 안면부에서 제거할 때 탄성에 의해 쉽게 사용자의 귀에서 풀리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벗기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로 투명한 본체에 공기정화필터 모듈이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한 방식을 제안하여 마스크의 기능을 부여하나, 이러한 구조체는 투명한 본체에 공기투과도의 기능이 전혀 없기 때문에 공기정화필터 모듈을 별도로 장착하므로 공기정화필터 모듈의 사양에 따라 필터의 사양이 결정되고, 마스크 전체의 공기투과도와 차압에는 한계를 가지게 된다. 더불어 공기정화필터 모듈에 의한 미관상 한계점이 존재한다.
또한, 기존의 범용화된 정전 필터 기반의 마스크는 멜트블로운으로 제조된 PP소재일 수 있는데, 이는 마이크로 섬유를 수십~수백층을 이용하기 때문에 PP 마이크로 섬유들에 의한 빛의 표면 산란에 의해 불투명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 마스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을 마스크의 본체로 사용하므로, 높은 광 투과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 자체에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여 우수한 공기투과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가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에 코로나 방전을 적용하여 정전 필터의 기능성을 부여하여 정전기적인 여과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의 집진 여과 특성은 99% 이상이며, 차압은 유속 5.3cm/s 기준으로 84Pa이므로 차압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며, 가시선 영역 중에서 파장550nm 를 기준으로 89.83%의 높은 광 투과율을 보이므로 투명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인 기계적인 여과 특성 및 정전기적인 여과 특성에 관한 증명은 하기 실험예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은,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을 관통하도록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에 정전 특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단계에서, 본 발명은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을 관통하도록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00)
이때,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은 PP(Polypropylen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cylic,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TG(Amorphous Copolyester), PC(Polycarbonate), PVC(Polyvinyl Chloride), COC(Cyclic Olefin Copolymers), Ionomer Resin,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SMMA(Styrene Methyl Methacrylate), SAN(Styrene Acrylonitrile Resin), PS(Polystyrene), MABS(Transparent ABS), 실리콘 고무,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로겔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cylic,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TG(Amorphous Copolyester), PC(Polycarbonate), PVC(Polyvinyl Chloride), COC(Cyclic Olefin Copolymers), Ionomer Resin,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SMMA(Styrene Methyl Methacrylate), SAN(Styrene Acrylonitrile Resin), PS(Polystyrene), MABS(Transparent ABS), 실리콘 고무,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로겔은 투명한 물질이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이 형성 가능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예는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물질이며, 유연성 및 투명성을 가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경우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하고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의 직경은 1㎛ 내지 900㎛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에 마이크로 퍼포레이션 공정을 수행하여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적 펀칭을 수행하여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면,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공정은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적 펀칭 공정뿐 만 아니라 핫 니들 펀칭 공정, 레이저 펀칭 공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본 발명의 투명 필터는 한 겹 내지 세겹으로 겹쳐서 사용이 가능하며, 각각의 층이 상이한 이종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필터가 다섯 겹 이상인 경우 차압이 높아지고 투명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한 겹에서 최대 네 겹을 겹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층이 이종층인 경우 전기음성도 차이에 의한 정전기로 인한 미세먼지 여과(집진) 효율의 증대 특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이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을 정전 특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은,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을 관통하도록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이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필름에 정전 특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단계에서,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을 관통하도록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00)
상기 첫째 단계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도 3에 관한 설명의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둘째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이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필름에 정전 특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200)
예를 들면,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을 관통하도록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한 후 정전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전 특성은 코로나 방전, 플라즈마 방전 또는 이종 고분자 필름의 전기음성도 차이에 의한 정전기 생성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로나 방전은 0.2kV 내지 50kV 전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로나 방전을 0.2kV 내지 50kV 전압에서 수행하는 이유는 0.2 kV이하에서는 충분한 방전효과가 없어 투명필터의 미세먼지 집진효율이 낮을 수 있으며, 50kW 전압 이상에서는 과도한 방전효과로 인해 투명필터의 투명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 코로나 방전 시 인가 전압은 저전압 및 고전압 모두에서 미세입자에 대한 정전 특성이 부여될 수 있으므로, 상기 코로나 방전 인가 전압은 요구된 집진 효율에 따라 제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은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에 코로나 방전을 먼저 적용한 후 정전 특성을 부여한 후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은,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필름에 정전 특성을 부여하는 단계(S10);및 상기 정전 특성이 부여된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필름에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단계에서,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필름에 정전 특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0)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필름에 정전 특성을 부여하는 단계는 상술한 도4의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이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필름에 정전 특성을 부여하는 단계(S200)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둘째 단계에서, 상기 정전 특성이 부여된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필름에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20)
상기 상기 정전 특성이 부여된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필름에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술한 도3의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을 관통하도록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S100)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은,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필름에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일 단계 방법뿐 만 아니라,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필름에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한 후 정전 특성을 부여한 경우 및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필름에 정전 특성을 부여한 후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경우의 두단계 방법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은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들을 이용하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는 미세먼지 여과 성능을 가질 수 있으므로,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를 착용한 경우 미세먼지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교예1: 범용 마스크 필터
기존 범용 마스크 필터로서 멜트블로운으로 구성된 섬유상 정전필터 (KF94) 준비하였다.
제조예1: 700 μm 크기의 기공을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제조
먼저, 폴리프로필렌(PP)물질로 구성되고 두께가 80μm인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적 펀칭 공정을 이용하여 PP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 필름 전체에 700 μm 크기 기공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필터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양측에 착용자의 귀에 고정되도록 하는 착용 고리부를 장착하여 통상적인 형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2: 700 μm 크기의 기공을 갖는 정전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제조
먼저, 폴리프로필렌(PP)물질로 구성되고 두께가 80μm인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적 펀칭 공정을 이용하여 PP물질로 구성된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 필름 전체에 700 μm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700 μm크기의 기공이 형성된 PP물질로 구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0.28kV 전압 조건을 적용하여 코로나 방전하였다.
이로써,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양측에 착용자의 귀에 고정되도록 하는 착용 고리부를 장착하여 통상적인 형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3: 200 μm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제조
먼저, 폴리프로필렌(PP)물질로 구성되고 두께가 80μm인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적 펀칭 공정을 이용하여 PP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 필름 전체에 200 μm 크기 기공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필터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양측에 착용자의 귀에 고정되도록 하는 착용 고리부를 장착하여 통상적인 형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4: 200 μm 크기의 기공을 갖는 정전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제조
먼저, 폴리프로필렌(PP)물질로 구성되고 두께가 80μm인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적 펀칭 공정을 이용하여 PP물질로 구성된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 필름 전체에 200 μm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200 μm크기의 기공이 형성된 PP물질로 구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 필름을 0.28kV 전압 조건을 적용하여 코로나 방전하였다.
이로써,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양측에 착용자의 귀에 고정되도록 하는 착용 고리부를 장착하여 통상적인 형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1: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정전 필터의 표면 특성 확인 실험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정전 필터의 표면 이미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기 도6은 상기 제조예2에 의해 제조된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6은 루페 확대경 (간이 광학 현미경) 장치로 측정한 카메라 이미지일 수 있으며, 상기 도4는 두께 80μm 의 투명 PP필름을 3겹으로 겹쳐서 두께 240μm 의 투명 정전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도6의 투명 정전 필터는 기공의 직경이 700 μm 일 수 있다. .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정전 필터의 표면 이미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상기 도7도 마찬가지로 루페 확대경 (간이 광학 현미경) 장치로 측정한 카메라 이미지일 수 있으며, 상기 도5는 두께 80μm 의 투명 PP필름을 3겹으로 겹쳐서 두께 240μm 의 투명 정전 필터를 제조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정전 필터의 기공의 직경이 200 μm 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실험예2: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의 집진여과특성, 공기투과도(차압) 및 광투과성 비교
도8내지 도9를 참조하여, 직경 700㎛ 크기의 마이크로 기공을 포함하는 투명 필터의 집진여과특성, 공기투과도(차압) 및 광투과성을 설명한다.
도8은 섬유상 정전 필터(비교예),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정전 필터(실시예2), 투명 마이크로 기공 필터(실시예1)의 집진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8을 참조하면, 비교예(섬유상 정전 필터(KF94))는 입자 직경 1μm 내지 10μm사이에서 모두 집진 효율이 99.9%로 나타났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정전 필터는 입자 직경 1μm에서 48.08%, 2.5μm에서 90.55%, 4μm에서 99.39%, 5μm에서 99.64%, 10μm에서 98.12%로 나타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1(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필터)는 1μm에서 18.38%, 2.5μm에서 56.76%, 4μm에서 63.38%, 5μm에서 66.98%, 10μm에서 64.96%로 나타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9는 섬유상 정전 필터(비교예),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정전 필터(실시예2), 투명 마이크로 기공 필터(실시예1)의 공기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9를 참조하면, 유속 5.3cm/s 기준으로 기존 섬유상 정전필터(비교예)의 공기투과도는 84Pa 이고,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정전 필터(실시예2)의 공기투과도는 71Pa 이고, 투명 마이크로 기공 필터(실시예1)의 공기투과도는 69Pa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10은 섬유상 정전 필터(비교예),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정전 필터(실시예2), 투명 마이크로 기공 필터(실시예1)의 광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10을 참조하면, 가시선 영역 중에서 Wavelength 550nm 기준으로 기존 섬유상 정전필터(비교예)의 광투과도는 0.01%,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정전 필터(실시예2)의 광투과도는 89.83%,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필터(실시예1)는 73.05%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실험예3: 비교예, 실시예3, 실시예4의 집진여과특성 및 공기투과도(차압) 비교
도11 내지 도12을 참조하여, 직경 200㎛ 크기의 마이크로 기공을 포함하는 투명 필터의 집진여과특성, 공기투과도(차압)를 설명한다.
도11은 섬유상 정전 필터(비교예),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정전 필터(실시예4), 투명 마이크로 기공 필터(실시예3)의 집진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두께가 80㎛ 이고, 마이크로 기공 직경이 200㎛인 투명 마이크로 기공 정전 필터(실시예4)의 집진효율은 마이크로 기공 사이즈 직경 200㎛ 기준 2겹 시제품을 기준으로 입자직경 1㎛에서 81.80%, 2.5㎛ 87.53%, 4㎛에서 97.80%, 5㎛에서 99.15%, 10㎛에서 99.99%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투명 마이크로기공 필터의 집진효율은 56.06%, 94.35% 97.19%, 96.94%, 99.99%로 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인 투명 마이크로기공 필터와 투명 마이크로 기공 정전필터는 10㎛의 미세먼지와 비말 크기인 5㎛는 대부분 차단할 수 있으며, 2.5㎛ 이하의 초 미세먼지도 차단 가능한 것으로 확인된다.
도12는 섬유상 정전 필터(비교예),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정전 필터(실시예4), 투명 마이크로 기공 필터(실시예3)의 공기투과도(차압)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12를 참조하면, 유속 5.3cm/s 기준으로 기존 섬유상 정전필터(비교예)는 차압이 41Pa, 본 발명의 투명 마이크로 기공 정전필터(실시예4)와 투명 마이크로기공 필터(실시예3)는 각각 차압이 22Pa, 173Pa로 나타났다.
실험예4: 비교예, 실시예2 및 실시예4 의 광투과성 비교
도13내지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마이크로기공 포함 정전 필터의 광투과성을 설명한다.
도 13은 섬유상 정전 필터(비교예1),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정전 필터(실시예4), 투명 마이크로 기공 필터(실시예3)의 광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13을 참조하면, (a) 직경 3μm 크기의 원 형상의 섬유상 정전필터(비교예)와 (b) 직경 700μm 크기의 원 형상의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정전 필터(실시예2)의 실제 사진을 관찰 한 결과, 섬유상 정전필터(비교예)는 광투과도가 거의 없어 불투명하지만, 본 발명의 투명 마이크로 기공 포함 정전 필터(실시예2)는 광투과도가 높아 투명성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14는 기존의 섬유상 정전필터 및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정전 필터(실시예4)의 실제사진이다.
상기 도14 는 직경 200 μm 크기의 투명 마이크로 기공을 포함하는 정전 필터(실시예4)의 실제 사진이다.
상기 도14를 참조하면, 섬유상정전필터와 본 발명의 투명 마이크로 기공 정전필터의 투명성 확인을 위해 하부에 인물사진을 놓고 상부에 투명 마이크로 기공 정전 필터를 설치하여 비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기공을 포함하는 투명 필터가 매우 높은 투명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되되,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포함하며 착용시 착용자의 코와 입 부분을 가리게 구비된 본체부;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귀에 고정되는 착용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정전 특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은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cylic,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TG(Amorphous Copolyester), PC(Polycarbonate), PVC(Polyvinyl Chloride), COC(Cyclic Olefin Copolymers), Ionomer Resin,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SMMA(Styrene Methyl Methacrylate), SAN(Styrene Acrylonitrile Resin), PS(Polystyrene), MABS(Transparent ABS), 실리콘 고무,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로겔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의 직경은 1㎛ 내지 9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정전 필터에 포함된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의 개수는 단위면적당 1개/mm2 내지 100,000개/m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6. 상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특성은 코로나 방전, 플라즈마 방전 또는 이종 고분자 필름의 전기음성도 차이에 의한 정전기 생성에 의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7.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또는 십자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8.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광 투과도는 550nm 기준 1% 내지 9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9.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을 관통하도록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에 정전 특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은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cylic,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TG(Amorphous Copolyester), PC(Polycarbonate), PVC(Polyvinyl Chloride), COC(Cyclic Olefin Copolymers), Ionomer Resin,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SMMA(Styrene Methyl Methacrylate), SAN(Styrene Acrylonitrile Resin), PS(Polystyrene), MABS(Transparent ABS), 실리콘 고무,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로겔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은 단일층으로 사용하거나 두 겹 또는 세 겹을 겹쳐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은 단일층 또는 이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의 직경은 1㎛ 내지 9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의 개수는 단위면적당 1개/mm2 내지 100,000개/m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마이크로 퍼포레이션 공정을 수행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 필름을 관통하는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특성을 부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전 특성은 코로나 방전, 플라즈마 방전 또는 이종 고분자 필름의 전기음성도 차이에 의한 정전기 생성에 의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방전은 0.2kV 내지 50kV 전압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본체부 제조방법.
KR1020220086305A 2022-07-13 2022-07-13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KR20240009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305A KR20240009159A (ko) 2022-07-13 2022-07-13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305A KR20240009159A (ko) 2022-07-13 2022-07-13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159A true KR20240009159A (ko) 2024-01-22

Family

ID=8971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305A KR20240009159A (ko) 2022-07-13 2022-07-13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1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257A (ko) 2020-07-28 2022-02-04 주식회사 엠케이텍 투명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257A (ko) 2020-07-28 2022-02-04 주식회사 엠케이텍 투명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115B1 (ko) 점착제가 도포된 에어필터 및 그 제조방법
DE69617813T2 (de) Einweggesichtsmaske mit verbessertem Schutz gegen Flüssigkeit
WO2014024805A1 (ja) マスク
US10675489B2 (en) Air purifier having an electret module
US20220001068A1 (en) Self-decontaminat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ing uv light
CN112263030A (zh) 一种采用ptfe纳米滤材的平面防护口罩
KR20240009159A (ko) 마이크로 크기의 기공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마스크
TWM540661U (zh) 立體口罩
ITTO20000008A1 (it) Filtro nasale.
CN111616450A (zh) 一种非医用纳米膜过滤口罩
KR102328657B1 (ko) 밀착형 마스크
KR20210148670A (ko) 그래핀 폴리머 필터 및 제조방법
KR20170003970U (ko) 접착식 교체형 필터
KR20220045867A (ko) 투명 입체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14052A (ko) 미세먼지 여과용 복합 나노섬유 안면 마스크
GB2596280A (en) Face mask
KR20210006760A (ko) 부착형 코마개를 위한 시트 부재
CN212788863U (zh) 一种防病毒且透气的护目镜
KR102328660B1 (ko) 밀착형 마스크용 필터
CN212280010U (zh) 一种带防护面罩的粘贴式口罩
CN112932786B (zh) 一种全密封的护目镜
CN213344413U (zh) 一种透明口罩
KR102621805B1 (ko) 입 모양의 확인이 가능한 립뷰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JP3230604U (ja) マスク
TW202247887A (zh) 帶有靜電之過濾裝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