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553A - Spider type strap - Google Patents

Spider type str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553A
KR20240008553A KR1020220085520A KR20220085520A KR20240008553A KR 20240008553 A KR20240008553 A KR 20240008553A KR 1020220085520 A KR1020220085520 A KR 1020220085520A KR 20220085520 A KR20220085520 A KR 20220085520A KR 20240008553 A KR20240008553 A KR 20240008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fixing
band
stretch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5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김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우 filed Critical 김진우
Priority to KR102022008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553A/en
Publication of KR20240008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553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4Straps, band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Abstract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테두리에 소정 이격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 홀을 구비하는 들것에 장착되어, 환자 이송 시 환자의 부상정도에 따른 적합한 신체자세를 유지하도록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 끈으로서, 소정 폭을 갖는 중앙 띠; 상기 중앙 띠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다수 개의 고정 띠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중앙 띠에 결합되고, 상기 다수 개의 고정 띠의 폭 방향 양 측이 각각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되, 그 일면이 마주보도록 절곡되면서 상기 들것과 환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며 결합되어 환자를 상기 들것에 고정하는 몸체 고정부; 및 상기 몸체 고정부와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손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환자의 양 손목 부근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손목 고정부; 를 포함하는 거미형 고정 끈을 제공한다.It is mounted on a stretcher that has a predetermined area to support the patient's body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edge, and restricts the patient's movement to maintain an appropriate body posture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patient's injury when transporting the patient. As a fixing string, a central b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 plurality of fixed bands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central band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coupled to the central band, and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fixed bands in the width direction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re bent so that one side thereof faces each other. a body fixing part that is coupled to the stretcher and surrounds a part of the patient's body to secure the patient to the stretcher; and a pair of wrist fixing units coupled to the body fixing unit and each fastened near both wrists of the patient to limit hand movements of the patient. Provides a spider-type fixing strap including a.

Description

거미형 고정 끈 {SPIDER TYPE STRAP}Spider-type fixing strap {SPIDER TYPE STRAP}

본 발명은 들것에 환자를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한 거미형 고정 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ider-type fixation strap for safely fixing a patient on a stretcher.

일반적으로, 들것(stretcher)은 의식이 없거나 외상으로 인해 스스로 걷는 것이 불가능한 환자의 이송을 위해 사용된다.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었으며, 이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21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5929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9060호 등이 있다. Typically, stretchers are used to transport patients who are unconscious or unable to walk on their own due to trauma. It has been propos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and related technologies include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62159,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2359290, and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2069060.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들것(B) 중 긴척추고정판의 경우, 골절이나 척추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를 추가 손상 없이 이송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환자의 몸을 지지하도록 일정한 두께의 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테두리에는 환자의 몸이 긴척추고정판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끈(S)이 결합되는 결합부(다수 개의 관통 홀(B-h) 및 연결핀(B-c))를 구비한 구조로 제안된 바 있다.Among these various types of stretchers (B), the long spinal fixation plate is used to transport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fractures or spinal damage without additional damage. I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plate of a certain thickness to support the patient's body, and its border is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structure has a coupling part (multiple through holes (B-h) and connecting pins (B-c)) to which a fixing strap (S) is connected to secure the patient's body so that it does not fall off the long vertebral fixation plate.

이때, 고정 끈은 들것에 위치한 환자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지형 특성과 같은 불가피한 상황으로 인해 환자가 들것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들것에 환자를 안전하게 고정함과 더불어 교통사고, 추락사고 등으로 인해 척추 손상이 의심되거나 부상을 입은 환자의 이송 시, 들것에 위치한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구급장비이다.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a patient on a stretcher, the fixation strap secures the patient to the stretcher to prevent the patient from falling off the stretcher due to unavoidable circumstances such as terrain characteristics, and also secures the patient when spinal damage is suspected due to a traffic accident, fall, etc. It is a first-aid equipment used to limit the movement of an injured patient during transport to prevent further damage that may occur due to the movement of the patient on the stretcher.

그렇기에, 고정 끈을 이용해 환자의 신체를 들것에 단단히 고정하는 절차는 환자의 안전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환자의 이송 관련하여 제안된 종래기술들은 들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들것에 환자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끈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실정이다.Therefore, the procedure of firmly securing the patient's body to the stretcher using fixation straps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patient safety. However, the prior technologies proposed so far in relation to patient transport have focused on stretchers, and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research on fixation straps for securing patients to stretchers.

한편, 도1을 참조하여 들것에 환자를 고정하는 절차에 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들것(B)에 환자(P)를 위치시킨 뒤 고정 끈(S)을 이용해 환자의 상체 및 하체 중 어느 일부분을 고정함으로써 들것에 환자를 고정하고 있다.Meanwhile, to describe in more detail the procedure for fixing a patient on a stretcher with reference to Figure 1, place the patient (P) on the stretcher (B) and then use the fixing straps (S) to secure any part of the patient's upper and lower body. The patient is secured to the stretcher by fixing it.

이때, 환자의 팔은 최대한 환자의 몸통에 붙인 자세로 고정을 해야 하지만, 골반부위 고정 끈으로 같이 고정을 해서는 안 된다. 이유는 고정 끈이 하반신을 적절히 고정할 만큼 충분한 힘으로 조인다면 손의 순환이 손상될 수 있고, 고정 끈이 느슨하면 몸통이나 팔을 적절하게 고정할 수 없다. 또한 팔 고정 끈으로 몸통을 고정하는 경우 환자의 혈압을 측정하거나 정맥 주사를 시행하기 위해 고정 끈을 푸는 경우 몸통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추가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환자의 체격 조건에 따라 팔 부위가 들것의 밖에 위치되어 들것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경우, 몸통과 함께 고정 끈으로만 고정된 팔 부위는 환자가 의도적으로 팔 부위를 몸통에 붙이고 있지 않는다면 고정 끈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들것의 하방으로 탈락될 수밖에 없었다. 이 경우, 들것을 이용한 환자 이송 시, 들것의 하방으로 탈락된 팔이 지표면과 닿거나, 타 구조물들과 부딪히게 됨에 따라 환자에게 또 다른 부상이 초래될 수 있었다.At this time, the patient's arms should be fixed as close to the patient's torso as possible, but should not be fixed together with the pelvic fixation straps. The reason is that if the straps are tightened with enough force to properly secure the lower body, circulation in the hands may be impaired, and if the straps are loose, they cannot properly secure the torso or arms. In addition, when the torso is fixed with arm fixation straps, if the fixation straps are loosened to measure the patient's blood pressure or perform an intravenous injection, additional damage may occur as the torso is not fixed, and depending on the patient's physique, the arm area may be affected by the stretcher. When positioned outside and not supported by the stretcher, the arm part, which was fixed only with the straps along with the torso, was not supported by the straps and had no choice but to fall to the bottom of the stretcher unless the patient intentionally attached the arm to the torso. . In this case, when transporting a patient using a stretcher, the arm that fell off from the bottom of the stretcher may contact the ground or collide with other structures, resulting in another injury to the patient.

또한, 고정이 필요한 환자임에도 불구하고, 고정 끈을 이용한 신체 움직임 제한에 비협조적인 환자들(예컨대, 주취자, 정신질환자 등)의 경우, 팔을 몸통에 최대한 붙도록 위치시켜 몸통 체결만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고정 끈만으로는 환자의 손 움직임 제한이 어렵기에, 고정 끈을 이용한 환자의 움직임 제한에 한계가 존재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atients (e.g., drunkards, mentally ill patients, etc.) who, despite needing immobilization, are uncooperative in restricting body movement using restraint straps, conventional immobilization is performed in which only torso fastening is performed by positioning the arms as close to the torso as possible. Because it was difficult to restrict the patient's hand movements with straps alone, there were limits to restricting the patient's movements using fixed straps.

이는, 환자가 부상 정도에 적합한 신체 자세를 유지하는 것을 어렵게 할뿐만 아니라, 해당 환자의 손 움직임은 환자를 이송하는 의료진에게 위협으로 다가올 수 있어, 이로 인한 이송 지연 및 상해가 초래될 가능성이 존재하였다.This not only makes it difficult for the patient to maintain a body posture appropriate for the severity of the injury, but the patient's hand movements can pose a threat to the medical staff transporting the patient, resulting in the possibility of delayed transport and injury. .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들것에 환자를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한 거미형 고정 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spider-type fixation strap for safely fixing a patient on a stretcher.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상 정도에 적합한 신체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신체 움직임 제한이 필요하지만, 이에 비협조적인 환자들의 안전을 도모하는 거미형 고정 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pider-type fixation strap that promotes the safety of uncooperative patients who require restriction of body movement in order to maintain a body posture appropriate for the degree of injur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미형 고정 끈은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테두리에 소정 이격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 홀을 구비하는 들것에 장착되어, 환자 이송 시 환자의 부상정도에 따른 적합한 신체자세를 유지하도록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 끈으로서, 소정 폭을 갖는 중앙 띠; 상기 중앙 띠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다수 개의 고정 띠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중앙 띠에 결합되고, 상기 다수 개의 고정 띠의 폭 방향 양 측이 각각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되, 그 일면이 마주보도록 절곡되면서 상기 들것과 환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며 결합되어 환자를 상기 들것에 고정하는 몸체 고정부 및 상기 몸체 고정부와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손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환자의 양 손목 부근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손목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o achieve this purpose, the spider-type fixing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area to support the patient's body and is mounted on a stretche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edge to transport the patient. A fixing strap that restricts the patient's movement to maintain an appropriate body posture according to the patient's degree of injury, including a central b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 plurality of fixed bands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central band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coupled to the central band, and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fixed bands in the width direction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re bent so that one side thereof faces each other. A body fixing part that surrounds and combines the stretcher and a part of the patient's body to secure the patient to the stretcher, and a pair of body fixing parts coupled to the body fixing part and each fastened near both wrists of the patient to limit hand movements of the patient. It may include a wrist fixation part.

여기서 상기 다수 개의 고정 띠는 중앙부분이 상기 중앙 띠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어깨 부위를 상기 들것에 고정하는 제1 고정 띠 중앙부분이 상기 중앙 띠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발목 부위를 상기 들것에 고정하는 제2 고정 띠 및 상기 제1 고정 띠와 제2 고정 띠 사이에 배치되되, 중앙부분이 상기 중앙 띠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 띠에 결합되어, 상기 환자의 상체 및 하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위를 상기 들것에 고정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 띠―여기서,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 띠는 제3 고정 띠 내지 제n 고정 띠(여기서, n은 4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는 구성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고정 띠는 폭 방향의 양 측 각각의 일면에 환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환자의 신체와 타면의 접촉 면적을 조절하며 환자가 상기 들것에 고정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고정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xing bands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entral b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fixing band that secures the patient's shoulder to the stretcher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band, and the patient's ankle. A second fixing band for fixing the part to the stretch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band and the second fixing band, and the central portion is attached to the center band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center band to the other end. At least two or more fixation bands are combined and fix at least one part of the patient's upper body and lower body to the stretcher - where the at least two fixation bands are a third fixation band to an nth fixation belt (where n is 4) It is a composition that includes natural numbers (or more); It includes, and the plurality of fixing bands have fixing parts on one side of each side of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adjus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atient's body and the other surface according to 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 and to secure the patient to the stretcher. can do.

이때, 상기 손목 고정부는 상기 다수개의 고정 띠 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환자의 손목을 감싸며 체결되는 손목 고정 띠를 포함하고, 상기 손목 고정 띠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 띠 중 어느 하나의 고정 띠와 결합되는 결합부분 및 환자의 손목 둘레에 대응되는 길이로 조절되어 환자의 손목이 상기 결합부분과 결합된 어느 하나의 고정 띠에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분; 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rist fixation unit has a narrower width than the plurality of fixation bands and includes a wrist fixation strap that is fastened to surround the patient's wrist, and the wrist fixation strap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at least two fixation straps. a coupling part and a fastening part that is adjust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patient's wrist and is fastened so that the patient's wrist is fixed to one of the fixing band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may include.

또한, 상기 다수개의 고정 띠 중 어느 하나의 고정 띠에는 상기한 구성들을 하나로 결속하는 결속부분이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xing bands may be provided with a binding portion that binds the above components togeth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몸통 고정부에 결합된 손목 고정부에 의해 환자의 손을 별도로 지지하여 순환이 적절하게 유지되고 이송 중 환자의 혈압을 측정하거나 정맥 주사를 시행하기 위해 고정 끈을 푸는 경우에도 몸통 고정이 유지되어 추가 척추 손상 등을 예방할 수 있다. First, proper circulation is maintained by separately supporting the patient's hands by a wrist fixation unit coupled to the torso fixation unit, and torso fixation is maintained even when the restraint straps are loosened to measure the patient's blood pressure or perform an intravenous injection during transport. This can prevent further spinal damage.

둘째, 환자의 체격에 의해 팔 부위가 들것에 지지되지 않더라도 몸통 고정부에 의해 환자의 팔 부위가 일차적으로 지지가 되고, 몸통 고정부에 결합된 손목 고정부에 의해 환자의 손목이 이차적으로 지지가 되어, 환자의 체격조건과 관계없이 환자를 들것에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거미형 고정 끈을 제공할 수 있다.Second, even if the arm part is not supported by the stretcher due to the patient's physique, the patient's arm part is primarily supported by the torso fixing part, and the patient's wrist is secondarily supported by the wrist fixing part coupled to the torso fixing part.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ider-type fixing strap that can safely secure the patient to the stretcher regardless of 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

셋째, 환자의 손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손목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부상 정도에 적합한 신체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신체 움직임 제한이 필요하지만, 이에 비협조적인 환자들과 이들을 이송하는 구급대원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Third, by providing a wrist fixation unit that can restrict the patient's hand movements, it is necessary to limit body movement in order to maintain a body posture appropriate for the degree of injury, but it can also promote the safety of uncooperative patients and the paramedics transporting them. You can.

넷째, 다수개의 띠로 구성된 거미형 고정 끈을 하나로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부분을 구비함에 따라,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거미형 고정 끈은 휴대하기 간편한 크기로 정리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엉키지 않고 정리된 상태로 보관되기에 응급 상황 시 들것에 위치한 환자의 신속한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Fourth, as it is provided with a binding part for binding the spider-type fixing strings composed of multiple bands into one, the spider-type fixing string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be organized into a size that is easy to carry, but also can be kept organized without getting tangled. Because it is stored, it may be possible to quickly fix the patient on the stretcher in an emergency situation.

도1은 종래 고정 끈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것이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미형 고정 끈을 도시한 것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미형 고정 끈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를 들것에 고정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미형 고정 끈에서 손목 고정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미형 고정 끈에서 결속부분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is an example to explain a conventional fixing strap.
Figures 2a and 2b illustrate a spider-type fixing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show the patient's body being fixed to a stretcher using spider-type fixing stra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wrist fixation part in a spider-type fixation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to explain the binding portion of the spider-type fixing st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technical parts that are already well-know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brevity of explanation.

참고로, 들것에 위치한 환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거미형 고정 끈은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테두리에 소정 이격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 홀(B-h)을 구비하는 들것(B)에 장착되어, 환자 이송 시 환자의 부상정도에 따른 적합한 신체자세를 유지하도록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For reference, the spider-type fixing strap to ensure the safety of the patient located on the stretcher has a predetermined area to support the patient's body and is attached to the stretcher (B)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B-h)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edge. It is installed to limit the patient's movement during transport to maintain an appropriate body posture according to the patient's degree of injur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거미형 고정 끈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Below, the spider-type fixing strap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미형 고정 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미형 고정 끈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를 들것에 고정한 것을 예시한 것이며, 도3b는 도3a의 예시도에서 들것에 고정된 환자의 손목 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미형 고정 끈에서 손목 고정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미형 고정 끈에서 결속부분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 Figures 2a and 2b are illustrations to explain a spider-type fixation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a shows a patient's body being placed on a stretcher using a spider-type fixation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of fixation, and Figure 3b is an enlarged view of the patient's wrist fixed to the stretcher in the example of Figure 3a. Figure 4 illustrates the wrist fixing part of the spider-type fixing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shows the binding part of the spider-type fixing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미형 고정 끈(100)은 중앙 띠(110), 몸체 고정부(120), 손목 고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s 2 to 4, the spider-type fixing strap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band 110, a body fixing part 120, and a wrist fixing part 130.

중앙 띠(110)는 소정 폭을 가지며, 후술할 다수 개의 고정 띠(121 내지 125)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구성이다. 이때, 중앙 띠(110)는 그 길이 방향이 들것(B)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되, 들것(B)에 위치한 환자의 가슴 쪽인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central band 110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a longer length than the plurality of fixed bands 121 to 1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central band 110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etcher (B), and may be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stretcher (B), toward the chest of the patient.

몸체 고정부(120)는 중앙 띠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다수 개의 고정 띠(121 내지 125)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중앙 띠(110)에 결합되고, 다수 개의 고정 띠(121 내지 125)의 폭 방향 양 측이 각각 관통 홀(B-h)을 통과하되, 그 일면이 마주보도록 절곡되면서 들것과 환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며 결합되어 환자를 들것(B)에 고정한다.The body fixing part 120 has a plurality of fixing bands 121 to 125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central strip,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coupled to the central strip 110,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fixing strips 121 to 125. Both sides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B-h), but one side is bent to face the stretcher and a part of the patient's body and is combined to secure the patient to the stretcher (B).

이때, 몸체 고정부(120)는 제1 고정 띠(121) 내지 제n 고정 띠(미도시, 여기서 n은 4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는 다수 개의 고정 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거미형 고정 끈(100)은 제1 고정 띠(121) 내지 제5 고정 띠(125)로 제안되었으나, 몸체 고정부(120)를 구성하는 고정 띠의 수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the body fixing part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bands including the first fixing band 121 to the nth fixing band (not show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of 4 or more). For reference, the spider-type fixing strap 10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as the first fixing band 121 to the fifth fixing band 125, but the number of fixing bands constituting the body fixing part 120 is limited to this. Of course it doesn't work.

이하에서는,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다수 개의 고정 띠(121 내지 125)의 구조를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2a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거미형 고정 끈(100)의 사진이고, 도2b는 도2a에 도시된 거미형 고정 끈(100)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고정 띠(121 내지 125)의 일 측은 고정부분(121C 내지 125C)간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그 타 측은 각 고정부분(121C 내지 125C)간 결합이 유지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도2a에 도시된 거미형 고정 끈(100)은 다수 개의 고정 띠(121 내지 125)의 각 고정부분(121C 내지 125C)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fixing bands 121 to 12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or reference, Figure 2a is a photograph of the spider-type fixing string 10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b shows a plurality of fixing bands ( One side of 121 to 125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between the fixing parts 121C to 125C is released, and the other side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between the fixing parts 121C to 125C is maintained. At this time, the spider-shaped fixing strap 100 shown in Figure 2a shows a state in which each fixing portion (121C to 125C) of the plurality of fixing bands (121 to 125) is coupled.

제1 고정 띠(121)는 중앙부분(121M)이 중앙 띠(110)의 일단에 결합되고, 환자의 어깨 부위(SP)를 들것(B)에 고정한다. The central portion (121M) of the first fixing band 121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entral band 110, and fixes the patient's shoulder area (SP) to the stretcher (B).

제1 고정 띠(121)에 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고정 띠(121)는 제1 고정 띠(121)의 중앙부분(121M)을 기준으로, 폭 방향의 양 측(121A, 121B)이 환자의 양 어깨부위(SP)를 들것에 고정하도록 소정 각도를 이루며 중앙 띠(110)에 결합되어 있다. To describe the first fixing strip 121 in more detail, the first fixing strip 121 has both sides 121A and 121B in the width direction,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121M of the first fixing strip 121. It is coupled to the central band 110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ix both shoulder parts (SP) of the patient to the stretcher.

이때, 제1 고정 띠(121)의 일 측(121A)과 타 측(121B) 각각의 일면에는 환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환자의 신체와 타면의 접촉 면적을 조절하며 환자가 들것(B)에 고정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고정부분(121C)이 구비된다. At this time, on one side (121A) and the other side (121B) of the first fixation band 121,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atient's body and the other sid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 and the patient is fixed to the stretcher (B). Fixing portions 121C that are preferably coupled to each other are provided.

일예로, 고정부분(121C)이 벨크로(Velcro)로 마련될 경우, 제1 고정 띠(121)의 일면에는 소정 면적의 암 벨크로 및 수 벨크로가 이웃하게 배치되어, 들것(B) 상단에 위치한 관통 홀(B-h)을 통과한 뒤 들것(B)의 테두리를 감으면서 환자의 어깨 부위(SP)에 위치한 제1 고정 띠(121) 일면과 관통 홀(B-h)을 통과한 부분의 일면이 상호 마주 접하며 암 벨크로 및 수 벨크로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제1 고정 띠(121)의 일 측(121A)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제1 고정 띠(121)의 타 측(121B)은 상술한 일 측(121A)과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For example, when the fixing part 121C is made of Velcro, female Velcro and male Velcro of a predetermined area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first fixing band 121, so that the After passing through the hole (B-h), one side of the first fixation band (121) located at the patient's shoulder area (SP) and one side of the portion that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B-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wrapping around the edge of the stretcher (B). As the female Velcro and the male Velcro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one side (121A) of the first fixing band 121 is fixed. For reference, since the other side 121B of the first fixing band 121 is provided with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one side 121A described above, its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참고로, 타면의 접촉 면적을 조절한다 함은 제1 고정 띠(121) 혹은 타 고정 띠(제2 고정 띠 내지 제5 고정 띠)가 환자의 신체 일부를 들것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일 측(121A) 또는 타 측(121B)의 중앙부분(121M)에서부터 들것(B)의 테두리까지 이르는 길이를 환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For reference, adjusting the contact area of the other surface means that the first fixation band 121 or other fixation bands (second to fifth fixation bands) can be used on one side (121A) to fix part of the patient's body to the stretcher. ) or adjusting the length from the central part (121M) of the other side (121B) to the edge of the stretcher (B) to suit 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s.

이때, 고정부분(121C)은 앞서 언급한 벨크로 외에도, 암수 구별이 없는 테이프(예컨대, 듀얼락), 버클, 스냅 단추 등의 결합부재들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만약, 버클과 스냅 단추가 적용된다면, 환자 신체 조건에 맞춰 제1 고정 띠(121)의 양 측(121A, 121B) 각각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xing portion 121C can be made of any one of bonding members such as tape (e.g., dual lock), buckle, snap button, etc., in addition to the Velcro mentioned above. If a buckle and a snap button are applied, a length adjustment part (not shown)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each side (121A, 121B) of the first fixation band 121 according to 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s may be further included.

제2 고정 띠(122)는 중앙부분(122M)이 중앙 띠(110)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발목 부위(AP)를 들것(B)에 고정한다. The central portion (122M) of the second fixing band 122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band 110, and fixes the patient's ankle area (AP) to the stretcher (B).

제2 고정 띠(122)에 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고정 띠(122)는 제2 고정 띠(122)의 중앙부분(122M)을 기준으로 폭 방향의 양측(122A, 122B) 각각의 일면에 환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환자의 신체와 타면의 접촉 면적을 조절하며 환자가 들것(B)에 고정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고정부분(122C)이 구비된다.To describe the second fixing band 122 in more detail, the second fixing band 122 has two sides (122A, 122B) in the width direction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122M) of the second fixing band (122). On one side, a fixing part 122C is provided that adjust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atient's body and the other side according to 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 and is coupled to the patient to fix it to the stretcher (B).

여기서, 고정부분(122C)은 벨크로, 암수 구별이 없는 테이프(예컨대, 듀얼락), 버클, 스탭 단추 등의 결합부재들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어, 제2 고정 띠(122)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fixing portion 122C is provided with any one of coupling members such as Velcro, non-gendered tape (e.g., dual lock), buckle, and staff button, an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fixing band 122. .

이때, 제2 고정 띠(122)의 일 측(122A) 또는 타 측(122B) 중 어느 한 측의 일면은 상술한 결합부재로 구성된 고정부분(122C)이 배치되며, 들것(B) 양 측에 위치한 관통 홀(B-h)을 통과한 뒤 들것(B)의 테두리를 감으면서 환자의 발목 부위(AP)에 위치한 제2 고정 띠(122) 일면과 관통 홀(B-h)을 통과한 부분의 일면이 상호 마주 접하며 결합부재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제2 고정 띠(122)의 일 측(122A) 또는 타 측(122B)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a fixing part 122C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coupling member is disposed on either one side 122A or the other side 122B of the second fixing band 122, and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tretcher B.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B-h), one side of the second fixing band (122) located at the patient's ankle area (AP) and one side of the part that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B-h) are mutually aligned around the edge of the stretcher (B). As the coupling member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one side (122A) or the other side (122B) of the second fixing band 122 is fixed.

제3 고정 띠(123) 내지 제n 고정 띠(여기서, n은 4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 띠(123 내지 125)는, 제1 고정 띠(121)와 제2 고정 띠(122) 사이에 배치되되, 중앙부분(123M 내지 125M)이 중앙 띠(110)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중앙 띠(110)에 결합되어, 환자의 상체 및 하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위를 들것(B)에 고정한다.At least two fixed bands 123 to 125, including the third fixed band 123 to the nth fixed band (where n is a natural number of 4 or more), include the first fixed band 121 and the second fixed band 122. ), and the central portion (123M to 125M) is coupled to the central band 110 to enabl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central band 110 to the other end, so that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body of the patient Secure one part to the stretcher (B).

제3 고정 띠(123) 내지 제5 고정 띠(125) 중 어느 하나의 고정 띠를 기준으로 상기한 고정 띠(123 내지 125)에 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3 고정 띠(123)는 제3 고정 띠(123)의 중앙부분(123M)을 기준으로 폭 방향의 양측(123A, 123B) 각각의 일면에 환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환자의 신체와 타면의 접촉 면적을 조절하며 환자가 들것(B)에 고정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고정부분(123C)이 구비된다.To describe in more detail the above-mentioned fixing bands (123 to 125) based on one of the third fixing bands 123 to 5th fixing bands 125, the third fixing band 123 is the 3 Based on the central part (123M) of the fixing band (123),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atient's body and the other surfac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 on one side of each side (123A, 123B)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patient is placed on a stretcher (B ) are provided with fixing parts 123C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fixed to each other.

여기서, 고정부분(123C)은 벨크로, 암/수 구분이 없는 테이프(예컨대, 듀얼락), 버클, 스탭 단추 등의 결합부재들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어, 제3 고정 띠(123)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fixing part 123C is provided with any one of coupling members such as Velcro, a tape without distinction between male and female (e.g., dual lock), a buckle, and a staff button,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hird fixing band 123. You can.

이때, 제3 고정 띠(123)의 일 측(123A) 또는 타 측(123B) 중 어느 한 측의 일면은 상술한 결합부재로 구성된 고정부분(123C)이 배치되며, 환자의 상체 및 하체 부위 중 고정을 수행할 신체 부위에 이동 배치된 제3 고정 띠(123)의 양 측 각각이 들것(B) 양 측에 위치한 관통 홀(B-h)을 통과한 뒤 들것(B)의 테두리를 감으면서 환자의 신체 부위에 안착된 제3 고정 띠(122)의 일부 일면과 관통 홀(B-h)을 통과한 부분의 일면이 상호 마주 접하며 결합부재가 서로 결합되고, 이에 따라 제3 고정 띠(122)의 일 측(123A) 또는 타 측(123B)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제3 고정 띠(123)를 기준으로 상술한 기술적 특징은 제3 고정 띠(123)에만 한정되지 않고 제4 고정 띠(124) 및 제5 고정 띠(125)에도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At this time, the fixing part 123C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coupling member is disposed on one side of either one side 123A or the other side 123B of the third fixing band 123, and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hird fixing band 123 among the upper and lower body parts of the patient. Each side of the third fixation band 123, which is movably placed on the body part to be fixe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s (B-h)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tretcher (B) and then wraps around the edge of the stretcher (B) to secure the patient's One side of the third fixing band 122 seated on the body part and one side of the par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B-h) face each other and the coupling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us one side of the third fixing band 122 (123A) or the other side (123B) is fixed.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third fixing band 123 are not limited to the third fixing band 123, but also apply to the fourth fixing band 124 and the fifth fixing band 125, so the description thereof is redundant. I would like to omit it.

참고로, 제3 고정 띠(123) 내지 제5 고정 띠(125)는 환자의 상체 및 하체 부위 중 고정을 수행할 신체 부위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고정을 수행하도록 환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중앙 띠(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3 고정 띠(123) 내지 제5 고정 띠(125)의 중앙부분(123M 내지 125M)에는 중앙 띠(110)와 결합되되, 중앙 띠(11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부분(MP)이 구비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third fixation band 123 to the fifth fixation band 125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ody part to be fixed among the patient's upper and lower body parts, and the central band is tailored to 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 to perform fixation. It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10). At this time, the central portion (123M to 125M) of the third fixed band 123 to the fifth fixed band 125 has a movable part (MP) that is coupled to the central band 110 and can move along the central band 110. It can be provided.

손목 고정부(130)는 한 쌍 구비되며, 몸체 고정부(120)에 결합되고, 환자의 손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환자의 양 손목 부근에 각각 체결되는 구성이다. A pair of wrist fixing units 130 are provided, and are coupled to the body fixing unit 120, each of which is fastened near both wrists of the patient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patient's hands.

여기서, 손목 고정부(130)는 다수개의 고정 띠(제1 고정 띠 내지 제5 고정 띠)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환자의 손목을 감싸며 체결되는 손목 고정 띠(131)를 포함하고, 손목 고정 띠(131)는 결합부분(131-1) 및 체결부분(13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wrist fixation unit 130 has a narrower width than the plurality of fixation bands (the first to fifth fixation bands) and includes a wrist fixation band 131 that is fastened to surround the patient's wrist, and the wrist fixation band. (131) includes a coupling portion (131-1) and a fastening portion (131-2).

참고로, 손목 고정 띠(131)는 손목이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신축성이 없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또한, 손목 고정 띠(131)의 일면 즉, 환자의 손목이 맞닿게 되는 면에는 쿠션감 있는 재질이나 피부 트러블 혹은 상처를 유발하지 않는 재질의 천이 덧대어져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손목 고정 띠(131)의 일면에는 생체센서(미도시)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손목 고정부(130)에 손목이 체결된 환자의 맥박, 호흡수, 체온 등의 생체신호를 실시간 센싱하여 이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기기(예를 들어, 구급대원이 구비하는 단말기)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확인 가능할 수 있다. For reference, it may be desirable for the wrist fixation band 131 to be made of a non-elastic material to prevent the wrist from easily slipping off,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dditionally, one side of the wrist fixation band 131, that is, the side where the patient's wrist comes into contact, may be covered with a cushioned material or a cloth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cause skin problems or injuries. In addition, a biometric sensor (not shown)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wrist fixation band 131, and in this case, biometric signals such as pulse, respiration rate, and body temperature of the patient whose wrist is fastened to the wrist fixation part 130 are monitored. The patient's condition may be confirmed through a device capable of real-time sensing and data communication (for example, a terminal provided by a paramedic).

결합부분(131-1)은 상술한 제3 고정 띠(123) 내지 제5 고정 띠(125) 중 어느 하나의 고정 띠와 결합되는 구성이다. 참고로, 손목 고정부(130)는 제3 고정 띠(123) 내지 제5 고정 띠(125) 중 환자의 손목 부근에 이동 배치된 어느 하나의 고정 띠(예컨대, 제4 고정 띠)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upling portion 131-1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third to fifth fixing bands 123 to 125 described above. For reference, the wrist fixation unit 130 is located on any one of the third fixation bands 123 to 5th fixation bands 125 (e.g., the fourth fixation band) located movably near the patient's wrist. It is desirable.

일예로, 결합부분(131-1)은 제4 고정 띠(124)의 타면에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손목 고정부(130)가 몸체 고정부(120)에서 쉽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Fo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131-1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ourth fixing band 124. This is to prevent the wrist fixing part 130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body fixing part 120 due to the patient's movement.

또 다른 예로, 결합부분(131-1)이 제4 고정 띠(124)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분(131-1)은 고정력이 강한 고정부재가 적용되어 제4 고정 띠(124)에서 환자 움직임에 의해 손목 고정부(130)가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하며, 손목 고정부(130) 단독으로 종래 고정 끈에 적용되어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anothe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131-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ourth fixing band 124. In this case, a fixing member with strong fixing force is applied to the coupling portion 131-1 to prevent the wrist fixing part 130 from being easily removed due to patient movement in the fourth fixing band 124, and the wrist fixing part 130 Of course, it can be used alone by applying it to a conventional fixing strap.

체결부분(131-2)은 환자의 손목 둘레에 대응되는 길이로 조절되어 환자의 손목이 결합부분(131-1)과 결합된 어느 하나의 고정 띠에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구성이다. 이때, 체결부분(131-2)은 손목 고정 띠(131)의 타면 즉, 손목에 맞닿는 일면의 반대면에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131-2 is adjust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patient's wrist and is fastened so that the patient's wrist is fixed to one of the fixing bands coupled with the coupling part 131-1. At this time, the fastening portion 131-2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for fastening on the other side of the wrist fixing strap 131, that is,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that contacts the wrist.

이때, 체결부재는, 벨크로, 암/수 구분이 없는 테이프(예컨대, 듀얼락), 버클, 스탭 단추 등의 부재들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member may be any one of members such as Velcro, tape without distinction between male and female (eg, dual lock), buckle, and staff button.

일예로, 체결부분(131-2)에 적용된 체결부재가 벨크로인 경우, 손목 고정 띠(131)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결합부분(131-1)을 기준으로 폭 방향 양측 중 일 측에 암 벨크로가 구비되고, 타 측에 수 벨크로가 구비되어, 손목 고정 띠(131)의 타면이 맞닿으며 체결부분(131-2)에 의한 손목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astening member applied to the fastening part 131-2 is Velcro, arm Velcro is installed on one side of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based on the coupling part 131-1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wrist fixing band 131. It is provided, and male Velcro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wrist fixing band 131 comes into contact and the wrist can be fastened by the fastening portion 131-2.

한편,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거미형 고정 끈(100)은 다수개의 고정 띠 중 어느 하나의 고정 띠에 상기한 구성들을 하나로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분(BP)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결속부분(BP)은 제1 고정 띠(121)의 타면에 구비될 수 있으나, 그 배치 위치는 제1 고정 띠(121)에 한정되지 않는다.Meanwhile, the spider-type fixing strap 10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binding portion (BP) for bind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o one fixing band among a plurality of fixing bands. For example, the binding portion BP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ixing band 121, but its arrangement position is not limited to the first fixing band 121.

이때, 결속부분(BP)은 소정의 폭을 갖는 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그 중앙부분이 어느 하나의 고정 띠(예컨대, 제1 고정 띠(121))의 타면에 고정 결합되고, 중앙 띠(110), 몸체 고정부(120) 및 손목 고정부(130)를 차곡차곡 정리한 뒤 일면이 상기한 구성들과 마주 접하며 감싸면서 타면에 위치한 결속부재(미도시)를 결속시킴으로써 상기한 구성들을 하나로 결속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binding portion BP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b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e central portion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one of the fixed bands (e.g., the first fixed band 121), and the central band 110 After arranging the body fixing part 120 and the wrist fixing part 130 one by one,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and wrapped around them, and the binding member (not shown) located on the other side is bound to bind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into one. You can.

이때, 결속부재는, 벨크로, 암/수 구분이 없는 테이프(예컨대, 듀얼락), 버클, 스탭 단추 등의 부재들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inding member may be any one of members such as Velcro, non-male/female tape (eg, dual lock), buckle, and staff button.

만약, 벨크로가 적용될 경우, 결속부분(BP)의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폭 방향 양측 중 일 측에 암 벨크로가 구비되고, 타 측에 수 벨크로가 구비되어, 결속부분(140)의 타면이 상호 맞닿으며 결속부분(BP)에 의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If Velcro is applied, female Velcro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relative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inding portion (BP), and male Velcro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other surfaces of the binding portion 14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binding can be achieved by the binding part (BP).

해당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거미형 고정 끈(100)은 휴대하기 간편한 크기로 정리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엉키지 않고 정리된 상태로 보관되기에 응급 상황시 들것에 위치한 환자의 신속한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spider-type fixing strap 10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be organized into a size that is easy to carry, but can also be stored in an organized state without becoming tangled, allowing for quick fixation of a patient placed on a stretcher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may be possibl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way of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explained by referring to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possible, and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claims described later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100 : 거미형 고정 끈
110 : 중앙 띠
120 : 몸체 고정부
121 : 제1 고정 띠
121M : 중앙부분
121A : 일 측
121B : 타 측
121C : 고정부분
122 : 제2 고정 띠
122M : 중앙부분
122A : 일 측
122B : 타 측
122C : 고정부분
123 : 제3 고정 띠
123M : 중앙부분
123A : 일 측
123B : 타 측
123C : 고정부분
124 : 제4 고정 띠
124M : 중앙부분
124A : 일 측
124B : 타 측
124C : 고정부분
125 : 제5 고정 띠
125M : 중앙부분
125A : 일 측
125B : 타 측
125C : 고정부분
MP : 이동부분
BP : 결속부분
130 : 손목 고정부
131 : 손목 고정 띠
131-1 : 결합부분
131-2 : 체결부분
B : 들것
B-h : 관통 홀
SP : 어깨부위
AP : 발목부위
100: Spider-type fixing strap
110: central band
120: body fixing part
121: first fixing band
121M: Center part
121A: One side
121B: Other side
121C: Fixed part
122: second fixing band
122M: Center part
122A: One side
122B: Other side
122C: Fixed part
123: Third fixing band
123M: Center part
123A: One side
123B: Other side
123C: Fixed part
124: Fourth fixing band
124M: Center part
124A: One side
124B: Other side
124C: Fixed part
125: 5th fixing band
125M: Center part
125A: One side
125B: Other side
125C: Fixed part
MP: moving part
BP: Binding part
130: wrist fixing unit
131: Wrist fixation strap
131-1: Joint part
131-2: Fastening part
B: stretcher
Bh: Through hole
SP: Shoulder area
AP: ankle area

Claims (4)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테두리에 소정 이격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 홀을 구비하는 들것에 장착되어, 환자 이송 시 환자의 부상정도에 따른 적합한 신체자세를 유지하도록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고정 끈으로서,
소정 폭을 갖는 중앙 띠;
상기 중앙 띠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다수 개의 고정 띠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중앙 띠에 결합되고, 상기 다수 개의 고정 띠의 폭 방향 양 측이 각각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되, 그 일면이 마주보도록 절곡되면서 상기 들것과 환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며 결합되어 환자를 상기 들것에 고정하는 몸체 고정부; 및
상기 몸체 고정부와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손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환자의 양 손목 부근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손목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미형 고정 끈.
It is mounted on a stretcher that has a predetermined area to support the patient's body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edge, and restricts the patient's movement to maintain an appropriate body posture according to the patient's degree of injury when transporting the patient. As a fixing strap,
a central b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 plurality of fixed bands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central band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coupled to the central band, and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fixed bands in the width direction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re bent so that one side thereof faces each other. a body fixing part that is coupled to the stretcher and surrounds a part of the patient's body to secure the patient to the stretcher; and
A pair of wrist fixing units coupled to the body fixing unit and each fastened near both wrists of the patient to limit hand movements of the patient; Characterized by including
Spider type fastening str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고정 띠는,
중앙부분이 상기 중앙 띠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어깨 부위를 상기 들것에 고정하는 제1 고정 띠;
중앙부분이 상기 중앙 띠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발목 부위를 상기 들것에 고정하는 제2 고정 띠; 및
상기 제1 고정 띠와 제2 고정 띠 사이에 배치되되, 중앙부분이 상기 중앙 띠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 띠에 결합되어, 상기 환자의 상체 및 하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위를 상기 들것에 고정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 띠―여기서,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 띠는 제3 고정 띠 내지 제n 고정 띠(여기서, n은 4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는 구성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고정 띠는, 폭 방향의 양 측 각각의 일면에 환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환자의 신체와 타면의 접촉 면적을 조절하며 환자가 상기 들것에 고정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고정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미형 고정 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lurality of fixed bands are,
a first fixing band whose central portion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entral band and which secures the patient's shoulder area to the stretcher;
a second fixing band whose central portion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band and which secures the patient's ankle to the stretcher;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xation band and the second fixation band, and the central portion is coupled to the center band to enabl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center band to the other end, and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body of the patient. At least two or more fixing bands for fixing one part to the stretcher—here, the at least two or more fixing bands include a third fixing band to an n-th fixing band (where n is a natural number of 4 or more); Including,
The plurality of fixing bands are characterized by having fixing parts on one side of each side of the two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adjus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atient's body and the other surface according to the patient's physical condition and to secure the patient to the stretcher. to do
Spider type fastening stra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 고정부는,
상기 다수개의 고정 띠 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환자의 손목을 감싸며 체결되는 손목 고정 띠; 를 포함하고,
상기 손목 고정 띠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 띠 중 어느 하나의 고정 띠와 결합되는 결합부분; 및
환자의 손목 둘레에 대응되는 길이로 조절되어 환자의 손목이 상기 결합부분과 결합된 어느 하나의 고정 띠에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미형 고정 끈.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wrist fixation part,
A wrist fixation band that has a narrower width than the plurality of fixation bands and is fastened to surround the patient's wrist; Including,
The wrist fixation band,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one of the at least two fixing bands; and
A fastening part that is adjust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patient's wrist and is fastened so that the patient's wrist is fixed to one of the fixing band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Characterized by including
Spider type fastening stra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고정 띠 중 어느 하나의 고정 띠에는 상기한 구성들을 하나로 결속하는 결속부분; 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미형 고정 끈.
According to paragraph 2,
One of the plurality of fixing bands includes a binding portion that binds the above components together; A spider-type fixing strap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KR1020220085520A 2022-07-12 2022-07-12 Spider type strap KR202400085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520A KR20240008553A (en) 2022-07-12 2022-07-12 Spider type str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520A KR20240008553A (en) 2022-07-12 2022-07-12 Spider type str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553A true KR20240008553A (en) 2024-01-19

Family

ID=8971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520A KR20240008553A (en) 2022-07-12 2022-07-12 Spider type str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855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1218A (en) Spinal restraint device
US6602214B2 (en) Orthotic trauma device
EP3463215B1 (en) Orthopedic device
US5027833A (en) Extrication and spinal restraint device
US5358470A (en) Shoulder immobilization restraint
US4528981A (en) Cervical immobilization device
US4907576A (en) Orthopaedic device using non-stretch material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7708019B2 (en) Spinal restraint device
US5829443A (en) Immobilization device and method
US7074201B2 (en) Measurement device for fitting a bracing device
GB2453996A (en) Adjustable cervical collar with size indicating means
US5038799A (en) Restraint system
JP4566582B2 (en) Shoulder joint orthosis
US20200085604A1 (en) Orthosis, In Particular Orthosis For Gonarthrosis
US20060135898A1 (en) Pelvic brace
US20200100928A1 (en) Ankle brac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080132817A1 (en) Brace for use with an external fixation device
KR20240008553A (en) Spider type strap
US20110105970A1 (en) Anatomical support braces and methods
RU2675741C2 (en) Improved ridge corset
US20200100929A1 (en) Ankle brac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150366742A1 (en) Ambulation shorts
US5370605A (en) Cervical visualization harness
CN217526053U (en) Stomach tube fixing device
CA2429494C (en) Orthotic traum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