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498A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amtion on scope of pedestrian life using mutual relation of linea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multi-consecutive roads and space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amtion on scope of pedestrian life using mutual relation of linea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multi-consecutive roads and space inform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8498A KR20240008498A KR1020220085412A KR20220085412A KR20240008498A KR 20240008498 A KR20240008498 A KR 20240008498A KR 1020220085412 A KR1020220085412 A KR 1020220085412A KR 20220085412 A KR20220085412 A KR 20220085412A KR 20240008498 A KR20240008498 A KR 202400084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road
- area
- location
- pedestria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20 mathematical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07 mod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행생활권 정보제공방법은 주소식별체계에 대한 고유코드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단계; 탐색의 기준이 되는 로케이션에 대한 정보와, 기준도보시간 또는 기준도보거리에 대한 리퀘스트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단계; 상기 로케이션에 해당하는 고유코드정보 및 상기 리퀘스트정보를 이용한 분석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상기 로케이션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보행권영역인 타겟영역을 생성하는 메인처리단계; 및 상기 타겟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providing pedestrian living area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storage step in which unique code information for an address identification system is stored; An input step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that serves as the standard for search and request information about the standard walking time or standard walking distance are input; A main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analysis processing using the unique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to generate a target area, which is a pedestrian area set based on the location;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area.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보(보행)로 이동 가능한 영역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는 방법 등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저(users) 등으로부터 지정된 로케이션을 기준점으로 최근접한 도로는 물론, 이와 다중적으로 연결되는 도로들의 선형적 특성정보 파싱, 파싱 결과를 이용한 연속적 경로구간의 생성 및 그 경로구간에 따른 버퍼 영역의 설정 등을 통하여 보행이 실제 가능한 영역만으로 이루어지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니즈를 더욱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기초로 더욱 실질적이고 다양한 응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보행생활권 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reas that can be moved on foot, and more specifically, the nearest road as a reference point to a location designated by users, etc., as well as roads multiplely connected thereto. User needs can be more accurately reflected by providing information consisting of only areas where walking is actually possible through parsing the linear characteristic information, creating a continuous route section using the parsing results, and setting a buffer area according to the route section. Of course, it is about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destrian living area information that can provide more practical and diverse appl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is.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 서비스가 확대됨에 따라 위치기반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디지털 정보와의 융·복합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커짐에 따라 이러한 서비스 수요는 더욱 다양한 주제와 분야 등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and smart services expand, the demand for services that provide location-based information continues to increase. As the need for convergence services with various digital information grows, the demand for these services becomes more diverse. There is a trend of expanding into topics and fields.
위치정보 또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 등을 이용한 대표적인 서비스로 위치 검색, 길찾기, 경로 검색 등을 들 수 있으며, 최근에는 부동산 정보, 생활SOC시설정보, 공공시설정보, 대중교통정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주거입지선택 등을 위한 서비스로도도 위치정보 또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 등이 활용되고 있다.Representative services using location information or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include location search, directions, route search, etc. Recently, real estate information, living SOC facility information, public facility information,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etc. are provided. Location information or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is also used as a service for residential location selection based on various factors.
주거입지선택 등을 위한 종래 서비스(네이버, 다음, 직방, 부동산 114, KB부동산 등)는 주로 매물 부동산의 가격, 시세, 통계정보, 내부사진정보, 인접 공공시설정보 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들 대부분은 특정 부동산(아파트, 주택, 상가 등)을 기준으로 미리 고정적으로 저장된 단편적인 정보가 일방향성을 가지며 제공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주거입지선택 그 자체를 위한 서비스가 아니라도 하더라도 이에 준하는 정보 탐색 및 확인 등을 위한 서비스에서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Conventional services for residential location selection (Naver, Daum, Zigbang, Real Estate 114, KB Real Estate, etc.) mainly provide prices, market prices, statistical information, internal photo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adjacent public facilities, etc. of real estate for sale. However, most of these methods take the form of providing one-way, fragmented information that is stored in advance based on a specific real estate (apartment, house, shopping mall, etc.). Even if it is not a service for residential location selection itself, it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is service for searching and confirming information.
부동산 가격정보는 물론, 주요활동지까지의 접근성, 교육시설, 대중교통시설, 공원 및 문화시설의 근접성, 사회SOC 시설 등이 주거입지 등의 확인이나 탐색 등에 종합적으로 반영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기준이나 우선순위는 사용자마다 상이하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종래 서비스 방법론은 일부 단편적인 편익을 제공할 수 있을지는 모르나 종합적이고 입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며, 나아가 탐색 기준, 범위, 영역, 우선순위 등이 가변적으로 변화되는 동적(dynamic) 환경에 최적화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real estate price information, accessibility to major activity areas, educational facilities,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proximity to parks and cultural facilities, social SOC facilities, etc. are comprehensively reflected in the confirmation or search of residential locations, etc., and the standards and priorities for this are comprehensively reflected. Considering that rankings are different for each user, the conventional service methodology may provide some fragmented benefits, but cannot provide comprehensive and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nd furthermore, the search criteria, scope, area, priority, etc. are variable. It can be said that it has limitations that cannot be optimized for a changing dynamic environment.
일부 종래 서비스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 도보로 소요되는 시간정보를 제공하거나 특정 포인트를 기준으로 도보에 의하여 동일 시간 내 도달할 수 있는 영역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Some conventional services provide information on the time required to walk between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or provide information on areas that can be reached within the same time by walking based on a specific point.
그러나 이러한 정보는 실제 보행이 가능한 도로(인도)를 기준으로 생성된 것이 아니라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직선거리 또는 특정포인트와 반경 등을 이용한 기하학적 방식으로 연산된 정보이므로 보행/도보에 대한 실질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본질적인 문제가 있다.However, this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based on an actual walkable road (sidewalk), but is calculated in a geometric manner using the straight-line distance between the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or a specific point and radius, etc., so it reflects the reality of walking/walking. There is an inherent problem that it cannot be done.
나아가 종래 이러한 서비스는 사용자 등에 의하여 설정된 특정영역 내 소재하는 시설로서,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시설들의 종류, 개수, 분포 현황 등에 대한 공간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개별적으로 별도의 확인 과정을 통해 해당 정보를 취득해야만 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나 지향성에 부합되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있다.Furthermore, conventionally, these services are facilities located within a specific area set by the user, etc., and do not provide spatial information on the type, number, distribution status, etc. of the facilities the user wishes to check, so if necessary, the user must go through a separate confirmation process individually.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does not meet user convenience or orientation because the relevant information must be obtain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도로의 선형적 특성정보와 이들의 상호 관계를 연속화시키는 프로세싱 등을 통하여 보행경로를 더욱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기반으로 보행권(보행생활권) 영역 내 위치하는 다양한 공간정보를 사용자 지향적 환경으로 제공할 수 있는 보행생활권 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gainst the above background, and it is possible to reflect the pedestrian path more practically through processing that serializes the linea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road and their mutual relationships. Based on this, it is about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pedestrian areas that can provide various spatial information located within the area of pedestrian areas in a user-oriented environ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thr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configuration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and the combination of the configu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행생활권 정보제공방법은 주소식별체계에 대한 고유코드정보가 저장되는 정보저장단계; 탐색의 기준이 되는 로케이션에 대한 정보와, 기준도보시간 또는 기준도보거리에 대한 리퀘스트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단계; 상기 로케이션에 해당하는 고유코드정보 및 상기 리퀘스트정보를 이용한 분석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상기 로케이션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보행권영역인 타겟영역을 생성하는 메인처리단계; 및 상기 타겟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method of providing pedestrian living area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information storage step in which unique code information for an address identification system is stored; An input step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that serves as the standard for search and request information about the standard walking time or standard walking distance are input; A main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analysis processing using the unique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to generate a target area, which is a pedestrian area set based on the location;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area.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메인처리단계는 상기 고유코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로케이션과 최근접한 도로인 최근접도로를 선별하는 기초정보선별단계; 상기 최근접도로 및 상기 최근접도로를 기점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도로인 시리얼도로의 선형적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리퀘스트정보에 해당하는 거리구간과 대응되는 k(k는 1이상의 자연수)개 도로경로인 링크경로를 생성하는 링크생성단계; 및 상기 링크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영역을 생성하는 타겟영역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in process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ic information selection step of selecting the nearest road, which is the road closest to the location, using the unique code information; k (k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road routes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using the linea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nearest road and the serial road, which is a road that continues continuously starting from the nearest road. Link creation step of creating a link path; And it may include a target area setting step of creating the target area using the link path.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메인처리단계는 상기 고유코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로케이션과 최근접한 도로인 최근접도로 및 상기 최근접도로의 라인데이터 중 상기 로케이션과 최근접한 기준포인트를 선별하는 기초정보선별단계; 상기 최근접도로의 라인데이터, 상기 최근접도로를 기점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도로인 시리얼도로의 라인데이터 및 상기 기준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리퀘스트정보에 해당하는 거리구간과 대응되는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 경로데이터인 링크경로데이터를 생성하는 링크생성단계; 및 상기 링크경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영역을 생성하는 타겟영역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ain process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unique code information to select the nearest road, which is the road closest to the location, and the reference point closest to the location among the line data of the nearest road. step; k (k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using the line data of the nearest road, the line data of the serial road, which is a road that continues continuously starting from the nearest road, and the reference point. ) link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link path data, which is path data; And it may include a target area setting step of generating the target area using the link path data.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타겟영역설정단계는 상기 링크경로데이터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확장되는 영역인 버퍼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링크경로데이터 및 상기 버퍼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영역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target area sett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set a buffer area, which is an area extending outward based on the link path data, and create the target area using the link path data and the buffer area. there is.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버퍼영역은 상기 최근접도로 또는 시리얼도로의 폭 정보 또는 상기 최근접도로 또는 시리얼도로가 속한 지역의 특성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buffer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ably set using one or more of the width information of the nearest road or serial road or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area to which the nearest road or serial road belongs.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링크생성단계는 상기 최근접도로 및 시리얼도로의 조인트 지점에서 분기되는 경로를 기준으로 독립된 예비경로정보를 생성하되, 그 전체 길이가 상기 리퀘스트정보에 대응되는 n개 예비경로정보를 생성하는 예비경로생성단계; 상기 n개 예비경로정보 각각에 해당하는 상기 최근접도로 및 시리얼도로를 이용하여 n개 구간영역정보를 생성하는 구간영역생성단계; 및 상기 n개 구간영역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경로를 생성하는 링크경로생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ink crea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independent preliminary route information based on a path branching from the joint point of the nearest road and the serial road, and the total length is n preliminary ro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A preliminary route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route information; A section are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n section area information using the nearest road and serial roa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n pieces of preliminary route information; and a link path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the link path using the n section area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생활SOC시설의 프로파일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정보저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정보처리단계는 상기 공간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활SOC시설 중 상기 타겟영역에 속하는 생활SOC시설인 대상시설을 추출하는 정보추출단계; 및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프로파일정보를 상기 타겟영역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patial information storage step in which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profil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living SOC facilities are stored.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target facility that is a living SOC facility belonging to the target area among the living SOC facilities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patial information;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formation provision step of providing profile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facility togeth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area.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상기 메인처리단계는 m(m은 2이상의 자연수)개 로케이션에 대한 m개 타겟영역을 생성하며, 상기 정보추출단계는 상기 m개 타겟영역 각각을 대상으로 상기 대상시설을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제공단계는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기준조건정보와 상기 대상시설 사이의 매칭율을 연산하고 상기 매칭율에 따라 상기 m개 타겟영역마다 부여된 순위정보를 더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main process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m target areas for m locations (m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nd th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generates the target facility for each of the m target areas. It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and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provision step calculates a matching rate between the referenc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client and the target facility, and further ranks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of the m target areas according to the matching rate. It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보행생활권 정보제공시스템은 주소식별체계에 대한 고유코드정보가 저장되는 코드정보DB부; 탐색의 기준이 되는 로케이션에 대한 정보와, 기준도보시간 또는 기준도보거리에 대한 리퀘스트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로케이션에 해당하는 고유코드정보 및 상기 리퀘스트정보를 이용한 분석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상기 로케이션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보행권영역인 타겟영역을 생성하는 메인처리부; 및 상기 타겟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pedestrian living area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ode information DB unit in which unique code information for the address identification system is store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a location that serves as a standard for search and request information about a standard walking time or standard walking distance; a main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analysis processing using unique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to generate a target area, which is a pedestrian area set based on the location;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are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사용자 등에 의하여 지정된 로케이션(특정포인트)을 기준으로 최근접한 도로 및 이와 연속화되는 인접 도로들의 선형적 특성정보들의 상호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더욱 정교하게 보행경로를 모델링할 수 있어 보행권영역에 대한 더욱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re precise walking path is created by us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linea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nearest road and adjacent roads consecutively based on the location (specific point) designated by the user, etc. Modeling can provide more practical information about the pedestrian area.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준화된 공공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정보의 최신성과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음은 물론, PNU 또는 도로명주소 체계와 같은 공공데이터의 속성정보 등을 파라미터로 연산 등의 프로세싱을 수행하므로 결과 재현성을 더욱 객관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up-to-dateness and reliability of information be further improved by effectively utilizing standardized public data, but also processing such as calculations is performed using attribute information of public data such as the PNU or road name address system as parameters. Result reproducibility can be realized more obj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사용자의 리퀘스트에 따라 보행으로 도달될 수 있는 영역을 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 더욱 사용자 지향적인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음은 물론, 버퍼영역의 가변설정을 통하여 도로, 지역, 영역 등의 특성정보 또한, 유기적으로 반영할 수 있어 정보로서의 가치와 실질 부합성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that can be reached by walking can be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which is set variably, so that a more user-oriented environment can be built, as well as variable setting of the buffer area. Through this, characteristic information such as roads, regions, and areas can also be reflected organically, further improving the value of information and practical conformit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리퀘스트에 부합되는 보행가능영역의 생성과 제공을 API 기반으로 구현할 수 있어 부동산 정보제공시스템 등과 같은 응용 서비스에 효과적으로 접목될 수 있는 모듈 내지 소프트웨어 등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eation and provision of a walkable area that meets the user's request can be implemented based on API, providing a basis for modules or software that can be effectively integrated into application services such as a real estat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there i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제공시스템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제공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링크생성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보처리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체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보행권영역(타겟영역)이 생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타겟영역에 분포된 사회SOC시설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로케이션정보와 맵데이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맵데이터를 기준으로 링크도로 등이 생성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최근접도로 및 기준포인트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보행권영역(타겟영역)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로케이션정보와 맵데이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생성되는 링크도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링크도로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보행권영역 등을 도시한 도면이다.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later, serve to more effectively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se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details.
1 is a diagram generally showing a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relat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ink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entire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edestrian area (target area) is created;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social SOC facilities distributed in the target area, etc.;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location information and map data;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link roads, etc. are created based on the map data shown in Figure 8;
Figure 10 is a diagram explaining the nearest road and reference point;
Figure 11 is a diagram explain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pedestrian area (target area);
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location information and map data;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a link road created based on the data shown in Figure 12;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pedestrian area created using the link road shown in FIG. 1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definability.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and variations may exis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보행생활권 정보제공시스템(이하 '정보제공시스템'이라 지칭한다)(100)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generally showing a pedestrian living area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100 and related configuratio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정보제공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등에게 보행생활권영역(이하 '보행권영역'이라 약칭될 수 있다)에 대한 영역정보를 제공하며, 위치검색 등은 물론, 공간정보 분석과 매칭 등을 통하여 해당 보행권영역에 속하는 다양한 공공시설정보, 사회SOC시설정보, 부동산 정보, 교통시설정보, 교육시설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온라인 접속 가능한 서버나 플랫폼 또는 그 하부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보행권영역은 사용자 등에 의하여 설정되는 파라미터(기준위치, 도보시간(도로거리) 등)에 의하여 가변적으로 연산되어 생성되는 영역으로서, 사용자의 직관적 인지성을 높이기 위하여 렌더링(rendering) 프로세싱, 시각화 표출 프로세싱, 머징(merging) 프로세싱, 계층적 레이어(layer) 처리 등을 통하여 소정의 맵데이터와 함께 GUI 환경 등으로 표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destrian area is an area that is variably calculated and created based on parameters (reference location, walking time (road distance), etc.) set by the user, etc. In order to increase the user's intuitive perception, rendering processing, visualization display processing,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it to be displayed in a GUI environment, etc. along with predetermined map data through merging processing, hierarchical layer processing, etc.
본 발명에 있어 보행권영역은 사용자 등에 의하여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도보(보행)로 도달할 수 있는 영역 내지 권역(region, 圈域)으로서 실제 보행이 가능한 도로(인도 등)를 기반으로 생성되므로 단순히 중심점과 반경 등을 이용하여 동심원의 형태로 보행도달영역을 표출하는 종래 서비스의 일률적인 기하학적 처리방식 등과는 본질적인 차이를 가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rian area is an area or region that can be reached by walking during the reference time set by the user, etc., and is created based on roads (such as sidewalks) where actual walking is possible, so it is simply the center point and There is an essential difference from the uniform geometric processing method of conventional services, which expresses the pedestrian reach area in the form of concentric circles using radius, etc.
본 발명의 정보제공시스템(100)은 유저 클라이언트(200)와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요청신호나 리퀘스트정보가 입력되면 후술되는 본 발명만의 고유한 프로세싱을 통하여 생성되는 타겟영역에 대한 정보는 물론, 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타겟영역은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바와 같이 사용자의 리퀘스트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보행권영역을 의미한다.The
도 1에 도시된 유저 클라이언트(200)는 일반 수요자는 물론, 계획입안자, 정책집행자, 지자체 담당자, 타당성 조사 수행자, 거주자, 시장조사 수행자, 기타 관리자 등(이하 '유저(user)' 또는 '사용자'로 지칭한다)을 표상하는 단말로서, 본 발명의 정보제공시스템(100)이 구현된 서버에 온라인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말 구성을 의미한다.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클라이언트(200)(200-1, 200-n)는 피씨, 노트북, 태블릿, PDA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정보제공시스템(10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데이터 내지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내지 정보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면 단말의 형태나 지칭되는 용어 등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유저 클라이언트(200)에 해당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s shown in FIG. 1, the user client 200 (200-1, 200-n) can be implemented as a PC, laptop, tablet, PDA, etc.,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본 발명의 공간정보 제공시스템(100)은 실시형태에 따라서 공공기관서버(300) 등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역, 지구, 영역, 국토 전체 등에 대한 GIS 정보, 맵데이터, 도로명주소, 연속지적도, 전자지도, 통계정보, 현황데이터 등을 수신하거나 또는 다양한 데이터 또는 정보 등이 업데이트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포털 등과 같은 서비스서버(4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정보와 데이터가 공유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patial
상기 통신 네트워크(50)는 본 발명의 정보제공시스템(100)과 유저 클라이언트(200), 공공기관서버(300) 또는 서비스서버(40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망으로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면 유선, 무선 등을 구분하지 않으며, TCP/IP, CDMA, WCDMA, LTE, WiFi 등 다양한 프로토콜과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보제공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구성과 이들 구성에 의하여 수행되는 보행생활권 정보제공방법을 비롯한 본 발명의 다양한 프로세싱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tc., various processing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제공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보행생활권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체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제공시스템(100)은 인벤토리DB부(110), 입력부(120), 메인처리부(130), 정보처리부(140), 공간정보저장부(150) 및 인터페이스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2, the
또한, 정보제공시스템(100)의 일 구성인 상기 메인처리부(130)는 구체적으로 기초정보선별부(131), 링크생성부(133) 및 타겟영역설정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의한 보행생활권 정보제공방법은 시스템, 장치, 서버, 플랫폼 또는 그 하위 구성 등에 탑재되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저장수단, 연산처리수단 등의 전자소자, 부품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술사상이 구현되도록 설계된 모듈 또는 독립된 장치, 서버, 플랫폼 등의 하드웨어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pedestrian living area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software mounted and driven on a system, device, server, platform, or sub-component thereof,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software, such as storage means, calculation processing means, etc.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hardware such as a module or independent device, server, or platform designed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electronic devices, parts, etc.
이러한 측면에서 도 2에 예시된 본 발명의 정보제공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는 물론, 도 3에 도시된 링크생성부(133) 및 도 4에 도시된 정보처리부(140)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respect, each component of the
즉, 상기 도면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에 의한 기술사상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논리적 구성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In other words,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corresponds to a logical configuration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even if each component is integrated or separately configured,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log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If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omponent that performs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name matches.
본 발명의 인벤토리DB부(110)에는 연속지적도, 전자지도, 맵데이터, GIS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주소식별체계에 대한 고유코드정보가 저장된다(S500, 도 5 참조). The
주소식별체계는 필지 또는 지적 등을 기준으로 19자리 등의 자리수로 코드화되며 유니크한 속성정보에 의해 벡터 연산 등에 주로 활용되는 PNU코드, 법정동코드, 지번주소에 의한 식별체계, 도로명주소에 의한 식별체계 등일 수 있다.The address identification system is coded into 19 digits based on parcel or cadastral status, and is mainly used for vector calculations due to unique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PNU code, legal district code, identification system by street number address, and identification system by road name address. It may be, etc.
다양한 종류와 기준 등으로 범주화되는 이들 주소식별체계는 크게 복잡하지 않는 수학적 함수를 통하여 상호 전환(conversion)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인벤토리DB부(110)는 이들 주소식별쳬계 중 어느 하나가 저장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복수 개 주소식별체계에 의한 고유코드정보가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Since these address identification systems, which are categorized into various types and standards, can be converted to each other through a mathematical function that is not very complicated, the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탐색의 기준이 되는 로케이션에 대한 정보와 기준도보시간 또는 기준도보거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리퀘스트정보를 유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입력받는다(S510).The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시각화된 맵데이터(2D, 3D, 항공뷰 등)와 함께 사용자가 탐색이나 검색을 원하는 로케이션정보 및 기준도보소시간 또는 기준도보거리 등을 입력할 수 있는 GUI 등의 인터페이스 환경이 유저 클라이언트(200)에 제공(S505)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improve user convenience, an interface such as a GUI that allows users to enter location information for navigation or search, standard walking time or standard walking distance, along with visualized map data (2D, 3D, aerial view, etc.) It is preferable that the environment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to the user client 200 (S505).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로케이션(location)은 도보로 이동 가능한 영역을 탐색하는 기준이 되는 위치포인트를 특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건물 명칭, 지번, 도로명, 좌표정보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입력창을 통하여 텍스트 기반으로 입력되는 방법은 물론, 유저 클라이언트(200)에 표출되는 맵데이터에서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선택되는 방법 등으로로 입력될 수 있다.The location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ameter for specifying a location point that serves as a standard for searching an area that can be moved on foot, and may include building name, street number, road name, coordinate information, etc., and in the embodiment Therefore, it can be input in a text-based manner through an input window, as well as a method in which map data displayed on the
상기 리퀘스트정보에 포함되는 로케이션 및 기준도보시간 각각은 예를 들어, 서울시, ***로 3길, 6-1 기준, 도보 10분 거리(도보거리 약670m) 등이 될 수 있다. 일반 사용자의 보행속도는 4~5km/h이므로 리퀘스트정보에 수록되는 기준도보시간은 기준도보거리와 함수적으로 변환가능함은 물론이다.For example, the location and standard walking time included in the request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Seoul City, ***-ro 3-gil, 6-1 standard, a 10-minute walk (walking distance of approximately 670 m), etc. Since the walking speed of general users is 4 to 5 km/h,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tandard walking time included in the request information can be converted as a function of the standard walking distance.
이와 같이 리퀘스트정보가 입력되면,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30)는 인벤토리DB부(11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로케이션에 해당하는 고유코드정보를 추출하고(S520), 이 선별된 고유코드정보 및 리퀘스트정보에 포함된 기준도보시간를 이용한 분석프로세싱을 수행하여(S530) 상기 로케이션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보행권영역(이하 '타겟영역'이라 지칭한다)을 생성한다(S540). 본 발명의 핵심적 기술내용 중 하나인 타겟영역 및 이 타겟영역이 생성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When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in this way, the
이와 같이 사용자가 요청한 리퀘스트정보에 해당하는 타겟영역이 생성되면 본 발명의 정보처리부(140)는 맵데이터를 활용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타겟영역에 대한 정보 등을 생성하여(S550)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S570). 이 과정에서 타겟영역에 속한 생활인프라시설(생활SOC시설 등)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S560) 추출된 정보와 함께 타겟영역에 대한 정보가 전송될(S570)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target area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user is created, the
타겟영역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인지성을 높이기 위하여 렌더링 이미지 등이 맵데이터에 레이어를 달리하여 중첩되는 방법 등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정보 등은 유저 클라이언트(200)에서 시각화 프로세싱 등으로 통하여 표출되도록(S575) 구성된다.Information about the target area can be generated by overlapping rendering images, etc. with map data in different layers in order to increase user awareness, and the information generated in this way can be processed through visualization processing in the
도 6은 보행권영역(타겟영역)이 생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30)에 의하여 타겟영역(PTR, 도 9 및 도 14 참조)이 생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Figure 6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edestrian area (target area) is created.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6 and the lik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target region (PTR, see FIGS. 9 and 14) is created by the
우선, 메인처리부(130)의 일 구성인 기초정보선별부(131)는 인벤토리DB부(110)에 저장된 고유코드정보 등을 이용하여 로케이션과 최근접한 도로(이하 '최근접도로'라 지칭한다)를 선별한다(S600).First, the basic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GUI 환경으로 제공되는 맵데이터에서 사용자가 탐색의 기준이 되는 로케이션(L)을 지정하면, 본 발명의 기초정보선별부(131)는 도 9 및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로케이션(L)과 최근접한 도로인 최근접도로(AD1)를 선별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8, when the user specifies a location (L) that becomes the basis for search in the map data provided in the GUI environment, the basic
도로명정보와 같은 주소식별체계에는 모든 도로에 대한 위치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초정보선별부(131)는 인벤토리DB부(110)에 저장된 데이터 및 정보를 통하여 로케이션(L)의 위치정보와 가장 근접한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는 최근접도로(AD1)를 선별할 수 있다.Since the address identification system such as road name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for all roads, the basic
데이터 처리의 관점에서 볼 때, 본 발명의 기초정보선별부(131)는 로케이션(L)의 위치정보가 특정되면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위치정보의 좌표값을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가까운(수선에 의한 직선거리) 도로(최근접도로) 및 해당 도로의 라인데이터(line data)인 선형 특성 데이터(linearity of characteristic data) 중 로케이션(L)과 가장 근접한 포인트(이하 '기준포인트'라 지칭한다)(P1)를 정확히 특정할(S600, S610) 수 있다.From the perspective of data processing,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L is specified, the basic
이와 같이 최근접도로(AD1)가 선별되면 본 발명의 링크생성부(133)는 최근접도로(AD1)를 기점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도로(이하 '시리얼도로'라 지칭한다)를 추출한다(S620).When the nearest road (AD1) is selected in this way, the
한편, 본 발명은 보행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영역을 생성하는 것이므로 자동차전용도로, 고속도로 등과 같이 보행이 불가능한 도로는 연산 과정에서 필터링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동차전용도로 등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도로 체계는 인도 등이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로명주소 체계의 거의 모든 도로는 보행이 가능한 도로로 간주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n area that can be moved by walking, it is preferable that roads that cannot be walked, such as automobile roads, highways, etc., are filtered out during the calculation process. In addition, since most road systems, excluding automobile-only roads, etc., are constructed so that sidewalks, etc. are adjacent, almost all roads in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can be considered as pedestrian roads.
모든 도로는 그 이동이 양방향성을 가지므로 기준포인트(P1)를 기점으로 양 방향성 모두를 기준으로 시계열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복수 개 도로가 분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all roads have bidirectional movement, it is desirable to analyze multiple roads in time series and continuously in both directions starting from the reference point (P1).
본 발명에서 시리얼도로(AD)는 최근접도로(AD1)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도로(제1차연속도로)는 물론, 제1차연속도로를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도로(제2차연속도로) 등이 포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ial road (AD) is a road that continues continuously with the nearest road (AD1) (a primary continuous road), as well as a road that continues continuously based on the first continuous road (a secondary continuous road), etc. This is included.
즉,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시리얼도로(AD)는 제p(p은 1이상의 자연수)차연속도로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제p+1차연속도로 등과 같이 계통적으로 이어지는 모든 연속도로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순차적 연산 과정은 연속화된 도로들의 전체 길이 내지 구간이 리퀘스트정보에 수록된 보행시간(거리)에 대응될 때까지 진행된다.In other words, the serial road (AD)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ll sequential roads that are systematically connected, such as the p (p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sequential road and the p + 1st continuous road that continues continuously. This sequential calculation process continues until the entire length or section of consecutive roads corresponds to the walking time (distance) included in the request information.
도 9에는 시리얼도로(AD)가 선별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최근접도로(AD1, sky color)와 연속적으로 이어진 제1차연속도로 및 제1차연속도로를 기준으로 한 제2차연속도로 중 일부(brown color)가 도시되어 있다.In Figure 9, in order to effectively explain the process of selecting a serial road (AD), a first continuous road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nearest road (AD1, sky color) and a second continuous road based on the first continuous road are shown. Some of them (brown color) are shown.
이와 같이 시리얼도로(AD)가 추출되면 본 발명의 링크생성부(133)는 최근접도로(AD1) 및 시리얼도로(AD)의 선형적 특정정보를 이용하여 리퀘스트정보에 해당하는 거리 구간과 대응되는 k(k은 1이상의 자연수)개 도로경로(이하 '링크경로'라 지칭한다)를 생성한다(S630). When the serial road (AD) is extracted in this way, the
좀 더 구체적으로 환언하면, 본 발명의 링크생성부(133)는 최근접도로(AD1)의 라인데이터 중 앞서 기술된 기준포인트(P1)의 위치정보, 최근접도로(AD1)의 선형적 특성정보인 라인데이터(길이, 각도, 조인트 정보, 폭너비 등의 정보가 수록된 데이터체계), 시리얼도로(AD)의 라인데이터를 이용하여 리퀘스트정보에 해당하는 거리구간과 대응되는 k개 링크경로데이터를 생성한다.In more specific terms, the
즉, k개 링크경로데이터 각각은 최근접도로(AD1)와 하나 이상의 시리얼도로(AD)에 대한 정보가 포함됨은 물론, 각 도로마다 해당하는 경로구간 정보 또한, 포함될 수 있다.That is, each of the k link path data not only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nearest road (AD1) and one or more serial roads (AD), but may also include route s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road.
도로의 양방향성을 고려하면 링크경로는 최소 2개 이상일 수 있음은 물론이나, 경우에 따라 일방도로 또는 차단된 도로 등이 존재하고 이러한 도로들이 필터링되도록 알고리즘되는 경우 상기 링크도로는 단일(single) 개수일 수도 있다.Considering the two-way nature of the road, there can be at least two link paths, but in some cases, there are one-way roads or blocked roads, and if the algorithm filters these roads, the link road may be a single number. It may be possible.
이와 같이 링크경로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타겟영역설정부(135)는 이 링크경로를 대상으로 소정의 연산 프로세싱, 렌더링 프로세싱 등의 가공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최종 결과데이터인 타겟영역(PTR)을 생성한다(S650).When the link path is created in this way, the targe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타겟영역설정부(135)는 링크경로 또는 링크경로데이터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확장되는 영역인 버퍼영역을 설정하고(S640) 상기 링크경로데이터(링크경로)와 상기 버퍼영역(B, 도 11 참조)을 이용하여 타겟영역(PTR)이 생성되도록(S650)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arget
도로의 선형적 특성데이터 즉, 라인데이터는 점들의 집합 또는 라인 그 자체의 특성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 라인데이터를 기준으로 좌우(라인데이터와 직교하는 방향) 방향으로 확장된 영역을 이용하여 보행가능한 영역이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Linear characteristic data of the road, that is, line data, can be composed of a set of points o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line itself, so it is possible to walk by using the area expan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ne data) based on this line data.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is configured to be set.
이 경우, 상기 버퍼영역은 도로중심선 라인을 기준으로 좌우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확장 영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도로가 점유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 즉, 도로의 외주 부분에서 외측으로 각각 소정 거리로 확장되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buffer area may be set as an area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road center line,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buffer area is an area excluding the area occupied by the road, that is,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ad to the outside. It can also be set as an area extending into the street.
또한, 상기 버퍼영역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타겟영역(PTR) 내에 분포되는 다양한 시설정보 등을 제공하는 로데이터(raw data)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사회SOC시설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시설 등이 존재할 수 있는 가능영역이 상기 버퍼영역에 포함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later, the buffer area can be used as raw data that provides various facility information distributed within the target area (PTR), so it is possible for various facilities, including social SOC facilities, to exist.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is designed to be included in the buffer area.
통상적으로 도로의 폭이 넓은 경우, 시설 등이 존재하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넓으며 지역이나 지구, 행정구역 등의 특성에 따라 시설 등이 존재하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Typically, when the width of the road is wide, the area where facilities exist is relatively wide, and the area where facilities exist can be relative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district, administrative district, etc.
그러므로 상기 버퍼영역은 상기 최근접도로 또는 시리얼도로의 폭 정보 또는 상기 최근접도로 또는 시리얼도로가 속한 지역의 특성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버퍼영역에 대한 가변 설정을 사용자 측에서 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buffer area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variably set using one or more of the width information of the nearest road or serial road or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area to which the nearest road or serial road belong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buffer area It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set variable settings for the area.
도 12 내지 도 14는 상술된 본 발명만의 프로세싱 과정을 통하여 생성되는 타겟영역(PTR)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2는 사용자 등이 맵데이터를 기반으로 로케이션(L)을 선택한 도면, 도 13은 사용자 등이 지정한 로케이션(L)을 이용하여 보행시간 10분을 기준으로 추출 및 연산되는 최근접도로(AD1) 및 시리얼도로(AD)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Figures 12 to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arget region (PTR) generated through the processing process unique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a location (L) selected by a user or the like based on map data. , FIG. 13 corresponds to a diagram showing the nearest road (AD1) and serial road (AD) extracted and calculated based on 10 minutes of walking time using the location (L) designated by the user, etc.
도 14는 본 발명의 프로세싱에 의한 최종 결과로서, 상술된 버퍼영역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리퀘스트정보에 따라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최종적으로 제공되는 타겟영역(PTR)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target area (PTR) that is finally provided to th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링크생성부(133)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링크생성부(133)는 예비경로생성부(133A), 구간영역생성부(133B) 및 링크경로생성부(133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링크생성부(133)를 구성하는 상세 구성 또한, 논리적 구성에 해당함은 물론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할 때, 본 발명의 예비경로생성부(133A)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최근접도로(AD1)와 시리얼도로(AD)가 선별되면 상기 최근접도로(AD1)와 시리얼도로(AD)의 조인트 지점에서 분기되는 경로를 기준으로 각각 독립된 k개 예비경로정보를 생성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 독립된 예비경로정보는 그 전체 길이(구간)가 상기 리퀘스트정보에 대응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the
이와 같이 k개 예비경로정보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구간영역생성부(133B)는 각 예비경로정보 각각에 해당하는 최근접도로(AD1) 및 시리얼도로(AD) 그리고 각 도로의 해당 구간(길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k개 구간영역정보를 생성한다.When k pieces of preliminary route information are generated in this way, the
이와 같이 k개 구간영역정보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링크경로생성부(133C)는 이 k개 구간영역정보를 통합하는 방법 등을 적용하여 상술된 링크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When k section area information is generated in this way,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구성에 의하면, 각 구간영역정보가 개별적으로 생성될 수 있어 사용자가 특정 구간영역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그에 따른 유기적인 대응이 가능해지며, 더욱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체계를 사용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mplementatio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ection area information can be individually generated, so that when a user requests specific section area information, an organic response is possible, and a more detailed and specific information system can be provided to the user, etc. can provide.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보처리부(140)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7은 타겟영역에 분포된 사회SOC시설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처리부(140)는 위치정보파싱부(141), 정보추출부(143) 및 정보제공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제공시스템(100)은 생활SOC시설의 식별정보, 면적정보, 설립년도정보, 구조정보, 종류정보 등과 같은 프로파일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정보저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ure 2, the
앞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30)에 의하여 타겟영역(PTR)이 생성되면(S700), 정보처리부(140)의 일 구성인 위치정보파싱부(141)에 의하여 공간정보저장부(150)에 저장된 위치정보가 파싱(parsing)되면 본 발명의 정보추출부(143)는 파싱된 위치정보 등을 이용하여 생활SOC시설 중 타겟영역(PTR)에 속하는(소재하는) 생활SOC시설인 대상시설 및 이 대상시설(들)에 대한 프로파일정보를 추출한다(S710).As described in detail above, when the target area (PTR) is created by the
만약 사용자가 로케이션(L)을 m(m은 2이상의 자연수)개 지정하는 경우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30)는 m개 로케이션(L) 각각마다 타겟영역(PTR)을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정보추출부(143)는 개별 타겟영역(PTR)을 기준으로 각각의 대상시설과 프로파일정보를 선별한다(S710).If the user specifies m locations (L) (m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the
생활SOC시설 등은 공공기관, 도서관, 소방서, 경찰서, 지하철, 유치원, 학교, 버스정류, 등 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시설 등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사용된 용어에 제한됨 없이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공간정보저장부(150)에는 아파트, 상가, 주택 등에 대한 부동산 정보 또한,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Living SOC facilities refer to various facilities related to daily life such as public institutions, libraries, fire stations, police stations, subways, kindergartens, schools, bus stops, etc., so of course, they should be interpreted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terms used. In addition, of course, real estate information about apartments, shops, houses, etc. can also be stored in the spatial
이와 같이 대상시설 및 이와 관련된 프로파일정보 등이 추출되면 본 발명의 정보제공부(145)는 타겟영역에 대한 정보는 물론, 대상시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유저 클라이언트(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S740).When the target facility and profile information related thereto are extracted in this way, the
실시형태에 따라서 유저 클라이언트(200)로부터 기준조건정보가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기준조건정보는 우선순위 또는 이에 준하는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정보로서, 보행생활권 내 소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시설에 대한 정보 등을 비롯하여 특정 위치(사용자의 직장 또는 로케이션(L) 등)를 기준으로 떨어진 거리, 대중교통 경로 등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reference condi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from the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또는 싱크로율을 연산하기 위한 자동화된 프로세싱 등에 의하여 m개의 타겟영역(PTR)이 생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정보제공부(145)는 기준조건정보와 타겟영역(PTR)마다 생성된 대상시설에 대한 정보 사이의 매칭률을 연산하고(S720) 그 결과에 따라 m개 타겟영역(PTR)마다 부여된 순위정보를 타겟영역정보 등과 함께 제공하도록(S740)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m target areas (PTRs) are generated by user selection or automated processing to calculate the synchronization rate,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patent claims.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odifi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merely instrumental terms used to relatively distinguish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are therefore used to indicate a specific order, priority, etc.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is not a valid term.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The drawings attach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 its embodiments may be shown in a somewhat exaggerated form in order to emphasize or highlight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and the matters shown in the drawings, etc. Considering th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obvious that various types of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 examples may be possible at the level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한 보행생활권 정보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자기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를 포함하며, 유무선 인터넷 전송을 위한 서버도 포함한다.The method of providing pedestrian living area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CD-ROM, RAM, ROM, floppy disk, magnetic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nd include wired and wireless Internet. It also includes servers for transmission.
100 : 본 발명의 정보제공시스템
110 : 인벤토리DB부
120 : 입력부
130 : 메인처리부
131 : 기초정보선별부
133 : 링크생성부
133A : 예비경로생성부
133B : 구간영역생성부
133C : 링크경로생성부
140 : 정보처리부
141 : 위치정보파싱부
143 : 정보추출부
145 : 정보제공부
150 : 공간정보저장부
160 : 인터페이스부100: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Inventory DB unit 120: Input unit
130: Main processing unit 131: Basic information selection unit
133:
133B: Section
140: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41: Location information parsing unit
143: Information extraction department 145: Information provision department
150: spatial information storage unit 160: interface unit
Claims (10)
탐색의 기준이 되는 로케이션에 대한 정보와, 기준도보시간 또는 기준도보거리에 대한 리퀘스트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단계;
상기 로케이션에 해당하는 고유코드정보 및 상기 리퀘스트정보를 이용한 분석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상기 로케이션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보행권영역인 타겟영역을 생성하는 메인처리단계; 및
상기 타겟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생활권 정보제공방법.An information storage step in which unique code information for the address identification system is stored;
An input step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that serves as the standard for search and request information about the standard walking time or standard walking distance are input;
A main processing step of performing analysis processing using the unique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to generate a target area, which is a pedestrian area set based on the location; and
A method of providing pedestrian living area information, compris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area.
상기 고유코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로케이션과 최근접한 도로인 최근접도로를 선별하는 기초정보선별단계;
상기 최근접도로 및 상기 최근접도로를 기점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도로인 시리얼도로의 선형적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리퀘스트정보에 해당하는 거리구간과 대응되는 n(n은 1이상의 자연수)개 도로경로인 링크경로를 생성하는 링크생성단계; 및
상기 링크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영역을 생성하는 타겟영역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생활권 정보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processing step is:
A basic information selection step of selecting the nearest road, which is the road closest to the location, using the unique code information;
n (n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road paths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using the linea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nearest road and the serial road, which is a road that continues continuously starting from the nearest road. Link creation step of creating a link path; and
A method of providing pedestrian living area information, comprising a target area setting step of creating the target area using the link path.
상기 고유코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로케이션과 최근접한 도로인 최근접도로 및 상기 최근접도로의 라인데이터 중 상기 로케이션과 최근접한 기준포인트를 선별하는 기초정보선별단계;
상기 최근접도로의 라인데이터, 상기 최근접도로를 기점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도로인 시리얼도로의 라인데이터 및 상기 기준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리퀘스트정보에 해당하는 거리구간과 대응되는 k(k는 2이상의 자연수)개 경로데이터인 링크경로데이터를 생성하는 링크생성단계; 및
상기 링크경로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영역을 생성하는 타겟영역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생활권 정보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processing step is,
A basic information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reference point closest to the location among the nearest road, which is the road closest to the location, and line data of the closest road, using the unique code information;
k (k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nformation using the line data of the nearest road, the line data of the serial road, which is a road that continues continuously starting from the nearest road, and the reference point. ) link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link path data, which is path data; and
A method of providing pedestrian living area information, comprising a target area setting step of generating the target area using the link path data.
상기 링크경로데이터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확장되는 영역인 버퍼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링크경로데이터 및 상기 버퍼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영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생활권 정보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arget area setting step is,
A method of providing pedestrian living area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setting a buffer area, which is an area extending outward, based on the link path data, and generating the target area using the link path data and the buffer area.
상기 최근접도로 또는 시리얼도로의 폭 정보 또는 상기 최근접도로 또는 시리얼도로가 속한 지역의 특성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생활권 정보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uffer area is:
A method of providing pedestrian living area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variably set using one or more of the width information of the nearest road or serial road or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area to which the nearest road or serial road belongs.
상기 최근접도로 및 시리얼도로의 조인트 지점에서 분기되는 경로를 기준으로 독립된 예비경로정보를 생성하되, 그 전체 길이가 상기 리퀘스트정보에 대응되는 n개 예비경로정보를 생성하는 예비경로생성단계;
상기 n개 예비경로정보 각각에 해당하는 상기 최근접도로 및 시리얼도로를 이용하여 n개 구간영역정보를 생성하는 구간영역생성단계; 및
상기 n개 구간영역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경로를 생성하는 링크경로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생활권 정보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nk creation step includes:
A preliminary route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independent preliminary route information based on a route branching from a joint point of the nearest road and the serial road, and generating n pieces of preliminary route information whose total length corresponds to the request information;
A section are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n section area information using the nearest road and serial roa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n pieces of preliminary route information; and
A method of providing pedestrian living area information, comprising a link path creation step of generating the link path using the n section area information.
생활SOC시설의 프로파일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정보저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처리단계는,
상기 공간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활SOC시설 중 상기 타겟영역에 속하는 생활SOC시설인 대상시설을 추출하는 정보추출단계; 및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프로파일정보를 상기 타겟영역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생활권 정보제공방법.According to paragraph 2,
It further includes a spatial information storage step in which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profil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living SOC facilities is stor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ep is,
An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target facility that is a living SOC facility belonging to the target area among the living SOC facilities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patial information; and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 pedestrian living area, comprising an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providing profile information on the target facility together with information on the target area.
m(m은 2이상의 자연수)개 로케이션에 대한 m개 타겟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정보추출단계는 상기 m개 타겟영역 각각을 대상으로 상기 대상시설을 추출하고,
상기 정보제공단계는 유저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기준조건정보와 상기 대상시설 사이의 매칭율을 연산하고 상기 매칭율에 따라 상기 m개 타겟영역마다 부여된 순위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생활권 정보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ain processing step is,
Create m target areas for m locations (m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The information extraction step extracts the target facility for each of the m target areas,
The information provision step calculates a matching rate between the reference condi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client and the target facility, and further provides ranking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of the m target areas according to the matching rate. How to provide.
탐색의 기준이 되는 로케이션에 대한 정보와, 기준도보시간 또는 기준도보거리에 대한 리퀘스트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로케이션에 해당하는 고유코드정보 및 상기 리퀘스트정보를 이용한 분석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상기 로케이션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보행권영역인 타겟영역을 생성하는 메인처리부; 및
상기 타겟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생활권 정보제공시스템.Code information DB unit where unique code information for the address identification system is store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a location that serves as a standard for search and request information about a standard walking time or standard walking distance;
a main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analysis processing using unique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the request information to generate a target area, which is a pedestrian area set based on the location; and
A pedestrian living area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compris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target are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5412A KR20240008498A (en) | 2022-07-12 | 2022-07-12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amtion on scope of pedestrian life using mutual relation of linea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multi-consecutive roads and space inform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5412A KR20240008498A (en) | 2022-07-12 | 2022-07-12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amtion on scope of pedestrian life using mutual relation of linea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multi-consecutive roads and space inform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8498A true KR20240008498A (en) | 2024-01-19 |
Family
ID=8971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5412A KR20240008498A (en) | 2022-07-12 | 2022-07-12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amtion on scope of pedestrian life using mutual relation of linea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multi-consecutive roads and space inform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08498A (en) |
-
2022
- 2022-07-12 KR KR1020220085412A patent/KR20240008498A/en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314395B (en) | The method create, connected and show three-dimensional object | |
AU2018100385A4 (en) |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land parcels | |
Jovanović | The application of GIS and its components in tourism | |
Chakraborty et al. | Open data for informal settlements: Toward a user׳ s guide for urban managers and planners | |
Lapierre et al. | Using Open Web Services for urban data management: A testbed resulting from an OGC initiative for offering standard CAD/GIS/BIM services | |
Guney et al. | Tailoring a geomodel for analyzing an urban skyline | |
KR102417027B1 (en) | System for providing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grid | |
Haq et al. | Space syntax investigation of Lubbock, a grid-like American city and some insights into isotropic layouts | |
Shahabi et al. | GeoDec: A framework to effectively visualize and query geospatial data for decision-making | |
KR102474133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d sharing of spatial data business management system | |
Abdalla et al. | Mobile GIS and location-based services (LBS) | |
KR20240008498A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amtion on scope of pedestrian life using mutual relation of linea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multi-consecutive roads and space information | |
Dimopoulou et al. | Towards common basis for 3D Cadastres from legal perspective | |
CN117115381A (en) |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 |
Gotlib et al. | Smart governance in the capital city of Warsaw with the use of ICT and geoinformation technologies | |
Salajegheh et al. | Developing a Web-based system by integrating VGI and SDI for real estate management and marketing | |
KR102367425B1 (en) | Method of displaying risk of road section in map according to weather, map service system performing the same, and web server used therein | |
Kim | Development of Augmented Reality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Map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nd JavaScript Object Notation Communication | |
Antonini et al. | Foundations of Map-based Web Applications | |
Engler et al. | The internet, spatial data globalization, and data use: The case of Tibet | |
Loo et al. | “Mapping” Smart Cities | |
Al Kalbani et al. |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IMPLEMENTING 3D SPATIAL DATA INFRASTRUCTURE IN OMAN–ISSUES AND CHALLENGES | |
Neis et al. | Extending the OGC OpenLS Route Service to 3D for an interoperable realisation of 3D focus maps with landmarks | |
KR102710167B1 (en) | System for estimating accessability of public facilities dynamically considering variable parameter and method for same | |
KR20240133417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patial statistical information based on road name-addre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