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466A - Smart table apparatus - Google Patents

Smart tabl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466A
KR20240008466A KR1020220085348A KR20220085348A KR20240008466A KR 20240008466 A KR20240008466 A KR 20240008466A KR 1020220085348 A KR1020220085348 A KR 1020220085348A KR 20220085348 A KR20220085348 A KR 20220085348A KR 20240008466 A KR20240008466 A KR 20240008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edded
user
weight
me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즈
Priority to KR1020220085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466A/en
Publication of KR20240008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466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2031/003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drawers, tray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 장치(100)는, 테이블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110); 상기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110)를 구동하기 위한 냉온장 구동부(115); 테이블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조리용 인덕션 장치(120); 상기 조리용 인덕션 장치(120)를 구동하기 위한 인덕션 구동부(125); 상기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110)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테이블의 소정 위치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매립형 서랍 장치(130);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13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t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bedded simple cooling and heating device 110 that is embedded and installed in the table; A cold and hot storage driving unit 115 for driving the embedded simple cold and hot storage device 110; An induction device for cooking (120) installed embedded in the table; An induction drive unit 125 for driving the cooking induction device 120; An embedded drawer device (130) installed inside the embedded simple cooling and heating device (110) or embedd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able; It may include a motor driving unit 135 for driving the embedded drawer device 130.

Description

스마트 테이블 장치{SMART TABLE APPARATUS}SMART TABLE APPARATUS}

본 발명은 스마트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인,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가 사용하는데 편리한 스마트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ab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mart table device that is convenient for use by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such as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통상적으로 가정, 식당, 사무실에서 물건이나 음식물을 놓을 수 있고 물건이나 음식물을 지지하는 용도로 테이블(table)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또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 테이블이 단지 물건만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 기기 또는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테이블에 다양한 편의 기능을 부여하고 통신 기능을 포함시킨 스마트 테이블이 보급되고 있다.Typically, tables are used in homes, restaurants, and offices to place objects or food and to support objects or food. Recently, in order to provide user convenience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the table does not just support objects, but is equipped with various devices or modules, giving the table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and smart tables that include communication functions have become popular. It is becoming.

이러한 스마트 테이블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특허공개 제10-2017-0111366호(2017년 10월 12일 공개), 한국특허공개 제10-2021-0124634호(2021년 10월 15일 공개), 한국특허공개 제10-2021-0115396호(2021년 9월 27일 공개) 등이 있다. 그러나 노인,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에 특화시킨 스마트 테이블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다.Prior technologies related to these smart tables include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11366 (published on October 12, 2017),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24634 (published on October 15, 2021),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15396 (published on September 27, 2021), etc. However, smart tables specialized for socially underprivileged people such as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do not yet exis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노인,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에 특화된 편의 및 안전 기능을 갖춘 스마트 테이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s intended to provide a smart table device with convenience and safety functions specialized for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such as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 장치는, 테이블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 상기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냉온장 구동부; 테이블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조리용 인덕션 장치; 상기 조리용 인덕션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인덕션 구동부; 상기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테이블의 소정 위치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매립형 서랍 장치;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 smart 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mple embedded cooling and heating device that is installed embedded in a table; a cold and hot storag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embedded simple cold and hot storage device; An induction device for cooking that is installed embedded in a table; An induction drive unit for driving the induction cooking device; An embedded drawer device installed inside the embedded simple cooling and heating device or installed in an embedded form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table; It may include a moto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embedded drawer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 장치는,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 내의 살균을 위해 설치되는 자외선 살균기;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가 개방되거나 동작됨에 따라 작동되는 조명 장치; 상기 테이블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무선 충전 장치; 상기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 상기 조리용 인덕션 장치,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 상기 자외선 살균기, 상기 조명 장치,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기능 및 동작 제어를 위해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기능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ltraviolet sterilizer installed to sterilize the embedded drawer device; a lighting device that operates when the embedded drawer device is opened or operated; A wireless charging device embedded in the table and installed; It may include a function control unit installed on the table to control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of the embedded simple cooling and heating device, the cooking induction device, the embedded drawer device, the ultraviolet sterilizer, the lighting device,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노인,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에 특화된 편의 및 안전 기능을 갖춘 스마트 테이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smart table device equipped with convenience and safety functions specialized for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such as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 장치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개별 기능을 담당하는 각각의 장치의 배치 위치를 예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 장치에서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 내에 배치된 매립형 서랍의 개폐 방식을 예시한 도면들.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device responsible for individual functions, ba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mart 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embedded drawer disposed in the embedded simple cooling and heating device in the smart 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identifiers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eans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 one or more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 장치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개별 기능을 담당하는 각각의 장치의 배치 위치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 장치에서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 내에 배치된 매립형 서랍의 개폐 방식을 예시한 도면들이다.Here, 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each device responsible for an individual function ba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mart 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Figures 3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embedded drawer disposed in the embedded simple cooling and heating device in the smart 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 장치(100)는, 테이블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110); 상기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110)를 구동하기 위한 냉온장 구동부(115); 테이블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조리용 인덕션 장치(120); 상기 조리용 인덕션 장치(120)를 구동하기 위한 인덕션 구동부(125); 상기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110)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테이블의 소정 위치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매립형 서랍 장치(130);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13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smart t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bedded simple cooling and heating device 110 that is installed embedded in the table; A cold and hot storage driving unit 115 for driving the embedded simple cold and hot storage device 110; An induction device for cooking (120) installed embedded in the table; An induction drive unit 125 for driving the cooking induction device 120; An embedded drawer device (130) installed inside the embedded simple cooling and heating device (110) or embedd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able; It may include a motor driving unit 135 for driving the embedded drawer device 13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 장치(100)는,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130) 내의 살균을 위해 설치되는 자외선 살균기(140);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130)가 개방되거나 동작됨에 따라 작동되는 조명 장치(142); 상기 테이블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무선 충전 장치(146); 상기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110), 상기 조리용 인덕션 장치(120),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130), 상기 자외선 살균기(140), 상기 조명 장치(142), 상기 무선 충전 장치(146)의 기능 및 동작 제어를 위해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기능 조작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t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ltraviolet sterilizer 140 installed to sterilize the embedded drawer device 130; a lighting device 142 that operates when the embedded drawer device 130 is opened or operated; A wireless charging device 146 embedded in the table and installed; Functions of the embedded simple cooling and heating device 110, the cooking induction device 120, the embedded drawer device 130, the ultraviolet sterilizer 140, the lighting device 142,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46 and a function manipulation unit 144 installed on the table for operation control.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 장치(100)의 시스템 제어부(150)는, 상기 기능 조작부(144)에 의해 선택된 기능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냉온장 구동부(115), 상기 인덕션 구동부(125), 상기 모터 구동부(135), 상기 자외선 살균기(140), 상기 조명 장치(142), 상기 무선 충전 장치(146)의 제어를 위한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각 구성부로 전달함으로써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ystem control unit 150 of the smart t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cold and hot storage drive unit 115 and the induction drive unit based on the function operation signal selected by the function operation unit 144. (125), a driv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tor drive unit 135, the ultraviolet sterilizer 140, the lighting device 142,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46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each component to form each component. You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 장치(100)는, 해당 스마트 테이블 장치(100)의 사용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미도시)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160); 해당 스마트 테이블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 이력 및 패턴을 취득하기 위해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기기(170); 해당 스마트 테이블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관한 기본 정보 및 상기 모니터링 기기(170)를 통해서 취득되는 상기 사용 이력 및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18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t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6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not shown) possessed by the user of the smart table device 100; A monitoring device 170 installed on the table to acquire the usage history and patterns of the user using the smart table device 100; It may include a user DB 180 that stores basic information about the user using the smart table device 100 and the usage history and patter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monitoring device 170.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 장치(100)는, 그 장치 설계 방식에 따라, 해당 스마트 테이블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특정 알람 또는 통지를 하기 위한 소정의 장치(예를 들어, LED, 디스플레이 등의 시각적 정보 알람/통지 장치, 스피커 등의 청각적 정보 알람/통지 장치, 진동 장치 등과 같은 촉각적 정보 알람/통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의 근접 또는 존재 검출을 위한 소정의 장치(예를 들어, 근접 센서, 초음파 센서 등)도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감지 장치,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인식 장치 등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t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who uses the smart tab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evice design method. A device for making a specific alarm or notification (e.g., a visual information alarm/notification device such as an LED or display, an auditory information alarm/notification device such as a speaker, a tactile information alarm/notification device such as a vibration device, etc.) It may further include a device for detecting the proximity or presence of the user (for example, a proximity sensor, an ultrasonic sensor, etc.), a motion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user's motion, a user Of course, it may also include a voice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voices.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 장치(100)의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130)는, 상기 모터 구동부(135)의 구동에 따른 모터 동작에 따라, 상하로 팝업되는 방식으로 개폐되거나(도 3 참조),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거나(도 4 참조), 틸팅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도 5 참조). 물론, 상하 팝업 방식의 개폐, 슬라이딩 방식의 개폐, 틸팅 방식의 개폐 이외에도 서랍형의 여닫이 방식의 개폐도 가능할 수 있으며, 또한 모터 구동에 의한 자동 개폐 방식이 아닌 수동 개폐 방식이 채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embedded drawer device 130 of the smart t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s and closes in a way that pop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tor oper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drive unit 135 (Figure 3), i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see FIG. 4), or by tilting (see FIG. 5).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up-down pop-up method, sliding method opening and closing method, and tilting method opening and closing, drawer-type opening and closing method may also be possible, and a manual opening and closing method rather than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ethod by motor drive may be adop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130)는, 상기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식을 보관하는 제1 서랍 장치, 상기 테이블에 매립형으로 설치되어 수저를 보관하는 제2 서랍 장치, 상기 테이블에 매립형으로 설치되어 약제를 보관하는 제3 서랍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edded drawer device 130 is a first drawer device installed inside the embedded simple cooling and heating device 110 to store food, and a first drawer device installed embedded in the table to store cutlery. It may include a second drawer device and a third drawer device that is installed embedded in the table and stores medici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 기기(170)는, 중량 감지 센서로서, 상기 제1 서랍 장치에 보관된 물품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중량 감지 센서, 상기 제2 서랍 장치에 보관된 물품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중량 감지 센서, 상기 제3 서랍 장치에 보관된 물품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3 중량 감지 센서, 상기 조리용 인덕션 장치(120)의 상부에 놓인 물체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4 중량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device 170 is a weight sensor, and includes a first w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an item stored in the first drawer device and a first w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an item stored in the second drawer device. A second weigh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article stored in the third drawer device, a third weigh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article stored in the third drawer device, and the weight of the object placed on the top of the cooking induction device 120 It may include a fourth weigh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이때, 상기 시스템 제어부(150)는, 상기 냉온장 구동부(115), 상기 인덕션 구동부(125), 상기 모터 구동부(135)의 구동 상태 및 상기 중량 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110), 상기 조리용 인덕션 장치(120),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130)의 사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ystem control unit 150 operates the embedded typ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driving states of the hot and cold driving unit 115, the induction driving unit 125, and the motor driving unit 135 and the sensing result value of the weight det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imple heating and cooling device 110, the cooking induction device 120, and the embedded drawer device 130 are used.

또한, 상기 시스템 제어부(150)는, 상기 제2 중량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 사전 지정된 수치 이상의 중량 감소가 감지된 시점을 기점으로 하고 이로부터 사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을 종점으로 하였을 때, 상기 기점에서 상기 종점까지의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중량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른 중량 감소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중량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최종 중량 감소 값 및 해당 중량 감소의 최종 감지 시점까지의 중량 감소 지속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최종 중량 감소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식사량을 산출하고, 상기 중량 감소 지속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식사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기점에 해당하는 식사 시점, 상기 식사량, 상기 식사 시간을 상기 사용자 D/B(180)에 기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control unit 150 sets as the starting point the point in time when a weight reduction of more than a pre-specified value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by the second weight detection sensor, and sets the point in time when a pre-specified time has elapsed from this point as the end point, the starting point Within the time range from the end point, if a weight redu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weight detection sensor is confirmed, the final weight reduction value detected by the first weight detection sensor and the final detection point of the corresponding weight reduction Calculate the weight loss duration up to, calculate the user's meal amount based on the final weight loss value, calculate the user's meal time based on the weight loss duration, a meal time corresponding to the starting point, and Meal amount and meal time can be recorded in the user DB (180).

또한, 상기 시스템 제어부(150)는, 상기 기점에서 상기 종점까지의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인덕션 구동부(125)의 구동 상태가 턴 온 상태로 전환된 상태로서 상기 제4 중량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사전 지정된 수치 이상의 중량 증가가 감지된 경우 사용자의 식사 행위를 정찬 식사로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D/B(180)에 기록하고, 상기 조리용 인덕션 장치의 구동 상태가 턴 온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식사 행위를 간이 식사로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D/B(180)에 기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control unit 150, within the time rang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ending point, changes the driving state of the induction driving unit 125 to the turn-on stat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ourth weight detection sensor. Accordingly, if an increase in weight exceeding a pre-specified value is detected, the user's eating behavior is classified as a regular meal and recorded in the user DB (180), and the driving state of the cooking induction device is not switched to the turn-on state. The user's eating behavior can be classified as a simple meal and recorded in the user DB (180).

또한, 상기 시스템 제어부(150)는, 상기 사용자 D/B(180)에 누적 기록된 식사 시점, 식사 시간, 식사량에 관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의 식사 시점, 식사 시간, 식사량에 관한 일별 통계적 평균치, 일별 식사 횟수의 평균치, 일별 정찬 식사 횟수의 평균치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스템 제어부(150)는, 상기 정찬 식사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일별 식사 횟수가 2회 미만이며, 상기 일별 식사량의 총합이 상기 식사량의 총합이 사전 지정된 일별 권장 식사량 미만으로 확인되는 상태가 사전 지정된 기간 범위 내에서 사전 지정된 일수 이상 포함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16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통신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통신 단말로 건강 위험 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control unit 150 provides daily statistics on the meal time, meal time, and meal amount of the user based on the data on the meal time, meal time, and meal amount cumulatively recorded in the user DB 180. The average value, the average number of meals per day, and the average number of regular meals per day can be calculated. Accordingly, the system control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number of daily meals, not including the regular meal, is less than 2, and that the total amount of daily meals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commended daily meal amount. If more than a pre-designated number of days are included within the pre-designated period range, a health risk warning mess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user's guardian's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0.

또한, 상기 시스템 제어부(150)는, 상기 사용자 D/B(180)에 상기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제에 관한 정보 및 복용 주기에 관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제2 중량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 사전 지정된 수치 이상의 중량 감소가 감지된 시점을 기점으로 하고 이로부터 사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을 종점으로 하였을 때, 상기 종점으로부터 이전 및 이후로 각각 사전 지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제3 중량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 사전 지정된 수치 이상의 중량 감소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신부(160)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통신 단말로 약 복용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3 중량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 상기 중량 감소가 사전 지정된 일수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통신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통신 단말로 건강 위험 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control unit 150 extracts information about the medication taken by the user and information about the medication cycle from the user DB 180, so that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cond weight sensor is a predetermined value.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hird weight detection sensor within a pre-specified time range before and after the end point, starting from the time when the above weight loss was detected and when a pre-designated time has passed since then as the end point. If a weight loss exceeding a pre-specified value is not detected, a medication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0, and as a result of detection by the third weight detection sensor, the weight loss is detected for more than a pre-specified number of days. If not, a health risk warning mess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user's guardian's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시스템 제어부(150)는, 하기의 케이스 들 중 어느 2개 이상 동시에 확인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16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통신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통신 단말로 인지 장애 위험 경보 메시지(예를 들어, 치매 경고, 치매 재발 등)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y two or more of the following cases are confirmed simultaneously, the system control unit 150 sends a cognitive impairment risk warning message to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user's guardian's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0. (For example, dementia warnings, dementia recurrence, etc.) can be transmitted.

일 예로, 상기 사용자 D/B(에 기록된 식사 시점에 관한 데이터에 근거할 때, 시간 순으로 인접하는 2개의 식사 시점 간의 시간 차(difference)가, 상기 식사 시점에 관한 일별 통계적 평균치에 따른 식사 시점 간의 시간 차와 대비할 때 사전 지정된 비율 이상으로 짧거나, 또는 사전 지정된 비율 이상으로 시간 차 간의 증감이 반복되는 불규칙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는 제1 케이스; 다른 예로, 상기 제3 중량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할 때, 시점을 달리하는 상기 사전 지정된 수치 이상의 중량 감소가 상기 복용 주기와 대비할 때 사전 지정된 비율 이상으로 짧은 상태로 사전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불규칙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는 제2 케이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4 중량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할 때, 상기 조리용 인덕션 장치(120)의 상부에 놓였던 물체가 제거된 것으로 확인되는 상태로서, 상기 인덕션 구동부(125)의 구동 상태가 여전히 턴 온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사전 지정된 시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가 사전 지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사전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제3 케이스;가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As an example, based on the data on the meal timing recorded in the user DB (D/B),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wo chronologically adjacent meal timings is a meal according to the daily statistical average regarding the meal timing. A first case where, when compared to the time difference between viewpoints, it is confirmed that the time difference is shorter than a pre-specified ratio or shows an irregular pattern in which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ime difference is repeated by more than a pre-specified ratio; as another example, detection by the third weight detection sensor Based on the results, a second case in which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loss above the pre-specified value at different time points showed an irregular pattern of repeating more than the pre-specified number of times while being shorter than the pre-specified ratio compared to the dosage cycle; As another exampl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ourth weight detection sensor, it is confirmed that the object placed on the top of the cooking induction device 120 has been removed, and the driving state of the induction drive unit 125 is still A third case in which the case where the time for maintaining the turn-on state exceeds a pre-specified time range is confirmed to be repeated more than a pre-specified number of times within the pre-specified time range may be applicable her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easy to understand that and can be changed.

Claims (7)

스마트 테이블 장치에 있어서,
테이블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 상기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냉온장 구동부; 테이블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조리용 인덕션 장치; 상기 조리용 인덕션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인덕션 구동부; 상기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테이블의 소정 위치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매립형 서랍 장치;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와,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 내의 살균을 위해 설치되는 자외선 살균기;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가 개방되거나 동작됨에 따라 작동되는 조명 장치; 상기 테이블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무선 충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 상기 조리용 인덕션 장치,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 상기 자외선 살균기, 상기 조명 장치,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기능 및 동작 제어를 위해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기능 조작부;와,
상기 기능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기능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냉온장 구동부, 상기 인덕션 구동부, 상기 모터 구동부, 상기 자외선 살균기, 상기 조명 장치,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를 위한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시스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테이블 장치.
In the smart table device,
A simple embedded cooling and heating device installed embedded in a table; a cold and hot storag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embedded simple cold and hot storage device; An induction device for cooking that is installed embedded in a table; An induction drive unit for driving the induction cooking device; An embedded drawer device installed inside the embedded simple cooling and heating device or installed in an embedded form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table; A moto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embedded drawer device;
An ultraviolet sterilizer installed to sterilize the embedded drawer device; a lighting device that operates when the embedded drawer device is opened or operated; A wireless charging device embedded in the table and installed; with at least one of,
A function control unit installed on the table to control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of the embedded simple cooling and heating device, the cooking induction device, the embedded drawer device, the ultraviolet sterilizer, the lighting device,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 system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driv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ld and hot storage drive unit, the induction drive unit, the motor drive unit, the ultraviolet sterilizer, the lighting device,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based on the function operation signal selected by the function operation unit. ;
A smart table device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테이블 장치의 사용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스마트 테이블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 이력 및 패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기기; 상기 스마트 테이블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관한 기본 정보 및 상기 모니터링 기기를 통해서 취득되는 상기 사용 이력 및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를 포함하는, 스마트 테이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of the smart table device; A monitoring device installed on the table to acquire usage history and pattern information of users using the smart table device; A smart table device including; a user D/B that stores basic information about the user using the smart table device and the usage history and patter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monitor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는, 상기 모터 구동부의 구동에 따른 모터 동작에 따라, 상하로 팝업되는 방식으로 개폐되거나,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거나, 틸팅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테이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embedded drawer device is a smart 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opens and closes in an up and down pop-up manner, opens and closes in a sliding manner, or opens and closes in a tilting manner according to the motor oper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drive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는, 상기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식을 보관하는 제1 서랍 장치, 상기 테이블에 매립형으로 설치되어 수저를 보관하는 제2 서랍 장치, 상기 테이블에 매립형으로 설치되어 약제를 보관하는 제3 서랍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기기는, 중량 감지 센서로서, 상기 제1 서랍 장치에 보관된 물품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중량 감지 센서, 상기 제2 서랍 장치에 보관된 물품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중량 감지 센서, 상기 제3 서랍 장치에 보관된 물품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3 중량 감지 센서, 상기 조리용 인덕션 장치의 상부에 놓인 물체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4 중량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냉온장 구동부, 상기 인덕션 구동부, 상기 모터 구동부의 구동 상태 및 상기 중량 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매립형 간이 냉온장 장치, 상기 조리용 인덕션 장치, 상기 매립형 서랍 장치의 사용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테이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embedded drawer device includes a first drawer device installed inside the embedded simple cooling and heating device to store food, a second drawer device installed embedded in the table to store cutlery, and a second drawer device installed embedded in the table to store medicine. It includes a third drawer device for storing,
The monitoring device is a weight sensor, including a first w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an article stored in the first drawer device, and a second w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an article stored in the second drawer device. A sensor, a third weigh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an item stored in the third drawer device, and a fourth weigh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an object placed on top of the cooking induction device,
The system control unit controls the embedded simple cold/warm storage device, the cooking induction device, and the embedded drawer according to changes in the driving status of the cold/warm storage drive unit, the induction drive unit, and the motor drive unit and the sensing result value of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 smart 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he device is in us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제2 중량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 사전 지정된 수치 이상의 중량 감소가 감지된 시점을 기점으로 하고 이로부터 사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을 종점으로 하였을 때, 상기 기점에서 상기 종점까지의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중량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른 중량 감소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중량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최종 중량 감소 값 및 해당 중량 감소의 최종 감지 시점까지의 중량 감소 지속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최종 중량 감소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식사량을 산출하고, 상기 중량 감소 지속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식사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기점에 해당하는 식사 시점, 상기 식사량, 상기 식사 시간을 상기 사용자 D/B에 기록하되,
상기 기점에서 상기 종점까지의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인덕션 구동부의 구동 상태가 턴 온 상태로 전환된 상태로서 상기 제4 중량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사전 지정된 수치 이상의 중량 증가가 감지된 경우 사용자의 식사 행위를 정찬 식사로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D/B에 기록하고, 상기 조리용 인덕션 장치의 구동 상태가 턴 온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식사 행위를 간이 식사로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D/B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테이블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system control unit,
As a result of detection by the second weight detection sensor, the point in time at which a weight loss of more than a pre-specified value is detected is the starting point and the point in time when a pre-specified time has elapsed is taken as the end point, within the time rang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end point, When a weight reduc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weight detection sensor is confirmed, the final weight reduction value detected by the first weight detection sensor and the weight reduction duration until the final detection of the weight reduction are calculated, The user's meal amount is calculated based on the final weight loss value, the user's meal time is calculated based on the weight loss duration, and the meal time corresponding to the starting point, the meal amount, and the meal time are calculated by the user D/ Record it in B,
Within the time rang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ending point, when the driving state of the induction drive unit is switched to the turn-on state and an increase in weight exceeding a predetermined value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ourth weight detection sensor, the user's The eating behavior is classified as a full meal and recorded in the user DB, and if the driving state of the cooking induction device is not switched to the turn-on state, the user's eating behavior is classified as a light meal and recorded in the user DB. A smart table device characterized by record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D/B에 누적 기록된 식사 시점, 식사 시간, 식사량에 관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의 식사 시점, 식사 시간, 식사량에 관한 일별 통계적 평균치, 일별 식사 횟수의 평균치, 일별 정찬 식사 횟수의 평균치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정찬 식사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일별 식사 횟수가 2회 미만이며, 상기 일별 식사량의 총합이 상기 식사량의 총합이 사전 지정된 일별 권장 식사량 미만으로 확인되는 상태가 사전 지정된 기간 범위 내에서 사전 지정된 일수 이상 포함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통신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통신 단말로 건강 위험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D/B에 상기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제에 관한 정보 및 복용 주기에 관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제2 중량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 사전 지정된 수치 이상의 중량 감소가 감지된 시점을 기점으로 하고 이로부터 사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을 종점으로 하였을 때, 상기 종점으로부터 이전 및 이후로 각각 사전 지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제3 중량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 사전 지정된 수치 이상의 중량 감소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통신 단말로 약 복용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3 중량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 상기 중량 감소가 사전 지정된 일수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통신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통신 단말로 건강 위험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테이블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system control unit,
Based on the data on the meal time, meal time, and meal amount recorded cumulatively in the user DB, the daily statistical average of the user's meal time, meal time, and meal amount, the average number of daily meals, and the number of daily formal meals Calculate the average value for each,
The number of daily meals, excluding the regular meals, is less than 2, and the total number of daily meals is confirmed to be less than the pre-specified recommended daily meal amount, including more than a pre-specified number of days within a pre-specified period. If so, transmitting a health risk warning message to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user's guardian's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By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the medication taken by the user and information about the medication cycle from the user DB, the point in time when a weight loss exceeding a pre-specified value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second weight detection sensor is detected as the starting point, and from this point in time, When a pre-specified time elapses is set as the end point, and a weight reduction greater than a pre-specified value is not detected as a result of detection by the third weight detection sensor within a pre-specified time range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the end point, the communication unit A medicine taking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user's guardian's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weight loss is not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by the third weight detection sensor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days. A smart 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 health risk alert messa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D/B에 기록된 식사 시점에 관한 데이터에 근거할 때, 시간 순으로 인접하는 2개의 식사 시점 간의 시간 차(difference)가, 상기 식사 시점에 관한 일별 통계적 평균치에 따른 식사 시점 간의 시간 차와 대비할 때 사전 지정된 비율 이상으로 짧거나, 또는 사전 지정된 비율 이상으로 시간 차 간의 증감이 반복되는 불규칙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3 중량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할 때, 시점을 달리하는 상기 사전 지정된 수치 이상의 중량 감소가 상기 복용 주기와 대비할 때 사전 지정된 비율 이상으로 짧은 상태로 사전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불규칙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4 중량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할 때, 상기 조리용 인덕션 장치의 상부에 놓였던 물체가 제거된 것으로 확인되는 상태로서, 상기 인덕션 구동부의 구동 상태가 여전히 턴 온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사전 지정된 시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가 사전 지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사전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제3 케이스; 중 적어도 2개가 동시에 확인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통신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의 통신 단말로 인지 장애 위험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테이블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system control unit,
Based on the data on meal times recorded in the user DB,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wo chronologically adjacent meal times is the time difference between meal times according to the daily statistical average regarding the meal times. When compared with the first case, which is confirmed to be shorter than a pre-specified ratio or to exhibit an irregular pattern in which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ime difference is repeated by more than a pre-specified ratio;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third weight detection sensor, the weight loss above the pre-specified value at different times shows an irregular pattern that is repeated more than a pre-specified number of times in a shorter state than the pre-specified ratio when compared to the dosage cycle. The second case confirmed to b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ourth weight detection sensor, it is confirmed that the object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oking induction device has been removed, and the time for which the driving state of the induction drive unit is still turned on is predetermined. A third case in which the case exceeding the specified time range is confirmed to be repeated more than a pre-specified number of times within the pre-specified time range; If at least two of them are confirmed simultaneously,
A smart 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ing a cognitive impairment risk warning message to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user's guardian's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KR1020220085348A 2022-07-12 2022-07-12 Smart table apparatus KR202400084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348A KR20240008466A (en) 2022-07-12 2022-07-12 Smart tabl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348A KR20240008466A (en) 2022-07-12 2022-07-12 Smart tabl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466A true KR20240008466A (en) 2024-01-19

Family

ID=8971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348A KR20240008466A (en) 2022-07-12 2022-07-12 Smart tabl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846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91787B (en) Intelligent closestool and safety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lligent closestool
US20060067545A1 (en) Device for encouraging hand wash compliance
JP6336816B2 (en) refrigerator
EP1794727A1 (en) A device for encouraging hand wash compliance
CN105115235A (en) Refrigerator storage room reminding method and refrigerator
EP2792979A3 (en) Low temperature storage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5163180A (en) Play control method, play control device and terminal
ES2817424T3 (en) Procedure and device for the operation of a domestic appliance and domestic appliance
CN108415298B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JP2007032920A (en) Lighting apparatus in refrigerator
CN202649699U (en) Infrared ray gun alarm clock
KR20240008466A (en) Smart table apparatus
CN114099726A (en) Disinfection method, device and disinfection box
CN111059682A (en) Cabinet air conditioner door plate control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cabinet air conditioner
CN207006713U (en) A kind of fridge freshness retaining cleaning and power-off alarm set
CN110461078B (en) Light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control device
CN108266761A (en) Kitchen range flare warning device
CN2538240Y (en) Controller for electric steamer
CN110888325A (en) Intelligent kitchen system and intelligent kitchen
CN112948782A (en) Integrated cooker safety control method based on network and integrated cooker
CN106264064B (en) Cooking apparatus, intelligent terminal, cooking system and its method of interior implementation
CN107144069A (en) Intelligent refrigerator, its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CN110848759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dry heating of heating equipment, heating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6979591B (en) Air conditione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West et al. A probabilistic approach to the anxious home for activity monito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