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987A - Smart hand care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hand car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987A
KR20240007987A KR1020220084754A KR20220084754A KR20240007987A KR 20240007987 A KR20240007987 A KR 20240007987A KR 1020220084754 A KR1020220084754 A KR 1020220084754A KR 20220084754 A KR20220084754 A KR 20220084754A KR 20240007987 A KR20240007987 A KR 20240007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rve conduction
nerve
signal
unit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진호
이영진
윤지수
정다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솔
Priority to KR1020220084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987A/en
Publication of KR20240007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98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9Evaluating the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4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nerve conduction study [N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8Nerve conduction study, e.g. detecting action potential of peripheral ner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61B5/395Details of stimulation, e.g. nerve stimulation to elicit EMG respo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2Electromedical brushes, combs, massa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Dentis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손목 또는 팔뚝의 근육 표면상에서 측정된 신경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손목의 이상 여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신경전도 측정 장치는 손목 또는 팔뚝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모션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감지부, 상기 모션 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모션값 이상인 경우 컨트롤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사용자의 감각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제1 신경전도 센싱부, 및 상기 제1 신경전도 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감각신경전도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신경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손바닥, 손등, 및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기록전극을 통해 운동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제2 신경전도 센싱부를 포함하며, 사무, 학습 및 스포츠 활동으로 발생하는 손목의 피로도와 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relates to a smart hand care system that analyzes abnormalities in the wrist using nerve conduction signals measured on the muscle surface of the wrist or forearm and provides customized solu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herein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is used to measure wrist or forearm A mo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movement and generates a motion detection signal; a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that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motion value and is provided to measure the user's sensory nerve conduction signal a unit, and a device provided to measure a motor nerve conduction signal through a recording electrod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palm,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fingers when the sensory nerve conduction signal measured through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is outside a preset reference nerve range. It includes a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and is effective in preventing and managing wrist fatigue and diseases caused by office work, learning, and sports activities.

Figure P1020220084754
Figure P1020220084754

Description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Smart hand care system}Smart hand care system {Smart hand care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목 또는 팔뚝의 근육 표면상에서 측정된 신경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손목의 이상 여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hand care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a smart hand that analyz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wrist using nerve conduction signals measured on the muscle surface of the wrist or forearm and provides a customized solu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s about the care system.

현대 사회에 이르러 컴퓨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컴퓨터의 사용이 많아지고,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기기도 점차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As computer technology develops in modern society, the use of computers increases, and mobile devices with computing function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are gradually expanding their scope.

이 중 특히 스마트폰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정보 통신망에 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Among these, smartphones are especially widely used because they are convenient in that they allow users to acces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and use various servic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하지만,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손목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다양한 손목 질환이 발생하고 있다.However, people who use computers or smartphones for long periods of time develop various wrist diseases due to excessive use of the wrist.

이러한 손목 질환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터널 증후군과 가이온 증후군이 있으며, 각각 정중신경 및 척골신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se wrist diseases include carpal tunnel syndrome and Guyon syndrome, as shown in Figure 1, and are closely related to the median nerve and ulnar nerve, respectively.

이중 손목터널 증후군은 수근관 증후군(CTS, Carpal Tunnel Syndrome)이라고도 불리며, 손목을 구성하고 있는 뼈와 인대 등으로 형성된 좁은 통로인 수근관(carpal tunnel)이 좁아지면서 그곳을 지나는 정중신경(median nerve)이 눌리게 되어 손가락과 손의 통증, 무감각 및 저림 현상과 같은 통증이 발생하는 신경압박성 질환이다.Carpal tunnel syndrome, also called carpal tunnel syndrome (CTS), is when the carpal tunnel, a narrow passage formed by the bones and ligaments that make up the wrist, becomes narrow and the median nerve passing through it becomes compressed. It is a nerve compression disease that causes pain such as pain, numbness, and tingling in the fingers and hands.

이는 경증인 경우에는 간단한 주사나 약물요법 또는 손목에 부목을 고정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호전되기도 하나, 정도가 심할 때에는 수술적 방법이 동원되어야 한다.In mild cases, this can be improved with simple injections, drug therapy, or fixing a splint on the wrist, but in severe cases, surgical methods must be used.

따라서, 이러한 손목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Therefore,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to prevent such wrist diseases.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사용자의 팔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을 쥐었을 때의 근육움직임과 폈을 때의 근육움직임을 측정하고, 측정된 근육움직임을 근육정보로 정보화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근육측정부재와, 근육측정부재에서 전송되는 근육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근육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면서 디스플레이 하는 근육정보관리부재를 포함하는 근전도 측정 시스템이 개시된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below, there is a muscle provided on the user's arm that measures the muscle movement when the user clenches and opens the hand, converts the measured muscle movement into muscle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outside. An electromyography measurement system is disclosed that includes a measurement member and a muscle information management member that receives muscl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uscle measurement member and stores, manages, and displays the received muscle information.

이로 인해 하기 특허문헌 1의 근전도 측정 시스템은 밴드형태로 구성되는 근육측정부재를 팔에 위치시킨 상태로 주먹을 쥐면서 자신이 휴대하는 스마트폰을 통해 근전도를 측정할 수 있어 별도의 근전도기를 구비하여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근육측정부재를 팔에 착용한 상태로 일상생활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을 통해 정확하게 표시되는 자신의 근육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r this reason, the electromyography measurement system of Patent Document 1 below can measure the electromyogram through a smartphone carried by the person while clenching a fist with the muscle measuring member, which is composed of a band, positioned on the arm, and is equipped with a separate electromyogram. You don't have to carry it around, you can go about your daily life while wearing the muscle measuring device on your arm, and you can check your muscle information accurately displayed on your smartphone.

그러나, 하기 특허문헌 1의 근전도 측정 시스템은 손목터널 증후군을 검출하기 위한 정확한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와, 근육에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근육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불필요한 리소스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electromyography measurement system of Patent Document 1 below has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measure accurate nerve conduction signals to detect carpal tunnel syndrome, and unnecessary resources are consumed by continuously extracting muscle information even when no special events occur in the muscles. There is a problem of consumption.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a) 전극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근육 표면의 전기 신호로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근전도 신호로부터 순수 근전도 신호(m[n])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획득된 순수 근전도 신호(m[n])를 기초로 근육 피로도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전도 측정을 통한 근육 피로도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시하고 있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below includes (a) measuring an EMG signal us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surface of the user's muscle detected by an electrode, (b) obtaining a pure EMG signal (m[n]) from the measured EMG signal. , and (c) analyzing muscle fatigue based on the obtained pure electromyogram signal (m[n]) and providing analysis results to the user. A method for analyzing muscle fatigue through electromyography measurement and a wearabl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is presenting.

이를 통해, 하기 특허문헌 2의 근전도 측정을 통한 근육 피로도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전극을 통해 측정된 근전도 신호로부터 근육의 운동에 의해 발생한 전기 신호만을 분류하여 근육 피로도의 분석을 실시하기 때문에 근육 피로도에 대해 보다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the method for analyzing muscle fatigue through electromyography measurement in Patent Document 2 below and the wearable device that performs the method perform analysis of muscle fatigue by classifying only the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by muscle movement from the electromyographic signals measured through electrodes. This has the effect of enabling a more accurate analysis of muscle fatigue.

그러나, 하기 특허문헌 2의 근전도 측정을 통한 근육 피로도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측정된 근전도 신호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포함한 잡음을 제거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을 뿐, 보다 정밀하게 손목터널 증후군을 검출하기 위한 추가 정보는 제시하고 있지 않다.However, the muscle fatigue analysis method through EMG measurement and the wearable device that performs the same in Patent Document 2 below only present a technology for removing noise including ECG signals from the measured EMG signals, and more precisely detect carpal tunnel syndrome. No additional information is provided to do this.

또한, 하기 특허문헌 2는 전력 효율을 높이기 위해 분석된 피로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분석 정보 및 알람을 제공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을 뿐, 근육에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근육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불필요한 리소스가 소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은 제시하고 있지 않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below only presents a technology that provides analysis information and alarms to the user only when the analyzed fatigue level is above a preset threshold to increase power efficiency, and provides muscle information only when a special event occurs in the muscle. It does not present any features that can prevent the problem of unnecessary resource consumption by extracting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8457호(2017년 10월 19일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88457 (announced on October 19, 201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1745호(2020년 09월 03일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151745 (announced on September 3, 2020)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무, 학습 및 스포츠 활동으로 발생하는 손목의 피로도와 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hand care system that can prevent and manage wrist fatigue and diseases caused by office work, study, and sports activiti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부착된 근전도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경전도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stomized solution to the user by measuring nerve conduction signals in real time through an electromyography sensor attached to the user and analyzing the measured nerve conduction signa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목 이상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여 사용자의 손목 피로도 및 질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hand care system that can prevent user wrist fatigue and disease in advance by more precisely analyzing wrist abnormaliti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목에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리소스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hand care system that can prevent unnecessary consumption of resources by measuring nerve conduction signals only when a special event occurs in the wrist.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은 신경전도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신경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손목의 이상여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is technical task, the smart hand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nerve conduction signals measured through a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to analyze whether the user terminal has an abnormality in the wrist, and provides a user-customized solu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is about a smart hand care system that provides.

본 발명에서 상기 신경전도 측정 장치는 손목 또는 팔뚝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모션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감지부, 상기 모션 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모션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감각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제1 신경전도 센싱부, 및 상기 제1 신경전도 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감각신경전도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신경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손바닥, 손등, 및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기록전극을 통해 운동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제2 신경전도 센싱부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includes a mo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movement of the wrist or forearm and generates a motion detection signal, and is provided to measure the user's sensory nerve conduction signal whe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motion value. A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and if the sensory nerve conduction signal measured through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is outside the preset reference nerve range, a motor nerve conduction signal is recorded through a recording electrod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palm,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fingers. It includes a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provided to measure.

또한, 상기 신경전도 측정 장치는 상기 모션 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모션 감지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 모션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신경전도 센싱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신경전도 센싱부를 동작시키는 컨트롤부, 및 상기 제1 신경전도 센싱부와 제2 신경전도 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신경전도 신호를 저전력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compares the motion detection signal measured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unit with a preset reference motion value, operates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responds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ly, a control unit that operates the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and a nerve conduction signal measured through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and the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using a low-power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led from the user terminal. It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signal.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모션 감지부는 단위시간당 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단위시간당 각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한다.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ion detection unit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speed per unit time or a gyro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angular velocity per unit tim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신경전도 센싱부는 자극전극을 통해 피부 표면상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전기자극기,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근전도 센서, 및 상기 전기자극기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신호를 정중신경 및 척골신경에 인가하기 위해 정중신경 및 척골신경이 위치하는 피부상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자극전극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includes an electrical stimulator provided to supply an electrical signal to the skin surface through a stimulation electrode, an electromyography sensor provided to measure the nerve conduction signal, and an electrical signal supplied from the electrical stimulator. It includes at least one stimulation electrode provided on the skin where the median nerve and ulnar nerve are located in order to apply it to the median nerve and ulnar nerv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신경전도 센싱부는 상기 근전도 센서를 통해 감각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정중신경 및 척골신경이 위치하는 피부상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록전극, 및 상기 근전도 센서가 안정적인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노이즈 제거를 위해 마련된 접지전극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recording electrode provided on the skin where the median nerve and ulnar nerve are located to measure a sensory nerve conduction signal through the electromyography sensor, and the electromyographic sensor is stable. It further includes a ground electrode provided to remove noise so that the nerve conduction signal can be measur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신경전도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신경전도 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팔뚝 부위의 정중신경 및 척골신경으로부터 측정되는 감각신경전도속도와, 손바닥, 손등, 및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에서 측정되는 운동신경전도속도를 추출하기 위해 마련된 신경전도 분석부, 및 상기 신경전도 분석부에서 추출된 감각신경전도속도 및 운동신경전도속도를 상기 기준 신경범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신경전도 측정 장치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analyzes the nerve conduction signal data transmitted from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to determine the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measured from the median nerve and ulnar nerve in the forearm region and at least one of the palm,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fingers. The nerve conduction analysis unit provided to extract the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measured in the nerve conduction analysis unit, and the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and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extracted from the nerve conduction analysis unit ar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nerve range,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the nerve conduction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degree measuring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감각신경전도속도가 상기 기준 신경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운동신경전도속도를 추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신경전도 측정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운동신경전도속도가 기준 신경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손목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사용자 맞춤형 솔루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extracting the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to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when the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is outside the reference nerve range, and the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is within the reference nerve range. If it deviates, it is determined that something is wrong with the wrist and a preset customized solution is provided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신경전도 측정 장치는 컨트롤부의 제어에 따라 손목에 마사지를 수행하기 위한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동신경전도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신경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신경전도 측정 장치에 상기 저주파 발생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rve conduction measur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low frequency generator that generates low frequencies for performing a massage on the wris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is outside a preset reference nerve range. In this case, in order to provide the user-customized solution,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low-frequency generator is transmitted to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은 사무, 학습 및 스포츠 활동으로 발생하는 손목의 피로도와 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mart hand ca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preventing and managing wrist fatigue and diseases caused by office, study, and sports activiti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부착된 근전도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경전도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mart hand ca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nerve conduction signals in real time through an electromyography sensor attached to the user, and analyzes the measured nerve conduction signals to provide a customized solution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은 보다 정밀한 신경전도 신호의 측정을 통해 손목의 이상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분석 정보의 정확성을 증대하고, 사용자의 손목 피로도 및 질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mart hand ca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accuracy of analysis information to detect wrist abnormalities through more precise measurement of nerve conduction signals, an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user wrist fatigue and disease in advance.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은 손목에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리소스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dditionally, the smart hand ca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unnecessary consumption of resources by measuring nerve conduction signals only when a special event occurs in the wrist.

도 1은 종래의 손목 질환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신경전도 측정 장치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모션 감지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제1 신경전도 센싱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신경전도 센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제2 신경전도 센싱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신경전도 센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사용자 단말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wrist disease area.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 hand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mart hand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of Figure 2 in detail.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otion detection unit of FIG. 4 in detail.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of FIG. 4 in detail.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of FIG. 4 in detail.
Figure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user terminal of FIG. 2 in detail.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컨트롤부", "통신부", "제어부", "저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the terms "control unit", "communication unit", "control unit", and "storage unit"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implemented through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 hand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mart hand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는 도 2의 신경전도 측정 장치(10)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의 모션 감지부(110)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Additionally,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10 of FIG. 2 in detail,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otion detection unit 110 of FIG. 4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은 인체의 신경전도 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신경전도 신호를 분석하여 사무업무, 학습 및 스포츠 활동으로 발생하는 손목의 피로도 및 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 smart hand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human body's nerve conduction signals in real time and analyzes the measured nerve conduction signals to prevent and manage wrist fatigue and diseases caused by office work, learning, and sports activities. can do.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은 손목 터널 증후군(CTS, Carpal Tunnel Syndrome)을 예방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r example, the smart hand 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preventing and managing carpal tunnel syndrome (C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신경전도 측정 장치(10)와 사용자 단말(20)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mart hand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10 and a user terminal 20, as shown in FIGS. 2 and 3.

본 발명의 신경전도 측정 장치(1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특정 근육의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신경전도 측정 장치(10)의 본체(11)는 팔토시 형상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the human body to measure nerve conduction signals from a user's specific muscles. At this time, the main body 11 of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10 may be provided as a wearable device in the shape of an arm sleeve.

또한, 본 발명에서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상기 특정 근육은 정중신경(median nerve)(1) 및 척골신경(ulnar nerve)(2)인 것으로 간주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muscles for measuring nerve conduction signals are considered to be the median nerve (1) and the ulnar nerve (2).

일반적으로 상기 정중신경(median nerve)(1)은 아래팔 앞쪽의 주된 신경으로서 아래팔 앞쪽과 엄지두덩의 근육에 분포하여 손의 여러 거친 움직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the median nerve (1) is the main nerve in the front of the forearm and is distributed to the muscles of the front of the forearm and thumb and plays a role in controlling various rough movements of the hand.

따라서, 이러한 정중신경(1)에 눌림이 발생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손목 터널 증후군(수근관 증후군)의 원인이 된다.Therefore, when compression occurs on the median nerve (1), it becomes the cause of carpal tunnel syndrome (carpal tunnel syndrome) as described above.

또한, 팔꿈치 뒤쪽을 지나가는 터널 속의 척골신경(ulnar nerve)(2)은 손 근육에 중요한 운동신경으로서 섬세하고 복잡한 손 작업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Additionally, the ulnar nerve (2) in the tunnel passing behind the elbow is an important motor nerve for the hand muscle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licate and complex hand work.

따라서, 이러한 척골신경(2)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팔꿈치 부위에서 압박, 긴장, 마찰 등에 의해 신경병증을 일으키는 주관 증후군(척골신경 압박 증후군)의 원인이 된다.Therefore,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ulnar nerve (2), it becomes the cause of subjective syndrome (ulnar nerve compression syndrome), which causes neuropathy due to pressure, tension, friction, etc. in the elbow area.

또한, 본 발명의 신경전도 측정 장치(1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감지부(110),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 제2 신경전도 센싱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컨트롤부(160), 저주파 발생부(170), 및 전원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ion detection unit 110, a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a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30, and a communication unit 140. ), a storage unit 150, a control unit 160, a low frequency generator 170, and a power supply unit 180.

본 발명에서 모션 감지부(110)는 본체(11)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모션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모션 감지부(110)는 가속도 센서(111), 자이로 센서(112), 및 온습도 센서(113)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ion detection unit 11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1 and generates a motion detection signal. 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ion detection unit 11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111, a gyro sensor 112, and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13.

상기 가속도 센서(111)는 손목의 직선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단위시간당 속도의 변화를 검출한다. 또한, 자이로 센서(112)는 손목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단위시간당 물체의 회전속도인 각속도의 변화를 검출한다. 또한, 온습도 센서(113)는 신경전도 측정 장치(10)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한다.The acceleration sensor 111 detects a change in speed per unit time to detect the linear movement of the wrist. Additionally, the gyro sensor 112 detects changes in angular velocity, which is the rotational speed of an object per unit time, to detect rotational movement of the wrist. Additionall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13 measur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10 and stores them in the storage unit 150.

즉, 모션 감지부(110)는 본체(11)가 부착된 손목 또는 팔뚝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가속도 센서(111) 또는 자이로 센서(112)를 이용하여 모션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모션 감지신호를 컨트롤부(160)에 전송한다.That is, the motion detection unit 110 generates a motion detection signal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111 or the gyro sensor 112 when movement of the wrist or forearm to which the main body 11 is attached occurs, and detects the generated motion.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60.

이때, 본 발명의 컨트롤부(160)는 측정된 모션 감지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 모션값과 비교하고, 모션 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 모션값 이상인 경우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를 동작시키기 위한 이벤트 신호를 발생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measured motion detection signal with a preset reference motion value, and when the size of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motion value, the control unit 160 operates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Generates an event signal.

즉, 컨트롤부(160)는 측정된 모션 감지신호가 기준 모션값 이상인 경우 손목 또는 팔뚝에 일정 이상의 충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를 작동한다.That is, if the measured motion detection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motion value,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at an impact greater than a certain level has occurred on the wrist or forearm and operates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예를 들어, 컨트롤부(160)는 모션 감지부(110)를 통해 측정된 가속도 값이 40m/s2 이상인 경우 손목에 기준 이상의 충격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를 동작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cceleration value measured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unit 110 is 40 m/s 2 or more,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at an amount of impact greater than the standard has occurred in the wrist and operates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You can do it.

도 6은 도 4의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of FIG. 4 in detail, and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즉, 도 7은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를 이용하여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자극전극(123, 124, 126, 127), 기록전극(128, 129), 및 접지전극(125)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That is, Figure 7 shows stimulation electrodes (123, 124, 126, 127), recording electrodes (128, 129), and ground electrodes (125) provided to measure nerve conduction signals using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 is a drawing showing the location of.

이때, 자극전극(123, 124, 126, 127)은 각각 활성전극(active electrode)과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으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timulation electrodes 123, 124, 126, and 127 each consist of an active electrode and a reference electrode.

본 발명에서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는 컨트롤부(16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이벤트 신호의 발생시 정중신경(1) 및 척골신경(2)의 신경전도 신호를 검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to detect nerve conduction signals of the median nerve 1 and the ulnar nerve 2 when an event signal occurs.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극기(121) 및 근전도 센서(122)를 포함한다.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includes an electrical stimulator 121 and an electromyography sensor 122, as shown in FIG. 6.

본 발명에서 전기자극기(121)는 정중신경(1) 및 척골신경(2)에 전기자극을 인가하기 위해 자극전극(123, 124, 126, 127)을 통해 전기 신호를 공급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stimulator 121 supplies electrical signals through the stimulation electrodes 123, 124, 126, and 127 to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median nerve 1 and the ulnar nerve 2.

예를 들어, 전기자극기(121)는 10~15mV의 전위를 정중신경(1) 및 척골신경(2)에 인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ical stimulator 121 can apply a potential of 10 to 15 mV to the median nerve (1) and the ulnar nerve (2).

이때,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청색 전극은 정중신경 자극전극(123, 126)을 나타내고, 적색 전극은 척골신경 자극전극(124, 127)을 나타낸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the blue electrode represents the median nerve stimulating electrodes (123, 126), and the red electrode represents the ulnar nerve stimulating electrodes (124, 127).

또한, 자극전극(123, 124, 126, 127)은 상기 전기자극기(121)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신호를 정중신경(1) 및 척골신경(2)에 인가하기 위해 정중신경(1) 및 척골신경(2)이 위치하는 근육 표면상에 마련된다.In addition, the stimulation electrodes (123, 124, 126, 127) are connected to the median nerve (1) and the ulnar nerve (2) in order to apply the electric signal supplied from the electric stimulator (121) to the median nerve (1) and the ulnar nerve (2). 2) It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uscle where it is located.

또한, 근전도 센서(122)는 기록전극(128, 129)을 통해 정중신경(1) 및 척골신경(2)으로부터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전위 파형을 획득한다.Additionally, the electromyography sensor 122 acquires a potential waveform for measuring nerve conduction signals from the median nerve 1 and the ulnar nerve 2 through the recording electrodes 128 and 129.

즉, 근전도 센서(122)는 자극전극(123, 124, 126, 127)을 통해 공급된 전위가 신경을 거쳐 수신되는 측정시간 및 전위의 진폭 등을 추출한다.That is, the electromyography sensor 122 extracts the measurement time and amplitude of the potential supplied through the stimulation electrodes 123, 124, 126, and 127 through the nerve.

또한, 기록전극(128, 129)은 상기 근전도 센서(122)를 통해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정중신경(1) 및 척골신경(2)이 위치하는 피부상에 마련된다.In addition, recording electrodes 128 and 129 are provided on the skin where the median nerve 1 and ulnar nerve 2 are located to measure nerve conduction signals through the electromyography sensor 122.

본 발명에서 근전도 센서(122)는 근육 표면에 마련된 기록전극(128, 129)을 통해 각 신경세포의 탈분극과 재분극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활동 전위를 측정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myography sensor 122 measures action potentials generated during the depolarization and repolarization of each nerve cell through recording electrodes 128 and 129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uscle.

즉, 근전도 센서(122)는 정중신경(1) 및 척골신경(2)에 인가된 전기신호가 신경섬유를 따라 전도되는 속도를 측정하는 신경전도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근육 표면에서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electromyography sensor 122 detects nerve conduction signals from the user's muscle surface using the nerve conduction principle of measuring the speed at which electrical signals applied to the median nerve (1) and ulnar nerve (2) are conducted along nerve fibers. It can be measured.

또한, 상기 접지전극(125)은 근전도 센서(122)가 안정적인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노이즈 제거를 위해 마련된다.In addition, the ground electrode 125 is provided to remove noise so that the electromyography sensor 122 can measure stable nerve conduction signals.

본 발명의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를 통해 감각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measuring a sensory nerve conduction signal through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중신경 자극전극(123) 또는 제1 척골신경 자극전극(124)에 전기자극기(121)를 통해 전기 신호(전위)를 인가하고, 인가된 전위에 따라 측정되는 전기 신호를 기록전극(128, 129)에서 측정하여 제1 감각신경전도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7, an electric signal (potential) is applied to the first median nerve stimulation electrode 123 or the first ulnar nerve stimulation electrode 124 through the electrical stimulator 121, and according to the applied potential, The first sensory nerve conduction signal can be extracted by measuring the measured electrical signal at the recording electrodes 128 and 129.

또한, 제2 정중신경 자극전극(126) 또는 제2 척골신경 자극전극(127)에 전기자극기(121)를 통해 전기 신호(전위)를 인가하고, 인가된 전위에 따라 측정되는 전기 신호를 기록전극(128, 129)에서 다시 측정하여 제2 감각신경전도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ical signal (potential) is applied to the second median nerve stimulation electrode 126 or the second ulnar nerve stimulation electrode 127 through the electrical stimulator 121, and the electrical signal measured according to the applied potential is transmitted to the recording electrode. The second sensory nerve conduction signal can be extracted by measuring again at (128, 129).

도 8은 도 4의 제2 신경전도 센싱부(130)를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제2 신경전도 센싱부(1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30 of FIG. 4 in detail, and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30.

즉, 도 9는 제2 신경전도 센싱부(130)를 이용하여 운동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추가된 기록전극(131, 13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That is, FIG. 9 is a diagram showing recording electrodes 131 and 132 added to measure motor nerve conduction signals using the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30.

이때, 상기 기록전극(131, 132)은 사용자의 손바닥, 손등, 및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cording electrodes 131 and 132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s palm, back of the hand, and fingers.

본 발명에서 제2 신경전도 센싱부(130)는 상기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를 통해 측정된 감각신경전도 신호의 분석 결과값이 기준 신경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컨트롤부(160)의 제어에 따라 손바닥, 손등, 및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기록전극(131, 132)을 통해 운동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30 controls the control unit 160 when the analysis result of the sensory nerve conduction signal measured through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is outside the reference nerve range. Accordingly, it is provided to measure motor nerve conduction signals through recording electrodes 131 and 132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palm,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fingers.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신경범위는 40~100m/sec의 신경전도 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ference nerve range can be set to a nerve conduction speed of 40 to 100 m/sec.

즉, 컨트롤부(160)는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의 측정값이 상기 기준 신경범위를 벗어난 경우 전기자극기(121)를 제어하여 자극전극(123, 124, 126, 127)을 통해 정중신경(1) 및 척골신경(2)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고, 추가된 기록전극(131, 132)을 통해 근전도 센서(122)에서 운동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한다.That is,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is outside the reference nerve range,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electrical stimulator 121 to provide a central nerve signal through the stimulation electrodes 123, 124, 126, and 127. Electrical signals are supplied to the nerve 1 and the ulnar nerve 2, and motor nerve conduction signals are measured from the electromyography sensor 122 through the added recording electrodes 131 and 132.

본 발명에서 통신부(140)는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 및 제2 신경전도 센싱부(130)를 통해 측정된 신경전도 신호를 저전력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0 transmits the nerve conduction signal measured through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and the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30 to the user terminal 20 using a low-power communication network.

이때, 상기 저전력 통신망은 BLE(저전력 블루투스, Bluethoth Low Energy) 기반의 통신망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power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BLE (Bluetooth Low Energy)-based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저장부(150)는 모션 감지부(110),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 및 제2 신경전도 센싱부(130)로부터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컨트롤부(160)는 모션 감지부(110),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 제2 신경전도 센싱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저주파 발생부(170), 및 전원부(180)의 동작을 제어한다.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150 stores sensing data measured from the motion detection unit 110,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and the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3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includes a motion detection unit 110, a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a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 storage unit 150, and a low frequency generator ( 17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ower unit 180.

또한, 저주파 발생부(170)는 컨트롤부(160)의 제어에 따라 손목에 마사지를 수행하기 위한 저주파를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부(180)는 신경전도 측정 장치(1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과, 전기자극기(121)에서 전기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Additionally, the low frequency generator 170 generates low frequencies to massage the wris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80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power to drive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10 and power to generate electrical signals in the electrical stimulator 121.

도 10은 도 2의 사용자 단말(20)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user terminal 20 of FIG. 2 in detail.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20)은 통신부(210), 신경전도 분석부(220), 제어부(230), 데이터베이스(240), 알람부(250), 및 디스플레이부(2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0, the user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nerve conduction analysis unit 220, a control unit 230, a database 240, an alarm unit 250, and a display unit ( 26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20)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부(210), 신경전도 분석부(220), 제어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디스플레이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That is, an interface is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10, nerve conduction analysis unit 220, control unit 230, database 240, and display unit 260 are provided through the interface. )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에서 통신부(210)는 신경전도 측정 장치(10)로부터 전송된 신경전도 신호 데이터를 저전력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제어부(230)를 통한 제어신호를 신경전도 측정 장치(10)에 전송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nerve conduction signal data transmitted from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10 using a low-power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control unit 230 to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10. .

또한, 본 발명에서 신경전도 분석부(220)는 수신된 상기 신경전도 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각신경전도 분석 또는 운동신경전도의 분석을 수행한다.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rve conduction analysis unit 220 performs sensory nerve conduction analysis or motor nerve conduction analysis using the received nerve conduction signal data.

또한, 신경전도 분석부(220)는 제1 분석모듈(221)과 제2 분석모듈(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석모듈(221)은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에서 측정된 감각신경전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팔뚝 부위의 정중신경(1) 및 척골신경(2)으로부터 추출되는 감각신경전도속도를 산출하기 위해 마련된다.Additionally, the nerve conduction analysis unit 220 may include a first analysis module 221 and a second analysis module 222. The first analysis module 221 analyzes the sensory nerve conduction data measured by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and calculates the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extracted from the median nerve (1) and ulnar nerve (2) in the forearm area. It is prepared to calculate.

또한, 상기 제1 분석모듈(221)은 제1 신경전도 센싱부(12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토대로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감각신경전도속도(SNCV)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alysis module 221 can calculate the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SNCV) using [Equation 1] below based on the data measured by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20.

[수학식 1][Equation 1]

SNCV(감각신경전도속도) = SD(거리)/SL(잠복시간)SNCV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 SD (distance)/SL (latency time)

이때, 상기 잠복시간(SL)은 전기자극기(121)를 통해 팔뚝 부위에 마련된 자극전극(123, 124, 126, 127)에서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자극을 가한 후 반응이 시작하기 전까지의 시간을 팔뚝의 다른 부위에 마련된 기록전극(128, 129)을 통해 측정한 시간을 나타낸다.At this time, the latency (SL) is the time until the reaction begins after stimulation is applied by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stimulation electrodes (123, 124, 126, 127) provided on the forearm area through the electrical stimulator (121). It represents the time measured through recording electrodes 128 and 129 provided in different parts of .

또한, 상기 거리(SD)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극전극(123, 124)으로부터 기록전극(128, 129)까지의 거리(D1)와, 제2 자극전극(126, 127)으로부터 기록전극(128, 129)까지의 거리(D2)로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SD is the distance D1 from the first stimulation electrodes 123 and 124 to the recording electrodes 128 and 129, and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stimulation electrodes 126 and 127, as shown in FIG. It can be expressed as the distance D2 to the recording electrodes 128 and 129.

따라서, 제1 분석모듈(221)은 상기 거리(D1)과, 제1 자극전극(123, 124)을 통해 인가된 전기 신호를 측정한 상기 제1 감각신경전도 신호를 토대로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제1 감각신경전도속도를 구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analysis module 221 uses the distance D1 and the first sensory nerve conduction signal measured by measuring the electric signal applied through the first stimulation electrodes 123 and 124, The first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can be obtained using .

또한, 제1 분석모듈(221)은 상기 거리(D2)와, 제2 자극전극(126, 127)을 통해 인가된 전기 신호를 측정한 상기 제2 감각신경전도 신호를 토대로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제2 감각신경전도속도를 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alysis module 221 calculates the distance D2 and the second sensory nerve conduction signal by measuring the electric signal applied through the second stimulation electrodes 126 and 127. The second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can be calculated using .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부(230)는 상기 제1 분석모듈(221)을 통해 추출된 제1 감각신경전도속도와 제2 감각신경전도속도를 기준 신경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제1 감각신경전도속도 또는 제2 감각신경전도속도가 기준 신경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신경전도 측정 장치(1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2 신경전도 센싱부(130)를 동작시킨다.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30 compares the first and second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ies extracted through the first analysis module 221 with a reference nerve range, and Alternatively, if the second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is outside the reference nerve range,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10 to operate the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30.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분석모듈(222)은 제2 신경전도 센싱부(130)에서 측정된 운동신경전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손바닥, 손등, 및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추출되는 운동신경전도속도를 산출하기 위해 마련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nalysis module 222 analyzes the motor nerve conduction data measured by the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30 and calculates the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extracted from at least one of the palm,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fingers. It is prepared to calculate.

또한, 상기 제2 분석모듈(222)은 제2 신경전도 센싱부(1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토대로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운동신경전도속도(MNCV)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nalysis module 222 can calculate the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MNCV) using [Equation 2] below based on the data measured by the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30.

[수학식 2][Equation 2]

MNCV(운동신경전도속도) = MD(거리)/ML2(근위잠복시간)-ML1(원위잠복시간)MNCV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 MD (distance) / ML2 (proximal latency) - ML1 (distal latency)

이때, 상기 ML2(근위잠복시간)는 전기자극기(121)를 통해 팔뚝의 특정 부위에 마련된 제1 자극전극(123, 124)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자극을 가한 후 반응이 시작하기 전까지의 시간을 팔뚝의 다른 부위에 마련된 기록전극(131, 132)을 통해 측정한 것을 나타낸다.At this time, the ML2 (proximal latency time) refers to the time until the reaction begins after stimulation is applied by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first stimulation electrodes (123, 124) provided on a specific part of the forearm through the electrical stimulator (121). It represents measurements made through recording electrodes 131 and 132 provided on different parts of the forearm.

또한, 상기 ML1(원위잠복시간)은 전기자극기(121)를 통해 팔뚝의 특정 부위에 마련된 제2 자극전극(126, 127)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자극을 가한 후 반응이 시작하기 전까지의 시간을 기록전극(131, 132)을 통해 측정한 것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ML1 (distal latency time) refers to the time until the reaction begins after stimulation is applied by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second stimulation electrodes (126, 127) provided on a specific part of the forearm through the electrical stimulator (121). It represents measurements made through recording electrodes 131 and 132.

또한, 상기 [수학식 2]에서 거리(MD)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전극(131, 132)으로부터 제1 자극전극(123, 124)까지의 거리(D3)와, 기록전극(131, 132)으로부터 제2 자극전극(126, 127)까지의 거리(D4) 간의 차(D4-D3)로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quation 2], the distance MD is the distance D3 from the recording electrodes 131 and 132 to the first stimulation electrodes 123 and 124, and the recording electrode 131 as shown in FIG. 9. , 132) can be expressed as the difference (D4-D3) between the distance (D4) from the second stimulation electrodes (126, 127).

따라서, 제2 분석모듈(222)은 상기 거리(MD)와, 제1 자극전극(123, 124)을 통해 인가된 전기 신호를 기록전극(131, 132)에서 측정한 제1 운동신경전도 신호, 제2 자극전극(126, 127)을 통해 인가된 전기 신호를 기록전극(131, 132)에서 측정한 제2 운동신경전도 신호를 토대로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운동신경전도속도(MNCV)를 구할 수 있다.Therefore, the second analysis module 222 includes the distance (MD), a first motor nerve conduction signal measured by the recording electrodes 131 and 132, and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hrough the first stimulation electrodes 123 and 124,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MNCV) is calculated using the above [Equation 2] based on the second motor nerve conduction signal measured by the recording electrodes (131, 132) and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hrough the second stimulation electrodes (126, 127).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부(230)는 상기 제2 분석모듈(222)을 통해 추출된 운동신경전도속도(MNCV)를 미리 설정된 기준 신경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운동신경전도속도(MNCV)가 기준 신경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손목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30 compares the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MNCV) extracted through the second analysis module 222 with a preset reference nerve range, and the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MNCV) is the reference nerve range. If it is outside the range, it is judged that something is wrong with the wrist.

또한, 제어부(230)는 손목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사용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신경전도 측정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Addition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wrist, the control unit 23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10 to provide a preset customized solution.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신경전도 측정 장치(1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저주파 발생부(170)를 동작시킴으로써 손목에 마사지를 수행하기 위한 저주파를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3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10 to operate the low frequency generator 170 to generate low frequencies for performing a massage on the wrist.

또한, 제어부(230)는 손목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손목 건강을 위한 사용자 맞춤형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wrist, the control unit 230 may provide user-customized health information for wrist health through the display unit 260.

또한, 본 발명에서 데이터베이스(240)는 신경전도 측정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신경전도 데이터와, 신경전도 분석부(220)를 통해 분석된 분석 결과를 저장한다.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240 stores nerve conduc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10 and analysis results analyzed through the nerve conduction analysis unit 220.

또한, 본 발명에서 알람부(250)는 신경전도 신호의 분석 결과값이 기준 신경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260)는 신경전도 신호의 분석 결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unit 250 can provide an alarm signal to the user when the analysis result of the nerve conduction signal is outside the reference nerve range. 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260 can display data resulting from analysis of nerve conduction signals and provide it to the us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은 사람의 손목이나 팔뚝에 설치한 근전도 센서로부터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손목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손목터널 증후군(수근관 증후군)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 smart hand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nerve conduction signals from an electromyography sensor installed on a person's wrist or forearm, analyzes the measurement results, and detects whether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wrist, thereby causing carpal tunnel syndrome (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carpal tunnel syndrome.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easily modifi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equivalent equivalents. Includes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deemed acceptable.

1 : 정중신경 2 : 척골신경
10 : 신경전도 측정 장치 11 : 본체
110 : 모션 감지부 120 : 제1 신경전도 센싱부
130 : 제2 신경전도 센싱부 140 : 통신부
150 : 저장부 160 : 컨트롤부
170 : 저주파 발생부 180 : 전원부
20 : 사용자 단말 210 : 통신부
220 : 신경전도 분석부 230 : 제어부
240 : 데이터베이스 250 : 알람부
260 : 디스플레이부
1: Median nerve 2: Ulnar nerve
10: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11: Main body
110: motion detection unit 120: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30: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140: communication unit
150: storage unit 160: control unit
170: low frequency generator 180: power supply unit
20: User terminal 210: Communication department
220: Nerve conduction analysis unit 230: Control unit
240: database 250: alarm unit
260: display unit

Claims (6)

신경전도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신경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손목의 이상여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경전도 측정 장치는
손목 또는 팔뚝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모션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감지부;
상기 모션 감지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모션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감각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제1 신경전도 센싱부;
상기 제1 신경전도 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감각신경전도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 신경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손바닥, 손등, 및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기록전극을 통해 운동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제2 신경전도 센싱부;
상기 모션 감지부를 통해 측정된 모션 감지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 모션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신경전도 센싱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신경전도 센싱부를 동작시키는 컨트롤부; 및
상기 제1 신경전도 센싱부와 제2 신경전도 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신경전도 신호를 저전력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
In a smart hand care system in which the user terminal analyz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wrist using the nerve conduction signal measured through a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and provides a customized solu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is
A mo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movement of the wrist or forearm and generates a motion detection signal;
a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provided to measure a user's sensory nerve conduction signal when the motion detection signal is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motion value;
When the sensory nerve conduction signal measured through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is outside the preset reference nerve range, a second nerve conduction signal is provided to measure the motor nerve conduction signal through a recording electrod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palm,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fingers. Degree sensing unit;
The motion detection signal measured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unit is compared with a preset reference motion value,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the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 control unit that operates; and
A smart hand care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nerve conduction signal measured through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and the second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to the user terminal using a low-power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제1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신경전도 측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신경전도 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팔뚝 부위의 정중신경 및 척골신경으로부터 측정되는 감각신경전도속도와, 손바닥, 손등, 및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에서 측정되는 운동신경전도속도를 추출하기 위해 마련된 신경전도 분석부; 및
상기 신경전도 분석부에서 추출된 감각신경전도속도 및 운동신경전도속도를 상기 기준 신경범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신경전도 측정 장치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user terminal is
By analyzing the nerve conduction signal data transmitted from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the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measured from the median and ulnar nerves in the forearm region and the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measured from at least one of the palm,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fingers are extracted. A nerve conduction analysis unit provided for this purpose; and
A smart hand care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mpares the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and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extracted from the nerve conduction analysis unit with the reference nerve range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
제1항에서,
상기 모션 감지부는 단위시간당 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단위시간당 각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motion detection unit is a smart hand care system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speed per unit time or a gyro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angular speed per unit time.
제1항에서,
상기 제1 신경전도 센싱부는
자극전극을 통해 피부 표면상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전기자극기,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 근전도 센서,
상기 전기자극기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신호를 정중신경 및 척골신경에 인가하기 위해 정중신경 및 척골신경이 위치하는 피부상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자극전극,
상기 근전도 센서를 통해 감각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정중신경 및 척골신경이 위치하는 피부상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록전극, 및
상기 근전도 센서가 안정적인 신경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노이즈 제거를 위해 마련된 접지전극을 포함하는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first nerve conduction sensing unit
An electrical stimulator designed to supply electrical signals to the skin surface through stimulation electrodes,
An electromyography sensor designed to measure nerve conduction signals,
At least one stimulation electrode provided on the skin where the median nerve and ulnar nerve are located to apply an electrical signal supplied from the electrical stimulator to the median nerve and ulnar nerve,
At least one recording electrode provided on the skin where the median nerve and ulnar nerve are located to measure sensory nerve conduction signals through the electromyography sensor, and
A smart hand care system including a ground electrode provided to remove noise so that the electromyography sensor can measure stable nerve conduction signals.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감각신경전도속도가 상기 기준 신경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운동신경전도속도를 추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신경전도 측정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운동신경전도속도가 기준 신경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손목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사용자 맞춤형 솔루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
In paragraph 2,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extracting the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to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when the sensory nerve conduction velocity is outside the reference nerve range,
A smart hand care system that determine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wrist when the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is outside the reference nerve range and provides a preset customized solution to the user.
제5항에서,
상기 신경전도 측정 장치는 컨트롤부의 제어에 따라 손목에 마사지를 수행하기 위한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동신경전도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신경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신경전도 측정 장치에 상기 저주파 발생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핸드케어 시스템.






In paragraph 5,
The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further includes a low frequency generator that generates low frequencies for performing a massage on the wris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smart hand care system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operate the low frequency generator to a nerve conduction measurement device to provide a user-customized solution when the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is outside a preset reference nerve range. .






KR1020220084754A 2022-07-11 2022-07-11 Smart hand care system KR202400079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754A KR20240007987A (en) 2022-07-11 2022-07-11 Smart hand car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754A KR20240007987A (en) 2022-07-11 2022-07-11 Smart hand car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987A true KR20240007987A (en) 2024-01-18

Family

ID=8971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754A KR20240007987A (en) 2022-07-11 2022-07-11 Smart hand car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7987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457B1 (en) 2016-05-24 2017-10-1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myogram measuring system
KR102151745B1 (en) 2019-04-29 2020-09-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uscle fatigue analysis with emg measurement and wearable device perform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457B1 (en) 2016-05-24 2017-10-1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omyogram measuring system
KR102151745B1 (en) 2019-04-29 2020-09-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uscle fatigue analysis with emg measurement and wearable device perform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635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iofeedback to a user through a wearable device
CN109804331B (en) Detecting and using body tissue electrical signals
US11406329B2 (e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changes in health parameters and activate lifesaving measures
EP3065628B1 (en) Biomechanical activity monitoring
US201500253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ain of patients
US10264971B1 (en) System and methods for integrating feedback from multiple wearable sensors
US201602469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pain of users
KR102100120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onitoring of bio signals
CN104720787A (en) Method and smart clothing for achieving real-time fatigue monitoring
Stanford Biosignals offer potential for direct interfaces and health monitoring
Fotiadis et al. Wearable medical devices
US11699524B2 (en) System for continuous detection and monitoring of symptoms of Parkinson's disease
WO2019047428A1 (en) Pulse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Zhao et al. Multimodal sensing in stroke motor rehabilitation
KR20240007987A (en) Smart hand care system
Schmitz et al. 3DA: Assessing 3D-Printed Electrodes for Measuring Electrodermal Activity
Ko et al. Integrative Sensing Techniques for Building Non-Invasive Body Sensor Networks
Shajahan Movement analysis for essential tremor
Bhat et al. Use of Wearable Devices in Health Monitoring: A Review of Recent Studies
Martinez et al. Identification of saccades in Electrooculograms and their use as a control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