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432A -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 - Google Patents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432A
KR20240007432A KR1020220084310A KR20220084310A KR20240007432A KR 20240007432 A KR20240007432 A KR 20240007432A KR 1020220084310 A KR1020220084310 A KR 1020220084310A KR 20220084310 A KR20220084310 A KR 20220084310A KR 20240007432 A KR20240007432 A KR 20240007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ember
weight
strengthening
wris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권
강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젼스포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젼스포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젼스포츠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8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432A/ko
Publication of KR2024000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43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5User-manipulated weights worn on user's bod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03Alloys based on aluminium containing at least 2.6% of one or more of the elements: tin, lead, antimony, bismuth, cadmium, and titani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에 의한 근력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하도록 된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10)에 관한 것으로, 손목이나 발목에의 착용을 위해 자유로이 임의의 방향으로 쉽게 굽힐 수 있는 선형의 가요성 코어부재(20)와, 상기 코어부재(20)의 외표면에 피복된 탄성의 피복층(30), 및 양단에 제공되는 마감용 캡(40)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중량체는 선형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코일 스프링 형태로 밀착되게 감아서 사용하므로 종래 밴드나 스트랩 형태의 중량에에서 운동시 흔들림으로 인해 관절에의 충격으로 인한 문제 발생이 방지되고, 선형의 가요성 코어부재에 발포고무의 피복을 형성하여 제조하므로 제조비용을 크게 저감할 수 있는 효가가 있으며, 선형상태로 펴서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 {Easy-to-wear, muscle-strengthening weight}
본 발명은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요성이 있는 선형의 중량체를 링 형태로 팔목이나 발목 등에 감아서 착용하여 팔다리를 움직임에 따라 근력이 강화되도록 된 착용성과 휴대 편의성 및 보관성을 개선한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력 강화를 위하여 역기나 아령과 같은 웨이트 장비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그러한 웨이트 장비는 사용환경과 시간의 제약을 받게 되어 평상시의 생활을 하는 동안에도 웨이트에 의한 근력강화 효과를 얻기 위하여 밴드나 스트랩 형태의 중량체를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하여 걷는 과정에서의 움직임시에도 착용한 중량체에 의해 보조적으로 근력 강화 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중량체 밴드나 스트랩은 모래나 금속편을 수용하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중량체 밴드나 스트랩의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97477호(공개일자 2003.12.31.)에는 내면에 완충소재가 부착된 내피와, 역시 내면에 완충소재가 부착된 외피를 맞대어 겹친 채 재봉하여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나열된 다수의 주머니부를 형성한 밴드 본체부; 상기 밴드 본체부의 일측단에서 연장되도록 재봉하되, 그 내단과 외단에 각각 탈착용 벨크로즈 테이프를 가지면서 상기 밴드 본체부의 폭보다 더 큰 치수의 폭을 가지는 신축 밴드부; 상기 밴드 본체부의 주머니부 마다 내장하되, 임의의 길이를 가지는 환봉으로 형성한 텅스텐 중량체로 구성하는데 신체단련용 밴드가 개시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7559호(등록일자 2007.02.21.)에는 수분흡수제를 수용하는 흡수제 주머니가 손목의 길이방향으로 재봉에 의해 구획 형성된 원통형 밴드본체와; 상기 밴드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분흡수제 화합물과; 상기 밴드본체에 탄력성을 부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손목밴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밴드 또는 스트랩 형태의 중량체는 중량물로서 모래나 금속편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을 형성해야 하고 벨크로와 같은 파스너를 결합해야 하므로 생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중량체의 일면에 결합부를 구성하여야 하는 까닭에 손목이나 팔목에 균형감을 유지하며 착용하는 것이 어려웠고, 착용상태 역시 견고하지 못하여 걷거나 뛰는 동안에 출렁거림으로 인하여 관절에 충격이 가해지게 됨에 따라 부상 우려가 많은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중량체는 또한, 보관시에 공간을 많이 점유하고 휴대성이 좋지 않은 불편도 그 사용을 기피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97477호(공개일자 2003.12.3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7559호(등록일자 2007.02.2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운동 보조수단으로서의 스트랩이나 밴드 형태의 중량체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요성을 갖는 선형의 코어부재와, 상기 코어부재의 외면에 피복된 탄성의 발포고무재의 피복층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손목과 발목과 같은 신체 부위에 간편하게 밀착시켜 링 형태로 감아서 착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요성을 가진 연속 막대형의 구조로 인하여 착용 부위에 관계없이 언제나 충분한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가지지 아니하며 연속성을 유지하게 됨으로 인하여 우수한 균형감을 제공하는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요성 코어부재의 외부를 일정 두께의 발포고무로 피복하여 연속 제조하는 동시에, 이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양단을 캡으로 밀폐하여 코어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제조비용을 크게 저감할 수 있는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성이 우수한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는, 운동에 의한 근력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하는 근력강화용 중량체에 있어서, 손목이나 발목에의 착용을 위해 임의의 방향에 대해 구부러짐이 자유롭고 탄성회복력이 낮은 막대형의 가요성 금속으로 된 코어부재; 상기 코어부재의 둘레를 감싸며 피복되는 탄성피복부재; 및 상기 코어부재의 절단된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피복부재의 양단에 결합되는 마감용 캡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부재는 납과 알루미늄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재는 연속된 단일 막대 형태로서, 원형 또는 삼각, 사각 및 다각형의 단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재는 다수의 미세 코어들의 묶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재는, 스프링 구조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권취되는 탄성형 코어부재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코어부재 사이에 탄성피복부재가 충진되어 축방향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재는 납과 알루미늄이 중량비로 85~95% : 5~15%로 혼합된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재와 발포고무재는 단면 체적비가 30%~45% : 55%~70%로 되게 형성할 수 있다.
사용시 선형의 중량체를 손목이나 발목 및 배트에 코일 형태로 감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는 선형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코일 형태로 밀착되게 감아서 사용하므로 종래 밴드나 스트랩 형태의 중량물이 운동시 흔들림으로 인해 관절에 부딪히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가요성 코어부재에 발포고무의 피복층을 형성하여 연속 제조하게 되는 것이므로 성형성이 또한 우수하며, 이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양단을 캡으로 밀폐하여 코어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제조비용을 크게 저감할 수 있는 효가가 있으며, 선형상태로 펴서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코어부재를 형성하는 단일 코어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의 코어부재로서 여러개의 미세 코어부재를 다발형태로 묶어서 구성한 다발형 코어부재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형 상태의 중량체를 운동보조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손목에 감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선형상태의 중량체를 다양한 위치에 착용한 사용상태 사진.
도 5는 코어부재를 코일 형태로 형성한 변형예의 중량체의 단면도와 코어부재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코어부재를 코일 형태로 형성한 변형예의 중량체를 도 3과 같이 권취한 상태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10)는 선형으로 자유로이 임의의 방향으로 쉽게 굽힐 수 있는 가요성의 금속으로 된 코어부재(20)와, 상기 코어부재의 외표면에 피복된 발포고무재의 피복층(30), 및 양단에 제공되는 마감용 캡(40)을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의 금속으로 된 코어부재(20)는, 예를들어 납과 알루미늄의 합금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의, 예를들어 직경이 0.8~1.3cm의 연속된 단일 막대 형태로서, 원형 또는 삼각, 사각 및 다각형의 단면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갖는 봉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가요성의 금속으로 된 코어부재(20)는 또한, 그러한 직경을 갖도록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적이 작은 다수의 와이어 다발을 묶음형태(20a)로 제조될 수 있다. 이같이 다수의 와이어 다발을 묶음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단면적이 작은 개별 와이어로 인하여 굴곡성을 향상되는 것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중량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코어부재(20)의 외표면에는 사용자의 신체와의 접촉상태에서 운동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부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포고무로 된 탄성의 피복층(30)으로 피복된다.
이같이 탄성의 피복층(30)을 포함하는 상기 코어부재(20)는 사출 또는 압출방식으로 연속 성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성형성이 우수하다. 이와같이 연속적으로 성형되는 탄성의 피복층(30)을 포함하는 상기 코어부재(20)는 요구되는 중량을 얻기 위해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게 되고, 양 단부에 캡(40)을 씌워 줌으로서, 소망하는 본 발명의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10)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봉 형태로 제공되는 상기 코어부재(20)는 그 단면 직경이 0.8cm 보다 작으면 중량체의 요구되는 중량을 얻기 위해 길이를 증가시켜야 하는 것이므로 용이한 착용이 어렵고 따라서 사용시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며, 단면 직경이 1.3cm 보다 크면 가요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코어부재(20)의 외측에 탄성의 피복층(30)이 피복된 상태로 선형으로 형성된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10)는, 가요성으로 인하여 선형 상태에서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손목에 코일 스프링 형태로 밀착되게 감은 상태로 착용한다.
이와 같이 손목에 중량체(10)를 감은 상태로 걷거나 달리기 등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중량체(10)는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코일 스프링 형태로 손목에 감겨져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운동중에 중량체(10)의 유동에 따른 충격이 최소화됨과 함께, 피복층(30)에서의 탄성으로 인하여 운동시 중량체(10)에 의해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된다.
이로써, 종래 모래나 금속편을 포켓에 삽입한 형태의 밴드나, 스트랩의 경우 운동시에 모래의 출렁거림이나 포켓에 수용된 금속편들의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충격력으로 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문제 발생의 염려가 해소된다.
도 4에는 도 3에서 선형의 중량체(10)의 다양한 사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팔 근육 강화 효과를 얻기 위해 선형의 중량체(10)를 손목에 감아서 사용하는 경우와, 선형의 중량체(10)를 발목에 감아서 사용자가 다리 근육 강화 효과를 얻도록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중량체(10)는 운동복 위에 감아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의 노출된 피부에 접촉되게 감아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체(10)는 근력강화 목적을 위해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가요성으로 선형에서 임의의 각도로 굽힌 상태에서 유지되므로 새로 구입한 야구 글러브를 길들이는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새로운 야구 글러브는 가죽의 특성상 뻣뻣하여 공의 포구가 잘 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포구 효과의 향상을 위하여 접은 상태로 길들이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선형의 중량체(10)를 야구 글러브의 엄지부분과 다른 손가락부분들을 접은 상태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야구 글러브를 쉽게 길들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선형의 중량체(10)를 배트에 링 형태로 감아 증가된 배트 중량으로 배트 스윙을 연습하여 스윙 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타격력 증대를 도모하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10)의 변형예로서,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금속의 코어부재(20b)를 코일형태를 갖도록 형성하고, 이때, 발포고무재로 되는 피복층(30)은 코일의 내경으로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충진됨과 함께 코일 외경 표면에 미리 설정된 두께로 피복된다.
이같은 코일형태의 코어부재(20b)를 적용하는 경우, 코일형으로 권취되는 코어부재(20b)의 경계부가 또한 피복층(30)을 이루어지는 발포고무로 체워지게 되는 것이어서 더욱 안정된 결합력과 일체감을 이루게 되는 것이며, 상기 코어부재(20b)의 경계부에 체워진 피복층(30) 발포고무로 인하여 축방향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코어부재(20b)가 스프링 구조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권취되는 탄성형 코어부재(20b)로 이루어지지만 전체적인 중량체는 선형을 갖도록 하고, 코일 형태로 된 코어부재(20b) 내부에도 길이방향으로 발포고무재가 충진되어 선형의 코어부재인 경우에 가질 수 없는 길이방향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향에서의 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 기능을 갖게 되므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코어부재와 발포고무재는 단면 체적비가 30%~45% : 55%~70%로 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재(20b)는 납과 알루미늄이 중량비로 85% ~95% : 5%~15%로 혼합된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을 혼합하는 것은 납으로만 코어부재를 형성하는 것 보다 반복된 굽힘에 대한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납이 85중량% 보다 작게 하고 대신에 알루미늄을 15중량% 보다 크게 되면 코어부재에 요구되는 중량을 얻기 위해 길이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사용시 많이 감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경도가 증가되어 굽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납을 95중량% 보다 크게 하고 알루미늄을 5중량% 보다 작게 하면, 가요성이 지나치게 증가되어 착용후 운동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링 형태로 감겨진 상태로 유지되지 못하고 풀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선형 코어부재(20)의 경우에는 발포고무재(30)가 코어부재(20)의 둘레면 만을 감싸며 피복되는 반면, 코일형태의 코어부재(20b)인 경우에는 코일 형태의 내부 공간에도 길이방향으로 발포고무재(30)가 충진되므로, 코일 형태의 코어부재(20b)를 구비한 중량체(10)의 경우에 선형의 코어부재(20)를 구비한 중량체(10)에 비하여 길이방향 뿐만 아니라 폭방향으로의 완충 기능이 향상된다.
상기 피복층(30)이 코어부재(20,20b)의 단면 체적비 대비 55% 이하일 경우 운동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여 그 충격력이 팔목이나 발목에 가해질 수 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피복층(30)이 코어부재의 단면 체적비 대비 70% 이상일 경우 중량체(10)의 직경이 증가되어 팔이나 발에 착용할 때 불편하고 증가된 탄성으로 착용을 위해 중량체(10)를 굽히기 어렵고, 운동중에 풀어질 수도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10)는 가요성의 코어부재(20,20b)를 탄성의 피복층(30)으로 피복하여 전체적으로 선형으로 제조하여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형의 중량체(10)를 다양한 형태로 굽혀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종래의 중량체에서 기대할 수 있는 범용적인 용도를 갖는 장점과 함께, 선형으로 펼친 상태로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어 종래의 중량체에 비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중량체
20, 20a, 20b : 코어부재
30 : 탄성피복부재
40 : 캡부재

Claims (8)

  1. 운동에 의한 근력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하는 근력강화용 중량체에 있어서,
    손목이나 발목에의 착용을 위해 임의의 방향에 대해 구부러짐이 자유롭고 탄성회복력이 낮은 막대형의 가요성 금속으로 된 코어부재(20);
    상기 코어부재(20)의 둘레를 감싸며 피복되는 탄성피복부재(30); 및
    상기 코어부재(20)의 절단된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피복부재(30)의 양단에 결합되는 마감용 캡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20)는, 납과 알루미늄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20)는, 연속된 단일 막대 형태로서, 원형 또는 삼각, 사각 및 다각형의 단면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20)는, 다수의 미세 코어(20a)들의 묶음 형태로 구성한 코어다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20)는, 스프링 구조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권취되는 탄성형 코어부재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코어부재 사이에 탄성피복부재(30)가 충진되어 축방향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10)는 납과 알루미늄이 중량비로 85~95% : 5~15%로 혼합된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피복부재(30)는 발포고무로 형성되며,
    상기 코어부재(20)와 탄성피복부재(30)의 단면 체적비는 30%~55% : 45%~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시 선형의 중량체를 손목이나 발목 및 배트에 코일 형태로 감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
KR1020220084310A 2022-07-08 2022-07-08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 KR20240007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310A KR20240007432A (ko) 2022-07-08 2022-07-08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310A KR20240007432A (ko) 2022-07-08 2022-07-08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432A true KR20240007432A (ko) 2024-01-16

Family

ID=89719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310A KR20240007432A (ko) 2022-07-08 2022-07-08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743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477A (ko) 2002-06-21 2003-12-31 허석 신체단련용 밴드
KR100687559B1 (ko) 2006-05-08 2007-02-27 손대업 손목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477A (ko) 2002-06-21 2003-12-31 허석 신체단련용 밴드
KR100687559B1 (ko) 2006-05-08 2007-02-27 손대업 손목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3435A1 (en) Exercise grip
US4829604A (en) Wrist support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7406720B2 (en) Glove with support for hyper-extension resistance
US6832391B1 (en) Weight lifting glove
US9700782B2 (en) Pulled palm glove
US4239211A (en) Process of producing a weighted exercising device
US7234172B1 (en) Glove with support for hyper-extension resistance
US10576324B2 (en) Exoskeleton system
US8894594B2 (en) Limb protection device
US20130198920A1 (en) Hand Wrap and Compression Sleeve
TW201445060A (zh) 減震材料及其使用
US5324244A (en) Wrist assist device for weightlifting
US6154882A (en) Protection device preferably for use in a glove
US3037209A (en) Football glove
US4396190A (en) Weighted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691315B1 (en) Protective glove for boxers
FI122570B (fi) Rannetuella varustettu urheilukäsine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US20200230456A1 (en) Resistance band cover
US20130338555A1 (en) Limb protection device
US10850181B2 (en) Batting glove and cushioning apparatus
KR20240007432A (ko) 간편 착용가능한 근력강화용 중량체
US20150264984A1 (en) Exoskeleton system
KR100710408B1 (ko) 스포츠용 아대
CA2805296A1 (en) Method and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zing recurrent elbow tendinosis
US20120066809A1 (en) Body Dampe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