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217A - 유체 제품 분배기 - Google Patents

유체 제품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217A
KR20240007217A KR1020237042442A KR20237042442A KR20240007217A KR 20240007217 A KR20240007217 A KR 20240007217A KR 1020237042442 A KR1020237042442 A KR 1020237042442A KR 20237042442 A KR20237042442 A KR 20237042442A KR 20240007217 A KR20240007217 A KR 20240007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fluid product
annular
assembly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2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브리스 뻬리뇽
크리스토프 똥드니에
Original Assignee
아프타르 프랑스 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타르 프랑스 사 filed Critical 아프타르 프랑스 사
Publication of KR20240007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21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65D51/2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제품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개구(R5)와 상부 환형 에지(R4)를 한정하는 목부(R3)를 포함하는 유체 제품 리저버(R)로서, 상기 리저버(R, R')는 목부(R3)의 개구(R5)를 밀봉하는 차단 부재(1, 1')가 제공되고, 상기 차단 부재(1, 1')는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11)을 포함하고, 상기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11)은 상기 상부 환형 에지(R4)로부터 축 방향으로 떨어져 목부(R3)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유체 제품 리저버(R, R');
상기 리저버(R, R')의 차단 부재(1, 1')에 수용되는 펌프 또는 밸브와 같은 분배 부재(P)를 포함하는 조립체(E, E')로서, 상기 조립체(E, E')는 상기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11)을 피어싱하기 위한 피어싱 수단(36, 37)을 포함하는, 상기 조립체(E, E')를 포함하며,
상기 피어싱 수단은 상기 분배 부재(P)가 수용되는 외장(36)의 하단에 형성된 피어싱 팁(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제품 분배기
본 발명은 향수, 크림, 로션 등과 같은 다양한 유체 제품을 분배하기 위해 향수, 화장품 또는 약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체 제품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에서, 분배기들이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이 분배기들의 유체 제품 리저버는 리필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펌프 또는 밸브와 같은 분배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트리지의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리저버는 유체 제품이 비어지게 되면, 유체 제품이 가득 찬 리저버로 교체될 수 있다. 리저버가 연결 및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스냅식 체결 또는 나사식 체결방식의 연결수단이 빈번하게 사용된다. 이는 리저버를 나사체결을 풀거나 스냅 체결을 풀 수 있을 만큼 단단히 고정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리저버의 적어도 하나의 중요 부분이 접근 가능하고 눈에 보이는 상태로 유지되어야 함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분배기의 전체 외관을 손상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EP 2916964는 리트랙터블 팁 펜 타입(retractable tip pen-type)의 탈착식 연결 시스템으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여, 리저버 바닥을 아주 간단히 누름으로써 연결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첫 번의 누르기와 해제를 통해 리저버가 밀봉된 조립 위치로 가게하고, 다음 번의 누르기와 해제를 통해 리저버가 배출되게 하여 이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스프링과 연계된 캠 시스템은 리저버에 대한 단일의 축방향 누름을 통해 이러한 연속적인 동작을 생성할 수 있게한다.
본 발명의 리저버는 이러한 유형의 분배기에서 리필로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불가능한 리저버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서, 유체 제품의 손실을 방지하고 그 내용물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리저버를 밀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특히, 공기와 접촉하면 품질이 저하되는 화장품의 경우이다. 밀봉은 종종 리저버의 목부(neck)의 상부 환형 에지에 접착, 고정 또는 용접된 평평한 뚜껑(lid)으로 구성된다. 이 뚜껑은 리저버를 조립체에 장착하기 전에 제거될 수 있거나 조립체의 피어싱 부재에 의해 피어싱될 수 있다.
뚜껑을 피어싱하는데 있어서의 단점은 뚜껑을 피어싱하는데 필요한 추력(thrust force)을 전달하기 위해 펌프나 밸브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펌프나 밸브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체 제품 분배기를 제안하며, 이 유체 제품 분배기는:
개구와 상부 환형 에지를 정의하는 목부를 포함하는 유체 제품 리저버와, 상기 리저버에는 목부의 개구를 밀봉하는 차단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차단 부재는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은 상기 상부 환형 에지로부터 축 방향으로 떨어져 목부 내부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리저버의 차단 부재에 수용된 펌프 또는 밸브와 같은 분배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체 - 상기 조립체는 상기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을 피어싱하기 위한 피어싱 수단을 포함한다 - 를 포함하며,
상기 피어싱 수단은 상기 분배 부재가 수용되는 외장의 하단에 피어싱 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외장에 직접 추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외장은 응력 없이 유지될 수 있는 펌프나 밸브가 아닌 팁에 추력을 전달한다.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은 목부에 직접 고정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차단 부재는 상부 환형 에지로부터 목부 내로 연장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은 슬리브의 하단에 연결된다.
일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목부는 어깨부로부터 돌출할 수 있고,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은 실질적으로 이 어깨부에 위치되며, 슬리브는 목부의 전체 높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유리하게는,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은 리저버의 내부를 향해 배향된 원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평면형, 오목형 또는 볼록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차단 부재는 상부 환형 에지상에 놓이는 환형 칼라(annular collar)를 포함할 수 있고, 슬리브가 환형 칼라에 연결된다. 차단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올레핀과 같은 유연한 플라스틱 재료의 단일 부품으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리저버는 목부 주위에 장착되고 환형 칼라와 맞물려 상부 환형 에지에 대해 압력을 가하는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링은 바람직하게는 목부에 고정적으로 확실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리저버는 리저버에 갇힌 공기의 양을 최소화하고,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의 보호를 증대시킨다. 속이 빈 마개처럼 목부 안팎에 이의 설치가 용이하다.
유리하게는, 외장은 차단 부재와 환형 방사상으로 밀봉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리저버와 조립체 사이의 밀봉이 보장된다. 슬리브는 내벽에 환형 밀봉 리브를 형성할 수 있으며, 외장은 이 환형 밀봉 리브와 환형 방사상으로 밀봉 접촉하게 된다. 환형 칼라는 그의 내벽에 환형 밀봉 리브를 내부적으로 형성하고, 외장은 이 환형 밀봉 리브와 환형 방사상으로 밀봉 접촉하게 되는 것으로 말할 수도 있다.
실제적인 실시예에서, 외장은 분배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수단 및 리저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스템을 포함하는 하우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싱은 삽입/추출 개구가 제공되고 삽입/추출 축(X)을 정의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체 제품 리저버는 삽입/추출 개구를 통해 케이스에 결합되고 연결 시스템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며, 리저버는 연결 수단과, 연결 수단이 연결 시스템과 협력하도록 하기 위해 리저버에 축 방향 추력을 가하기 위해 삽입/추출 개구에 접근 가능한 바닥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은 간단히 리저버 바닥에 후속 추력을 가한 다음 배출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탈착가능한 연결은 버튼을 축방향으로 누름으로써 리트랙터블 팁이 있는 펜에서 사용되는 유형의 캠 트랙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분배 부재에 유해한 응력을 가함이 없이 멤브레인을 피어싱하기 위한 팁이 제공된 외장을 구현하는 데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품 분배기의 리저버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저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부사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리저버와 연관되도록 의도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품 분배기의 조립체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세부사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저버와 조립체의 결합으로부터 기인하는 유체 제품 분배기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세부사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 4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 6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분배기는 분배 부재(P)와 유체 제품을 함유하는 리저버(R)를 통합한 조립체(E)를 포함한다. 리저버(R)는 조립체(E)에 제거 가능하게 또는 확실하게 연결된다.
이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유체 제품 리저버(R)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리저버는 크림, 젤, 로션, 혈청, 향수 등일 수 있는 유체 제품을 담도록 의도된 용기(R0)를 포함한다. 이 용기(R0)는 원통형 드럼(R1)을 포함하고, 여기서 종동 피스톤(follower piston)(F)이 슬라이드 작동한다. 종동 피스톤(F) 대신 유연한 포켓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드럼(R1)의 하단은 유리하게는 바닥(L)에 의해 차단된다. 드럼(R1)의 반대쪽 끝에서 드럼(R1)은 위쪽으로 돌출하는 목부(neck)(R3)에 의해 스스로 연장되는 어깨부(R2)에 연결된다. 이 목부(R3)는 상부 환형 에지(R4)를 형성하고, 내부적으로 개구(R5)를 정의하며, 이는 리저버(R0)가 외부와 연통하게 한다. 이는 유체 제품 리저버에 대한 통상적인 설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저버(R)에는 개구(R5)를 밀봉적으로 밀봉하는 차단 부재(1)가 더 제공된다. 이 차단 부재(1)는 더 작은 두께의 티어 라인(tear lines)(111)이 제공될 수 있는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11)을 포함한다. 이 경우, 이 멤브레인(11)은 팁이 아래쪽으로 배향된, 즉 종동 피스톤(F)을 향하는 원추형 형상을 갖는다. 멤브레인(11)은 다른 형상, 특히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멤브레인은 어께부(R2)로, 목부(R3)의 하단으로 연장되어, 상부 환형 에지(R4)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차단 부재(1)는 또한 원통형일 수 있는 슬리브(12)를 포함한다. 이 슬리브(12)는 목부(R3) 높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목부(R3) 높이의 거의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슬리브(12)는 개구(R5)를 정의하는 목부(R3)의 내벽과 밀봉 접촉될 수 있다.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11)은 그의 하부 환형 에지가 슬리브에 연결된다. 슬리브(12)는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11)의 벽 두께보다 더 큰 벽 두께를 갖는다는 점이 주목될 수 있다. 슬리브(12)는 멤브레인(11)을 위한 지지체 역할을 하여 멤브레인(11)을 어깨(R2)에 위치시키도록 하여 함께, 종동 피스톤(F) 반대편에 있는 용기(R0)의 지붕을 구성하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
차단 부재(1)는 또한 상부 환형 에지(R4) 상에 놓이는 환형 칼라(13)를 포함한다. 이 칼라(13)는 슬리브(12)의 상단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돌출한다. 도 3에서, 환형 밀봉 리지(121)가 칼라(13)에서 슬리브(12)의 내벽에 형성됨이 주목될 수 있다. 칼라(13)는 내부적으로 환형 밀봉 리지(121)를 형성한다. 이의 기능이 아래에 설명된다. 이 리지(121)는 슬리브(12) 높이 위 어느 곳에든 위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차단 부재(1)에는 칼라(13) 또는 슬리브(12)의 상단에 고정되는 뚜껑(15)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뚜껑(15)은 제거 가능하거나 피어싱 가능하다.
이 차단 부재(1)는 목부(R3) 내부에 리저버(R)를 밀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리저버에 공기가 없거나 실질적으로 없게 된다. 실제로 리저버는 어깨부(R2)까지 또는 약간 아래까지 유체 제품으로 채워질 수 있다. 그 다음, 차단 부재(1)에는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하면서 목부(R3)에 삽입된다. 따라서,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은 유체 제품에 근접하거나 유체 제품과 접촉하여 더이상 리저버(R)에 공기가 남지 않거나 단지 소량만 남게 된다. 또한, 이의 눌림 위치 설정(depressed positioning) 덕분에 멤브레인(11)은 우연한 피어싱으로부터 보호된다.
리저버는 또한 목부(R3)를 둘러싸도록 목부(R3)에 장착되는 링(2)을 포함한다. 목부(R3)에 링(2)을 고정하는 것은 스냅 피팅, 강제 장착, 나사 고정, 접합, 용접 등과 같은 임의의 수단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고정은 제거 가능하거나 확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은 어깨부와 접촉할 수 있다. 링은 반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레스트 플랜지(rest frange)(21)를 포함한다. 이 플랜지(21)는 차단 부재(1)의 칼라(13)와 접촉하여 목부(R3)의 상부 환형 에지(R4)에서 이를 압축한다. 링(2)은 차단 부재(1)를 목부(R3)에 고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2)은 리저버(R)를 조립체(E)에 연결하기 위해 조립체(E)와 결합하도록 의도된 연결 수단을 외부적으로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이들은 조립체(E)로부터 리저버(R)를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거 가능한 연결 수단이다. 이들 연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캠 트랙(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링(2)에 3개의 캠 트랙(22)이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각각의 캠 트랙(22)은 잠금 하우징(223), 제1 낮은 받침대(222), 제2 잠금 하우징(223)의 양측의 제2 낮은 받침대(225), 제1 캠 표면(221) 및 제2 캠 표면(224)을 포함한다. 이 캠 트랙을 통한 러그의 트랙킹은 제1 캠 표면(221), 제1 낮은 받침대(222), 잠금 하우징(223), 제2 캠 표면(224), 제2 낮은 받침대(225), 이어서 캠 트랙(22)의 출구 순으로 이루어진다.
러그를 임의의 각도 방향으로부터 캠 트랙으로 가져오기 위해, 링(2)은 유리하게는 캠 트랙(22)을 향해 모이는 램프(23)를 형성한다.
차단 부재(1)는 있지만 캠 트랙(22)은 없는 리저버가 캠 트랙(22)이 있지만 차단 부재(1)가 없는 리저버와 마찬가지로 고려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리저버(R)는 차단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캠 트랙(22)을 포함한다.
이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조립체(E)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조립체(E)의 분배 부재(P)는 분배 부재를 작동시켜 유체 제품을 분배하도록 푸시 버튼(B)이 제공되는 펌프 또는 밸브일 수 있다. 분배 부재(P)는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 아니므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분배 부재가 펌프인 경우, 이는 통상적으로 유체 제품 입구를 갖는 펌프 본체를 포함한다. 피스톤이 밀봉적으로 펌프 본체 안으로 미끄러져 들어가 일정량의 유체 제품에 압력을 가한다. 피스톤은 리턴 스프링에 대해 앞뒤로 움직이는 작동 로드에 장착된다. 일정량의 가압된 유체 제품은 출구 밸브를 통해 빠져나가 유체 제품 출구를 포함하는 푸시버튼(B)을 향한다. 이 설계는 화장품, 향수 또는 제약 분야의 펌프에 있어서 완전히 통상적인 것이다.
조립체(E)는 원통형인 외부 쉘(31)을 형성하는 케이싱(3)을 포함한다. 쉘(31)은 내부적으로는 유지 리지(retaining ridge)(31)를 형성하고, 그 상단에서는 환형 플레이트(33)를 형성한다. 소켓(4)은 유지 리지(31)와 플레이트(33) 사이에 수용되어 축방향으로 차단되는 반면 자체적으로는 회전 가능하게 자유로워진다. 이 회전 소켓(4)은 내벽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3개의 캠 러그(41)를 형성한다. 이들 캠 러그(41)는 소켓(4)의 하부 에지 부근에 위치한다. 케이싱(3)은 또한 소켓(4) 내부에서 아래쪽으로 자유롭게 연장되는 스프링(5)용 고정 프로파일(34)을 형성한다. 케이싱은 또한 분배 부재(P)를 위한 수용 수단(35)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케이싱(3)은 쉘(31) 내부에서 아래쪽으로 자유롭게 연장되는 외장(외장), 소켓(4) 및 스프링(5)를 더 포함한다. 이 외장(36)은 아래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하단에서 리저버(R)의 멤브레인(11)을 피어싱하도록 설계된 피어싱 팁(37)을 형성한다. 팁(37)은 분배 부재(P)의 입구와 직접 연통하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371)를 포함한다. 팁(37)은 원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외장은 작은 직경의 하부 섹션(361)과 더 큰 직경의 상부 섹션(362)을 형성할 수 있다. 분배 부재(P)의 주요 부분은 외장(36)에 수용되고 외장의 거의 모든 부피를 차지한다. 분배 부재(P)의 외부 벽은 선택적으로 외장(36)의 내부 벽과 접촉할 수 있다.
조립체(E)는 또한 쉘(31)의 하단에 연결된 케이스(6)를 포함한다. 케이스(6)는 쉘(31)과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케이스(6)는 삽입/추출 개구(61) 및 삽입/추출 축(X)을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저버(R)는 다음과 같이 조립체(E)에 연결된다. 리저버(R)는 목부(R3)가 상부에 있는 상태로 이것의 개구(61)를 통해 케이스(6)에 삽입된다. 피어싱 팁(37)이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11)에 접할 때까지 축 방향 삽입이 계속된다. 뚜껑(15)은 팁(37)에 의해 미리 제거되거나 피어싱되었다. 충분한 축 방향 압력으로 인해 팁(37)이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티어 라인(tear line)(111)에서 멤브레인(11)을 파괴할 수 있게 한다. 축 방향 삽입은 따라서 캠 러그(41)가 링(2)과 접촉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이 축 방향 삽입은 스프링(5)에 대해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경우, 러그(41)는 램프(23)와 접촉하게 된다. 이 순간, 리저버 (R)의 축방향 압력이 쉘(31)의 소켓(4)을 회전시킨다. 러그(41)는 램프(23) 위로 미끄러져 캠 트랙(22)의 입구에 도달한다. 거기로부터 각 러그(41)는 다음 트랙킹을 따른다. 러그(41)는 제1 캠 표면(221)의 스프링(5)에 대한 축방향 추력 작용 하에서 미끄러지며, 이는 이를 제1 낮은 접합부(222)쪽으로 드라이브한다. 따라서 축방향 압력의 해제는 스프링(5)의 작용 하에 러그(41)가 잠금 하우징(223) 내로 이르도록 한다. 따라서 리저버는 조립체(E)에 연결된다. 리저버(R)와 케이싱(3) 사이의 밀봉은 차단 부재(1)의 밀봉 리지(121)에 대한 덮개의 상부 섹션(362)의 환형 의 방사상 접촉에 의해 보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푸시버튼(B)을 조작하여 분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리저버(R)로부터 나오는 유체 제품은 분배 부재(P)에 의해 분배된다.
리저버(R)가 비어 있을 때, 리저버(R)에 대한 축방향 압력은 잠금 하우징(123)으로부터 러그(41)를 추출하여 제2 캠 표면(224) 위로 미끄러져 제2 낮은 받침대(225)에 이르도록 한다. 압력의 해제는 따라서 스프링(5)의 작용하에서 러그(41)가 캠 트랙(22)로부터 릴리스되게 한다. 리저버(R)는 따라서 케이스(6)로부터 자유롭게 추출될 수 있다. 다른 리저버(R)가 따라서 전술한 방식으로 조립체(E)에서 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소켓(4)은 자체적으로 회전하는 소켓이기 때문에 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조립체(E)의 리저버(R)를 연결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는 보다 쾌적한 느낌을 제공하고 연결 작동을 완전히 숨긴다.
팁(37)은 있지만 연결 시스템(소켓 4 및 스프링 5)은 없는 조립체(E)는 차단 부재(1)는 있지만 캠 트랙(22)은 없는 리저버(R)과 연계될 수 있다는 점이 또한 주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 시스템(소켓 4 및 스프링 5)은 있지만 팁(37)이 없는 조립체(E)는 캠 트랙(22)은 있지만 차단 부재(1)가 없는 리저버(R)와 연계될 수 있다. 또한, 팁(37)은 있지만 연결 시스템(소켓 4 및 스프링 5)은 없는 조립체(E)는 캠 트랙(22) 및 차단 부재(1)가 있는 리저버(R)와 연계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팁(37)은 있지만 연결 시스템(소켓 4 및 스프링 5)은 없는 조립체(E)는 차단 부재(1)는 있지만 캠 트랙(22)이 없는 리저버(R)와 연계될 수 있는바, 따라서 리저버와 조립체 사이의 연계는 예를 들어 스냅 피팅, 나사 고정, 베이오넷(bayonet) 등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연결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며, 이는 제2 실시예의 캠 트랙이 회전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 제1 실시예에서는 캠 트랙이 고정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며, 여기서 러그가 회전 부재, 즉 회전 소켓(4)에 의해 형성된다.
도 8에서, 조립체(E')는 케이스(6)가 연결되는 외부 쉘(31')을 갖는 케이싱(3')을 포함한다. 외부 쉘(31')은 내부적으로 3개의 러그(311)를 형성하며, 그러므로 3개의 러그(311)는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쉘(31')은 측면 창(312)을 포함한다. 팁(37)을 갖는 외장(36)은 쉘(31')과 일체로 만들어진다. 조립체(E')는 또한 스프링(5')을 포함한다.
도 9에서, 리저버(R')의 목부(R3)는 외부 스커트(16)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이 외부 스커트는 유리하게는 차단 부재(1')의 슬리브(12) 및 멤브레인(11)과 일체로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이 외부 스커트(16)는 목부(R3)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이는 스커트(1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링(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그러므로, 링(2')은 목부(R3) 주위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스커트(16) 주위에서 자체적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링(2')은 외부적으로 3개의 캠 트랙(22')을 형성하는데, 이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링(2')은 또한 램프(23)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0에서 리저버(R')는 조립체(E') 내부에 놓인다. 팁(37)은 멤브레인(11)을 피어싱하고, 러그(311)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캠 트랙(22')과 결합된다. 연결 동안, 링(2')은 스커트(16) 주위로 회전하여 드럼(R1)이 회전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제2 실시예는 조립체의 러그와 리저버의 캠 트랙을 유지하면서 리저버(R')에서 조립체(E)의 회전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리저버에 러그를 형성하고 조립체에 캠 트랙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은 4가지 가능한 실시예가 있다.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회전 러그(제1 실시예),
리저버에 의해 형성된 로터리 캠 트랙(제2 실시예),
리저버에 의해 형성된 회전 러그, 및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회전 캠 트랙.

Claims (11)

  1. 유체 제품 분배기로서,
    개구(R5)와 상부 환형 에지(R4)를 한정하는 목부(R3)를 포함하는 유체 제품 리저버(R; R')로서, 상기 리저버(R; R')는 목부(R3)의 개구(R5)를 밀봉하는 차단 부재(1; 1')가 제공되고, 상기 차단 부재(1; 1')는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11)을 포함하고, 상기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11)은 상기 상부 환형 에지(R4)로부터 축 방향으로 떨어져 목부(R3)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유체 제품 리저버(R, R');
    상기 리저버(R; R')의 차단 부재(1; 1')에 수용되는 펌프 또는 밸브와 같은 분배 부재(P)를 포함하는 조립체(E; E')로서, 상기 조립체(E; E')는 상기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11)을 피어싱하기 위한 피어싱 수단(36, 37)을 포함하는, 상기 조립체(E; E')를 포함하며,
    상기 피어싱 수단은 상기 분배 부재(P)가 수용되는 외장(36)의 하단에 형성된 피어싱 팁(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품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36)은 상기 차단 부재(1; 1')와 환형 방사상으로 밀봉 접촉하게 되는, 유체 제품 분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1; 1')는 상부 환형 에지(R4)로부터 목부(R3) 내로 연장되는 슬리브(12)를 포함하고, 상기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11)은 상기 슬리브(12)의 하단에 연결되는, 유체 제품 분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R3)는 어깨부(R2)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11)은 실질적으로 상기 어깨부(R2)에 위치되며, 상기 슬리브(12)는 실질적으로 상기 목부(R3)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되는, 유체 제품 분배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2)는 내벽에 환형 밀봉 리브(121)를 형성하며, 상기 외장(36)은 상기 환형 밀봉 리브(121)와 환형 방사상으로 밀봉 접촉하게 되는, 유체 제품 분배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가능한 멤브레인(11)은 상기 리저버(R)의 내부를 향하는 원추 형상을 가지는, 유체 제품 분배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1)는 상부 환형 에지(R4) 상에 놓이는 환형 칼라(13)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12)는 상기 환형 칼라(13)에 연결되는, 유체 제품 분배기.
  8. 제7항에 있어서,
    목부(R3) 둘레에 장착되고, 상기 환형 칼라(13)와 맞물려 환형 칼라(13)를 상부 환형 에지(R4)에 대해 가압하는 링(2)을 더 포함하는, 유체 제품 분배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칼라(13)는 내벽에 환형 밀봉 리브(121)를 내부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외장(36)은 상기 환형 밀봉 리브(121)와 환형 방사상으로 밀봉 접촉하게 되는, 유체 제품 분배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36)은, 상기 분배 부재(P)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수단(35) 및 리저버(R; R')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시스템(4, 5; 311, 2')를 포함하는 하우징(3)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 제품 분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 3')은, 삽입/추출 개구(61)가 제공되고 삽입/추출 축(X)을 정의하는 케이스(6)가 제공되며, 상기 유체 제품 리저버(R; R')는 삽입/추출 개구(61)를 통해 케이스(6)에 결합되고 연결 시스템(4, 5; 311, 2')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리저버(R; R')는 연결 수단(22)과, 상기 연결 수단(22; 22')이 연결 시스템(4, 5; 311, 2')과 협력하도록 상기 리저버(R; R')에 축 방향 추력을 가하기 위해 삽입/추출 개구(61)에 접근 가능한 바닥(L)을 포함하는, 유체 제품 분배기.
KR1020237042442A 2021-05-10 2022-05-09 유체 제품 분배기 KR202400072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104912A FR3122651B1 (fr) 2021-05-10 2021-05-10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FRFR2104912 2021-05-10
PCT/FR2022/050883 WO2022238647A1 (fr) 2021-05-10 2022-05-09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217A true KR20240007217A (ko) 2024-01-16

Family

ID=7628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442A KR20240007217A (ko) 2021-05-10 2022-05-09 유체 제품 분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37561A1 (ko)
KR (1) KR20240007217A (ko)
CN (1) CN117295667A (ko)
FR (1) FR3122651B1 (ko)
WO (1) WO20222386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2111B1 (en) * 2022-09-16 2023-10-03 Branded AcquiCo No 5, LLC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4901B1 (fr) * 1991-12-13 1994-02-25 Conceptair Anstalt Procede et dispositif evitant la formation de poches gazeuses dans un reservoir pour un produit fluide destine a etre pulverise ou distribue sans reprise d'air
FR2816600B1 (fr) * 2000-11-13 2003-03-21 Michel Faurie Dispositif distributeur de liquides goutte a goutte
FR2997640B1 (fr) 2012-11-06 2015-01-02 Aptar France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ES2765860T3 (es) * 2016-07-29 2020-06-11 Aptar Radolfzell Gmbh Dispensador de líquido
IT201700056451A1 (it) * 2017-05-24 2018-11-24 Lumson Spa Contenitore di sostanze fluide con sistema di chiusura ermetica e metodo di utilizz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22651A1 (fr) 2022-11-11
WO2022238647A1 (fr) 2022-11-17
EP4337561A1 (fr) 2024-03-20
FR3122651B1 (fr) 2023-12-08
CN117295667A (zh)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2112C (en) Manually operated dispenser and protective cap with blocking means for blocking operation of the dispenser
US4457455A (en) Collapsible container
US6419124B1 (en) Liquid sprayer
EP1419014B1 (en) Safety closure for a container
US6708846B1 (en) Dispenser for flowable media
JP3095736B2 (ja) 液状製剤を収容および分配するための組立品
US4757922A (en) Liquid dispenser
US7377296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cosmetic or another care product
US5226563A (en) Device for spraying or dispensing a fluid, with improved actuating security
US7695209B2 (en) Stopper for the neck of a fluid product reservoir
US5273189A (en) Device for spraying or dispensing a fluid, the device including a member sliding in its admission duct
US6827239B2 (en) Dispensing head for dispensing a product
CA2174022A1 (en) A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liquid or semi-liquid substance
KR20240007217A (ko) 유체 제품 분배기
US7624897B2 (en) Simplified airless dispensing pump for liquid product
US7434707B2 (en) Childproof attachment for a dispenser
US4158361A (en) Dispensing system for directing liquid to a defined area
CA2097281C (en) Pump actuator
US2766072A (en) Aerosol sprayer with a replaceable cartridge
US6902085B2 (en) Liquid or gel product dispenser forming a metering stick
KR20240006633A (ko) 유체 제품 분배기
US7882984B2 (en) Fluid or pasty product dispensing device
JP2023538371A (ja) ボトルと少なくとも1つのカートリッジとを備える化粧製品をパッケージングし吐出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4793527A (en) Aerosol dispenser
EP1106530B1 (fr)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