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901A -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of the outdoor air - Google Patents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of the outdoor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901A
KR20240006901A KR1020220083754A KR20220083754A KR20240006901A KR 20240006901 A KR20240006901 A KR 20240006901A KR 1020220083754 A KR1020220083754 A KR 1020220083754A KR 20220083754 A KR20220083754 A KR 20220083754A KR 20240006901 A KR20240006901 A KR 20240006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ter
outdoor air
fine dust
distribu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7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승만
Original Assignee
박승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만 filed Critical 박승만
Priority to KR1020220083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6901A/en
Publication of KR20240006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9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1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bubbling the gas through a liquid b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은, 실외에 설치하고,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을 이용하여 세정수를 방울 형태로 낙하시킴으로써, 실외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씻어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수구의 상측에 설치함으로써, 실외 공기를 세정시킨 세정수를 하수구를 통해 배수시킬 수 있으므로, 오염수의 처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하수구를 통해 배수된 하수 중 적어도 일부를 세정수로 재활용함으로써, 유지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도로 주변에 착탈이 용이하고, 필터 등의 교체 부품이 없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The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utdoors and uses a plurality of water wheel-type water wheels to drop cleaning water in the form of drops, thereby more effectively washing away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in outdoor air. There are benefits to this. Additionally, by installing it on the upper side of the sewer, the cleaning water that has cleaned the outdoor air can be drained through the sewer, making treatment of contaminated water easier. Additionally,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by recyc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wage drained through the sewer as washing water. Additionally, since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from around the road and there are no replacement parts such as filters,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Description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of the outdoor air}{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of the outdoor air}

본 발명은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나 옥외 등 실외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방울(droplet) 형태로 낙하시켜 실외 공기를 세정함으로써, 실외 공기 중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More specifically, it is installed outdoors, such as on roads or outdoors, and cleans outdoor air by dropping cleaning water in the form of droplets, effectively removing pollutants in outdoor air. This relates to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that can be removed.

일반적으로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를 흡입한 후 필터에 의해 오염 물질을 제거하여, 정화된 공기를 다시 토출하는 건식 정화 장치이다. In general, an air purification device is a dry purification device that sucks in air, removes contaminants through a filter, and discharges the purified air again.

종래의 건식 공기 정화 장치는 미세먼지 등의 제거에는 용이하나,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을 제거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 dry air purification devices are easy to remove fine dust, but have difficulty removing bacteria, viruses, and mold.

최근에는 물이나 소독수 등의 세정수를 분사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습식 공기 정화 장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Recently, interest in wet air purification devices that purify the air by spraying cleaning water such as water or disinfectant has increased.

그러나, 종래의 습식 공기 정화 장치는 세정수를 분무장치를 통해 미스트 형태로 분무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세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기와 액체의 접촉 효율이 낮아서 세정 효과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wet air purification device cleans contaminants in the air by spraying cleaning water in the form of mist through a spray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tact efficiency between air and liquid is low and the cleaning effect is weak.

한국등록특허 제10-0482926호Korean Patent No. 10-0482926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미세먼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reduction system in outdoor air that has a simple structure, is easy to install, and can reduce fine dust more eff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은, 실외에 설치되고, 내부에 세정수가 수용되며, 상기 세정수를 중력 방향으로 분배 토출되도록 복수의 세정수 토출구들이 형성된 세정수 분배 탱크와;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세정수를 방울 형태로 자유낙하시키도록 형성된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을 포함하여,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하측을 자연 순환하는 실외 공기를 낙하하는 세정수로 세정시키기 위한 세정수 낙하유닛을 포함한다. The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installed outdoors, containing washing water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to distribute and discharge the washing water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cluding a plurality of waterwheel-type water wheel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and configured to freely fall the washing water in the form of drops while rotating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It includes a washing water dropping unit for cleaning the outdoor air naturally circulating below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with falling washing water.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는, 상기 실외 공기를 세정시킨 세정수를 배수하도록 하수구의 상측에 설치된다.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wer to drain the washing water that has cleaned the outdoor air.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는, 상기 하수구의 상측에 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적어도 일측면은 실외 공기가 통과하도록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면은 상기 하수구와 연통되게 형성된 케이스에 장착된다.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is installed in a long upward direction above the drain, and is mounted on a case with at least one side open to allow outdoor air to pass through and a lower surface communicated with the drain.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는, 도로의 가드 펜스(guard fence)의 상측에 착탈가능토록 결합된다.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a guard fence on the road.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는, 상기 도로의 연석에 설치된 가드 펜스(guard fence)의 상부에 착탈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들은,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하측에서 상기 도로 중 차도에 구비된 하수구를 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 공기를 세정시킨 세정수가 상기 하수구로 배수되도록 낙하시킨다.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is removab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 guard fence installed on the curb of the road, and the waterwheel-type water wheels are provided on the roadway of the road below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a sewer, and the washing water that cleansed the outdoor air falls to be drained into the sewer.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는, 창문, 출입문 및 출입구 중 적어도 하나의 실외측에 설치된다.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is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of at least one of a window, door, and entrance.

상기 하수구를 통해 배수된 하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로 순환시켜 세정수로 재활용하기 위한 하수 재활용 유닛을 더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a sewage recycling unit for recyc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wage drained through the sewer into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to be recycled as washing water.

상기 하수 재활용 유닛은, 상기 하수구를 통해 배수된 하수를 일시 저장하는 하수 저장조와, 상기 하수 저장조와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하수 저장조에 저장된 하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로 안내하여 하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재활용수 배관과, 상기 재활용수 배관에 설치된 재활용수 펌프를 포함한다.The sewage recycling unit connects a sewage storage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sewage discharged through the sewer, the sewage storage tank and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and transf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wage stored in the sewage storage tank to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It includes a recycled water pipe for recycling sewage, and a recycled water pump installed in the recycled water pipe.

상기 하수 재활용 유닛은, 상기 하수 저장조와 상기 재활용수 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하수를 필터링하는 하수 필터를 더 포함한다.The sewage recycling unit further includes a sewage filter that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sewage storage tank and the recycled water pipe to filter sewage.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은,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하면에서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길이방향과 폭 방향으로 각각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된다. A plurality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긴 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The waterwheel-type water turbine is formed in a long rol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waterwheels ar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는,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환형 홈과, 상기 환형 홈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를 일시 수용한 후 토출하는 물받이 홈들을 포함한다.The waterwheel-type water turbine includes an annular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annular groov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emporarily receiv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It includes water receiving grooves that are then discharged.

상기 환형 홈은,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환형 홈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환형 홈에 형성된 물받이 홈은 상기 제1환형 홈과 인접한 제2환형 홈에 형성된 물받이 홈으로부터 상기 원주방향으로 제1설정거리만큼 오프셋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annular grooves are formed in plural nu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wheel-type water wheel, and the water receiving groove form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nnular grooves is adjacent to the first annular groove. It is formed at a position offset by a first preset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water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annular groove.

상기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수차에 형성된 물받이 홈은 상기 제1수차에 인접하는 다른 제2수차에 형성된 물받이 홈으로부터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의 길이방향으로 제2설정 거리만큼 오프셋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water-receiving groove form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waterwheel-type waterwheels is a second set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wheel-type waterwheel from the water-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other second waterwheel adjacent to the first waterwheel. It is formed at an offset position.

상기 물받이 홈은, 상기 환형 홈보다 깊이가 깊고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다.The water receiving groove is formed to be deeper in depth and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annular groove.

상기 물받이 홈은,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의 반경 방향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water receiving groove is formed long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aterwheel-type water wheel.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는, 상기 세정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를 수용한 후 방울 형태로 토출하는 복수의 물받이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물받이 홈들은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water wheel-type water turbine includes a plurality of water-receiving grooves that receiv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and then discharge it in the form of drops, and the plurality of water-receiv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wheel-type water wheel. They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는, 길이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세정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를 일시 수용한 후 방울 형태로 토출하는 복수의 물받이 홈들이 형성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중심에 구비되어 상기 원통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한다.The waterwheel-type water turbin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cylindrical portion on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formed with a plurality of water-receiving grooves for temporarily receiving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and then discharging it in the form of drops, and the cylinder It further includes a rotating shaft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nit to rotate the cylindrical section, and a motor driving the rotating shaft.

상기 세정수 낙하유닛은, 상기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을 연결하여 동시에 회전시키는 수차 연동수단을 더 포함한다.The washing water dropping unit further includes water wheel interlocking means that connects the plurality of water wheel type water wheels and rotates them simultaneously.

상기 수차 연동수단은,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들의 각 외주면에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들을 기어 결합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한다.The water wheel interlocking means includes a gear portion provided on each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wheel water wheel and gear-coupling the water wheel water wheel adjacent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은, 실외에 설치되고, 내부에 세정수가 수용되며, 상기 세정수를 중력 방향으로 분배 토출되도록 복수의 세정수 토출구들이 형성된 세정수 분배 탱크와;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세정수를 방울 형태로 자유낙하시키도록 형성된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을 포함하여,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하측을 자연 순환하는 실외 공기를 낙하하는 세정수로 세정시키기 위한 세정수 낙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는, 상기 실외 공기를 세정시킨 세정수를 배수하도록 하수구의 상측에 설치되고,상기 세정수 토출구들은,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하면에서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길이방향과 폭 방향으로 각각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는,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환형 홈과, 상기 환형 홈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를 일시 수용한 후 토출하는 물받이 홈들을 포함한다.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installed outdoors, containing washing water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to distribute and discharge the washing water in the direction of gravity; ; Including a plurality of waterwheel-type water wheel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and configured to freely fall the washing water in the form of drops while rotating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It includes a washing water dropping unit for washing the outdoor air naturally circulating in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with falling washing water, wherein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is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sewer to drain the washing water that has cleaned the outdoor air. It is installed in,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are formed in a pluralit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and the water wheel-type water wheel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t includes an annular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water-receiving grooves formed in the annular groov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to temporarily receiv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and then discharge the water.

본 발명에 따른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은, 실외에 설치하고,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을 이용하여 세정수를 방울 형태로 낙하시킴으로써, 실외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씻어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utdoors and uses a plurality of water wheel-type water wheels to drop cleaning water in the form of drops, thereby more effectively washing away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in outdoor air. There are benefits to this.

또한, 하수구의 상측에 설치함으로써, 실외 공기를 세정시킨 세정수를 하수구를 통해 배수시킬 수 있으므로, 오염수의 처리가 용이해진다. Additionally, by installing it on the upper side of the sewer, the cleaning water that has cleaned the outdoor air can be drained through the sewer, making treatment of contaminated water easier.

또한, 하수구를 통해 배수된 하수 중 적어도 일부를 세정수로 재활용함으로써, 유지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Additionally,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by recyc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wage drained through the sewer as washing water.

또한, 도로 주변에 착탈이 용이하고, 필터 등의 교체 부품이 없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Additionally, since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from around the road and there are no replacement parts such as filters,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또한, 물레방아식 수차에 형성된 환형 홈과 물받이 홈의 형상과 배열을 최적화시킴으로써, 세정수 방울들이 시간과 공간적으로 보다 촘촘하게 낙하하게 되므로 공기와 세정수의 접촉 효율을 최대화시켜 세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optimiz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annular groove and water catch groove formed in the water wheel water wheel, the washing water droplets fall more tightly in time and space, thereby maximizing the contact efficiency between air and washing water, thereby improving cleaning efficiency. there is.

또한,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을 서로 기어 결합시켜,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낙하하는 세정수의 방울의 크기와 중량이 소정의 범위 이내로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gear-coupling a plurality of waterwheel-type water wheels and configuring them to rotate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the size and weight of the falling drops of washing water can be maintained uniform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정수 분배 탱크와 물레방아식 수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정수 분배 탱크와 물레방아식 수차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물레방아식 수차들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설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and waterwheel-type water wheel shown in Figure 1.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and waterwheel-type water wheel shown in FIG. 1.
FIG. 4 is a side view of the waterwheel type water wheels shown in FIG. 1.
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een from direction A of FIG. 5.
Figure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100)은, 실외에 설치되어, 자연 순환하는 실외 공기 중에 세정수를 낙하시켜,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를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이다.The outdoor air fine dust reduc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installed outdoors to reduce fine dust in the outdoor air by dropping washing water into the naturally circulating outdoor air.

상기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100)은, 도로(2)의 하수구(4)의 상측에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100)은 상기 도로(2) 이외에도 옥상 등 실외라면 어느 곳이나 설치 가능하다. 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100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wer 4 of the road 2 as an examp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100 can be installed anywhere outdoors, such as on a rooftop, in addition to the road 2.

상기 도로(2)는 보행자가 다니는 보도(2a)와, 차량이 다니는 차도(2b)로 구분된다. 상기 보도(2a)와 상기 차도(2b)는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보도(2a)와 상기 차도(2b)를 구분하기 위한 연석(2c)이 설치된다. The road 2 is divided into a sidewalk 2a for pedestrians and a roadway 2b for vehicles. The sidewalk 2a and the roadway 2b are formed to be stepped, and a curb 2c is installed to separate the sidewalk 2a from the roadway 2b.

상기 하수구(4)는 상기 차도(2b)에서 상기 연석(2c) 옆에 위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하수구(4)는, 상면 일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세정수나 빗물 등이 모이는 배수로(4a)와, 상기 배수로(4a)의 개구된 상면을 덮도록 설치된 그레이팅(4b)을 포함한다.For example, the drain 4 is described as being located next to the curb 2c in the roadway 2b. The drain 4 includes a drain 4a formed with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pen and collecting washing water or rainwater, and a grating 4b installed to cover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drain 4a.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100)은 상기 하수구(4)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100)은, 상기 하수구(4)보다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하수구(4)의 연직 상방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되 세정수를 상기 하수구(4)로 배수할 수 있는 위치라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100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vertically above the sewer 4. However, 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1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installed above the sewer 4,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sewer 4, and directs the washing water to the sewer 4. If the location allows drainage,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정수 분배 탱크와 물레방아식 수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정수 분배 탱크와 물레방아식 수차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and waterwheel-type water wheel shown in Figure 1.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and waterwheel-type water wheel shown in FIG.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100)은, 케이스(10), 세정수 분배 탱크(20), 세정수 낙하유닛(30) 및 하수 재활용 유닛(50)을 포함한다.1 to 3, 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100 includes a case 10, a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0, a washing water dropping unit 30, and a sewage recycling unit 50.

상기 케이스(10)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하수구(4)의 상측에 상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도로(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0)와 상기 세정수 낙하유닛(30)이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The case 10 forms an external appearance and is installed elongated upwardly on the upper side of the drain 4. Additionally, the case 10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ad 2. The case 10 is formed so that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0 and the washing water dropping unit 30 are mounted therein.

상기 케이스(10)는, 적어도 일측면이 상기 도로(2) 주변에서 자연 순환하는 실외 공기가 통과하도록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면은 상기 하수구(4)와 연통되게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에서 상기 차도(2b)를 향한 측면 중 일부분은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차도(2b)를 지나는 차량들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에 의해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0a)를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공기 유입구(10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세정수 낙하유닛(30)으로부터 낙하하는 세정수와 접촉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공기 유입구(10a)는 메시 형태나 타공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The case 10 has at least one side open to allow outdoor air naturally circulating around the road 2 to pass through, and its lower surface open to communicate with the sewer 4.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case 10 facing the roadway 2b is formed to be open, providing an air inlet 10a through which outdoor air flows in due to the air flow generated by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roadway 2b. form The case 10 forms a space wher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0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shing water falling from the washing water dropping unit 30. Of course, the air inlet 10a can also be formed in the form of a mesh or perforated plate.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하수구(4)의 그레이팅(4b)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0)의 하단은 상기 그레이팅(4b)에 직접 착탈가능토록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차도(2b)에 착탈가능토록 설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그레이팅(4b)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케이스(10)의 하부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수로(4a)에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즉, 상기 케이스(10)로부터 낙하한 세정수가 상기 하수구(4)로 배수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The case 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ating 4b of the sewer 4. The lower end of the case 10 can be detachably coupled directly to the grating 4b, and it is also possible to detachably install it on the roadway 2b. In addition, the case 10 can of course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grating 4b, or be form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part of the case 10 is inserted and mounted into the drainage channel 4a.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it allows the washing water that falls from the case 10 to be drained into the sewer 4.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하수구(4)로부터 상방향(z)으로 설정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낙하하는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 설정 높이에 따라 낙하하는 세정수와 실외 공기와의 접촉시간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설정 높이가 높을수록 보다 많은 실외 공기를 세정할 수 있다.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0 is provided inside the case 10, and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drain 4 in the upward direction (z) by a set height to determine the distance over which the washing water falls. Make sure to secure enough. Since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falling cleaning water and outdoor air may increase depending on the set height, the higher the set height, the more outdoor air can be cleaned.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0)는, 상기 도로(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가 일시 저장되는 탱크이다.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0)의 하면에는 상기 하수구(4)를 향한 하방향으로 세정수를 분배 토출하도록 복수의 세정수 토출구들(22)이 형성된다.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0 is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ad 2.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0 is a tank in which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temporarily stored.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22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0 to distribute and discharge the washing water in a downward direction toward the drain 4.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22)은,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0)의 하면에서 상기 도로의 길이방향(y)과 상기 도로의 폭방향(x)으로 각각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된다. 즉,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22)은,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2 and 3,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22 ar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nd the width direction (x) of the road, respectively. A plurality of them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at is, the washing water outlets 22 are formed to form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22)은, 각각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0)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소정량의 세정수가 담기도록 그릇(bowl) 형상으로 형성된 제1토출구(22a)와, 상기 제1토출구(22a)의 하면에서 세정수를 토출하도록 하방향으로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된 제2토출구(2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토출구(22a)는 적어도 일부분이 하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토출구(22a)가 그릇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균일한 토출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공급된 세정수가 남김없이 전량 토출될 수 있으므로, 추운 날씨에도 동파가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세정수 토출구(22)에는 개폐가능하도록 밸브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The washing water outlets 22 each include a first outlet 22a that is concav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0 and is shaped like a bowl to contai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hing water. , and includes a second discharge port (22b) formed in a downward slit shape to discharge the cleaning water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port (22a).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port 22a is formed so that its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s it moves downward. Since the first discharge port 22a is formed in a bowl shape, not only can a uniform discharge amount be maintained, but also the entire amount of the supplied cleaning water can be discharged without any residue, so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freezing even in cold weather. Additionally,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22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means to open and close it.

상기 세정수 낙하유닛(3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세정수 낙하유닛(30)은, 상기 복수의 세정수 토출구들(22)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를 받아낸 후 세정수의 유량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정수를 방울 형태로 하방향으로 자유낙하시키도록 형성된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40)을 포함한다. The washing water dropping unit 30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0 inside the case 10. The washing water falling unit 30 receives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22 and then rotates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to cause the washing water to freely fall downward in the form of drops. It includes a plurality of waterwheel-type water wheels (40).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40)는, 상기 복수의 세정수 토출구들(22) 중에서 동일한 열에 배치된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22)에 대응되도록 상기 열 방향(y)으로 길이가 긴 롤, 즉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40)는, 상기 복수의 세정수 토출구들(22)에서 동일한 행에 배치된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22)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로의 폭 방향(x)으로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22)은 상기 도로의 폭 방향(x)으로 2개가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40)도 2개가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22)의 개수,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40)의 개수나 길이는 상기 도로(2)의 폭, 길이, 상기 하수구(4)의 폭,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The waterwheel-type water turbine 40 is a roll, that is, a cylinder, long in the row direction (y) to correspond to the washing water discharge openings 22 arranged in the same row among the plurality of washing water discharge openings 22. formed into a shape. In addition, the water wheel-type water wheel 40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in the width direction (x) of the road to correspond to the washing water discharge openings 22 arranged in the same row of the plurality of washing water discharge openings 22. They are pl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22 are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two in the width direction (x) of the road, so for example, two waterwheel-type water wheels 40 are provided. Explai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22 and the number or length of the water wheel type water wheel 40 are determined by the width and length of the road 2 and the width and length of the sewer 4.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etc.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40)는,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부(41)와, 상기 원통부(41)의 중심에 구비되어 상기 원통부(41)를 회전시키는 회전축(42)과, 상기 원통부(41)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 홈(43), 상기 원통부(41)의 외주면에 형성된 물받이 홈(44)을 포함한다.The waterwheel-type water wheel 40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41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of the road, and a rotation shaft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41 to rotate the cylindrical portion 41. 42), an annular groove 4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1, and a water receiving groove 44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1.

상기 회전축(42)은, 상기 물받이 홈(44)에 저장된 세정수의 중량에 의해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40)를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즉, 상기 회전축(42)은 무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고,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40)는 외부 동력 없이 회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e rotation shaft 42 can support the water wheel-type water wheel 40 to rotate by the weight of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receiving groove 44, and is connected to a separate motor (not shown) to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rotate by driving (not shown). That is, the rotation shaft 42 can be rotated without power or driven by a motor (not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waterwheel-type water wheel 40 is explained as an example in which it rotates without external power.

상기 환형 홈(43)은, 상기 원통부(41)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된 홈이다. 상기 환형 홈(43)은 복수개가 상기 길이 방향(y)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환형 홈(43)의 개수는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22)의 열 방향(y)으로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환형 홈(43)은, 상기 세정수 토출구(22)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가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40)에 부딪혀 튀는 현상을 방지하고 세정수를 상기 물받이 홈(44)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The annular groove 43 is a groove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1. A plurality of the annular grooves 43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The number of the annular grooves 43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 holes 22 in the column direction (y). The annular groove 43 serves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22 from splashing against the water wheel-type water wheel 40 and to guide the washing water to the water receiving groove 44. .

상기 물받이 홈(44)은, 상기 환형 홈(43)에 형성되어 세정수를 일시 수용하도록 형성된 물 주머니이다. 상기 물받이 홈(44)은, 상기 환형 홈(43)마다 복수개씩 형성된다. 상기 물받이 홈(44)은, 상기 환형 홈(43)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물받이 홈(44)은, 상기 환형 홈(43)보다 깊이가 깊고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 물받이 홈(44)은,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40)의 반경 방향으로부터 소정 각도(θ)로 경사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40)의 회전에 따라 세정수를 일시적으로 수용한 후 하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The water receiving groove 44 is a water bag formed in the annular groove 43 to temporarily accommodate washing water. The water receiving grooves 44 are formed in plural numbers for each annular groove 43. The water receiving grooves 44 are formed in plural nu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annular groove 43. The water receiving groove 44 is formed to be deeper in depth and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annular groove 43. The water receiving groove 44 is formed long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from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ater wheel water turbine 40, and temporarily releases the washing wat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ater wheel water wheel 40. After receiving it, it can be discharged downward.

상기 물받이 홈(44)은,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40)의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밑면은 반구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된다. 상기 물받이 홈(44)에서 낙하하는 세정수의 방울 크기와 중량이 클수록 세정수의 낙하 속도가 크고, 비산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홈(44)의 용적에 따라 낙하하는 세정수의 방울 크기와 중량이 비례하므로, 세정수의 방울 크기에 따라 상기 물받이 홈(44)의 용적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의 유동 속도보다 세정수의 낙하 속도가 더 크도록 상기 물받이 홈(44)의 용적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ter catch groove 44 is formed to be long in a direction inclined towar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aterwheel-type water wheel 40, and its bottom is rounded in a hemispherical shape. The larger the droplet size and weight of the washing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catch groove 44, the greater the falling speed of the washing water, and scattering can be minimized. Since the droplet size and weight of the washing water falling are proportional to the volume of the water receiving groove 44, it is desirable to design the volume of the water receiving groove 44 according to the droplet size of the washing water.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design the volume of the water receiving groove 44 so that the falling speed of the washing water is greater than the flow speed of the air.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들(40) 중에서 동일한 수차에서 서로 다른 환형 홈(43a,43b)에 형성된 물받이 홈들(411)(412)은 상기 원주방향으로 제1설정 거리(d1)만큼 오프셋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들(4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수차(410)에서 형성된 제1환형 홈(43a)에 형성된 제1물받이 홈(411)은 다른 제2환형 홈(43b)에 형성된 제2물받이 홈(412)으로부터 상기 원주방향으로 제1설정 거리(d1)만큼 오프셋(offset)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동일한 수차에서 서로 다른 환형 홈에 형성된 상기 제1물받이 홈(411)과 상기 제2물받이 홈(412)에서 각각 낙하되는 세정수 방울은 소정의 제1시간차를 두고 서로 다른 위치로 낙하하게 되므로, 세정수는 시간과 공간적으로 보다 촘촘하게 낙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mong the waterwheel type water turbines 40, the water receiving grooves 411 and 412 formed in different annular grooves 43a and 43b in the same water wheel have a first set distance d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formed at a position offset by For example, the first water receiving groove 411 formed in the first annular groove 43a formed in any one of the first water turbines 410 among the water wheel water turbines 40 is connected to the other second annular groove 43b. It is formed at a position offset by a first set distance d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second water receiving groove 412 formed in . Accordingly, the washing water drops falling from the first water receiving groove 411 and the second water receiving groove 412 formed in different annular grooves in the same aberration fall at different positions with a predetermined first time difference, Washing water can fall more densely in time and space.

또한,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들(40) 중에서 동일한 수차에서 동일한 환형 홈에 형성된 물받이 홈들(44)은 서로 원주방향으로 제3설정 거리(d3)만큼 오프셋(offset)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동일한 수차에서 동일한 환형 홈에 형성된 복수의 물받이 홈들(44)에서 각각 낙하하는 물방울들은 서로 동일한 위치로 낙하하나, 회전에 의한 제2시간차를 두고 낙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40)의 회전속도가 60rpm이면, 동일한 환형 홈에 형성된 복수의 물받이 홈들(44)에서 각각 낙하하는 물방울들의 상기 제2시간 차이는 약 0.125초 내지 0.167초 범위 이내이고, 상기 제1물받이 홈(411)과 상기 제2물받이 홈(412)에서 각각 낙하하는 물방울들의 상기 제1시간 차이는 약 0.06초 내지 0.08초 범위 이내이다. 따라서, 세정수는 시간과 공간적으로 보다 촘촘하게 낙하될 수 있다.In addition, among the waterwheel type water turbines 40, the water receiving grooves 44 formed in the same annular groove in the same water wheel are formed at positions offset from each other by a third set distance d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water droplets falling from the plurality of water receiving grooves 44 formed in the same annular groove in the same aberration fall at the same position, but may fall with a second time difference due to rotation. For example, if the rotation speed of the water wheel water wheel 40 is 60 rpm, the second tim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droplets falling from the plurality of water receiving grooves 44 formed in the same annular groove is in the range of about 0.125 seconds to 0.167 seconds. The first tim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droplets falling from the first water receiving groove 411 and the second water receiving groove 412 is within the range of about 0.06 seconds to 0.08 seconds. Accordingly, the washing water can fall more densely in time and space.

또한,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들(40) 중에서 서로 인접하되 서로 다른 수차(410)(420)에 형성된 물받이 홈들은 상기 길이방향(y)으로 제2설정 거리(d2)만큼 오프셋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들(4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수차(410)에서 제1행에 형성된 제1물받이 홈(411)은 다른 제2수차(420)의 제1행에 형성된 제3물받이 홈(421)과 상기 길이 방향(y)으로 제2설정 거리(d2)만큼 오프셋(offset)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물받이 홈(411)과 상기 제3물받이 홈(421)에서 각각 낙하되는 세정수 방울은 서로 다른 위치로 낙하하게 되므로, 세정수가 보다 조밀하게 낙하될 수 있다. In addition, among the waterwheel-type water turbines 40, water-receiving grooves formed in adjacent but different water turbines 410 and 420 are formed at positions offset by a second set distance d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 For example, among the waterwheel-type water turbines 40, the first water receiving groove 411 formed in the first row of one of the first water turbines 410 is formed in the first row of the other second water turbine 420. It is formed at a position offset from the third water catch groove 421 by a second set distance d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Accordingly, the washing water drops falling from the first water receiving groove 411 and the third water receiving groove 421 fall at different positions,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fall more densely.

또한, 상기 세정수 낙하유닛은, 상기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40)을 연결하여 동시에 회전시키는 수차 연동수단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dropping unit further includes water wheel interlocking means that connects the plurality of water wheel-type water wheels 40 and rotates them simultaneously.

상기 수차 연동수단은,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들(40)의 각 외주면에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는 물레방아식 수차들(40)끼리 기어 결합시켜 연동시키는 기어부(45)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e water wheel interlocking means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each of the water wheel water wheels 40, and is explained by way of example as a gear unit 45 that engages and interlocks adjacent water wheel water wheels 40 with each other. do.

상기 기어부(45)는, 상기 원통부(41)의 외주면 중에서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통부(41)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e gear portion 45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1. In this embodiment, it is explained as being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ylindrical portion 41. do.

한편, 상기 하수 재활용 유닛(50)은, 상기 하수구(4)를 통해 배수된 하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0)로 순환시켜 세정수로 재활용하기 위한 유닛이다. Meanwhile, the sewage recycling unit 50 is a unit that circula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wage drained through the sewer 4 to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0 to recycle it as washing water.

상기 하수 재활용 유닛(50)은, 상기 하수구(4)로 배수된 상기 세정수, 빗물 등을 포함하는 하수를 일시 저장하는 하수 저장조(미도시)와, 상기 하수 저장조(미도시)와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0)를 연결하여 상기 하수 저장조(미도시)에 저장된 하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0)로 안내하는 재활용수 배관(미도시)과, 상기 재활용수 배관(미도시)에 설치된 재활용수 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The sewage recycling unit 50 includes a sewage storage tank (not shown) for temporarily storing sewage including the washing water and rainwater drained into the sewer 4, the sewage storage tank (not shown), and the washing water. A recycled water pipe (not shown) connecting the distribution tank 20 to gu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wage stored in the sewage storage tank (not shown) to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0, and the recycled water pipe (not shown) Includes a recycled water pump (not shown) installed in.

상기 재활용수 배관(미도시)의 일측은 상기 하수 저장조(미도시)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recycled water pipe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sewage storage tank (not shown), and the other side may be inserted into the case 10.

또한, 상기 하수 재활용 유닛(50)은, 상기 하수 저장조(미도시)와 상기 재활용수 배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하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하수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하수 필터(미도시)는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sewage recycling unit 50 may further include a sewage filter (not shown)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sewage storage tank (not shown) and the recycled water pipe (not shown) to purify sewage.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wage filter (not shown) may of course be provided inside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0)내에 수용된 세정수는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22)을 통해 상기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40)로 하향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세정수는, 상기 하수 재활용 유닛(미도시)으로부터 순환된 하수인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상수관이나 지하수관 등에 연결되어 공급받는 물인 것도 가능하다.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0 is discharged downward to the plurality of waterwheel-type water wheels 40 through the washing water outlets 22. Here, the washing water may be sewage circulated from the sewage recycling unit (not shown), or may be water supplied through connection to a separate water pipe or underground water pipe.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22)을 통해 토출된 세정수는 상기 수차(40)에 형성된 상기 물받이 홈들(44) 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한 물받이 홈으로 유입된다. 이 때, 세정수는 상기 수차(40)의 환형 홈(43)을 통해 상기 물받이 홈(44)으로 유입된다. 즉, 상기 환형 홈(43)은, 상기 세정수 토출구(22)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가 상기 물받이 홈(44)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shing water outlets 22 flows into the uppermost water receiving groove 44 formed on the water wheel 40.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water receiving groove 44 through the annular groove 43 of the water wheel 40. That is, the annular groove 43 serves to guid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22 to flow into the water receiving groove 44.

상기 물받이 홈(44)에 소정량의 세정수가 채워지면, 상기 물받이 홈(44)에 담긴 세정수의 중량에 의해 상기 수차(40)가 회전하게 된다. When the water receiving groove 44 is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hing water, the water wheel 40 rotates due to the weight of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ing groove 44.

상기 수차(40)의 회전에 의해 세정수가 채워진 물받이 홈(44)이 일정 위치로 하향 이동하면, 상기 물받이 홈(44)내의 세정수는 하방향으로 흘러 내리게 된다. 이 때, 상기 물받이 홈(44)에서 흘러내리는 세정수는 방울 형태를 이루면서 낙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세정수를 상기 물받이 홈(44)에 채운 후, 상기 물받이 홈(44)으로부터 낙하시키므로 방울 형태로 낙하하게 된다.When the water receiving groove 44 filled with washing water moves downward to a certain position due to the rotation of the water wheel 40, the washing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groove 44 flows downward.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flowing from the water catch groove 44 falls in the form of drops.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ill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water collecting groove 44, it falls from the water receiving groove 44, so that it falls in the form of drops.

예를 들어, 상기 수차(40)가 없는 경우, 상기 세정수 토출구(22)의 직경이 약 3m/m의 구경이고, 토출량이 약 6g/sec일 때, 약 3m/m보다 조금 굵은 물기둥이 낙하하게 된다. 반면, 상기 수차(40)가 있는 경우에는 약 12.4m/m(약 1g)의 방울 형태의 물 덩어리가 6개/sec로 시간차를 가지고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차(40)의 회전수는 60rpm이고, 하나의 환형 홈(43)에 6개의 물받이 홈(44)이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되게 형성된 경우, 1g의 방울 형태의 물 덩어리는 0.167초(1/6)차이로 같은 위치에 낙하하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water turbine 40 is not present, when the diameter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22 is about 3 m/m and the discharge amount is about 6 g/sec, a water column slightly thicker than about 3 m/m falls. I do i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aberration 40 is present, water droplets of about 12.4 m/m (about 1 g) fall with a time difference of 6 pieces/sec. Here,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water wheel 40 is 60 rpm, and six water receiving grooves 44 are formed in one annular groove 43 at equal intervals, a 1 g drop-shaped water mass is generated in 0.167 seconds ( They fall in the same location with a difference of 1/6).

따라서, 상기 수차(40)를 통해 세정수를 낙하시키는 경우, 보다 많은 실외 공기와의 표면 접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정의 효과가 배가 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leaning water is dropped through the water wheel 40, the surface comes into contact with more outdoor air, so the cleaning effect can be doubled.

상기 수차(40)로부터 방울 형태로 낙하하는 세정수는 상기 수차(40)의 하부를 자연 순환하는 실외 공기와 접촉하면서,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포집한 후 상기 하수구(4)로 배수된다. 여기서, 상기 오염물질은, 차도 주변에 쌓여 있는 타이어나 브레이크 패드 등이 마모되어 발생된 분진, 접촉 마찰에 의한 분진, 노후로 인한 도로 분진 및 기타 분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물질은 주로 차도 주변에 쌓여 있다가 차량이 지나갈 때 발생되는 공기 유동이나 바람 등에 의한 공기 유동시 부유하게 된다. 상기 오염물질은 환경 오염 등의 이유로 규제와 단속이 되고, 전기차나 수소차로 교체가 되어도 해결되지 않는 오염물질이다. The washing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wheel 40 in the form of drops contacts the outdoor air naturally circulating in the lower part of the water wheel 40, collects contaminants such as fine dust in the outdoor air, and then flows into the sewer 4. drained. Here, the pollutants may include dust generated by wear of tires or brake pads piled up around the roadway, dust due to contact friction, road dust due to deterioration, and other dust. The pollutants are mainly accumulated around the roadway and become suspended when the air flows due to air flow or wind generated when a vehicle passes by. The above pollutants are regulated and cracked down for reason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re pollutants that cannot be resolved even if they are replaced with electric or hydrogen vehicles.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차(40)로부터 낙하하는 세정수가 부유하는 오염물질들과 접촉하면서 상기 오염물질들을 포집하여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실외 공기 중 오염물질이 씻겨 내려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water falling from the water wheel 40 comes into contact with floating contaminants and collects the contaminants before falling. Therefore, pollutants in the outdoor air can be washed away.

상기 케이스(10)의 하부에서 실외 공기를 세정시킨 오염수는 상기 하수구(4)로 배수된다.Contaminated water that has been cleaned from the outdoor air at the bottom of the case 10 is drained into the sewer 4.

상기 하수구(4)로 배수된 하수들은 하수로를 통해 하수처리시설로 이동하거나, 하수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재활용수 펌프(미도시)에 의해 펌핑되어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0)로 공급되어 공기 세정에 재활용될 수 있다. The sewage drained into the sewer 4 moves to a sewage treatment facility through the sewer, or at least some of the sewage is pumped by the recycled water pump (not shown) and supplied to the cleaning water distribution tank 20 to clean the air. can be recycl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은, 상기 도로(2)의 상기 하수구(4)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40)을 이용하여 세정수를 방울 형태로 도로를 향해 낙하시킴으로써, 도로 주변의 실외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씻어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wer 4 of the road 2, and uses the plurality of water wheel-type water wheels 40 to drop washing water. By falling toward the road in a sha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in the outdoor air around the road can be more effectively washed away.

상기 세정수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는 세정수가 상기 수차(40)를 거치면서 분리되어 낙하함과 아울러 방울 형태로 표면적은 증대되어, 바람에 날리지 않고 낙하하면서 공기와의 접촉은 최대화될 수 있다. 상기 세정수가 상기 수차(40)를 통과하지 않을 경우 물줄기 형태로 낙하하게 되나, 상기 수차(40)를 통과하는 경우 방울 형태로 낙하할 수 있다.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22 separates and falls as it passes through the water wheel 40, and the surface area increases in the form of drops, so that contact with air can be maximized while falling without being blown by the wind. . If the washing water does not pass through the water wheel 40, it falls in the form of a stream, but if it passes through the water wheel 40, it may fall in the form of drops.

또한, 상기 차도(2b)를 지나가는 차량들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이나 자연 순환되는 공기 유동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송풍 장치가 필요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 Additionally, by using the air flow generated by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roadway 2b or the naturally circulating air flow,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blower device is not required.

또한,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40)는 복수개가 배치됨으로써, 공기는 상기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40)로부터 낙하하는 세정수에 의해 복수회 세정되므로, 세정 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waterwheel-type waterwheels 40 are arranged, the air is cleaned multiple times by the washing water falling from the plurality of waterwheel-type waterwheels 40, which has the advantage of high cleaning efficiency.

이 때, 상기 물받이 홈들(44)의 용적에 따라 세정수 방울의 크기와 중량, 낙하 속도가 달라지므로, 공기의 세정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는 세정수 방울의 크기, 중량 및 낙하 속도가 되도록 상기 물받이 홈들(44)의 용적이 설정된다. 따라서, 공기의 세정 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size, weight, and falling speed of the washing water droplets vary depending on the volume of the water collecting grooves 44, the washing water droplets are adjusted to a size, weight, and falling speed that maximize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air. The volume of the grooves 44 is set. Therefore, the cleaning efficiency of air can be maximized.

본 발명에서와 같이 세정수를 방울 형태로 낙하시킬 경우는 노즐 등을 사용하여 미스트 형태로 분사하는 경우보다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크기 때문에, 공기의 세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미스트 형태의 경우 공기 이동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날리는 현상 등이 발생되나, 방울 형태의 세정수는 송풍력 등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When the cleaning water is dropped in the form of drops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area with air is larger than when the cleaning water is sprayed in the form of mist using a nozzle, etc., so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air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mist form, a phenomenon such as blowing due to wind generated when air moves occurs, but the effect of blowing force, etc. in droplet form of washing water can be minimized.

또한, 동일한 수차에서 서로 다른 환형 홈에 형성된 상기 제1물받이 홈(411)과 상기 제2물받이 홈(412)에서 각각 낙하되는 세정수 방울은 소정의 제1시간차를 두고 서로 다른 위치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세정수는 시간과 공간적으로 보다 촘촘하게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제1시간 차이는 약 0.08초이다. 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drops falling from the first water receiving groove 411 and the second water receiving groove 412 formed in different annular grooves in the same aberration fall at different positions with a predetermined first time difference. . Accordingly, the washing water can fall more densely in time and space. The first time difference is about 0.08 seconds.

또한, 동일한 환형 홈(43)의 물받이 홈들(44)로부터 낙하하는 세정수 방울은 모두 동일한 위치로 낙하하되, 수차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시간차를 두고 낙하하게 된다. 상기 제2시간 차이는 약 0.16초이다. 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drops falling from the water receiving grooves 44 of the same annular groove 43 all fall at the same location, but fall with the second time differen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water wheel. The second time difference is about 0.16 seconds.

또한, 상기 제1물받이 홈(411)과 상기 제3물받이 홈(421)에서 각각 낙하되는 세정수 방울은 서로 다른 위치로 낙하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drops falling from the first water receiving groove 411 and the third water receiving groove 421 respectively fall at different position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환형 홈들(43)과 상기 물받이 홈들(44)은 서로 다른 위치에 지그 재그식으로 배열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물받이 홈들로부터 하향 토출되는 세정수 방울이 시간차를 두고 보다 촘촘하게 낙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nnular grooves 43 and the water catch grooves 4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at different positions, so that the wash water droplets discharged downward from the plurality of water catch grooves have a time difference. It can fall more tightly.

또한, 상기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40)은, 서로 상기 기어부(45)를 통해 맞물리도록 결합됨으로써, 서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40)의 회전속도가 동일하므로, 낙하하는 세정수의 방울의 크기와 중량이 소정의 범위 이내로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waterwheel-type water wheels 4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gear portion 45, so that they rotate at the same speed. Therefore, sin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lurality of waterwheel-type water wheels 40 is the same, the size and weight of the falling drops of washing water can be maintained uniform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Meanwhile, 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een from direction A of FIG. 5.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200)은, 도로(2)의 가드 펜스(guard fence)(300)의 상측에 설치된 것이 상기 일 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유사하므로,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며, 유사 구성에 대해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5 and 6, 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200 in outdoor ai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ard fence 300 of the road 2. Since it is different from one embodiment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re simila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provided focusing on the differences, and the same symbols will be used for similar configuration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가드 펜스(300)는, 상기 도로(2)의 차도(2b)와 보도(2a)를 구획하거나 차도의 중앙 분리대에 설치된 울타리이며, 다양한 소재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드 펜스(300)는, 상기 연석(2c)위에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 위치나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The guard fence 300 is a fence that divides the roadway 2b and the sidewalk 2a of the road 2 or is installed in the center divider of the roadway, and is made of various materials and shapes. In this embodiment, the guard fence 300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on the curb 2c using a fastening member,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r metho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상기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200)은, 상기 가드 펜스(300)의 상단에 착탈가능토록 설치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200)은 상기 가드 펜스(300)에서 상기 차도(2b)를 향한 면에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200 is removably installed at the top of the guard fence 300.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200 can of course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guard fence 300 facing the roadway 2b.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20)는 상기 가드 펜스(300)의 상단에 체결부재(310)를 이용하여 착탈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20)는 상기 가드 펜스(300)를 따라 길게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ures 5 and 6,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2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guard fence 300 to be detachable using a fastening member 310. Additionally,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20 is installed long along the guard fence 30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20)는, 상기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21)와, 상기 케이스(221)의 내부에 세정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조(22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20)는, 상기 가드 펜스(300)에 별도의 케이스나 지지부재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20 includes a case 221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and a water tank 222 formed to accommodate washing water inside the case 221. This is explained with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20 may of course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guard fence 300 using a separate case or support member.

상기 수조(222)의 하면에는 복수의 세정수 토출구들(22)이 형성되며,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22)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outlets 22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222, and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washing water outlets 22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20)는 하부 일측이 상기 가드 펜스(300)에 결합되고, 하부 타측은 상기 차도(2b)의 하수구(4)에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20)의 중심은 상기 가드 펜스(300)로부터 상기 차도(2b)를 향한 방향으로 제4설정 거리(d4)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20 is installed so that one lower side is coupled to the guard fence 300 and the other lower side faces the drain 4 of the roadway 2b. That is, the center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2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uard fence 300 by a fourth set distance d4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oadway 2b.

따라서,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20)로부터 하방향으로 토출되는 세정수가 상기 하수구(4)를 향해 낙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downward from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20 may fall toward the sewer 4.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20)에는 외부로부터 세정수를 공급받는 세정수 공급관(225)이 연결된다. 상기 세정수 공급관(225)은, 상기 하수구 재활용 유닛의 재활용수 배관(미도시)과 연결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2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개구홀들이 형성되어, 빗물을 수용하여 세정수로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220)는 별도의 상수관이나 지하수관 등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A washing water supply pipe 225 that receives washing water from the outside is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20. Of course,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225 can be connected to the recycled water pipe (not shown) of the sewer recycling unit. In addition, opening holes ar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20, so that it is of course possible to receive rainwater and use it as washing water. Additionally,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20 can also receive water from a separate water pipe or underground water pip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은, 상기 가드 펜스(300)의 상측에 착탈가능토록 설치되어, 설치나 분리가 보다 용이한 이점이 있다. The outdoor air fine dust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remov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ard fence 300,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er to install or remove.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설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Meanwhile, Figure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400)은, 창문(미도시), 출입문(420) 및 출입구(410) 중 적어도 하나의 실외측에 설치된 것이 상기 실시예들과 상이하며,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유사하므로 유사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of at least one of a window (not shown), an entrance door 420, and an entrance 410. It is different from the examples,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similar, so detailed descriptions of similar configurations are omitted.

상기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400)의 세정수 분배 탱크(220)는 실외에서 실내를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420)이 설치된 출입구(410)에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20 of 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400 is explained as an example of being installed at an entrance 410 where an entrance door 420 is installed to allow acces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상기 출입구(410)는, 학교, 교실, 대형 쇼핑몰 등과 같은 건물(B)의 출입구 뿐만 아니라, 지하주차장, 지하상가, 지하철역 등의 출입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출입구(410)는 문이 설치되지 않는 곳도 포함한다. The entrance 410 may include not only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B such as a school, classroom, or large shopping mall, but also the entrance of an underground parking lot, an underground shopping mall, or a subway stat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entrance 410 also includes places where a door is not installed.

상기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400)는, 상기 출입문(420)의 실외측에 설치되되, 상기 출입문(420)으로부터 실외를 향해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400 is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door 420 an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door 420 toward the outdoors.

또한, 상기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400)은 상기 출입구(410)에서 사람들의 이동 통로(P)를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400)은, 상기 출입문(420)의 출입 방향(X)에 대해 수직한 방향(Y)으로 길게 배치되고, 2개가 상기 출입 방향(X)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Additionally, a plurality of fine dust reduction systems 400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entrance 410 along the passageway P for people to travel. In this embodiment, 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400 is arranged long in the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exit direction (X) of the door 420, and two of them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long the exit direction (X). It will be explained as an example that they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출입구(410)외에도 야외 공원이나 놀이터 등과 같이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이동 통로 등 다양한 실외에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400)은, 창문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entrance 410, i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outdoor places such as passageways where people pass, such as outdoor parks or playgrounds. In addition, 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400 can of course be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of a window.

상기와 같이, 상기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400)이 상기 출입문(420)의 실외측에 설치됨으로써, 실외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the fine dust reduction system 400 on the outdoor side of the door 420,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in the outdoor air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room.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2: 도로 2a: 보도
2b: 차도 2c: 연석
4: 하수구 10: 케이스
20: 세정수 분배 탱크 22: 세정수 토출구
30: 세정수 낙하유닛 40: 물레방아식 수차
2: road 2a: sidewalk
2b: Driveway 2c: Curb
4: drain 10: case
20: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22: Washing water outlet
30: Washing water dropping unit 40: Waterwheel type water wheel

Claims (21)

실외에 설치되고, 내부에 세정수가 수용되며, 상기 세정수를 중력 방향으로 분배 토출되도록 복수의 세정수 토출구들이 형성된 세정수 분배 탱크와;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세정수를 방울 형태로 자유낙하시키도록 형성된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을 포함하여,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하측을 자연 순환하는 실외 공기를 낙하하는 세정수로 세정시키기 위한 세정수 낙하유닛을 포함하는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a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installed outdoors, containing washing water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formed to distribute and discharge the washing water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 plurality of water wheel-type water wheels are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and rotated by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to cause the washing water to freely fall in the form of drops,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including a washing water dropping unit for cleaning the outdoor air naturally circulating below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with falling washing wa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는,
상기 실외 공기를 세정시킨 세정수를 배수하도록 하수구의 상측에 설치된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1,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 sewer to drain the cleaning water that cleans the outdoor ai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는,
상기 하수구의 상측에 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적어도 일측면은 실외 공기가 통과하도록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면은 상기 하수구와 연통되게 형성된 케이스에 장착된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2,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mounted on a case that is installed in an upward direction above the drain, has at least one side open to allow outdoor air to pass through, and has a lower surface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는,
도로의 가드 펜스(guard fence)의 상측에 착탈가능토록 결합된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1,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that is removably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a road guard fen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는, 상기 도로의 연석에 설치된 가드 펜스(guard fence)의 상부에 착탈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들은,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하측에서 상기 도로 중 차도에 구비된 하수구를 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 공기를 세정시킨 세정수가 상기 하수구로 배수되도록 낙하시키는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4,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is removably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a guard fence installed on the curb of the road,
The waterwheel-type water turbines are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a sewer provided in the roadway from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and cause the washing water that cleans the outdoor air to fall so that it can be drained into the sewer. abatement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는,
창문, 출입문 및 출입구 중 적어도 하나의 실외측에 설치된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1,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A system to reduce fine dust in outdoor air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of at least one of windows, doors, and entranc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수구를 통해 배수된 하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로 순환시켜 세정수로 재활용하기 위한 하수 재활용 유닛을 더 포함하는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2,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further comprising a sewage recycling unit for recyc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wage drained through the sewer into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to be recycled as washing wat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수 재활용 유닛은,
상기 하수구를 통해 배수된 하수를 일시 저장하는 하수 저장조와,
상기 하수 저장조와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하수 저장조에 저장된 하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로 안내하여 하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재활용수 배관과,
상기 재활용수 배관에 설치된 재활용수 펌프를 포함하는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7,
The sewage recycling unit,
a sewage storage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sewage drained through the sewer;
A recycling water pipe connecting the sewage storage tank and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to gu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wage stored in the sewage storage tank to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to recycle the sewage;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including a recycled water pump installed in the recycled water pip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수 재활용 유닛은,
상기 하수 저장조와 상기 재활용수 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하수를 필터링하는 하수 필터를 더 포함하는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7,
The sewage recycling unit,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further comprising a sewage filter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sewage storage tank and the recycled water pipe to filter sew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은,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하면에서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길이방향과 폭 방향으로 각각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된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1,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wherein a plurality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긴 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폭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10,
The waterwheel-type water wheel is,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which is formed in a long rol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plurality of piece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는,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환형 홈과,
상기 환형 홈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를 일시 수용한 후 토출하는 물받이 홈들을 포함하는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1,
The waterwheel-type water wheel is,
an annular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comprising a plurality of water-receiving groove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annular groove, and temporarily receiving and then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환형 홈은,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환형 홈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환형 홈에 형성된 물받이 홈은 상기 제1환형 홈과 인접한 제2환형 홈에 형성된 물받이 홈으로부터 상기 원주방향으로 제1설정거리만큼 오프셋되는 위치에 형성된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12,
A plurality of the annular groov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wheel-type water turbine,
Among the plurality of annular grooves, the water-receiving groove formed in any one of the first annular grooves is formed at a position offset by a first set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water-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annular groove adjacent to the first annular groove. Medium fine dust reduction system.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수차에 형성된 물받이 홈은 상기 제1수차에 인접하는 다른 제2수차에 형성된 물받이 홈으로부터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의 길이방향으로 제2설정 거리만큼 오프셋되는 위치에 형성된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12,
The water-receiving groove form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waterwheel-type waterwheels is a second set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wheel-type waterwheel from the water-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other second waterwheel adjacent to the first waterwheel. A fine dust reduction system in outdoor air formed at an offset location.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홈은, 상기 환형 홈보다 깊이가 깊고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12,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wherein the water catch groove is deeper than the annular groove and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홈은,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의 반경 방향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12,
The water catch groove is,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formed in a long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aterwheel type water whee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는, 상기 세정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를 수용한 후 방울 형태로 토출하는 복수의 물받이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물받이 홈들은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1,
The waterwheel-type water wheel includes a plurality of water receiving grooves that receiv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and then discharge it in the form of drops,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wherein the plurality of water catch groov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wheel type water whee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는,
길이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세정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를 일시 수용한 후 방울 형태로 토출하는 복수의 물받이 홈들이 형성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중심에 구비되어 상기 원통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1,
The waterwheel-type water wheel is,
A cylindrical portion formed in a long cylindric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water-receiving grooves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temporarily receiving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 and then discharging it in the form of drops;
a rotating shaft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to rotate the cylindrical portion;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further comprising a motor that drives the rotating shaf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낙하유닛은,
상기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을 연결하여 동시에 회전시키는 수차 연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1,
The washing water dropping unit,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further comprising water wheel interlocking means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water wheel-type water wheels and rotating them simultaneously.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수차 연동수단은,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들의 각 외주면에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들을 기어 결합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In claim 19,
The aberration interlocking means is,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including a gear unit provided on each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wheel-type waterwheels and gearing the adjacent waterwheel-type waterwheels to each other.
실외에 설치되고, 내부에 세정수가 수용되며, 상기 세정수를 중력 방향으로 분배 토출되도록 복수의 세정수 토출구들이 형성된 세정수 분배 탱크와;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세정수를 방울 형태로 자유낙하시키도록 형성된 복수의 물레방아식 수차들을 포함하여,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하측을 자연 순환하는 실외 공기를 낙하하는 세정수로 세정시키기 위한 세정수 낙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는, 상기 실외 공기를 세정시킨 세정수를 배수하도록 하수구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은,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하면에서 상기 세정수 분배 탱크의 길이방향과 폭 방향으로 각각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물레방아식 수차는,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환형 홈과, 상기 환형 홈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세정수 토출구들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를 일시 수용한 후 토출하는 물받이 홈들을 포함하는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a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installed outdoors, containing washing water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to distribute and discharge the washing water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cluding a plurality of waterwheel-type water wheel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and configured to freely fall the washing water in the form of drops while rotating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It includes a washing water dropping unit for cleaning the outdoor air naturally circulating below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with falling washing water,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is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sewer to drain the washing water that has cleaned the outdoor air,
A plurality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distribution tank,
The waterwheel-type water turbine includes an annular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annular groov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emporarily receiv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discharge ports. A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outdoor air that includes grooves for discharging water after discharge.
KR1020220083754A 2022-07-07 2022-07-07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of the outdoor air KR202400069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754A KR20240006901A (en) 2022-07-07 2022-07-07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of the outdoor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754A KR20240006901A (en) 2022-07-07 2022-07-07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of the outdoor 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901A true KR20240006901A (en) 2024-01-16

Family

ID=8971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754A KR20240006901A (en) 2022-07-07 2022-07-07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of the outdoor 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690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926B1 (en) 2002-05-03 2005-04-14 박미애 Washer type air conditioner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926B1 (en) 2002-05-03 2005-04-14 박미애 Washer type air conditione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3787C (en) From central authorities' inflow rainwater, isolate floating thing and sedimentary eddy current separator
KR101282987B1 (en) Separator
KR101668618B1 (en)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sedimentation and filtering media washing
KR101633767B1 (en) A upflow type stormwater treatment facilities using float filter media
CN101254399B (en) High-efficiency low energy consumption desulfurized dust removing equipment
KR102035944B1 (en) Electrostatic type Air purifier and Facilities using thereof
KR100913117B1 (en) Roof type high speed tunnel air cleaning system
RU2473855C2 (en) Multi-circuit ejection cooling tower
KR20050074931A (en) Equalization contact on surface of wet scrubber
KR20240006901A (en)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of the outdoor air
KR100414905B1 (en) Cylindrical fine solid material eliminator for sewage and waste water
KR100576566B1 (en) Air cleaner
KR102149487B1 (en) Soundproofing wall using solar energy
CN217817290U (en) Water curtain air purifier
US5092912A (en) Pollution abatement method
US11713569B2 (en) Stormwater treatment device
KR100921785B1 (en) Filtration apparatus for sewage
KR102530683B1 (en) Apparatus for soundproof barrier with air purification
CN115111687A (en) Air purifier
KR102229404B1 (en) Pillar type lighting apparatus with fine dust purifying function
KR100717716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N108860072B (en) Motor vehicle cleaning system, building, driveway and parking lot comprising same and application
KR20110093047A (en) Safety fence of footway for air purification
CN112078548A (en) Car washer foundation structure
CN205288079U (en) Horizontal flue gas desulphurizat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