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392A - Waste plastic treatment method - Google Patents

Waste plastic treatment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392A
KR20240005392A KR1020220082426A KR20220082426A KR20240005392A KR 20240005392 A KR20240005392 A KR 20240005392A KR 1020220082426 A KR1020220082426 A KR 1020220082426A KR 20220082426 A KR20220082426 A KR 20220082426A KR 20240005392 A KR20240005392 A KR 20240005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lastic
drying
solution
aging
foreign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4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섭
박원찬
김정규
이가현
이승용
장윤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220082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5392A/en
Publication of KR2024000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392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2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06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without chemical reactions
    • C08J11/08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without chemical reactions using selective solvents for polyme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2017/001Pretreating the materials before recovery
    • B29B2017/0015Washing, ri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24Screens,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31Centrifugating, 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86Cleaning means used for separation
    • B29B2017/0289Washing the materials 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93Dissolving the materials in gases or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화학적 이물질 및 물리적 이물질이 포함된 폐플라스틱을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에이징 용액이 저장된 용기에 상기 폐플라스틱을 공급하여 에이징된 상기 폐플라스틱이 포함된 제1 용액을 제조하는 에이징 단계; 상기 에이징 용액과 에이징된 상기 폐플라스틱을 분리하는 제1 여과 단계; 상기 에이징 용액과 분리된 상기 폐플라스틱을 건조하는 제1 건조 단계; 건조된 상기 폐플라스틱을 용매와 교반하여 상기 고분자와 상기 화학적 이물질이 용해되고 상기 물리적 이물질이 분산된 제2 용액을 제조하는 용해 단계; 상기 제2 용액에 포함된 상기 물리적 이물질이 제거된 용해물을 제조하는 제2 여과 단계; 상기 용해물을 원심 분리하여 상기 고분자가 포함된 제1 용해물과 상기 화학적 이물질이 포함된 제2 용해물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 상기 제1 용해물을 농축시키는 농축 단계; 농축된 상기 제1 용해물을 건조하는 제2 건조 단계 및 건조된 상기 고분자를 분쇄하는 분쇄 단계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treating waste plastic containing polymers, chemical foreign substances and physical foreign substances, an aging step of supplying the waste plastic to a container storing the aging solution to prepare a first solution containing the aged waste plastic. ; A first filt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aging solution and the aged waste plastic; A first drying step of drying the waste plastic separated from the aging solution; A dissolution step of stirring the dried waste plastic with a solvent to prepare a second solution in which the polymer and the chemical foreign substances are dissolved and the physical foreign substances are dispersed; a second filtration step of preparing a lysate from which the physical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econd solution are removed; A separation step of centrifuging the lysate to separate a first lysate containing the polymer and a second lysate containing the chemical foreign substances; A concentration step of concentrating the first lysate; It relates to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including a second drying step of drying the concentrated first lysate and a pulverization step of pulverizing the dried polymer.

Description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WASTE PLASTIC TREATMENT METHOD}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WASTE PLASTIC TREATMENT METHOD}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용매를 사용하여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that can recycle waste plastic using a single solvent.

일반적으로,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이 재활용을 위하여 집하장으로 입고될 때, 이러한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은 크게 난연성, 비난연성으로 특성이 상이하고, 난연성 및 비난연성 각각에서는 다양한 소재가 혼합되어 있으며, 색상 측면에서도 화이트, 블랙, 빨간색 등 여러 색상들을 가진 재활용 플라스틱 폐기물이 혼합 상태로 입고된다. In general, when recycled plastic waste is received at a collection point for recycling, the recycled plastic waste has largely different characteristics as flame retardant and non-flammable, and various materials are mixed for flame retardancy and non-flammability, and in terms of color, it is white, Recycled plastic waste of various colors such as black and red is received in a mixed state.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공정은 플라스틱을 분쇄, 용해, 침전(또는 석출) 및 건조의 단계를 거쳐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In the process of recycling plastic, impurities are removed through the steps of crushing, dissolving, settling (or precipitating), and drying the plastic.

좀 더 상세하게는, 종래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공정은 비용매가 저장된 용기에 플라스틱이 용해된 용액을 공급하여 고분자를 석출 및 침전시킨 후, 침전된 고분자를 수거하고 건조하여 비용매를 제거하여 재활용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More specifically, the conventional process of recycling plastic is to precipitate and precipitate the polymer by supplying a solution in which the plastic is dissolved to a container storing the non-solvent, then collecting and drying the precipitated polymer to remove the non-solvent to produce recycled plastic. Manufactured.

종래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공정은 용기에 저장된 비용매는 용액의 용해도가 감소하여 용액에 포함된 플라스틱이 석출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양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공정은 비용매를 과량으로 사용하여 재활용 플라스틱의 원가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In the conventional process of recycling plastic, the non-solvent stored in the container must be contained in a sufficient amount so that the solubility of the solution is reduced so that the plastic contained in the solution can precipitate. Therefore, the conventional plastic recycling process used an excessive amount of non-solvent,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cost of recycled plastic.

한국공개특허 제10-2010-702576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7025766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폐플라스틱에 포함된 고분자를 석출할 때 하나의 용매를 사용하는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seeks to provide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that uses a single solvent to precipitate polymers contained in waste plastic.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고분자, 화학적 이물질 및 물리적 이물질이 포함된 폐플라스틱을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에이징 용액이 저장된 용기에 상기 폐플라스틱을 공급하여 에이징된 상기 폐플라스틱이 포함된 제1 용액을 제조하는 에이징 단계; 상기 에이징 용액과 에이징된 상기 폐플라스틱을 분리하는 제1 여과 단계; 상기 에이징 용액과 분리된 상기 폐플라스틱을 건조하는 제1 건조 단계; 건조된 상기 폐플라스틱을 용매와 교반하여 상기 고분자와 상기 화학적 이물질이 용해되고 상기 물리적 이물질이 분산된 제2 용액을 제조하는 용해 단계; 건조된 상기 폐플라스틱을 용매와 교반하여 상기 고분자와 상기 화학적 이물질이 용해되고 상기 물리적 이물질이 분산된 제2 용액을 제조하는 용해 단계; 상기 제2 용액에 포함된 상기 물리적 이물질이 제거된 용해물을 제조하는 제2 여과 단계; 상기 용해물을 원심 분리하여 상기 고분자가 포함된 제1 용해물과 상기 화학적 이물질이 포함된 제2 용해물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 상기 제1 용해물을 농축시키는 농축 단계; 농축된 상기 제1 용해물을 건조하는 제2 건조 단계 및 건조된 상기 고분자를 분쇄하는 분쇄 단계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for treating waste plastic containing polymers, chemical foreign substances, and physical foreign substances, by supplying the waste plastic to a container storing the aging solution to prepare a first solution containing the aged waste plastic. Aging step of manufacturing; A first filt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aging solution and the aged waste plastic; A first drying step of drying the waste plastic separated from the aging solution; A dissolution step of stirring the dried waste plastic with a solvent to prepare a second solution in which the polymer and the chemical foreign substances are dissolved and the physical foreign substances are dispersed; A dissolution step of stirring the dried waste plastic with a solvent to prepare a second solution in which the polymer and the chemical foreign substances are dissolved and the physical foreign substances are dispersed; a second filtration step of preparing a lysate from which the physical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econd solution are removed; A separation step of centrifuging the lysate to separate a first lysate containing the polymer and a second lysate containing the chemical foreign substances; A concentration step of concentrating the first lysate; It provides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including a second drying step of drying the concentrated first lysate and a pulverization step of pulverizing the dried polymer.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에이징된 상기 폐플라스틱을 건조하는 상기 제1 건조 단계와 상기 제1 용해물을 건조하는 상기 제2 건조 단계는 건조 방법이 상이한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first drying step of drying the aged waste plastic and the second drying step of drying the first melt have different drying methods.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제1 건조 단계는 박막(thin film) 건조방법, 드럼 건조방법, 유동층 건조방법, 사일로 건조방법 및 벨트 건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폐플라스틱을 건조하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을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ying step is to dry the waste plastic by any one of a thin film drying method, a drum drying method, a fluidized bed drying method, a silo drying method, and a belt drying method. Provides a waste plastic processing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제2 건조 단계는 박막 건조방법, 드럼 건조방법, 유동층 건조방법, 사일로 건조방법 및 벨트 건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고분자를 건조하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을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rying step is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polymer is dried by any one of a thin film drying method, a drum drying method, a fluidized bed drying method, a silo drying method, and a belt drying method.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제1 건조 단계는 65℃내지 200℃의 온도에서 에이징된 상기 폐플라스틱을 건조하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first drying step dries the aged waste plastic at a temperature of 65°C to 200°C.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제2 건조 단계는 50℃내지 200℃의 온도에서 상기 제1 용해물을 건조하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second drying step dries the first melt at a temperature of 50°C to 200°C.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분리 단계는 상기 고분자와 상기 화학적 이물질 사이 분자량 차이에 의해 원심 분리되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separation step is centrifugal separation based on a difference in molecular weight between the polymer and the chemical foreign matter.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분쇄 단계는 건조된 상기 고분자를 500㎛ 이하 직경으로 분쇄하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pulverizing step pulverizes the dried polymer to a diameter of 500 ㎛ or less.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에이징 단계 이전에 상기 폐플라스틱을 분쇄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ulverizing the waste plastic before the aging step.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에이징 단계는 상기 폐플라스틱에 공극을 생성하여 상기 화학적 이물질을 1차 제거하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aging step creates voids in the waste plastic to first remove the chemical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에이징 단계는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톤, 에틸아세톤 또는 아세틸아세톤 용액이 저장된 상기 용기에 상기 폐플라스틱을 교반하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aging step involves stirring the waste plastic in the container storing a methyl isobutyl ketone, acetone, ethyl acetone or acetylacetone solu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농축 단계는 진공 상태에서 상기 제1 용해물을 가열하여 상기 제1 용해물을 농축시키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concentration step concentrates the first melt by heating the first melt in a vacuum state.

본 발명의 실시상태들에 따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에 따르면, 폐플라스틱에 포함된 고분자를 석출할 때 하나의 용매를 사용하여 재활용 플라스틱의 원가를 낮춰 경제적인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conomic effect can be generated by lowering the cost of recycled plastic by using one solvent when precipitating polymers contained in waste plastic.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의 순서도이다. 1 is a flowchart of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하거나, 어떤 구조와 형상을 “특징”으로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거나 다른 구조와 형상을 배제한다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 구조 및 형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or is “characterized” by a certain structure and shape, this means excluding other components or excluding other structures and shape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does not mean that it does, but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structures, and shapes.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제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의 의한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presented and explain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content of the invention by example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도면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drawings are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의 순서도이다. 1 is a flowchart of a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은 에이징 단계(S10), 제1 여과 단계(S20), 제1 건조 단계(S30), 용해 단계(S40), 제2 여과 단계(S50), 분리 단계(S60), 농축 단계(S70), 제2 건조 단계(S80) 및 분쇄 단계(S9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includes an aging step (S10), a first filtration step (S20), a first drying step (S30), a dissolution step (S40), a second filtration step (S50), a separation step (S60), and a concentration step ( It may include a second drying step (S70), a second drying step (S80), and a grinding step (S90).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은 고분자, 화학적 이물질 및 물리적 이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적 이물질은 용매 또는 비용매에 용해될 수 있는 물질이고, 물리적 이물질은 용매 또는 비용매에 용해되지 않고 분산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Waste plast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polymers, chemical foreign substances, and physical foreign substances. Chemical foreign substances are substances that can dissolve in solvents or non-solvents, and physical foreign substances are substances that are dispersed without dissolving in solvents or non-solvents.

예를 들어, 고분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및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polymers includ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styrene (PS), polypropylene (PP), It may include any one of polyvinyl chloride (PVC), polycarbonate (PC), and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ABS).

화학적 이물질은 가소제, 열경화제, 그 외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 이물질은 섬유, 철, 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hemical foreign substances may include plasticizers, thermosetting agents, and other additives, and physical foreign substances may include fiber, iron, and rubber.

에이징 단계(S10)는 에이징 용액이 저장된 용기에 폐플라스틱을 공급하여 에이징된 폐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에이징된 폐플라스틱은 폐플라스틱이 스웰링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용액은 에이징된 폐플라스틱과 에이징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The aging step (S10) is a step of preparing a first solution containing aged waste plastic by supplying waste plastic to a container in which the aging solution is stored. Here, aged waste plastic may mean that waste plastic has swelled. And, the first solution may include aged waste plastic and an aging solution.

에이징 단계(S10)는 폐플라스틱이 잠길 정도의 에이징 용액이 용기에 저장될 수 있고, 폐플라스틱과 에이징 용액을 용기에 저장하고 교반하여 폐플라스틱을 에이징시킬 수 있다. In the aging step (S10), an aging solution sufficient to submerge the waste plastic may be stored in a container, and the waste plastic and aging solution may be stored in a container and stirred to age the waste plastic.

에이징 단계(S10)에서 에이징은 에이징 용액에 의해에 폐플라스틱 또는 고분자의 공극이 생성되고, 생성된 공극의 크기가 넓어지는 것을 가속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Aging in the aging step (S10) means that pores of waste plastic or polymer are created by the aging solution, and the size of the generated pores is accelerated to expand.

에이징 단계(S10)는 에이징 단계(S10) 이후 수행될 용해 단계(S40)에서 폐플라스틱에 포함된 첨가물이 고분자 구조체 내에서 쉽게 빠져나와 용액으로의 확산(diffusion)을 증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첨가물이란, 플라스틱 제조에 적용되는 각종 첨가제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CaCO3, 가소제 또는 안정제일 수 있다. In the aging step (S10), the additives contained in the waste plastic can easily escape from the polymer structure in the dissolution step (S40) performed after the aging step (S10) and enhance diffusion into the solution. Here, the additive refers to various additives applied to plastic manufacturing,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specifically be CaCO 3 , a plasticizer, or a stabilizer.

상기 에이징 용매는 양용매와 비용매 사이의 용매로 폐플라스틱을 완전히 녹이긴 어려우나 스웰링시킬 수 있는 용매이다. 상기 에이징 용매란, 폐플라스틱에 포함된 고분자에 대한 한센 용해도 인자(HSP: Hansen Solubility Parameter)가 6 이상 10 이하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에이징 용매는 폴리염화비닐에 대한 한센 용해도 인자(HSP: Hansen Solubility Parameter)가 6 이상 10 이하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The aging solvent is a solvent between a good solvent and a non-solvent, and although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dissolve waste plastic, it is a solvent that can cause swelling. The aging solvent refers to a compound having a Hansen Solubility Parameter (HSP) of 6 to 10 for polymers contained in waste plastic. For example, an aging solvent refers to a compound having a Hansen Solubility Parameter (HSP) of 6 or more and 10 or less for polyvinyl chloride.

이때, 폐플라스틱의 한센 용해도 인자는 용질과 용매의 두 물질 사이의 한센 파라미터 차이를 의미한다. 한센 용해도 인자는 두 물질의 용해도와 비례하는 값으로, 이를 통하여 두 물질의 용해도를 계산할 수 있다. 두 물질이 서로 비슷한 성질을 가질수록 한센 파라미터 값이 비슷하므로 HSP 값이 낮고, 이 두 물질은 HSP 값을 통하여 서로 잘 녹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ansen solubility factor of waste plastic refers to the difference in Hansen parameters between two substances, a solute and a solvent. The Hansen solubility factor is a value proportional to the solubility of the two substances, through which the solubility of the two substances can be calculated. The more similar the properties of two substances are, the lower the HSP value is because the Hansen parameter values are similar. It can be predicted that these two substances will dissolve well in each other through the HSP value.

한센 용해도 인자는 하기 식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간편하게 계산해주는 HSPip 소프트웨어를 사용시 두 물질의 δd, δp 및 δh를 얻을 수 있으며, 해당 값을 하기 식에 적용하면 해당 용매와의 HSP값을 계산할 수 있다.The Hansen solubility factor can be calculated using the formula below. When using HSPip software, which easily calculates this, δd, δp, and δh of the two substances can be obtained. By applying the values to the formula below, the HSP value with the corresponding solvent can be calculated. .

에이징 용액은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톤, 에틸아세톤 또는 아세틸아세톤을 포함하는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에이징 단계(S10)에 적용되는 용매는 아세톤 용액일 수 있다. The aging solution may include a solution containing methyl isobutyl ketone, acetone, ethyl acetone, or acetylacetone. Preferably, the solvent applied in the aging step (S10) may be an acetone solution.

에이징 단계(S10)는 1 시간 내지 12 시간 동안, 50 rpm 내지 300 rpm의 교반 속도에서 교반이 수행될 수 있고, 교반하여 상온 내지 85℃의 용액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1 시간 내지 2 시간 동안, 100 rpm 내지 200 rpm의 교반 속도에서 수행될 수 있고, 교반하여 50℃내지 65℃의 제1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The aging step (S10) may be performed for 1 to 12 hours at a stirring speed of 50 rpm to 300 rpm, and may be stirred to prepare a solution at room temperature to 85°C. Preferably, it may be performed for 1 hour to 2 hours at a stirring speed of 100 rpm to 200 rpm, and a first solution of 50°C to 65°C may be prepared by stirring.

다만, 상기 교반 시간, 속도, 온도의 조건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폐플라스틱의 공극을 충분히 생성할 수 있는 조건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However, the stirring time, speed, and temperature condition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under conditions that can sufficiently create voids in the waste plastic.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온은 15℃ 내지 25℃일 수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room temperature may be 15°C to 25°C.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에이징 단계 이후에, 상기 에이징 용액보다 낮은 온도의 냉각 용매를 첨가하여 상기 에이징 용액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이징 용매는 폐플라스틱의 양용매와 비용매 사이의 용매로서 폐플라스틱에 대한 용해도는 낮으나 머무르는 시간이 충분히 길거나 교반을 통해 접촉하는 확률이 높아지거나 온도가 높아지면 폐플라스틱의 일부가 에이징 용매에 의해 결합이 느슨해져 로스되는 폐플라스틱의 양이 증가하므로, 상기 냉각 용매를 첨가하여 에이징 용매로 용해되어 로스되는 폐플라스틱의 양을 줄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aging step, the step of cooling the aging solution by adding a cooling solvent of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aging solution may be further included. The aging solvent is a solvent between the good solvent and the non-solvent of waste plastic, and has low solubility in waste plastic. However, if the residence time is sufficiently long, the probability of contact through stirring increases, or the temperature rises, some of the waste plastic is absorbed by the aging solvent. Since the bond becomes loose and the amount of waste plastic lost increases, the amount of waste plastic lost by being dissolved in the aging solvent can be reduced by adding the cooling solvent.

상기 에이징 용액의 온도는 30℃내지 130℃이고, 상기 에이징 용액보다 낮은 온도의 냉각 용매의 온도는 20℃내지 40℃일 수 있다. 다만, 냉각 용매의 온도는 에이징 용액의 온도보다 낮아 에이징 용액을 냉각시키는 용액이므로, 에이징 용액의 온도가 30℃인 경우, 냉각 용매의 온도는 20℃이상 30℃미만의 범위에서 선택된다.The temperature of the aging solution may be 30°C to 130°C,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solvent lower than the aging solution may be 20°C to 40°C. However,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solvent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aging solution and is a solution that cools the aging solu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aging solution is 30°C,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solvent is selected in the range of 20°C or more and less than 30°C.

상기 에이징 용액보다 낮은 온도의 냉각 용매를 첨가하여 상기 에이징 용액을 냉각시키는 단계는, 상기 에이징 용액을 이송 라인을 통해 이송시키면서, 상기 이송 라인에 상기 냉각 용매를 첨가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of cooling the aging solution by adding a cooling solvent of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aging solution may be performed by adding the cooling solvent to the transfer line while transferring the aging solution through the transfer line.

상기 냉각 용매는 알코올, 에테르, 시클로알칸, 에스테르, 카르복실산, 니트릴, 아세톤 및 아세틸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cooling solven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cohol, ether, cycloalkane, ester, carboxylic acid, nitrile, acetone, and acetylaceton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의 재생 폴리염화비닐의 제조방법은 상기 에이징 단계에서 에이징 처리된 폴리염화비닐을 걸러내는 제3 여과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recycled polyvinyl chlori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filtration step of filtering out the polyvinyl chloride that has been aged in the aging step.

상기 에이징 단계에서 적용한 용매를 제거하여 폴리염화비닐을 걸러낼 때, 80 mesh (177 ㎛)의 필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hen filtering polyvinyl chloride by removing the solvent applied in the aging step, an 80 mesh (177 ㎛) filter can be used, but is not limited to this.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은 에이징 단계(S10) 이전에 폐플라스틱을 분쇄하는 전처리 단계(S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treatment step (S0) of pulverizing the waste plastic before the aging step (S10).

전처리 단계(S0)는 폐플라스틱의 크기를 감소시켜 폐플라스틱과 에이징 용액이 접촉되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단계이다. 폐플라스틱은 에이징 용액과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공극 생성율이 증가하고, 공극이 생성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The pretreatment step (S0) is a step that reduces the size of the waste plastic and increases the contact area where the waste plastic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ging solution. As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aging solution increases, waste plastic's void creation rate increases and the time it takes for voids to be created may decrease.

전처리 단계(S0)는 폐플라스틱을 5 mm 내지 15 mm의 크기로 분쇄할 수 있다. 여기서, 폐플라스틱의 크기는 분쇄된 입자 형태의 폐플라스틱 한 개의 양 단부의 직선 거리를 의미한다. The pretreatment step (S0) can crush waste plastic to a size of 5 mm to 15 mm. Here, the size of waste plastic refers to the straight lin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a piece of waste plastic in the form of pulverized particles.

제1 여과 단계(S20)는 에이징 용액과 에이징된 폐플라스틱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즉, 제1 여과 단계(S20)는 제1 용액을 여과하여 에이징 용액과 폐플라스틱을 분리할 수 있다. The first filtration step (S20) is a step of separating the aging solution and aged waste plastic. That is, the first filtration step (S20) may separate the aging solution and waste plastic by filtering the first solution.

제1 여과 단계(S20)는 제1 용액을 압착하는 단계(S20-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filtration step (S20) may include compressing the first solution (S20-1).

예를 들어, 제1 여과 단계(S20)는 여과망을 포함하는 여과부에 제1 용액을 공급하고, 제1 용액에 포함된 에이징 용액은 여과망에 구비된 구멍을 통과해 에이징된 폐플라스틱과 분리될 수 있다. 제1 여과 단계(S20)에서 사용되는 여과망에 포함된 구멍의 직경은 에이징 용액이 통과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For example, in the first filtration step (S20), the first solution is supplied to a filter unit including a filter net, and the aging solution contained in the first solution passes through the hole provided in the filter net to be separated from the aged waste plastic. You can. The diameter of the holes included in the filter net used in the first filtration step (S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aging solution can pass through.

또는, 제1 여과 단계(S20)는 여과망을 포함하는 여과부에 제1 용액을 공급하고, 에이징된 폐플라스틱이 포함된 제1 용액이 거치된 면을 압착하여 에이징 용액을 여과할 수 있다. 제1 여과 단계(S20)에서 압착은 중력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에이징된 폐플라스틱에 잔류하는 에이징 용액을 제거할 수 있어 에이징된 폐플라스틱의 함수율의 감소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Alternatively, in the first filtration step (S20), the aging solution may be filtered by supplying the first solution to a filter unit including a filter net and pressing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solution containing the aged waste plastic is mounted. In the first filtration step (S20), compression can remove the aging solution remaining in the aged waste plastic without being removed by gravity, thereby increasing the rate of decrease in water content of the aged waste plastic.

제1 건조 단계(S30)는 제1 여과 단계(S20)를 통해 에이징 용액과 분리된 폐플라스틱을 건조하는 단계이다. 제1 건조 단계(S30)는 에이징된 폐플라스틱에 포함된 잔류 에이징 용액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The first drying step (S30) is a step of drying the waste plastic separated from the aging solution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step (S20). The first drying step (S30) is a step of removing the residual aging solution contained in the aged waste plastic.

제1 건조 단계(S30)는 박막(thin film) 건조방법, 드럼 건조방법, 유동층 건조방법, 사일로 건조방법, 드럼 건조방법 및 벨트 건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에이징된 폐플라스틱을 건조할 수 있다. In the first drying step (S30), aged waste plastic can be dried by any one of the thin film drying method, drum drying method, fluidized bed drying method, silo drying method, drum drying method, and belt drying method. .

제1 건조 단계(S30)에서 제1 용액은 에이징 용액에 폐플라스틱이 용해된 것이 아닌 일정 크기의 에이징된 폐플라스틱이 에이징 용액에 분산되어 포함됨으로, 바람직하게는 유동층 건조방법, 사일로 건조방법, 드럼 건조방법 및 벨트 건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에이징된 폐플라스틱을 건조할 수 있다. In the first drying step (S30), the first solution contains aged waste plastic of a certain size dispersed in the aging solution, rather than the waste plastic dissolved in the aging solution, preferably using a fluidized bed drying method, a silo drying method, or a drum. Aged waste plastic can be dried using either a drying method or a belt drying method.

제1 건조 단계(S30)는 제2 건조 단계(S80) 에서 사용되는 건조 방법과 상이한 방법으로 에이징된 폐플라스틱을 건조할 수 있다. 제1 건조 단계(S30)는 유동층 건조방법, 사일로 건조방법 및 벨트 건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에이징된 폐플라스틱을 건조할 수 있다. The first drying step (S30) may dry the aged waste plastic using a method different from the drying method used in the second drying step (S80). In the first drying step (S30), aged waste plastic may be dried using any one of a fluidized bed drying method, a silo drying method, and a belt drying method.

예를 들어, 제1 건조 단계(S30)에서 유동층 건조방법으로 에이징된 폐플라스틱을 건조하면, 제2 건조 단계(S80)는 드럼 건조방법으로 제1 용해물을 건조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aged waste plastic is dried using a fluidized bed drying method in the first drying step (S30), the first melt can be dried using a drum drying method in the second drying step (S80).

그리고, 제1 건조 단계(S30)는 65℃내지 200℃의 온도에서 에이징된 폐플라스틱을 건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건조 단계(S30)는 75℃ 내지 180℃의 온도에서, 더 바람직하게 85℃ 내지 150℃의 온도에서 에이징된 폐플라스틱을 건조할 수 있다. And, the first drying step (S30) may dry the aged waste plastic at a temperature of 65°C to 200°C. Preferably, the first drying step (S30) may dry the aged waste plastic at a temperature of 75°C to 180°C, more preferably at a temperature of 85°C to 150°C.

제1 건조 단계(S30)는 에이징 용액을 증발시키는 것으로, 상기 온도 범위를 충족할 경우 공급되는 에너지 대비 에이징 용액이 효과적으로 액체에서 기체로 변환되어 증발될 수 있다. The first drying step (S30) is to evaporate the aging solution, and when the temperature range is met, the aging solution can be effectively converted from liquid to gas and evaporated relative to the energy supplied.

용해 단계(S40)는 건조된 폐플라스틱을 용매와 교반하여 고분자와 화학적 이물질은 용매에 용해되고, 물리적 이물질은 용매에 분산되는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The dissolution step (S40) is a step of stirring the dried waste plastic with a solvent to prepare a second solution in which the polymer and chemical foreign substances are dissolved in the solvent, and the physical foreign substances are dispersed in the solvent.

제2 용액은 폐플라스틱에 포함된 고분자에 대해 용해도가 높은 양용매(Positive solvent, 또는 용매)에 폐플라스틱을 혼합하여, 폐플라스틱에 포함된 고분자가 용해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폐플라스틱에 포함된 고분자가 용매에 용해되는 것은 사슬과 사슬 간의 쌍극자 모멘트에 의한 결합, 소수성 결합 등의 물리적 결합이 약해지고 사슬이 풀려 자유도가 높아지면서, 사슬 내 트랩되었던 가소제 등 첨가제가 빠져나온다. The second solution may mean that the polymer contained in the waste plastic is dissolved by mixing the waste plastic with a positive solvent (or solvent) that has high solubility for the polymer contained in the waste plastic. When the polymer contained in waste plastic dissolves in a solvent, physical bonds such as dipole moment bonds and hydrophobic bonds between chains are weakened, the chain is released, and the degree of freedom increases, and additives such as plasticizers trapped in the chain are released.

따라서, 제2 용액은 고분자와 고분자 사슬이 풀려 사슬 내 트랩되어 있던 화학적 이물질이 양용매에 용해되고, 고분자 및 화학적 이물질의 용해에 의해 분리된 물리적 이물질은 양용매에 분산되어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second solution, the polymer and the polymer chain are released and the chemical foreign substances trapped in the chain are dissolved in the good solvent, and the physical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by the dissolution of the polymer and chemical foreign substances can be dispersed and included in the good solvent.

용해 단계(S40) 용매의 양, 온도, 폐플라스틱의 크기, 교반 속도 등으로 고분자가 용매에 용해되는 용해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용해 단계(S40)는 에이징 단계(S10)에 의해 공극이 생성된 폐플라스틱을 용매에 용해시키는 것으로, 공극에 의해 폐플라스틱과 용매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고분자의 용해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Dissolution step (S40) The solubility of the polymer in the solvent can be controlled by the amount of solvent, temperature, size of waste plastic, stirring speed, etc. In addition, the dissolution step (S40) dissolves the waste plastic in which voids were created by the aging step (S10) in a solven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aste plastic and the solvent increases due to the voids, thereby increasing the dissolution rate of the polymer. .

용해 단계(S40)는 폐플라스틱이 용매에 잠길 정도로 용매를 용해 반응기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용해 단계(S40)는 용해 반응기에 용매와 폐플라스틱의 양이 1:1 내지 2:1 질량비로 공급될 수 있다. In the dissolution step (S40), a solvent may be supplied to the dissolution reactor to the extent that the waste plastic is submerged in the solvent. In one embodiment, in the dissolution step (S40), the amount of solvent and waste plastic may be supplied to the dissolution reactor at a mass ratio of 1:1 to 2:1.

용해 단계(S40)는 용매의 온도를 증가시켜 고분자의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용매의 온도는 25℃ 내지 130℃일 수 있다. 용해 단계(S40)는 용매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용해 단계(S40)는 0.5 내지 3시간 동안 폐플라스틱을 용매와 교반할 수 있다. The dissolution step (S40) can increase the solubility of the polymer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solvent. The temperature of the solvent may be 25°C to 130°C. The dissolution step (S40) may include heating the solvent. And, in the dissolution step (S40), the waste plastic may be stirred with the solvent for 0.5 to 3 hours.

용해 단계(S40)는 용매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고분자의 용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용해 단계(S40)는 교반기가 회전함에 따라 용매가 유동되고, 용매와 폐플라스틱이 교반될 수 있다. 용해 단계(S40)는 100rpm 내지 1,500rpm의 조건으로 교반될 수 있다. In the dissolution step (S40), the solubility of the polymer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solvent. In the dissolution step (S40), the solvent flows as the stirrer rotates, and the solvent and waste plastic can be stirred. The dissolution step (S40) may be stirred under conditions of 100 rpm to 1,500 rpm.

제2 여과 단계(S50)는 제2 용액에 포함된 물리적 이물질을 걸러내는 단계이다. 다시 말해, 제2 여과 단계(S50)는 에이징 단계(S10)에서 제거되지 못한 물리적 이물질을 2차로 제거하는 단계이다. The second filtration step (S50) is a step of filtering out physical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econd solution. In other words, the second filtration step (S50) is a step of secondarily removing physical foreign substances that were not removed in the aging step (S10).

제2 용액은 고분자 및 화학적 이물질이 용해된 용해물과 물리적 이물질이 포함되고, 제2 여과 단계(S50)는 용해물과 물리적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The second solution contains dissolved polymers and chemical foreign substances and physical foreign substances, and the second filtration step (S50) can separate the dissolved substances and physical foreign substances.

제2 여과 단계(S50)는 제1 여과 단계(S20)와 같이 여과망, 필터 등에 제2 용액이 공급되고, 고분자 및 화학적 이물질이 용해된 용해물이 여과망의 구멍을 통해 물리적 이물질과 분리될 수 있다. 여과망은 물리적 이물질 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구멍의 직경은 500㎛ 내지 1㎜,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일 수 있다. In the second filtration step (S50), like the first filtration step (S20), a second solution is supplied to a filter net and filter, and the dissolved polymer and chemical foreign substances can be separated from physical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holes of the filter net. . The filter network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physical foreign matter. The diameter of the hole may be 500 μm to 1 mm, preferably 100 μm to 1 mm, and more preferably 1 μm to 1 mm.

분리 단계(S60)는 고분자와 화학적 이물질을 원심 분리하는 단계이다. 분리 단계(S60)는 제2 여과 단계(S50)에서 여과된 용해물을 원심 분리하여 고분자와 화학적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The separation step (S60) is a step of centrifuging polymers and chemical foreign substances. In the separation step (S60), the polymer and chemical foreign substances may be separated by centrifuging the dissolved material filtered in the second filtration step (S50).

분리 단계(S60)는 고분자와 화학적 이물질 사이 분자량 차이에 의해 원심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 단계(S60)는 비커에 용해물을 저장하고 회전시켜 용해물을 원심 분리할 수 있다. 원심 분리된 용해물은 고분자가 용해된 제1 용해물과 화학적 이물질이 용해된 제2 용해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용해물은 제2 용해물 보다 무게 또는 밀도가 크므로 비커의 하부로 이동하고, 제2 용해물은 제1 용해물 보다 무게 또는 밀도가 작으므로 비커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원심분리기는 초고속원심분리기를 사용할 수 있다. The separation step (S60) may be centrifuged due to the difference in molecular weight between the polymer and chemical foreign substances. For example, in the separation step (S60), the lysate may be centrifuged by storing the lysate in a beaker and rotating it. The centrifuged lysate may be separated into a first lysate in which polymers are dissolved and a second lysate in which chemical foreign substances are dissolved. The first melt has a greater weight or density than the second melt, so it moves to the bottom of the beaker, and the second melt has a weight or density less than the first melt, so it can move to the top of the beaker. At this time, the centrifuge used may be an ultra-high-speed centrifuge.

분리 단계(S60)는 10분 내지 60분 동안 2,000rpm 내지 20,000rpm의 조건으로 고분자와 화학적 이물질을 원심 분리할 수 있다. In the separation step (S60), polymers and chemical foreign substances can be centrifuged under conditions of 2,000 rpm to 20,000 rpm for 10 to 60 minutes.

농축 단계(S70)는 제1 용해물을 농축시키는 단계로, 제1 용해물에 포함된 용매의 일부를 증발시켜 제1 용해물의 고분자 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이다. 제2 건조 단계(S80) 전 제1 용해물에 포함된 용매를 1차로 제거함으로써, 제2 건조 단계(S80)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The concentration step (S70) is a step of concentrating the first melt, and is a step of increasing the polymer concentration of the first melt by evaporating part of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first melt. By first removing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first melt before the second drying step (S80), the energy consumed in the second drying step (S80) can be reduced.

농축 단계(S70)는 진공 상태에서 제1 용해물을 가열하여 제1 용해물에 포함된 용매를 증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농축 단계(S70)는 밀폐된 하우징 내부에 제1 용해물을 공급하는 단계, 하우징과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하우징 내부의 기체를 모두 제거하여 하우징 내부를 진공 상태로 형성하는 단계, 하우징을 가열하여 제1 용해물에 포함된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oncentration step (S70),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first melt may be evaporated by heating the first melt in a vacuum. For example, the concentration step (S70) includes supplying the first dissolved substance inside a sealed housing, connecting the housing and a vacuum pump to remove all gas inside the housing to form a vacuum inside the housing, and forming the housing in a vacuum state. It may include the step of evaporating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first melt by heating.

농축 단계(S70)는 제2 건조 단계(S80) 보다 낮은 온도에서 제1 용해물을 농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농축 단계(S70)는 하우징 내부 온도를 45℃ 내지 65℃, 바람직하게 45℃ 내지 55℃, 더 바람직하게 45℃ 내지 50℃로 제어할 수 있다. The concentration step (S70) may concentrate the first lysate at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second drying step (S80). For example, the concentration step (S70) may control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to 45°C to 65°C, preferably 45°C to 55°C, more preferably 45°C to 50°C.

제2 건조 단계(S80)는 분리된 고분자를 건조하는 단계이다. 좀 더 상세하게 제2 건조 단계(S80)는 원심 분리에 의해 분리된 고분자가 용해된 제1 용해물을 건조하는 단계이다. The second drying step (S80) is a step of drying the separated polymer. In more detail, the second drying step (S80) is a step of drying the first melt in which the polymer separated by centrifugation is dissolved.

제2 건조 단계(S80)는 제1 용해물을 건조하여 용매를 증발시킬 수 있고, 용매가 증발됨에 따라 고분자가 결정화되어 고분자 입자가 제조될 수 있다. In the second drying step (S80), the solvent may be evaporated by drying the first melt, and as the solvent evaporates, the polymer may be crystallized to produce polymer particles.

제2 건조 단계(S80)는 박막 건조방법, 드럼 건조방법, 유동층 건조방법, 사일로 건조방법, 드럼 건조방법 및 벨트 건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1 용해물을 건조할 수 있다. In the second drying step (S80), the first melt may be dried using any one of a thin film drying method, a drum drying method, a fluidized bed drying method, a silo drying method, a drum drying method, and a belt drying method.

바람직하게 제2 건조 단계(S80)는 드럼 건조방법 또는 박막 건조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건조 단계(S80)는 용액을 건조하여 용액에 용해된 고분자를 석출하는 단계이다. Preferably, the second drying step (S80) may use a drum drying method or a thin film drying method. The second drying step (S80) is a step of drying the solution to precipitate the polymer dissolved in the solution.

예를 들어, 제2 건조 단계(S80)는 하우징 내부에 복수개의 날개가 구비된 회전부가 구비된 드럼 건조기를 사용하여 세척된 고분자를 건조할 수 있다. 드럼 건조기는 하우징을 직접 가열하거나, 회전부 내부에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여 회전부를 가열하거나, 하우징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등의 방법으로 고분자를 건조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second drying step (S80), the washed polymer may be dried using a drum dryer equipped with a rotating part with a plurality of wings inside the housing. A drum dryer can dry polymers by directly heating the housing, heating the rotating part by supplying high-temperature air inside the rotating part, or supplying heated air inside the housing.

제2 건조 단계(S80)는 제1 용해물에 포함된 용매(또는 양용매)를 증발시킬 수 있는 온도까지 하우징 또는 하우징 내부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건조 단계(S80)는 하우징 또는 하우징 내부 공기 온도를 50℃내지 200℃의 온도까지 증가시켜 제1 용해물을 건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건조 단계(S80)에서 하우징 또는 하우징 내부 공기 온도는 55℃ 내지 150℃, 더 바람직하게 85℃ 내지 120℃일 수 있다. The second drying step (S80) may heat the housing or the air inside the housing to a temperature that can evaporate the solvent (or good solvent) contained in the first melt.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drying step (S80) may dry the first melt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housing or the air inside the housing to a temperature of 50°C to 200°C. Preferably, in the second drying step (S80), the housing or the air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may be 55°C to 150°C, more preferably 85°C to 120°C.

분쇄 단계(S90)는 건조된 고분자를 분쇄하는 단계이다. 건조된 고분자는 가공하여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고분자는 재활용 플라스틱의 사용 용도에 따라 압출, 성형 등의 가공 단계를 거치게 된다. 분쇄 단계(S90)는 가공 단계에서 고분자의 가공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분자를 분쇄할 수 있다. The pulverizing step (S90) is a step of pulverizing the dried polymer. The dried polymer can be processed to make recycled plastic. Therefore, polymers undergo processing steps such as extrusion and molding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of recycled plastic. The pulverizing step (S90) may pulverize the polymer to increase the processing rate of the polymer in the processing step.

분쇄 단계(S90)는 건조된 고분자를 500㎛ 이하 직경으로 분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쇄 단계(S90)는 400㎛ 이하, 더 바람직하게 300㎛ 이하 직경으로 고분자를 분쇄할 수 있다. In the pulverizing step (S90), the dried polymer can be pulverized to a diameter of 500 μm or less. Preferably, the grinding step (S90) may grind the polymer to a diameter of 400 ㎛ or less, more preferably 300 ㎛ or les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Claims (12)

고분자, 화학적 이물질 및 물리적 이물질이 포함된 폐플라스틱을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에이징 용액이 저장된 용기에 상기 폐플라스틱을 공급하여 에이징된 상기 폐플라스틱이 포함된 제1 용액을 제조하는 에이징 단계;
상기 에이징 용액과 에이징된 상기 폐플라스틱을 분리하는 제1 여과 단계;
상기 에이징 용액과 분리된 상기 폐플라스틱을 건조하는 제1 건조 단계;
건조된 상기 폐플라스틱을 용매와 교반하여 상기 고분자와 상기 화학적 이물질이 용해되고 상기 물리적 이물질이 분산된 제2 용액을 제조하는 용해 단계;
상기 제2 용액에 포함된 상기 물리적 이물질이 제거된 용해물을 제조하는 제2 여과 단계;
상기 용해물을 원심 분리하여 상기 고분자가 포함된 제1 용해물과 상기 화학적 이물질이 포함된 제2 용해물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
상기 제1 용해물을 농축시키는 농축 단계;
농축된 상기 제1 용해물을 건조하는 제2 건조 단계 및
건조된 상기 고분자를 분쇄하는 분쇄 단계
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In the process of treating waste plastic containing polymers, chemical foreign substances, and physical foreign substances,
An aging step of supplying the waste plastic to a container storing an aging solution to prepare a first solution containing the aged waste plastic;
A first filt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aging solution and the aged waste plastic;
A first drying step of drying the waste plastic separated from the aging solution;
A dissolution step of stirring the dried waste plastic with a solvent to prepare a second solution in which the polymer and the chemical foreign substances are dissolved and the physical foreign substances are dispersed;
A second filtration step of preparing a lysate from which the physical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econd solution are removed;
A separation step of centrifuging the lysate to separate a first lysate containing the polymer and a second lysate containing the chemical foreign substances;
A concentration step of concentrating the first lysate;
a second drying step of drying the concentrated first lysate; and
Grinding step of pulverizing the dried polymer
Waste plastic processing process includ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이징된 상기 폐플라스틱을 건조하는 상기 제1 건조 단계와 상기 제1 용해물을 건조하는 상기 제2 건조 단계는 건조 방법이 상이한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The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rying step of drying the aged waste plastic and the second drying step of drying the first melt have different drying method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 단계는 박막(thin film) 건조방법, 드럼 건조, 유동층 건조방법, 사일로 건조방법 및 벨트 건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에이징된 상기 폐플라스틱을 건조하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rying step is to dry the aged waste plastic by any one of a thin film drying method, drum drying, fluidized bed drying method, silo drying method, and belt drying method. Plastic processing proc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조 단계는 박막 건조방법, 드럼 건조, 유동층 건조방법, 사일로 건조방법 및 벨트 건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제1 용해물을 건조하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The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drying step is to dry the first melt by any one of a thin film drying method, a drum drying method, a fluidized bed drying method, a silo drying method, and a belt drying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 단계는 65℃내지 200℃의 온도에서 에이징된 상기 폐플라스틱을 건조하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The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rying step dries the aged waste plastic at a temperature of 65°C to 200°C.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조 단계는 50℃내지 200℃의 온도에서 상기 제1 용해물을 건조하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The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drying step is to dry the first melt at a temperature of 50°C to 200°C.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는 상기 고분자와 상기 화학적 이물질 사이 분자량 차이에 의해 원심 분리되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The process of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step is centrifugation based on a difference in molecular weight between the polymer and the chemical foreign mat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 단계는 건조된 상기 고분자를 500㎛ 이하 직경으로 분쇄하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verizing step is pulverizing the dried polymer to a diameter of 500㎛ or l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이징 단계 이전에 상기 폐플라스틱을 분쇄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The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ulverizing the waste plastic before the aging ste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이징 단계는 상기 폐플라스틱에 공극을 생성하여 상기 화학적 이물질을 1차 제거하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The waste plastic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ging step creates voids in the waste plastic to first remove the chemical foreign substanc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이징 단계는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톤, 에틸아세톤 또는 아세틸아세톤 용액이 저장된 상기 용기에 상기 폐플라스틱을 교반하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The process of claim 1, wherein the aging step involves stirring the waste plastic in the container storing a methyl isobutyl ketone, acetone, ethyl acetone, or acetylacetone solu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축 단계는 진공 상태에서 상기 제1 용해물을 가열하여 상기 제1 용해물을 농축시키는 것인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
The process of claim 1, wherein the concentration step concentrates the first melt by heating the first melt in a vacuum.
KR1020220082426A 2022-07-05 2022-07-05 Waste plastic treatment method KR202400053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426A KR20240005392A (en) 2022-07-05 2022-07-05 Waste plastic treatmen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426A KR20240005392A (en) 2022-07-05 2022-07-05 Waste plastic treatment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392A true KR20240005392A (en) 2024-01-12

Family

ID=89541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426A KR20240005392A (en) 2022-07-05 2022-07-05 Waste plastic treatment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539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1479A (en) Reclamation processing of vinyl chloride polymer containing materials and products produced thereby
JP4275238B2 (en) Recycling method for products based on vinyl chloride polymer
JP4761965B2 (en) Method for producing rubber-like polymer part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20080047671A1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a Polymer in Solution
CN1178977C (en) Method for recycling vinyl polymer-based articles
CN106146877A (en) A kind of method utilizing ionic liquid to reclaim waste textile
US4038219A (en) Reclamation processing of polyvinyl chloride-scrap materials and products produced thereby
JP2003528191A (en) How to recycle plastic
BR112013024621B1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technical textiles
US4046834A (en) Treatment of vulcanized rubber
US3758457A (en) Process for recovering regenerated cellulose
KR20240005392A (en) Waste plastic treatment method
US4049588A (en) Treatment of vulcanized rubber
US2356896A (en) Preparation of powders from plastic materials
EP2567936A1 (en) Procedure for the obtainment of nanocomposite materials
US4098737A (en) Treatment of vulcanized rubber
KR20240005394A (en) Waste plastic treatment method
ES8201603A1 (en) 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for producing vinyl dispersion resins.
JP4885716B2 (en) Method for recovering dissolved polymer
KR20240006453A (en) Waste plastic treatment method
KR20240005395A (en) Waste plastic treatment method
JPS62236829A (en) Closely packed spherical body of polymer latex particle
KR20240005393A (en) Waste plastic treatment method
KR20240005391A (en) Waste plastic treatment method
KR102156618B1 (en) Recycling method of flame retardant Expanded Poly-Styrofo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