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336A -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336A
KR20240005336A KR1020220082302A KR20220082302A KR20240005336A KR 20240005336 A KR20240005336 A KR 20240005336A KR 1020220082302 A KR1020220082302 A KR 1020220082302A KR 20220082302 A KR20220082302 A KR 20220082302A KR 20240005336 A KR20240005336 A KR 20240005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driving information
driving
sur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경중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5336A/en
Publication of KR20240005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3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2Later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의 주행보조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도로정보에 따라 제어되는 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경고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isclosed is a driving assistance device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for assisting driving of a vehicle includes: acquiring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controlled according to road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a camera or a navigation device; Obtaining dr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and outputting a warning notification based on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Description

차량의 주행보조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Driving Assistance Device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Driving assistance device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차량의 주행보조장치, 특히 카메라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뿐만 아니라 주변차량의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주행을 보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riving assistance device for a vehicle, particularly a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the driving of a vehicle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as well as cameras and navigation systems.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below simp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is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차량의 성능 개선에 대한 요구와 함께 운전자의 편의 및 안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차량의 주행보조장치가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어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주행보조장치는 차량에 장착된 각종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운전자 주행보조 시스템(DAS: Driver Assist System)으로 지칭될 수 있다.As the demand for driver convenience and safety increases along with the demand for improved vehicle performanc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s are continuously researched and developed and applied to vehicles. A driving assistance device is a device that controls a vehicle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various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and may be referred to as a driver assist system (DAS).

여러 주행보조장치들 중 일부로서, 차량이 선행 차량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주행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mart Cruse Control, SCC) 시스템과 차량의 횡방향 속도를 제어하는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Lane Keeping Assist System, LKAS)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SCC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센서들을 통해 선행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와 선행 차량의 속도를 기반으로 차량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조작 없이 차량이 안전하게 주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SCC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방향 속도를 제어한다.As part of several driving assistance devices, the Smart Cruise Control (SCC) system, which controls the vehicle to drive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ahead, and the Lane Keeping Assist system, which controls the vehicle's lateral speed ( Lane Keeping Assist System (LKAS). Specifically, the SCC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preceding vehicle through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and controls the vehicle's speed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and the speed of the preceding vehicle, thereby controlling the vehicle's speed without driver intervention. This can ensure safe driving. In other words, the SCC system controls the speed of the vehicle in the driving direction.

한편, 주행보조장치로서, 도로의 제한속도를 기반으로 차량의 과속여부를 알려주는 지능형 속도제한 보조시스템(Intelligent Speed Limit Assist, ISLA) 시스템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ISLA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된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도로정보를 획득한다. ISLA 시스템은 교통 표지판(traffic sign)을 인식함으로써, 교통 표지판에 표시된 제한속도(speed limit), 주행방향(driving direction), 어린이 보호구역 또는 버스 전용 차로(bus lane) 등 도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ISLA 시스템은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도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SLA 시스템은 도로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에게 제한속도에 대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ISLA 시스템은 차량의 속도가 도로의 제한속도보다 높아지지 않도록 탑승자에게 경고를 알리거나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as a driving assistance device, there is an Intelligent Speed Limit Assist (ISLA) system that informs whether the vehicle is speeding based on the speed limit of the road. Specifically, the ISLA system acquires road information using a navigation device or camera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By recognizing traffic signs, the ISLA system can obtain road information such as speed limit, driving direction, child protection zone, or bus lane displayed on traffic signs. . Additionally, the ISLA system can obtain road information from a navigation device. The ISLA system can prevent traffic accidents by providing drivers with speed limit notifications based on road information. Furthermore, the ISLA system can alert occupants or control the vehicle to ensure that the vehicle's speed does not exceed the road speed limit.

하지만, 주행보조장치는 교통 표지판들에 표시된 정보를 잘못 판단하거나 업데이트되지 않는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잘못된 도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에는 다양한 표지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주행보조장치는 교통 표지판에 표시된 정보를 잘못 인식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날씨, 조도 등 카메라의 인식 성능을 저해하는 환경에서, 주행보조장치는 잘못된 도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업데이트되지 않은 내비게이션의 버전에 의해, 주행보조장치는 도로의 실제 제한 속도와 다른 속도를 제한 속도로 인식할 수 있다. 주행보조장치가 실제 규정 속도가 아니라 잘못 인식된 속도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경우, 교통 체증 또는 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may misjudg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raffic signs or obtain incorrect road information from a navigation device that is not updated. For example, because there are various signs on the road,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may misrecogniz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raffic signs. Otherwise, in environments that impede the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camera, such as weather or illumination,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may obtain incorrect road information. As another example, with a version of the navigation that is not updated,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may recognize a speed that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speed limit of the road. I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controls the vehicle based on an incorrectly recognized speed rather than the actual speed limit, problems such as traffic jams or accidents may occur.

따라서,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및 내비게이션 장치에만 의존하는 주행보조장치는 차량의 주행을 보조하거나 더 높은 자율주행모드를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Therefore, driving assistance devices that rely only on the camera and navigation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have limitations in assist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or implementing a higher autonomous driving mode.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보조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실제 도로정보와 다른 도로정보를 수신함에도 불구하고, 타차량에서 수집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주행보조기능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실제 도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주행을 보조하는 것과 유사하게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ovide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by additionally us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other vehicles, despite receiving road information different from actual road information from a camera or navig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It improves reliability and accuracy and can assist driving similar to assisting vehicle driving based on actual road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보조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은 다른 차량들에 구비된 교통표지판 인식기술 또는 저장된 내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use traffic sign recognition technology or stored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ed in other vehicl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도로정보에 따라 제어되는 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경고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for assisting driving of a vehicle includes: acquiring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controlled according to road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a camera or a navigation device; Obtaining dr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and outputting a warning notification based on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도로정보에 따라 제어되는 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경고 알림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device for assisting driving of a vehicle,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ntrolled according to road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a camera or a navigation device is acquired,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is obtained. A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driving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that outputs a warning notification based on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보조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실제 도로정보와 다른 도로정보를 수신함에도 불구하고, 타차량에서 수집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주행보조기능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실제 도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주행을 보조하는 것과 유사하게 주행을 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provide driving assistance by additionally us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other vehicles, despite receiving road information different from actual road information from a camera or navig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functions and assisting driving similar to assisting vehicle driving based on actual road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보조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은 다른 차량들에 구비된 교통표지판 인식기술 또는 저장된 내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have the effect of using traffic sign recognition technology or stored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ed in other vehicle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들과 서버 간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보조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ehicles and serv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riving assistanc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assisting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sign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symbols such as first, second, i), ii), a), and b) may be used. These code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code. In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or 'hav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to the contrary. .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방법의 각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기능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각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Each component of the device o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dditionally,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and a microprocessor may be implemented to execute the function of the software corresponding to each component.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들과 서버 간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ehicles and serv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에는 서버(100), 제1 차량(110) 및 제2 차량(120)이 도시되어 있다. 제2 차량(120)은 제1 차량(110)의 주변차량이다. 도 1에서 제2 차량(120)은 하나의 차량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복수의 차량들로 대체될 수 있다. FIG. 1 shows a server 100, a first vehicle 110, and a second vehicle 120. The second vehicle 120 is a surrounding vehicle of the first vehicle 110. In FIG. 1, the second vehicle 120 is represented as one vehicle, but may be replaced with a plurality of vehicles.

제1 차량(110)에 주행보조장치가 구비된다. 나아가, 제2 차량(120)에도 주행보조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vehicle 110 is equipped with a driving assistance device. Furthermore, the second vehicle 120 may also be equipped with a driving assistance device.

제1 차량(110)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해, 제1 차량(110)에 구비된 주행보조장치는 제1 차량(110)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차량(110)이 주행 중이 도로의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면, 주행보조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내 교통 표지판을 인식하고, 인식된 교통 표지판에 표시된 정보를 도로 정보로서 수집할 수 있다. 주행보조장치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저장된 도로의 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In order to assist driving of the first vehicle 110,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provided in the first vehicle 110 uses at least one of a camera or a navigation device provided in the first vehicle 110. )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road while driving. For example, a driving assistance device can recognize traffic signs in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and collec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recognized traffic signs as road information.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can receive road information stored in the navigation device from the navigation device.

제1 차량(110)에 구비된 주행보조장치는 수집한 도로정보를 기반으로 제1 차량(110)의 주행을 보조한다.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provided in the first vehicle 110 assists the driving of the first vehicle 110 based on collected road information.

예를 들면, 제1 차량(110)이 제한속도가 규정된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주행보조장치는 제1 차량(110)의 카메라에 의해 인식된 교통 표지판 내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차량(110)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주행보조장치는 제1 차량(110)의 카메라를 통해 교통 표지판에 기재된 제한속도 정보를 검출하고, 제한속도 정보에 따라 제1 차량(11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표지판으로부터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교통표지판인식(TSR: traffic signal recognition) 기술이라 지칭한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vehicle 110 is driving on a highway with a prescribed speed limit,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is used to detect the first vehicle 110 based on the speed information in the traffic sign recognized by the camera of the first vehicle 110. 110). Specifically,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may detect speed limit information written on traffic signs through the camera of the first vehicle 110 and control the first vehicle 110 according to the speed limit information. Here, recognizing information from traffic signs is referred to as traffic signal recognition (TSR) technology.

다른 예로서, 주행보조장치는 제1 차량(110)의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제한속도 정보에 기초해서 제1 차량(110)의 속도가 제한속도를 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may control the speed of the first vehicle 110 so that it does not exceed the speed limit based on speed limi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navigation device of the first vehicle 110.

다른 예로서, 주행보조장치는 교통 표지판으로부터 검출된 제한속도 정보 및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제한속도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제1 차량(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제한속도 정보의 우선순위가 교통 표지판으로부터 검출된 제한속도 정보의 우선순위보다 높을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may control the first vehicle 110 using both speed limit information detected from traffic signs and speed limit information provided from a navigation device. At this time, the priority of speed limi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navigation device may be higher than the priority of speed limit information detected from traffic signs.

다른 예로서, 주행보조장치는 도로정보를 기반으로 어린이 보호구역을 식별하고,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제1 차량(110)을 낮은 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주행보조장치는 도로 정보에 포함된 차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차량(110)의 차선을 변경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may identify a child protection zone based on road information and control the first vehicle 110 at a low speed within the child protection zone. As another exampl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may change the lane of the first vehicle 110 based on lane information included in road information.

이 외에, 주행보조장치는 속도 정보 외에 교통 표지판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방향 정보, 차로 특성 정보 등을 기반으로 제1 차량(110)의 속도, 방향, 또는 차로 변경 등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may control the speed, direction, or lane change of the first vehicle 110 based on direction information and lan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btained from traffic signs or navigation devices in addition to speed information.

하지만, 제1 차량(110)에 구비된 카메라가 교통 표지판을 잘못 인식하거나 내비게이션 장치가 업데이트되지 않은 경우, 주행보조장치는 잘못된 도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차량(110)을 제어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camera installed in the first vehicle 110 incorrectly recognizes traffic signs or the navigation device is not updated,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may control the first vehicle 110 based on incorrect road informa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제1 차량(110)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집한 정보뿐만 아니라, 제2 차량(120)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차량(110)의 주행을 보조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not only collects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a camera or a navigation device provided in the first vehicle 110, but also collects information from the second vehicle 120. Assists the driving of the first vehicle 110 based on th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주행보조장치는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차량(110)을 제어한다. 이때,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정보가 잘못된 정보인 경우, 제1 차량(110)은 제2 차량(120)과 다르게 주행하게 된다. 제1 차량(110)이 제2 차량(120)과 다르게 주행할 때, 주행보조장치는 교통 표지판의 오인식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미업데이트를 판단하고, 제2 차량(120)의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제1 차량(110)을 제어한다. 제2 차량(120)이 교통 표지판의 정보를 정확하게 검출하거나 내비게이션 장치가 최신 버전일 때, 주행보조장치는 제2 차량(120)의 주행정보에 따라 제1 차량(110)을 제어함으로써, 정확한 도로정보를 기반으로 제1 차량(110)을 제어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제1 차량(110)의 주변에 복수의 주변차량들이 있는 경우, 주행보조장치는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의 평균 또는 가중평균에 따라 제1 차량(11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평균은 제1 차량(110)으로부터 가까운 주변차량의 주행정보에 높은 가중치가 적용된 것을 지칭한다.Specifically,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controls the first vehicle 110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a camera or a navigation device. At this time, if the information in the camera or navigation device is incorrect, the first vehicle 110 drives differently from the second vehicle 120. When the first vehicle 110 drives differently from the second vehicle 120,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determines misrecognition of traffic signs or non-update of the navigation device, and provides the second vehicle 120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vehicle 120. 1 Control the vehicle 110. When the second vehicle 120 accurately detects the information on traffic signs or the navigation device is the latest version,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controls the first vehicle 110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vehicle 120 to ensure accurate navigation on the road. You can enjoy the same effect as controlling the first vehicle 110 based on informa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around the first vehicle 110,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may control the first vehicle 110 according to the average or weighted average of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s. Here, the weighted average refers to applying a high weight to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close to the first vehicle 110.

한편, 본 개시에서, 주행정보는 위치, 종속도(longitudinal speed), 횡속도(lateral speed), 종가속도(longitudinal acceleration), 횡가속도(lateral acceleration), 평균속도, 속도의 통계값, 헤딩(heading), 헤딩의 통계값, 요레이트(yaw rate), 소정의 시간구간 내 속도의 변화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계값은 미리 설정된 시간구간동안 속도의 평균, 분산 또는 표준편차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지칭한다. 또한, 주행정보는 경로이력(path history) 또는 예측경로(path prediction)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longitudinal speed, lateral speed, longitudinal acceleration, lateral acceleration, average speed, speed statistics, and heading. ), heading statistical value, yaw rate, and speed change patter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Here, the statistical value refers to any one of the average, variance, or standard deviation of the speed during a preset time interval. Additionally, the driving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path history or path prediction.

이하에서는, 제1 차량(110)이 제2 차량(120)을 포함하는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the first vehicle 110 to collect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including the second vehicle 120, will be described.

제1 차량(110)은 서버(100)를 통해 제2 차량(120)의 주행정보를 수신하거나, 제1 차량(110)에 구비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제2 차량(120)의 주행정보를 획득하거나, 제2 차량(120)으로부터 V2V(Vehicle-to-Vehicle)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제2 차량(120)의 주행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first vehicle 110 receives driv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vehicle 120 through the server 100, or acquires driv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vehicle 120 using sensors provided in the first vehicle 110. Alternatively, driv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vehicle 120 may be obtained from the second vehicle 1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V2V (Vehicle-to-Vehicl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100)는 제2 차량(120)으로부터 수신한 제2 차량(120)의 식별정보 및 주행정보를 저장한다. 서버(100)는 제2 차량(120)의 식별정보 및 주행정보를 그대로 제1 차량(110)에게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rver 100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vehicle 120 received from the second vehicle 120. The server 100 may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vehicle 120 to the first vehicle 110 as is.

제1 차량(110)의 주변에 제2 차량(120)을 포함하는 복수의 주변차량들이 있는 경우, 서버(100)는 주변 차량들의 복수의 주행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주변차량들로부터 수신한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주변차량들의 주행패턴들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각 주변차량의 위치, 속도, 평균속도, 소정의 시간구간 내 속도의 분산, 또는 소정의 시간구간 내 속도의 표준편차를 분석할 수 있다. 서버(100)는 분석 결과를 제1 차량(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서버(100)는 주변차량들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주변차량들로부터 수신하고, 제1 차량(110)에 전달할 수 있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including the second vehicle 120, around the first vehicle 110, the server 100 may receive a plurality of driving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s. At this time, 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driving patterns of surrounding vehicles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urrounding vehicles. For example, the server 100 may analyze the location, speed, average speed, dispersion of spe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or standard deviation of spe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of each surrounding vehicle. The server 100 may transmit the analysis result to the first vehicle 110. Otherwise, the server 100 may receive the results analyzed by the surrounding vehicles from the surrounding vehicles and transmit them to the first vehicle 110.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차량(110)이 제2 차량(120)을 포함하는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를 직접 센싱하거나, 주변차량들로부터 주행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차량(110)에 구비된 주행보조장치는 주변차량들의 주행패턴들을 직접 분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vehicle 110 may directly sens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including the second vehicle 120, or receive driving information from surrounding vehicles.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provided in the first vehicle 110 can directly analyze the driving patterns of surrounding vehicles.

주행보조장치는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잘못된 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고려하여, 위의 과정들을 통해 수집한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를 이용하여 제1 차량(110)의 주행보조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Considering that incorrec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 camera or navigation devic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can improve the driving assistance performance of the first vehicle 110 by using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collected through the above processes.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0)은 수집부(210), 주행보조장치(220) 또는 구동부(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a vehic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llection unit 210, a driving assistance device 220, or a driving unit 230.

수집부(210)는 차량(200)의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정보를 수집한다. 구동부(230)는 주행보조장치(220)에 의해 차량(200)의 이동을 제어한다.The collection unit 210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200 and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The driving unit 23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200 by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220.

주행보조장치(220)는 내비게이션 장치(212) 또는 카메라(214)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200)의 주행을 보조하거나 차량(200)을 제어한다. 주행보조장치(220)는 주변차량들의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200)의 주행정보를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와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차량(200)을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를 기초로 제어한다. 이때, 주행보조장치(220)는 카메라(214)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212)보다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를 우선시한다.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220 assists driving or controls the vehicle 200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navigation device 212 or the camera 214.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220 collects information on surrounding vehicles, compares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200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and controls the vehicle 200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do. At this tim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220 gives priority to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over the camera 214 or the navigation device 212.

이하에서, 도 2에 개시된 구성요소들이 자세히 설명된다.Below, the components disclosed in Figure 2 are described in detail.

수집부(210)는 내비게이션 장치(212), 카메라(214), 통신부(216) 또는 센서부(21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collection unit 210 includes at least one of a navigation device 212, a camera 214, a communication unit 216, and a sensor unit 218.

내비게이션 장치(212)는 차량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에 따른 도로정보를 제공한다. The navigation device 212 estimates the location of the vehicle and provides roa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stimated location.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212)는 위성 항법 시스템(Global Navigation System, GPS)에 포함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위성 신호를 수신하고,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200)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avigation device 212 may receive satellite signals using a GPS receiver included in a global navigation system (GPS) and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vehicle 200 using the satellite signals.

내비게이션 장치(212)는 차량(200)이 위치한 도로의 정보를 제공한다. 도로정보는 도로의 방향, 곡률, 제한 속도 정보, 도로 유형 정보, 차로의 수, 차로별 특성 정보, 또는 구역별 특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로 유형 정보는 일반도로, 고속도로, 비포장도로 등을 포함한다. 차로별 특성 정보는 좌회전 전용차로, 직진 전용차로, 우회전 전용차로, 버스전용차로 등을 포함한다. 구역별 특성 정보는 어린이 보호구역, 사고다발구역 등을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장치(212)는 탑승자 및 주행보조장치(220)에게 도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navigation device 212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200 is located. Roa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direction of the road, curvature, speed limit information, road type information, number of lanes,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ach lane, o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ach zone. Here, road type information includes general roads, highways, unpaved roads, etc.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ach lane includes exclusive left turn lanes, straight-only lanes, right turn-only lanes, and bus-only lanes. Information on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includes child protection areas, accident-prone areas, etc. The navigation device 212 can provide road information to the occupants and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220.

이러한 도로정보는 내비게이션 장치(212) 내에 지도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This road information can be stored as map information in the navigation device 212.

지도 정보는 내비게이션 지도 또는 정밀 지도(High Definition map, HD map)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map information may be either a navigation map or a high definition map (HD map).

내비게이션 지도는 적어도 두 개의 도로가 만나는 지점을 가리키는 노드 및 두 노드를 잇는 링크를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지도는 지리 정보, 도로 정보, 차로 정보, 건물 정보 또는 신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A navigation map includes a node indicating a point where at least two roads meet and a link connecting the two nodes. The navigation map may include geographic information, road information, lane information, building information, or signal information.

정밀 지도는 내비게이션 지도에 비해 구체적인 데이터를 포함한다. 정밀 지도는 매우 작은 크기 단위에서, 차로 정보, 차로의 경계 정보, 정지선 위치, 신호등 위치, 신호 순서, 또는 교차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밀 지도는 기본 도로 정보, 주변 환경 정보, 상세한 도로 환경 정보, 또는 동적 도로 상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한 도로 환경 정보는 지형의 고저, 곡률, 차선, 차로 중심선, 규제선, 도로 경계, 도로 중심선, 교통 표지, 노면 표지, 도로의 형상 및 높이, 차로 너비 등 정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적 도로 상황 정보는 교통 체증, 사고 구간, 공사 구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밀 지도는 3D로 구현된 도로 주변 환경 정보, 도로 형태 또는 시설 구조와 같은 기하학(geometric) 정보, 교통 표시 또는 차선 마크와 같은 의미론(semantic)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Precision maps contain more specific data than navigation maps. A precision map may include lane information, lane boundary information, stop line locations, traffic light locations, signal sequences, or intersection information at very small scale units. A precision map may include basic road information,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detailed road environment information, or dynamic road situation information. Detailed road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static information such as terrain elevation, curvature, lanes, lane center lines, regulation lines, road boundaries, road center lines, traffic signs, road surface signs, road shape and height, and lane width. Dynamic road situ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raffic jams, accident sections, construction sections, etc. A precision map may include 3D roa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geometric information such as road shape or facility structure, and semantic information such as traffic signs or lane marks.

한편, 내비게이션 장치(212)는 차량(2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설정된 목적지까지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navigation device 212 may provide a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200 to the set destination.

카메라(214)는 차량(200)의 주변의 장면을 영상으로서 촬영한다. 나아가, 카메라(214)는 영상 내 교통 표지판을 검출하고, 교통 표지판에 표시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The camera 214 captures scenes around the vehicle 200 as images. Furthermore, the camera 214 can detect traffic signs in the image and process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raffic signs.

구체적으로, 카메라(214)는 차량(200)의 전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214)의 화각에 따라, 카메라(214)는 차량(200)의 전방뿐만 아니라 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까지 획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amera 214 may acquire a front image of the vehicle 200. Depending on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214, the camera 214 can acquire not only the front, but also the side and rear images of the vehicle 200.

카메라(214)는 획득한 영상 정보를 주행보조장치(220)에게 전송하거나, 영상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The camera 214 may transmit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to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220 or process the image information.

카메라(214)가 영상 정보를 처리하는 경우, 카메라(214)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14)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주행보조장치(220)에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camera 214 processes image information, the camera 214 may include an image sensor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The camera 214 can proces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eg, CMOS or CCD). The image processing module can proces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through an image sensor, extract necessary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220.

카메라(214)는 주행보조장치(220)의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214)는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교통 표지판을 검출한다. 나아가, 카메라(214)는 교통 표지판에 표시된 정보, 특히 도로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14)는 영상 내 제한속도 표지판을 검출하고, 현재도로 또는 전방도로의 제한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The camera 214 may perform some functions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220. The camera 214 detects traffic signs from the acquired image. Furthermore, the camera 214 can detect information displayed on traffic signs, especially roa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amera 214 can detect a speed limit sign in an image and detect the speed limit of the current road or the road ahead.

한편, 카메라(214)는 차량(200) 외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들 중 하나는 복수의 카메라들로부터 획득된 영상들을 취합하여 차량(200)의 전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mera 214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ameras disposed at different locations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200. One of the plurality of cameras may generate a front image of the vehicle 200 by collecting images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통신부(216)는 서버 또는 주변차량들과 통신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216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or surrounding vehicles.

통신부(216)는 주변차량들로부터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를 수신하거나, 서버를 통해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가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를 처리하는 경우, 통신부(216)는 서버에 의해 처리된 주행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6 may receiv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from surrounding vehicles, or may receiv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through a server. When the server processes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the communication unit 216 may receive the driving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server.

통신부(216)는 내부 통신부와 외부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6 may include an internal communication unit and an external communication unit.

내부 통신부는 차량(200) 내 존재하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프로토콜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CAN FD(CAN with Flexible Data rate), 이더넷(ethernet),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및 플렉스레이(FlexR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은 차량(200)에 탑재된 각종 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한 다른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nal communication unit can transmit or receive us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existing in the vehicle 200. Here, the communication protoco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AN FD (CAN with Flexible Data rate), Ethernet,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and FlexRay. The communication protocol may include other protocols for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devices mounted on the vehicle 200.

외부 통신부는 VANET(vehicular ad hoc network) 통신 기술,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통신 기술,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CALM(Communication Access in Land Mobile) 통신 기술, V2V(Vehicle-to-Vehicle) 통신 기술, V2I(Vehicle-to-Infrastructure) 통신 기술, V2N(Vehicle-to-Network) 통신 기술, WLAN(Wireless LAN) 통신 기술, Wi-Fi(Wireless-Fidelity) 통신 기술, WiBro(Wireless Broadband) 통신 기술,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술,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통신, 5G 통신 기술, 6G 통신 기술, UWB(Ultra Wideband) 통신 기술, ZigBee 통신 기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기술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The external communication department includes VANET (vehicular ad hoc network) communication technology,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communication technology, 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CALM (Communication Access in Lan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V2V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technology. ) Communication technology, V2I (Vehicle-to-Infrastructure) communication technology, V2N (Vehicle-to-Network) communication technology, WLAN (Wireless LAN) communication technology, Wi-Fi (Wireless-Fidelity) communication technology, WiBro (Wireless Broadb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TE (Long Term Evolu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communication, 5G communication technology, 6G communication technology, UWB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technology, ZigBee communication technology,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communication technology can be used.

통신부(216)는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6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ransmitting antenna, a receiving antenna, a radio frequency (RF) circuit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an RF element.

한편, 통신부(216)는 탑승자의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216 can communicate with the passenger's terminal.

센서부(218)는 차량(200) 주변의 물체를 센싱하고, 차량(200)의 주행정보를 센싱한다. The sensor unit 218 senses objects around the vehicle 200 and senses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200.

구체적으로, 센서부(218)는 차량(200)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부(218)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218 may sense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located around the vehicle 200. The sensor unit 218 can obtain dr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예를 들면, 센서부(218)는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200)과 주변차량 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218)는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차량의 위치, 차량(200)으로부터 주변차량까지 거리, 주변차량이 차량(200)으로부터 이격된 방향, 주변차량의 이동 방향, 또는 주변차량의 속도 등 주변차량의 정보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218)는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 후, 좌, 우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위치한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218 may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200 and surrounding vehicles using a distance sensor. The sensor unit 218 uses a distance sensor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200 to the surrounding vehicl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rrounding vehicles are separated from the vehicle 200,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urrounding vehicles, or the speed of the surrounding vehicles. Information about surrounding vehicles can be measured precisely. The sensor unit 218 can detect objects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areas of the vehicle using a distance sensor.

센서부(218)는 거리 센서로서, 레이더(radar) 센서,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18 is a distance sensor and may use a radar sensor, a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or a laser sensor.

센서부(218)가 레이저 센서를 이용할 때, 센서부(218)는 레이저 신호 변조 방법에 따라 시간 지연 방식(time-of-flight, TOF) 또는/및 위상 변조 방식(phase-shift) 등을 사용하여, 차량(200)과 물체 간 위치 관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When the sensor unit 218 uses a laser sensor, the sensor unit 218 uses a time-of-flight (TOF) or/and phase-shift method depending on the laser signal modulation method. Thu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vehicle 200 and the object can be accurately measured.

거리 센서는 차량(20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거리 센서는 차량(200)의 차체의 전, 후, 좌, 우 또는 천장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Distance sensors may be placed at various locations in the vehicle 200. The distance sensor may be placed at least one of the front, rear, left, right, or ceiling of the body of the vehicle 200.

차량(200)의 주변에 복수의 주변차량들이 있는 경우, 센서부(218)는 복수의 주변차량들을 동시에 센싱할 수 있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around the vehicle 200, the sensor unit 218 can sense the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simultaneously.

한편, 센서부(218)는 차량(200)의 주행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or unit 218 can measur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200.

차량(200)의 주행정보를 얻기 위해, 센서부(218)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또는 도어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obtain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200, the sensor unit 218 includes a heading sensor, a yaw sensor, a gyro sensor, a vehicle forward/reverse sensor, and a wheel sensor. , a vehicle speed sensor, a vehicle body tilt sensor, a battery sensor, a fuel sensor, a tire sensor, a steering sensor based on steering wheel rotation, a temperature sensor inside the vehicle, a humidity sensor inside the vehicle, or a door sensor.

센서부(218)는 차량(200)의 방향 정보, 차속 정보,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전진/후진 정보, 연료 정보, 또는 턴 시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센싱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18 may further sense at least one of direction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acceleration information, tilt information, forward/backward information, fuel information, or turn sig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200.

구동부(230)는 가속 제어 장치(232), 제동 제어 장치(234) 또는 조향 제어 장치(23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230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control device 232, a braking control device 234, or a steering control device 236.

가속 제어 장치(232)는 차량의 엔진 구동 또는 모터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을 가속시킬 수 있다.The acceleration control device 232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engine drive or motor drive of the vehicle and may accelerate the vehicle.

제동 제어 장치(234)는 차량의 제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aking control device 234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braking of the vehicle and may include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brakes.

조향 제어 장치(236)는 차량의 조향각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티어링 휠, 스티어링 휠과 연동된 액츄에이터 및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ering control device 236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steering angle of the vehicle and may include a steering wheel, an actuator linked to the steering wheel,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actuator.

주행보조장치(220)는 획득부(222) 및 제어부(224)를 포함한다. 주행보조장치(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220 includes an acquisition unit 222 and a control unit 224.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220 may be implemen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and at least one memory.

획득부(222)는 카메라(214)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21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차량(200)이 주행 중인 도로의 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224)는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부(230)를 통해 차량(200)의 주행을 보조하거나 차량(200)의 주행을 제어한다. 차량(200)은 카메라(214)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21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도로정보에 따라 제어된다.The acquisition unit 222 obtains information about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200 is traveling from at least one of the camera 214 or the navigation device 212. The control unit 224 assists or controls the driving of the vehicle 200 through the driving unit 230 based on road information. The vehicle 2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road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camera 214 or the navigation device 212.

획득부(222)는 차량(200)의 주행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부(222)는, 카메라(214)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21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도로정보에 따라 제어되는, 차량(200)의 주행정보를 획득한다.The acquisition unit 222 acquires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200. The acquisition unit 222 acquires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200, which is controlled according to road information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the camera 214 or the navigation device 212.

나아가, 획득부(222)는 차량(200)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한다. 주변차량의 주행정보는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부(216)에서 수신되거나, 센서부(218)에 의해 센싱된 것일 수 있다.Furthermore, the acquisition unit 222 acquires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located around the vehicle 200.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may b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16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may be sensed by the sensor unit 218.

제어부(224)는 차량(200)의 주행정보와 주변차량의 주행정보를 비교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24)는 소정의 시간구간 내 차량(200)의 평균속도를 주변차량의 평균속도와 비교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224)는 차량(200)의 속도, 평균속도, 또는 속도의 표준편차 중 적어도 하나를 주변차량의 속도, 평균속도, 또는 속도의 표준편차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4 compares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200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24 may compare the average speed of the vehicle 20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with the average speed of surrounding vehicles.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24 may compare at least one of the speed, average speed, or standard deviation of speed of the vehicle 200 with at least one of the speed, average speed, or standard deviation of speed of surrounding vehicles.

제어부(224)는 차량(200)의 주행정보와 주변차량의 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경고 알림을 출력한다. 여기서, 제1 기준값은 차량 제조사 또는 탑승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최근 10분의 시간구간 내 차량(200)의 평균속도와 주변차량의 평균속도 간 차이가 20 km/h보다 클 때, 제어부(224)는 탑승자에게 경고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4 outputs a warning notification based on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200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Here, the first reference value may be set by the vehicle manufacturer or the passenger. As an exampl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speed of the vehicle 200 and the average speed of surrounding vehicles within the most recent 10-minute time period is greater than 20 km/h, the control unit 224 may output a warning notification to the occupants.

제어부(224)는 차량(200)의 주행정보와 주변차량의 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2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차량(20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값은 제1 기준값보다 큰 값이며, 차량 제조사 또는 탑승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차량(200)의 주행정보와 주변차량의 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2 기준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224)는 주변차량의 주행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200)의 평균속도와 주변차량의 평균속도 간 차이가 30 km/h보다 클 때, 제어부(224)는 차량(200)의 속도를 주변차량의 속도와 비슷해지도록 차량(200)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4 may control the vehicle 200 based on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200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is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Here,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may be set by the vehicle manufacturer or the passenger. In particula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200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is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224 may control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For exampl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speed of the vehicle 200 and the average speed of surrounding vehicles is greater than 30 km/h, the control unit 224 controls the vehicle 200 to make the speed of the vehicle 200 similar to the speed of the surrounding vehicles. ) can be controlled.

한편, 차량(200)의 주변에 복수의 주변차량들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224)는 차량(200)의 주행정보와 복수의 주변차량들의 평균주행정보 간 차이를 계산한다.Meanwhil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around the vehicle 200, the control unit 224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200 and the average driving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여기서, 평균주행정보는, 복수의 주변차량들의 속도들의 평균 또는 주변차량들의 평균속도들의 평균일 수 있다. 아니면, 평균주행정보는 특정 시간구간 내 주변차량들의 방향값들의 평균 또는 평균방향값들의 평균일 수 있다. 이처럼, 평균주행정보는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에 포함된 요소들 각각에 대한 평균값을 지칭할 수 있다.Here, the average driving information may be the average of the speeds of a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or the average of the average speeds of the surrounding vehicles. Alternatively, the average driving information may be the average of the direction values of surrounding vehicles or the average of the average direction values of the surrounding vehicles within a specific time period. In this way, the average driving information may refer to the average value of each element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이처럼, 제어부(224)는 차량(200)의 주행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와 주변차량들의 평균주행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 간 차이를 계산한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224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at least one element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200 and at least one element included in the averag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이후, 제어부(224)는 차량(200)의 주행정보와 복수의 주변차량들의 평균주행정보 간 차이가 제1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경고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주변차량들의 평균속도들의 평균값과 차량(200)의 평균속도 간 차이가 제1 기준값보다 클 때, 제어부(224)는 탑승자에게 경고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224 may output a warning notification based on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200 and the average driving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For exampl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speed of a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and the average speed of the vehicle 200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224 may output a warning notification to the occupant.

나아가, 제어부(224)는 차량(200)의 주행정보와 복수의 주변차량들의 평균주행정보 간 차이가 제2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차량(200)의 주행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2 기준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224)는 복수의 주변차량들의 평균주행정보에 기초하여 차량(200)을 제어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224 may control the vehicle based on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200 and the average driving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n particula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200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is greater than the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224 controls the vehicle 200 based on the average driving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can be controlled.

한편, 제어부(224)는 수집부(210) 및 구동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24)는 소프트웨어의 명령을 실행하는 전기 회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후술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4)는 차량에 탑재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다른 하위 제어기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22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llection unit 210 and the driving unit 230, and electrically controls each component. The control unit 224 may be an electric circuit that executes software commands, thereby performing various data processing and calculation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24 may be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 micro controller unit (MCU), or another lower-level controller mounted on a vehicle.

주행보조장치(220)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220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unit (not shown).

인터페이스부는 탑승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탑승자로부터 소정의 요구를 입력 받는다.The interface unit provides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passenger or receives a request from the passenger.

인터페이스부는 사람의 청각, 시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는 USM(User Setting Mode) 장치 또는 HMI(Human-Machine Interaction)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can be implemented as a device that can exchange various sensory information such as human hearing, vision, and touch.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may include a User Setting Mode (USM) device or a Human-Machine Interaction (HMI) device.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보조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riving assistanc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에 구비된 주행보조장치는,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도로정보에 따라 제어되는, 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한다(S300).Referring to FIG. 3,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acquires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which is controlled according to road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a camera or a navigation device (S300).

주행보조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한다(S310).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quires dr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S310).

주행보조장치는 차량의 주행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경고 알림을 출력한다(S320).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utputs a warning notification based on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S320).

구체적으로, 주행보조장치는 차량의 주행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를 비교한다. 차량의 주행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 간 차이가 큰 경우, 주행보조장치는 교통 표지판으로부터 검출된 도로정보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저장된 도로정보가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기준값보다 클 때, 주행보조장치는 경고 알림을 출력한다. 경고 알림은 차량이 주변차량들과 다르게 주행하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거나, 카메라의 인식 오류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미업데이트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주행보조장치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음성, 영상 또는 햅틱 디바이스를 통해 경고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compares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If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determines that the road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traffic sign or the road information stored in the navigation device is not normal. Accordingly,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ehicle's driving information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utputs a warning notification. A warning notification may indicate that the vehicle is driving differently from surrounding vehicles, a camera recognition error, or a navigation device not being updated. Driving assistance devices can output warning notifications to drivers or passengers through voice, video, or haptic devices.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주변에 복수의 주변차량들이 있는 경우, 주행보조장치는 차량의 주행정보와 복수의 주변차량들의 평균주행정보 간 차이가 제1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경고 알림을 출력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around the vehicl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average driving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Prints a warning notification.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행보조장치는 차량의 주행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2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차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2 기준값은 제1 기준값보다 큰 값으로서 미리 설정된 값이다. 이때, 주행보조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을 제어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controls the vehicle based on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is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Here,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a preset value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t this tim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controls the vehicle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주변에 복수의 주변차량들이 있는 경우, 주행보조장치는 차량의 주행정보와 복수의 주변차량들의 평균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2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차량을 제어한다. 주행보조장치는 주변차량들의 평균주행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행보조장치는 주변차량들의 평균속도들의 평균 및 평균방향값들의 평균을 기반으로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around the vehicl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average driving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is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Control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can control the vehicle based on the averag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For exampl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may control the vehicle based on the average of the average speeds and average direction values of surrounding vehicles.

전술한 바와 같이, 주행보조장치는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차량의 주행정보와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 간 차이가 클 때, 탑승자에게 경고 알림을 출력하거나, 차량을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행보조장치는 교통표지판 오인식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미업데이트로 인해 차량이 잘못된 도로정보를 기반으로 주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when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ntrolled by a camera or navigation devic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utputs a warning notification to the occupants or operates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It can be controlled with . As a result,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can prevent the vehicle from driving based on incorrect road information due to misrecognition of traffic signs or non-updating of the navigation device.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보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assisting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주행보조장치는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도로정보를 획득한다(S400).Referring to FIG. 4,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quires road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a camera or a navigation device (S400).

주행보조장치는 도로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을 제어한다(S410).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controls the vehicle based on road information (S410).

주행보조장치는 차량의 주행정보 및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를 획득한다(S420).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cquires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S420).

주행보조장치는 차량의 주행정보 및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 간 차이값을 계산한다(S430).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vehicle's driving information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S430).

주행보조장치는 차량의 주행정보 및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 간 차이값이 기 설정된 제1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vehicle's driving information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S440).

차량의 주행정보 및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 간 차이값이 제1 기준값보다 큰 경우, 주행보조장치는 경고 알림을 출력한다(S450).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vehicle's driving information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outputs a warning notification (S450).

차량의 주행정보 및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 간 차이값이 제1 기준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주행보조장치는 차량의 현재 주행을 유지한다.If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is not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maintains the current driving of the vehicle.

한편, 주행보조장치는 차량의 주행정보 및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 간 차이값이 기 설정된 제2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460).Meanwhil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vehicle's driving information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is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S460).

차량의 주행정보 및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 간 차이값이 제2 기준값보다 큰 경우, 주행보조장치는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을 제어한다(S470).If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controls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S470).

차량의 주행정보 및 주변차량들의 주행정보 간 차이값이 제2 기준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주행보조장치는 차량의 주행을 유지한다.If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is not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maintains driving of the vehicle.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 상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수신하고 이들에게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이것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혹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이것은 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코드로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systems and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digital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circuit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computer hardware, firmware, software, and/or these. It can be realized through combination. These various implementations may include being implemented as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executable on a programmable system. The programmable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mable processor (which may be a special purpose processor) coupled to receive data and instructions from and transmit data and instructions to a storage system, at least one input device, and at least one output device. or may be a general-purpose processor). Computer programs (also known as programs,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s or code) contain instructions for a programmable processor and are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비휘발성(non-volatile) 또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일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Thes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are non-volatile or non-transitory such as RO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memory card,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and storage device. It may be a medium, and may further include a transitory medium such as a data transmission medium. Additionally,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본 명세서의 흐름도/타이밍도에서는 각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흐름도/타이밍도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들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흐름도/타이밍도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lowchart/timing diagram of this specification, each process is described as being executed sequentially, but this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other word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may change the order described in the flowchart/timing diagram and execute one of the process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the above processes can be applied i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y executing them in parallel, the flowchart/timing diagram is not limited to a time series order.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is embodiment.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is embodiment.

210: 수집부
220: 주행보조장치
230: 구동부
210: Collection department
220: Driving assistance device
230: driving unit

Claims (14)

차량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도로정보에 따라 제어되는 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경고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In a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to assist driving a vehicle,
Obtaining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controlled according to road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a camera or a navigation device;
Obtaining dr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and
Outputting a warning notification based on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A control method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는,
상기 차량의 위치, 종속도(longitudinal spped), 횡속도(lateral speed), 종가속도(longitudinal acceleration), 횡가속도(lateral acceleration), 평균속도, 속도의 통계값, 헤딩(heading), 헤딩의 통계값, 또는 요레이트(yaw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The vehicle's position, longitudinal spped, lateral speed, longitudinal acceleration, lateral acceleration, average speed, speed statistics, heading, and heading statistics. , or yaw 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2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Controlling the vehicle based on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is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A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tep of controlling the vehicle is,
Controlling the vehicle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A control method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주변에 복수의 주변차량들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와 상기 복수의 주변차량들의 평균주행정보 간 차이가 상기 제1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경고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outputting the warning notification i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around the vehicle, outputting a warning notification based on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average driving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 control method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변에 복수의 주변차량들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와 상기 복수의 주변차량들의 평균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2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around the vehicle, controlling the vehicle based on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average driving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is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A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의해 획득되는 것인 제어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Driv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A control method that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obtained by at least one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차량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도로정보에 따라 제어되는 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1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경고 알림을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장치.
In a device for assisting the driving of a vehicle,
A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controlled according to road information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a camera or a navigation device and acquires dr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and
A control unit that outputs a warning notification based on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A device contain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는,
상기 차량의 위치, 종속도(longitudinal spped), 횡속도(lateral speed), 종가속도(longitudinal acceleration), 횡가속도(lateral acceleration), 평균속도, 속도의 통계값, 헤딩(heading), 헤딩의 통계값, 또는 요레이트(yaw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The vehicle's position, longitudinal spped, lateral speed, longitudinal acceleration, lateral acceleration, average speed, speed statistics, heading, and heading statistics. , or yaw ra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2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것인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control unit,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vehicle based on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is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것인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control unit,
A device that controls the vehicle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변에 복수의 주변차량들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와 상기 복수의 주변차량들의 평균주행정보 간 차이가 상기 제1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경고 알림을 출력하는 것인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control uni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around the vehicle, a device that outputs a warning notification based on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average driving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변에 복수의 주변차량들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와 상기 복수의 주변차량들의 평균주행정보 간 차이가 기 설정된 제2 기준값보다 큰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것인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control uni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around the vehicle,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vehicle based on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average driving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is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차량의 주행정보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의해 획득되는 것인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urrounding vehicle is:
A device that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acquired by at least one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KR1020220082302A 2022-07-05 2022-07-05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400053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302A KR20240005336A (en) 2022-07-05 2022-07-05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302A KR20240005336A (en) 2022-07-05 2022-07-05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336A true KR20240005336A (en) 2024-01-12

Family

ID=8954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302A KR20240005336A (en) 2022-07-05 2022-07-05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533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304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ssistance along a path
US1153135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10162357B2 (en) Distributed computing among vehicles
US20210362733A1 (en)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US11501539B2 (en) Vehicle control system, sensing device and sensing data processing method
JP69035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s, and mobiles
KR20210040947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obile device
KR20170019794A (en) Vehicle and collision avoidance method for the same
US202202530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EP3851350B1 (en) Method and control unit automatically controlling lane change assist
CN110606081B (en) Moving body assistance system and moving body assistance method
WO20201298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4424265A (en)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mobile device
CN111028544A (en) Pedestrian early warning system with V2V technology and vehicle-mounted multi-sensor integration
US20220281482A1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220309804A1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240005336A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100777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ition of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7334107B2 (en)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device
KR20210100776A (en) Vehicle for performing autonomous driving using camera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20120568A1 (en)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KR20210104199A (en)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3771845A (en) Method, device, vehicle and storage medium for predicting vehicle track
KR20190115435A (en)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400171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