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082A -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082A
KR20240005082A KR1020237042329A KR20237042329A KR20240005082A KR 20240005082 A KR20240005082 A KR 20240005082A KR 1020237042329 A KR1020237042329 A KR 1020237042329A KR 20237042329 A KR20237042329 A KR 20237042329A KR 20240005082 A KR20240005082 A KR 20240005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ield
bit quantity
field
ppdu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 궁
젠 위
천천 류
밍 간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05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6Notations for structuring of protocol data, e.g. abstract syntax notation one [ASN.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04L5/0046Determination of how many bits are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3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physical layer [OSI layer 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HLA 제어 서브필드가 계속 사용되는 경우에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지원될 수 없다는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 이러한 통신 기술들의 분야에 관련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통신 장치는 PPDU를 생성하고,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MRQ를 표시하거나;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UL EHT TB PPDU MFB를 표시한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2021년 5월 20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2110554343.2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통신 시스템은 802.11n 표준, 802.11ac 표준, 802.11ax 표준, 및 802.11be 표준과 같은, 802.11a/b/g 표준으로부터 시작하는 복수의 세대의 표준들을 거쳐가고 있다. 전술한 표준들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들은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PPDU)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PPDU는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MPDU)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02.11ax 표준에서, MPDU는 고처리량(high throughput, HT) 제어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HT 제어 필드는 하나 이상의 제어 식별자 및 각각의 제어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식별자의 값이 2일 때, 제어 정보는 26 비트 고효율 링크 적응(HE link adaptation, HLA) 제어 서브필드일 수 있다.
HLA 제어 서브필드는 3 비트 공간 스트림 수(number of spatial streams, NSS) 서브필드, 2 비트 대역폭(bandwidth, BW) 서브필드, 및 다른 서브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준들의 지속적인 진화로,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무선 충실도(wireless fidelity, Wi-Fi) 표준은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802.11ax 표준에서는, HLA 제어 서브필드의 각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 및 의미가 미리 정의되어 있다. HLA 제어 서브필드가 계속 사용된다면, 더 많은 특징 및 기능을 지원할 수 없다.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 대응하는 링크 적응 제어 서브필드를 적절히 설계하는 방식은 긴급히 해결되어야 할 기술적 문제이다.
본 출원은 HLA 제어 서브필드가 계속 사용될 때,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통신 장치가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고,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스킴 요청(MRQ)을 표시하거나;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UL EHT TB PPDU MFB(uplink extremely high throughput trigger-based PPDU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feedback)를 표시한다.
제1 양태에 기초하여,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을 참조하여, MRQ 및 UL EHT TB PPDU MFB는 1 비트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MRQ 및 UL EHT TB PPDU MFB 각각이 1 비트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1 비트가 절약될 수 있다. 또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이 하나의 절약된 비트를 사용하여 지원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더 많은 정보를 피드백한다(즉, 비트 수량은 여전히 26임).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의 수를 더 포함하고, NSS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공간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16이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NSS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공간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16일 수 있고,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공간 스트림 수에 대한 요건이 충족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EHT-MCS)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6인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EHT-MCS 서브필드 또는 SNR 서브필드에 대해 기능 확장이 수행되고,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EHT MCS 또는 SNR에 대한 요건이 충족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5이거나,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7이거나,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8이거나, 또는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이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가 조정되고,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RU에 대한 요건이 충족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대역폭(BW)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BW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이 확장되어, BW 서브필드는 더 많은 대역폭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대역폭에 대한 요건을 충족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4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4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극고처리량(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4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고효율(HE)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현재의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지 또는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지가 제4 표시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2인 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 또는 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는 3 비트로부터 2 비트로 압축되고,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 또는 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에 대한 요건이 충족되면서 비트 수량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이 하나의 절약된 비트를 사용하여 지원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더 많은 정보를 피드백한다(즉, 비트 수량은 여전히 26임).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Tx 빔포밍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PPDU는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를 더 포함하고,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은 2, 9, 10, 11, 12, 13, 및 14의 값들 중 하나이다.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9, 10, 11, 12, 13, 및 14의 값들 중 하나일 때, 제어 식별자 필드는 제1 필드가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추가로 표시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2일 때, 제1 필드는 제4 표시 정보를 포함하여, 현재의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지 또는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9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일 때, 제어 식별자 필드는 제1 필드가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통신 장치는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예를 들어, 처리 모듈 및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은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송수신기 모듈은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스킴 요청(MRQ)을 표시하거나;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UL EHT TB PPDU MFB(uplink extremely high throughput trigger-based PPDU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feedback)를 표시한다.
제2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1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2 양태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장치, 또는 제1 통신 장치의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전술한 양태들 또는 가능한 설계들에서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는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1 통신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송수신기는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스킴 요청(MRQ)을 표시하거나;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UL EHT TB PPDU MFB(uplink extremely high throughput trigger-based PPDU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feedback)를 표시한다.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1 통신 장치에 필요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1 통신 장치가 구동될 때,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제1 통신 장치가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제3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1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3 양태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2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장치로부터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고, PPDU를 파싱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스킴 요청(MRQ)을 표시하거나;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UL EHT TB PPDU MFB(uplink extremely high throughput trigger-based PPDU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feedback)를 표시한다.
제4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1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2 통신 장치는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예를 들어, 송수신기 모듈 및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모듈은 제1 통신 장치로부터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유닛은 PPDU를 파싱하도록 구성된다. PPDU는 26인 제1 필드 비트 수량을 포함하고,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MFB) 서브필드 및 그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스킴 요청(MRQ)을 표시하거나;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UL EHT TB PPDU MFB(uplink extremely high throughput trigger-based PPDU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feedback)를 표시한다.
제5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4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5 양태의 제2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2 통신 장치는 제2 통신 장치, 또는 제2 통신 장치의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는 전술한 양태들 또는 가능한 설계들에서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통신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2 통신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는 제1 통신 장치로부터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는 PPDU를 파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스킴 요청(MRQ)을 표시하거나;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UL EHT TB PPDU MFB(uplink extremely high throughput trigger-based PPDU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feedback)를 표시한다.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제2 통신 장치에 필요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2 통신 장치가 구동될 때,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제2 통신 장치가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제6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4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6 양태의 제2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통신 장치가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고,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제2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제2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S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2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한다.
제7 양태에 기초하여, SU-MIMO 및 MU-MIMO에 대해, MU-MIMO에서의 사용자들은 서로 간섭할 수 있고, MU-MIMO에 대응하는 링크 적응 피드백 파라미터는 SU-MIMO의 것과 일반적으로 상이하다. 현재 피드백이 SU-MIMO인지 또는 MU-MIMO인지가 제2 표시 정보를 추가하는 것에 의해 구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통신 시스템의 처리량을 향상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제1 필드가 SU-MIMO에 대응한다는 것을 제2 표시 정보가 표시할 때, NSS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공간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16개이거나; 또는 제1 필드가 MU-MIMO에 대응한다는 것을 제2 표시 정보가 표시할 때, NSS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공간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4이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제1 필드가 SU-MIMO에 대응한다는 것을 제2 표시 정보가 표시할 때, NSS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공간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16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필드가 MU-MIMO에 대응한다는 것을 제2 표시 정보가 표시할 때, NSS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각각의 사용자의 공간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4일 수 있으며,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공간 스트림 수에 대한 요건이 충족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EHT-MCS)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6인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EHT-MCS 서브필드 또는 SNR 서브필드에 대해 기능 확장이 수행되고,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EHT MCS 또는 SNR에 대한 요건이 충족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5이거나,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7이거나,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8이거나, 또는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이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가 조정되고,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RU에 대한 요건이 충족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스킴 요청(MRQ)을 표시하거나;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UL EHT TB PPDU MFB(uplink extremely high throughput trigger-based PPDU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feedback)를 표시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을 참조하여, MRQ 및 UL EHT TB PPDU MFB는 1 비트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MRQ 및 UL EHT TB PPDU MFB 각각이 1 비트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1 비트가 절약될 수 있다. 또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이 하나의 절약된 비트를 사용하여 지원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더 많은 정보를 피드백한다(즉, 비트 수량은 여전히 26임).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대역폭(BW)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BW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이 확장되어, BW 서브필드는 더 많은 대역폭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대역폭에 대한 요건을 충족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4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4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극고처리량(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4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고효율(HE)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현재의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지 또는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지가 제4 표시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2인 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 또는 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는 3 비트로부터 2 비트로 압축되고,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 또는 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에 대한 요건이 충족되면서 비트 수량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이 하나의 절약된 비트를 사용하여 지원될 수 있어서, 제1 필드는 26 비트로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을 피드백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Tx 빔포밍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PPDU는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를 더 포함하고,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은 2, 9, 10, 11, 12, 13, 및 14의 값들 중 하나이다.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9, 10, 11, 12, 13, 및 14의 값들 중 하나일 때, 제어 식별자 필드는 제1 필드가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추가로 표시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2일 때, 제1 필드는 제4 표시 정보를 포함하여, 현재의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지 또는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9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일 때, 제어 식별자 필드는 제1 필드가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통신 장치는 제7 양태 또는 제7 양태의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예를 들어, 처리 모듈 및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은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송수신기 모듈은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제2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제2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S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2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한다.
제8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7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8 양태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7 양태 또는 제7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장치, 또는 제1 통신 장치의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전술한 양태들 또는 가능한 설계들에서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는 제7 양태 또는 제7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1 통신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송수신기는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제2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제2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S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2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한다.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1 통신 장치에 필요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1 통신 장치가 구동될 때,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제1 통신 장치가 제7 양태 또는 제7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제9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7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9 양태의 제1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7 양태 또는 제7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2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장치로부터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고, PPDU를 파싱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제2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제2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S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2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한다.
제10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7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1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2 통신 장치는 제10 양태 또는 제10 양태의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예를 들어, 송수신기 모듈 및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모듈은 제1 통신 장치로부터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유닛은 PPDU를 파싱하도록 구성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제2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제2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S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2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한다.
제11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10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11 양태의 제2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10 양태 또는 제10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1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2 통신 장치는 제2 통신 장치, 또는 제2 통신 장치의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는 전술한 양태들 또는 가능한 설계들에서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통신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제10 양태 또는 제10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2 통신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는 제1 통신 장치로부터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는 PPDU를 파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제2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제2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S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2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한다.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제2 통신 장치에 필요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2 통신 장치가 구동될 때,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제2 통신 장치가 제10 양태 또는 제10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제12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10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12 양태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10 양태 또는 제10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1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통신 장치가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고,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한다.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EHT-MC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제13 양태에 기초하여, SU-MIMO 및 MU-MIMO의 MCS 또는 SNR이 동일한 제1 필드에서 동시에 피드백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2인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를 더 포함하고, NSS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공간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4이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NSS 서브필드는 SU-MIMO 및 MU-MIMO 양자 모두에 적용가능할 수 있고, NSS 서브필드의 값들 0 내지 3은 각각 공간 스트림들의 수 1 내지 4에 대응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5이거나,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7이거나,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8이거나, 또는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이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가 조정되고,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RU에 대한 요건이 충족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스킴 요청(MRQ)을 표시하거나;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UL EHT TB PPDU MFB(uplink extremely high throughput trigger-based PPDU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feedback)를 표시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을 참조하여, MRQ 및 UL EHT TB PPDU MFB는 1 비트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MRQ 및 UL EHT TB PPDU MFB 각각이 1 비트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1 비트가 절약될 수 있다. 또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이 하나의 절약된 비트를 사용하여 지원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더 많은 정보를 피드백한다(즉, 비트 수량은 여전히 26임).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대역폭(BW)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BW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이 확장되어, BW 서브필드는 더 많은 대역폭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대역폭에 대한 요건을 충족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4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4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극고처리량(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4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고효율(HE)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현재의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지 또는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지가 제4 표시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2인 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 또는 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는 3 비트로부터 2 비트로 압축되고,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 또는 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에 대한 요건이 충족되면서 비트 수량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이 하나의 절약된 비트를 사용하여 지원될 수 있어서, 제1 필드는 26 비트로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을 피드백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1인 Tx 빔포밍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PPDU는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를 더 포함하고,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은 2, 9, 10, 11, 12, 13, 및 14의 값들 중 하나이다.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9, 10, 11, 12, 13, 및 14의 값들 중 하나일 때, 제어 식별자 필드는 제1 필드가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추가로 표시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2일 때, 제1 필드는 제4 표시 정보를 포함하여, 현재의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지 또는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9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일 때, 제어 식별자 필드는 제1 필드가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한다.
제1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통신 장치는 제13 양태 또는 제13 양태의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예를 들어, 처리 모듈 및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은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송수신기 모듈은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한다.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EHT-MC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제14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13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14 양태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13 양태 또는 제13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1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장치, 또는 제1 통신 장치의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전술한 양태들 또는 가능한 설계들에서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는 제13 양태 또는 제13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1 통신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송수신기는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한다.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EHT-MC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1 통신 장치에 필요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1 통신 장치가 구동될 때,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제1 통신 장치가 제13 양태 또는 제13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제15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13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15 양태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13 양태 또는 제13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1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2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장치로부터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고, PPDU를 파싱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한다.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EHT-MC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제16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13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1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2 통신 장치는 제16 양태 또는 제16 양태의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예를 들어, 송수신기 모듈 및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모듈은 제1 통신 장치로부터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유닛은 PPDU를 파싱하도록 구성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한다.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EHT-MC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제17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16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17 양태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16 양태 또는 제16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18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2 통신 장치는 제2 통신 장치, 또는 제2 통신 장치의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는 전술한 양태들 또는 가능한 설계들에서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통신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제16 양태 또는 제16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2 통신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는 제1 통신 장치로부터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는 PPDU를 파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한다.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EHT-MC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제2 통신 장치에 필요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2 통신 장치가 구동될 때,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제2 통신 장치가 제16 양태 또는 제16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제18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16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18 양태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16 양태 또는 제16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1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통신 장치가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고,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한다.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제19 양태에 기초하여, SU-MIMO 및 MU-MIMO의 MCS들(또는 SNR들) 및 NSS들이 동일한 제1 필드에서 동시에 피드백될 수 있어, 공간 스트림 수가 보다 정확하게 피드백되고, 통신 시스템의 처리량이 향상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5이거나,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7이거나,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8이거나, 또는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이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가 조정되고,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RU에 대한 요건이 충족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스킴 요청(MRQ)을 표시하거나;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UL EHT TB PPDU MFB(uplink extremely high throughput trigger-based PPDU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feedback)를 표시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을 참조하여, MRQ 및 UL EHT TB PPDU MFB는 1 비트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MRQ 및 UL EHT TB PPDU MFB 각각이 1 비트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1 비트가 절약될 수 있다. 또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이 하나의 절약된 비트를 사용하여 지원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더 많은 정보를 피드백한다(즉, 비트 수량은 여전히 26임).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대역폭(BW)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BW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이 확장되어, BW 서브필드는 더 많은 대역폭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대역폭에 대한 요건을 충족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4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4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극고처리량(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4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고효율(HE)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현재의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지 또는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지가 제4 표시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2인 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 또는 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는 3 비트로부터 2 비트로 압축되고,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 또는 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에 대한 요건이 충족되면서 비트 수량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이 하나의 절약된 비트를 사용하여 지원될 수 있어서, 제1 필드는 26 비트로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을 피드백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Tx 빔포밍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PPDU는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를 더 포함하고,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은 2, 9, 10, 11, 12, 13, 및 14의 값들 중 하나이다.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9, 10, 11, 12, 13, 및 14의 값들 중 하나일 때, 제어 식별자 필드는 제1 필드가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추가로 표시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2일 때, 제1 필드는 제4 표시 정보를 포함하여, 현재의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지 또는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9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일 때, 제어 식별자 필드는 제1 필드가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한다.
제20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통신 장치는 제19 양태 또는 제19 양태의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예를 들어, 처리 모듈 및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은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송수신기 모듈은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한다.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제20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19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20 양태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19 양태 또는 제19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2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장치, 또는 제1 통신 장치의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전술한 양태들 또는 가능한 설계들에서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는 제19 양태 또는 제19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1 통신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송수신기는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한다.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1 통신 장치에 필요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1 통신 장치가 구동될 때,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제1 통신 장치가 제19 양태 또는 제19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제21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19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21 양태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19 양태 또는 제19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2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2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장치로부터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고, PPDU를 파싱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한다.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제22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19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2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2 통신 장치는 제22 양태 또는 제22 양태의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예를 들어, 송수신기 모듈 및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모듈은 제1 통신 장치로부터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유닛은 PPDU를 파싱하도록 구성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한다.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제23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22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23 양태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22 양태 또는 제22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2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2 통신 장치는 제2 통신 장치, 또는 제2 통신 장치의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는 전술한 양태들 또는 가능한 설계들에서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통신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제22 양태 또는 제22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2 통신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는 제1 통신 장치로부터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는 PPDU를 파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한다.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제2 통신 장치에 필요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2 통신 장치가 구동될 때,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제2 통신 장치가 제22 양태 또는 제22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제24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22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24 양태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22 양태 또는 제22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2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통신 장치가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고,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제3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3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비-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비-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제25 양태에 기초하여, 제3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OFDMA에 대응하거나 비-OFDMA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추가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3 표시 정보가 제1 필드가 OFDMA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할 때,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EHT-MCS) 서브필드, 그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 및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5이거나,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7이거나,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8이거나, 또는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이다. 대안적으로, 제3 표시 정보가 제1 필드가 비-OFDMA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할 때,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이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OFDMA와 비교하여, 제1 필드가 비-OFDMA에 대응할 때, 비트 수량을 재사용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필드에서의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MU-MIMO NSS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 및 MU-MIMO EHT-MCS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으로서 사용되어, 비트 재사용을 통해 제한된 비트들에서 OFDMA와 비-OFDMA 사이를 효과적으로 구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드백이 더 정확하고, 통신 시스템의 처리량이 개선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3 표시 정보가 제1 필드가 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할 때,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 및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5이거나,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7이거나,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8이거나, 또는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이다. 대안적으로, 제3 표시 정보가 제1 필드가 비-OFDMA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할 때,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 그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 그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 및 그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이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OFDMA와 비교하여, 제1 필드가 비-OFDMA에 대응할 때, 비트 수량을 재사용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필드에서의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MU-MIMO NSS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 및 MU-MIMO SNR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으로서 사용되어, 비트 재사용을 통해 제한된 비트들에서 OFDMA와 비-OFDMA 사이를 효과적으로 구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드백이 더 정확하고, 통신 시스템의 처리량이 개선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스킴 요청(MRQ)을 표시하거나;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UL EHT TB PPDU MFB(uplink extremely high throughput trigger-based PPDU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feedback)를 표시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을 참조하여, MRQ 및 UL EHT TB PPDU MFB는 1 비트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MRQ 및 UL EHT TB PPDU MFB 각각이 1 비트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1 비트가 절약될 수 있다. 또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이 하나의 절약된 비트를 사용하여 지원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더 많은 정보를 피드백한다(즉, 비트 수량은 여전히 26임).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대역폭(BW)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BW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이 확장되어, BW 서브필드는 더 많은 대역폭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대역폭에 대한 요건을 충족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4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4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극고처리량(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4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고효율(HE)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현재의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지 또는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지가 제4 표시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2인 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또는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 또는 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는 3 비트로부터 2 비트로 압축되고,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 또는 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에 대한 요건이 충족되면서 비트 수량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이 하나의 절약된 비트를 사용하여 지원될 수 있어서, 제1 필드는 26 비트로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을 피드백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Tx 빔포밍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PPDU는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를 더 포함하고,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은 2, 9, 10, 11, 12, 13, 및 14의 값들 중 하나이다.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9, 10, 11, 12, 13, 및 14 중의 값들 하나일 때, 제어 식별자 필드는 제1 필드가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추가로 표시한다.
이러한 가능한 설계에 기초하여,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2일 때, 제1 필드는 제4 표시 정보를 포함하여, 현재의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지 또는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9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일 때, 제어 식별자 필드는 제1 필드가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한다.
제2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통신 장치는 제25 양태 또는 제25 양태의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예를 들어, 처리 모듈 및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은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송수신기 모듈은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제3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3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비-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비-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제26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25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26 양태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25 양태 또는 제25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2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장치, 또는 제1 통신 장치의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전술한 양태들 또는 가능한 설계들에서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는 제25 양태 또는 제25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1 통신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송수신기는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제3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3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비-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비-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제1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1 통신 장치에 필요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1 통신 장치가 구동될 때,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제1 통신 장치가 제25 양태 또는 제25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제27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25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27 양태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25 양태 또는 제25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1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28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2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장치로부터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고, PPDU를 파싱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제3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3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비-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비-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제28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25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2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2 통신 장치는 제28 양태 또는 제28 양태의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예를 들어, 송수신기 모듈 및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모듈은 제1 통신 장치로부터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유닛은 PPDU를 파싱하도록 구성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제3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3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비-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비-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제29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28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29 양태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28 양태 또는 제28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30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2 통신 장치는 제2 통신 장치, 또는 제2 통신 장치의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는 전술한 양태들 또는 가능한 설계들에서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통신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제28 양태 또는 제28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2 통신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는 제1 통신 장치로부터 PPDU(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는 PPDU를 파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제3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제3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비-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비-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제2 통신 장치에 필요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2 통신 장치가 구동될 때,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제2 통신 장치가 제28 양태 또는 제28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제30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28 양태에서의 제1 필드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30 양태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에 대해서는, 제28 양태 또는 제28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에서의 제2 통신 장치의 거동 기능들을 참조한다.
제31 양태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통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결합된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들 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들 또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할 때,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7 양태 또는 제7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0 양태 또는 제10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3 양태 또는 제13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6 양태 또는 제16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9 양태 또는 제19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22 양태 또는 제22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25 양태 또는 제25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28 양태 또는 제28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는 통신 장치 외부에 위치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메모리는 통신 장치 내부에 위치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대안적으로 하나의 컴포넌트로 통합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대안적으로 함께 통합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통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통신 장치 이외의 모듈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결합된다.
제32 양태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통신 장치는 인터페이스 회로 및 로직 회로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회로는 로직 회로에 결합되고, 인터페이스 회로는 정보를 입력 및/또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로직 회로는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 제7 양태 또는 제7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 제10 양태 또는 제10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 제13 양태 또는 제13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 제16 양태 또는 제16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 제19 양태 또는 제19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 제22 양태 또는 제22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 제25 양태 또는 제25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 또는 제28 양태 또는 제28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수행하고;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를 처리 및/또는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인터페이스 회로는 또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로서 설명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33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컴퓨터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7 양태 또는 제7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0 양태 또는 제10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3 양태 또는 제13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6 양태 또는 제16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9 양태 또는 제19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22 양태 또는 제22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25 양태 또는 제25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28 양태 또는 제28 양태의 가능한 설계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된다.
제34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7 양태 또는 제7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0 양태 또는 제10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3 양태 또는 제13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6 양태 또는 제16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9 양태 또는 제19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22 양태 또는 제22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25 양태 또는 제25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28 양태 또는 제28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된다.
제3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7 양태 또는 제7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0 양태 또는 제10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3 양태 또는 제13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6 양태 또는 제16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9 양태 또는 제19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22 양태 또는 제22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25 양태 또는 제25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28 양태 또는 제28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된다.
제31 양태 내지 제35 양태의 임의의 설계 방식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하거나, 제4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하거나, 제7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하거나, 제10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하거나, 제1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하거나, 제16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하거나, 제19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하거나, 제2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하거나, 제25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하거나, 또는 제28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설계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36 양태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통신 시스템은 제2 양태 및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 통신 장치 및 제5 양태 및 제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 통신 장치, 제8 양태 및 제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 통신 장치 및 제11 양태 및 제12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 통신 장치, 제14 양태 및 제15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 통신 장치 및 제17 양태 및 제1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 통신 장치, 제20 양태 및 제21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 통신 장치 및 제23 양태 및 제2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 통신 장치, 또는 제26 양태 및 제2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 통신 장치 및 제29 양태 및 제3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SU-MIMO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U-MIMO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PDU 프레임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A-제어 서브필드 프레임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HLA 제어 서브필드 프레임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 구조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 구조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20MHz의 톤 계획 및 RU 계획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20MHz의 톤 계획 및 RU 계획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20MHz의 톤 계획 및 RU 계획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40MHz의 톤 계획 및 RU 계획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40MHz의 톤 계획 및 RU 계획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40MHz의 톤 계획 및 RU 계획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80MHz의 톤 계획 및 RU 계획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80MHz의 톤 계획 및 RU 계획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80MHz의 톤 계획 및 RU 계획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80MHz의 톤 계획 및 RU 계획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160MHz의 톤 계획 및 RU 계획의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160MHz의 톤 계획 및 RU 계획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320MHz의 톤 계획 및 RU 계획의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320MHz의 톤 계획 및 RU 계획의 개략도이다.
도 2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320MHz의 톤 계획 및 RU 계획의 개략도이다.
도 2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드 프레임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드 프레임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드 프레임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드 프레임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드 프레임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드 프레임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드 프레임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드 프레임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이 설명되기 전에,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들이 설명된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통신 시스템은 802.11n 표준, 802.11ac 표준, 802.11ax 표준, 및 802.11be 표준과 같은, 802.11a/b/g 표준으로부터 시작하는 복수의 세대의 표준들을 거친다. 802.11a/b/g 표준, 802.11n 표준, 802.11ac 표준, 및 802.11ax 표준과 같은, 802.11be 표준 이전의 표준들은 집합적으로 비-802.11be 표준들이라고 또한 지칭될 수 있다.
802.11a/b/g와 같은 802.11n 표준 이전의 표준들은 비-고처리량(non-high throughput, non-HT) 표준들로서 집합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802.11n 표준은 고처리량(high throughput, HT) 표준으로 지칭될 수 있다. 802.11ac 표준은 초고처리량(very high throughput, VHT) 표준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802.11ax 표준은 고효율(high efficient, HE) 표준이라고 지칭될 수 있거나, 6세대 무선 충실도(the sixth wireless fidelity, Wi-Fi 6) 표준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802.11be 표준은 극고처리량(extremely high throughput, EHT) 표준이라고 지칭될 수 있거나, Wi-Fi 7 표준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을 참조한다. 허용된 송신 대역폭들, 공간-시간 스트림들의 수들, 코딩 및 변조 방식들, 및 전술한 표준들의 지원되는 최대 데이터 레이트들이 표 1에 제시될 수 있다.
표 1의 모든 표준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모드를 사용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802.11b 표준은 비-OFDM 모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802.11b 표준은 표 1에 열거되지 않는다.
OFDM은, 서로 간섭하지 않는 복수의 병렬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보장하고, 무선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서 서브캐리어들의 직교성을 이용하여 서브캐리어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현재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본 송신 모드이다. OFDM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무선 통신 시스템,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글로벌 상호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무선 통신 시스템, 및 Wi-Fi 무선 통신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널리 사용된다. 또한, OFDM은 고정 네트워크 송신, 예를 들어, 광섬유, 구리 스트랜드 케이블, 또는 케이블의 송신 방식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OFDM의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OFDM을 사용하고 서로 간섭하지 않는 서브캐리어들이 복수의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경우, OFDM은 복수의 사용자의 액세스 또는 데이터 송신, 즉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OFDMA는 복수의 사용자의 데이터의 병렬 송신을 실현하고 데이터 송신의 동시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링크 적응(link adaptation, LA): 무선 통신의 경우, 무선 통신의 채널의 상태는 일반적으로 시간에 따라 변한다. 구체적으로, 채널은 경로 손실(path loss), 섀도잉(shadowing), 페이딩(fading), 잡음, 및 간섭과 같은 인자들의 변화들로 인해 변화한다. 이에 기초하여, 송신단에서의 통신 장치는 특정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채널 상태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변조 및 코딩 스킴들(modulation and coding schemes, MCS들)을 선택하여, 특정 송신 성공 확률과 높은 송신 레이트 사이의 절충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 처리량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송신단에서의 통신 장치 및 수신단에서의 통신 장치는 특정 채널 사운딩 및 피드백 절차들에 기초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송신단에서의 통신 장치는 채널 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일부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을 획득하고, 다음으로 이러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를 학습하여 적절한 MCS를 선택한다. 대안적으로, 채널 사운딩을 수행한 후에, 수신단의 통신 장치는 수신단의 통신 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MCS 및 수신단의 통신 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공간 스트림 수(number of spatial streams, NSS)를 송신단의 통신 장치에 제안할 수 있다.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시스템: MIMO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양에 기초하여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single-user MIMO, SU-MIMO) 및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user MIMO, MU-MIMO) 시스템으로 분류될 수 있다. MU-MIMO 시스템과 비교하여, SU-MIMO 시스템은 또한 비-MU-MIMO 시스템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SU-MIMO 시스템에서,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점유하는 복수의 병렬 공간 스트림이 동일한 사용자에게 전송되고, SU-MIMO 시스템은 하나의 사용자의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U-MIMO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시스템이다.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들의 수량이 4인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및 안테나들의 수량이 2인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고, AP는 동일한 순간에 하나의 사용자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MU-MIMO 시스템에서,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점유하는 복수의 병렬 공간 스트림이 상이한 사용자들에게 전송되고, MU-MIMO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의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MU-MIMO 시스템의 코어는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 기술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복수의 사용자의 데이터는 동일한 슬롯 및 동일한 서브캐리어이지만 상이한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SDMA 기술은 공간 내의 사용자들을 구별함으로써 링크 상에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하여 통신 시스템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U-MIMO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안테나 시스템이다.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들의 수량이 4인 AP 및 안테나들의 수량이 1인 4명의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고, AP는 동일한 순간에 4명의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PPDU)은 물리 계층에서 전송되는 캐리어이고, 데이터 패킷 또는 물리 계층 데이터 패킷으로서 또한 설명될 수 있다.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MPDU)은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에서 전송되는 캐리어이고, MAC 프레임으로서 또한 설명될 수 있고, PPDU의 데이터 필드에서 운반될 수 있다. MPDU는 제어 프레임, 관리 프레임, 데이터 프레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LAN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시그널링, 관리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는 PPDU에서의 MPDU를 사용하여 통신 장치들 사이에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DU는 프레임 헤더, 프레임 바디(frame body) 필드, 및 프레임 체크 시퀀스(frame check sequence, FCS)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헤더는 옥텟들의 수량이 2인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 옥텟들의 수량이 2인 지속기간/ID(duration/ID) 필드, 옥텟들의 수량이 6인 어드레스 1(address 1, A1) 필드, 옥텟들의 수량이 0 또는 6인 어드레스 2(address 2, A2) 필드, 옥텟들의 수량이 0 또는 6인 어드레스 3(address 3, A3) 필드, 옥텟들의 수량이 0 또는 2인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 필드, 옥텟들의 수량이 0 또는 6인 어드레스 4(address 4, A4) 필드, 옥텟들의 수량이 0 또는 2인 서비스 품질 제어(quality of service control, QoS control) 필드, 및 옥텟들의 수량이 0 또는 4인 고처리량 제어(HT control)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 필드는 상위 계층 또는 일부 관리 시그널링 및 제어 시그널링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운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 체크 시퀀스 필드는 MPDU가 올바르게 송신되는지를 체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MPDU의 프레임 헤더의 고처리량 제어 필드에서, 통신 장치는 또한 일부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처리량 제어 필드의 고효율 변형(예를 들어, HT 변형, VHT 변형 또는 HE 변형)은 집성 제어(aggregated control, A-control)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제어 서브필드는 하나 또는 N개의 제어 서브필드 및 패딩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어 서브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제어 식별자 필드 및 비트 수량이 가변적인 제어 정보 필드를 포함하여, 하나 또는 N개의 제어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각각의 제어 서브필드에서, 제어 식별자 필드는 제어 정보의 타입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802.11ax 표준에 대해, MPDU는 HT 제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또는 A-제어 서브필드로서 또한 설명될 수 있음). HT 제어 필드는 하나 이상의 제어 식별자 필드, 각각의 제어 식별자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 필드 및 패딩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2일 때, 제어 정보 필드는 26 비트 고효율 링크 적응(HE link adaptation, HLA) 제어 서브필드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2.11ax 표준에서, HLA 제어 서브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MCS 피드백(unsolicited MCS feedback, unsolicited MFB)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1인 MCS 요청(MCS request, MRQ)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인 NS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4인 HE-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1인 듀얼 캐리어 변조(dual carrier modulation, DCM)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8인 리소스 유닛 할당(resource unit allocation, RU allocation)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2인 대역폭(bandwidth, BW)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인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 또는 부분 PPDU 파라미터들(MRQ sequence identifier or partial PPDU parameters, MSI/partial PPDU parameter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1인 Tx 빔포밍(Tx beamforming)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1인 업링크 고효율 트리거 기반 PPDU MCS 피드백(uplink HE trigger-based PPDU MFB, UL HE TB PPDU 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예약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각 서브필드의 의미 및 정의는 표 2에 제시될 수 있다.
802.11ax 표준에서, 8 비트의 RU 할당 서브필드에서, 7 비트는 특정 RU를 표시할 수 있고, 나머지 1 비트는 7 비트에 의해 표시된 RU가 1차 80MHz 또는 2차 80MHz에 적용가능한지 여부를 표시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8 비트의 RU 할당 서브필드는 B0 내지 B7이다. B0은 B7 내지 B1에 의해 표시된 RU가 1차 80MHz에 적용가능한지 또는 2차 80MHz에 적용가능한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0은 1차 80MHz를 나타내기 위해 0으로 설정될 수 있고, B0은 2차 80MHz를 나타내기 위해 1로 설정될 수 있다. B7 내지 B1은 7 비트의 인덱스를 사용하여 특정 RU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U 할당 서브필드에 대응하는 대역폭, RU 크기, 및 RU 인덱스가 표 3에 제시될 수 있다.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은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표 2의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802.11ax 표준에서는 HLA 제어 서브필드의 각각의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 및 의미가 미리 정의되어 있다.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HLA 제어 서브필드가 계속 사용되는 경우,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지원될 수 없다는 기술적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은 더 큰 공간 스트림 수 또는 더 큰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HLA 제어 서브필드의 BW 필드 및 NSS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 및 의미가 802.11ax 표준에서 미리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HLA 제어 서브필드는 더 큰 공간 스트림 수 또는 더 큰 대역폭을 지원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 대응하는 링크 적응 제어 서브필드를 적절히 설계하는 방식은 긴급히 해결되어야 할 기술적 문제가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 통신 장치는 PPDU를 생성하고,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MRQ를 표시하거나;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UL EHT TB PPDU MFB를 표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을 참조하여, MRQ 및 UL EHT TB PPDU MFB는 1 비트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MRQ 및 UL EHT TB PPDU MFB 각각이 1 비트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1 비트가 절약될 수 있다. 또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이 하나의 절약된 비트를 사용하여 지원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더 많은 정보를 피드백한다(즉, 비트 수량은 여전히 26임).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구현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은 임의의 WLAN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802.11be 표준을 사용하는 WLAN 시스템일 수 있거나, 미래의 Wi-Fi 표준을 사용하는 WLAN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미래의 Wi-Fi 표준은 802.11bx 표준 또는 802.11cx 표준과 같은 표준일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802.11bx 표준은 Wi-Fi 8 표준으로도 설명될 수 있고, 802.11cx 표준은 Wi-Fi 9 표준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802.11be 표준에 대응하는 제1 필드는 LA 제어 서브필드, EHT LA 제어 서브필드, 또는 다른 명칭의 서브필드로 지칭될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802.11be 표준 이후의 표준에 대응하는 제1 필드는 LA 제어 서브필드, 진화된 극고처리량 LA(evolved extremely high throughput LA, EHT+LA) 제어 서브필드, 또는 다른 명칭의 서브필드로 지칭될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802.11bx 표준에 대응하는 LA 제어 서브필드는 LA 제어 서브필드, EHT+LA 제어 서브필드, 또는 다른 명칭의 서브필드로 지칭될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802.11cx 표준에 대응하는 LA 제어 서브필드는 LA 제어 서브필드, EHT+LA 제어 서브필드, 또는 다른 명칭의 서브필드로 지칭될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즉, 802.11ax 표준 이후의 각각의 표준에서의 제1 필드의 명칭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WLAN 통신 시스템은 추가로 전술한 Wi-Fi 표준, 예를 들어, 셀룰러, 블루투스, 및 초광대역(ultra-wideband, UWB)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은 예로서 도 6을 사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WLAN 통신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 및 스테이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고,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고, 하나의 스테이션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스테이션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는 AP일 수 있고, 스테이션 디바이스는 스테이션(station, STA)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P는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예를 들어, 802.11bx 표준 또는 802.11cx 표준)과 같은 복수의 WLAN 표준들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802.11a/b/g 표준, 802.11n 표준, 802.11ac 표준, 또는 802.11ax 표준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P는 단말 디바이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통신 서버, 라우터, 스위치, 브리지, 또는 Wi-Fi 칩을 갖는 컴퓨터일 수 있다. AP는 대안적으로 모바일 사용자가 유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데 사용되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AP는 주로, 집, 건물, 및 캠퍼스 내부에 배치되며, 수십 미터 내지 수백 미터의 전형적인 커버리지 반경을 갖는다. 물론, AP는 대안적으로 실외에 배치될 수 있다. AP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브리지와 등가이고; 주로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들을 서로 연결한 다음, 무선 네트워크를 이더넷에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STA는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예를 들어, 802.11bx 표준 또는 802.11cx 표준)과 같은 복수의 WLAN 표준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802.11a/b/g 표준, 802.11n 표준, 802.11ac 표준, 또는 802.11ax 표준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STA는 무선 통신 칩, 무선 센서, 무선 통신 단말, 통신 서버, 라우터, 스위치, 브리지, 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TA는 Wi-Fi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전화, Wi-Fi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태블릿 컴퓨터, Wi-Fi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셋톱 박스, Wi-Fi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 TV, Wi-Fi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Wi-Fi 통신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차량 탑재 통신 디바이스, 및 Wi-Fi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컴퓨터일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구현 동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 및 각각의 스테이션 디바이스는 도 7에 도시된 구성 구조를 사용하거나, 도 7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통신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 또는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 내의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장치는 스테이션 디바이스 또는 스테이션 디바이스 내의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는 메모리, 스케줄러, 제어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MAC 계층, 물리(physical, PHY) 계층, 및 무선 주파수/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시그널링 정보, 미리 합의된 사전 설정 값 등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시그널링 정보를 파싱하고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주파수/안테나는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는 선점된 큐 및 고속 큐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호 통신을 위해 선점된 큐와 고속 큐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 및 각각의 스테이션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도 8에 도시된 구성 구조를 사용하거나,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8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통신 장치(800)는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 또는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 내의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장치(800)는 스테이션 디바이스 또는 스테이션 디바이스 내의 칩 또는 시스템 온 칩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800)는 프로세서(801), 송수신기(802), 및 통신 라인(803)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 장치(800)는 메모리(8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1), 메모리(804), 및 송수신기(802)는 통신 라인(803)을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801)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범용 프로세서, 네트워크 프로세서(network processor, NP),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801)는 처리 기능을 갖는 다른 장치, 예를 들어, 회로, 컴포넌트,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송수신기(802)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다른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통신 네트워크는 이더넷,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등일 수 있다. 송수신기(802)는 모듈, 회로, 송수신기, 또는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통신 라인(803)은 통신 장치(800)에 포함된 컴포넌트들 사이에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804)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명령어는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메모리(804)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정적 정보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정적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또는 정보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동적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전기적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또는 다른 콤팩트 디스크 스토리지, 광 디스크 스토리지(콤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등을 포함함),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804)는 프로세서(801)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프로세서(801)와 통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메모리(804)는 명령어들, 프로그램 코드, 일부 데이터 등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804)는 통신 장치(800)에 위치될 수 있거나, 통신 장치(800)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801)는 메모리(804)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본 출원의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프로세서(801)는 하나 이상의 CPU, 예를 들어, 도 8의 CPU 0 및 CPU 1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구현에서, 통신 장치(800)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8의 프로세서(801) 외에도, 통신 장치(800)는 프로세서(8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구현에서, 통신 장치(800)는 출력 디바이스(805) 및 입력 디바이스(806)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806)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또는 조이스틱이고, 출력 디바이스(805)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스피커)이다.
통신 장치(800)는, 데스크탑 컴퓨터, 휴대형 컴퓨터, 네트워크 서버,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무선 단말, 임베디드 디바이스, 칩 시스템, 또는 도 8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구성 구조는 통신 장치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통신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것들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일부 컴포넌트들이 조합될 수 있거나, 상이한 컴포넌트 배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다른 개별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액션들, 용어들 등에 대해서는, 서로를 참조한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들 사이에 교환되는 메시지들의 명칭들, 메시지들 내의 파라미터들의 명칭들 등은 단지 예들이다. 구체적인 구현 동안 다른 명칭들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을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을 설명한다. 제1 통신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의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 또는 스테이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의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 디바이스 또는 스테이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제1 통신 장치와 제2 통신 장치 양쪽 모두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901: 제1 통신 장치가 PPDU를 생성한다.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MRQ를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UL EHT TB PPDU MFB를 표시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필드는 구체적으로 MAC 프레임 내의 A-제어 필드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필드는 LA 제어 서브필드로서 또한 설명될 수 있고, 제1 표시 정보는 MRQ/UL EHT TB PPDU MFB 서브필드로서 또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1 표시 정보가 MRQ를 표시할 때, 제1 표시 정보는 MRQ 서브필드로서 또한 설명될 수 있다. 제1 표시 정보가 UL EHT TB PPDU MFB를 표시할 때, 제1 표시 정보는 또한 UL EHT TB PPDU MFB 서브필드로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0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MRQ를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1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UL EHT TB PPDU MFB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표 2로부터,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1일 때, UL EHT TB PPDU는 제1 필드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UL TB PPDU를 위해 사용되는지를 표시할 수 있고, MRQ는 예약 비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0일 때, MRQ는 요청된 피드백이 사용되는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UL EHT TB PPDU는 예약 비트이다. UL EHT TB PPDU 서브필드 및 MRQ 서브필드는 1 비트로 압축된다, 즉, UL EHT TB PPDU 또는 MRQ는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사용하여 표시되어, 비트 수량이 절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된 피드백의 특정 절차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MFB 요청자라고도 설명될 수 있는) 제1 통신 장치는 PPDU를 이용하여 MFB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MFB 요청에서, 비요청 MFB 서브필드는 0으로 설정된다. 제1 표시 정보는 MRQ를 표시하고, 제1 표시 정보는 1로 설정된다. MFB 요청자에 의해 전송된 MFB 요청을 수신한 후, 제2 통신 장치(MFB 응답자라고도 설명될 수 있음)는 MFB 요청을 운반하는 PPDU에 기초하여 관련 MFB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MFB 응답을 MFB 요청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MFB 응답에서, 비요청 MFB 서브필드는 0으로 설정되고, MRQ 서브필드는 0으로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MFB 요청은 SU-MIMO/MU-MIMO 표시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SU-MIMO/MU-MIMO 표시자는 1 비트이다. 1 비트는 SU-MIMO를 표시하기 위해 0으로 설정될 수 있고, 1 비트는 MU-MIMO를 표시하기 위해 1로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1 비트는 SU-MIMO를 표시하기 위해 1로 설정될 수 있고, 1 비트는 MU-MIMO를 표시하기 위해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요청 피드백의 특정 절차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는 PPDU를 사용하여 비요청 MFB를 전송할 수 있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는 1로 설정되고, 제1 표시 정보는 UL EHT TB PPDU MFB를 표시한다. 비요청 MFB는 PPDU의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표시할 수 있어서, 제2 통신 장치가 수신된 PPDU에 기초하여 MFB 파라미터를 추정하도록 한다.
PPDU의 대응하는 파라미터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PPDU 포맷, 코딩 타입, Tx 빔포밍 표시, SU-MIMO/MU-MIMO 송신 등.
단계 902: 제1 통신 장치는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한다. 대응하여, 제2 통신 장치는 PPDU를 수신한다.
단계 903: 제2 통신 장치는 PPDU를 파싱한다.
도 9에 도시된 방법에 기초하여,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을 참조하여, MRQ 및 UL EHT TB PPDU MFB는 1 비트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MRQ 및 UL EHT TB PPDU MFB 각각이 1 비트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1 비트가 절약될 수 있다. 또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이 하나의 절약된 비트를 사용하여 지원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더 많은 정보를 피드백한다(즉, 비트 수량은 여전히 26임).
또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NSS 서브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NSS 서브필드는 공간 스트림 수를 표시하고, 공간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16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SS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3과 같다. 비트 수량의 값들 0 내지 7은 공간 스트림 수 1 내지 16에서의 임의의 8개의 공간 스트림 수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트 수량의 값들 0 내지 7은 공간 스트림 수 1, 2, 4, 6, 8, 10, 12, 및 16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트 수량의 값들 0 내지 7은 공간 스트림 수 1, 3, 5, 7, 9, 11, 13, 및 16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NSS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4와 같다. 비트 수량의 값들 0 내지 15는 공간 스트림 수 1 내지 16에 대응할 수 있고, 비트 값과 공간 스트림 수 사이의 특정 대응은 제한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비트 수량의 값 0 내지 15는 공간 스트림 수 1 내지 16에 일대일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비트 값 0은 공간 스트림 수 1에 대응하고, 비트 값 1은 공간 스트림 수 2에 대응하고, 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열거되지 않는다.
제1 필드에서, 비요청 MFB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되고 UL EHT TB PPDU MFB 서브필드가 0으로 설정될 때,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가 0으로 설정되고 MRQ 서브필드가 0으로 설정될 때, NSS 서브필드는 스테이션에 전송되는 PPDU에 추천된 공간 스트림 수를 표시할 수 있다(또는 피드백을 전송하는 스테이션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비요청 MCS 피드백이 1로 설정되고 UL EHT TB PPDU MFB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될 때, NSS 서브필드는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EHT TB PPDU에 추천된 공간 스트림 수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NSS 서브필드는 예약된다.
NSS 서브필드의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NSS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공간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16일 수 있고,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공간 스트림 수에 대한 요건이 더 잘 충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EHT-MCS 서브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6인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드가 비트 수량이 4인 EHT-MCS 서브필드를 포함할 때, EHT-MCS 서브필드는 추천된 EHT MCS를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값에 대응하는 EHT-MCS 서브필드 및 EHT MCS의 값은 다음의 표 4에 제시될 수 있다.
EHT-MCS 서브필드의 값이 14 또는 15일 때, EHT-MCS 서브필드는 DCM이 추천됨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즉, EHT-MCS 서브필드의 값들이 0 내지 15일 때, EHT-MCS 서브필드는 DCM이 추천되는지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EHT-MCS 서브필드의 값이 14일 때, BPSK-DCM에 기초하여 반복된 송신이 도입될 수 있다.
제1 필드에서, 비요청 MFB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되고 UL EHT TB PPDU MFB 서브필드가 0으로 설정될 때,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가 0으로 설정되고 MRQ 서브필드가 0으로 설정될 때, EHT-MCS 서브필드는 스테이션에 전송되는 PPDU의 추천된 EHT MCS를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되고 UL EHT TB PPDU MFB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될 때, EHT-MCS 서브필드는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EHT TB PPDU의 추천된 EHT-MCS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EHT-MCS 서브필드는 예약된다.
제1 필드가 비트 수량이 6인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를 포함할 때, SNR 서브필드는 2의 보수 코드에 의해 표시되는 유부호 정수일 수 있으며, 여기서 비트의 최상위 비트는 음이고, 다른 비트는 양이다. 예를 들어, 100001은 다음을 나타낼 수 있다: -32+1=-31. SNR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유부호 정수들의 범위는 -32 내지 31일 수 있다. 각각의 유부호 정수와 신호-대-잡음비 간의 대응 관계는 다음 표 5에 제시될 수 있다.
802.11ax 표준과 비교되는, EHT-MCS 서브필드 또는 SNR 서브필드의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HE-MCS 서브필드는 4 비트 EHT-MCS 서브필드로 대체된다. 대안적으로, HE-MCS 서브필드가 6 비트 SNR 서브필드로 대체되며,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EHT MCS 또는 SNR에 대한 요건이 더 잘 충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필드는 RU 할당 서브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5이거나,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7이거나,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8이거나, 또는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이다.
RU 크기에 기초하여, 242-톤 미만의 RU는 작은 RU(small RU)라고 지칭될 수 있고, 242-톤 이상의 RU는 큰 RU(large RU)라고 지칭될 수 있고, 고정된 조합의 복수의 RU는 다중 리소스 유닛(multiple resource unit, MRU)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큰 RU에 의해 지원되는 조합 경우들이 OFDMA 송신과 비-OFDMA(비-OFDMA라고도 설명될 수 있음) 송신에 대해 상이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OFDMA 송신과 비교하여, 비-OFDMA 송신은 하나 이상의 996+484+242-톤 RU를 지원하고, 다른 경우들은 동일하다.
20MHz의 대역폭이 예로서 사용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20MHz의 톤 계획들 및 RU 계획들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크기는 26-톤, 52-톤, 106-톤, 또는 242-톤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크기는 26-톤, 52-톤, 또는 52+26-톤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크기는 26-톤, 106-톤, 또는 106+26-톤일 수 있다.
40MHz의 대역폭이 예로서 사용된다. 도 13 내지 도 15는 40MHz의 톤 계획들 및 RU 계획들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크기는 26-톤, 52-톤, 106-톤, 242-톤, 또는 484-톤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크기는 26-톤, 52-톤, 또는 52+26-톤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크기는 26-톤, 106-톤, 또는 106+26-톤일 수 있다.
80MHz의 대역폭이 예로서 사용된다. 도 16 내지 도 19는 80MHz의 톤 계획들 및 RU 계획들일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크기는 26-톤, 52-톤, 106-톤, 242-톤, 484-톤, 또는 996-톤일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크기는 26-톤, 52-톤, 또는 52+26-톤일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크기는 26-톤, 106-톤, 또는 106+26-톤일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크기는 484+242-톤일 수 있다.
160MHz 또는 80+80MHz의 대역폭이 예로서 사용된다. 전체 대역폭은 2개의 80MHz의 톤 계획들의 복제로서 고려될 수 있다. 전체 대역폭은 전체 2x996-톤 RU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26-톤 RU, 52-톤 RU, 106-톤 RU, 242-톤 RU, 484-톤 RU, 및 996-톤 RU의 다양한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크기는 996+484-톤일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크기는 996+484+242-톤일 수 있다.
320MHz 또는 160+160MHz의 대역폭이 예로서 사용된다. 전체 대역폭은 4개의 80MHz의 톤 계획들의 복제로서 고려될 수 있다. 전체 대역폭은 전체 4x996-톤 RU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26-톤 RU, 52-톤 RU, 106-톤 RU, 242-톤 RU, 484-톤 RU, 및 996-톤 RU의 다양한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크기는 2x996+484-톤일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크기는 3x996-톤일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 크기는 3x996+484-톤일 수 있다.
각각의 대역폭의 RU의 전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제1 예에서,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5이다. 표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특정 RU는 펑처링 패턴을 표시하기 위해 5 비트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제2 예에서,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7이다. 다음 표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도 10 내지 도 24에 도시된 RU 계획들을 참조하여, 242-톤 이상의 큰 RU 또는 MRU가 7 비트를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제3 예에서,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8이다. 대역폭 표시를 참조하여, 8 비트 각각은 242-톤 RU 또는 484-톤 RU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의 표 8이 예로서 사용된다. 대역폭들이 20 MHz, 40 MHz, 80 MHz, 및 160 MHz일 때, 각각의 비트는 하나의 242-톤 RU를 나타낼 수 있다. 대역폭이 320MHz일 때, 각각의 비트는 하나의 484-톤 RU를 나타낼 수 있다. RU는 각각의 비트의 값을 1로 설정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제4 예에서,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이다. 9 비트에서의 제1 비트는 후속 8 비트 각각이 242-톤 RU 또는 484-톤 RU를 나타내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입도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의 표 9가 예로서 사용된다. 제1 비트의 값은 0으로 설정되어, 후속 8 비트 각각이 242-톤 RU를 나타내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대역폭이 20 MHz, 40 MHz, 80 MHz, 및 160 MHz인 통신 시나리오에 적용가능하다. 제1 비트의 값은 1로 설정되어, 후속 8 비트 각각이 484-톤 RU를 나타내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대역폭이 320 MHz인 통신 시나리오에 적용가능하다. RU는 8 비트 각각의 값을 1로 설정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2개의 연속적인 242-톤 RU들은 하나의 484-톤 RU로 조합될 수 있고, 2개의 연속적인 484-톤 RU들은 하나의 996-톤 RU로 조합될 수 있고, 나머지는 유추에 의해 추론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5 예에서,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이다. 다음의 표 10에 제시된 바와 같이, RU 할당 서브필드의 1 비트 PS160 서브필드는 RU가 1차 160 MHz 또는 2차 160 MHz에 대응하는지를 표시할 수 있고, RU 또는 MRU는 8 비트를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제1 필드에서, 비요청 MFB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되고 UL EHT TB PPDU MFB 서브필드가 0으로 설정될 때, RU 할당 서브필드는 추천된 EHT MCS가 스테이션에 전송된 PPDU에 적용되는 RU를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가 0으로 설정되고 MRQ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될 때, RU 할당 서브필드는 피드백을 얻기 위해 MFB 요청자에 의해 지정된 RU를 표시할 수 있다. RU 할당 서브필드 및 BW 서브필드는 특정 리소스 유닛을 공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되고 UL EHT TB PPDU MFB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될 때, RU 할당 서브필드는 추천된 EHT-MCS가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EHT TB PPDU에 적용되는 리소스 유닛을 표시할 수 있다. RU의 실제 할당이 수신자에 의해 무시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경우들에서, RU 할당 서브필드는 예약된다.
RU 할당 서브필드의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예 내지 제5 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더 많은 RU 타입들이 도입되고,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RU에 대한 요건이 더 잘 충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BW 서브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W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3이다. 3 비트의 상이한 값들은 상이한 대역폭들에 대응할 수 있다. 비트 값과 대역폭 사이의 특정 대응은 제한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비트 수량은 20MHz를 표시하기 위해 0으로 설정되고, 40MHz를 표시하기 위해 1로 설정되고, 80MHz를 표시하기 위해 2로 설정되고, 160MHz를 표시하기 위해 3으로 설정되고, 그리고 320MHz를 표시하기 위해 4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필드에서, 비요청 MFB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되고 UL EHT TB PPDU MFB 서브필드가 0으로 설정될 때, BW 서브필드는 추천된 EHT-MCS가 스테이션에 전송된 PPDU에 적용되는 대역폭을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가 0으로 설정되고, MRQ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될 때, BW 서브필드는 피드백을 얻기 위해 MFB 요청자에 의해 지정되는 대역폭을 표시할 수 있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되고 UL EHT TB PPDU MFB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될 때, BW 서브필드는 추천된 EHT-MCS가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EHT TB PPDU에 적용되는 대역폭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BW 서브필드는 예약된다.
BW 서브필드의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BW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더 많은 대역폭들을 도입하도록 확장되고, 따라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대역폭에 대한 요건이 더 잘 충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2인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드에서, 비요청 MFB 서브필드가 0으로 설정되고 MRQ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될 때,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는 특정 EHT-MCS 피드백 요청을 식별하는 0 내지 3 범위의 시퀀스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가 0으로 설정되고 MRQ 서브필드가 0으로 설정될 때,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는 특정 EHT-MCS 피드백에 응답하는 0 내지 3의 범위 내의 시퀀스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될 때,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는 1 비트 PPDU 포맷 서브필드 및 1 비트 코딩 타입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PPDU 포맷 서브필드는 비요청 MFB에 대해 파라미터 추정이 수행될 때 사용되는 PPDU의 타입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PPDU 포맷 서브필드의 값은 EHT MU PPDU를 표시하기 위해 0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PPDU 포맷 서브필드의 값은 EHT TB PPDU를 표시하기 위해 1로 설정될 수 있다. 코딩 타입 서브필드는 코딩 타입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딩 타입 서브필드의 값은 이진 컨볼루션 코딩을 나타내기 위해 0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코딩 타입 서브필드의 값은 저밀도 패리티 체크 코딩을 나타내기 위해 1로 설정될 수 있다.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의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는 3 비트로부터 2 비트로 압축된다.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에 대한 요건이 충족되면서 비트 수량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의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절약된 1 비트를 사용하여 지원될 수 있어서, 제1 필드는 26 비트로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을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Tx 빔포밍 서브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x 빔포밍 서브필드의 설명에 대해서는, 표 2의 Tx 빔포밍 서브필드의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4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4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PPDU는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 표 11을 참조한다.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2일 때, 제어 정보는 제1 필드이다. 따라서,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은 2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은 예약 값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은 2일 수 있거나, 또는 9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2일 때, 제1 필드는 제4 표시 정보를 포함하여, 현재의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지 또는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9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일 때, 제어 식별자 필드는 제1 필드가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한다.
제1 필드 및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의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비트 압축은 제1 필드의 비트 수량이 26으로 유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절약된 비트들을 사용함으로써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예를 들어, 더 큰 공간 스트림 수, 더 많은 RU들, 더 큰 대역폭, 및 HE LA 제어 서브필드와 EHT LA 제어 서브필드 사이의 효과적인 구별)을 더 잘 지원하기 위해 이하의 방법 1 내지 방법 6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즉, 제1 필드의 비트 수량이 26인 한, 비트 압축을 구현하기 위해 또는 압축을 통해 절약되는 비트들을 사용하여 기능 정보 확장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의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필드에 대응하는 비트 수량을 사용하여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방법 1: MRQ 및 UL EHT TB PPDU MFB는 비트 압축을 구현하기 위해 1 비트 제1 표시 정보로 압축된다.
방법 2: EHT-MCS 서브필드에 대한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EHT-MCS 서브필드는 DCM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DCM 서브필드는 비트 압축을 구현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방법 3: RU 할당 서브필드의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압축된다. 예를 들어,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비트 압축을 구현하기 위해 5, 7, 또는 8로 설정될 수 있다.
방법 4: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의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는 802.11ax 표준에서의 3 비트로부터 2 비트로 압축되어 비트 압축을 구현한다.
방법 5: Tx 빔포밍 서브필드는 비트 압축을 구현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방법 6: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은 제4 표시 정보를 제거하기 위해 9 내지 14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어, 비트 압축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MRQ 및 UL EHT TB PPDU MFB는 1 비트로 압축될 수 있고,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는 2 비트로 압축될 수 있고, DCM 서브필드는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NSS 서브필드는 4 비트로 확장되고, HE-MCS 서브필드는 4 비트 EHT-MCS 서브필드로 대체되고, RU 할당 서브필드는 9 비트로 확장되고, BW 서브필드는 3 비트로 확장되고, 제4 표시 정보는 절약된 비트들을 사용하여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지 또는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추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더 큰 공간 스트림 수, 더 많은 RU들, 더 큰 대역폭, 및 HE LA 제어 서브필드와 EHT LA 제어 서브필드 사이의 효과적인 구별과 같은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지원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5와 비교하여, MRQ 및 UL EHT TB PPDU MFB는 1 비트로 압축되지 않을 수 있고, 비트 압축은 더 큰 공간 스트림 수를 표시하는 3 비트 NSS 서브필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 비트 NSS 서브필드에 의해 공간 스트림 수를 표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5와 비교하여,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은 대안적으로 9 내지 14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어, 제4 표시 정보를 제거하여, 비트 압축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여전히, 예약 비트이고 특정 표시 정보에 사용되지 않는 1 비트가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필드에 대해 기능 확장이 수행될 때, 1 비트 예약 비트는 특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1 비트가 사용될 때, 1 비트는 더 이상 예약 비트로서 고려되지 않는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1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UL EHT TB PPDU MFB를 표시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UL EHT TB PPDU MFB 서브필드의 값이 1일 때, 제1 필드는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BW 서브필드, RU 할당 서브필드, EHT-MCS 서브필드, 및 NSS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UL EHT TB PPDU MFB 서브필드의 값이 0일 때, 제1 필드는 Tx 빔포밍 서브필드,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BW 서브필드, RU 할당 서브필드, EHT-MCS 서브필드, 및 NSS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0일 때, 제1 표시 정보는 MRQ를 표시할 수 있다. MRQ 서브필드의 값이 1일 때, 제1 필드는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BW 서브필드, 및 RU 할당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MRQ 서브필드의 값이 0일 때, 제1 필드는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EHT-MCS 서브필드 및 NSS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28에 도시된 제1 필드에 대응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른 제1 필드를 추가로 제공한다.
제1 필드의 비트 수량은 26이고, 제1 필드는 제2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SU-MIMO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제2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MU-MIMO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SU-MIMO 및 MU-MIMO에 대해, MU-MIMO에서의 사용자들은 서로 간섭할 수 있고, MU-MIMO에 대응하는 링크 적응 피드백 파라미터는 일반적으로 SU-MIMO의 것과 상이하다. 현재 피드백이 SU-MIMO인지 또는 MU-MIMO인지가 제2 표시 정보를 추가하는 것에 의해 구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통신 시스템의 처리량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제2 표시 정보의 비트 수량은 1이다. 제2 표시 정보의 값은 제1 필드가 S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0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제2 표시 정보의 값은 제1 필드가 M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1로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표시 정보의 값은 제1 필드가 S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1로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제2 표시 정보의 값은 제1 필드가 M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정보가 제1 필드가 SU-MIMO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할 때, NSS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공간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16일 수 있다. 제2 표시 정보가 제1 필드가 MU-MIMO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할 때, NSS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공간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4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SU-MIMO에 대응하고, NSS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이 3과 같다는 것을 표시한다. 비트 수량의 값들 0 내지 7은 공간 스트림 수 1 내지 16에서의 임의의 8개의 공간 스트림 수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트 수량의 값들 0 내지 7은 공간 스트림 수 1, 2, 4, 6, 8, 10, 12, 및 16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트 수량의 값들 0 내지 7은 공간 스트림 수 1, 3, 5, 7, 9, 11, 13, 및 16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NSS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4와 같다. 비트 수량의 값들 0 내지 15는 공간 스트림 수 1 내지 16에 대응할 수 있고, 비트 값과 공간 스트림 수 사이의 특정 대응은 제한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비트 수량의 값 0 내지 15는 공간 스트림 수 1 내지 16에 일대일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비트 값 0은 공간 스트림 수 1에 대응하고, 비트 값 1은 공간 스트림 수 2에 대응하고, 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열거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MU-MIMO에 대응하고, NSS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이 3 이상이라는 것을 표시한다. NSS 서브필드의 2 비트의 값들 0 내지 3은 각각 공간 스트림 수 1 내지 4에 대응할 수 있고, NSS 서브필드의 나머지 비트는 예약 비트이다.
또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EHT-MCS 서브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6인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EHT-MCS 서브필드 또는 SNR 서브필드의 설명에 대해서는, 표 4 또는 표 5에 대응하는 EHT-MCS 서브필드 또는 SNR 서브필드의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필드는 RU 할당 서브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5이거나,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7이거나,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8이거나, 또는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이다.
RU 할당 서브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24 및 표 6 내지 표 10에서의 RU 할당 서브필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필드는 다음의 서브필드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BW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2인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1인 Tx 빔포밍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4 표시 정보.
또한, 제1 필드에 대응하는 PPDU는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정보, BW 서브필드,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Tx 빔포밍 서브필드, 제4 표시 정보, 및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1 필드에 대응하는 LA 제어 필드 및 제어 식별자 필드의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비트 압축은 또한 제1 필드의 비트 수량이 26으로 유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절약된 비트들을 사용함으로써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예를 들어, 더 큰 공간 스트림 수, 더 많은 RU들, 더 큰 대역폭, 및 HE LA 제어 서브필드와 EHT LA 제어 서브필드 사이의 효과적인 구별)을 더 잘 지원하기 위해 전술한 방법 1 내지 방법 6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필드의 비트 수량이 26인 한, 전술한 방법 1 내지 방법 6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을 위해 사용되어, 비트 압축을 구현하거나 또는 압축을 통해 절약되는 비트들을 사용하여 기능 정보 확장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필드에 대응하는 비트 수량을 사용하여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후술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MRQ 및 UL EHT TB PPDU MFB는 1 비트로 압축될 수 있고,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는 2 비트로 압축될 수 있고, DCM 서브필드는 제거될 수 있어서, NSS 서브필드는 4 비트로 확장되고, HE-MCS 서브필드는 4 비트 EHT-MCS 서브필드로 대체되고, 제2 표시 정보가 추가되고, BW 서브필드는 3 비트로 확장되고, 제4 표시 정보는 절약된 비트들을 사용하여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지 또는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추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더 큰 공간 스트림 수, 더 많은 RU들, 더 큰 대역폭, SU-MIMO와 MU-MIMO 사이의 효과적인 구별, 및 HE LA 제어 서브필드와 EHT LA 제어 서브필드 사이의 효과적인 구별과 같은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지원될 수 있다.
제2 표시 정보가 제1 필드가 SU-MIMO에 대응하는지 또는 MU-MIMO에 대응하는지를 표시하는 것에 대응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는 제1 필드를 제공하고, SU-MIMO 및 MU-MIMO의 MCS들 또는 SNR들은 동일한 제1 필드에서 동시에 피드백될 수 있다.
제1 필드의 비트 수량은 26이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SU-MIMO EHT-MC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4인 MU-MIMO EHT-MCS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SU-MIMO SNR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6인 MU-MIMO SNR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2인 NSS 서브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NSS 서브필드는 SU-MIMO 및 MU-MIMO 둘 다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NSS 서브필드의 값 0 내지 3은 각각 공간 스트림의 번호 1 내지 4에 대응할 수 있다. 비트 값과 공간 스트림 수 사이의 특정 대응은 제한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비트 수량의 값 0 내지 3은 공간 스트림 수 1 내지 4에 일대일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비트 값 0은 공간 스트림 수 1에 대응하고, 비트 값 1은 공간 스트림 수 2에 대응하고, 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열거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필드는 RU 할당 서브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5이거나,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7이거나,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8이거나, 또는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이다.
RU 할당 서브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24 및 표 6 내지 표 10에서의 RU 할당 서브필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필드는 다음의 서브필드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BW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2인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1인 Tx 빔포밍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4 표시 정보.
또한, 제1 필드에 대응하는 PPDU는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정보, BW 서브필드,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Tx 빔포밍 서브필드, 제4 표시 정보, 및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1 필드에 대응하는 LA 제어 필드 및 제어 식별자 필드의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비트 압축은 또한 제1 필드의 비트 수량이 26으로 유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절약된 비트들을 사용함으로써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예를 들어, 더 많은 RU들, 더 큰 대역폭, 및 HE LA 제어 서브필드와 EHT LA 제어 서브필드 간의 효과적인 구별)을 더 잘 지원하기 위해 전술한 방법 1 내지 방법 6 및 이하의 방법 7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필드의 비트 수량이 26인 한, 전술한 방법 1 내지 방법 6 및 이하의 방법 7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을 위해 사용되어, 비트 압축을 구현하거나 또는 압축을 통해 절약되는 비트들을 사용하여 기능 정보 확장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필드에 대응하는 비트 수량을 사용하여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후술하지 않는다.
방법 7: 비트 수량이 2인 NSS 서브필드의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NSS 서브필드는 802.11ax 표준에서의 3 비트로부터 2 비트로 압축되어, 비트 압축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MRQ 및 UL EHT TB PPDU MFB는 1 비트(즉,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1 표시 정보, 특정 표시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함)로 압축될 수 있고, NSS 서브필드가 2 비트로 압축될 수 있고,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가 2 비트로 압축될 수 있고, DCM 서브필드가 제거될 수 있고, RU 할당 서브필드가 5 비트로 압축될 수 있으며, 따라서, 4 비트 SU-MIMO EHT-MCS 서브필드 및 4 비트 MU-MIMO EHT-MCS 서브필드가 추가되고, BW 서브필드가 3 비트로 확장되고, 제4 표시 정보가 추가되어 절약된 비트들을 사용하여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지 또는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지를 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더 많은 RU들, 더 큰 대역폭, SU-MIMO와 MU-MIMO 사이의 효과적인 구별, 및 HE LA 제어 서브필드와 EHT LA 제어 서브필드 사이의 효과적인 구별과 같은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지원될 수 있다. 이 경우, 여전히, 예약 비트들이고 특정 표시 정보에 사용되지 않는 2 비트가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필드에 대해 기능 확장이 수행될 때, 2 비트 예약 비트들은 특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2 비트가 사용될 때, 2 비트는 더 이상 예약 비트로 고려되지 않는다.
SU-MIMO 및 MU-MIMO 둘 다의 MCS들 또는 SNR들이 동일한 제1 필드에서 동시에 피드백되는 것과 유사하게,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필드를 제공한다. SU-MIMO 및 MU-MIMO의 MCS들(또는 SNR들) 및 NSS들은 동일한 제1 필드에서 동시에 피드백될 수 있어서, 공간 스트림 수가 더 정확하게 피드백되고, 통신 시스템의 처리량이 개선된다.
제1 필드의 비트 수량은 26이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SU-MIMO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4인 MU-MIMO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SU-MIMO 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MU-MIMO NSS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SU-MIMO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6인 MU-MIMO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SU-MIMO 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MU-MIMO NSS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SU-MIMO NSS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공간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16일 수 있다. MU-MIMO NSS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공간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4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U-MIMO NSS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3과 같다. 비트 수량의 값들 0 내지 7은 공간 스트림 수 1 내지 16에서의 임의의 8개의 공간 스트림 수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트 수량의 값들 0 내지 7은 공간 스트림 수 1, 2, 4, 6, 8, 10, 12, 및 16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트 수량의 값들 0 내지 7은 공간 스트림 수 1, 3, 5, 7, 9, 11, 13, 및 16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SU-MIMO NSS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4와 같다. 비트 수량의 값들 0 내지 15는 공간 스트림 수 1 내지 16에 대응할 수 있고, 비트 값과 공간 스트림 수 사이의 특정 대응은 제한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비트 수량의 값 0 내지 15는 공간 스트림 수 1 내지 16에 일대일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비트 값 0은 공간 스트림 수 1에 대응하고, 비트 값 1은 공간 스트림 수 2에 대응하고, 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열거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필드는 RU 할당 서브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5이거나,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7이거나,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8이거나, 또는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이다.
RU 할당 서브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24 및 표 6 내지 표 10에서의 RU 할당 서브필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필드는 다음의 서브필드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BW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2인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1인 Tx 빔포밍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4 표시 정보.
또한, 제1 필드에 대응하는 PPDU는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정보, BW 서브필드,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Tx 빔포밍 서브필드, 제4 표시 정보, 및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1 필드에 대응하는 LA 제어 필드 및 제어 식별자 필드의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비트 압축은 또한 제1 필드의 비트 수량이 26으로 유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절약된 비트들을 사용함으로써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예를 들어, 더 큰 공간 스트림 수, 더 많은 RU들, 더 큰 대역폭, 및 HE LA 제어 서브필드와 EHT LA 제어 서브필드 사이의 효과적인 구별)을 더 잘 지원하기 위해 전술한 방법 1 내지 방법 6 및 이하의 방법 8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필드의 비트 수량이 26인 한, 전술한 방법 1 내지 방법 6 및 이하의 방법 8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을 위해 사용되어, 비트 압축을 구현하거나 또는 압축을 통해 절약되는 비트들을 사용하여 기능 정보 확장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필드에 대응하는 비트 수량을 사용하여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후술하지 않는다.
방법 8: RU 할당 서브필드는 비트 압축을 구현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MRQ 및 UL EHT TB PPDU MFB는 1 비트로 압축될 수 있고,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는 2 비트로 압축될 수 있고, DCM 서브필드는 제거될 수 있고, RU 할당 서브필드는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4 비트 SU-MIMO NSS 서브필드, 4 비트 SU-MIMO EHT-MCS 서브필드, 2 비트 MU-MIMO NSS 서브필드, 및 4 비트 MU-MIMO EHT-MCS 서브필드가 추가되고, BW 서브필드는 3 비트로 확장되고, 제4 표시 정보는 절약된 비트들 및 4 비트 HE-MCS를 사용하여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지 또는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추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더 큰 공간 스트림 수, 더 많은 RU들, 더 큰 대역폭, 및 HE LA 제어 서브필드와 EHT LA 제어 서브필드 사이의 효과적인 구별과 같은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지원될 수 있다. 이 경우, 예약 비트들이고 특정 표시 정보에 사용되지 않는 3 비트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필드에 대해 기능 확장이 수행될 때, 3 비트 예약 비트들은 특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3 비트가 사용될 때, 3 비트는 더 이상 예약 비트로 고려되지 않는다.
도 9 내지 도 31에 도시된 제1 필드에 대응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필드를 추가로 제공한다.
제1 필드의 비트 수량은 26이고, 제1 필드는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거나, 제3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비-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필드가 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제3 표시 정보가 표시할 때,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4인 SU-MIMO EHT-MCS 서브필드, 그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SU-MIMO NSS 서브필드, 및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5이거나,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7이거나,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8이거나, 또는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이다. 제1 필드가 비-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제3 표시 정보가 표시할 때,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4인 SU-MIMO EHT-MCS 서브필드, 그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SU-MIMO NSS 서브필드, 그 비트 수량이 2인 MU-MIMO NSS 서브필드, 및 그 비트 수량이 4인 MU-MIMO EHT-MCS 서브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필드가 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제3 표시 정보가 표시할 때,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6인 SU-MIMO SNR 서브필드, 그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SU-MIMO NSS 서브필드, 및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5이거나,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7이거나,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8이거나, 또는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이다. 제3 표시 정보가 제1 필드가 비-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할 때, 제1 필드는 그 비트 수량이 6인 SU-MIMO SNR 서브필드, 그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SU-MIMO NSS 서브필드, 그 비트 수량이 2인 MU-MIMO NSS 서브필드, 및 그 비트 수량이 6인 MU-MIMO SNR 서브필드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2개의 예에 기초하여, OFDMA와 비교하여, 제1 필드가 비-OFDMA에 대응할 때, 비트 수량을 재사용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필드에서의 RU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MU-MIMO NSS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 및 MU-MIMO EHT-MCS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으로서 사용되어, 비트 재사용을 통해 제한된 비트들에서 OFDMA와 비-OFDMA 사이를 효과적으로 구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드백이 더 정확하고, 통신 시스템의 처리량이 개선된다.
또한, 제1 필드는 다음의 서브필드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BW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2인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1인 Tx 빔포밍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4 표시 정보.
또한, 제1 필드에 대응하는 PPDU는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정보, BW 서브필드,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 Tx 빔포밍 서브필드, 제4 표시 정보, 및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1 필드에 대응하는 LA 제어 필드 및 제어 식별자 필드의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비트 압축은 또한 제1 필드의 비트 수량이 26으로 유지되는 것에 기초하여 절약된 비트들을 사용함으로써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예를 들어, 더 큰 공간 스트림 수, 더 많은 RU들, 더 큰 대역폭, 및 HE LA 제어 서브필드와 EHT LA 제어 서브필드 사이의 효과적인 구별)을 더 잘 지원하기 위해 전술한 방법 1 내지 방법 6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필드의 비트 수량이 26인 한, 전술한 방법 1 내지 방법 6은 조합을 위해 사용되어, 압축을 통해 절약되는 비트들을 사용하여 비트 압축을 구현하거나 또는 기능 정보 확장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필드에 대응하는 비트 수량을 사용하여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후술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2.11ax 표준과 비교하여, MRQ 및 UL EHT TB PPDU MFB는 1 비트로 압축될 수 있고, MSI/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는 2 비트로 압축될 수 있고, DCM 서브필드는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1 비트 제3 표시 정보, 4 비트 SU-MIMO NSS 서브필드, 및 4 비트 SU-MIMO EHT-MCS 서브필드는 절약된 비트들을 사용하여 추가된다. 802.11ax 표준에서의 RU 할당 서브필드의 8 비트는 RU 할당을 표시한다. 대안적으로, 802.11ax 표준에서의 RU 할당 서브필드의 8 비트는 더 이상 RU 할당을 표시하지 않지만, 2 비트 MU-MIMO NSS 서브필드, 4 비트 MU-MIMO EHT-MCS 서브필드, 및 2 비트 예약 비트들을 표시하기 위해, 8 비트에 대해 다시 기능 분할이 수행된다. BW 서브필드는 3 비트로 확장되고, 제4 표시 정보는 제1 필드가 HE LA 제어 서브필드인지 또는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추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802.11be 표준 또는 미래의 Wi-Fi 표준에서 더 큰 공간 스트림 수, 더 많은 RU들, 더 큰 대역폭, 및 HE LA 제어 서브필드와 EHT LA 제어 서브필드 사이의 효과적인 구별과 같은 더 많은 특징들 및 기능들이 지원될 수 있다. 이 경우, 여전히, 예약 비트들이고 특정 표시 정보에 사용되지 않는 2 비트가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필드에 대해 기능 확장이 수행될 때, 2 비트 예약 비트들은 특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2 비트가 사용될 때, 2 비트는 더 이상 예약 비트로 고려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독립적인 실시예들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내용은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해결책들을 주로 설명한다. 전술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디바이스들은 기능들에 대응하는 하드웨어 구조들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한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예들에서의 알고리즘들 및 단계들과 조합하여, 본 출원이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해결책들의 특정 응용들 및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전술한 방법 예들에 기초하여 기능 모듈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기능에 대응하는 각각의 기능 모듈은 분할을 통해 획득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기능이 하나의 처리 모듈에 통합될 수 있다. 통합된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모듈들로의 분할은 예이고, 단지 논리적 기능 분할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 구현에서, 다른 분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기능 모듈이 각각의 대응하는 기능에 기초한 분할을 통해 획득될 때, 도 33은 제1 통신 장치를 도시한다. 제1 통신 장치(330)는 처리 모듈(3301) 및 송수신기 모듈(33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장치(330)는 제1 통신 장치일 수 있거나, 제1 통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칩, 또는 제1 통신 장치의 기능들을 갖는 다른 조합된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330)가 제1 통신 장치일 때, 처리 모듈(3301)은 프로세서(또는 처리 회로), 예를 들어 기저대역 프로세서일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모듈(3302)은 송수신기일 수 있고, 송수신기는 안테나, 무선 주파수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330)가 제1 통신 장치의 기능들을 갖는 컴포넌트인 경우, 처리 모듈(3301)은 프로세서(또는 처리 회로), 예를 들어 기저대역 프로세서일 수 있다. 송수신기 모듈(3302)은 무선 주파수 모듈일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330)가 칩 시스템일 때, 처리 모듈(3301)은 칩 시스템의 프로세서(또는 처리 회로) 또는 로직 회로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모듈(3302)은 칩(예를 들어, 기저대역 칩)의 입력/출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처리 모듈(3301)은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관련 회로 컴포넌트(또는 처리 회로라고 지칭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송수신기 모듈(3302)은 송수신기 또는 송수신기-관련 회로 컴포넌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모듈(3301)은 전송 및 수신 동작들을 제외하고 도 9 내지 도 32에 도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모든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및/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기 모듈(3302)은 도 9 내지 도 32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모든 전송 및 수신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있거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도 33에서의 처리 모듈(3301)은 프로세서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처리 모듈(3301)의 기능을 통합할 수 있다. 송수신기 모듈(3302)은 송수신기로 대체될 수 있고, 송수신기는 송수신기 모듈(3302)의 기능을 통합할 수 있다. 또한, 도 33에 도시된 제1 통신 장치(330)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모듈(3301)이 프로세서에 의해 대체되고, 송수신기 모듈(3302)이 송수신기에 의해 대체될 때,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제1 통신 장치(330)는 도 8에 도시된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처리 모듈(3301)이 프로세서에 의해 대체되고, 송수신기 모듈(3302)이 송수신기에 의해 대체될 때,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제1 통신 장치(330)는 대안적으로 도 34에 도시된 통신 장치(340)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로직 회로(3401)일 수 있고, 송수신기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3402)일 수 있다. 또한, 도 34에 도시된 통신 장치(340)는 메모리(34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능 모듈이 각각의 대응하는 기능에 기초한 분할을 통해 획득될 때, 도 35는 제2 통신 장치를 도시한다. 제2 통신 장치(350)는 송수신기 모듈(3501) 및 처리 모듈(35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 장치(350)는 제2 통신 장치일 수 있거나, 제2 통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칩, 또는 제2 통신 장치의 기능들을 갖는 다른 조합된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350)가 제2 통신 장치일 때, 송수신기 모듈(3501)은 송수신기일 수 있고, 송수신기는 안테나, 무선 주파수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모듈(3502)은 프로세서(또는 처리 회로), 예를 들어, 기저대역 프로세서일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350)가 제2 통신 장치의 기능들을 갖는 컴포넌트일 때, 송수신기 모듈(3501)은 무선 주파수 모듈일 수 있고, 처리 모듈(3502)은 프로세서(또는 처리 회로), 예를 들어 기저대역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350)가 칩 시스템일 때, 송수신기 모듈(3501)은 칩(예를 들어, 기저대역 칩)의 입력/출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처리 모듈(3502)은 칩 시스템 또는 로직 회로의 프로세서(또는 처리 회로)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송수신기 모듈(3501)은 송수신기 또는 송수신기 관련 회로 컴포넌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처리 모듈(3502)은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관련 회로 컴포넌트(또는 처리 회로라고 지칭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 모듈(3501)은 도 9 내지 도 3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모든 전송 및 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있거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모듈(3502)은 전송 및 수신 동작들을 제외하고 도 9 내지 도 32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모든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도 35의 송수신기 모듈(3501)은 송수신기로 대체될 수 있고, 송수신기는 송수신기 모듈(3501)의 기능을 통합할 수 있다. 처리 모듈(3502)은 프로세서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처리 모듈(3502)의 기능을 통합할 수 있다. 또한, 도 35에 도시된 제2 통신 장치(350)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모듈(3501)이 송수신기로 대체되고, 처리 모듈(3502)이 프로세서로 대체될 때,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제2 통신 장치(350)는 도 8에 도시된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송수신기 모듈(3501)이 송수신기로 대체되고, 처리 모듈(3502)이 프로세서로 대체될 때,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제2 통신 장치(350)는 대안적으로 도 34에 도시된 통신 장치(340)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로직 회로(3401)일 수 있고, 송수신기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3402)일 수 있다. 또한, 도 34에 도시된 통신 장치(340)는 메모리(34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절차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전술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절차들이 포함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데이터 송신단 및/또는 데이터 수신단을 포함하는) 단말의 내부 저장 유닛, 예를 들어, 단말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메모리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단말 상에 구성되는 단말의 외부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어, 플러그인 하드 디스크, 스마트 미디어 카드(smart media card, SMC), 보안 디지털(secure digital, SD) 카드, 플래시 카드(flash card) 등일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단말의 내부 저장 유닛 및 외부 저장 디바이스 둘 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단말에 의해 요구되는 다른 프로그램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출력되었거나 출력될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명세서, 청구항들, 및 첨부 도면들에서, 용어들 "제1", "제2" 등은 상이한 객체들을 구별하도록 의도되지만 특정 순서를 표시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포함하는(including)" 및 "갖는(having)"이라는 용어들 및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들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들 또는 유닛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디바이스는 열거된 단계들 또는 유닛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열거되지 않은 단계 또는 유닛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디바이스의 다른 고유한 단계 또는 유닛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은 하나 이상을 의미하고, "복수의"는 2개 이상을 의미하고, "적어도 2개의 (항목들)"은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고, "및/또는"은 연관된 대상들 사이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는데 사용되고, 3개의 관계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만 존재하고, B만 존재하고, A와 B 둘 다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A와 B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문자 "/"는 일반적으로 연관된 대상들 사이의 "또는" 관계를 나타낸다. "다음의 항목들(단편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것의 유사한 표현은 단일 항목(단편) 또는 복수 항목(단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 이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를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a, b, 및 c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전체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하나의 실시예(one embodiment)" 또는 "실시예(embodiment)"는 실시예들에 관련된 특정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이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하나의 실시예에서(in one embodiment)" 또는 "실시예에서(in an embodiment)"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특정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조합될 수 있다.
구현들에 관한 전술한 설명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편리하고 간략한 설명의 목적으로, 전술한 기능 모듈들의 분할이 예시를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제 적용에서, 위에 설명된 기능들은 상이한 기능 모듈들에 할당되고 요건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즉, 장치의 내부 구조는 전술한 기능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기능 모듈들로 분할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개시되는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이다. 예를 들어, 모듈들 또는 유닛들로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 기능 분할이고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들 또는 컴포넌트들이 다른 장치에 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들이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들 또는 유닛들 사이의 간접 결합들 또는 통신 연결들은 전자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별개의 부분들로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으며, 유닛들로서 표시된 부분들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 유닛일 수 있거나, 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거나, 상이한 장소에 분산될 수 있다.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들의 해결책들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건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능 유닛들은 하나의 처리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유닛들 각각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된다. 통합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될 때, 통합된 유닛은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질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 또는 종래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해결책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디바이스(단일 칩 마이크로컴퓨터, 칩 등일 수 있음)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게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라고 명령하는 수개의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 예를 들어,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식 하드 디스크,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를 포함한다.

Claims (30)

  1. 통신 방법으로서,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 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스킴 요청 MRQ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업링크 극고처리량 트리거 기반 PPDU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 UL EHT TB PPDU MFB를 표시함 -;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통신 방법으로서,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통신 장치로부터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 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스킴 요청 MRQ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업링크 극고처리량 트리거 기반 PPDU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 UL EHT TB PPDU MFB를 표시함 -; 및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PPDU를 파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제1 통신 장치로서,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상기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 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스킴 요청 MRQ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업링크 극고처리량 트리거 기반 PPDU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 UL EHT TB PPDU MFB를 표시함 -; 및
    상기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4. 제2 통신 장치로서,
    제1 통신 장치로부터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모듈- 상기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 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스킴 요청 MRQ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업링크 극고처리량 트리거 기반 PPDU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 UL EHT TB PPDU MFB를 표시함 -; 및
    상기 PPDU를 파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공간 스트림 수 NSS 서브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NSS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공간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16인, 방법 또는 장치.
  6. 통신 방법으로서,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는 제2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하거나,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M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함 -;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통신 방법으로서,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통신 장치로부터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는 제2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하거나,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M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함 -; 및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PPDU를 파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제1 통신 장치로서,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상기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는 제2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하거나,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M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함 -; 및
    상기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9. 제2 통신 장치로서,
    제1 통신 장치로부터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모듈- 상기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제2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하거나,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MU-MIMO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함 -; 및
    상기 PPDU를 파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공간 스트림 수(NSS) 서브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가 SU-MIMO에 대응한다는 것을 상기 제2 표시 정보가 표시할 때, 상기 NSS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공간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16개이거나; 또는 상기 제1 필드가 MU-MIMO에 대응한다는 것을 상기 제2 표시 정보가 표시할 때, 상기 NSS 서브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공간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4인, 방법 또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 EHT-MCS 서브필드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신호-대-잡음비 SNR 서브필드를 더 포함하는, 방법 또는 장치.
  12. 통신 방법으로서,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 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 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함 -;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3. 통신 방법으로서,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통신 장치로부터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 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 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함 -; 및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PPDU를 파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4. 제1 통신 장치로서,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상기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 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 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함 -; 및
    상기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5. 제2 통신 장치로서,
    제1 통신 장치로부터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모듈- 상기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 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 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를 포함함 -; 및
    상기 PPDU를 파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5이거나, 상기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7이거나, 상기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8이거나, 또는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인, 방법 또는 장치.
  17. 통신 방법으로서,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상기 제3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비-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비-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함 -;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8. 통신 방법으로서,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제1 통신 장치로부터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3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비-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비-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함 -; 및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상기 PPDU를 파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9. 제1 통신 장치로서,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상기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3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비-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비-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함 -; 및
    상기 PPDU를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20. 제2 통신 장치로서,
    제1 통신 장치로부터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PDU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모듈- 상기 PPDU는 비트 수량이 26인 제1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3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비-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비-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함 -; 및
    상기 PPDU를 파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상기 제3 표시 정보가 표시할 때,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극고처리량 변조 및 코딩 스킴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 NSS 서브필드, 및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5이거나, 상기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7이거나, 상기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8이거나, 또는 상기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이거나; 또는
    상기 제3 표시 정보가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비-OFDMA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할 때,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4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4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EHT-MCS 서브필드를 더 포함하는, 방법 또는 장치.
  22.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OFDMA에 대응한다는 것을 상기 제3 표시 정보가 표시할 때,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신호-대-잡음비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공간 스트림 수 NSS 서브필드, 및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5이거나, 상기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7이거나, 상기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8이거나, 또는 리소스 유닛 할당 서브필드의 비트 수량은 9이거나; 또는
    상기 제3 표시 정보가 상기 제1 필드가 상기 비-OFDMA에 대응하는 것을 표시할 때,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6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단일-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 비트 수량이 2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NSS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6인 다중-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NR 서브필드를 더 포함하는, 방법 또는 장치.
  23. 제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비요청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 MFB 서브필드 및 비트 수량이 1인 제1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1 값일 때,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변조 및 코딩 스킴 요청 MRQ를 표시하거나; 또는 비요청 MFB 서브필드의 값이 제2 값일 때,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업링크 극고처리량 트리거 기반 PPDU 변조 및 코딩 스킴 피드백 UL EHT TB PPDU MFB를 표시하는, 방법 또는 장치.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3 이상인 대역폭 BW 서브필드를 더 포함하는, 방법 또는 장치.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제4 표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극고처리량 링크 적응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하거나, 상기 제4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필드가 고효율 HE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표시하는, 방법 또는 장치.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2인 변조 및 코딩 스킴 MCS 요청 시퀀스 식별자 또는 부분 PPDU 파라미터 서브필드를 더 포함하는, 방법 또는 장치.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비트 수량이 1인 Tx 빔포밍 서브필드를 더 포함하는, 방법 또는 장치.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PDU는 상기 제1 필드에 대응하는 제어 식별자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은 2, 9, 10, 11, 12, 13, 및 14의 값들 중 하나이고;
    상기 제어 식별자 필드의 값이 9, 10, 11, 12, 13, 및 14의 값들 중 하나일 때, 상기 제어 식별자 필드는 상기 제1 필드가 EHT LA 제어 서브필드인 것을 추가로 표시하는, 방법 또는 장치.
  29.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들 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들 또는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제1항, 제5항, 제11항, 제16항, 및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2항, 제5항, 제11항, 제16항, 및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6항, 제10항, 제11항, 제16항, 및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7항, 제10항, 제11항, 제16항 및 제23항 내니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2항, 제16항, 및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3항, 제16항, 및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7항 및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또는 제18항 및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30.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들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제1항, 제5항, 제11항, 제16항, 및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2항, 제5항, 제11항, 제16항, 및 제2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6항, 제10항, 제11항, 제16항, 및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7항, 제10항, 제11항, 제16항 및 제23항 내니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2항, 제16항, 및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3항, 제16항, 및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7항 및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거나, 제18항 및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이 수행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37042329A 2021-05-20 2022-05-16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2400050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554343.2A CN115396519A (zh) 2021-05-20 2021-05-20 通信方法和装置
CN202110554343.2 2021-05-20
PCT/CN2022/093093 WO2022242605A1 (zh) 2021-05-20 2022-05-16 通信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082A true KR20240005082A (ko) 2024-01-11

Family

ID=8411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329A KR20240005082A (ko) 2021-05-20 2022-05-16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080127A1 (ko)
EP (1) EP4329244A1 (ko)
KR (1) KR20240005082A (ko)
CN (3) CN116668550B (ko)
AU (1) AU2022277464A1 (ko)
BR (1) BR112023023608A2 (ko)
CA (1) CA3219337A1 (ko)
WO (1) WO20222426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19407A (zh) * 2020-01-10 2023-07-11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单元合并指示的方法和通信装置
WO2022169324A1 (ko) * 2021-02-05 2022-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선된 링크 적응 제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56657B1 (en) * 2010-12-22 2019-03-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link adapt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GB2543698B (en) * 2014-08-21 2022-02-02 Lg Electronics Inc Data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EP3236625B1 (en) * 2014-12-16 2020-07-22 LG Electronics Inc. Data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7030295A1 (ko) * 2015-08-19 2017-02-23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의 피드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S2906817T3 (es) * 2016-01-14 2022-04-20 Huawei Tech Co Ltd Método y aparato de transmisión de datos en WLAN
WO2019074249A1 (ko) * 2017-10-15 2019-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756491B (zh) * 2019-03-26 2023-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分配方法及装置
US11128515B2 (en) * 2019-04-30 2021-09-21 Intel Corporation Extreme high throughput future proof preamble design
CN112217548B (zh) * 2019-07-12 2023-04-07 华为技术有限公司 多用户多输入多输出的用户数指示方法和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68550A (zh) 2023-08-29
CN116723252A (zh) 2023-09-08
AU2022277464A1 (en) 2023-11-30
EP4329244A1 (en) 2024-02-28
BR112023023608A2 (pt) 2024-03-12
CA3219337A1 (en) 2022-11-24
CN116723252B (zh) 2024-03-26
CN116668550B (zh) 2024-03-26
US20240080127A1 (en) 2024-03-07
WO2022242605A1 (zh) 2022-11-24
CN115396519A (zh)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694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use discontinuous channel
US109384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US1117169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signaling multi-user packet
KR102010006B1 (ko)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의 soma를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7078858B (zh) 在无线lan系统中发送和接收多用户块确认帧的方法及其设备
US113240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LAN system
US10231148B2 (en) Signaling data unit format parameters for multi-user transmissions
JP6735477B2 (ja) アクセスポイント、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US20220173851A1 (en) Frequency domai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39302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US202103070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ul data in wireless lan system
KR20240005082A (ko) 통신 방법 및 장치
US11558819B2 (en) Power save for multi-user (MU) operation
US202103287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ceiving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KR20230014778A (ko)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5208508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配置穿透模式的方法和装置
JP6430641B2 (ja) 情報送信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ユーザ装置
CN111416699A (zh) 一种信息上报方法及通信装置
TWI826014B (zh) 一種通信方法、通信裝置、通信系統、電腦可讀存儲介質、電腦程式產品及晶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