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879A - expansion valve - Google Patents

expansion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879A
KR20240004879A KR1020237041609A KR20237041609A KR20240004879A KR 20240004879 A KR20240004879 A KR 20240004879A KR 1020237041609 A KR1020237041609 A KR 1020237041609A KR 20237041609 A KR20237041609 A KR 20237041609A KR 20240004879 A KR20240004879 A KR 20240004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valve
section
throttle section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1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중보 펑
위안양 린
저우 위
즈구오 송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04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879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16K27/04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with wedge-shaped obtu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팽창 밸브는 서로 연통되는 밸브 캐비티(11) 및 유통 채널(12)이 내부에 설치된 밸브 시트(10) - 밸브 캐비티(11)와 유통 채널(12)의 연결 지점에는 밸브 포트(13)를 형성함 - ; 및 서로 연결된 본체부(21) 및 스로틀부(22)를 포함하는 밸브 니들(20) - 본체부(21)는 밸브 캐비티(11)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스로틀부(22)는 밸브 포트(13)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됨 - 을 포함한다. 스로틀부(22)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스로틀 구간을 포함한다. 각각의 스로틀 구간은 모두 동일한 단면의 기둥체 구조이다. 인접한 2개의 스로틀 구간 사이는 연결 단차를 형성한다. 상기 팽창 밸브는 종래 기술의 팽창 밸브가 스로틀링 시 유통 면적이 가공 정밀도의 영향을 비교적 크게 받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expansion valve has a valve seat (10) installed inside a valve cavity (11) and a distribution channel (12)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valve port (13)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valve cavity (11) and the distribution channel (12). - ; and a valve needle 20 including a main body part 21 and a throttle part 22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main body part 21 is movably installed in the valve cavity 11, and the throttle part 22 is connected to the valve port ( 13) Installed to be movable - Includes. The throttle unit 22 includes a plurality of sequentially connected throttle sections. Each throttle section is a pillar structure with the same cross section. A connection step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throttle sections. The expansion valve can solve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expansion valve of the prior art has a relatively large distribution area affected by processing precision when throttling.

Description

팽창 밸브expansion valve

본 출원은 2021년 5월 7일 중국 국가지식재산권국에 제출된 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출원번호는 202120966626.3이고 출원의 명칭은 "팽창 밸브"이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to a patent application filed with the State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f China on May 7, 2021, whose application number is 202120966626.3 and the application's title is "Expansion valve".

본 출원은 팽창 밸브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팽창 밸브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the field of expansion valve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expansion valves.

현재, 종래 기술에서 팽창 밸브에는 일반적으로 밸브 시트 및 밸브 니들이 포함된다. 밸브 니들의 스로틀 부위는 일반적으로 테이퍼가 있는 구조를 채택한다. 스로틀링 시 유통 면적은 스프링과 밸브 전후 압력차에 따라 변화한다. 이처럼, 유량 정밀도는 스프링의 제조 정밀도와 밸브 니들의 테이퍼 부위의 가공 정밀도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따라서 실제 적용에서 스로틀링 시 유통 면적이 정밀도 영향 변동에 의해 비교적 크게 영향을 받고 유량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Currently, in the prior art, expansion valves generally include a valve seat and a valve needle. The throttle portion of the valve needle generally adopts a tapered structure. During throttling, the distribution area changes depending on the pressur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spring and valve. In this way, flow precision is entirely dependent on the manufacturing precision of the spring and the machining precision of the taper portion of the valve needle. Therefore, in actual applic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tribution area is relatively greatly affected by precision influence fluctuations during throttling and the flow stability is low.

본 출원의 주요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 팽창 밸브가 스로틀링 시 유통 면적이 가공 정밀도에 비교적 크게 영향을 받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팽창 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expansion valve that solves the technical problem in the prior art that the distribution area when the expansion valve is throttled is relatively greatly affected by processing precis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은 팽창 밸브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서로 연통되는 밸브 캐비티 및 유통 채널이 설치된 밸브 시트 - 밸브 캐비티와 유통 채널의 연결 지점에는 밸브 포트를 형성함 - ; 및 서로 연결된 본체부 및 스로틀부를 포함하는 밸브 니들 - 본체부는 밸브 캐비티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스로틀부는 밸브 포트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됨 - 이 포함된다. 스로틀부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스로틀 구간을 포함한다. 각각의 스로틀 구간은 모두 동일한 단면의 기둥체 구조이다. 인접한 2개의 스로틀 구간 사이는 연결 단차를 형성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n expansion valve. This includes a valve seat equipped with a valve cavity and a distribution channel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forming a valve port 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valve cavity and the distribution channel; and a valve needle including a main body portion and a throttle portion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main body portion is movably installed in the valve cavity, and the throttle portion is movably installed in the valve port. The throttl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equentially connected throttle sections. Each throttle section is a pillar structure with the same cross section. A connection step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throttle sections.

또한, 스로틀부는 서로 연결된 제1 스로틀 구간 및 제2 스로틀 구간을 포함한다. 제1 스로틀 구간은 본체부와 연결된다. 제2 스로틀 구간은 본체부에서 멀리 있는 제1 스로틀 구간의 일단에 설치된다. 제1 스로틀 구간의 직경은 제2 스로틀 구간의 직경보다 크다.Additionally, the throttle unit includes a first throttle section and a second throttle section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throttle section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e second throttle section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rst throttle section far from the main body.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ttle section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또한, 스로틀부는 제3 스로틀 구간을 더 포함한다. 제3 스로틀 구간은 제1 스로틀 구간에서 멀리 있는 제2 스로틀 구간의 일단에 설치된다. 제2 스로틀 구간의 직경은 제3 스로틀 구간의 직경보다 크다.Additionally, the throttle unit further includes a third throttle section. The third throttle section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far from the first throttle sectio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throttle section.

또한, 각각의 스로틀 구간은 모두 원기둥 구간 구조이며, 밸브 포트는 원형 개구 구조이다.Additionally, each throttle section has a cylindrical section structure, and the valve port has a circular opening structure.

또한, 제1 스로틀 구간의 직경은 D1이고, 제2 스로틀 구간의 직경은 D2이고, 1.1<D1/D2<2이다.Additionally,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ttle section is D 1 ,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is D 2 , and 1.1<D 1 /D 2 <2.

또한, 제1 스로틀 구간의 직경은 D1이고, 밸브 포트의 직경은 D3이고, 0.5<D1/D3<0.9이다.Additionally,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ttle section is D 1 , the diameter of the valve port is D 3 , and 0.5 < D 1 /D 3 < 0.9.

또한, 제2 스로틀 구간의 직경은 D2이고, 밸브 포트의 직경은 D3이고, 0.3<D2/D3<0.8이다.Additionally,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is D 2 , the diameter of the valve port is D 3 , and 0.3 < D 2 /D 3 < 0.8.

또한, 팽창 밸브는 밸브 시트에 장착되는 밀봉 헤드를 더 포함한다. 밀봉 헤드는 유통 채널에서 멀리 있는 밸브 캐비티의 일단에 위치한다. 유통 채널의 길이는 H1이고, 유통 채널에 가까운 밀봉 헤드의 일단과 유통 채널에 가까운 밸브 캐비티의 일단은 거리가 H2이다. 스로틀부의 길이는 L1이고, 유통 채널에 가까운 밀봉 헤드의 일단과 유통 채널에 가까운 본체부의 일단은 거리가 L2이고, L1+L2>H1+H2이다.Additionally, the expansion valve further includes a sealing head mounted on the valve seat. The sealing head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valve cavity away from the distribution channel. The length of the distribution channel is H 1 , and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sealing head close to the distribution channel and one end of the valve cavity close to the distribution channel is H 2 . The length of the throttle portion is L 1 , and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sealing head close to the distribution channel and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close to the distribution channel is L 2 , and L 1 +L 2 >H 1 +H 2 .

또한, 각각의 스로틀 구간은 모두 원기둥 구간 구조이며, 밸브 포트는 다각형 구조이다.Additionally, each throttle section has a cylindrical structure, and the valve port has a polygonal structure.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을 적용함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스로틀 구간을 설치하며, 각각의 스로틀 구간은 모두 동일한 단면의 기둥체 구조이다. 이를 통해 각각의 스로틀 구간의 유통량이 모두 일정한 값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유량을 조절할 때에는 스로틀부를 대응하는 스로틀 구간이 밸브 포트에 위치하도록 조절하기만 하면 된다. 각각의 스로틀 구간은 모두 길이가 일정하다. 따라서 조절할 때 스로틀부를 대응하는 스로틀 구간의 길이 범위 내로만 조절하면 된다. 정확하게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통 면적이 테이퍼에 비교적 크게 영향 받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2개의 스로틀 구간 사이는 연결 단차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인접한 2개의 스로틀 구간의 연결 지점이 테이퍼형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로틀부가 상이한 스로틀 상태 사이에서 전환을 수행하기가 용이하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책을 채택하면, 종래 기술의 팽창 밸브가 스로틀링 시 유통 면적이 가공 정밀도의 영향을 비교적 크게 받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pplying the technical solution of this application, a plurality of sequentially connected throttle sections are installed, and each throttle section is a pillar structure with the same cross sec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distribution volume in each throttle section is all constant. When adjusting the flow rate, simply adjust the throttl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ttle section to be located at the valve port. Each throttle section has a constant length. Therefore, when adjusting, the throttle section only needs to be adjusted within the length range of the corresponding throttle sec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accurately adjus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where the distribution area is relatively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aper. Additionally, a connection step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throttle sections. This prevents the connection points of two adjacent throttle sections from being installed in a tapered structure. Therefore, it is easy for the throttle unit to perform transitions between different throttle states. Adopting the technical solution provided in this application can solve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expansion valve of the prior art has a distribution area relatively greatly affected by processing precision when throttling.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명세서 첨부 도면은 본 출원의 추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다. 첨부 도면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도 1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팽창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부가 제1 스로틀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부가 제2 스로틀 상태에 있을 때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니들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시트의 저면도이다.
The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which form par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intended to aid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 description thereof are intended to interpret the present application,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ptions of the attached drawings are as follows.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pansion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thrott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it is in a first throttle state.
Figure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thrott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it is in a second throttle state.
Figure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valve nee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5 is a bottom view of a valv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충돌이 없는 한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징은 서로 결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Note that the embodiments and featur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s long as there is no conflict. Hereinafter,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xamples.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팽창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팽창 밸브는 밸브 시트(10) 및 밸브 니들(20)을 포함한다. 밸브 시트(10) 내에는 서로 연통되는 밸브 캐비티(11) 및 유통 채널(12)이 설치된다. 밸브 캐비티(11)와 유통 채널(12)의 연결 지점에는 밸브 포트(13)를 형성한다. 밸브 니들(20)은 서로 연결된 본체부(21) 및 스로틀부(22)를 포함한다. 본체부(21)는 밸브 캐비티(11)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스로틀부(22)는 밸브 포트(13)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스로틀부(22)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스로틀 구간을 포함한다. 각각의 스로틀 구간은 모두 동일한 단면의 기둥체 구조이다. 인접한 2개의 스로틀 구간 사이는 연결 단차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ures 1-5,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 an expansion valve. The expansion valve includes a valve seat (10) and a valve needle (20). A valve cavity 11 and a distribution channel 12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re installed in the valve seat 10. A valve port 13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valve cavity 11 and the distribution channel 12. The valve needle 20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21 and a throttle portion 22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ain body portion 21 is installed to be movable within the valve cavity 11. The throttle unit 22 is movably installed in the valve port 13. Here, the throttle unit 22 includes a plurality of sequentially connected throttle sections. Each throttle section is a pillar structure with the same cross section. A connection step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throttle sections.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팽창 밸브를 채택함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스로틀 구간을 설치하며, 각각의 스로틀 구간은 모두 동일한 단면의 기둥체 구조이다. 이를 통해 각각의 스로틀 구간의 유통량이 모두 일정한 값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유량을 조절할 때에는 스로틀부(22)를 대응하는 스로틀 구간이 밸브 포트(13)에 위치하도록 조절하기만 하면 된다. 각각의 스로틀 구간은 모두 길이가 일정하다. 따라서 조절할 때 스로틀부(22)를 대응하는 스로틀 구간의 길이 범위 내로만 조절하면 된다. 정확하게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통 면적이 테이퍼에 비교적 크게 영향 받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2개의 스로틀 구간 사이는 연결 단차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인접한 2개의 스로틀 구간의 연결 지점이 테이퍼형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로틀부(22)가 상이한 스로틀 상태 사이에서 전환을 수행하기가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팽창 밸브를 채택하면, 종래 기술의 팽창 밸브가 스로틀링 시 유통 면적이 가공 정밀도의 영향을 비교적 크게 받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opting the expansion valv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sequentially connected throttle sections are installed, and each throttle section is a pillar structure with the same cross sec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distribution volume in each throttle section is all constant. When adjusting the flow rate, simply adjust the throttle section 22 so that the corresponding throttle section is located in the valve port 13. Each throttle section has a constant length. Therefore, when adjusting, the throttle unit 22 only needs to be adjusted within the length range of the corresponding throttle sec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accurately adjus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where the distribution area is relatively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aper. Additionally, a connection step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throttle sections. This prevents the connection points of two adjacent throttle sections from being installed in a tapered structure. Therefore, it is easy for the throttle unit 22 to perform transitions between different throttle states. Adopting the expansion valv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can solve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expansion valve of the prior art has a distribution area relatively greatly affected by processing precision during throttling.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로틀부(22)는 서로 연결된 제1 스로틀 구간(221) 및 제2 스로틀 구간(222)을 포함한다. 제1 스로틀 구간(221)은 본체부(21)와 연결된다. 제2 스로틀 구간(222)은 본체부(21)에서 멀리 있는 제1 스로틀 구간(221)의 일단에 설치된다. 제1 스로틀 구간(221)의 직경은 제2 스로틀 구간(222)의 직경보다 크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할 경우, 제1 스로틀 구간(221)이 밸브 포트(13)까지 운동하면, 스로틀부(22)가 제1 스로틀 위치에 위치하며 제1 스로틀 상태에 대응한다. 제2 스로틀 구간(222)이 밸브 포트(13)까지 운동하면, 스로틀부(22)가 제2 스로틀 위치에 위치하며 제2 스로틀 상태에 대응한다. 제1 스로틀 구간(221)의 직경이 제2 스로틀 구간(222)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스로틀부(22)가 제1 스로틀 위치에 있을 때의 유량이 스로틀부(22)가 제2 스로틀 위치에 있을 때의 유량보다 적다.In this embodiment, the throttle unit 22 includes a first throttle section 221 and a second throttle section 222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21.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which is far from the main body 21.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When adopting this structural installation, when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moves to the valve port 13, the throttle portion 22 is located at the first throttle position and corresponds to the first throttle state. When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moves to the valve port 13, the throttle unit 22 is positioned at the second throttle position and corresponds to the second throttle state.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Therefore, the flow rate when the throttle unit 22 is at the first throttle position is less than the flow rate when the throttle unit 22 is at the second throttle posi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로틀 구간(221)과 제2 스로틀 구간(222)의 연결 지점에는 제1 단차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하면, 제1 스로틀 구간(221)과 제2 스로틀 구간(222)의 연결 지점이 테이퍼형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로틀부(22)가 제1 스로틀 상태에서 바로 제2 스로틀 상태로 전환되거나, 스로틀부(22)가 제2 스로틀 상태에서 바로 제1 스로틀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는 스로틀 상태 전환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In this embodiment, a first step is formed at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and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By adopting this structural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and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from being installed in a tapered structure. Accordingly, the throttle unit 22 may be directly converted from the first throttle state to the second throttle state, or the throttle unit 22 may be converted directly from the second throttle state to the first throttle state. This improves the accuracy of throttle state transitions.

구체적으로, 스로틀부(22)는 제3 스로틀 구간(223)을 더 포함한다. 제3 스로틀 구간(223)은 제1 스로틀 구간(221)에서 멀리 있는 제2 스로틀 구간(222)에 설치된다. 제2 스로틀 구간(222)의 직경은 제3 스로틀 구간(223)의 직경보다 크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할 경우, 제3 스로틀 구간(223)이 밸브 포트(13)까지 운동하면, 스로틀부(22)는 제3 스로틀 위치에 위치하며 제3 스로틀 상태에 대응한다. 제2 스로틀 구간(222)의 직경이 제3 스로틀 구간(223)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스로틀부(22)가 제2 스로틀 위치에 있을 때의 유량이 스로틀부(22)가 제3 스로틀 위치에 있을 때의 유량보다 적다.Specifically, the throttle unit 22 further includes a third throttle section 223. The third throttle section 223 is installed in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which is far from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throttle section 223. When adopting this structural installation, when the third throttle section 223 moves to the valve port 13, the throttle portion 22 is located at the third throttle position and corresponds to the third throttle state.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throttle section 223. Therefore, the flow rate when the throttle unit 22 is at the second throttle position is less than the flow rate when the throttle unit 22 is at the third throttle posi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스로틀 구간(222)과 제3 스로틀 구간(223)의 연결 지점에는 제2 단차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하면, 제2 스로틀 구간(222)과 제3 스로틀 구간(223)의 연결 지점이 테이퍼형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로틀부(22)가 제2 스로틀 상태에서 바로 제3 스로틀 상태로 전환되거나, 스로틀부(22)가 제3 스로틀 상태에서 바로 제2 스로틀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는 스로틀 상태 전환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In this embodiment, a second step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and the third throttle section 223. By adopting this structural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and the third throttle section 223 from being installed in a tapered structure. Accordingly, the throttle unit 22 may be directly converted from the second throttle state to the third throttle state, or the throttle unit 22 may be converted directly from the third throttle state to the second throttle state. This improves the accuracy of throttle state transitions.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스로틀 구간은 모두 원기둥 구간 구조이며, 밸브 포트(13)는 원형 개구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하면, 스로틀 구간과 밸브 포트(13)가 서로 적합한 형태가 된다. 제1 스로틀 구간(221)은 밸브 포트(13)에 대해 접합 밀봉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어, 액체가 유통 채널(12)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one embodiment, each throttle section has a cylindrical section structure, and the valve port 13 has a circular opening structure. If this structural installation is adopted, the throttle section and the valve port 13 have a form suitable for each other.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is used to perform a joint seal to the valve port 13, which can prevent liquid from flowing out of the distribution channel 12.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로틀 구간(221)의 직경은 D1이고, 제2 스로틀 구간(222)의 직경은 D2이고, 1.1<D1/D2<2이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하면, 제1 스로틀 구간(221)과 제2 스로틀 구간(222) 사이의 비례 관계를 최적화하고, 스로틀부(22)의 외형 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다. 이는 점진적 형태의 스로틀부(22)의 구조를 형성하기가 용이하며, 밸브 포트(13) 지점의 유량을 합리적으로 조절하기가 용이하다.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is D 1 ,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is D 2 , and 1.1 < D 1 /D 2 < 2. By adopting this structural installation,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and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can be optimized, and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throttle unit 22 can be optimized. This makes it easy to form the structure of the throttle part 22 in a progressive form, and it is easy to reasonably control the flow rate at the valve port 13 point.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스로틀 구간(221)의 직경은 D1이고, 밸브 포트(13)의 직경은 D3이고, 0.5<D1/D3<0.9이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하면, 제1 스로틀 상태일 때 밸브 포트(13) 지점의 유량을 합리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로틀 구간(221)과 밸브 포트(13) 사이에 충분한 활동 공간을 갖추기가 용이하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is D 1 , the diameter of the valve port 13 is D 3 , and 0.5 < D 1 /D 3 < 0.9. By adopting this structural installation, the flow rate at the valve port 13 point can be reasonably adjusted when in the first throttle state. Additionally, it is easy to provide sufficient active space between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and the valve port 13.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스로틀 구간(222)의 직경은 D2이고, 밸브 포트(13)의 직경은 D3이고, 0.3<D2/D3<0.8이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하면, 제2 스로틀 상태일 때 밸브 포트(13) 지점의 유량을 합리적으로 조절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로틀 구간(221)과 밸브 포트(13) 사이에 충분한 활동 공간을 갖추기가 용이하다.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is D 2 , the diameter of the valve port 13 is D 3 , and 0.3 < D 2 /D 3 < 0.8. By adopting this structural installation, it may be easy to reasonably adjust the flow rate at the valve port 13 point when in the second throttle state. Additionally, it is easy to provide sufficient active space between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and the valve port 13.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팽창 밸브는 밀봉 헤드(30)를 더 포함한다. 밀봉 헤드(30)는 밸브 시트(10)에 장착된다. 밀봉 헤드(30)는 유통 채널(12)에서 멀리 있는 밸브 캐비티(11)의 일단에 위치한다. 여기에서, 유통 채널(12)의 길이는 H1이다. 유통 채널(12)에 가까운 밀봉 헤드(30)의 일단과 유통 채널(12)에 가까운 밸브 캐비티(11)의 일단은 거리가 H2이다. 스로틀부(22)의 길이는 L1이다. 유통 채널(12)에 가까운 밀봉 헤드(30)의 일단과 유통 채널(12)에 가까운 본체부(21)의 일단은 거리가 L2이다. L1+L2>H1+H2이다. 이러한 구조적 설치를 채택하면, 스로틀 구간이 몇 구간인지와 관계 없이, 모두 밸브 니들(20)의 최전단이 항상 밸브 포트(1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 포트(13)에 대해 안정적인 스로틀링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xpansion valve of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ealing head 30. The sealing head 30 is mounted on the valve seat 10. The sealing head 30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valve cavity 11 away from the distribution channel 12 . Here, the length of the distribution channel 12 is H 1 .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sealing head 30 close to the distribution channel 12 and one end of the valve cavity 11 close to the distribution channel 12 is H 2 . The length of the throttle unit 22 is L 1 .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sealing head 30 close to the distribution channel 12 and one end of the main body 21 close to the distribution channel 12 is L 2 . L 1 +L 2 >H 1 +H 2 . By adopting this structural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front end of the valve needle 20 does not always deviate from the valve port 13, regardless of how many throttle sections there are. Therefore, stable throttling of the valve port 13 can be performed.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스로틀 구간은 원기둥 구간 구조이다. 각각의 스로틀 구간에 대응하는 횡단면적이 상이하여 각각의 스로틀 구간이 스로틀링을 수행할 때의 스로틀 면적이 상이하다. 밸브 포트(13)는 다각형 구조이다. 각각의 스로틀 구간은 모두 원기둥 구간 구조이다. 따라서 스로틀부(22)의 제1 스로틀 구간(221)이 밸브 포트(13)를 닫을 때, 밸브 포트(13)와 제1 스로틀 구간(221) 사이에 여전히 유통 갭을 갖는다. 즉, 소량의 액체가 밸브 포트(13)에서 유출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each throttle section has a cylindrical section structure.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corresponding to each throttle section is different, the throttle area when each throttle section performs throttling is different. The valve port 13 has a polygonal structure. Each throttle section has a cylindrical section structure. Therefore, when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of the throttle unit 22 closes the valve port 13, there is still a distribution gap between the valve port 13 and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That is, a small amount of liquid may flow out of the valve port 13.

상기 모든 실시예에서, 팽창 밸브는 모두 밸브체(40) 및 스프링(50)을 포함한다. 밸브체(40)는 냉동 시스템을 연결한다. 밸브 시트(10)는 밸브체(40)의 내부에 설치된다. 밸브 시트(10)는 밸브 포트(13)를 구비한다. 밸브 니들(20)의 본체부(21)는 밸브 시트(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밸브 니들(20)의 스로틀부(22)의 일단은 밸브 포트(13)로 연장되어 들어간다. 밸브 니들(20)은 밸브 캐비티(11)의 축 방향을 따라 운동하여, 밸브 포트(13)의 유통 면적을 조절한다. 밸브 니들(20)의 스로틀부(22)는 다단계식 유사 계단축 구조를 채택한다. 각각의 직선 구간이 밸브 포트(13)와 스로틀 작용을 할 때, 유통 면적은 일정하다. 본 출원은 다단계식 유사 계단축 구조의 밸브 니들(20)을 채택한다. 이를 통해 각 공정 압력차에도 불구하고 밸브 포트(13)의 유통 면적이 일정하고 유량이 자연스럽게 더욱 안정적이 되도록 보장한다.In all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expansion valve includes a valve body 40 and a spring 50. The valve body 40 connects the refrigeration system. The valve seat 10 is installed inside the valve body 40. The valve seat 10 has a valve port 13. The main body portion 21 of the valve needle 20 is installed inside the valve seat 10. One end of the throttle portion 22 of the valve needle 20 extends into the valve port 13. The valve needle 20 move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valve cavity 11 to adjust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valve port 13. The throttle portion 22 of the valve needle 20 adopts a multi-step pseudo-step shaft structure. When each straight section acts as a throttle with the valve port 13, the distribution area is constant. The present application adopts a valve needle 20 with a multi-step pseudo-step shaft structure. This ensures that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valve port 13 is constant and the flow rate naturally becomes more stable despite the pressure difference in each process.

구체적으로, 밸브 니들(20)은 다단계식 계단축 구조의 밸브 니들(20)을 채택한다. 이는 밸브 니들(20)과 밸브 포트(13)가 스로틀 작용을 할 때 형성되는 유통 면적이 모두 밸브 니들(20) 횡단면 부위에 위치하는데 이는 모두 밸브 니들(20)의 직선 구간에 위치한다. 따라서 밸브 포트(13) 유통 면적이 받는 스프링(50) 가공 정밀도의 영향이 감소한다. 동시에 밸브 니들(20) 테이퍼 가공 정밀도의 영향도 제거된다. 이는 밸브 포트(13) 유통 면적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최소화하여, 유량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Specifically, the valve needle 20 adopts a multi-step stepped shaft structure. This means that the distribution area formed when the valve needle 20 and the valve port 13 act as a throttle is all located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alve needle 20, which is all located in the straight section of the valve needle 20. Therefore, the influence of the processing precision of the spring 50 on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valve port 13 is reduced. At the same time, the influence of valve needle 20 taper processing precision is also eliminated. This minimizes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valve port 13, greatly improving flow stabilit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조건 1일 때(제1 스로틀 상태), 밸브 니들(20)의 제1 스로틀 구간(221)(직경 D1)과 밸브 포트(13)(직경 D3)가 스로틀 작용을 한다. 이 때 밸브 포트(13)의 유통 면적은 S1=π(D3 2-D1 2)/4이다. 제1 스로틀 구간(221)의 길이 범위가 밸브 포트(13)와 상대적으로 설치되기만 하면, 밸브 포트(13)의 유통 면적이 항상 S1로 일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의 유량은 밸브 전후 압력차의 영향만 받는다.As shown in FIG. 2, when working condition 1 (first throttle state),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diameter D 1 ) of the valve needle 20 and the valve port 13 (diameter D 3 ) are It acts as a throttle. 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valve port 13 is S1=π(D 3 2 -D 1 2 )/4. As long as the length range of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is installed relative to the valve port 13,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valve port 13 can always be kept constant at S1. At this time, the flow rate is only affec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valv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조건 2일 때(제2 스로틀 상태), 제1 스로틀 구간(221)이 밸브 포트(13)에서 완전히 이탈한다. 제2 스로틀 구간(222)은 밸브 포트(13)와 스로틀 작용을 한다. 이 때 밸브 포트(13)의 유통 면적은 S1=π(D3 2-D2 2)/4이다. 밸브 포트(13)의 유통 면적은 항상 S2로 일정하다. 이 때의 량은 밸브 전후 압력차의 영향만 받으며, S2>S1가 항상 성립한다.As shown in FIG. 3, when working condition 2 (second throttle state),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completely leaves the valve port 13.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functions as a throttle with the valve port 13. 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valve port 13 is S1=π(D 3 2 -D 2 2 )/4.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valve port 13 is always constant at S2. At this time, the quantity is only affec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valve, and S2 > S1 is always established.

본 실시예의 팽창 밸브는 조립을 수행할 때, 밸브 니들(20)을 밸브 시트(10) 내에 넣고 밸브 니들(20)의 일단은 밸브 포트(13)에서 연장되어 나온다. 스프링(50)을 밸브 시트(10) 내에 넣고, 밀봉 헤드(30)의 스프링(50) 가이드 구간을 스프링(50) 내 홀을 따라 밸브 시트(10) 내에 넣는다. 그 다음 밀봉 헤드(30)를 리벳팅하여, 밸브 시트(10) 부재를 형성한다. 이어서, 밸브 시트(10) 부재를 밸브체(40)에 넣고, 툴링으로 포지셔닝 및 네킹을 완료한다.When the expansion valve of this embodiment is assembled, the valve needle 20 is inserted into the valve seat 10 and one end of the valve needle 20 extends from the valve port 13. The spring 50 is placed into the valve seat 10, and the guide section of the spring 50 of the sealing head 30 is placed into the valve seat 10 along the hole within the spring 50. The sealing head 30 is then riveted to form the valve seat 10 member. Next, the valve seat 10 member is placed into the valve body 40, and positioning and necking are completed using tooling.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는 다음의 기술적 효과를 구현하였다. 즉, 스로틀부의 가공 정밀도를 낮추었고, 스프링의 제조 정밀도를 낮추었으며, 제조 비용을 낮추었다. 밸브 포트 유량 면적을 여러 작업 조건(상이한 스로틀 상태)에서도 일정하게 유지하여, 팽창 밸브의 유량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켰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mplements the following technical effects. In other words, the processing precision of the throttle part was lowered, the manufacturing precision of the spring was lower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was lowered. The valve port flow area is kept constant unde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different throttle states), greatly improving the flow stability of the expansion valve.

본원에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에 유의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문맥상 달리 해석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은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포함" 및/또는 "포괄"은 특징, 단계, 조작, 장치, 구성 요소 및/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한다.Note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for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used herein, unless the context dictates otherwise, the singular terms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plural terms. It is also noted that,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ing” and/or “comprising” mean that features, steps, operations, devices, components and/or combinations thereof are present.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부재와 단계의 상대적인 배치, 숫자 표현식 및 수치는 본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첨부 도면에 도시된 각 부분의 크기는 실제 비율에 따라 제도된 것이 아님에 유의한다. 관련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 방법 및 설비는 상세하게 논의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적절한 상황에서 상기 기술, 방법 및 설비는 공인된 명세서의 일부분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원에 도시되고 논의된 모든 예시에 있어서, 임의의 구체적인 값은 한정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한 참조 번호와 문자는 하기의 첨부 도면에서 유사한 항목을 나타낸다. 따라서 하나의 항목이 하나의 첨부 도면에서 정의되면, 이후의 첨부 도면에서 이에 대해 추가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없음에 유의한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relative arrangement of elements and steps, numerical expressions, and values described in these embodiment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please note that the size of each part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is not drawn according to actual proportions. Techniques, methods and equipment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not be discussed in detail. However, in appropriate circumstances, the above techniques, methods and equipment should be considered as part of the authorized specifications. In all examples shown and discussed herein, any specific values should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ccordingly, different examples of the exemplary embodiment may have different values. Like reference numbers and letters indicate like item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elow. Therefore, please note that if one item is defined in one attached drawing, there is no need to further discuss it in subsequent attached drawings.

본 출원의 설명에서 "전, 후, 상, 하, 좌, 우", "횡방향, 종방향, 수직, 수평" 및 "꼭대기, 바닥"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가리키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통상적으로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한다. 이는 본 출원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상반된 설명이 없는 한, 이처럼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그 가리키는 장치 또는 요소가 반드시 특정한 방위를 갖거나 특정한 방위로 구성되고 조작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지 않으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 "내부, 외부"는 각 부재 자체에 대해 상대적인 윤곽의 내부와 외부를 의미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orientation or positional relationship indicated by terms indicating direction such as "front, back, up, down, left, right", "lateral, longitudinal, vertical, horizontal" and "top, bottom" is conventional. It is based on the direction or position relationship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only for briefly explaining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unless otherwise stated, such directional terms do not indicate or imply that the device or element they indicate necessarily has a specific orientation or is constructed and manipulated in a specific orientation, and therefore may be interpreted as limiting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exist. The directional terms "inside, outside" mean inside and outside the outline relative to each member itself.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의 위", "~의 상방", "~의 상표면", "~의 상면" 등과 같이 본원에 사용된 공간의 상대적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하나의 장치 또는 특징과 다른 장치 또는 특징의 공간적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공간의 상대적 용어라 함은 장치가 도면에서 설명된 방향 이외에도 사용 또는 작동 중의 상이한 방향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첨부 도면 중의 장치가 도치되는 경우 "다른 장치 또는 구조의 상방" 또는 "다른 장치 또는 구조의 위"의 장치로 설명한 후 "다른 장치 또는 구조의 하방" 또는 "다른 장치 또는 구조의 아래"로 정의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의 상방"에는 "~의 상방"과 "~의 하방"의 두 가지 방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기타 상이한 방식으로 위치가 결정될 수도 있으며(90도 회전하거나 기타 방위에 놓임), 여기에서 사용된 공간의 상대적 설명에 상응하는 해석이 이루어진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patial relative terms used herein, such as "above", "above", "brand surface of", "top of", etc., refer to a single device or feature shown in the drawings. It can be used to describe the spatial location relationships of and other devices or features. Relative terms of spac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other than those depicted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 devic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verted, it is described as a device “above another device or structure” or “above another device or structure,” and then “below another device or structure” or “below another device or structure.” It is defined as Therefore, the illustrative term “upwards of” may include two directions: “upwards of” and “downwards of”. The device may also be positioned in other different ways (rotated 90 degrees or placed in other orientations), with interpretation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 description of space used here.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하여 구성 요소를 제한하는 것은, 상응하는 구성 요소를 용이하게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상기 용어에는 특별한 의미가 없으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없다.Additionally, limiting the components using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is only for the purpose of easily distinguishing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the above terms have no special meaning and therefore cannot be understood as limiting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application.

상기 내용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사상과 원칙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The above content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applicatio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applica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is application.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substitutions, improvements, etc.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and principles of this application mus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application.

첨부 도면에는 하기의 참조 부호가 포함된다.
10-밸브 시트, 11-밸브 캐비티, 12-유통 채널, 13-밸브 포트, 20-밸브 니들, 21-본체부, 22-스로틀부, 221-제1 스로틀 구간, 222-제2 스로틀 구간, 223-제3 스로틀 구간, 30-밀봉 헤드, 40-밸브체, 50-스프링.
The accompanying drawings include the following reference signs.
10-valve seat, 11-valve cavity, 12-distribution channel, 13-valve port, 20-valve needle, 21-main body part, 22-throttle part, 221-first throttle section, 222-second throttle section, 223 -Third throttle section, 30-sealing head, 40-valve body, 50-spring.

Claims (9)

팽창 밸브에 있어서,
서로 연통되는 밸브 캐비티(11) 및 유통 채널(12)이 내부에 설치된 밸브 시트(10) - 상기 밸브 캐비티(11)와 상기 유통 채널(12)의 연결 지점에는 밸브 포트(13)를 형성함 - ; 및
서로 연결된 본체부(21) 및 스로틀부(22)를 포함하는 밸브 니들(20) - 상기 본체부(21)는 상기 밸브 캐비티(11)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로틀부(22)는 상기 밸브 포트(13)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됨 - 을 포함하고,
상기 스로틀부(22)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스로틀 구간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스로틀 구간은 모두 동일한 단면의 기둥체 구조이고, 인접한 2개의 상기 스로틀 구간 사이는 연결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In the expansion valve,
A valve seat (10) installed inside a valve cavity (11) and a distribution channel (12)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A valve port (13)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valve cavity (11) and the distribution channel (12) - ; and
A valve needle 20 including a main body part 21 and a throttle part 22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main body part 21 is installed to be movable within the valve cavity 11, and the throttle part 22 is Includes - movably installed in the valve port (13),
The throttle unit 22 includes a plurality of sequentially connected throttle sections, each of which has a pillar structure with the same cross-section, and a connection step is formed between the two adjacent throttle sections. , expansion val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부(22)는 서로 연결된 제1 스로틀 구간(221) 및 제2 스로틀 구간(2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로틀 구간(221)은 상기 본체부(21)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스로틀 구간(222)은 상기 본체부(21)에서 멀리 있는 상기 제1 스로틀 구간(221)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스로틀 구간(221)의 직경은 상기 제2 스로틀 구간(222)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hrottle section 22 includes a first throttle section 221 and a second throttle section 222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21, and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1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21. The throttle section 222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far from the main body 21,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is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An expansion val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arg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부(22)는 제3 스로틀 구간(22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스로틀 구간(223)은 상기 제1 스로틀 구간(221)에서 멀리 있는 상기 제2 스로틀 구간(222)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스로틀 구간(222)의 직경은 상기 제3 스로틀 구간(223)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throttle unit 22 further includes a third throttle section 223, and the third throttle section 223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that is far from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An expansion valve is installed,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throttle section (22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스로틀 구간은 모두 원기둥 구간 구조이고, 상기 밸브 포트(13)는 원형 개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 expansion valv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throttle sections has a cylindrical section structure, and the valve port (13) has a circular opening structu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로틀 구간(221)의 직경은 D1이고, 상기 제2 스로틀 구간(222)의 직경은 D2이고, 1.1<D1/D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is D 1 ,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is D 2 , and 1.1 < D 1 /D 2 < 2. An expansion val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로틀 구간(221)의 직경은 D1이고, 상기 밸브 포트(13)의 직경은 D3이고, 0.5<D1/D3<0.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expansion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ttle section 221 is D 1 , the diameter of the valve port 13 is D 3 , and 0.5 < D 1 /D 3 < 0.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로틀 구간(222)의 직경은 D2이고, 상기 밸브 포트(13)의 직경은 D3이고, 0.3<D2/D3<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expansion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ttle section 222 is D 2 , the diameter of the valve port 13 is D 3 , and 0.3 < D 2 /D 3 < 0.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밸브는,
상기 밸브 시트(10)에 장착되는 밀봉 헤드(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 헤드(30)는 상기 유통 채널(12)에서 멀리 있는 상기 밸브 캐비티(11)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유통 채널(12)의 길이는 H1이고, 상기 유통 채널(12)에 가까운 상기 밀봉 헤드(30)의 일단과 상기 유통 채널(12)에 가까운 상기 밸브 캐비티(11)의 일단은 거리가 H2이고, 상기 스로틀부(22)의 길이는 L1이고, 상기 유통 채널(12)에 가까운 상기 밀봉 헤드(30)의 일단과 상기 유통 채널(12)에 가까운 상기 본체부(21)의 일단은 거리가 L2이고, L1+L2>H1+H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xpansion valve is,
It further includes a sealing head (30) mounted on the valve seat (10), wherein the sealing head (30)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valve cavity (11) away from the distribution channel (12),
The length of the distribution channel 12 is H 1 , and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sealing head 30 close to the distribution channel 12 and one end of the valve cavity 11 close to the distribution channel 12 is H. 2 , the length of the throttle part 22 is L 1 , and one end of the sealing head 30 close to the distribution channel 12 and one end of the main body 21 close to the distribution channel 12 are An expansion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is L 2 and L 1 +L 2 >H 1 +H 2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스로틀 구간은 모두 원기둥 구간 구조이고, 상기 밸브 포트(13)는 다각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 expansion valv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throttle sections has a cylindrical section structure, and the valve port (13) has a polygonal structure.
KR1020237041609A 2021-05-07 2022-05-06 expansion valve KR2024000487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0966626.3 2021-05-07
CN202120966626.3U CN215806313U (en) 2021-05-07 2021-05-07 Expansion valve
PCT/CN2022/091211 WO2022233322A1 (en) 2021-05-07 2022-05-06 Expansion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879A true KR20240004879A (en) 2024-01-11

Family

ID=8017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609A KR20240004879A (en) 2021-05-07 2022-05-06 expansion valv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516144A (en)
KR (1) KR20240004879A (en)
CN (1) CN215806313U (en)
WO (1) WO202223332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5806313U (en) * 2021-05-07 2022-02-11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Expansion valv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6279B2 (en) * 2004-09-02 2009-09-30 株式会社鷺宮製作所 Valve device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CN107356024B (en) * 2016-05-10 2021-07-13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expansion valve
CN105972233A (en) * 2016-07-20 2016-09-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Expansion valve, refrigerant cycle system and air conditioner
CN106369893A (en) * 2016-11-21 2017-02-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ir conditioner and electronic expansion valve of air conditioner
CN108361393B (en) * 2017-01-26 2021-08-27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expansion valve
CN212746974U (en) * 2020-05-09 2021-03-19 盾安环境技术有限公司 Throttl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N215806313U (en) * 2021-05-07 2022-02-11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Expansion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5806313U (en) 2022-02-11
JP2024516144A (en) 2024-04-12
WO2022233322A1 (en)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04879A (en) expansion valve
CN204553385U (en) Valve core of multiway valve, load sensing multi-way valve and excavator
KR20230156775A (en) electric valve
KR20240049617A (en) Connector assembly and control valve assembly having the same
CN103115038A (en) Novel buffering oil cylinder for hydraulic pump station
CN216158324U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CN107830005A (en) A kind of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CN204942128U (en) A kind of bidirectional damper valve arrangement
KR20240049634A (en) Valve needle and electronic expansion valve equipped therewith
CN203757010U (en) Solenoid valve
CN216200565U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CN215806405U (en) Valve seat and electronic expansion valve with same
CN203009686U (en) Overflow valve used for oil damper
KR20240060860A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CN211203004U (en) One-way throttle valve
CN210423777U (en) Electric ball type regulating valve
CN211599133U (en) Large-flow throttling buffer cartridge valve
CN216158322U (en) Stop throttle valve
CN103851122B (en) Oil-pressure damper overflow valve
CN220556053U (en) Valve seat
KR20240068773A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CN220870093U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KR20240049633A (en) Valve assembly and electronic expansion valve having same
CN212959812U (en) Piston assembly and solenoid valve with same
CN219954236U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