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663A - 착신 메시지의 서비스를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신 메시지의 서비스를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663A
KR20240004663A KR1020237040839A KR20237040839A KR20240004663A KR 20240004663 A KR20240004663 A KR 20240004663A KR 1020237040839 A KR1020237040839 A KR 1020237040839A KR 20237040839 A KR20237040839 A KR 20237040839A KR 20240004663 A KR20240004663 A KR 20240004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voice service
3gpp access
access network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마르 랄릿
왓파 마흐무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04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12Inter-network no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USIM(Multi-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UE)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액세스 네트워크 및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 모두에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등록하는 단계, 3GPP 액세스 네트워크가 유휴 상태에 있는 동안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메시지가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메시지가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가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메시지가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신 메시지의 서비스를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본 개시는 착신 메시지(incoming message)의 서비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를 통한 MUSIM 사용자 단말(UE)로의 착신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1년 4월 27일에 출원된 인도 가특허 출원 번호 202141019376호, 및 2022년 3월 30일에 출원된 인도 완전 특허 출원 번호 202141019376호에 대한 35 U.S.C. §119에 따른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문헌의 전체 개시내용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빠른 전송 속도와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3.5 기가헤르츠(3.5GHz) 등 6GHz 이하 주파수('Sub 6GHz') 대역은 물론 28GHz와 39GHz 등 밀리미터파(㎜Wave)로 불리는 초고주파 대역('Above 6GHz')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5G 통신 이후(Beyond 5G)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는 6G 이동통신 기술의 경우, 5G 이동통신 기술 대비 50배 빨라진 전송 속도와 10분의 1로 줄어든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테라헤르츠(Terahertz, THz) 대역(예를 들어, 95GHz에서 3 테라헤르츠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초기에는, 초광대역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고신뢰/초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기계식 통신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에 대한 서비스 지원과 성능 요구사항 만족을 목표로,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초고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뉴머롤로지 지원(복수 개의 서브캐리어 간격 운용 등)와 슬롯 포맷에 대한 동적 운영, 다중 빔 전송 및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초기 접속 기술, BWP(Band-Width Part)의 정의 및 운영,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와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한 폴라 코드(Polar Code)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 L2 선-처리(L2 pre-processing),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등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현재, 5G 이동통신 기술이 지원하고자 했던 서비스들을 고려하여 초기의 5G 이동통신 기술 개선(improvement) 및 성능 향상(enhancement)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으며, 차량이 전송하는 자신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판단을 돕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하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에서 각종 규제 상 요구사항들에 부합하는 시스템 동작을 목적으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단말 저전력 소모 기술(UE Power Saving), 지상 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단말-위성 직접 통신인 비 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 위치 측위(Positioning) 등의 기술에 대한 물리계층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뿐만 아니라, 타 산업과의 연계 및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지원을 위한 지능형 공장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 지원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Conditional Handover)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하는 이동성 향상 기술(Mobility Enhancement), 랜덤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는 2 단계 랜덤액세스(2-step RACH for NR) 등의 기술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쳐/프로토콜 분야의 표준화 역시 진행 중에 있으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기술의 접목을 위한 5G 베이스라인 아키텍쳐(예를 들어, Service based Architecture, Service based Interface),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등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쳐/서비스 분야의 표준화도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강화와 커넥티드 기기들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을 활용한 5G 성능 개선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 드론 통신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이러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6G 이동통신 기술의 테라헤르츠 대역에서의 커버리지 보장을 위한 신규 파형(Waveform),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기술 뿐만 아니라, 6G 이동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적어도 위에서 언급된 문제 및/또는 단점을 해결하고 적어도 아래에서 설명되는 이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교차 링크 간섭(cross link interference)을 측정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추가적인 양태들이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될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이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며, 또는 제시된 실시예들의 실행에 의해 학습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USIM(multi-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UE)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 모두에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등록하는 단계, 3GPP 액세스 네트워크가 (idle) 상태에 있는 동안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메시지가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메시지가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메시지가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를 통한 MUSIM 사용자 단말(UE)로의 착신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특징들, 양태들 및 이점들은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문자가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한 네트워크의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를 통해 AMF에 등록된 MUSIM UE로의 착신 메시지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UE에서 MUSIM UE로의 착신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UE에서 MUSIM UE로의 착신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세부 단계들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MUSIM UE로의 착신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IM에 대한 등록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USIM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결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UE 무선 능력 ID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UE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적어도 위에서 언급된 문제 및/또는 단점을 해결하고 적어도 아래에서 설명되는 이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교차 링크 간섭을 측정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추가적인 양태들이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될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이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며, 또는 제시된 실시예들의 실행에 의해 학습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USIM(multi-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UE)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 모두에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등록하는 단계, 3GPP 액세스 네트워크가 유휴(idle) 상태에 있는 동안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메시지가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메시지가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메시지가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는, UE와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 원인 지시(paging cause indication)를 지원하는 경우에 수신되고, UE는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받고, AMF는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UE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식별하며, 또한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는 통지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통지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기 위해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service request message)를 송신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통지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UE 구현 제약사항으로 인해 UE가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통지 응답 메시지(notification response message)를,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는, UE와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 원인 지시를 지원하는 경우에 수신될 수 있고, UE는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받고, AMF는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UE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식별하며, 또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MF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UE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인지 또는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UE에게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경우,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경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UE는 3GPP 액세스 네트워크 및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 모두에서 PLMN에 등록된다.
메시지는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여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될 수 있고, 통지 메시지는 UE와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 원인 지시를 지원하는 경우에 송신될 수 있으며, UE는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받고, AMF는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UE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식별한다.
이 방법은 통지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경우,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기 위해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통지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경우, UE 구현 제약사항으로 인해 UE가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통지 응답 메시지를,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는 UE와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 원인 지시를 지원하는 경우에 수신될 수 있고, UE는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받고, AMF는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UE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식별하며, 또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USIM을 포함하는 UE가 제공된다. UE는 통신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3GPP 액세스 네트워크 및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 모두에서 PLMN에 등록하고, 3GPP 액세스 네트워크가 유휴 상태에 있는 동안 AMF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가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메시지가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식별하고, 그리고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메시지가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는, UE와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 원인 지시를 지원하는 경우에 수신될 수 있고, UE는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받고, AMF는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UE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식별하며, 또한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는 통지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통지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기 위해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통지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UE 구현 제약사항으로 인해 UE가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통지 응답 메시지를,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는, UE와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 원인 지시를 지원하는 경우에 수신될 수 있고, UE는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받고, AMF는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UE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식별하며, 또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AMF가 제공된다. AMF는 통신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UE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인지 또는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UE에게 메시지를 송신하고,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경우,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하고, 그리고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경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UE는 3GPP 액세스 네트워크 및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 모두에서 PLMN에 등록된다.
메시지는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여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되고, 통지 메시지는 UE와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 원인 지시를 지원하는 경우에 송신될 수 있으며, UE는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받고, AMF는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UE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식별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통지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경우,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기 위해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통지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경우, UE 구현 제약사항으로 인해 UE가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통지 응답 메시지를,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는, UE와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 원인 지시를 지원하는 경우에 수신될 수 있고, UE는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받고, AMF는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UE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식별하며, 또한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본 특허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특정 단어 및 어구들의 정의를 기재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용어 "포함한다(include)" 및 "구성한다(comprise)" 그리고 그 파생어는 제한이 아닌 포함을 의미한다. 용어 "또는(or)"은 포괄적 용어로써, '및/또는'을 의미한다. 어구 "~와 관련되다(associated with)" 및 그 파생어는 ~을 포함한다(include), ~에 포함된다(be included within), ~와 결합하다(interconnect with), ~을 함유하다(contain), ~에 함유되어 있다(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한다(connect to or with), ~와 결합하다(couple to or with), ~ 전달한다(be communicable with), 와 협력하다(cooperate with), ~를 끼우다(interleave), ~을 나란히 놓다(juxtapose), ~에 인접하다(be proximate to), 구속하다/ 구속되다(be bound to or with), 소유하다(have), 속성을 가지다(have a property of) 등을 의미한다. 용어 "컨트롤러(controller)"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어떤 장치, 시스템 또는 그 일부를 의미하며 이러한 컨트롤러는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2개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컨트롤러와 관련된 기능은 로컬 또는 원격으로 중앙 집중식으로 처리(centralized)되거나 또는 분산식으로 처리(distributed)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형성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구현된다. 용어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명령어 세트, 프로시저, 함수, 객체, 클래스, 인스턴스, 관련 데이터, 혹은 적합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에서의 구현용으로 구성된 그것의 일부를 지칭한다. 어구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소스 코드, 오브젝트 코드, 및 실행 가능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코드의 종류를 포함한다. 어구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혹은 임의의 다른 타입의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유선, 무선, 광학, 일시적인 전기적 또는 다른 신호들을 전달시키는 통신 링크를 제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매체 그리고 재기록이 가능한 광디스크 또는 소거 가능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데이터가 저장되어 나중에 덮어 씌어지는 매체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단어 및 어구에 대한 정의가 이 특허 명세서 전반에 걸쳐 제공되며, 당업자는 대부분의 경우가 아니더라도 다수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정의는 종래에 뿐만 아니라 그러한 정의된 단어 및 어구의 향후 사용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도 1 내지 도 9, 및 이 특허 명세서에 있어서의 본 개시의 원리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종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원리가 임의의 적절하게 구성된 시스템 또는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은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양태의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에는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특정 세부 사항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명료함과 간결함을 위해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서지적 의미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자가 본 개시를 명확하고 일관되게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일 뿐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를 제한할 목적이 아니라 예시 목적으로만 제공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야 한다.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컴포넌트 표면"에 대한 언급은 그러한 표면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언급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하여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동일한 이유로, 첨부된 도면의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완전히 반영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개시의 이러한 실시예들은 개시를 완성하고 당업자에게 개시의 범위를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될 것이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만, b만, c만, a와 b 모두, a와 c 모두, b와 c 모두, a, b 및 c 모두 또는 이들의 변형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예시적인 구현이 아래에 예시되지만, 본 개시는 현재 알려져 있거나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임의의 수의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처음부터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예시적인 설계 및 구현을 포함하여 아래에 예시된 예시적인 구현, 도면 및 기술에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그들의 전체 범위의 균등물과 함께 수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일부"는 "없음, 또는 하나, 또는 하나 초과, 또는 모두"로 정의된다. 따라서, "없음", "하나", "하나 초과", "하나 초과이지만 전부는 아님" 또는 "모두"라는 용어는 모두 "일부"의 정의에 속한다. "일부 실시예"라는 용어는 실시예가 없거나 하나의 실시예 또는 여러 실시예 또는 모든 실시예를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라는 용어는 "실시예가 없거나, 하나의 실시예가 있거나, 하나 초과의 실시예가 있거나, 모든 실시예가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 구조는 일부 실시예 및 그 특정 특징 및 요소를 설명, 교시 및 조명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 또는 그 등가물의 사상 및 범위를 제한, 한정 또는 축소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함하다", "구성하다", "가지다", "이루어지다" 및 이들의 문법적 변형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여기에 사용된 임의의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정확한 한정 또는 제한을 지정하고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요소의 가능한 추가를 확실히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구성해야 한다" 또는 "포함해야 한다"와 같은 한정적 용어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나열된 특징 및 요소 중 하나 이상의 가능한 제거를 배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특징 또는 요소가 한 번만 사용되도록 제한되었는지 여부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여전히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하나 이상의 요소"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특징" 또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하나" 특징 또는 요소라는 용어의 사용은 "하나 이상의 ...이 필요하다” 또는 "하나 이상의 요소가 필요하다"와 같은 한정적 용어에 의해 명시되지 않는 한, 해당 특징이나 요소가 없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 특히 기술 및/또는 과학 용어는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단말의 예로는 UE, 이동국(MS), 휴대폰, 스마트폰, 컴퓨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컨트롤러는 프로세서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프로세스 흐름도들의 각 블록 및 흐름도들의 조합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명령어는 흐름도 블록(들)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비로 보내질 수 있는 컴퓨터 사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사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는 흐름도 블록(들)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포함하는 생산 품목을 생산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비에 장착될 수도 있으므로, 컴퓨터 구현 프로세서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비에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어는 흐름도 블록(들)에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블록은 하나 이상의 특정 논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블록에서 언급된 기능은 일부 대체 구현예에서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도시된 두 블록은 실제로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해당 기능에 따라 때때로 반대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유닛"이라는 용어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유닛"은 일부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 유닛"이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닛"은 어드레싱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유닛"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클래스 구성 요소, 태스크 구성 요소 등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스, 함수, 속성, 프로시저, 서브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배열 및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과 "~유닛들"이 제공하는 기능은 더 적은 수의 구성 요소들과 "~유닛들"과 연관되거나 추가 구성 요소들과 "~유닛들"로 더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 및 "~유닛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 카드에서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를 동작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서, "~유닛"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액세스 노드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엔티티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각종 식별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갖는 다른 용어들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및 이들의 다양한 특징 및 유리한 세부 사항이 첨부 도면에 예시되어 있으며 하기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완전하게 설명된다. 공지된 구성 요소들 및 처리 기술들에 대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생략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은 새로운 실시예들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반드시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또는"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비배타적인 또는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예들은 단지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는 방식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 당업자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예들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기술 분야에 관행적인 바와 같이, 실시예는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의 관점에서 설명되고 예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관리자, 유닛, 모듈,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는 이러한 블록은 논리 게이트, 집적 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메모리 회로, 수동 전자 부품, 능동 전자 부품, 광학 부품, 유선 회로 등과 같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현되고, 선택적으로 펌웨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으로 구현되거나 인쇄 회로 기판 등과 같은 기판 지지체에 구현될 수 있다. 블록을 구성하는 회로는 전용 하드웨어 또는 프로세서(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관련 회로) 또는 블록의 일부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 하드웨어와 블록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각 블록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물리적으로 둘 이상의 상호 작용하는 개별 블록으로 분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시예들의 블록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물리적으로 더 복잡한 블록들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및 NR(new radio) 표준에서 정의된 용어 및 명칭 또는 이를 기반으로 수정된 용어 및 명칭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들 용어 및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표준에 따른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3GPP에서 정의된 통신 표준이 주로 대상이 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청구 대상은 본 개시의 범주를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약간의 수정을 통해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갖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기존의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UE가 유휴(idle) 상태에서 자신에게 전달되어야 할 펜딩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가지고 있는 경우, 네트워크(특히 AMF)가 UE에 대한 펜딩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있음을 나타내는 두 가지 옵션을 가지며, 그 하나는 3GPP 액세스를 통한 페이징 절차이고 두 번째는 비-3GPP 액세스를 통한 통지 절차이며, 이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UE는 3GPP 액세스를 통해 서비스 요청 절차를 트리거하여, 연결 모드에 들어가서, 착신 펜딩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이중(dual) USIM UE는 MUSIM들을 포함하고 MUSIM들의 가입들은 서로 다르며 서로 독립적이다. 이제, 다중 USIM 디바이스(예를 들어, UE)의 USIM-1 스택(이하 USIM-1이라 함)이 3GPP 액세스와 비-3GPP 액세스 모두에서 동일한 네트워크에 등록되는 경우 이것은 동일한 AMF에 의해 서비스를 받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통지(NOTIFICATION)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UE에게 송신되는 경우 UE는 이 통지 메시지가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되었기 때문에 3GPP 액세스를 통해 펜딩 중인 하향링크 서비스/시그널링 메시지를 식별할 수 없으며, 따라서 UE는 자신에 대한 착신 서비스를 이해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절차를 트리거하고 3GPP 액세스를 통해 연결 모드로 이동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해야 한다. 이것은 동일한 다중 USIM 디바이스의 USIM-2 스택(이하 USIM-2라고 함)에 의해 제공되는 진행 중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USIM-2를 통해 게임을 하고 있는 경우, UE는 USIM-1을 통해 음성 통화가 있을 수 있다고 가정하므로 USIM-1 상의 착신 서비스에 들어하기 위해 게임 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그러나 USIM-1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그것이 음성 통화에 관한 것이 아님을 인식하여 USIM-1은 해당 서비스를 중단하고 USIM-2로 돌아가 게임 서비스를 재개한다. 이러한 이유는 통지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수신될 경우 UE가 3GPP 액세스를 통해 펜딩 중인 하향링크 서비스/시그널링 메시지를 식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USIM-2에서 진행 중인 서비스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UE가 SR(Service Request) 절차를 트리거하기 때문에 USIM-1 상의 네트워크 자원도 낭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UE가 USIM-1에 대한 오퍼레이터에 등록되는 경우, 이 오퍼레이터가 무선 능력 세트에 대한 무선 능력 아이덴티티, 긴급 번호 목록 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결정된 액세스 클래스 차단 설정을 제 1 USIM에 대한 UE로 송신하게 된다. 이제, UE가 USIM-2를 사용하여 동일한 오퍼레이터 또는 다른 오퍼레이터에 등록하는 경우 UE가 동일한 무선 능력 세트에 대해 동일한 무선 능력 ID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가 명확하지 않다. 오퍼레이터에 의해 결정된 액세스 차단 설정 및 긴급 번호에 대한 동일한 시나리오도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전술한 단점들 또는 다른 결점들을 해결하거나 적어도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한 네트워크의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를 통한 AMF에 등록된 MUSIM UE로의 착신 메시지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01)는 적어도 두 개의 USIM을 갖는 MUSIM UE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는 두 개의 USIM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UE(101)는 두 개 이상의 USIM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SIM-1(103) 및 USIM-2(105)가 동일한 AMF(107)에 등록된다. 그 후에 AMF(107)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해 UCMF(UE radio capability management function)(109)와 통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UE(101)와 네트워크가 페이징 제한을 지원할 수 있다. UE(101)는, MME/AMF가 네트워크가 페이징 제한을 지원함을 나타내는 경우, 페이징 제한 정보를 서비스 요청, 확장된 서비스 요청 또는 추적 영역 업데이트 요청(또는 임의의 다른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에 나타낼 수 있다. 페이징 제한 정보는 다음 중 어느 것을 나타낼 수 있다:
a) 모든 페이징이 제한된다는 것,
b) 음성 서비스(예를 들면, IMS 음성, MMTel 음성 또는 CS(circuit-switched) 도메인 음성)에 대한 페이징을 제외한 모든 페이징이 제한된다는 것,
c) 특정 PDN 연결(들)을 제외한 모든 페이징이 제한된다는 것, 또는
d) 특정 PDN 연결(들) 및 음성 서비스(예를 들면, IMS 음성, MMTel 음성 또는 CS 도메인 음성)를 제외한 모든 페이징이 제한된다는 것.
일 실시예에 따르면, UE(101)와 네트워크 모두가 페이징 제한 능력을 지원할 수 있더라도, AMF(101) 또는 MME(미도시)가 코어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 식별을 지원하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홈 라우팅된 IMS PDU 세션으로 인해 IP 헤더들(또는 사용자 데이터 패킷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에 적절한 헤더들이 표시되지 않거나 태그가 지정되지 않아 서빙 코어 네트워크는 착신 서비스(즉,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들)가 음성 서비스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구별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이 음성 서비스에 대한 것인지 다른 서비스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코어 네트워크가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UE(101)가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페이징 제한을 요청하는 경우, 예를 들어, UE(101)가 음성 서비스에 대해서만 페이징될 것을 요청하는 경우. 이에 따라, 그 상황에서 하향링크 패킷들이 IMS PDU 세션에 도착하면, 코어 네트워크가 UE(101)를 페이징할 수 있다. UE(101)가 페이징이 음성 서비스만을 위한 것으로 잘못 이해하고 다중 USIM 디바이스의 제 2 UE로부터 RF를 빼앗을 수 있다. 따라서 제 2 UE의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UE(제 1 UE)는 이제 착신 페이징 요청에 응답할 때 착신 데이터 패킷들이 음성 서비스를 위한 것이 아님을 깨달을 수 있으며, UE는 진행 중인 세션을 중단하고 UE-2(제 2 UE)로 다시 전환해야 할 수 있다. 이것은 제 2 UE 동작에서 불필요한 중단을 야기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 UE는 먼저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음성 서비스를 나타내기 위해 페이징 원인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네트워크가 음성 서비스 식별을 지원하는지 여부(즉, 네트워크가 음성 서비스 지시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네트워크가 음성 서비스 지시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이것은 네트워크(정확히 말하면, 코어 네트워크)가 유휴 상태에 있는 UE에 대한 음성 서비스 지시와 관련된 데이터 패킷을 식별할 수 있으며 또는 RAN 노드가 데이터 패킷들이 RRC 비활성 상태에서의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임을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네트워크는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제한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요약하면, UE(101)는, 네트워크가 음성 서비스를 지시자(음성 서비스 지시라고도 함)로 갖는 페이징 원인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페이징 제한들을 요청한다. 즉, 지시로서 음성 서비스를 갖는 페이징 원인 기능이 네트워크에 의해(코어 네트워크만에 의해 또는 RAN 노드만에 의해 또는 둘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경우에만, UE(101)는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페이징 제한들을 요청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UE(101)는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페이징 제한들을 요청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아래에 언급된 페이징 제한들이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다:
a) 음성 서비스(MMTel 음성 또는 CS 도메인 음성)에 대한 페이징을 제외한 모든 페이징이 제한되는 것;
b) 특정 PDN 연결(들) 및 음성 서비스(MMTel 음성 또는 CS 도메인 음성)을 제외한 모든 페이징이 제한되는 것;
c) 음성 서비스(IMS 음성)에 대한 페이징을 제외한 모든 페이징이 제한되는 것; 또는
d) 음성 서비스(IMS 음성) 및 특정 PDU 세션(들)에 대한 페이징을 제외한 모든 페이징이 제한되는 것.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즉, AMF/MME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 노드)가 자신이 음성 서비스를 지시자로 갖는 페이징 원인 기능을 지원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UE(101)는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페이징 제한들을 요청하지 않는다. UE(101)가 음성 서비스를 나타내는 페이징 제한을 행하는 경우, 이러한 제한들이 네트워크에 의해 무시되거나 이 페이징 제한이 네트워크에 의해 UE(101)에 대해 수락되지 않는다는 것이 UE에게 명시적으로 지시된다. 따라서 UE(101)는 페이징이 수신될 때마다 그것이 UE(101)에 의한 페이징 제한들을 설정하는 인라인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페이징 제한들이 UE(101)에 의해 지시되는 경우, 네트워크는 각각의 개별 페이징 제한들이 수락되는지 또는 수락되지 않는지 여부를 UE(101)에게 나타내는 NAS 메시지로 응답한다. 네트워크에 의해 수락되지 않는다는 것은, 네트워크가 UE에 의해 제공된 페이징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UE(101)에 의해 요청된 서브세트 또는 전체 페이징 제한들인) 각각의 페이징 필터링 정보의 페이징 필터링(또는 페이징 제한들)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E(101)에 의해 지시된 페이징 제한들이 네트워크에 의해 수락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가 UE(101)에게 타이머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러면 UE(101)는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동일한 페이징 제한 세트를 다시 요청하지 않을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수락되지 않은 페이징 제한들을 요청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E(101)(즉, 다중 USIM 디바이스의 UE-1)가 3GPP 액세스와 비-3GPP 액세스 모두를 통해 동일한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동일한 AMF에 의해 서비스를 받게 된다. 따라서, 이 상황에서, 통지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UE(101)로 송신되면, UE(101)는 3GPP 액세스를 통해 펜딩 중인 하향링크 서비스/시그널링 메시지를 식별할 수 없으며, 따라서 UE(101)는 서비스 요청 절차를 트리거하고 3GPP 액세스를 통해 연결 모드로 이동하여 UE(101)로의 착신 서비스를 이해하기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해야 한다. 이것은 동일한 다중 USIM 디바이스의 UE-2에서 진행 중인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와 UE(101)가 페이징 원인 기능을 지원하는 지원하는 경우에, 또는 UE(101)가 MUSIM 동작 모드에 있거나, UE가 페이징 원인(예를 들어, 음성 서비스 지시)을 요청하거나, 네트워크 및 UE(101)가 하나 이상의 MUSIM 관련 기능들(예를 들어 음성 서비스에 대한 연결 해제 페이징 원인 지시, 페이징 요청 거부, 페이징 타이밍 충돌 제어, 페이징 제한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경우에, 네트워크는 비-음성 서비스에 대해서만 비-3GPP 액세스를 통해 UE(101)로 통지(NOTIFICATION) 메시지를 송신한다. 음성 서비스가 펜딩 중인 경우, 네트워크는 3GPP 액세스를 통해 페이징 메시지를 UE(101)로 송신한다.
따라서, 비-3GPP 액세스를 통해 UE(101)가 통지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UE(101)는 이것이 비-음성 서비스에 대한 것임을 이해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UE(101)는:
a) 비-음성 서비스(즉, 비-음성을 나타내는 다른 서비스)를 수락하기 위해 3GPP 액세스를 통해 서비스 요청을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b) UE(101)가 착신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3GPP 액세스를 통해 NAS 메시지에서 네트워크로 페이징 거부(또는 사용 중 지시)를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c) UE(101)가 착신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지 않는다는 것을 네트워크에 나타내는 통지 응답 메시지를 비-3GPP 액세스를 통해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UE(101)와 네트워크는 또한 다음에 대하여 NAS 시그널링 메시지 교환을 통해 협상할 수 있다:
a)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수신된 통지 메시지가 비-음성 서비스만을 나타낼 수 있는지 여부; 또는
b)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수신된 통지 메시지가 비-음성 서비스 및 임의의 다른 서비스들(즉, 예를 들어 음성)을 나타낼 수 있는지 여부.
위의 사항에 기초하여 UE(101)는 통지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UE에게 송신되는 경우 어떤 종류의 착신 서비스가 UE에게 펜딩되어 있는지를 식별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블록 111에서, UE(101)는 페이징 원인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 네트워크 및 UE(101)가 페이징 원인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 또는 UE(101)가 MUSIM 동작 모드에 있는지 여부 또는 UE(101)가 페이징 원인 지시를 요청하는지 여부 또는 네트워크 및 UE가 하나 이상의 MUSIM 관련 기능들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먼저 결정한다. 블록 111에서 언급된 조건 중 임의의 조건을 만족한 후, 일 조건에서 UE(101)가 네트워크로부터 임의의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블록 113에서, 네트워크는 비-음성 서비스에 대해서만 비-3GPP 액세스를 통해 UE(101)에게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음성 서비스가 펜딩 중이거나 비-음성 서비스가 펜딩 중인 경우, 네트워크는 블록 1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GPP 액세스를 통해 페이징 메시지를 UE(101)로 송신한다.
따라서, 블록 1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3GPP 액세스를 통해 UE(101)가 통지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UE(101)는 이것이 비-음성 서비스에 대한 것임을 이해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UE(101)는 블록 1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동작들 중의 어느 하나를 결정한다:
a) 비-음성 서비스(즉, 비-음성을 나타내는 다른 서비스)를 수락하기 위해 3GPP 액세스를 통해 서비스 요청을 송신할지 여부;
b) UE(101)가 착신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3GPP 액세스를 통해 NAS 메시지에서 네트워크로 페이징 거부(또는 사용 중 지시)를 송신하는 것; 또는
c) UE(101) 구현 제약사항들로 인해, UE가 착신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지 않는다는 것(즉, UE(101)가 다른 SIM에서 사용 중이고 UE(101)가 동시에 두 SIM에서 통신해야 하는 제약사항을 갖기 때문에 UE(101)가 착신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할 수 없음)을 네트워크에 나타내는 통지 응답 메시지를 비-3GPP 액세스를 통해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것.
일 실시예에 따르면, UE(101) 및 네트워크는 또한 다음에 대하여 NAS 시그널링 메시지 교환을 통해 협상할 수 있다:
a)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수신된 통지 메시지가 비-음성 서비스만을 나타낼 수 있는지 여부(도면에는 나와 있지 않음); 또는
b)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수신된 통지 메시지가 비-음성 서비스 및 임의의 다른 서비스들(즉, 예를 들어 음성)을 나타낼 수 있는지 여부도면에는 나와 있지 않음).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UE(101)에서 MUSIM UE로의 착신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MUSIM UE(101)에서 구현되는 방법(2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2에 개시된 방법 흐름에 대응한다.
처음에 블록 201에서, UE(101)는 3GPP 액세스를 통한 페이징 메시지 또는 비-3GPP 액세스를 통한 통지 메시지 중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 메시지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페이징 메시지는 음성 서비스 또는 비-음성 서비스와 연관되고 통지 메시지는 비-음성 서비스와 연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신 메시지가 음성 서비스인지 또는 비-음성 서비스인지의 결정은, UE(101) 및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었던 페이징 메시지 내의 지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통지 메시지는 아래 조건이 만족될 때 UE(101)에 의해 수신된다:
- UE가 페이징 원인 지시 기능을 지원하고 이것을 네트워크에 요청하며,
- 네트워크가 UE에게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하였고,
-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이다.
단계 203에서, UE(101)는 착신 메시지가 음성 서비스 및 비-음성 서비스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착신 메시지를 수락, 거부 또는 무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E(101)는 UE의 구현 제약사항들(즉, UE(101)가 다른 SIM에서 사용 중이고 UE(101)가 동시에 두 SIM에서 통신해야 하는 제약사항을 갖기 때문에 UE(101)가 착신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할 수 없음)에 기초하여 수락, 거부 또는 무시하기로 결정한다.
따라서, 단계 203 이후에, UE(101)는 착신 메시지가 수락되는 경우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기 위해 3GPP 액세스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트리거한다. 따라서, UE(101)가 착신 메시지를 거부하는 경우, UE(101)는 UE(101) 구현 제약사항들로 인해, UE(101)가 3GPP 액세스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기 위해 비-3GPP 액세스를 통해 네트워크로 통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UE에서 MUSIM UE로의 착신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세부 단계들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MUSIM UE(101)에서 구현되는 방법(300)을 도시한 것이다.
처음에 단계 301에서, UE(101)는 네트워크에서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로 인한 또는 하향링크 시그널링으로 인한 착신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303에서, UE(101)는 착신 메시지를 수신한다. 착신 메시지는 3GPP 액세스를 통한 페이징 메시지 또는 비-3GPP 액세스를 통한 통지 메시지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 305에서, UE(101)는 페이징 메시지가 3GPP 액세스를 통해 수신된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페이징 메시지에 지시된 바에 따라, 착신 메시지가 음성 서비스 또는 비-음성 서비스 중 하나와 연관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 후, 단계 307에서, UE(101)는 착신 메시지가 비-음성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결정한다. 통지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수신되는지 여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다. 그 다음 착신 메시지가 비-음성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 중 하나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단계 309에서, UE(101)는 착신 메시지를 수락할지, 거부할지 또는 무시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MUSIM UE로의 착신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네트워크에서 MUSIM에 구현되는 방법(400)을 보여준다.
처음에 임의의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 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임의의 하향링크 데이터가 네트워크에서 펜딩 중인 경우, 단계 401에서, 네트워크는 펜딩 중인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음성 서비스 또는 비-음성 서비스 중 하나와 연관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403에서의 결정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는 다음 중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E(101)로 송신한다: 펜딩 중인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음성 서비스 또는 비-음성 서비스 중 하나와 연관된 것이라는 결정에 기초하는 3GPP 액세스를 통한 페이징 메시지, 또는 펜딩 중인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비-음성 서비스와 연관된 것이라는 결정에 기초하는 비-3GPP 액세스를 통한 통지 메시지.
일 실시예에 따르면, UE(101)가 착신 서비스를 수락하기로 결정한 경우, UE(101)는 네트워크에 서비스 요청을 송신한다. 따라서, 네트워크는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기 위해 3GPP 액세스를 통해 UE(101)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UE(101)가 착신 서비스를 거부하기로 결정한 경우, UE(101)는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로 통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따라서, 네트워크는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UE(101)로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 것에 기초하여, UE가 UE 구현 제약사항들에 기인하여 3GPP 액세스를 통해 서비스 요청을 송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통지 응답 메시지를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수신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는 착신 메시지가 음성 서비스와 연관된 것으로 단계 401에서 결정되는 경우 비-3GPP 액세스를 통해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금지한다.
따라서, 네트워크는 다음 조건이 만족될 경우 UE(101)로 송신되는 통지 메시지를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한다:
- UE가 페이징 원인 지시 기능을 지원하고 이것을 네트워크에 요청하며,
- 네트워크가 UE에게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하였고,
-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USIM에 대한 등록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중 USIM 또는 MUSIM의 네트워크 설정을 셋업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UE(101)(디바이스라고도 함)는 적어도 3GPP 액세스를 통해 각 USIM에 대해 PLMN과 별도의 등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수의 USIM들을 가진 다중 USIM UE(101)이다. UE(101)는 USIM-1(103)의 PLMN에 등록하기 위해 USIM-1(103)에 대한 등록 절차를 개시하고, UE(101)는 USIM-1(103)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무선 능력 세트를 사용한다. UE(101)는 등록 요청 메시지 또는 다른 NAS 또는 AS 메시지에서 수신된 무선 능력 아이덴티피케이션(RAC ID)을 AMF(107) 또는 NG-RAN에 각각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UE(101)가 다중 USIM을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UE(101)가 다른 USIM에 대해 동일한 무선 능력들을 사용하는 경우 무선 능력 세트에 대해 동일한 RAC ID를 사용하도록 UE(101)에게 지시하는 정보 요소를 송신한다. 네트워크는 UE(101)가 등록 절차 또는 임의의 다른 NAS 절차 동안 NAS 메시지에서 다중 USIM 지원을 나타내는 능력을 송신하는 경우, UE(101)가 다중 USIM을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제 도면들, 특히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유사한 참조 부호가 도면 전체에 걸쳐 일관되게 대응하는 특징을 나타내며,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 USIM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결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중 USIM UE는 두 개의 USIM들을 포함하고 이 USIM들의 가입들은 서로 다르며 서로 독립적이다. 디바이스가 제 1 USIM 또는 USIM-1에 대한 오퍼레이터에 등록되며, 이 오퍼레이터는 무선 능력 세트에 대한 무선 능력 아이덴티티, 긴급 번호 목록 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결정된 액세스 클래스 차단 설정을 제 1 USIM에 대한 UE로 송신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UE 무선 능력 ID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UE 무선 능력 ID(RAC ID)는 3GPP TS 23.501 및 3GPP TS 23.401에서 정의된 UE 무선 능력 세트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식별자이다. UE(101) 무선 능력 ID는 다음 요소들로 구성된다(각 요소는 16 진수만 포함할 수 있음).
1) 타입 필드(TF): UE 무선 능력 ID의 타입을 식별한다. 다음 값들이 정의된다:
- 0: 제조사 할당 UE 무선 능력 ID,
- 1: 네트워크 할당 UE 무선 능력 ID, 및
- 2 내지 F: 향후 사용을 위한 예비 값들;
2) 벤더(vendor) ID는 UE 제조사의 식별자이다. 이것은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에서 민간 기업 번호 관리자 자격으로 발급한 민간 기업 번호 값으로 정의된다. 이 필드는 타입 필드가 0으로 설정된 경우에만 존재하며;
3) 버전 ID는 UCMF에 설정된 현재 버전 ID이다. 이 필드는 타입 필드가 1로 설정된 경우에만 존재한다. 이 것의 길이는 2자리 16 진수이며; 또한
4) RCI(Radio Configuration Identifier): UE 무선 설정을 식별한다. 이 것의 길이는 11자리 16 진수이다.
IANA에 의해 발행된 민간 기업 번호는 UE 무선 능력 ID 내에서 사용될 때 고정된 길이의 8자리 16 진수로 변환되어야 하는 0 내지 4294967295 범위의 십진수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32473은 00007ED9로 변환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USIM에 대한 등록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 솔루션이 고려되어야 한다:
디바이스는 두 개의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포함하며, UICC 1은 USIM-1(103)을 포함한다. USIM-1은 본 개시의 범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UE-1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다른 UICC 2는 USIM-2(105)를 포함한다. USIM-1은 본 개시의 범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UE-1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다중 USIM 디바이스에서, 각 UICC는 고유한 IMEI와 연관되고;
이 디바이스는 USIM-1(103)에 대한 PLMN에 등록되어 있다. PLMN은 등록 절차 또는 임의의 다른 NAS 절차(즉, UE(101)가 RAC ID를 수신하는 절차) 동안 PLMN의 AMF(107)로 송신된 무선 능력 세트(UE 무선 능력이라고도 함)에 대한 RAC ID를 할당하고;
본 개시의 이 양태에서, AMF(107)에 송신된 무선 능력들은 UE(101) 또는 RAN 노드(eNB 또는 gNB 또는 NG-eNB)로부터 수신된 무선 능력들로서 판독될 수 있으며; 그리고
디바이스가 USIM-1(103)의 등록된 PLMN에 대해 USIM-2(105)에 대한 등록 절차(초기 등록 절차 또는 주기적 등록 절차 또는 이동성 등록 절차)를 개시하고, UE(101)가 USIM-1(103)에 대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무선 능력 세트를 사용한다. UE(101)는 등록 요청 메시지 또는 다른 NAS 또는 AS 메시지에서 단계 2에서 수신된 RAC ID를 각각 AMF 또는 NG-RAN으로 송신한다. 네트워크 노드(AMF 또는 NG-RAN)는 후속 NAS 또는 AS 절차에서 UE(101)에 의해 송신된 RAC ID(예를 들어, 무선 능력 세트를 식별하기 위해)를 사용한다. 또한 수신된 RAC ID로 UE 무선 능력 분석을 수행하고, RAN 또는 코어 네트워크 절차들에서 해당 UE 무선 능력들을 사용하고, 해당 UE 무선 능력들을 UE 컨텍스트에 저장한다. 이것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UE의 UE 무선 능력을 쿼리할 필요가 없게 한다. 디바이스가 USIM 2에 대해 이전에 PLMN으로부터 무선 능력 세트에 대한 RAC ID를 수신한 경우, 이 디바이스는 이전에 할당된 RAC ID를 사용할 수 있으며, USIM-2(105)에 대한 무선 능력 세트에 대해 단계 2에서 수신된 RAC ID를 NAS 또는 AS 메시지로 송신한다.
일 예에서, 위의 시나리오는 디바이스가 USIM-2(105)에 대한 무선 능력 세트에 대해 PLMN으로부터 수신된 RAC ID를 갖지 않는 경우에 적용된다. 디바이스가 이전에 USIM-2(105)에 대한 동일한 무선 능력 세트에 대한 임의의 RAC ID를 수신한 경우, 이 디바이스는 USIM-2(105)에 대해 이전에 할당된 RAC ID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UE-1이 UE 무선 능력에 대한 RAC ID를 할당받는 경우, UE-2도 또한 네트워크를 향한 자신의 절차들에서 동일한 UE 무선 능력 세트에 대해 동일한 RAC ID를 사용할 수 있다. RAC ID가 PLMN 할당 RAC ID인 경우, 해당 RAC ID는 해당 PLMN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즉, RAC ID는 다중 USIM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UE들 사이의 공통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 USIM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결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 솔루션이 고려되어야 한다:
디바이스는 USIM-1(103)을 포함하는 UICC 1과 USIM-2(105)를 포함하는 다른 UICC 2의 두 UICC로 구성된다. 다중 USIM 디바이스에서, 각 UICC는 고유한 IMEI와 연관되어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참조 번호는 본 개시의 전반에 걸쳐 적용될 때마다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며;
디바이스가 USIM-1(103)에 대한 PLMN에 등록되어 있다. PLMN은 등록 절차 또는 임의의 다른 NAS 절차 동안 NAS 메시지에서 UE(101)로부터 수신된 무선 능력 세트에 대한 RAC ID를 할당한다. 네트워크는 등록 절차 또는 다른 NAS 절차 동안 NAS 메시지에서 RAC ID를 송신하며;
또한, 네트워크는 디바이스가 다중 USIM을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하며, UE가 다른 USIM에 대해 동일한 무선 능력들을 사용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무선 능력 세트에 대해 동일한 RAC ID를 사용하도록 UE(101)에게 지시하는 정보 요소를 송신한다. 네트워크는 UE(101)가 등록 절차 또는 임의의 다른 NAS 절차 동안 NAS 메시지에서 다중 USIM의 지원을 나타내는 능력을 송신하는 경우 디바이스가 다중 USIM을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일 예에서, UE(101)는 대응하는 제 2 USIM의 IMEI 또는 제 2 USIM(105)에 대응하는 IMEI의 타입 할당 코드(type allocation code, TAC)를 송신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는 제 2 USIM에 대응하는 IMEI 또는 제 2 USIM에 대응하는 IMEI의 TAC를 수신한 경우, 이 디바이스가 다중 USIM을 지원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네트워크가 제 1 IMEI(제 1 USIM에 대응)의 TAC와 제 2 IMEI(제 2 USIM에 해당)의 TAC가 동일한 것으로 결정하면, 네트워크는 동일한 RAC ID를 할당한다. UE(101)는 PLMN에 대한 제 2 USIM의 등록 절차를 개시하고, UE(101)는 동일한 무선 능력 세트를 사용하며, 정보 요소(IE)가 다른 USIM에 대한 무선 능력 세트에 대해 동일한 RAC ID를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UE(101)는 단계 2에서 수신된 RAC ID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은 디바이스가 단일 UICC로 구성되고 이 UICC가 다수의 USIM들을 갖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SUPI(Subscription Permanent Identifier)의 경우, 네트워크가 무선 능력 세트에 대해 RAC ID를 할당하면, UE(101)는 UICC의 제 2 USIM에 대한 무선 능력 세트에 대해 동일한 RAC ID를 사용하며, 즉, UE(101)가 무선 능력 세트를 사용할 때 UE(101)는 NAS 메시지(예를 들어, 등록 요청 메시지)에서 동일한 RAC ID를 송신한다.
상기 실시예들은 지역 긴급 번호 또는 확장된 지역 긴급 번호 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정의된 액세스 카테고리 정의에 대한 경우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USIM을 위해 PLMN으로부터 수신된 지역 긴급 번호 또는 확장된 지역 긴급 번호 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정의된 액세스 카테고리 정의가, 디바이스의 제 2 USIM에도 사용된다. 위의 실시예들은 5GS, EPS 또는 UMTS 또는 이들 시스템들의 임의의 조합에 적용 가능하다.
일 예에서, 솔루션은 위에서 정의된 기존 솔루션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UE가 UE 무선 능력 세트에 대한 NAS 메시지에서 네트워크-1로부터 PLMN 할당 RAC ID를 수신한 경우, MUSIM UE는 이것을 USIM 스택들 사이의 공통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UE(101)가 동일한 PLMN에 대해 동일한 UE 무선 능력 세트를 사용하는 경우, UE(101)는 다중 USIM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USIM들에 대해 네트워크와 상호 작용하는 동안 동일한 RAC ID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에서 실행되고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해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네트워크 노드(1400)는 통신 유닛(1405)(예를 들어, 통신기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메모리 유닛(1403)(예를 들어, 스토리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노드(1400)는 클라우드-RAN(C-RAN), 중앙 유닛(CU), 코어 네트워크(NW), 분산 유닛(DU) 또는 임의의 다른 가능한 네트워크(NW) 엔티티(예를 들면, AMF, SMF)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프로세서(1401)는 단일 처리 유닛 또는 다수의 유닛일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다수의 컴퓨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1)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 상태 기계, 논리 회로, 및/또는 동작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신호를 조작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기능들 중에서, 프로세서(1401)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및 데이터를 가져오고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도 있고, GPU(Graphics Processing Unit), VPU(Visual Processing Unit)와 같은 그래픽 전용 처리 장치일 수도 있으며, 및/또는 NPU(Neu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AI 전용 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사전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 지능(AI)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의 처리를 제어한다. 사전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 지능 모델은 교육 또는 학습을 통해 제공된다.
메모리 유닛(1403)은 예를 들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및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및/또는 ROM(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1405)은 통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UE에서 단말(15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구성은 단말/UE(1500)의 구성의 일부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유닛" 또는 "모듈"을 포함하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유닛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UE(1500)는 통신 유닛(1503)(예를 들면, 통신기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 유닛(1505)(예를 들면, 스토리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5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UE(1500)는 셀룰러 전화 또는 복수의 셀룰러 네트워크(예를 들어, 3G, 4G, 5G 또는 pre-5G, 6G 네트워크 또는 미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통신 유닛(1503)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UE(1500)는 메모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예를 들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및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및/또는 ROM(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네트워크의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를 통한 AMF에 등록된 MUSIM UE로의 착신 메시지를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3GPP 액세스를 통한 페이징 메시지 또는 비-3GPP 액세스를 통한 통지 메시지 중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페이징 메시지는 음성 서비스 또는 비서비스 서비스와 연관되고 통지 메시지는 비-음성 서비스와 연관됨 -; 및 착신 메시지가 음성 서비스 및 비-음성 서비스 중 하나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착신 메시지를 수락, 거부 또는 무시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착신 메시지의 수락은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기 위해 3GPP 액세스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착신 메시지의 거부는 UE 구현 제약사항으로 인해 UE가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통지 응답 메시지를,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통지 메시지는 다음의 조건에 기초하여 UE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UE가 페이징 원인 지시 기능을 지원하고 이것을 네트워크에 요청하고, 네트워크가 UE에게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하였고,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임.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네트워크의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에서 AMF에 등록된 MUSIM UE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에 의해서, 펜딩 중인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음성 서비스 또는 비-음성 서비스 중 하나와 연관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UE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메시지는 펜딩 중인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음성 서비스 또는 비-음성 서비스 중 하나와 연관된다는 결정에 기초한 3GPP 액세스를 통한 페이징 메시지; 또는 펜딩 중인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비-음성 서비스와 연관된다는 결정에 기초한 비-3GPP 액세스를 통한 통지 메시지 중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기 위해 3GPP 액세스를 통해 UE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UE로의 통지 메시지의 송신에 기초하여, UE 구현 제약사항들로 인해, UE가 3GPP 액세스를 통해 서비스 요청을 송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통지 응답 메시지를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통지 메시지는 다음의 조건에 기초하여 UE로 송신될 수 있다: UE가 페이징 원인 지시 기능을 지원하고 이것을 네트워크에 요청하며, 네트워크가 UE에게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하였고,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은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임.
일 실시예에서, 착신 메시지가 음성 서비스와 연관된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는 비-3GPP 액세스를 통해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네트워크의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에서 AMF에 등록된 MUSIM UE로의 착신 메시지를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에서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로 인한 또는 하향링크 시그널링으로 인한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3GPP 액세스를 통한 페이징 메시지 또는 비-3GPP 액세스를 통한 통지 메시지 중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페이징 메시지가 3GPP 액세스를 통해 수신되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페이징 메시지에 지시된 바에 따라, 착신 메시지가 음성 서비스 또는 비-음성 서비스 중 하나와 연관되어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통지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수신되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착신 메시지가 비-음성 서비스와 연관되어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착신 메시지가 비-음성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 중 하나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착신 메시지를 수락, 거절 또는 무시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네트워크의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에서 AMF에 등록된 착신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MUSIM UE가 제공된다. UE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3GPP 액세스를 통한 페이징 메시지 또는 비-3GPP 액세스를 통한 통지 메시지 중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 페이징 메시지는 음성 서비스 또는 비-음성 서비스와 연관되고 통지 메시지는 비-음성 서비스와 연관됨 -; 착신 메시지가 음성 서비스 및 비-음성 서비스 중 하나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착신 메시지를 수락, 거부 또는 무시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착신 메시지의 수락은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기 위해 3GPP 액세스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착신 메시지의 거부는 UE 구현 제약사항으로 인해 UE가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통지 응답 메시지를,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통지 메시지는 다음의 조건에 기초하여 UE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UE가 페이징 원인 지시 기능을 지원하고 이것을 네트워크에 요청하고, 네트워크가 UE에게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하였고,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임.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네트워크의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에서 AMF에 등록된 MUSIM UE에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펜딩 중인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음성 서비스 또는 비-음성 서비스 중 하나와 연관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펜딩 중인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음성 서비스 또는 비-음성 서비스 중 하나와 연관되어 있다는 결정에 기초한 3GPP 액세스를 통한 페이징 메시지, 또는 통지 펜딩 중인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비-음성 서비스와 연관되어 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비-3GPP 액세스를 통한 메시지 중 하나를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3GPP 액세스를 통해 UE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통지 메시지의 UE로의 송신에 기초하여, UE 구현 제약사항들로 인해, UE가 3GPP 액세스를 통해 서비스 요청을 송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통지 응답 메시지를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통지 메시지는 다음의 조건에 기초하여 UE로 송신될 수 있다: UE가 페이징 원인 지시 기능을 지원하고 이것을 네트워크에 요청하며, 네트워크가 UE에게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하였고,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은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임.
일 실시예에서, 착신 메시지가 음성 서비스와 연관된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는 비-3GPP 액세스를 통해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네트워크의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에서 AMF에 등록된 착신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MUSIM UE가 제공된다. UE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로 인한 또는 하향링크 시그널링으로 인한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3GPP 액세스를 통한 페이징 메시지 또는 비-3GPP 액세스를 통한 통지 메시지 중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페이징 메시지가 3GPP 액세스를 통해 수신되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페이징 메시지에 지시된 바에 따라, 착신 메시지가 음성 서비스 또는 비-음성 서비스 중 하나와 연관되어 있다고 결정하고; 통지 메시지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수신되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착신 메시지가 비-음성 서비스와 연관되어 있다고 결정하고; 또한 착신 메시지가 비-음성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 중 하나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착신 메시지를 수락, 거절 또는 무시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해 특정 언어가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언어에 의해 발생하는 어떠한 제한도 의도되지 않는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교시된 바와 같은 발명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 방법에 대한 다양한 작동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들 및 전술한 설명은 실시예들의 예를 제공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단일 기능 요소로 결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특정 요소들이 다수의 기능 요소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의 요소들이 다른 실시예에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임의의 흐름도의 동작들이 도시된 순서대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모든 동작을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또한, 다른 동작에 의존하지 않는 동작은 다른 동작과 병행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들 특정 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제공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구조, 치수 및 재료 용도의 차이와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들의 범위는 적어도 다음 청구범위에 의해 주어진 만큼 넓다.
이득, 다른 이점 및 문제에 대한 솔루션에 대하여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득, 이점, 문제에 대한 솔루션, 그리고 이득, 이점 또는 솔루션이 발생하거나 더 현저하게 만들 수 있는 임의의 구성 요소(들)가 임의의 또는 모든 청구범위의 중요하거나 필수적이거나 본질적인 특징 또는 구성 요소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들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가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은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CD-ROM(Compact Disc-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다른 타입의 광학 저장 장치 또는 자기 카세트에 저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그램들은 이러한 저장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메모리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들은 인터넷, 인트라넷,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SAN(Storage Area Network)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부착형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와 외부 포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 상의 별도의 저장 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이 제시된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시된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 것이고,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가 단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가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가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태 및 세부 사항의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가 다양한 실시예들로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당업자에게 제안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USIM(Multi-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UE)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액세스 네트워크 및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 모두에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대한 등록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가 유휴(idle) 상태에 있는 동안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가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메시지가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가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메시지가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메시지는, 상기 UE와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 원인 지시(paging cause indication)를 지원하는 경우에 수신되고;
    상기 UE는 상기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받고, 상기 AMF는 상기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UE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식별하며; 또한
    상기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메시지는 통지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가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기 위해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service request message)를 송신는 단계, 및
    상기 통지 메시지가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UE 구현 제약사항으로 인해 상기 UE가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통지 응답 메시지(notification response message)를,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메시지는, 상기 UE와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 원인 지시를 지원하는 경우에 수신되고;
    상기 UE는 상기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받고, 상기 AMF는 상기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UE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식별하며; 또한
    상기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를 포함하는,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UE)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인지 또는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UE에게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상기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경우,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상기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경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UE는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 모두에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등록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여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되고;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UE와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 원인 지시를 지원하는 경우에 송신되며; 또한
    상기 UE는 상기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받고, 상기 AMF는 상기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UE에 대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식별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가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경우, 상기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기 위해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지 메시지가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경우, UE 구현 제약사항으로 인해 상기 UE가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통지 응답 메시지를,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메시지는, 상기 UE와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 원인 지시를 지원하는 경우에 수신되고;
    상기 UE는 상기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받고, 상기 AMF는 상기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UE에 대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식별하며; 또한
    상기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USIM(Multi-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UE)에 있어서,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액세스 네트워크 및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 모두에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대한 등록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가 유휴 상태에 있는 동안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가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메시지가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메시지가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메시지가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UE).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메시지는, 상기 UE와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 원인 지시를 지원하는 경우에 수신되고;
    상기 UE는 상기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받고, 상기 AMF는 상기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UE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식별하며; 또한
    상기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메시지는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UE).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지 메시지가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기 위해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통지 메시지가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경우, UE 구현 제약사항으로 인해 상기 UE가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통지 응답 메시지를,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UE).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메시지는, 상기 UE와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 원인 지시를 지원하는 경우에 수신되고;
    상기 UE는 상기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받고, 상기 AMF는 상기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UE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식별하며; 또한
    상기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UE).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에 있어서,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UE)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인지 또는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UE에게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상기 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경우,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이 상기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경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UE는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 모두에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등록되는, AMF.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여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되고;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UE와 코어 네트워크가 페이징 원인 지시를 지원하는 경우에 송신되며; 또한
    상기 UE는 상기 음성 서비스에 대한 페이징 지시가 지원됨을 지시받고, 상기 AMF는 상기 비-음성 서비스와 관련된 상기 UE에 대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을 식별하고, 상기 통지 메시지가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경우, 상기 비-음성 서비스를 수락하기 위해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AMF.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지 메시지가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경우, UE 구현 제약사항으로 인해 상기 UE가 상기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통지 응답 메시지를, 상기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AMF.
KR1020237040839A 2021-04-27 2022-04-26 착신 메시지의 서비스를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46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2141019376(PS) 2021-04-27
IN202141019376 2021-04-27
IN202141019376(CS) 2022-03-30
PCT/KR2022/005966 WO2022231281A1 (en) 2021-04-27 2022-04-26 Method and system to determine service in incoming mess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663A true KR20240004663A (ko) 2024-01-11

Family

ID=8369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839A KR20240004663A (ko) 2021-04-27 2022-04-26 착신 메시지의 서비스를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46060A1 (ko)
EP (1) EP4315899A1 (ko)
KR (1) KR20240004663A (ko)
CN (1) CN117242799A (ko)
WO (1) WO2022231281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39725B (zh) * 2012-09-14 2021-09-21 美商內數位專利控股公司 在3gpp中賦能非3gpp卸載的方法及裝置
CN113286291A (zh) * 2017-03-08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接入场景中的连接处理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242799A (zh) 2023-12-15
EP4315899A1 (en) 2024-02-07
WO2022231281A1 (en) 2022-11-03
US20220346060A1 (en)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309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handling network slice admission control for UE
US202301564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e authentication for remote provisioning
KR20240035562A (ko) 저장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4176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단말의 등록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0994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slice admission control for interworking with epc in wireless network
KR20240004663A (ko) 착신 메시지의 서비스를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203692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plmn selection during disaster condition
US20220400461A1 (en) Method and amf apparatus for nsac operation based on ue's actual usage
US20230262597A1 (en) Method and an apparatus to acquire voice services in 5g sa deployment
US202303708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deregistration procedure of user equipment for disaster roaming service in wireless network
US202303197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ccess pa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40073849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재난 상황 중에 rplmn(registered 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409645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1258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vailable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202301369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compliance with ue route selection policy
US202300957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registered public land mobile network during disaster situation in wireless network
US20240147334A1 (en) Methods for performing lower layer triggered mobility in wireless network
US2023036274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optimize conditional pscell addition and change (cpac)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1961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peration in standalone non-public network (snpn)
KR20230050374A (ko) 액세스 유형별 거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지원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401143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consent for roaming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568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dge computing service 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40062619A (ko) Up 기반 upf 이벤트 노출 서비스를 가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07082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사설 ip 주소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01436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서비스 연속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