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180A - Smart outlets device for preventing fire - Google Patents

Smart outlets device for preventing f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180A
KR20240004180A KR1020230191341A KR20230191341A KR20240004180A KR 20240004180 A KR20240004180 A KR 20240004180A KR 1020230191341 A KR1020230191341 A KR 1020230191341A KR 20230191341 A KR20230191341 A KR 20230191341A KR 20240004180 A KR20240004180 A KR 20240004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ower
unit
fir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13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라웅재
Original Assignee
라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웅재 filed Critical 라웅재
Priority to KR1020230191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4180A/en
Publication of KR20240004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180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Cooker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센트부, 상기 콘센트부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발열 감지부, 및 상기 콘센트부의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 상승하는 경우 화재 발생의 전조 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콘센트부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which includes an outlet unit, a hea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unit, and determining that it is a precursor to a fire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unit rises above a preset temperature. and a power cutoff unit that cuts off power to the outlet unit.

Description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SMART OUTLETS DEVICE FOR PREVENTING FIRE}SMART OUTLETS DEVICE FOR PREVENTING FIRE}

본 발명은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 내부의 이상 온도를 감지하고 전원을 차단시켜 콘센트를 보호함과 동시에 화재 발생을 사전 예방할 수 있는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mart outlet technology for fire prevention. More specifically, a smart outlet for fire prevention that detects abnormal temperatures inside the outlet and cuts off the power to protect the outlet and prevent fires in advance. It's about devices.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조사한 '전기안전사고 발생 현황'에 따르면 전기화재로 인한 피해액이 2019년도에만 약 2,000억원으로 3년 전에 비해 약 3.5배가 증가하는 등 전기화재로 인한 그 피해 규모는 해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심각한 전기화재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분전반에는 배선용 차단기, 누전차단기, 아크차단기 등의 안전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배선 기구 부분에서는 멀티 탭 등에 자동 소화기를 장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전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들이 고안되고 있다.According to the 'Status of Electrical Safety Accidents' surveyed by the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the amount of damage caused by electrical fires is increasing year by year, with damage from electrical fires reaching approximately 200 billion won in 2019 alone, an increase of approximately 3.5 times compared to three years ago. I'm doing it. In order to prevent damage from such serious electrical fires, safety devices such as molded circuit breakers,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s, and arc circuit breakers are installed in distribution boards, and various methods are used to prevent electrical fires, such as installing automatic fire extinguishers on power strips, etc. in the wiring equipment area. Devices for this are being designed.

그러나, 전기화재의 1차 주요 원인은 플러그와 콘센트 간의 접속 불량에 의한 콘센트 내부의 과열 발생에 있다. 콘센트의 경우 수시로 플러그를 빼고 끼우는 작업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그 결과 플러그 핀(Plug Pin)과 계속 압입 접촉하게 되는 콘센트 내부의 플러그 핀 홀더(Plug Pin Holder) 부분이 마멸되거나 파손되고 내부의 고정 구조물들이 헐거워지게 되고, 금속 접촉면이 산화가 되어 녹이 쓸거나 부식이 되거나 또는 먼지나 이물질 층이 잔뜩 끼이거나 부착되거나 하는 다양한 문제들로 인하여 정상적인 규정 접촉 면적이 감소되는 통전 통로의 감소 현상으로 인하여 저항이 상승, 발열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또 스파크가 튀기도 하는 접촉 불량으로 과열과 합선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콘센트에서 화재가 계속 일어나고 있다.However, the primary cause of electrical fires is overheating inside the outlet due to poor connection between the plug and the outlet. In the case of an outlet, the plug is frequently removed and inserted, and as a result, the part of the plug pin holder inside the outlet that is in continuous press-fit contact with the plug pin is worn or damaged, and the internal fixing structure is damaged. Resistance decreases due to a decrease in the current conduction passage, which reduces the normal specified contact area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oxidation of the metal contact surface, rust, corrosion, or a large layer of dust or foreign matter, etc. Overheating and short circuiting occur due to poor contact, which causes rise and heat generation, and sparks may also fly. As a result, fires continue to break out in electrical outlets.

도 1은 콘센트에서 발생하는 전기사고의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Figure 1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ical accident occurring in an outlet.

도 1에 보여준 바와 같이, 콘센트에 발열 현상이 발생하여 타거나 심한 경우 녹아버려 화재로 이어지게 된다.As shown in Figure 1, heat generation occurs in the outlet, causing it to burn or, in extreme cases, melt, resulting in a fire.

이와 같이 콘센트 내부의 전기화재 사고는 전원연결 플러그 부분의 플러그 핀(Plug Pin)과 콘센트 내부에서 그 핀을 잡아 전원을 접속시켜주는 플러그 핀 홀더(Plug Pin Holder) 사이의 불완전 접촉이 그 주 원인이 되고 있다. 접촉 면적이 좁아지면 좁아질수록 온도가 비례하여 상승하게 되며 결국 허용 범위를 넘어 섭씨 수백도 이상의 과열이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 콘센트와 플러그를 녹이고 태우게 되며 나아가 전선 피복도 녹여 두 전선의 합선을 야기시키는 치명적인 단계로까지 발전케 된다.Like this, the main cause of electrical fire accidents inside an outlet is incomplete contact between the plug pin of the power connection plug and the plug pin holder that holds the pin inside the outlet and connects the power source. It is becoming. As the contact area narrows, the temperature rises proportionally, eventually exceeding the allowable range and causing overheating of hundreds of degrees Celsius or more, which melts and burns the outlet and plug, and further melts the sheath of the wire, causing a fatal short circuit of the two wires. It develops into stages.

그 단계에서 결국은 10,000℃에 이르는 고온의 아크(스파크)를 발생시켜 주위의 인화성 물질에까지 순식간에 인화되어 심각한 아크 전기 화재에 의한 대형 전기 화재 사고로 발전하게 되는 것이다.At that stage, a high-temperature arc (spark) reaching up to 10,000℃ is generated and the surrounding flammable materials are instantly ignited, developing into a large-scale electrical fire accident caused by a serious arc electric fire.

현재 콘센트의 화재를 초기 진화하기 위하여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 자동 소화 기능이 포함된 콘센트 제품이 있다. 이러한 제품은 불꽃 발생시 순간적으로 이산화탄소 등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화학물질이 분사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순간적인 불꽃이나 발열은 진압할 수 있으나 콘센트 내부에는 발열의 원인이 그대로 유지되며 전원이 계속 살아있고 전기가 계속 공급되고 있어 발열 현상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화재 예방의 근본적인 효과가 보장되지 않는다는데 문제가 있다. 즉, 고온이나 불꽃 발생시 순간적으로 화재진압 화학물질이 분사되면서 일시적으로는 불꽃과 고온이 제압될 수 있지만 전원이 계속 켜져 있는 상태이므로 인하여 플러그 핀 부분과 핀홀더 부분의 접촉면이 계속 접촉 불량의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조금 시간이 지나면서 또 발열이 계속 발생하게 되어 있어 화재 효과가 한 순간에 지나지 않아 화재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Currently, there are outlet products with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unction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sold to initially extinguish outlet fires. These products are designed to momentarily spray chemicals to extinguish fires, such as carbon dioxide, when a flame occurs, so they can extinguish momentary flames or heat, but the source of heat remains inside the outlet, and the power remains alive and electricity continues to flow. The problem is that the fundamental effect of fire prevention is not guaranteed because the heating phenomenon is bound to continue as it is continuously supplied. In other words, when a high temperature or flame occurs, fire extinguishing chemicals are sprayed momentarily, which can temporarily suppress the flame and high temperature, but because the power is continuously turned o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plug pin portion and the pin holder portion continues to be in a poor contact state. Because it is maintained, heat continues to be generated over time,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undamentally prevent a fire because the fire effect only lasts for a moment.

특히, 사람이 없는 곳에서는 즉시 그에 대한 적합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화재의 위험성은 계속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제품은 이미 콘센트 내부에 화재가 발생해 버린 후에 대응하는 사후 대응 개념의 장치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주위에 인화성 물질이나 인화 온도가 낮은 위험 약품 등이 있는 경우는 즉시 폭발로 이어질 수도 있는 위험성도 따른다. 콘센트 제품 자체와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는 주위의 물질들이 소손되고 파손된 후에 대처하는 방식임에도 유의하여야 한다.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fire continues because appropriate measures cannot be taken immediately in places where there are no people. Furtherm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se products are post-response devices that respond after a fire has already occurred inside the outlet. If there are flammable substances or dangerous chemicals with low ignition temperatures nearby, there is a risk that it may lead to an immediate explos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a method of responding after the outlet product itself and the materials around the outlet are damaged or damaged.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4514(2017.05.0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34514 (2017.05.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센트 내부의 이상 온도를 감지하고 전원을 차단시켜 콘센트를 보호함과 동시에 화재 발생을 사전 예방할 수 있는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that can detect abnormal temperatures inside the outlet and cut off the power to protect the outlet and prevent fire occurrence in adv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센트 내부의 과열을 모니터링하여 화재로 이어지기 전에 전원을 차단하고 차단 원인을 상태 표시하여 콘센트의 현재 상태를 확인해볼 수 있고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device for fire prevention that monitors overheating inside the outlet, cuts off the power before it leads to a fire, displays the cause of the cutoff, allows you to check the current state of the outlet, and takes quick action. We would like to provide an outlet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센트 내부의 과열 발생시 누설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분기상류에 설치된 누전차단기를 통해 주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that can generate a leakage signal when overheating occurs inside the outlet and cut off the main power through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installed upstream of the corresponding branch.

실시예들 중에서,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는 콘센트부, 상기 콘센트부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발열 감지부, 및 상기 콘센트부의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 상승하는 경우 화재 발생의 전조 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콘센트부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한다. Among embodiments, 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includes an outlet unit, a hea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unit, an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unit rises above a preset temperature, it is determined to be a precursor to the occurrence of a fire. It includes a power cutoff unit that cuts off power to the outlet unit.

상기 발열 감지부는 상기 콘센트부의 플러그 핀 홀더와 주 전원 전선 연결 접속부 사이의 연결 도체에 설치되고 플러그와 플러그 핀 홀더의 접촉 불량 및 주 전원 전선과의 접속 불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과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detec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connection conductor between the plug pin holder of the outlet and the main power wire connection connection and detects a temperature rise due to overheating caused by poor contact between the plug and the plug pin holder and poor connection with the main power wire. It may include a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상기 발열 감지부는 상기 콘센트부의 아크, 누전 및 과부하를 검출하기 위한 아크 감지 센서, 누전 감지 센서 및 과전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det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rc detection sensor, an earth leakage detection sensor, and an overcurren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rc, electric leakage, and overload of the outlet unit.

상기 전원 차단부는 감지된 상기 콘센트부의 내부 온도와 기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콘센트부의 이상 과열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콘센트부의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 상승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이 예측된 경우 상기 콘센트부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The power cutoff unit determines an abnormal overheating state of the outlet unit by comparing the sensed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unit with a preset temperature, an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unit rises above the preset temperature and the possibility of a fire is predicted, the outlet unit The power can be cut off.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콘센트부의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 상승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이 예측된 경우 누설 전류를 발생하여 분전반에 있는 누전 차단기가 차단되도록 하여 주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unit rises above a preset temperature and the possibility of a fire is predicted, the power cutoff unit may generate a leakage current and cut off the ground fault breaker in the distribution board to cut off the main power supply.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콘센트부의 내부 온도가 이상 온도인 경우 과열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콘센트부에 아크가 발생한 경우 아크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콘센트부에 누전이 발생한 경우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콘센트부에 과전류가 발생한 경우 과부하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The power cutoff unit cuts off power in response to the possibility of a fire occurring due to overheating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unit is an abnormal temperature, and if an arc occurs in the outlet unit, cuts off power in response to the possibility of a fire occurring due to the arc. If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outlet, the power can be cut off in response to the possibility of a fire due to a short circuit, and if an overcurrent occurs in the outlet part, the power can be cut off in response to the possibility of a fire due to overload.

실시예들 중에서,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는 상기 콘센트부의 전원 차단 원인을 LED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콘센트부의 상태를 알려주는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mong embodiments, 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atus notification unit that informs the user of the state of the outlet unit by displaying the cause of power cutoff of the outlet unit with an LED.

실시예들 중에서,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는 일측에 암형 접속부와 타측에 수형 접속부가 마련되어 이웃하는 콘센트 모듈과 암수 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콘센트 모듈들, 및 상기 복수의 콘센트 모듈들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콘센트 모듈들 각각의 내부 온도, 아크, 누전 및 과부하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의 전조 단계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 전조 단계에 있는 해당 콘센트 모듈의 전원을 차단시키거나 연결된 상기 복수의 콘센트 모듈들의 전원을 일괄 차단시키는 본체 모듈을 포함한다.Among embodiments, 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outlet modules provided with a female connection part on one side and a male connection part on the other si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neighboring outlet modules through male and female coupling, and the plurality of outlet modules. It is connected to one end and detects the internal temperature, arc, leakage, and overloa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 modules to determine the precursor stage of fire occurrence and turns off the power of the corresponding outlet module in the precursor stage of fire occurrence or connects the plurality of outlet modules. It includes a main body module that cuts off the power of the outlet modules at once.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는 콘센트 내부의 이상 온도를 감지하고 전원을 차단시켜 콘센트를 보호함과 동시에 화재 발생을 사전 예방할 수 있다.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bnormal temperatures inside the outlet and cut off the power to protect the outlet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fire occurr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는 콘센트 내부의 과열을 모니터링하여 화재로 이어지기 전에 전원을 차단하고 차단 원인을 상태 표시하여 콘센트의 현재 상태를 확인해볼 수 있고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다.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overheating inside the outlet, cuts off the power before it leads to a fire, displays the cause of the cutoff, allows you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the outlet, and takes prompt action. can be tak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는 콘센트 내부의 과열 발생시 누설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분기상류에 설치된 누전차단기를 통해 주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 leakage signal when overheating occurs inside the outlet and cut off the main power through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installed upstream of the corresponding branch.

도 1은 콘센트에서 발생하는 전기사고의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발열 감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있는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에서 화재 예방을 위한 콘센트 전원 차단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3에 있는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에서 화재 예방을 위한 콘센트 전원 차단 과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Figure 1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ical accident occurring in an outlet.
Figure 2 is a diagram explaining a smart outlet system for fire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shown in FIG. 2.
FIG. 4 is a diagram explaining the heat detection unit in FIG. 3.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turning off power to an outlet for fire prevention in the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shown in FIG. 3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process of turning off power to an outlet for fire prevention in the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shown in FIG. 3 .
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text. In other word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s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Meanwhil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neighboring"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implemen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them. It is intended to specify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For each step, identification codes (e.g., a, b, c,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s do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specified, events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opposit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dditionally,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across computer systems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explaining a smart outlet system for fire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시스템(100)은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 smart outlet system 100 for fire prevention includes a smart outlet device 110 and a user terminal 130.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콘센트(111)를 포함하고 콘센트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The smart outlet device 110 includes an outlet 111 and can prevent outlet fires.

콘센트(111)는 전기를 공급받기 위해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는 어댑터(Adaptor)로, 벽면 매입 또는 멀티 탭 형태, 탈부착형 플러그 어댑터나 소켓 등에 적용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The outlet 111 is an adapter that is used by inserting a plug to receive electricity. It may be embedded in a wall, in the form of a multi-tap, or applicable to a detachable plug adapter or socket.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콘센트(111) 내부의 발열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시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콘센트(111)에 플러그가 꽂히는 플러그 접속점 및 콘센트(111)에 전원전선이 접속하는 전원 접속구 주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감지된 온도에 따라 콘센트(111)의 전원을 차단시키거나 누설 신호를 발생하여 누전차단기를 차단시켜 주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30)과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외부에서 원격으로 콘센트(111)의 상태를 제어 및 관제할 수 있다.The smart outlet device 110 can detect the heat temperature inside the outlet 111 and automatically turn off the power to prevent fire. In one embodiment, the smart outlet device 110 can detect the temperature around the plug connection point where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outlet 111 and the power outlet where the power wire is connected to the outlet 111. The smart outlet device 110 can cut off the main power by turning off the power to the outlet 111 or generating a leakage signal to block th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depending on the detected temperature. The smart outlet device 110 can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30 through a network and can control and monitor the status of the outlet 111 remotely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user terminal 130.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블루투스(Bloutooth) 및 와이파이(Wi-Fi) 등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3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데, 특히 IoT(Internet of Things) 및 IoST(Internet of Small Things) 디바이스 운용에 적합한 LoRa(Long Range)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30)과 연결될 수 있다. LoRa 네트워크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LoRa는 Long-Range의 약자로 3G나 LTE 등 기존 스마트폰 통신망에 비해 비교적 저전력으로 장거리를 통신할 수 있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에 해당한다. LoRa 네트워크의 ADR(Adaptive Data Rates)은 프로토콜에 따라 0.3 Kbps ~ 50 Kbps의 전송속도 범위에서 동작하고, 개별 디바이스 별로 적용되는 특정 알고리즘을 통해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관리된다.The smart outlet device 110 can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30 and exchange data through various wireless networks such as Bluetooth and Wi-Fi, especially Internet of Things (IoT) and IoT (IoST). It can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30 through a LoRa (Long Range) network suitable for Internet of Small Things (Internet of Small Things) device operation. To briefly explain the LoRa network, LoRa is an abbreviation for Long-Range and corresponds to a low-power long-range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communicate over long distances with relatively low power compared to existing smartphon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3G or LTE. ADR (Adaptive Data Rates) of the LoRa network operates in a transmission speed range of 0.3 Kbps to 50 Kbps depending on the protocol, and is managed by the network server through a specific algorithm applied to each individual device.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및 Wi-Fi 등의 무선 통신은 일반적으로 근거리에서 동작하는 반면, LoRa 네트워크의 커버리지(Coverage)는 지역에 따라 최대 18 Km에 이른다. 또한 LoRa는 좁은 대역폭 및 비면허 주파수 대역(미국 915 MHz, 유럽 868 MHz)에서 동작하므로 블루투스 및 Wi-Fi와 비교하여 간섭에 의한 영향이 적을 수 있다.While wireless communications such as Zigbee, Bluetooth, and Wi-Fi generally operate over short distances, the coverage of LoRa networks can reach up to 18 km depending on the region. Additionally, LoRa operates in a narrow bandwidth and unlicensed frequency band (915 MHz in the US, 868 MHz in Europe), so it may be less affected by interference compared to Bluetooth and Wi-Fi.

사용자 단말(130)은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로부터 콘센트(111)와 관련된 정보 등을 수신하여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 있고, 원격으로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휴대 전화뿐만 아니라 노트북 또는 컴퓨터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30 can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utlet 111 from 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display it through various interfaces, and remotely use 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It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that provides a controllable interface. Here, the user terminal 130 may correspond to a laptop or computer as well as a mobile phon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correspond to various devices such as a tablet PC.

사용자 단말(130)은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들은 사용자 단말(130)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130)들은 복수의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들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30 may be connected simultaneously with 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and a plurality of smart outlet devices 110 for fire prevention may be connected simultaneously with the user terminal 130,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3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network configurations, such as being simultaneous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mart outlet devices (110) for fire prevention.

도 3은 도 2에 있는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shown in FIG. 2.

도 3을 참조하면,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콘센트부(210), 발열 감지부(230), 전원 차단부(250), 상태 알림부(27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includes an outlet unit 210, a heat detection unit 230, a power cutoff unit 250, a status notification unit 270, and a control unit 290. do.

콘센트부(210)는 부하기기로부터 인출된 전원 플러그의 접속을 감지할 수 있다. 콘센트부(210)는 플러그가 꽂힐 수 있고 플러그 삽입 및 제거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콘센트부(210)는 플러그의 접속을 위한 인입구 및 플러그의 접속 여부에 따라 스위칭 상태가 변경되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플러그의 접속을 감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콘센트부(210)는 플러그 삽입 상태에서 부하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이 부하기기 측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The outlet unit 210 can detect the connection of a power plug pulled out from a load device. The outlet portion 210 is configured so that a plug can be inserted and the state of plug insertion and removal can be detected. In one embodiment, the outlet unit 210 may detect the connection of a plug, including an inlet for connecting a plug and a switch whose switching state changes depending on whether the plug is connec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Here, the outlet unit 21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ad device in a plug-inserted state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load device.

발열 감지부(230)는 콘센트부(210)에서 전원 플러그 삽입이 감지되면 콘센트부(210)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열 감지부(230)는 콘센트부(210)의 플러그 접속점 및 전원 접속구 주변에 온도 감지 센서를 장착하여 온도 검출을 통해 과열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발열 감지부(230)은 플러그 핀과 콘센트부(210) 내부의 플러그 핀 홀더의 접촉시 발생하는 열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발열 감지부(230)는 콘센트부(210)와 주전원 인입 접속부(Connection Terminal)의 접촉 불량으로 인한 과열을 감지할 수 있다.The heat detection unit 230 may detect heat generated in the outlet unit 210 when insertion of a power plug is detected in the outlet unit 210 . In one embodiment, the heat detection unit 230 may detect overheating through temperature detection by mounting a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around the plug connection point and power connection port of the outlet unit 210. Here, the heat detection unit 230 can detect the heat temperature generated when the plug pin contacts the plug pin holder inside the outlet unit 210. The heat detection unit 230 can detect overheating due to poor contact between the outlet unit 210 and the main power inlet connection terminal.

발열 감지부(230)는 콘센트부(210)와 플러그 사이에 발열뿐만 아니라 콘센트부(210) 내부의 트래킹 발생에 의한 온도 상승도 감지할 수 있다. 트래킹이란 절연체 표면이 수분이나 분진 등에 의해 오염 또는 손상된 상태에서 전류가 흐르면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열 감지부(230)는 콘센트부(210) 내부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콘센트부(210) 내의 화재 발생 전조 단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heat detection unit 230 can detect not only heat generated between the outlet unit 210 and the plug, but also a temperature increase due to tracking inside the outlet unit 210. Tracking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temperature increases when current flows while the surface of an insulator is contaminated or damaged by moisture or dust. In one embodiment, the heat detection unit 230 may continuously detect the temperature inside the outlet unit 210 and monitor the precursor stage of fire occurrence within the outlet unit 210.

전원 차단부(250)는 감지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 상승하는 경우 화재 발생의 전조 단계로 판단하여 콘센트부(210) 내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차단부(250)는 감지된 콘센트부(210) 내의 온도값과 기설정된 온도값을 비교하여 콘센트부(210) 내의 이상 과열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온도값은 콘센트부(210) 내에서 화재 발생을 일으킬 수 있는 열 온도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전원 차단부(250)는 콘센트부(210)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 상승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이 예측된 경우 콘센트부(210) 내의 전원을 차단시켜 더 이상 발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 요인은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f the detected temperature rises above the preset temperature, the power cutoff unit 250 may determine it to be a precursor to a fire and cut off the power in the outlet unit 210. In one embodiment, the power cutoff unit 250 may determine an abnormal overheating state within the outlet unit 210 by comparing the detected temperature value within the outlet unit 210 with a preset temperature value. Here, the preset temperature value may be set based on the heat temperature that can cause a fire within the outlet unit 210.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outlet 210 rises above the preset temperature and the possibility of a fire is predicted, the power cutoff unit 250 cuts off the power within the outlet 210 to prevent further heat generation, thereby eliminating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fire. It can be removed with .

전원 차단부(250)는 콘센트부(210)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 상승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이 예측된 경우 누설 전류를 발생시켜 분전반의 누전차단기의 차단을 통해 주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전원 차단부(250)는 전원 차단을 통해 콘센트 화재의 발생을 사전 예방할 수 있다.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unit 210 rises above the preset temperature and the possibility of a fire is predicted, the power cutoff unit 250 may generate leakage current and cut off the main power by blocking th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of the distribution board. The power cutoff unit 250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outlet fire by cutting off the power.

상태 알림부(270)는 콘센트부(210)의 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사용자에게 콘센트 상태를 미리 알림 제공할 수 있고, 전원이 차단된 후 콘센트의 전원 차단 원인을 사용자에게 알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태 알림부(270)는 감지한 콘센트 내부 온도가 설정된 전원 차단 온도의 하한 임계치에 도달하면 LED 점등 또는/및 부저음을 통해 시청각적으로 콘센트 화재 발생 가능성에 대해 사전 경고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태 알림부(270)는 콘센트 전원 차단시 LED로 발열, 아크, 누전, 과부하 등의 차단 원인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status notification unit 270 can provide a reminder to the user of the state of the outlet before the power of the outlet unit 210 is cut off, and can provide a notification to the user of the cause of the power cut of the outlet after the power is cut off. In one embodiment, when the detected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reaches the lower threshold of the set power cutoff temperature,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270 may visually and audibly display a prior warning of the possibility of an outlet fire occurring through LED lighting and/or a buzzer sound. there is. In one embodiment,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270 may visually display the cause of the interruption, such as heat generation, arc, electrical leakage, or overload, using an LED when the outlet power is turned off.

제어부(290)는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콘센트부(210), 발열 감지부(230), 전원 차단부(250) 및 상태 알림부(2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and controls between the outlet unit 210, the heat detection unit 230, the power cutoff unit 250, and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270. You can manage flows or data flows.

도 4는 도 3에 있는 발열 감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explaining the heat detection unit in FIG. 3.

도 4를 참조하면, 발열 감지부(230)는 온도 감지 센서(310), 아크 감지 센서(330), 누전 감지 센서(350) 및 과전류 감지 센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heat detection unit 230 may include a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310, an arc detection sensor 330, an earth leakage detection sensor 350, and an overcurrent detection sensor 370.

온도 감지 센서(310)는 콘센트 내에서 플러그 핀 홀더 부분의 온도와 주 전원 인입 접속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도 감지 센서(310)는 플러그 핀 홀더 부분에서 플러그와 접촉하는 일면에 설치되어 접촉 불량으로 발생하는 과열에 의한 화재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온도를 감지한다. 온도 감지 센서(310)는 주 전원 인입 접속부에서 전원전선과 접속하는 일면에 설치되어 접속 불량으로 발생하는 과열에 의한 화재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온도를 감지한다. 여기에서, 온도 감지 센서(310)는 콘센트 내부에 존재하는 복수의 발열 지점들 각각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한 콘센트 내부 온도값은 전원 차단부(250)로 제공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310)는 콘센트 내부의 플러그 핀 홀더와 주 전원 전선 연결 접속부 사이의 연결 도체에 설치될 수 있고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31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that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plug pin holder por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main power inlet connection portion in the outlet in real time. In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310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plug pin hold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lug and detects the temperature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fire due to overheating caused by poor contact.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3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power inlet connector and connected to the power wire and detects the temperature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fire due to overheating caused by poor connection. Here, the temperature sensor 310 can detect the temperature of each of a plurality of heating points present inside the outlet, and provide the detected internal temperature value of the outlet to the power cutoff unit 250.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310 may be installed on the connecting conductor between the plug pin holder inside the outlet and the main power wire connection connec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ontact or non-contact sensor.

아크 감지 센서(330)는 플러그 핀 홀더 부분에서 플러그와 인접한 영역에 설치되고 아크에 의한 화재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아크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아크 감지 센서(330)는 아크가 감지되면 전원 차단부(250)로 아크 발생을 통보할 수 있다.The arc detection sensor 330 is install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plug in the plug pin holder portion and generates an arc detection signal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fire due to arc. When an arc is detected, the arc detection sensor 330 may notify the power cutoff unit 250 of arc occurrence.

누전 감지 센서(350)는 플러그 핀 홀더 부분에서 플러그와 인접한 영역에 설치되고 누전에 의한 화재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누전 감지 센서(350)는 누전이 감지되면 전원 차단부(250)로 누전 발생을 통보할 수 있다.The earth leakage detection sensor 350 is install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plug in the plug pin holder and generates a signal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 fire due to electric leakage. When an earth leakage is detected, the earth leakage detection sensor 350 can notify the power cutoff unit 250 of the occurrence of an earth leakage.

과전류 감지 센서(370)는 플러그 핀 홀더 부분에서 플러그와 인접한 영역에 설치되고 과부하에 의한 화재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과전류 감지 센서(370)는 과전류가 감지되면 전원 차단부(250)로 과부하 발생을 통보할 수 있다.The overcurrent detection sensor 370 is installed in the area adjacent to the plug in the plug pin holder and generates a signal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fire due to overload. When overcurrent is detected, the overcurrent detection sensor 370 can notify the power cutoff unit 250 of the occurrence of an overload.

전원 차단부(250)는 온도 감지 센서(310), 아크 감지 센서(330), 누전 감지 센서(350) 및 과전류 감지 센서(370)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화재 원인의 발생을 복합적으로 판단하고 콘센트부(210)의 전원을 차단시켜 콘센트 화재에 의한 전기사고를 사전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차단부(250)는 아크 감지 센서(330)에서 아크가 감지되면 아크신호를 분석하여 유해 아크 여부를 판단하고 유해한 아크로 판단시 아크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동시에, 상태 알림부(270)는 아크에 의한 차단임이 표시되도록 하여 전원 차단 원인을 알 수 있도록 해준다.The power cutoff unit 250 complexly determines the occurrence of a fire caus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310, arc detection sensor 330, earth leakage detection sensor 350, and overcurrent detection sensor 370, and connects the outlet. By cutting off the power to unit 210, an electrical accident due to a fire in an outle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n one embodiment, when an arc is detected by the arc detection sensor 330, the power cutoff unit 250 analyzes the arc signal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harmful arc, and when it is determined to be a harmful arc, the power cutoff unit 250 may cut off the power in response to the possibility of a fire occurring due to the arc. there is. At the same time,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270 displays that the power interruption is caused by an arc, allowing the user to know the cause of the power interruption.

일 실시예에서, 전원 차단부(250)는 누전 감지 센서(350)에서 누전이 감지되면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전원을 차단할 수 있고, 동시에 상태 알림부(270)는 누전에 의한 차단임이 표시되도록 하여 전원 차단 원인을 알 수 있도록 해준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차단부(250)는 과전류 감지 센서(370)에서 과전류가 감지되면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고 과부하로 판단시 과부하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전원을 차단할 수 있고, 동시에 상태 알림부(270)는 과부하에 의한 차단임이 표시되도록 하여 전원 차단 원인을 알 수 있도록 해준다.In one embodiment, the power cutoff unit 250 may cut off the power in response to the possibility of a fire occurring due to an electric leakage when an earth leakage is detected by the earth leakage detection sensor 350, and at the same time,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270 blocks the electric leakage. is displayed so that you can determine the cause of the power cut. In one embodiment, when overcurrent is detected by the overcurrent detection sensor 370, the power cutoff unit 250 determines whether it is overload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o be overloaded, it can cut off the power in response to the possibility of a fire occurring due to the overload,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status notification. Unit 270 displays that the cutoff is due to overload so that the cause of the power cutoff can be determined.

도 5는 도 3에 있는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에서 화재 예방을 위한 콘센트 전원 차단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turning off power to an outlet for fire prevention in the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shown in FIG. 3 .

도 5에서,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발열 감지부(230)를 통해 콘센트 내부에 존재하는 복수의 발열 지점들 각각의 온도를 감지한다(단계 S510). 발열 감지부(230)는 온도 감지 센서(310)를 사용하여 콘센트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발열 지점들은 플러그와 플러그 핀 홀더의 접속 지점, 주 전원 인입 접속 지점 등에 해당될 수 있다.In FIG. 5, 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detects the temperature of each of a plurality of heat generation points present inside the outlet through the heat detection unit 230 (step S510). The heat detection unit 230 can detec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using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310. The plurality of heating points may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plug and the plug pin holder, the main power inlet connection point, etc.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전원 차단부(250)를 통해 감지한 콘센트 내부 온도를 설정된 전원 차단 온도와 비교하여 감지한 콘센트 내부 온도가 설정된 전원 차단 온도의 하한 임계치에 도달하면 상태 알림부(270)를 통해 콘센트 화재 가능성을 사전 경고 표시한다(단계 S520). 여기에서, 전원 차단 온도는 콘센트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이상 온도로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상태 알림부(270)는 LED 표시 또는/및 부저음 발생을 통해 콘센트 화재 가능성을 사전 경고 표시할 수 있다.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compar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detected through the power cutoff unit 250 with the set power-off temperature and provides a status notification when the detected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reaches the lower threshold of the set power-off temperature. A preliminary warning of the possibility of an outlet fire is displayed through the unit 270 (step S520). Here, the power cutoff temperature may be preset to a temperature above which an outlet fire may occur.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270 may display a prior warning of the possibility of an outlet fire by displaying an LED or/and generating a buzzer sound.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전원 차단부(250)를 통해 감지한 콘센트 내부 온도를 설정된 전원 차단 온도와 비교하여 감지한 콘센트 내부 온도가 설정된 전원 차단 온도의 상한 임계치에 도달하면 전원을 차단한다(단계 S530). 일 실시예에서, 전원 차단부(250)는 콘센트 내부 온도가 설정된 전원 차단 온도의 상한 임계치까지 상승한 경우 콘센트 전원을 차단시키거나 또는 누설 전류를 발생하여 분전반에 있는 누전차단기가 차단되도록 하여 주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compar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detected through the power cutoff unit 250 with the set power-off temperature and turns off the power when the detected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reaches the upper threshold of the set power-off temperature. Block (step S530). In one embodiment, the power cutoff unit 250 cuts off power to the outlet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rises to the upper threshold threshold of the set power cutoff temperature, or generates a leakage current to cut off the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in the distribution board to turn off the main power. It can be blocked.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상태 알림부(270)를 통해 전원 차단의 원인을 표시한다(단계 S540). 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displays the cause of power cutoff through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270 (step S540).

도 6은 도 3에 있는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에서 화재 예방을 위한 콘센트 전원 차단 과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process of turning off power to an outlet for fire prevention in the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shown in FIG. 3 .

도 6에서,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콘센트 내부 온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10). 일 실시예에서,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온도 감지 센서(310)를 통해 콘센트에 꽂힌 플러그 핀과 콘센트의 플러그 핀 홀더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과열과 콘센트에 인입되는 주 전원 전선 연결의 접촉 불량으로 발생하는 과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온도 감지를 통해 과열에 의한 화재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In Figure 6, 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outlet is abnormal (step S610). In one embodiment, 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detects overheating occurring at the contact surface of the plug pin inserted into the outlet and the plug pin holder of the outlet through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310, and the connection of the main power wire entering the outlet. Overheating temperature caused by poor contact can be detected. 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can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fire due to overheating through temperature detection.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콘센트 내부 온도가 과열에 의한 이상 온도인 경우에는 과열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과열에 의한 전원 차단을 알리는 콘센트 상태 알림을 표시하고(단계 S650), 이상 온도가 아닌 경우에는 아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20). 일 실시예에서,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콘센트에 아크 감지 센서(330)를 장착하여 아크 발생을 감지하고 아크 발생 감지를 통해 아크에 의한 화재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cuts off power in response to the possibility of fire due to overheating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is abnormal due to overheating, displays an outlet status notification informing of power cutoff due to overheating, and ( Step S650), if the temperature is not abnormal, it is determined whether an arc has occurred (step S620). In one embodiment, 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can detect arc occurrence by mounting an arc detection sensor 330 on the outlet and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fire due to arc through the detection of arc occurrence.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콘센트에 아크가 발생한 경우에는 아크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아크에 의한 전원 차단을 알리는 콘센트 상태 알림을 표시하고(단계 S650), 아크 발생이 아닌 경우에는 누전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30). 일 실시예에서,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콘센트에 누전 감지 센서(350)를 장착하여 누전 발생을 감지하고 누전 발생 감지를 통해 누전에 의한 화재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When an arc occurs in an outlet, 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cuts off the power in response to the possibility of a fire occurring due to the arc, displays an outlet status notification notifying that the power is cut off due to the arc (step S650), and generates an arc. If this is not the case, it is determined whether a short circuit has occurred (step S630). In one embodiment, 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can detect the occurrence of an electric leak by mounting an electric leak detection sensor 350 on the outlet, and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 fire due to an electric leak through the detection of the electric leak.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콘센트에 누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누전에 의한 전원 차단을 알리는 콘센트 상태 알림을 표시하고(단계 S650), 누전 발생이 아닌 경우에는 과부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40). 일 실시예에서,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콘센트에 과전류 감지 센서(370)를 장착하여 과전류 발생을 감지하고 과전류 발생 감지를 통해 과부하에 의한 화재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If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outlet, 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cuts off the power in response to the possibility of fire due to the short circuit and displays an outlet status notification notifying the power cut due to the short circuit (step S650). If not, it is determined whether overload has occurred (step S640). In one embodiment, 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can detect the occurrence of overcurrent by mounting an overcurrent detection sensor 370 on the outlet, and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 fire due to overload through the detection of the overcurrent.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콘센트에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에는 과부하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에 대응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과부하에 의한 전원 차단을 알리는 콘센트 상태 알림을 표시하고(단계 S650), 과부하 발생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610으로 돌아가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When an overload occurs in an outlet, the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cuts off the power in response to the possibility of a fire occurring due to the overload, displays an outlet status notification notifying that the power is cut off due to the overload (step S650), and If it does not occur, return to step S610 and repeat the steps.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110)는 복수의 콘센트 모듈들(710)과 본체 모듈(730)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smart outlet device 110 for fire preventio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outlet modules 710 and a main body module 730, which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복수의 콘센트 모듈들(710) 각각은 일측에 암형 접속부(711)와 타측에 수형 접속부(713)가 마련되어 이웃하는 콘센트 모듈과 암수 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 modules 710 is provided with a female connection part 711 on one side and a male connection part 713 on the other side,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neighboring outlet modules through male and female coupling.

본체 모듈(730)은 연결된 복수의 콘센트 모듈들(710)의 일단에 연결되며 복수의 콘센트 모듈들(710) 각각의 온도, 아크, 누전 및 과부하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이 판단된 해당 콘센트 모듈의 전원을 차단시키거나 또는 연결된 복수의 콘센트 모듈들(710)을 일괄적으로 전원 차단시킬 수 있다. The main body module 730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plurality of connected outlet modules 710, and detects the temperature, arc, short circuit, and overloa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 modules 710, and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fire occurring in the corresponding outlet module. The power can be cut off or the power of a plurality of connected outlet modules 710 can be cut off at once.

복수의 콘센트 모듈들(710) 중 이상 과열 등의 문제가 발생한 콘센트 모듈은 연결을 해제하여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Among the plurality of outlet modules 710, an outlet module that has a problem such as overheating can be easily replaced by disconnecting it.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는 과열로 인한 콘센트 화재 발생을 사전 예방할 수 있어 콘센트 사용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prevent outlet fires due to overheating in advanc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using the outlet.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applica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that it can be changed.

100: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시스템
110: 스마트 콘센트 장치 111: 콘센트
130: 사용자 단말
210: 콘센트부 230: 발열 감지부
250: 전원 차단부 270: 상태 알림부
290: 제어부
310: 온도 감지 센서 330: 아크 감지 센서
350: 누전 감지 센서 370: 과전류 감지 센서
710: 복수의 콘센트 모듈들 730: 본체 모듈
100: Smart outlet system for fire prevention
110: Smart outlet device 111: Outlet
130: user terminal
210: outlet unit 230: heat detection unit
250: power cutoff unit 270: status notification unit
290: Control unit
310: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330: arc detection sensor
350: Earth leak detection sensor 370: Overcurrent detection sensor
710: plurality of outlet modules 730: main body module

Claims (5)

콘센트부의 적어도 하나의 발열 지점에 온도 감지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콘센트부에서 전원 플러그 삽입이 감지되면 상기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콘센트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여 상기 콘센트부 내의 화재 발생 전조 단계를 모니터링하는 발열 감지부;
감지된 상기 콘센트부의 내부 온도와 기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콘센트부의 이상 과열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콘센트부의 내부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 상승하여 화재 발생 가능성이 예측된 경우에 누설 전류를 발생시켜 분전반의 누전차단기를 통해 주 전원을 차단하여 콘센트 화재의 발생을 사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차단부; 및
상기 콘센트부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전원 차단 온도의 하한 임계치에 도달하면 상기 콘센트부의 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상기 콘센트부의 화재 발생 가능성에 대해 사전 경고 표시하고, 전원이 차단된 후에 상기 콘센트부의 전원 차단 원인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상기 콘센트부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상태 알림부를 포함하는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
A temperature sensor is mounted on at least one heating point of the outlet, and when insertion of a power plug is detected in the outlet, heat generated in the outlet is detect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to prevent a fire in the outlet. A fever detection unit that monitors;
The detected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unit is compared with the preset temperature to determine an abnormal overheating state of the outlet unit, an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unit rises above the preset temperature and the possibility of a fire is predicted, a leakage current is generated and the A power cutoff unit that cuts off the main power through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outlet fire. an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utlet unit reaches the lower threshold of the set power cut-off temperature, a prior warning is displayed visually or audibly about the possibility of a fire occurring in the outlet unit before the power of the outlet unit is cut off, and after the power is cut off, the outlet unit is displayed. 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that includes a status notification unit that visually displays the cause of power interruption and informs the user of the status of the outle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플러그와 접촉하는 플러그 핀 홀더의 일면에 설치되어 접촉 불량으로 발생하는 과열에 의한 화재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온도를 감지하거나,
전원전선과 접속하는 주 전원 인입 접속부의 일면에 설치되어 접속 불량으로 발생하는 과열에 의한 화재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온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emperature sensor is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lug pin holder in contact with the plug and detects the temperature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fire due to overheating caused by poor contact, or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power inlet connector connected to the power wire and detects temperature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fire due to overheating caused by poor connection. 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감지부는
플러그와 인접한 플러그 핀 홀더 영역에 설치되고 아크 또는 누전 또는 과부하에 의한 화재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아크 감지 센서 또는 누전 감지 센서 또는 과전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t detection unit
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that is installed in the plug pin holder area adjacent to the plug and further includes an arc detection sensor, an earth leakage detection sensor, or an overcurrent detection sensor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fire due to arc, short circuit, or overload.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온도 감지 센서 및 상기 아크 감지 센서 또는 상기 누전 감지 센서 또는 상기 과전류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화재 발생 가능성을 복합적으로 판단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wer cutoff unit
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blocks power by complexly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fire occurrenc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the arc detection sensor, the earth leakage detection sensor, or the overcurrent detection sens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차단부는
상기 콘센트부가 암수 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콘센트 모듈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콘센트 모듈들 각각의 화재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콘센트 모듈들의 전원을 각각 또는 일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을 위한 스마트 콘센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lectrical cutoff unit
When the outlet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outlet modules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male and female coupling, the possibility of fire occurring in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 modules is determined and the power of the plurality of outlet modules is individually or collectively cut off. A smart outlet device for fire prevention.
KR1020230191341A 2021-02-02 2023-12-26 Smart outlets device for preventing fire KR202400041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1341A KR20240004180A (en) 2021-02-02 2023-12-26 Smart outlets device for preventing f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601A KR20220111403A (en) 2021-02-02 2021-02-02 Smart outlets device for preventing fire
KR1020230191341A KR20240004180A (en) 2021-02-02 2023-12-26 Smart outlets device for preventing fi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601A Division KR20220111403A (en) 2021-02-02 2021-02-02 Smart outlets device for preventing f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180A true KR20240004180A (en) 2024-01-11

Family

ID=828449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601A KR20220111403A (en) 2021-02-02 2021-02-02 Smart outlets device for preventing fire
KR1020230191341A KR20240004180A (en) 2021-02-02 2023-12-26 Smart outlets device for preventing fir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601A KR20220111403A (en) 2021-02-02 2021-02-02 Smart outlets device for preventing f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1140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514B1 (en) 2015-09-03 2017-05-1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Extinguisher cover placed on power socket for rapid fire suppres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514B1 (en) 2015-09-03 2017-05-1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Extinguisher cover placed on power socket for rapid fire suppre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403A (en)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1806B2 (en) Outlet heat detector
US7400476B1 (en) Safety device for prevention of electrical shocks
US8159803B2 (en) Heat actuated interrupter receptacle
US9464946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to prevent arc faults in electrical conduits
US201000738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Unsafe Thermal Conditions in Wiring Devices
US20020075622A1 (en) Electrical service apparatus with surge suppression protection
CN104094489B (en) The overheated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housing
US6947266B1 (en) Power protection device
CN105324899A (en) Synthetic fault remote disconnect for a branch circuit
JPWO2021095159A1 (en) Digital Electric Safety Control System
EP1068601B1 (en) Method for switching off a power supply in a dangerous situation and a corresponding safeguarding arrangement
GB2474245A (en) Electrical safety device for electrical supply units
GB2504967A (en) Electrical supply unit with overheating protection measuring rate of change of temperature
KR20240004180A (en) Smart outlets device for preventing fire
CN110649432A (en) Safety socket
CN107769156A (en) A kind of method of achievable equipment safety adaptive guard action
US20230051419A1 (en) Safety device for socket
US11436905B2 (en) Socket fire alarm system
KR102236763B1 (en) Complex control electric supplier with fire sensitivity
CN205333768U (en) Outage antitheft detection equipment of street lamp, lamp decoration and cable
CN105654651A (en) Electrical fire monitoring system
CN100539344C (en) When appearring in grounding system, can send abnormal voltage the device of the indication of reporting to the police
KR100844996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fire
CN206557323U (en) The excessive device of resistance in a kind of sound and light alarm prompting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circuit
JP5339352B2 (en) Lightning protection device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of CATV system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