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164A -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164A
KR20240004164A KR1020230189527A KR20230189527A KR20240004164A KR 20240004164 A KR20240004164 A KR 20240004164A KR 1020230189527 A KR1020230189527 A KR 1020230189527A KR 20230189527 A KR20230189527 A KR 20230189527A KR 20240004164 A KR20240004164 A KR 20240004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batter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9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춘길
Original Assignee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3678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47011B1/en
Application filed by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230189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4164A/en
Publication of KR20240004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164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장착부의 내측면에 설치된 단말기 전원 단자와 절연되며, 배터리의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단자; 및 상기 전원 공급 단자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상면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부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의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코일; 상기 수신 코일로부터 수신되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을 변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원 공급 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고, 상기 수신 코일을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terminal that is insulated from the terminal power terminal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battery; and a main body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positioned between the top surface of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main body receives a wireless power signal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 receiving coil that receives; a rectifier that rectifies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received from the receiving coil and converts it into direct current power; And a reception control unit that supplies power from the rectifier to the battery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control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battery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rough the reception coil. It relates to a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Description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셀룰러 폰이나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대표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더 많은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들이 제공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은 더욱 급속하고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하면서도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Portable terminals, represented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cellular phones and smart phones, are being equipped with more functions as multimedia services expand. In addition, a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re provided, the functions of portable terminals are increasing more rapidly and diversely, and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being created to satisfy the various tastes of users and to be convenient to use.

휴대용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바형, 폴더형, 슬라이딩형, 스윙형 단말기와 같이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음성통화와 단문 메시지 전송과 같은 이동통신을 주요 기능으로 하던 시기에는 폴더형 단말기나 슬라이딩형 단말기가 휴대용 단말기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더욱 강화되면서, 더욱 확장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장하면서, 터치스크린 기능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하여, 물리적인 키패드를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거하는 추세이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탑재함으로써 물리적인 키패드를 제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장하되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를 줄여 휴대성을 보완하고 있는 것이다. Portable terminal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bar-type, folder-type, sliding-type, and swing-type terminals, depending on their appearance. At a time when mobile communications such as voice calls and sending short messages were the main functions, folder-type terminals and sliding-type terminals occupied most of the portable terminal market. However, as mentioned above, as multimedia services become more enhanced, the need for more expanded display devices is increasing. Accordingly, recently, as the display devices of portable terminals are expanded, a touch screen function is installed in the display devices, and the physical keypad is remo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s. By installing a touch screen display device, the physical keypad is eliminated, expanding the display device but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to improve portability.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이동통신 기능을 위한 안테나 장치 외에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용 안테나,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용 안테나, 근접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용 안테나, 블루투스(Bluetooth)용 안테나 등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안테나 장치들이 제공되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안테나 장치들 외에도, 무선 충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안테나 및 모듈이 탑재되고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antenna devices for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s, portable terminals include antennas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antennas for local area networks (LAN),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tenna devices that enable communication in various frequency bands, such as antennas and Bluetooth antennas, are provided. Recently, in addition to these antenna devices, antennas and modules to provide wireless charging functions are being installed.

특히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충전이 간편할 뿐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주요 고장 원인인 접속 단자에서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기술이라 할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it is a very useful technology in that it not only makes charging easy, but also prevents failures at the connection terminal, which are the main cause of failur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그런데, 기존에 출시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이러한 무선 충전기능을 부여할 수 없었다.However, this wireless charging function could not be provided to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이동 통신 단말기도, 배터리 측에 간단하게 시트를 부착시킴으로써 무선 충전 기능을 갖도록 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which enable ev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to have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by simply attaching a sheet to the battery sid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단자; 및 상기 전원 공급 단자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의 상면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부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의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코일; 상기 수신 코일로부터 수신되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을 변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원 공급 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고, 상기 수신 코일을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a power supply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terminal of a batter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ain body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positioned between the top surface of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main body receives a wireless power signal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 receiving coil that receives; a rectifier that rectifies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received from the receiving coil and converts it into direct current power; And it may include a reception control unit that supplies power from the rectifier to the battery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control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battery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rough the reception coil.

여기서, 상기 전원 단자는 탄성 돌출형 전원단자이고, 상기 전원 공급 단자에는 상기 탄성 돌출형 단말기 전원 단자가 삽입되어서, 상기 전원 공급 단자가 상기 배터리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ower terminal is an elastic protruding power terminal, and the elastic protruding terminal power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power supply terminal, so that an insertion hole can be form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ower supply terminal to the battery power terminal. there is.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신 코일의 저면에 형성되는 차폐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sheet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coil.

여기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배터리의 저면에 끼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상기 배터리에 일체로 체결되도록 하는 절곡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Here, a bending fastening part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fit into the bottom of the battery and allow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to be integrally fastened to the battery.

여기서, 상기 본체는,상기 수신 코일 상면을 덮는 상면 보호시트와, 상기 차폐 시트 저면에 부착되는 하면 보호시트를 구비하는 보호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sheet including an upper protective sheet that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coil and a lower protective she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ielding sheet.

여기서, 상기 수신 코일은, 상기 상면 보호 시트에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receiving coil may be formed in a pattern on the top protection sheet.

여기서, 상기 하면 보호시트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 보호 시트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lower surface protective sheet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upper protective sheet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여기서, 상기 절곡 체결부의 일측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상기 배터리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분리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Here, a separation butt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ending fastener to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from the batter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무선 전력 충전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본체; 상기 배터리의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단자, 상기 전원 공급 단자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 위치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본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본체는, 외부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의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코일; 상기 수신 코일로부터 수신되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을 변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원 공급 단자를 통해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고, 상기 수신 코일을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power charging,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provided with a battery loading part where a battery is mounted;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including a power supply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battery,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main body extending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nd a cover covering the back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main body includes: a receiving coil that receives a wireless power signal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 rectifier that rectifies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received from the receiving coil and converts it into direct current power; And it may include a reception control unit that supplies power from the rectifier to the battery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control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battery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rough the reception coil.

여기서, 상기 전원 단자는 탄성 돌출형 전원단자이고, 상기 전원 공급 단자에는 상기 탄성 돌출형 단말기 전원 단자가 삽입되어서, 상기 전원 공급 단자가 상기 배터리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ower terminal is an elastic protruding power terminal, and the elastic protruding terminal power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power supply terminal, so that an insertion hole can be form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ower supply terminal to the battery power terminal. there is.

여기서, 상기 본체는,상기 수신 코일 상면을 덮는 상면 보호시트와, 상기 차폐 시트 저면에 부착되는 하면 보호시트를 구비하는 보호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sheet including an upper protective sheet that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coil and a lower protective she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ielding sheet.

여기서, 상기 수신 코일은, 상기 상면 보호 시트에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receiving coil may be formed in a pattern on the top protection sheet.

여기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배터리의 저면에 끼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상기 배터리에 일체로 체결되도록 하는 절곡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Here, a bending fastening part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fit into the bottom of the battery and allow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to be integrally fastened to the battery.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충전 기능이 없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무선 충전 기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트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배터리에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배터리를 분리한 후 재장착할 때,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et-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can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battery, so it can be conveniently used when removing and reinstalling the battery as nee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부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전원 공급 단자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전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배터리에 일체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power supply terminal of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mounted on a battery.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가 부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본체(200), 본체(120)에 삽입되는 배터리(300),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 그리고, 커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As show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200, a battery 300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20, and a sheet-typ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400.

이동 통신 단말기 본체(200)의 후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300)를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장착부(201)가 형성된다. 이 배터리 장착부(201)의 내측면에는, 배터리(300)와 이동 통신 단말기 본체(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말기 전원 단자(203)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a battery mounting portion 201 for mounting the battery 300 is formed on the rea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20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201, a terminal power terminal 203 is form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3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20.

그리고, 상기 배터리 장착부(201)에 끼워지는 배터리의 일측에는 전원 단자(301)가 형성된다. 이 전원 단자(301)는 상기 단말기 전원 단자(2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배터리(300)가 단말기 본체(2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동작하게 된다. And, a power terminal 30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inserted into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201. This power terminal 30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ower terminal 203, and thus the battery 300 supplies power to the terminal body 200, allow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per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단자(110)와, 전원 공급 단자(110)로부터 수직으로 절곡 연장형성되는 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terminal 110 and a main body 120 that is bent and extended vertically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110. You can.

본체(120)의 일단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를 배터리(300)에 고정하기 위한 절곡 체결부(120-1)가 형성되고, 또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와 배터리(300)를 분리하기 쉽도록 하는 분리 버튼(120-2)이 형성된다.A bending fastener 120-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20 to secur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0 to the battery 300, and also separates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0 and the battery 300. A separation button 120-2 is formed to make it easy to do so.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르면, 커버(400)와 배터리(300) 사이의 약간의 공간내에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를 장착시킬 수 있게 되어, 무선 충전 기능이 없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무선 충전 기능을 부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ount the sheet-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a small space between the cover 400 and the battery 300, thereby providing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It is possible to add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does not have on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전원 공급 단자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는 본체(120)와 본체(120)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전원 공급 단자(110), 그리고 본체(120)의 타측에 형성되어 배터리(300)와 일체로 체결하기 위한 절곡 체결부(120-1), 그리고, 배터리(300)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게 위하여 본체(120)의 타측에 부착되는 분리 버튼(120-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20, a power supply terminal 110 vertically bent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20, and a power supply terminal 110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20. A bent fastening part 120-1 formed in the battery 300 and integrally fastened to it, and a separation button 120-2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20 to facilitate separation from the battery 300. )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전원 공급 단자(110)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전원 단자(203)가, 배터리(300)의 전원 단자(301)와 직접 결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 공급 단자(110)의 중앙에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201)의 내면에 설치된 탄성 돌출형 단말기 전원 단자(203)가 끼워 삽입되어서, 상기 전원 공급 단자(110)가 상기 배터리 전원 단자(3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삽입홀(110-1)이 형성되고, 이 삽입홀(110-1) 주변에는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층(110-2)이 형성되어서, 전원 공급 단자부(110-3)와 삽입홀(110-1)에 끼워지는 단말기 전원 단자(203)가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Looking at the power supply terminal 110, as shown in FIG. 3, in order to ensure that the terminal power terminal 20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rectly coupled to the power terminal 301 of the battery 300, the power supply An elastic protruding terminal power terminal 203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201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supply terminal 110, so that the power supply terminal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power terminal 301. An insertion hole 110-1 is formed for connection, and an insulating layer 110-2 is formed around the insertion hole 110-1 to electrically insulate the power supply terminal portion 110-3 and the insertion hole. The terminal power terminal 203 inserted into (110-1)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전원 공급 단자부(110-3)는 배터리(300)의 전원 단자(301)와 접촉하게 되어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에서의 전력을 배터리(300)로 공급하게 된다.The power supply terminal unit 110-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ower terminal 301 of the battery 300 to supply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0 to the battery 300.

한편, 절곡 체결부(120-1)는, 배터리(300)의 저면 또는 배터리(300) 측면에 형성된 리세스부에 끼워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 본체(120)는, 배터리(300)의 외주면과 밀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커버(400)가 이동 통신 단말기 본체(200)와 결합되는 경우, 이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가 커버(400)와 이동 통신 단말기 본체(200)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Meanwhile, the bent fastening part 120-1 has a shape that is inserted into a reces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attery 300 or the side of the battery 300. Accordingly, the main body 120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0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300, and accordingly, when the cover 400 is combin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200, the wireless power is received. The device 10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mbination of the cover 4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200.

이하에서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는, 차폐 시트(123), 상면 보호 시트(125), 하면 보호 시트(127), 그리고 상면 보호시트에 패터닝으로 형성된 수신 코일(130),및 회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tterned on the shielding sheet 123, the top protection sheet 125, the bottom protection sheet 127, and the top protection shee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ormed receiving coil 130 and a circuit unit 140.

차폐 시트(123)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이 이동 통신 단말기 본체(200) 및 배터리(300)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차폐 시트(123)는 이러한 자기장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기능을 한다.The shielding sheet 123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rom aff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200 and the battery 300. The shielding sheet 123 functions to absorb or reflect this magnetic field.

차폐 시트(123) 위에는 외부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의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코일(130), 그리고, 상기 상면 보호시트(125)에 패턴으로 형성된 수신 코일(130)로부터 수신되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을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전원 공급 단자(110)를 통해 상기 배터리(300)로 공급하고, 상기 수신 코일(130)을 통해 상기 배터리(300)의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회로부(140)가 상면 보호시트(125)의 수신 코일(130)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A receiving coil 130 is placed on the shielding sheet 123 to receive a wireless power signal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rectifies the AC power received from the receiving coil 130 formed in a pattern on the upper protective sheet 125. A rectifier that converts direct current power, supplies power from the rectifier to the battery 300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110, and receives status information of the battery 300 through the receiving coil 130. A circuit unit 140 formed including a recep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ransmission to the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reception coil 130 of the upper protective sheet 125.

상기 회로부(140)는 상기 수신코일(13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수신코일(130)에서의 자기장의 영향을 적게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로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부에 근접하여 설치되게 된다.The farther away the circuit unit 140 is from the receiving coil 130, the less it is affected by the magnetic field from the receiving coil 130. Accordingly, the circuit unit 140 is installed close to the corner as shown.

수신 코일(130)은 타원, 원형, 사각형, 트랙형 등의 형상을 가지며, 상면 보호시트(125)의 일면에 패터닝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수신 코일(130)이 패터닝으로 형성됨으로써, 본체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 receiving coil 130 has a shape such as an oval, circle, square, or track shape, and is formed by patterning on one surface of the upper protection sheet 125. By forming the receiving coil 130 through patterning in this way,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can be minimized.

한편, 하면 보호 시트(127)와 상면 보호 시트(125)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의 본체(12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상면 보호 시트(125)는 자기장을 그대로 통과시키는 물질로 이루어져야 하며, 하면 보호 시트(127)는 이러한 제한이 없게 된다. Meanwhile, the bottom protection sheet 127 and the top protection sheet 125 are components that form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120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0, and the top protection sheet 125 is made of a material that allows a magnetic field to pass through. This must be done, and then the protection sheet 127 will not have this limit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가 일체로 체결되게 하기 위해서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의 본체(120)가 높은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하면 보호 시트(127)는 금속재로, 상면 보호 시트(125)는 합성 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battery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0 are integrally coupled, it is desirable for the main body 120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0 to have high elasticity, and 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protection sheet 127 )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top protection sheet 125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도 5에서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배터리에 일체로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In Figure 5,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is mounted integrally on the battery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배터리에 일체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mounted on a battery.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는 절곡 체결부(120-1)에 의해 배터리(300)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5에서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의 본체(120)와 배터리(300)의 주면 크기가 거의 같게 되어서, 배터As shown in FIG. 5,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ttery 300 by the bent fastening portion 120-1. In Figure 5, the main surface size of the main body 120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00 and the battery 300 are almost the same, so that the battery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충전 기능이 없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무선 충전 기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시트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배터리에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배터리를 분리한 후 재 장착할 때,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et-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can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battery, so it can be conveniently used when removing and reinstalling the battery as needed.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described abov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are all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Or, some of them may be selectively combined.

100 : 무선 전력 수신 장치
110 : 전원 공급 단자
110-1 : 삽입홀
110-2 : 절연층
110-3 : 전원 공급 단자부
120 :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본체
120-1 : 절곡 체결부
120-2 : 분리 버튼
123 : 차폐 시트
125 : 상면 보호 시트
127 : 하면 보호 시트
130 : 수신 코일
140 : 회로부(제어부 및 정류부)
150 : 절연체
200 : 이동 통신 단말기 본체
201 : 배터리 장착부
203 : 단말기 전원 단자
300 : 배터리
301 : 전원 단자
400 : 커버
100: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10: power supply terminal
110-1: Insertion hole
110-2: Insulating layer
110-3: Power supply terminal section
120: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main body
120-1: Bending joint
120-2: Separation button
123: shielding sheet
125: Top protection sheet
127: Bottom protection sheet
130: receiving coil
140: Circuit unit (control unit and rectifier unit)
150: insulator
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201: Battery mounting part
203: terminal power terminal
300: Battery
301: power terminal
400: cover

Claims (8)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서:
외부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의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코일;
상기 수신 코일로부터 수신되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전력을 배터리로 공급하는 수신 제어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상기 배터리에 일체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상기 배터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As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 receiving coil that receives a wireless power signal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 rectifier that rectifies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received from the receiving coil and converts it into direct current power;
a reception control unit that supplies power from the rectifier to a battery; and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comprising a fastening part for integrally fastening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to the battery, and a separation part for easily separating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from the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코일의 저면에 형성되는 차폐 시트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hielding sheet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coi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코일 상면을 덮는 상면 보호시트와, 상기 차폐 시트 저면에 부착되는 하면 보호시트를 구비하는 보호시트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protection sheet including an upper protection sheet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coil, and a lower protection she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hielding she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코일은, 상기 상면 보호시트에 패턴으로 형성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receiving coil is formed in a pattern on the upper protective she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보호시트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면 보호시트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wherein the lower protective shee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upper protective sheet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본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배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외부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의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코일;
상기 수신 코일로부터 수신되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수신 제어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상기 배터리에 일체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상기 배터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충전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provided with a battery loading part where a battery is mounte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It includes a cover that covers the b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 receiving coil that receives a wireless power signal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 rectifier that rectifies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received from the receiving coil and converts it into direct current power;
a reception control unit that supplies power from the rectifier to the battery;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harging wireless power, including a fastening part for integrally fastening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to the battery, and a separation part for easily separating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from the batter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 코일의 저면에 형성되는 차폐 시트; 및
상기 수신 코일 상면을 덮는 상면 보호시트와, 상기 차폐 시트 저면에 부착되는 하면 보호시트를 구비하는 보호 시트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충전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6,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 shielding sheet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coi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power charging,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sheet including an upper protective sheet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coil, and a lower protective sheet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hielding shee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코일은, 상기 상면 보호시트에 패턴으로 형성되는, 무선 전력 충전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7,
The receiving coil is formed in a pattern on the upper protective shee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power charging.
KR1020230189527A 2014-03-28 2023-12-22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2400041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527A KR20240004164A (en) 2014-03-28 2023-12-22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783A KR102247011B1 (en) 2014-03-28 2014-03-28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0210053713A KR102332879B1 (en) 2014-03-28 2021-04-26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0220187081A KR102619278B1 (en) 2014-03-28 2022-12-28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0230189527A KR20240004164A (en) 2014-03-28 2023-12-22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7081A Division KR102619278B1 (en) 2014-03-28 2022-12-28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164A true KR20240004164A (en) 2024-01-11

Family

ID=7893381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713A KR102332879B1 (en) 2014-03-28 2021-04-26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0220187081A KR102619278B1 (en) 2014-03-28 2022-12-28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0230189527A KR20240004164A (en) 2014-03-28 2023-12-22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713A KR102332879B1 (en) 2014-03-28 2021-04-26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0220187081A KR102619278B1 (en) 2014-03-28 2022-12-28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32879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158B1 (en) * 2004-10-06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wer-supply terminal protecting short-circui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308332B1 (en) 2007-09-10 2013-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117690A (en) * 2009-02-05 2014-10-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Retrofitting wireless power and near-field communication in electronic devices
KR101023884B1 (en) 2009-02-18 2011-03-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KR101968596B1 (en) * 2012-01-04 2019-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KR101929765B1 (en) * 2012-04-06 2018-12-17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Mobile device case with the wireless 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879B1 (en) 2021-12-01
KR102619278B1 (en) 2023-12-28
KR20230007298A (en) 2023-01-12
KR20210050501A (en)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9314B1 (en) Handheld device
KR101080518B1 (en) Antenna booster case for enhancing transmission/reception sensibility of mobile device
US20140247547A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charging module
US10826326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wireless charging module
CN106785353B (en) Conductive cover body assembly of terminal and terminal
US9947990B2 (en) Coil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JP3955041B2 (en) Mobile phone
US8461801B2 (en) Wireless charging jacket cover combined with a battery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thereof
WO2013163845A1 (en) Antenna and terminal
KR101984642B1 (en) Portable terminal with wireless charging module
US20100279694A1 (en) Display panel structur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obile information equipment
CN108604750B (en) Clamp type current contactor and protection device comprising same
KR20130134658A (en) Antenna apparatus having separable radiators
CN105827753A (en) Portable user terminal, protection sleeve applied to same and assembly part
US7856259B2 (en) In-built FM antenna
US20170040669A1 (en) Mobile display terminal
CN103795429B (en) Wireless electronic devices with a metal perimeter including a planar user input component
KR102619278B1 (en)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483809B1 (en)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5307432B (en) Electronic equip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247011B1 (en)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204793167U (en) Miniaturized NFC antenna and mobile terminal thereof
CN104580565B (e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KR101979266B1 (en) Portable terminal with wireless charging module
KR101459193B1 (en) Coaxial Cable Designed Antenna for electronic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