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870A -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870A
KR20240003870A KR1020220081675A KR20220081675A KR20240003870A KR 20240003870 A KR20240003870 A KR 20240003870A KR 1020220081675 A KR1020220081675 A KR 1020220081675A KR 20220081675 A KR20220081675 A KR 20220081675A KR 20240003870 A KR20240003870 A KR 20240003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application
alternative communication
complementary
us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성
정재헌
이재익
신범석
김규호
Original Assignee
정유성
정재헌
이재익
신범석
김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유성, 정재헌, 이재익, 신범석, 김규호 filed Critical 정유성
Priority to KR1020220081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870A/ko
Publication of KR20240003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87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단말 및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단말에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에서 단어를 상징하는 이미지로 구성된 의사소통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소통판에 대응하는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달 장애인들은 보다 명확한 자기 의사표현을 할 수 있으며, 보호자들은 발달 장애인과의 의사소통 실패로 인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pplication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환경에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발달 장애인은 감정과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경우가 많고 단음절의 단어만 말하거나 손짓으로 가리키는 등 '비언어적 표현'을 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보완 대체 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은 말 운동장애, 심한 조음 장애 등 말이나 글을 사용한 의사소통에 심각한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보완하거나 대신하기 위하여 그림, 소리와 같은 말 이외의 대체적인 방법을 사용한 비구어적 의사소통 방법을 말한다.
최근 다양한 디바이스와 소프트웨어의 발전으로 다양한 AAC 시스템들이 존재하지만, 기존 AAC 시스템들은 의사소통이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직접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 보드를 선택하여 사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뇌 병변 장애, 운동 장애와 같은 중복 장애가 있는 사용자는 특정 장소와 상황에서 사용할 의사소통 보드를 직접 선택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껴, 필요한 보드를 선택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지적장애가 심한 경우, 중재자의 도움을 받아서 의사소통 보드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기존 국내시장에 이런 AAC를 활용한 여러 애플리케이션들이 이미 존재했지만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기존 AAC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문제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목소리 다양성 부족이다. 기존 애플리케이션들의 음성 출력은 기본 음성 한가지로 서비스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딱딱하다는 느낌을 줌과 동시에 거부감을 일으킨다.
두 번째, 호환성 문제이다. 기존 애플리케이션들은 세로 모드 혹은 가로 모드를 지원하지 않고 화면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을 해야 하고, 스마트 기기 자체의 뒤로 가기 버튼 사용 시 애플리케이션과 연계가 불가한 호환성 문제가 있다.
세 번째, 사용성 및 접근성 빈약 문제이다. 기존 애플리케이션들은 애플리케이션의 주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의사소통판에서 상징의 분류가 복잡하여 원하는 상징을 찾기가 힘들고, 따라서 의사소통을 진행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491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하고 자연스러운 목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환성을 향상시키고, 원하는 상징을 찾을 수 있는 의사소통판을 구비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단말 및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단말에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에서 단어를 상징하는 이미지로 구성된 의사소통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소통판에 대응하는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에서, 의사소통판을 선택할 수 있는 의사소통판 메뉴, 긴급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문장을 선택할 수 있는 긴급 상황 메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대표적인 문장을 선택할 수 있는 일상생활 메뉴 및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 및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메뉴를 하나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의사소통판 메뉴가 선택되면, 단어를 나타내는 이미지인 상징들이 생활, 장소, 행동을 포함하는 다수의 카테고리별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을 최초 실행시, 사용자의 이름, 생년월일, 정신연령, 보호자 연락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이후 상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에서, TTS(Text to Speech) 기능을 통해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며, 다양한 목소리 중에서 음성으로 출력할 목소리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에서, 화면 일부에 보호자 연락처로 연락할 수 있는 통화 버튼이 항상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목소리 음성을 제공하고, 화면 최적화 기능을 제공하고, 구체적이고 직관적인 UI를 제공함으로써, 발달 장애인들은 보다 명확한 자기 의사표현을 할 수 있으며, 보호자들은 발달 장애인과의 의사소통 실패로 인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을 통해 비장애인들의 관심을 이끌어내고, 발달 장애인들과의 의사소통 거부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에서 보완 대체 어플리케이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은 서버(100), 단말(200), DB(Database, 310~330)를 포함한다.
서버(1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단말(200)에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단말(200)은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는 단말로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100)와 통신 가능하며, 서버(100)로부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은 스마트폰, 태플릿 PC.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DB는 의사소통판 배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배열 DB(310),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문장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DB(320), 일반적인 문장이 저장되어 있는 문장 DB(330)로 구분할 수 있다.
서버(100)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에서 단어를 상징하는 이미지로 구성된 의사소통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소통판에 대응하는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서버(100)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에서, 의사소통판을 선택할 수 있는 의사소통판 메뉴, 긴급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문장을 선택할 수 있는 긴급 상황 메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대표적인 문장을 선택할 수 있는 일상생활 메뉴 및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 및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메뉴를 하나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의사소통판 메뉴가 선택되면, 단어를 나타내는 이미지인 상징들(symbols)이 생활, 장소, 행동을 포함하는 다수의 카테고리별로 분류될 수 있다.
서버(100)는 단말(200)에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을 최초 실행시, 사용자의 이름, 생년월일, 정신연령, 보호자 연락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이후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0)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에서, TTS(Text to Speech) 기능을 통해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며, 다양한 목소리 중에서 음성으로 출력할 목소리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에서, 화면 일부에 보호자 연락처로 연락할 수 있는 통화 버튼이 항상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은 수정사항과 피드백을 즉각적으로 반영 할 수 있는 에자일(Agile) 방법론의 스크럼프로세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Android Studio)를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OS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징들을 저장하고 불러올 데이터베이스는 구글(Google)에서 제공하는 파이어베이스(Firebase)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출력 부분은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인 네이버 클로바 보이스(Naver CLOVA Voice)를 이용하여 39가지의 목소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가로모드, 세로모드, 뒤로가기 등 단말(200)의 상태에 따라 최적화된 화면을 지원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 동물, 색깔, 놀이/문화/운동, 음식, 과일, 가구/전자제품 등 단어를 의미하는 이미지 아이콘인 상징이 표시되어 있고, 화면 하단에 의사소통판 메뉴(510), 일상생활 메뉴(520), 긴급 상황 메뉴(530), 설정 메뉴(540)가 마련되어 있다.
도 6의 화면예는 환경 설정 메뉴를 예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정신연령, 보호자 연락처 및 선호하는 음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의 정신연령은 발달 장애인의 정신연령으로서, 전문 의료기관에서 판정받은 정신연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 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정신연령', '보호자 연락처', '음성 선택' 입력창에 대한 글자를 TTS를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7은 설정을 변경하는 화면예로서, '남성, 여성, 아이' 중의 하나의 목소리로 변경할 수 있고, 목소리 속도를 설정할 수 있고, 보호자 연락처를 변경할 수 있는 입력 영역이 예시되어 있다.
도 8의 화면예에서 의사소통판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징으로 의사소통판 배열이 정해지고, 이에 대응하는 문장이 완성되어 TTS 변환되어 음성으로 출력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징에 의해 '사과를 먹고 싶다'라는 문장이 완성되어 있으며, '스피커' 아이콘을 선택하면 문장이 TTS 변환되어 음성으로 출력된다.
도 9의 화면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하철', '타다', '장소', '궁금'에 해당하는 상징이 선택된 것으로서, 화면 상단에 선택된 상징이 글자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의 화면예에서, '지하철', '타다', '장소', '궁금'에 해당하는 상징에 대응하는 완성된 문장인 '지하철을 타는 장소가 궁금해요'가 표시되고, '음성 변환' 버튼이 선택되면, TTS 변환되어 음성으로 출력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에서 보완 대체 어플리케이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단말(200)에서 보완 대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를 전제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200)에서 실행 중인 보완 대체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로부터 의사소통판을 사용하는 모드인 의사소통판 모드를 선택받거나(S210, S220) 또는 사용자가 직접 문장을 입력하는 모드인 문장 입력 모드를 선택받을 수 있다(S210, S230). 의사소통판 모드를 선택받으면 도 3의 흐름도로 진입하고(A), 문장 입력 모드를 선택받으면 도 4의 흐름도로 진입한다(B).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소통판 모드에서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200)에서 의사소통판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의사소통판이 선택되면(S301), 선택된 순서에 따른 의사소통판 배열과 배열 DB(310)를 비교한다(S303).
S303 단계에서 비교 결과, 배열 DB(310)에 매칭되는 배열이 존재하면(S305), 이에 대응하는 완성된 문장을 화면에 표시한다(S319). 그리고, 사용자에게 문장 완성 여부를 묻는 화면을 표시한다(S321). 사용자로부터 문장 완성이 확인되면, 문장을 화면에 표시하고, TTS(Text to Speech) 기능을 통해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한다(S327). 사용자로부터 문장 완성이 확인되지 않으면 S307 단계로 넘어간다.
S303 단계에서 비교 결과, 배열 DB(310)에 매칭되는 배열이 존재하지 않으면(S305), 사용자에게 의사소통판 배열을 유지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화면을 표시한다(S307).
S307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의사소통판 배열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의사소통판 배열에 대응하는 문장이 문법에 적합한지 여부를 검증한다(S323).
S323 단계에서 문법에 적합하면 의사소통판 배열을 배열 DB(310)에 저장한다(S325). 그리고, 의사소통판 배열에 대응하는 완성된 문장을 화면에 표시한다(S319). 그리고, 사용자에게 문장 완성 여부를 묻는 화면을 표시한다(S321). 사용자로부터 문장 완성이 확인되면, 문장을 화면에 표시하고, TTS(Text to Speech) 기능을 통해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한다(S327). 사용자로부터 문장 완성이 확인되지 않으면 S307 단계로 넘어간다.
S323 단계에서 문법에 부적합하면, S307 단계로 넘어간다.
S307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의사소통판 배열을 유지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의사소통판 배열 순서를 변경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화면을 표시한다(S309).
S309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의사소통판 배열 순서를 변경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배열 순서에 따라 의사소통판 배열 순서를 변경한다(S311).
다음, 의사소통판을 변경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화면을 표시한다(S313). 사용자로부터 의사소통판을 변경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에게 대체 의사소통판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대체 의사소통판을 선택받는다(S315).
의사소통판 배열 순서를 변경하거나, 또는 의사소통판을 변경하거나, 또는 의사소통판 배열 순서와 의사소통판을 변경한 경우, 해당 의사소통판 배열과 배열 DB(310)를 비교하여, 배열 DB(310)에 매칭되는 배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17).
S317 단계에서 배열 DB(310)에 매칭되는 배열이 존재하지 않으면, S307 단계로 넘어간다.
S317 단계에서 배열 DB(310)에 매칭되는 배열이 존재하면(S305), 이에 대응하는 완성된 문장을 화면에 표시한다(S319). 그리고, 사용자에게 문장 완성 여부를 묻는 화면을 표시한다(S321). 사용자로부터 문장 완성이 확인되면, 문장을 화면에 표시하고, TTS(Text to Speech) 기능을 통해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한다(S327). 사용자로부터 문장 완성이 확인되지 않으면 S307 단계로 넘어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입력 모드에서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단어가 입력되면(S401), 사용자 DB(320)와 문장 DB(330)를 검색하여 상기 단어에 연결하기 적합한 단어인 연결 단어들을 추천한다(S403).
추천한 연결 단어들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연결 단어가 선택되면(S405), 선택된 연결 단어를 포함하여 완성된 문장을 화면에 표시한다(S409).
또는 추천한 연결 단어들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연결 단어가 선택되지 않으면(S405), 사용자로부터 단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여 연결 단어를 입력받는다(S407). 그리고, 입력받은 연결 단어를 포함하여 완성된 문장을 표시한다(S409).
S409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문장 완성 여부를 묻는 화면을 표시한다(S4111). 사용자로부터 문장 완성이 확인되면, 문장을 화면에 표시하고, TTS(Text to Speech) 기능을 통해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한다(S413). 사용자로부터 문장 완성이 확인되지 않으면 S403 단계 내지 S411 단계를 수행하면서 추가 연결 단어를 추천하거나 입력받아서 문장을 완성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서버 200 단말
310 배열 DB 320 사용자 DB
330 문장 DB

Claims (6)

  1. 사용자가 구비하고 있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단말; 및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단말에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에서 단어를 상징하는 이미지로 구성된 의사소통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의사소통판에 대응하는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에서,
    의사소통판을 선택할 수 있는 의사소통판 메뉴, 긴급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문장을 선택할 수 있는 긴급 상황 메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대표적인 문장을 선택할 수 있는 일상생활 메뉴 및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 및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메뉴를 하나의 화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의사소통판 메뉴가 선택되면, 단어를 나타내는 이미지인 상징들이 생활, 장소, 행동을 포함하는 다수의 카테고리별로 분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을 최초 실행시, 사용자의 이름, 생년월일, 정신연령, 보호자 연락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이후 상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에서,
    TTS(Text to Speech) 기능을 통해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며, 다양한 목소리 중에서 음성으로 출력할 목소리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에서,
    화면 일부에 보호자 연락처로 연락할 수 있는 통화 버튼이 항상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KR1020220081675A 2022-07-04 2022-07-04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KR20240003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675A KR20240003870A (ko) 2022-07-04 2022-07-04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675A KR20240003870A (ko) 2022-07-04 2022-07-04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870A true KR20240003870A (ko) 2024-01-11

Family

ID=8953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675A KR20240003870A (ko) 2022-07-04 2022-07-04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87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131B1 (ko) 2019-01-08 2020-08-27 김경양 보완 대체 의사소통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131B1 (ko) 2019-01-08 2020-08-27 김경양 보완 대체 의사소통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hiriyapokanon Is a big button interfaceenough for elderly users?: Towards user interface guidelines for elderly users
Paciello Web accessib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Ok Use of iPads as assistive technolog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Laabidi et al. Learning technolog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Gosnell et al. Using a clinical approach to answer “What communication apps should we use?”
CN103399847B (zh) 用于管理计算环境语言的应用语言库
Keskinen et al. SymbolChat: A flexible picture-based communication platform for us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offatt et al.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devices for aphasia: the emerging role of “smart” mobile devices
US20080195375A1 (en) Echo translator
US20180253216A1 (en) System for consumption and generation of media by visually impaired
US10650196B2 (en)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 and communication assistive method outputting an audible sentence based on touch screen image selections comprising postpositions
Hill Advances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s quality-of-life technology
Kavcic Software accessibility: Recommendations and guidelines
WO20031029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using a portable device
Wilson et al. Mobile apps to support caregiver-resident communication in long-term care: systematic search and content analysis
Kaczorowski et al. Designing an inclusive future: Including diversity and equity with innovations in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Abbott et al. AAC decision-making and mobile technology: Points to ponder
Patel et al. Beyond Linear Syntax: An Image-Oriented Communication Aid.
Tönsing et al. Designing electronic graphic symbol-based AAC systems: a scoping review. Part 1: system description
KR20240003870A (ko)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Sespiani et al. Connecting Elderly and Digital Devices: a Literature Review of User Interface Studies for Indonesian Elders
Pavlov et al. Mobile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people with verbal communication disorders
Zamin et al. Make me speak: A mobile app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udge et al. What is the potential for context aware communication aids?
Rothberg Designing for inclusion: Ensuring accessib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