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027A -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p thereof - Google Patents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p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027A
KR20240003027A KR1020220079811A KR20220079811A KR20240003027A KR 20240003027 A KR20240003027 A KR 20240003027A KR 1020220079811 A KR1020220079811 A KR 1020220079811A KR 20220079811 A KR20220079811 A KR 20220079811A KR 20240003027 A KR20240003027 A KR 20240003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ing
area
stop
vehicle
autonomou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8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임주
이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9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027A/en
Priority to US17/982,376 priority patent/US20240001960A1/en
Priority to CN202211514445.2A priority patent/CN117315974A/en
Publication of KR20240003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0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involving control alternatives for a single driving scenario, e.g. planning several paths to avoid obsta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Preparing f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 B60W60/0016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of the vehicle or its occup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2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2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operations
    • B60W60/00253Taxi ope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4In digital systems, e.g. discrete-time systems involving sampling
    • B60W2050/0005Processor details or data handling, e.g. memory registers or chip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5Automatic parameter input, automatic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9Priority se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0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04Vehicle s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041Potential occup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049Number of occup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1Vo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50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 B60W2554/404Characteristics
    • B60W2554/4041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2Longitudin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60Traffic rules, e.g. speed limits or right of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0High definition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 주행 차량 및 그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제어 방법 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은,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시 정차 구역을 미리 정한 요건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정차 구역의 적합도를 상기 미리 정한 요건을 기반으로 판단하여 상기 분류된 정차 구역 중 하나를 정차 지점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정차 지점에 자율 주행 차량이 정차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데이터 및 알고리즘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opp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The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stopping zone according to predetermined requirements when the autonomous vehicle stops, and the classified a processor that determines the suitability of the stopping zone based on the predetermined requirements, selects one of the classified stopping zones as a stopping point, and controls the autonomous vehicle to stop at the selected stopping point; and a storage unit in which data and algorithms driven by the processor are stored.

Description

자율 주행 차량 및 그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제어 방법{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p thereof}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p of the autonomous vehicle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p thereof}

본 발명은 자율 주행 차량 및 그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류장에서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구역을 선정하고 정차 제어하는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opping of the autonomous vehicle. More specifically, it is a technology for selecting a stopping zone and controlling the stopping of an autonomous vehicle at a stop.

자율주행 시스템 4단계 이상 수준 자율 주행 버스의 경우 더 이상 운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In the case of self-driving buses that are level 4 or higher in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there is no longer a driver.

이에 현재 자율 주행 버스 시스템에서는 자율 주행 버스의 출발 및 정차를 자동으로 제어하는데, 자율 주행 버스가 지정된 위치에 정차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ly, the current self-driving bus system automatically controls the departure and stopping of the self-driving bus, but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self-driving bus to stop at a designated location.

그러나 버스 정류장에 다양한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아 자율 주행 버스가 지정된 위치에 정차할 수 없어 지정 위치가 아닌 위치에 자율 주행 차량이 정차함으로써 승하차 하는 승객의 사고 발생 위험이 있다. 이에 자율 주행 버스의 정차 지점(정차 구역)의 최적화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However, as there are many obstacles at bus stops, the self-driving bus cannot stop at the designated location, so there is a risk of accidents occurring for passengers boarding and disembarking as the self-driving vehicle stops at a location other than the designated location.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optimization technology for stopping points (stopping areas) of autonomous buse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율 주행 차량의 정류장에서 정차 시 지정된 정차 구역 여부, 주변 차량, 장애물, 정류장에 위치한 승객의 위치, 자율 주행 차량의 자세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정차 위치를 선정하고, 선정된 정차 위치에 자율 주행 차량이 정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자율 주행 차량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를 제공할 수 있는 자율 주행 차량 및 그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elf-driving vehicle stops at a stop, the most appropriate stopping location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signated stopping area, surrounding vehicles, obstacles, the location of passengers located at the stop, and the posture of the self-driving vehicle, and the selected The objective is to provide a self-driving vehicle and a stopping control method for the self-driving vehicle that can provide safe boarding and disembarkation of passengers in the self-driving vehicle by controlling the self-driving vehicle to stop at the stopping position.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은,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시 정차 구역을 미리 정한 요건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정차 구역의 적합도를 상기 미리 정한 요건을 기반으로 판단하여 상기 분류된 정차 구역 중 하나를 정차 지점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정차 지점에 자율 주행 차량이 정차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데이터 및 알고리즘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stopping zone according to predetermined requirements when the autonomous vehicle stops, determines the suitability of the classified stopping zone based on the predetermined requirements, and determines the classified stopping zone. a processor that selects one of the following as a stopping point and controls the autonomous vehicle to stop at the selected stopping point; and a storage unit in which data and algorithms driven by the processor are stored.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요건은,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시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 정류장 주변의 장애물, 상기 주변의 정차된 차량, 상기 정류장 주변의 승객의 위치 및 인원수,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자세 정보, 상기 정차 지점에 도착하기 위한 경로 및 상기 정차 지점에서 출발하여 정류장을 빠져나가는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requirements include a legally designated stopping area when the autonomous vehicle stops, obstacles around the stop, stopped vehicles around the stop, location and number of passengers around the stop, and the autonomous vehic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ttitude information, a route to arrive at the stopping point, and a route starting from the stopping point and exiting the stopping poin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적합도는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이 정차하기 적합한 정도를 수치화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itability may include a quantification of the degree to which the autonomous vehicle is suitable for stopping.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적합도는 등급, 점수, 순위와 같은 수치로 산출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리 정한 요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정차 구역에 부여할 상기 적합도의 크기와 증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itability may be calculated as a numerical value such as a grade, score, or rank, and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size and wheth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suitability to be given to the stopping area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predetermined requirements. there i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분류된 정차 구역을 경계선에 따라 구획하거나 정차 구역을 단위 면적을 포함하는 그리드 구조로 생성하고, 상기 분류된 정차 구역이 포함된 그리드를 따라 구획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includes dividing the classified stopping zone according to a boundary line or generating the stopping zone in a grid structure including a unit area, and dividing the classified stopping zone along the grid. can do.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차 구역에 부여된 적합도 중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탑승 구역 안의 적합도를 합산하고, 상기 탑승 구역은 상기 자율 주행 차량에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구역이며,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탑승 출입구를 기준으로 미리 정한 반경 이내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sums the suitability within the boarding area of the autonomous vehicle among the suitability assigned to the stopping area, the boarding area is an area for passengers to board the autonomous vehicle, and the autonomous vehicle It may include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boarding entrance of the driving vehicl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정류장과의 거리가 멀수록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상기 적합도를 낮게 부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assign a lower priority or suitability to the stop as the distance from the stop increase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구역은 법규에 의해 지정되지 않은 정차 구역보다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높게 부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include giving a stopping area designated by law a higher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than a stopping area not designated by law.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장애물 또는 이미 정차된 차량이 존재하는 정차 구역을 정차 불가능 구역으로 분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include classifying a stopping area where an obstacle or already stopped vehicle exists as an impossible stopping area.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정차하기 불가능한 구역은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가장 낮게 부여하거나, 상기 차량이 정차할 시 그려지는 차체 면적 내에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assign the lowest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to areas where it is impossible for the vehicle to stop, or may not include them within the body area drawn when the vehicle stop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장애물 또는 이미 정차된 차량에 의해 승객의 승하차가 방해 받을 수 있는 정차 구역을 정차 위험 구역으로 분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include classifying a stopping area where boarding and disembarking of passengers may be hindered by an obstacle or a vehicle that has already stopped as a stopping risk area.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정차하기 위험한 구역은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미리 정한 기준치보다 낮게 부여하거나 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include granting or reducing the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of an area where it is dangerous for the vehicle to be lower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valu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류장 주변에 승객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승객과 인접한 정차 구역에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미리 정한 기준치보다 높게 부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a passenger is located around the stop, the processor may include assigning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to a stopping area adjacent to the passenge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valu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차 구역에 승객의 수가 많음에 따라 상기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높게 부여 및 부가하거나, 상기 정류장 주변의 승객이 무리지어 있는 승객군인 경우, 상기 승객군의 폭만큼의 단위 면적에 상기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부여하되, 상기 승객군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부여되는 상기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가 작아지도록 부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assigns and adds a high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in the stopping area, or when the passengers around the stop are a group of passengers, the processor It may include assigning the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to a unit area as wide as the width, and assigning the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to become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passenger group increase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자세가 정류장과 평행한 경우 상기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높게 부여하고, 상기 자율 주행 차량과 상기 정류장 사이의 틀어진 각도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낮게 부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assigns a higher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when the posture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parallel to the stop, and the greater the angle between the autonomous vehicle and the stop, the higher the priority. This may include assigning a low ranking or stopping suitability.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정한 정차 지점 중 하나의 정차 지점으로 도착하는 경로 또는 상기 정차 지점에서 출발하여 정류장을 빠져나가는 경로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include calculating a route arriving at one of predetermined stopping points or a route departing from the stopping point and exiting the stopping poin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로가 산출이 가능한 구역에는 상기 경로가 산출이 불가능한 지역보다 상기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높게 부여 및 부가하거나, 정차 위치 및 정차 시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자세를 기반으로 상기 경로가 산출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위치와 자세를 하나의 정차 지점 선정 시 제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assigns and adds higher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to areas where the route can be calculated than areas where the route cannot be calculated, or determines the stopping location and posture of the autonomous vehicle when stopped. If the route cannot be calculated based on , the location and attitude may be excluded when selecting a stopping poin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차량 및 정류장 주변을 감지하는 센싱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장치를 통해 감지된 정류장 주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정류장 주변의 객체를 분류하거나, 상기 정차 구역에 상기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t further includes a sensing device that senses the autonomous vehicle and the surroundings of the stop, and the processor classifies objects around the stop based on data around the stop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device, or It may include assigning the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to a stopping zon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차량의 위치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의 주변 지도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획득부로부터 얻은 지도 정보를 포함하여 정차 구역을 분류하거나 상기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부여 및 부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t further includes a loc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or map information surrounding the autonomous vehicle, and the processor classifies the stopping area including the map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location acquisition unit. It may include assigning and adding the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제어 방법은,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시 미리 정한 요건을 기반으로 정류장 주변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차 구역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정차 구역에 정차 적합도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정차 구역의 정차 적합도를 기반으로 하나의 정차 지점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정차 구역에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이 정차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opping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lassifying the area around the stop into at least one stopping zone based on predetermined requirements when the autonomous vehicle is stopped; assigning a stopping suitability to the classified stopping zone; selecting a stopping point based on the stopping suitability of the classified stopping zone; And it may include controlling the autonomous vehicle to stop at the selected stopping zon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요건은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 상기 정류장 주변의 장애물, 상기 주변의 정차된 차량, 상기 정류장 주변의 승객의 위치 및 인원 수,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자세 정보, 도착 경로 및 출발하여 정류장을 빠져나가는 경로가 주행이 가능한지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requirements include a legally designated stopping area, obstacles around the stop, stopped vehicles around the stop, location and number of passengers around the stop, attitude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and arrival. It may include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route and whether the route starting and exiting the stop is drivable.

본 기술은 자율 주행 차량의 정류장에서 정차 시 지정된 정차 구역 여부, 주변 차량, 장애물, 정류장에 위치한 승객의 위치, 자율 주행 차량의 자세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정차 위치를 선정하고, 선정된 정차 위치에 자율 주행 차량이 정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자율 주행 차량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를 제공할 수 있다.When a self-driving vehicle stops at a stop, this technology selects the most appropriate stopping location by considering the presence of a designated stopping area, surrounding vehicles, obstacles, the location of passengers at the stop, and the posture of the self-driving vehicle. By controlling the autonomous vehicle to stop, it is possible to provide safe boarding and disembarkation of passengers in the autonomous vehicle.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effects that can be directly or indirectly identified through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위치 선정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구역을 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구역 점수 부여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차 구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류장 주변 객체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j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차 구역에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차 지점 도착 및 출발 운행 공간을 확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차 구역에 점수 부여 예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차 구역에 점수 부여 예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차 구역에 점수 부여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승차 구역과 하차 구역이 분리된 경우에 정차 구역에 점수를 부여하는 예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을 이용하여 정차 구역에 점수를 부여하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selecting a stopping posi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selecting a stopping zone for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ample of giving a stopping zone score to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to 4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topping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sensing range for detecting objects around a s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A to 6J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assigning points to a stopping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securing space for arrival and departure from a stopping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 to 8c are exemplary diagrams of assigning points to a stopping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C are diagrams illustrating points awarded to a stopping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0a and 10b are illustrations of points awarded to a stopping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ample of giving points to the stopping zone when the vehicle's boarding and unloading zones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2a to 12c are illustrations of assigning scores to stopping zones using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trolling stopping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flowchart for specifically explaining a method for controlling stopping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shows a comput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No.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5.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문 자동 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automatic door control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차량(10)과 정류장 시스템(20) 간의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10)의 문을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차량(10)은 자율 주행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doors of the vehicle 10 by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10 and the stopping system 20. At this time, the vehicle 10 may include an autonomous bus.

차량(10)은 자율 주행 제어 장치(100), 센싱 장치(150), GPS 수신기(160), 및 위치 획득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ehicle 10 may include an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100, a sensing device 150, a GPS receiver 160, and a location acquisition unit 17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자율 주행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 제어 유닛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별도의 연결 수단에 의해 차량의 제어 유닛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side a vehicle. At this time,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1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vehicle's internal control units, or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and connected to the vehicle's control units through a separate connection means.

자율 주행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정류장 정차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차 가능한 구역을 판단하고,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구역 여부, 주변 장애물의 위치, 정류장 주변의 승객의 위치, 정차 시 차량 자세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정차 구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정차 구역으로 차량(10)이 정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10 stops at a stop,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at least one area where the vehicle 10 can stop, whether it is a stopping area designated by law, the location of surrounding obstacles, the location of passengers around the stop, and the vehicle posture when stopped. Considering the following, the optimal stopping area can be selected and the vehicle 10 can be controlled to stop at the selected stopping area.

이때, 승객은 법적으로 정의된 정류장의 위치 내에 있는 사람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passengers may include people within the legally defined location of the stop.

이를 위해, 자율 주행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n interface unit 130, and a processor 140.

통신부(110)는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다양한 전자 회로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장치로서, 차량 내 장치들과 차량 내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차량 내 네트워크 통신 기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플렉스레이(Flex-Ray) 통신, 이더넷, 무선통신망(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a hardware device implemented with various electronic circuits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wireless or wired connections,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with in-vehicle devices based on in-vehicle network communication technology. As an example, in-vehicle network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Flex-Ray communication, Ethernet,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LTE).

또한, 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접속 또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을 통해 차량 외부의 서버, 정류장 시스템(20), 인프라, 타 차량 등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기술로는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perform communication using a server outside the vehicle, the station system 20, infrastructure, other vehicles, etc. through wireless Internet access or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wireless LAN (WLAN), Wireless Broadband (Wibro), Wi-Fi, 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there is. Additionally,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y include Bluetooth, ZigBee, Ultra Wideband (UWB),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한 통신부(110)는 V2X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V2X 통신은 차량 사이의 통신(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을 지칭하는 V2V(Vehicle-to-Vehicle), 차량과 eNB 또는 RSU(Road Side Unit) 사이의 통신을 지칭하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차량 및 개인(보행자, 자전거 운전자, 차량 운전자 또는 승객)이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 간 통신을 지칭하는 V2P(Vehicle-to-Pedestrian), V2N(vehicle-to-network) 등 차량과 모든 개체들 간 통신을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perform V2X communication. V2X communication refers to V2V (Vehicle-to-Vehicle), which refers to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which refers to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eNB or RSU (Road Side Unit), and vehicles and individuals. Vehicles and all entities, such as V2P (Vehicle-to-Pedestrian) and V2N (vehicle-to-network), which refer to communication between user equipment (UE) held by a pedestrian, cyclist, vehicle driver, or passenger Includes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일 예로서, 통신부(110)는 정류장 진입 전 정류장 시스템(20)으로부터 정류장 주변 장애물 정보(예, 장애물 위치 정보 등), 정류장 주변 승객 정보(예, 승객의 수, 각 승객의 위치, 각 승객의 진행 방향 등)을 수신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obstacle information around the stop (e.g., obstacle location information, etc.) from the stop system 20 before entering the stop, and passenger information around the stop (e.g., number of passengers, location of each passenger, information on each passenger). direction, etc.) can be received.

저장부(120)는 센싱 장치(150)의 센싱 결과, GPS 수신기(156)의 수신 결과 및 프로세서(14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알고리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저장부(120)는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구역, 정류장 별 주변 장애물 정보 등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sensing results of the sensing device 150, reception results of the GPS receiver 156, and data and/or algorithms necessary for the processor 140 to operate. As an example, the storage unit 120 may store information on stopping areas designated by law, surrounding obstacles for each stop, etc. in advance.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0 ha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icro type, and a card type (e.g., a Secure Digital Card (SD Card) or an eXtream Digital Card (XD Card). Memory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M), ROM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M), and magnetic memory (MRAM) , Magnetic RAM,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type memory.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수단과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결과 등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수단은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우스, 조이스틱, 조그셔틀, 스타일러스 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수단은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되는 소프트 키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interface unit 130 may include an input means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and an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operation status and results of the device 100. Here, the input means may include a key button, and may also include a mouse, joystick, jog shuttle, stylus pen, etc. Additionally, the input means may include soft keys implemented on the display.

인터페이스부(130)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클러스터, AVN(Audio Video Navigation), HMI(Human Machine Interface), USM (User Select Menu)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ld Emission Display, F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head-up display (HUD), cluster, AVN (Audio Video Navigation), HMI (Human Machine Interface), USM (User Select Menu), etc. At this time, the display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Flexible Display. ,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may be included.

출력수단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와 같은 음성출력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터치 센서가 디스플레이에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며,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이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수단은 승객에게 하차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수단은, 승하차 시 외에는 즉 차량의 주행 중에는 정류장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수단은 자율 주행 모드 등의 차량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하게 탑승하세요!", "탑승하실 수 없습니다". "다음 차량을 이용해주세요", "문이 닫힙니다", "문이 열립니다", "자율주행 모드로 주행 중입니다", 등의 상황에 따른 안내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페이스부(130)는 운전자가 없더라도 승객과의 소통을 위한 입력 및 출력을 할 수 있다.The output means may include a display, and may also include an audio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At this time, when a touch sensor such as a touch film, touch sheet, or touch pad is provided on the display, the display operates as a touch screen and can be implemented in an integrated form with an input means and an output means. As an example, the output means may output disembarkation information to passengers. Additionally, the output means can display stop information other than when boarding or disembarking, that i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s an example, the output means may display vehicle status such as autonomous driving mode. For example, “Have a safe ride!”, “You are not allowed on board”. You can print guidance phras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such as “Please use the next vehicle,” “The door is closed,” “The door is open,” and “You are driving in autonomous driving mod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30 can provide input and output for communication with passengers even when there is no driver.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의 명령을 실행하는 전기 회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후술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storage unit 120, the interface unit 130, etc., may electrically control each component, and may be an electrical circuit that executes software commands. , whereby various data processing and calculations described later can be performed.

프로세서(140)는 자율 주행 제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다른 하위 제어기일 수 있다.The processor 140 may process signals transmitted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100. The processor 140 may be, for example,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 micro controller unit (MCU), or another lower-level controller mounted on a vehicle.

프로세서(140)는 차량(10)의 정차 시 정차 구역을 미리 정한 요건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정차 구역의 적합도를 미리 정한 요건을 기반으로 판단하여 분류된 정차 구역 중 하나를 정차 지점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정차 지점에 차량(10)이 정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적합도는 각 정차 구역이 정차 하기에 적합한 정도를 수치화한 것을 의미한다. When the vehicle 10 stops, the processor 140 classifies the stopping zones according to predetermined requirements, determines the suitability of the classified stopping zones based on the predetermined requirements, and selects one of the classified stopping zones as the stopping point. The vehicle 10 can be controlled to stop at the designated stopping point. At this time, suitability means quantifying the degree to which each stopping zone is suitable for stopping.

또한, 미리 정한 요건은 차량(10)의 정차 시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 정류장 주변의 장애물, 주변의 정차된 차량, 정류장 주변의 승객의 위치 및 인원수, 차량(10)의 자세 정보, 정차 지점에 도착하기 위한 경로 및 정차 지점에서 출발하여 정류장을 빠져나가는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차 구역은 차량(10)이 정차할 수 있는 정류장 주변의 모든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정차 지점은 복수개의 정차 구역 중 하나로 차량(10)이 실제 정차하기 위한 최적의 정차 위치를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requirements include the legally designated stopping area when the vehicle 10 is stopped, obstacles around the stop, nearby stopped vehicles, the location and number of passengers around the stop, attitude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and the stopping poin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oute to arrive and a route to depart from and exit the stopping point. At this time, the stopping area refers to all spaces around the stop where the vehicle 10 can stop. In addition, the stopping point is one of a plurality of stopping areas and means the optimal stopping position for the vehicle 10 to actually stop.

즉 프로세서(140)는 차량(10)의 정차 시 정류장 주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차 구역을 분류하고, 정류장 주변의 장애물, 정류장 주변의 승객의 위치, 및 차량(10)의 자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차 구역 중 하나를 선정하고 선정된 정차 구역에 차량(10)이 정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processor 140 classifies at least one stopping area around the stop when the vehicle 10 stops, and collects at least one of obstacles around the stop, positions of passengers around the stop, and attitude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Using this method, one of at least one stopping zone can be selected and the vehicle 10 can be controlled to stop at the selected stopping zone.

프로세서(140)는 분류된 정차 구역을 경계선에 따라 구획하거나 정차 구역을 단위 면적을 포함하는 그리드 구조로 생성하고, 분류되는 정차 구역이 포함된 그리드를 따라 구획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정차 구역에 부여된 적합도 중 자율 주행 차량의 탑승 구역 안의 적합도를 합산할 수 있다. 이때, 탑승 구역은 차량(10)에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구역으로서 차량(10)의 탑승 출입구를 기준으로 미리 정한 반경 이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40 may divide the classified stopping zone according to the boundary line, or generate the stopping zone in a grid structure including a unit area, and divide the classified stopping zone along the grid containing the classified stopping zone. Additionally, the processor 140 may add the suitability within the boarding area of the autonomous vehicle among the suitability assigned to the stopping area. At this time, the boarding area is an area for passengers to board the vehicle 10 and may include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boarding entrance of the vehicle 10.

프로세서(140)는 미리 정한 요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정차 구역에 부여할 적합도의 크기와 증감 여부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구역은 법규에 의해 지정되지 않은 정차 구역보다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높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장애물 또는 이미 정차된 차량이 존재하는 정차 구역을 정차 불가능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차량(10)이 정차하기 불가능한 구역은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가장 낮게 부여하거나, 차량(10)이 정차할 시 그려지는 차체 면적 내에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장애물 또는 이미 정차된 차량에 의해 승객의 승하차가 방해 받을 수 있는 정차 구역을 정차 위험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차량(10)이 정차하기 위험한 구역은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미리 정한 기준치보다 낮게 부여할 수 있다.The processor 140 can select the size and wheth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suitability to be given to the stopping zone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predetermined requirements. Additionally, the processor 140 may give a stopping area designated by law a higher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than a stopping area not designated by law. Additionally, the processor 140 may classify a stopping area where obstacles or already stopped vehicles exist as an impossible stopping area. The processor 140 may assign the lowest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to areas where it is impossible for the vehicle 10 to stop, or may not include them within the vehicle body area drawn when the vehicle 10 stops. The processor 140 may classify a stopping area in which boarding and disembarking of passengers may be hindered by obstacles or already stopped vehicles as a stopping risk area. Additionally, the processor 140 may assign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to an area where it is dangerous for the vehicle 10 to be lower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value.

또한, 프로세서(140)는 정류장 주변에 승객이 위치하는 경우, 승객과 인접한 정차 구역에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미리 정한 기준치보다 높게 부여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passengers are located around a stop, the processor 140 may assign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to a stopping area adjacent to the passenge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value.

또한, 프로세서(140)는 정차 구역에 승객의 수가 많음에 따라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높게 부여 및 부가하거나, 정류장 주변의 승객이 무리지어 있는 승객군인 경우, 승객군의 폭만큼의 단위 면적에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부여하되, 승객군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부여되는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가 작아지도록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40 assigns and adds a high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in the stopping area, or if the passengers around the stop are grouped together, priority is given to a unit area equal to the width of the passenger group.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may be assigned, but the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may be given so that the further away from the center of the passenger group, the smaller the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또한, 프로세서(140)는 자율 주행 차량의 자세가 정류장과 평행한 경우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높게 부여하고, 자율 주행 차량과 정류장 사이의 틀어진 각도의 크기가 클수록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낮게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40 may grant a higher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when the posture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parallel to the stop, and grant a lower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as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autonomous vehicle and the stop is larger. You can.

또한 프로세서(140)는 미리 정한 정차 지점 중 하나의 정차 지점으로 도착하는 경로 또는 정차 지점에서 출발하여 정류장을 빠져나가는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140 may calculate a route arriving at one of the predetermined stopping points or a route departing from the stopping point and exiting the stopping point.

또한, 프로세서(140)는 경로가 산출이 가능한 구역에는 경로가 산출이 불가능한 지역보다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높게 부여 및 부가하거나, 정차 위치 및 정차 시 자율 주행 차량의 자세를 기반으로 경로가 산출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위치와 자세를 하나의 정차 지점 선정 시 제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40 assigns and adds higher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to areas where a route can be calculated than areas where a route cannot be calculated, or calculates the route based on the stopping location and the posture of the autonomous vehicle when stopped. If this is not possible, the location and attitude can be excluded when selecting a stopping point.

또한, 프로세서(140)는 센싱 장치(150)를 통해 감지된 정류장 주변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류장 주변의 객체를 분류하거나, 정차 구역에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부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140 may classify objects around the stop based on data around the stop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device 150, or may assign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to the stopping area.

또한, 프로세서(140)는 위치 획득부(170)로부터 얻은 지도 정보를 포함하여 정차 구역을 분류하거나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부여 및 부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140 may classify the stopping area or assign priority or suitability to the stopping area, including the map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location acquisition unit 170.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차 구역에 점수를 부여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차 구역 중 최고 점수를 받은 정차 구역을 선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40 may assign scores to at least one stopping zone and select the stopping zone with the highest score among the at least one stopping zone.

또한 프로세서(140)는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구역에 최고 점수를 부여하고,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구역 외의 정차 구역에 최고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140 may assign the highest score to a stopping area designated by law and a score lower than the maximum score to a stopping area other than the stopping area designated by law.

프로세서(140)는 장애물 또는 이미 정차된 차량이 존재하는 정차 구역을 정차 불가능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고, 장애물 또는 이미 정차된 차량에 의해 승객의 승하차가 방해 받을 수 있는 정차 구역을 정차 위험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The processor 140 may classify a stopping area where obstacles or already stopped vehicles exist as an impossible-to-stop area, and classify a stopping area where boarding and disembarking of passengers may be hindered by obstacles or already stopped vehicles as a stopping-risk area. can do.

프로세서(140)는 장애물 또는 이미 정차된 차량의 좌차선에 위치하는 정차 구역을 정차 위험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The processor 140 may classify a stopping area located in the left lane of an obstacle or an already stopped vehicle as a stopping risk area.

또한, 프로세서(140)는 정차 불가능 구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차 구역에서 제외 시키고, 정차 위험 구역에 부여된 점수를 감점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140 may exclude an area where stopping is impossible from at least one stopping area and deduct points given to the area where stopping is dangerous.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차 구역 중 승객이 미리 정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정차 구역에 승객의 수에 따른 점수를 부가할 수 있다.The processor 140 may add poin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to a stopping area that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a passenger among at least one stopping area.

프로세서(140)는 차량(10)의 크기, 차량(10)의 자세, 차량(10)의 탑승구의 위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차 구역에 이미 정차된 차량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차 구역 각각에 대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The processor 140 may perform at least one or more operation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ze of the vehicle 10, the posture of the vehicle 10, the location of the boarding gate of the vehicle 10, and the location of a vehicle already stopped in at least one or more stopping zones. Points can be given for each stopping zone.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차 구역을 포함하는 정차 영역을 단위 면적을 포함하는 그리드 구조로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차 구역 각각에 대해 단위 면적당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40 may generate a stopping area including at least one stopping area in a grid structure including a unit area, and assign a score per unit area to each of the at least one stopping area.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차 구역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차 구역의 면적 비를 적용하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If the sizes of the at least one or more stopping zones are different, the processor 140 may calculate the score by applying the area ratio of the at least one or more stopping zones.

프로세서(140)는 장애물 주변 도로 위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장애물이 존재하는 정차 구역을 정차 불가 구역으로 분류하고, 장애물이 존재하는 정차 구역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역을 정차 위험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If an obstacle exists on the road around the obstacle, the processor 140 may classify the stopping area where the obstacle exists as a no-stop zone, and classify the area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topping area where the obstacle exists as a stopping risk zone. there is.

프로세서(140)는 선정된 정차 구역과 인접하여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차량(10)의 정차 제어 중 장애물과의 충돌 위험이 존재하는 구역을 정차 위험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If an obstacle exists adjacent to the selected stopping area, the processor 140 may classify an area where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with the obstacle during stopping control of the vehicle 10 as a stopping risk area.

프로세서(140)는 도로와 인접한 인도 위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장애물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 이내까지 정차 불가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If an obstacle exists on a sidewalk adjacent to a road, the processor 140 may classify the area as a no-stop zon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bstacle.

프로세서(140)는 정류장 주변에 승객이 위치하는 경우, 승객과 인접한 정차 구역에 점수를 부가하고, 정류장 주변의 승객이 무리지어 있는 승객군인 경우, 승객군의 폭만큼의 단위 면적에 점수를 부여하되, 승객군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부여되는 점수가 작아질 수 있다.If there are passengers around the stop, the processor 140 adds points to the stopping area adjacent to the passengers, and if the passengers around the stop are a group of passengers, it gives points to a unit area equal to the width of the passenger group. , the farther away you are from the center of the passenger group, the smaller the score awarded.

프로세서(140)는 차량(10)의 자세가 정류장과 평행한 경우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차량(10)과 정류장 사이의 틀어진 각도의 크기가 클수록 감점되는 점수가 커질 수 있다.The processor 140 assigns a higher score when the posture of the vehicle 10 is parallel to the stop, and as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vehicle 10 and the stop increases, the score deducted may increase.

프로세서(140)는 선정된 정차 구역으로 차량(10)이 정차하도록 예상 경로를 생성하고 예상 경로 상에 장애물이 포함되면 선정된 정차 구역을 제외시킬 수 있다. The processor 140 may generate an expected path for the vehicle 10 to stop at a selected stopping area, and may exclude the selected stopping area if an obstacle is included in the expected path.

프로세서(140)는 센싱 장치(150)에 의해 센싱된 정차 구역 정보와 정밀 지도의 정차 구역 정보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차 구역을 파악할 수 있다.The processor 140 may identify at least one stopping zone by comparing the stopping zon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150 with the stopping zone information on the precision map.

센싱 장치(200)는 차량 외부 물체를 감지하기 위해 복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외부 물체의 위치, 외부 물체의 속도, 외부 물체의 이동 방향 및/또는 외부 물체의 종류(예: 차량, 보행자, 자전거 또는 모터사이클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센싱 장치(200)는 정류장 주변 승객의 수, 정류장 주변 승객의 진행 방향, 정류장 주변 승객의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to detect objects external to the vehicle, and may detect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object, the speed of the external object,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external object, and/or the type of external object (e.g., vehicle, pedestrian). , bicycle or motorcycle, etc.). Additionally, the sensing device 200 can detect the number of passengers around the stop, the direction of travel of passengers around the stop, and the movement of passengers around the stop.

센싱 장치(200)는 법규로 정해진 정류장에서의 주정차 가능 거리(D1)보다 미리 정한 거리만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확장하여 센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set to sense by expanding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 predetermined distance than the parking distance (D1) at a stop specified by law.

이를 위해, 센싱 장치(200)는 초음파 센서, 레이더, 카메라, 레이저 스캐너 및/또는 코너 레이더, 라이다, 가속도 센서, 요레이트 센서, 토크 측정 센서 및/또는 휠스피드 센서, 조향각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sensing device 200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radar, camera, laser scanner and/or corner radar, lidar, acceleration sensor, yaw rate sensor, torque measurement sensor and/or wheel speed sensor, steering angle sensor, etc. You can.

GPS 수신기(160)는 GPS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자율 주행 제어 장치(100)로 전달하여, 자율 주행 제어 장치(100)는 자차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GPS receiver 160 receives a GPS signal from the GPS and transmits it to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100, so that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100 can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위치 획득부(170)는 차량(10)의 위치 차량(10)의 주변 지도 정보를 획득하여 프로세서(140)로 제공할 수 있다.The location acquisition unit 170 may obtain location map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and provide it to the processor 140 .

정류장 시스템(20)은 정류장 제어 장치(200) 및 센싱 장치(230), 및 통신 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p system 20 may include a stop control device 200, a sensing device 230, and a communication device 240.

정류장 제어 장치(200)는 정류장 외부 및 내부의 객체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여, 정류장 외부 및 내부의 객체가 미리 정한 시간 내에 차량(10)의 승하차 구역에 도달하는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The station control device 200 may predict the movement paths of objects outside and inside the station and calculate the probability that the objects outside and inside the station will reach the boarding and disembarking zone of the vehicle 1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이를 위해, 정류장 제어 장치(200)는 저장부(210),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stop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 storage unit 210 and a processor 220.

저장부(210)는 센싱 장치(230)의 센싱 결과, 통신 장치(240)의 통신 결과, 프로세서(22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알고리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210 may store sensing results of the sensing device 230, communication result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40, and data and/or algorithms necessary for the processor 220 to operate.

일 예로, 저장부(210)는 센싱 장치(230)에 의해 센싱된 정류장 주변의 정차되어 있는 차량, 보행자, 자전거, 움직임이 없는 장애물 등의 객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torage unit 210 may store information on objects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230, such as stopped vehicles, pedestrians, bicycles, and motionless obstacles around a stop. The storage unit 210 ha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icro type, and a card type (e.g., a Secure Digital Card (SD Card) or an eXtream Digital Card (XD Card). Memory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M), ROM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M), and magnetic memory (MRAM) , Magnetic RAM,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type memory.

프로세서(220)는 센싱 장치(230)에 의해 감지된 정류장 외부 및 내부의 정보를 차량(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20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station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230 to the vehicle 10 .

센싱 장치(230)는 정류장 외부 및 내부의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객체는 자전거, 사람, 오토바이 등을 포함하며, 객체의 거리, 이동 방향 및/또는 상대 속도를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 장치(230)는 카메라, 초음파 센서, 레이더, 카메라, 레이저 스캐너 및/또는 레이더, 라이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device 230 can detect objects outside and inside the station. Objects include bicycles, people, motorcycles, etc., and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that measure the distance, direction of movement, and/or relative speed of the object. To this end, the sensing device 230 may include a camera, ultrasonic sensor, radar, camera, laser scanner and/or radar, lidar, etc.

통신 장치(240)는 무선 인터넷 접속 또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을 통해 차량(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기술로는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LTE(long-term evolu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240 may communicate with the vehicle 10 through wireless Internet access or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Her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LAN), Wireless Broadband (Wibro), Wi-Fi,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LTE (long -term evolution), etc. may be included. Additionally,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y include Bluetooth, ZigBee, Ultra Wideband (UWB),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일 예로, 통신 장치(240)는 차량(10)이 정류장에 진입하기 전 센싱 장치(230)에 의해 센싱된 정류장 주변 객체 정보를 차량(10)으로 전송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240 may transmit object information around the stop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230 to the vehicle 10 before the vehicle 10 enters the stop.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율 주행 차량이 정류장에 정차 시 미리 정해진 정차 위치, 주변 차량, 장애물의 위치, 정류장 주변의 승객 위치 등에 각각 우선 순위별 점수를 부여하여 정차 가능 구역 중 점수가 가장 높은 정차 가능 구역을 최적 정차 위치로 선정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assigns priority points to the predetermined stopping location, surrounding vehicles, obstacles, and passenger locations around the stop when an autonomous vehicle stops at a stop, so that the stopable area with the highest score among the stoppable areas can be selected as the optimal stopping lo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구역을 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selecting a stopping zone for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버스 정류장(21)과 버스 정류장 영역(22)의 앞쪽 차선에 차량(201)이 위치한 상황에서 차량(10)의 정차 후보 지점(202, 203, 204)이 생성될 수 있고, 최적의 정차 후보 지점(203)에 정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n a situation where the vehicle 201 is located in the front lane of the bus stop 21 and the bus stop area 22, candidate stopping points 202, 203, and 204 for the vehicle 10 may be created. , it is possible to stop at the optimal stopping candidate point 203.

자율 주행 차량(10)은 각 정차 구역을 분류하고 정차 구역에 적합도(예, 점수, 수치 등)를 부여하고, 가장 높은 적합도를 받은 정차 구역을 정차 지점으로 선정하여 자차의 정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autonomous vehicle 10 can classify each stopping area, assign a suitability (e.g., score, value, etc.) to the stopping area, and select the stopping area with the highest suitability as the stopping point to perform stopping control of the own vehicle. there is.

이때, 자율 주행 차량(10)은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 여부, 정차 가능 구역 여부, 정차 위험 구역 여부, 정류장 주변 승객의 위치, 정차 시 차량의 자세, 정차 제어 시 정차 구역까지의 이동 공간 확보 여부 등을 고려하여 정차 구역에 적합도를 부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lf-driving vehicle 1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topping area designated by law, whether there is a stopping area, whether there is a danger zone for stopping, the location of passengers around the stop, the posture of the vehicle when stopping, whether the space to move to the stopping area is secured when controlling the stop, etc. Taking this into account, suitability can be assigned to the stopping are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구역 점수 부여 예시도이다.Figure 3 is an example of giving a stopping zone score to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0)은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에 가장 높은 점수(예, +1000)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정차 구역(202, 203)이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vehicle 10 may be given the highest score (eg, +1000) in a legally designated stopping zone. For example, the stopping areas 202 and 203 in FIG. 2 may be legally designated stopping areas.

또한, 차량(10)은 지정된 정차 구역 외 정차 가능 구역에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에 비해 낮은 점수(예, +50)를 부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ehicle 10 may assign a lower score (e.g., +50) to a stopping area other than the designated stopping area compared to a legally designated stopping area.

차량(10)은 승객이 위치한 구역에 승객의 수와 비례하여 낮은 점수(예, +10*모여있는 승객이 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역에 모여 있는 승객의 수가 3명인 경우, 해당 구역에 3*10=30, 30점을 부여할 수 있다. The vehicle 10 may give a low score (e.g., +10*number of passengers gather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passengers in the area where the passengers are located.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passengers gathered in a specific area is 3, 3*10=30, 30 points can be assigned to that area.

차량(10)은 정차 시 정류장(21)과 평행하지 않은 자세일수록 감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장(21)과 차량(10)의 각도에 따라 점수가 감점될 수 있다.When the vehicle 10 is stopped, points may be deducted as the posture is not parallel to the stop 21. For example, points may be deducted depending on the angle between the stop 21 and the vehicle 10.

차량(10)은 장애물, 정차 차량 등으로 인해 승객의 승하차가 불편하거나 위험한 구역인 경우 높은 점수(예, -100)를 감점할 수 있다.If the vehicle 10 is in an area where it is inconvenient or dangerous for passengers to get on and off due to obstacles, stopped vehicles, etc., a high score (e.g., -100) may be deducted.

차량(10)은 장애물, 정차 차량 등으로 정차가 불가능한 구역 즉 정차 불가 구역은 정차 구역에서 아예 제외 시킬 수 있다. 즉 차량(10)은 정차 불가 구역에 대한 점수 계산을 하지 않고 차량 박스가 침범 불가한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Areas where the vehicle 10 cannot stop due to obstacles, stopped vehicles, etc., that is, areas where stopping is impossible, can be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stopping area. That is, the vehicle 10 may display the vehicle box as inviolable without calculating the score for the no-stop zone.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차 구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s 4a to 4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topping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조하면, 차량이 정차할 수 있는 영역인 전체 정차 구역(23)을 격자무늬 그리드(Grid) 구조로 형성하고, 각 그리드 구조의 단위 면적(예, ) 당 적합도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차량(10)은 도 3에서 제시한 조건들을 기반으로 그리드 구조의 단위 면적당 적합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정류장 영역(2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위 면적당 적합도가 낮아지며 도 4a에서는 버스 정류장 영역(2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구역(613, 614, 615, 616)에 부여되는 적합도가 낮아질 수 있다. 즉 구역(613)의 적합도가 가장 높게 부여되고 구역(616)에 부여되는 적합도가 가장 낮아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4a, the entire stopping area 23, which is an area where a vehicle can stop, is formed in a grid structure, and the unit area of each grid structure (e.g. ) The degree of fitness can be given. That is, the vehicle 10 can assign a degree of suitability per unit area of the grid structure based on the conditions presented in FIG. 3. Additionally, as the distance from the bus stop area 22 increases, the suitability per unit area decreases. In FIG. 4A, the suitability given to the areas 613, 614, 615, and 616 may de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bus stop area 22 increases. That is, the highest suitability may be given to area 613 and the lowest suitability given to area 616.

또한 승객(631, 632)의 위치에 따라 그리드에 부여되는 적합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승객군(632)과 인접한 구역(407)의 단위 면적에 가산점이 부여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egree of suitability given to the grid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passengers 631 and 632. That is, additional points may be given to the unit area of the area 407 adjacent to the passenger group 632.

도 4a에서는 그리드의 단위 면적당 적합도를 구별하기 위해 적합도에 따라 단위 면적별 해칭을 다르게 적용하였다.In Figure 4a, in order to distinguish the suitability per unit area of the grid, hatching for each unit area was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uitability.

이때, 차량(10)은 전체 정차 구역(23)을 차량이 이미 정차되어 있어 정차 불가능한 구역인 정차 불가 구역(403), 정차 불가 구역(403)에 정차 되어 있는 차량에 의해 승하차가 불편 또는 위험한 구역인 정차 위험 구역(405),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구역으로 정차 가능 구역(613), 그 외에 법으로 지정되지 않았으나 정차 가능한 구역(예, 그리드 구조에서 613 외의 나머지 구역)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정차 구역(401, 402, 404)은 추후 정차 후보 지점이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hicle 10 divides the entire stopping zone 23 into a no-stop zone 403, which is an area where stopping is impossible because the vehicle is already stopped, and a zone where getting on and off is inconvenient or dangerous due to the vehicle stopped in the no-stop zone 403. It can be classified into a dangerous stopping zone (405), a stopping zone designated by law (613), and a zone that is not designated by law but can be stopped (e.g., areas other than 613 in the grid structure). At this time, the stopping areas 401, 402, and 404 may become candidate stopping points in the future.

차량(10)은 전체 정차 구역(23) 중 정차 불가 구역(403)을 제외한 나머지 구역 중 정차 후보 지점(401, 402, 404)을 선택할 수 있고, 정차 후보 지점(401, 402, 404) 각각이 포함하는 단위 면적 개수당 점수를 합산하여 정차 후보 지점(401, 402, 404) 각각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차량(10)은 크기가 서로 다른 정차 구역에 대해 면적 비를 적용하여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하는 면적에 적합도 150 점이 부여 되었을 경우 150점 * = 30 점이 될 수 있다.The vehicle 10 can select a stopping candidate point (401, 402, 404) among the remaining areas excluding the non-stopping area (403) among the entire stopping area (23), and each of the stopping candidate points (401, 402, 404) is The scores for each of the stopping candidate points (401, 402, and 404) can be calculated by adding up the scores per unit area included. The vehicle 10 can calculate the score by applying the area ratio to stopping areas of different sizes. for example, If 150 points of suitability are given to the corresponding area, 150 points * = Could be 30 points.

차량(10)은 정차 후보 지점(401, 402, 404) 중 합산된 적합도가 가장 높은 정차 후보 지점을 최적 정차 지점으로 선택할 수 있고, 차량(10)은 최적 정차 지점(401)에 정차할 수 있다. The vehicle 10 may select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with the highest combined suitability among the stopping candidate points 401, 402, and 404 as the optimal stopping point, and the vehicle 10 may stop at the optimal stopping point 401. .

또한 차량(10)은 정차 시 차량(10)의 자세에 따라 정차 구역에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04와 같이 차량(10)이 정차 제어 시 버스 정류장(21)의 방향과 차량(10)의 진행 방향이 평행하지 않으면 감점이 부여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ehicle 10 may be assigned points to the stopping zone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vehicle 10 when stopped. For example, as shown in 404, when the vehicle 10 is controlled to stop, if the direction of the bus stop 21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0 are not parallel, a point deduction may be given.

도 4b를 참조하면 점수는 탑승 구역(432) 안에 포함된 구역의 점수를 산출한다. 차량 구역(431)안에 장애물 또는 정차가 불가능한 지점이 포함되면 해당 정차 후보 지점은 정차 불가능한 지점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b, the score calculates the score of the area included in the boarding area 432. If an obstacle or a point where stopping is impossible is included in the vehicle area 431, the corresponding stopping candidate point may become a point where stopping is impossible.

도 4b와 같이 차량 구역(431)과 하나의 탑승 구역(432)이 표시될 수 있고, 도 4c와 같이 탑승 구역(433)과 하차 구역(434)이 분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B , a vehicle area 431 and one boarding area 432 may be displayed, and as shown in FIG. 4C , the boarding area 433 and the disembarkation area 434 may be displayed separately.

도 4c를 참조하면 탑승 구역과 하차 구역이 분리되어 있는 차량(10)은 탑승 구역(433) 및 하차 구역(434) 안에 포함된 정차 구역의 단위 면적당 적합도를 산출한다. 이때, 하차 구역(434) 안에 포함된 정차 구역 중 승객으로 인한 적합도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정차 구역(431)안에 장애물 또는 정차가 불가능한 지점이 포함되면 해당 정차 후보 지점은 정차 불가능한 지점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C, for a vehicle 10 with separate boarding and unloading areas, the suitability per unit area of the stopping area included in the boarding area 433 and the unloading area 434 is calculated. At this time, the suitability due to passengers may not be included among the stopping areas included in the unloading area 434. If an obstacle or a point where stopping is impossible is included in the stopping area 431,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may become a point where stopping is impossibl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류장 주변 객체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sensing range for detecting objects around a s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차량(10)의 센싱 장치(150)의 센싱 범위는 정차 가능 거리(D1)를 포함하며 정차 가능 구역에서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위쪽 방향 및 아래쪽 방향으로 1m, 수직 방향으로 3m까지 확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sensing range of the sensing device 150 of the vehicle 10 includes the stopping distance D1, and ranges from the stopping possible area to 1 m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nd 3 m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It can be enlarged.

도 6a 내지 도 6j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차 구역에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적합도를 점수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Figures 6a to 6j are example diagrams to explain in more detail a method of assigning points to a stopping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elow, the degree of suitability will be explained using a score as an example.

도 6a를 참조하면 차량(10)은 전체 정차 구역(601) 중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602)에는 최고 점수(예, + 1000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 외 정차가 가능한 구역은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602)에 비해 낮은 점수(예, +50점)을 부여할 수 있고, 이외의 지역(예, 정차 불가능 구역)은 모두 0점을 부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vehicle 10 may give the highest score (e.g., + 1000 points) to the legally designated stopping area 602 among all stopping areas 601. In addition, the vehicle 10 may be given a lower score (e.g., +50 points) in areas where stopping is possible other than the legally designated stopping area compared to the legally designated stopping area 602, and in areas other than the legally designated stopping area (e.g., stopping is not possible). Areas) can all be given 0 points.

도 6b를 참조하면 차량(10)은 전체 정차 구역(601) 중 버스 정류장(21) 인접 구역에 최고 점수 (예, + 1000점)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버스 정류장(21)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버스 정류장(21) 인접 구역의 점수에 비해 거리가 멀어질수록 낮은 점수(예, 거리 1.5m당 -50점)을 부여할 수 있다. 613은 버스 정류장(21)과 가장 인접한 구역이고 614, 615, 616의 순으로 버스 정류장(21)으로부터 멀어진다. 이에 613에 부여되는 점수가 가장 높고 614, 615, 616의 순으로 부여되는 점수가 점점 낮아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the vehicle 10 may assign the highest score (e.g., + 1000 points) to the area adjacent to the bus stop 21 among the entire stopping area 601. In addition, the vehicle 10 may be given a lower score (e.g. -50 points per 1.5 m distance) as the distance from the bus stop 21 increases compared to the score of the area adjacent to the bus stop 21. there is. 613 is the area closest to the bus stop 21 and moves away from the bus stop 21 in the order of 614, 615, and 616. Accordingly, the score given to 613 is the highest, and the scores given to 614, 615, and 616 may gradually decrease.

도 6c를 참조하면 전체 정차 구역(601) 중 기 정차된 차량이 존재하는 구역(611)은 정차 불가능 구역으로 분류하고, 기 정차된 차량의 좌측 차선의 구역(612)은 차량이 정차하여 승객이 승하차 할 경우 불편하거나 위험할 수 있어 승차 위험 구역으로 분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C, of the entire stopping area 601, the area 611 where a previously stopped vehicle exists is classified as an unstoppable area, and the area 612 in the left lane of the already stopped vehicle is a area where the vehicle is stopped and passengers cannot stop. Getting on and off can be inconvenient or dangerous, so it can be classified as a riding hazard zone.

도 6d를 참조하면, 정차를 위한 차량(10)은 이미 정차되어 있는 차량(650)이 존재하는 영역을 정차 불가능 구역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미 정차되어 있는 차량(650)과의 충돌을 회피하여 이미 정차되어 있는 차량(650)의 앞뒤의 정차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고려하여, 정차 불가능 구역(651)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정차된 차량의 좌측 차선의 구역(652)은 승차 위험 구역으로 분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D, the vehicle 10 for stopping may determine the area where the already stopped vehicle 650 exists as an area where stopping is not possible, and avoid collision with the already stopped vehicle 650 to avoid collision with the already stopped vehicle 650. By considering the path to move to the stopping area in front and behind the stopped vehicle 650, the non-stopping area 651 can be expanded. Additionally, the area 652 in the left lane of an already stopped vehicle may be classified as a riding hazard area.

도 6e에서는 차량(10)은 이미 정차된 차량(650)의 영역뿐만 아니라 이미 정차되어 있는 차량(650)의 출차를 위한 경로를 고려하여 정차 불가능 구역(662)을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 정차되어 있는 차량(650)의 출차를 위해 좌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 방향을 기반으로 부채꼴 형태의 정차 불가능 구역(662)이 확장될 수 있다.In FIG. 6E, the vehicle 10 may expand the unstoppable area 662 by considering not only the area of the already stopped vehicle 650 but also the path for exiting the already stopped vehicle 650. For example, when turning to the left to exit an already stopped vehicle 650, the fan-shaped unstoppable area 662 may be expanded based on the direction of rotation.

도 6f에서는 도 6d의 정차 불가능 구역(651)과 도 6e의 정차 불가능 구역(661)을 합한 영역을 정차 불가능 구역(671)으로 분류한 예를 개시한다.FIG. 6F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mbined area of the no-stop zone 651 of FIG. 6d and the no-stop zone 661 of FIG. 6e is classified as a no-stop zone 671.

도 6g를 참조하면 차량(10)은 이미 정차된 차량(650)의 영역뿐만 아니라 이미 정차되어 있는 차량(650)의 전방 및 후방 영역의 일부를 정차 불가능 구역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이미 정차되어 있는 차량(650)의 전방 또는 후방의 정차 불가능 구역을 그리드에 따라 계단식 모양() 또는 요철 모양()으로 확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g, the vehicle 10 can expand not only the area of the already stopped vehicle 650, but also some of the front and rear areas of the already stopped vehicle 650 into an unstoppable area, and The unstoppable area in front or behind the vehicle 650 is shaped in steps ( ) or uneven shape ( ) can be expanded.

도 6h를 참조하면 차량(10)은 전체 정차 구역(601) 중 도로 위의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구역(621)을 정차 불가 구역으로 분류하고 정차 불가 구역은 정차 구역에서 제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H, if there is an obstacle on the road among all stopping areas 601, the vehicle 10 may classify the corresponding area 621 as a no-stop area and exclude the no-stop area from the stopping area.

차량(10)은 차량(10)이 정차 구역에 정차 후 전/후 움직임에 의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장애물을 피해갈 수 있는 충분한 반경을 고려한다.The vehicle 10 considers a sufficient radius to avoid obstacles to prevent collisions due to forward/backward movement after the vehicle 10 stops in the stopping area.

또한 차량(10)은 장애물이 존재하는 정차 불가 구역(621)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한 구역(623)을 정차 위험 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고, 정차 위험 구역은 감점될 수 있다. 이때, 정차 불가 구역(621)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한 구역(623)은 전체 정차 구역(601) 내 점수가 부여된 단위 면적까지 포함하며, 전체 정차 구역(601)을 벗어나는 영역은 포함하지 않는다.Additionally, the vehicle 10 may classify a vertically extending area 623 of the no-stop area 621 where obstacles exist as a stopping risk area, and points may be deducted from the stopping risk area. At this time, the area 623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no-stop area 621 includes the unit area for which points are given within the entire stopping area 601, and does not include areas outside the entire stopping area 601.

차량(10)은 도로와 인접한 인도 위 장애물(622)의 경우 승하차 시 승객이 불편함과 위협을 겪을 수 있으므로 장애물로부터 수직방향 1m지점(차량 전폭 고려)까지의 구역을 정차 불가 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vehicle 10, an obstacle 622 on a sidewalk adjacent to a road may cause discomfort and threat to passengers when getting on and off, so the area up to 1m vertically from the obstacle (considering the full width of the vehicle) can be classified as a no-stop area. there is.

도 6i를 참조하면 차량(10)은 정류장 영역(22) 내에 존재하는 승객 한 명당 미리 정한 점수(예, +10)를 부여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한 명의 승객(631)과 여러 명의 승객이 무리 지어 있는 승객군(632)이 존재한다.Referring to FIG. 6I, the vehicle 10 may grant a predetermined score (eg, +10) to each passenger present within the stop area 22. In Figure 6, there is one passenger 631 and a passenger group 632 consisting of several passengers.

차량(10)은 승객(631) 및 승객군(632)의 진행 방향(633, 634)으로 미리 정한 거리까지의 단위 면적당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승객(631)의 진행방향(633)으로 미리 정한 거리(예 1m)까지 점수를 부여할 수 있고 승객군(632)의 폭만큼 진행 방향의 구역을 결정하고 수직 방향으로 점수가 부여된 단위 영역까지를 구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승객군(632)의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점수가 낮아진다. 즉 차량(10)은 승객군(632)의 중심으로부터 1m씩 10점 감소한 점수를 부여한다. 차량(10)은 승객군(632)의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구역(636)에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승객군(632)의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멀어진 구역(637, 638)엔 구역(636)보다 낮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승객(631)이 한명인 경우의 인접 구역의 점수가 승객군(632)과 인접한 구역(636)보다 낮은 점수가 부여될 수 있다. The vehicle 10 may grant points per unit area up to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travel direction 633, 634 of the passenger 631 and the group of passengers 632. At this time, points can be awarded up to a predetermined distance (e.g. 1 m) in the direction 633 of the passenger 631, the area in the direction of travel is determined by the width of the passenger group 632, and the unit in which points are give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etermined. Up to an area can be determined as a zone. The farther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passenger group 632, the lower the score. That is, the vehicle 10 is given a score decreased by 10 points for each 1 m from the center of the passenger group 632. The vehicle 10 gives a high score to the area 636 that is vertically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passenger group 632, and gives a high score to the areas 637 and 638 that are vertically distant from the center of the passenger group 632. ) can be given a lower score. Additionally, when there is only one passenger 631, the score of the adjacent area may be given a lower score than that of the area 636 adjacent to the group of passengers 632.

도 6j를 참조하면 정차 후보 지점(643, 644, 645)이 존재하는 경우, 각 정차 후보 지점(643, 644, 645)은 차량(10)의 자세에 따라 점수를 부가 또는 감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J, when candidate stopping points 643, 644, and 645 exist, points may be added or deducted from each stopping candidate point 643, 644, and 645 depending on the attitude of the vehicle 10.

즉, 정차 후보 지점(643)에 차량(10)을 정차하고자 하는 경우, 차량(10)의 자세가 버스 정류장(21)과 평행한 경우 해당 정차 후보 지점(643)에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차량(10)의 자세가 정차 후보 지점(644)과 같이 버스 정류장(21)과 평행하지 않은 경우 해당 정차 후보 지점(644)의 점수를 감점할 수 있으며, 그 틀어진 각도에 따라 점수의 감점 정도(예, 각도[˚]/90˚ * (-30)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승객군과 인접한 구역(646)의 점수가 높고, 그외 구역(647)의 점수가 낮게 부여될 수 있다.That is, when it is intended to stop the vehicle 10 at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643, if the attitude of the vehicle 10 is parallel to the bus stop 21, a high score is given to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643, and the vehicle 10 is given a high score. If the posture of (10) is not parallel to the bus stop 21, such as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644, the score of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644 may be deducted, and the score may be deducted depending on the angle of deviation (e.g. , angle [˚]/90˚ * (-30) can be determined. At this time, the area 646 adjacent to the passenger group may be given a high score, and the other area 647 may be given a low scor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차 지점 도착 및 출발 운행 공간을 확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securing space for arrival and departure from a stopping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정차 불가 구역(711, 712), 정차 위험 구역(713)이 존재하고, 차량(10)이 현재 위치(714)에서 정차 후보 지점(715)에 도착하기 위해 이동하는 공간과 정차 후보 지점(715) 도달한 후 다시 재출발을 위한 이동 공간을 확보해야한다. 이에, 차량(10)은 예상 경로를 따라 그린 차량 구역 내 면적 안에 장애물이 포함되어 있어 주행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정차 후보 지점(715)을 최적 정차 지점으로 선택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7, there are no-stop zones 711 and 712 and a stop-risk zone 713, and the space through which the vehicle 10 moves to arrive at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715 from the current location 714 and After reaching the candidate stopping point (715), space must be secured for re-starting. Accordingly, if the vehicle 10 cannot drive because an obstacle is included within the area of the vehicle area drawn along the expected route, the vehicle 10 does not select the corresponding stopping candidate point 715 as the optimal stopping point.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차 구역에 점수 부여 예시도이다.Figures 8a to 8c are exemplary diagrams of assigning points to a stopping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와 같이, 센싱 범위(801)에서 차량(802)이 정류장 앞쪽에 정차되어 있는 경우, 차량(10)은 도 8b 및 도 8c와 같이 정차 구역을 분류하여 각 정차 구역에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8a, when the vehicle 802 is stopped in front of the stop in the sensing range 801, the vehicle 10 can classify the stopping areas as shown in Figures 8b and 8c and assign points to each stopping area. there is.

정차 구역은 정차 후보 지점(812, 811, 813)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은 임의의 정차 구역(811, 813)을 정차 후보 지점으로 생성하여 정차 적합도 및 정차 가능 여부를 산출할 수 있다.The stopping area may include stopping candidate points 812, 811, and 813. The vehicle 10 can generate arbitrary stopping zones 811 and 813 as stopping candidate points and calculate stopping suitability and whether or not stopping is possible.

정차 구역(812)의 경우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구역으로 1000점이 부여되었으나, 이미 정차된 차량(802)이 존재하여 정차 불가 구역(814)으로 점수가 부여되지 않는다.In the case of the stopping area 812, 1000 points are given as a stopping area designated by law, but no points are given as it is a stopping area 814 because there is already a stopped vehicle 802.

임의의 정차 후보 지점(811)은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구역이며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정차 가능 구역으로 분류되어 1000점이 부여된다. The random stopping candidate point 811 is a stopping area designated by law, and since there are no obstacles, it is classified as a stopping area and is given 1000 points.

정차 후보 지점(813)은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구역외의 구역으로 +50점이 부여되었으나, 이미 정차된 차량의 좌차선에 위치하여 정차 위험 구역으로서 100을 감점하고 정차 후보 지점(813) 앞에 승객 3명이 존재하므로 승객당 10점씩 3명에 대한 30점을 부여한다. 이에 정차후보 지점(813)의 점수는 +50-100+30=-20이 된다. The candidate stopping point (813) is outside the stopping area designated by law and is given +50 points. However, since it is located in the left lane of an already stopped vehicle, 100 points are deducted as a stopping risk area, and 3 passengers are placed in front of the candidate stopping point (813). Since it exists, 30 points are awarded for 3 people, 10 points per passenger. Accordingly, the score of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813) is +50-100+30=-20.

이때, 차량(10)은 이미 정차된 차량이 이동 시 충돌 위험이 존재하는 구역을 고려하여 정차 불가능 구역(814)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차량(10)은 정차 후보 지점(811, 813) 중 가장 점수가 높은 정차 후보 지점(811)에 정차 하도록 차량을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vehicle 10 may determine the unstoppable zone 814 by considering the zone where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when a vehicle that is already stopped moves. Accordingly, the vehicle 10 controls the vehicle to stop at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811 with the highest score among the stopping candidate points 811 and 813.

도 8c에서는 정차 후보 지점으로서 정차 후보 지점(815)이 추가된 예를 개시한다. 즉 차량(10)이 버스 정류장(21)과 평행한 방향이 아닌 비스듬한 방향으로 정차하는 경우의 정차 후보 지점(815)의 점수 산출 예를 개시한다. Figure 8c shows an example in which a stopping candidate point 815 is added as a stopping candidate point. That is, an example of calculating the score of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815 when the vehicle 10 stops in an oblique direction rather than parallel to the bus stop 21 is disclosed.

정차 후보 지점(815)은 정차 가능 구역이므로 500점이 부여되고, 승객 1명이 존재하므로 10점 부여되고 차량의 자세의 틀어진 각도에 따라 점수가 부여될 수 있다. 즉 차량(10)은 정차 후보 지점(815)과 버스 정류장(21)과의 각도/ 90˚*(-30))를 기반으로 정차 후보 지점(815)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차 후보 지점(815)과 정류장(21)과의 각도 20 ˚이면 (20 ˚ / 90˚*(-30))가 되어 -6.xxx가 된다. 이에 정차 후보 지점(815)의 최종 점수는 500+10-6=504가 된다.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815 is given 500 points because it is a possible stopping area, 10 points is given because there is one passenger, and points may be given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vehicle's posture. That is, the vehicle 10 can calculate the score of the candidate stopping point 815 based on the angle/90˚*(-30)) between the candidate stopping point 815 and the bus stop 21. For example, if the angle between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815 and the stop 21 is 20°, it becomes (20°/90°*(-30)), which becomes -6.xxx. Accordingly, the final score of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815 is 500+10-6=504.

이때, 정차 후보 지점(811, 813)은 도 8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1000, -20점이 부여되고, 차량(10)은 정차 후보 지점(811, 813, 815) 중에서 가장 점수가 높은 정차 후보 지점(811)에 정차 하도록 차량(10)을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pping candidate points 811 and 813 are given 1000 and -20 points, respectively, as described in FIG. 8B, and the vehicle 10 is selected at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with the highest score among the stopping candidate points 811, 813, and 815 ( The vehicle 10 can be controlled to stop at 811).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차 구역에 점수 부여 예시도이다.9A to 9C are diagrams illustrating points awarded to a stopping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와 같이, 전체 정차 구역(901)에서 차량(902)이 정류장 뒷쪽에 정차되어 있는 경우, 차량(10)은 도 9b 및 도9c와 같이 정차 구역을 분류하여 각 정차 구역에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9a, when the vehicle 902 is stopped behind the stop in the entire stopping area 901, the vehicle 10 classifies the stopping areas as shown in Figures 9b and 9c and assigns points to each stopping area. You can.

도 9b를 참조하면, 정차 구역은 정차 후보 지점 (911, 912, 913, 914)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B, the stopping area may include stopping candidate points 911, 912, 913, and 914.

정차 구역(911)은 이미 정차된 차량(902)이 존재하여 정차 불가 구역(915)으로 분류되어 점수가 부여되지 않는다.The stopping area 911 is classified as a non-stopping area 915 because there is already a stopped vehicle 902, so no points are given.

정차 후보 지점(912)은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구역 외의 구역으로 +50점이 부여되었으나, 이미 정차된 차량(902)의 좌차선에 위치하여 정차 위험 구역으로서 100이 감점된다.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912 is outside the stopping area designated by law and is given +50 points. However, since it is located in the left lane of the already stopped vehicle 902, 100 points are deducted as a stopping risk area.

정차 후보 지점(913)은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구역 외의 구역으로 +50점이 부여되고, 승객이 3명 위치하므로 30점이 추가되어 총 80점이 부여된다.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913) is outside the stopping area designated by law and is given +50 points, and since there are three passengers, 30 points are added for a total of 80 points.

정차 후보 지점(914)은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구역으로 1000점이 부여되고, 승객 1명 x 면적비 ()=(10 x 2/5) = 4가 되어 총 1004점이 부여된다.The stopping candidate point (914) is a stopping area designated by law and is given 1000 points, 1 passenger x area ratio ( )=(10 x 2/5) = 4, giving a total of 1004 points.

이에 차량(10)은 후보 지점 정차 후보 지점(912, 913, 914) 중 가장 점수가 높은 정차 후보 지점(914)에 차량(10)이 정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ehicle 10 can be controlled to stop at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914 with the highest score among the candidate stopping candidate points 912, 913, and 914.

도 9c를 참조하면, 정차 후보 지점 (916)이 추가된 예를 개시한다. 즉 차량(10)이 버스 정류장(21)과 평행한 방향이 아닌 비스듬한 방향으로 정차하는 경우의 정차 후보 지점(916)의 점수 산출 예를 개시한다.Referring to FIG. 9C, an example in which a stopping candidate point 916 is added is disclosed. That is, an example of calculating the score of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916 when the vehicle 10 stops in an oblique direction rather than parallel to the bus stop 21 is disclosed.

정차 후보 지점(916)은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가능 구역이므로 1000점이 부여되고, 승객 3명이 존재하므로 30점 부여되고 차량의 자세의 틀어진 각도에 따라 점수가 부여될 수 있다. 즉 차량(10)은 정차 후보 지점(916)과 정류장(21)과의 각도/ 90˚*(-30))를 기반으로 정차 후보 지점(916)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차 후보 지점(916)과 정류장(21)과의 각도 30 ˚이면 (30 ˚ / 90˚*(-30))가 되어 -10이 된다. 이에 정차 후보 지점(916)의 최종 점수는 1000+30-10=1020이 된다.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916 is a stopping area designated by law, so 1000 points are given, and since there are three passengers, 30 points are given, and points can be given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vehicle's posture. That is, the vehicle 10 can calculate the score of the candidate stopping point 916 based on the angle/90˚*(-30)) between the candidate stopping point 916 and the stop 21. For example, if the angle between the candidate stopping point 916 and the stop 21 is 30 degrees, then (30 degrees / 90 degrees * (-30)) becomes -10. Accordingly, the final score of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916 is 1000+30-10=1020.

이때, 정차 후보 지점(912, 913, 914)은 도 9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50, 80, 1004점이 부여되고, 차량(10)은 정차 후보 지점(912, 913, 914, 916)중에서 가장 점수가 높은 정차 후보 지점(916)에 정차 하도록 차량(10)을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pping candidate points 912, 913, and 914 are given -50, 80, and 1004 points, respectively, as described in FIG. 9B, and the vehicle 10 has the highest score among the stopping candidate points 912, 913, 914, and 916. The vehicle 10 can be controlled to stop at a high stopping candidate point 916.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차 구역에 점수 부여 예시도이다.Figures 10a and 10b are illustrations of points awarded to a stopping z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와 같이, 센싱 범위(1001)에서 차량(1001, 1002)이 정류장 앞쪽과 뒷쪽에 모두 정차되어 있는 경우, 차량(10)은 도 10b와 같이 정차 구역을 분류하여 각 정차 구역에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0a, when vehicles 1001 and 1002 are stopped both in front and behind the stop in the sensing range 1001, the vehicle 10 classifies the stopping areas as shown in Figure 10b and assigns a score to each stopping area. can do.

이미 정차된 차량이 존재하는 정차 불가 영역(1015, 1016)에는 점수가 부여되지 않는다. No points are given in the no-stop areas (1015, 1016) where there are already stopped vehicles.

정차 후보 지점(1012)은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구역 외의 구역으로 +50점이 부여되고 승객 1명 x 면적비 () =(+10 x 3/5) = 6이 되어 총 56점이 부여된다.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1012) is outside the stopping area designated by law and is given +50 points and 1 passenger x area ratio ( ) =(+10 x 3/5) = 6, giving a total of 56 points.

정차 후보 지점(1013)은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구역 외의 구역으로 +50점이 부여되고 승객 3명이 30점이고 이미 정차된 차량의 좌차선에 위치하므로 100점을 감점하여 총 -20점이 부여된다. The candidate stopping point (1013) is outside the stopping area designated by law, so +50 points are given. Three passengers are worth 30 points, and since it is located in the left lane of an already stopped vehicle, 100 points are deducted, giving a total of -20 points.

이에 차량(10)은 정차 구역(1012, 1013) 중 가장 점수가 높은 정차 후보 지점(1012)에 차량(10)이 정차하도록 제어한다. Accordingly, the vehicle 10 is controlled to stop at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1012 with the highest score among the stopping areas 1012 and 1013.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승차 구역과 하차 구역이 분리된 경우에 정차 구역에 점수를 부여하는 예시도이다.Figure 11 is an example of giving points to the stopping zone when the vehicle's boarding and unloading zones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정차 불가능 구역(1104)을 제외한 정차 후보 지점(1101, 1103, 1105)의 탑승 구역(1111)과 하차 구역(1112)의 점수를 각각 산출하여 합산한 예를 개시한다. Referring to FIG. 11 , an example of calculating and summing the scores of the boarding area 1111 and the disembarkation area 1112 of the stopping candidate points 1101, 1103, and 1105 excluding the unstoppable area 1104 is disclosed.

정차 후보 지점(1101)의 탑승 구역(111) 및 하차 구역(1112)은 모두 법으로 지정된 정차 가능 구역이므로 각각 1000점이 부여되어 탑승 구역(111) 및 하차 구역(1112)의 점수를 합산하면 2000이 된다.Since both the boarding area 111 and the disembarkation area 1112 of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1101 are legally designated stopping areas, 1000 points are given to each, and the sum of the scores of the boarding area 111 and the disembarkation area 1112 gives 2000. do.

정차 후보 지점(1103)의 탑승 구역(1113) 및 하차 구역(1114)은 모두 법으로 지정된 정차 가능 구역 외의 정차 가능 구역이므로 각각 700점이 부여될 수 있다. 다만 정차 후보 지점(1103)의 탑승 구역(1113)에 정차 차량이 존재하므로 -100점이 감점되고 승객 3명이 존재하므로 30점이 부여될 수 있다. 이때 탑승 구역(1113) 및 하차 구역(1114)의 점수를 합산하면 1330이 된다.The boarding area 1113 and the disembarkation area 1114 of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1103 are both stoppable areas other than the legally designated stoppable area, so 700 points can be assigned to each. However, since there is a stopped vehicle in the boarding area 1113 at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1103, -100 points may be deducted, and since there are 3 passengers, 30 points may be given. At this time, adding up the scores of the boarding area (1113) and the disembarking area (1114) adds up to 1330.

정차 후보 지점(1105)의 탑승 구역(1115)은 정차 가능 구역으로 800점이 부여되고, 하차 구역(1116)은 정차 가능 구역으로 900점이 부여될 수 있다. 이때 탑승 구역(1115)에는 승객이 1명 위치하므로 10점이 추가로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자세의 틀어진 각도에 따라 점수가 부여될 수 있다. 즉 차량(10)은 정차 후보 지점(1105)과 버스 정류장(21)과의 20/ 90˚*(-30))를 기반으로 정차 후보 지점(1105)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정차 후보 지점(1105)의 탑승 구역(1115) 및 하차 구역(1116)의 점수를 합산하면 1680이 된다. The boarding area 1115 of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1105 may be given 800 points as a possible stopping area, and the disembarking area 1116 may be given 900 points as a possible stopping area. At this time, since there is one passenger in the boarding area 1115, an additional 10 points may be given. Additionally, points may be awarded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vehicle's posture. That is, the vehicle 10 can calculate the score of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1105 based on the 20/90˚*(-30)) distance between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1105 and the bus stop 21. Accordingly, adding up the scores of the boarding area 1115 and the disembarkation area 1116 of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1105 results in 1680.

따라서 정차 후보 지점(1101, 1103, 1105) 중 점수가 가장 높은 정차 후보 지점(1101)이 최적 정차 지점으로 산출될 수 있다. Therefore, the stopping candidate point 1101 with the highest score among the stopping candidate points 1101, 1103, and 1105 can be calculated as the optimal stopping point.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NN을 이용하여 정차 구역에 점수를 부여하는 예시도이다.Figures 12a to 12c are exemplary diagrams of assigning points to stopping zones using CN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 내지 도 12c와 같이 차량(10)은 CNN을 기반으로 도로 또는 인도 위의 객체를 세그맨틱 세그맨테이션(semantic segmentation) 또는 박싱(boxing)으로 식별한다.12A to 12C, the vehicle 10 identifies objects on the road or sidewalk using semantic segmentation or boxing based on CNN.

또한, 차량(10)은 식별한 객체의 위치와 속성을 고려하여 정차 구역에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ehicle 10 may assign a score to the stopping zone by considering the location and attributes of the identified object.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Hereinafter,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opping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3. Figure 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trolling stopping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차량(10)은 정류장에 진입 전, 정류장 주변의 객체 데이터 및 정차 구역의 데이터를 획득한다(S100). 이때, 차량(10)은 자차의 센싱 장치(150)를 통해 정류장 주변의 객체 데이터 및 정차 구역의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정류장 시스템(20) 또는 정류장 주변의 타 차량 또는 인프라와의 통신을 통해 정류장 주변의 객체 데이터 및 정차 구역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객체 데이터는 정류장 주변의 승객, 자전거, PTW, 버스, 자가용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정차 구역의 데이터는 정류장 주변의 정차가 가능한 구역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before entering a stop, the vehicle 10 acquires object data around the stop and data on the stop area (S100). At this time, the vehicle 10 acquires object data and data of the stopping area around the stop through the vehicle's sensing device 150, or acquires data around the stop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top system 20 or other vehicles or infrastructure around the stop. Object data and data of the stopping area can be obtained. Additionally, object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on passengers, bicycles, PTWs, buses, cars, etc. around the stop, and data on the stopping area may include information on areas where stopping is possible around the stop.

차량(10)은 획득된 객체 데이터 및 정차 구역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리 정한 요건에 따라 정차 구역을 분류할 수 있다(S200). 즉 차량(10)은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을 확인하고, 정차 구역이 정차 불가능 구역인지 정차 위험 구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정류장 주변의 승객의 위치 및 승객의 인원 수를 확인하여 승객 밀집 구역인지를 확인 할 수 있다. The vehicle 10 may classify the stopping zone according to predetermined requirements based on the acquired object data and stopping zone data (S200). That is, the vehicle 10 can check the legally designated stopping zone and determine whether the stopping zone is an impossible zone or a dangerous zone. Additionally, the vehicle 10 can confirm whether it is a passenger dense area by checking the location and number of passengers around the stop.

또한, 차량(10)은 출발, 도착 경로가 가능한 구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vehicle 10 can determine whether the departure and arrival routes are possible areas.

차량(10)은 정차 가능 구역의 경계 지점을 자유롭게 구획하고, 구획된 영역에 그리드를 생성하여 임의의 그리드 안에 조금이라도 포함된 탑승 구역이 있다면 그리드에 해당 구역의 선정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에 50점을 부여하고,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이 일부라도 포함된 그리드에 50점을 부여할 수 있다.The vehicle 10 can freely demarcate the boundary points of the area where parking is possible, create a grid in the demarcated area, and, if there is a boarding area included at all in any grid, assign the selected score for that area to the grid. For example, 50 points may be awarded to a legally designated stopping area, and 50 points may be awarded to a grid that includes at least part of a legally designated stopping area.

또한, 차량(10)은 복수개의 단위 그리드로 구성된 그리드 생성 후 그리드 안의 탑승 구역의 면적 비에 따라 그리드의 단위 그리드별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이 50점이고 해당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이 그리드의 단위 면적의 50%를 차지한다면 해당 단위 그리드의 면적에 25점을 부여할 수 있다. 정차 구역은 복수개의 단위 그리드로 구성되며, 각 단위 그리드에 부여된 점수의 합산으로 해당 정차 구역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the vehicle 10 may generate a grid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grids and then assign points to each unit grid of the grid according to the area ratio of the boarding area within the grid. For example, if a legally designated stopping area is worth 50 points, and the legally designated stopping area occupies 50% of the unit area of the grid, 25 points can be assigned to the area of the unit grid. The stopping area consists of a plurality of unit grids, and the score of the stopping area can be calculated by adding up the scores given to each unit grid.

이어 차량(10)은 분류된 정차 구역별 적합도를 판단한다(S300).Next, the vehicle 10 determines the suitability for each classified stopping zone (S300).

차량(10)은 법으로 지정된 정차구역에 그렇지 않은 정차 구역보다 높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장애물이 존재하는 정차 구역은 정차 불가능 구역으로 판정하고 가장 낮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The vehicle 10 may assign a higher score to a legally designated stopping zone than to a non-legal stopping zone. Additionally, the vehicle 10 may determine a stopping area where an obstacle exists as an impossible stopping area and assign the lowest score.

차량(10)은 정차 불가능 구역으로부터 차량 진행 수직 방향의 일정 거리를 정차 위험 구역으로 설정하고, 정차 위험 구역의 점수를 차감할 수 있다.The vehicle 10 may set a certain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from the non-stopping zone as a stopping risk zone and deduct points for the stopping risk zone.

차량(10)은 정차 구역으로의 이동을 위해 산출된 경로가 주행 불가능한 경우 해당 정차 구역에 가장 낮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If the route calculated for movement to the stopping area is not drivable, the vehicle 10 may assign the lowest score to the stopping area.

또한, 차량(10)은 정차 구역에 차량(10)의 정차 시 차량(10)의 자세를 추정하여 차량(10)의 자세가 승강장과 평행하지 않을수록 해당 정차 구역의 점수를 감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10 may estimate the posture of the vehicle 10 when the vehicle 10 is stopped in a stopping zone, and deduct points for the stopping zone as the posture of the vehicle 10 is not parallel to the platform.

또한, 차량(10)은 차량(10)의 진행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일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승객의 수만큼 정차 구역에 점수를 부여할 수 있으며 정차 구역이 승객의 무리와 가까울수록 점수를 높게 부여할 수 있고 정차 구역이 승객의 무리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작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10 can assign points to a stopping area equal to the number of passengers present within a certain rang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10 is traveling, and the closer the stopping area is to a group of passengers, the higher the score. The farther the stopping area is from the center of the passenger group, the smaller the score.

이어 차량(10)은 분류된 정차 구역들의 적합도를 각각 합산하여 적합도가 가장 높은 정차 지점을 최적의 정차 지점으로 산출할 수 있다(S400). Next, the vehicle 10 can add up the suitability of the classified stopping zones and calculate the stopping point with the highest suitability as the optimal stopping point (S400).

차량(10)은 정차 구역에서의 차량 자세에 의한 점수, 정차 구역까지의 도착 경로에 의한 점수, 정차 구역에서 출발 경로에 의한 점수, 탑승 구역의 점수 등을 고려한 정차 구역의 총 점수를 비교하여, 총 점수가 가장 높은 정차 구역을 정차 위치로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차량(10)은 정차 불가능 구역을 정차 지점 선정에서 제외하고 정차 구역에 도착 또는 출발 경로가 불가능한 경우 정차 지점 선정에서 제외한다.The vehicle 10 compares the total score of the stopping area considering the score based on the vehicle posture in the stopping area, the score based on the arrival route to the stopping area, the score based on the departure route from the stopping area, and the score of the boarding area, The stopping area with the highest total score can be selected as the stopping location. At this time, the vehicle 10 excludes areas where stopping is not possible from selecting a stopping point, and if the route to or from the stopping area is impossible, it excludes it from selecting a stopping point.

즉 차량(10)은 탑승 구역의 모든 케이스의 점수를 계산하고 정차 구역의 총점 중 가장 높은 점수가 부여된 정차 구역을 정차 지점으로 선정할 수 있다. 차량(10)은 총점이 동일한 경우 버스 정류장 표지판 또는 정류장에 더 가까운 정차 구역을 정차 지점으로 선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vehicle 10 can calculate the scores of all cases in the boarding area and select the stopping area with the highest score among the total scores of the stopping area as the stopping point. If the total score is the same, the vehicle 10 may select a bus stop sign or a stopping area closer to the bus stop as the stopping point.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Hereinafter,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opping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4. Figure 14 is a flowchart for specifically explaining a method for controlling stopping of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을 참조하면, 차량(10)이 정류장에 진입 전, 정류장 주변의 객체(승객, 자전거, PTW, 버스, 자가용 등) 정보 및 정차 구역을 파악한다(S101). Referring to FIG. 14, before the vehicle 10 enters a stop, information on objects (passengers, bicycles, PTW, buses, cars, etc.) around the stop and the stopping area are identified (S101).

이때, 차량(10)은 자차의 센싱 장치(150)를 통해 객체 정보 및 정차 구역을 파악하거나, 정류장 시스템(20)으로부터 객체 정보 및 정차 구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차량(10)은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객체의 종류를 구분하고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정밀 지도에서 포함하고 있는 정보와 센싱 장치(150)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매칭하여 정차 구역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정차 구역은 정류장 주변에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결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ehicle 10 may identify object information and the stopping zone through the vehicle's sensing device 150, or may obtain objec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stopping zone from the stopping system 20. At this time, the vehicle 10 can classify the type of object and determine its lo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dditionally, the vehicle 10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stopping area by match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ecision map with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150. At this time, the stopping area may be determined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stop.

이어 차량(10)은 정차 구역을 분류하고 정차 구역별 점수를 부여한다(S102).Next, the vehicle 10 classifies the stopping zone and gives a score for each stopping zone (S102).

또한, 차량(10)은 차량 크기, 탑승구 위치, 차량 정차 위치,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S103).Additionally, the vehicle 10 determines the vehicle size, boarding gate location, vehicle stopping location, and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S103).

이어 차량(10)은 차량 크기, 탑승구 위치, 차량 정차 위치,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각 정차 구역의 점수를 계산하여(S104), 각 정차 구역 중 점수가 가장 높은 정차 구역을 정차 위치로서 선택한다. 이때, 정차 위치는 임의로 정해진 정류장의 위치 또는 정차 위치 등 차량이 정차하고자 했던 목적지에 준하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n, the vehicle 10 calculates the score of each stopping zone based on the vehicle size, gate location, vehicle stopping location, and the vehicle's current location (S104), and selects the stopping zone with the highest score among each stopping zone as the stopping location. do. At this time, the stopping location may include a location similar to the destination at which the vehicle was intended to stop, such as the location of an arbitrarily determined stop or stopping location.

이어 차량(10)은 정차 위치 및 차량의 자세를 최적화하고(S105). 정차 위치까지의 경로를 최적화한다(S106).Next, the vehicle 10 optimizes the stopping position and the vehicle posture (S105). Optimize the route to the stopping location (S106).

이어 차량(10)은 해당 경로가 운행 가능한 경로인지를 판단하고(S107), 운행 가능한 경우, 선정된 정차 위치, 차량 자세, 경로를 기반으로 차량(10)의 정차를 제어한다(S108).Next, the vehicle 10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route is a navigable route (S107), and if so, controls the stopping of the vehicle 10 based on the selected stopping location, vehicle posture, and route (S108).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완전 자율 주행 중 정류장 주변 객체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최적의 정차 구역을 결정하고 해당 정차 구역에 차량이 정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차량 내에 운전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도 안전한 승하차가 가능하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optimal stopping area by determining the movement of objects around the stop during fully autonomous driving and controls the vehicle to stop at the corresponding stopping area, thereby enabling safe boarding and disembarkation even when there is no driver in the vehicl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Figure 15 shows a comput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computing system 1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00, a memory 1300, a user interface input device 1400, a user interface output device 1500, and storage connected through a bus 1200. It may include (1600), and a network interface (1700).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 13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10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processes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300 and/or storage 1600. Memory 1300 and storage 160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1300 may include a read only memory (ROM) 1310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1320.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software modules, or a combination of the two executed by processor 1100. Software modules reside in a storage medium (i.e., memory 1300 and/or storage 1600), such as RAM memory, flash memory, ROM memory, EPROM memory, EEPROM memory, registers, hard disk, removable disk, or CD-ROM. You may.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to processor 1100, which can read information from and write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storage medium may be integrated with processor 1100. The processor and storage medium may reside within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The ASIC may reside within the user terminal. Alternatively, the processor and storage medium may reside as separate components within the user termina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시 정차 구역을 미리 정한 요건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정차 구역의 적합도를 상기 미리 정한 요건을 기반으로 판단하여 상기 분류된 정차 구역 중 하나를 정차 지점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정차 지점에 자율 주행 차량이 정차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데이터 및 알고리즘이 저장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차량.
When stopping an autonomous vehicle, the stopping area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predetermined requirements, the suitability of the classified stopping areas is judged based on the predetermined requirements, one of the classified stopping areas is selected as a stopping point, and the selected stopping point is selected. A processor that controls the autonomous vehicle to stop; and
a storage unit that stores data and algorithms driven by the processor;
Autonomous vehicles, includ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요건은,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시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 정류장으로부터 거리, 정류장 주변의 장애물, 상기 주변의 정차된 차량, 상기 정류장 주변의 승객의 위치 및 인원수,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자세 정보, 상기 정차 지점에 도착하기 위한 경로 및 상기 정차 지점에서 출발하여 정류장을 빠져나가는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
In claim 1,
The predetermined requirements above are:
When stopping an autonomous vehicle, the stopping area designated by law, the distance from the stop, obstacles around the stop, stopped vehicles around the stop, the location and number of passengers around the stop, attitude information of the self-driving vehicle, and the stopping point. An autonomous vehicl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route to arrive and a route to depart from and exit the stopping poi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합도는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이 정차하기 적합한 정도를 수치화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리 정한 요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정차 구역에 부여할 상기 적합도의 크기와 증감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
In claim 1,
The suitability is a quantification of the degree to which the autonomous vehicle is suitable for stopping,
The processor,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the size and wheth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egree of suitability to be given to a stopping zone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predetermined requirement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분류된 정차 구역을 경계선에 따라 구획하거나
정차 구역을 단위 면적을 포함하는 그리드 구조로 생성하고,
상기 분류된 정차 구역이 포함된 그리드를 따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
In claim 3,
The processor,
Divide the above-classified stopping areas according to boundaries, or
The stopping area is created in a grid structure containing a unit area,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vided along a grid containing the classified stopping area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차 구역에 부여된 적합도 중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탑승 구역 안의 적합도를 합산하고,
상기 탑승 구역은 상기 자율 주행 차량에 승객이 탑승하기 위한 구역이며,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탑승 출입구를 기준으로 미리 정한 반경 이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
In claim 3,
The processor,
Adding up the suitability within the boarding area of the autonomous vehicle among the suitability assigned to the stopping area,
The boarding area is an area for passengers to board the autonomous vehicle, and includes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boarding entrance of the autonomous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법규에 의해 지정된 정차 구역은 법규에 의해 지정되지 않은 정차 구역보다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높게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
In claim 1,
The processor,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stopping areas designated by law are given higher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than stopping areas not designated by law.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정류장과의 거리가 멀수록 우선 순위 또는 상기 적합도를 낮게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
In claim 1,
The processor,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eater the distance from the stop, the lower the priority or suitabilit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장애물 또는 이미 정차된 차량이 존재하는 정차 구역을 정차 불가능 구역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
In claim 1,
The processor,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stopping area where obstacles or already stopped vehicles exist is classified as an unstoppable area.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정차하기 불가능한 구역은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가장 낮게 부여하거나, 상기 차량이 정차할 시 그려지는 차체 면적 내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
In claim 8,
The processor,
An autonomous vehicle, wherein areas where it is impossible for the vehicle to stop are given the lowest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or are not included within the body area drawn when the vehicle stop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장애물 또는 이미 정차된 차량에 의해 승객의 승하차가 방해 받을 수 있는 정차 구역을 정차 위험 구역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
In claim 1,
The processor,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stopping area where the boarding and disembarkation of passengers may be hindered by obstacles or already stopped vehicles is classified as a stopping risk area.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정차하기 위험한 구역은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미리 정한 기준치보다 낮게 부여하거나 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
In claim 10,
The processor,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n areas where it is dangerous for the vehicle to stop,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is given or reduced below a predetermined standard valu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정류장 주변에 승객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승객과 인접한 정차 구역에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미리 정한 기준치보다 높게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
In claim 1,
The processor,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passenger is located near a stop,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is given to the stopping area adjacent to the passenge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valu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차 구역에 승객의 수가 많음에 따라 상기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높게 부여 및 부가하거나, 상기 정류장 주변의 승객이 무리지어 있는 승객군인 경우, 상기 승객군의 폭만큼의 단위 면적에 상기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부여하되, 상기 승객군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부여되는 상기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
In claim 12,
The processor,
Depending on the number of passengers in the stopping area, the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may be given or added higher, or if the passengers around the stop are a group of passengers, the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may be assigned to a unit area equal to the width of the passenger group. An autonomous vehicle that provides stopping suitability, but wherein the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given becomes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passenger group increa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자세가 정류장과 평행한 경우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높게 부여하고, 상기 자율 주행 차량과 상기 정류장 사이의 틀어진 각도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낮게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
In claim 1,
The processor,
When the attitude of the self-driving vehicle is parallel to the stop, a higher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is given, and the greater the angle between the self-driving vehicle and the stop, the lower the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is given. self-driving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정한 정차 지점 중 하나의 정차 지점으로 도착하는 경로 또는 상기 정차 지점에서 출발하여 정류장을 빠져나가는 경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
In claim 1,
The processor,
An autonomous vehicle that calculates a route arriving at one of predetermined stopping points or a route departing from the stopping point and exiting the stop.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로가 산출이 가능한 구역에는 상기 경로가 산출이 불가능한 지역보다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높게 부여 및 부가하거나,
정차 위치 및 정차 시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자세를 기반으로 상기 경로가 산출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위치와 자세를 하나의 정차 지점 선정 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
In claim 15,
The processor,
In areas where the route can be calculated,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is given and added higher than in areas where the route cannot be calculated, or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f the route cannot be calculated based on the stopping location and the posture of the autonomous vehicle when stopped, the location and posture are excluded when selecting a stopping poi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율 주행 차량 및 정류장 주변을 감지하는 센싱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장치를 통해 감지된 정류장 주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정류장 주변의 객체를 분류하거나, 상기 정차 구역에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
In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sensing device that senses the surroundings of the self-driving vehicle and the stop,
The processor,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lassifies objects around the stop based on data around the stop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device, or assigns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to the stopping area.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위치 또는 자율 주행 차량의 주변 지도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획득부로부터 얻은 지도 정보를 포함하여 정차 구역을 분류하거나 상기 우선 순위 또는 정차 적합도를 부여 및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
In claim 17,
It further includes a loc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or map information surrounding the autonomous vehicle,
The processor,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lassifies a stopping area or assigns and adds the priority or stopping suitability, including map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location acquisition unit.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시 미리 정한 요건을 기반으로 정류장 주변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차 구역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정차 구역에 정차 적합도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정차 구역의 정차 적합도를 기반으로 하나의 정차 지점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정차 구역에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이 정차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제어 방법.
Classifying the area around the stop into at least one or more stopping zones based on predetermined requirements when the autonomous vehicle stops;
assigning a stopping suitability to the classified stopping zone;
selecting a stopping point based on the stopping suitability of the classified stopping zone; and
Controlling the autonomous vehicle to stop at the selected stopping zone
A stopping control method for an autonomous vehicle, comprising:
청구항 1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요건은 법으로 지정된 정차 구역, 정류장으로부터 거리, 상기 정류장 주변의 장애물, 상기 주변의 정차된 차량, 상기 정류장 주변의 승객의 위치 및 인원 수, 상기 자율 주행 차량의 자세 정보, 도착 경로 및 출발하여 정류장을 빠져나가는 경로가 주행이 가능한지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차량의 정차 제어 방법.
In claim 19,
The predetermined requirements include a legally designated stopping area, distance from the stop, obstacles around the stop, stopped vehicles around the stop, location and number of passengers around the stop, attitude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arrival route, and A stopping control method for an autonomous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ders at least one of whether the starting and exiting route from the stop is drivable.
KR1020220079811A 2022-06-29 2022-06-29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p thereof KR20240003027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811A KR20240003027A (en) 2022-06-29 2022-06-29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p thereof
US17/982,376 US20240001960A1 (en) 2022-06-29 2022-11-07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p thereof
CN202211514445.2A CN117315974A (en) 2022-06-29 2022-11-30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park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811A KR20240003027A (en) 2022-06-29 2022-06-29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p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027A true KR20240003027A (en) 2024-01-08

Family

ID=8929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811A KR20240003027A (en) 2022-06-29 2022-06-29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p thereof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01960A1 (en)
KR (1) KR20240003027A (en)
CN (1) CN117315974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01960A1 (en) 2024-01-04
CN117315974A (en)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440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opological planning in autonomous driving
JP7444874B2 (en) METHODS, NON-TEMPORARY COMPUTER-READABLE MEDIA, AND VEHICLES
CN109890677B (en) Planning stop positions for autonomous vehicles
US11231286B2 (en) Dynamic routing for self-driving vehicles
CN110036425B (en) Method and system for maneuvering a vehicl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EP3900995B1 (en) Testing predictions for autonomous vehicles
JP6308233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EP3091370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rmining safe vehicle trajectories
US11608060B1 (en) Speed planning for autonomous vehicles
US2022010595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dicting actions of an object by an autonomous vehicle to determine feasible paths through a conflicted area
CN114026514A (en) Remote vehicle guidance
EP4086875A1 (en) Self-driv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16249644B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out-of-path inference by autonomous vehicles to determine viable paths through an intersection
CN111731295B (en) Travel control device, travel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5565303B2 (en) Driving support device and driving support method
CN112149487A (en) Method for determining anchor frame for training neural network object detection model for automatic driving
EP3794573B1 (en) Navigating congested environments with risk level sets
US20220314968A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CN117255755A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trajectory for an autonomous vehicle to traverse an intersection
US20230168095A1 (en) Route providing device and route providing method therefor
KR20240003027A (en)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p thereof
CN111667719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ed of autonomous vehicle and storage medium
EP4145420A1 (en) Hierarchical processing of traffic signal face states
US20230053243A1 (en) Hybrid Performance Critic for Planning Module's Parameter Tuning in Autonomous Driving Vehicles
JP2021142833A (en) Travel support method and travel support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