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707A - 인자 유닛 및 휴대형 단말 - Google Patents

인자 유닛 및 휴대형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707A
KR20240002707A KR1020230081868A KR20230081868A KR20240002707A KR 20240002707 A KR20240002707 A KR 20240002707A KR 1020230081868 A KR1020230081868 A KR 1020230081868A KR 20230081868 A KR20230081868 A KR 20230081868A KR 20240002707 A KR20240002707 A KR 20240002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back plate
platen roller
protrusion
prin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헤이 미야와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2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70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인자 유닛은,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기록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와, 플래튼 롤러의 외주면에 압접하고, 기록지에 인자하는 서멀 헤드와, 서멀 헤드를 사이에 두고 플래튼 롤러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서멀 헤드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플래튼 롤러의 반대 측에 배치된 배판부를 가짐과 더불어, 지지판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양단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배판부와 지지판 사이에 배치되고, 지지판을 플래튼 롤러 측으로 압압하는 적어도 1개의 탄성가압 부재와, 지지판에 설치되고, 지지판으로부터 배판부 측으로 돌출되며, 적어도 1개의 탄성가압 부재 중 소정의 탄성가압 부재의 변위를 규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배판부 중 돌출부와 지지판의 두께 방향으로 마주보는 개소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인자 유닛 및 휴대형 단말{PRINTING UNIT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인자 유닛 및 휴대형 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감열지에 인자하는 인자 유닛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16-159482호 공보를 참조). 이 인자 유닛은, 플래튼 롤러와 서멀 헤드로 기록지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플래튼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기록지를 급지하면서 기록지의 인자면을 서멀 헤드의 발열 소자에 의해 가열하여, 인자면을 발색시켜 인자를 행한다.
상기 종래의 인자 유닛은, 서멀 헤드가 고정된 지지판과, 플래튼 롤러 및 지지판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지지판과 프레임 사이의 간극에 배치되고, 지지판을 플래튼 롤러 측으로 압압(押壓)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탄성 부재는, 플래튼 롤러와 서멀 헤드 사이에 소정의 헤드 가압력을 작용시킨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인자 유닛에 있어서는, 지지판과 프레임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므로, 지지판이 휠 여지가 있다. 이 때문에, 인자 유닛에 낙하 시 등의 충격이 가해지면, 지지판이 휘어 서멀 헤드에 변형이 발생하여, 서멀 헤드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뛰어난 내(耐)충격성을 갖는 인자 유닛, 및 그 인자 유닛을 구비한 휴대형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은,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기록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와, 플래튼 롤러의 외주면에 압접하고, 기록지에 인자하는 서멀 헤드와, 서멀 헤드를 사이에 두고 플래튼 롤러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서멀 헤드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플래튼 롤러의 반대 측에 배치된 배판부를 가짐과 더불어, 지지판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양단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배판부와 지지판 사이에 배치되고, 지지판을 플래튼 롤러 측으로 압압하는 적어도 1개의 탄성가압 부재와, 지지판에 설치되고, 지지판으로부터 배판부 측으로 돌출되며, 적어도 1개의 탄성가압 부재 중 소정의 탄성가압 부재의 변위를 규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배판부 중 돌출부와 지지판의 두께 방향으로 마주보는 개소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인자 유닛에서는, 적어도 1개의 탄성가압 부재는, 축방향으로 3개 이상 늘어서 있으며, 돌출부는, 적어도 1개의 탄성가압 부재 중 축방향의 양단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재 이외의 탄성가압 부재의 변위를 규제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인자 유닛에서는, 적어도 1개의 탄성가압 부재는, 복수 개 또한 홀수 개 설치되어 있으며, 돌출부는, 적어도 1개의 탄성가압 부재 중 축방향의 양단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재로부터 세어 중간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재의 변위를 규제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인자 유닛에서는, 오목부는, 돌출부의 높이보다 깊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인자 유닛에서는, 돌출부가 오목부에 진입하도록 지지판이 휘는 경우에, 돌출부가 배판부에 대해 비접촉의 상태에서, 지지판이 배판부 중 오목부의 외측 부분에 접촉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휴대형 단말은, 상기 인자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어도 1개의 실시 형태의 휴대형 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을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을 좌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의 헤드 지지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을 후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IX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그리고, 그들 구성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휴대형 단말)
도 1은, 실시 형태의 휴대형 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형 단말(1)은, 기록지(P)를 인쇄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기록지(P)는, 열을 가하면 발색하는 감열지이며, 각종 라벨이나 영수증, 티켓 등의 인쇄 등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기록지(P)는, 중공 구멍을 갖도록 감겨진 롤지(R)의 상태로 휴대형 단말(1)에 세트되고, 롤지(R)로부터 인출된 부분에 대해 인쇄가 행해진다.
휴대형 단말(1)은, 케이싱(3)과, 표시부(4)와, 제어부(5)와, 인자 유닛(6)을 갖는다.
케이싱(3)은, ABS나 ABS와 폴리카보네이트의 복합재 등의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료에 의해 중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3)은,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부(7)와, 본체부(7)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있어서, 본체부(7)의 두께 방향의 한쪽 측에 굴곡하는 롤지 수용부(8)를 갖는다. 본체부(7)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는, 인자 유닛(6)이 수용되어 있다. 본체부(7)의 길이 방향의 일단면에는, 배출구(3a)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3a)는, 인자 유닛(6)을 지나 인쇄된 기록지(P)가 배출된다. 본체부(7)의 두께 방향의 다른 쪽 측에 면하는 주면에는, 표시부(4)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부(4)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이며, 제어부(5)에 접속되어 각종의 정보를 표시한다. 롤지 수용부(8)에는, 롤지(R)가 수용된다. 인자 유닛(6)은, 이른바 서멀 프린터이다.
(인자 유닛)
도 2는,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자 유닛(6)은, 기록지(P)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50)와, 플래튼 롤러(50)의 외주면에 압접하고, 기록지(P)에 인자하는 서멀 헤드(40)와, 서멀 헤드(40)를 사이에 두고 플래튼 롤러(50)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서멀 헤드(40)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판(80)(지지판)과, 헤드 지지판(80)을 사이에 두고 플래튼 롤러(50)의 반대 측에 배치된 배판부(11)를 가짐과 더불어, 플래튼 롤러(50) 및 헤드 지지판(80)을 지지하는 본체 프레임(10)(프레임)과, 헤드 지지판(80)을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 부재(90)와, 플래튼 롤러(50)를 회전축선(O) 둘레로 회전시키는 모터(60)와, 모터(60)의 구동력을 감속하고, 플래튼 롤러(50)에 고정된 종동 기어(54)에 전달하는 제1 감속 기어(31) 및 제2 감속 기어(32)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자 유닛(6)은, 플래튼 롤러(50)와 서멀 헤드(40) 사이를 지난 기록지(P)를 화살표(A)가 지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반송한다. 이하, 주로 인자 유닛(6)의 설명에서는, 화살표(A)를 따르는 방향을 상하 방향(L1)으로 정의함과 더불어, 화살표(A)가 지향하는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한다. 또, 상하 방향(L1)에 직교하고, 플래튼 롤러(50)의 축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L2)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하 방향(L1) 및 좌우 방향(L2)에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L3)으로 정의하고, 전후 방향(L3)에 있어서 서멀 헤드(40)에 대한 플래튼 롤러(50) 측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도 4는,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의 일부의 구성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을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에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은, 상하 방향(L1)에서 봐서 전방으로 개방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 프레임(10)은, 좌우 방향(L2)으로 연장되는 배판부(11)와, 배판부(11)의 좌우 방향(L2)에 있어서의 한쪽 측(좌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세워 설치된 제1 측벽부(12)와, 배판부(11)의 좌우 방향(L2)에 있어서의 다른 쪽 측(우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세워 설치된 제2 측벽부(13)와, 제1 측벽부(12)와 제2 측벽부(13) 사이에 설치된 종이 가이드부(18)를 갖는다. 이들 배판부(11), 제1 측벽부(12), 제2 측벽부(13) 및 종이 가이드부(18)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배판부(11)는, 전후 방향(L3)으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벽부(12)는, 좌우 방향(L2)으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벽부(12)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하방을 향하여 깊게 파여진 제1 롤러 삽입 홈(14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벽부(13)는, 좌우 방향(L2)으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벽부(13)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하방을 향하여 깊게 파여진 제2 롤러 삽입 홈(14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롤러 삽입 홈(14A) 및 제2 롤러 삽입 홈(14B)은, 좌우 방향(L2)에서 봐서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롤러 삽입 홈(14A) 및 제2 롤러 삽입 홈(14B)에는, 플래튼 롤러(50)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도 6은,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을 좌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측벽부(12)에는, 구멍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벽부(13)에는, 구멍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12a, 13a)는, 좌우 방향(L2)에서 봐서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12a, 13a)는, 좌우 방향(L2)에서 봐서 한 쌍의 변이 전후 방향(L3)으로 연장되고, 또한 남은 한 쌍의 변이 상하 방향(L1)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 가이드부(18)는, 좌우 방향(L2)을 따라 연장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종이 가이드부(18)의 좌측의 단부는, 제1 측벽부(12)의 내측면에 접속하고 있다. 종이 가이드부(18)의 우측의 단부는, 제2 측벽부(13)의 내측면에 접속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측벽부(13)의 외측에는, 기어 박스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 박스부(15)는, 제2 측벽부(13)의 주연으로부터 좌우 방향(L2)의 외측을 향하여 세워 설치된 둘레벽부(16)를 갖는다. 즉, 기어 박스부(15)는, 제2 측벽부(13) 및 둘레벽부(16)에 의해 형성되고, 좌우 방향(L2)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둘레벽부(16)는, 좌우 방향(L2)에서 봐서 상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둘레벽부(16)에는, 하방을 향하여 오목한 한 쌍의 걸림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 오목부(17)는, 둘레벽부(16)의 상방 개방부의 전후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 오목부(17)에는, 기어 커버(30)가 결합된다. 기어 커버(30)는, 기어 박스부(15)의 내측을 좌우 방향(L2)의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기어 박스부(15)의 내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제1 감속 기어(31) 및 제2 감속 기어(3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모터(60)는, 출력축선(Q) 둘레 토크를 발생시킨다. 모터(60)는, 출력축선(Q)이 플래튼 롤러(50)의 회전축선(O)(도 2 참조)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모터(60)는, 종이 가이드부(18)를 사이에 두고 플래튼 롤러(50)와는 반대 측이며, 배판부(11)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60)는, 제2 측벽부(1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L2)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60)의 출력축(61)은, 제2 측벽부(13)를 관통하고 있다. 출력축(61)은, 기어 박스부(15)의 내측에서 제1 감속 기어(31)에 맞물려 있다. 모터(60)에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이 접속되어 있다. 모터(60)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을 통해 제어부(5)(도 1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모터(60)는, 제어부(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한다.
서멀 헤드(40)는, 기록지(P)(도 2 참조)에 대해 인쇄를 행하는 것이다. 서멀 헤드(40)는, 배판부(11)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서멀 헤드(40)는, 전후 방향(L3)에서 봐서 좌우 방향(L2)을 길이 방향으로 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멀 헤드(40)는, 그 두께 방향을 전후 방향(L3)에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서멀 헤드(40)의 헤드면(40a)은, 배판부(11)의 반대 측(전방)을 향하고 있다. 서멀 헤드(40)의 헤드면(40a)에는, 좌우 방향(L2)으로 다수의 발열 소자(41)가 배열되어 있다.
헤드면(40a)은, 기록지(P)의 인자면과 대향하여, 플래튼 롤러(5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기록지(P)를 협지(挾持) 가능하다. 서멀 헤드(40)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을 통해 제어부(5)(도 1 참조)에 접속되고, 서멀 헤드(40) 상에 탑재된 드라이버 IC(도시하지 않음)가, 제어부(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발열 소자(41)의 발열을 제어하고 있다. 서멀 헤드(40)는, 발열 소자(41)의 발열이 제어되고, 각종의 문자나 도형 등을 기록지(P)의 인자면에 인쇄한다. 서멀 헤드(40)는, 헤드 지지판(80)의 전면에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붙여짐으로써, 헤드 지지판(80)에 고정되어 있다.
헤드 지지판(80)은, 배판부(11)의 전방, 또한 종이 가이드부(18)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헤드 지지판(80)은, 제1 측벽부(12) 및 제2 측벽부(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헤드 지지판(80)은,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헤드 지지판(80)은, 좌우 방향(L2)을 길이 방향으로 한 판 형상의 부재이다. 헤드 지지판(80)은, 두께 방향을 전후 방향(L3)에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헤드 지지판(80)은, 후술하는 돌출부(85)를 제외한 전체에 걸쳐 일정한 두께로 좌우 방향(L2) 및 상하 방향(L1)으로 연장되어 있다. 헤드 지지판(80)의 전면에는, 서멀 헤드(40)가 고정되어 있다. 서멀 헤드(40)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L2)의 중간 위치는, 헤드 지지판(80)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L2)의 중간 위치와 일치한다.
도 7은, 실시 형태의 헤드 지지판의 평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지지판(80)은, 피(被)고정부(81)와, 한 쌍의 스토퍼(83)를 구비한다.
피고정부(81)는, 헤드 지지판(8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피고정부(81)는, 헤드 지지판(80)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L2)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피고정부(81)는, 본체 프레임(10)의 배판부(11) 및 종이 가이드부(18)에 협지되고, 본체 프레임(10)에 대한 전후 방향(L3)의 변위를 실질적으로 규제되고 있다. 헤드 지지판(80)은, 피고정부(81)를 중심으로, 상부가 전후 움직이도록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토퍼(83)는, 헤드 지지판(8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스토퍼(83)는, 전후 방향(L3)에서 봐서 대략 일정한 폭으로 좌우 방향(L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토퍼(83)는, 본체 프레임(10)의 구멍부(12a, 13a)에 1개씩 삽입되어 있다. 스토퍼(83)는, 구멍부(12a, 13a)의 내벽면에 대해 전후 방향(L3)으로 간극을 갖고 있다. 스토퍼(83)는, 헤드 지지판(80)의 회동에 수반하여 구멍부(12a, 13a) 내를 전후 방향(L3)을 따라 이동하고, 구멍부(12a, 13a)의 내벽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83)는, 구멍부(12a, 13a)의 내벽면에 접촉함으로써, 헤드 지지판(80)의 회동량을 규제하고 있다. 스토퍼(83)와 구멍부(12a, 13a)의 내벽면의 후방의 간극(G)(도 6 참조)은, 전진한 스토퍼(83)가 구멍부(12a, 13a)의 내벽면에 접촉해도, 헤드 지지판(80) 중 피고정부(81) 및 스토퍼(83) 이외의 개소가 본체 프레임(10)에 접촉하지 않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50)는, 본체 프레임(10)에 의해 회전축선(O)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50)는, 회전축선(O)을 좌우 방향(L2)에 일치시킨 상태로 서멀 헤드(40)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50)는, 서멀 헤드(40)와의 사이에 기록지(P)를 사이에 둔 상태로 회전축선(O)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기록지(P)를 화살표(A)가 지향하는 방향으로 송출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50)는, 롤러 샤프트(51)와, 롤러 샤프트(51)에 외장된 롤러 본체(52)와, 롤러 샤프트(51)의 양단에 장착된 한 쌍의 베어링(53)을 갖는다. 롤러 샤프트(51)는, 본체 프레임(10)의 제1 측벽부(12)와 제2 측벽부(13)의 이격 거리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롤러 본체(52)는, 예를 들면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되고, 좌우 방향(L2)을 따라, 롤러 샤프트(51)의 양단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50)의 한 쌍의 베어링(53)은, 본체 프레임(10)의 제1 롤러 삽입 홈(14A) 및 제2 롤러 삽입 홈(14B)에 삽입된다. 베어링(53)은, 본체 프레임(10)에 지지된 걸림 스프링(19)에 의해 제1 롤러 삽입 홈(14A) 및 제2 롤러 삽입 홈(14B) 내에 유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50)는, 본체 프레임(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플래튼 롤러(50)는, 걸림 스프링(19)을 탄성 변형시켜 베어링(53)을 제1 롤러 삽입 홈(14A) 및 제2 롤러 삽입 홈(14B)에 진퇴시킴으로써, 본체 프레임(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50)는, 제1 롤러 삽입 홈(14A) 및 제2 롤러 삽입 홈(14B)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롤지(R)(도 1 참조)로부터 인출된 기록지(P)를 서멀 헤드(40)와의 사이에 끼우고, 롤러 본체(52)의 외주면이 서멀 헤드(40)의 헤드면(40a)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50)의 좌우 방향(L2)에 있어서의 다른 쪽 측(우측)의 단부에는, 종동 기어(54)가 고정되어 있다. 종동 기어(54)는, 플래튼 롤러(50)가 제1 측벽부(12) 및 제2 측벽부(13)에 유지되었을 때에, 기어 박스부(15)의 상부에 장착된다. 종동 기어(54)는, 제2 감속 기어(32)에 맞물려 있다. 이에 의해, 모터(60)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은, 제1 감속 기어(31) 및 제2 감속 기어(32)를 통해 종동 기어(54)에 전달된다. 플래튼 롤러(50)는, 제1 측벽부(12) 및 제2 측벽부(13)에 유지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기록지(P)(도 2 참조)를 송출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을 후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5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가압 부재(90)는, 헤드 지지판(80)과 배판부(1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가압 부재(90)는, 헤드 지지판(80)과 배판부(11)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가압되어 있다. 탄성가압 부재(90)는, 헤드 지지판(80)을 플래튼 롤러(50) 측으로 압압한다. 탄성가압 부재(90)는, 전후 방향(L3)으로 신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구체적으로, 탄성가압 부재(90)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축경하는 원뿔 스프링이다. 탄성가압 부재(90)의 후단부는, 배판부(11)의 전면(11a)에 맞닿아 있다. 탄성가압 부재(90)의 전단부는, 헤드 지지판(80)의 배판부(11) 측을 향하는 면(후면)에 맞닿아 있다. 탄성가압 부재(90)는, 헤드 지지판(80)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L2)의 중간 위치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탄성가압 부재(90)는, 좌우 방향(L2)으로 등간격으로 3개 늘어서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지지판(80)의 후면에는, 돌출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85)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헤드 지지판(80)으로부터 배판부(11)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85)의 높이는, 서로 동등하다. 돌출부(85)는, 헤드 지지판(80)의 두께 방향(전후 방향)에서 봐서 배판부(11)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85)는, 각 탄성가압 부재(90)에 대해 한 쌍씩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85)는, 좌우 방향(L2)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85)의 간격은, 탄성가압 부재(90)의 전단부의 좌우 방향(L2)의 폭보다 작다. 한 쌍의 돌출부(85)는, 탄성가압 부재(90)의 전단부에 상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하다. 한 쌍의 돌출부(85)는, 탄성가압 부재(90)의 전단부에 접촉하여 탄성가압 부재(90)의 상방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탄성가압 부재(90)를 위치 결정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돌출부(85) 중 중앙의 탄성가압 부재(90)에 대응하는 한 쌍의 돌출부(85) 각각을, 중앙 돌출부(85A)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중앙의 탄성가압 부재(90)는, 모든 탄성가압 부재(90) 중 좌우 방향(L2)의 양단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재(90) 이외의 탄성가압 부재(90)의 1개이며, 모든 탄성가압 부재(90) 중 좌우 방향(L2)의 양단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재(90)로부터 세어 중간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재(90)이다.
도 9는, 도 5의 IX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판부(11)에는, 탄성가압 부재(90)를 유지하는 유지부(21)와, 배판부(11)와 돌출부(85)의 접촉을 피하는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21)는, 배판부(11)의 전면(11a)에 개구됨과 더불어 후방으로 오목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21)는, 상하 방향(L1)으로 연장되고, 배판부(11)의 상단면에 개구되어 있다. 유지부(21)는, 탄성가압 부재(90)와 동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21)에는, 탄성가압 부재(90)의 후단부가 배치된다. 유지부(21)는, 탄성가압 부재(90)의 후단부가 상방으로부터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탄성가압 부재(90)의 후단부의 좌우 방향(L2)의 변위를 규제한다.
오목부(23)는, 배판부(11) 중 헤드 지지판(80)의 각 돌출부(85)와 전후 방향(L3)으로 마주보는 개소에 1개씩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3)는, 배판부(11)의 전면(11a)에 개구됨과 더불어 후방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오목부(23)는, 배판부(11)의 전면(11a)으로부터 상단면에 걸쳐 연속하여 개구되어 있다. 오목부(23)는, 배판부(11) 중 전후 방향(L3)에서 봐서 각 돌출부(85)와 겹쳐지는 부분의 전체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목부(23)는, 후방으로 변위한 돌출부(85)가 배판부(11)에 접촉하는 것을 피하고 있다.
오목부(23)는, 유지부(21)에 좌우 방향(L2)으로 인접하는 개소에 1개씩 형성되어 있다. 중앙 돌출부(85A)를 받아들이는 오목부(23)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중앙의 탄성가압 부재(90)를 유지하는 유지부(21)의 상하 방향의 치수보다 작다. 각 오목부(23)는, 유지부(21)에 연통되어 있다. 배판부(11)의 상단면에 있어서, 오목부(23)의 개구는, 유지부(21)의 개구와 연속되어 있다. 배판부(11)의 상단면에 있어서의 오목부(23) 및 유지부(21)의 개구 가장자리는, 모따기되어 있다. 오목부(23)는, 인접하는 유지부(21)보다 얕게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3)는, 돌출부(85)의 높이보다 깊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23)의 깊이(D)는, 배판부(11)의 전면(11a)을 기준으로 한 깊이이다. 돌출부(85)의 높이(H)는, 헤드 지지판(80)의 후면을 기준으로 한 높이이다.
상술한 인자 유닛(6)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인자 유닛(6)에 낙하 시 등의 충격이 가해지면, 헤드 지지판(80)에 관성이 작용하여, 헤드 지지판(80)이 본체 프레임(10)에 대해 순간적으로 변위하려고 한다. 헤드 지지판(80)은, 낙하의 방향에 따라서는 헤드 지지판(80)의 스토퍼(83)와 본체 프레임(10)의 구멍부(12a, 13a)의 내벽면의 간극을 좁히도록 본체 프레임(10)에 대해 변위한다. 또, 헤드 지지판(80)은, 스토퍼(83)가 본체 프레임(10)에 대해 변위하는 것을 규제된 상태에서는, 좌우 방향(L2)의 양단이 실질적으로 고정단으로 되어 휜다. 이 경우, 헤드 지지판(80) 중 좌우 방향(L2)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가장 커질 수 있다. 특히 헤드 지지판(80)은, 전후 방향(L3)으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후 방향(L3)으로 휘기 쉽다.
본체 프레임(10)의 배판부(11) 중, 헤드 지지판(80)에 설치된 돌출부(85)에 전후 방향(L3)으로 마주보는 개소에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헤드 지지판(80)이 전후 방향(L3)을 따라 배판부(11) 측으로 변위해도, 오목부(23)가 돌출부(85)를 받아들여, 돌출부(85)가 배판부(11)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85)가 오목부(23)에 진입하도록 헤드 지지판(80)이 휘었을 경우에, 돌출부(85)가 배판부(11)에 대해 비접촉의 상태에서, 헤드 지지판(80)이 배판부(11) 중 오목부(23)의 외측 부분에 접촉한다. 이 때 헤드 지지판(80)은, 배판부(11)의 전면(11a) 중, 오목부(23)의 개구 주변에 있어서의 평탄 부분에 면접촉한다.
여기서, 만일 인자 유닛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헤드 지지판이 변위하여 돌출부가 배판부에 접촉하면, 돌출부가 배판부에 접촉한 후에도 헤드 지지판에 관성이 계속 작용한다. 이 경우, 헤드 지지판은, 돌출부가 배판부에 변위를 규제됨으로써, 돌출부가 배판부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큰 곡률로 휘도록 변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돌출부(85)가 배판부(11)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인자 유닛(6)에 충격이 가해져도, 헤드 지지판(80)이 비교적 큰 곡률로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헤드 지지판(80)에 지지된 서멀 헤드(40)에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여 서멀 헤드(40)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뛰어난 내충격성을 갖는 인자 유닛(6)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23)는, 모든 탄성가압 부재(90) 중 좌우 방향(L2)의 양단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재(90) 이외의 탄성가압 부재(90)의 1개에 대응하는 돌출부(85)(중앙 돌출부(85A))를 마주보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헤드 지지판(80)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L2)의 중앙부가 배판부(11)에 접근하도록 헤드 지지판(80)이 휘었을 경우에는, 헤드 지지판(80)의 중앙부에 가까운 돌출부(85)만큼 변위량이 커진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헤드 지지판(80)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L2)의 중앙부가 배판부(11)에 접근하도록 헤드 지지판(80)이 휘어도, 모든 돌출부(85) 중 변위량이 비교적 큰 돌출부(85)를 오목부(23)가 받아들인다. 따라서, 돌출부(85)가 배판부(11)에 접촉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23)는, 모든 탄성가압 부재(90) 중 좌우 방향(L2)의 양단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재(90)로부터 세어 중간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재(90)에 대응하는 돌출부(85)(중앙 돌출부(85A))를 마주보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헤드 지지판(80)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L2)의 중앙부가 배판부(11)에 접근하도록 헤드 지지판(80)이 휘어도, 모든 돌출부(85) 중 가장 변위량이 큰 돌출부(85)를 오목부(23)가 받아들인다. 따라서, 돌출부(85)가 배판부(11)에 접촉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오목부(23)는 돌출부(85)의 높이보다 깊기 때문에, 돌출부(85)가 오목부(23)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돌출부(85)가 오목부(23)에 진입하도록 헤드 지지판(80)이 휘는 경우에, 돌출부(85)가 배판부(11)에 대해 비접촉의 상태에서, 헤드 지지판(80)이 배판부(11) 중 오목부(23)의 외측 부분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돌출부가 배판부에 접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헤드 지지판(80)이 배판부(11)에 접촉했을 때에 반력이 헤드 지지판(80)의 광범위하게 가해지므로, 서멀 헤드(40)의 비교적 좁은 범위에 과도한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서멀 헤드(40)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여, 서멀 헤드(40)가 파손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휴대형 단말(1)은, 상술한 인자 유닛(6)을 구비하므로, 내구성이 높은 휴대형 단말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기술적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인자 유닛(6)에 복수의 탄성가압 부재(90)가 설치되고, 각 탄성가압 부재(90)에 대해 돌출부(85)가 설치되며, 배판부(11) 중 각 돌출부(85)를 마주보는 개소에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탄성가압 부재는 1개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오목부는, 배판부 중 일부의 돌출부를 마주보는 개소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일부의 돌출부는, 모든 탄성가압 부재 중 좌우 방향의 양단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재 이외의 탄성가압 부재의 변위를 규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목부는, 적어도 양단 이외의 탄성가압 부재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마주보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부의 돌출부는, 탄성가압 부재가 복수 또한 홀수 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든 탄성가압 부재 중 좌우 방향의 양단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재로부터 세어 중간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재의 변위를 규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오목부는, 적어도 중앙의 탄성가압 부재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마주보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오목부는, 중앙 돌출부(85A)를 마주보는 개소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돌출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돌출부는, 1개의 탄성가압 부재에 대해 1개만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3개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요소를 주지의 구성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다.

Claims (6)

  1.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기록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외주면에 압접하고, 상기 기록지에 인자하는 서멀 헤드와,
    상기 서멀 헤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멀 헤드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반대 측에 배치된 배판부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지지판에 있어서의 상기 축방향의 양단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배판부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을 상기 플래튼 롤러 측으로 압압(押壓)하는 적어도 1개의 탄성가압 부재와,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배판부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적어도 1개의 탄성가압 부재 중 소정의 탄성가압 부재의 변위를 규제하는 돌출부
    를 구비하고,
    상기 배판부 중 상기 돌출부와 상기 지지판의 두께 방향으로 마주보는 개소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인자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탄성가압 부재는, 상기 축방향으로 3개 이상 늘어서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적어도 1개의 탄성가압 부재 중 상기 축방향의 양단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재 이외의 탄성가압 부재의 변위를 규제하는, 인자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탄성가압 부재는, 복수 개 또한 홀수 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적어도 1개의 탄성가압 부재 중 상기 축방향의 양단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재로부터 세어 중간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재의 변위를 규제하는, 인자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돌출부의 높이보다 깊은, 인자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에 진입하도록 상기 지지판이 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배판부에 대해 비접촉의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이 상기 배판부 중 상기 오목부의 외측 부분에 접촉하는, 인자 유닛.
  6. 청구항 1에 기재된 인자 유닛을 구비한, 휴대형 단말.
KR1020230081868A 2022-06-29 2023-06-26 인자 유닛 및 휴대형 단말 KR202400027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04176 2022-06-29
JP2022104176A JP2024004551A (ja) 2022-06-29 2022-06-29 印字ユニットおよび携帯型端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707A true KR20240002707A (ko) 2024-01-05

Family

ID=8704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1868A KR20240002707A (ko) 2022-06-29 2023-06-26 인자 유닛 및 휴대형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01689A1 (ko)
EP (1) EP4299325A1 (ko)
JP (1) JP2024004551A (ko)
KR (1) KR20240002707A (ko)
CN (2) CN220349346U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2420B2 (ja) 2015-02-27 2019-01-3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2022086128A (ja) * 2020-11-30 2022-06-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および携帯型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99325A1 (en) 2024-01-03
CN220349346U (zh) 2024-01-16
US20240001689A1 (en) 2024-01-04
JP2024004551A (ja) 2024-01-17
CN117301728A (zh)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4349B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JP6462420B2 (ja) 印字ユニット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US20020031388A1 (en) Tape printing apparatus and tape holding cases
US9180694B2 (en) Recording apparatus
JP2007181934A (ja) プーリホルダ支持構造、プーリホルダ
KR20240002707A (ko) 인자 유닛 및 휴대형 단말
CN109318604B (zh) 单元装配构造及打印装置
US8057339B2 (en) Pulley holder and a drive transmission mechanism and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pulley holder
JP4725322B2 (ja) 画像形成装置
KR20240032658A (ko) 인자 유닛 및 휴대형 단말
CN219096311U (zh) 印字单元和便携型终端
CN101332725B (zh) 色带引导单元及打印装置
EP4005809B1 (en) Printing unit and portable terminal
CN216373886U (zh) 一种便携式打印机
JP4779931B2 (ja) 印刷装置
JP2008110483A (ja) 印刷装置
JP2022038197A (ja) 印字ユニット、サーマルプリンタ
JP2022175533A (ja) プリンタ装置
JP2004223730A (ja) 熱転写プリンタ
JP2006159685A (ja) 記録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