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293A - 부력조절 가능 수영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부력조절 가능 수영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293A
KR20240002293A KR1020220079321A KR20220079321A KR20240002293A KR 20240002293 A KR20240002293 A KR 20240002293A KR 1020220079321 A KR1020220079321 A KR 1020220079321A KR 20220079321 A KR20220079321 A KR 20220079321A KR 20240002293 A KR20240002293 A KR 20240002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sertion hole
swimming
buoyanc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220079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293A/ko
Publication of KR20240002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2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2Arrangements in swimming pools for teaching swimming or for training
    • A63B69/14Teaching frames for swimming ; Swimm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0Swimming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벅지에 착용시 부력체를 탈부착하여 사용자에 신체에 맞게 부력을 조절가능하며, 종아리나 발목 등과 같은 하체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수중에서 사용자의 하체의 일부에 부력을 제공하여 발차기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며, 수영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거나 상체근력 및 허리근육 강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보조하는 수영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허리를 좌우로 움직여 수영을 하는 좌우 반복 영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무릎관절통증,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나 하지 장애인들에게 유용한 수용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중에 부유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수중에 부유하는 중공의 튜브 형태로 구성되는 몸체; 중공의 기둥 형태로 몸체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몸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지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삽입홀; 및 하지의 일부를 삽입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홀의 일측벽에 절개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하지의 일부가 삽입홀에 삽입된 채로 사용자가 수영을 하는 경우, 몸체에 의해 수중에서 사용자의 하지가 부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수영을 배우는 초보자들이 팔동작 또는 허리를 좌우로 움직이는 영법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력조절 가능 수영보조장치{BUOYANCY CONTROL SWIMMING ASSISTANCE APPARATUS}
본 발명은 부력조절 가능 수영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와 몸무게에 따라서 부력체를 탈부착하여 부력 조절이 가능하고, 올바른 자세로 수영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보조하는 수영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영은 폐활량이나 지구력 등을 강화해주고, 전신을 강화시켜주는 전신운동의 하나이다. 따라서 대한민국, 미국, 호주, 일본, 중국 등 전세계에서 수영은 생활 스포츠로 각광받고 있다.
종래의 수영보조장치에는 풀부이, 튜브, 보드 등이 있다.
한국특허 10-1323112 한국특허 10-1559659
그러나 종래의 수영보조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와 몸무게 맞게 부력을 조절할 수 없어서 자신에 맞지 않는 부력을 가진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종래의 수영보조장치는 사용자의 상체를 띄어주는 킥보드와 하체를 띄어주는 풀부이가 있긴 하지만, 사용자의 몸 전체를 골고루 띄어주는 제품은 개발이 되어 있지를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허벅지에 착용시 부력체를 탈부착하여 사용자에 신체에 맞게 부력을 조절가능하며, 수중에서 사용자의 하체의 일부에 부력을 제공하여 발차기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며, 수영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거나 상체근력 및 허리근육 강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보조하는 수영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종아리나 발목 등에 착용시 하체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부력체는 손에 쥐고 있을 수 있다. 이는 상체와 하체를 띄우는 부력의 분산을 효과를 볼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허리를 좌우로 움직여 수영을 하는 좌우 반복 영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무릎관절통증,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나 하지 장애인들에게 유용한 수용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에 부유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수중에 부유되도록 중공의 튜브 형태로 구성되는 몸체; 중공의 기둥 형태로 상기 몸체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지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삽입홀; 및 상기 하지의 일부를 상기 삽입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의 일측벽에 절개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지의 일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채로 사용자가 수영을 하는 경우, 상기 몸체에 의해 수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하지가 부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장치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사용자의 하지의 일부는, 종아리 또는 발목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홀은 좌우 각각의 하지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에 의해 상기 좌우 각각의 하지가 모아진 채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홀에 탈부착 할 수 있는 부력체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부력체를 탈부착할 수 있어 자신에게 맞는 부력으로 수영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이용하면 수영을 배우는 초보자들이 팔동작 또는 허리를 좌우로 움직이는 영법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릎관절통증,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나, 하지 장애인의 경우에도 수영보조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영보조장치를 이용하면서도 허리를 좌우로 움직이는 영법이 가능해지므로 상체근력 및 허리근육이 상당히 단련되어 재활에 많은 도움이 되고 수영 실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수영보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의 결합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의 분리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수영보조장치의 구성 및 연결관계
수영보조장치의 기본적 구성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검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는, 몸체(10), 삽입홀(20), 절개부(30) , 부력체(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및 부력체(40)는 수중에 부유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수중에 부유하는 중공의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재질은 예를 들어 발포압축 스티로폼이나 EVA 등의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수영보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력체(40)는 삽입홀(20)에 탈부착 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의 결합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력체(40)는 적어도 1개 이상이며, 사용자가 부력체(40)를 탈부착하여 자신에 신체에 맞는 부력으로 수영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부력체(40)는 길이와 크기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부력을 증강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의 분리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력체(40)를 손으로 잡으면, 하체뿐만 아나라 상체에도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수영보조장치의 사용 양태
수영보조장치(1)의 사용 양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는 수영보조장치(1)의 절개부(30)를 통해 삽입홀(20)에 사용자의 양쪽 다리를 각각 삽입하여 착용하게 된다. 수영보조장치(1)에 의해 사용자의 양쪽 다리가 모인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사용자는 종아리, 무릎, 허벅지 등에 수영보조장치(1)를 착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한 일실시예로는 발목에 착용할 수 있다. 몸체(10)를 발목에 착용 시 부력체(40)는 손에 쥐고 있을 수 있다. 이는 상체와 하체를 띄우는 부력의 분산을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수중에서 몸이 전체적으로 떠 있으면 수영을 처음 배우는 초보나 어린이들에게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어 생존수영교육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영보조장치(1)를 이용하여 다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허리를 좌우로 움직이거나 팔을 휘저으면서 각종 영법을 훈련하게 된다. 수중에서는 수영보조장치(1)가 부력에 의해 사용자의 하체가 떠오르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하체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서 다양한 영법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신체 중 허리를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번갈아 가면서 유동하는 영법으로 전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물고기가 꼬리 지느러미를 이용하여 수영을 하는 영법과 동일하다. 이러한 영법으로 사용자의 상체근력 및 허리근육이 강화됨은 물론, 사용자의 틀어진 골반을 바르게 교정해주는 효과가 더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영보조장치(1)에 의하면 발차기를 하지 않고도 상체의 움직임만으로 수영을 할 수 있으므로, 하체를 전혀 움직일 수 없는 하지마비 장애인들이나 하체 힘이 약한 소인, 노인 등도 수영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체가 불편한 분들은 함몰부(50)에 의해서 수중저항감소 효과로 좀 더 수월하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수영보조장치
10: 몸체
20: 삽입홀
30: 절개부
40: 부력체
50: 함몰부

Claims (1)

  1. 수중에 부유하는 재질로 양성되거나 수중에 부유하는 중공의 튜브 형태로 구성되는 몸체;
    중공의 기둥 형태로 상기 몸체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지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의 내측에 탈부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체 및;
    상기 하지의 일부를 상기 삽입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의 일측벽에 절개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몸체의 상부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함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의 양측은 곡면을 이루며, 상기 함몰부는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삽입홀의 외측벽에 상기 삽입홀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외측벽은 외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만곡되며,
    상기 삽입홀은 좌우 각각의 하지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삽입홀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삽입홀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제2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지의 일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채로 사용자가 수영을 하는 경우, 상기 몸체에 의해 수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하지가 부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장치.
KR1020220079321A 2022-06-29 2022-06-29 부력조절 가능 수영보조장치 KR20240002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321A KR20240002293A (ko) 2022-06-29 2022-06-29 부력조절 가능 수영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321A KR20240002293A (ko) 2022-06-29 2022-06-29 부력조절 가능 수영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293A true KR20240002293A (ko) 2024-01-05

Family

ID=8954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321A KR20240002293A (ko) 2022-06-29 2022-06-29 부력조절 가능 수영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29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112B1 (ko) 2013-07-04 2013-11-07 김정훈 수영보조기구
KR101559659B1 (ko) 2014-03-18 2015-10-15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112B1 (ko) 2013-07-04 2013-11-07 김정훈 수영보조기구
KR101559659B1 (ko) 2014-03-18 2015-10-15 김정훈 수영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659B1 (ko) 수영보조장치
US5700173A (en) Swimming instructional device
KR101809263B1 (ko) 수영보조장치
KR101643852B1 (ko) 수영보조장치
KR20240002293A (ko) 부력조절 가능 수영보조장치
KR102064093B1 (ko) 수영보조장치
KR102658781B1 (ko) 수영보조장치
KR101637873B1 (ko) 수영보조장치
CN210473006U (zh) 一种游泳入门辅助训练的定型气垫装置
KR101930223B1 (ko) 수영보조장치
KR102171415B1 (ko) 수영보조장치
KR101860700B1 (ko) 수영보조장치
KR101900221B1 (ko) 수영보조장치
KR102116642B1 (ko) 수영보조장치
KR101847203B1 (ko) 수영보조장치
KR101860699B1 (ko) 수영보조장치
KR101860701B1 (ko) 수영보조장치
KR20240058060A (ko) 수영보조장치
KR102235680B1 (ko) 수영보조장치
KR101637872B1 (ko) 수영보조장치
KR101637874B1 (ko) 수영보조장치
CN201325585Y (zh) 一种游泳浮标
CN2910297Y (zh) 游泳漂
AU2022204289A1 (en) Bilateral kicking boards for non-swimmers to the elite level swim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