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156A -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 Google Patents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156A
KR20240002156A KR1020230033299A KR20230033299A KR20240002156A KR 20240002156 A KR20240002156 A KR 20240002156A KR 1020230033299 A KR1020230033299 A KR 1020230033299A KR 20230033299 A KR20230033299 A KR 20230033299A KR 20240002156 A KR20240002156 A KR 20240002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albach array
fixed contact
contac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이모빌리티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이모빌리티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이모빌리티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2128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191017A1/ko
Publication of KR20240002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1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38Part of main magnetic circuit shaped to suppress arcing between the contacts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이 보다 절감되고 제조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에 있어서, 자석 프레임, 상기 자석 프레임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자석 프레임의 내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할바흐 배열(Halbach array)을 포함하고, 상기 할바흐 배열은,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록 및 제3 블록은, 각각 상기 제2 블록을 향하는 면이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고정 접촉자에 반대되는 면과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되는,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Arc path former and direct current relay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은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제조 비용이 보다 절감되고 제조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직류 릴레이(Direct current relay)란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 또는 전류 신호를 전달해 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직류 릴레이는 전자 개폐기(Magnetic switch)라고도 하며,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로 분류됨이 일반적이다.
직류 릴레이는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을 포함한다. 고정 접점은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은 서로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의 접촉 및 이격에 의해, 직류 릴레이를 통한 통전이 허용되거나 차단된다. 상기 이동은, 가동 접점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부에 의해 달성된다.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이격되면,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에는 아크(arc)가 발생된다. 아크는 고압, 고온의 전류의 흐름이다. 따라서, 발생된 아크는 기 설정된 경로를 통해 직류 릴레이에서 신속하게 배출되어야 한다.
아크의 배출 경로는 직류 릴레이에 구비되는 자석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자석은 고정 접점과 가동 점점이 접촉되는 공간의 내부에 자기장을 형성한다. 형성된 자기장 및 전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은 아크의 배출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직류 릴레이는 내부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강화하기 위하여 할바흐 배열(Halbach array)을 이용할 수 있다.
할바흐 배열이란 영구 자석의 특수한 배열로서, 복수 개의 자성체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행(column) 또는 열(row)로 구성된 집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복수 개의 자성체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자체적으로 또는 서로 간에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할바흐 배열은 상대적으로 긴 두 개의 면과, 상대적으로 짧은 나머지 두 개의 면을 포함한다. 이때, 할바흐 배열을 구성하는 자성체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은, 상기 긴 두 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의 외측에 더 강한 세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직류 릴레이 내부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과도하게 큰 경우, 대용량 직류 릴레이에 구비되는 부품이 소용량 직류 릴레이에 그대로 적용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대용량 직류 릴레이의 부품과 소용량 직류 릴레이의 부품이 상이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설계 및 제조 과정에서의 편의성을 저하시키고, 전체적인 제조 비용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이 보다 절감될 수 있고 제조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의 개발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216824호는 직류 릴레이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감쇠 자석을 이용하여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간의 임의 이격이 방지될 수 있는 직류 릴레이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직류 릴레이는,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이격될 경우 발생되는 아크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는 개시하지 않는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96952호는 직류 릴레이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영구 자석을 이용하여 가동 접점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는 직류 릴레이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직류 릴레이는, 영구 자석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 또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구조는 개시하지 않는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6952호 (2012.12.2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6952호 (2017.01.16.)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제조 비용이 보다 절감될 수 있고 제조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직류 릴레이의 작동을 위해 중심부 부근에 구비되는 각종 구성 요소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아크를 배출하기 위한 자기장의 방향 및 세기가 보다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는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크 경로 형성부는, 내부에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자석 프레임; 및 상기 공간부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자석 프레임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자성체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록을 포함하는 할바흐 배열(Halbach array)을 포함하고, 상기 할바흐 배열은,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일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3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록 및 제3 블록은, 각각 상기 제2 블록을 향하는 면이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고정 접촉자에 반대되는 면과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일 방향의 길이가 타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할바흐 배열은, 상기 자석 프레임의 일 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할바흐 배열; 및 상기 자석 프레임의 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할바흐 배열과 상기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할바흐 배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은, 각각 상기 제2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과 상기 타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2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향하는 면이 서로 반대되는 극성으로 자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2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향하는 면이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 프레임의 내주면 상에 배치되되, 상기 할바흐 배열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 프레임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일 방향에서의 두께가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 간격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하나의 블록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스페이서가 구비되되, 상기 서로 다른 두 개의 스페이서의 간격이 상기 하나의 블록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상기 일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 접촉자; 상기 고정 접촉자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가동 접촉자; 내부에 상기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자석 프레임; 및 상기 공간부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자석 프레임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자성체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록을 포함하는 할바흐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할바흐 배열은,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일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3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록 및 제3 블록은, 각각 상기 제2 블록을 향하는 면이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고정 접촉자에 반대되는 면과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되는, 직류 릴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일 방향의 길이가 타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할바흐 배열은, 상기 자석 프레임의 일 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할바흐 배열; 및 상기 자석 프레임의 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할바흐 배열과 상기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할바흐 배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은, 각각 상기 제2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과 상기 타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2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향하는 면이 서로 반대되는 극성으로 자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2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향하는 면이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 프레임의 내주면 상에 배치되되, 상기 할바흐 배열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 프레임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일 방향에서의 두께가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 간격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상기 스페이서는, 그 간격이 상기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하나의 블록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상기 일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 중, 상술한 해결 수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아크 경로 형성부는, 자석 프레임 및 할바흐 배열을 포함한다. 할바흐 배열은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할바흐 배열은 제1 블록, 제1 블록과 일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블록 및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3 블록을 포함한다. 이때, 제1 블록 및 제3 블록은, 각각 제2 블록을 향하는 면이 제2 블록의 고정 접촉자에 반대되는 면과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된다.
따라서, 아크 챔버 내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과도하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용량 직류 릴레이의 부품이 소용량 직류 릴레이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조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고, 전체적인 제조 비용이 보다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할바흐 배열은 자석 프레임의 일 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할바흐 배열 및 자석 프레임의 타 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1 할바흐 배열과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할바흐 배열을 포함한다. 이때, 제1 할바흐 배열 및 제2 할바흐 배열은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한다.
따라서, 발생된 아크가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소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비롯하여, 직류 릴레이의 작동을 위해 중심부 부근에 구비되는 각종 구성 요소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자석 프레임은 할바흐 배열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에 상기 두 개의 블록을 물리적으로 격리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블록 사이 간격은 스페이서의 두께 및 위치 등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할바흐 배열이 형성하는 자기장의 방향 및 세기가 보다 세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직류 릴레이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직류 릴레이에 구비되는 고정 접촉자, 가동 접촉자 및 아크 경로 형성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직류 릴레이에 구비되는 아크 경로 형성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도 4의 아크 경로 형성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아크 경로 형성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아크 경로 형성부에 구비되는 제1 자석 프레임을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크 경로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및 아크의 경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아크 경로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및 아크의 경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크 경로 형성부(100) 및 직류 릴레이(1)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 예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1. 용어의 정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기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자화(magnetize)"라는 용어는 자기장 안에서 어떤 물체가 자성을 띠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극성(polarity)"이라는 용어는 전극의 양극과 음극 등이 가지고 있는 서로 다른 성질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극성은 N극 또는 S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electric current)"이라는 용어는, 두 개 이상의 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아크의 경로(arc path)"라는 용어는, 발생된 아크가 이동, 또는 소호되며 이동되는 경로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할바흐 배열(Halbach Array)"이라는 용어는 복수 개의 자성체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행(column) 또는 열(row)로 구성된 집합체를 의미한다.
할바흐 배열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자성체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자성체는 자체적으로, 또는 서로 간에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할바흐 배열은 상대적으로 긴 두 개의 면과, 상대적으로 짧은 나머지 두 개의 면을 포함한다. 할바흐 배열을 구성하는 자성체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은, 상기 긴 두 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의 외측에 더 강한 세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할바흐 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중 아크 경로 형성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의 자기장의 세기가 더 강하게 형성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1)의 구성의 설명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직류 릴레이(1)는 프레임부(10), 개폐부(20), 코어부(30), 가동 접촉자부(40) 및 아크 경로 형성부(100)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1)의 각 구성을 설명하되, 아크 경로 형성부(1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1) 프레임부(10)의 설명
프레임부(10)는 직류 릴레이(1)의 외측을 형성한다. 프레임부(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직류 릴레이(1)가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류를 인가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장치들이 수용될 수 있다. 즉, 프레임부(10)는 일종의 하우징(41)으로 기능된다.
프레임부(10)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0)의 내부와 외부가 임의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부(10)는 상부 프레임(11), 하부 프레임(12), 절연 플레이트(13) 및 지지 플레이트(14)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11)은 프레임부(10)의 상측을 형성한다. 상부 프레임(11)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부 프레임(11)의 내부 공간에는 개폐부(20) 및 가동 접촉자부(40)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1)의 내부 공간에는 아크 경로 형성부(100)가 수용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은 하부 프레임(12)과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 사이의 공간에는 절연 플레이트(13) 및 지지 플레이트(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개폐부(20)의 고정 접촉자(22)가 위치된다. 고정 접촉자(22)는 상부 프레임(11)의 상측에 일부가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프레임(11)의 상측에는 고정 접촉자(22)가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은 프레임부(10)의 하측을 형성한다. 하부 프레임(12)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하부 프레임(12)의 내부 공간에는 코어부(30)가 수용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은 상부 프레임(11)과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과 상부 프레임(11) 사이의 공간에는 절연 플레이트(13) 및 지지 플레이트(14)가 구비될 수 있다.
절연 플레이트(13) 및 지지 플레이트(14)는 상부 프레임(11)의 내부 공간과 하부 프레임(12)의 내부 공간을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분리한다.
절연 플레이트(13)는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 사이에 위치된다. 절연 플레이트(13)는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을 전기적으로 이격시킨다. 이를 위해, 절연 플레이트(13)는 합성 수지 등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플레이트(13)에 의해, 상부 프레임(11) 내부에 수용된 개폐부(20), 가동 접촉자부(40) 및 아크 경로 형성부(100)와 하부 프레임(12) 내부에 수용된 코어부(30) 간의 임의 통전이 방지될 수 있다.
절연 플레이트(13)의 중심부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미도시)에는 가동 접촉자부(40)의 샤프트(4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절연 플레이트(13)의 하측에는 지지 플레이트(14)가 위치된다. 절연 플레이트(13)는 지지 플레이트(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4)는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 사이에 위치된다.
지지 플레이트(14)는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을 물리적으로 이격시킨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14)는 절연 플레이트(13)를 지지한다.
지지 플레이트(14)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플레이트(14)는 코어부(30)의 요크(33)와 함께 자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로에 의해, 코어부(30)의 가동 코어(32)가 고정 코어(31)를 향해 이동되기 위한 구동력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4)의 중심부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미도시)에는 샤프트(4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따라서, 가동 코어(32)가 고정 코어(31)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고정 코어(3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샤프트(44) 및 샤프트(44)에 연결된 가동 접촉자(43) 또한 같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2) 개폐부(20)의 설명
개폐부(20)는 코어부(30)의 동작에 따라 전류의 통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개폐부(20)는 고정 접촉자(22) 및 가동 접촉자(43)가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전류의 통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개폐부(20)는 상부 프레임(1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개폐부(20)는 절연 플레이트(13) 및 지지 플레이트(14)에 의해 코어부(30)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개폐부(20)는 아크 챔버(21), 고정 접촉자(22) 및 실링 부재(23)를 포함한다.
또한, 아크 챔버(21)의 외측에는 아크 경로 형성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아크 경로 형성부(100)는 아크 챔버(21)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아크 챔버(21)는 고정 접촉자(22) 및 가동 접촉자(43)가 이격되어 발생되는 아크(arc)를 내부 공간에서 소호(extinguish)한다. 이에, 아크 챔버(21)는 "아크 소호부"로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크 챔버(21)는 고정 접촉자(22)와 가동 접촉자(43)를 밀폐 수용한다. 즉, 고정 접촉자(22)와 가동 접촉자(43)는 아크 챔버(21) 내부에 수용된다. 따라서, 고정 접촉자(22)와 가동 접촉자(43)가 이격되어 발생되는 아크는 외부로 임의 유출되지 않게 된다.
아크 챔버(21) 내부에는 소호용 가스가 충전될 수 있다. 소호용 가스는 발생된 아크가 소호되며 기 설정된 경로를 통해 직류 릴레이(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아크 챔버(21)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벽체에는 연통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아크 챔버(21)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크 챔버(21)는 높은 내압성 및 높은 내열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발생되는 아크가 고온 고압의 전자의 흐름임에 기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아크 챔버(21)는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아크 챔버(21)의 상측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 각각에는 고정 접촉자(22)가 관통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촉자(22)는 제1 고정 접촉자(22a) 및 제2 고정 접촉자(22b)를 포함하여 두 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아크 챔버(21)의 상측에 형성되는 관통공 또한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에 고정 접촉자(22)가 관통 결합되면, 상기 관통공을 밀폐된다. 즉, 고정 접촉자(22)는 상기 관통공에 밀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발생된 아크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아크 챔버(21)의 하측은 개방될 수 있다. 아크 챔버(21)의 하측에는 절연 플레이트(13) 및 실링 부재(23)가 접촉된다. 즉, 아크 챔버(21)의 하측은 절연 플레이트(13) 및 실링 부재(23)에 의해 밀폐된다. 이에 따라, 아크 챔버(21)는 상부 프레임(11)의 외측 공간과 전기적,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아크 챔버(21)에서 소호된 아크는 기 설정된 경로를 통해 직류 릴레이(1)의 내부와 외부의 통전을 인가하거나 차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소호된 아크는 상기 연통공(미도시)을 통해 아크 챔버(2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고정 접촉자(22)는 가동 접촉자(43)와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직류 릴레이(1)의 내부와 외부의 통전을 인가하거나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고정 접촉자(22)가 가동 접촉자(43)와 접촉되면, 직류 릴레이(1)의 내부와 외부가 통전될 수 있다. 반면, 고정 접촉자(22)가 가동 접촉자(43)와 이격되면, 직류 릴레이(1)의 내부와 외부의 통전이 차단된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정 접촉자(22)는 이동되지 않는다. 즉, 고정 접촉자(22)는 상부 프레임(11) 및 아크 챔버(21)에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 접촉자(22)와 가동 접촉자(43)의 접촉 및 이격은 가동 접촉자(43)의 이동에 의해 달성된다.
고정 접촉자(22)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상부 프레임(1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일측 단부에는 전원 또는 부하가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 접촉자(2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촉자(22)는 좌측의 제1 고정 접촉자(22a) 및 우측의 제2 고정 접촉자(22b)를 포함하여, 총 두 개로 구비된다.
제1 고정 접촉자(22a)는 가동 접촉자(43)의 길이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된다. 또한, 제2 고정 접촉자(22b)는 가동 접촉자(43)의 길이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된다.
제1 고정 접촉자(22a) 및 제2 고정 접촉자(22b)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접촉자(22a) 및 제2 고정 접촉자(22b) 중 다른 하나에는 부하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1)는, 고정 접촉자(22)에 연결되는 전원 또는 부하의 방향과 무관하게 아크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아크 경로 형성부(100)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고정 접촉자(22)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가동 접촉자(43)를 향해 연장된다.
가동 접촉자(43)가 고정 접촉자(22)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하측 단부는 가동 접촉자(43)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직류 릴레이(1)의 외부와 내부가 통전될 수 있다.
고정 접촉자(22)의 상기 하측 단부는 아크 챔버(21) 내부에 위치된다.
제어 전원이 차단될 경우, 가동 접촉자(43)는 복귀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접촉자(22)에서 이격된다. 이때, 고정 접촉자(22)와 가동 접촉자(43)가 이격됨에 따라, 고정 접촉자(22)와 가동 접촉자(43) 사이에는 아크가 발생된다. 발생된 아크는 아크 챔버(21) 내부의 소호용 가스에 소호되고, 아크 경로 형성부(100)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실링 부재(23)는 아크 챔버(21)와 상부 프레임(11) 내부의 공간의 임의 연통을 차단한다. 실링 부재(23)는 절연 플레이트(13) 및 지지 플레이트(14)와 함께 아크 챔버(21)의 하측을 밀폐한다.
구체적으로, 실링 부재(23)의 상측은 아크 챔버(21)의 하측과 결합된다. 또한, 실링 부재(23)의 방사상 내측은 절연 플레이트(13)의 외주와 결합되며, 실링 부재(23)의 하측은 지지 플레이트(14)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아크 챔버(21)에서 발생된 아크 및 소호용 가스에 의해 소호된 아크는 상부 프레임(11)의 내부 공간으로 임의 유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실링 부재(23)는 실린더(37)의 내부 공간과 프레임부(10)의 내부 공간의 임의 연통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 코어부(30)의 설명
코어부(30)는 제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가동 접촉자부(4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어 전원의 인가가 해제될 경우, 코어부(30)는 가동 접촉자부(40)를 다시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코어부(30)는 외부의 제어 전원(미도시)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어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코어부(30)는 개폐부(20)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코어부(30)는 하부 프레임(12)의 내부에 수용된다. 코어부(30)와 개폐부(20)는 절연 플레이트(13) 및 지지 플레이트(14)에 의해 전기적,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코어부(30)와 개폐부(20) 사이에는 가동 접촉자부(40)가 위치된다. 코어부(30)가 인가하는 구동력에 의해 가동 접촉자부(40)가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자(43)와 고정 접촉자(22)가 접촉되어 직류 릴레이(1)가 통전될 수 있다.
코어부(30)는 고정 코어(31), 가동 코어(32), 요크(33), 보빈(34), 코일(35), 복귀 스프링(36) 및 실린더(37)를 포함한다.
고정 코어(31)는 코일(35)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magnetize)되어 전자기적 인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전자기적 인력에 의해, 가동 코어(32)가 고정 코어(31)를 향해 이동된다(도 2에서 상측 방향).
고정 코어(31)는 이동되지 않는다. 즉, 고정 코어(31)는 지지 플레이트(14) 및 실린더(37)에 고정 결합된다.
고정 코어(31)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코어(31)는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코어(31)는 실린더(37) 내부의 상측 공간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또한, 고정 코어(31)의 외주는 실린더(37)의 내주에 접촉된다.
고정 코어(31)는 지지 플레이트(14)와 가동 코어(32) 사이에 위치된다.
고정 코어(31)의 중심부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에는 샤프트(44)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고정 코어(31)는 가동 코어(32)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가동 코어(32)가 고정 코어(31)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거리는 상기 소정 거리로 제한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소정 거리는 "가동 코어(32)의 이동 거리"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고정 코어(31)의 하측에는 복귀 스프링(36)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가 접촉된다. 고정 코어(31)가 자화되어 가동 코어(32)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복귀 스프링(36)이 압축되며 복원력이 저장된다.
이에 따라, 제어 전원의 인가가 해제되어 고정 코어(31)의 자화가 종료되면, 가동 코어(32)가 상기 복원력에 의해 다시 하측으로 복귀될 수 있다.
가동 코어(32)는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고정 코어(31)가 생성하는 전자기적 인력에 의해 고정 코어(31)를 향해 이동된다.
가동 코어(32)의 이동에 따라, 가동 코어(32)에 결합된 샤프트(44)가 고정 코어(31)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샤프트(44)가 이동됨에 따라, 샤프트(44)에 결합된 가동 접촉자부(40)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고정 접촉자(22)와 가동 접촉자(43)가 접촉되어 직류 릴레이(1)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될 수 있다.
가동 코어(32)는 전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받을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동 코어(32)는 자성체 소재로 형성되거나,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동 코어(32)는 실린더(37)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가동 코어(32)는 실린더(37) 내부에서 실린더(37)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동 코어(32)는 고정 코어(31)를 향하는 방향 및 고정 코어(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코어(32)는 샤프트(44)와 결합된다. 가동 코어(32)는 샤프트(44)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코어(32)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면, 샤프트(44) 또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자(43) 또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가동 코어(32)는 고정 코어(31)의 하측에 위치된다. 가동 코어(32)는 고정 코어(31)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소정 거리는 가동 코어(3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거리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가동 코어(3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동 코어(32)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가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에는 복귀 스프링(36) 및 복귀 스프링(36)에 관통 결합된 샤프트(44)의 하측이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상기 중공부의 하측에는 관통공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와 상기 관통공은 연통된다.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샤프트(44)의 하측 단부는 상기 관통공을 향해 진행될 수 있다.
가동 코어(32)의 하측 단부에는 공간부가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는 상기 관통공과 연통된다. 상기 공간부에는 샤프트(44)의 하측 헤드부가 위치된다.
요크(33)는 제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한다. 요크(33)가 형성하는 자로는 코일(35)이 형성하는 자기장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35)은 가동 코어(32)가 고정 코어(31)를 향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요크(33)는 통전 가능한 전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요크(33)는 하부 프레임(12)의 내부에 수용된다. 요크(33)는 코일(35)을 둘러싼다. 코일(35)은 요크(33)의 내주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요크(3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요크(33)의 내부에는 보빈(34)이 수용된다. 즉, 하부 프레임(12)의 외주로부터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요크(33), 코일(35) 및 코일(35)이 권취되는 보빈(34)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요크(33)의 상측은 지지 플레이트(14)에 접촉된다. 또한, 요크(33)의 외주는 하부 프레임(12)의 내주에 접촉되거나, 하부 프레임(12)의 내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보빈(34)에는 코일(35)이 권취된다. 보빈(34)은 요크(33) 내부에 수용된다.
보빈(34)은 평판형의 상부 및 하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원통형의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보빈(34)은 실패(bobbin) 형상이다.
보빈(34)의 상부는 지지 플레이트(14)의 하측과 접촉된다. 보빈(34)의 기둥부에는 코일(35)이 권취된다. 코일(35)이 권취되는 두께는 보빈(34)의 상부 및 하부의 직경과 같거나 더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보빈(34)의 기둥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에는 실린더(37)가 수용될 수 있다. 보빈(34)의 기둥부는 고정 코어(31), 가동 코어(32) 및 샤프트(44)와 같은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코일(35)은 인가된 제어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코일(35)이 발생시키는 자기장에 의해 고정 코어(31)가 자화되어, 가동 코어(32)에 전자기적 인력이 인가될 수 있다.
코일(35)은 보빈(34)에 권취된다. 구체적으로, 코일(35)은 보빈(34)의 기둥부에 권취되어, 상기 기둥부의 방사상 외측으로 적층된다. 코일(35)은 요크(33)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어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35)은 자기장을 생성한다. 이때, 요크(33)에 의해 코일(35)이 생성하는 자기장의 세기 또는 방향 등이 제어될 수 있다. 코일(35)이 생성한 자기장에 의해 고정 코어(31)가 자화된다.
고정 코어(31)가 자화되면, 가동 코어(32)는 고정 코어(31)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전자기력, 즉 인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 코어(32)는 고정 코어(31)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복귀 스프링(36)은 가동 코어(32)가 고정 코어(31)를 향해 이동된 후 제어 전원의 인가가 해제되면, 가동 코어(32)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복귀 스프링(36)은 가동 코어(32)가 고정 코어(31)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압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이때, 저장하는 복원력은 고정 코어(31)가 자화되어 가동 코어(32)에 미치는 전자기적 인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에는 가동 코어(32)가 복귀 스프링(36)에 의해 임의로 원위치에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어 전원의 인가가 해제되면, 가동 코어(32)는 복귀 스프링(36)에 의한 복원력을 받게 된다. 물론, 가동 코어(32)의 자중(empty weight)에 의한 중력 또한 가동 코어(32)에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 코어(32)는 고정 코어(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36)은 형상이 변형되어 복원력을 저장하고,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며 복원력을 외부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귀 스프링(36)은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36)에는 샤프트(44)가 관통 결합된다. 샤프트(44)는 복귀 스프링(36)이 결합된 상태에서 복귀 스프링(36)의 형상 변형과 무관하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36)은 가동 코어(32)의 상측에 함몰 형성된 중공부에 수용된다. 또한, 고정 코어(31)를 향하는 복귀 스프링(36)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고정 코어(31)의 하측에 함몰 형성된 중공부에 수용된다.
실린더(37)는 고정 코어(31), 가동 코어(32), 복귀 스프링(36) 및 샤프트(44)를 수용한다. 가동 코어(32) 및 샤프트(44)는 실린더(37) 내부에서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실린더(37)는 보빈(34)의 기둥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위치된다. 실린더(37)의 상측 단부는 지지 플레이트(14)의 하측 면에 접촉된다.
실린더(37)의 측면은 보빈(34)의 기둥부의 내주면에 접촉된다. 실린더(37)의 상측 개구부는 고정 코어(31)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실린더(37)의 하측 면은 하부 프레임(12)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4) 가동 접촉자부(40)의 설명
가동 접촉자부(40)는 가동 접촉자(43) 및 가동 접촉자(43)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가동 접촉자부(40)에 의해 직류 릴레이(1)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될 수 있다.
가동 접촉자부(40)는 상부 프레임(1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또한, 가동 접촉자부(40)는 아크 챔버(21)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가동 접촉자부(40)의 상측에는 고정 접촉자(22)가 위치된다. 가동 접촉자부(40)는 고정 접촉자(22)를 향하는 방향 및 고정 접촉자(2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아크 챔버(21)의 내부에 수용된다.
가동 접촉자부(40)의 하측에는 코어부(30)가 위치된다. 가동 접촉자부(40)의 상기 이동은 가동 코어(32)의 이동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가동 접촉자부(40)는 하우징(41), 커버(42), 가동 접촉자(43), 샤프트(44) 및 탄성부(45)를 포함한다.
하우징(41)은 가동 접촉자(43) 및 가동 접촉자(43)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45)를 수용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41)은 일 측 및 그에 대향하는 타 측이 개방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에는 가동 접촉자(43)가 관통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41)의 개방되지 않은 측면은, 수용된 가동 접촉자(43)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41)의 상측에는 커버(42)가 구비된다. 커버(42)는 하우징(41)에 수용된 가동 접촉자(43)의 상측 면을 덮는다.
하우징(41) 및 커버(42)는 의도치 않은 통전이 방지되도록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41) 및 커버(42)는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지의 하측은 샤프트(44)와 연결된다. 샤프트(44)와 연결된 가동 코어(32)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면, 하우징(41) 및 이에 수용된 가동 접촉자(43) 또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우징(41)과 커버(42)는 임의의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41)과 커버(42)는 볼트, 너트 등의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가동 접촉자(43)는 제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고정 접촉자(22)와 접촉되어, 직류 릴레이(1)가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통전되도록 한다. 또한, 가동 접촉자(43)는 제어 전원의 인가가 해제될 경우 고정 접촉자(22)와 이격되어, 직류 릴레이(1)가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통전되지 않도록 한다.
가동 접촉자(43)는 고정 접촉자(22)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가동 접촉자(43)의 상측은 커버(42)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진다. 일 실시 예에서, 가동 접촉자(43)의 상측 면의 일부는 커버(42)의 하측 면과 접촉될 수 있다.
가동 접촉자(43)의 하측은 탄성부(45)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가동 접촉자(43)가 하측으로 임의 이동되지 않도록, 탄성부(45)는 소정 거리만큼 압축된 상태에서 가동 접촉자(43)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가동 접촉자(43)는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가동 접촉자(43)의 길이는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41)에 수용된 가동 접촉자(43)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는 하우징(4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양측 단부에는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 접촉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 돌출부에는 고정 접촉자(22)가 접촉된다.
상기 접촉 돌출부는 각 고정 접촉자(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자(43)의 이동 거리가 감소되고, 고정 접촉자(22)와 가동 접촉자(43)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동 접촉자(43)의 폭은 하우징(41)의 각 측면이 서로 이격되는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즉, 가동 접촉자(43)가 하우징(41)에 수용되면, 가동 접촉자(43)의 폭 방향 양 측면은 하우징(41)의 각 측면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자(43)가 하우징(41)에 수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샤프트(44)는 코어부(30)가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구동력을 가동 접촉자부(4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샤프트(44)는 가동 코어(32) 및 가동 접촉자(43)와 연결된다. 가동 코어(32)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경우 샤프트(44)에 의해 가동 접촉자(43) 또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샤프트(44)는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샤프트(44)의 하측 단부는 가동 코어(32)에 삽입 결합된다. 가동 코어(3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 샤프트(44)는 가동 코어(32)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샤프트(44)의 몸체부는 고정 코어(3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샤프트(44)의 몸체부에는 복귀 스프링(36)이 관통 결합된다.
샤프트(44)의 상측 단부는 하우징(41)에 결합된다. 가동 코어(32)가 이동되면, 샤프트(44) 및 하우징(41)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샤프트(44)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는 샤프트(44)의 몸체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44)가 하우징(41) 및 가동 코어(32)와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탄성부(45)는 가동 접촉자(43)를 탄성 지지한다. 가동 접촉자(43)가 고정 접촉자(22)와 접촉될 경우, 전자기적 반발력에 의해 가동 접촉자(43)는 고정 접촉자(22)에서 이격되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이때, 탄성부(45)는 가동 접촉자(43)를 탄성 지지하여, 가동 접촉자(43)가 고정 접촉자(22)에서 임의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부(45)는 형상의 변형에 의해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부(45)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동 접촉자(43)를 향하는 탄성부(45)의 일측 단부는 가동 접촉자(43)의 하측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일측 단부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는 하우징(41)의 상측에 접촉된다.
탄성부(45)는 소정 거리만큼 압축되어 복원력을 저장한 상태로 가동 접촉자(43)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자(43)와 고정 접촉자(22) 사이에서 전자기적 반발력이 발생되더라도, 가동 접촉자(43)가 임의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탄성부(45)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가동 접촉자(43)의 하측에는 탄성부(45)에 삽입되는 돌출부(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우징(41)의 상측에도 탄성부(45)에 삽입되는 돌출부(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크 경로 형성부(100)의 설명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크 경로 형성부(100)가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크 경로 형성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아크 경로 형성부(100)는 직류 릴레이(1)에 구비됨을 전제로 설명된다. 다만, 아크 경로 형성부(100)는 전자 접촉기(Magnetic Contactor), 전자 개폐기(Magnetic Switch) 등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의 접촉 및 이격에 의해 외부와 통전 및 통전 해제될 수 있는 형태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아크 경로 형성부(100)는 아크 챔버(21) 내부에 자기장을 형성한다. 직류 릴레이(1)에 통전되는 전류와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아크 챔버(21) 내부에는 전자기력이 형성된다.
고정 접촉자(22)와 가동 접촉자(43)가 이격됨에 따라 발생된 아크는, 형성된 전자기력에 의해 아크 챔버(21)의 외부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발생된 아크는 형성된 전자기력의 방향을 따로 이동된다. 이에, 아크 경로 형성부(100)는 발생된 아크가 유동되는 경로인 아크의 경로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크 경로 형성부(100)는 상부 프레임(1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된다. 아크 경로 형성부(100)는 아크 챔버(21)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아크 챔버(21)는 아크 경로 형성부(100)의 내부에 위치된다.
아크 경로 형성부(100)의 내부에는 고정 접촉자(22) 및 가동 접촉자(43)가 위치된다. 고정 접촉자(22)와 가동 접촉자(43)가 이격되어 발생된 아크는, 아크 경로 형성부(100)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력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경로 형성부(100)는 제1 할바흐 배열(110), 제2 할바흐 배열(120), 제1 자석 프레임(130) 및 제2 자석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은 고정 접촉자(22) 및 가동 접촉자(43)가 수용되는 아크 경로 형성부(100)의 내부에 함께 자기장을 형성한다. 이때,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은 자체적으로 또는 상호 간에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할바흐 배열(110)은 제1 자석 프레임(130)의 좌측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할바흐 배열(120)은 제2 자석 프레임(140)의 우측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은 고정 접촉자(22) 및 가동 접촉자(4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은 고정 접촉자(22) 및 가동 접촉자(43)에 통전되는 전류와 함께 전자기력을 형성한다. 형성된 전자기력은 고정 접촉자(22)와 가동 접촉자(43)가 이격될 경우 발생되는 아크를 유도한다.
이때, 아크 경로 형성부(100)는 그 중심부(C)에서 멀어지는 방향의 전자기력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아크의 경로 또한 중심부(C)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직류 릴레이(1)에 구비되는 각 구성 요소가 발생된 아크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더 나아가, 발생된 아크가 아크 챔버(21)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은 그 자체가 형성하는 자기장 및 상호 간에 형성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강화할 수 있다. 할바흐 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 및 자기장이 강화되는 과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은 각각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나란하게 연속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성체로 구성된다. 즉,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은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은 각각 제1 블록(111, 121), 제2 블록(112, 122) 및 제3 블록(113, 123)을 포함한다.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자성체가 각각 블록(111, 112, 133, 121, 122, 123)으로 명명되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내지 제3 블록(111, 112, 133, 121, 122, 123)은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3 블록(111, 112, 133, 121, 122, 123)은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블록(111, 112, 133, 121, 122, 123)은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3 블록(111, 112, 133, 121, 122, 123)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3 블록(111, 112, 133, 121, 122, 123) 중 제1 블록(111, 121)은 가장 후방 측에 배치되고, 제3 블록(113, 123)은 가장 전방 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2 블록(112, 122)은 제1 블록(111, 121)과 제3 블록(113, 123) 사이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블록(112, 122)은 복수 개의 고정 접촉자(22)의 배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각 고정 접촉자(22)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3 블록(111, 112, 133, 121, 122, 123)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다만, 제1 내지 제3 블록(111, 112, 133, 121, 122, 123)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블록(111, 112, 133, 121, 122, 123) 중 적어도 하나는, 전후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블록(111, 112, 133, 121, 122, 123)은 복수 개의 면을 포함한다. 각 블록(111, 112, 133, 121, 122, 123)의 상기 복수 개의 면은 할바흐 배열을 구성하도록 소정의 규칙을 따라 자화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할바흐 배열(110)의 제1 내지 제3 블록(111, 112, 113)은 각각 제2 할바흐 배열(120)의 제1 내지 제3 블록(121, 122, 123)과 좌우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블록(111, 121)은 제2 블록(112, 122)을 향하는 제1 내면(111a, 121a) 및 제2 블록(112, 122)에 반대되는 제1 외면(111b, 121b)을 포함한다.
제2 블록(112, 122)은 고정 접촉자(22) 및 가동 접촉자(43)를 향하는 제2 내면(112a, 122a) 및 고정 접촉자(22) 및 가동 접촉자(43)에 반대되는 제2 외면(112b, 122b)을 포함한다.
제3 블록(113, 123)은 제2 블록(112, 122)을 향하는 제3 내면(113a, 123a) 및 제2 블록(112, 122)에 반대되는 제3 외면(113b, 123b)을 포함한다.
이때, 제1 블록(111, 121)의 제1 내면(111a, 121a) 및 제3 블록(113, 123)의 제3 내면(113a, 123a)은 각각 제2 블록(112, 122)의 제2 외면(112b, 122b)과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된다.
따라서, 자석 프레임(130, 14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과도하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용량의 직류 릴레이(1)의 부품이 소용량 직류 릴레이(1)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조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고, 전체적인 제조 비용이 보다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할바흐 배열(110, 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이 고정 접촉자(22) 및 가동 접촉자(4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 발생된 아크가 고정 접촉자(22) 및 가동 접촉자(4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소호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접촉자(22) 및 가동 접촉자(43)를 비롯하여 직류 릴레이(1)의 작동을 위해 중심부 부근에 구비되는 각종 구성 요소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할바흐 배열(110)에 구비되는 제2 블록(112)의 제2 내면(112b)은, 제2 할바흐 배열(120)에 구비되는 제2 블록(122)의 제2 내면(122b)과 서로 반대되는 극성으로 자화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할바흐 배열(110)에 구비되는 제2 블록(112)의 제2 내면(112b)은, 제2 할바흐 배열(120)에 구비되는 제2 블록(122)의 제2 내면(122b)과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된다.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은 각각 자석 프레임(130, 140)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자석 프레임(130, 140)은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자석 프레임(130, 140)의 형상은 상부 프레임(11) 및 아크 챔버(21)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자석 프레임(130, 140)은 할바흐 배열(110, 120)의 연장 방향인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자석 프레임(130, 140)은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자석 프레임(130, 140)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자석 프레임(130) 및 제2 자석 프레임(140)이 중심부(C)를 기준으로 서로 좌우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중심부(C)의 좌측에 제1 자석 프레임(130)이 배치되고, 우측에 제2 자석 프레임(140)이 배치된다.
제1 자석 프레임(130) 및 제2 자석 프레임(140)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 공간부에는 고정 접촉자(22) 및 가동 접촉자(43)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에는 아크 챔버(21)가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공간부는 고정 접촉자(22)의 배열 방향인 좌우 방향의 길이가,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에서 가동 접촉자(43)는 고정 접촉자(22)를 향하는 방향(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방향) 또는 고정 접촉자(22)에서 멀어지는 방향(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에는 아크 챔버(21)에서 발생된 아크의 경로가 형성된다. 이는, 제1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이 형성하는 자기장에 의해 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간부의 중앙 부분은 아크 경로 형성부(100)의 중심부(C)와 일치할 수 있다.
중심부(C)는 제1 고정 접촉자(22a) 및 제2 고정 접촉자(22b)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중심부(C)의 수직 하방에는 가동 접촉자부(40)의 중심 부분이 위치된다. 즉, 중심부(C)의 수직 하방에는 하우징(41), 커버(42), 가동 접촉자(43), 샤프트(44) 및 탄성부(45) 등의 중심 부분이 위치된다.
제1 자석 프레임(130)은 그 내주면에 제1 할바흐 배열(110)이 인접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자석 프레임(130)의 고정 접촉자(22) 및 가동 접촉자(43)를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면에 제1 할바흐 배열(110)이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자석 프레임(130)은 끼움부(131), 상단 고정부(132), 하단 고정부(133) 및 스페이서(134)를 포함한다.
끼움부(131)는 제1 자석 프레임(130)과 상부 프레임(11)이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끼움부(131)는 제1 자석 프레임(130)의 상부 프레임(11)을 향하는 일 단,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단으로부터, 상부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부 프레임(11)에는 끼움부(131)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끼움부(131)는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상부 프레임(11)의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끼움부(131)는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프레임(11)의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자석 프레임(130)의 일 단,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단에는 제1 할바흐 배열(11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상단 고정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단 고정부(132)는 제1 할바흐 배열(110)의 상단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단 고정부(132)는 제1 할바흐 배열(110)을 상측에서 지지하고, 제1 할바흐 배열(110)의 상측 이동을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단 고정부(132)는 제1 자석 프레임(130)의 내주면 상단에 배치되고, 제1 자석 프레임(130)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단 고정부(13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단 고정부(132)는 제1 할바흐 배열(110)에 구비되는 블록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각 블록(111, 112, 113)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단 고정부(132)는 세 개 구비되어 제1 블록(111), 제2 블록(112) 및 제3 블록(113) 각각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1 자석 프레임(130)의 타 단,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단에는 제1 할바흐 배열(11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하단 고정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하단 고정부(133)는 제1 할바흐 배열(110)의 하단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하단 고정부(133)는 제1 할바흐 배열(110)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제1 할바흐 배열(110)의 하측 이동을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단 고정부(133)는 제1 자석 프레임(130)의 내주면 하단에 배치되고, 제1 자석 프레임(130)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하단 고정부(133)는 상단 고정부(132)와 제1 할바흐 배열(11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단 고정부(13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단 고정부(133)는 제1 할바흐 배열(110)에 구비되는 블록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각 블록(111, 112, 113)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단 고정부(133)는 세 개 구비되어 제1 블록(111), 제2 블록(112) 및 제3 블록(113) 각각의 하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자석 프레임(130)의 내주면 상에는 상단 고정부(132) 및 하단 고정부(133)와 각각 서로 이격되는 스페이서(134)가 구비된다.
스페이서(134)는 제1 할바흐 배열(110)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블록을 상호 이격시킨다.
스페이서(134)는 제1 자석 프레임(130)의 내주면 상에 배치된다. 이때, 스페이서(134)는 제1 자석 프레임(130)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스페이서(134)는 제1 할바흐 배열(110)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134)는 제1 블록(111)의 후방 측, 제1 블록(111)과 제2 블록(112) 사이, 제2 블록(112)과 제3 블록(113) 사이 및 제3 블록(113)의 전방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블록이 스페이서(134)에 의하여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할바흐 배열(110)을 구성하는 각 블록(111, 112, 113)이 상호 간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하여 이동되지 않고 상호 간의 상대적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내지 제3 블록(111, 112, 113)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착제 등 자성체를 고정하기 위한 재료가 절감될 수 있고, 직류 릴레이(1)의 전체 제조 비용이 감축될 수 있다.
제1 할바흐 배열(110)을 구성하는 각 블록(111, 112, 113)은 상호 간 인력 및 척력에 의해서 회전 모멘트가 발생될 수 있다. 스페이서(134)는 제1 할바흐 배열(110)의 각 블록(111, 112, 113)을 그 배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에서 지지하는 바, 각 블록(111, 112, 113) 간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블록(111, 112, 113)의 임의 이동에 따른 직류 릴레이(1)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크 경로 형성부(100)를 포함한 직류 릴레이(1) 전체의 내구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고, 기대 수명이 보다 연장될 수 있다.
스페이서(134)는 제1 할바흐 배열(110)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13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134)는 제1 자석 프레임(130)의 내주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34)는 제1 자석 프레임(130)의 일 부분에 방사상 내측으로 힘을 가하는 판금 가공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134)는 제1 자석 프레임(130)의 내주면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연장 방향의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134)는 제1 자석 프레임(130)의 좌측 면으로부터 우측으로 갈수록 상하 방향의 높이가 감소된다. 이는 판금 과정에서 발생되는 크랙을 최소화하고, 스페이서(134)의 돌출 폭을 최대화하여 제1 할바흐 배열(1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스페이서(134)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개의 스페이서(134) 사이에는 제1 할바흐 배열(110)에 구비되는 하나의 블록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할바흐 배열(110)에 구비되는 하나의 블록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두 개의 스페이서(134)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로 다른 두 개의 스페이서(134) 간 간격은, 상기 하나의 블록의 제1 할바흐 배열(110)의 배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간 간격이 스페이서(134)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즉, 제1 자석 프레임(130)과 제1 할바흐 배열(110)의 조립이 보다 용이해진다.
스페이서(134)는 제1 할바흐 배열(110)의 배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두께가 할바흐 배열(110, 120)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 간격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블록 사이 간격은 스페이서(134)의 두께 및 위치 등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할바흐 배열(110, 120)이 형성하는 자기장의 방향 및 세기가 보다 세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134)는 제1 할바흐 배열(110)의 배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두께가 1mm 이상 2mm 이하일 수 있다.
스페이서(134)의 전후 방향으로의 두께가 과도하게 큰 경우, 제1 할바흐 배열(110)의 각 블록(111, 112, 113) 간 자력의 크기가 감소되어 아크 경로 형성부(100) 내부에 자기장이 충분하게 형성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스페이서(134)의 전후 방향으로의 두께가 과도하게 작은 경우, 제1 할바흐 배열(110)의 각 블록(111, 112, 113) 간 척력이 증가되어 각 블록(111, 112, 113)이 임의 이탈되지 않고 그 위치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스페이서(134)는 제1 할바흐 배열(110)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134)는 제1 블록(111)과 제2 블록(112) 사이 및 제2 블록(112)과 제3 블록(113) 사이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두 개의 행으로 배치된다. 이는 스페이서(134)의 개당 좌우 방향 길이를 감소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제1 자석 프레임(130)은 고정 접촉자(22), 가동 접촉자(43),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을 사이에 두고 제2 자석 프레임(140)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2 자석 프레임(140)은 그 내주면에 제2 할바흐 배열(120)이 인접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자석 프레임(140)의 고정 접촉자(22) 및 가동 접촉자(43)를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면에 제2 할바흐 배열(120)이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자석 프레임(140)은 끼움부(141), 상단 고정부(142), 하단 고정부(143) 및 스페이서(144)를 포함한다.
끼움부(141)는 제2 자석 프레임(140)과 상부 프레임(11)이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끼움부(141)는 제2 자석 프레임(140)의 상부 프레임(11)을 향하는 일 단,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단으로부터 상부 프레임(11)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부 프레임(11)에는 끼움부(141)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끼움부(141)는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상부 프레임(11)의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끼움부(141)는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프레임(11)의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자석 프레임(140)의 일 단,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단에는 제2 할바흐 배열(12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상단 고정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단 고정부(142)는 제2 할바흐 배열(120)의 상단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단 고정부(142)는 제2 할바흐 배열(120)을 상측에서 지지하고, 제2 할바흐 배열(120)의 상측 이동을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단 고정부(142)는 제2 자석 프레임(140)의 내주면 상단에 배치되고, 제2 자석 프레임(140)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단 고정부(14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단 고정부(142)는 제2 할바흐 배열(120)에 구비되는 블록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각 블록(121, 122, 123)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단 고정부(142)는 세 개 구비되어 제1 블록(121), 제2 블록(122) 및 제3 블록(123) 각각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2 자석 프레임(140)의 타 단,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단에는 제2 할바흐 배열(12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하단 고정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하단 고정부(143)는 제2 할바흐 배열(120)의 하단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하단 고정부(143)는 제2 할바흐 배열(120)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제2 할바흐 배열(120)의 하측 이동을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단 고정부(143)는 제2 자석 프레임(140)의 내주면 하단에 배치되고, 제2 자석 프레임(140)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하단 고정부(143)는 상단 고정부(142)와 제2 할바흐 배열(12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단 고정부(14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단 고정부(143)는 제2 할바흐 배열(120)에 구비되는 블록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각 블록(121, 122, 123)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단 고정부(143)는 세 개 구비되어 제1 블록(121), 제2 블록(122) 및 제3 블록(123) 각각의 하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2 자석 프레임(140)의 내주면 상에는 상단 고정부(142) 및 하단 고정부(143)와 각각 서로 이격되는 스페이서(144)가 구비된다.
스페이서(144)는 제2 할바흐 배열(120)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블록을 상호 이격시킨다.
스페이서(144)는 제2 자석 프레임(140)의 내주면 상에 배치된다. 이때, 스페이서(144)는 제2 자석 프레임(140)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스페이서(144)는 제2 할바흐 배열(120)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144)는 제1 블록(121)의 후방 측, 제1 블록(121)과 제2 블록(122) 사이, 제2 블록(122)과 제3 블록(123) 사이 및 제3 블록(123)의 전방 측에 배치된다.
상술한 구조를 통한 스페이서(144)의 기능 및 효과는 상술한 제1 자석 프레임(130)의 스페이서(134)의 기능 및 효과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스페이서(144)는 제2 할바흐 배열(120)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14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144)는 제2 자석 프레임(140)의 내주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44)는 제2 자석 프레임(140)의 일 부분에 방사상 내측으로 힘을 가하는 판금 가공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144)는 제2 자석 프레임(140)의 내주면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연장 방향의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144)는 제2 자석 프레임(140)의 우측 면으로부터 좌측으로 갈수록 상하 방향의 높이가 감소된다. 이는 판금 과정에서 발생되는 크랙을 최소화하고, 스페이서(144)의 돌출 폭을 최대화하여 제2 할바흐 배열(12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스페이서(144)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개의 스페이서(144) 사이에는 제2 할바흐 배열(120)에 구비되는 하나의 블록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할바흐 배열(120)에 구비되는 하나의 블록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두 개의 스페이서(144)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서로 다른 두 개의 스페이서(144) 간 간격은, 상기 하나의 블록의 제2 할바흐 배열(120)의 배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144)는 제1 할바흐 배열(110)의 배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두께가 할바흐 배열(110, 120)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 간격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144)는 제2 할바흐 배열(120)의 배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두께가 1mm 이상 2mm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통한 스페이서(144)의 기능 및 효과는 상술한 제1 자석 프레임(130)의 스페이서(134)의 기능 및 효과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또한, 스페이서(144)는 제2 할바흐 배열(120)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144)는 제1 블록(121)과 제2 블록(122) 사이 및 제2 블록(122)과 제3 블록(123) 사이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두 개의 행으로 배치된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크 경로 형성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아크의 경로(A.P)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크 경로 형성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아크의 경로(A.P)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할바흐 배열(110)의 제1 내지 제3 블록(111, 112, 113)은 각각 제2 할바흐 배열(120)의 제1 내지 제3 블록(121, 122, 123)과 좌우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블록(111, 121)의 제1 내면(111a, 121a) 및 제3 블록(113, 123)의 제3 내면(113a, 123a)은 각각 제2 블록(112, 122)의 제2 외면(112b, 122b)과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된다.
따라서, 자석 프레임(130, 14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과도하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용량의 직류 릴레이(1)의 부품이 소용량 직류 릴레이(1)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조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고, 전체적인 제조 비용이 보다 절감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할바흐 배열(110)에 구비되는 제2 블록(112)의 제2 내면(112b)은, 제2 할바흐 배열(120)에 구비되는 제2 블록(122)의 제2 내면(122b)과 서로 반대되는 극성으로 자화된다.
이에 따라,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은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이때, 제1 블록(111, 121) 및 제3 블록(113, 123)이 형성하는 자기장에 의해,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은 자석 프레임(130, 140)의 내측보다 외측에 더 강하게 형성된다.
도 9(a)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류의 방향은 제2 고정 접촉자(22b)에서 가동 접촉자(43)를 거쳐 제1 고정 접촉자(22a)로 나오는 방향이다.
제1 고정 접촉자(22a)에서 플레밍의 왼손 법칙(Fleming's rule)을 적용하면, 제1 고정 접촉자(22a) 부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후방 좌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고정 접촉자(22a) 부근에서의 아크의 경로(A.P) 또한 후방 좌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 접촉자(22b)에서 플레밍의 왼손 법칙을 적용하면, 제2 고정 접촉자(22b) 부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전방 우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고정 접촉자(22b) 부근에서의 아크의 경로(A.P) 또한 전방 우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도 9(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류의 방향은 제1 고정 접촉자(22a)에서 가동 접촉자(43)를 거쳐 제2 고정 접촉자(22b)로 나오는 방향이다.
제1 고정 접촉자(22a)에서 플레밍의 왼손 법칙(Fleming's rule)을 적용하면, 제1 고정 접촉자(22a) 부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전방 좌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고정 접촉자(22a) 부근에서의 아크의 경로(A.P) 또한 전방 좌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 접촉자(22b)에서 플레밍의 왼손 법칙을 적용하면, 제2 고정 접촉자(22b) 부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후방 우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고정 접촉자(22b) 부근에서의 아크의 경로(A.P) 또한 후방 우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의 각 면의 극성이 각각 변경될 경우,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가 된다. 이에 따라, 발생되는 전자기력 및 아크의 경로(A.P) 또한 전후 방향이 반대로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할바흐 배열(110)에 구비되는 제2 블록(112)의 제2 내면(112b)은, 제2 할바흐 배열(120)에 구비되는 제2 블록(122)의 제2 내면(122b)과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된다.
이에 따라, 제1 할바흐 배열(1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형성되고, 제2 할바흐 배열(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블록(111, 121) 및 제3 블록(113, 123)이 형성하는 자기장에 의해,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은 자석 프레임(130, 140)의 내측보다 외측에 더 강하게 형성된다.
도 10(a)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류의 방향은 제2 고정 접촉자(22b)에서 가동 접촉자(43)를 거쳐 제1 고정 접촉자(22a)로 나오는 방향이다.
제1 고정 접촉자(22a)에서 플레밍의 왼손 법칙(Fleming's rule)을 적용하면, 제1 고정 접촉자(22a) 부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후방 좌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고정 접촉자(22a) 부근에서의 아크의 경로(A.P) 또한 후방 좌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 접촉자(22b)에서 플레밍의 왼손 법칙을 적용하면, 제2 고정 접촉자(22b) 부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후방 우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고정 접촉자(22b) 부근에서의 아크의 경로(A.P) 또한 후방 우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도 10(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류의 방향은 제1 고정 접촉자(22a)에서 가동 접촉자(43)를 거쳐 제2 고정 접촉자(22b)로 나오는 방향이다.
제1 고정 접촉자(22a)에서 플레밍의 왼손 법칙(Fleming's rule)을 적용하면, 제1 고정 접촉자(22a) 부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전방 좌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고정 접촉자(22a) 부근에서의 아크의 경로(A.P) 또한 전방 좌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 접촉자(22b)에서 플레밍의 왼손 법칙을 적용하면, 제2 고정 접촉자(22b) 부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전방 우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고정 접촉자(22b) 부근에서의 아크의 경로(A.P) 또한 전방 우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의 각 면의 극성이 각각 변경될 경우,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가 된다. 이에 따라, 발생되는 전자기력 및 아크의 경로(A.P) 또한 전후 방향이 반대로 형성된다.
정리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아크 경로 형성부(100)는, 제1 할바흐 배열(110) 및 제2 할바흐 배열(120)의 극성 또는 직류 릴레이(1)에 통전되는 전류의 방향과 무관하게, 전자기력 및 아크의 경로(A.P)를 중심부(C)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중심부(C)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직류 릴레이(1)의 각 구성 요소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발생된 아크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바, 직류 릴레이(1)의 작동 신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 직류 릴레이
10: 프레임부
11: 상부 프레임
12: 하부 프레임
13: 절연 플레이트
14: 지지 플레이트
20: 개폐부
21: 아크 챔버
22: 고정 접촉자
22a: 제1 고정 접촉자
22b: 제2 고정 접촉자
23: 실링 부재
30: 코어부
31: 고정 코어
32: 가동 코어
33: 요크
34: 보빈
35: 코일
36: 복귀 스프링
37: 실린더
40: 가동 접촉자부
41: 하우징
42: 커버
43: 가동 접촉자
44: 샤프트
45: 탄성부
100: 아크 경로 형성부
110: 제1 할바흐 배열
111: 제1 블록
111a: 제1 내면
111b: 제1 외면
112: 제2 블록
112a: 제1 내면
112b: 제1 외면
113: 제3 블록
113a: 제1 내면
113b: 제1 외면
120: 제2 할바흐 배열
121: 제1 블록
121a: 제1 내면
121b: 제1 외면
122: 제2 블록
122a: 제1 내면
122b: 제1 외면
123: 제3 블록
123a: 제1 내면
123b: 제1 외면
130: 제1 자석 프레임
131: 끼움부
132: 상단 고정부
133: 하단 고정부
134: 스페이서
140: 제2 자석 프레임
141: 끼움부
142: 상단 고정부
143: 하단 고정부
144: 스페이서
A.P: 아크의 경로

Claims (12)

  1. 내부에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자석 프레임; 및
    상기 공간부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자석 프레임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자성체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록을 포함하는 할바흐 배열(Halbach array)을 포함하고,
    상기 할바흐 배열은,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일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3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록 및 제3 블록은,
    각각 상기 제2 블록을 향하는 면이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고정 접촉자에 반대되는 면과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되는,
    아크 경로 형성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일 방향의 길이가 타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할바흐 배열은,
    상기 자석 프레임의 일 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할바흐 배열; 및
    상기 자석 프레임의 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할바흐 배열과 상기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할바흐 배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은,
    각각 상기 제2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과 상기 타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아크 경로 형성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2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향하는 면이 서로 반대되는 극성으로 자화되는,
    아크 경로 형성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2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향하는 면이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되는,
    아크 경로 형성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프레임은,
    상기 자석 프레임의 내주면 상에 배치되되, 상기 할바흐 배열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 프레임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일 방향에서의 두께가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 간격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하나의 블록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스페이서가 구비되되, 상기 서로 다른 두 개의 스페이서의 간격이 상기 하나의 블록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아크 경로 형성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상기 일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크 경로 형성부.
  7.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 접촉자;
    상기 고정 접촉자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가동 접촉자;
    내부에 상기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자석 프레임; 및
    상기 공간부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자석 프레임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자성체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블록을 포함하는 할바흐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할바흐 배열은,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일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3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록 및 제3 블록은,
    각각 상기 제2 블록을 향하는 면이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고정 접촉자에 반대되는 면과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되는,
    직류 릴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일 방향의 길이가 타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할바흐 배열은,
    상기 자석 프레임의 일 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할바흐 배열; 및
    상기 자석 프레임의 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할바흐 배열과 상기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할바흐 배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은,
    각각 상기 제2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과 상기 타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직류 릴레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2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향하는 면이 서로 반대되는 극성으로 자화되는,
    직류 릴레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블록 및 상기 제2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향하는 면이 동일한 극성으로 자화되는,
    직류 릴레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프레임의 내주면 상에 배치되되, 상기 할바흐 배열의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 프레임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일 방향에서의 두께가 상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블록 사이 간격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상기 스페이서는,
    그 간격이 상기 할바흐 배열에 구비되는 하나의 블록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직류 릴레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 제2 블록 및 제3 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상기 일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류 릴레이.
KR1020230033299A 2022-06-28 2023-03-14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40002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21284 WO2024191017A1 (ko) 2022-06-28 2023-12-21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605 2022-06-28
KR20220078605 2022-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156A true KR20240002156A (ko) 2024-01-04

Family

ID=8954243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300A KR20240002157A (ko) 2022-06-28 2023-03-14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0230033298A KR20240002155A (ko) 2022-06-28 2023-03-14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0230033299A KR20240002156A (ko) 2022-06-28 2023-03-14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300A KR20240002157A (ko) 2022-06-28 2023-03-14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0230033298A KR20240002155A (ko) 2022-06-28 2023-03-14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20240002157A (ko)
WO (3) WO202419101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952B1 (ko) 2012-01-02 2017-01-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303A (ko) 2005-02-17 2006-08-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영구자석을 이용한 접점유지형 릴레이
CN203312085U (zh) * 2013-06-21 2013-11-27 苏州华锦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压直流继电器的灭弧装置
CN205656975U (zh) * 2016-05-18 2016-10-19 沈阳工业大学 用于断路器的圆筒形非晶合金永磁同步直线电机操动机构
CN206672862U (zh) * 2017-05-09 2017-11-24 浙江英洛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敞开式高压直流继电器
CN107507736A (zh) * 2017-08-25 2017-12-22 浙江英洛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灭弧的继电器
KR102452358B1 (ko) * 2020-06-29 2022-10-07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524506B1 (ko) * 2020-06-29 2023-04-21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452357B1 (ko) * 2020-06-29 2022-10-07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497462B1 (ko) * 2020-10-28 2023-02-08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628377B1 (ko) 2021-06-16 2024-01-23 주식회사 유라 릴레이
CN114695015B (zh) * 2022-04-28 2024-05-17 西安交通大学 一种基于海尔贝克永磁体纵向磁场的真空灭弧室
CN218385030U (zh) * 2022-09-23 2023-01-24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绝缘罩与灭弧磁路连接结构及高压直流继电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952B1 (ko) 2012-01-02 2017-01-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155A (ko) 2024-01-04
KR20240002157A (ko) 2024-01-04
WO2024191017A1 (ko) 2024-09-19
WO2024191015A1 (ko) 2024-09-19
WO2024191016A1 (ko) 2024-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179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689914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US20240145196A1 (en) Arc path forming unit and direct current relay comprising same
KR102452357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US20230411096A1 (en) Arc path formation unit and direct current relay including same
US20230290599A1 (en) Arc path-forming part and direct current relay comprising same
US11978604B2 (en) Arc path forming unit and direct current relay comprising same
US20220406545A1 (en) Arc path formation unit and direct current relay including same
KR102524506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452362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452358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20240002156A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US20220293379A1 (en) Arc path forming unit and direct current relay comprising same
KR102452356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US12046434B2 (en) Arc path generation unit and direct current relay including same
KR102452361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US20230326694A1 (en) Arc path formation unit and direct current relay including same
KR102339180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US20230352258A1 (en) Arc path generation unit and direct current relay including same
KR102640537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640509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278651B1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US20230260728A1 (en) Arc path formation unit and direct current relay comprising same
KR20240141574A (ko) 아크 경로 형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US20240339276A1 (en) Arc path formation unit and direct current relay compris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