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028A -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및 방법, 및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및 방법, 및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028A
KR20240002028A KR1020220079141A KR20220079141A KR20240002028A KR 20240002028 A KR20240002028 A KR 20240002028A KR 1020220079141 A KR1020220079141 A KR 1020220079141A KR 20220079141 A KR20220079141 A KR 20220079141A KR 20240002028 A KR20240002028 A KR 20240002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gas
emissions
emission
inventory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호
정지화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7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028A/ko
Publication of KR20240002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 Y02P90/845Inventory and reporting systems for greenhouse gases [GH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대상 지역의 배출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배출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출원 목록을 작성하고, 상기 배출원 목록을 기반으로 배출원 각각의 활동자료를 수집하고, 상기 배출원 각각의 활동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배출원 각각의 배출량을 산출하여 전체 배출원의 배출량을 산정함으로써 상기 배출원 각각의 배출량을 포함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작성하는 인벤토리 관리부, 상기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분석대상 기간에 해당하는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는 베이스라인 관리부, 및 상기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각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정하는 감축계획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및 방법, 및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URBAN ENERGY GREENHOUSE GAS INVENTORY CON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CARBON EMISS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및 방법, 및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도시화와 에너지 사용 증가로 온실가스 배출량은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는 가운데 지구 온난화를 규제 및 방지하기 위한 국가별 탄소중립 선언이 이어지고 있다. 대한민국도 탄소중립기본법을 제정하고,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를 40%로 설정하였다.
우리나라의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결과 에너지 부문은 총 배출량의 87%로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정부는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 절감 정책 등 다양한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도시는 전체 에너지 소비의 약 60~80%를 차지하고 있고, 탄소배출량 또한 75% 정도로 기후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에 도시 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을 이행하기 위한 국가는 교토의정서에서 규정하고 있는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항(SF6) 등 6대 온실가스를 대상으로 인벤토리를 작성하고 있다. 국가 온실가스 통계의 경우 국가 전체의 온실가스 배출 데이터의 유연한 유동적인 관리를 위해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여 구성 항목을 구분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의 온실가스 통계의 경우 국가가 구성하고 있는 항목에 맞춰 배출량 통계를 작성하는 것이 데이터를 기반에 둔 다양한 활동에 유용하지만, 지자체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사업 발굴, 예산확보, 사업 시행 등을 고려하는 경우 국가 체계의 온실가스 구성 항목보다 세분화된 배출량 자료가 필요하다.
국가 및 IPCC 보고서,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지침에 기반한 도시 탄소관리 인벤토리를 작성하고 배출량 세분화를 통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서비스가 필요하다. 감축 정책 및 사업실적 운영현황의 경우 특별 광역시를 제외한 각 시도별 지자체는 별도로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지자체의 감축 실적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운영 규정 및 서비스가 필요하다.
정부에서는 이를 관리하기 위해 지자체별로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를 배분하고, 도시탄소관리시스템(Urban Carbon Management System, UCMS)에서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를 입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 입력 방식으로 지자체의 특성을 반영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가 불가능하고, 개별 건축물 단위로 에너지 사용계획 및 친환경 건축물 인증 수준으로만 관리되고 있다. 또한, 도시에너지 데이터와 연계가 되지 않아 정확성 및 편리성이 취약하며, 감축량 목표 및 실적 관리가 어려운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탄소중립도시 실현을 위한 기술로써, 다양한 지자체 특성을 수용하는 범용 인벤토리 구축이 가능하고, 도시 전체 및 소규모 지역 단위까지 프로젝트 방식으로 인벤토리를 관리하여 감축 계획 및 실적 관리가 가능하고, 에너지, 교통 및 자원 데이터 연계를 통해 자동화된 실적 관리가 가능한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및 방법, 및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대상 지역의 배출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배출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출원 목록을 작성하고, 상기 배출원 목록을 기반으로 배출원 각각의 활동자료를 수집하고, 상기 배출원 각각의 활동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배출원 각각의 배출량을 산출하여 전체 배출원의 배출량을 산정함으로써 상기 배출원 각각의 배출량을 포함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작성하는 인벤토리 관리부, 상기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분석대상 기간에 해당하는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는 베이스라인 관리부, 및 상기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각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정하는 감축계획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벤토리 관리부는 직접배출에 해당하는 제1 배출량 데이터와 간접배출에 해당하는 제2 배출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직접배출과 상기 간접배출에 대한 배출량 산정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배출량 산정 방법에서 상기 직접배출에 해당하는 제1 범위는 온실가스가 직접적으로 배출 및 흡수되는 배출원으로 에너지 분야, 산업공정 및 AFOLU 분야, 폐기물 분야로 구분되고, 상기 간접배출에 해당하는 제2 범위는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간접배출량으로 전력소비, 열소비, 폐기물 발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라인 관리부는 배출원을 선택하고, 각 부문별 활동자료를 획득하고, 상기 활동자료 당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을 나타내는 배출계수를 획득하고, 각각의 활동자료에 대응하는 배출계수를 곱하여 상기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라인 관리부는 상기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을 통해 전체 또는 부문별 탄소배출량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감축계획 관리부는 건축, 신재생에너지, 교통 및 자원을 포함하는 감축계획 부문 사업을 선택하고, 감축요소 당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을 나타내는 배출계수를 획득하고, 각각의 감축요소의 감축 사용량에 상기 배출계수를 곱하여 상기 각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감축계획 관리부는 상기 각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량 산출을 통해 전체 또는 부문별 탄소감축량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상기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요소별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배출량 기준으로 온실가스 증감률 분석, 감축계획을 반영한 저감량 분석을 포함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종합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배출량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도시 전체 또는 소규모 지역 단위로 지역을 설정하고, 지역별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사용자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대상 지역과 기간, 대상 지역의 면적, 인구수, 세대수를 설정하고, 탄소관리 대상 부문으로 건축, 신재생에너지, 교통, 자원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프로젝트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에 의한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방법은, 대상 지역의 배출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배출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출원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배출원 목록을 기반으로 배출원 각각의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배출원 각각의 활동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배출원 각각의 배출량을 산출하고 전체 배출원의 배출량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배출원 각각의 배출량을 포함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량 데이터는 직접배출에 해당하는 제1 배출량 데이터 및 간접배출에 해당하는 제2 배출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방법은 상기 직접배출과 상기 간접배출에 대한 배출량 산정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량 산정 방법에서 상기 직접배출에 해당하는 제1 범위는 온실가스가 직접적으로 배출 및 흡수되는 배출원으로 에너지 분야, 산업공정 및 AFOLU 분야, 폐기물 분야로 구분되고, 상기 간접배출에 해당하는 제2 범위는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간접배출량으로 전력소비, 열소비, 폐기물 발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은 대상 지역의 배출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배출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출원 목록을 작성하고, 상기 배출원 목록을 기반으로 배출원 각각의 활동자료를 수집하고, 상기 배출원 각각의 활동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배출원 각각의 배출량을 산출하여 전체 배출원의 배출량을 산정함으로써 상기 배출원 각각의 배출량을 포함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작성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및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온실가스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벤토리 현황 관리부를 포함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접속을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프로젝트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 현황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무분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베이스 라인 현황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계획요소 현황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국내외 온실가스 정책을 확인하고 상기 온실가스 정책을 프로젝트 현황, 인벤토리 현황, 베이스라인 현황, 계획요소 현황에 반영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정책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온실가스 배출량 종합 분석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배출량 분석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상기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분석대상 기간에 해당하는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각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정할 수 있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직접배출에 해당하는 제1 배출량 데이터와 간접배출에 해당하는 제2 배출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직접배출과 상기 간접배출에 대한 배출량 산정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각 부문별 활동자료를 획득하고, 상기 활동자료 당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을 나타내는 배출계수를 획득하고, 각각의 활동자료에 대응하는 배출계수를 곱하여 상기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건축, 신재생에너지, 교통 및 자원을 포함하는 감축계획 부문 사업을 선택하고, 감축요소 당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을 나타내는 배출계수를 획득하고, 각각의 감축요소의 감축 사용량에 상기 배출계수를 곱하여 상기 각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상기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요소별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배출량 기준으로 온실가스 증감률 분석, 감축계획을 반영한 저감량 분석을 포함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종합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도시 전체 또는 소규모 지역 단위로 지역을 설정하고, 지역별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사용자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대상 지역과 기간, 대상 지역의 면적, 인구수, 세대수를 설정하고, 탄소관리 대상 부문으로 건축, 신재생에너지, 교통, 자원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지자체 특성을 수용하는 범용 인벤토리 구축이 가능하고, 도시 전체 및 소규모 지역 단위까지 프로젝트 방식으로 인벤토리를 관리하여 감축 계획 및 실적 관리가 가능하고, 에너지, 교통 및 자원 데이터 연계를 통해 자동화된 실적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고객별 탄소포인트 자동 산출을 통해 인센티브 혜택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시민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량 분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이 스마트시티 에너지 플랫폼의 데이터와 연동하는 에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의 관리시스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프로젝트 단위의 탄소배출량 종합 배출정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인벤토리별 배출정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인벤토리별 상세 감축계획 설정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감축계획 대비 인벤토리별 감축량 분석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탄소포인트 자동산출을 통한 시민 혜택 서비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은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100) 및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온실가스로 탄소가 대표될 수 있다.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 프로젝트 관리부(120), 인벤토리 관리부(130), 베이스라인 관리부(140), 감축계획 관리부(150) 및 배출량 분석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관리부(210), 프로젝트 현황 관리부(220), 인벤토리 현황 관리부(230), 베이스라인 현황 관리부(240), 계획요소 현황 관리부(250), 정책 관리부(260) 및 배출량 분석 관리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지자체별로 지역(도시 범위)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도시 전체 또는 소규모 지역(예를 들어, 구 단위, 읍 단위, 면 단위, 동 단위 등) 단위로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 관리부(210)와 연동하여 사용자(예를 들어, 도시 관리자)의 접속을 승인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지자체와 지역별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사용자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젝트 관리부(120)는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프로젝트 관리부(120)는 프로젝트 기본 설정을 위한 대상 지역과 기간, 대상 지역의 면적, 인구수, 세대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부(120)는 탄소관리 대상 부문으로 건축, 신재생에너지, 교통, 자원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인벤토리 관리부(130)는 설정된 대상 지역에 적용할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설정할 수 있다. 온실가스 인벤토리는 교토의정서에서 규정한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등 6가지 온실가스로 규정할 수 있다. 온실가스 인벤토리는 조직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배출원의 정량화된 목록으로 인간활동에 의한 온실가스가 어디에서 얼마만큼 배출되는지에 대한 종합적 현황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온실가스 배출 특성을 적절히 반영해야 하며, 지자체가 정책으로써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는 경계가 반영되도록 구현해야 한다(타당성). 온실가스 인벤토리 범위 내 발생하는 모든 배출원을 포함해야 하고, 예외 사항에 대해서는 반드시 사유를 명시해야 한다(완전성).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배출량의 의미 있는 비교를 위해 범위, 산정 방법 등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변화 사항에 대해 명확히 기술해야 한다(일관성).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조사과정, 절차, 가정 등의 정보가 명확하고, 제3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공개해야 한다(투명성). 배출량의 추정 또는 측정치는 측정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실제 배출량보다 많거나 적지 않아야 하며,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충분히 합리적이어야 한다(정확성).
온실가스 인벤토리는 탄소 배출원을 설정하는 것으로, 탄소 배출원은 직접배출(제1 범위)과 간접배출(제2 범위)로 구성될 수 있다. 직접배출은 에너지, 공정배출, 농업 및 산림, 기타 토지이용, 폐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간접배출은 전력, 열에너지, 상수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 배출원에 대한 배출계수는 국제 가이드라인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인벤토리 관리부(130)는 국내외 온실가스 정책을 반영한 도시에 적합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6년 IPCC 가이드라인,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지점 Ver 4.0(2016.02, 한국환경공단), 지자체 온실가스 통합관리지침 Ver 1.0(2013.12, 한국환경공단),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감축정책 제안 보고서(2011, 서울시), 광주광역시 온실가스 인벤토리 2016 보고서(국제기후환경센터) 등의 국내외 온실가스 정책이 반영될 수 있다.
2006년 IPCC (Guideline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ISO14064-1) 가이드라인은 국가의 인벤토리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배출량은 직접배출(에너지, 공정배출, 농업 및 산림, 기타 토지이용, 폐기물)과 간접배출(전력, 열에너지, 상수도)로 구성된다. 2006 IPCC 가이드라인은 기존 가이드라인에 비해 배출원의 세분화를 통해 정밀도가 높아지고, 최근까지 계속해서 개정되고 있지만, 국가 차원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한 것으로 도시 차원의 관리를 위해서는 재분배를 필요로 한다.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벤토리 관리부(130)는 대상 지역의 배출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10). 배출량 데이터는 대상 지역에서 직접배출(제1 범위)에 해당하는 에너지, 공정배출, 농업 및 산림, 기타 토지이용, 폐기물 등의 제1 배출량 데이터와 간접배출(제2 범위)에 해당하는 전력, 열에너지, 상수도 등의 제2 배출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벤토리 관리부(130)는 배출량 데이터에 대한 주요 배출인자를 추출하여 경계를 설정할 수 있다(S120).
그리고 인벤토리 관리부(130)는 배출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출원 목록을 작성할 수 있다(S130).
인벤토리 관리부(130)는 배출원 목록을 기반으로 직접배출과 간접배출에 대한 배출량 산정 방법을 설정하고(S140), 배출원 각각의 활동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S150).
인벤토리 관리부(130)는 배출원 각각의 활동자료를 기반으로 배출원 각각의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전체 배출원의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S160).
인벤토리 관리부(130)는 지역별 특징을 고려하여 배출원 각각의 배출량을 포함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작성(구축)할 수 있다(S170).
이러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은 임의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IPCC, GHG 프로토콜(온실가스 회계 처리 및 보고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소비량 산정보고에 관한 지침 등 다양한 인벤토리 구축을 위한 지침을 준용하여 탄소 배출량 요소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여 신뢰성 있는 온실가스 인벤토리로 구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울시, 광주지, 전라남도, 나주시의 인벤토리 분석 및 통계연감을 분석하여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에 적용할 수 있다.
배출량 산정 방법에서 제1 범위(Scope1)는 온실가스가 직접적으로 배출 및 흡수되는 배출원으로 에너지 분야, 산업공정 및 AFOLU(Agriculture, Forestry and Other Land Use) 분야, 폐기물 분야 등으로 구분되며, 간접배출에 해당하는 제2 범위(Scope2)는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간접배출량으로 전력소비, 열소비, 폐기물 발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아울러, 중복산정으로 인한 혼란 방지를 위해 별도의 범위(Scope)로 배출원이 구분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범위(Scope),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구분하여 발생원에 대한 온실가스 인벤토리가 구축될 수 있다. 지자체 인벤토리 구성을 위한 배출량 분류체계는 기본적으로 2006 IPCC G/L을 따르나, 지자체 온실가스 인벤토리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서 일부 카테고리를 세분화하고, 기존 통계자료 구축 및 접근성의 한계로 인한 일부 카테고리를 통합 및 변경하여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온실가스 인벤토리는 온실가스 배출현황 파악, 미래배출량 예측, 감축목표 설정, 감축정책 이행결과 평가 등 기후변화대응의 전 단계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으로 배출원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고, 관리 권한을 고려한 체계적 배출목록을 파악할 수 있다. 배출량 전망은 각 분야별 배출량을 전망할 수 있으며, 감축 목표설정은 감축량 목표년도로 설정할 수 있다.
감축계획 수립은 온실가스 저감 시나리오 작성, 분야별 대책수립 및 감축량 산정 계획에 활용될 수 있다. 감축 이행 및 평가는 배출량 및 활동자료 모니터링, 종합계획 이행결과 재반영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지자체는 배출의 당사자이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실질적 저감의 주체로서, 산업계의 온실가스를 줄이는데 치중하던 정부 정책이 최근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여 가정, 상업 등 비산업 부문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토지이용, 대중교통이용, 대중교통체계, 건물에너지 효율성, 자원재활용, 신재생에너지 이용 등 주요 의사결정에 직간접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국내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설계 근거는 한국환경공단의 지자체 온실가스 통합관리지침과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지침, 서울시 및 광주광역시 지자체 온실가스 인벤토리 자료를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경우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범용성과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범용성을 극대화하여 각 지자체별로 산정기준을 정하고 지자체에 맞는 배출원을 선택하여 베이스라인을 선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라인 관리부(140)는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베이스라인 관리부(140)는 직접배출의 인벤토리와 간접배출의 인벤토리에 따라 사용 연료 및 사용량을 기반으로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감축계획 관리부(150)는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각 부문별 향후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정할 수 있다. 감축계획 관리부(150)는 감축요소 및 사용량을 기반으로 향후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정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 및 온실가스 감축량 산출 과정에 대하여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을 통해 기준이 되는 온실가스 배출량 추출이 완료되면, 베이스라인 관리부(140)는 분석대상 기간에 해당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분석대상 기간에 해당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베이스라인 배출량이라 할 수 있다. 베이스라인 배출량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 담당자는 분석대상 기간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과거와 비교하여 얼마나 감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라인 관리부(140)는 직접배출(제1 범위)과 간접배출(제2 범위)의 배출원을 선택할 수 있다(S210).
그리고 베이스라인 관리부(140)는 배출량 산출을 위한 각 부문별 활동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S220). 활동자료는 에너지로 사용되는 연료 사용량, 전력 소비량, 제품 생산량, 산림 면적, 비료 시비량, 폐기물 발생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라인 관리부(140)는 국가 및 지자체의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활동자료를 획득될 수 있다. 베이스라인 관리부(140)는 국가 및 지자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활동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
베이스라인 관리부(140)는 활동자료 당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을 나타내는 배출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S230). 배출계수는 단위 배출량 산정계수 및 변수를 반영할 수 있으며, 각 부문별로 다양한 배출계수가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라인 관리부(140)는 각각 활동자료에 대응되는 배출계수를 곱하여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S240).
베이스라인 관리부(140)는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을 통해 전체 또는 부문별 탄소배출량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S25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은 향후 얼마나 온실가스를 감축할 것인지 감축계획을 설정하는 것으로, 각 부문별(예를 들어, 전기, 수도, 가스, 신재생, 자원 등) 감축요소를 정하고 얼마나 감축할 것인지 개량화된 정보를 입력하여 감축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이다.
감축계획 관리부(150)는 감축계획 부문 사업을 선택할 수 있다(S310). 감축계획 부문은 건축, 신재생에너지, 교통, 자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축계획 관리부(150)는 감축요소와 감축 사용량(소비 감축 적용량)을 입력받을 수 있다(S320). 감축요소는 전력, 가스, 열 등의 에너지 감축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감축계획 관리부(150)는 감축요소 당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을 나타내는 배출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S330). 감축계획 관리부(150)는 각 부문별 배출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감축계획 관리부(150)는 각각의 감축요소의 감축 사용량에 배출계수를 곱하여 각 부문별 온실가스 감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S340). 표 1은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발전 부문의 배출식을 나타내는 일 예이다.
감축계획 관리부(150)는 각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량 산출을 통해 전체 또는 부문별 탄소감축량을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S350).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배출량 분석부(160)는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배출량 분석부(160)는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요소별 온실가스 배출량 상세분석, 배출량 기준으로 온실가스 증감률 분석, 감축계획을 반영한 저감량 분석 등을 포함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종합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및 감축량을 산출하고, 온실가스 배출량 종합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축, 산출 및 생성된 정보는 도시 관리자가 담당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200)에 제공될 수 있다.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200)의 사용자 관리부(210)는 시/도(province) 단위의 전체 사용자(도시 관리자) 또는 읍/면/동 단위의 단위지역 사용자(지역 관리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사용자 정보 관리부(10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접속을 관리할 수 있다.
프로젝트 현황 관리부(220)는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프로젝트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프로젝트 현황 관리부(220)는 프로젝트 관리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별 프로젝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인벤토리 현황 관리부(230)는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인벤토리 현황 관리부(230)는 인벤토리 관리부(13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별 온실가스 인벤토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라인 현황 관리부(240)는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베이스라인 현황 관리부(240)는 베이스라인 관리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별 베이스라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계획요소 현황 관리부(250)는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계획요소 현광 관리부(250)는 감축계획 관리부(150)로부터 제공되는 감축요소 및 사용량을 기반으로 산정된 사용자별 온실가스 감축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정책 관리부(260)는 사용자가 국내외 온실가스 정책을 확인하고 온실가스 정책을 프로젝트 현황, 인벤토리 현황, 베이스라인 현황, 계획요소 현황 등에 반영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배출량 분석 관리부(270)는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온실가스 배출량 종합 분석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배출량 분석 관리부(270)는 배출량 분석부(16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별 온실가스 배출량 종합 분석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은 에너지 사용량, 교통, 자원 등의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300)를 구축하여 활용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온실가스 인벤토리,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량, 온실가스 배출량 종합 분석 정보 등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 관리시스템, 교통기관, 자원기관, 에너지기관 등의 데이터베이스 등의 외부 시스템(400)과 연계하여 구축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에 의한 탄소 배출량 분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량 분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은 사용자에 따라 탄소 관리 단위를 설정할 수 있다(S410). 탄소 관리 단위는 시/도(province) 단위의 전체 탄소배출량 분석을 담당하는 전체지역 단위와 승인된 읍/면/동 단위의 탄소배출량 분석을 담당하는 단위지역 단위로 나뉠 수 있다. 시/도 단위에서는 읍/면/동 단위의 사용을 관리하고, 읍/면/동의 탄소배출량 데이터를 확인하여 시/도 전체 탄소배출량 목표 및 실적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은 대상 지역의 탄소배출량을 분석할 부문(건축, 신재생, 교통, 자원 등)을 선택하고 대상 지역과 기간, 인구, 세대 수 등의 기본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할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S420). 관리자 및 사용자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결과에 대한 리포트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기본정보를 입력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은 분석할 도시의 어떤 요소에서 탄소배출이 일어나는지 파악하고 분석하여 인벤토리를 설정할 수 있다(S430). 탄소배출에 대한 것을 목록화하는 인벤토리 구축을 통해 각 지자체의 어디에서 어느 정도의 탄소가 배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고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목표 관리제의 기본 환경이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인벤토리 구축은 배출량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주요 배출인자를 따로 추려내는 경계 설정을 하게 된다. 그리고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은 배출원에 대한 목록을 작성한 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추출 및 적용할 수 있다.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은 최종적으로 배출량을 산정하고, 그에 대한 지역 특성을 고려한 인벤토리를 구축할 수 있다.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은 인벤토리 구축을 통해 기준이 되는 탄소배출량 추출이 완료되면 분석대상 기간에 해당하는 베이스라인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S440). 베이스라인 배출량을 통해, 도시 탄소배출량 관리 담당자는 분석하고자 하는 기간에 대한 탄소배출량이 과거와 비교하여 얼마나 감축됐는지 확인할 수 있다.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은 탄소배출량을 향후 얼마나 감축할 것인지 감축계획을 설정할 수 있다(S450). 각 부문별(전기, 수도, 가스, 신재생, 자원 등) 감축계획 요소를 정하고 얼마나 감축할 것인지 계량화된 정보가 입력되면 감축계획을 수립하는 작업이 된다.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은 인벤토리 구축을 통해서 비교 대상 탄소배출량을 산정하고, 베이스라인 배출량 산정을 통해서 분석 대상 기간에 해당하는 탄소배출량을 산정하며, 감축계획 입력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분석 결과에 향후 과거에 비교해서 얼마나 탄소배출이 될 것인지 탄소배출량을 분석할 수 있다(S460). 도시 계획 담당자는 감축계획 요소를 적용했을 시 탄소배출량이 어떻게 될 것인지 파악할 수 있다.
도 1 내지 5에서 상술한,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100),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200) 등은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에 대하여 도 6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이 스마트시티 에너지 플랫폼의 데이터와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은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각 프로젝트의 배출량을 조회하고, 감축계획 정보를 설정하고, 계산된 배출량에 따라 다양한 산출결과를 분석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입력 데이터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수도/가스/난방 사용량 데이터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및 ESS 충/방전량, 차량등록대수, 지역별 인구수, 자원 분야에서 쓰레기 매립/소각량, 음식물쓰레기, 하수처리 데이터이다.
배출량이 산출된 베이스라인 정보에 해당하는 부문별(건축, 신재생, 교통, 자원) 감축계획 사업을 선택하여 통계 데이터 및 적용비율 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하는 사업이 반영된 감축계획 사업의 배출량이 산출된다.
정책관리는 관리자 권한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인벤토리, 배출원, 감축계획 요소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배출원 단위로 배출량 계산 및 데이터 자동 연계를 설정할 수 있으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사용량 데이터가 추가되면 정책관리 추가로 편리하게 연계할 수 있다. 감축계획 요소는 배출원 단위로 다수 설정할 수 있으며, 추후 감축계획 요소를 발굴하여 정책에 반영하면 자동으로 감축계획에 반영 산출되도록 지원한다.
도시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정책 진행 및 목표 진도 관리가 가능하며 도시 특성을 반영한 인벤토리 정의 및 부문 베이스라인별 탄소배출량 산출이 가능하다. 부문별 탄소배출량 감축계획 수립 및 성과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통계관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의 관리시스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관리시스템 화면을 통해 진행단계별 프로젝트의 생성 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단계를 클릭하면 단계별 진행중인 프로젝트 리스트가 표시된다. 최근 수정한 프로젝트의 내용과 진행 상황을 알 수 있으며, 전체 탄소배출량 종합 수치를 그래프로 나타내며 부가적 서비스의 링크를 제공한다.
생성된 프로젝트 목록이 표시되며, 프로젝트 목록을 클릭하면 현 진행단계의 상태에 따라 프로젝트의 내용이 표시되고, 프로젝트 생성은 프로젝트명, 조회기간, 진행부문, 설명을 입력형태에 맞춰 진행될 수 있다.
도 8은 프로젝트 단위의 탄소배출량 종합 배출정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인벤토리별 배출정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프로젝트 생성이 완료되면 선택한 부문과 기간에 따라 연계되어 있는 데이터의 배출량이 산출되고, 도 8 및 9와 같이 배출량 조회 단계로 이동한다. 배출량 산정기준은 조회기간의 배출량인 조회배출량, 조회기간의 전년동월인 전년배출량, 전년을 제외한 이전 3년간 동월 평균인 기준배출량, 감축계획을 설정한 감축배출량으로 나뉘며 각 인벤토리별 배출원과 부문에 따른 상세 배출량이 제공된다.
해당 인벤토리별 배출원의 배출량을 클릭하면 상세 배출량 산정값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연계되지 않은 데이터는 배출량을 수동 입력하여 배출량에 반영할 수 있다. 배출량 조회가 완료되면 진행하고자 하는 인벤토리 배출원을 선택하여 감축계획 설정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은 인벤토리별 상세 감축계획 설정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감축계획은 인벤토리별 배출원의 감축계획 요소를 기준으로 감축활동 계획을 설계하는 기능으로 감축계획 추가 기능을 통하여 감축계획을 도시한 바와 같이 설계할 수 있다. 설계가 완료된 항목은 조회배출량을 기준으로 감축값이 자동 적용된다.
감축계획 요소는 정책관리에서 설정된 요소들이 나열되며 해당 감축계획 요소를 설계한 후 반영하면 감축배출량이 산출된다. 감축계획 설정이 완료되면 분석결과리포트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은 감축계획 대비 인벤토리별 감축량 분석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분석결과는 전체 배출량과 감축량을 부문별로 조회하는 '분석결과 종합', 인벤토리 배출원별로 상세 배출량을 조회하는 '인벤토리별 분석', 감축계획 설정에 따른 감축량을 조회하는 '감축계획 리포트'의 세가지 분석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감축계획에서 설정된 기간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감축이행결과 단계로 이동하며 실제 감축이 진행되었는지 분석하는 기준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2는 탄소포인트 자동산출을 통한 시민 혜택 서비스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은 도시에너지 사용량에 기반한 탄소배출량을 환산하여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탄소포인트 혜택 기능을 서비스함으로써 대민차원의 에너지 절감의식을 높이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세대의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하여 탄소배출량을 자동 산출하고 탄소포인트 혜택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대민차원의 탄소 절감의식 고취와 탄소포인트 혜택을 통해 시민이 직접 에너지 절감을 체감할 수 있으며 탄소포인트 제도에 가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은 활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전국 176개 지방자치단체(시, 도, 군)에서는 정부로부터 할당된 탄소배출량을 매년 실적관리를 의무적으로 해야 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의 활용성이 우수하다. 특히, 정부는 스마트시티 구축을 매년 5개 이상 지자체에 보급하여 2030년까지 50개 이상을 계획이며, 스마트시티 에너지 플랫폼 구축이 되면 에너지 사용량(전력, 가스, 열) 데이터를 연동하여 쉽게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지자체별 특성이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범용 인벤토리 형태의 서비스 구축을 통해 지자체 인벤토리의 특성을 반영하기 쉽다. 베이스라인 및 감축(계획) 요소 자동 반영으로 인벤토리 변경 시 별도의 배출요소를 정의하고 통계 데이터 확보를 위한 업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에너지 부문 및 비에너지 부분에서 도시 탄소배출량을 시스템적으로 관리하고 도시 탄소 배출량을 지속적으로 관리 및 서비스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시티 플랫폼의 에너지 사용량에 기반한 탄소배출량을 환산하여 탄소포인트 자동 산출 및 혜택을 서비스함으로써 대민차원의 에너지 절감의식 고취할 수 있다. 스마트시티를 도입하는 지자체 환경관리 및 정책 담당자가 국가온실가스관리시스템(NGMS)과 병행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국가 녹색성장의 중심에는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가 핵심이며 각 도시 담당자는 명확한 근거로 제시할 수 있는 탄소 배출량 관리를 위한 서비스로 활용할 수 있다. 심도있는 탄소배출원 분석을 통해서 정확한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계량화된 탄소 배출량 산정을 통해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확히 산정할 수 있다. 도시계획 설계 및 환경정책 수립 시 부문별 탄소 배출량을 예측하고, 도시 탄소 배출량에 따른 성과지표를 계량화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관련 정책 수립과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110: 사용자 정보 관리부
120: 프로젝트 관리부
130: 인벤토리 관리부
140: 베이스라인 관리부
150: 감축계획 관리부
160: 배출량 분석부
200: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
210: 사용자 관리부
220: 프로젝트 현황 관리부
230: 인벤토리 현황 관리부
240: 베이스라인 현황 관리부
250: 계획요소 현황 관리부
260: 정책 관리부
270: 배출량 분석 관리부
300: 데이터베이스
400: 외부 시스템

Claims (28)

  1. 대상 지역의 배출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배출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출원 목록을 작성하고, 상기 배출원 목록을 기반으로 배출원 각각의 활동자료를 수집하고, 상기 배출원 각각의 활동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배출원 각각의 배출량을 산출하여 전체 배출원의 배출량을 산정함으로써 상기 배출원 각각의 배출량을 포함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작성하는 인벤토리 관리부;
    상기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분석대상 기간에 해당하는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는 베이스라인 관리부; 및
    상기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각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정하는 감축계획 관리부를 포함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벤토리 관리부는 직접배출에 해당하는 제1 배출량 데이터와 간접배출에 해당하는 제2 배출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직접배출과 상기 간접배출에 대한 배출량 산정 방법을 설정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 산정 방법에서 상기 직접배출에 해당하는 제1 범위는 온실가스가 직접적으로 배출 및 흡수되는 배출원으로 에너지 분야, 산업공정 및 AFOLU 분야, 폐기물 분야로 구분되고, 상기 간접배출에 해당하는 제2 범위는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간접배출량으로 전력소비, 열소비, 폐기물 발생으로 구분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라인 관리부는 배출원을 선택하고, 각 부문별 활동자료를 획득하고, 상기 활동자료 당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을 나타내는 배출계수를 획득하고, 각각의 활동자료에 대응하는 배출계수를 곱하여 상기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라인 관리부는 상기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을 통해 전체 또는 부문별 탄소배출량 통계를 산출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축계획 관리부는 건축, 신재생에너지, 교통 및 자원을 포함하는 감축계획 부문 사업을 선택하고, 감축요소 당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을 나타내는 배출계수를 획득하고, 각각의 감축요소의 감축 사용량에 상기 배출계수를 곱하여 상기 각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출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축계획 관리부는 상기 각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량 산출을 통해 전체 또는 부문별 탄소감축량 통계를 산출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요소별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배출량 기준으로 온실가스 증감률 분석, 감축계획을 반영한 저감량 분석을 포함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종합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배출량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도시 전체 또는 소규모 지역 단위로 지역을 설정하고, 지역별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사용자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대상 지역과 기간, 대상 지역의 면적, 인구수, 세대수를 설정하고, 탄소관리 대상 부문으로 건축, 신재생에너지, 교통, 자원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프로젝트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11.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에 의한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방법에 있어서,
    대상 지역의 배출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배출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출원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배출원 목록을 기반으로 배출원 각각의 활동자료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배출원 각각의 활동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배출원 각각의 배출량을 산출하고 전체 배출원의 배출량을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배출원 각각의 배출량을 포함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 데이터는 직접배출에 해당하는 제1 배출량 데이터 및 간접배출에 해당하는 제2 배출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배출과 상기 간접배출에 대한 배출량 산정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 산정 방법에서 상기 직접배출에 해당하는 제1 범위는 온실가스가 직접적으로 배출 및 흡수되는 배출원으로 에너지 분야, 산업공정 및 AFOLU 분야, 폐기물 분야로 구분되고, 상기 간접배출에 해당하는 제2 범위는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간접배출량으로 전력소비, 열소비, 폐기물 발생으로 구분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방법.
  15. 대상 지역의 배출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배출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출원 목록을 작성하고, 상기 배출원 목록을 기반으로 배출원 각각의 활동자료를 수집하고, 상기 배출원 각각의 활동자료를 기반으로 상기 배출원 각각의 배출량을 산출하여 전체 배출원의 배출량을 산정함으로써 상기 배출원 각각의 배출량을 포함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작성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및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온실가스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벤토리 현황 관리부를 포함하는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접속을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프로젝트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 현황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무분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베이스 라인 현황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계획요소 현황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국내외 온실가스 정책을 확인하고 상기 온실가스 정책을 프로젝트 현황, 인벤토리 현황, 베이스라인 현황, 계획요소 현황에 반영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정책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21.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온실가스 배출량 종합 분석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배출량 분석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22. 제15 항 내지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상기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분석대상 기간에 해당하는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고, 상기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각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정하는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직접배출에 해당하는 제1 배출량 데이터와 간접배출에 해당하는 제2 배출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직접배출과 상기 간접배출에 대한 배출량 산정 방법을 설정하는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24.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각 부문별 활동자료를 획득하고, 상기 활동자료 당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을 나타내는 배출계수를 획득하고, 각각의 활동자료에 대응하는 배출계수를 곱하여 상기 각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는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25.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건축, 신재생에너지, 교통 및 자원을 포함하는 감축계획 부문 사업을 선택하고, 감축요소 당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을 나타내는 배출계수를 획득하고, 각각의 감축요소의 감축 사용량에 상기 배출계수를 곱하여 상기 각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출하는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26.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상기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요소별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배출량 기준으로 온실가스 증감률 분석, 감축계획을 반영한 저감량 분석을 포함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종합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27.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도시 전체 또는 소규모 지역 단위로 지역을 설정하고, 지역별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사용자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28.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는 대상 지역과 기간, 대상 지역의 면적, 인구수, 세대수를 설정하고, 탄소관리 대상 부문으로 건축, 신재생에너지, 교통, 자원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KR1020220079141A 2022-06-28 2022-06-28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및 방법, 및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KR20240002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141A KR20240002028A (ko) 2022-06-28 2022-06-28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및 방법, 및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141A KR20240002028A (ko) 2022-06-28 2022-06-28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및 방법, 및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028A true KR20240002028A (ko) 2024-01-04

Family

ID=8954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141A KR20240002028A (ko) 2022-06-28 2022-06-28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및 방법, 및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0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22654A (zh) * 2024-01-08 2024-02-06 珠江水利委员会珠江水利科学研究院 一种基于灰水足迹的减污降碳协同度分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22654A (zh) * 2024-01-08 2024-02-06 珠江水利委员会珠江水利科学研究院 一种基于灰水足迹的减污降碳协同度分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monen et al. Benchmarking the embodied carbon of buildings
Lee et al. Energy retrofit analysis toolkits for commercial buildings: A review
US78534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nd reporting emissions
Caritte et al. Enhancing corporate environmental performance through reporting and roadmaps
Johansson et al. Energy performance certificates and 3-dimensional city models as a means to reach national targets–A case study of the city of Kiruna
Wang et al. Big data: New tend to sustainable consumption research
Ferdosi et al. BIM applications in sustainable construction: scientometric and state-of-the-art review
Keirstead et al. Using activity‐based modeling to simulate urban resource demands at high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s
EP43071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nd predicting forecasts for carbon emissions
D'Angelo et al. A novel BIM-based process workflow for building retrofit
Pardo-García et al. Sustainable and Resource Efficient Cities platform–SureCity holistic simulation and optimization for smart cities
Beattie et al. Measuring carbon for urban development planning
Kamaruzzaman et al. Development of a non-domestic building refurbishment scheme for Malaysia: A Delphi approach
Buessler et al. Evaluating the complex governance arrangements surrounding energy retrofitting programs: The case of collective ownership buildings in France
KR20240002028A (ko) 도시에너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장치 및 방법, 및 탄소배출량 관리시스템
Butler et al. Understanding digital eco-innovation in municipalities: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de Carvalho et al. Mapping of regulatory actors and processes related to cloud-based energy management environments using the Apriori algorithm
Li et al.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and urban residents’ well-being: a system dynamics approach
Xu et al. Stakeholder-associated impact factors of building energy performance gap and their intersections: A social network analysis
Chen et al. Approach to establish carbon emission benchmarking for construction materials
Mattinzioli et al. A critical review of life cycle assessment benchmarking methodologies for construction materials
Kumar et al. Performance based rating and energy performance benchmarking for commercial buildings in India
Wang et al. An urban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its computer implementation
Hsieh et al. Eco-efficiency model for green building material in a subtropical climate
Xing et al. Exploring the use of systems dynamics in sustainable urban retrofit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