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834A - Resin Composition - Google Patents

Resin Com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834A
KR20240001834A KR1020220078621A KR20220078621A KR20240001834A KR 20240001834 A KR20240001834 A KR 20240001834A KR 1020220078621 A KR1020220078621 A KR 1020220078621A KR 20220078621 A KR20220078621 A KR 20220078621A KR 20240001834 A KR20240001834 A KR 20240001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weight
group
carbon atoms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6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혜란
김규선
이현민
안성용
이미연
최형삼
김상곤
강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220078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834A/en
Publication of KR2024000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834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2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214/06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폴리머 및 그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우수한 항균성을 가지고, 해당 항균성의 지속성이 우수한 폴리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또한 폴리머에서 얻고자 하는 상기 항균성 외의 물성도 상기 항균성의 도입에 의해 손상 및 훼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확보 내지 개선되는 폴리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또한 상기 폴리머의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This application can provide polymers and their uses. In this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ymer that has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excellent durability of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olymer in which physical properties other than the antibacterial property desired to be obtained from the polymer are not damaged or damag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antibacterial property, and are stably secured or improved. The present application may also provide uses of the polymer.

Description

폴리머{Resin Composition}Polymer{Resin Composition}

본 출원은, 폴리머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polymers.

항균성을 가지는 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한 몇가지 접근 방식이 있다. There are several approaches to preparing polymer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가장 대표적인 방식은, 항균제를 폴리머와 배합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고, 항균제로는 대표적으로 무기계 항균제와 유기계 항균제가 사용된다. The most representative method is to use a material that combines an antibacterial agent with a polymer, and inorganic antibacterial agents and organic antibacterial agents are typically used as antibacterial agents.

무기계 항균제는 유기계 항균제 대비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고, 열 안정성도 우수하다. 그렇지만, 상기 무기계 항균제는, 고가이며, 재료가 쉽게 변색되고, 압출이나 사출 등의 가공 과정에서 폴리머의 물리적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무기계 항균제는, 항균 즉효성이 낮다.Inorganic antibacterial agents have superior stability to the human body and thermal stability compared to organic antibacterial agents. However, the inorganic antibacterial agent is expensive, easily discolors the material, and can deterior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during processing such as extrusion or injection. Additionally, inorganic antibacterial agents have low immediate antibacterial effectiveness.

유기계 항균제는, 무기계 항균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항균 즉효성도 우수하다. 그렇지만, 유기계 항균제는,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좋지 않고, 열 안정성 등이 좋지 않아서 항균 지속성이 떨어진다.Organic antibacterial agents are relatively inexpensive compared to inorganic antibacterial agents and have excellent immediate antibacterial effectiveness. However, organic antibacterial agents have poor stability to the human body and poor thermal stability, resulting in poor antibacterial persistence.

항균성을 가지는 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항균제를 폴리머와 단순 배합하지 않고,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항균제를 적용하여, 폴리머 사슬에 항균제를 도입하는 방식이 있다.Another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is to introduce the antibacterial agent into the polymer chain by applying an antibacterial agent with a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rather than simply mixing the antibacterial agent with the polymer.

그렇지만, 이 방식에서는, 폴리머의 중합 과정에서 별도의 단량체가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중합이 설계된 바와 같이 진행되지 않아서 폴리머의 분자량 등의 특성이 원하는 대로 확보되지 않거나, 폴리머에 따라서 해당 폴리머가 나타내어야 할 고유의 장점이 훼손될 수 있다. However, in this method, since a separate monomer is applied during the polymerization process, the polymerization does not proceed as designed, and the properties such as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are not secured as desired, or depending on the polymer, the properties that the polymer should exhibit are not guaranteed. Its unique advantages may be damaged.

또한, 폴리머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기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는 항균제의 중합 효율이 떨어져서 중합 과정에서 항균제의 도입 효율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 목적하는 항균성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polymer, the polymerization efficiency of the antibacterial agent having the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is low, so the introduction efficiency of the antibacterial agent during the polymerization process is low, and as a result, the desired antibacterial property is often not obtained.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이하, “PVC”)은, 다양한 제품에 넓게 사용되는 폴리머 재료이다. 예를 들면, PVC는, 창호, 벽지나 바닥재 등의 건축 자재, 파이프, 자동차 부품, 호스, 채소나 과일의 하우스 재배에 이용되는 농업용 필름 또는 공사용 시트 등의 제조에 이용된다. Polyvinyl chloride (poly(vinyl chlori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VC”) is a polymer material widely used in a variety of products. For example, PVC is used in the manufacture of building materials such as windows and doors, wallpaper and flooring, pipes, automobile parts, hoses, agricultural films used for house cultivation of vegetables and fruits, and construction sheets.

PVC가 다양한 분야에서 넓게 사용되는 이유는, PVC가 가소제, 열안정제 또는 충전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와 잘 섞이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PVC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is because PVC has the property of mixing well with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izers, heat stabilizers, or fillers.

이러한 PVC에 대해서 상기 PVC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적절한 항균성을 부여하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제이다.It is not an easy task to provide appropriate antibacterial properties to such PVC while maintaining its advantages.

본 출원은, 폴리머 및 그 용도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는 우수한 항균성을 가지고, 해당 항균성의 지속성이 우수한 폴리머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에서는 또한 폴리머에서 얻고자 하는 상기 항균성 외의 물성도 상기 항균성의 도입에 의해 손상 및 훼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확보 내지 개선되는 폴리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에서는 또한 상기 폴리머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polymers and their uses. One purpose of this application is to provide a polymer that has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excellent durability of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aims to provide a polymer in which physical properties other than the antibacterial property desired to be obtained from the polymer are not damaged or damag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antibacterial property, and are stably secured or improved.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aims to provide uses for the polymer.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온도가 그 물성에 영향을 주는 물성은,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상온에서 측정한 물성이다.Among the physical properties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the physical properties where the measurement temperature affects the physical properties are those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unless otherwise specified.

용어 상온은 가온 및 감온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로서, 예를 들면, 약 10℃ 내지 30℃의 범위 내의 어느 한 온도, 예를 들면, 약 15℃, 약 18℃, 약 20℃, 약 23℃ 또는 약 25℃ 정도의 온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온도의 단위는 ℃이다.The term room temperature refers to a natural temperature that is not heated or reduced, for example, any temperature in the range of about 10°C to 30°C, for example, about 15°C, about 18°C, about 20°C, about 23°C. Or it means a temperature of about 25℃. 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unit of temperature is ℃.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압력이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해당 물성은 상압에서 측정한 물성이다. 용어 상압은 가압 및 감압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압력으로서 통상 약 1 기압(약 700 내지 800 mmHg 정도) 정도를 상압으로 지칭한다.Among the physical properties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in cases where the measurement pressure affects the resul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physical properties are those measured at normal pressure. The term normal pressure refers to natural pressure that is not pressurized or decompressed, and is usually referred to as atmospheric pressure of about 1 atmosphere (about 700 to 800 mmHg).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습도가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해당 물성은 상기 상온 및 상압 상태에서 특별히 조절되지 않은 습도에서 측정한 물성이다.In cases where humidity affects the results of the physical properties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physical properties are those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with humidity not specifically adjusted.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를 의미한다. 상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는 직쇄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일 수 있으며,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alkyl group or alkoxy group refers to an alkyl group or alkoxy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1 to 12 carbon atoms, 1 to 8 carbon atoms, or 1 to 4 carbon ato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alkyl group or alkoxy group may be a straight-chain, branched, or cyclic alkyl group or alkoxy group, and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2 내지 20, 탄소수 2 내지 16, 탄소수 2 내지 12, 탄소수 2 내지 8 또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의미한다. 상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는 직쇄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으며,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A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term alkenyl group or alkynyl group refers to an alkenyl group or alkynyl group having 2 to 20 carbon atoms, 2 to 16 carbon atoms, 2 to 12 carbon atoms, 2 to 8 carbon atoms, or 2 to 4 carbon atoms. do. The alkenyl group or alkynyl group may be straight-chain, branched, or cyclic, and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렌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2 내지 20, 탄소수 2 내지 16, 탄소수 2 내지 12, 탄소수 2 내지 8 또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킬렌기는 직쇄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렌기일 수 있으며,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alkylene group may refer to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20 carbon atoms, 2 to 16 carbon atoms, 2 to 12 carbon atoms, 2 to 8 carbon atoms, or 2 to 4 carbon ato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alkylene group may be a straight-chain, branched, or cyclic alkylene group, and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리덴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리덴이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킬리덴이기는 직쇄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리덴기일 수 있으며,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alkylidene group may mean an alkylidene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1 to 12 carbon atoms, 1 to 8 carbon atoms, or 1 to 4 carbon ato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alkylidene group may be a straight-chain, branched, or cyclic alkylidene group, and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본 명세서에서 알킬렌기 및 알킬리덴기는 모두 알칸에서 2개의 수소 원자가 이탈되면서 형성된 치환기를 의미하고, 상기 알킬렌기는, 알칸에서 다른 탄소 원자의 수소 원자가 이탈되어 형성된 치환기이며, 알킬리덴기는 알칸에서 하나의 탄소 원자의 2개의 수소 원자가 이탈되어 형성된 치환기이다.In this specification, both an alkylene group and an alkylidene group refer to a substituent formed by removing two hydrogen atoms from an alkane. The alkylene group is a substituent formed by removing a hydrogen atom from another carbon atom in an alkane, and an alkylidene group refers to a substituent formed by removing two hydrogen atoms from an alkane. It is a substituent formed by removing two hydrogen atoms from a carbon atom.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케닐렌기 또는 알키닐렌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2 내지 20, 탄소수 2 내지 16, 탄소수 2 내지 12, 탄소수 2 내지 8 또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케닐렌기 또는 알키닐렌기를 의미한다. 상기 알케닐렌기 또는 알키닐렌기는 직쇄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으며,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lkenylene group or alkynylene group refers to an alkenylene group or alkynylene having 2 to 20 carbon atoms, 2 to 16 carbon atoms, 2 to 12 carbon atoms, 2 to 8 carbon atoms, or 2 to 4 carbon ato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eans energy. The alkenylene group or alkynylene group may be straight-chain, branched, or cyclic, and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하나의 벤젠, 2개 이상의 벤젠이 하나 또는 2개의 탄소 원자를 공유하면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임의의 링커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유래하는 1가 또는 2가 잔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예를 들면, 탄소수 6 내지 30, 탄소수 6 내지 25, 탄소수 6 내지 21, 탄소수 6 내지 18 또는 탄소수 6 내지 13의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일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ryl group or arylene group, unless specifically defined otherwise, is a structure in which one benzene, two or more benzene are connected while sharing one or two carbon atoms, or are connected by an arbitrary linker. It may refer to a monovalent or divalent residue derived from a compound containing or a derivative thereof.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aryl group or arylene group is, for example, an aryl group or arylene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6 to 25 carbon atoms, 6 to 21 carbon atoms, 6 to 18 carbon atoms, or 6 to 13 carbon atoms. You can.

본 출원에서 용어 방향족 구조는 상기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를 의미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 aromatic structure refers to the aryl group or arylene group.

본 출원에서 용어 단일 결합은 해당 부위에 별도의 원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C로 표시된 구조에서 B가 단일 결합인 경우에 B로 표시되는 부위에 별도의 원자가 존재하지 않고, A와 C가 직접 연결되어 A-C로 표시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 single bond may mean a case where no separate atom exists at the corresponding site. For example, in a structure indicated by A-B-C, if B is a single bond, there is no separate atom at the site indicated by B, and A and C are directly connected to form a structure indicated by A-C.

본 출원에서 알킬기, 알콕시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킬렌기, 알킬리덴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 등에 임의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치환기로는, 히드록시기, 할로겐, 카복실기, 글리시딜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기옥시, 메타크릴로일기옥시기, 티올기,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콕시기 또는 아릴기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substituents that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such as an alkyl group, alkoxy group, alkenyl group, alkynyl group, alkylene group, alkylidene group, alkenylene group, alkynylene group, aryl group, or arylene group include hydroxy group, halogen, and carboxyl. Group, glycidyl group, acryloyl group, methacryloyl group, acryloyl group oxy group, methacryloyl group oxy group, thiol group, alkyl group, alkenyl group, alkynyl group, alkoxy group or aryl group, etc. may be exemplified. It is not limited to this.

본 출원은 폴리머에 대한 것이다. This application relates to polymers.

본 출원의 폴리머는, 염화비닐(Vinyl Chloride)계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고, 항균성을 가지는 폴리머일 수 있다. The polym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 polymer that contains vinyl chloride-based monomer units and has antibacterial properties.

본 명세서에서 항균성을 가진다는 것은, ASTM E2149 또는 JIS Z2801에 의거하여 측정한 정균 감소율이 50%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정균 감소율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서 기재한다. 상기 정균 감소율은 다른 예시에서 55% 이상, 55% 이상, 60% 이상,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1% 이상, 92% 이상, 93% 이상, 94% 이상, 95% 이상 또는 95.3%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정균 감소율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정균 감소율은 100% 이하 또는 100% 미만일 수 있다.As used herein, having antibacterial properties means that the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measured according to ASTM E2149 or JIS Z2801 is 50% or more. The specific measurement method of the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is described in the Examples. In other examples, the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is 55% or more, 55% or more, 60% or more, 65% or more, 70% or more, 75% or more, 80% or more, 85% or more, 90% or more, 91% or more, 92% or more. , may be 93% or more, 94% or more, 95% or more, or 95.3%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he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may be 100% or less or less than 100%.

본 출원에서 폴리머의 항균성은 폴리머가 포함하는 양이온성 작용기에 의해서 도출된다. 일반적으로 세균 등의 세포벽은 음전하로 하전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상기 양이온성 작용기는 상기 세포벽에 대한 파괴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application,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the polymer are derived from the cationic functional group contained in the polymer. In general, cell walls such as bacteria are often negatively charged, and the cationic functional group can destroy the cell wall.

본 출원의 항균성은 유기계 항균제의 항균성에 기반한다. 유기계 항균제는, 무기계 항균제 대비 저가이고, 항균 즉효성이 우수하지만, 열 안정성 등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서 항균 지속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유기계 항균제는, 중합성이 있는 경우에도 폴리머의 제조 과정에서 중합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폴리머 사슬 내에 적절하게 포함되지 않고, 그에 따라 폴리머가 원하는 항균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기 중합성을 가지는 유기계 항균제는 폴리머의 물성에 영향을 미쳐서 상기 폴리머의 고유의 장점을 훼손하는 경우도 많다.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based on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organic antibacterial agents. Organic antibacterial agents are less expensive than inorganic antibacterial agents and have excellent immediate antibacterial effect, but are known to have poor thermal stability and thus low antibacterial persistence. In addition, even if organic antibacterial agents are polymerizable, polymerization efficiency is low during the polymer manufacturing process, so they are not properly incorporated into the polymer chain, and as a result, the polymer often does not exhibit the desired antibacterial properties. In addition, the polymerizable organic antibacterial agent often affect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thereby damaging the inherent advantages of the polymer.

그렇지만, 본 출원에서는 특정한 구조의 유기계 항균성 작용기를 가지는 단위와 염화비닐계 단량체 단위를 공중합에 의해 조합시킴으로써, 상기 유기계 항균제를 중합체 사슬에 효율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항균제의 장점인 항균 즉효성은 유지 또는 개선하면서도,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 단위에 의해 도출되는 장점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application, by combining a unit having an organic antibacterial functional group of a specific structure with a vinyl chloride monomer unit through copolymerization, the organic antibacterial agent can be efficiently incorporated into the polymer chain, and thus the antibacterial agent's advantage, immediate antibacterial effect, can be achieved. While maintaining or improving, the advantages derived from the vinyl chloride monomer unit can also be stably maintained.

본 출원의 폴리머는 상기 우수한 항균성과 항균 지속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폴리머에서 얻고자 하는 고유의 물성도 유지되거나 개선될 수 있다. The polym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the above-mentioned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antibacterial persistence, while also maintaining or improving the inherent physical properties desired from the polymer.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폴리머는,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 단위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위 PVC(poly(vinyl chloride))계 폴리머일 수 있는데, PVC계 폴리머의 장점은, 가공이 용이하고, 가소제, 열안정제 또는 충전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와 잘 섞이는 특성이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olymer may be a so-called PVC (poly(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ntaining the vinyl chloride-based monomer unit as a main component. The advantages of the PVC-based polymer include easy processing, plasticizer, and heat stabilizer. It has the property of mixing well with various materials such as fillers.

본 출원의 폴리머는 적절하고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내면서 상기와 같은 PVC계 폴리머의 장점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 polym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exhibits appropriate and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while stably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the PVC-based polymer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면, 상기 폴리머는, 20 중량% 이상의 CPA(cold plasticizer absorption)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머의 CPA는 다른 예시에서 22 중량% 이상, 24 중량% 이상, 26 중량% 이상, 28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또는 32 중량% 이상 정도이거나, 60 중량% 이하, 58 중량% 이하, 56 중량% 이하, 54 중량% 이하, 52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8 중량% 이하, 46 중량% 이하, 44 중량% 이하, 42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8 중량% 이하, 36 중량% 이하, 34 중량% 이하 또는 32 중량%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CPA는 PVC에 대해서 CPA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ASTM D3367 규격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lymer may exhibit a CPA (cold plasticizer absorption) of 20% by weight or more. In other examples, the CPA of the polymer is about 22% by weight or more, 24% by weight or more, 26% by weight or more, 28% by weight or more, 30% by weight or more, or 32% by weight or more, or 60% by weight or less, 58% by weight or less, 56% by weight or less, 54% by weight or less, 52% by weight or less, 50% by weight or less, 48% by weight or less, 46% by weight or less, 44% by weight or less, 42% by weight or less, 40% by weight or less, 38% by weight or less, It may be about 36% by weight or less, 34% by weight or less, or 32% by weight or less. The CPA can be confirmed by the general method of measuring CPA for PVC, and specifically can be confirmed by the ASTM D3367 standard.

예를 들면, 상기 폴리머는, 0.2 내지 0.8의 범위 내의 BD(Bulk Density)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머의 BD는 다른 예시에서 0.25 이상, 0.3 이상, 0.35 이상, 0.4 이상, 0.45 이상 또는 0.5 이상 정도이거나, 0.75 이하, 0.7 이하, 0.65 이하, 0.6 이하, 0.55 이하 또는 0.5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BD는 PVC에 대해서 BD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ASTM D1895 규격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lymer may exhibit a BD (Bulk Density) in the range of 0.2 to 0.8. In other examples, the BD of the polymer may be 0.25 or more, 0.3 or more, 0.35 or more, 0.4 or more, 0.45 or more, or 0.5 or more, or 0.75 or less, 0.7 or less, 0.65 or less, 0.6 or less, 0.55 or less, or 0.5 or less. The BD can be confirmed by the general method of measuring BD for PVC, and specifically can be confirmed by the ASTM D1895 standard.

예를 들면, 상기 폴리머는, 입자 형태일 수 있으며, 약 50 μm 내지 300 μm의 범위 내의 평균 입경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입자 형태의 폴리머의 평균 입경은 다른 예시에서 60 μm 이상, 70 μm 이상, 80 μm 이상, 90 μm 이상, 100 μm 이상, 110 μm 이상, 120 μm 이상, 130 μm 이상 또는 140 μm 이상 정도이거나, 290 μm 이하, 280 μm 이하, 270 μm 이하, 260 μm 이하, 250 μm 이하, 240 μm 이하, 230 μm 이하, 220 μm 이하, 210 μm 이하, 200 μm 이하, 190 μm 이하, 180 μm 이하, 170 μm 이하, 160 μm 이하 또는 150 μm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평균 입경은 PVC에 대해서 평균 입경을 측정하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ASTM D1921 규격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lymer may be in the form of particles and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about 50 μm to 300 μm. In other example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olymer in the form of particles is about 60 μm or more, 70 μm or more, 80 μm or more, 90 μm or more, 100 μm or more, 110 μm or more, 120 μm or more, 130 μm or more, or 140 μm or more, 290 μm or less, 280 μm or less, 270 μm or less, 260 μm or less, 250 μm or less, 240 μm or less, 230 μm or less, 220 μm or less, 210 μm or less, 200 μm or less, 190 μm or less, 180 μm or less, 170 μm or less It may be about 160 μm or less or 150 μm or les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can be confirmed by a general method of measuring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PVC, and specifically, it can be confirmed by the ASTM D1921 standard.

이러한 폴리머는, 중량평균분자량(Mw: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이 7만 내지 20만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서 후술하는 실시예 항목의 방식에 따라 측정한 것이고, 그 단위는 g/mol이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다른 예시에서 75,000 이상, 80,000 이상, 85,000 이상, 90,000 이상 또는 95,000 이상이거나, 150,000 이하 또는 100,000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These polymers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in the range of 70,000 to 200,000. In this applica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measured by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Examples described later, and the unit is g/mol. In other example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ay be 75,000 or more, 80,000 or more, 85,000 or more, 90,000 or more, or 95,000 or more, or 150,000 or less or 100,000 or less.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머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량체 단위 또는 단위는 어떤 단량체가 중합 후에 폴리머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olymer may include vinyl chloride-based monomer units. In this specification, monomer unit or unit refers to the state in which a certain monomer is included in the polymer after polymerization.

상기에서 염화비닐계 단량체 단위는 일 예시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vinyl chloride-based monomer unit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Formula 1]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염소이고,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염소이다.In Formula 1,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chlorine, and at least one of R 1 and R 2 is chlorine.

본 출원의 폴리머는 상기 화학식 1의 단위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폴리머로서, 소위 PVC계 폴리머일 수 있다.The polym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polymer containing the unit of Formula 1 above as a main component, and may be a so-called PVC-based polymer.

이러한 경우에 상기 PVC계 폴리머는 상기 화학식 1의 중합 단위를 60몰%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 단위의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65 몰% 이상, 70 몰% 이상, 75 몰% 이상, 80 몰% 이상, 85 몰% 이상, 90 몰% 이상, 95 몰% 이상 또는 99 몰% 이상 정도일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는 후술하는 특정한 항균성 단량체 단위의 적용을 통해 상기 항균성 단량체 단위가 매우 소량 적용되는 경우에도 폴리머에 대해서 우수한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는 상대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중합 단위를 많이 포함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폴리머가 나타내는 고유의 장점을 훼손하지 않고, 유지 또는 개선하면서도 적절한 항균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중합 단위의 폴리머에서의 비율의 상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상기 비율은 100몰% 미만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VC-based polymer may contain more than 60 mol% of the polymerized unit of Formula 1. In other examples, the ratio of the polymerized units may be 65 mol% or more, 70 mol% or more, 75 mol% or more, 80 mol% or more, 85 mol% or more, 90 mol% or more, 95 mol% or more, or 99 mol% or more. there is. In this appli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specific antibacterial monomer unit described later,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can be imparted to the polymer even when the antibacterial monomer unit is applied in a very small amount. Therefore, in the present application,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polymerized units of Formula 1 can be included, and as a result, the inherent advantages of the polymer can be maintained or improved while exhibiting appropriate antibacterial properties.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of the polymerized units of Formula 1 in the polymer, for example, the ratio may be less than 100 mol%.

본 출원에서는 상기 폴리머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양이온성 작용기를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작용기로는, 다양한 종류가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출원의 적절한 예시에서 상기 양이온성 작용기로는, 4급 암모늄계 치환기를 적용한다. In this application, a cationic functional group can be introduced to impart antibacterial properties to the polymer. Various types may be applied as the cationic functional group, but in an appropriat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quaternary ammonium-based substituent is used as the cationic functional group.

상기 폴리머는 상기 4급 암모늄계 치환기를 포함하는 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2의 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polymer is a unit containing the quaternary ammonium-based substituent and may further include a unit of the following formula (2).

[화학식 2][Formula 2]

화학식 2에서 L1은,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리덴기이며, R3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일 수 있다.In Formula 2, L 1 is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20 carbon atoms or an alkylidene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R 3 is an alkyl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d R 4 and R 5 are each independently a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It may be an alkyl group.

화학식 2에서 L1은, 다른 예시에서 탄소수 2 내지 10, 탄소수 2 내지 8, 탄소수 2 내지 6 또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거나, 또는 탄소수 1 내지 8, 탄소수 1 내지 6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리덴기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알킬렌기 또는 알킬리덴기는 직쇄형일 수 있다.In Formula 2, L 1 is, in other examples,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10 carbon atoms, 2 to 8 carbon atoms, 2 to 6 carbon atoms, or 2 to 4 carbon atoms, or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8 carbon atoms, 1 to 6 carbon atoms, or 1 to 4 carbon atoms. It may be an alkylidene group. At this time, the alkylene group or alkylidene group may be linear.

화학식 2에서 R3는 탄소수 6 내지 15의 알킬기일 수 있고,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는 7 이상, 8 이상, 9 이상 또는 10 이상이거나,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또는 10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이러한 알킬기는 직쇄형일 수 있다.In Formula 2, R 3 may be an alkyl group having 6 to 15 carbon atoms, and the carbon number of the alkyl group may be 7 or more, 8 or more, 9 or more, or 10 or more, or 14 or less, 13 or less, 12 or less, 11 or less, or 10 or less. there is. These alkyl groups may be straight-chain.

화학식 2에서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또는 프로필기일 수 있다.In Formula 2, R 4 and R 5 may each independently be an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and specifically, may each independently be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or a propyl group.

화학식 2에서 R의 수소 또는 알킬기일 수 있으며, 상기에서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거나, 메틸기 또는 에틸기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In Formula 2, R may be hydrogen or an alkyl group, where the alkyl group may be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1 to 12 carbon atoms, 1 to 8 carbon atoms, or 1 to 4 carbon atoms, or a methyl or ethyl group. . The alkyl group may be straight-chain or branched.

상기와 같은 화학식 2의 단위는 적절한 효율로 화학식 1의 단위와 공중합될 수 있으며, 소량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도 우수한 항균성을 상기 폴리머에 부여할 수 있다.The unit of Formula 2 as described above can be copolymerized with the unit of Formula 1 with appropriate efficiency, and can impart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to the polymer even when applied in a small amount.

화학식 2의 상기 단위는 폴리머 내에서 상기 화학식 1의 중합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0.15 중량부 이상, 0.2 중량부 이상, 0.25 중량부 이상, 0.3 중량부 이상, 0.35 중량부 이상, 0.4 중량부 이상, 0.45 중량부 이상, 0.5 중량부 이상, 0.55 중량부 이상, 0.6 중량부 이상, 0.65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상 또는 0.75 중량부 이상, 정도이거나, 9 중량부 이하, 8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하, 6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하, 4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하, 0.95 중량부 이하, 0.9 중량부 이하, 0.85 중량부 이하, 0.8 중량부 이하, 0.75 중량부 이하, 0.7 중량부 이하, 0.65 중량부 이하, 0.6 중량부 이하, 0.55 중량부 이하 또는 0.5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The unit of Formula 2 may be included in the polymer at a ratio of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ed unit of Formula 1. In other examples, the ratio is 0.15 parts by weight or more, 0.2 parts by weight or more, 0.25 parts by weight or more, 0.3 parts by weight or more, 0.35 parts by weight or more, 0.4 parts by weight or more, 0.45 parts by weight or more, 0.5 parts by weight or more, 0.55 parts by weight or more. , 0.6 parts by weight or more, 0.65 parts by weight or more, 0.7 parts by weight or more, or 0.75 parts by weight or more, or about 9 parts by weight or less, 8 parts by weight or less, 7 parts by weight or less, 6 parts by weight or less, 5 parts by weight or less, 4 Part by weight or less, 3 parts by weight or less, 2 parts by weight or less, 1 part by weight or less, 0.95 parts by weight or less, 0.9 parts by weight or less, 0.85 parts by weight or less, 0.8 parts by weight or less, 0.75 parts by weight or less, 0.7 parts by weight or less, 0.65 parts by weight or less It may be 0.6 parts by weight or less, 0.55 parts by weight or less, or 0.5 parts by weight or less.

폴리머에서 상기 화학식 1의 중합 단위의 몰수(M1)의 상기 화학식 2의 단위의 몰수(M2)에 대한 비율(M1/M2)은 약 600 내지 1500 정도의 범위 내일 수도 있다. 상기 비율(M1/M2)은 다른 예시에서 650 이상, 700 이상, 750 이상, 800 이상, 850 이상, 900 이상, 950 이상, 1000 이상, 1050 이상, 1100 이상, 1150 이상 또는 1200 이상 정도이거나, 1450 이하, 1400 이하, 1350 이하, 1300 이하, 1250 이하, 1200 이하, 1150 이하, 1100 이하, 1050 이하, 1000 이하, 950 이하, 900 이하 또는 850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In a polymer, the ratio (M1/M2) of the number of moles (M1) of the polymerized units of Formula 1 to the number of moles (M2) of the units of Formula 2 (M1/M2)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600 to 1500. In other examples, the ratio (M1/M2) is about 650 or more, 700 or more, 750 or more, 800 or more, 850 or more, 900 or more, 950 or more, 1000 or more, 1050 or more, 1100 or more, 1150 or more, or 1200 or more, or 1450 or more. It may be 1400 or less, 1350 or less, 1300 or less, 1250 or less, 1200 or less, 1150 or less, 1100 or less, 1050 or less, 1000 or less, 950 or less, 900 or less, or 850 or less.

상기의 경우에 상기 폴리머에서 상기 화학식 1의 중합 단위와 화학식 2의 단위의 합계 몰수의 비율은, 60몰% 이상, 65 몰% 이상, 70 몰% 이상, 75 몰% 이상, 80 몰% 이상, 85 몰% 이상, 90 몰% 이상, 95 몰% 이상 또는 99 몰% 이상 정도일 수 있으며, 그 상한은 100 몰% 이하 또는 100몰% 미만일 수 있다. In the above case, the ratio of the total number of moles of the polymerized unit of Formula 1 and the unit of Formula 2 in the polymer is 60 mol% or more, 65 mol% or more, 70 mol% or more, 75 mol% or more, 80 mol% or more, It may be 85 mol% or more, 90 mol% or more, 95 mol% or more, or 99 mol% or more, and the upper limit may be 100 mol% or less or less than 100 mol%.

상기와 같은 중량 비율 또는 몰 비율의 범위 내에서 폴리머는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내면서 해당 폴리머의 고유의 장점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Within the range of the above weight ratio or mole ratio, the polymer can exhibit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the inherent advantages of the polymer can be stably maintained.

상기 폴리머는 전술한 단위에 추가로 다른 단량체 단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추가될 수 있는 단위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PVC계 폴리머의 제조에 적용되는 단량체의 단위가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단위, 올레핀 단위, 스티렌 단위, 이소부틸렌 단위, 아크릴로니트릴 단위 및 이소프렌 단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위가 예시될 수 있으며, 그 비율도 목적에 따라 적정하게 조절될 수 있다.The polymer may further include other monomer units in addition to the unit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of unit that can be added, and for example, a unit of a monomer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PVC-based polymer may be used. Examples of such units may include one or more uni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 acetate units, olefin units, styrene units, isobutylene units, acrylonitrile units, and isoprene units, and the ratio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purpose. It can be.

본 출원에서 상기와 같은 폴리머를 제조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PVC계 폴리머를 제조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통상의 방식을 적용함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단위를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를 함께 적용함으로써 목적하는 폴리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의 단위를 형성하는 단량체는 공지의 물질 합성 방법에 기초하여 합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method of producing the above polymer, and for example, a conventional method of producing a PVC-based polymer may be applied. In applying the conventional method, the desired polymer can be manufactured by applying monomers capable of forming the unit of Formula 2. Additionally, the monomer forming the unit of Formula 2 can be synthesized based on known material synthesis methods.

본 출원은 또한 상기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폴리머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기타 다른 폴리머를 포함하거나, 폴리머 외의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also relates to compositions comprising the above polymers. The composition basically includes the polymer, and may include other polymers or components other than the polymer.

이러한 조성물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인해서 우수한 항균성과 항균 지속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폴리머에서 기인하는 우수한 특성도 함께 나타낼 수 있다.This composition can also exhibit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antibacterial persistence by containing the polymer as described above, and can additionally exhibit excellent properties resulting from the polymer.

상기에서 폴리머와 함께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첨가제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통상 PVC와 함께 배합되는 첨가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가소제, 충격 보강제, 안정제, 필러 및 안료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s of other additives that can be included with the polymer, and for example, additives that are usually mixed with PVC can be used. Such additives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asticizers, impact modifiers, stabilizers, fillers, and pigment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본 출원의 폴리머 및 조성물은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우수한 항균성과 항균 지속성을 나타내고, PVC계 폴리머가 가지는 장점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These polymers and compositio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uses. For example, the polymer exhibits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antibacterial persistence as described above, and also has the advantages of PVC-based polymers, so i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applications.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용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종래의 PVC가 적용되고 있던 용도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pecific use to which it can be applied, and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to the use to which conventional PVC has been applied.

본 출원은, 폴리머 및 그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우수한 항균성을 가지고, 해당 항균성의 지속성이 우수한 폴리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또한 폴리머에서 얻고자 하는 상기 항균성 외의 물성도 상기 항균성의 도입에 의해 손상 및 훼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확보 내지 개선되는 폴리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또한 상기 폴리머의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This application can provide polymers and their uses. In this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ymer that has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excellent durability of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olymer in which physical properties other than the antibacterial property desired to be obtained from the polymer are not damaged or damag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antibacterial property, and are stably secured or improved. The present application may also provide uses of the polymer.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below,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below.

1.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1.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

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LiBr 약 4.32 g을 1L의 DMF(dimethylform amide)에 용해시키고, solvent clarification system으로 여과하여 이동상을 준비하였다. 분석 대상 재료(폴리머)를 2 mg/mL 정도의 농도가 되도록 DMF(Dimethylformamide)에 희석하고, 50℃에서 6 시간 정도 용해시킨 후에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터(pore size: 0.45μm)로 여과하여 시료를 준비한 후에 하기 방식으로 분자량 특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Agilent technologies 사의 ChemStation을 사용하였으며, 시료의 elution time을 calibration curve와 비교하여 중량평균분자량(Mw) 또는 수평균분자량(Mn)을 각각 구하였다. GPC의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Molecular weight was measured using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Approximately 4.32 g of LiBr was dissolved in 1L of dimethylform amide (DMF) and filtered using a solvent clarification system to prepare a mobile phase. The material to be analyzed (polymer) was diluted in DMF (Dimethylformamide) to a concentration of about 2 mg/mL, dissolved at 50°C for about 6 hours, and filtered through a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filter (pore size: 0.45μm) to obtain the sample. After preparing, the molecular weight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the following manner. The analysis program used was ChemStation from Agilent technologies, and the elution time of the sample was compared with the calibration curve to obtai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r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respectively. The measurement conditions of GPC are as follows.

<GPC 측정 조건> <GPC measurement conditions>

기기: Agilent technologies사의 1200 series Instrument: 1200 series from Agilent technologies

고정상: 3x Agilent PLgel MIXED-C, 7.5 × 300 mm, 5 μmStationary phase: 3x Agilent PLgel MIXED-C, 7.5 × 300 mm, 5 μm

이동상 A: 0.05M LiBr in DMFMobile phase A: 0.05M LiBr in DMF

흐름 속도: 1.0 mL/minFlow rate: 1.0 mL/min

고정상 온도: 40℃Stationary bed temperature: 40℃

주입량: 100μL (0.45 μm filter)Injection volume: 100μL (0.45 μm filter)

표준 시료: 폴리스티렌(6570000, 2328000, 696000, 238300, 135700, 67600, 29460, 9820, 3050, 580Standard samples: polystyrene (6570000, 2328000, 696000, 238300, 135700, 67600, 29460, 9820, 3050, 580

2. NMR 분석2. NMR analysis

NMR 분석은 Bruker사의 500 MHz 또는 700 MHz NMR을 사용하여 상온(약 23±2℃)에서 수행할 수 있다. NMR 측정용 용매(DMSO-d6 혹은 TCE-d2)에 분석 대상 물질을 약 10 mg/ml 정도의 농도로 희석시켜 분석에 적용하였고, 화학적 이동은 ppm으로 표현하였다.NMR analysis can be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about 23 ± 2°C) using a 500 MHz or 700 MHz NMR from Bruker. The analyte was diluted in a solvent for NMR measurement (DMSO-d 6 or TCE-d 2 ) to a concentration of approximately 10 mg/ml and applied for analysis, and the chemical shift was expressed in ppm.

3. 평균 입경의 측정3. Measurement of average particle size

제조된 폴리머의 평균 입경은, ASTM D1921 규격(Test Method A)에 준거하여 Particle size analyzer (Sympatec사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roduced polymer was measured using a particle size analyzer (manufactured by Sympatec) in accordance with ASTM D1921 standard (Test Method A).

4. 벌크 밀도(BD: Bulk Density)의 측정4. Measurement of bulk density (BD: Bulk Density)

제조된 폴리머의 벌크 밀도는, ASTM D1895 규격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The bulk density of the produced polymer was measured based on ASTM D1895 standards.

5. CPA(cold plasticizer absorption)의 측정5. Measurement of CPA (cold plasticizer absorption)

제조된 폴리머의 CPA(cold plasticizer absorption)는, ASTM D3367-95 규격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규격에 준거하여 시료에 흡수되는 DOP(Dioctyl Phthalate)의 양을 흡수 전 시료에 대한 중량%로 표시하여 구하였다.CPA (cold plasticizer absorption) of the manufactured polymer was measured based on ASTM D3367-95 standard. Based on the above standards, the amount of DOP (Dioctyl Phthalate) absorbed into the sample was calculated as a weight percent based on the sample before absorption.

6. 항균성의 평가6. Evaluation of antibacterial properties

정균 감소율은 대장균(E. coli, ATCC 25922)에 대해서 ASTM E2149(Shake Flask Method)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대장균을 테스트할 시료와 일정 시간 접촉시킨 뒤 회수하여 배지에서 배양한 다음, 비교군(control)과의 CFU(colony forming unit)를 비교하여 정균 감소율을 계산하였다. 상기에서 비교군으로는 본 명세서의 비교예 1에서 얻어진 폴리머를 적용한다. 측정에 필요한 배지 및 시험군 제조 방식 등의 세부 내용은 하기와 같다.The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E2149 (Shake Flask Method) for E. coli (ATCC 25922). After the E. coli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ample to be tes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was recovered and cultured in medium, and the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was calculated by comparing CFU (colony forming units) with the control group. In the above, the polymer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1 of this specification is used as the comparative group. Details such as the medium required for measurement and the test group preparation method are as follows.

[배지의 제조][Manufacture of badge]

[액체 배지][Liquid medium]

NB(Nurtient Broth,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8 g 및 증류수 1L를 2L 용기에 넣고, 충분히 용해시키고, 고온고압 멸균기로 103kPa의 증기 압력과 120±2℃ 정도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여 액체 배지를 제조하였다.Place 8 g of NB (Nurtient Broth,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nd 1L of distilled water in a 2L container, sufficiently dissolve, and sterilize with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erilizer at a steam pressure of 103kPa and a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120±2°C for 20 minutes to prepare a liquid medium. was manufactured.

[고체 배지][Solid medium]

NB(Nurtient Broth,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8 g, 한천 분말(agar powder)(Bacto agar,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25 g 및 증류수 1L를 2L 용기에 넣고, 교반 및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고온고압 멸균기로 103kPa의 증기 압력과 120±2℃ 정도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여 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과정에서 벽면에 묻은 한천 분말은 흔들어서 용해시키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NB가 약 40℃에서 굳기 시작하기 때문에 멸균 후에 온도가 60℃ 정도까지 내려갔을 때에 용액을 25 mL씩 직경 90 mm의 페트리디쉬에 부어서 굳였다.Put 8 g of NB (Nurtient Broth,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25 g of agar powder (Bacto agar,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nd 1 L of distilled water into a 2 L container, stir and heat to dissolve, and dissolve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he medium was prepared by sterilizing the medium in a sterilizer at a steam pressure of 103 kPa and a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120 ± 2°C for 20 minutes. In the above process, the agar powder stuck on the wall was shaken to prevent it from dissolving. Since the NB begins to solidify at about 40°C, when the temperature drops to about 60°C after sterilization, 25 mL of the solution is poured into Petri dishes with a diameter of 90 mm and solidified.

[시험군 배양][Test group culture]

(1) 루프를 사용하여 균주의 일부를 10mL의 액체 배지에 이식하고, 35±1℃에서 16 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shaking incubator를 이용하여 현탁 배양하였다.(1) A portion of the strain was transplanted into 10 mL of liquid medium using a loop, and cultured in suspension using a shaking incubator at 35±1°C for 16 to 24 hours.

(2) 액상에 배양된 균을 13,000 rpm에서 3분 정도 원심 분리하여 배지에서 균만 분리하고, 600 nm 파장에서 OD(optical density)값이 0.45가 되도록 1X PBS를 사용하여 희석하였다. 대장균의 OD 600 nm = 0.45에서의 CFU(colony forming unit)값은 약 2×108 CFU/mL였다.(2) The bacteria cultured in the liquid phase were centrifuged at 13,000 rpm for about 3 minutes to separate only the bacteria from the medium, and diluted using 1X PBS so that the OD (optical density) value was 0.45 at a wavelength of 600 nm. The CFU (colony forming unit) value at OD 600 nm = 0.45 of E. coli was about 2×10 8 CFU/mL.

[정균 감소율][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1) 50 mL 코니칼 튜브에 시료(고체상 폴리머) 약 0.4 g과 2×105 CFU/mL 농도의 균 용액 20 mL(1X PBS 20 mL, OD 600 nm = 0.45값의 균 200μL)를 첨가하였다.(1) About 0.4 g of sample (solid polymer) and 20 mL of bacterial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2 × 10 5 CFU/mL (20 mL of 1X PBS, 200 μL of bacteria with an OD of 600 nm = 0.45) were added to a 50 mL conical tube. .

(2) Shaking incubator를 이용하여 35±1℃에서 1 시간 동안 균과 폴리머를 접촉시켰다.(2) The bacteria and polymer were brought into contact at 35±1°C for 1 hour using a shaking incubator.

(3) 균 배양이 종료된 시료를 1배, 10배, 100배로 희석하여 한천(agar) 고체 배지에 100 μL씩 접종한 다음 스프레더 또는 유리 구슬을 이용하여 배지에 흡수될 때까지 도말하였다.(3) Samples for which bacterial culture was completed were diluted 1-fold, 10-fold, and 100-fold, inoculated into 100 μL each on agar solid medium, and then spread using a spreader or glass beads until absorbed into the medium.

(4) 고체 배지를 35±1℃에서 16 시간 내지 20 시간 동안 정치 배양하였다.(4) The solid medium was cultured statically at 35 ± 1°C for 16 to 20 hours.

(5) 1배, 10배, 100배 희석 샘플 중 30 내지 300개균의 콜로니(colony)가 있는 페트리디쉬의 콜로니를 세어 기록하였다. 비교군 대비 시료의 CFU수가 얼마나 감소되었는지를 하기 식 B에 따라 계산하여 정균 감소율(%)을 구하였고, 동일 시료에 대해서 3차례 반복 실험 후 구해진 평균값을 정균 감소율의 대표값으로 하였다.(5) Among the 1-, 10-, and 100-fold diluted samples, colonies in Petri dishes containing 30 to 300 colonies were counted and recorded. The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 was calculated by calculating how much the number of CFU of the sample was reduced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according to Equation B below, and the average value obtained after three repeated experiments on the same sample was taken as a representative value of the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식 B][Formula B]

정균 감소율(%) = 100 × {1-(시험군의 균수/비교군의 균수)}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 = 100 × {1-(number of bacteria in test group/number of bacteria in comparison group)}

상기에서 시험군의 균수는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머에서의 항균 시험 균수이고, 대조군의 균수는 비교예 1의 폴리머에서의 항균 시험 균수이다.In the above, the number of bacteria in the test group is the number of bacteria in the antibacterial test in the polymer of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and the number of bacteria in the control group is the number of bacteria in the antibacterial test in the polymer of Comparative Example 1.

합성예 1. 항균성 단량체 ASynthesis Example 1. Antibacterial monomer A

하기 화학식 A의 항균성 단량체는, 다음의 방식으로 합성하였다.The antibacterial monomer of the following formula (A) was synthesized in the following manner.

[화학식 A][Formula A]

Two-neck RBF(Round Bottom Flask)에 아세토니트릴(30mL)을 넣고, 질소 치환한 후에 약 7.86 g의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0.05mol)와 약 11.1g의 브로모데칸(0.05mol) 및 4-메톡시페놀(4mg)을 추가하고, 약 45℃에서 교반하면서 16 시간 정도 반응시켰다. 200 mL의 디에틸 에테르를 추가하고, 1시간 정도 교반하여 고체를 생성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필터링하여 상기 화학식 A의 항균성 단량체 A를 얻었다. 상기 단량체 A에 대한 NMR 분석 결과는 하기와 같다.Acetonitrile (30 mL) was added to a two-neck RBF (Round Bottom Flask), and after purging with nitrogen, approximately 7.86 g of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0.05 mol) and approximately 11.1 g of bromodecane (0.05 mol) were added to the two-neck RBF (Round Bottom Flask). mol) and 4-methoxyphenol (4 mg) were added and reacted for about 16 hours while stirring at about 45°C. 200 mL of diethyl ether was added and stirred for about 1 hour to produce a solid. The resulting solid was filtered to obtain antibacterial monomer A of the above formula (A). The NMR analysis results for the monomer A are as follows.

<NMR 분석><NMR analysis>

1H-NMR (500MHz, DMSO-d6, δ[ppm]): 6.07(1H), 5.76(1H), 4.52(2H), 3.69(2H), 3.35(2H), 3.09(6H), 1.91(3H), 1.67(2H), 1.26(14H), 0.86(3H)1H-NMR (500MHz, DMSO-d 6 , δ[ppm]): 6.07(1H), 5.76(1H), 4.52(2H), 3.69(2H), 3.35(2H), 3.09(6H), 1.91(3H) ), 1.67(2H), 1.26(14H), 0.86(3H)

실시예 1Example 1

환류 응축기 및 교반기가 부착된 내부 용적이 약 1 m3 정도인 스테인레스 재질의 중합기에 중합수 420 kg(140 중량부)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상기 중합기에 수화도가 약 88%인 폴리비닐알코올 1428 g(0.476 중량부), 수화도가 약 72%인 폴리비닐알코올 1260 g(0.42 중량부), 수화도가 약 55%인 폴리비닐알코올 300 g(0.1 중량부),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942 g(0.314 중량부), t-부틸 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t-butyl peroxyneodecanoate) 402 g(0.134 중량부) 및 큐밀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cumyl peroxyneodecanoate) 102 g(0.034 중량부)을 추가로 투입하였다.420 kg (140 parts by weight) of polymerization water was added to a stainless steel polymerization reactor equipped with a reflux condenser and a stirrer and having an internal volume of approximately 1 m 3 . Next, 1428 g (0.476 parts by weight) of polyvinyl alcohol with a degree of hydration of about 88%, 1260 g (0.42 parts by weight) of polyvinyl alcohol with a degree of hydration of about 72%, and polyvinyl alcohol with a degree of hydration of about 55% were added to the polymerizer. 300 g (0.1 part by weight), 942 g (0.314 part by weight) of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402 g (0.134 part by weight) of t-butyl peroxyneodecanoate and cumyl peroxyneodecano. 102 g (0.034 parts by weight) of cumyl peroxyneodecanoate was additionally added.

그 후, 염화비닐 300 kg(100 중량부)을 중합기에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내부를 진공 펌프로 탈기하였다. 그 후, 중합기 온도를 반응 전 과정 동안 목표로 하는 평균 중합도 1000이 달성되기 위한 중합 기준 온도 57.4℃로 유지하면서, 합성예 1의 항균성 단량체 A 15 kg(5 중량부)을 2 시간 동안 투입하면서 반응을 진행시켰고, 중합 반응기 압력이 0.7 kg/cm2 변화가 있는 시점에 중합을 정지시켰다.After that, 300 kg (100 parts by weight) of vinyl chloride was added to the polymerization reactor, and the interior was degassed with a vacuum pump while stirring. Thereafter,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polymerization reactor at 57.4°C, the standard polymerization temperature to achieve the target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1000 during the entire reaction process, 15 kg (5 parts by weight) of the antibacterial monomer A of Synthesis Example 1 was added for 2 hours. The reaction proceeded, and the polymerization was stopped when the pressure in the polymerization reactor changed by 0.7 kg/cm 2 .

그 후 산화 방지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3-(3-t-부틸-5-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150 g(0.05 중량부) 첨가하고, 미반응 단량체를 회수한 후 폴리머를 중합기에서 회수하였다.Afterwards, 150 g (0.05 parts by weight) of triethylene glycol bis(3-(3-t-butyl-5-methyl-4-hydroxyphenyl)propionate was added as an antioxidant, and unreacted monomers were recovered. Afterwards, the polymer was recovered from the polymerization reactor.

회수된 폴리머는 40℃의 증류수에서 300 rpm의 속도로 24 시간 교반, 필터 및 건조하여 잔류 항균성 단량체를 완전히 제거하고, 항균성 평가를 진행하였다.The recovered polymer was stirred, filtered, and dried in distilled water at 40°C at a speed of 300 rpm for 24 hours to completely remove residual antibacterial monomers, and an antibacterial evaluation was conducted.

상기 얻어진 폴리머에 대해서 합성예 1의 항균성 단량체의 도입양을 1H-NMR로 확인한 결과 염화비닐 100 중량부 대비 약 0.5 내지 0.75 중량부가 도입된 것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mount of the antibacterial monomer introduced in Synthesis Example 1 into the obtained polymer using 1H-NMR, it was confirmed that about 0.5 to 0.75 parts by weight was introduced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vinyl chlorid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환류 응축기 및 교반기가 부착된 내부 용적이 약 1 m3 정도인 스테인레스 재질의 중합기에 중합수 420 kg(140 중량부)을 투입하였다. 이어서 상기 중합기에 수화도가 약 88%인 폴리비닐알코올 1428 g(0.476 중량부), 수화도가 약 72%인 폴리비닐알코올 1260 g(0.42 중량부), 수화도가 약 55%인 폴리비닐알코올 300 g(0.1 중량부),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942 g(0.314 중량부), t-부틸 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t-butyl peroxyneodecanoate) 402 g(0.134 중량부) 및 큐밀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cumyl peroxyneodecanoate) 102 g(0.034 중량부)을 추가로 투입하였다.420 kg (140 parts by weight) of polymerization water was added to a stainless steel polymerization reactor equipped with a reflux condenser and a stirrer and having an internal volume of approximately 1 m 3 . Next, 1428 g (0.476 parts by weight) of polyvinyl alcohol with a degree of hydration of about 88%, 1260 g (0.42 parts by weight) of polyvinyl alcohol with a degree of hydration of about 72%, and polyvinyl alcohol with a degree of hydration of about 55% were added to the polymerizer. 300 g (0.1 part by weight), 942 g (0.314 part by weight) of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402 g (0.134 part by weight) of t-butyl peroxyneodecanoate and cumyl peroxyneodecano. 102 g (0.034 parts by weight) of cumyl peroxyneodecanoate was additionally added.

그 후, 염화비닐 300 kg(100 중량부)을 중합기에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내부를 진공 펌프로 탈기하였다. 그 후, 중합기 온도를 반응 전 과정 동안 목표로 하는 평균 중합도 1000이 달성되기 위한 중합 기준 온도 57.4℃로 유지하면서 반응을 진행시켰고, 중합 반응기 압력이 0.7 kg/cm2 변화가 있는 시점에 중합을 정지시켰다.After that, 300 kg (100 parts by weight) of vinyl chloride was added to the polymerization reactor, and the interior was degassed with a vacuum pump while stirring. Afterwards,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polymerization reactor at 57.4°C, the standard polymerization temperature to achieve the target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1000 during the entire reaction process, and polymerization was performed at the point when the pressure of the polymerization reactor changed by 0.7 kg/cm 2 . stopped.

그 후 산화 방지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3-(3-t-부틸-5-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150 g(0.05 중량부) 첨가하고, 미반응 단량체를 회수한 후 폴리머를 중합기에서 회수하였다.Afterwards, 150 g (0.05 parts by weight) of triethylene glycol bis(3-(3-t-butyl-5-methyl-4-hydroxyphenyl)propionate was added as an antioxidant, and unreacted monomers were recovered. Afterwards, the polymer was recovered from the polymerization reactor.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머에 대한 물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정리하여 기재하였다.The physical property evaluation results for the polymer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ummarized in Tables 1 and 2 below.

대장균에 대한 항균 특성Antibacterial properties against E. coli CFU/mL, SUECFU/mL, SUE Log CFU/mL, SUELog CFU/mL, SUE 정균 감소율(%)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 실시예1Example 1 52005200 3.723.72 95.395.3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110000110000 5.045.04 --

중량평균분자량(단위: g/mol)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unit: g/mol) BD(Bulk Density)BD(Bulk Density) CPA(단위: 중량%)CPA (unit: weight%) 평균 입경(단위: μm)Average particle size (unit: μm) 실시예1Example 1 9785997859 0.50.5 3232 149149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9800398003 0.5320.532 2727 148148

Claims (12)

하기 화학식 1의 중합 단위를 포함하고,
50% 이상의 정균 감소율을 나타내는 폴리머:
[화학식 1]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염소이고,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염소이다.
It contains a polymerized unit of the following formula (1),
Polymers that exhibit a bacteriostatic reduction rate of 50% or more:
[Formula 1]

In Formula 1,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chlorine, and at least one of R 1 and R 2 is chlorine.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중합 단위를 60몰% 이상 포함하는 폴리머.The polymer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t least 60 mol% of polymerized units of formula (1). 제 1 항에 있어서, ASTM D1921에 따른 평균 입경이 50μm 내지 300 μm 의 범위 내에 있는 폴리머.The polym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according to ASTM D1921 is in the range of 50 μm to 300 μm. 제 1 항에 있어서, ASTM D1895에 따른 BD(Bulk Density)가 0.2 내지 0.8의 범위 내에 있는 폴리머.The polym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D (Bulk Density) according to ASTM D1895 is in the range of 0.2 to 0.8. 제 1 항에 있어서, ASTM D3367에 따른 CPA(cold plasticizer absorption)가 20 중량% 이상인 폴리머.The polym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PA (cold plasticizer absorption) according to ASTM D3367 is 20% by weight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 g/mol 내지 200,000 g/mol의 범위 내에 있는 폴리머.The polym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in the range of 70,000 g/mol to 200,000 g/mol.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2의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머:
[화학식 2]

화학식 2에서 L1은, 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리덴기이며, R3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2. The polym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units of formula (2):
[Formula 2]

In Formula 2, L 1 is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20 carbon atoms or an alkylidene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R 3 is an alkyl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d R 4 and R 5 are each independently a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It is an alkyl group.
제 7 항에 있어서, 화학식 2에서 L1이,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리덴기이며, R3는 탄소수 6 내지 15의 알킬기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인 폴리머.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Formula 2, L 1 is an alkylene group having 2 to 10 carbon atoms or an alkylidene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R 3 is an alkyl group having 6 to 15 carbon atoms, and R 4 and R 5 are each independent. A polymer that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제 7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중합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화학식 2의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머.The polymer according to claim 7, comprising 0.1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ed unit of Formula 2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ed unit of Formula 1. 제 1 항에 있어서, 비닐 아세테이트 단위, 올레핀 단위, 스티렌 단위, 이소부틸렌 단위, 아크릴로니트릴 단위 및 이소프렌 단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머.The polym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uni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 acetate units, olefin units, styrene units, isobutylene units, acrylonitrile units, and isoprene units.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the polymer of any one of claims 1 to 10. 제 11 항에 있어서, 가소제, 충격 보강제, 안정제, 필러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asticizers, impact modifiers, stabilizers, fillers, and pigments.
KR1020220078621A 2022-06-28 2022-06-28 Resin Composition KR202400018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621A KR20240001834A (en) 2022-06-28 2022-06-28 Resin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621A KR20240001834A (en) 2022-06-28 2022-06-28 Resin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834A true KR20240001834A (en) 2024-01-04

Family

ID=8954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621A KR20240001834A (en) 2022-06-28 2022-06-28 Resin Compos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183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Amphipathic antibacterial agents using cationic methacrylic polymers with natural rosin as pendant group
TWI503337B (en) Stimulation responsive macromolecule bridging bod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awfik et al. Thermal and mechanical behaviour of flexible poly (vinyl chloride) mixed with some saturated polyesters
KR20200116134A (en) Branched poly (amino acid) antimicrobial agents and uses thereof
JP6593931B2 (en) Poly (ethylene glycol) -b-poly (halomethylstyrene), derivatives thereof and production
KR101419062B1 (en) New plasticizer for polyvinylchloride resin
Kocak et al. Synthesis of quaternary piperazine methacrylate homopolymers and their antibiofilm and anti‐quorum sensing effects on pathogenic bacteria
KR20030066584A (en) Novel polyvinyl chloride resins
KR20240001834A (en) Resin Composition
US20210363323A1 (en) Antimicrobial resin and coating material
KR101606480B1 (en) Polylactic acid copolymer having excellently improved elastici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boghoniem et al. Microwave‐assisted preparation of fatty acid esters based eco‐friendly plasticizers for biologically‐active thiazole‐functionalized PVC
EP2930190A1 (en) Method for preparing acetylated cellulose ethers having improved anti-fouling properties, and acetylated cellulose ethers prepared by same
CN107648255B (en) Organic antibacterial agent containing maltoheptaose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Gräfe et al. Tetra-sensitive graft copolymer gels with high volume changes
Wang et al. The Promoting Effect of Multifunctional Groups on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VC Materials.
KR20240047211A (en) Anti-bacterial polymer
KR20230057259A (en) Resin Composition
KR20240053265A (en) Anti-bacterial polymer
KR20240069352A (en) Antibacterial polymer, molding product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230144310A (en) Antibacterial polymer
KR20240031754A (en) Paticulate Polymer
AU2018296676A1 (en) Solid organic antibacterial material
KR20240051853A (en) Antibacterial resin, composition for forming antibacterial resin, and molding product comprising antibacterial resin
KR20240051870A (en) Antibacterial resin, and molding product comprising antibacterial res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