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748A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748A
KR20240001748A KR1020220077759A KR20220077759A KR20240001748A KR 20240001748 A KR20240001748 A KR 20240001748A KR 1020220077759 A KR1020220077759 A KR 1020220077759A KR 20220077759 A KR20220077759 A KR 20220077759A KR 20240001748 A KR20240001748 A KR 20240001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id bars
display device
elastic adhesive
adhesive material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한욱
Original Assignee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7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748A/ko
Publication of KR20240001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플렉시블(flexible) 동작에 따라 함께 연동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부는, 길이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강성 바아(bar); 및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 전체에 포개어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의 일면에 융착되는 복층 구조의 지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ANEL SUPPORT THEREOF}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에서 복수 개의 강성 바아 사이사이의 경계의 시인성을 낮추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소비전력이 낮고 더 얇게 제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응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픽셀들은 자발광 소자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발광재료의 종류, 발광 방식, 발광 구조, 구동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최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되었고, 발전 속도에 가속도가 붙고 있는 상황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 표시패널의 화면 상에 입력 영상을 재현한다. 이러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휘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는 벤더블(bendable) 디스플레이, 폴더블(folderble) 디스플레이,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등이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과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티브이, 자동차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응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패널의 후면에 패널의 롤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호 부품이 구비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의 후면 보호 부품의 평탄도와 회복 상태는 디스플레이의 화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보호 부품으로 평탄도가 높은 유리가 적용되었으나 롤링 반경의 축소에 따라 유연하면서도 강성 보강이 가능한 부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패널이 후편에 부착되는 보호 부품, 즉 지지체의 경우, 다수의 알루미늄 바아(bar)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패널에 직접 부착되는 형태를 가지는데, 이의 경우 알루미늄 바아 사이 간격으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화면 시인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알루미늄 바아들 사이에 탄성 복원이 우수한 연성의 레진을 채우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여전히 알루미늄 바아들 사이사이의 경계가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에서 시인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10-2017-0014055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에서 복수 개의 강성 바아 사이사이의 경계의 시인성을 낮추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플렉시블(flexible) 동작에 따라 함께 연동되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부는, 길이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강성 바아(bar); 및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 전체에 포개어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의 일면에 융착되는 복층 구조의 지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의 일면에 융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의 일면을 덮는 탄성접착소재; 및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를 덮는 상기 탄성접착소재의 일면의 반대편의 타면에 접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대응되는 평평한 면을 구비하는 단차보상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경도는 1.0kgf/inch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차보상소재의 항복 신율은 10%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착소재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와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가 혼합된 조성물로 마련되며, 상기 단차보상소재는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착소재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와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가 혼합된 조성물로 마련되며, 상기 단차보상소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고무, 금속 플레이트, 에칭 가공된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는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플렉시블 동작 따라 함께 연동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바아 배치홈을 갖는 지그가 배치되는 제1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바아 배치홈 내에 복수 개의 강성 바아가 배치되는 제2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를 덮도록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 위로 탄성접착소재가 배치되는 제3 단계; 상기 탄성접착소재를 덮도록 상기 탄성접착소재 상면에 단차보상소재가 배치되는 제4 단계; 및 상기 단차보상소재 상면에서 상기 소재들 방향으로 압력 및 열이 가해지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탄성접착소재는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 및 상기 단차보상소재에 융착되며, 상기 제5 단계 이후에, 상기 탄성접착소재의 응력을 제거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와 접착된 탄성접착소재가 예열되는 단계; 및 예열된 탄성접착소재를 서서히 냉각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에서 복수 개의 강성 바아 사이사이의 경계의 시인성을 낮추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지지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패널 지지부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지지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패널 지지부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예를 들면 롤러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의 후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되 디스플레이 패널의 롤링 동작에 따라 함께 연동되는 패널 지지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지지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이 평행하게 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와,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 전체에 포개어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의 일면에 융착되는 복층 구조의 지지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성 바아(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가지는 직육면체의 바아 형상으로 마련되며, 이러한 강성 바아(110) 복수 개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폭에 대응되는 영역 내에서 일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는 간격 없이 배치되거나,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120)은, 복층, 더 구체적으로는 2층 구조를 가지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의 일면에 융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의 일면을 덮는 탄성접착소재(121)와,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를 덮는 상기 탄성접착소재(121)의 일면의 반대편의 타면에 접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대응되는 평평한 면을 구비하는 단차보상소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접착소재(121)는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를 덮고, 상기 단차보상소재(122)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탄성접착소재(121)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탄성접착소재(121) 및 상기 단차보상소재(122)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와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가 혼합된 조성물로 마련되며, 상기 단차보상소재(122)는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탄성접착소재(121)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와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가 혼합된 조성물로 마련되며, 상기 단차보상소재(122)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고무, 금속 플레이트, 에칭 가공된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차보상소재(122)는 항복 신율이 10% 보다 낮은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롤링 구동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면 펼쳤을 때 고분자 소재의 탄성 범위를 벗어나 소성되어 평탄도를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단차보상소재(122)의 항복 신율은 10% 이상의 값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상기 지지층(120)은 그 경도가 1.0kgf/inch 이상의 값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지지부(100)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지지부(100)의 제조 방법은, 제1 단계 내지 제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계로, 지그(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그(10)는 하나 이상의 바아 배치홈(1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아 배치홈(11)이 하나인 경우 하나의 바아 배치홈(11)은 패널 지지부(100)의 일부 형상, 즉 패널 지지부(100)의 전체 면적보다 적은 면적을 갖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아 배치홈(11)이 복수 개인 경우 바아 배치홈(11)은 상기 강성 바아(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패널 지지부(100)의 전체 면적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그(10)는 상기 바아 배치홈(11)이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제2 단계로, 상기 하나 이상의 바아 배치홈(11) 내에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바아 배치홈(11)은 복수 개일 수 있고, 각각의 바아 배치홈(11) 내에 강성 바아(110)가 삽입되어 배치된다.
제3 단계로,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를 덮도록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 위로 탄성접착소재(12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접착소재(121)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 위로 포개어질 수 있다.
제4 단계로, 상기 탄성접착소재(121)를 덮도록 상기 탄성접착소재(121) 상면에 단차보상소재(12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보상소재(122)는 상기 탄성접착소재(121)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탄성접착소재(121) 상면에 포개어질 수 있다.
제5 단계로, 상기 단차보상소재(122) 상면에서 상기 소재들 방향으로 압력 및 열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 및 열을 가하는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롤러 형태의 히터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히터는 상기 단차보상소재(122) 상면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회전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단차보상소재(122) 및 상기 탄성접착소재(121)를 가압하면서 열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은 상기 단차보상소재(122)가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으면서 상기 탄성접착소재(121)는 열에 의해 유연해지면서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 및 상기 단차보상소재(122)와 밀착할 수 있는 온도로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5 단계를 통해 패널 지지부(100)가 제조될 수 있으나,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와 접착된 탄성접착소재(121)의 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5 단계 이후에 제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6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와 접착된 탄성접착소재가 예열되는 단계 및 예열된 탄성접착소재를 서서히 냉각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예열되는 단계는 상기 제5 단계에서 열이 가해진 탄성접착소재가 완전히 식어서 경화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접합소재를 예열 후 서서히 냉각하면 탄성접착소재의 내부 응력이 제거되어,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와 접착되는 경계들의 평탄도가 향상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탄성접합소재의 복원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지지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패널 지지부(100)는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 및 지지층(120)이 열융착 방식으로 접착되는 방식, 즉 지지층(120)의 탄성접착소재(121)가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 및 단차보상소재(122)에 열융착되어 각 소재들(121, 122) 및 강성 바아(110)가 접착되는 방식이므로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의 사이사이에 탄성접착소재(121)가 충진되지 않고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에서 복수 개의 강성 바아(110) 사이사이의 경계의 시인성을 낮추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플렉시블(flexible) 동작에 따라 함께 연동되는 패널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지지부는,
    길이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강성 바아(bar); 및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 전체에 포개어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의 일면에 융착되는 복층 구조의 지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의 일면에 융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의 일면을 덮는 탄성접착소재; 및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를 덮는 상기 탄성접착소재의 일면의 반대편의 타면에 접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대응되는 평평한 면을 구비하는 단차보상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경도는 1.0kgf/inch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보상소재의 항복 신율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착소재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와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가 혼합된 조성물로 마련되며,
    상기 단차보상소재는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착소재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와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가 혼합된 조성물로 마련되며,
    상기 단차보상소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고무, 금속 플레이트, 에칭 가공된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는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플렉시블 동작 따라 함께 연동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바아 배치홈을 갖는 지그가 배치되는 제1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바아 배치홈 내에 복수 개의 강성 바아가 배치되는 제2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를 덮도록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 위로 탄성접착소재가 배치되는 제3 단계;
    상기 탄성접착소재를 덮도록 상기 탄성접착소재 상면에 단차보상소재가 배치되는 제4 단계; 및
    상기 단차보상소재 상면에서 상기 소재들 방향으로 압력 및 열이 가해지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탄성접착소재는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 및 상기 단차보상소재에 융착되며,
    상기 제5 단계 이후에,
    상기 탄성접착소재의 응력을 제거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강성 바아와 접착된 탄성접착소재가 예열되는 단계; 및
    예열된 탄성접착소재를 서서히 냉각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
KR1020220077759A 2022-06-24 2022-06-2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 KR20240001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759A KR20240001748A (ko) 2022-06-24 2022-06-2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759A KR20240001748A (ko) 2022-06-24 2022-06-2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748A true KR20240001748A (ko) 2024-01-04

Family

ID=89542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759A KR20240001748A (ko) 2022-06-24 2022-06-2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17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055A (ko) 2015-07-28 2017-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055A (ko) 2015-07-28 2017-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5916B2 (ja) カバープレートおよびこれを含む折り畳み可能な表示装置
KR102627326B1 (ko) 폴더블 표시장치
US10500820B2 (en) Laminating apparatus and laminat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7564918B (zh) 显示装置
KR102506631B1 (ko) 폴더블 표시장치
KR102305462B1 (ko)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KR101996437B1 (ko) 투명 보호창, 이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및 투명 보호창의 제조 방법
US983146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3003468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32742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벤딩 방법
WO2011155117A1 (ja) 表示装置
JP2018124327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TWI601282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US20130162504A1 (en) Display device
KR102562895B1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8741089B2 (en) Method for fabricating display device
WO2020024370A1 (zh) 一种显示装置
US7710030B2 (en) Double sided AMOLED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20230163990A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US20130108806A1 (en) Window for display protection and display using the same
KR102213438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210085194A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40001748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패널 지지부의 제조 방법
KR102623375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262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