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514A -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residential environment - Google Patents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residential enviro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514A
KR20240001514A KR1020220078270A KR20220078270A KR20240001514A KR 20240001514 A KR20240001514 A KR 20240001514A KR 1020220078270 A KR1020220078270 A KR 1020220078270A KR 20220078270 A KR20220078270 A KR 20220078270A KR 20240001514 A KR20240001514 A KR 20240001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information
user
unit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치경
김은석
김다혜
Original Assignee
(주)창소프트아이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소프트아이앤아이 filed Critical (주)창소프트아이앤아이
Priority to KR1020220078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514A/en
Publication of KR20240001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5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6Price or cost determination based on market fa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 건물의 거주 환경을 고려하여 성능 조건을 파악하고, 성능 조건에 맞는 맞춤형 마감 자재를 추천하며, 자동으로 마감 설계를 진행하여 최적의 효율적 마감재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마감 공사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위치정보 입력부; 사용자에게 요구 사양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요구 사양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마감 공사 요구 사양이 선택되는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 상기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환경분석 DB로부터 대상 거주지 주변의 환경정보를 탐색하여 상기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에서 선택된 마감 공사 요구 사양과 관련된 주요 환경정보인 맞춤형 옵션정보를 추출하는 거주지 환경 분석부; 상기 거주지 환경 분석부에서 추출된 맞춤형 옵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에서 선택된 마감 공사 요구 사양에 따라 마감자재 DB에서 추천 자재정보를 탐색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추천 자재정보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재가 선택되는 마감 자재 선택부; 및 상기 마감 자재 선택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재에 따라 마감 상세를 자동 설계하는 마감상세 자동설계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performance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target building, recommends customized finishing materials that meet the performance conditions, and automatically performs finishing design to enable optimal and efficient finishing material construction. Automatic finishing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t's about design syst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that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a residence subject to finishing work from a user; a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unit that provides a list of required specifications to the user and selects a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d specification by the user from the provided list of required specifications; A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tha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searches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the target residence from the environmental analysis DB, and extracts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which is key environment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ment specifications selected in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section. ; Referring to the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section, recommended material information is searched and provided from the finishing material DB according to the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ment specifications selected in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section, and the recommended material information is searched and provided by the user from the recommended material information provided above. A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where materials are selected; and an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unit that automatically designs finishing details according to the material selected by the user in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Description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residential environment}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residential environment}

본 발명은 대상 건물의 거주 환경을 고려하여 성능 조건을 파악하고, 성능 조건에 맞는 맞춤형 마감 자재를 추천하며, 자동으로 마감 설계를 진행하여 최적의 효율적 마감재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performance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target building, recommends customized finishing materials that meet the performance conditions, and automatically performs finishing design to enable optimal and efficient finishing material construction. Automatic finishing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t's about design systems.

건설 산업은 대표적인 정보 비대칭 산업으로 일반적으로 공급자 위주의 시장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 representative information asymmetric industry and generally tends to be perceived as a supplier-oriented market.

특히, 건축물에는 다양한 마감재가 시공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마감재는 복잡성과 다양성으로 인해 공급자가 추천해주는 자재를 선택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에 다양한 마감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 상태에서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In particular, various finishing materials are used in buildings, and due to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the finishing materials used, it is common to select materials recommended by the supplier. Accordingly, construction is often carried out without being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various finishing materials.

예를 들어, 바닥 마감의 경우 장판, 마루, 대리석 등, 벽체 마감으로는 합지, 실크벽지, 수입벽지, 도장, 패브릭, 돌 등, 욕실 마감은 일반 타일, 폴리싱 타일, 대리석, 도기류, 샤워부스, 배수 드레인, 세면대 등 건축물에 적용되는 마감재는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계약자는 마감재 정보가 부족하여 충분한 검토 없이 시공자가 추천하는 마감재를 사용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floor finishes include flooring, flooring, marble, etc.; wall finishes include plywood, silk wallpaper, imported wallpaper, painting, fabric, stone, etc.; bathroom finishes include general tiles, polished tiles, marble, pottery, shower booths, etc.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finishing materials applied to buildings, such as drains and sinks. Nevertheless, there is a problem that general contractors lack information on finishing materials and end up using finishing materials recommended by the contractor without sufficient review.

더욱이 내화, 차음, 단열 결로, 방수 등과 같은 마감재의 성능 수준은 더욱 파악하기가 어려운 현실이다.Moreover, the performance level of finishing materials such as fire resistance, sound insulation, insulation condensation, and waterproofing is more difficult to determine.

뿐만 아니라 건축물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다 주거 지역의 주변 환경은 지역마다 매우 다양하고 차이가 크기 때문에, 주변 환경에 따라 마감재 성능에 대한 요구 조건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사용자는 마감재 자체 성능뿐 아니라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아 마감재 선택에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buildings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residential areas is very diverse and varies greatly from region to region, so the requirements for the performance of finishing materials are bound to vary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owever, users have difficulty selecting a finishing material because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not only the performance of the finishing material itself but also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등록특허 제10-1142384호는 마감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설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감재 항목 선정 시 원가 평가가 가능하여 견적 업무 효율을 높이는 기술이다.Registered Patent No. 10-1142384 relates to a finishing material management system and a design method using the same. It is a technology that improves the efficiency of quotation work by enabling cost evaluation when selecting finishing material items.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단순히 마감재 관리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마감재를 제시해주는 것일 뿐 요구되는 성능 조건을 파악하고 요구 성능 조건을 반영하여 마감재를 추천해주는 것이 아니어서 최적의 효율적인 마감재 설계에 한계가 있다.However, the prior art simply presents various finishing materials through a finishing material management system and does not identify required performance conditions and recommend finishing materials by reflecting the required performance conditions, so there are limitations in designing optimal and efficient finishing material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상 건물의 거주 환경을 고려하여 성능 조건을 파악하고, 성능 조건에 맞는 맞춤형 마감 자재를 추천하며, 자동으로 마감 설계를 진행하여 최적의 효율적 마감재 시공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performance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target building, recommends customized finishing materials that meet the performance conditions, and automatically performs finishing design to enable optimal and efficient construction of finishing materials. We aim to provide an automatic closing design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living environment.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마감 공사 대상 거주지의 거주 환경을 고려하여 자동 마감 설계를 진행하기 위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마감 공사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위치정보 입력부; 사용자에게 마감 공사에 대한 요구 사양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요구 사양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마감 공사 요구 사양이 선택되는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 상기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환경분석 DB로부터 대상 거주지 주변의 환경정보를 탐색하여 상기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에서 선택된 마감 공사 요구 사양과 관련된 주요 환경정보인 맞춤형 옵션정보를 추출하는 거주지 환경 분석부; 상기 거주지 환경 분석부에서 추출된 맞춤형 옵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에서 선택된 마감 공사 요구 사양에 따라 마감자재 DB에서 추천 자재정보를 탐색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추천 자재정보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재가 선택되는 마감 자재 선택부; 및 상기 마감 자재 선택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재에 따라 마감 상세를 자동 설계하는 마감상세 자동설계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s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to automatically perform a finishing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a residence subject to finishing work, and includes a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that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a residence subject to finishing work from a user; a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unit that provides a list of required specifications for finishing work to the user and allows the user to select a required specification for finishing work from the provided list of required specifications; A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tha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searches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the target residence from the environmental analysis DB, and extracts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which is key environment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ment specifications selected in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section. ; Referring to the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section, recommended material information is searched and provided from the finishing material DB according to the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ment specifications selected in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section, and the recommended material information is searched and provided by the user from the recommended material information provided above. A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where materials are selected; and an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unit that automatically designs finishing details according to the material selected by the user in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It provides an automatic clos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consists of.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 입력부에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에 따라 대상 거주지의 도면정보를 도면 DB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는 도면정보 제공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는 도면정보 제공부에서 전달된 대상 거주지의 도면정보와 마감자재 DB에 포함된 자재정보를 입력받아 마감 상세를 자동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draw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extracts and provides draw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from a drawing DB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and 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ed design unit provides draw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It provides an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is characterized by automatically designing the finishing details by inputting the draw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deliver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er and the materi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nishing material DB.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거주지 환경 분석부는 입력된 주소정보와 대상 거주지의 도면정보에 기반하여 환경 분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n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performs an environmental analysis based on input address information and draw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마감 자재 선택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자재에 대해 예산 견적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n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in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provides budget estimate information for the material selected by the user.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에서 설계된 설계정보에 따라 상세 견적정보를 제공하는 상세 견적 산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n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urther comprising a detailed quotation calculation unit that provides detailed quot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ign information designed by 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ed design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위치정보 입력부에 입력한 위치정보를 토대로 거주지 환경 분석부가 대상 거주지 주변의 환경정보를 탐색하여 맞춤형 옵션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참조하여 마감 자재 선택부에서 제공한 추천 자재정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자재에 따라 마감상세 자동설계부에서 마감 상세를 자동 설계하는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i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searches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the target residence to extract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and recommends materi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with referenc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 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department automatically designs the finishing details according to the materials selected by the user.

따라서 대상 건물의 거주 환경을 고려하여 성능 조건을 파악하고, 주요 환경정보와 연계하여 필요한 성능 조건에 맞는 맞춤형 마감 자재를 추천하며, 자동으로 마감 설계를 진행하여 거주자 맞춤형의 고성능, 고품질, 고효율의 마감 상세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we identify the performance conditions by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target building, recommend customized finishing materials that meet the required performance conditions in connection with key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proceed with the finishing design to provide a high-performance, high-quality, and highly efficient finish tailored to the occupants. Details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도면정보 제공부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상세 견적 산출부가 더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거주지 환경 분석부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
도 6은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
도 7은 마감 자재 선택부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
도 8은 마감 자재 선택부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자재 상세 보기창.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clos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equipped with a draw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further provided with a detailed quotation calculation unit.
Figure 4 is a flowchart showing an automatic clos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n interface screen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Figure 6 is an interface screen for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section.
Figure 7 is an interface screen for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Figure 8 is a material detail view window on the interface screen for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section.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automatic clos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은 마감 공사 대상 거주지의 거주 환경을 고려하여 자동 마감 설계를 진행하기 위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마감 공사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위치정보 입력부(1); 사용자에게 마감 공사에 대한 요구 사양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요구 사양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마감 공사 요구 사양이 선택되는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2); 상기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환경분석 DB(30)로부터 대상 거주지 주변의 환경정보를 탐색하여 상기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2)에서 선택된 마감 공사 요구 사양과 관련된 주요 환경정보인 맞춤형 옵션정보를 추출하는 거주지 환경 분석부(3); 상기 거주지 환경 분석부(3)에서 추출된 맞춤형 옵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2)에서 선택된 마감 공사 요구 사양에 따라 마감자재 DB(40)에서 추천 자재정보를 탐색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추천 자재정보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재가 선택되는 마감 자재 선택부(4); 및 상기 마감 자재 선택부(4)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재에 따라 마감 상세를 자동 설계하는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to proceed with automatic finishing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residence subject to finishing work, and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user about the residence subject to finishing work. A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 that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a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unit (2) that provides a list of required specifications for finishing work to the user and selects a required specification for finishing work by the user from the provided list of required specificatio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is input,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the target residence is searched from the environmental analysis DB (30), and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main environment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ment selected in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unit (2), is provided.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to extract (3); Referring to the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3), recommended material information is searched and provided from the finishing material DB (40) according to the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ment specifications selected in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unit (2), a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in which a material is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recommended material information provided; and an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unit (5) that automatically designs the finishing details according to the material selected by the user in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본 발명은 대상 건물의 거주 환경을 고려하여 성능 조건을 파악하고, 성능 조건에 맞는 맞춤형 마감 자재를 추천하며, 자동으로 마감 설계를 진행하여 최적의 효율적 마감재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performance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target building, recommends customized finishing materials that meet the performance conditions, and automatically performs finishing design to enable optimal and efficient finishing material construction. Automatic finishing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esign system.

본 발명은 마감 공사가 예정된 대상 건축물이 위치한 대상 거주지의 거주 환경을 고려하여 마감 설계를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ceed with a finishing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a target residence where a target building scheduled for finishing construction is located, and is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본 발명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은 사용자 위치정보 입력부(1),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2), 거주지 환경 분석부(3), 마감 자재 선택부(4) 및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 a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unit (2), a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3), a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and a finishing detail automatic design unit (5). It is composed.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 입력부(1)는 사용자로부터 마감 공사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다.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a residence subject to finishing work from the user.

대상 거주지의 거주 환경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가 입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 입력부(1)는 사용자에 의해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 즉 주소를 입력받는다.In order to consid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target residenc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must be entered. For this purpose,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an address, of the target residence by the user.

상기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2)는 사용자에게 요구 사양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요구 사양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마감 공사 요구 사양이 선택된다.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unit 2 provides a list of required specifications to the user, and the user selects a required specification for finishing work from the provided list of required specifications.

상기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2)는 사용자에게 요구 사양 리스트를 제공한다.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unit 2 provides a list of required specifications to the user.

상기 요구 사양 리스트에는 시설 용도별(주거용, 사무용 등), 공간별(거실, 부엌, 침실 등), 부위별(벽체, 천장, 바닥, 창호, 지붕 등)로 항목들이 제공된다.In the above requirement specifications list, items are provided by facility use (residential, office, etc.), space (living room, kitchen, bedroom, etc.), and area (walls, ceiling, floor, windows, roof, etc.).

또한, 상기 요구 사양 리스트에는 채광, 환기, 방음, 층간소음, 안전, 에너지 효율, 사용 용도(업무용, 회의용, 생활용) 등과 같이 주요 관심 사항 또는 희망 사항과 같은 사용 컨셉 항목들이 포함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ist of requirements includes use concept items such as lighting, ventilation, soundproofing, noise between floors, safety, energy efficiency, and usage (business, conference, living), etc.,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m. Let it happen.

아울러 사용자가 희망하는 마감 공사 예산 범위를 선택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finishing construction budget range.

상기 거주지 환경 분석부(3)는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환경분석 DB(30)로부터 대상 거주지 주변의 환경정보를 탐색하여 상기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2)에서 선택된 마감 공사 요구 사양과 관련된 주요 환경정보인 맞춤형 옵션정보를 추출한다.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3)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searche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the target residence from the environmental analysis DB (30), and relates to the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ment specifications selected in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unit (2). Extracts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which is key environmental information.

상기 거주지 환경 분석부(3)는 사용자 위치정보 입력부(1)에서 입력된 마감 공사가 진행될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에 따라 환경분석 DB(30)로부터 맞춤형 옵션정보를 추출한다.The residence environment analysis unit 3 extracts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from the environment analysis DB 30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where finishing work will be performed, input from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

상기 환경분석 DB(30)에는 토지 및 건물정보, 주변 시설정보, 환경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environmental analysis DB 30 may include land and building information, surrounding facility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토지 및 건물정보 중 토지정보에는 토지 면적, 지목, 용도 지역, 용도 지구, 지세, 도로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건물정보에는 건물 층수, 연면적, 노후년도, 주용도, 규모, 세대수, 건물 구조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Among land and building information, land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land area, land category, use area, use district, topography, roads, etc. The build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floors, total floor area, age, main use, size, number of households, building structure, etc.

주변 시설정보에는 노후 건물정보, 폐기물 처리 시설, 화합물 취급 시설, 환경 배출 시설, 소음 유발 시설 등과 같은 특정 관리 대상 시설이나 위험 시설정보가 포함된다.Surrounding facility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facilities subject to specific management or hazardous facilities, such as old building information, waste treatment facilities, compound handling facilities, environmental emission facilities, and noise-generating facilities.

또한, 환경정보에는 일조, 결로, 습도, 열 분포, 풍속 등과 같은 기후정보, 소음도, 미세먼지정보를 포함하고, 아울러 지진, 산불, 산사태, 홍수 범람, 해안 침수와 같은 재해정보도 포함된다.Additionally,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es climate information such as sunlight, condensation, humidity, heat distribution, wind speed, noise level, and fine dust information, and also includes disaster information such as earthquakes, forest fires, landslides, floods, and coastal flooding.

상기 거주지 환경 분석부(3)는 사용자에 의해 마감 공사가 진행될 대상 거주지의 주소가 입력되면, 환경분석 DB(30)에서 해당 지역과 근접한 일정 반경 이내 지역의 환경정보를 탐색하여 불러온 후 환경정보를 분석한다.When the address of the target residence where finishing work will be performed is entered by the us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3) searches for and retrieves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an area within a certain radius close to the area from the environmental analysis DB (30) and then retrieve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alyze.

그리고 분석된 대상 거주지 주변의 환경정보 중에서 상기 마감 공사 요구 사양과 관련된 주요 환경정보를 추출하여 맞춤형 옵션정보로 제공한다.And, from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the analyzed target residence, key environment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ments is extracted and provided as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2)에서 선택된 마감 공사 요구 사양이 창호인 경우, 거주지 환경 분석부(3)는 "선택된 위치 반경 5㎞ 내에 폐기물 처리 시설 n곳 포함함. 공기 순환 장치의 설치와 더불어 공기 순환을 돕는 친환경 자재를 선택할 것을 추천", "선택된 위치의 열분포도가 해당 지역 평균에 비해 2도 낮음. 실내 열쾌적성에 도움을 주는 에너지 효율 등급이 높은 자재 선택 추천" 등과 같은 맞춤형 옵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ment selected in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section (2) is window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section (3) will say, "N waste disposal facilities are included within a 5 km radius of the selected location. Air circulation device." In addition to installation, it is recommended to select eco-friendly materials that help air circulation”, “The heat distribution in the selected location is 2 degrees lower than the regional average. It is recommended to select materials with a high energy efficiency rating that help with indoor thermal comfort.”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여기에서 대상 거주지의 위치에 따라 탐색되는 주변의 범위는 사전 설정된 거리이며, 사용자 선택에 의해 사전 설정된 범위를 조정 가능하다.Here, the surrounding range search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is a preset distance, and the preset range can be adjusted by user selection.

상기 마감 자재 선택부(4)는 거주지 환경 분석부(3)에서 추출된 맞춤형 옵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2)에서 선택된 마감 공사 요구 사양에 따라 마감자재 DB(40)에서 추천 자재정보를 탐색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추천 자재정보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재가 선택된다.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refers to the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3) and recommends from the finishing material DB (40) according to the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ment specifications selected in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unit (2). Material information is searched and provided, and a material is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recommended material information provided.

상기 마감 자재 선택부(4)는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2)에서 선택된 마감 공사 요구 사양에 해당하는 자재정보를 마감자재 DB(40)에서 불러온 후 상기 자재정보에 포함된 자재 중 거주지 환경 분석부(3)에서 추출된 맞춤형 옵션정보를 참조하여 맞춤형 옵션정보를 만족하는 자재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retrieves materi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ments selected in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unit 2 from the finishing material DB 40 and then analyze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mong the materials included in the material information. By referring to the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extracted in part (3), materials that satisfy the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are extracted and provided.

상기 마감자재 DB(40)에는 마감 대상별 요구 성능에 맞게 마감 자재 성능과 결합한 마감 자재 설계 템플릿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마감 자재 선택부(4)는 상기 맞춤형 옵션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마감 자재 설계 템플릿을 불러와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최종 선택한 마감 자재정보는 다시 상기 마감자재 DB(40)의 마감 자재 설계 템플릿으로 피드백되어 마감 자재 설계 템플릿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finishing material DB 40 stores a finishing material design template combined with the performance of the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required performance for each finishing object, and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selects the corresponding finishing material design template according to the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You can call and provide it. The finishing material information finally selected by the user is fed back to the finishing material design template of the finishing material DB 40 to update the finishing material design template.

상기 마감자재 DB(40)에는 자재의 구매정보, 카탈로그, 시험성적서, 인증서, 시방서, 상세도, CAD 도면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finishing material DB 40 may include material purchase information, catalogs, test reports, certificates, specifications, detailed drawings, CAD drawing information, etc.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는 마감 자재 선택부(4)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재에 따라 마감 상세를 자동 설계한다. 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unit 5 automatically designs the finishing details according to the material selected by the user in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는 마감 자재 선택부(4)에서 사용자가 필요 자재를 선택하여 확정하면, 확정된 마감 자재로 마감 상세를 자동 설계한다. 자동 설계된 마감 상세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nd confirms required materials in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unit 5 automatically designs the finishing details using the confirmed finishing materials. The automatically designed finishing detail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provided to the user.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는 표시부에 마감 상세 제공 시 대상 거주지 주변의 환경 및 안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unit 5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environment and safety around the target residence when providing finishing details on the display and display simulation results.

아울러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는 표시부에 마감 상세 제공 시 마감자재 DB(40)와 연동하여 각 자재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unit 5 can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each material in conjunction with the finishing material DB 40 when providing finishing details on the display.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는 3D 설계모델의 객체정보부터 실별 마감 자재가 부착되는 각 면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설계도의 표준 마감상세도에 지정된 마감 자재를 추출된 각 면에 할당할 수 있다.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unit 5 automatically extracts each surface to which finishing materials for each room are attached from the object information of the 3D design model, and assigns the finishing materials specified in the standard finishing detail drawing of the blueprint to each extracted surface. .

그리고 할당된 마감 자재에 대해 상세 마감 수량이 필요한 자재와 불필요한 자재를 자동으로 구분한 후, 상세 마감 수량이 필요한 자재에 대해 시방서 및 기성 자재 스펙에 따라 마감 자재 배치를 최적화할 수 있다.After automatically distinguishing between materials that require detailed finishing quantities and unnecessary materials for the assigned finishing materials, the arrangement of finishing materials can be optimized according to specifications and ready-made material specifications for materials that require detailed finishing quantities.

상세 마감 수량이 필요한 자재는 타일, 데코 등과 같이 마감 자재를 객체 배치 후 현장 컷팅이 필요한 자재를 의미한다. Materials that require detailed finishing quantities refer to materials that require on-site cutting after placing finishing materials as objects, such as tiles and decorations.

상세 마감 수량이 불필요한 자재는 도포, 방수재 등이다. Materials that do not require detailed finishing quantities include coating and waterproofing materials.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는 컷팅 자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치를 최적화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한다.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unit 5 optimizes the arrangement to minimize cutting materials, thereby facilitating construction and reducing costs.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는 사용자에게 최적화에 따른 결과를 도면 또는 3D로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unit 5 can provide the user with the results of optimization by printing them in drawings or 3D.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단순히 마감 자재정보뿐 아니라 대상 거주지의 주변 환경정보를 제공하고, 주요 환경정보와 연계하여 필요한 성능 조건에 적합한 자재 리스트를 자동 제공한다. 이로써 거주자 맞춤형의 고성능, 고품질, 고효율 마감 상세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ot only information on finishing materials but also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target residence, and automatically provides a list of materials suitable for necessary performance conditions in connection with key environmental information. This allows us to provide high-performance, high-quality, highly efficient finishing details tailored to the occupants.

도 2는 도면정보 제공부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equipped with a draw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 입력부(1)에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에 따라 대상 거주지의 도면정보를 도면 DB(60)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는 도면정보 제공부(6)가 더 구비되어,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는 도면정보 제공부(6)에서 전달된 대상 거주지의 도면정보와 마감자재 DB(40)에 포함된 자재정보를 입력받아 마감 상세를 자동 설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 is further provided with a draw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6 that extracts and provides draw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from the drawing DB 60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Thus, 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unit 5 can automatically design the finishing details by receiving the draw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transmitted from the draw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6 and the materi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nishing material DB 40.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에서 마감 상세 자동 설계를 위해서는 도면정보가 필요하다.Drawing information is required for automatic finishing detailed design in 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unit (5).

이를 위해 별도의 도면정보가 저장된 도면 DB(60)와 도면 DB(60)에서 필요한 도면정보를 탐색하여 추출하기 위한 도면정보 제공부(6)를 구비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drawing DB 60 in which separate drawing information is stored and a draw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6 for searching and extracting necessary drawing information from the drawing DB 60 may be provided.

상기 도면정보 제공부(6)는 사용자 위치정보 입력부(1)에 입력된 마감 공사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사전 구축된 도면 DB(60)로부터 대상 거주지의 도면정보를 탐색하여 추출한다.The draw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6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sidence subject to finishing construction inputted i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 and searches for and extracts the draw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from the pre-constructed drawing DB 60.

상기 도면 DB(60)는 건축행정시스템 세움터나 토지이용계획열람 또는 민간 사설 DB 등과 같이 외부 도면 API를 활용할 수도 있다.The drawing DB 60 may utilize an external drawing API such as a construction administration system Seumteo, land use plan viewing, or a private private DB.

대상 거주지의 도면정보가 도면 DB(60)에 없는 경우에는 필요한 공간의 도면정보를 사용자가 도면정보 제공부(6)를 통해 직접 도면 DB(60)에 업로드할 수 있다.If the draw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is not in the drawing DB 60, the user can upload the drawing information of the required space directly to the drawing DB 60 through the drawing information provider 6.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는 상기 도면정보 제공부(6)에서 추출된 대상 거주지의 도면정보를 제공받고, 마감 자재 선택부(4)에서 확정된 마감 자재정보를 제공받아 마감 대상 객체에 마감 자재를 자동 할당하여 마감 상세 자동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unit 5 receives the draw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extracted from the draw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6, and receives the finishing material information confirmed from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to finish the object to be finished. By automatically assigning materials, you can perform automatic finishing detailed design.

상기 거주지 환경 분석부(3)는 입력된 주소정보와 대상 거주지의 도면정보에 기반하여 환경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3 may perform environmental analysis based on the input address information and floor plan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대상 거주지 요구 조건은 주변 건물의 배치, 건물의 향, 실의 배치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Target residential requirements may be influenced by the layout of surrounding buildings, the orientation of the building, the layout of the rooms, etc.

따라서 거주지 환경 분석부(3)는 입력된 주소정보로부터 주변 건물의 배치 상태를 파악하고, 대상 거주지의 도면정보로부터 건물의 향, 실의 배치 등을 파악하여 맞춤형 옵션정보 산출을 위한 거주지 환경 분석 시 반영되게 할 수 있다.Therefo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3 determines the layout of surrounding buildings from the input address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orient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layout of rooms from the draw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when analyz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o calculate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It can be reflected.

거주지 환경 분석을 위해 제공되는 대상 거주지의 도면정보는 거실, 부엌, 침실, 화장실 등과 같은 실의 개수와 배치에 대한 공간정보, 벽체, 천장, 바닥, 창호, 지붕 등 공간별 마감 공사가 시행되는 객체별 수량과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The draw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provided for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includes spatial information on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rooms such as the living room, kitchen, bedroom, and bathroom, and objects for which space-specific finishing work is performed such as walls, ceilings, floors, windows, and roofs. Specific quantity and area can be provided.

상기 마감 자재 선택부(4)는 사용자가 선택한 자재에 대해 예산 견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may provide budget estimate information for the material selected by the user.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마감재를 선택할 때에는 마감재의 성능이나 품질뿐 아니라 예산도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다.Generally, when a user selects a finishing material, not only the performance or quality of the finishing material but also the budget is one of the important criteria.

따라서 상기 마감 자재 선택부(4)에서 사용자가 1차로 자재를 선택하면, 선택된 자재를 기준으로 마감 자재 선택부(4)가 마감자재 DB(40)에 저장된 각 자재의 가격정보를 참조하여 예산 견적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first selects a material in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refers to the price information of each material stored in the finishing material DB 40 based on the selected material and provides a budget estimate. can be calculated and provided.

상기 예산 견적은 마감 상세 자동 설계 전 산정되는 것이므로 상세 견적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budget estimate is calculated before the final detailed automatic design, so it does not provide a detailed estimate.

사용자가 선택한 자재들은 면적 기준으로 예상 자재 수량과 시공 견적 결과가 제공된다. For the materials selected by the user, the estimated material quantity and construction estimate results are provided based on area.

상기 마감 자재 선택부(4)는 견적서 및 자재 수량 산출서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can provide an estimate and material quantity calculation.

사용자는 제공된 예산 견적정보를 참조하여 자재를 재선택할 수 있다.Users can reselect materials by referring to the provided budget estimate information.

도 3은 상세 견적 산출부가 더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further provided with a detailed quotation calculation uni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에서 설계된 설계정보에 따라 상세 견적정보를 제공하는 상세 견적 산출부(7)가 더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detailed quotation calculation unit 7 that provides detailed quot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ign information designed by 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unit 5 may be further provided.

기존 마감 자재의 수량 산출 방식은 마감재가 시공되는 부위의 면적을 기준으로 계산되어 자재 수량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정확한 발주 물량에 대한 파악이 곤란하여 계약자와 시공자 사이에 빈번하게 분쟁이 발생한다.The existing method of calculating the quantity of finishing materials is calculated based on the area of the area where the finishing materials are to be installed, which creates uncertainty about the quantity of materials, an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order quantity, which frequently causes disputes between contractors and constructors.

반면,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에서 설계된 마감 상세는 각 자재의 정확한 소요 물량을 산출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nishing details designed in 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unit 5 calculate the exact required quantity of each material.

따라서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에서 설계된 각 마감 자재의 설계정보를 활용하여 상세 견적정보를 제공하는 상세 견적 산출부(7)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refore, a detailed quotation calculation unit 7 that provides detailed quotation information using the design information of each finishing material designed in 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 design unit 5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상세 견적 산출부(7)는 상세 견적정보뿐 아니라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에서 제공된 3D 모델링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The detailed quotation calculation unit 7 can provide not only detailed quotation information but also a 3D modeling file provided by 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ed design unit 5.

아울러 상기 마감자재 DB(40)의 마감 자재정보를 참조하여 공정별 내역서, 시방서 및 자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details, specifications, and material information for each process can be provided by referring to the finishing material information in the finishing material DB 40.

도 4는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showing an automatic clos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에 의한 마감 자재 설계 과정을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ure 4, the finishing material design process by the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위치정보 입력부(1)에 위치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도면정보 제공부(6)가 입력 주소지의 도면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면 DB(60)에 도면데이터가 없으면 도면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면적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새로 입력된 도면파일 등은 도면 DB(60)에 저장 가능하다.First, the user inputs location information into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 At this time, the drawing information provider 6 can check the drawing data of the input address, and if there is no drawing data in the drawing DB 60, a drawing file can be uploaded or area information can be input. Newly input drawing files, etc. can be stored in the drawing DB 60.

도면데이터가 확인되면, 거주지 환경 분석부(3)는 환경분석 DB(30)의 정보를 참조하여 입력된 주소와 도면을 기반으로 환경 분석을 수행하여 결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거주지 환경 분석부(3)는 분석 결과에 따른 맞춤형 옵션을 추출하여 제공한다.When the drawing data is confirm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3 refers to the information in the environmental analysis DB 30, performs an environmental analysis based on the input address and drawing, and provides results.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3 extracts and provides customized op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그리고 상기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2)가 요구 사양 리스트를 제공하면 사용자가 마감 공사 요구 사양을 선택한다. 도 4에서는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이 맞춤형 옵션 제공 후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은 위치정보 입력 시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n, when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unit 2 provides a list of required specifications, the user selects the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d specification. In Figure 4, the selection of user-required specifications is shown as being made after providing customized options, but the selection of user-required specifications can also be made when entering location information.

이후, 상기 마감 자재 선택부(4)가 거주지 환경 분석부(3)에서 제공한 맞춤형 옵션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2)에서 선택된 마감 공사 요구 사양에 따라 자재 추가 및 사용자 선택을 한다. Thereafter,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refers to the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3) and adds materials and makes user selections according to the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ments selected in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unit (2). .

다음으로, 사용자가 추천된 자재를 선택하여 확정한다. 이때, 자재 미확정 시에는 마감 자재 선택부(4)에서 다른 자재를 다시 추천하고, 확정 시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확정된 자재정보는 마감자재 DB(40)로 피드백되어 다른 사용자를 위한 추천 데이터로 활용 가능하다.Next, the user selects and confirms the recommended material. At this time, if the material is not confirmed, another material is recommended again in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and when confirmed, the process moves on to the next step. The confirmed material information is fed back to the finishing material DB 40 and can be used as recommended data for other users.

사용자 자재 선택이 확정되면 1차 예산 견적서가 제공된다. 경우에 따라 1차 예산 견적서 제공 후 사용자가 원하는 예산 범위가 아닌 경우 자재 추천 및 선택 단계로 다시 돌아간다.Once user material selection is confirmed, a first budget estimate is provided. In some cases, after providing the first budget estimate, if it is not within the user's desired budget range, the process returns to the material recommendation and selection stage.

간략 견적인 1차 예산 견적서 제공 후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에 의해 자동 마감 상세 설계를 수행하며, 마감 상세 설계 결과에 따라 2차 상세 견적서를 산출할 수 있다. After providing the first budget estimate, which is a brief estimate, automatic final detailed design is performed by the automatic final detailed design department (5), and a second detailed quotation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inal detailed design results.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된다.5 to 8 show interface screens for each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거주지 환경 분석부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위치정보에 따라 주변 일정 반경 이내 범위에 대해 주변 시설 분석 결과와 환경 요인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Figure 5 is an interface screen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which provides analysis results of surrounding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a range within a certain radius according to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도 6은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사용자가 시설용도별, 공간별, 부위별, 컨셉별 요구 사양을 선택할 수 있다.Figure 6 is an interface screen for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section, where the user can select required specifications by facility use, space, area, and concept.

도 7은 마감 자재 선택부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사용자의 요구 사양에 맞춰 자재를 추천하고, 사용자는 추천된 자재에서 원하는 자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8은 마감 자재 선택부에서 제공하는 자재 상세 보기창으로 추천 또는 선택된 자재의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Figure 7 is an interface screen for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Materials are recommend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irements, and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material from the recommended materials. In addition, Figure 8 is a material detail view window provided in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section, where detailed information on recommended or selected materials can be checked.

1: 사용자 위치정보 입력부
2: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
3: 거주지 환경 분석부
30: 환경분석 DB
4: 마감 자재 선택부
40: 마감자재 DB
5: 마감상세 자동설계부
6: 도면정보 제공부
60: 도면 DB
7: 상세 견적 산출부
1: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section
2: User requirement selection section
3: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department
30: Environmental analysis DB
4: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section
40: Finishing material DB
5: Finishing Detail Automatic Design Department
6: Drawing information provision unit
60: Drawing DB
7: Detailed quotation calculation section

Claims (5)

마감 공사 대상 거주지의 거주 환경을 고려하여 자동 마감 설계를 진행하기 위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마감 공사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위치정보 입력부(1);
사용자에게 요구 사양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요구 사양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마감 공사 요구 사양이 선택되는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2);
상기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환경분석 DB(30)로부터 대상 거주지 주변의 환경정보를 탐색하여 상기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2)에서 선택된 마감 공사 요구 사양과 관련된 주요 환경정보인 맞춤형 옵션정보를 추출하는 거주지 환경 분석부(3);
상기 거주지 환경 분석부(3)에서 추출된 맞춤형 옵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요구 사양 선택부(2)에서 선택된 마감 공사 요구 사양에 따라 마감자재 DB(40)에서 추천 자재정보를 탐색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추천 자재정보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재가 선택되는 마감 자재 선택부(4); 및
상기 마감 자재 선택부(4)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재에 따라 마감 상세를 자동 설계하는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
It is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to proceed with automatic finishing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residence subject to finishing construction,
A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 that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a residence subject to finishing work from the user;
a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unit (2) that provides a list of required specifications to the user and selects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d specifications by the user from the provided list of required specificatio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is input,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the target residence is searched from the environmental analysis DB (30), and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main environment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ment selected in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unit (2), is provided. Extracting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3);
Referring to the customized op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3), recommended material information is searched and provided from the finishing material DB (40) according to the finishing construction requirement specifications selected in the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selection unit (2), a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in which a material is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recommended material information provided; and
a finishing detail automatic design unit (5) that automatically designs finishing details according to the material selected by the user in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An automatic clos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제1항에서,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 입력부(1)에 대상 거주지의 위치정보에 따라 대상 거주지의 도면정보를 도면 DB(60)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는 도면정보 제공부(6)가 더 구비되어,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는 도면정보 제공부(6)에서 전달된 대상 거주지의 도면정보와 마감자재 DB(40)에 포함된 자재정보를 입력받아 마감 상세를 자동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 is further provided with a draw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6 that extracts and provides draw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from the drawing DB 60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and 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ed design unit ( 5) is an automatic finishing design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is characterized by automatically designing the finishing details by receiving the draw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transmitted from the drawing information provider 6 and the materi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nishing material DB 40. system.
제2항에서,
상기 거주지 환경 분석부(3)는 입력된 주소정보와 대상 거주지의 도면정보에 기반하여 환경 분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
In paragraph 2,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alysis unit (3) is an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environmental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the input address information and the draw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residence.
제1항에서,
상기 마감 자재 선택부(4)는 사용자가 선택한 자재에 대해 예산 견적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
In paragraph 1:
An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in the finishing material selection unit (4) provides budget estimate information for the materials selected by the user.
제1항에서,
상기 마감상세 자동설계부(5)에서 설계된 설계정보에 따라 상세 견적정보를 제공하는 상세 견적 산출부(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 환경을 고려한 자동 마감 설계 시스템.
In paragraph 1:
An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the living environ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detailed quotation calculation unit (7) that provides detailed quot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ign information designed in the automatic finishing detailed design unit (5).
KR1020220078270A 2022-06-27 2022-06-27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residential environment KR202400015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270A KR20240001514A (en) 2022-06-27 2022-06-27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residential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270A KR20240001514A (en) 2022-06-27 2022-06-27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residential environ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514A true KR20240001514A (en) 2024-01-03

Family

ID=89538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270A KR20240001514A (en) 2022-06-27 2022-06-27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residential enviro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151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hillips et al. Triple bottom line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window-to-wall ratio in US office buildings
US20210065259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lecting and tracking a service provider in response to a customer request
KR20190081197A (en) Management system for total interior service using mobile device
Eweda et al. Space-based condition assessment model for buildings: Case study of educational buildings
van de Lindt et al. Fragility analysis methodology for performance-based analysis of wood-frame buildings for flood
Pushkar et al. Using shearing layer concept to evaluate green rating systems
Cole et al. GBTool user manual
KR20240001514A (en) Automatic finishing design system considering residential environment
Warouw et al. A study on the open building system for multi-storey housing in Indonesia
KR1022662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KR102086459B1 (en) Integrating collaboration type architecture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200032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building materials by using characteristic value
Forman Practice, policy and professional roles: unintended consequences and performance gaps in UK domestic solid wall insulation retrofit projects
Hall et al. Hoppet-the first fossil free preschool
Simpkins et al. Coordinating Mechanical Upgrades in a Landmark State Capitol Building
JP7442432B2 (en) Building online shopping system
JP2003058615A (en)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Radziejowska The assessment of the social performance of residential buildings
Loura et al. Multicriteria decision tool to assist in decisionmaking of housing envelop solutions and heating water system
Pousette et al. Harmonization of building regulations in the Nordic countries for wooden houses
Ballast PPI NCIDQ Fundamentals Practice Questions and Mock Exam, eText-1 Year
Giometti Energy analysis and HVAC system sizing of a mixed industrial and office Nearly Zero-Energy building
Di Vico Building Redevelopment for Repurpose
Beisi Quality control by levels: Steering the design process using BEA's Project Book
Azevedo et al. Influence of the Coating System on the Acoustic Performance of Buil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