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957A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957A
KR20240000957A KR1020220077808A KR20220077808A KR20240000957A KR 20240000957 A KR20240000957 A KR 20240000957A KR 1020220077808 A KR1020220077808 A KR 1020220077808A KR 20220077808 A KR20220077808 A KR 20220077808A KR 20240000957 A KR20240000957 A KR 20240000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display
area
use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투안 안 응우옌
반 투안 두옹
꾸옥 틴 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957A/en
Publication of KR20240000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9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영역을 감지하고,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 및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을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 및 방향을 기초로, 사용자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를 획득하고, 획득된 시야 각도를 기초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 flexible display,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one or more processors for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wherein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one or more instructions such that the flexible display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When it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at are not displayed, the user's eye area is detected using a camera provid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and the user's eye area is measured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camera. Obtaining the direction of the area, obtaining the viewing angle for each of the user's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distance and direction, and setting display contents and setting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viewing angle. An electronic device that changes at least one may be provided.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relate to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changes at least one of display content and setting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at are not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최근 전자 장치에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에 대한 이용 율이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the use of flexible displays in electronic devices has been increasing.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벤딩(bending)된 경우, 사용자의 위치 및 시야 각도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트를 거의 식별 할 수 없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생길 수 있다.When a flexible display is bent, a display area in which the user can barely discern the displayed content may be created depending on the user's position and viewing angle.

만일 이 경우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벤딩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하게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한다면, 사용자는 전체적인 내용의 파악에 불편을 느낄 수 있고,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Even in this case, if the flexible display displays content in the same way as when it is not bent,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in understanding the overall content, and it may also be undesirable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벤딩된 경우, 사용자의 시야 각도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when the flexible display is ben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content or display settings displayed in each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user's viewing angle.

본 개시는,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or changing at least one of display content and setting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at are not located on the same plan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영역을 감지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 및 상기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거리 및 방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시야 각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lexible display, a memory storing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one or more processors that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wherein the one or more processors includ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By executing the instruction, when the flexible display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at are not located on the same plane, the user's eye area is detected using a camera provid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and the user's eye area is detected from the camera. Obtaining the distance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based on the camera, and based on the obtained distance and direction, obtaining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And, based on the obtained viewing angle, at least one of display content and setting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can be changed.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은 상기 거리를 나타내는 직선과, 상기 카메라의 중앙을 통과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힌지(hinges)에 수직 방향인 직선 사이의 각도만큼 벌어진 방향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with respect to the camera is the angle between a straight line indicating the distance and a straight line tha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amera and is perpendicular to the hinges of the flexible display. It could be in a widened direc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는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면과,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으로부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 먼 부분으로 향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ewing angle for one display area is a straight line directed from the plane of the one display area and the farthest part of the one display area from the user's eye area. This may be the angle formed.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one or more proces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so that when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 one display area can be viewed. It is determined as a display area, and if the angl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ngle, the display area may be determined as a display area that cannot be viewed.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원을 끄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so that when the one display area is determined to be an unviewable display area, the one or more processors reduce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one display area or You can control it to turn off the power.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된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process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xecutes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when the one display area is determined to be a display area in which viewing is not possible, the process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termines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one display area to be a display area that is possible to view another display area. You can display it by moving it to .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되고,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면과,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으로부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특정 거리 이내의 영역으로 향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상기 특정 거리 이내인 영역은 시청이 가능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이외의 영역은 시청이 불가능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one display area is an unviewable display area by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determines the plane of the one display area and the user's eye area of the one display area. When the angle formed by a straight line heading to an area within a specific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angle, the area within the specific distance from the user's eyes among the display areas is determined as a first viewable display area, and the first display area is An area other than the display area may be determined as a second display area that cannot be viewed.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소정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isplay content displayed in the one display area on the first display area by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when the first display area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one display area. there is.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제1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가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상기 제1 소정 각도 이상, 제2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executes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to control one display area when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is less than a first predetermined angle. If the display area is determined to be impossible, and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determined angle but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angle, the display area cannot be viewed. It can be decided by area.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 및 상기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거리 및 방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The one or more proces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thereby determining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user's eyes based on the camera using a wearable device worn by the user. The direction of the area may be obtained, and based on the obtained distance and direction,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may be obtained.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 및 상기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거리 및 방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시야 각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flexible display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at are not located on the same plane, the display area is provid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Detecting the user's eye area using a camera, obtaining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with respect to the camera, the obtained distance and direction Based on this, obtaining a viewing angl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of the user and changing at least one of display content and setting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viewing angle. It can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은 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눈 방향은 상기 거리를 나타내는 직선과, 상기 카메라의 중앙을 통과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힌지(hinges)에 수직 방향인 직선 사이의 각도만큼 벌어진 방향일 수 있다.In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with respect to the camera passes through a straight line indicating the distance and the center of the camera. The direction may be as wide as the angle between straight lines perpendicular to the hinges of the flexible display.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는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면과,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으로부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 먼 부분으로 향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In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e viewing angle for one display area is a plane of the one display area and the one display area from the eye area of the user. It may be the angle formed by a straight line heading to the farthest part of .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determining the one display area as a viewable display area, If the angl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ngle, the display area may be determined as an unviewable display area.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원을 끄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display area is determined to be an unviewable display area, control is performed to reduce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display area or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display area. You can.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된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In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one display area is determined to be an unviewable display area,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one display area is moved to another display area determined to be viewable and displayed. can do.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되고,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면과,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으로부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특정 거리 이내의 영역으로 향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상기 특정 거리 이내인 영역은 시청이 가능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이외의 영역은 시청이 불가능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ne display area is determined as a display area that cannot be viewed, and the plane of the one display area and an area within a certain distance of the one display area from the eye area of the user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straight line toward may be determined as a second display area that cannot be viewed.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소정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first display area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one display area, content displayed in the one display area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rea.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획득된 시야 각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제1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가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상기 제1 소정 각도 이상, 제2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changing at least one of display content and setting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viewing angle, the viewing angl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Among them, if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angle, the one display area is determined as an uncontrollable display area, and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is , if the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determined angle but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angle, determining the one display area as an unviewable display area.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 및 상기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거리 및 방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시야 각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일 수 있다.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tects the user's eye area using a camera provid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when the flexible display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at are not located on the same plane. obtaining a distance from the camera to the user's eye area and a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with respect to the camera; based on the obtained distance and direction, the plurality of displays of the user Implemen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obtaining a viewing angle for each area and changing at least one of display content and setting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viewing angle. It may b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작동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 및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사용자 눈 영역의 방향을 획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를 획득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획득된 시야 각도를 기초로 시청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시청 가능한 최소 각도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야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눈 위치의 변경에 따라 시야 각도를 업데이트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야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야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야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야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야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야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시청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시청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oper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btaining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with respect to the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btaining a viewing angle for each of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whether a display area is viewable based on a viewing angle obta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to obtain the minimum viewable angl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9A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9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pdating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user's eye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1A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1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controllable display area or a viewable displa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viewable display area us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are described as general terms currently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is disclosure, but may mean various other term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etc. You can. Accordingly, 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should not be interpreted only by the name of the term, but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is disclosure.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본 명세서,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particularly in the claims, “the” and similar indicators may refer to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Additionally,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clearly designating the order of steps describ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ep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ny suitable ord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steps described.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 예에서" 또는 "일 실시 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 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Phrases such as “in some embodiments” or “in one embodiment” that appear in various places in this specification do not necessarily all refer to the same embodiment.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 configuration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Some or all of thes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numbers of hardware and/or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specific functions. For example,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may be implemented by circuit configurations for certain functions. Additionally, for exampl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s.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as algorithms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Additionally, the present disclosure may employ conventional technologies for electronic environment setup, signal processing, and/or data processing. Terms such as “mechanism,” “element,” “means,” and “configuration” are used broadly and are not limited to mechanical and physical components.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Additionally, connection lines or connection members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erely exemplify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In an actual device, connections between components may be represented by various replaceable or additional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 “user” refers to a person who uses a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the function or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may include a viewer, administrator, or installation engine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작동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oper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130)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130.

본 개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구부리거나 접어도 똑같은 화질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flexible display” may refer to a display that implements the same image quality even when bent or folded.

본 개시에서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 폰, 슈퍼 컴퓨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태블릿 PC, 데스크 탑,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스마트 냉장고, 전자 책, 스마트 TV, 디지털 사이니지 제품 및 기타 가전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smart phone, a super computer, a tablet PC, a laptop computer, a netbook computer, a tablet PC, a desktop,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 digital cameras, camcorders, navigation, MP3 players, wearable devices, smart refrigerators, e-books, smart TVs, digital signage products, and other home appliances.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10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하고, 이동 및 디스플레이의 벤딩이 용이한 스마트 폰인 경우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mbodiments can be easily implemented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 smart phone that includes a flexible display 130 and can easily move and bend the displ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전자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fixed or mobile, and may be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전자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resolu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for example, High Definition (HD), Full HD, Ultra HD, or a resolution clearer than Ultra HD.

도1의 실시예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는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As in the embodiment of FIG. 1,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bent. In this case, the flexible display 13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divided into (1) a display area and (2) a display area that are not located on the same plane.

본 실시예에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이고,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보기 어려운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1) the display area may be a display area where the user can view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2) the display area may be a display area wher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view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

종래에는 전자 장치(10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벤딩되어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보기 어려운 경우에도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2) 디스플레이 영역 모두 벤딩 되기 전과 동일한 내용을 그대로 디스플레이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는 전체를 보도록 디스플레이된 내용의 절반 밖에 볼 수 없는 불편이 야기되었다. Conventionally, the flexible display 13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bent as shown in FIG. 1 so that (2) the display area is divided into (1) the display area and (2) even when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se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2) All display areas displayed the same content as before bending. However, in this case, the inconvenience occurred in that the user could only see half of the displayed content to view the entire content.

또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을 보는 사람이 아무도 없음에도 불구하고, (1) 디스플레이 영역과 동일한 전력을 소비하여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2) even though no one is watching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1) the content is displayed consuming the same power as the display area, resulting in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 및 전자 장치의 작동 방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의 시야 각도를 획득하고, 획득된 시야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cquire the viewing angle of each of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at are not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display contents and settings according to the obtained viewing angle. By changing at least one of them, user inconvenience can be eliminated and energy efficiency can be improved.

전자 장치(100) 및 전자 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Specific details about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how to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플렉서블디스플레이(130) 및 카메라(1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processor 110, a memory 120, a flexible display 130, and a camera 140.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전자 장치(100)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120 may store programs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processor 110. Additionally, the memory 120 may store data input to or output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2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or RAM.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optical disks.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Memory 120 may store one or more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processor 110.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120)는 입/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mory 120 may sto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put through an input/output unit (not shown).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가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에 구비된 카메라(1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영역을 감지하고, 카메라(140)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 및 카메라(140)를 기준으로 한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을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 및 방향을 기초로, 사용자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를 획득하고, 획득된 시야 각도를 기초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flexible display 130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at are not located on the same plane, the memory 120 uses the camera 140 provid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to capture the user's eyes. Detect the area, obtain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140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with respect to the camera 140, and display a plurality of the user's eyes based on the obtained distance and direction. An instruction for controlling to obtain a viewing angle for each area and changing at least one of display content and setting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viewing angle may be stored.

본 개시에서 "사용자의 눈 영역"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두 눈을 모두 포함하는 최소의 박스 영역일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s eye area” may be a minimal box area that includes both of the user's eyes, as shown in FIG. 5.

본 개시에서 사용자 눈 영역을 거리 및 방향 계산의 기준으로 하는 경우, 사용자 눈 영역은 사용자 눈 영역의 중심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user's eye area is used as a standard for calculating distance and direction, the user's eye area may mean the center area of the user's eye area.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모리(12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various applications stored in the memory 120 when there is a user input or a preset and stored condition is satisfied.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stores signals or data input from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uses RAM, which is used as a storage area corresponding to various tasks per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It may include a ROM in which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is stored.

프로세서(11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may include single core, dual core, triple core, quad core, and multiple cores thereof. Additionally, the processor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For example, the processor 110 may be implemented as a main processor (not shown) and a sub processor (not shown) operating in a sleep mode.

또한, 프로세서(110)는 CPU(Cetral Processing Unit), GPU (Graphic Processing Unit) 및 VPU(Video Processing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CPU, GPU 및 VPU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nd a Video Processing Unit (VPU). Alternative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C (System On Chip) integrating at least one of CPU, GPU, and VPU.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전자 장치(10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10 can control various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20.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가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에 구비된 카메라(1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flexible display 130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at are not located on the same plane, the processor 110 uses the camera 140 provid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to capture the user's eyes. Area can be detected.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에 구비된 카메라(140)는 전면 카메라일 수 있다.The camera 140 provid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may be a front camera.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카메라(1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 및 카메라(140)를 기준으로 한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자세한 내용은 도 5에서 후술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10 may use the camera 140 to obtain the distance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based on the camera 140. Details abou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5.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획득된 거리 및 방향을 기초로, 사용자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자세한 내용은 도 6에서 후술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10 may obtain a viewing angle for each of the user's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distance and direction. Details abou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6.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획득된 시야 각도를 기초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다양한 예시는 도 9a, 도 9b, 도 11a, 도 11b 및 도 11c 등에서 후술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10 may change at least one of display content and setting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viewing angle. Various examples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S. 9A, 9B, 11A, 11B, and 11C.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10 determines the display area as a viewable display area when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and determines the display area as a viewable display area.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if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 corresponding display area may be determined as a display area that cannot be viewed.

일 실시예에서 소정 각도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설정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의하여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manually set by the user or automatically determin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일 실시예에서 소정 각도는 반복적인 실험 또는 데이터를 통하여 획득된 각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an angle obtained through repeated experiments or data.

소정 각도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자세한 내용은 도 8에서 후술한다.Details of the method for obtaining a predetermined angle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8.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의 전자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100)의 일 실시예인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of FIG. 3 may be a display device that is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described in FIGS. 1 and 2 .

도 3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튜너부(340), 프로세서(110), 디스플레이(130), 통신부(350), 센서부(360), 입/출력부(370), 비디오 처리부(380), 오디오 처리부(385), 오디오 출력부(390), 메모리(120), 전원부(39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tuner unit 340, a processor 110, a display 130, a communication unit 350, a sensor unit 360, an input/output unit 370, and a video processing unit. It may include (380), an audio processing unit (385), an audio output unit (390), a memory (120), and a power supply unit (395).

도 3의 프로세서(110)는, 도 2의 프로세서(120)에 도 3의 메모리(120)는 도 2의 메모리(120)에, 도 3의 디스플레이(130)는 도 2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에, 도 3의 카메라(140)는 도 2의 카메라(140)에 대응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processor 110 of FIG. 3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20 of FIG. 2, the memory 120 of FIG. 3 is connected to the memory 120 of FIG. 2, and the display 130 of FIG. 3 is connected to the flexible display 130 of FIG. 2. The camera 140 of FIG. 3 ha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140 of FIG. 2. Therefore, the same content as previously described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350)는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LAN 모듈, 이더넷(Ethernet)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LAN module, an Ethernet modul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etc. At this time, each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hardware chip.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Wi-Fi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Fi module and Bluetooth module communicate using Wi-Fi and Bluetooth methods, respectively. When using a Wi-Fi module or a Bluetooth module, various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SSID and session key are first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various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fte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this.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include zigbee, 3G (3rd Generation),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TE Advanced), 4G (4th Generation), 5G (5th Generation), etc. It may include at least one communication chip that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350)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receive user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부(3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The tuner unit 3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intended to receive a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wire or wirelessly from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 100 among many radio wave components through amplification, mixing, resonance, etc. You can select only the frequency of the desired channel by tuning it. Broadcast signals include audio, video, and additional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튜너부(34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340)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The tuner unit 340 can receive broadcast signals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terrestrial broadcasting, cable broadcasting, satellite broadcasting, and Internet broadcasting. The tuner unit 340 may receive broadcast signals from sources such as analog broadcasting or digital broadcasting.

센서부(360)는 전자 장치(100) 주변의 음성, 전자 장치(100) 주변의 영상 또는 전자 장치(100) 주변과의 인터랙션을 감지하며, 마이크(331), 카메라(140) 및 광 수신부(3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6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또는 전자 장치(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10)로 전달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360 detects voices around the electronic device 100, images around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interactions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includes a microphone 331, a camera 140, and a light receiver ( 33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The sensor unit 360 may detect the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the state surround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ransmit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processor 110.

마이크(33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 및 전자 장치(100) 주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33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10)로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331)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The microphone 331 receives the user's uttered voice and voices generated around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microphone 331 may convert the received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 it to the processor 110. The microphone 331 can use various noise removal algorithms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acoustic signal.

카메라(140)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프로세서(11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The camera 140 can obtain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Images captured through the image sensor may be processed through the processor 110 or a separate image processing unit (not shown).

카메라(14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2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3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40)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camera 14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20 or transmitted externall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50. Two or more cameras 140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광 수신부(333)는 외부의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수신한다. 광 수신부(333)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수신부(333)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채널 전환을 위한 채널 업/다운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optical receiver 333 receives optical signals (including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an external remote control device (not shown). The light receiver 333 may receive an optical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eg, touch, press, touch gesture, voice, or motion) from a remote control device (not shown). A control signal may be extracted from the received optical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10. For example, the light receiver 333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up/down button for channel switching from a remote control device (not shown).

도 3의 센서부(360)는, 마이크(331), 카메라(140) 및 광 수신부(333)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온/습도 센서, 적외선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위치 센서(예컨대, GPS), 기압 센서, 근접 센서, RGB 센서,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및 Wi-Fi 신호 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nsor unit 360 in FIG. 3 is shown as including a microphone 331, a camera 140, and a light receiver 333,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 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an infrared sensor, a gyroscope sensor, a location sensor (e.g., GPS), an air pressure sensor, a proximity sensor, an RGB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d a Wi-Fi signal receiv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Since the function of each sensor can be intuitively deduc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its nam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3의 센서부(360)는, 전자 장치(100) 자체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리모콘과 같은 전자 장치(100)와 독립적으로 위치하며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는 장치인 제어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360 in FIG. 3 is shown as being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itself,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located independentl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such as a remote control, and communicates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It may be provided in a control device that is a device.

전자 장치(100)의 제어 장치에 센싱부(130)가 구비된 경우, 제어 장치는 센싱부(130)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적외선(infrared), 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equipped with the sensing unit 130, the control device can digitize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130 and transmit it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control device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ing infrared, Wi-Fi, or Bluetooth.

예를 들어, 마이크는 전자 장치(100) 자체에 구비될 수 있지만, 리모콘과 같은 전자 장치(100)와 독립적으로 위치하며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는 장치인 제어 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microphone may b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itself, but may also be provided in a control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 that is located independentl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communicates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가 리모콘에 구비된 경우,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고, 리모콘에서 이를 디지털화 하여 TV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리모콘은 적외선(infrared), 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 microphone is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an analog voice signal can be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digitized by the remote control, and transmitted to the TV.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ing infrared, Wi-Fi, or Bluetooth.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적외선(infrared), 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통신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units 350 capable of various short-distance communications including infrared, Wi-Fi, or Bluetooth.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리모콘과 통신하는 통신부가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units 350, each of which is different from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server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remote control.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리모콘과 통신하는 통신부가 서로 동일한 통신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50 that communicates with a server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remote control.

일 실시예에서 리모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의 디바이스는 위 기재된 리모콘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리모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디바이스는 TV 등의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고, 음성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device such as a smartphone with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may perform the same role as the remote control described above. That is, a device with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installed can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100, such as a TV, and perform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리모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 이외에 AI 스피커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동작할 수 있는 모든 디바이스일 수 있다.The device on which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can be any device that can be operated by installing the application, such as an AI speaker, in addition to a smart phone.

입/출력부(370)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370)는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Universal Serial Bus), DP(Display Port), 썬더볼트(Thunderbolt), VGA(Video Graphics Array) 포트, RGB 포트, D-SUB(D-subminiatur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PC 포트(PC port)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unit 370 outputs video (e.g., video, etc.), audio (e.g., voice, music, etc.) and additional information (e.g., For example, EPG, etc.) are received. The input/output unit 370 includes 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 (Universal Serial Bus), DP (Display Port), Thunderbolt, and VGA (Video Graphics Array). ) port, RGB port, D-SUB (D-subminiatur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component jack, or PC port.

비디오 처리부(380)는, 전자 장치(1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38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video processing unit 380 performs processing on video data receiv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video processing unit 380 can perform various image processing such as decoding, scaling, noise filtering, frame rate conversion, and resolution conversion on video data.

디스플레이(130)는 프로세서(11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3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display 130 generates a driving signal by converting image signals, data signals, OSD signals, and control signals processed by the processor 110. The display 130 may be implemented as a PDP, LCD, OLED, flexible display, etc., and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3D display. Additionally, the display 130 can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디스플레이(130)는 통신부(미도시) 또는 입/출력부(370)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컨텐트를 출력하거나, 메모리(12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입/출력부(37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The display 130 may output various contents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or the input/output unit 370, or may output images stored in the memory 120. Additionally, the display 130 may outpu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output unit 370 on the screen.

디스플레이(13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거나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등 다양한 발광체를 포함하는 패널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 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일 수도 있다. Display 13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The display panel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or a panel containing various light emitters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Additionally,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a curved display device, which is a screen with a curvature, or a flexible display device whose curvature can be adjusted. The display panel may be a 3D display or an electrophoretic display.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resolution of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for example, High Definition (HD), Full HD, Ultra HD, or a resolution sharper than Ultra HD.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로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3 ,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shown as including a displa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video/audio signals to the display device.

오디오 처리부(385)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385)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385)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 audio processing unit 385 performs processing on audio data. The audio processing unit 385 may perform various processing such as decoding, amplification, noise filtering, etc. on audio data. Meanwhile, the audio processing unit 385 may b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audio processing modules to process audio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ntents.

오디오 출력부(390)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3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390)는 통신부(350) 또는 입/출력부(3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390)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2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390)는 스피커, 헤드폰 출력 단자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390 outputs audio included i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uner unit 34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10. The audio output unit 390 may output audio (eg, voice, sound)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50 or the input/output unit 370. Additionally, the audio output unit 390 may output audio stored in the memory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10. The audio output unit 39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aker, a headphone output terminal, or a 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S/PDIF) output terminal.

전원부(395)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395)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395 supplies power input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o components within the electronic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10. Additionally, the power unit 395 may supply power output from one or more batteries (not shown) located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internal components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10.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도시 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의 도시 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전자 장치(1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memory 120 may store various data, programs, or applications for driving and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10. The memory 120 includes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not shown), a channel control module, a volume control module, a communication control module, a voice recognition module, a motion recognition module, an optical reception module, a display control module, an audio control module, an external input control module, and a power supply. It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a power control module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wirelessly (eg, Bluetooth), a voice database (DB), or a motion database (DB). Not shown modules and database of the memory 120 include a broadcast reception control function, a channel control function, a volume control function, a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 motion recognition function, and an optical reception control func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form to perform a display control function, an audio control function, an external input control function, a power control function, or a power control function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wirelessly (eg, Bluetooth). The processor 110 can perform each function using these software stored in the memory 120.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블록도는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전자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the block diagram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shown in FIGS. 2 and 3 is a block diagram for one embodiment.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at is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as needed,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by each block are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and the specific operations or devic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가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에 구비된 카메라(1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S410).Referring to FIG. 4 , when the flexible display 130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at are not located on the same plane, the electronic device 100 uses a camera 140 provid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to detect the user. The eye area can be detected (S4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가 벤딩(bending)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30)는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When the flexible display 130 is bent, the display 130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display areas that are not located on the same plane.

카메라(140)는 나누어진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의 눈 영역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amera 140 can detect the user's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user's eye area using a front camera located in at least one of two or more divided display areas.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140)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 및 카메라(140)를 기준으로 한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S42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140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based on the camera 140 (S420).

S420 단계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는 S410 단계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눈 영역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자세한 내용은 도5에서 후술한다.Through step S420,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accurate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user's eye area detected in step S410. Details abou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ure 5.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360)에 의하여 획득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눈 영역을 더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more accurately identify the user's eye area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360.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 중 일부 센서를 메인 센서로 결정하고, 나머지 센서를 보조 센서로 결정하여, 사용자의 눈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e user's eye area by determining som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as main sensors and the remaining sensors as auxiliary sensors.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거리 및 방향을 기초로, 사용자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S43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the viewing angle for each of the user's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distance and direction (S430).

전자 장치(100)는 S420 단계에서 보다 정확하게 식별된 사용자의 눈 영역의위치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 영역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을 바라 보는 시야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a viewing angle viewing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from the user's eye area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 area more accurately identified in step S420.

시야 각도를 획득하는 상세한 방법은 도6에서 후술한다.A detailed method of obtaining the viewing angle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ure 6.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시야 각도를 기초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40).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o change at least one of display content and setting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viewing angle (S440).

전자 장치(100)가 획득된 시야 각도를 기초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은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막을 수 있는 변경일 수 있다.Chang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 contents and setting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viewing angle obtain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 change that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and prevent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이에 대하여 자세한 설명은 도 9a, 도 9b, 도 11a, 도 11b 및 도 11c 등에서 후술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in FIGS. 9A, 9B, 11A, 11B, and 11C.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 및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사용자 눈 영역의 방향을 획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btaining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with respect to the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전자 장치(100)는 중심 면 및 중심 선을 결정할 수 있다(S510, S520).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center plane and center line (S510, S520).

본 개시에서 중심 면은 전자 장치(100)의 모든 디스플레이 영역 및 카메라(140)의 중심을 관통하는 디스플레이의 힌지에 수직인 면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central plane may refer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hinge of the display tha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all display area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camera 140.

본 개시에서 중심 선은 중심 면을 구성하는 직선 중 전자 장치(100)의 카메라(140)를 관통하는 선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center line may refer to a line that passes through the camera 14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mong the straight lines constituting the center plane.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의 눈을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중심 면이 사용자의 눈 영역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중심 면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530).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cts the user's eye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move the central pla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central plane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user's eye area (S530).

이 경우, 사용자의 눈 영역의 중심과 전자 장치(100)의 카메라(140) 사이에 2D 맵이 생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2D map may be created between the center of the user's eye area and the camera 14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전자 장치(100)는 생성된 2D 맵을 기초로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 및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사용자 눈 영역의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S540).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based on the camera based on the generated 2D map (S540).

전자 장치(100)는 생성된 2D 맵 상에서 사용자의 눈 영역과 카메라(140) 사이의 거리(d)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 영역과 카메라(140) 사이의 거리(d)는 가능한 경로 중 최단 경로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the distance d between the user's eye area and the camera 140 on the generated 2D map. The distance (d) between the user's eye area and the camera 140 may mean the distance of the shortest path among possible paths.

본 개시에서 사용자의 눈 영역과 카메라(140) 사이의 거리(d)는 사용자 눈 영역의 중심과 카메라(140) 사이의 거리(d)일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tance (d) between the user's eye area and the camera 140 may be the distance (d) between the center of the user's eye area and the camera 140.

또한 전자 장치(100)는 생성된 2D 맵을 기초로 중심 선에서 거리(d)를 나타내는 직선 사이의 각도(β)만큼 벌어진 방향을 카메라(140)에 대한 사용자의 눈 방향으로 획득할 수 있다.Additionally, based on the generated 2D map,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s eyes are separated from the center line by an angle (β) between the straight lines representing the distance (d) from the center line.

본 개시에서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사용자 눈 영역의 방향은 위 2D 맵 상 에서 카메라가 관통하는 중심 선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눈 영역과 카메라(140) 사이의 거리(d)를 나타내는 직선 사이의 각도(β)만큼 벌어진 방향일 수 있다.In this disclosure,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with respect to the camera is the angle between the straight line representing the distance (d) between the user's eye area and the camera 140 based on the center line through which the camera passes on the 2D map above ( It can be in a direction widened by β).

본 개시에서 사용자 눈 영역을 거리 및 방향의 기준으로 하는 경우, 사용자 눈 영역은 사용자 눈 영역의 중심부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user's eye area is used as a reference for distance and direction, the user's eye area may mean the center of the user's eye area.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를 획득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btaining a viewing angle for each of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전자 장치(100)는 도 5에 기재된 방법을 통하여 획득된, 카메라(140)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d) 및 카메라(140)를 기준으로 한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β)을 기초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 각도(α)를 획득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uses the distance (d) from the camera 140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direction (β) of the user's eye area based on the camera 140, which are obtained through the method described in FIG. 5. As a basis, the user's viewing angle (α)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can be obtained.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는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면과 사용자의 눈 영역으로부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 먼 부분(f)으로 향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α)일 수 있다.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e viewing angle for one display area is the angle (α) formed by the plane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area and a straight line heading from the user's eye area to the farthest part (f) of one display area. You can.

시야 각도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면과 사용자의 눈 영역으로부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 먼 부분(f)으로 향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α)이므로,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획득 될 수 있는 가장 작은 각도일 수 있다.Since the viewing angle is the angle (α) formed by the plane of the display area and a straight line from the user's eye area to the furthest part (f) of one display area, it may be the smallest angle that can be obtained for the corresponding display area.

도6의 (a), (b), (c) 및 (d)는 모두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카메라(140)를 포함하지 않은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 각도(α)를 도시하고 있다.Figures 6 (a), (b), (c), and (d) all show the user's viewing angle (α) for the display area that does not include the camera 140 among the two display areas.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획득된 시야 각도를 기초로 시청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whether a display area is viewable based on a viewing angle obta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display area as a viewable display area, and determines the viewing angl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Among the angles, if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 corresponding display area may be determined as a display area that cannot be viewed.

예를 들어, 도 7의 (a)와 같이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아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α)가 소정 각도보다 큰 경우, 전자 장치(100)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아래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7, when the viewing angle α for the lower display area of the two display areas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 electronic device 100 views the lower display area of the two display areas. This can be determined by the available display area.

다른 예를 들어, 도 7의 (b)와 같이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왼쪽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α)가 소정 각도보다 크다고 가정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왼쪽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the viewing angle α for the left display area of the two display areas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b) of FIG. 7,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view the left display area of the two display areas. The display area can be determined as a display area where the display area can be viewed.

다른 예를 들어, 도 7의 (c)와 같이 왼쪽으로부터 두 번째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는 α1이고, 왼쪽으로부터 세 번째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는 α2이며, α1은 소정 각도 미만이고, α2는 소정 각도 이상이라고 가정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왼쪽으로부터 두 번째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왼쪽으로부터 세 번째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as shown in (c) of Figure 7, the viewing angle for the second display area from the left is α1, and the viewing angle for the third display area from the left is α2, where α1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ngle and α2 is Assuming that the angl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second display area from the left as a display area that cannot be viewed, and determine the third display area from the left as a display area that can be viewed.

본 개시에서 소정 각도는 반복적인 실험 또는 데이터를 통하여 획득된 각도일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an angle obtained through repeated experiments or data.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시청 가능한 최소 각도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to obtain the minimum viewable angl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눈 영역의 위치, 빛의 위치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값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청이 가능한 최소 각도 즉, 소정 각도를 획득하도록 학습된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소정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uses a neural network learned to obtain the minimum viewing angle for the display area, that is, a predetermined angle, from an input valu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 area, the position of the light, and the illuminance. Using the network, a predetermined angle can be determined.

입력 값은 열거한 사용자의 눈 영역의 위치, 빛의 위치 및 조도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청이 가능한 최소 각도의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Input values may include all factors that may affect the determination of the minimum viewing angle for the display area, in addition to the listed position of the user's eye area, light position, and illuminance.

일 실시예에서 입력 값은 카메라(140) 등과 같은 센서부(360)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put value may be obtained through a sensor unit 360, such as a camera 140.

인공지능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기계학습(딥러닝) 기술 및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Artificial intelligence is a computer system that implements human-level intelligence. It is a system in which machines learn and make decisions on their own, and the recognition rate improves as they are use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nsists of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technology that uses an algorithm that classifies/learns the characteristics of input data on its own, and element technologies that mimic the functions of the human brain such as cognition and judgment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예를 들어, 요소 기술들은 인간의 언어/문자를 인식하는 언어적 이해 기술,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는 시각적 이해 기술,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추론/예측 기술,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데이터로 처리하는 지식 표현 기술 및 차량의 자율 주행,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ment technologies include linguistic understanding technology that recognizes human language/characters, visual understanding technology that recognizes objects as if they were human eyes, reasoning/prediction technology that judges information and makes logical inferences and predictions, and human experienc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knowledge expression technology that processes information into knowledge data, autonomous driving of a vehicle, and motion control technology that controls the movement of a robot.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과 관련된 기능은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를 통해 동작된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CPU, AP,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 VPU(Vision Processing Unit)와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110)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인 경우,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는, 특정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Function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re operated through the processor 110 and memory 120. Processor 110 may be comprised of one or multiple processors. At this time, one or more processors may be a general-purpose processor such as a CPU, AP, or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 graphics-specific processor such as a GPU or VPU (Vision Processing Unit),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specific processor such as an NPU. One or more processors 110 control input data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predefined operation rules 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stored in the memory 120. Alternatively, when one or more processors 110 are dedicated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ssor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dicated processors may be designed with a hardware structure specialized for processing a 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은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것은, 기본 인공지능 모델이 학습 알고리즘에 의하여 다수의 학습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학습됨으로써, 원하는 특성(또는, 목적)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이 만들어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학습은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0) 자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200) 및/또는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의 예로는,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이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Predefined operation rules 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are characterized by being created through learning. Here, being created through learning means that the bas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learned using a large number of learning data by a learning algorithm, thereby creating a predefined operation rule 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set to perform the desired characteristics (or purpose). It means burden. This learning may be per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itself,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performed, or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server 200 and/or system. Examples of learning algorithms include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semi-supervised learning, or reinforcement learning, but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 각각은 복수의 가중치들(weight values)을 갖고 있으며, 이전(previous) 레이어의 연산 결과와 복수의 가중치들 간의 연산을 통해 신경망 연산을 수행한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이 갖고 있는 복수의 가중치들은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 결과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과정 동안 인공지능 모델에서 획득한 로스(loss) 값 또는 코스트(cost) 값이 감소 또는 최소화되도록 복수의 가중치들이 갱신될 수 있다.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composed of multiple neural network layers. Each of the plurality of neural network layers has a plurality of weight values, and neural network calculation is performed through calculation between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previous layer and the plurality of weights. Multiple weights of multiple neural network layers can be optimized by the learning result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example, a plurality of weights may be updated so that loss or cost values obtained from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re reduced or minimized during the learning process.

딥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기 학습된 심층 신경망 모델(pre-trained deep neural network)(810)을 이용하여, 소정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기 학습된 심층 신경망 모델(810)은 사용자의 눈 영역의 위치, 빛의 위치 및 조도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청 가능 여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값으로 하고, 소정 각도를 출력 값으로 하는 학습(learning)을 통해 트레이닝된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using a deep learning algorithm, the processor 110 may determine a predetermined angle using a pre-trained deep neural network model 810. The previously learned deep neural network model 810 takes as an input value at least one of all factors that can affect whether the display area can be viewed, such as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 area, the position of light, and illuminance, and sets a predetermined angle. It may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through learning with as the output value.

심층 신경망 모델은 예를 들어, 컨볼루션 신경망 모델(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심층 신경망 모델은 순환 신경망 모델(Recurrent Neural Network; RNN), 제한 볼츠만 머신(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및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지의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다. The deep neural network model may be, for exampl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deep neural network models include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 Deep Belief Network (DBN),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BRDNN), and deep neural network (RNN). It may be a know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Q-Networks (Deep Q-Networks).

전자 장치(100)는 소정 각도를 결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mplement various methods for determining a predetermined angle using various algorithms.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야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9A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9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hanging a display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9a 및 도 9b에 기재된 내용은 도 4의 S440 단계에 대한 예시에 해당할 수 있다. The contents described in FIGS. 9A and 9B may correspond to examples of step S440 of FIG. 4.

즉,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내용은 획득된 시야 각도(α)를 기초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예시에 해당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shown in FIGS. 9A and 9B may correspond to an example of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 content and setting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viewing angle (α).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으로 인하여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있지 않은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게 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1) a display area and (2) a display area that are not on the same plane due to bending, as shown in FIG. 9B.

전자 장치(100)는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선택된 영상을 재생하고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재생 가능한 영상의 목록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1) play a selected image in the display area and (2) display a list of images that can be played back in the display area.

이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는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α)를 획득할 수 있다(S91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 α1 및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 α2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 방법에 대하여 자세한 내용은 도 4의 S410, S420, S430 단계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과 같으므로 생략한다.In this state,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acquire the viewing angle α for each display area (S910). Specific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quire (1) a viewing angle α1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and (2) a viewing angle α2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Details about the acquisition method are omitted since they are the same as those already described in FIGS. 5 and 6 for steps S410, S420, and S430 of FIG. 4.

전자 장치(100)는 시야 각도(α)가 소정 각도 이상인지 결정할 수 있다(S920). 전자 장치(100)는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 α1 및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 α2가 각각 소정 각도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viewing angle α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ngle (S92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1) the viewing angle α1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and (2) the viewing angle α2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respectively,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시야 각도(α)가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S930).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원을 끄거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When the viewing angle α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duce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area (S930). In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turn off the power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area or change it in a way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도 9b의 실시예에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 α1 은 소정 각도 이상이고,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 α2는 소정 각도 미만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2)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전원을 끄거나 전력 보호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9B, (1) the viewing angle α1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ngle, and (2) the viewing angle α2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may be less than a predetermined angle.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2) determines the display area as an unviewable display area, (2) stops displaying the display area, and (2) turns off the power to the display area or enters a power conservation mode. It can be run.

이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상호 작용을 수신할 수 있다(S950). 예를 들어, 상호 작용은 터치 입력, 보이스 입력 또는 키보드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In this state,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receive interaction from the user (S950). For example, the interaction may be user input such as touch input, voice input, or keyboard input.

도 9b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9B,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2) a user input that touches the display area.

사용자로부터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상호 작용이 수신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원래의 컨텐츠 디스플레이를 계속 할 수 있다(S940). 사용자로부터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상호 작용이 수신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설정을 종료할 수 있다. When interaction with the corresponding display area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inue displaying the original content (S940). When interaction with the corresponding display area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end display settings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S920단계에서 시야 각도(α)가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어떠한 변경을 가하지 않고, 원래의 컨텐츠 디스플레이를 계속 할 수 있다(S940).If the viewing angle α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ngle in step S92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inue to display the original content without making any changes to the display area (S940).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눈 위치의 변경에 따라 시야 각도를 업데이트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pdating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user's eye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140)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d) 및 카메라(140)를 기준으로 한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β)을 획득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the distance (d) from the camera 140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direction (β) of the user's eye area based on the camera 140.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거리 및 방향을 기초로,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 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 각도(α)를 획득하고, 획득된 시야 각도(α)를 기초로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acquires the user's viewing angle (α) for one display area based on the obtained distance and direction, and displays content and information for the display area based on the obtained viewing angle (α). You have control to change at least one of the settings.

그러나 전자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눈 영역의 위치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변경될 수 있다.However,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 area with respect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not fixed and may change.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마다 사용자 눈 영역을 새롭게 감지하고, 카메라(140)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d) 및 카메라(140)를 기준으로 한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β)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newly detects the user's eye area every time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nd determines the distance (d) from the camera 140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user's eye area based on the camera 140. The direction (β) of the eye area can be updated.

예를 들어, (a)와 같이 존재하던 사용자 눈 영역의 위치는 (c)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 area as shown in (a) may be changed as shown in (c).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140)로부터 새롭게 감지된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d) 및 카메라(140)를 기준으로 한 새롭게 감지된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β)을 다시 획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alculates the distance (d) from the camera 140 to the newly detected user's eye area and the direction (β) of the newly detected user's eye area based on the camera 140. It can be obtained.

전자 장치(100)는 다시 획득된 거리 및 방향을 기초로,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 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 각도(α)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시야 각도(α)를 기초로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updates the user's viewing angle (α) for one display area based on the re-acquired distance and direction, and displays content for that display area based on the updated viewing angle (α). and control to change at least one of the settings.

도 10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 영역이 (a) 위치에 있을 때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아래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시야 각도(α)가 소정 각도 이상인 시청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 이었으나, 사용자의 눈 영역이 (c) 위치로 변경된 경우 시야 각도(α)가 소정 각도 미만인 시청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10, when the user's eye area is at position (a), the lower display area of the two display areas is a viewable display area with a viewing angle (α)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but the user's eye area is (c) ) When the position is changed, the display area may be changed to an unviewable display area where the viewing angle (α)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ngle.

도 1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1b 및 도 1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야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1A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S. 11B and 11C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changing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1a, 도 11b 및 도 11c에 기재된 내용은 도 4의 S440 단계에 대한 예시에 해당할 수 있다. Contents described in FIGS. 11A, 11B, and 11C may correspond to examples of step S440 in FIG. 4.

즉, 도 11a,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내용은 획득된 시야 각도(α)를 기초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예시에 해당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shown in FIGS. 11A, 11B, and 11C may correspond to an example of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 content and setting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viewing angle (α).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으로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있지 않은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1) a display area and (2) a display area that are not on the same plane due to bending, as shown in FIGS. 11B and 11C.

전자 장치(100)는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영상을 재생하고 (2) 디스플레이 영역에 재생 가능한 영상의 목록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1) play an image in the display area and (2) display a list of images that can be played back in the display area.

이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는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α)를 획득할 수 있다(S111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 α1 및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 α2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 방법에 대하여 자세한 내용은 도 4의 S410, S420, S430 단계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과 같으므로 생략한다.In this state,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acquire the viewing angle α for each display area (S1110). Specific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quire (1) a viewing angle α1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and (2) a viewing angle α2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Details about the acquisition method are omitted since they are the same as those already described in FIGS. 5 and 6 for steps S410, S420, and S430 of FIG. 4.

전자 장치(100)는 시야 각도(α)가 소정 각도 이상인지 결정할 수 있다(S1120). 전자 장치(100)는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 α1 및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 α2가 각각 소정 각도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viewing angle α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ngle (S112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1) the viewing angle α1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and (2) the viewing angle α2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respectively,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시야 각도(α)가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S1130).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원을 끄거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When the viewing angle α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duce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area (S1130). In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turn off the power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area or change it in a way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도 11b 및 도 11c의 실시예에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 α1 은 소정 각도 이상이고,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 α2는 소정 각도 미만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2)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전원을 끄거나 최소 전력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FIGS. 11B and 11C , (1) the viewing angle α1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ngle, and (2) the viewing angle α2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may be less than a predetermined angle.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2) determines the display area as an unviewable display area, (2) stops displaying the display area, and (2) turns off the power to the display area or sets it to the minimum power mode. It can be run.

도 11b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었던 컨텐츠를 (1) 디스플레이 영역에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1B,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isplay content that was displayed in the (2) display area together in the (1) display area.

전자 장치(100)는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었던 컨텐츠를 (1) 디스플레이 영역에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대신 (1) 디스플레이 영역의 레이아웃을 두 가지 컨텐츠를 함께 디스플레이하기에 더 적절한 레이아웃으로 재설정(re-arrange)할 수 있다. Instead of displaying the content that was displayed in (2) the display area together in (1) the display area, the electronic device 100 resets (1) the layout of the display area to a layout more appropriate for displaying the two contents together. arrange) can be done.

한편, 도 11c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었던 컨텐츠를 (1) 디스플레이 영역에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지만, 도 11b와 같이 (1) 디스플레이 영역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대신, (1) 디스플레이 영역을 스크롤이 가능하도록 변경하여 (2)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었던 컨텐츠를 스크롤을 통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1C,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display the content that was displayed in the (2) display area together in the (1) display area, but the layout of the (1) display area is changed as shown in FIG. 11B. Instead of changing and displaying them together, (1) the display area can be changed to be scrollable so that (2)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area can be checked by scrolling.

전자 장치(100)는 (1) 디스플레이 영역을 스크롤 하여 아래로 내림으로써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었던 컨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1) scroll the display area down to (2) view content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S1120에 대한 판단에서 시야 각도(α)가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어떠한 변경을 가하지 않고, 원래의 컨텐츠 디스플레이를 계속 할 수 있다(S1150).If the viewing angle α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etermination at S112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inue to display the original content without making any changes to the display area (S1150).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야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140)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d) 및 카메라(140)를 기준으로 한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β)을 획득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the distance (d) from the camera 140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direction (β) of the user's eye area based on the camera 140.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거리 및 방향을 기초로,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 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 각도(α1)를 획득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the user's viewing angle (α1) for one display area based on the obtained distance and direction.

본 개시의 시야 각도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면과 사용자의 눈 영역으로부터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 먼 부분으로 향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The viewing angl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plane of one display area and a straight line heading from the user's eye area to the furthest part of the display area, as described in FIG. 6.

이 경우 시야 각도는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하여 측정될 수 있는 가장 작은 각도이므로, 사용자의 눈 영역으로부터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의 특정 거리 이내의 영역으로 향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획득된 시야 각도(α1)보다 클 수 있다.In this case, the viewing angle is the smallest angle that can be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so the angle formed by a straight line from the user's eye area to an area within a certain distance of the display area may be larger than the obtained viewing angle (α1). there is.

도 12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두 개 디스플레이 영역 중 아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 α1은 소정 각도 미만일 수 있다. 이 경우, 아래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컨텐츠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12 , the viewing angle α1 for the lower display area of the two display area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less than a predetermined angle. In this case, the display area below may be determined as a display area where content cannot be viewed.

그러나, 아래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면과, 사용자의 눈 영역으로부터 아래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특정 거리 이내의 영역으로 향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 α2는 소정 각도 이상일 수 있다. However, the angle α2 formed between the plane of the lower display area and a straight line from the user's eye area to an area within a specific distance of the lower display area may be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인 디스플레이 영역(B-C)은 컨텐츠 시청이 가능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이외의 영역(C-A)은 컨텐츠 시청이 불가능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the display area (B-C)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s eyes as the first display area where content can be viewed, and the area (C-A) other than the first display area is the second display area where content cannot be viewed. 2 It can be decided by the display area.

전자 장치(100)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B-C-A) 중 일부인 컨텐츠 시청이 불가능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해서만 화면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전원을 끄거나, 전력 소모를 최소화 시키는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duce screen brightness, turn off power, or change settings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only for the second display area, which is part of the entire display area B-C-A, where content cannot be viewed.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야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전자 장치(1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으로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있지 않은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1) a display area and (2) a display area that are not on the same plane due to bending.

전자 장치(100)는 도 12의 실시예와 같이 (2) 디스플레이 영역 중 일부(B-C)를 컨텐츠 시청이 가능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이외의 영역(C-A)은 컨텐츠 시청이 불가능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As in the embodiment of FIG. 12,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2) part of the display area (B-C) as the first display area where content can be viewed, and an area (C-A) other than the first display area allows content viewing.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econd display area is impossible.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B-C-A)의 소정 비율 이상인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B-C-A)에 디스플레이 되었던 컨텐츠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B-C)에만 디스플레이 되도록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first display area determined as a display area where content can be viewed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ratio of one display area (B-C-A), the electronic device 100 displays content displayed on the entire one display area (B-C-A) in (b). As shown, the layout can be changed to be displayed only in the first display area (B-C).

일 실시예에서 소정 비율은 7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수동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시스템에 의하여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ratio may be 7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termined manually through user input or automatically by the system.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야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전자 장치(1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으로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있지 않은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4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1) a display area and (2) a display area that are not on the same plane due to bending.

전자 장치(100)는 도 12의 실시예와 같이 (2) 디스플레이 영역 중 일부(B-C)를 컨텐츠 시청이 가능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이외의 영역(C-A)은 컨텐츠 시청이 불가능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As in the embodiment of FIG. 12,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2) part of the display area (B-C) as the first display area where content can be viewed, and an area (C-A) other than the first display area allows content viewing.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econd display area is impossible.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B-C)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B-C-A)의 소정 비율 미만인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B-C-A)에 디스플레이 되었던 컨텐츠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B-C)에만 디스플레이하기 어렵다고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first display area (B-C) determined as the display area where content can be viewed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atio of one display area (B-C-A), the electronic device 100 displays the content that was displayed on the entire one display area (B-C-A) to the first display area (B-C-A). It may be judged that it is difficult to display only in the display area (B-C).

일 실시예에서 소정 비율은 3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수동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시스템에 의하여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ratio may be 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termined manually through user input or automatically by the system.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시청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내용 중, 분리하여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일부 내용을 제1 디스플레이 영역(B-C)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isplay some content that can be displayed separately among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1), where content is determined to be viewable, in the first display area (B-C).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시청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존재하는 재생/멈춤 버튼, 볼륨 버튼 및 진행 바(progress bar)를 포함하는 제어 영역(control area)을 (2) 디스플레이 영역 중 컨텐츠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B-C)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use a control area (2) including a play/pause button, a volume button, and a progress bar present in the display area (1) where content is determined to be viewable. ) It can b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B-C), which is determined to be a display area where content can be viewed among the display areas.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야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전자 장치(1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으로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있지 않은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5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1) a display area and (2) a display area that are not on the same plane due to bending.

전자 장치(100)는 도 12의 실시예와 같이 (1) 디스플레이 영역을 컨텐츠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2) 디스플레이 영역 중 일부(B-C)를 컨텐츠 시청이 가능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이외의 영역(C-A)은 컨텐츠 시청이 불가능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As in the embodiment of FIG. 12, the electronic device 100 (1) determines the display area as a display area where content can be viewed, and (2) determines a part of the display area (B-C) as a first display area where content can be viewed. And, the area (C-A) other than the first display area can be determined as the second display area where content cannot be viewed.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2)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에 대하여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전원을 끄거나, 기타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는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2) change to a mode that reduces brightness of the entire display area, turns off the power, or minimizes other power consumption.

이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가 알림 또는 기대하지 않은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c)와 같이 수신된 알림 또는 이벤트를 (2) 디스플레이 영역 중, 컨텐츠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B-C)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a notification or an unexpected ev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sends the received notification or event as in (c) to (2) a display area where content can be viewed, among the display areas. It can b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B-C) determined as .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에 대하여 방해 받지 않고 알림 또는 이벤트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by (1) receiving notifications or events without being disturbed about content being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시청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controllable display area or a viewable displa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전자 장치(100)는 도 4 및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 각도(α)를 획득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the user's viewing angle α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FIGS. 4 and 6 .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제1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을 입력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제1 소정 각도 이상, 제2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angle,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display area as a display area in which input is not possible, and determines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as a display area in which input is not possible.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 when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determined angle but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angle, the corresponding display area may be determined as a display area that cannot be viewed.

일 실시예에서 입력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 스크린을 통한 키보드 입력, 또는 기타의 터치 입력이 불가능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area where input is not possible may mean an area where keyboard input through a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16 or other touch input is not possible.

도 16에서 (a)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가 제1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로, 전자 장치(100)는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을 입력이 가능하고, 컨텐츠 시청도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FIG. 16 (a), the viewing angle for one display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predetermined angl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display area as a display area in which input is possible and content can be viewed.

도 16에서 (b)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가 제2 소정 각도 이상, 제1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로, 전자 장치(100)는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을 입력은 불가능하지만, 컨텐츠 시청은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b) in FIG. 16 is a case where the viewing angle for one display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predetermined angle and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angl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not input the corresponding display area, but can view content. It can be decided by area.

도 16에서 (c)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가 제2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로, 전자 장치(100)는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을 입력이 불가능하고, 컨텐츠 시청도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FIG. 16 (c), the viewing angle for one display area is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angl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display area as a display area in which input is not possible and content viewing is not possible.

본 개시에서 제1 소정 각도 및 제2 소정 각도는 반복적인 실험 또는 데이터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edetermined angle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angle may be obtained through repeated experiments or data.

일 실시예에서 제1 소정 각도 및 제2 소정 각도는 각각 도 8에서 설명한 소정 각도와 같이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결정된 각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predetermined angle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angle may be angles determin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like the predetermined angles described in FIG. 8 .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시청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viewable display area us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카메라(140)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 및 카메라(140)를 기준으로 한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을 획득하고, 획득된 거리 및 방향을 기초로, 사용자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α)를 획득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acquires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140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based on the camera 140 using a wearable device worn by the user, and obtains the obtained distance and Based on the direction, the viewing angle (α) for each of the user's plurality of display areas can be obtained.

전자 장치(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수신함으로써, 더 정확한 시야 각도(α)를 획득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obtain a more accurate viewing angle α by receiving the user's exact loc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전자 장치(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착용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시계인 경우 사용자의 팔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어폰인 경우 사용자의 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body part of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if the wearable device is a watch, the position of the user's arm can be determined, and if the wearable device is an earphone, the position of the user's ear can be determined.

전자 장치(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착용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위치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 영역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edict the location of the user's eye area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body part of the user on which the wearable device is worn.

전자 장치(100)는 예측된 사용자의 눈 영역의 위치를 기초로 시야 각도(α)를 계산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alculate the viewing angle α based on the predicted position of the user's eye area.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뷰 영역(200) 외부에 사용자가 존재하여 카메라(140)가 직접 사용자의 눈 영역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각각의 시야 각도(α)를 획득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each viewing angle (α ) can be obtained.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동작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readable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전술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another specific form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Claims (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영역을 감지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 및 상기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거리 및 방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시야 각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flexible display;
A memory that stores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and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wherein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When the flexible display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at are not located on the same plane, the user's eye area is detected using a camera provid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Obtaining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with respect to the camera,
Based on the obtained distance and direction, obtain a viewing angl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of the user,
An electronic device that changes at least one of display content and setting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viewing ang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은 상기 거리를 나타내는 직선과, 상기 카메라의 중앙을 통과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힌지(hinges)에 수직 방향인 직선 사이의 각도만큼 벌어진 방향인 전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with respect to the camera is an angle between a straight line indicating the distance and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amera and perpendicular to the hinges of the flexible display. Electronic devices that are as wide open as possi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는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면과,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으로부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 먼 부분으로 향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인 전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e viewing angle for one display area is directed from the plane of the one display area and the furthest part of the one display area from the eye area of the user.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the angle formed by a straight lin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when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determining the one display area as a viewable display area,
An electronic device that determines the display area as an unviewable display area when the angl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ngl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원을 끄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An electronic device that controls to reduce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display area or turn off the power of the display area when the display area is determined to be an unviewable display area.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된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하는 전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ocessor executes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An electronic device that moves content displayed in one display area to another display area determined to be viewable when the display area is determined to be unviewabl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되고,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면과,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으로부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특정 거리 이내의 영역으로 향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상기 특정 거리 이내인 영역은 시청이 가능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이외의 영역은 시청이 불가능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ocessor executes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When the display area is determined to be a display area that cannot be viewed, and the angle between the plane of the display area and a straight line from the user's eye area to an area within a specific distance of the display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angle. Among the display areas, an area within the specific distance from the user's eyes is determined as a first display area that can be viewed, and an area other than the first display area is determined as a second display area that cannot be viewed. Devi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소정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cessor executes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An electronic device that displays content displayed in the one display area on the first display area when the first display area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one display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제1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가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상기 제1 소정 각도 이상, 제2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or executes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When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is less than a first predetermined angle, determining the one display area as an uncontrollable display area,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when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determined angle but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angle, th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the one display area as an unviewable display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 및 상기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거리 및 방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ne or more processors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Obtain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to the user's eye area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with respect to the camera using a wearable device worn by the user, and based on the obtained distance and direction,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viewing angl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is acquir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 및 상기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거리 및 방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시야 각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In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When the flexible display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at are not located on the same plane, detecting the user's eye area using a camera provid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Obtaining a distance from the camera to the user's eye area and a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with respect to the camera;
Obtaining a viewing angle of the us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distance and dire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hanging at least one of display content and setting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viewing angl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은 상기 카메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눈 방향은 상기 거리를 나타내는 직선과, 상기 카메라의 중앙을 통과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힌지(hinges)에 수직 방향인 직선 사이의 각도만큼 벌어진 방향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use 11,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relative to the camera is a straight line indicating the distanc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amera and perpendicular to the hinges of the flexible display.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 a direction that is as wide as the angle between straight line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시야 각도는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면과,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으로부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 먼 부분으로 향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use 11,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e viewing angle for one display area is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plane of the one display area and a straight line from the user's eye area to the farthest part of the one display area. How the device works.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when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determining the one display area as a viewable display area,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the display area as an unviewable display area when the angl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ngl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화면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원을 끄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when the display area is determined to be a display area that cannot be viewed,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display area is reduced or the display area is controlled to be turned off.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된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when the one display area is determined to be an unviewable display area,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one display area is moved to another display area determined to be viewable and displayed thereon.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되고,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평면과,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으로부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특정 거리 이내의 영역으로 향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상기 특정 거리 이내인 영역은 시청이 가능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이외의 영역은 시청이 불가능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use 14,
When the display area is determined to be a display area that cannot be viewed, and the angle between the plane of the display area and a straight line from the user's eye area to an area within a specific distance of the display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angle. Among the display areas, an area within the specific distance from the user's eyes is determined as a first display area that can be viewed, and an area other than the first display area is determined as a second display area that cannot be viewed. How the device works.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소정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when the first display area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one display area, content displayed in the one display area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rea.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시야 각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제1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가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 중, 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시야 각도가, 상기 제1 소정 각도 이상, 제2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시청이 불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changing at least one of display content and setting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viewing angle comprises:
When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is less than a first predetermined angle, determining the one display area as an uncontrollable display area,
Among the viewing angl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when the viewing angle of one display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determined angle but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angle, the electronic device determines the one display area as an unviewable display area. How it work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까지의 거리 및 상기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 상기 사용자의 눈 영역의 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거리 및 방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시야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시야 각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내용 및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hen the flexible display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that are not located on the same plane, detecting the user's eye area using a camera provid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Obtaining a distance from the camera to the user's eye area and a direction of the user's eye area with respect to the camera;
Obtaining a viewing angle of the us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distance and direction;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s recorded, including the step of changing at least one of display content and setting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based on the obtained viewing angle. .
KR1020220077808A 2022-06-24 2022-06-24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2400009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808A KR20240000957A (en) 2022-06-24 2022-06-24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808A KR20240000957A (en) 2022-06-24 2022-06-24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957A true KR20240000957A (en) 2024-01-03

Family

ID=89538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808A KR20240000957A (en) 2022-06-24 2022-06-24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95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277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13016189B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audio scene
US11676016B2 (en) Select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input data
US2018033810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display apparatus
KR20200092465A (en)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11895375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44311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1410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1118467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19184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11699289B2 (en)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multimedia content, and operation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CN111989917B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104773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312830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1015882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KR20200084727A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710498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40000957A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960507B1 (en)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KR20190118415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US202200516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selecting response agent
US202302747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oice assistant service
KR20240026566A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230107043A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220072621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